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073B1 - 낚시용양베어링형릴및낚싯줄평행감기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양베어링형릴및낚싯줄평행감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073B1
KR100355073B1 KR1019950026128A KR19950026128A KR100355073B1 KR 100355073 B1 KR100355073 B1 KR 100355073B1 KR 1019950026128 A KR1019950026128 A KR 1019950026128A KR 19950026128 A KR19950026128 A KR 19950026128A KR 100355073 B1 KR100355073 B1 KR 100355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reel
spool
hand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192A (ko
Inventor
아사노신이치
야마구치노부유키
무라야마도모히로
오노도시로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117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97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66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08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07567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5172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1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릴의 중심과 핸들위치를 쥐고 있는 손의 위치에 가깝게 하여 안정된 권취조작을 할 수 있고, 스풀축단압접의 조정집게의 회동조작이 용이하며, 캐스팅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안정적으로 쥐고 유지한 상태로, 또한 한쪽의 엄지손가락으로 전환부재의 전환조작과 서밍조작이 가능하며, 다른쪽 손으로 핸들조작이 가능하고, 낚싯줄 방출조작으로부터 낚싯줄 권취조작의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 및 사용함에 있어서, 낚싯줄 감기시에 미끄럼이동 구동부에 해수, 모래, 쓰레기 등이 부착하는 일 없이, 원활한 왕복동작이 가능하며, 릴 전체의 균형을 양호하게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릴 본체의 좌측 프레임 외부측에는 지지판과 릴 측판이 부착되고, 우측 프레임의 외부측에는 릴 측판이 부착되어 있고, 좌우 양측 프레임 사이에 스풀이 스풀축에 고정배치되어 있고, 스풀은 핸들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핸들은 스풀축에서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 양측 프레임 사이의 스풀에서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에 레벨와인드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릴 본체의 좌측프레임이 평행으로 유지되어 좌우 양측 프레임 사이에 스풀이 배치되어 있고, 핸들이 부착된 핸들축은 스풀에 부착된 스풀축으로부터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기구의 전환부재의 손가락 접촉 조작부는 릴 전체를 손으로 쥐고 유지했을 때, 엄지손가락 끝이 얹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의 낚싯줄 풀어내기쪽과 반대쪽의 측판간에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트래버스축을 배치한다. 트래버스축에는 구동체가 배치되어 있고, 트래버스축의 회전에 의해 왕복미끄럼 이동된다.
구동체에는 릴 본체에 회동하도록 지지된 작동체가 부착되어 있고, 작동체의 선단측에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체가 설치되어있다.
낚싯줄 안내체는 구동체가 트래버스축에 따라 왕복미끄럼이동됨으로써, 스풀의 낚싯줄 풀어내기측에서 왕복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 및 낚싯줄 평행감기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스풀축으로부터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는 반대쪽 후방에 있어서의 릴 본체 측판에 핸들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싯줄 권취상태와 낚싯줄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가진 릴의 클러치 전환 조작성을 개선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부착되고, 스풀에 낚싯줄을 균등하게 감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은 예컨대 일본국 실공소 57-22541호 공보와 같이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한 스풀을 이 스풀의 전방측 (낚싯줄 풀어내기측) 의 측판에 지지한 핸들로 권취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스풀축으로부터 전방의 측판에 권취용의 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므로,실용상 아래와 같은 과제가 남겨져 있다.
① 한쪽손으로 릴을 쥔 채로 다른쪽 손으로 핸들을 권취조작할 때에, 낚싯꾼의 몸통으로부터 핸들위치가 멀어져서, 겨드랑이가 열리고 그 때문에 안정된 권취조작을 하기 곤란하다.
② 핸들의 후방에 스풀축단 압접의 조정집게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릴을 손으로 유지하면서 손가락끝으로 용이하게 집게의 회동조작을 할 수 없다.
③ 줄을 던질 때, 스풀 서밍가능상태로 릴을 유지하려하면, 핸들과 구동기어가 스풀축으로부터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심이 릴을 유지한 손의 위치보다 앞쪽에 있어서 무겁게 느껴져 강하게 쥐게 되므로, 쥐기가 곤란한 동시에, 낚싯대와릴을 쉽게 던질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종래,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스풀을 낚싯줄 권취상태와 낚싯줄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이 예컨대 일본국 실공소 57-14605호 공보나 동 실공소 59-15896호 공보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의 릴에서는 스풀축의 앞쪽에 핸들축이 배치되고, 또한 낚싯줄 권취상태와 낚싯줄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의 전환부재는, 핸들쪽 측판의 바로 앞쪽에 회전 또는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핸들조작이 행해질 때, 낚싯대에 장착된 릴을 서밍조작가능상태로 한쪽 손으로 유지하고, 다른쪽 손으로 핸들을 쥐고 행해진다.
이때 서밍조작가능상태로 릴을 한쪽 손으로 유지하면, 스풀축이 핸들축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릴 전체를 한쪽 손 가운데에 쥔 상태로 릴 조작을 할수 없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
다음에 줄을 던질 경우에는 전환부재를 조작하여 낚싯줄 권취상태로부터 낚싯줄 방출상태로 전환할 때, 핸들로부터 다른쪽 손을 떼어 전환부재를 조작한다.
낚시감과의 실랑이가 벌어질 때도 전환부재의 전환조작과 핸들의 회전조작이 다른쪽 손으로 행해지므로,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등의 과제가 남겨져 있다.
또한, 릴 본체의 측판간에 지지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등하게 감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를 구비한 낚시용의 릴이, 예컨대 일본국 실공평 1-44062호나, 일본국 실개평 3-61873호 공보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통상의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는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트래버스홈을 가지는 트래버스축과, 이 트래버스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축에 미끄럼이동자유롭게 배치되고,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체와, 이 낚싯줄 안내체에 설치되어, 상기 트래버스홈에 걸림되는 걸림편을 가지고 있다.
트래버스축의 끝부에는, 핸들축에 부착된 구동기어에 맞물림되는 기어가 부착되어 있고, 핸들축이 회전함으로써 트래버스축은 회전한다.
