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286A -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286A
KR20010015286A KR1020000039674A KR20000039674A KR20010015286A KR 20010015286 A KR20010015286 A KR 20010015286A KR 1020000039674 A KR1020000039674 A KR 1020000039674A KR 20000039674 A KR20000039674 A KR 20000039674A KR 20010015286 A KR20010015286 A KR 20010015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hift lever
lock
key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035B1 (ko
Inventor
하세가와히로야스
하야시마사키
기토쇼조
Original Assignee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사키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기사키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01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6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vehicle transmission
    • B60R25/066Locking of hand actuated contro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60R25/0214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interlocked with gear box or gear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25Transmission
    • Y10T70/5934Selective-type shift rod, fork or b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25Transmission
    • Y10T70/5934Selective-type shift rod, fork or block
    • Y10T70/5938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153Combination
    • Y10T70/7181Tumbler type
    • Y10T70/7186Plural interdependent 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키 실린더와 통합되어 사용 공간의 감소, 비용 절감,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변속 레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변속 레버 장치에서,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레버, 제1캠, 및 제2캠은 키 실린더와 통합되어 제공된다. 변속 잠금핀과 시동장치 잠금핀이 자물통 몸체 내에 제공되며, 변속 잠금핀이 제1캠에 의해 삽입되는 제1삽입공과, 시동장치 잠금핀이 제2캠에 의해 삽입되는 제2삽입공과 제3삽입공이 변속 레버에 고정된 멈춤판에 제공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실린더와 통합되며, 이러한 이유로, 그 설치를 위한 공간의 감소, 더욱이, 차량과의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단순화, 비용 절감,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Vehicle shift lever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 기어 장치를 전환하기 위한 변속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난 방지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은, 예를 들어, 스티어링 잠금기구로 알려진 것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티어링 잠금기구에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이 스티어링 구조체(column)에 고정되어 있고, 스티어링 구조체는 스티어링 지지체(post)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시동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는 자물통 몸체 내에 수용되어 있고, 자물통 몸체는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져 있으며, 스티어링 지지체의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잠금 빗장(lock bar)은 자물통 몸체 내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잠금기구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지지체 내의 스티어링 구조체에 잠금 빗장이 맞물리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더욱이, 이들 차량은 별도의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와 변속 레버 장치를 구비하며, 변속 레버 장치에는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키 인터로크 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 시동 키가 키 실린더로부터 빼어질 수 없다(시동 키는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될 수 없다). 또한,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P" 위치에 위치한 때,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되고, 차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없다.
또한, 이들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는 시동장치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은데, 즉,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동 키가 "온(ON)"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된 경우라도 어떤 전류도 전기 계통을 통해 시동장치로 보내지지 않으며, 엔진은 시동될 수 없다.
그러나, 그와 같은 차량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는 별도로 제공되므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를 각각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따라서 사용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은 어렵다. 더욱이, 키 인터로크 기구, 변속 잠금기구 및 시동장치 잠금 기구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사이의 케이블, 솔레노이드, 전기선과 같은 연결 부품들이 필요하고 이는 기구의 복잡성, 고비용 및 중량의 증가를 유발한다.
또한, 이들 차량은 도난 방지 장치로서 스티어링 잠금기구를 구비하며, 따라서, 스티어링 지지체와 스티어링 구조체가 복잡한 기구를 구성하며, 그 중량이 증가하고, 비용도 증가한다. 더욱이, 잠금 빗장 등이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자물통 몸체 기구의 크기가 커지며, 중량이 증가되고,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이 스티어링 지지체 내의 스티어링 구조체와 맞물려야 하기 때문에(자물통 몸체는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져야 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자물통 몸체의 설치 위치는 스티어링 지지체의 구역으로 제한된다. 더욱이, 시동 키의 회전을 정상적으로 오른손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시동 키의 작동이 오른손으로 수행되는 위치에 자물통 몸체가 설치되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차량에서 자물통 몸체의 설치 위치는 더 제한된다.
더욱이, 전기 계통이 시동장치 잠금기구를 위해 요구되고 따라서 시동장치 잠금기구는 복잡해지고 비용의 증가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사용 공간의 감소, 단순화, 비용절감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는 변속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시동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변속 기어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1캠;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 판; 상기 제1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캠에 대향하는 제1삽입공; 및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1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캠에 의해 상기 제1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1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변속 잠금핀;을 구비한다.
제1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인터로크 기구를 구비하며, 자물통 몸체에 지지된 변속 잠금핀은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변속 잠금핀은 잠금 판의 제1삽입공에 대향하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변속 잠금핀은 제1삽입공으로부터 어긋나 잠금 판의 벽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될 경우, 변속 잠금핀은 제1캠에 의해 잠금 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변속 잠금핀은 잠금 판의 제1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의 잠금 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잠금 판의 벽면에 의해 방지되지 않으며, 시동 키는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 키를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제1캠으로 인한 변속 잠금핀의 잠금 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변속 잠금핀이 잠금 판의 벽면에 대해 접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은 제1캠과 맞물리어 제1캠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유로, 키 실린더를 통한 시동 키의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이 키 인터로크 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로 전환되지 않으면, 시동 키는 키 실린더로부터 빼어낼 수 없다.
더욱이, 이 변속 레버 장치는 변속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변속 잠금핀은 제1캠에 의해 잠금 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변속 잠금핀은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 판의 제1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은 잠금 판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된 경우, 제1캠의 회전에 따라, 변속 잠금핀은 가압력에 의해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은 잠금 판의 제1삽입공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되지 않으며,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다.
여기서, 제1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제1캠은 키 실린더 내에 제공된다. 더욱이, 제1캠에 대응되는 제1삽입공은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잠금 판과 제1캠에 대응되는 변속 잠금핀은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와 통합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 때문에,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사이의 케이블, 솔레노이드, 전기선과 같은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며, 장치의 단순화, 비용의 절감,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 기구의 사용에서,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 시동 키를 키 실린더로부터 빼어낼 경우, 키 인터로크 기구에 근거하여,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되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키 인터로크 기구에 근거하여,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되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다. 즉,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는 시동 키가 없이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변환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항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에서,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가 통합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통상의 스티어링 잠금기구가 불필요하게 되며, 이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고정되는 스티어링 구조체와 이 스티어링 구조체가 수용되는 스티어링 지지체의 생략에 따른 단순화,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과 같은 것이 불필요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자물통 몸체의 압축화,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을 스티어링 구조체에 맞물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티어링 지지체의 부근에 자물통 몸체를 배치해야할 필요가 없으며(자물통 몸체를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자물통 몸체를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제6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시동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변속 기어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2캠;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 판;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2삽입공; 및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2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시동장치 잠금 핀;을 구비한다.
제6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시동장치 잠금기구를 구비하며, 자물통 몸체에 지지된 시동장치 잠금 핀은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 핀은 잠금 판의 제2삽입공에 대향한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 핀은 제2삽입공으로부터 어긋나 잠금 판의 벽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경우, 시동장치 잠금 핀은 제2캠에 의해 잠금 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시동장치 잠금 핀은 잠금 판의 제2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장치 잠금 핀의 잠금 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잠금 판의 벽면에 의해 방지되지 않으며,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 키를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제2캠으로 인한 시동장치 잠금 핀의 잠금 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시동장치 잠금 핀이 잠금 판의 벽면에 대해 접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잠금 핀은 제2캠과 맞물리어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유로, 키 실린더를 통한 시동 키의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제6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며,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없으며, 엔진은 시동될 수 없다.
