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289A - 열전사기록매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전사기록매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289A
KR20010012289A KR1019997010241A KR19997010241A KR20010012289A KR 20010012289 A KR20010012289 A KR 20010012289A KR 1019997010241 A KR1019997010241 A KR 1019997010241A KR 19997010241 A KR19997010241 A KR 19997010241A KR 20010012289 A KR20010012289 A KR 20010012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transfer recording
ink layer
isocyanat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기따주니찌로
다까하시히데아끼
Original Assignee
구리다 히데유키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리다 히데유키,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리다 히데유키
Publication of KR2001001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2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 B41M5/035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by transferring ink from the master sheet by sublimation or volatilisation of pre-printed design, e.g. subl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자후에 바로 사용한 경우에도 충분한 내오일성을 가지고, 또한 인자대상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사가 가능한 열전사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전사기록매체는 기재 위에 박리층 및 잉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열전사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수지 (C) 를 함유한다. 이 잉크층은 예컨대 가열처리에 의해 기재 위에서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잉크층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및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열전사기록매체 및 그의 제조방법{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최근 바코드 이미지는 예컨대 식품이나 잡화 분야에서 유통·비용관리에 필수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코드 이미지를 작성하는 데에는 열전사기록매체를 사용한 감열기록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열전사기록매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비교적 융점 또는 연화점이 낮은 왁스를 주성분으로 한 잉크층을 형성한 구조의 것이 주류이며, 이러한 열전사기록매체에 있어서는 프린터내에 설치된 서멀 헤드의 열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잉크층이 라벨, 종이, 태그 등의 시트에 전사된다.
그런데, 종래 바코드 이미지를 인자한 라벨을 오일 및 화학약품의 용기 관리에 사용하거나, 혹은 오일 및 약품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제조공정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취급시에 오일이 용기로부터 넘치거나, 또한 제조공정중에 오일 등이 비산하여 바코드 이미지를 오염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내오일성 및 내약품성이 양호한 바코드 이미지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종래 몇가지의 열전사기록매체가 검토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38094 호에는 박리층, 보호층, 착색층 및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시트가 기재되어 있고, 전사후에 경화반응시킴으로써 내용제성이 우수한 전사화상을 얻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66993 호에는 박리층,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열전사 시트가 기재되어있고, 전사후에 적극적으로 전리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내용제성이 우수한 인자물을 얻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상술한 열전사기록매체는 분명 인자물의 내용제성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인자물을 경화시키는 수단이 필요해짐과 동시에 인자후 바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인자대상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가열 등에 의해 변성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인자후에 열경화처리를 실시할 수 없는 것도 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60584 호에는 착색제와 열가소성 폴리올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잉크층을 갖는 감열전사기록매체가 기재되어있고, 이 감열전사기록매체를 이용하면 화상의 내약품성이 현저하게 개선됨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상기 열전사기록매체는 분명 화상의 내약품성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사용되는 경화제는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알루미늄-디이소프로피네이트 등의 이른바 알루미늄킬레이트 화합물로서, 이와 같은 킬레이트 화합물은 공기중의 수분 혹은 잉크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용제중의 수분에 의해서도 쉽게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열전사기록매체에 있어서 길게 잉크층을 연속적으로 도포형성하고자 하면 잉크가 경화되어 도포형성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다.