이 트래버스축의 회전에 의해 낚싯줄 안내는 트래버스홈에 걸림되는 걸림편을 통하여 지지축에 따라 왕복미끄럼이동되고, 스풀에 대하여 낚싯줄을 균등하게 감아 나간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스풀축보다 전방쪽의 측판에 권취용의 핸들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권취조작을 하기 어렵고, 스풀축단 압접의 조정집게 회동조작을 손가락 끝으로 쉽게 할 수 없는 것과, 중심과 핸들위치가 릴을 유지한 손의 위치로부터 앞쪽에 있어 무겁게 느껴져서 쉽게 던질 수 없다는 점이다.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쥔 상태로 릴 조작을 할 수 없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것과, 전환부재의 전환조작과 핸들의 회전조작이 다른쪽 손의 이동으로 행해지므로 일련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등의 과제가 남겨져 있는 점이다.
그러나, 낚싯줄의 권취조작에 있어서, 해수, 모래, 쓰레기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체의 안내구멍을 통하여 스풀에 안내하기 때문에,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트래버스축이나 낚싯줄 안내체의 미끄럼이동부 등에 상기 해수, 모래, 쓰레기 등이 부착되기 쉽다.
이 때문에 낚싯줄 안내체가 지지축에 따라 원활하게 왕복미끄럼이동할 수 없거나, 트래버스홈과 걸림편과의 걸림상태가 안정되지 않고, 내구성 및 강도가 떨어지거나, 부식이 촉진되어 낚싯줄 안내체가 왕복미끄럼이동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낚싯줄 안내체, 트래버스축 등을 가진 낚싯줄 평행감기장치가, 스풀전방의 측판간에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전방에 커다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릴 본체 및 낚싯줄 평행감기장치가 대형화되는 동시에 릴 전체의 균형이 나빠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릴의 중심과 핸들위치를 쥐고있는손의 위치에 근접시켜 안정된 권취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스풀축단 압접의 조정집게의 회동조작이 용이하며, 캐스팅(casting)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안정적으로 쥐고 유지한 상태로, 또한 한쪽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전환부재의 전환조작과 서밍조작이 가능하게 다른쪽 손으로 핸들의 조작을 할 수 있고, 낚싯줄 방출조작으로부터 낚싯줄 권취조작의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에 있어서 낚싯줄 감기시에 미끄럼이동구동부에, 해수, 쓰레기 등이 부착함이 없이 원활한 왕복동작이 가능하며, 릴 전체의 균형을 양호하게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 제 1항 기재 발명은,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스풀을 측판에 장착한 핸들로 권취회전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으로부터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방에서의 상기 릴 본체의 측판에 상기 핸들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2항 기재 발명은, 상기 스풀로부터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에서의 상기 릴 본체의 측판간에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평행으로 감는 레벨와인드 장치를 배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 제 3항 기재의 발명은,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스풀을 낚싯줄 권취상태와 낚싯줄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이 스풀을 측판에 설치한 핸들로 권취회전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장착되는 핸들축보다도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위치에서의 핸들측 측판상부에, 릴 전체를 손으로 쥐고 유지한 상태로 또한 엄지손가락으로 전환조작가능한 위치에,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부재를 변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 4항 기재의 발명은, 상기 핸들축보다도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위치의 측판간에 상기 스풀을 스풀축을 통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등하게 감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는, 스풀의 낚싯줄 풀어내기쪽과 반대쪽의 측판간에 배치되고,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구동하는 구동체와, 릴 본체에 지지되어 한쪽이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하고, 다른쪽이 상기 구동체에 연결된 작동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체의 왕복구동에 의해 상기 작동체 및 낚싯줄 안내체를 통하여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도는 우측핸들의 릴에 관한 제1 실시예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단면 평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 2도는 동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면도,
제 3도는 동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 4도는 동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릴 측판내의 주요부 확대 단면 측면도,
제 5도는 동 클러치 ON 상태의 제 4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 6도는 동 클러치 OFF 상태의 제 4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 7도는 좌측핸들의 릴에 관한 제2 실시예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단면 평면도,
제 8도는 동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좌측면도,
제 9도는 동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10도는 동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좌측릴 측판내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11도는 동 클러치 ON 상태의 제10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12도는 동 좌우양측프레임의 사시도,
제13도는 동 좌우양측프레임에 클러치 조작체가 조립된 사시도,
제14도는 동 클러치 OFF 상태의 제10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15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평면도,
제16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단면 평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17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8도는 낚시용 앙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19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좌측릴 측판내의 클러치 ON 상태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구동기어 하부측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21도는 클러치 기구의 전환부재와 중간부재 및 클러치 조작체의 사시도,
제22도는 클러치 OFF 상태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23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릴 측판쪽의 측면도,
제24도는 우측릴 측판형상의 변경예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릴 측판쪽의 측면도,
제25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배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이 낚싯줄 평행감기장치가 설치된 양베어링형 릴의 구성예를 예시한 평면도,
제27도는 제26도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28도는 제26도에 도시하는 양베어링형 릴의 배면도,
제29도는 제26도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30도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면,
제31도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며, 이 낚싯줄 평행 감기장치를 설치한 양베어링형 릴의 배면도,
제32도는 제31도에 있어서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제33도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제27도와 동일한 종단면도,
제34도는 제33도에 있어서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제35도는 (a) ∼ (c)를 포함하여, 각각 구동부분을 수평형상으로 구성한 변형예를 예시한 도면,
제36도는 낚싯줄 펑행감기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예시도이며, 릴 본체를 앞쪽에서 본 도면,
제37도는 제36도에 도시한 릴의 앞부분을 확대한 종단면도,
제38도는 제36도에 도시한 릴의 앞부분을 위에서 본 도면,
제39도는 제36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E,201: 릴 본체 B,G: 레벨 와인드 장치
F: 클러치 기구 2,3,102,103: 릴 측판
4,104,205: 스풀축 11,111,203:스풀
17,117,212:핸들 67,164:낚싯줄
106,208: 핸들축 108: 전환부재
201a,201b: 측판 215: 트래버스축
225,325: 구동체 230,330: 낚싯대 부착부
235,335,435: 작동체 240,340: 낚싯줄 안내체
280,380: 안내레버
[작용]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의하면, 핸들(17)이 낚시꾼의 신체에 근접하므로 핸들조작을 할 때, 겨드랑이가 붙어 권취조작을 원활히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릴의 요동이 적어지게 된다.
또, 스풀축(4) 의 축단 압접의 조정집게(25)는 핸들(17)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조정 조작도 쉽게 할 수 있다.
