KR20010070926A - 포피 절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포피 절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926A
KR20010070926A KR1020000042651A KR20000042651A KR20010070926A KR 20010070926 A KR20010070926 A KR 20010070926A KR 1020000042651 A KR1020000042651 A KR 1020000042651A KR 20000042651 A KR20000042651 A KR 20000042651A KR 20010070926 A KR20010070926 A KR 20010070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opening
cutting
piec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119B1 (ko
Inventor
다시로야스노리
시부에다카아키
Original Assignee
도라히코 하야시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라히코 하야시,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라히코 하야시
Publication of KR2001007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21C11/06Embossing machines handling regularly pre-shaped sheet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Abstract

종래의 기계에서는 중화 만두의 외피 표면에 비틀림 주름을 다수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절단 개구부를 중심으로 한 원주상에 셔터편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셔터편의 하면에 성형판을 입설하고, 셔터를 회전하여 절단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 상기 성형판이 대략 방사상으로 되도록 형성하였다.

Description

포피 절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shaping a chinese bun}
본 발명은, 중화 만두 등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내포재(예를 들어, 소, 육, 야채)와 외피재(만두 생지(生地))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에 대해 포피 절단을 행하고, 또한 외피의 표면에 중화 만두 특유의 형상인 비틀림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포피 절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피 절단 장치에서 중화 만두와 같은 외피 표면에 비틀림 주름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본 출원인 소유의 식품 성형 장치(실용신안 공고 평성4년 -32076호)가 있으며, 이 장치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이 식품의 성형 장치는, 인접하는 두개의 면을 미끄럼면으로 하는 각형편(角刑片)을 3개 이상, 각각의 각형편의 미끄럼 면을 접하도록 수로 바퀴 형상으로 조합시킬 수 있는 미끄럼면의 중앙 주위(절단 개구부)를 봉형상 생지의 통로로 하고, 각형편을 미끄럼시켜 상기 주위를 적게 하였을 때, 이 각형편의 생지에 접촉하는 면적을 서서히 적게 하여 봉형상 생지를 절단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위에 면하는 미끄럼면에 있어서, 각형편의 중앙부로부터 선단에 걸쳐서 생지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결락부(缺落部)를 설치하므로써, 외피의 표면에 여러조의 주름을 만들어내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세개 이상의 각형편에 설치한 결락부의 협동에 의해 봉형상 식품 생지의 포피 절단시에 주름을 형성할 수 있지만, 주름을 다수 형성시키려고 하면, 각형편의 개수를 증대시킬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고, 각형편의 미끄럼면이 증대됨에 다른 마찰의 증대 및 미끄럼면의 거터 및 각형편이 얇아지는 것에 따른 형상의 변형등에 의해, 절단 개구부의 개폐 동작이 스무스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포피 절단 및 주름 성형 작용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고, 포피 식품의 품질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셔터 사이 간극에 생지가 들어가 버려 생지 찌꺼기가 발생하기도 하며, 주름의 형상이 균일하게 되지 않아서 일부 형상이 달라져 버리고 제품의 외곽선을 손상시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셔터 구동부를 노출시킨 상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일 실시예의 측면 도시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셔터의 절단 개구부에 봉형상 생지가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
도 4b 는 도 4a 에 도시하는 상태의 셔터의 저면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셔터에 의해 봉형상 생지가 포피 절단되는 도중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
도 5b 는 도 5a 에 도시하는 상태의 셔터의 저면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셔터에 의해 봉형상 생지가 포피 절단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
도 6b 는 도 6a 에 도시하는 상태의 셔터의 저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셔터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포피 절단 장치의 셔터의 셔터편 및 홀더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포피 절단 장치 2 셔터
3 본체 프레임 4 식품 생지 공급 장치
5 컨베이어 장치 21 절단 개구부
22 셔터 편 23 홀더
24 돌출부 25 접합부
26 에지 부분 27 성형판
29 돌출부 31 고정 부재
32 지지 프레임 34 구동 모터
37 캠 롤러 39 승강 부재
40 진입구 41 수직축
42 종동 기어 43 중간 기어
44 구동 기어 45 종동 링크
46 구동 링크 47 연결 링크
49 캠 플레이트 52 결합 부재
