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823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823A
KR20000022823A KR1019990036781A KR19990036781A KR20000022823A KR 20000022823 A KR20000022823 A KR 20000022823A KR 1019990036781 A KR1019990036781 A KR 1019990036781A KR 19990036781 A KR19990036781 A KR 19990036781A KR 20000022823 A KR20000022823 A KR 20000022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pressing
reel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647B1 (ko
Inventor
마쯔다가즈유끼
Original Assignee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이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2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력을 크게 하지 않고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켜서 오복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클러치 조작 기구의 레버(23)가 부착된 축부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는 편심 결합부(6a)와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b)가 배치되는 동시에,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이동 안내부(6b)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7b)는 측부 프레임(1b)에 형성된 구멍(1d)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조작 부재(6)의 중심과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a) 상에 데드 포인트가 있고,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이동 안내부(6b) 내에서 시계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이동 안내부(6b) 내에서 반시계 방향 단부로 변위되어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 {FISHING REEL}
본 발명은 데드 포인트 작용으로 압박력이 가해지는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조작 부재의 작동시 강하게 작용되도록 개량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스풀축과 구동 기구의 연결을 온/오프하는 클러치 조작 기구와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의 베일 반전 기구에는 데드 포인트 작용으로 압박력이 가해지는 압박 부재가 조립되어 있다.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에 있어서의 클러치 조작 기구는 스풀축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피니언을 걸어 고정시킨 클러치 판을, 캠을 배치한 미끄럼 이동판이나 클러치 레버를 직선 이동 또는 회전 이동 조작하거나 핸들의 회전에 의해 작동시킴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온/오프 조작시키고, 미끄럼 이동판이나 클러치 레버와 기체 프레임 사이에 상기 압박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기구에서는 캠으로 클러치 판을 작동하는 이동 거리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압박 기구에서는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키기가 어렵고, 채비 투척시(캐스팅시)의 관성력으로 핸들이 회전해 버리면 쉽게 클러치 조작 기구가 작동하여 오복귀되어 버리고, 스프링 부재를 굵게 하여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키면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된다.
낚시용 스피닝 릴에 있어서의 베일 반전 기구는 핸들의 권취 회전 조작에 연동 회전하는 로터의 지지 아암 전방부에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방출 상태와 낚싯줄 권취 상태로 반전 가능하게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해 분할 압박 보유되고, 낚싯줄을 소정 지점으로 방출하는 경우는 베일을 방출 위치로 반전한 후 낚싯대와 함께 힘있게 휘둘러 내려서 채비를 먼 쪽으로 방출 조작한다.
이 방출 조작시의 힘이나 로터의 불필요한 회전에 따른 베일의 낚싯줄 권취 상태로의 오복귀를 방지하기 위해, 베일을 낚싯줄 방출 상태로 반전했을 때의 보유력을 강하게 하여 낚싯줄 방출 조작시의 베일의 낚싯줄 권취 상태로의 오복귀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베일의 압박력을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갖춘 것이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5-2780호 공보로, 또 압박 스프링을 로터 지지 아암 내의 일측에 배치하여 베일을 낚싯줄 방출 위치로 강하게 압박 보유한 것이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4-423017호 공보로 각각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공보에서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조절 부재가 한 쪽 로터 지지 아암에 장착됨으로써 로터의 회전 균형이 악화되고, 또 로터 지지 아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실이 얽히기 쉽다.
또, 압박력 전체가 강화됨으로써 베일을 낚싯줄 방출 상태로 반전할 때 그 만큼 무거워져서 조작성이 저하하는 등의 과제가 남겨져 있다.
또, 상기 후자의 공보에서는 압박 스프링을 로터 지지 아암 내의 일측에 편재시키는 구성상, 로터 지지 아암 및 베일 지지 부재의 형상, 크기 등의 관계상, 낚싯줄 방출 위치로 강하게 압박 보유하는 면에서 제약이 발생해 버리고, 낚싯줄 방출 상태의 압박 보유면에 있어서 과제가 남겨져 있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상기 종래의 오복귀를 방지하는 기구에서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로터의 회전 균형이 악화되고, 로터 지지 아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있어서 실이 얽히기 쉽고, 조작성이 저하하는 등의 과제가 남겨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조작력을 크게 하지 않고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켜서 오복귀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제1 실시예이고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요부 단면 평면도와 요부 확대 평면도.
도2는 클러치 온 상태의 핸들측 측판 내측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3은 클러치 오프 상태의 핸들측 측판 내측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4는 클러치 조작 기구의 핸들측 측판 내측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5는 제2 실시예이고 낚시용 스피닝 릴의 요부 단면 측면도.
도6a 및 도6b는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일부 확대 평면도.
도7은 제3 실시예이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와 지지 아암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8a 및 도8b는 제4 실시예이고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일부 확대 평면도.
도9a 및 도9b는 제5 실시예이고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0은 한 쪽 지지 아암과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확대 단면 측면도.
도11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2a 및 도12b는 제6 실시예이고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3은 한 쪽 지지 아암과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확대 단면 측면도.