여기서, 제6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제2캠은 키 실린더 내에 제공된다. 더욱이, 제2캠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은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잠금 판과 제2캠에 대응되는 시동장치 잠금핀은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와 통합되며,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축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이유로, 시동장치 잠금기구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사이의 전기선과 같은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며, 장치의 단순화, 비용의 절감,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6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가 통합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시동장치 잠금기구에서,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시동 키의 회전은 기계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통상적인 전기 계통은 불필요하게 될 수 있으며,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단순화와 비용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제6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로서 제7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3삽입공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장치 잠금핀이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제3삽입공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장치 잠금핀은 상기 잠금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시동장치 잠금기구를 구비하며, 자물통 몸체에 지지되는 시동장치 잠금핀은 상기 시동장치 잠금핀이 대향하는 잠금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은 잠금판의 제2삽입공에 대향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잠금판의 제3삽입공에 대향한다. 한편,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삽입공과 제3삽입공에서 어긋나 잠금판의 벽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때,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캠에 의해 잠금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시동장치 잠금핀은 잠금 판의 제2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더욱이,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때,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캠에 의해 잠금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시동장치 잠금핀은 잠금 판의 제3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잠금판의 벽명에 의해 방지되지 않으며,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 키를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 제2캠에 의한 시동장치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시동장치 잠금핀이 잠금판의 벽면에 접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캠과 맞물리어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러한 이유로, 키 실린더를 통한 시동 키의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제7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없으며, 엔진은 시동될 수 없다.
여기서, 제7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제2캠은 키 실린더에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제2캠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과 제3삽입공은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잠금판과 제2캠에 대응되는 시동장치 잠금핀은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와 통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이유로, 시동장치 잠금기구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사이의 전기선과 같은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고, 장치의 단순화, 비용 감소,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7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가 통합되어 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시동장치 잠금기구에서 시동 키의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회전은 기계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통상적인 전기 계통이 불필요하고,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단순화와 비용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제8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시동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변속 기어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1캠;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2캠;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 판; 상기 제1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캠에 대향하는 제1삽입공;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1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캠에 의해 상기 제1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1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변속 잠금핀;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2삽입공, 또는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3삽입공 중의 어느 하나; 및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2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또는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 또는 제3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 또는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시동장치 잠금 핀;을 구비한다.
제8항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인터로크 기구를 구비하며, 자물통 몸체내에 지지되는 변속 잠금핀은 변속 잠금핀이 대향되는 잠금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변속 잠금핀은 잠금판의 제1삽입공에 대향되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변속 잠금핀은 제1삽입공으로부터 어긋나 잠금판의 벽면에 대향한다.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될 때, 변속 잠금핀은 제1캠에 의해 잠금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변속 잠금핀은 잠금판의 제1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변속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잠금판의 벽면에 의해 방지되지 못하고 시동 키는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 키를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려고 할 경우, 제1캠으로 인해 변속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변속 잠금핀이 잠금판의 벽면에 접하게 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은 제1캠과 맞물리게 되어 제1캠의 회전을 방지시키고, 이러한 이유로, 키 실린더를 통한 시동 키가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키 인터로크 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로 전환되지 않으면, 시동 키는 키 실린더로부터 빼어질 수 없다.
더욱이, 이 변속 레버 장치는 변속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될 때, 변속 잠금핀은 제1캠에 의해 잠금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변속 잠금핀은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판의 제1삽입공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은 잠금판의 회전을 방지하며,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될 경우, 제1캠의 회전에 따라, 변속 잠금핀은 가압력에 의해 대향하는 잠금판 쪽으로 슬아이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은 잠금판의 제1삽입공으로부터 빼어진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되지 않으면,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없다.
또한, 이 변속 레버 장치는 시동장치 잠금기구를 구비하며, 자물통 몸체 내에 지지된 시동장치 잠금핀은 시동장치 잠금핀이 대향하는 잠금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2삽입공이 잠금판에 제공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삽입공에 대향한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삽입공으로부터 어긋나 잠금판의 벽면에 대향한다.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경우,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캠에 의해 잠금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시동장치 잠금핀은 잠금판의 제2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장치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잠금판의 벽면에 의해 방지되지 않으며,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 키를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이동시키려할 경우, 제2캠으로 인해, 시동장치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아이드 이동은 시동장치 잠금핀이 잠금판의 벽면에 접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캠과 맞물리어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이러한 이유로, 키 실린더를 통한 시동 키의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제2삽입공이 잠금판에 제공되어 있는 경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없으며, 엔진은 시동될 수 없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제3삽입공이 잠금판에 제공되어 있는 경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은 잠금판의 제2삽입공에 대향한다. 한편,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3삽입공로부터 어긋나 잠금판의 벽면에 대향한다.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때,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캠에 의해 잠금판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시동장치 잠금핀은 잠금판의 제3삽입공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잠금판의 벽면에 의해 방지되지 않으며,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 키를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시키려할 경우, 제2캠으로 인해, 시동장치 잠금핀의 잠금판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시동장치 잠금핀이 잠금판의 벽면을 접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잠금핀은 제2캠과 맞물리어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이러한 이유로, 키 실린더를 통한 시동 키의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제3삽입공이 잠금판에 제공되어 있는 경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동 키는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없으며, 엔진은 시동될 수 없다.
여기서, 제8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가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고, 제1캠과 제2캠이 키 실린더 내에 제공된다. 또한, 제1캠에 대응되는 제1삽입공이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판의 벽면에 제공되고, 잠금판에 대응되는 변속 잠금핀과 제1캠이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이, 제2캠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 또는 제3삽입공 중의 어느 하나가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잠금판과 제2캠에 대응되는 변속 잠금핀은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와 통합되며,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이유로, 키 인터로크 기구, 변속 잠금기구, 및 시동장치 잠금기구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 사이에 케이블, 솔레노이드, 및 전기선과 같은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며, 단순화, 비용 절감,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 시동 키를 키 실린더로부터 빼어낼 경우, 키 인터로크 기구에 근거하여,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된 경우,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키 인터로크 기구에 근거하여,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되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다. 즉,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시동 키가 없이는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8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가 통합되었다는 사실때문에,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스티어링 잠금기구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구조체와 이 스티어링 구조체가 수용되는 스티어링 지지체의 단순화,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을 스티어링 구조체에 맞물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자물통 몸체를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티어링 지지체의 부근에 자물통 몸체를 배치해야할 필요가 없으며, 자물통 몸체를 차량에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재8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키 실린더(자물통 몸체)가 통합되었다는 사실 때문에, 시동장치 잠금기구에서 시동 키의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회전은 기계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통상적인 전기 계통이 불필요하게 되며,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제13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변속 기어 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자물통 몸체;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발신기;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발신기가 차량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상기 발신기에 대응하여 제공된 수신기가 상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작동될 경우 엔진이 시동되는 시동장치 부재;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판; 및 상기 잠금판에 대응하여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상기 잠금판에 맞물리어 상기 잠금판의 회전을 방지하는 변속 잠금핀;을 구비한다.
제13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발신기가 차량 내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수신기는 발신기가 발신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수신기가 발신기로부터의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부재가 작동되는 경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며, 엔진은 시동된다.
또한, 이 변속 레버 장치는 변속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되어진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잠금핀은 잠금판과 맞물리어 잠금판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P" 변속 위치로부터의 변속 레버의 전환은 방지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되어진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면, 변속 잠금핀의 잠금판과의 결합은 해제되고, 이에 의해 잠금판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의 "P" 변속 위치로부터의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변환될 수 없다.
