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839A -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 - Google Patents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839A
KR20050002839A KR10-2004-7013825A KR20047013825A KR20050002839A KR 20050002839 A KR20050002839 A KR 20050002839A KR 20047013825 A KR20047013825 A KR 20047013825A KR 20050002839 A KR20050002839 A KR 2005000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layer
thermal transfer
molten
vin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몬주다쿠야
Original Assignee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케미카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1)는 화상 정보와 보호 필름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견고한 인화물을 수득하는 것이며, 용융형 하도제층(181)과 용융형 잉크층(171)으로 이루어진 용융형 전사부(161)를 가지며, 용융형 하도제층(181)은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다.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가열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되며,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므로 가열에 의해 용융형 전사부(161)를 기재 시트(11)로부터 용이하게 전사하여, 인쇄층(47)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층(47)의 표면에는 용융형 하도제층(181)의 재료로 이루어진 잔류 수지(49)가 노출되어 있지만,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보호부(251)의 표면 부분에 있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접착성이 높으므로 보호부(251)와 인쇄층(47)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는다.

Description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and photographic print}
도 7에 모식적 단면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부터 열전사 프린터에 사용되고 있는 열전사 기록 매체(101)는 기재 시트(111)와 이러한 기재 시트(111) 위에 배치된 잉크층(116)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들, 잉크층(116)과 기재 시트(111) 사이에는 왁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하도제층(115)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도제층(115)을 개재시켜 잉크층(116)이 기재 시트(11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열전사 기록 매체(101)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데는 열전사 기록 매체(101)의 잉크층(116)과는 반대측의 면에 가열 헤드를 바싹 대어서 잉크층(116)의 표면을 기록용 시트에 밀착시킨다.
가열 헤드에 통전(通電)하여, 열전도에 의해 열전사 기록 매체(101)를 가열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가열된 부분의 하도제층(115)이 연화 또는 용융된다.
열전사 기록 매체(101)와 기록용 시트를 가열 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행시키면, 열전사 기록 매체(101)의 가열 헤드로부터의 이간(離間)된 부분에서 잉크층(116)이 기록용 시트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열전사 기록 매체(101)가 기록용 시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용융된 하도제층(115)이 응집 파괴를 일으키며, 잉크층(116)의 상술된 가열된 부분이 기록용 시트에 전사된다. 이와 같이 전사된 잉크의 집합체에 의해 문자나 도형 등의 화상 정보가 기록용 시트에 형성되며, 목적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화상 정보에 보존성이나 광택성을 높이기 위해 기록용 시트의 화상 정보가 형성된 면, 즉 인쇄면에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부, 즉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전사된 잉크의 표면에는 응집 파괴된 하도제층(115)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도제층(115)을 구성하는 왁스와 보호 필름은 이의 접착성이 낮으므로 보호 필름과 잉크가 밀착되지 않으며, 보호 필름과 인쇄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의 보호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열전사 프린터에 적용하기에 적절한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공정의 전반(前半)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공정의 후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화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열전사 기록 매체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하기에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1)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테이프상의 열전사 기록 매체이며, 이러한 열전사 기록 매체(1)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시트(11)를 갖고 있다.
이러한 기재 시트(11) 위에는 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인쇄 단위를 갖는다. 도면에는 2개의 인쇄 단위(101, 102)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 인쇄 단위(101, 102)는 이러한 열전사 기록 매체(1)의 인쇄 대상인 기록용 시트 1장에 대해 1개가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각 인쇄 단위(101, 102)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1개의 인쇄 단위(101)를 사용하여 이의 구성을 설명하면, 1개의 인쇄 단위(101)는 복수의 승화형 전사부(여기서는 3개)(131, 141, 151), 1개의 용융형 전사부(161) 및 1개의 보호부(251)를 갖고 있다.
열전사 기록 매체(1)는 기록용 시트의 인쇄에 사용될 때에는 프린터 내에서 1방향으로 송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1개의 인쇄 단위(101) 내에서는 3개의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가 열전사 기록 매체(1)의 진행 방향의 선두로부터 이 순서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다음에 용융형 전사부(161)와 보호부(251)가 이러한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도면 왼쪽 방향이 이의 송출의 진행 방향이며, 도면 오른쪽 방향이 송출원으로 되어 있다.
각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는 기재 시트(11) 위에 배치된 승화용 하도제층(261, 271, 281)과, 이들 승화용 하도제층(261, 271, 281) 위에 배치된 승화형 잉크층(211, 221, 231)을 각각 갖고 있다.