도14는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5a 및 도15b는 제7 실시예이고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6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7은 제8 실시예이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와 지지 아암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18a 내지 도18f는 지지 아암의 반전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6', 6" : 조작 부재(6', 6" : 베일 지지 부재)
6b, 6g, 6i, 6k, 6n, 6o, 9o, 9q : 이동 안내부
6p, 6q, 6r, 6s : 규제부
7 : 압박 부재
7a : 일단부
7b : 타단부
9 : 로터
9d, 9e : 지지 아암
9h, 9i, 64 : 회전 지지축
36 : 핸들
55 : 낚싯줄 안내부
57 : 베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비조작 부재에 직선 이동과 회전 이동의 한 쪽을 작동시키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데드 포인트를 지나서 압박력을 부여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릴 본체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된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조작 부재의 온/오프 동작의 동작 위치의 한 쪽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변위를 지지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원호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베일 지지 부재와,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로서, 상기 로터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그 전방부에서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의 한 쪽으로 반전 가능하게 할당되도록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압박 보유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과 상기 베일 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된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방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베일 지지 부재로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변위를 지지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원호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베일 지지 부재와,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로서, 상기 로터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그 전방부에서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의 한 쪽으로 반전 가능하게 할당되도록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압박 보유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의 한 쪽에 배치된 회전 지지축과,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과 상기 베일 지지 부재의 다른 쪽에 배치된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방출 위치에 위치될 때부터 상기 베일 지지 부재로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을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긴 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은, 축부와, 상기 축부 주위로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로서, 상기 조작 부재는 온/오프 동작간의 절환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 부재에 킥 포인트를 지나서 압박력을 부여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릴 본체 측부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와 상기 축부의 한 쪽을 수용하는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온/오프 동작의 한 쪽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를 상기 압박 부재의 데드 포인트 위치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원호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1에 있어서, 양 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부는 릴 본체이고, 상기 조작 부재는 스풀축과 피니언의 결합 및 분리를 실행하도록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1에 있어서, 스피닝 릴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부는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의 지지 아암이고, 상기 조작 부재는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간으로 절환시키도록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에 반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일 지지 부재인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의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의 다른 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축부를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축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 내지 4에 관한 발명에 의해, 조작 부재(6)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b)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일이 없고, 확실하게 클러치 조작 기구의 오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내지 8에 관한 발명에 의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g)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 6")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 9 및 10에 관한 발명에 의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중심 관통 구멍(6e)과 연접하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k)를 배치하고, 회전 지지축(9h)과 조합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 6")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 11 내지 17에 관한 발명에 의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o)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 6")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이동 안내부(6o)의 양측 규제부(6p, 6q, 6r, 6s)에 의해서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소정량 회전된 후에 이동이 개시되므로, 관성력이나 충격 등으로 반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1a 내지 도4는 제1 실시예이고, 낚시용 릴을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로서 기술하면 도1a 및 도1b는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요부 단면 평면도와 요부 확대 평면도, 도2는 클러치 온 상태의 핸들측 측판 내측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3은 클러치 오프 상태의 핸들측 측판 내측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4는 클러치 조작 기구의 핸들측 측판 내측의 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은 릴 본체(A)가 측부 프레임(1)과 릴 측판(10, 2)으로 구성되고, 측부 프레임(1)의 좌우 양측 프레임(1a, 1b)이 복수개의 지지 기둥(11)과 릴 다리(12)의 고정판(1c)에 의해 일체적으로 평행하게 보유되고, 좌우 양측 프레임(1a, 1b)의 외측에는 각각 릴 측판(10, 2)이 부착되어 있다.
양측 프레임(1a, 1b)에는 베어링(13, 14)이, 그리고 릴 측판(2)에는 베어링(15)이 배치되어 스풀축(3)이 지지되고, 스풀축(3)의 대경부(3a)에 고정시킨 스풀(16)이 좌우 양측 프레임(1a, 1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16)의 권취 몸체부 외주에는 낚싯줄(17)이 감겨지고, 스풀축(3)의 좌측 일단부는 추력 받침(18)에 접촉되고, 타단부는 조정 손잡이(19) 내의 추력 받침(20)에 접촉되어 있다.
릴 측판(2) 내의 스풀축(3)의 소경부(3b)에는 피니언(4)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스풀축(3)의 결합 볼록부(3c)와 피니언(4)의 클러치 결합 오목부(4a)가 클러치 판(21)과 미끄럼 이동판(5)과 연결 레버(22)와 클러치 레버(23)가 부착된 축부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의해 결합, 이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4)의 기어부(4b)에는 구동 기어(24)가 맞물리고, 구동 기어(24)는 핸들축(25)에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지고, 핸들축(25)에 압입 고정된 와셔(26)에 의해 일방향으로 빠짐 방지되어 있다.
피니언(4)의 외주에는 주위 홈(4c)이 형성되고 클러치 판(21)이 결합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는 피니언(4)의 클러치 결합 오목부(4a)와 스풀축(3)의 결합 볼록부(3c)로 구성되고, 클러치 조작 기구는 피니언(4)을 이동시키는 클러치 판(21)과 미끄럼 이동판(5)과 연결 레버(22)와 클러치 레버(23)가 부착된 축부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와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25)은 측부 프레임(1b)의 베어링(27)과 릴 측판(2)의 베어링(28)으로 지지되고, 핸들축(25)의 외주이며 와셔(26)의 우측에 제동판(29)이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지고, 마찰판(30)과 래칫 휘일(31)과 마찰판(32)이 구동 기어(24)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또 구동 기어(24)의 우측에는 마찰판(32)이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제동판(33)과 스프링 판(34, 34)이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베어링(28)의 우측 핸들축(25) 외주에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35)의 원통부가 나사 결합되고, 드래그 조정 손잡이(35)의 회전으로 베어링(28)을 거쳐서 구동 기어(24)의 측면에 마찰판(30)과 래칫 휘일(31)과 마찰판(32)과 제동판(33)과 스프링 판(34, 34)이 가압되어 제동력이 조정된다.