여기서, 제13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는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판에 대응하는 변속 잠금핀은 자물통 몸체 내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자물통 몸체와 통합되며,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 장치와 자물통 몸체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이유로, 변속 잠금기구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자물통 몸체 사이에 케이블, 솔레노이드, 및 전기선과 같은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며, 단순화, 비용 절감,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변속 레버 장치에서, 차량이 주차된 경우, 변속 레버는 정상적으로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며, 변속 잠금기구에 근거하여,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변환될 수 없다. 즉,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되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변환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이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3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자물통 몸체가 통합되어 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변속 잠금기구가 도난 방지 장치로 작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스티어링 잠금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이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고정되는 스티어링 구조체와 이 스티어링 구조체가 수용되는 스티어링 지지체의 단순화,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과 같은 것이 불필요하며, 결과적으로, 자물통 몸체의 압축화,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을 스티어링 구조체에 맞물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자물통 몸체를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티어링 지지체의 부근에 자물통 몸체를 배치해야할 필요가 없으며, 자물통 몸체를 차량에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시동장치 부재의 작동이 반드시 오른손으로 수행되어야할 필요가 없는(왼손으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시동장치 부재의 작동이 오른손으로 수행되는 위치에 자물통 몸체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부재의 작동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며, 차량에서 자물통 몸체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있지 않으면 엔진이 정지될 수 없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 경우, 변속 레버는 언제나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시한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는 확실하게 도난 방지 장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4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와 제13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는 상기 자물통 몸체에 수용된 키 실린더; 특수한 정보가 기록되며, 상기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자 키; 및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고정자 키가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고정자 코일;을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자 키는 상기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고정자 코일이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 키가 회전되면, 상기 엔진이 시동된다는 것을 주목할 만하다.
제14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고정자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자 키에 기록된 특수한 정보는 고정자 코일에 의해 판독된다. 여기서, 고정자 키의 특수한 정보는 고정자 코일에 의해 이와 같이 판독되고,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정자 키가 회전되면, 엔진이 시동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발신기로의 배터리 연결이 끊기거나, 발신기가 파손되는 경우(발신기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발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엔진은 시동될 수 있다.
제15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로서, 변속 기어 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자물통 몸체; 상기 자물통 몸체에 수용된 키 실린더;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될 수 있으며, 특수한 정보가 기록된 고정자 키; 및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고정자 키가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고정자 코일;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자 키는 상기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고정자 코일이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 키가 회전되면 엔진이 시동되는 변속 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 장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과 함께 회전하는 잠금판; 및 상기 잠금판에 대응하여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상기 잠금판과 맞물리어 상기 잠금판의 회전을 방지하는 변속 잠금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고정자 키를 키 실린더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자 키에 기록된 특수한 정보는 고정자 코일에 의해 판독된다. 여기서, 고정자 키의 특수한 정보는 고정자 코일에 의해 이와 같이 판독되고,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정자 키가 회전되면, 엔진이 시동된다.
또한, 변속 레버 장치는 변속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잠금핀은 잠금판과 맞물리어 잠금판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의 "P" 변속 위치로부터의 전환 작동은 방지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면, 변속 잠금핀의 잠금판과의 결합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잠금판의 회전은 허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의 "P" 변속 위치로부터의 전환은 가능하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다.
여기서, 제15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변속 레버에 고정된 잠금판에 대응하는 변속 잠금핀은 자물통 몸체 내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자물통 몸체(키 실린더)와 통합되며, 이러한 이유로, 변속 레버 장치와 자물통 몸체(키 실린더)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축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이유로, 변속 잠금기구에서 변속 레버 장치와 자물통 몸체(키 실린더) 사이에 케이블, 솔레노이드, 및 전기선과 같은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며, 단순화, 비용 감소,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변속 레버 장치에서, 변속 레버는, 차량이 주차된 경우, 정상적으로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변속 잠금기구에 근거하여,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다. 즉,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엔진이 시동되지 않으면, 변속 레버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5항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에서, 자물통 몸체(키 실린더)가 통합되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스티어링 잠금기구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구조체와 이 스티어링 구조체가 수용되는 스티어링 지지체의 단순화,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과 같은 것이 불필요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자물통 몸체의 압축화,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을 스티어링 구조체에 맞물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자물통 몸체를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티어링 지지체의 부근에 자물통 몸체를 배치해야할 필요가 없으며, 자물통 몸체를 차량에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있지 않으면 엔진이 정지될 수 없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 경우, 변속 레버는 언제나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시한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는 확실하게 도난 방지 장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를 통합하여 구성된 통합 부품의 일부에 대한 단면의 평면도,
도 1b는 키 실린더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를 통합하여 구성된 통합 부품의 우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를 통합하여 구성된 통합 부품의 좌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a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a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의 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 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자물통 몸체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 등을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와 자물통 몸체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의 별개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10)와 키 실린더(12)를 통합하여 구성된 통합 부품(14)의 일부에 대한 단면의 평면도이며, 도 1b는 키 실린더(12)의 전면도이다. 도 2는 우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본 통합 부품(14)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전방 대각선 방향에서 본 통합 부품(14)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10)는 소위 컬럼형 변속 레버 장치로서 작동부를 구성하며, 시동 키(미도시)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12)와 통합된 통합 부품(14)으로부터 배열되어 있다.
키 실린더(12)는 운전석 계기판(미도시)에 배치되어 있다. 제1캠(16)과 제2캠(18)은 키 실린더(12)의 차량 전방쪽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캠(16)과 제2캠(18)은 시동 키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된다. 제1캠(16)과 제2캠(18)을 포함하여 키 실린더(12)는 작동부를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의 자물통 몸체(20) 내에 수용된다. 제1지지공(22)은 자물통 몸체(20)의 측벽 내에 형성되며, 시동 키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키는 제1지지공(22) 내에서 상술한 제1캠(16)의 돌출부(16A)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제2지지공(24)이 자물통 몸체(20)의 측벽 내에 제1지지공(22)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시동 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 키는 제2지지공(24) 내에서 상술한 제2캠(18)의 돌출부(18A)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변속 잠금핀(26)은 제1지지공(22)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변속 잠금핀(26)은 압력 코일 스프링(28)에 의해 자물통 몸체(20)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시동 키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변속 잠금핀(26)은 상술한 제1캠(16)의 돌출부(16A)로 인해, 또한 자물통 몸체(20)의 외측으로 향한 슬라이드 이동으로 인해 압력 코일 스프링(28)의 가압력에 저항하며,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26)은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변속 잠금핀(26)의 하나의 모서리부(후술하는 멈춤판(42)의 측방 모서리부)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이고, 변속 잠금핀(26)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실질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2지지공(24) 내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압력 코일 스프링(32)에 의해 자물통 몸체(20)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시동 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상술한 제2캠(18)의 돌출부(18A)로 인해, 또한 자물통 몸체(20)의 외측으로 향한 슬라이드 이동으로 인해 압력 코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저항하며,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한다.
변속 레버(34)의 기저 단부는 자물통 몸체(20)의 측벽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변속 레버(34)의 단부는 운전석 계기판으로부터 운전자 쪽으로 돌출되며, 운전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버튼(36)은 변속 레버(34)의 단부에 제공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L형의 연결 시프트(38)는 변속 레버(34)의 단부에 제공되며, 연결 시프트(38)는 자물통 몸체(20)의 중앙부에 이리저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 시프트(38)의 일단은 변속 레버(34) 내에 제공된 케이블(40)에 의해 손잡이 버튼(36)에 연결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팬 형상의 멈춤판(42)은 잠금판으로서 변속 레버(34)의 기저 단부에 고정되며, 변속 레버(34)를 이리저리 이동시킴으로써 전환이 수행될 때, 이 전환에 따라 멈춤판(42)이 회전한다. 결합 핀(43)은 멈춤판(42)의 상방 아크부에 제공되며, 멈춤판(42)과 함께 회전한다. 멈춤판(42)은 자동 변속기어 장치(미도시)에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34)가 전환될 때, 결합 핀(43)은 멈춤판(42)과 함께 회전하며, 상술한 자동 변속기어 장치는 상술한 케이블을 경유하여 전환된다.