한편, 오일 등의 종류에 주목하면 브레이크 오일 등과 같은 고흡습성이며 비휘발성인 오일에 대해 충분한 내용제성을 갖는 열전사기록매체는 상기 열전사기록매체 뿐 아니라 다른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도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인자후에 바로 사용한 경우에도 충분한 내오일성을 가지고, 또한 인자대상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사가 가능한 열전사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 오일 등과 같은 고흡습성이며 비휘발성인 오일을 사용하더라도 바코드 이미지가 오염되지 않는 열전사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층이 급격하게 반응하지 않으며 오래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열전사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잉크층을 전사전에 기재 위 (박리층 위) 에서 미리 경화시켜 둠으로써 열전사기록매체의 내오일성이 향상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재(基材) 위에 박리층 및 잉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열전사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結着)수지 (C) 를 함유하고, 이 잉크층이 상기 기재 위에서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열전사기록매체는 기재 위에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수지 (C) 를 함유하는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경화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잉크층이 미리 경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시에 박리층과 혼합되기 어렵고, 따라서 열전사기록매체의 내용제성이 열화되지 않으므로 내오일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자후에 경화처리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자후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열 등에 의해 변성될 우려가 있는 것에 대해서도 인자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경화처리는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12 내지 36 시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잉크층을 전사전에 경화시키면 일반적으로 잉크층의 전사성을 저하시키지만, 본 발명자들은 브레이크 오일이 통상 알코올계 용제 (예컨대 폴리글리콜에테르) 인 것에 착안하여 잉크층의 수지로서 염화비닐계 수지의 사용을 선택하고, 또한 염화비닐계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잉크층을 사용함으로써 전사전에 미리 경화처리하여도 잉크층의 전사성이 유지됨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잉크층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및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결착수지 (C) 의 접착성이 높고 또한 견고하며 무르기 (끊김성이 양호) 때문에, 비교적 낮은 인자에너지에 의해 인자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잉크층으로 형성된 기재 위의 화상은 매우 강고하므로 브레이크 오일에 대해서도 오염되지 않고 충분한 내오일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염화비닐계 수지의 조합은 급격하게 경화가 시작되지 않으므로 길게 잉크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잉크층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염화비닐계 수지를 함유시키면 전사전에 미리 경화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내오일성이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재 위에 박리층 및 잉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열전사기록매체에 있어서, 이 잉크층에 적어도 착색제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및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기재 위에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수지 (C) 를 함유하는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소정의 온도 및 시간 (예컨대 상온에서 200 시간 이상) 방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잉크층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의 배합량에 관해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에 2 내지 60 중량부로 할 수도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열전사기록매체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전사기록매체는 기재 위에 박리층 및 잉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구성을 가지고, 이 잉크층은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수지 (C) 를 함유하고, 잉크층이 상기 기재 위에서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는 종래의 열전사기록매체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콘덴서 종이나 황산지와 같은 종이로 이루어지는 기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재의 두께는 필름의 강도 및 열전도의 관점에서 2 내지 12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 ㎛ 이다.
본 발명의 박리층은 열전사시에는 잉크층의 전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평상시 (비열전사시) 에는 기재 및 잉크층에 대해 양호하게 접착하여 잉크층의 박탈락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이 있다.
박리층의 재료로는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을 때의 융점이 60 내지 11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카르나바왁스, 캔데릴러왁스, 라이스왁스, 파라핀왁스, 폴리에틸렌 등의 왁스류나, EVA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층의 두께는 다른 구성요소, 예컨대 기재나 잉크층의 재료 또는 인자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으나, 인자의 에너지, 도공성 및 인자품질의 관점에서는 0.2 내지 1.5 g/㎠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잉크층은 적어도 착색제 (A) 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과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과 반응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착색제는 종래부터 열전사기록매체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카본블랙이나 컬러안료, 구체적으로는 카민 B (마젠다), 옐로 GL (옐로), 블루 4040 (시안), 오렌지 G (오렌지)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착색제는 잉크층 중의 구성재료를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에 5 내지 7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으나, 잉크층의 전사성을 고려하면 40 내지 6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경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된다. 예컨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산화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는 염화비닐계 수지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시키기 위해서는 염화비닐계 수지중의 분자중의 주쇄 또는 측쇄에,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등과 같은 관능기를 도입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수지는 시판품으로 입수할 수 있다. 예컨대 MR 110, MR 112, MR 113, MR 104 등과 같은 상품명으로 특정되는 닛뽕제온사 제조의 염화비닐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염화비닐계 수지의 비율은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로 한 경우에 5 내지 6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0 내지 20 중량부이다.
여기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첨가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인자조건에 따라서는 전사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층은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인자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수지를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잉크층의 두께는 0.5 내지 2.5 g/㎡ 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주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재의 잉크층을 형성하는 쪽과 반대쪽에 공지된 실리콘 공중합체나 실리콘오일을 사용하여 내열활성층을 형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활성층으로서의 성능 및 권취후의 잉크층으로의 전착방지 관점에서는 내열활성층의 두께는 0.1 내지 0.5 g/㎡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전사기록매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작성할 수 있다. 즉, 기재 위에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그라비어코팅 등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그라비어코팅 등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단, 본 발명의 열전사기록매체는 상기 잉크층을 형성한 후에 잉크층의 경화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포함된다.