핸들축(25)의 타단부에는 핸들(36)이 회전 방지되게 끼워 맞춰지고 너트(37)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 기어(24)의 측면에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발음 부재(38)의 일단부가 나사못(39)에 의해 고정되고, 발음 부재(38)의 타단부는 구동 기어(24)와 대향하는 래칫 휘일(31)의 측면에 형성된 발음용 요철부(31a)와 접해 있다.
래칫 휘일(31)의 외측에는 스프링 판(40, 40)으로 협지된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가 축(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스프링 판(40, 40)은 래칫 휘일(31)의 양 측면을 끼워 넣고,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의 선단은 래칫 휘일(31)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 고정 기어(31b)에 결합 가능하게 접해 있다.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의 외측에는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멈추는 핀(43)이 배치되어 있다.
래칫 휘일(31)에는 복수개의 킥 핀(4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판(21)은 양 단부가 측부 프레임(1b)에 고정된 지지 기둥(45, 45)에 끼워지고, 도시하지 않은 돌기로 상기 스풀축(3)의 결합 볼록부(3c)와 피니언(4)의 클러치 결합 오목부(4a)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클러치 판(21)은 미끄럼 이동판(5)에 의해 미끄럼 이동되고, 미끄럼 이동판(5)에는 횡방향 긴 구멍의 결합부(5a)와 클러치 판(21)이 작동되는 캠 형상의 작동부(5b, 5c)와 두 갈래의 연장편(5d, 5e)과 굴곡 결합부(5f)와 한 쪽 연장편(5d)에 긴 구멍(5g)과 연장편(5d)의 일측에 굴곡부(5h)가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5g)에는 측부 프레임(1b)에 고정된 핀(46)이 끼워지고, 연장편(5d) 상에 해제편(8)이 중합되며 해제편(8)에 형성된 긴 구멍(8a)에 핀(46)이 끼워져 있다.
해제편(8)에는 절결부(8b)와 스프링 걸이부(8c)가 형성되고, 스프링 걸이부(8c)에 스프링(47)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프링(47)의 타단부는 측부 프레임(1b)에 고정된 핀(48)에 결합되어 있다.
연장편(5d)과 해제편(8)의 다른 쪽 측부 프레임(1b)에 걸림 고정핀(49)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레버(23)가 부착된 축부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는 릴 측판(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조작 부재(6)에 클러치 레버(23)가 나사못(5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6)에는 편심 결합부(6a)와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b)가 배치되는 동시에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이동 안내부(6b)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7b)는 측부 프레임(1b)에 형성된 구멍(1d)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도1a 및 도1b에서는 편심 결합부(6a)는 미끄럼 이동판(5)의 횡방향 긴 구멍의 결합부(5a)에 삽입되며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2 내지 도4에서는 미끄럼 이동판(5)과 조작 부재(6) 사이에 연결 레버(22)가 배치되고, 연결 레버(22)는 축부(51)에 의해 측부 프레임(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긴 구멍(22a)과 굴곡된 결합부(22b)가 형성되고, 긴 구멍(22a)에 상기 편심 결합부(6a)가 삽입되어 있다.
결합부(22a)는 미끄럼 이동판(5)의 횡방향 긴 구멍의 결합부(5a)에 삽입되어 있다.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는 선재가 링 형상으로 권취되고, 일단부(7a)와 타단부(7b)가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2 내지 도4에서 조작 부재(6)의 중심과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a) 상에 데드 포인트가 있고, 도2의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이동 안내부(6b) 내에서 시계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도3의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이동 안내부(6b) 내에서 반시계 방향 단부로 변위되어 결합되어 있다.
도4의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실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와 타단부(7b)의 각각의 중심을 잇는 선을 b라고 하고, 실선 이동 안내부(6b) 내에서 시계 방향 단부인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종래 압박 부재의 일단부 위치)와 타단부(7b)의 각각의 중심을 잇는 선을 c라고 한다.
상기 잇는 선(a)과 잇는 선(b)의 회전각을 α, 그리고 잇는 선(a)과 잇는 선(c)의 회전각을 β라고 하면 α>β가 되고, 조작 부재(6)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b)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동작은 피니언(4)의 클러치 결합 오목부(4a)와 스풀축(3)의 결합 볼록부(3c)가 결합된 클러치 온 상태에서 핸들(36)이 회전되면, 구동 기어(24)에 의해 피니언(4)과 스풀축(3)이 회전되어 스풀(16)에 낚싯줄(17)이 권취된다.
이 때, 구동 기어(24)와 마찰판(32)을 거쳐서 래칫 휘일(31)이 도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 휘일(31)과 스프링 판(40, 40)의 마찰로 스프링 판(40, 40)과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의 선단은 래칫 휘일(31)의 걸림 고정 기어(31b)로부터 이격되고, 래칫 휘일(31)이 구동 기어(24)와 일체로 회전된다.
