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058A - 탈수기 - Google Patents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058A
KR20010013058A KR19997011037A KR19997011037A KR20010013058A KR 20010013058 A KR20010013058 A KR 20010013058A KR 19997011037 A KR19997011037 A KR 19997011037A KR 19997011037 A KR19997011037 A KR 19997011037A KR 20010013058 A KR20010013058 A KR 20010013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veyor
kiln
microwave
dehyd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447B1 (ko
Inventor
스테펜 네이피어 비치
Original Assignee
오스트레일리언 루럴 디하이드레이션 엔터프라이즈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트레일리언 루럴 디하이드레이션 엔터프라이즈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오스트레일리언 루럴 디하이드레이션 엔터프라이즈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1001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26B17/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7/04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the belt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material on the belt being agitated, dispersed or turned over by mechanical means, e.g. by vibrating the belt, by fixed, rotating or oscill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F26B19/005Self-contained mobile devices, e.g. for agricultural produ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26B25/002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for bulk g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식료품을 탈수하기 위한 탈수기(dehydration plant)는 마이크로파 킬른(kiln)(2), 상기 킬른(2)을 통해 식료품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3), 상기 킬른(2)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21,6), 상기 킬른(2)을 통해 순환되어질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냉각 제습 수단(7,11), 및 상기 킬른(2)을 통해 순환되어질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수단(12,13,14)을 포함하되, 상기 킬른(2)을 통해 이송되는 식료품이 마이크로파 방사 및 제습 가열 공기의 흐름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식료품을 탈수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수기{DEHYDRATION PLANT}
탈수는 식료품을 보존하는 잘 알려진 방법이다. 탈수 처리 중, 탈수가 진행되는 식료품의 수분 함량은 식료품이 부패성 유기체의 성장에 잘 맞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줄어든다. 식품의 영양물 함량이 적절한 탈수에 의해 최소한으로 영향을 받게 하는 것은 다른 식품 보존 방법을 통해 광범위한 과학적 실험으로부터 공지되었다. 게다가, 가공 육류와 같은 식료품의 수송 경제성은 생산 시점에서 및 선적 시에 건조 형태로 이들 식료품을 탈수시킴으로써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에, 70% 까지 무게와 부피를 줄이는 것은, 개발 도상 국가의 중대한 측면인, 냉각의 필요성을 없앰과 더불어 달성될 수 있다.
두 가지 방법이 현재 식료품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다.
a) 수분을 없애기 위한 가열, 및
b) 냉동 건조 처리.
태양광 건조는 많은 노동력의 요구와 빈약한 위생 관리로 인해 서구 국가에서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오븐(oven) 건조는 요즘 가장 널리 이용되는 상업적인 탈수 방법이며, 건조한 가열 공기에 식료품을 노출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많은 식료품은 이제 가스 또는 전기에 의해 가열이 행해지는 챔버(chamber) 내에 식료품을 위치시킴으로써 건조된다. 식료품 속의 물은 건조되도록 "끓임 제거(boiled off)"될 때까지 가열된다. 상기는 보통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며, 대기중의 습도와 주변 온도에 민감하다. 탈수 전에 전처리-끓임(pre-cooking)은 원료 상태로부터 탈수시키는 것 보다 더 만족스러운 식료품이 되게 한다.
또한, "냉동 건조(lyophilisation)"로서 알려진, 상기 냉동 건조는 일차로 식료품을 냉동시키는 단계와, 그에 따라서 심한 감압(decompression)에 의해 냉동 상태로부터 가스 상태로 얼음을 직접 승화(sublimating)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맛의 변화는 미미하며, 식료품의 수축은 경미하며, 건조된 재료는 다공성을 가져서 손쉽게 재-탈수된다.
설치된 탈수기의 단점은 특히, 냉동 건조기의 경우에 상기 탈수기의 설치 및 운영 시 높은 자본 비용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식료품 및 상기 식료품의 맛은 지나친 가열에 의해 나빠질 수 있다. 특히, 냉동은 "목질화 또는 우디니스(woodiness)"로서 알려진 조직 결함을 발생시키는 식품 조직의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오븐 건조 또는 냉동 건조를 이용하는 탈수기는 일반적으로 식료품의 배치 처리(batch processing)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수기의 사용에 의해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식료품(food products)의 탈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목적을 위한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유니트의 바람직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탈수 유니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 유니트의 컨베이어 세그먼트를 제각기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a와 도 3b의 컨베이어 세그먼트 구동 드럼의 지지 장치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a와 도 3b의 컨베이어 세그먼트를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 9는 도 1의 탈수 유니트의 마이크로파 킬른과 컨베이어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상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마이크로파 킬른의 마이크로파 오븐 칸막이부를 도시하는 상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마이크로파 오븐 칸막이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탈수 유니트의 흡입부 단부를 도시하는 상세 횡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도 1의 탈수 유니트의 배출부 단부를 도시하는 상세 횡단면도.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언급된 하나 이상의 문제를 극복하는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기억해 두고, 본 발명의 한 가지 측면에 따라서, 식료품을 탈수시키기 위해, (a) 마이크로파 킬른(kiln), (b) 상기 킬른을 통해서 식료품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 (c) 상기 킬른을 통해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 (d) 상기 킬른을 통해서 순환되어질 공기를 제습(dehumidifying)시키기 위한 냉각 제습 수단, 및 (e) 상기 킬른을 통해서 순환되어질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탈수기가 제공되며, 그 결과 킬른을 통해 이송되는 식료품이 마이크로파 방사 및 제습 가열 공기의 흐름에 노출됨으로써 식료품을 탈수시킨다.
탈수기는 엔클로저(enclosure)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엔클로저는 완전히 자체 수용된 유니트로서 수송 가능해서 상기 탈수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엔클로저는 표준화된 산업 화물 운송 컨테이너의 형태일 수 있다.
마이크로파 킬른은 식료품이 이송될 수 있는 킬른 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킬른 터널은 킬른 터널을 통해 이송되는 식료품을 마이크로파에 노출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은 킬른 터널의 기다란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의 마이크로파 방사체 호온(horns)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반사 수단이 각각의 방사체 호온에 제공될 수 있다.
