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115A -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 Google Patents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115A
KR20120052115A KR1020100113590A KR20100113590A KR20120052115A KR 20120052115 A KR20120052115 A KR 20120052115A KR 1020100113590 A KR1020100113590 A KR 1020100113590A KR 20100113590 A KR20100113590 A KR 20100113590A KR 20120052115 A KR20120052115 A KR 2012005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skin
dumplings
cow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439B1 (ko
Inventor
백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맛기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맛기신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맛기신정
Priority to KR102010011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는 만두소의 재료들을 혼합하는 만두소 공급부와, 만두피의 재료들을 혼합하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상기 만두피와 섞이지 않게 받는 만두피 공급부와, 상기 만두피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받고 상기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어 반제품을 만드는 혼합 네크와, 상기 혼합 네크의 전방에서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반제품을 받아 설정된 형태의 만두를 제조하는 만두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두 성형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상기 반제품을 받아 이송시키는 만두 이송 롤러; 그리고 상기 제1축과 이격된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두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반제품을 설정된 형태의 만두로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원주에 해당하며 만두피를 접합하여 상기 만두의 양단에 접합면을 성형하도록 이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합면 성형부와, 상기 접합면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원주의 반경 내측으로 굴곡진 설정된 형태의 곡률로서 형성되며 상기 만두의 몸통을 성형하는 몸통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만두피 내에 만두소를 많이 채워 넣을 수 있고 만두의 조리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만두피의 내부에 고기, 채소, 두부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만두소가 채워져 있으며, 사람들이 가장 많이 즐기는 음식 중 하나이다.
만두는 통상적으로 찌거나 튀겨서 먹게 된다. 이 중, 종래의 튀김 만두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의 만두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만두는 만두피와, 상기 만두피의 내부에 채워진 만두소를 포함한다.
만두피는 밀가루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만두피는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그것들에 의하여 몸통(2)이 형성되게 된다. 이 몸통(2)의 내부에는 만두소가 채워진다. 또한, 상기 몸통(2)의 양단부에는 접합면(4)이 형성되어 있다. 접합면(4)은 만두피의 상면과 하면을 접합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접합면(4)의 끝단에 절단면(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단면(6)은 사람이 만두 제조 기계에서 만들어진 만두들을 필요에 따라 하나씩 절단하기 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얇게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 절단면(6)을 형성하지 않고, 만두 제조 기계에서 만두가 하나씩 절단되도록 셋팅할 수도 있다.
만두피와 만두소의 비율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만두가 맛있으나, 종래의 만두는 만두피에 비하여 만두소의 양이 적어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튀김만두의 경우 그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 이유는 만두소를 많이 채우기 위해서는 몸통(2)을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튀김만두의 경우에는 열을 잘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상면을 더욱 볼록하게 형성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상면을 볼록하게 형성하면 만두를 튀기는 과정에서 몸통(2)과 접합면(4)의 경계 부근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만두피의 두께를 늘려야 하는데, 만두피의 두께가 늘어난 만큼 더 많은 만두소가 필요하게 되어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없으며, 만두피가 두꺼워지는 만큼 식감이 떨어지고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는 타나 만두소는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만두소를 최대한 많이 채워 넣어 맛이 좋은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를 단순히 하여 금형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더 나아가, 만두의 몸통을 두껍게 하면서 만두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장의 만두피가 서로 겹쳐지면서 만두가 제작되도록 하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만두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어 맛이 좋고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는 만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는 만두소의 재료들을 혼합하는 만두소 공급부와, 만두피의 재료들을 혼합하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상기 만두피와 섞이지 않게 받는 만두피 공급부와, 상기 만두피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받고 상기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어 반제품을 만드는 혼합 네크와, 상기 혼합 네크의 전방에서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반제품을 받아 설정된 형태의 만두를 제조하는 만두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두 성형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상기 반제품을 받아 이송시키는 만두 이송 롤러; 그리고 상기 제1축과 이격된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두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반제품을 설정된 형태의 만두로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원주에 해당하며 만두피를 접합하여 상기 만두의 양단에 접합면을 성형하도록 이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합면 성형부와, 상기 접합면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원주의 반경 내측으로 굴곡진 설정된 형태의 곡률로서 형성되며 상기 만두의 몸통을 성형하는 몸통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네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피를 공급받아 얇게 펴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과, 상기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받아 공급하는 만두소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1포펫; 그리고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하며 그 사이에 틈을 두고 형성된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만두피 속에 만두소가 들어간 반제품을 공급하는 반제품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2포펫;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은 상기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만두소 공급홀을 통과한 만두소는 상기 만두피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접합면 성형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면에 절단면을 성형하는 절단면 성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 성형부는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통 성형부의 반경은 상기 원호의 양단 사이의 거리의 53%~65%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만두의 몸통의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보다 많은 만두소를 채워 넣을 수 있어 맛이 좋은 만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만두피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몸통의 형상이 최적화되어 만두를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는다.