스풀축(4) 으로부터 후방의 릴 측판(3) 에 권취용의 핸들(17)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릴을 쥔 손의 위치에 릴의 중심과 핸들(17)의 장착위치가 가까워지고, 줄을 던질 때, 스풀(11)을 서밍가능상태로 릴을 유지하여 행하여도, 릴을 쥐기 쉽고, 낚싯대와 릴을 던지기 쉽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의하면, 스풀축(4) 의 전방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B) 를, 후방측에 핸들축(6) 을 각각 분할 배치하였으므로, 구동부를 균형있게 릴 본체(A) 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릴 전체의 균형이 양호하게 된다.
또, 트래버스 캠축(21), 핸들축(6), 스풀축(4) 이 밀집되지 않으므로, 제조조립, 분해 및 아프터서비스가 양호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3항 기재의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의하면,
전환부재(108) 의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는, 릴 전체를 한쪽 손에 쥐고 유지했을때, 엄지손가락 끝이 얹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릴 전체를 쥐고 유지한 상태로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의 변위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가 변위조작된 후 엄지손가락은 스풀(111) 의 플랜지 외주에 얹을 수 있으므로, 클러치 OFF 상태로 한 직후에 서밍조작가능상태로 된다.
다른쪽 손은 핸들(117) 을 쥔 상태로 릴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낚시감과의 실랑이가 벌어질 때도, 릴 전체를 한쪽 손에 쥐고 유지한 상태로, 전환부재(108) 의 전환조작과 서명조작이 가능하며, 다른쪽 손으로 핸들(117) 조작을 할 수 있어 손을 이동할 필요가 없다.
스풀의 회전과 연동하여 스풀에 대해 낚싯줄을 균등하게 감겨지게 하는 낚싯줄 안내체는, 스풀의 낚싯줄 풀어내기 쪽과 반대쪽에 배치된 구동체에 의해 왕복구동된다.
이 구동체는 릴 본체의 측판간에 배치되고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트래버스축의 트래버스홈과 걸림되어 있고, 핸들조작과 동시에 왕복구동된다. 구동체에는 릴 본체에 지지된 작동체의 한끝쪽이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끝쪽에 상기 낚싯줄 안내체가 설치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체를 왕복구동시키는 구동체는 스풀의 낚싯줄 풀어내기 쪽과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체가 걸림되는 트래버스축에 해수 등이 묻어있기 어렵고, 또 릴 본체의 균형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실시예]
이하,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면, 제 1도로부터 제 6도는 우측 핸들의 릴에 관한 제1 실시예로, 여기에서 제 1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단면 평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 2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면도, 제 3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 4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릴 측판내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 5도는 클러치 ON 상태의 제 4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 6도는 클러치 OFF 상태의 제 4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 6도는 클러치 OFF 상태의 제 4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은 제 1도에서 릴 본체(A) 의 좌우 양측 프레임(1, 1') 이 지지판(1a)과 릴 다리(10)의 고정판(1b)에서 평행하게 일체로 유지되어 있다.
좌측 프레임(1) 의 외부측에는 지지판(1")과 릴 측판(2) 이 부착되어 있다.
우측 프레임(1')의 외부측에는 릴 측판(3) 이 부착되어 있다.
좌우 양측 프레임(1, 1') 사이에 스풀(11)이 스풀축(4) 에 고정배치되고, 스풀축(4) 은 한쪽의 베어링(12, 13)과 다른쪽 베어링(14, 15)으로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클러치 기능과 스풀축(4) 에 끼워맞춤된 피니언(5) 과 핸들축(6) 에 마찰결합된 구동기어(16)와 핸들축(6) 에 부착된 핸들(17)을 통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축(6) 은 스풀축(4) 으로부터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릴 측판(2) 과 지지판(1") 안쪽에 각각 축통부(2a, 1c)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축통부(2a) 안쪽의 오목부에는 상기 베어링(12)이 끼워맞춤되어 부착되고, 축통부(2a)의 내부측 바닥면에 스러스트 베어링(18)이 고정되어서 스풀축(4) 의 한끝(4a)이 맞닿아 있다.
축통부(1c) 안쪽의 오목부에는 상기 베어링(13)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판(1")으로부터 릴 측판(2) 쪽으로 돌출된 스풀축(4) 의 한끝(4a) 외주에는 기어(19)가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서 E 링(20)으로 빠짐방지되어 있다.
좌우 양측 프레임(1, 1') 간의 스풀(11)로부터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에 레벨 와인드 장치(B) 가 배치되고, 레벨 와인드 장치(B) 의 트래버스 캠축(21)의 일단에 기어(22)가 부착되어 있다. 기어(19)와 기어(22) 사이에는 지지판(1")에 심어설치된 축(23)에 축 지지된 기어(24)가 맞물려 있다.
제 1도, 제 3도의 우측 프레임(1')의 좌측 안쪽에 축통부(1d)가 돌출형성되고, 축통부(1d)의 안쪽에 통과구멍(1e)과 오목부(1f)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f)에는 상기 베어링(14)이 끼워맞춤되어 부착되어 있다.
릴 측판(3) 에는 투과구멍(3a)과 오목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b)에는 상기 베어링(15)이 끼워맞춤되어서 부착되고, 베어링(15)에는 스풀축(4)의 세경(細經)의 다른끝(4b)이 축지지되어 있다.
릴 측판(3) 의 투과구멍(3a)의 우외측에는 축통부(3c)가 돌출형성되어 외주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숫나사에는 스풀축단 압접의 조정집게(25)가 나사맞춤되고, 조정집게(25)의 안쪽 바닥면에 스러스트 베어링(26)이 고정되어서 스풀축(4) 세경의 다른끝(4b)이 맞닿아 있다.
우측 프레임(1')의 좌외측에는 오목부(1g)가 형성되어 베어링(27)이 끼워맞춤되고, 상기 핸들축(6) 의 한끝(6a)이 회전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서빠짐방지판(28)으로 빠짐방지되어있다.
릴 측판(3) 에 투과구멍(3d)과 오목부(3e)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e)에는 베어링(29)이 끼워맞추어져서 부착되어 있다.
베어링(29)에서 핸들축(6) 이 핸들축(6) 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회전방지끼워맞춤된 칼라(30)를 통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우측 프레임(1')과 릴 측판(3) 사이의 스풀축(4) 의 세경부(4c)에는 피니언(5) 이 축선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고, 스풀축(4) 의 걸림부(4d)와 피니언(5) 의 걸림부(5a)와 클러치 조작체(7) 로 클러치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5) 에는 핸들축(6) 에 회전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전 구동기어(16)가 맞물려 있다.