킬른 터널을 통해 식료품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은 킬른 터널을 통해 확장하는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장치는 다수의 컨베이어 세그먼트(segments)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전측 상부 단부와 후측 하부 단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후측 단부가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전측 단부 보다 더 높도록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한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뒤따른 후측 단부가 다음의 인접한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전측 단부 보다 높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위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중첩 배치는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운반되는 식료품이 한 컨베이어 세그먼트로부터 다음의 인접한 컨베이어 세그먼트로 "캐스캐이드(cascade)"되도록 허용한다. 또한, 컨베이어 수단은 식료품을 마이크로파 킬른 터널 안으로 운반하기 위해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입구부 컨베이어와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의 밖으로 식료품을 운반하기 위해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하부에 제공되는 배출부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 컨베이어와 배출부 컨베이어는 탈수기 엔클로저로부터 확장할 수 있고 상기 탈수기 엔클로저 내로 후퇴할 수 있다.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전측 컨베이어 드럼(drum) 및 후측 컨베이어 드럼에 지지되며 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다수의 체인 링크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 링크는 타이 로드(tie rods)에 의해 연결되어 위치될 수 있음으로써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개구부를 제공한다. 컨베이어 벨트가 마이크로파에 노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각각의 체인 링크는 2극의 또는 낮은 손실의 유전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타이 로드는 나일론 또는 유사한 유전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체인 링크는 식료품을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벨트에 대해 떨림의 증가에 영향을 끼치기 위한 측 방향 스파이크(spike)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는 결이 거친 체인 메쉬(mesh)로부터 폴리프로필렌으로 짜여진 벨트 메쉬를 포함하는 초미세의 게이지(gauge)를 갖는 미세한 게이지 체인 메일(mail)까지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다른 제품에 가장 잘 맞는다.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구동 드럼은 마이크로파를 반사시키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이 마감재로 대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반사 디시(dish)는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의 마이크로파 오븐 칸막이부 하부 반사기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전측 구동 드럼과 후측 구동 드럼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응하는 상부 반사 디시는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하부 반사 디시 보다 위에 및 이에 대해 적어도 실제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반사 디시와 하부 반사 디시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커버는 식료품이 상기 디시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반사 디시의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커버는 전측 상부 모서리를 따라서, 공기 편향기로서 역할을 하는 확장 가능한 모서리 립(lip)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 립 편향기는 컨베이어 체인-메쉬 진행의 래치트(ratchet) 요동기와 맞물려서 영향을 주는 하측부를 향하는 일렬의 나일론 뾰족부(prong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컨베이어 요동 메커니즘이 고려된다. 또한, 플라스틱 커버가 상부 편향기 디시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플라스틱 커버와 상부 플라스틱 커버는 가열 제습 공기가 상기 이송되어 흔들리는 식료품과 함께 통과될 수 있는 좁은 처리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파 방사기 수단은 각각의 상부 반사 디시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파 편향기 팬은 각각의 상부 반사 디시 내에 또한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편향기 팬은 방사기 호온으로부터 방사되고 상부 반사 디시와 하부 반사 디시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파를 더 고르게 분산하기 위해 모드 요동기 역할을 하는 금속 편향기 패들(paddles)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 플레이트는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세그먼트가 컨베이어 드럼과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의 측부 플레이트가 하부 반사 디시와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킬른 터널로부터 손쉽게 탈거할 수 있는 소정의 유니트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후측 구동 드럼은 필요시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동 드럼으로부터 손쉽게 분해될 수 있는 구동 축에 의해 구동되어질 수 있다.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장치는 인접한 컨베이어 세그먼트 사이의 식료품이 위상 마이크로파에 노출 및 캐스캐이딩(cascading)되도록 촉진시킴으로써 식료품을 킬른 터널 내에 제습 가열 공기에 최대로 노출시킨다. 공기의 흐름은 하부 반사 디시 커버의 전측 모서리를 따라서 제공되는 공기 편향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방향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는 컨베이어 요동에 또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게다가, 편향된 공기는 캐스캐이딩되고 요동되는 식료품의 바로 아래로부터 상측으로 흐를 수 있음으로써 반-유동화된 오븐 베드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는 제습 가열 공기에 식료품의 노출을 증대시킨다. 게다가, 식료품은 킬른 터널을 통해 이송되고 요동되는 동안에 간헐적인 마이크로파 노출 작업에 동시에 노출된다.
킬른 터널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이 엔클로저 내의 적어도 상당한 양의 공기를 또한 재순환시킬 수 있음으로써 탈수기의 더 높은 효율을 달성한다. 이 때문에, 엔클로저는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세척 또는 청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연 방호 벽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순환 수단은 엔클로저 내로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공기 순환 관 및 상기 공기 관 내에 위치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필터 장치를 통해 빨아들여질 수 있다. 팬은 탈수기를 통해 공기를 또한 재순환시킬 수 있다.
냉각 제습 수단 및 가열 수단은 순환 팬의 공기 관 하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냉각 제습 수단의 증발기 코일은 냉각시키고, 그에 따라서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해 순환 팬의 바로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냉각되어지는 공기로부터 제거되는 응축액은 탈수 유니트로부터 또 다른 식료품을 제공하기 위해 모아질 수 있다. 열 교환기는 냉각된 공기에 열을 부가하기 위해 증발기 코일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은 순환 팬의 상부에 제공되는 또 다른 열 교환기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열 교환기는 킬른 터널을 빠져나가는 공기로부터 열과 어레스트 그리스(arrest greases)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탈수 유니트로부터 열 손실을 최소화시키도록 도우며 "열 파이프(heat pipe)" 장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냉각 제습 수단의 응축기 코일은 통과하는 공기에 열을 더 가하기 위해 열 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킬른 터널 내로 순환시키기에 앞서 필요시 공기에 임의의 추가적인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 히터 코일이 응축기 코일의 하부에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히터 코일은 가열을 제공하기 위해 증기를 사용할 수 있다.
식품 전처리 영역은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 상부의 식료품의 예열 및 세균 억제를 위해 입구부 컨베이어 보다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는 적외선 및 자외선 방사 영역을 통해 먼저 식료품을 통과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혼합 베인(vane)은 탈수 유니트를 통해 재순환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또 다른 열 교환기 또는 어레스터(arrester)의 바로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혼합 베인은 공기 관을 통해 되돌아가는 재순환 공기의 양과 배출되어질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배출되어지는 공기는 탈수 유니트로부터 환경 오염 배출물의 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바이오 통풍 배출구를 통해 지날 수 있다. 냉각 제습 수단을 위한 또 다른 응축기는 열 싱크(sink)를 제공하기 위해 바이오 통풍 배출구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 싱크가 식품 예열기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식료품을 탈수시키기 위해 탈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a) 상기 식료품을 마이크로파 킬른을 통해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탈수기 내의 공기를 제습시키고 가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을 통해 제습되는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결과 식료품은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 내에서 마이크로파 방사 및 제습 가열 공기의 흐름에 노출된다.
식료품은 마이크로파 킬른 내에 한번 이상의 낙하로 캐스캐이딩될 수 있음으로써 식료품을 제습 가열 공기의 흐름에 최대로 노출시킨다.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파 킬른을 통해 지난 공기의 열을 수집하는 단계와 마이크로파 킬른의 상부 공기에 상기 수집된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파 킬른 상부의 식료품을 예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식료품은 세균 억제 목적을 위해 자외선 방사에 노출되거나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하나의 탈수 장치는 예정된 탈수량, 예를 들면 20 내지 25%의 습기 함유량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더 많은 양의 탈수가 요구되는 경우, 그에 따라서 탈수 유니트는 더 큰 탈수량, 예를 들면 4 내지 6%의 습기 함유량을 제공하도록 일렬로 배열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탈수 장치는 산업상의 오븐 건조를 만족시키기 위해 무선 주파수 마이크로파에 의해 보조되는 냉각 제습 기술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탈수기는 탈수기가 부지(site)를 벗어난 곳에서도 온전히 설치될 수 있으며 부지에 손쉽게 운송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보장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환경 오염 물질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전적으로 폐쇄된 시스템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상기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장비가 안전 규칙과 부합하도록 보장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탈수 장치는 종래의 건조 오븐과 달리 연속 공정을 위해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배치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이크로파 킬른을 통해 식료품을 통과시키는 동안, 마이크로파에 의해 수반되는 분자 극성의 여기(excitement)는 "민감한" 상태를 유발하며 그 다음으로 내부의 "잠(latent)" 열은 "압력 차"를 발생시킨다. 이들 "압력 차"는 탈수되어지는 식료품의 표면에 잔류 습기를 효과적으로 "펌핑"하며, 이 표면에서 습기는 대량의 냉각 건조 공기에 의해 증발되거나 "사라진다". 동시에, 식료품으로부터의 마이크로파 "용적 측정(volumetric)" 발생 열은 증발 습기의 제거 때 "잠" 열 손실을 보상할 뿐만 아니라 식료품의 예비 건조를 돕도록 수집되어 앞으로 전달될 수 있다.