더 나아가, 만두 제조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금형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만두피 공급부와 혼합 네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평면에서 내려다 본 제1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저면에서 올려다 본 제1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배면에서 본 제2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만두 성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만두 성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성형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로 제조된 만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만두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는 튀김용 만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만두소 공급부(10), 만두피 공급부(20), 그리고 만두 성형부(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만두소 공급부(10)과 최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만두소 공급부(10)의 전방에 만두피 공급부(20)가 배치되며, 상기 만두피 공급부(20)의 전방에 만두 성형부(60)가 배치되어 있다.
만두소 공급부(10)는 만두의 만두소를 제조하여 이를 공급하는 것이다. 만두소 공급부(10)는 상부에 제1호퍼(12)가 형성되어 만두소의 재료(고기, 채소, 두부 등)를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호퍼(12)의 하부에는 제1바디(14)가 형성되어 제1호퍼(12)를 통해 공급받은 만두소를 혼합하여 상기 만두피 공급부(20)에 공급한다. 상기 제1바디(14)에는 스크류(도시하지 않음)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만두소의 혼합 및 공급 역할을 수행한다.
만두피 공급부(20)는 상기 만두소 공급부(10)로부터 만두소를 공급받고, 만두피를 제조하여 상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하는 것이다. 만두피 공급부(20)는 상부에 제2호퍼(22)가 형성되어 만두피의 재료가 되는 밀가루 반죽 등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호퍼(22)의 하부에는 제2바디(24)가 형성되어 제2호퍼(22)를 통해 공급받은 밀가루 반죽을 만두 성형부(60)를 향해 공급한다. 이러한 제2바디(2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스크류(24, 26)와 중공 스크류(2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공 스크류(28)는 상기 제1,2스크류(24, 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호퍼(22)를 통해 공급된 밀가루 반죽은 상기 중공 스크류(28)와 제1,2스크류(24, 28)에 의하여 곱게 반죽된다. 또한, 만두소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만두소는 상기 중공 스크류(28)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30)을 통해 만두 성형부(60)를 향해 공급된다. 만두피는 상기 중공 스크류(28)의 외주면을 통해서 공급되고 만두소는 상기 중공 스크류(28) 내부의 관통홀(30)을 통해 공급되므로 만두피와 만두소는 서로 섞이지 않고 별도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만두피 공급부(20)의 전면에는 혼합 네크(3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만두피 공급부(20)고부터 만두피와 만두소를 받아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음으로써 반제품을 형성하고, 이 반제품을 만두 성형부(60)에 공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만두피 공급부(20)는 제1포펫(40)과 제2포펫(5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펫(40)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부에 제1경사면(46)가 돌출되어 있다. 제1포펫(40)의 외주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이 형성되어 있다. 만두피는 이러한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하며 얇게 펴지게 된다.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은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은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의 반경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은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포펫(40)의 중심에서 원주를 향하여 볼 때,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 사이의 틈은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 사이의 틈은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에 의하여 막혀 있다. 이에 따라,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을 통과한 만두피와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을 통과한 만두피가 서로 교대로 적층되게 되며, 이에 따라 만두를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경사면(46)은 상기 제1포펫(4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경사면(46)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46)의 내주면에는 만두소 공급홀(48)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46)을 따라 이동하고 관통홀(30)을 통해 공급된 만두소는 만두소 공급홀(48)을 통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펫(50)은 디스크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2포펫(50)의 후면 내주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46)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경사면(52)의 전단에는 반제품 공급홀(54)이 형성된다. 제2포펫(50)은 상기 제1포펫(40)의 전방에 배치되는데, 이 때, 상기 제1경사면(46)과 제2경사면(52)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46)과 제2경사면(52)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얇게 펴지고 이 과정에서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한 만두피는 서로 교대로 적층되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만두피로 성형되게 된다. 