구동기어(16) 좌측의 핸들축(6) 에는 한끝(6a)과 플랜지부(6b)가 형성되어 플랜지부(6b)에 역전방지의 래칫(31)과 마찰판(32)이 겹쳐서 끼워맞춤되고, 래칫(31)은 핸들축(6) 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기어(16)에는 중심에 둥근구멍(丸孔)과 오목부로 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드래그 기구의 제동판(33)과 마찰판(34) 및 제동판(35)과 마찰판(34) 및 제동판(33)과 마찰판(34) 및 제동판(35)이 순차적으로 삽입수용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 내주에는 축방향으로 한쌍의 돌기가 형성되어서 제동판(33)은 핸들축(6) 의 외주에 회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한쌍의 돌기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되어 있다.
제동판(35)은 핸들축(6) 의 외주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되고, 구동기어(16)에대하여 회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기어(16)의 개방측의 제동판(35)에는 핸들축(6) 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된 가압반(36)이 맞닿아 있다.
가압반(36)의 우측에는 핸들축(6) 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된 스프링(37, 38)이 맞닿아 있다.
스프링(38)의 옆에는 상기 칼라(30)가 맞닿아 있다.
칼라(30)의 옆에는 핸들축(6) 에 나사맞춤된 너트(39)가 맞닿아 있다.
너트(39)에서 외부측의 핸들축(6) 에는 핸들(17)이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주머니 너트(40)로 빠짐방지되어 있다.
너트(39)는 드래그 조정집게(41)의 다각형의 관통구멍에 축방향 전후로 이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드래그 조정집게(41)와 릴 측판(3) 의 측부와의 사이에 금속, 합성수지의 경질체나 경질펠트 등으로 형성되는 중간부재(42)가 개재되고, 드래그 조정집게(41)와 핸들(17)과의 사이의 다른 O 링으로 형성되는 중간부재(43)가 개재되어 있다.
핸들축(6) 이 축지지된 베어링(29) 외측의 릴 측판(3) 의 측부에는 오목부(3f)가 형성되어서 중간부재(42)가 회전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역전방지의 래칫(31)은 핸들축(6) 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되고, 제 1도, 제 3도, 제 4도로부터 제 6도와 같이, 래칫(31)의 외부측에는 스프링판(44, 44)으로 끼워진 역전방지클릭(45)이 축(46)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축지지되며, 스프링판(44, 44)은 래칫(31)의 양측면을 끼워넣고, 역전방지클릭(45)의 선단은 래칫(31)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톱니에 걸림자유롭게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역전방지클릭(45)의 외부측에는 역전방지클릭(45)의 회동을 제한하는 핀(47)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31)에는 복수개의 킥 핀(48)이 심어설치되어 있다.
릴 측판(3) 내에는 기어박스로 구성되는 동시에 클러치 레버(49)의 회동으로 축부(50)와 연결판(51)을 통하여 전진후퇴되는 상기 클러치 조작체(7) 로 조작되는 클러치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는 상기 스풀축(4) 의 걸림부(4d)와 걸림·풀림되는 피니언(5) 의 걸림부(5a)와, 클러치 조작체(7) 의 클러치 캠(7a)과, 클러치판(52)과, 래칫(31)의 복수개의 킥 핀(48)과, 킥 레버(53)로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체(7) 는 우측 프레임(1')에 미끄럼이동자유롭게 설치되어서, 클러치 조작체(7) 에는 클러치 캠(7a)과 횡방향 슬롯의 걸림부(7b)와 두가닥의 연장편(7c, 7d)과 굴곡 걸림부(7c)와 한쪽의 연장편(7c)에 있는 슬롯(7f)과 연장편(7c)의 한쪽에 있는 굴곡부(7g)가 형성되어 있다.
슬롯(7f)에는 우측 프레임(1')에 고정된 핀(54)이 끼워지고, 연장편(7c)상에 킥 레버(53)가 겹쳐져서 킥 레버(53)에 뚫어설치된 슬롯(53a) 에 핀(54)이 끼워져 있다.
킥 레버(53)에는 절결부(53b) 와 스프링 걸기부(53c) 가 형성되어 스프링 걸기부(53c) 에 스프링(55)의 일단이 걸림되고, 스프링(55)의 다른끝은 우측 프레임(1')에 고정된 핀(56)에 걸림되어 있다. 연장편(7c)과 킥 레버(53)의 다른측의 우측 프레임(1')에 걸림핀(57)이 고정되어 있다.
축부(50)는 릴 측판(3) 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축부(50)의 편심걸림부(50a) 와 연결판(51)의 슬롯(51a) 이 걸림되고, 연결판(51)의 걸림부(51b) 가 클러치 조작체(7) 의 횡방향 슬롯의 걸림부(7b)와 걸림되어 있다.
축부(50)와 우측 프레임(1') 사이에 데드 포인트 스프링(58)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판(51)은 우측 프레임(1') 에 고정된 축부(59)에 회동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클러치판(52)은 양단이 우측 프레임(1')에 고정된 지주(60, 60)에 끼워지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으로 상기 스풀축(4) 의 걸림부(4d)와 피니언(5) 의 걸림부(5a)가 걸림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클러치판(52)에는 피니언(5) 의 홈(5b)에 끼워지는 원호형상의 오목부(52a) 가 형성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장치(B) 는 안내통(61)과, 안내통(61) 외주를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62)와, 안내통(61)의 양단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으로 축지지된 상기 트래버스캠축(21)과, 트래버스캠축(21)의 트래버스 홈에 걸림되는 낚싯줄 안내체(62)내에 수용된 걸림편(63)과, 걸림편(63)을 밀어올리는 스프링(64)과, 걸림편(63)을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캡(65)과, 낚싯줄 안내체(62)가 안내통(61)과 평행으로 유지되게 하는 안내레버(66)로 구성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체(62)에는 경질 낚싯줄 안내고리(67)가 고정되어서 경질 낚싯줄안내고리(67)를 통과시킨 낚싯줄(68)이 스풀(11)에 감겨진다.
트래버스캠축(21)은 스풀축(4)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트래버스캠축(21)은 핸들축(6)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 4도에 도시된 걸림편(63)은 핀(69)을 밀어내려 트래버스홈과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낚싯줄 안내체(62)가 제 1도에서 좌우로 수동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동작은, 제 1도, 제 3도의 스풀축(4) 의 걸림부(4d)와 피니언(5)의 걸림부(5a)가 걸림된 클러치 ON 상태로 핸들(17)이 제 4도, 제 5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핸들축(6) 의 회전으로 구동기어(16)를 통하여 피니언(5) 이 회전되어 스풀(11)에 낚싯줄(68)이 감겨진다.