탈수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 달성되기 때문에, 상기는 색채, 맛, 단백질 레벨 외에 섬유소(texture)와 같은 필수적인 식료품 특성이 유지되도록 보장함으로써 다량으로 가장 좋은 품질의 식료품을 제공한다.
상기 최종 결과는 상당히 큰 건조 율이 제공된 본 발명의 탈수기가 다른 탈수 시스템과 비교해서 우수한 탈수 기능에 비해 에너지를 덜 소비한다는 것이다. 사실상, 종래의 건조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1/6만이 본 발명의 탈수 유니트에 필요하다. 마이크로파 기술의 추가는 수분 추출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실제 처리량(throughput)에 있어서 3배의 증가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가능한 장치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을 더 기술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치가 가능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첨부 도면의 특정한 사항이 본 발명의 앞선 설명의 일반적인 사항을 대신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탈수 장치는 예를 들면, 표준 냉각 ISD 컨테이너의 형태일 수 있는 엔클로저(1)를 포함한다. 자체-포함된 탈수 유니트는 적재 상태로 작동하는 탈수기 칸막이부(95)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파 킬른(2)과,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2)을 통해 식료품을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 조립체(3)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마이크로파 킬른의 구성 요소는 기다란 킬른 터널(20) 내에 위치된다. 제습 가열 공기는 킬른 터널(20) 보다 위에 위치되는 공기 관(21) 및 상기 공기 관(21)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6)을 포함하는 순환 수단에 의해 상기 킬른 터널(20)에 공급된다. 공기 관(21)은 상기 공기 관(21)을 통해 지나는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해 냉각 제습 수단 및 상기 관(21)을 통해 지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 수단을 지지하며, 공동으로 "가열-펌프" 의 역할을 한다.
냉각 제습 수단은 증발기 코일(7), 시스템 내에 냉각제(coolant)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들)(11), 및 상기 냉각제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코일(13)을 포함하는 증기 압축 시스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증발기 코일(7)은 냉각을 위해 팬(6)의 하부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서 상기 팬(6)을 통해 지나는 공기를 제습시킨다. 증발기 코일(7)로부터의 응축액은 응축액 팬(18) 안에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된 응축액(19)은 증류수로서 수집되어 판매될 수 있다. 건조 패드 에어 필터(10)는 공기의 최종 여과 작업을 제공하기 위해 증발기 코일(7)의 하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나서, 공기는 열 출력 교환기(12)를 통해 지남으로써 상기 열 출력 교환기(12)는 이를 통해 지나는 공기 속에 입력 열을 제공한다. 열 출력 교환기(12)에 의해 제공되는 열은 마이크로파 킬른 터널(20)을 통해 지난 제습 가열 공기의 출구 배출 흐름부 내에 위치된 열 흡수 교환기(8)에 의해 수집된다. 상기 장치는 탈수 유니트로부터 열 손실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탈수 유니트의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며 "가열-파이프"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열 흡수 교환기 코일(8)은 세척을 위한 탈거의 편의와 함께, 배출 응축액의 그리스 어레스터로서 더 이중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응축기 코일(13)이 열 출력 교환기(12)의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이를 통해 지나는 공기 속에 열 입력을 더 제공한다. 최종적으로, 히터 코일(14)에는 마이크로파 킬른(2) 내로 순환하기에 앞서 제습 공기 내로 최종 열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응축기 코일(13)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 코일(14)은 필요한 열 입력을 공기 속으로 제공하기 위해 외부 소스로부터의 증기가 공급될 수 있다. 다른 히터 장치가 또한 고려된다.
탈수 유니트의 에너지 효율을 더 최대화시키기 위해, 가열 제습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 관(21)을 통해 재순환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혼합 베인(9)은 열 흡수 교환기(8)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팬(6)으로 다시 재순환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거나 배출 파이프(23)를 통해 배출되도록 허용된다. 증기 압축 시스템으로부터의 어떤 초과 가열은 배출 파이프(23) 내에 위치된 응축기 가열 싱크(16)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신선한 공기는 흡입 파이프(22)를 통해 팬(6)에 의해 또한 빨아들여질 수 있으며, 흡입 공기 필터(17)는 흡입 파이프(22)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컨베이어 조립체(3)는 입구부 컨베이어(4)와 배출부 컨베이어(5)를 포함한다. 다수의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는 입구부 컨베이어(4)와 배출부 컨베이어(5)의 사이에 제공된다.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는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하부 단부가 다음의 인접한 컨베이어 세그먼트(30)의 상부 정면 보다 위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상기 중첩 배치는 마이크로파 킬른 터널(20)을 통해 하나의 컨베이어 세그먼트(30)로부터 다음의 컨베이어 세그먼트(30)로 식료품을 캐스캐이딩하기 위해 허용한다.
입구부 컨베이어(4)에 의해 탈수 유니트 내로 운반되는 식료품은 예열 및 세균 억제에 영향을 주도록 적외선 및 자외선 방사의 영역에 식료품을 노출시키기 위해 먼저 입구부 컨베이어(4) 보다 위에 위치되는 전처리 수단(15)을 통해 지난다. 방사의 소스가 식료품과 함께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으로써 자외선이 원치 않는 세균의 제거를 돕는 동시에 상기 식료품은 작업 온도로 예열된다. 전처리 수단(15)은 증기를 이용하거나 전기 가열 수단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탈수기의 "가열 싱크(16)"는 식료품을 위한 예열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는 후측 구동 드럼(31), 및 상기 후측 구동 드럼(31) 위에 컨베이어 벨트(33)를 지지하기 위한 전측 지지 드럼(32)을 포함한다. 측부 플레이트(34)는 조립체(30)의 각각의 측부에 제공된다. 스텐레스 스틸 반사 디시(35)는 후측 구동 드럼(31)과 전측 지지 드럼(32)의 사이에 위치되며 각각의 측부 플레이트(34)에 고정됨으로써 하나의 유니트로서 조립체(30)를 결합시킨다. 반사 디시(35)는 하부 반사기를 마이크로파 킬른(2) 내의 마이크로파 오븐 칸막이부에 제공한다.