모든 승화용 하도제층(261, 271, 281)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1개의 인쇄 단위(101)의 승화형 잉크층(211, 221, 231)은 착색제로서 서로 상이한 색깔의 승화성의 염료가 함유되어 있다.
여기서는, 선두로부터 순차로 옐로, 마젠타, 시안의 염료를 함유하는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또한, 용융형 전사부(161)는 기재 시트(31) 위에 배치된 용융형 하도제층(181)과 용융형 하도제층(181) 위에 배치된 용융형 잉크층(171)을 갖고 있다.
용융형 하도제층(181)은 승화용 하도제층(261, 271, 281)과는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기하는 인쇄시에 승화용 하도제층(261, 271, 281)은 가열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되지 않고서 기재 시트(11)에 고정되지만, 용융형 하도제층(181)은 가열에 의해 연화 또는 용융되어 용융형 하도제층(181) 내부에서 박리되도록 되어 있다.
용융형 잉크층(171)은 상기한 승화형 잉크층(211, 221, 231)과는 상이한 색깔의 착색제를 갖고 있으며, 용융형 잉크층(171)을 가열해도 착색제는 승화되지 않으며, 용융형 잉크층(171) 전체가 연화 또는 용융되어 접착성을 발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용융형 잉크층(171)은 착색제로서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흑색 잉크로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11)의 표면 및 이면중에서 인쇄 단위(101, 102)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배면층(12)이 설치되어 있다. 배면층(12)을 구성하는 재료는 내열성이 높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하기하는 가열 헤드를 배면층(12)에 바짝 대어서 당해 가열 헤드를 발열시켜, 열전사 기록 매체(1)를 승온시킬 때에는 기재 시트(11)가 열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열전사 기록 매체(1)를 사용하여 인쇄 대상물인 기록용 시트에 인쇄를 실시하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3색의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 중의 제1 색째의 옐로의 승화형 전사부(131)에 의해서 기록용 시트(31)에 문자, 도형 등의 소정 정보를 인쇄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인쇄되는 기록용 시트(31)는 열전사 기록 매체(1)가 장착된 프린터에 삽입되며, 1개의 인쇄 단위(101)의 선두를 일치시킨 상태로 프린터의 가열 헤드(35)와 압입 로울러(39) 사이로 송출되고 있다.
가열 헤드(35)는 열전사 기록 매체(1)의 배면층(12) 측에 배치되며, 압입 로울러(39)는 이의 반대측의 기록용 시트(31)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열전사 기록 매체(1)와 기록용 시트(31)를 정지시킨 상태로 가열 헤드(35)의 가열면(36)을 배면층(12)의 표면에 맞닿게 하여 열전사 기록 매체(1)와 기록용 시트(31)를 압입 로울러(39)에 압입하면, 기록용 시트(31)의 인쇄면(33)은 승화형 전사부(131)의 승화형 잉크층(211)과 밀착된다.
가열 헤드(35)의 가열면(36)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층(12)의 표면에는 열전사 기록 매체(31)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가열 헤드(35)의 내부에는 발열소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 헤드(35)와 압입 로울러(39)로 열전사 기록 매체(1)를 기록용 시트(31)에 압입하면서 인쇄해야 할 패턴에 따르는 위치의 발열소자를 발열시키면, 발열된 발열소자의 패턴으로 승화형 잉크층(211)의 염료가 승화된다.
승화된 염료는 기록용 시트(31)에 침투하며, 기록용 시트(31)에 제1 색상 잉크층(211)에 의한 인쇄가 이루어진다.
기록용 시트(31)의 인쇄해야 할 영역은 가열면(36)의 폭보다 길기 때문에 발열에 의한 인쇄와 기록용 시트(31) 및 열전사 기록 매체(31)의 송출을 교대로 반복하여 실시하면, 기록용 시트(31) 위의 원하는 영역에 제1 색상의 승화형 전사부(131)에 의해 문자나 도형 등의 화상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제1 색상의 승화형 전사부(131)에 의해, 제1 색상의 화상 정보의 인쇄가 종료되면, 하류측에 배치하며, 다음 인쇄에 사용되어야 하는 승화형 전사부(141)의 선두 위치가 가열 헤드(35)의 위치에 배치되며, 기록용 시트(31)의 선두 위치가 다시 가열 헤드(35)의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색상의 승화형 전사부(131)와 동일한 순서로 제2 색상의 승화형 전사부(141)에 의한 인쇄를 실시한 다음, 제3 색상의 승화형 전사부(151)의 선두 위치와 기록용 시트(31)의 선두 위치를 가열 헤드(35)의 위치에 배치하며, 제3 색상의 승화형 전사부(151)에 의한 인쇄를 실시한다.