이 경우, 잉크층의 경화처리는 박리층을 연화시키지 않도록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40 내지 50 ℃ 의 범위에서 12 내지 36 시간 정도 실시한다. 그럼으로써 잉크층이 거의 완전하게 경화된다.
한편, 열전사기록매체를 바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잉크층을 형성한 후에 상온 (20 ±5 ℃) 에서 200 시간 이상 방치함으로써 충분히 경화된 잉크층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열전사기록매체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전사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자품질(印字品質), 내오일성이 우수한 열전사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내열활성층 조성물의 제조)
다음의 재료를 용제로서 M.E.K (메틸에틸케톤) 98 중량부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내열활성층 조성물을 제조한다.
아크릴 변성 실리콘 수지 (사이막 308, 토오아고오세사 제조) 1.3 중량부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D110, 다께다야꾸힝고오교사 제조) 0.7 중량부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다음의 재료를 용제로서 가열한 톨루엔 90 중량부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에스테르왁스 (OP 왁스, 헥스트사 제조) 9 중량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KA-31, 스미토모가가꾸사 제조) 1 중량부
그리고, 이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의 융점은 95 ℃ 였다.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의 작성)
다음의 재료를 용제로서 M.E.K. 80 중량부를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 (MR 110, 닛뽕제온사 제조) 8.0 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D 110, 다께다야꾸힝고오교사 제조) 0.16 중량부
카본블랙 (Regal 660, 카봇사 제조) 12.0 중량부
그리고, 이 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에는 수산기 (-OH) 를 갖는 공중합체 유닛이 약 0.6 % 정도 함유되어 있다.
(열전사기록매체의 작성)
상기 내열활성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비어코팅에 의해 두께 4.6 ㎛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F5, 데이진사 제조) 의 한쪽 면 (뒤쪽 면) 에 내열활성층을 형성시킨 후 용제를 휘발시킨다.
이어서, 상기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비어코팅에 의해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다른 쪽 면 (앞쪽 면) 에 박리층을 형성시킨 후 용제를 휘발시킨다.
또한, 상기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이버코팅에 의해 상기 박리층 위에 잉크층을 형성시켜 용제를 휘발시킨 후, 온도 50 ℃ 에서 24 시간 경화처리를 실시하고 목적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를 얻는다.
여기에서, 각 층의 두께는 내열활성층이 0.1 g/㎡, 박리층이 1.0 g/㎡, 그리고 잉크층이 1.0 g/㎡ 이다.
(평가)
상술한 열전사기록매체를 다음의 평가항목에 따라 평가한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열전사기록매체의 실시예 및 비교예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 기재 위 경화 평가항목
결착수지(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중량부) 카본블랙(중량부) 인자품질 내브레이크 오일성
실시예 1 8.0 0.16 12.0 50℃ 24 시간 O O (35)
실시예 2 8.0 0.40 12.0 50℃ 24 시간 O O (45)
실시예 3 8.0 0.80 12.0 50℃ 24 시간 O ◎ (70)
실시예 4 8.0 1.60 12.0 50℃ 24 시간 O ◎ (65)
실시예 5 8.0 2.40 12.0 50℃ 24 시간 ◎ (80)
실시예 6 8.0 4.00 12.0 50℃ 24 시간 ◎ (100)
실시예 7 8.0*1 1.60 16.0 50℃ 24 시간 O (17)
실시예 8 8.0*2 1.60 20.0 50℃ 24 시간 O O (15)
실시예 9 8.0 1.60 12.0 O O (12)
비교예 1 8.0*1 1.60 16.0 O ×(3)
비교예 2 8.0*2 1.60 20.0 O ×(4)
(주) [결착수지]무표시 : 염화비닐계 수지 (MR 110, 닛뽕제온사 제조)*1: 폴리에스테르 수지 (UE 3350, 유니티카사 제조)*2: 폴리우레탄 수지 (PRH 115, 닛뽕폴리우레탄사 제조)
1. 인자품질
감열전사 프린터 (ZEBRA-140Xi, Zebra Technologies 사 제조) 를 사용하여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라벨 (Select 21830, FLEXCON 사 제조) 위에 2 인치 (5.08 ㎝)/sec 의 인자속도로 바코드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인자물의 끊김(skip)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여기에서는 인자물에 끊김이 없이 인자품질이 바람직한 것을『O』, 인자물에 약간의 끊김이 관찰되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인자물에 다수의 끊김이 확인되어 실용상 문제가 있는 것을『×』로 한다.