핸들축(6) 에 드래그 기구에 의해 마찰결합된 구동기어(16)의 제동력이 조절될 때는, 드래그 조정집게(41)가 회동된다.
드래그 조정집게(41)가 회동되면, 너트(39)가 전진후퇴되고, 칼라(30)가 가압되어 스프링(37, 38)과 가압반(36)을 통하여 제동판(33, 35)이 각 마찰판(34)을 통하여 구동기어(16)에 가압되어서 제동력이 조절된다.
핸들(17)이 회전되면, 설정된 제동력으로 구동기어(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래칫(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칫(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31)과 스프링판(44, 44)의 마찰로 스프링판(44, 44)과 역전걸림클릭(4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역전걸림클릭(45)의 선단은 래칫(31)의 걸림톱니로부터 이간되어, 래칫(31)이 구동기어(16)와 일체로 회전된다.
다음에 스풀(11)이 낚싯줄(68) 풀어내기 방향으로 역회전되면, 구동기어(16)와 래칫(3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프링판(44, 44)과 역전걸림클릭(45)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역전걸림클릭(45)의 선단은 래칫(31)의 걸림톱니에 걸림된다.
이 걸림으로 핸들축(6) 은 회전이 정지되므로, 구동기어(16)는 설정된 제동력에 저항하여 회동된다.
다음에 클러치 레버(49)가 제 6도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축부(50)의 편심걸림부(50a) 에서 연결판(51)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걸림부(51b) 에서 클러치 조작체(7) 가 좌측아래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된다. 이 미끄럼이동으로 클러치판(52)이 클러치캠(7a)으로 상승되어 피니언(5) 의 걸림부(5a)와 스풀축(4) 의 걸림부(4d)의 걸림이 풀려 클러치 OFF 상태로 되고, 스풀(11)은 자유회전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 조작체(7) 가 미끄럼이동했을 때, 연장편(7c)도 제 6도와 같이 좌측아래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므로 걸림핀(57)과 굴곡부(7g)로 회동이 걸림되어 있던 킥 레버(53)가 스프링(55)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킥 레버(53)의 절결부(53b) 는 킥 핀(48)에 맞닿음 가능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핸들(17)이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31)과 구동기어(16)가 제 6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킥 핀(48)이 킥 레버(53)의 절결부(53b) 에맞닿음되어 킥 레버(53)가 우측방향으로 되돌려지고 킥 레버(53)의 우측단이 클러치 조작체(7) 의 굴곡걸림부(7e)를 밀어올려서 클러치 조작체(7) 가 후퇴되며, 클러치 캠(7a)과 클러치판(52)의 걸림이 해제되어 피니언(5) 의 걸림부(5a)와 스풀축(4) 의 걸림부(4d)가 걸림되어 클러치 ON 상태로 된다.
클러치 ON 상태로 핸들(1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퍼니언(5) 과 스풀축(4) 이 회전되어서 스풀(11)이 회전되고, 레벨 와인드 장치(B) 의 낚싯줄 안내체(62)가 안내통(61) 외주를 좌우로 미끄럼이동시켜 스풀(11)에 낚싯줄(68)이 평행감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이 사용될 때,
핸들(17)이 낚시꾼의 몸에 근접하므로, 핸들조작시, 겨드랑이가 붙어 권취조작을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릴의 요동이 적어진다.
또, 스풀축(4) 의 축단압접의 조정집게(25)의 조정조작도 핸들(17)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스풀축(4) 보다 후방의 릴 측판(3) 에 권취용의 핸들(17)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릴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에 릴의 중심과 핸들(17)의 장착위치가 가까워지고, 줄을 던질 때 스풀(11)을 서밍가능상태로 릴을 유지해도 릴을 쥐기 쉽고, 낚싯대와 릴을 던지기 쉽게 된다.
스풀축(4) 의 전방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B) 를, 후방측에 핸들축(6) 을 각각 분할 배치하였으므로, 구동부를 균형있게 릴 본체(A) 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릴 전체의 균형이 양호하게 된다. 또, 트래버스 캠축(21), 핸들축(6),스풀축(4) 이 밀집하지 않으므로, 제조조립, 분해 및 아프터서비스가 양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이 구성되면,
핸들(17)이 낚시꾼의 몸에 근접되므로 핸들조작시, 겨드랑이가 붙어 권취조작이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행해지는 동시에 릴의 요동이 적어진다.
또, 스풀축(4) 의 축단 압접의 조정집게(25)의 조정조작도 핸들(17)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쉽게 행할 수 있다.
스풀축(4) 보다 후방의 릴 측판(3) 에 권취용의 핸들(17)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릴을 쥔 손의 위치에 릴의 중심과 핸들(17)의 장착위치가 접근하게 되고, 줄을 던질 때, 스풀(11) 서밍가능상태로 릴을 유지해도, 릴을 쥐기 쉽고 낚싯대와 릴을 던지기 쉽게되어 캐스팅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스풀축(4) 의 전방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B) 를, 후방측에 핸들축(6) 을 각각 나누어 배치하였으므로, 구동부를 균형있게 릴 본체(A) 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릴 전체의 균형이 앙호하게 된다.
또, 트래버스 캠축(21), 핸들축(6), 스풀축(4) 이 밀착되지 않으므로, 제조조립, 분해 및 아프터서비스가 양호하게 된다.
제 7도로부터 제14도는 좌측 핸들의 릴에 관한 제2 실시예로 제 7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단면 평면도, 제 8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좌측면도, 제 9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10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좌측릴 측판내부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11도는 클러치 ON 상태의 제10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12도는 좌우 양측 프레임의 사시도, 제13도는 좌우 양측 프레임에 클러치 조작체가 조립된 사시도, 제14도는 클러치 OFF 상태의 제10도의 확대 주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릴 본체(A) 의 좌측틀(1')의 투과구멍(1h)에 스풀(11)의 스풀커버를 겸한 클러치 조작체(8) 의 통부(8a)가 회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체(8) 는 통부(8a)와 원판부(8b)와 스풀커버(8c)와 아암부(8d)와 아암부(8d)로부터 우측 프레임(1) 방향으로 직각으로 뻗어있는 클러치 조작부(8e)로 형성되어 있다.
통부(8a)내에는 오목부(8f)가 형성되어 스풀축(4) 을 축지지하는 베어링(14)이 부착되어 있다.
