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635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635A
KR20000076635A KR1020000006143A KR20000006143A KR20000076635A KR 20000076635 A KR20000076635 A KR 20000076635A KR 1020000006143 A KR1020000006143 A KR 1020000006143A KR 20000006143 A KR20000006143 A KR 20000006143A KR 20000076635 A KR20000076635 A KR 20000076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ad
cell region
cel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591B1 (ko
Inventor
하무라요이찌로
모리도시아끼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7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07Geometrical layout of the components, e.g. computer aided design; custom LSI, semi-custom LSI, standard cell techniqu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5Shape
    • H01L2224/05552Shape in top view
    • H01L2224/05554Shape in top view being square

Abstract

외부접속용 패드를 늘릴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각종 논리회로가 형성되는 내부 셀 영역(1)과, 외부 접속용 패드와 내부 셀 영역(1)과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는 I/O 셀 영역(3)과, I/O 셀 영역(3)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패드 영역(2a)과, 내부 셀 영역(1)과 I/O 셀 영역(3)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패드 영역(2b)을 구비한다. I/O 셀 영역(3)의 외측뿐만 아니라, I/O 셀 영역(3)과 내부 셀 영역(1) 사이에도 내부 패드 영역(2b)을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외부접속용 패드의 수를 늘릴 수 있으며, 칩의 다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의 간격을 좁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조 수율이 높아진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게이트 어레이(Gate Array;GA)나 엠베디드 어레이(Embedded Array;EA)의 마스터 구조 및 레이아웃 구성에 관한 것이다.
요즘, 노트형 컴퓨터 등의 휴대전자기기의 보급에 의해, CPU 주변의 회로를 1개의 칩으로 모아서 실장면적의 감소를 도모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다기능 칩은, 게이트 어레이나 엠베디드 어레이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7은 종래의 게이트 어레이의 레이아웃도이다. 종래의 게이트 어레이는, 각종 논리회로가 형성되는 내부 셀 영역(1)과, 외부 배선이 접속되는 패드 영역(2)과, 내부 셀 영역(1) 및 패드 영역(2) 사이에 형성되는 I/O 셀 영역(3)을 갖는다. 내부 셀 영역(1)내의 입출력 단자는 I/O 셀 영역(3)을 통해서 패드 영역(2)내의 대응하는 패드에 접속된다.
패드 영역(2)에는,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각 패드는, 도시하지 않은 캐리어 테이프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패키지의 외부핀에 접속된다.
상술한 다기능 테이프는, 외부와 주고받는 신호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칩내에 다수의 외부접속용 패드를 설치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게이트 어레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칩의 외주측에만 패드 영역(2)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패드 수를 그다지 늘릴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내부 셀 영역(1)이나 I/O 셀 영역(3)에 빈 공간이 있어도, 패드 영역(2)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를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접속용 패드를 다수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게이트 어레이의 제1 실시 형태의 레이아웃도.
도 2는 외부 패드 영역과 내부 패드 영역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패드에 접속된 캐리어 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내부 패드 영역내의 패드를 주로 전원/접지단자용으로 이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게이트 어레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게이트 어레이의 제2 실시 형태의 레이아웃도.
도 7은 종래의 게이트 어레이의 레이아웃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 셀 영역
2 : 패드 영역
2a : 외부 패드 영역
2b : 내부 패드 영역
3 : I/O 셀 영역
4 : 배선층
6: 전원층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각종 논리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내부 셀 영역과, 외부접속용의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는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과 상기 패드 영역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I/O 셀 영역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은, 상기 I/O 셀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과 상기 I/O 셀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패드 영역을 갖는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각종 논리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내부 셀 영역과, 외부접속용의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는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과 상기 패드 영역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I/O 셀 영역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은, 상기 I/O 셀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내부 셀 영역내에 형성되는 내부 패드 영역을 갖는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내부 셀 영역과 I/O 셀 영역 사이에 내부 패드 영역을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외부접속용의 패드수를 늘릴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내부 셀 영역내의 빈 공간에 내부 패드 영역을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외부접속용의 패드수를 늘릴 수 있으며, 또한, 내부 셀 영역내의 빈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내부 셀 영역과 I/O 셀 영역을 접속하는 배선층을 내부 패드 영역내의 인접하는 패드 사이에 형성하기 때문에, 배선층의 배선길이가 길어질 우려는 