53 가이드 부 54 편심핀 설치 홈
55 편심 핀 56 편심 축
57 고정 부재 58 긴 구멍
59 편심 핀 설치 구멍 60 고정 부재 설치 구멍
61 롤러 62 롤러 샤프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략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절단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n(n 은 3개 이상의 정수)개의 셔터편과,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 이동시켜서 상기 절단 개구부의 개폐를 행하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절단 개구부에 상방으로부터 내포재와 외피재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를 공급하고, 그로부터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봉형상의 식품 생지의 포피 절단을 행하는 포피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편은, 상호 인접하는 셔터의 미끄럼면이 미끄럼이동하도록 결합 부재에 의해 조합되어 있고, 또한 각 셔터편은 긴 구멍을 갖고 있으며, 상기 셔터 장치는, 상기 절단 개구부와 동심의 소정 원주상에 m 개(m 은 정수)의 수직축을 등간격으로 갖고, 상기 셔터편이 미끄러지면, 상기 셔터편의 각각의 긴 구멍내를 상기 수직축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또한 각 셔터편이 상기 수직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구부가 폐쇄하고, 한편,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구부가 개방하며, 추가로, 각 셔터편의 하면에, 성형판을 돌출하도록 입설(立設)하고, 상기 성형판이 상기 절단 개구부가 폐쇄하였을 때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봉형상 식품 생지를 상방으로부터 절단 개구부로 공급하면서, 회전 작동 수단에 의해 n 개의 셔터편을 동기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절단 개구부를 서서히 폐쇄하여 봉형상 식품 생지를 절단하면, n개의 셔터편은 상호 인접하는 셔터의 미끄럼면을, 결합 부재에 의해 미끄럼운동하도록 조합되어 있으므로, 셔터편과 인접하는 셔터편의 간극에 생지가 들어가서 생지 찌꺼기가 가능하지도 않고, 이 절단 개구부가 서서히 폐쇄될 때에, n 개의 셔터편의 하면의 성형판이 외피재를 사이에 두고서, 포피절단된 생지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본 발명은, 개략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절단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n (n은 3개 이상의 정수)개의 셔터편과,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운동시켜 상기 절단 개구부의 개폐를 행하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절단 개구부에 상방으로부터 내포재와 외피재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를 공급하고, 그로부터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봉형상 식품 생지의 포피 절단을 행하는 포피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편은, 상호 인접하는 셔터의 미끄럼면이 미끄러지도록 결합 부재에 의해 조합되어 있고, 또한 각 셔터편은 긴 구멍을 갖고 있으며, 상기 셔터 장치는, 상기 절단 개구부와 동심의 소정 원주상에 m 개(m 은 정수)의 수직축을 등간격으로 가지며, 상기 셔터편이 미끄러지면, 상기 셔터편의 각각의 긴 구멍내를 상기 수직축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또한 각 셔퍼텬이 상기 수직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고, 한편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구부가 개방하며, 추가로 각 셔터편의 하면에, 성형판을 돌출하도록 입설하고, 상기 성형판이 상기 절단 개구부가 폐쇄하였을 때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 포피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포피를 절단하는 방법으로서,
(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는 공정과,
(ⅱ) 상기 절단 개구부의 상방으로부터 내포재와 외피재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를 공급하는 공정과,
(ⅲ)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절단 개구부를 서서히 폐쇄하여 상기 n 개의 셔터편에 의해 외피재를 원주방향으로부터 가압하고, 외피재에 잘룩한 연결 부분을 성형하고, 추가로 외피재에 의해 내포재를 상하로 분리하도록 하여, 잘룩한 연결 부분에서 외피재에 의해 내포재를 각각 포피하는 공정과,
(ⅳ) 상기 (ⅰ) 공정의 도중 혹은 상기 잘룩한 연결부분의 절단과 동시에,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이 미끄러져 중심에 모일때 각 셔터편의 하면에 돌출하여 입설된 성형판이 협동하여 외피재를 사이에 끼운채 외피에 복수의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편에 의해 잘룩한 연결부분을 절단하는 공정과,
(ⅴ) 상기 (ⅱ)의 공정이 종료한 후에,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는 공정과,
(ⅵ) 상기 (ⅲ)의 공정이 종료한 후에, 상기 (ⅰ)의 공정으로부터 상기 (ⅲ)의 공정까지를 순차 반복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 절단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포피 절단 장치(1)는, 내포재(예를 들어, 소, 육, 야채)(W1)와 외피재(예를 들어 중화만두 생지)(W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식품 생지(W)를 상방향으로부터 셔터(2)의 중앙부의 절단 개구부(21)로 공급하면서, 봉형상의 식품 생지(W)에 대해 포피 절단을 행하는 것이며, 상자형의 본체 프레임(3)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상기 셔터(2)는 12개의 셔터편(22)을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셔터편(22)은 홀더(23)에 의해 각각 유지되고 있다.