플라스틱 커버(36)는 식료품이 하부 반사기(35)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킬른 터널(20)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33)의 표면에 걸쳐 공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하부 반사기(35)의 위에 제공된다. 확장 가능한 모서리 립(37)은 플라스틱 커버(36)의 정면 상부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모서리 립(37)은 조정 가능한 공기 편향기로서 작용한다. 모서리 립 편향기(37)는 진행 시 체인-메쉬 컨베이어 벨트(33)의 하측부 맞물림 및 요동을 변경시키기 위해 경사도 설정 바를 갖는 일렬의 유연한 나일론 뾰족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세한 메쉬 컨베이어 요동은 컨베이어의 진행 시 구동되는 기어 풀리에 의해 회전되는, 슬롯 방식의 스프로킷과 맞물리는 단부 러그(lugs)를 구비하는, 수직하게 요동하는 수평한 로드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하측부의 두드림(beating)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측 지지 드럼(32)이 조정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인장기 장치(3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33)의 인장력을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 구동 드럼(31)은 인접하는 측부 플레이트(34) 내에 제공되는 베어링(40) 안에 수용되는 일단부로부터 확장하는 스터브(stub) 축(39)을 구비한다. 검사 해치(hatches)(99)는 마이크로파 킬른(2)의 내부 검사를 허용하기 위해 엔클로저(1)의 측부 내에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드럼(31)의 타단부는 인접하는 측부 플레이트(34)의 상호 작용 보어(bore)(43) 내에 지지되는 스터브 축(42)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스터브 축(42)은 구동 키(45)의 헤드(46)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부(44)를 더 포함한다. 구동 키(45)는 구동 드럼(31)을 벨트 구동 조립체(98)의 구동 풀리(47)에 결합한다. 풀리(47)는 탈수기의 공급 컨베이어(4,5)를 포함하는 모든 컨베이어 세그먼트(30)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구동 조립체(98)를 집합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인접하는 킬른 풀리에 결합하여 추진시키는 이중 구동 벨트(48)를 구동하며 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 조립체 또는 "구동-트레인"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제된 방식으로 하나의 구동 벨트(88) 및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키 헤드(46)가 구동 드럼(3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동 키(45)는 핸들(97)을 끌어당김에 의해 후퇴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키(45)의 자루부(shank)는 컨베이어 메커니즘을 위한 과부하 안전 장치 특성으로서 "중지점 니치(break-point nitch)"(89)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는 킬른 터널(20)의 벽으로부터 측부 플레이트(34) 내의 상호 작용 개구부(50)측으로 확장하는 고정 러그(49)에 의해 또한 지지된다. 상기 장치는 보수 또는 다른 이유 때문에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신속한 탈거를 허용한다.
도 6은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체인 링크(51)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33)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체인 링크(51)는 각각의 체인 링크(51) 내의 구멍(53)을 통해 확장하는 타이 로드(52)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 스파이크(54)는 컨베이어 벨트(33)에 식료품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체인 링크(51)로부터 확장할 수 있는 반면 그와 동시에 킬른 터널(20)을 통해 지나는 공기의 요동 증가를 유도한다. 대안적으로, 이에 상응하는 구성 및 사양의 적합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이용이 고려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드럼(31)은 컨베이어 벨트(33)와 맞물리기 위해 확장하는 구동 치형부(55)를 포함한다. 구동 치형부(55)는 컨베이어 벨트 공동부(56) 내에 축적되는 어떤 식료품을 밀어내기 위해 체인 링크(51) 사이의 컨베이어 벨트(33) 내에 제공되는 개구부(56)와 맞물려진다.
도 9 및 도 10은 마이크로파 킬른(2)의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의 구성 요소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30)는 각각의 마이크로파 오븐 칸막이부의 하부 마이크로파 반사 디시(35)를 포함한다. 상부 반사 디시(60)는 상기 마이크로파 칸막이부의 상부 확장부 및 하부 확장부를 한정하기 위해 하부 반사 디시(35) 보다 위에 위치된다. 플라스틱 커버(67)는 상부 반사 디시(60)에 걸쳐 또한 제공됨으로써 상부 커버(67)와 하부 커버(36)의 사이에 한정되는 수축 공기 흐름 통로의 상부 부분을 제공한다. 강성 리브(68)는 커버를 강화시키기 위해 상부 커버(67)로부터 또한 확장할 수 있다. 더욱이, 강성 리브(68)는 킬른 터널(20) 내에 요동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배플(baffles)로서 또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방사기 호온(61)은 각각의 상부 반사 디시(60) 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방사기 호온(61)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마그네트론(62)으로부터 도파관(63)을 거쳐 마이크로파가 공급된다. 마이크로파 방사기(61)의 양측에는 상부 반사 디시(35) 및 하부 반사 디시(60)에 의해 반사되는 마이크로파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파 방사기 호온(61)으로부터 방사되는 마이크로파를 분산하고 모드식으로 교란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 분산 팬(64)이 제공된다. 편향기 팬(64)은 전기 모터(66)에 의해 회전되는 반사기 패들(65)을 각각 포함한다. 게다가, 개개의 패들 블레이드(65)의 피치는 조정 및 독립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로 하여, 각 마이크로파 칸막이부는 이용되어질 마이크로파 방사의 파장에 대해 높은 반사도를 나타내는 비-자성 재료로부터 제작되어야 한다. 이들 칸막이부는 특히, 처리 영역 내에서 및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가능한 한 많은 모드의 공진을 촉진시키는 기하학적 형상을 이용함에 의해서, 직접 및 반사하는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이용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공지된 크기를 이용한다. 특히, 탈수 유니트는 공진하는 오븐 공동부를 제공하려고 모색하며, 상기 공진하는 오븐 공동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파 소스(61)의 형상, 크기, 및 위치를 특정 선택함에 의해서, 유용한 처리 영역 내에 다수의 모드를 통해 더 효율적인 마이크로파 건조 또는 가열을 제공한다. 상기 공동부를 통해 이동하는 적재물 재료의 후속 통로(a)와, 상기 공동부의 공진 모드에 대한 크로스 커플링(b)을 갖는 상기 칸막이부의 벽으로부터의 많은 다중 반사 후를 제외하고, 어떤 마이크로파 소스(61)로부터 방사되는 파가 동일한 또는 어떤 다른 마이크로파 소스(61)로 반사되지 않도록, 패들의 편향을 허용하는, 상기 공진 공동부의 형상이 디자인된다. 상기는 공동부의 어떤 다른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으며, 즉 상기 표면에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그려지는 수직선이 공동부의 어떤 다른 표면과 직각으로 교차하지 않는, 한 표면을 따라서 상기 소스(61)를 배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 구조를 달성하는 것은, 이들 표면의 사이에 모드가 전혀 있을 수 없는 조건을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서 상기 표면에 장착되는 소스로 다시 반사되는 모드 에너지는 이들 표면에 대해 최소화된다. 사실상, 각각의 소스(또는 어떤 다른 소스)로 되돌아가는 직접 반사의 개수는 편향기 패들의 "어태크(attack)" 및 "스위프(sweep)" 각도의 고려와 당업자에게 자명할 평면 파 반사의 기하학적 형상의 이용에 관련하는 크기의 세심한 선택에 의해 실제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파 에너지 소스(61)는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서로 떨어진 두 개 이상의 실제적으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하는 각각의 오븐 공동부 내로 방사해야 한다. 작동 시, 상기 오븐 칸막이부의 구조는 공동부 보다 사이즈가 더 작은 처리 영역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크로스-커플링을 촉진시킨다. 특히 반사 및 공진 모드 에너지가 집중되는 상기 처리 영역은 이로써 챔버 내의 어느 곳 보다 더 큰 공진 모드의 집중을 달성한다. 기본적으로, 오븐 칸막이부 각각의 내측 표면의 배치는 세심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그 결과 공진 모드는 처리 영역 내에서 최대화되는 반면에, 공진 모드의 개수는 마이크로파 소스(들)의 배치 시 최소화된다. 사실상, 마이크로파 에너지 방사는 이러한 오븐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주요 공진의 앤티노드(antinode)에 배열될 수 있다. 하부 반사 디시(35)의 베이스는 피라미드 또는 적합한 형상의 오목부(indents)(93)의 연속으로 제공되는 패턴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한 형상의 표면에 대한 의도는 마이크로파 반사의 강화된 분산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파 방사기 호온(61) 내에 공진 커플링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는 것 외에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에 더 큰 강성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2는 탈수기의 흡입 단부측 구성 요소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입구부 컨베이어(4)는 입구부 컨베이어(4)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기 엔클로저(1)의 도어(74) 뒤로 후퇴되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클로저(1)로부터 밖으로 확장하도록 허용하는 가위 모양의 연동 조립체(70) 또는 다른 적당한 포개어 끼우는 식(telescopic)의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벨트(72)를 지지하기 위한 일련의 롤러(71)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72)는 조밀하게 짜여진 폴리프로필렌 또는 자외선에 견디는 테프론 코팅 케블라 메쉬(Kevlar mesh)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 드럼(90)에 의해 구동된다. 솔레노이드 램(rams)(73)은 입구부 컨베이어(4)가 필요에 따라 후퇴되고 확장되도록 허용한다. 탈수기의 엔클로저(1)로부터 공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급 컨베이어 구동 드럼(90)은 킬른 터널 내로 청소 또는 불어 내는 방식의 식료품 이송을 돕기 위해 공기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공급 개구부로부터 "벤투리 관"의 공기 억제를 유도하는 결과적인 제한을 갖는 제습 공기 이송 관의 네크부(neck) 내로 돌출한다. 상기 공급 컨베이어 벨트의 경로는 킬른 입구부(91)로부터 어떤 공기의 탈출을 더 방해한다.