통부(8a)의 외주에는 통형상의 캠부재(9) 가 핀(70)으로 고정되어 있다.
핀(70)은 캠부재(9) 의 외주로부터 외부측으로 돌출하여 좌측 프레임(1')에 고정된 제한핀(71,7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캠부재(9) 의 단면에는 클러치 캠(9a)이 돌출형성되고, 핀(73)이 고정되어 있다.
캠부재(9) 의 외주에는 스프링 걸기부(9b)가 형성되어서 좌측 프레임(1')과의 사이에 데드 포인트 스프링(58)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31)의 외부측의 좌측 프레임(1')에 축부(74)가 고정되어서 킥 레버(75)가 회동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킥 레버(75)의 선단은 킥 핀(48)과 핀(73)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킥 레버(75)의 외부측의 좌측 프레임(1')에 제한 핀(76)이 고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좌우가 반대방향인 것 이외는 거의 동일하다.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은, 제 7도, 제 9도의 스풀축(4) 의 걸림부(4d)와 피니언(5) 의 걸림부(5a)가 걸림된 클러치 ON 상태로 핸들(17)이 제10도, 제11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핸들축(6) 의 회전으로 구동기어(16)를 통하여 피니언(5) 이 회전되어서 스풀(11)에 낚싯줄(68)이 권취된다.
다음에 스풀(11)이 낚싯줄(68)의 풀어내기 방향으로 역회전되면, 구동기어(16)와 래칫(3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프링판(44, 44)과 역회전걸림클릭(45)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역회전걸림클릭(45)의 선단은 래칫(31)의 걸림톱니에 걸림된다.
이 걸림으로 핸들축(6) 은 회전이 정지되므로, 구동기어(16)는 설정된 제동력에 저항하여 회동된다.
다음에 클러치 조작부(8e)가 눌려서 내려지면, 클러치 조작체(8) 와 캠부재(9) 가 제14도와 같이 회동된다. 이 회동으로 클러치판(52)이 클러치 캠(9a)으로 상승되어 피니언(5) 의 걸림부(5a)와 스풀축(4) 의 걸림부(4d)의 걸림이 풀려 클러치 OFF 상태로 되므로 스풀(11)은 자유회전상태가 된다. 클러치 조작체(8) 와 캠부재(9) 가 회동되면, 핀(73)도 회동되어 킥 레버(75)가 반시계방향으로 눌려서내려진다.
다음에 핸들(17)이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31)과 구동기어(16)가 제14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킥 핀(48)이 킥 레버(75)에 맞닿음하여 킥 레버(75)가 밀어올려지고 핀(73)이 밀어올려져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회동으로 클러치 조작체(8) 와 캠부재(9) 와 클러치 캠(9a)이 회동되고, 클러치캠(9a)으로 클러치판(52)이 밀어올려져서 피니언(5) 의 걸림부(5a)와 스풀축(4) 의 걸림부(4d)가 걸림되어 클러치 ON 상태로 된다.
클러치 ON 상태로 핸들(1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언(5) 과 스풀축(4) 이 회전되어 스풀(11)이 회전되고, 레벨 와인드 장치(B) 의 낚싯줄 안내체(62)가 안내통(61) 외주를 좌우로 미끄럼이동하여 스풀(11)에 낚싯줄(68)이 평행감기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릴본체(A) 는 좌우 양측 프레임(1,1')과 지지판(1a)과 고정판(1b)이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별개로 형성하여 좌우 양측 프레임(1,1')을 평행으로 유지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도시된 제3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좌측 핸들 릴로 설명하면, 제15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평면도, 제16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단면 평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17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18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주요부 확대 단면 평면도, 제19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좌측릴 측판내의 클러치 ON 상태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구동기어 하부측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21도는 클러치 기구의 전환부재와 중간부재 및 클러치 조작체의 사시도, 제22도는 클러치 OFF 상태의 주요부 단면 측면도, 제23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 릴측판의 측면도이다.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은 제15도에서 릴 본체(E) 의 좌우 양측 프레임(101, 101') 이 지지판(101a)과 릴 다리(110) 의 고정판(101b)에서 평행하게 일체로 유지되어 있다.
좌측 프레임(101) 의 외부측에는 릴 측판(102) 이 부착되어 있다.
우측 프레임(101')의 외부측에는 지지판(101")과 릴 측판(103) 이 부착되어 있다.
좌우 양측 프레임(101, 101') 사이에 스풀(111) 이 제16도와 같이 스풀축(104) 에 고정배치되고, 스풀축(104) 은 한쪽의 베어링(112, 113)과 다른쪽 베어링(114, 115)으로 회전자유롭게 축지지되어서 클러치 기구와 스풀축(104) 에 끼워맞춤된 피니언(105) 과 핸들축(106)에 마찰결합된 구동기어(116) 와 핸들축(106) 에 부착된 핸들(117)을 통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축(106) 은 스풀축(104) 으로부터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6도, 제18도로부터 제20도로 릴 본체(A) 의 좌측 프레임(101) 의 양면에 통부(101c, 101d)가 형성되어서 통부(101c)의 외주에는 통형상의 클러치 조작체(107) 가 회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통부(101c, 101d)내에는 투과구멍(101c)이 형성되고, 통부(101d)내에는 오목부(101f)가 형성되어 스풀축(104) 을 축지지하는 베어링(112) 이 부착되어 있다.
릴 측판(102) 에는 투과구멍(102a)과 오목부(102b)과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02b)에는 상기 베어링(103) 이 끼워맞충되어서 부착되고, 베어링(103) 에는 스풀축(104) 의 세경(細經)부(104a)가 축지지되어 있다.
릴 측판(102) 의 투과구멍(102a)의 좌외측에는 축통부(102c)가 돌출형성되어 외주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숫나사에는 스풀축단 압접의 조정집게(118) 가 나사맞춤되고, 조정집게(118) 의 안쪽 바닥면에 스러스트 베어링(119) 이 고정되어서 스풀축(104) 세경의 한 끝(104b)이 맞닿아 있다.
좌측 프레임(101) 의 좌외측에는 오목부(101g)가 형성되어 베어링(120) 이 끼워맞춤되고, 상기 핸들축(106) 의 일단(106a)이 회전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서 빠짐방지판(121)으로 빠짐방지되어 있다.
릴 측판(102) 에 투과구멍(102d)과 오목부(102e)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02e)에는 베어링(122) 이 끼워맞추어져서 부착되어 있다.