2. 내브레이크 오일성
견뢰도 염색시험기의 가동대에 상기 라벨에 인자된 직후의 바코드 이미지를 앞쪽으로 하여 부착하고, 그 위로 브레이크 오일 (폴리에틸렌글리콜에테르) 을 적신 천을 둘러 감은 자중 400 g/㎠ 의 분동을 올리고, 가동대를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바코드 이미지의 표면을 문지름과 동시에 이 바코드 이미지가 오염될 때 까지의 가동대의 사이클 회수를 계측한다.
여기에서는 사이클 회수가 31 회 이상으로 내용제성이 특히 우수한 것을『◎』, 사이클 회수가 12 회 내지 30 회로 내용제성이 우수한 것을『O』, 사이클 회수가 11 회 이하로 실용상 적합하지 않은 것을『×』로 한다.
(결과)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열전사기록매체는 인자품질이 우수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오일에 의해서도 사이클 회수가 35 회 까지는 바코드 이미지가 오염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에서는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중량부를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사기록매체를 작성한다. 이 열전사기록매체를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한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결과)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의 열전사기록매체는 인자품질, 내브레이크 오일성 모두 양호하다.
특히,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당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10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열전사기록매체는 인자품질, 내브레이크 오일성 모두 양호하여 본 발명의 최선의 태양임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에서는 실시예 4 에 있어서, 염화비닐계 수지를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로 치환한 것 이외 (카본블랙의 양은 약간 많음) 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사기록매체를 작성한다. 이들 열전사기록매체를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한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결과)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의 열전사기록매체는 내브레이크 오일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인자품질은 양호하여 실용상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실시예 9
실시예 9 에서는 실시예 4 에 있어서, 기재 위에서 경화를 실시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사기록매체를 작성한다. 이 열전사기록매체를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한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결과)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9 의 열전사기록매체는 내브레이크 오일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인자품질은 양호하여 실용상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에서는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에 있어서, 기재 위에서 경화를 실시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및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전사기록매체를 작성한다. 이들 열전사기록매체를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한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결과)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의 열전사기록매체는 인자품질은 양호하지만, 모두 내브레이크 오일성이 극단적으로 떨어져서 실용상 적합하지 않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전사기록매체는 인자대상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전사가 가능하고 내용제성이 양호한 열전사기록매체로 유용하며, 특히 열전사기록매체의 내브레이크 오일성 및 인자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하다.

Claims (13)

  1. 기재 위에 박리층 및 잉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열전사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수지 (C) 를 함유하고, 이 잉크층이 상기 기재 위에서 경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및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
  3. 기재 위에 박리층 및 잉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열전사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적어도 착색제 (A),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및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의 배합량이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에 2 내지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의 배합량이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에 2 내지 6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
  6. 기재 위에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수지 (C) 를 함유하는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소정의 온도에서 경화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및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처리는 상기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12 내지 36 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처리는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12 내지 36 시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10. 기재 위에 박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적어도 착색제 (A), 경화제 (B) 및 결착수지 (C) 를 함유하는 잉크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소정의 시간 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b) 및 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수지 (c)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잉크층을 형성한 후에 상온에서 200 시간 이상 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잉크층을 형성한 후에 상온에서 200 시간 이상 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기록매체의 제조방법.