또한,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의 하도제층(261, 271, 281)은 가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되지 않으며, 인쇄할 때에 하도제층(261, 271, 281)이 박리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에 의한 화상 정보에 하도제층(261, 271, 281)을 구성하는 재료가 부착되는 경우가 없다.
다음에 용융형 전사부(161)에 의해 인쇄를 실시하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b는 용융형 전사부(161)에 의해 기록용 시트(31)에 소정 정보를 인쇄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기록용 시트(31)와, 용융형 전사부(161)이 가열 헤드(35)의 위치에 정지하며, 가열 헤드(35)로 열전사 기록 매체(1)를 압입하는 것으로 용융형 전사부(161)를 인쇄면(33)으로 바짝 대어서 있다.
가열 헤드(35)에 의해 용융형 전사부(161)의 인쇄해야 할 패턴에 따르는 위치가 가열되며, 가열된 부분에서는 용융형 잉크층(171)의 표면 부분이 점착성을 발생시키며, 용융형 전사부(161)가 인쇄면(33)에 접착된다.
용융형 전사부(161)의 가열된 부분에서는 용융형 하도제층(181)은 연화 또는 용융되며,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고 있으므로 열전사 기록 매체(1)와 기록용 시트(31)가 진행 방향으로 송출되며, 가열 헤드(35)에 의한 압입이 해제되고, 기록용 시트(31)가 열전사 기록 매체(1)로부터 이탈될 때에 가열된 부분의 용융형 전사부(161)는 용융형 하도제층(181) 내부에서 기재 시트(11)로부터 박리되어, 기록용 시트(31)에 전사된다.
용융형 전사부(161)로 이루어진 인쇄층(47)은 인쇄면(33)에 밀착된 용융형 잉크(48)를 갖고 있으며, 용융형 잉크(48)의 표면에는 용융형 잉크층(181)을 구성하는 재료(잔류 수지)(49)가 부착되어 있다.
용융형 잉크(48)는 흑색 잉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융형 전사부(161)의 폭 부분의 인쇄와 기록용 시트(31) 및 열전사 기록 매체(31)의 가열면(36)의 폭 부분의 송출을 교대로 반복하여 실시하면, 인쇄면(33)의 원하는 영역에 인쇄층(47)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흑색의 화상 정보가 인쇄된다.
흑색의 화상 정보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용융형 전사부(161)보다 하류측에는 다음 인쇄에 사용되는 보호부(251)가 배치되어 있으며, 열전사 기록 매체(1)는 진행 방향으로 송출되며, 기록용 시트(31)는 진행 방향과는 반대 반향으로 복귀시키고, 보호부(251)의 선두 위치와 기록용 시트(31)의 선두 위치를 가열 헤드(35)의 위치에서 정지시켜 가열 헤드(35)를 열전사 기록 매체(1)에 압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251)가 용융형 전사부(161)에 의한 화상 정보,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에 의한 화상 정보 및 화상 정보의 주위의 인쇄면(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열면(36) 전체를 발열시키면 보호부(251)의 가열 헤드(35)로 압입된 부분이 모두 승온한다.
보호부(251)는 가열에 의해 점착성을 발생시키는 열가소성 수지(여기서는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록용 시트(31)의 보호부(251)가 밀착된 부분에 보호부(251)의 압입된 부분이 붙는다.
승화형 전사부(131, 141, 151)에 의한 화상 정보는 기록용 시트(31)의 표면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승화용 하도제층(261, 271, 281)의 재료도 부착되어 있지 않다. 염화비닐 수지와 아크릴 수지의 접착성은 높으므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부(251)는 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기록용 시트(31)와, 기록용 시트(31)의 표면 부분으로 이루어진 화상 정보의 양쪽에 접착된다.
또한, 용융형 전사부(161)에 의한 화상 정보를 구성하는 인쇄층(47)은 이의 표면에 잔류 수지(49)가 노출되지만, 잔류 수지(49)를 구성하는 재료는 아크릴 수지와의 접착성이 높은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부(251)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잔류 수지(49)에도 접착된다.
기록용 시트(31) 및 열전사 기록 매체(1)를 진행 방향으로 송출하며, 가열 헤드(35)에 의해 보호부(251)에 따르는 압입이 해제되며, 기록용 시트(31)가 열전사 기록 매체(1)로부터 이탈될 때에 기록용 시트(31)에 접착된 보호부(251)가 기재 시트(11)로부터 박리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251)가 기록용 시트(31)에 회전 부착된다.