또한, 만두소 공급홀(48)을 통과한 만두소는 상기 만두피의 내부로 자동적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소가 채워진 반제품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반제품은 상기 반제품 공급홀(54)을 통해 만두 성형부(60)에 공급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 성형부(60)는 하부 프레임(64), 측면 프레임(66a, 66b), 그리고 상부 프레임(104)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64)의 양 측면에는 상기 측면 프레임(66a, 66b)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프레임(66a, 66b)의 상단에는 상부 프레임(104)이 볼트(B) 등으로 결합되어 상기 만두 성형부(6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만두 성형부(60)는 만두 이송 롤러(76), 성형 롤러부(90), 그리고 위치 조절 손잡이(106a, 106b)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66a, 66b)에는 각각 축 안착홀(68a, 68b)과 가이드부(70a, 70b)가 형성되어 있다.
축 안착홀(68a, 68b)에는 만두 이송 롤러(76)가 장착되는 제1축(74)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가이드부(70a, 70b)는 제2축(92)의 양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더(94a, 94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제1축(74)에는 만두 이송 롤러(76)와 제1,2기어(82, 84)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만두 이송 롤러(76)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롤러면(80)이 형성되어 반제품을 상기 롤러면(80)을 따라 이송시킨다. 상기 롤러면(80)의 양단에는 롤러 측벽(78a, 78b)이 형성되어 반제품이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만두의 폭을 규제하게 된다.
제1기어(82)는 상기 제1축(74)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 등의 동력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기어 결합한다. 따라서, 제1기어(82)는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제1축(74)과 이에 고정 장착된 제2기어(84)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2기어(84)는 상기 제1축(7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축(92)에 고정된 제3기어(102)와 기어 결합한다.
이러한 제1축(74)은 그 양단부가 상기 축 안착홀(68a, 68b)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제1기어(82)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성형 롤러부(90)는 제2축(92), 한 쌍의 슬라이더(94a 94b), 성형 롤러(100), 그리고 제3기어(102)를 포함한다.
제2축(92)은 제1축(74)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슬라이더(94a, 94b)의 전면과 후면에는 슬라이딩 홈(96)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측면 프레임(66a, 66b)의 가이드부(70a, 70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 진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더(94a, 94b)의 상면에는 각각 위치 조절 홈(98)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은 스프링(86a, 86b)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86a, 86b)은 상기 가이드부(70a, 70b)의 하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72a, 72b)에 안착된다. 제2축(92)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94a)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제2축(92)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94b)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축(92)은 상기 슬라이더(94a, 94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성형 롤러(100)는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축(92)의 중앙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2축(92)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성형 롤러(100)는 상기 롤러 측벽(78a, 78b)의 사이에서 상기 롤러면(8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제3기어(102)는 상기 제2축(92)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2기어(84)에 기어 결합한다. 따라서, 제1기어(84)를 통해 입력된 동력은 상기 제2기어(84)를 통해 상기 제3기어(102)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제2축(92)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3기어(102)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와 성형 롤러(1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의 회전 속도와 성형 롤러(100)의 회전 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위치 조절 손잡이(98)는 상기 상부 프레임(104)을 관통하여 상기 위치 조절 홈(98)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위치 조절 손잡이(98)를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94a, 94b)는 가이드부(70a, 70b)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와 상기 성형 롤러(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 손잡이(98)는 그 위치의 고정을 위하여 너트(N)와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성형 롤러(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성형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롤러(100)는 원기둥의 일부를 반경 내측으로 곡률지게 형성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성형 롤러(100)는 몸통 성형부(150), 접합면 성형부(152), 그리고 절단면 성형부(154)를 포함한다.