소정의 멈춤 요홈(44)이 멈춤판(42)의 아크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버튼(36)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 시프트(38)의 타단은 멈춤 요홈(44)에 인접하여 있으며,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34)의 소정의 전환(예를 들어, "R" 변속 위치에서 "P" 변속 위치로의 전환)이 제어된다. 한편, 손잡이 버튼(36)이 눌려진 상태에서, 케이블(40)은 손잡이 버튼(36)의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연결 시프트(38)의 타단이 멈춤 요홈(44)으로부터 분리되고, 결과적으로, 상술한 변속 레버(34)의 소정의 전환(예를 들어, "R" 변속 위치에서 "P" 변속 위치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제1캠(16)과 변속 잠금핀(26)에 대응되는 제1삽입공(48)은 멈춤판(42)의 벽면에 형성된다.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삽입공(48)은 변속 잠금핀(26)에 대향하며, 더욱이, 이 상태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제1삽입공(48)은 제1캠(16)의 돌출부(16A)에 대향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변속 잠금핀(2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캠(16)의 돌출부(16A)로 인해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변속 잠금핀(26)은 제1삽입공(48) 내에 삽입된다(도 1 및 도 4 참조).
한편,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동 키를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1캠(16)의 돌출부(16A)로 인해 변속 잠금핀(26)이 자물통 몸체(20)의 외측(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변속 잠금핀(26)이 멈춤판(42)의 벽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방지되고, 이러한 이유로 변속 잠금핀(26)은 제1캠(16)의 돌출부(16A)와 맞물리어 제1캠(16)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결과적으로, 키 실린더(12)를 통한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시동 키의 회전은 방지된다.
상기 제2캠(18)과 시동장치 잠금핀(30)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50)은 멈춤판(42)의 벽면에 형성된다.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삽입공(50)은 시동장치 잠금핀(30)에 대향하며, 더욱이, 이 상태에서,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제2삽입공(50)은 제2캠(18)의 돌출부(18A)에 대향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캠(18)의 돌출부(18A)로 인해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2삽입공(50) 내에 삽입된다(도 5 참조).
더욱이, 상기 제2캠(18)과 시동장치 잠금핀(30)에 대응되는 제3삽입공(52)은 멈춤판(42)의 벽면에 형성된다. 변속 레버(34)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3삽입공(52)은 시동장치 잠금핀(30)에 대향하며, 더욱이, 이 상태에서,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제3삽입공(52)은 제2캠(18)의 돌출부(18A)에 대향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34)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캠(18)의 돌출부(18A)로 인해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3삽입공(52) 내에 삽입된다(도 5 참조).
한편,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동 키를 "온(ON)"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2캠(18)의 돌출부(18A)로 인해 시동장치 잠금핀(30)이 자물통 몸체(20)의 외측(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시동장치 잠금핀(30)이 멈춤판(42)의 벽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2캠(18)의 돌출부(18A)와 맞물리어 제2캠(18)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결과적으로, 키 실린더(12)를 통한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시동 키의 회전은 방지된다.
브레이크 케이블 핀(54)은 멈춤판(42)의 아크부에 재공된다. 브레이크 케이블 핀(54)은 멈춤판(42)에 대응되며, 브레이크(미도시)에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은데, 즉,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브레이크 케이블 핀(54)은 멈춤판(42)의 아크부의 단부와 맞물려져 멈춤판(42)의 회전을 방지하며,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경우, 브레이크 케이블 핀(54)과 멈춤판(42)의 아크부의 단부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의 변속 레버 장치(10)는 키 인터로크 기구 및 변속 잠금핀(26)을 구비하며, 이 변속 잠금핀(26)은 변속 잠금핀(26)이 압력 코일 스프링(28)에 의해 자물통 몸체(20)의 내측(멈춤판(42) 쪽의 반대쪽)을 향해 가압된 상태에서 지지공(2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변속 잠금핀(26)은,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멈춤판(42)의 제1삽입공(48)에 대향하며,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변속 잠금핀(26)은 멈춤판(42)의 제1삽입공(48)에서 어긋나 멈춤판(42)의 벽면에 대향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동 키(미도시)가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변속 잠금핀(26)은 제1캠(16)의 돌출부(16A)에 의해 자물통 몸체(20)의 외측(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변속 잠금핀(26)은 멈춤판(42)의 제1삽입공(48)내로 삽입된다(도 1 및 도 4 참조).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26)의 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은 멈춤판(42)의 벽면에 의해 제지되지 않고, 시동 키는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 키를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하려 하는 경우, 제1캠(16)의 돌출부(16A)로 인해 변속 잠금핀(26)이 자물통 몸체(20)의 외측(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변속 잠금핀(26)이 멈춤판(42)의 벽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26)은 제1캠(16)의 돌출부(16A)와 맞물리어 제1캠(16)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이러한 이유로, 키 실린더(12)를 통한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의 시동 키의 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키 인터로크 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로 전환되지 않으면, 시동 키는 키 실린더(12)로부터 빼어질 수 없다.
더욱이, 이 변속 레버 장치(10)는 변속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반와 같이,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ACC"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변속 잠금핀(26)은 제1캠(16)의 돌출부(16A)에 의해 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변속 잠금핀(26)은 변속 레버(34)에 고정된 멈춤판(42)의 제1삽입공(48) 내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멈춤판(42)의 회전은 방지된다(도 1 및 도 4 참조). 더욱이,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고 브레이크(미도시)가 작동되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멈춤판(42)에 대응하여 제공된 브레이크 케이블 핀(54)은 멈춤판(42)과 맞물리어 멈춤판(42)의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변속 레버(34)의 "P" 변속 위치로부터의 위치 전환은 멈춤판(42)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방지된다.
한편,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변속 잠금핀(26)은 제1캠(16)의 회전에 따라 압력 코일 스프링(28)의 가압력에 의해 멈춤판(42)의 반대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핀(26)은 멈춤판(42)의 제1삽입공(48)으로부터 당겨져 빠진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면, 브레이크 케이블 핀(54)의 멈춤판(42)과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멈춤판(42)의 회전은 가능하고, 변속 레버(34)의 "P" 변속 위치로부터의 위치 전환은 가능하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는 경우, 변속 레버(34)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다.
또한, 이 변속 레버 장치(10)는 시동장치 잠금기구를 구비하며, 자물통 몸체(20)의 지지공(24) 내에 지지된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압력 코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 멈춤판(42)의 반대쪽으로 가압되는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시동장치 잠금핀(30)은,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멈춤판(42)의 제2삽입공(50)에 대향하며, 변속 레버(34)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멈춤판(42)의 제3삽입공(52)에 대향된다. 한편,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2삽입공(50)와 제3삽입공(52)으로부터 어긋나 멈춤판(42)의 벽면에 대향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때,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2캠(18)의 돌출부(18A)에 의해 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시동장치 잠금핀(30)은 멈춤판(42)의 제2삽입공(50) 내로 삽입된다(도 5 참조). 더욱이, 변속 레버(34)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키가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 회전될 때,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2캠(18)의 돌출부(18A)에 의해 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자물통 몸체(2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고, 시동장치 잠금핀(30)은 멈춤판(42)의 제3삽입공(52) 내로 삽입된다(도 5 참조).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잠금핀(30)의 멈춤판(42) 쪽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은 멈춤판(42)의 측벽에 의해 제지되지 않으며, 시동 키는 "온"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 키를 "온"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회전시키려 할 경우, 제2캠(18)의 돌출부(18A)으로 인해 시동장치 잠금핀(30)이 멈춤판(4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은 시동장치 잠금핀(30)이 멈춤판(42)의 벽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제2캠(18)의 돌출부(18A)와 맞물리어 제2캠(18)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와 같은 이유로, 키 실린더(12)를 통한 "온"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의 시동 키의 회전은 방지된다.