다음에, 스풀(16)이 낚싯줄(17)의 방출로 역회전되면 구동 기어(24)와 래칫 휘일(3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프링 판(40, 40)과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역전 걸림 고정 갈고리(41)의 선단은 래칫 휘일(31)의 걸림 고정 기어(31b)에 걸려 고정된다.
이 걸림 고정으로 래칫 휘일(31)은 정지 상태가 되고 구동 기어(24)만 회전되므로, 구동 기어(24)에 일단부가 고정된 발음 부재(38)의 타단부는 래칫 휘일(31)의 발음용 요철부(31a)에 의해 볼록부로부터 오목부로 낙하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다음에, 클러치 레버(23)가 도3 및 도4와 같이 하방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작 부재(6)의 편심 결합부(6a)에 의해 연결 레버(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결합부(22a)와 결합부(5a)에 의해 미끄럼 이동판(5)이 우측 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된다.
이 미끄럼 이동으로 클러치 판(21)이 작동부(5b, 5c)에서 상승되고, 피니언(4)의 클러치 결합 오목부(4a)와 스풀축(3)의 결합 볼록부(3c)의 결합이 이탈되어 클러치 오프가 되며, 스풀(16)은 자유 회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미끄럼 이동판(5)이 미끄럼 이동되었을 때 연장편(5d)도 도3에서 우측 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므로, 걸림 고정핀(49)과 굴곡부(5h)로 회전이 걸림 고정되어 있던 해제편(8)이 스프링(47)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해제편(8)의 절결부(8b)는 킥 핀(44)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접해 있다.
다음에, 핸들(36)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 기어(24)와 래칫 휘일(31)이 도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킥 핀(44)이 해제편(8)의 절결부(8b)에 접촉되고, 해제편(8)이 좌측 방향으로 되돌려 보내져서 해제편(8)의 좌측 단부가 미끄럼 이동판(5)의 굴곡 결합부(5f)를 밀어 올림으로써 미끄럼 이동판(5)이 후퇴되어 작동부(5b, 5c)와 클러치 판(21)의 결합이 해제되고, 피니언(4)의 클러치 결합 오목부(4a)와 스풀축(3)의 결합 볼록부(3c)가 결합되어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클러치 온 상태에서 핸들(36)이 회전되면 피니언(4)과 스풀축(3)이 회전되어 스풀(16)이 회전되고, 스풀(16)에 낚싯줄(17)이 권취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의 도3, 도4에서 클러치 레버(2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작 부재(6)와 연결 레버(22)에 의해 미끄럼 이동판(5)이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 부재(6)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b)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채비 투척시(캐스팅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미끄럼 이동판(5)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이 구성되면, 조작 부재(6)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b)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일이 없고, 확실하게 클러치 조작 기구의 오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를 조작 부재(6)에 배치한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b)에서 변위시켰지만, 측부 프레임(1b)에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를 형성하고, 이동 안내부에 타단부(7b)를 결합해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판 형상의 미끄럼 이동판(5)에 캠 형상의 작동부(5b, 5c)가 배치되어 클러치 판(21)이 작동되고, 미끄럼 이동판(5)은 압박 부재(7)로 압박된 조작 부재(6)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했지만, 조작 부재(6)를 스풀축(3)의 외측에서 회전되는 통형부에 형성하고, 통형부에 캠 형상의 작동부와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를 배치하는 동시에 통형부의 이동 안내부와 측부 프레임(1b) 사이에 압박 부재(7)를 배치해도 좋다.
상기 설명에서는 조작 부재(6)를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클러치 조작 기구의 직선 이동 또는 회전 이동을 작동하는 부재로서 기술했지만, 데드 포인트를 지나서 압박력이 가해지는 압박 부재가 조립된 릴의 다른 부재나 스위치 등의 작동 부재로 해도 좋다.
도5, 도6a 및 도6b는 제2 실시예이고, 낚시용 릴을 낚시용 스피닝 릴로서 기술하면 도5는 낚시용 스피닝 릴의 요부 단면 측면도, 도6a 및 도6b는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낚시용 스피닝 릴은 릴 본체(A')의 전방면으로 돌출한 회전 통축(52)에 로터(9)가 부착되고, 회전 통축(52)의 내부를 통해서 로터(9)의 전방측으로 돌출한 스풀축(3')에 스풀(16')이 부착되어 있다.
로터(9)는 핸들(36)의 회전으로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를 거쳐서 회전되고, 스풀(16')은 핸들(36)의 회전으로 도시하지 않은 요동 기구를 거쳐서 전후로 왕복 이동된다.
로터(9)는 통부(9a)에 의해 회전 통축(52)에 부착되고, 통부(9a)와 전방벽(9b)과 대경 통부(9c)와 대경 통부(9c)의 기초부의 외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된 한 쌍의 지지 아암(9d, 9e)으로 형성되고, 지지 아암(9d, 9e)에 오목부(9f, 9g)가 형성되는 동시에 오목부(9f, 9g) 내에 단차식 회전 지지축(9h, 9i)과 지지 아암(9d)의 오목부(9f) 내에 간헐 멈춤부(9j)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지지축(9h, 9i)의 중심에 나사부(9k, 9m)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9)의 한 쌍의 지지 아암(9d, 9e)의 선단부 외측에 반전 가능하게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와 다른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 6d)가 나사(53, 54)에 의해 피봇되고, 도6a 및 도6b의 실선으로 도시한 낚싯줄(17) 권취 상태와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방출 상태로 반전된다.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선단부에 라인 롤러로 이루어진 낚싯줄 안내부(55)와 베일 부착부(56)가 부착되어 있다.