몸통 성형부(150)는 원기둥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으로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 성형부(150)를 중앙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작아지는 곡선으로 형성하게 되면 만두피에 비하여 만두소의 양이 작아져서 만두의 맛이 떨어지게 되고, 상기 몸통 성형부(150)를 중앙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커지는 곡선으로 형성하게 되면 만두를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통 성형부(150)를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만두의 맛도 좋게 하고,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통(202)의 최적 형상을 위한 몸통 성형부(150)의 반경(D2)은 몸통 성형부(150)의 양단 사이의 거리(L)와 관계가 있다. 그 이유는 몸통(202)의 하면과 상면의 길이비가 앞에서 말한 인자에 의하여 정하여지기 때문이다. 수많은 실험 끝에 상기 몸통 성형부의 반경(D2)은 상기 원호의 양단 사이의 거리의 53%~65%이면 최적의 몸통 형상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만두를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으면서 최대한 많은 만두소를 채워 넣을 수 있었다.
접합면 성형부(152)는 상기 몸통 성형부(15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기둥의 원주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접합면 성형부(152)는 몸통(202)이 형성된 만두피의 양단을 접합하여 하나의 만두로 형성하는 부분이다. 즉, 만두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과 몸통 성형부(150) 사이에서 만두의 몸통(202)이 형성되면, 접합면 성형부(152)와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 사이에서 만두의 접합면(204)이 형성된다. 상기 접합면 성형부(152)와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 사이의 간격은 좁기 때문에 만두피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접합되게 된다.
절단면 성형부(154)는 상기 접합면 성형부(152)의 중앙에서 반경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단면 성형부(154)는 완성된 만두를 하나씩 자르기 편하게 접합면(204)의 끝단에 접합면(204)보다 얇은 절단면(206)을 형성하게 된다. 절단면 성형부(154)와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접촉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만두에는 절단면(206)이 형성되지 않고, 하나씩 자동으로 잘려서 나오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로 제조된 만두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로 제조된 만두는 몸통(202), 접합면(204), 그리고 절단면(206)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만두를 종래의 만두(도 10 참조)와 비교하면 몸통(202)이 훨씬 두껍게 형성된다. 몸통(202)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은 만두소를 채울 공간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몸통(202)의 상면이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는다. 더 나아가, 혼합 네크(32)에서 2장의 만두피가 교대로 겹쳐지도록 하여 만두피가 찢어지는 현상을 더욱 더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9)

  1. 만두소의 재료들을 혼합하는 만두소 공급부와, 만두피의 재료들을 혼합하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상기 만두피와 섞이지 않게 받는 만두피 공급부와, 상기 만두피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받고 상기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어 반제품을 만드는 혼합 네크와, 상기 혼합 네크의 전방에서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반제품을 받아 설정된 형태의 만두를 제조하는 만두 성형부를 포함하는 만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만두 성형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상기 반제품을 받아 이송시키는 만두 이송 롤러; 그리고
    상기 제1축과 이격된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두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반제품을 설정된 형태의 만두로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원주에 해당하며 만두피를 접합하여 상기 만두의 양단에 접합면을 성형하도록 이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합면 성형부와, 상기 접합면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원주의 반경 내측으로 굴곡진 설정된 형태의 곡률로서 형성되며 상기 만두의 몸통을 성형하는 몸통 성형부를 포함하는 만두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네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피를 공급받아 얇게 펴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과, 상기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받아 공급하는 만두소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1포펫; 그리고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하며 그 사이에 틈을 두고 형성된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만두피 속에 만두소가 들어간 반제품을 공급하는 반제품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2포펫;
    을 포함하는 만두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은 상기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만두소 공급홀을 통과한 만두소는 상기 만두피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접합면 성형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면에 절단면을 성형하는 절단면 성형부를 더 포함하는 만두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성형부는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성형부의 반경은 상기 원호의 양단 사이의 거리의 53%~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9. 만두피와, 상기 만두피 내부에 만두소가 채워진 만두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는 하면이 평평하고, 상면에 볼록하게 몸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의 양단부에 만두피를 접합하는 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의 끝단에 절단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만두 제조 장치로 제조된 만두.