KR1019997010241A 1998-03-06 1999-03-05 열전사기록매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10012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73258 1998-03-06
JP07325898A JP3477361B2 (ja) 1998-03-06 1998-03-06 熱転写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289A true KR20010012289A (ko) 2001-02-15

Family

ID=1351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241A KR20010012289A (ko) 1998-03-06 1999-03-05 열전사기록매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74607B1 (ko)
EP (1) EP0980766B1 (ko)
JP (1) JP3477361B2 (ko)
KR (1) KR20010012289A (ko)
CN (1) CN1186206C (ko)
DE (1) DE69920603T2 (ko)
SG (1) SG98044A1 (ko)
WO (1) WO1999044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327B2 (ja) * 1998-10-09 2002-07-15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熱転写記録媒体
JP2001301343A (ja) * 2000-04-24 2001-10-31 Ricoh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CN1304207C (zh) * 2001-10-01 2007-03-14 派拉迪格玛有限公司 制造片形介质的方法及其所得的片形介质和使所述片形介质着墨的方法
US7102657B2 (en) * 2003-03-14 2006-09-05 Paxar Americas, Inc. Thermal transfer media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EP1698673B1 (en) * 2003-12-25 2009-03-11 DIC Corporation Ink and laminate sheet
US7547105B2 (en) * 2007-07-16 2009-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ismatic retroreflective article with cross-linked image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610427B1 (ko) * 2008-12-08 2016-04-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그래픽을 갖는 프리즘형 재귀반사성 물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A2745875A1 (en) * 2008-12-08 2010-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overlay bearing a graphic and retroreflective articles comprising the overlay
CN106739629B (zh) * 2016-11-09 2018-11-09 武汉华工图像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激光全息防伪膜
US10406830B2 (en) 2017-03-29 2019-09-10 Xerox Corporation Decal print process
CN113263850B (zh) * 2021-05-13 2022-11-01 刘晨 一种改善水洗褪色现象的乳胶墨水数码打印膜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7974A (en) * 1973-11-08 1975-09-23 Dennison Mfg Co Curable decorating systems for glass or metal containers
JP2619269B2 (ja) 1988-07-28 1997-06-11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転写シート
JPH02160584A (ja) 1988-12-14 1990-06-20 Ricoh Co Ltd 感熱転写記録媒体
JP2995066B2 (ja) * 1989-09-18 1999-12-27 ソニー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用インクリボン
JP3017228B2 (ja) 1989-11-27 2000-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H03270983A (ja) * 1990-03-20 1991-12-03 Fujitsu Ltd 熱転写インクシートの製造方法
JPH04153091A (ja) * 1990-10-18 1992-05-26 Oji Paper Co Ltd 染料熱転写受容シート
JP3030426B2 (ja) * 1991-08-28 2000-04-10 株式会社リコー 熱転写記録媒体
JPH0585062A (ja) * 1991-09-27 1993-04-06 Pentel Kk 感熱転写型記録材の製造方法
JP3668525B2 (ja) * 1995-06-15 2005-07-06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材料
EP0846570B1 (en) * 1996-06-27 2001-10-04 Kabushiki Kaisha Pilot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JP3936423B2 (ja) * 1997-01-31 2007-06-27 ゼネラル株式会社 感熱転写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4607B1 (en) 2001-01-16
SG98044A1 (en) 2003-08-20
EP0980766A4 (en) 2001-01-17
CN1186206C (zh) 2005-01-26
DE69920603D1 (de) 2004-11-04
EP0980766A1 (en) 2000-02-23
EP0980766B1 (en) 2004-09-29
JPH11254839A (ja) 1999-09-21
CN1256664A (zh) 2000-06-14
JP3477361B2 (ja) 2003-12-10
WO1999044836A1 (fr) 1999-09-10
DE69920603T2 (de)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524B2 (en) Releasing composition
KR20010012289A (ko) 열전사기록매체 및 그의 제조 방법
EP0629513B1 (en) Thermal transfer sheet
CA2219534A1 (en) Method of printing on linerless labels
JPS62240589A (ja) マ−カ−アツセンブリ
JPS63222892A (ja) 熱転写材
EP0841188B1 (en) Thermal printing ink ribbon
JPH05305782A (ja) 熱転写インク用受像体および熱転写インクリボン
JP3769246B2 (ja) 熱転写記録媒体
KR20050002839A (ko)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
JP4837318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GB2270392A (en) Thermal transfer ribbon
JP2001191652A (ja) 熱転写媒体
JPH0577568A (ja) 熱転写シート
JP5729443B2 (ja) 熱転写シート
JP4263833B2 (ja) 熱転写媒体
JP2005001291A (ja) 熱転写記録媒体
JP3014954B2 (ja) 感熱転写記録媒体セット
JP3014954B6 (ja) 感熱転写記録媒体セット
JP5687574B2 (ja) 感熱転写媒体
JPH03274186A (ja) 樹脂型熱転写記録材
JPH0299391A (ja) 熱転写記録媒体
JP3729598B2 (ja) 感熱転写記録材料
JPH02147291A (ja) 感熱転写記録媒体セット
JPH09248973A (ja) 感熱転写媒体、オーバーコート転写媒体および印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