엔클로저(1)의 위생 상태를 더 증진시키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72)의 바닥과 맞물리게 하기 위해 롤러(75)가 도어(74)의 주변 단부에 제공되며, 스커트부(skirting)(77)는 컨베이어(4)의 입구부측 컨베이어 벨트(72)의 제한 때문에 컨베이어(4) 보다 위에 위치된다. 위생 스커트부(77)는 반원형 단면에 탄성 힌지 결합되고 입구부 측에 오버헤드 거터(overhead guttering)를 제공하기 위해 스텐레스 스틸로 만들어지며 추가의 방사 차폐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탈수기의 엔클로저(1) 내로 높이가 고르지 못한 식료품의 공급을 돕기 위해 바로 아래의 컨베이어 지지 롤러(71)와 정렬되는 "클리어런스 바" 와 같이 이중 기능을 할 수 있다.
엔클로저(1)로부터 마이크로파의 손실은 입구부 컨베이어의 연동 또는 포개어 끼우는 식의 조립체(70)의 결합부로부터 확장하는 마이크로파 감쇠 스파이크(76)에 의해 및 구동 드럼(90)의 반사 금속 차폐물(91)과 내측 금속 라이닝에 의해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금속 차폐물(91)은 공급 컨베이어의 유도부와 보조 공기의 억제부로서 이중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배출 단부측 탈수 유니트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특히, 배출 컨베이어(5)는 도 14에서 후퇴 위치에 및 도 15에서 확장 위치에 도시된다. 배출 컨베이어(5)의 구성 요소는 입구부 컨베이어(4)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여서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로부터 바로 인접하는 하부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감압 영역(80)이 제공된다. 상기 감압 영역(80)에서, 공기가 마이크로파 킬른(2)을 통해 흐르는 상대적으로 수축된 통로가 감압 영역(80)으로 팽창됨으로써 공기 흐름 속도를 감소시킨다. 상기는 최종 컨베이어 세그먼트(30) 상의 식료품이 배출 컨베이어(5)로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며 감압은 킬른의 공기 억제를 돕는다. 또 다른 공기 억제는 지지 롤러(81)의 아래에 배출 컨베이어의 크로스 커플링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탈수기가 일련의 배치로 사용될 때, 제 1 탈수 유니트의 배출 컨베이어(5)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인접한 탈수 유니트의 입구부 컨베이어에 걸쳐 확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는 식료품이 배출 컨베이어(5)로부터 바로 다음의 탈수기 유니트의 입구부 컨베이어(4)로 떨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탈수 유니트의 작동중,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30) 상에 운반되는 식료품은 마이크로파 방사와 가열 제습 공기에 노출된다. 식료품이 한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의 하부 단부로부터 다음의 인접한 컨베이어 세그먼트 조립체(30)의 위로 캐스캐이딩될 때, 제습 건조 공기가 캐스캐이딩되는 식료품의 아래 위로 흐르도록 허용됨으로써 건조 효과를 최대화시킨다. 캐스캐이딩되며 잇따라서 요동되는 식료품의 바로 아래로부터의 공기 흐름 정도는 공기 편향기(37)와,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30)의 전방 상부 단부측 컨베이어 벨트(33)의 아래에 위치되는 상기 공기 편향기(37)와 관련된 요동기 메커니즘(58)의 조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동시에, 간헐적인 마이크로파 노출이 열에 민감한 식료품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물을 밖으로 빨아내도록 도움으로써 상기 건조를 최대화시킨다.
열 센서는 킬른 처리 영역 내에 반응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센서로부터의 피드백은 상기 처리 공정이 마이크로파 에너지의 입력, 제습 공기의 용량과 열, 또는 식료품 공급 속도의 변경에 의해 온도 제어되도록 허용한다. 더욱이, 상기 탈수 공정에 대한 관련 기술의 전기적 기능 및 제어는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모두 컴퓨터로 조정되고 통제됨으로써, 상기 완전 자동화 시스템은 상당한 노동력과 전문 기술자를 필요로 하지 않게 만든다. 프로그램 설정은 요구되는 식료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로 자동적으로 조정하고 제어할 것이다. 사실상, 탈수기는 해산물, 육류, 내장류(offal), 균류, 및 야채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범위의 식료품에 대해 프로그램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건조되어질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부터 습기의 제거를 위한 적합한 관련 조건은 그에 따라서 탈수기의 "탑재 중(on-board)인 " 전자 제어기에 프로그램된다. 탈수 처리중, 킬른 체류 시간을 포함한 입력 변수로서 주변 온도 뿐만 아니라 제습 공기의 레벨에 추가된 마이크로파의 입력은 미리 정해진 식료품 변수를 이용하여 집합적으로 컴퓨터 제어된다. 더 자세하게는, 탈수기는 전체적인 탈수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고려되는 뚜렷하게 다른 건조 방법을 달성하도록 결합된 유니트 간에 "주/종(master/slave) 관계를 이용하는 이들 통제 컴퓨터에 의해서 이들 건조기를 단계화하는 것으로서 (연속하여) 결합될 수 있다.