없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내부 패드 영역내에 전원단자용 패드와, 접지단자용 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내부 셀 영역의 배선층과 동일한 층에, I/O 셀 영역과 내부 패드 영역을 접속하는 배선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 패드 영역 전용의 배선층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 끝내며,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 장치를 게이트 어레이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게이트 어레이의 제1 실시 형태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1의 게이트 어레이는, 각종 논리회로가 형성되는 내부 셀 영역(1)과, 외부접속용 패드와 내부 셀 영역(1)과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는 I/O 셀 영역(3)과, I/O 셀 영역(3)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패드 영역(2a)과, 내부 셀 영역(1)과 I/O 셀 영역(3)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패드 영역(2b)을 구비한다.
즉, 도 1의 게이트 어레이는 내부 패드 영역(2b)을 새롭게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2는 외부 패드 영역(2a)과 내부 패드 영역(2b)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패드 영역(2)에는 복수의 패드(P1)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외부 패드 영역(2a) 내의 패드 간격을 내부 패드 영역(2b) 내의 패드 간격보다도 좁게 한다. 외부 패드 영역(2a)내에 형성되는 패드 간격은 종래와 동일하다.
또한, 각 패드 영역(2a,2b)은 모두 I/O 셀 영역(3)을 통해 내부 셀 영역(1)과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한다. 내부 셀 영역(1)과 I/O 셀 영역(3)을 접속하는 배선층(4)은, 내부 패드 영역(2b) 내의 인접하는 패드(P2)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도 1의 게이트 어레이를 패키징할 경우, 외부 패드 영역(2a)과 내부 패드 영역(2b)은, 도 3과 같은 캐리어 테이프(5)를 통해 패키지의 외부 접속 단자(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도 4는 내부 패드 영역(2b) 내의 패드를 주로 전원단자용과 접지단자용으로 이용할 경우의 게이트 어레이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4의 게이트 어레이는, 내부 셀 영역(1)과 내부 패드 영역(2b) 사이에, 내부 셀 영역(1)을 둘러싸도록 전원층(VDD층)(6)과 접지층(VSS층)(7)을 형성한다. 또한 외부 패드 영역(2a)의 외측에는 칩 단위로 분할하기 위한 다이싱라인(8)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게이트 어레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패드 영역(2b)내의 패드(P2)는, 전원층(6)이나 접지층(7)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패드(P2)는 I/O 셀 영역(3)을 통해 외부 패드 영역(2a)내의 패드(P1)와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내부 패드 영역(2b)내의 일부의 패드(P2)는, 전원층(6)에도 접지층(7)에도 접속되지 않으며, I/O 셀 영역(3)을 통해 내부 셀 영역(1)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4의 전원층(6)이나 접지층(7)이 배선층(4)과 단락되지 않도록, 예컨대, 전원층(6)이나 접지층(7)의 세로열은 1층으로, 가로열은 2층으로 형성되고, 배선층(4)은 3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내부 패드 영역(2b)과 I/O 셀 영역(3)을 접속하는 배선층(4)을, 내부 셀 영역(1) 내의 배선층과 동일한 층(예컨대, 3층)으로 형성하면, 내부 패드 영역(2b)용의 배선층을 새롭게 설치하지 않고 끝나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I/O 셀 영역(3)의 외측에 패드 영역(2)을 설치할 뿐 아니라, I/O 셀 영역(3)과 내부 셀 영역(1) 사이에도 내부 패드 영역(2b)을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외부접속용 패드의 수를 늘릴 수 있으며, 칩의 다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패드의 간격을 좁게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시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조 수율이 높아진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내부 셀 영역(1)의 일부에 내부 패드 영역(2b)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6은 게이트 어레이의 제2 실시 형태의 레이아웃도이다. 도 6의 게이트 어레이는, 내부 셀 영역(1)과 I/O 셀 영역(3) 사이에 내부 패드 영역(2b)을 형성하는 점에서는 도 1과 공통되지만, 내부 패드 영역(2b)을 내부 셀 영역(1)내에 형성하는 점에서는 도 1과 다르다. 도 6의 내부 패드 영역(2b)은, 내부 셀 영역(1)내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다.
도 6의 게이트 어레이도 도 2와 마찬가지로, 외부 패드 영역(2a)내의 패드 간격을 내부 패드 영역(2b)내의 패드 간격보다도 좁게 하고 있으며, 패드(P1,P2)와 내부 셀 영역(1)은 I/O 셀 영역(3)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내부 패드 영역(2b)내의 각 패드를 도 5와 마찬가지로, 전원층이나 접지층에 접속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셀 영역(1) 내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내부 셀 영역(1)의 일부를 이용하여 내부 패드 영역(2b)을 형성하기 때문에, I/O 셀 영역(3)이나 외부 패드 영역(2a)의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고 끝낸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셀 영역(1)의 외측 4방향으로 내부 패드 영역(2b)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2방향 또는 1방향에만 내부 패드 영역(2b)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패드 영역(2b) 내의 패드 간격을 외부 패드 영역(2a)내의 패드 간격보다도 넓게 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좁게 하거나 또는 패드 간격을 동일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패드 영역(2b)을 주로 전원단자용 및 접지단자용으로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여도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I/O 셀 영역의 외측에 패드 영역을 설치할 뿐 아니라, I/O 셀 영역과 내부 셀 영역 사이에도 내부 패드 영역을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외부접속용 패드의 수를 늘릴 수 있으며, 칩의 다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의 간격을 좁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조 수율도 높아진다.
또한, 내부 패드 영역과 I/O 셀 영역을 접속하는 배선층을, 내부 셀 영역내의 배선층과 동일한 층(예컨대, 3층)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패드 영역용의 배선층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5)