베어링(122) 에서 핸들축(106) 이 핸들축(106) 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회전방지끼워맞춤된 칼라(123) 를 통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좌측 프레임(101) 과 릴 측판(102) 사이의 스풀축(104) 의 세경부(104a)에는 피니언(105) 이 축선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고, 스풀축(104) 의 걸림부(104c)와 피니언(105) 의 걸림부(105a)에서 클러치 기구(F) 의 걸림부가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105) 에는 핸들축(106) 에 회전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전 구동기어(116) 가 맞물려 있다.
구동기어(116) 좌측의 핸들축(106) 에는 한끝(106a)과 플랜지부(106b)가 형성되어 킥 기어(124) 와 역전방지의 래칫(125) 이 각각 마찰판(126) 을 끼워서 플랜지부(106b)에 가압되도록 겹쳐서 끼워맞춤되고, 킥 기어(124) 와 래칫(125) 은 핸들축(106) 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되어 있다.
킥 기어(124)의 외주에는 복수개의 킥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구동기어(116) 에는 중심에 둥근구멍( 丸孔 )과 오목부로 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드래그 기구의 제동판(127) 과 마찰판(128) 및 제동판(129) 과 마찰판(128) 및 제동판(127) 과 마찰판(128) 및 제동판(129) 이 순차적으로 삽입수용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 내주에는 축방향으로 한쌍의 돌기가 형성되어서 제동판(127) 은 한쌍의 돌기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되는 동시에 핸들축(106) 의 외주에 회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제동판(129) 은 핸들축(106) 의 외주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되고, 구동기어(116) 에 대하여 회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구동기어(116) 의 개방측의 제동판(129) 에는 핸들축(106) 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된 가압반(130) 이 맞닿음되어 있다.
가압반(130) 의 우측에는 핸들축(106) 에 회전방지 끼워맞춤된 스프링(131, 132)이 맞닿음되어 있다.
스프링(132) 의 옆에는 상기 칼라(123) 가 맞닿음되어 있다.
칼라(123) 의 옆에는 핸들축(106) 에 나사맞춤된 너트(133) 가 맞닿음되어 있다.
너트(133) 에서 외부측의 핸들축(106) 에는 핸들(117) 이 회전방지끼워맞춤되어 주머니 너트(134) 로 빠짐방지되어 있다.
너트(133) 는 드래그 조정집게(135) 의 다각형의 관통구멍에 축방향 전후로 이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핸들축(106) 이 축지지된 베어링(122) 의 외부측의 릴 측판(102) 측부에는 오목부(102f)가 형성되어서 드래그 조정집게(135) 와의 사이에 금속, 합성수지의 경질체나 경질펠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136) 가 회전자유롭게 개재되고, 드래그 조정집게(135) 와 핸들(117) 간에 다른 O 링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137) 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역전방지의 래칫(125) 은 핸들축(106) 에 회전방지끼워맞춤되고, 제16도, 제18도와 같이, 래칫(125) 의 외부측에는 스프링판(138, 138)으로 끼워진 역전방지클릭(139) 이 축(140) 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축지지되며, 스프링판(138, 138)은 래칫(125) 의 양측면을 끼워넣고, 역전방지클릭(139) 의 선단은 래칫(125) 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톱니에 걸림자유롭게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릴 측판(102) 내부는 기어박스로 구성되는 동시에, 전환부재(108) 의 회동조작으로 중간부재(109) 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 조작체(107) 가 회동조작되는 클러치 기구(F) 가 수용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F) 는 상기 스풀축(104) 의 걸림부(104c)와 걸림·풀림되는 피니언(105) 의 걸림부(105a)와, 클러치 조작체(107) 의 클러치 캠(107a)과, 클러치판(141) 과, 킥 기어(124) 와, 킥 레버(142) 및 전환부재(108) 와 중간부재(109)로 구성되어 있다.
제18도에서 제21도와 같이 클러치 조작체(107) 의 단면에는 2개의 클러치캠(107a)이 돌출형성되고, 외주에는 돌출부(107b, 107c)가 형성되어서 돌출부(107b, 107c)에 각각 대소의 핀(143, 144)이 고정되어 있다. 핀(144) 에는 킥 레버(142) 의 한끝이 회동자유롭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킥 레버(142) 의 다른 끝에는 핀(145) 이 고정되고, 다른끝 양측에는 안내금속구(146) 와 제한핀(147) 이 좌측 프레임(101) 에 부착되어 있고 킥 레버(142) 의 다른 끝은 킥 기어(124) 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전환부재(108) 는 L 자형의 판으로 좌측 프레임(101)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굴곡된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와 슬롯(108b)이 뚫어설치된 연결부(108c)로 형성되어 있다.
전환부재(108) 는 좌측 프레임(101) 에 고정된 축부(148) 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고, 좌측 프레임(101) 사이에 데드 포인트 스프링(149) 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부재(109) 는 부채꼴의 연결부(109a)와 슬롯(109b)이 뚫어설치된 아암부(109c)로 형성되어 좌측 프레임(101) 에 고정된 축부(150) 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부(109a)에는 핀(151) 이 고정되어 있으며 핀(151) 은 전환부재(108) 의 슬롯(108b)에 삽입되어 있다.
아암부(109c)의 슬롯(109b)에는 클러치 조작체(107) 의 핀(143) 이 삽입되어 있다.
전환부재(108) 의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는 제15도, 제17도와 같이, 릴 전체를 손으로 쥐고 유지했을 때, 엄지손가락 끝이 얹어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101") 에는 제16도와 같이 축통부(101h)가 돌출형성되어, 축통부(101h) 안쪽의 오목부에는 상기 베어링(114) 이 부착되어 있다.
릴 측판(103) 의 안쪽에는 축통부(103a)가 돌출형성되어 축통부(103a)의 안쪽 오목부에는 상기 베어링(115) 이 끼워맞춤되어 부착되고, 축통부(103a)의 안쪽 바닥면에 스러스트 베어링이 고정되어 스풀축(104) 의 다른끝(104d)이 접촉되어 있다.
지지판(101")으로부터 릴 측판(3) 쪽으로 돌출된 스풀축(104) 의 다른끝(104d) 외주에는 기어(152) 가 회전방지끼워맞춤되어 E 링(153) 으로 빠짐방지되어 있다.
좌우 양측 프레임(101, 101') 간의 스풀(111) 에서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에 레벨 와인드 장치(G) 가 배치되고, 레벨 와인드 장치(G) 의 트래버스캠축(154) 의 일단에 기어(155) 가 부착되어 있다.