보호부(251)의 폭 부분의 가열과, 기록용 시트(31) 및 열전사 기록 매체(1)의 가열면(36)의 폭 부분의 송출을 반복하여 실시하면, 인쇄면(33)의 원하는 영역 전체에 보호부(251)가 회전 부착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화물(30)이 수득된다.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부(251)와, 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기록용 시트(31)의 접착력은 높으며,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부(251)와,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잔류 수지(49)의 접착력도 높으므로 인화물(30)의 주위의 온도가 변화되거나 인화물(30)에 다소의 물리적 충격이 가해진다고 해도 보호부(251)가 기록용 시트(31)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보호부(251)를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는 투명하므로 인화물(30)의 보호부(251)가 회전 부착되는 측의 면에서 화상 정보나 문자 정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에서 수득된 인화물(30)을 프린터로부터 인출한 다음, 새로운 기록용 시트를 프린터에 장착하며, 이러한 기록용 시트와 함께 새로운 인쇄 단위(102)를 가열 헤드(35)의 위치에 송출하면, 하나의 전사 기록 매체(10)에서 복수의 기록용 시트에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승화형 전사부(131내지 151)가 각각 하도제층을 갖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열전사 기록 매체(50)와 같이 기재 시트(11) 위에 직접 승화형 잉크층(211내지 231)을 형성하며, 승화형 잉크로 이루어진 승화형 전사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각 전사부(131내지 151, 161)와, 보호부(251)를 동일한 기재 시트(11) 위에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승화형 전사부와 용융형 전사부만을 갖는 열전사 기록 매체로 화상 정보를 형성한 다음, 보호부만을 갖는 열전사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보호부를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승화형 전사부와 용융형 전사부를 각각 별도의 기재 시트에 형성하여 복수의 열전사 기록 매체를 제작하며, 승화형 전사부에 의한 화상 정보와 용융형 전사부에 의한 화상 정보를 별도로 인쇄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동일한 가열 헤드(35)로 각 전사부(131내지 151, 161)와, 회전 부착부(251)의 가열을 실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전사부(131내지 151, 161)와 보호부(251)를 각각의 가열 헤드를 사용하여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보호부(251)가 1층 구조의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보호부가 복수층인 경우도 본 발명에는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호부의 표면 부분에 열가소성 수지의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으면, 보호부를 기록용 시트(31)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승화형 잉크의 색깔이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인쇄 목적에 맞추어 각종 색상의 승화형 잉크를 선택할 수 있다.
용융형 잉크를 구성하는 흑색 잉크로서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제에 카본 블랙을 분산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융형 잉크에 첨가하는 착색제의 색상이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색상이나 종류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기록용 시트를 구성하는 재료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 수지나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록용 시트의 인쇄면에 염료의 정착성이 높은 수용층을 설치하면, 승화형 전사부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 정보가 보다 선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인화물(30)의 예로서는 면허증이나 ID 카드와 같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카드에 승화형 전사부에 의한 인물 화상과 용융형 전사부에 의한 문자 정보가 인쇄되며, 이들 화상 정보가 투명한 보호부에서 보호되는 내구성이 높은 카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며, 보호 필름과 인쇄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는 인화물(印畵物)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는 기재 시트와 이러한 기재 시트 위에 배치된 용융형 하도제층과, 이러한 용융형 하도제층 위에 배치된 용융형 잉크층을 갖고, 용융형 하도제층과 용융형 잉크층으로 용융형 전사부가 구성되며, 용융형 전사부를 가열함으로써 당해 용융형 전사부가 인쇄 대상물에 전사되어, 하도제층의 재료로 구성된 잔류 수지가 노출되는 인쇄층이 형성되는 열전사 기록 매체로서, 이의 용융형 하도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주성분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된 구성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에서 용융형 잉크층은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블랙 잉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에서, 기재 시트 위에 배치되며, 승화형 잉크를 함유하는 승화형 전사부를 가지며, 이러한 승화형 전사부를 인쇄 대상물에 밀착시킨 상태로 가열함으로써 승화성 잉크가 승화되어 인쇄 대상물에 침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는 용융형 하도제층에 함유되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아세트산비닐이 10mol% 내지 50mol% 함유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는 이의 용융형 하도제층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60중량% 이상 함유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는 용융형 하도제층에 폴리에틸렌 왁스가 첨가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는 기재 시트 위에 배치된 보호부를 가지며, 가열함으로써 보호부의 표면 부분이 상기한 잔류 수지에 대하여 접착성을 발현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는 이의 보호부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 수지,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및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1종류의 수지를 함유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인화물은 기록용 시트와 기록용 시트 표면에 배치된 인쇄층을 갖는 인화물로서, 인쇄층의 표면에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잔류 수지가 배치되며, 잔류 수지와 기록용 시트의 양쪽을 밀착하는 보호부를 갖는 인화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열전사 기록 매체는 용융형 하도제층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며, 이러한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하도제층은 상온에서는 용융형 잉크층을 견고하게 기재 시트에 고정하지만, 가열되면 용융 또는 연화되어 기계적 강도가 대단히 약해진다.