따라서,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시동 키는 "온" 위치에서 "시동" 위치로 회전될 수 없으며, 엔진은 가동될 수 없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 장치(10)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34)는 키 실린더(12)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20)에 의해 지지되며, 제1캠(16)과 제2캠(18)은 키 실린더(12) 내에 제공된다. 또한, 제1캠(16)에 대응하는 제1삽입공(48)은 변속 레버(34)에 고정된 멈춤판(42)의 벽면에 제공되며, 멈춤판(42)과 제1캠(16)에 대응되는 변속 잠금핀(26)은 자물통 몸체(20)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이, 제2캠(18)에 대응되는 제2삽입공(50)과 제3삽입공(52)은 변속 레버(34)에 고정된 멈춤판(42)의 벽면에 제공되며, 멈춤판(42)과 제2캠(18)에 대응되는 시동장치 잠금핀(30)은 자물통 몸체(20)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10)은 키 실린더(12)(자물통 몸체(20))와 함께 통합 부품(14)(일체형 유니트)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 장치(10)와 키 실린더(12)(자물통 몸체(20))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축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이유로, 케이블, 솔레노이드, 전기선과 같이, 키 인터로크 기구, 변속 잠금기구, 및 시동장치 잠금기구에서의 변속 레버 장치(10)와 키 실린더(12)(자물통 몸체(20)) 사이의 연결 부품들이 불필요하며, 장치의 단순화, 비용의 절감, 및 중량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 시동 키를 키 실린더(12)로부터 빼어낼 경우, 키 인터로크 기구에 근거하여, 변속 레버(34)는 "P" 변속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되면, 변속 레버(34)는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키 인터로크 기구에 근거하여, 시동 키가 "잠금"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로 회전되지 않으면, 변속 레버(34)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전환될 수 없으며, 브레이크는 작동되어 진다. 즉,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34)는 시동 키가 없이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위치 변환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10)에서 키 실린더(12)(자물통 몸체(20))가 통합되어 통합 부품(14)을 형성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통상의 스티어링 잠금기구가 불필요하게 되며, 스티어링 휠이 고정되는 스티어링 구조체와 이 스티어링 구조체가 수용되는 스티어링 지지체의 생략에 따른 단순화,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20)의 잠금 빗장과 같은 것이 불필요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자물통 몸체(20)의 압축화,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을 스티어링 구조체에 맞물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자물통 몸체(20)를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티어링 지지체의 부근에 자물통 몸체(20)를 배치해야할 필요가 없으며, 자물통 몸체를 차량에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변속 잠금핀(26)의 멈춤판(42) 쪽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반원형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드릴 등에 의해 변속 잠금핀(26)을 파괴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도난 방지 장치로서의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의 역할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변속 잠금핀(26)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실린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드릴 등에 의해 변속 잠금핀(26)을 파괴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며, 도난 방지 장치로서의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의 역할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변속 레버 장치(10)가 키 실린더(12)(자물통 몸체(20))와 통합되어 통합 부품(14)을 형성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시동장치 잠금기구 내에서 시동 키의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로의 회전은 기계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통상적인 전기 계통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시동장치 잠금기구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제1변형예)
도 6은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속하며, 변속 레버 장치(60)와 키 실린더(12)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62)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7은 통합 부품(62)의 전면도이다. 도 8은 통합 부품(62)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본 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60)에서, 변속 레버(64)는 차폐 장치로서의 역할을 가진다. 즉, 변속 레버(64)는 제1삽입공(48)에 대향하며, 변속 레버(64)와 제1삽입공(48)은 상호 가까이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6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변속 잠금핀(26)은 변속 레버(64)에 의해 차폐된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는 점을 밝힌다.
본 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60)의 사용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과 효과가 생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60)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64)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차량이 주차된 때의 상태)에서, 변속 잠금핀(26)이 변속 레버(64)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변속 잠금핀(26)을 파괴하는 것이 어렵게 되다. 결과적으로, 도난 방지 장치로서의 키 인터로크 기구와 변속 잠금기구의 역할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변속 레버(64)가 차폐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변속 잠금핀(26)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 부재를 특별히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변속 잠금핀(26)은 용이하게 차폐될 수 있다.
(제2변형예)
도 9는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속하며, 변속 레버 장치(110)와 키 실린더(12)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112)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110)에서, 작동부를 구성하는 시동장치 파지부(114)가 자물통 몸체(20)의 운전석 쪽의 측벽에 제공된 구성이 채용되어 있으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시동장치 파지부(114)가 파지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시동장치 파지부(114)는 자물통 몸체(20)의 키 실린더(12)와 함께 회전된다. 한편, 전자식 카드키(116)(발신기)는 차량에 설치되며, 전자식 카드키(116)는 소정의 식별 코드(소정의 정보)를 발신한다. 또한, 전자식 카드키(116)에 대향되는 수신기(미도시)가 차량에 제공되며, 전자식 카드키(116)가 차량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수신기는 전자식 카드키(116)에 의해 발신된 소정의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자식 카드키(116)는 차량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수신기가 전자식 카드키(116)로부터 소정의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파지부(114)가 회전될 경우, 엔진(미도시)은 시동이 걸린다.
더욱이, 자물통 몸체(20)에 제공되어 작동부를 구성하는 고정자 코일(118)뿐만 아니라, 고정자 키(120)는 시동 키로서 차량에 제공되며, 여기서, 고정자 키(120)시동장치 파지부(114)에 제공된 삽입공(114A)을 통하여 키 실린더(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transponder)(미도시)는 고정자 키(120) 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소정의 식별 코드(특수한 정보)가 트랜스폰더 내에 기록되어 있으며, 고정자 키(120)가 삽입공(114A)을 통하여 키 실린더(12) 내에 삽입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고정자 키(120) 내에 수용된 트랜스폰더의 특수한 식별 코드는 고정자 코일(118)에 의해 판독된다. 트랜스폰더로부터의 특수한 식별 코드의 전송을 위해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명시한다. 다시 말해서, 트랜스폰더와 고정자 코일(118) 사이의 전자기의 유전체 작용에 의해, 동력은 차량 측의 동력원에 연결된 고정자 코일(118)로부터 트랜스폰더로 접촉없이 공급된다. 여기서, 채용된 구성은 다음과 같은데, 즉, 고정자 코일(118)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자 키(120)의 특수한 식별 코드를 판독하며,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정자 키(120)가 회전되면, 엔진이 시동된다. 다른 구성들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는 점을 명시한다.
본 변형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110)의 사용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작용과 효과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의 제2변형예는 특수한 식별 코드(특수한 정보)가 기록된 트랜스폰더가 수용된 고정자 키(120)가 차량에 제공된 구조이나, 상술한 트랜스폰더와 같은 기능이 전자식 카드키(116)에 부여되고, 특수한 식별 코드(특수한 정보)가 이 전자식 카드키(116)에 기록되어 있는 구조, 또는 상술한 트랜스폰더가 전자식 카드키(116)에 수용된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예를 들어, 전자식 카드키(116)의 파손 또는 배터리 단절이 발생할 경우(소정의 식별 코드가 전자식 카드키(116)로부터 발송되지 않은 경우)에도, 전자식 카드키(116)가 고정자 코일(118)이 가까이 있고, 이에 의해 전자식 카드키(116)의 특수한 식별 코드가 고정자 코일(118)에 의해 판독되고, 변속 레버(34)가 "P" 변속 위치 또는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장치 파지부(114)가 회전될 때, 엔진이 시동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차량에 전자식 카드키(116)에 추가하여 고정자 키(120)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2실시예]
도 10은 제2실시예에 속하며, 변속 레버 장치(70)와 자물통 몸체(72)의 통합에 의해 구성된 통합 부품(74)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70)는 소위 컬럼형 변속 레버 장치이며, 통합 부품(74)은 작동부를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실린더 형상의 자물통 몸체(72)와 변속 레버 장치(70)를 통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자물통 몸체(72)는 운전석 계기판(미도시)에 배치된다.