베일 부착부(56)와 다른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선단부 사이에 베일 부착부(56)와 일체인 베일(57)이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아암(9d, 9e)의 외측은 각각 덮개(58, 59)로 피복되고 나사못(60, 6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릴 본체(A')의 릴 다리부(Aa)에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방출 상태에 있을 때 충돌 접촉되는 충돌 접촉 부재(62)가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와 다른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 6d)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 구멍(6e, 6f)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6e, 6f)은 단차식 회전 지지축(9h, 9i)에 끼워 맞춰져서 나사(53, 54)에 의해 빠짐 방지된다.
기초부(6c)의 이면에는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g)가 형성되고, 간헐 멈춤 돌기(6h)가 돌출되어 있다.
이동 안내부(6g)에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7b)는 지지 아암(9d)에 형성된 구멍(9n)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도6b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과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a) 상에 데드 포인트가 있고,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실선 조작 부재(6')의 파선 이동 안내부(6g)는 기초부(6c)의 우측 파선 위치에 있고, 파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이동 안내부(6g)의 반시계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이점 쇄선 조작 부재(6')의 이동 안내부(6g)는 기초부(6c)의 좌측 이점 쇄선 위치에 있고,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이동 안내부(6g)의 시계 방향 단부로 변위되어 결합되어 있다.
도6b의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와 타단부(7b)의 각각의 중심을 잇는 선을 d라고 하고, 이점 쇄선 이동 안내부(6g) 내에서 반시계 방향 단부의 일단부(7a)(종래 압박 부재의 일단부 위치)와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각각의 중심을 잇는 선을 e라고 한다.
상기 잇는 선(a)과 잇는 선(d)의 회전각을 γ, 그리고 잇는 선(a)과 잇는 선(e)의 회전각을 δ라고 하면 γ>δ가 되고, 조작 부재(6')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g)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낚시용 스피닝 릴의 동작은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핸들(36)이 회전되면 로터(9)가 회전되어 스풀(16')에 낚싯줄(17)이 권취된다.
베일(57)이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절환될 때는 베일(57)을 손으로 젖힌다.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채비를 투척하기 위해, 릴이 힘있게 휘둘러 내려지면 낚싯줄(17)이 스풀(16')로부터 방출된다.
베일(57)이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반전될 때는 핸들(36)에 의해 로터(9)가 회전되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충돌 접촉 부재(58)에 충돌 접촉됨으로써 반전된다.
상기와 같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의 이면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g)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채비 투척시(캐스팅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베일(57)이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반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채비 투척시(캐스팅시)의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스피닝 릴이 구성되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g)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 6")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도7은 제3 실시예이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와 지지 아암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의 이면에는 상기 제2 실시예의 이동 안내부(6g)보다 폭이 넓은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i)가 형성되고, 이동 안내부(6i) 내에 이동 부재(63)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동 부재(63)에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 구멍(63a)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도8a 및 도8b는 제4 실시예이고,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의 이면에 구멍(6j)이 형성되어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삽입 결합되고, 로터(9)의 지지 아암(9d)에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9o)가 형성되어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4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이동 안내부(9o) 내에 있어서의 결합 위치가 다르다.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는 이동 안내부(9o) 내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과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을 a라고 한다.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는 이동 안내부(9o) 내의 우측 단부에 결합되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과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을 a'라고 한다.
압박 부재(7)의 데드 포인트는 잇는 선(a) 상과 잇는 선(a') 상을 이동한다.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과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의 중심을 잇는 선을 f라고 한다.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의 중심과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을 g라고 한다.
상기 잇는 선(a)과 잇는 선(f)의 회전각을 γ', 그리고 잇는 선(a')과 잇는 선(g)의 회전각을 δ'라고 하면 γ'>δ'가 되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가 결합되는 지지 아암(9d)에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9o)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도9a 내지 도11은 제5 실시예이고, 도9a 및 도9b는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0은 한 쪽 지지 아암과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확대 단면 측면도, 도11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제5 실시예에서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 구멍(6e)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k)가 연접되고,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우측 전방을 향해 소판형으로 형성되고,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중심 관통 구멍(6e)이 회전 지지축(9h)에 압박 부재(7)로 가압 압박되어 있다.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의 이면에 구멍 6 m가 형성되어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7b)는 로터(9)의 지지 아암(9d)에 형성된 구멍(9n)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5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 관통 구멍(6e)이 회전 지지축(9h)에 압박 부재(7)로 가압 압박되고,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반전되면 반전과 동시에 도11의 화살표(h)와 같이 이동 안내부(6k)를 따라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좌측 전방으로 변위되고,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k)가 회전 지지축(9h)에 압박 부재(7)로 가압 압박된다.
도9b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과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a) 상에 데드 포인트가 있고,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도11에서 파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의 중심과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을 j라고 하고,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과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종래 압박 부재의 일단부 위치)의 중심을 잇는 선을 k라고 한다.