KR1020100113590A 2010-11-15 2010-11-15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KR101453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90A KR101453439B1 (ko) 2010-11-15 2010-11-15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90A KR101453439B1 (ko) 2010-11-15 2010-11-15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15A true KR20120052115A (ko) 2012-05-23
KR101453439B1 KR101453439B1 (ko) 2014-10-21

Family

ID=4626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590A KR101453439B1 (ko) 2010-11-15 2010-11-15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2599A (zh) * 2017-11-15 2018-02-23 华北科技学院 一种水饺生产用设备
KR20190028106A (ko) * 2017-09-08 2019-03-18 (주)서원푸드 만두제조장치
KR20190068653A (ko) * 2017-12-08 2019-06-19 주식회사 아하그린푸드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KR102040549B1 (ko) * 2018-06-18 2019-12-06 방상봉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CN110583730A (zh) * 2019-10-16 2019-12-20 东莞市银燕电气科技有限公司 家用自动化饺子皮机
KR102073612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102239050B1 (ko) * 2020-09-02 2021-04-09 한병규 납작만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746A (ja) * 1993-09-17 1995-03-28 Hisataka Okamochi ギョーザの連続製造機における成形ドラムの構造
KR0123947Y1 (ko) * 1995-05-04 1998-09-15 김건우 압출형 로울러성형식 자동만두제조기의 만두형상 보정장치
KR100314834B1 (ko) * 1998-09-08 2002-06-22 김수곤 만두성형기
KR200355074Y1 (ko) * 2004-02-20 2004-07-06 김건우 소형 자동 만두제조장치용 잎사귀 만두 성형로울러와성형유니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106A (ko) * 2017-09-08 2019-03-18 (주)서원푸드 만두제조장치
CN107712599A (zh) * 2017-11-15 2018-02-23 华北科技学院 一种水饺生产用设备
CN107712599B (zh) * 2017-11-15 2021-02-09 华北科技学院 一种水饺生产用设备
KR20190068653A (ko) * 2017-12-08 2019-06-19 주식회사 아하그린푸드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KR102040549B1 (ko) * 2018-06-18 2019-12-06 방상봉 만두성형장치 및 만두
KR102073612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CN110583730A (zh) * 2019-10-16 2019-12-20 东莞市银燕电气科技有限公司 家用自动化饺子皮机
KR102239050B1 (ko) * 2020-09-02 2021-04-09 한병규 납작만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439B1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2115A (ko)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
TWI386162B (zh) 甜甜圈形食品成形裝置及方法
WO2020063487A1 (zh) 食品加工机和包子机
KR100303904B1 (ko) 2겹식품공급방법및장치
KR20100090500A (ko) 호떡 및 찹쌀도넛용 자동성형기
CN211983510U (zh) 包子机
CN105248494A (zh) 单螺杆中型馒头机
CN211983521U (zh) 一种包子机
CN211983511U (zh) 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A2830158C (en) Apparatus for curled extruded food product
US20160100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KR20000009635A (ko) 가래떡에 내부충진물을 주입한 떡볶이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011202A (ko) 제면기
CN103110058A (zh) 一种戗面馒头的生产装置
CN212813907U (zh) 食品加工机和包子机
KR101671412B1 (ko) 만두형어묵의 제조장치
KR20180001258A (ko) 일밥 성형장치
KR20040084642A (ko) 만두 성형기
CN211703410U (zh) 一种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N103053922A (zh) 馒头机
CN108041424B (zh) 一种填料面筋食品生产设备及加工面筋的工艺
US9402401B1 (en) Extruded three loop pretzel having a twist-knot appearance at its middle portion, apparatus and die for making said pretzel, and method of forming said pretzel
CN206760597U (zh) 一种硬面火烧自动成型机
KR200179791Y1 (ko) 만두제조장치
KR200244510Y1 (ko) 떡볶이용 가래떡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28

Effective date: 201408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10015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28

Effective date: 2014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