다음에, 12개의 셔터편(22)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 및 12개의 셔터편(22)을동기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 프레임(3)에는 한쌍의 고정 부재(31)가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고정 부재(31)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지지 프레임(32)이 요동축(33)을 거쳐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32)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 지지 프레임(32)의 기초부에는 구동 모터(3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 모터(34)의 출력축(36)의 하부에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길이가 변화하는 캠 롤러(37)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프레임(3)의 적정 위치에는 이 캠 롤러(37)가 접촉하는 접촉 롤러(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 롤러(37)는 지지 프레임(32)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접촉 롤러(38)에 접촉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프레임(32)의 선단부에는 승강 부재(39)가 설치하고 있고, 이 승강 부재(39)는 식품 생지(W)가 상방향으로 부터 진입할 수 있는 진입구(4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진입구(40)는 절단 개구부(21)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승강 부재(39)내에서의 소정 원(S)(도 4b)의 원주상에는 회전가능한 12개의 수직축(41)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수직축(41)에는 상기 홀더(23)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셔터편(22)은 대응하는 수직축(41)의 축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12개의 셔터편(22)을 동기시켜 시계 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절단 개구부(21)가 폐쇄하고, 또한 12개의 셔터편(22)을 반시계 방향(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절단 개구부(21)가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하듯이, 각 수직축(41)에는 구동 기어(44) 및 종동 기어(4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승강 부재(39)내에는 11개의 종동 기어(42)에 치합한 링 형상의 중간 기어(4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 부재(39)내에는 중간 기어(43)에 치합한 구동 기어(4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 기어(44)에는 종동 링크(45)의 기초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2)의 후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구동 링크(46)가 브래킷(35)을 거쳐 설치되어 있고, 종동 링크(45)의 선단부에는 연결 링크(47)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링크(46)의 일단부에는 연결 링크(47)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 링크(46)를 수평 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34)의 출력축(36)의 상부에는 캠 홈(48)을 구비한 캠 플레이트(49)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 링크(46)의 타단부에 설치한 종동자(50)가 캠 홈(48)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캠 롤러(37)의 형상 및 캠 홈(48)의 형상은, 12 개의 수직축(4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12개의 셔터 편(22)을 절단 개구부(2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지지 프레임(32)을 하방향으로 요동시키고, 또한 12 개의 수직축(4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12 개의 셔터편(22)을 크게 개방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시킬 때에는 지지 프레임(32)을 상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소정 형상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캠 플레이트(49)를 도 2 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홈(48)의 작용에 의해 구동 링크(46), 연결 링크(47), 종동 링크(45)를 거쳐 구동 기어(44)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중간 기어(43), 종동 기어(42)를 거쳐 12개의 수직축(41)이 동기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12 개의 수직축(41)을 동기하여 정방향(도 2 