상기 잇는 선(a)과 잇는 선(j)의 회전각을 γ", 그리고 잇는 선(a)과 잇는 선(k)의 회전각을 δ"라고 하면 γ">δ"가 되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중심 관통 구멍(6e)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k)가 연접되어 소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와 같이 낚시용 스피닝 릴이 구성되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중심 관통 구멍(6e)과 연접하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k)를 배치하여 회전 지지축(9h)과 조합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 6")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도12a 내지 도14는 제6 실시예이고, 도12a 및 도12b는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3은 한 쪽 지지 아암과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확대 단면 측면도, 도14는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제6 실시예에서는 한 쪽 지지 아암(9d)의 상기 실시예의 회전 지지축(9h) 위치에 중심 관통 구멍(9p)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9q)가 연접되고, 좌측 전방을 향해 소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쪽 지지 아암(9d)의 로터 중심 방향의 내측면에 중심 관통 구멍(9p)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9q)의 소판형보다 큰 소판형 오목부(9r)가 형성되어 있다.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 구멍(6e)이 형성되어 나사(53)가 삽입되어 있다.
중심 관통 구멍(9p)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9q) 내에는 회전 지지축(64)이 변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회전 지지축(64)의 단차식 지지축부(64a)에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의 관통 구멍(6e)이 끼워 맞춰진다.
소판형 오목부(9r) 내에 회전 지지축(64)의 원형 플랜지부가 삽입되고, 회전 지지축(64)의 중심 나사 구멍(64b)에 나사(53)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5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6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나사(53)로 부착된 회전 지지축(64)이 압박 부재(7)에 의해 중심 관통 구멍(9p)에 가압 압박되고,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반전되면 반전과 동시에 도14의 화살표(h)와 같이 이동 안내부(9q)를 따라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좌측 전방으로 변위되고,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9q)에 회전 지지축(64)이 압박 부재(7)로 가압 압박된다.
도14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과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a) 상에 데드 포인트가 있고,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도14에서 파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의 중심과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을 j라고 하고,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과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종래 압박 부재의 일단부 위치)의 중심을 잇는 선을 k라고 한다.
상기 잇는 선(a)과 잇는 선(j)의 회전각을 γ", 그리고 잇는 선(a)과 잇는 선(k)의 회전각을 δ"라고 하면 γ">δ"가 되고, 한 쪽 지지 아암(9d)에 중심 관통 구멍(9p)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9q)가 연접되고, 좌측 전방을 향해서 소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도15a, 도15b 및 도16은 제7 실시예이고, 도15a 및 도15b는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평면도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16은 나사가 분리된 낚싯줄 방출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과 로터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제7 실시예에서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보다 편심 위치에 대경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n)가 형성되며, 내주의 두 지점에 오목부(6o, 6p)가 형성되어 있다.
한 쪽 지지 아암(9d)의 회전 지지축(9h)의 외주에 돌기부(9s)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5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7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대경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n)가 회전 지지축(9h)에 압박 부재(7)로 압박되는 동시에 오목부(6o)가 돌기부(9s)에 걸림 고정되고, 낚싯줄 권취 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로 반전되면 반전과 동시에 도16의 화살표(i)와 같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전방으로 변위되고, 대경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n)가 회전 지지축(9h)에 압박 부재(7)로 압박되는 동시에 오목부(6p)가 돌기부(9s)에 걸림 고정된다.
도16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과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a) 상에 데드 포인트가 있고,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도16에서 파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의 중심과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을 j라고 하고, 파선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과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종래 압박 부재의 일단부 위치)의 중심을 잇는 선을 k라고 한다.
상기 잇는 선(a)과 잇는 선(j)의 회전각을 γ", 그리고 잇는 선(a)과 잇는 선(k)의 회전각을 δ"라고 하면 γ">δ"가 되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대경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n)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이동 안내부를 긴 홈으로 형성했지만, 긴 구멍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17, 도18a 내지 도18f는 제8 실시예이고, 도17은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와 지지 아암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18a 내지 도18f는 지지 아암의 반전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8 실시예에서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의 이면에 상기 조작 부재(6')의 회전 축심을 향해서 볼록형이 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된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o)가 형성되고, 이동 안내부(6o)의 양측에 규제부(6p, 6q)가 홈 내로 돌출 형성되고, 기초부(6c)의 이면에 간헐 멈춤 돌기(6h)가 돌출되어 있다.
이동 안내부(6o)에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7b)는 지지 아암(9d)에 형성된 구멍(9n)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도17에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중심과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중심을 잇는 선(a) 상에 데드 포인트가 있고,
낚싯줄 권취 상태에서는 실선 조작 부재(6')의 파선 이동 안내부(6o)는 기초부(6c)의 우측 파선 위치에 있고, 파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이동 안내부(6o)의 반시계 방향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는 이점 쇄선 조작 부재(6')의 이동 안내부(6o)는 기초부(6c)의 좌측 이점 쇄선 위치에 있고,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가 이동 안내부(6o)의 시계 방향 단부로 변위되어 결합되어 있다.