따라서, 기록용 시트를 용융형 전사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인쇄해야 할 부분을 가열한 다음, 열전사 기록 매체를 기록용 시트로부터 이탈시키면, 용융형 하도제층의 가열된 부분이 용이하게 응집 파괴를 일으키며, 잉크층의 가열된 부분과 함께 이의 응집 파괴된 용융형 하도제층의 일부가 기록용 시트에 전사되어, 인쇄물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쇄층과 함께, 응집 파괴된 하도제층의 일부도 전사되므로 인쇄층의 표면 부분에는 용융형 하도제층의 일부로 이루어진 잔류 수지가 노출되지만, 용융형 하도제층에 함유되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아크릴 수지 등의 보호 필름(즉, 보호부)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밀착성이 높으므로 인쇄층이 형성된 면에 보호 필름을 첨부하는 경우라도 인쇄층과 보호 필름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며, 견고한 인화물이 수득된다.
기록용 시트를 구성하는 재료가 염화비닐 수지인 경우, 염화비닐 수지에 대하여 접착성이 높은 보호부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잔류 수지에도 접착된다.
보호부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 수지,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각종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 수지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염화비닐 수지의 양쪽에 대해 특히 접착성이 높으므로, 보호부의 표면 부분에 아크릴 수지를 함유시키면, 보다 견고한 인화물이 수득된다.
승화형 잉크는 용융형 잉크와는 상이한 색깔의 잉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를 사용하면 다색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승화형 전사부를 적어도 3종류 형성하며, 각 전사부의 승화형 잉크층을 적색, 청색 및 황색의 원색으로 구성하면, 하나의 열전사 기록 매체로 컬러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결합제, 충전제,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배면층용의 도포액을 수득한다. 여기서는 결합제로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세키스이가가쿠(주)사제의 상품명 「BX-1」]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고, 충전제로서 활석을 사용하며,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 활성제[다이이치고교(주)사제의 상품명「프라이사프」]를 사용하며,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을 사용한다.
이어서, 막 두께 6㎛의 기재 시트(11)[도레이(주)사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를 준비하고, 이러한 기재 시트(11)의 편면에 면적 1m2당 1.Og의 배면층용 도포액을 도포한 다음, 전체를 건조하여 배면층(12)을 형성한다.
다음에,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0중량부와 용매인 톨루엔 90중량부를 혼합하여, 용융형 하도제층 도포액을 수득한다. 또한, 여기서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서 아세트산비닐을 10mol% 함유하는 니혼유시(주)사제의 상품명 「모디파 SV10B」를 사용한다.
이러한 용융형 하도제층 도포액을 기재 시트(11)의 배면층(12)과는 반대측의 면에 면적 1m2당 0.3g 도포한 다음, 전체를 건조하여, 용융형 하도제층(181)을 형성한다.
다음에, 결합제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니티카(주)사제의 상품명 「UE 3215」] 8중량부와 착색제인 카본 블랙 2중량부와 용매인 메틸에틸케톤 90중량부를 혼합하며, 블랙 잉크로 이루어진 용융형 잉크를 제작한다.
이러한 용융형 잉크를 용융형 하도제층(181)의 표면에 면적 1m2당 1.0g 도포하고, 건조하여 용융형 잉크층(171)을 형성하며, 용융형 하도제층(181)과 용융형 잉크층(171)으로 이루어진 용융형 전사부(161)를 수득한다.
또한, 옐로,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승화형 잉크와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보호부용 도포액을 제조하며, 각 잉크와 도포액을 기재 시트(11)의 블랙 잉크층(17)이 형성된 측의 면에 직접 도포하고, 건조하여 3종류의 승화용 잉크층(211내지 231)과 보호부(251)를 형성하여 도 6에 도시된 열전사 기록 매체(50)를 제작한다.
이러한 열전사 기록 매체(50)에 대하여 「인자 시험」, 「견뢰성 시험」 및 「도포성 시험」을 실시한다.