에서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12 개의 셔터편(2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절단 개구부(21)를 폐쇄할 수 있으며, 역으로 12 개의 수직축(41)을 동기하여 역방향(도 2 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12 개의 셔터편(22)을 동기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절단 개구부(21)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12 개의 셔터편(22)을 절단 개구부(21)를 폐쇄하는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캠 롤러(37)의 작용에 의해 지지 프레임(32)을 요동축(33)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요동시키고, 12 개의 셔터편(22)을 승강 부재(39)와 일체적으로 하강시킨다. 또한, 12 개의 셔터편(22)을 크게 개방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시켰을 때, 캠 롤러(37)의 작용에 의해 지지 프레임(32)을 요동축(33)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고, 12 개의 셔터편(22)을 승강 부재(39)와 일체적으로 근사 상승시킨다.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각 셔터편(22)에는 외피재(W2)를 절단하는 돌출부(24)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각 셔터편(22)의 돌출부(24)의 상하측에는, 외피재(W2)의 절단 개소의 상하 부분을 포피접합시키는 접합부(25)가 각각 연속하여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12 개의 셔터편(22)을 동기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12 개의 돌출부(24) 및 접합부(25)에서의 에지 부분(24a, 25a)이 인접하는 셔터편(22)의 돌출부(24) 및 접합부(25)의 각각의 대응 부분과 접촉 미끄럼 이동하여 소정의 원(S) 중심에서 집합하도록(도 6b), 셔터편(22)의 긴 구멍(58)의 위치 및 길이가 설정되고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홀더(23)는, 홀더 플레이트(23a)와 홀더 플레이트(23b)사이에 지지된 롤러 샤프트(62)와, 롤러 샤프트(6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롤러(61)로 이루어지고, 롤러(61)는 셔터편(22)의 긴 구멍(58)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셔터편(22)은, 홀더(23)에 유지된 상태에서, 긴 구멍(58)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롤러(61)에 의해, 긴 구멍(58)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 편(22)의 긴 구멍(58)에 끼워지는 홀더(23)에 롤러(61)를 사용하였으나, 홀더(23)의 회전에 의해 셔터편(22)을 미끄러져 이동하기 위한 것이라면, 롤러(61) 대신에 단면이 긴원의 판형상인 부재를 사용하는 등,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셔터편(22)과 인접하는 다른 셔터편(22)은, 결합 부재(52)에 의해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 부재(52)의 가이드부(53)는 인접하는 다른 셔터편(22)의 돌출부(29)와 미끄럼 접촉할 수 있게 조합되고, 결합 부재(52)는 편심 핀(55)을 거쳐 셔터편(22)에 계지되어 있다. 편심 핀(55)은 셔터 편(22)에 설치된 편심 핀 부착 구멍(59)에 축걸림되는 부분과, 결합 부재(52)에 걸리는 부분이 편심되어 있고, 셔터편(22)에 편심 핀(55)을 부착하는 때에, 셔터편(22)에 복수개 혹은 고정 부재 부착 구멍(60)의 한개를 선택하는 편심 핀(55)의 고정 부재(57)를 계지하는 것에 의해, 편심 핀(55)을 거쳐 셔터편(22)에 계지되는 결합 부재(52)의 부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어떤 셔터편(22)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셔터편(22) 사이의 간극에 생지가 들어가 지지 않는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셔터편(22)과 인접하는 다른 셔터편(22) 사이에 생지가 들어가도록 간극이 있는 경우는, 간극에 들어가는 생지에 의해, 예를 들어 생지 가스가 발생하여 제품상에 부착하여 제품의 미관을 손상하거나, 제품상에 부착한 생지 가스를 제거하는 여분의 작업이 발생하는 것이 있지만, 셔터편(22)과 인접하는 다른 셔터편(22) 사이의 간극을 생지가 들어가지 않는 최적의 값으로 설정하므로써,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에 성형판(27)에 대해 설명하면, 도 7, 도 8 에 도시하듯이 12 개의 셔터편(22)의 하면(28)(도면에서 경사면으로 도시됨)에 성형판(27)을 각각 입설하여 설치하고 있다. 도 8 에 도시하듯이 성형판(27)의 형상은, 박편 형상의 대략 사각형(예를 들어 높이 25 내지 30 ㎜, 길이가 30 내지 35 ㎜, 두께 0.5 내지 3 ㎜)으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 성형판(27)은, 12 개의 셔터편(2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절단 개구부(21)가 폐쇄하였을 때, 반경 방향으로 나란히 대략 방사형상으로 배치되고, 접합부(25)와는 단차(G)를 갖고 입설된다.