변속 레버(76)의 기저 단부는 자물통 몸체(72)의 측벽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변속 레버(76)의 단부는 운전석 계기판으로부터 운전자 쪽으로 돌출되며, 운전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버튼(미도시)은 변속 레버(76)의 단부에 제공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L형의 연결 시프트(78)는 변속 레버(76)의 단부에 제공되며, 연결 시프트(78)는 자물통 몸체(72)의 중앙부에 이리저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 시프트(78)의 일단은 변속 레버(76) 내에 제공된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손잡이 버튼에 연결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팬 형상의 멈춤판(80)은 잠금판으로서 변속 레버(76)의 기저 단부에 고정되며, 변속 레버(76)가 이리저리 이동됨으로써 전환될 때, 이 전환에 따라 멈춤판(80)이 회전한다. 결합 핀(82)은 멈춤판(80)에 고정되며, 결합 핀(82)은 멈춤판(80)과 함께 회전한다. 결합 핀(82)은 자동 변속기어 장치(미도시)에 변속 레버 작동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76)가 전환될 때, 결합 핀(82)은 멈춤판(80)과 함께 회전하며, 상술한 자동 변속기어 장치(미도시)는 상술한 변속 레버 작동 케이블을 경유하여 전환된다.
소정의 멈춤 요홈(84)이 멈춤판(80)의 아크부의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 시프트(78)의 타단은 멈춤 요홈(84)에 인접하여 있으며,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76)의 소정의 전환(예를 들어, "R" 변속 위치에서 "P" 변속 위치로의 전환)이 제어된다. 한편, 손잡이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은 손잡이 버튼의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연결 시프트(78)의 타단이 멈춤 요홈(84)으로부터 분리되고, 결과적으로, 상술한 변속 레버(76)의 소정의 전환(예를 들어, "R" 변속 위치에서 "P" 변속 위치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멈춤판(80)의 아크부 단부는 L형으로 노치가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결합 노치(86)가 멈춤판(80)의 아크부 단부에 형성된다. 결합 노치(86)는 후술하는 변속 잠금핀(96)과 대응된다.
작동부를 구성하는 시동 버튼(88)은 자물통 몸체(72)의 운전석 쪽의 측벽에 시동장치부로서 제공되며, 시동 버튼(88)은 엔진(미도시)의 시동을 수행하는 시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자식 카드키(92)는 발신기로서 차량에 설치되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받아 소정의 식별 코드(소정의 정보)를 발신한다. 또한, 전자식 카드키(92)에 대향하는 수신기(미도시)는 차량에 제공되며, 전자식 카드키(92)가 차량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수신기는 전자식 카드키(92)로부터 발신되는 소정의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더욱이, 수신기는 제어장치(소위 ECU, 미도시)를 통해 상술한 시동장치에 연결된다. 여기서, 전자식 카드키(92)가 차량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수신기가 전자식 카드키(92)로부터 소정의 식별 코드를 수신하며,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버튼(88)이 눌려지는 경우, 엔진(미도시)이 시동된다.
더욱이, 작동부를 구성하는 고정자 코일(90)은 자물통 몸체(72)에 제공되며, 고정자 코일(118)은 상기의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의 시동장치에 연결된다. 작동부를 구성하는 키 실린더(미도시)는 자물통 몸체(72)의 내부에 수용되며, 키 실린더는 상기의 시동장치에 연결된다. 한편, 고정자 키(94)는 차량에 제공되며, 시동 버튼(88)의 부착에 의해, 고정자 키(94)는 키 실린더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트랜스폰더(미도시)는 고정자 키(94) 내에 수용되며, 특수한 식별 코드(특수한 정보)는 트랜스폰더 내에 기록되며, 시동 버튼(88)이 부착되고 이에 의해 고정자 키(94)가 키 실린더 내에 삽입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고정자 키(94) 내에 수용된 트랜스폰더의 특수한 식별 코드는 고정자 코일(90)에 판독된다. 트랜스폰더로부터의 특수한 식별 코드 전송을 위해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명시한다. 다시 말해서, 트랜스폰더와 고정자 코일(90) 사이의 전자기의 유전체 작용에 의해, 동력은 차량 측의 동력원에 연결된 고정자 코일(90)로부터 트랜스폰더로 접촉없이 공급된다. 여기서, 채용된 구성은 다음과 같은데, 즉, 고정자 코일(90)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자 키(94)의 특수한 식별 코드를 판독하며,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정자 키(94)가 회전되면, 엔진이 시동된다.
상술한 멈춤판(80)의 결합 핀(86)에 대응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변속 잠금핀(96)은 자물통 몸체(72)의 상부에 제공되며, 변속 잠금핀(96)은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미도시)에 연결된다. 변속 잠금핀(96)에 작용하는 전기적 작용이 있으며, 이에 의해 변속 잠금핀(96)이 멈춤판(8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멈춤판(80)이 결합 핀(86)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잠금핀(96)은 멈춤판(8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 핀(86)과 맞물리며, 결과적으로 멈춤판(80)의 회전은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구성의 변속 레버 장치(70)에서, 전자식 카드키(92)가 차량 내에 배치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수신기(미도시)는 전자식 카드키(92)에 의해 발신된 소정의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기는 이와 같이 전자식 카드키(92)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며,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버튼(88)이 눌려지는 경우, 엔진(미도시)이 시동된다.
더욱이, 시동 버튼(88)이 자물통 몸체(7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고정자 키(94)가 키 실린더(미도시) 내에 삽입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고정자 키(94) 내에 수용된 트랜스폰더에 기록된 특수한 정보가 고정자 코일(90)에 의해 판독된다. 여기서, 고정자 코일(90)은 이와 같이 고정자 키(94)의 특수한 식별 코드를 판독하며,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정자 키(94)가 회전되는 경우, 엔진이 시동된다.