인자 시험
실시예 1의 열전사 기록 매체(50)를 사용하여, 기록용 시트(31)의 표면에 컬러 화상 정보로 이루어진 인물화상과 흑색화상 정보로 이루어진 바 코드 화상을 형성한 다음, 보호부(251)를 전사하여 인화물(30)을 수득한다.
여기서는 데이터카드(주)사제의 열전사 프린터를 사용하여, 기록용 시트(31)로서 막 두께 0.76mm의 염화비닐 수지제의 카드를 사용한다.
인화물을 형성할 때에 용융형 전사부(161)가 기록용 시트(31)에 원활하게 전사되는 경우를 「○」, 용융형 전사부(161)가 전사되지만, 인쇄할 때에 인쇄음이 큰 경우를 「△」, 인쇄음이 매우 크거나 인쇄할 때에 기재 시트(11)에 균열이나 구멍이 생기는 경우를 「×」로서 평가한다. 이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의 「박리성」의 란에 기재한다.
또한, 수득된 인화물(30)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인화물(30)을 관찰하며, 보호부(251)가 기록용 시트(31)에 밀착하여 간극이 보이지 않는 것을 「○」, 보호부(251)에 간극이 보이는 것을 「×」로서 평가한다. 이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의「중첩 인자성」의 란에 기재한다.
견뢰성 시험
보호부(251)를 전사시키지 않는 이외에는 상기「인자 시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인쇄를 실시하고, 보호부(251)를 갖지 않는 인화물을 수득한다.
클록 미터형 마찰 시험기를 사용하고 면포로 인화물(30)의 바 코드 화상을 200회 왕복 마찰하고, 마찰에 의한 손상을 육안으로 관찰한다. 바 코드 화상에 손상이 없는 경우를 「○」, 바 코드 화상을 구성하는 바에 근소한 손상이 관찰되는경우를 「△」, 바 코드 화상을 구성하는 바가 부분적으로 결락하고 바 코드 판독장치가 오독될 염려가 있는 경우를 「×」로서 평가한다. 이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의 「견뢰성 시험」의 란에 기재한다.
도포성 시험
상기한 실시예 1의 열전사 기록 매체(50)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용융형 하도제층(181)에 용융형 잉크를 도포할 때에 용융형 잉크의 도포 불균일이나 묻지 않는 것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 약간 불균일이 보이지만, 인화물의 화상에 영향이 없는 것을 「△」, 인화물의 화상에 영향이 미칠 정도로 불균일이 있는 것을 「×」로서 평가한다. 이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의 「도포성 시험」의 란에 기재한다.
평가 시험의 결과
인자 시험 견뢰성 도포성
박리성 중첩 인자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 - ×
비교예 2 × × -
비교예 3 ×
비교예 4 × - ×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지만,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대신하여 아세트산비닐을 30mol% 함유하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지만,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대신하여 아세트산비닐을 50mol% 함유하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7중량부, 결합제인 폴리에틸렌 왁스 3중량부, 용매인 톨루엔 90중량부 및 동일하게 용매인 이소프로필알콜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하도제층용 도포액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포액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용융형 하도제층 도포액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전사 기록 매체(50)를 제작한다.
이들 실시예 2 내지 4의 열전사 기록 매체(50)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인자 시험」, 「견뢰성 시험」 및 「도포성 시험」의 각 평가 시험을 실시하여, 이들 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한다.
비교예 1
스티렌 수지인 산요가세이(주)사제의 상품명 「하이머」 10중량부와 용매인 톨루엔 90중량부를 혼합하고,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용융형 하도제층 도포액을 제조한다.
이러한 도포액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용융형 하도제층 도포액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전사 기록 매체를 제작한다.
비교예 2
스티렌 수지를 대신하여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중합체인 스미토모가가쿠(주)사제의 상품명 「스미테이트 KC1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전사 기록 매체를 제작한다.
비교예 3
스티렌 수지를 대신하여 카르바나 왁스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전사 기록 매체를 제작한다.
비교예 4
스티렌 수지를 대신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유니티카(주)사제의 상품명 「에리테르 3200」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열전사 기록 매체를 제작한다.
이들 비교예 1 내지 4의 열전사 기록 매체(50)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인자 시험」과 「견뢰성 시험」의 각 평가 시험을 실시하여, 이들 결과를 상기 표 1에 기재한다.
상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열전사 기록 매체(50)에서는 인자 시험이나 견뢰성 시험의 결과가 특히 우수하며, 또한 도포성 시험에서도 실용상 충분하게 높은 평가 결과가 수득된다.