여기서, 성형판(27)의 입설하는 위치는 도 8 의 실시예와 같이 셔터편(22)의 하면(28)의 선단측에서, 성형판(27)과 접합부(25)의 사이에는 단차(G)가 있으며, 이 단차(G)의 대소에 의해 셔터편(22)이 폐쇄할 때의 외피재(W2)의 사이끼움 량 및 주름의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성형판(27)의 에지부(27a)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경사(경사시키지 않고 수직한 경우도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생지의 주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12 장의 성형판(27)의 형상은 절단 개구부(21)가 폐쇄하였을 때에 대략 방사상 또는 와권(渦卷)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프레임(3)에서의 셔터(2)의 상방에는 식품 생지 공급 장치(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식품 생지 공급 장치(4)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W)를 상방향으로부터 절단 개구부(21)로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 프레임(3)에서의 셔터(2)의 하방에는 콘베이어 장치(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콘베이어 장치(5)는 포피 식품(WA)을 반송하는 것이다. 콘베이어 장치(5)는 셔터(2)의 상하 운동에 동조하여 상하 운동을 행하도록, 콘베이어 플레이트(51)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동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포피 절단 장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포피 절단 장치(1)의 사용 방법은, 식품 생지 공급 장치(4)의 작동에 의해 봉형상의 식품 생지(W)를 상방향으로부터 절단 개구부(21)로 공급하면서, 봉형상의 식품 생지(W)에 대해 포피 절단을 행하는 방법이며, 이하의 (ⅰ) 공정 내지 (ⅳ)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ⅰ) 공정
구동 모터(34)의 구동 및 캠 홈(48)의 작용에 의해 12 개의 셔터편(22)을 동기하여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절단 개구부(21)를 서서히 폐쇄해가며, 12 개의 셔터편(22)의 접합부(25), 돌출부(24)에 의해 외피재(W2)를 원주방향으로부터 가압하고, 외피재(W2)에 잘룩한 연결부분을 성형하는 동시에, 외피재(W2)에 의해 내포재(W1)를 상하로 분리하고, 잘룩한 연결 부분에서 외피재(W2)에 의해 내포재(W1)를 각각 포피한다.
(ⅱ) 상기 (ⅰ)공정의 도중 혹은 종료한 후에, 구동 모터(34)의 구동 및 캠 홈(48)의 작용에 의해 12 개의 셔터편(22)이 추가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12 개의 셔터편(22)의 하면(28)의 단차(G)에 하방으로 붙여진 생지가 들어가고, 성형판(27)이 외피재(W2)를 끼워넣은채로, 12 개의 셔터편(22)의 돌출부(24)의 에지(24a)가 원(S)의 중심에 집합하여 상기 외피재(W2)의 잘룩한 부분이 절단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성형판(27)이 원(S)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구성되며, 외피재(W2)에 12 개의 주름이 형성된다.
(ⅲ) 상기 (ⅱ) 공정이 종료한 후에, 구동 모터(34)의 구동 및 캠 홈(48)의 작용에 의해 12개의 셔터 편(22)을 동기하여 역방향으로 크게 회전시키고, 절단 개구부(21)를 크게 개방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도 4 참조). 이로 인하여, 봉형상의 식품 생지(W)에 대한 일회의 포피 절단이 종료된다.
(ⅳ) 상기 (ⅲ) 공정이 종료한 후에, (ⅰ)공정 내지 (ⅲ)공정을 순차 반복하므로써, 봉형상 식품 의지(依地)(W)에 대해 복수회의 포피 절단을 행하고, 복수의 포피 식품(WA)을 제조한다. 또한, 도 2 에 도시하듯이, 복수의 포피 식품(WA)은 콘베이어 장치(5)에 의해 도 2 를 향하여 좌방향으로 반송되고, 후공정의 작업이 실시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피재(W2)에 다수의 주름을 확실히 형성할 수 있다.