Claims (26)

  1. 식료품을 탈수시키기 위한 탈수기(dehydration plant)에 있어서,
    (a) 마이크로파 킬른(kiln),
    (b) 상기 킬른을 통해 식료품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수단,
    (c) 상기 킬른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
    (d) 상기 킬른을 통해 순환되어질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냉각 제습 수단, 및
    (e) 상기 킬른을 통해 순화되어질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킬른을 통해 이송되는 식료품이 마이크로파 방사와 제습 가열 공기의 흐름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식료품을 탈수시키는 탈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은 식료품이 이송될 수 있는 킬른 터널을 포함하되, 상기 킬른 터널은 이송되는 식료품을 마이크로파에 노출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을 포함하는 탈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은 상기 킬른 터널의 기다란 방향으로 다수의 마이크로파 방사기 호온(horns)을 포함하는 탈수기.
  4.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다수의 컨베이어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전측 상부 단부와 후측 하부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상기 후측 하부 단부가 상기 전측 상부 단부 보다 더 높도록 경사지게 위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상기 하나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상기 후측 하부 단부가 다음의 인접하는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전측 상부 단부 보다 위에 위치되도록 중첩 배치 관계로 위치되는 탈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전측 컨베이어 드럼 및 후측 컨베이어 드럼에 지지되고 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낮은 손실의 유전체(dielectric)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고 타이 로드(tie rods)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체인 링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개구부를 제공하는 탈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링크의 적어도 일부분은 측방향 스파이크(spike)를 포함하는 탈수 유니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는 전측 컨베이어 드럼 및 후측 컨베이어 드럼에 지지되고 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메쉬(mesh) 재료로부터 형성됨으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개구부를 제공하는 탈수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반사 디시(dish)는 상기 각각의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상기 전측 구동 드럼 및 후측 구동 드럼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마이크로파 디시는 낮은 손실의 유전체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커버를 포함하고 공기 편향기 역할을 하기 위한 상기 전측 상부 모서리에 확장 가능한 모서리 립을 구비하는 탈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가능한 모서리 립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부와 맞물리기 위해 일렬의 탄성 뾰족부(prongs)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요동을 제공하는 탈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세그먼트의 상기 각각의 반사 디시 위에 상부 반사 디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마이크로파 방사 호온은 상기 각각의 상부 반사 디시 내에 위치되며,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파 편향기 팬은 상기 각각의 상부 반사 디시 내에 더 위치되는 탈수기.
  11.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수단은 공기 순환관, 및 상기 탈수기 내로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상기 관 내에 위치되는 팬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 제습 수단 및 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순환 팬의 상기 공기 관 하부에 위치되는 탈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제습 수단은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시키기 위해 상기 순환 팬의 바로 하부에 위치되는 증발기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 수단이 상기 냉각된 공기에 열을 가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 코일의 하부에 제공되는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탈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또 다른 열 교환기는 상기 순환 팬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또 다른 열 교환기는 상기 킬른 터널을 빠져 나가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탈수기.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제습 수단은 상기 통과하는 공기에 열을 더 가하기 위해 상기 열 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되는 응축기 코일을 포함하는 탈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 내로 순환시키기에 앞서 상기 제습 가열된 공기로 또 다른 가열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 코일의 하부에 위치되는 가열 코일을 더 포함하는 탈수 유니트.
  16. 제 12항 내지 제 1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관을 통해 재순환되는 공기의 양 및 상기 탈수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공기 관 내에 혼합 베인(vane)을 더 포함하는 탈수기.
  17.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를 수용하기 위해 수송 가능한 엔클로저(enclosure)를 더 포함하는 탈수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는 별개의 표준화된 산업 화물 운송 컨테이너인 탈수 유니트.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엔클로저 내의 입구 개구부를 통해 식료품을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으로 수송하기 위한 입구부 컨베이어, 및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으로부터 상기 엔클로저의 배출 개구부를 통해 탈수된 식료품을 수송하기 위한 배출부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탈수 유니트.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으로 들어가는 상기 식료품의 예열 및 세균 억제를 위해 상기 입구부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제공되는 식품 전처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탈수기.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부 컨베이어는 상기 엔클로저 내로 후퇴될 수 있으며, 상기 엔클로저의 상기 입구 개구부는 상기 엔클로저 내의 상기 탈수기를 밀봉하기 위해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탈수기.
  22. 식료품을 탈수시키기 위해 탈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을 통해 상기 식료품을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탈수기 내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을 통해 상기 제습 가열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료품은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 내의 마이크로파 방사 및 상기 제습 가열 공기의 흐름에 노출되는 탈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 내의 하나 이상의 낙하에 걸쳐 상기 식료품을 캐스캐이딩(cascad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습 가열 공기의 흐름에 상기 식료품의 노출을 최대화시키는 탈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
  24.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을 통해 지나는 공기의 열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의 상부측 공기에 상기 수집된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
  25. 제 22항 내지 제 2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의 상부측 상기 식료품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탈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
  26. 제 22항 내지 제 2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료품에 대한 세균 억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파 킬른의 상부측 자외선에 상기 식료품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탈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
KR10-1999-7011037A 1997-05-28 1998-05-22 탈수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0507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O7056 1997-05-28
AUPO7056A AUPO705697A0 (en) 1997-05-28 1997-05-28 Dehydration plant
PCT/AU1998/000379 WO1998053711A1 (en) 1997-05-28 1998-05-22 Dehydration 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058A true KR20010013058A (ko) 2001-02-26
KR100507447B1 KR100507447B1 (ko) 2005-08-10

Family

ID=380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037A KR100507447B1 (ko) 1997-05-28 1998-05-22 탈수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33841B1 (ko)
EP (1) EP1001686A4 (ko)
JP (1) JP2001526545A (ko)
KR (1) KR100507447B1 (ko)
CN (1) CN1086569C (ko)
AU (1) AUPO705697A0 (ko)
CA (1) CA2291048C (ko)
ID (1) ID24106A (ko)
NZ (1) NZ502038A (ko)
WO (1) WO19980537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9273A1 (en) * 2001-11-09 2003-05-15 Myung-Shik Yoo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for vegetative tissue using the solid phase of water soluble polymer substances as a dehydrating ag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3016B2 (en) * 1999-01-11 2003-07-10 Microwave Processing Technologies Pty Limit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wave processing of planar materials
AUPP808499A0 (en) 1999-01-11 1999-02-04 Microwave Processing Technologies Pty Limit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wave processing of planar materials
SE515811C2 (sv) 1999-01-20 2001-10-15 Frigoscandia Equipment Ab Apparat för gasbehandling av produkter innefattande en högtryckskammare
AUPP828699A0 (en) * 1999-01-22 1999-02-18 Heatwave Systems International Pty. Ltd. Drying apparatus and methods
AU7383200A (en) * 1999-09-14 2001-04-17 Charles R. Meldrum Produce drying system utilizing multiple energy sources
EP1092353A3 (de) * 1999-10-05 2001-05-23 Santrade Ltd. Verfahren zur Trocknung von Obst- oder Gemüsefrüchten sowie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Bandtrockner
SE520713C2 (sv) * 2000-05-17 2003-08-12 Dolittle Ab Anordning, förfarande och system för torkning av biologiskt avfall
ATE378565T1 (de) * 2000-08-16 2007-11-15 John F Nova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wendung von mikrowellen
FR2866037B1 (fr) * 2004-02-09 2006-04-28 Emile Lopez Procede et dispositif de mise en temperature de granulats et/ou d'enrobes routiers, notamment d'enrobes usages a recycler
US6851545B1 (en) 2004-03-23 2005-02-08 Caddy Corporation UVC conveyor belt system
DE102004020194A1 (de) * 2004-04-22 2005-11-17 Linde Ag Vorrichtung zum Gefrieren und/oder Kühl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mit einem Ventilator ausgestatteten Kühlraum
US6941673B1 (en) * 2004-06-12 2005-09-13 National Pintu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function closed-type drying system with solar energy collection arrangement
ITTV20050039A1 (it) * 2005-03-14 2006-09-15 S M C Srl Apparecchiatura modulare, con funzione di evaporatore-essiccatore continuo, fluidificato,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e sfuso o granulare ed impianto modulare discontinuo cosi' ottenuto.