특히, 용융형 하도제층(181)에 폴리에틸렌 왁스를 첨가한 실시예 4에서는 도포성 시험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가 수득된다. 이것은 폴리에틸렌 왁스가 첨가된 것으로 용융형 하도제층(181)과 블랙 잉크의 친화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한편, 용융형 하도제층(181)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견뢰성은 충분하지만, 인자 시험에서는 박리성과 중첩 인자성의 어느 하나의 결과가 나쁘며, 실용에 견디지 못하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용융형 하도제층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용융형 전사부의 전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인쇄층과 보호부의 밀착성도 높은 것을 알았다.
그리고, 스티렌-아세트산 공중합체에서 아세트산비닐의 mol 농도는, 실시예 1에서 10mol%, 실시예 2에서 30mol%, 실시예 3에서 50mol%에 있어서, 즉 10mol% 이상, 50mol% 이하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만, 이것은 스티렌 성분과 아세트산비닐 성분중에서 보호부(보호층)에 대하여 접착성을 높이는 것은아세트산비닐 성분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하도제층을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단독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공중합체 속에는 아세트산비닐 성분이 10mol%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그러나, 다른 수지 성분과 병용하는 경우, 또는 하도제층의 두께를 극단적으로 얇게 하는 경우 등의 이의 효과가 충분하게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점으로부터, 10mo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세트산비닐이 50mol%를 초과하면 하도제층에 달라붙는(tacky) 것이 급격하게 발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달라붙으면, 그 위에 용융형 잉크층을 도포하는 경우, 주변의 롤 등에 피착되며 원활한 도포가 억제되므로 다른 수지와의 병용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비교예 2에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스미테이트 KC-10)는 아세트산비닐의 몰비가 28%이다.
이것은 아세트산비닐 농도 10mol% 내지 50mol%의 범위 내이지만, 아세트산비닐 이외의 성분이, 스티렌이 아니라, 에틸렌인 점으로부터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하도제층 중에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60중량%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요망되며, 이것은 이보다 적은 경우에는 다른 성분에 희석되어 본 발명의 효과가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전사 기록 매체를 사용하면, 인화물의 착색부와 보호 필름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며, 보호 필름과 인쇄면의 밀착성, 즉 접착성이 매우 높으므로 견고한 인화물이 수득된다.

Claims (9)

  1. 기재 시트, 당해 기재 시트 위에 배치된 용융형 하도제층 및 당해 용융형 하도제층 위에 배치된 용융형 잉크층을 갖고, 용융형 하도제층과 용융형 잉크층으로 용융형 전사부가 구성되며, 당해 용융형 전사부를 가열하면 용융형 전사부가 인쇄 대상물에 전사되고, 하도제층의 재료로 구성된 잔류 수지가 노출되는 인쇄층이 형성되는 열전사 기록 매체로서,
    용융형 하도제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주성분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용융형 잉크층이, 착색제인 카본 블랙를 함유하는 흑색 잉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기재 시트 위에 배치되고, 승화형 잉크를 함유하는 승화형 전사부를 가지며, 승화형 전사부를 인쇄 대상물에 밀착시킨 상태로 가열하면 승화성 잉크가 승화하여 인쇄 대상물에 침투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용융형 하도제층에 함유되어 있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아세트산비닐을 10mol% 내지 50mol%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융형 하도제층이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6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용융형 하도제층에 폴리에틸렌 왁스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기재 시트 위에 배치된 보호부를 갖고, 보호부를 가열하면 보호부의 표면 부분이 잔류 수지에 대하여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보호부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염화비닐 수지,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및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 매체.
  9. 기록용 시트와 기록용 시트 표면에 배치된 인쇄층을 갖는 인화물로서,
    인쇄층의 표면에는 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잔류 수지가 배치되고,
    당해 잔류 수지와 기록용 시트의 양쪽에 밀착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
KR10-2004-7013825A 2002-03-05 2003-03-05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 KR20050002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8418 2002-03-05
JPJP-P-2002-00058418 2002-03-05
PCT/JP2003/002590 WO2003074288A1 (fr) 2002-03-05 2003-03-05 Support d'enregistrement par transfert thermique et impression photograph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839A true KR20050002839A (ko) 2005-01-10

Family

ID=2778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825A KR20050002839A (ko) 2002-03-05 2003-03-05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28955B2 (ko)
EP (1) EP1488934B1 (ko)
JP (1) JP4166700B2 (ko)
KR (1) KR20050002839A (ko)
CN (1) CN1323851C (ko)
DE (1) DE60318303T2 (ko)
HK (1) HK1072918A1 (ko)
TW (1) TW580456B (ko)
WO (1) WO2003074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4949C (zh) * 2005-02-25 2009-12-0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动力传递装置及其制造方法
ES2327442T3 (es) * 2006-06-30 2009-10-2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Hoja de la transferencia termica de tinte e impresora.