또한, 이 변속 레버 장치(70)는 변속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미도시)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잠금핀(96)은 멈춤판(80)의 결합 노치(86)와 맞물리어 멈춤판(80)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76)의 "P" 변속 위치로부터의 위치 전환은 방지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경우, 변속 잠금핀(96)의 멈춤판(80)(결합 노치(86))과의 결합은 해제되고, 멈춤판(80)의 회전은 허용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P" 변속 위치로부터의 변속 레버(76)의 변환은 가능하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의 사용에서,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레버(76)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없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70)의 사용에서, 변속 레버(76)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72)에 의해 지지되며, 변속 레버(76)에 고정된 멈춤판(80)에 대응하는 변속 잠금핀(96)은 자물통 몸체(72)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70)는 자물통 몸체(72)(키 실린더)와 함께 통합 부품(74)(일체형 유니트)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레버 장치(70)와 자물통 몸체(72)(키 실린더) 각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 공간의 감축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이유로, 변속 잠금기구에서 케이블, 솔레노이드, 전기선과 같은 변속 레버 장치(70)와 자물통 몸체(72)(키 실린더) 사이의 연결 부품들이 불필요하며, 단순화, 비용의 절감,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변속 레버 장치(70)에서, 차량이 주차한 경우 변속 레버(76)는 정상적으로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변속 잠금기구에 근거하여,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변속 레버(76)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없다. 즉,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엔진이 전자식 카드키(92), 또는 고정자 키(94)에 의해 시동되지 않으면, 변속 레버(76)는 "P" 변속 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없으며,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속하는 변속 레버 장치(70)에서, 자물통 몸체(72)(키 실린더)가 통합되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변속 잠금기구는 도난 방지 장치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통상적인 스티어링 잠금기구는 불필요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고정되는 스티어링 구조체와 이 스티어링 구조체를 수용하는 스티어링 지지체의 단순화,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과 같은 것이 불필요하게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물통 몸체의 압축화,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자물통 몸체의 잠금 빗장이 스티어링 구조체와 맞물리게 해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자물통 몸체가 스티어링 지지체에 맞추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물통 몸체(72)를 스티어링 지지체의 부근에 배치해야할 필요가 없으며, 차량에서 자물통 몸체(72)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시동 버튼(88)의 가압 동작이 반드시 오른손으로 수행되어야할 필요가 없는(왼손으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시동 버튼(88)의 작동이 오른손으로 수행되는 위치에 자물통 몸체(72)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시동 버튼(88)의 작동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며, 차량에서 자물통 몸체(72)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자 키(94)가 키 실린더 내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고정자 키(94)의 특수한 식별 코드가 고정자 코일(90)에 의해 판독되며,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정자 키(94)가 회전되면, 엔진이 시동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전자식 카드키(92)로의 배터리 연결이 끊기거나, 전자식 카드키(92)가 파손되는 경우(전자식 카드키(92)로부터 소정의 식별 코드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도, 엔진은 고정자 키(94)에 의해 시동될 수 있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있지 않으면 엔진이 정지될 수 없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차량이 주차하고 있는 경우, 변속 레버(76)는 언제나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시한다. 따라서, 변속 잠금기구는 확실하게 도난 방지 장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 그 구조는 시동 버튼(88)이 자물통 몸체(72)에 제공된 구조이나,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변속 레버 장치(100)(통합 부품(102)을 위한 것으로서, 시동 버튼(88) 대신에 시동 파지부(104)가 작동부를 구성하는 시동 부재로서 자물통 몸체(72)에 제공되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즉, 변속 레버 장치(100)에서, 시동 파지부(104)가 회전을 위해 파지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시동 파지부(104)가 자물통 몸체(72) 내의 키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고, 전자식 카드키(92)가 차량 내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전자식 카드키(92)에 의해 전송되는 소정의 식별 코드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파지부(104)가 회전되어 키 실린더가 함께 회전하게 하는 경우, 키 실린더가 함께 회전하고 이에 의해 엔진(미도시)가 시동되는 구조가 채용된다. 더욱이, 고정자 키(94)가 시동 파지부(104)에 제공된 삽입공(104A)을 통하여 키 실린더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자 키(94)가 삽입공(104A)을 통하여 키 실린더 내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고정자 코일(90)은 고정자 키(94)에 기록된 특수한 정보를 판독하며,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정자 키(94)가 회전되어 키 실린더를 함께 회전시키는 경우, 엔진은 시동된다.
상술한 제2실시예(도 11에 도시된 별개의 예를 포함)는 특수한식별 코드(특수한 정보)가 기록된 트랜스폰더가 수용된 고정자 키(94)가 차량에 설치된 구조를 갖지만, 그러나, 상술한 트랜스폰더와 동일한 기능이 전자식 카드키(92)에 부여되고, 특수한 식별 코드(특수한 정보)가 전자식 카드키(92)에 기록되는 구조, 또는 상술한 트랜스폰더가 전자식 카드키(92) 내에 수용되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예를 들어, 전자식 카드키(92)의 파손되거나 배터리와의 단절되는 경우(소정의 식별 코드가 전자식 카드키(92)에 의해 전송되지 않는 경우)라도, 전자식 카드키(92)는 고정자 코일(90)로 가까이 끌어당겨 이에 의해 전자식 카드키(92)의 특수 식별 코드가 고정자 코일(90)에 의해 판독되며,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시동 버튼(88)이 가압되는 경우(상기 별개의 예에서는 시동 파지부(104)가 회전되는 경우), 엔진은 시동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전자식 카드키(92)에 추가하여 고정자 키(94)를 차량에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실시예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도 6 내지 도 8 참조), 변속 레버(76)는 차폐 장치로서의 역할을 가진다. 즉, 변속 레버(76)는 멈춤판(80)의 연결 노치(86)와 대향되고, 변속 레버(76)와 연결 노치(86)는 상호 가까이로 끌려지고,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76)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변속 잠금핀(96)은 변속 레버(76)에 의해 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채용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외부로부터 변속 잠금핀(96)을 파괴하는 것은 어렵게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변속 잠금기구의 도난 방지 장치로서의 역할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변속 레버(76)가 차폐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변속 잠금핀(96)을 차단하기 위한 차폐 부재를 특별히 추가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변속 잠금핀(96)은 용이하게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 변속 잠금핀(96)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구조가 채용되지만, 그러나, 변속 잠금핀(96)의 멈춤판 쪽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반원형이고, 변속 잠금핀(96)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실질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변속 잠금핀의 멈춤판 쪽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반원형이기 때문에, 변속 잠금핀이, 예를 들어, 드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어렵게 되며, 변속 잠금기구의 도난 방지 장치로서의 기능은 더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변속 잠금핀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드릴에 의해 변속 잠금핀을 파손하는 것은 어렵게 되며, 변속 잠금기구의 도난 방지 장치로서의 기능은 더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1실시예(제1변형예와 제2변형예 포함) 및 제2실시예(도 11에 도시된 별개의 예 포함)에서, 변속 레버 장치(10)(60)(70)(100)(110)는 컬럼형 변속 레버 장치를 구성하며, 운전석 계기판(미도시)에 배치되나,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실린더와 통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변속 레버 장치와 키 실린더를 구비하는 통합 부품은 차량의 바닥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변속 레버 장치가 키 실린더와 통합되어, 장치의 사용 공간의 감소, 비용 절감,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변속 레버 장치에서,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변속 레버, 제1캠, 및 제2캠이 키 실린더와 통합되어 제공된다. 키 실린더는 자물통 몸체 내에 수용되며, 변속 잠금핀과 시동장치 잠금핀이 자물통 몸체 내에 제공된다. 변속 잠금핀이 제1캠에 의해 삽입되는 제1삽입공과, 시동장치 잠금핀이 제2캠에 의해 삽입되는 제2삽입공과 제3삽입공이 변속 레버에 고정된 멈춤판에 제공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변속 레버 장치는 키 실린더와 통합되며, 또한, 차량과의 연결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변속 레버 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감소, 단순화, 비용 절감, 및 경량화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시동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변속 기어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1캠;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 판;
    상기 제1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캠에 대향하는 제1삽입공; 및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1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캠에 의해 상기 제1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1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변속 잠금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잠금핀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장치가 상기 변속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잠금핀의 상기 잠금 판 쪽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잠금핀이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6. 시동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변속 기어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2캠;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 판;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2삽입공; 및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2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시동장치 잠금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3삽입공을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장치 잠금핀이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제3삽입공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장치 잠금핀은 상기 잠금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8. 시동 키가 삽입되는 키 실린더를 수용하는 자물통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변속 기어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1캠;
    상기 시동 키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키 실린더에 제공된 제2캠;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 판;
    상기 제1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캠에 대향하는 제1삽입공;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1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캠에 의해 상기 제1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1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변속 잠금핀;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2삽입공, 또는 상기 제2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제공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시동 키가 "시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캠에 대향하는 제3삽입공 중의 어느 하나; 및
    상기 잠금 판과 상기 제2캠에 대응되며, 상기 대향하는 잠금 판 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물통 몸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 또는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 또는 제3삽입공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 또는 상기 변속 레버가 "N" 변속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잠금 판의 벽면에 접하여 상기 제2캠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시동장치 잠금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 장치가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잠금핀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장치는 상기 변속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잠금핀의 상기 잠금판 쪽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잠금핀이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3. 변속 기어 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자물통 몸체;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발신기;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발신기가 차량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상기 발신기에 대응하여 제공된 수신기가 상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작동될 경우 엔진이 시동되는 시동장치 부재;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된 잠금판; 및
    상기 잠금판에 대응하여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상기 잠금판에 맞물리어 상기 잠금판의 회전을 방지하는 변속 잠금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 장치가
    상기 자물통 몸체에 수용된 키 실린더;
    특수한 정보가 기록되며, 상기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자 키; 및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고정자 키가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고정자 코일;을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자 키는 상기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고정자 코일이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 키가 회전되면, 상기 엔진이 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5. 변속 기어 장치를 전환하는 변속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자물통 몸체; 상기 자물통 몸체에 수용된 키 실린더;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될 수 있으며, 특수한 정보가 기록된 고정자 키; 및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고정자 키가 상기 키 실린더에 삽입된다는 사실의 덕분으로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고정자 코일;을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자 키는 상기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고정자 코일이 상기 특수한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자 키가 회전되면 엔진이 시동되는 변속 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의 기저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변속 레버의 전환과 함께 회전하는 잠금판; 및
    상기 잠금판에 대응하여 상기 자물통 몸체에 제공되며,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어지지 않으면, 상기 잠금판과 맞물리어 상기 잠금판의 회전을 방지하는 변속 잠금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가 "P" 변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 잠금핀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장치가 상기 변속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잠금핀의 상기 잠금판 쪽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잠금핀이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장치.