  1. 각종 논리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내부 셀 영역과, 외부접속용의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는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과 상기 패드 영역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I/O 셀 영역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은,
    상기 I/O 셀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과 상기 I/O 셀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패드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각종 논리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내부 셀 영역과, 외부접속용의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는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과 상기 패드 영역 사이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I/O 셀 영역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은,
    상기 I/O 셀 영역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내부 셀 영역내에 형성되는 내부 패드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부 셀 영역과 I/O 셀 영역을 접속하는 배선층은, 상기 내부 패드 영역 내의 인접하는 패드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패드 영역과 상기 내부 셀 영역 사이에서, 상기 내부 셀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전원 라인 영역 및 접지 라인 영역을 가지며,
    상기 내부 패드 영역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패드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원 라인 영역 또는 상기 접지 라인 영역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셀 영역의 배선층과 동일한 층에, 상기 I/O 셀 영역과 상기 내부 패드 영역을 접속하는 배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000006143A 1999-02-10 2000-02-10 반도체 장치 KR100359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032224 1999-02-10
JP03222499A JP3914649B2 (ja) 1999-02-10 1999-02-10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635A true KR20000076635A (ko) 2000-12-26
KR100359591B1 KR100359591B1 (ko) 2002-11-07

Family

ID=1235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143A KR100359591B1 (ko) 1999-02-10 2000-02-10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87482B1 (ko)
JP (1) JP3914649B2 (ko)
KR (1) KR100359591B1 (ko)
TW (1) TW4457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453A (ja) * 2001-03-19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4025044B2 (ja) * 2001-09-27 2007-12-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20050285281A1 (en) * 2004-06-29 2005-12-29 Simmons Asher L Pad-limited integrated circuit
JP2006202866A (ja) * 2005-01-19 2006-08-03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US7628452B2 (en) * 2008-02-29 2009-12-08 Shanghai Industries Group, Ltd. Rocker base
CN102569240A (zh) * 2012-02-29 2012-07-11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双排焊盘布局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1248A (en) * 1981-06-22 1982-12-25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S58190036A (ja) * 1982-04-23 1983-11-05 Fujitsu Ltd ゲ−ト・アレイ大規模集積回路装置
JPH0650761B2 (ja) * 1986-08-12 1994-06-29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5300796A (en) * 1988-06-29 1994-04-05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nternal cell array region and a peripheral region surrounding the internal cell array for providing input/output basic cells
JPH0210869A (ja) * 1988-06-29 1990-01-16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H03138972A (ja) * 1989-10-24 1991-06-13 Fujitsu Ltd 集積回路装置
JPH0453258A (ja) * 1990-06-20 1992-02-2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
JPH05308136A (ja) * 1992-04-01 1993-11-19 Nec Corp マスタスライス集積回路
JP2822781B2 (ja) * 1992-06-11 1998-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スタスライス方式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693920B2 (ja) * 1994-12-28 1997-12-2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834075B2 (ja) * 1996-05-30 1998-12-09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ゲートアレイ装置及びそのレイアウト方法
JP3962441B2 (ja) * 1996-09-24 2007-08-2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518289B2 (ja) * 1996-12-25 2010-08-04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の配線レイアウト方法
JP2910724B2 (ja) 1997-04-09 1999-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出力バッファ
JPH1140754A (ja) * 1997-07-17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3466064B2 (ja) * 1997-10-20 2003-11-10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078068A (en) * 1998-07-15 2000-06-20 Adaptec,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bus/die edge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14649B2 (ja) 2007-05-16
US6287482B1 (en) 2001-09-11
JP2000232120A (ja) 2000-08-22
TW445713B (en) 2001-07-11
KR100359591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49694A (ja) 集積回路の相互接続方法
JP347245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パッケージ構造
US20100176504A1 (en) Semiconductor device
JPH1117099A (ja) メモリモジュール
KR20140024593A (ko) 시스템 패키지
US5451814A (en) Multi-chip module integrated circuit
KR100457366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0359591B1 (ko) 반도체 장치
JP4754201B2 (ja) 半導体装置
US20080136011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020082757A (ko) 반도체 장치
JP2780355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CN112151506A (zh) 电子封装结构及其晶片
KR100390203B1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
JP2000022079A (ja) 半導体集積回路
US7999370B2 (en) Semiconductor chip capable of increased number of pads in limited region and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e same
US20240128220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10052635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2012146979A (ja) 集積回路内における、インターフェースデバイスの面積効率の良い配列
JPH11340272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40076361A (ko) 신호 완결성 개선 및 칩 사이즈 감소를 위한 패드배치구조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KR100570580B1 (ko) 반도체 장치
TWI574389B (zh) 積體電路
KR100352117B1 (ko) 반도체패키지구조
JPH065782A (ja) 半導体チップコーナー部のレイアウト方法、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