JP5875930B2 (ja) * 2012-04-25 2016-03-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転写成形体
CN106460314B (zh) * 2014-07-30 2019-09-27 恩格勒意大利有限责任公司 在包含棉和/或粘胶的织物上的升华印刷
JP6690192B2 (ja) * 2015-11-02 2020-04-28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US10953637B2 (en) * 2016-03-08 2021-03-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and combination of transfer foil and thermal transfer sheet
CN110370834A (zh) * 2019-03-12 2019-10-25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转印色带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7406A (en) * 1985-01-12 1987-11-17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DE68924975T2 (de) * 1988-08-31 1996-05-30 Dainippon Printing Co Ltd Wärmeübertragungsverfahren und -blatt.
JP3052249B2 (ja) * 1989-07-14 2000-06-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フイルム及びカードの製造方法
JP3013935B2 (ja) * 1990-10-19 2000-02-28 コニカ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US5318943A (en) * 1991-05-27 1994-06-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image receiving sheet
JP3218337B2 (ja) * 1993-12-10 2001-10-15 株式会社リコー 熱転写記録媒体
JPH07172075A (ja) * 1993-12-20 1995-07-11 Dainippon Printing Co Ltd 複合熱転写シート
US5556701A (en) * 1993-12-28 1996-09-17 Sony Chemicals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for thermal transfer recording
JP3448696B2 (ja) * 1993-12-28 2003-09-22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熱転写記録媒体
JPH07290848A (ja) * 1994-04-27 1995-11-07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JP2804719B2 (ja) * 1994-08-26 1998-09-30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用熱転写記録媒体
JPH0920085A (ja) * 1995-07-06 1997-01-21 Fujicopian Co Ltd 感熱転写シート
JPH09164777A (ja) * 1995-12-14 1997-06-24 Sony Chem Corp 熱転写記録媒体
JPH09267498A (ja) * 1996-04-01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転写記録装置
JP3118194B2 (ja) * 1996-11-06 2000-12-18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熱転写インキリボン
JP3344285B2 (ja) * 1997-06-19 2002-11-11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熱転写記録媒体
US6190765B1 (en) * 1998-03-30 2001-02-20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JPH11321118A (ja) * 1998-05-20 1999-11-24 Ricoh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JP4023064B2 (ja) * 2000-03-22 2007-12-1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3946A1 (en) 2005-07-28
EP1488934A4 (en) 2006-06-21
CN1649742A (zh) 2005-08-03
WO2003074288A1 (fr) 2003-09-12
HK1072918A1 (en) 2005-09-16
JPWO2003074288A1 (ja) 2005-06-23
US7128955B2 (en) 2006-10-31
CN1323851C (zh) 2007-07-04
DE60318303D1 (de) 2008-02-07
JP4166700B2 (ja) 2008-10-15
EP1488934B1 (en) 2007-12-26
TW200303830A (en) 2003-09-16
TW580456B (en) 2004-03-21
EP1488934A1 (en) 2004-12-22
DE60318303T2 (de)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90665B2 (ja) 熱転写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熱転写用インクシート
JP3475298B2 (ja) 中間転写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US6214149B1 (en) Thermal transfer sheet for intermediate transfer recording medium
KR20050002839A (ko) 열전사 기록 매체 및 인화물
JPS58158291A (ja) カラー熱転写用記録媒体およびカラー熱転写方法
JPH0144515B2 (ko)
JPS62207691A (ja) Ohp用フイルム
US5270073A (en) Heat sensitive recording materia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forming process
JPS6398490A (ja) 感熱転写媒体
JP2001322360A (ja) 溶融型熱転写インクリボン、印刷物、印刷装置
JP4469735B2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3949930B2 (ja) 保護層熱転写シートおよび印画物
JP3555621B2 (ja) 画像形成方法
EP0372800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heat-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aterial
JPH0796682A (ja) 熱転写シート
JPH0999648A (ja) 感熱転写記録媒体
JP3009101B2 (ja) カード
JP2001096922A (ja) 熱転写記録媒体と受像シート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H1178256A (ja) 昇華型熱転写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華型熱転写記録方法
JP2005238646A (ja) インクシートとインク受像シートの組み合わせ、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3060430B2 (ja) 熱転写シート、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325817B2 (ja) カード
JP2006256266A (ja) 熱転写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2003320758A (ja) 昇華リボン
JP2004082366A (ja) 熱転写記録媒体と受像シート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