성형판(27)의 입설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예는, 도 8 에서, 성형판(27)과 접합부(25)의 사이에 단차(G)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다. 그 밖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접합부(25)에 단차(G)를 설치하지 않고, 동일 면에 접합판(27)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성형판(27)의 선단측을 결락시켜 생지(W)를 사이에 끼우기 위해 셔터편(22)의 하면(28)의 선단측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성형판(27)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셔터편(22)의 하면(28)으로의 생지 들어감을 높이고, 생지를 끼워넣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편의 회전 수단에 의해 절단 개구부가 폐쇄되어가는 과정에서, 성형판이 협동하여 외피를 사이에 두고, 주름을 확실히 성형할 수 있고, 생지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균일한 형상의 비틀림 주름을 다수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개략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절단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n(n 은 3개 이상의 정수)개의 셔터편과,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 이동시켜서 상기 절단 개구부의 개폐를 행하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절단 개구부에 상방으로부터 내포재와 외피재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를 공급하고, 그로부터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봉형상의 식품 생지의 포피 절단을 행하는 포피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편은, 상호 인접하는 셔터의 미끄럼면이 미끄럼이동하도록 결합 부재에 의해 조합되어 있고, 또한 각 셔터편은 긴 구멍을 갖고 있으며,
    상기 셔터 장치는, 상기 절단 개구부와 동심의 소정 원주상에 m 개(m 은 정수)의 수직축을 등간격으로 갖고, 상기 셔터편이 미끄러지면, 상기 셔터편의 각각의 긴 구멍내를 상기 수직축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또한 각 셔터편이 상기 수직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구부가 폐쇄하고, 한편,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구부가 개방하며,
    추가로, 각 셔터편의 하면에, 성형판을 돌출하도록 입설하고, 상기 성형판이 상기 절단 개구부가 폐쇄하였을 때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피 절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편심 핀을 거쳐서 상기 셔터 핀에 걸리는 포피 절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핀은, 편심 핀 부착구멍에 축걸림되는 부분과 상기 결합 부재에 걸리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부분이 편심되어 있고, 상기 셔터편과 상기 셔터편에 인접하는 다른 셔터편과의 사이 간극에 생지가 들어가지 않는 최적치로 설정할 수 있는 포피 절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판은 상기 셔터편의 하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성형판과 접합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포피 절단 장치.
  5. 개략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절단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n (n은 3개 이상의 정수)개의 셔터편과,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운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운동시켜 상기 절단 개구부의 개폐를 행하는 셔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여 상기 절단 개구부에 상방으로부터 내포재와 외피재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를 공급하고, 그로부터 상기 셔터편을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봉형상 식품 생지의 포피 절단을 행하는 포피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편은, 상호 인접하는 셔터의 미끄럼면이 미끄러지도록 결합 부재에 의해 조합되어 있고, 또한 각 셔터편은 긴 구멍을 갖고 있으며,
    상기 셔터 장치는, 상기 절단 개구부와 동심의 소정 원주상에 m 개(m 은 정수)의 수직축을 등간격으로 가지며, 상기 셔터편이 미끄러지면, 상기 셔터편의 각각의 긴 구멍내를 상기 수직축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고, 또한 각 셔퍼텬이 상기 수직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고, 한편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키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구부가 개방하며, 추가로 각 셔터편의 하면에, 성형판을 돌출하도록 입설하고, 상기 성형판이 상기 절단 개구부가 폐쇄하였을 때 대략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 포피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포피를 절단하는 방법으로서,
    (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는 공정과,
    (ⅱ) 상기 절단 개구부의 상방으로부터 내포재와 외피재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식품 생지를 공급하는 공정과,
    (ⅲ)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시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절단 개구부를 서서히 폐쇄하여 상기 n 개의 셔터편에 의해 외피재를 원주방향으로부터 가압하고, 외피재에 잘룩한 연결 부분을 성형하고, 추가로 외피재에 의해 내포재를 상하로 분리하도록 하여, 잘룩한 연결 부분에서 외피재에 의해 내포재를 각각 포피하는 공정과,
    (ⅳ) 상기 (ⅰ) 공정의 도중 혹은 상기 잘룩한 연결부분의 절단과 동시에,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이 미끄러져 중심에 모일때 각 셔터편의 하면에 돌출하여 입설된 성형판이 협동하여 외피재를 사이에 끼운채 외피에 복수의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편에 의해 잘룩한 연결부분을 절단하는 공정과,
    (ⅴ) 상기 (ⅱ)의 공정이 종료한 후에, 상기 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n 개의 셔터편을 동기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절단 개구부를 개방하는 공정과,
    (ⅵ) 상기 (ⅲ)의 공정이 종료한 후에, 상기 (ⅰ)의 공정으로부터 상기 (ⅲ)의 공정까지를 순차 반복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피 절단 방법.