도17의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이점 쇄선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와 타단부(7b)의 각각의 중심을 잇는 선을 d라고 하고, 이점 쇄선 이동 안내부(6o) 내에서 반시계 방향 단부의 일단부(7a)(종래 압박 부재의 일단부 위치)와 압박 부재(7)의 타단부(7b)의 각각의 중심을 잇는 선을 e라고 한다.
상기 잇는 선(a)과 잇는 선(d)의 회전각을 γ, 그리고 잇는 선(a)과 잇는 선(e)의 회전각을 δ라고 하면 γ>δ가 되고, 조작 부재(6')에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o)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동작은 도18a 내지 도18f의 낚싯줄 권취 상태 도18a로부터 낚싯줄 방출 상태 도18d로 절환될 때는 베일(57)을 손으로 젖혀서 일단부(7a)가 도18b, 도18c 상태를 거쳐서 낚싯줄 방출 상태 도18d로 절환된다.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낚싯줄 방출 상태 도18d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 도18a로 반전될 때는 핸들(36)로 로터(9)가 회전되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충돌 접촉 부재(58)에 충돌 접촉됨으로써 반전되고, 일단부(7a)가 도18e, 도18f 상태를 거쳐서 낚싯줄 방출 상태 도18d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 도18a로 반전된다.
상기 절환 및 반전될 때 일단부(7a)는 이동 안내부(6o)의 양측 규제부(6p, 6q)에 의해 각각 규제되어 있으므로,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회전 개시와 동시에 이동하지 못하고,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소정량 회전된 후에 이동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의 기초부(6c)의 이면에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o)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채비 투척시(캐스팅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베일(57)이 낚싯줄 방출 상태로부터 낚싯줄 권취 상태로 반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채비 투척시(캐스팅시)의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동 안내부(6o)의 양측 규제부(6p, 6q)에 의해서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소정량 회전된 후에 이동이 개시되므로, 관성력이나 충격 등으로 반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스피닝 릴이 구성되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에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6o)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7)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36)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 6")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57)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압박 부재(7)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6')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이동 안내부(6o)의 양측 규제부(6p, 6q)에 의해서 압박 부재(7)의 일단부(7a)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6')가 소정량 회전된 후에 이동이 개시되므로, 관성력이나 충격 등으로 반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며,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 내지 4에 의해, 조작 부재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의 일단부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압박 부재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일이 없고, 확실하게 클러치 조작 기구의 오복귀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 내지 8에 의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에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의 일단부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 9 및 10에 의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에 중심 관통 구멍과 연접하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를 배치하고, 회전 지지축과 조합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의 일단부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 11 내지 17에 의해,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에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이동 안내부를 배치함으로써 낚싯줄 방출 상태에서 데드 포인트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압박 부재의 일단부는 변위되어 회전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으며, 채비 투척시의 관성력으로 핸들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가 오복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관성력으로 베일이 흔들려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압박 부재의 선재를 굵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 부재의 조작력이 불필요하게 커져서 조작성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이동 안내부의 양측 규제부에 의해서 압박 부재의 일단부는 한 쪽 베일 지지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 부재가 소정량 회전된 후에 이동이 개시되므로, 관성력이나 충격 등으로 반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7)

  1. 비조작 부재에 직선 이동과 회전 이동의 한 쪽을 작동시키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데드 포인트를 지나서 압박력을 부여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릴 본체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된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조작 부재의 온/오프 동작의 동작 위치의 한 쪽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원호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베일 지지 부재와,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로서, 상기 로터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그 전방부에서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의 한 쪽으로 반전 가능하게 할당되도록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압박 보유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과 상기 베일지지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된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방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베일 지지 부재로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원호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는 상기 이동 안내부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9. 낚싯줄 안내부를 구비한 베일 지지 부재와,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로서, 상기 로터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그 전방부에서 반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권취 위치와 낚싯줄 방출 위치의 한 쪽으로 반전 가능하게 할당되도록 상기 베일 지지 부재를 압박 보유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의 한 쪽에 배치된 회전 지지축과,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과 상기 베일 지지 부재의 다른 쪽에 배치된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가 낚싯줄 방출 위치에 위치될 때부터 상기 베일 지지 부재로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회전 지지축을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긴 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1. 축부와,
    상기 축부 주위로 회전 가능한 조작 부재로서, 상기 조작 부재는 온/오프 동작간의 절환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 부재에 킥 포인트를 지나서 압박력을 부여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릴 본체 측부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와 상기 축부의 한 쪽을 수용하는 이동 안내부로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온/오프 동작의 한 쪽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를 상기 압박 부재의 데드 포인트 위치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원호형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 부재의 단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4. 제11항에 있어서, 양 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부는 릴 본체이고,