DE102006002713A1 (de) * 2005-03-18 2006-10-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rontbaugruppe für eine Wäschetrockenmaschine
US7432483B2 (en) * 2005-07-26 2008-10-07 Flint Hills Foods, Llc Continuous feed volumetric heating and convection oven
NL1029933C2 (nl) * 2005-09-12 2007-03-13 Stork Townsend Bv Inrichting voor het met een geconditioneerde luchtstroom behandelen van langwerpige voedselproducten.
EP1957921B1 (en) * 2005-11-23 2012-05-02 The Sherwin-Williams Company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energy input to a material
US9951281B2 (en) 2006-12-14 2018-04-24 John Otis Farneman Microwave 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carbonaceous compounds from polypropylene-containing products
WO2008076808A1 (en) * 2006-12-14 2008-06-26 Micro Recovery Solutions Llc Recycling and material recovery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therewith
FR2915560A1 (fr) * 2007-04-24 2008-10-31 Jacques Louis Auguste Soux Tunnel de sechage a micro-ondes
WO2009012190A1 (en) * 2007-07-15 2009-01-22 Yin Wang Wood-drying solar greenhouse
ES2746477T3 (es) * 2007-10-15 2020-03-06 Enwave Corp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el secado al vacío de materiales orgánicos con microondas
DE102008055087A1 (de) * 2008-12-22 2010-06-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Wärmepumpe und Umluftanteil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CN101595951B (zh) * 2009-06-12 2012-08-08 江苏大学 小麦麸皮在线微波与气流组合干燥装备与方法
US10057944B2 (en) 2009-11-23 2018-08-21 Yiwu Easy Open End Industrial Corp.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veying and heating objects
CA2782908C (en) 2009-12-11 2016-02-09 Edward Weisselber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lyophilization
CN101785574B (zh) * 2010-03-17 2013-03-27 王大帅 微波烘干、热风预热果蔬干燥装置
WO2011154824A2 (en) * 2010-06-12 2011-12-15 Pepsico India Holdings Pvt Ltd A method of producing dehydrated food product having light color with less browning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food product and a closed hybrid dynamic dehydration system for obtaining the said dehydrated food product
JP5530327B2 (ja) * 2010-10-06 2014-06-25 中村科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材料の水分除去方法
CN102059214A (zh) * 2010-12-06 2011-05-18 惠州市德赛聚能电池有限公司 一种涂布干燥技术及其装置
AU2012229595B2 (en) * 2011-03-15 2014-05-22 Freezing Systems Limited Recirculating continuous storage apparatus
US8910396B1 (en) * 2012-05-08 2014-12-16 SEETECH Systems, Inc. Conveyor tunnel
CA2890228C (en) * 2012-11-02 2021-11-16 Smithfield Foods, Inc. Multi-tier and spiral microwave oven dryers for rapid preparation of dry sausage
PL2920533T3 (pl) 2012-11-16 2019-03-29 Nuwave Research Inc. Aparatura i sposób do odwadniania za pomocą promieniowania mikrofalowego
US9429361B2 (en) * 2012-11-27 2016-08-30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microwave drying of ceramic articles
US9091015B2 (en) * 2012-11-28 2015-07-28 Elwha Llc Energy efficient dryer systems
US9713289B2 (en) * 2013-01-28 2017-07-18 Ch2M Hill Engineers, Inc. Modular pod
US9341410B1 (en) * 2013-04-11 2016-05-17 Gryphon Environmental, Llc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a suspension
JP6078894B2 (ja) * 2014-02-11 2017-02-15 凱 劉 新型太陽エネルギー蒸気圧力設備
CN104054798B (zh) * 2014-06-03 2016-06-01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肉制品干燥装置
US9560859B2 (en) * 2014-06-12 2017-02-07 Skinny & Co., LLC Dehumid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4207312A (zh) * 2014-08-03 2014-12-17 杜金潞 榨菜自然风脱水设备
DE102015106120A1 (de) * 2015-04-21 2016-10-27 Huber Se Verfahren zum Trocknen von Feuchtgut sowie Trocknungsanlage
AU2015401733B2 (en) * 2015-07-03 2020-02-06 Starflow Holdings Pty Ltd Dehydration apparatus and dehydration process
WO2017078639A1 (en) * 2015-11-05 2017-05-11 Türkyilmaz Murat Drier with solar radiation simulation
JP6665555B2 (ja) * 2016-01-28 2020-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乾燥装置
US9989309B1 (en) * 2016-02-01 2018-06-05 Gryphon Environment, LLC Condenser assembly for an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a suspension
US10295216B2 (en) 2016-03-23 2019-05-21 Defang Yuan Modular assembly for regulating moisture and temperature of content in a container
US10144892B2 (en) * 2016-07-28 2018-12-04 AECOM Technical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watering coal combustion residuals
US10113797B2 (en) 2016-09-09 2018-10-30 Sp Industries, Inc. Energy recovery in a freeze-drying system
CA2947373C (en) 2016-11-01 2023-01-03 Rich Naturals Inc. Mobile dehydra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6524716A (zh) * 2016-11-17 2017-03-22 天津滨海光热反射技术有限公司 超薄反射镜的镀层烘烤固化装置及控制方法
CN106595239A (zh) * 2017-01-16 2017-04-26 李德生 一种农副产品的空气能热泵烘干机
US20190041131A1 (en) * 2017-08-04 2019-02-07 Taylor Fresh Foods, Inc. Produce dryer distribution system
US10751902B2 (en) * 2017-11-28 2020-08-25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Portioner mist management assembly
US11412584B2 (en) 2017-12-08 2022-08-09 Alkar-Rapidpak, Inc. Ovens with metallic belts and microwave launch box assemblies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CN108151511A (zh) * 2018-01-18 2018-06-12 深圳市鹰慧科技有限公司 粉料干燥系统及运行工艺
CN108362112A (zh) * 2018-04-16 2018-08-03 重庆科技学院 一种实验室干燥箱用旋转干燥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800875B (zh) * 2018-06-28 2023-11-28 河南佰衡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分段控温控湿连续农特流水热泵烘干线及烘干方法
US11221179B2 (en) * 2018-10-26 2022-01-11 E. & J. Gallo Winery Low profile design air tunne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iform air flow in a refractance window dryer
CN111296868A (zh) * 2018-12-12 2020-06-19 石柱土家族自治县卓远农业开发有限公司 新鲜黄花菜多级烘干机
CN110125042B (zh) * 2019-04-12 2021-09-24 中北大学 一种分选机械
CN110279079A (zh) * 2019-06-14 2019-09-27 江苏碧青园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菊芋无菌制粉的方法
CN113317531B (zh) * 2020-08-14 2022-07-26 宁波莫宁森家庭农场有限公司 紫菜初加工用穿刺取菜脱水装置
CN112696912A (zh) * 2020-12-28 2021-04-23 南京郁氏生物科技有限公司 饲料加工用热风蒸干机
WO2022175999A1 (ja) * 2021-02-16 2022-08-25 株式会社アルバック 凍結乾燥装置、および凍結乾燥方法
CN113587607A (zh) * 2021-07-26 2021-11-02 信丰茂旺源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食用菌加工用翻动式干燥装置