  20. 소정의 작동으로 엔진을 시동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통합된 장치로서 제공되며, 그 작동에 의해 변속 기어 장치에 전환을 수행하는 변속 레버;를 구비하는 변속 레버 장치.
KR1020000039674A 1999-07-13 2000-07-11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 KR100690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2299 1999-07-13
JP11-198922 1999-07-13
JP2000-163652 2000-05-31
JP2000163652A JP2001080383A (ja) 1999-07-13 2000-05-31 シフトレバ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286A true KR20010015286A (ko) 2001-02-26
KR100690035B1 KR100690035B1 (ko) 2007-03-08

Family

ID=2651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674A KR100690035B1 (ko) 1999-07-13 2000-07-11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08090B1 (ko)
EP (2) EP1403152B1 (ko)
JP (1) JP2001080383A (ko)
KR (1) KR100690035B1 (ko)
DE (2) DE6001396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164B1 (ko) * 2005-05-02 2006-11-27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1437B2 (ja) 2000-05-31 2010-06-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4481438B2 (ja) 2000-05-31 2010-06-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DE60128147T2 (de) 2001-02-20 2008-01-03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Fahrzeugzustandsschaltvorrichtung
US6945377B2 (en) * 2002-03-27 2005-09-20 Delphi Technologies, Inc. Integrated position switch/brake transmission shift interlock component
US20030205100A1 (en) * 2002-05-01 2003-11-06 Vermeersch Michael C. Park lock system
KR100580463B1 (ko) * 2003-11-18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차량의 인터록 장치
US7559874B2 (en) * 2006-07-31 2009-07-14 Chrysler Llc Vehicle shift module
DE102007019465B4 (de) * 2007-04-25 2009-08-20 Audi Ag Schalteinheit für ein insbesondere elektronisch geschaltet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BRPI0822852B1 (pt) * 2008-06-27 2020-09-29 Kongsberg Automotive Ab. Conjunto de câmbio para um veículo a motor e método para dobra de uma alavanca de câmbio em relação ao conjunto de câmbio em um veículo a motor
JP5043789B2 (ja) * 2008-09-24 2012-10-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US8272291B2 (en) * 2010-01-15 2012-09-25 Samuel Fasone Steering column locking device
JP4886059B2 (ja) * 2010-05-21 2012-02-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9128508B2 (en) * 2010-06-15 2015-09-08 Razer (Asia-Pacific) Pte Ltd. Module for controlling a force required to actuate an electromechanical actuator
KR101305674B1 (ko) 2011-06-09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동제어타입 오토레버장치
JP6471105B2 (ja) * 2016-01-14 2019-02-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組立方法
JP6166427B1 (ja) * 2016-06-02 2017-07-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10266052B2 (en) * 2016-10-21 2019-04-2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shift gate assembly
US11047476B2 (en) 2019-03-02 2021-06-29 DPJ Fabricating, LLC Automotive true slap shifter detent plate
US10969003B2 (en) 2019-03-12 2021-04-06 Kubota Corporation Operation device and work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1807A (en) 1927-06-10 1931-02-10 Gen Motors Corp Transmission and ignition lock
US3490255A (en) * 1967-12-19 1970-01-20 Gen Motors Corp Vehicle control locking system
JPH01172032A (ja) 1987-12-25 1989-07-0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変速装置
JP2520861Y2 (ja) 1989-06-26 1996-12-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ラムタイプの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のロック装置
JPH0542841A (ja) * 1991-08-09 1993-02-23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5299470A (en) * 1992-12-21 1994-04-05 Chrysler Corporation Ignition interlock mechanism for a column-mounted shift control assembly
ES2103608T5 (es) 1993-10-01 2001-02-16 Marquardt Gmbh Sistema electronico de cerradura de encendido en un vehiculo de motor.
JPH07151224A (ja) * 1993-11-30 1995-06-13 Fuji Kiko Co Ltd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5647818A (en) * 1995-03-27 1997-07-15 Pontiac Coil, Inc. Shifter interlock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3160187B2 (ja) * 1995-07-21 2001-04-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ラム式シフト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US5752414A (en) 1996-05-24 1998-05-19 Teleflex Incorporated Cable operated brake/ignition/transmission interlock
DE19622377A1 (de) * 1996-06-04 1997-12-11 Mannesmann Vdo Ag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Kraftfahrzeuges
EP0823575B1 (en) 1996-08-09 2003-03-26 Mannoh Kogyo Co., Ltd. Shift lock mechanism for steering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JP3142508B2 (ja) * 1997-07-23 2001-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電子キー装置
JP3208098B2 (ja) * 1997-09-11 2001-09-10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操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164B1 (ko) * 2005-05-02 2006-11-27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3152A1 (en) 2004-03-31
DE60013967D1 (de) 2004-10-28
EP1403152B1 (en) 2006-09-27
DE60013967T2 (de) 2005-01-27
KR100690035B1 (ko) 2007-03-08
DE60031012T2 (de) 2007-04-19
JP2001080383A (ja) 2001-03-27
US6508090B1 (en) 2003-01-21
DE60031012D1 (de) 2006-11-09
EP1069011A2 (en) 2001-01-17
EP1069011B1 (en) 2004-09-22
EP1069011A3 (en)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035B1 (ko) 차량의 변속 레버 장치
US6547696B2 (en) Shift lever device
JP3684415B2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US6810700B2 (en) Apparatus for starting vehicle engine
EP1621421B1 (en) Steering lock
EP2329999B1 (en) Steering lock device
GB2361104A (en) Vehicle ignition switch
WO1990000660A1 (en) Vehicle lock assembly operable with transmission shifter and method
US20020011128A1 (en) Shift lever device
KR100658046B1 (ko) 전자 키를 사용하는 시동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6109414A (en) Shift lever device
CN111377013A (zh) 车把锁定装置
JP2016205028A (ja) レバー組付構造及びレバー組付方法
JP4841228B2 (ja) 錠装置
US6568228B2 (en) Shift lever device
JP2001301571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265366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制御装置
JP4418298B2 (ja) 錠装置
JP4571557B2 (ja) 錠装置
JP4724058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20596Y2 (ko)
JP4154283B2 (ja) 錠装置
JP3993975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635253B1 (ko) 2 모드 시동 스위치 장치
JP4044340B2 (ja) 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