    상기 조작 부재는 스풀축과 피니언의 결합 및 분리를 실행하도록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5. 제11항에 있어서, 스피닝 릴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부는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로터의 지지 아암이고,
    상기 조작 부재는 낚싯줄 권취 상태와 낚싯줄 방출 상태간으로 절환시키도록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에 반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일 지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의 한 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베일 지지 부재와 상기 로터의 지지 아암의 다른 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안내부는 상기 축부를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상기 축부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안내부는 대략 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1999-0036781A 1998-09-02 1999-09-01 낚시용 릴 KR100522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396998 1998-09-02
JP98-263969 1998-09-02
JP33017198A JP3483784B2 (ja) 1998-09-02 1998-11-05 魚釣用リ−ル
JP98-330171 1998-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823A true KR20000022823A (ko) 2000-04-25
KR100522647B1 KR100522647B1 (ko) 2005-10-19

Family

ID=2654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781A KR100522647B1 (ko) 1998-09-02 1999-09-01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47663B1 (ko)
JP (1) JP3483784B2 (ko)
KR (1) KR100522647B1 (ko)
CN (1) CN11652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974B2 (en) * 2002-11-18 2004-07-27 Liang-Jen Chang Clicking reel shell for spinning reel
US6843439B1 (en) * 2003-07-07 2005-01-18 Pure Fishing, Inc. Anti-reverse bail control
US20050103911A1 (en) * 2003-11-13 2005-05-19 Li Chi S. Spinning reel with clicking bail arm
US7922112B2 (en) * 2009-04-20 2011-04-12 Zeebaas, Llc Bail for spinning reel
KR101998897B1 (ko) 2012-05-29 2019-07-10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CN102986606B (zh) * 2012-11-23 2014-03-12 燕山大学 一种垂钓手竿的泄力与收放线装置
KR101492200B1 (ko) * 2013-06-05 2015-02-1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싯바늘 걸이수단을 구비한 낚시릴
CN104798742A (zh) * 2015-04-22 2015-07-29 徐卫国 智能钓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8257A (en) * 1937-04-26 1940-04-23 Bronson Reel Company Fishing reel
US4202508A (en) * 1977-04-19 1980-05-13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Spinning type fishing reel
FR2419021A1 (fr) * 1978-03-06 1979-10-05 Mitchell Sa Moulinet de peche
JPS552780A (en) 1978-06-23 1980-01-10 Nippon Jiryoku Senko Kk Dephosphorizing method for slag
DE3013680A1 (de) * 1979-04-09 1980-10-16 Ryobi Ltd Angelspule mit verschwenkbarem buegelarm
US4513926A (en) * 1981-05-05 1985-04-30 Ryobi Ltd. Bail arm control device for a spinning reel
JPS5933256Y2 (ja) * 1981-07-28 1984-09-17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のベ−ルア−ム反転装置
JP2547399B2 (ja) * 1985-01-21 1996-10-23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クラツチ機構
US4899952A (en) * 1987-08-03 1990-02-13 Ryobi Ltd.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KR920009008Y1 (ko) * 1988-02-05 1992-12-26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베일반전장치
US4923140A (en) * 1988-02-05 1990-05-08 Daiwa Seiko, Inc. Bail reversing apparatus for fishing spinning reels
US4941626A (en) * 1989-10-27 1990-07-17 Abu Garcia Produktion Ab Bail mechanism in an open-face fishing reel of the fixed-spool type
JPH043017A (ja) 1990-04-20 1992-01-08 Fujitsu General Ltd Plzt光シャッタアレーの電極形成方法
US5342003A (en) * 1990-10-09 1994-08-30 Shimano Inc. Spinning reel
JPH04127174U (ja) * 1991-05-09 1992-11-1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H04129767U (ja) * 1991-05-23 1992-11-27 株式会社シマノ ベールアームの反転装置
FR2676887B1 (fr) * 1991-05-31 1995-07-07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recuperateur muni d'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de rappel perfectionne.
JP2552460Y2 (ja) * 1991-08-01 1997-10-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DE69324973T2 (de) * 1992-09-04 1999-09-30 Daiwa Seiko Inc Angelwinde
JP2800087B2 (ja) * 1993-09-10 1998-09-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KR100355073B1 (ko) * 1994-08-23 2003-01-06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양베어링형릴및낚싯줄평행감기장치
JPH08298902A (ja) * 1995-05-09 1996-11-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姿勢切り換え装置
DE69606497T2 (de) * 1995-11-14 2000-07-06 Daiwa Seiko Inc Angelwinde
US6176447B1 (en) * 1996-01-10 2001-01-23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a spool having front and rear flange portions
CN1198300A (zh) * 1997-05-05 1998-11-11 查理斯·C·沃斯公司 钓鱼卷线器及收缩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221C (zh) 2004-09-08
JP3483784B2 (ja) 2004-01-06
KR100522647B1 (ko) 2005-10-19
US6247663B1 (en) 2001-06-19
CN1248399A (zh) 2000-03-29
JP2000139287A (ja) 200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8604B (zh) 雙軸承捲線器及雙軸承捲線器的離合機構
KR100522647B1 (ko) 낚시용 릴
KR0136577B1 (ko) 스피닝리일
US5318243A (en) Spinning reel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rotation of a rotor
KR20020021983A (ko) 양 베어링 릴
JPS61274638A (ja) スピニングリ−ル
JPH086463Y2 (ja) 両軸受リール
US5139214A (en) Anti-reverse mechanism for use in fishing reel
US5188312A (en) Fishing reel with rear positioned thumb rest and clutch control member
JP3020817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0240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350537A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装置
JPH1175638A (ja) 両軸受リールの変速装置
KR200204961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장치
JP2553977Y2 (ja) 両軸受リール
JP2008245566A (ja) 魚釣用リール
JP2000050772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154018A (ja) 魚釣用リ−ル
JP3240107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130059Y2 (ko)
JPH11187788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839897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KR200263649Y1 (ko)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JPH0923790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3274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