CN113654306A (zh) * 2021-07-28 2021-11-16 南京工业大学 一种太阳能脉冲电源驱动磁场耦合高压电场干燥装置
CN113739547B (zh) * 2021-08-11 2023-01-31 济南金沃楼宇设备有限公司 一种微波烘干设备的自动检测物料系统
CN113758158B (zh) * 2021-09-24 2022-05-17 四川大学 微波真空冻干装置
CN113974187A (zh) * 2021-12-15 2022-01-28 河南世纪香食用菌开发有限公司 食用菌加工用均流烘干系统
CN115493387B (zh) * 2022-08-12 2023-09-22 麦卡尼食品设备(中山)有限公司 一种可加热可制冷的干燥机
CN115886283B (zh) * 2023-01-06 2023-05-19 福建省菌芝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食用菌脱水烘干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00A (en) * 1893-08-29 Art of concentrating magnetic iron ores
US419526A (en) * 1890-01-14 William h
DE1904166A1 (de) * 1968-01-30 1969-09-04 Schuette Henry Willia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flaechigen Materials
DE2248640C3 (de) 1972-10-04 1979-05-03 Karl 7813 Staufen Rinderl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ebkuchen o.dgl. und Trockenkammer dafür
US4045638A (en) * 1976-03-09 1977-08-30 Bing Chiang Continuous flow heat treat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US4409453A (en) * 1976-05-19 1983-10-11 Smith Donald P Combined microwave and impingement heating apparatus
IT1160889B (it) 1978-10-26 1987-03-11 Berti Furic Impianto di essiccazione particolarmente per legname
JPS56134962A (en) 1980-03-26 1981-10-22 Noriro Yajima Tea-making machine
JPS5764588U (ko) 1980-10-07 1982-04-17
DE3164226D1 (en) * 1980-11-14 1984-07-19 Mikrovagsapplikation Mva Ab A method of carrying out the drying of wooden objects
FR2587464B1 (fr) 1985-09-19 1989-08-18 Lafon Labor Procede de sechage d'un produit congele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US4640020A (en) * 1985-11-27 1987-02-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Zoned microwave drying apparatus and process
US4720924A (en) * 1986-11-03 1988-01-26 R & J Engineering Corporation Microwave drying of pharmaceutical gelatin capsules
IT1224377B (it) 1988-06-07 1990-10-04 O M A C Srl Metodo per la pastorizzazione e la sterilizz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con microonde e forno relativo
US5401940A (en) * 1990-01-10 1995-03-28 Patentsmith Ii, Inc. Oscillating air dispensers for microwave oven
IT1247105B (it) 1991-02-27 1994-12-12 Barilla Flli G & R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nidi di pasta alimentare secca
DE4231897C2 (de) * 1992-09-20 1997-02-27 Schulz Verfahrenstechnik Gmbh Verfahren zur kombinierten thermischen Behandlung eines Produktes durch Mikrowellen und Konvektion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06194943A (ja) 1992-12-24 1994-07-15 Canon Inc 現像方法
JPH06194043A (ja) * 1992-12-25 1994-07-15 New Japan Radio Co Ltd マイクロ波荒茶乾燥装置
AU6176994A (en) * 1993-02-22 1994-09-14 Greenhalgh Refrigeration Pty Ltd Improvements in or in relation to dehydration units
WO1994019656A1 (en) 1993-02-22 1994-09-01 Greenhalgh Refrigeration Pty. Ltd. Improvements in or in relation to dehydration units
JPH07124388A (ja) 1993-10-28 1995-05-16 Miura Kenkyusho:Kk 乾燥機
AUPM601794A0 (en) 1994-05-31 1994-06-23 Pjc Airconditioning Manufacturers Pty Ltd Drying process
JPH08178522A (ja) 1994-12-19 1996-07-12 Hitachi Ltd 乾燥装置
US5541390A (en) * 1995-03-20 1996-07-30 Cidelcem Industries Tunnel oven for microwave heating and cooking foods
US5603973A (en) * 1995-06-07 1997-02-18 Heat And Control, Inc. Process for preparing a baked, non-oil containing snack food product
US5934178A (en) * 1997-01-04 1999-08-10 Heat & Control, Inc. Air impingement oven
US5957274A (en) * 1998-11-20 1999-09-28 Ovadia; Joseph Jewelry pad with flexible, resilient opposing Z-lock fingers, and a slot which is open behind and below the fingers for receiving a ta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9273A1 (en) * 2001-11-09 2003-05-15 Myung-Shik Yoo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for vegetative tissue using the solid phase of water soluble polymer substances as a dehydrating agent
US7169434B2 (en) 2001-11-09 2007-01-30 Myung-Shik Yoo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for vegetative tissue using the solid phase of water soluble polymer substances as a dehydrating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PO705697A0 (en) 1997-06-19
EP1001686A4 (en) 2000-09-20
CA2291048C (en) 2009-10-06
WO1998053711A1 (en) 1998-12-03
US6233841B1 (en) 2001-05-22
ID24106A (id) 2000-07-06
NZ502038A (en) 2000-11-24
EP1001686A1 (en) 2000-05-24
CA2291048A1 (en) 1998-12-03
CN1265010A (zh) 2000-08-30
CN1086569C (zh) 2002-06-26
JP2001526545A (ja) 2001-12-18
KR100507447B1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7447B1 (ko) 탈수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0755384B1 (ko) 연속식 농수축산물 건조 시스템
US32775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A2250878C (en) Device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bulk material in screw conveyors
US10563165B2 (en) Organic waste digester system
US4229886A (en) Microwave heated vacuum dryer for powders
AU2015401733B2 (en) Dehydration apparatus and dehydration process
US20080163640A1 (en) Impingement Freezer
US3477242A (en) Fluid bed apparatus for treating food products
KR101730971B1 (ko) 신속 저염김치 제조시스템
AU725112C (en) Dehydration plant
RU199951U1 (ru) Вакуумная камер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ушки
RU2175427C1 (ru) Установка сушильная конвейерная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Sturgeon Conveyor dryers
RU247995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вч-обработк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или материалов
NL1020441C2 (nl) Droog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RU2084786C1 (ru) Сушил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RU2265169C2 (ru) Сушилка инфракрасная
US2451316A (en) Apparatus for desiccation
EP03756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tton bales for removing fungi and micro-organisms therefrom
RU2045187C1 (ru) 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US11964823B2 (en)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RU2770628C1 (ru) СВЧ-конвективная хмелесушилка непрерывно-поточного действия с полусферическим резонатором
RU2078522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действия
RU206359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