KR10-2000-0042651A 1999-07-26 2000-07-25 포피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0433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15199A JP3363843B2 (ja) 1999-07-26 1999-07-26 包被切断機
JP99-210151 1999-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926A true KR20010070926A (ko) 2001-07-27
KR100433119B1 KR100433119B1 (ko) 2004-05-27

Family

ID=1658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651A KR100433119B1 (ko) 1999-07-26 2000-07-25 포피 절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63843B2 (ko)
KR (1) KR100433119B1 (ko)
CN (1) CN1174683C (ko)
TW (1) TW460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231B2 (ja) 2005-12-21 2012-08-1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成形用シャッタ装置及びそのシャッタ片
TW200838443A (en) * 2006-12-27 2008-10-01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rapped food
CN103222488A (zh) * 2013-01-10 2013-07-31 安徽维斯达食品机械有限公司 多瓣捏花成形刀具总成
CN104585265B (zh) * 2015-01-09 2017-01-25 阳政精机(无锡)有限公司 一种能将包子端部封闭、切断及捏出花纹的装置及方法
CN105145701B (zh) * 2015-08-30 2023-06-09 金华市喜加达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械的填馅装置
CN107183106A (zh) * 2017-04-18 2017-09-22 江阴市星亚食品机械有限公司 包子机用捏花刀具
CN109515881B (zh) * 2017-09-20 2023-10-27 湖北珍肴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机的分离装置
CN108582171A (zh) * 2018-05-29 2018-09-28 通山九宫乡人特色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化包砣的剪切和剪刀装置及包砣机
CN109511699A (zh) * 2018-09-25 2019-03-26 王晓杰 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N109511701A (zh) * 2018-09-25 2019-03-26 王晓杰 一种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N109548814A (zh) * 2018-09-25 2019-04-02 王晓杰 一种食品加工机和包子机
CN109845773A (zh) * 2018-09-25 2019-06-07 王晓杰 一种包子机
CN112790207B (zh) * 2021-03-04 2022-02-25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包馅食品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515B2 (ja) * 1990-05-01 1999-07-05 レオン自動機 株式会社 包被球断装置
US5031520A (en) * 1990-09-11 1991-07-16 Tsay Shih C Cutting and forming device for an apparatus for making buns
JPH084443B2 (ja) * 1992-01-30 1996-01-24 株式会社コバード 可塑性棒状食品切断機
JPH0641490U (ja) * 1992-11-13 1994-06-03 石柱 蔡 餡包み小麦粉製品の製造装置
JP2537751B2 (ja) * 1993-12-14 1996-09-25 株式会社コバード 絞り成形食品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H0880154A (ja) * 1995-08-10 1996-03-26 Yamasan Koki Kk 連続棒状生地の成形切断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0274B (en) 2001-10-21
JP3363843B2 (ja) 2003-01-08
CN1292225A (zh) 2001-04-25
CN1174683C (zh) 2004-11-10
JP2001037407A (ja) 2001-02-13
KR100433119B1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119B1 (ko) 포피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000303B1 (ko) 성형용 셔터 장치 및 그 셔터편
KR100305132B1 (ko) 식품 연속 절단 및 성형 장치와 그 방법
KR100470849B1 (ko) 식품 성형 방법 및 장치
JP4210779B2 (ja) 食品の包み込み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60014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ored food in bar shape
JP2983964B1 (ja) 包被切断機、およびこの包被切断機の使用方法
KR20120052115A (ko)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JP3587459B2 (ja) 食品成形装置
JP3421658B2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CN208724781U (zh) 一种窝窝头旋转加工成型装置
JP2003111583A (ja) 包被切断機
JP4316662B1 (ja) 食品加工装置
KR20040084642A (ko) 만두 성형기
JP3811786B2 (ja) 食品成形装置
JP2003180321A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92419Y1 (ko) 자동 만두제조장치
JP2004313072A (ja) 食品成形装置
KR100383915B1 (ko)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KR20060119827A (ko) 자동 만두제조장치
JP3015000B2 (ja) 半開包皮切断装置
RU193939U1 (ru) Механизм ввода начинки и формования машин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з теста
JP3421663B2 (ja) 食品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970004214Y1 (ko) 자동만두생산기의 만두피 제조기
KR102156491B1 (ko) 제면기용 면발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