기어(152) 와 기어(155) 간에는 지지판(101")에 심어설치된 축(156) 에 축지지된 기어(157) 가 맞물려 있다.
레벨 와인드 장치(G) 는 제15도, 제17도와 같이 안내통(158) 과, 안내통(158) 외주를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는 낚싯줄 안내체(159) 와, 안내통(158) 의 양단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으로 축지지된 상기 트래버스캠축(154) 과,트래버스캠축(154) 의 트래버스홈에 걸림되는 낚싯줄 안내체(159) 내에 수용된 걸림편(160) 과, 걸림편(160) 을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캡(161) 과, 낚싯줄 안내체(159) 가 안내통(158) 과 평행으로 유지되게 하는 안내레버(162) 로 구성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체(159) 에는 경질 낚싯줄 안내고리(163) 가 고정되어서 경질 낚싯줄 안내고리(163) 를 통과시킨 낚싯줄(164) 이 스풀(111) 에 감겨진다.
트래버스캠축(154) 은 스풀축(104)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트래버스캠축(154) 은 핸들축(106) 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클러치판(141) 은 양단이 좌측 프레임(101) 에 고정된 지주(165, 165)에 끼워지고, 도시않은 스프링으로 상기 스풀축(104) 의 걸림부(104c)와 피니언(105) 의 걸림부(105a)가 걸림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클러치판(141) 의 중앙에는 피니언(105) 의 홈(105b)에 끼워지는 원호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릴 측판(103) 의 외측면에는 제23도와 같이, 릴 전체를 손으로 쥐어 유지했을 때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오목홈(103b, 103c)과 릴 측판(103) 의 상부에 단차부(103d)가 형성되어 있다.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동작은. 제15도, 제16도로 전환부재(108) 의 손가락 접촉조작부(108a)가 실선위치에서 제18도의 스풀축(104) 의 걸림부(104c)와 피니언(105) 의 걸림부(105a)가 걸림된 클러치 ON 상태로 핸들(117) 이 제17도, 제19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핸들축(106) 의 회전으로 구동기어(116) 를통하여 피니언(105) 이 회전하여 스풀(111) 에 낚싯줄(164) 이 감겨진다.
핸들축(106) 에 드래그 기구에 의해 마찰결합된 구동기어(116) 의 제동력이 조절될때는, 드래그 조정집게(135) 가 회동된다.
드래그 조정집게(135) 가 회동되면, 너트(133) 가 전진후퇴되고, 칼라(123) 가 가압되어 스프링(131, 132)과 가압반(130) 을 통하여 제동판(127, 129)이 각 마찰판(128) 을 통하여 구동기어(116) 에 가압되어서 제동력이 조절된다.
핸들(117) 이 회전되면, 설정된 제동력으로 구동기어(116)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킥 기어(124) 와 래칫(131) 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래칫(125) 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125) 과 스프링판(138, 138)의 마찰로 스프링판(138, 138)과 역전걸림클릭(139) 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역전걸림클릭(139) 의 선단은 래칫(125) 의 걸림톱니로부터 떨어져서, 래칫(125) 이 구동기어(116) 와 일체로 회전된다.
다음에 스풀(111) 이 낚싯줄(164) 풀어내기 방향으로 역회전되면, 구동기어(116) 와 래칫(125) 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프링판(138, 138)과 역전걸림클릭(139) 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역전걸림클릭(139) 의 선단은 래칫휠(125) 의 걸림톱니에 걸림된다. 이 걸림으로 핸들축(106) 은 회전이 정지되므로, 구동기어(116) 는 설정된 제동력에 저항하여 회동된다.
다음에 전환부재(108) 의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가 제22도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제15도, 제16도에서 2점 쇄선의 위치로 되고, 전환부재(108) 의 연결부(108c)가 회동되어서 중간부재(109)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클러치조작체(107) 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회동으로 클러치판(141) 이 클러치캠(107a)으로 상승되어 피니언(105) 의 걸림부(105a)와 스풀축(104) 의 걸림부(104c)의 걸림이 풀려 클러치 OFF 상태로 되고, 스풀(111)은 자유회전상태로 된다.
클러치 조작체(107) 가 회동되었을 때, 킥 레버(142) 가 제22도에서 좌우방향으로 전진되고, 킥 레버(142) 의 핀(145) 은 킥 기어(124) 의 킥 돌기에 맞닿음가능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핸들(117) 이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131) 과 구동기어(116) 가 제22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킥 기어(124) 의 킥 돌기가 킥 레버(142) 의 핀(145)에 맞닿음되어 킥 레버(142) 가 좌측방향으로 되돌려지고 클러치 조작체(107) 가반시계방향으로 회동후퇴되며, 클러치 캠(107a)과 클러치판(141) 의 걸림이 해제되어 피니언(105) 의 걸림부(105a)와 스풀축(104) 의 걸림부(104c)가 걸림되어 제18도, 제19도의클러치 ON 상태로 된다.
클러치 ON 상태로 핸들(117) 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피니먼(105) 과 스풀축(104) 이 회전되어서 스풀(111) 이 회전되고, 레벨 와인드 장치(G) 의 낚싯줄 안내체(159) 가 안내통(158) 외주를 좌우로 미끄럼이동시켜 스풀(111) 에 낚싯줄(164) 이 평행감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이 사용될 때,
전환부재(108) 의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는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쥐고 유지했을때, 엄지손가락 끝이 얹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릴 전체를 쥐고유지한 상태로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의 변위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손가락 접촉 조작부(108a)가 변위조작된 후 엄지손가락은 스풀(111) 의 플랜지 외주에 얹일 수 있으므로, 클러치 OFF 상태로 한 직후에, 서밍조작가능상태로 된다.
다른쪽 손은 핸들(117) 을 쥔 상태로 릴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낚시감과의 실랑이가 벌어질 때도,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쥐고 유지한 상태로, 전환부재(108) 의 전환조작과 서명조작이 가능하며, 다른쪽 손으로 핸들(117) 의 조작이 가능하며 손을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낚싯줄 방출조작으로부터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릴 측판(103) 의 외측면에 릴 전체를 손으로 쥐고 유지했을 때, 손가락이 닿는 부분에 오목홈(103b, 103c)과 단차부(103d)과 형성되어 있으므로, 릴 전체를 쥐고 유지한 손의 위치가 결정된다.
핸들(117) 이 낚시꾼의 몸에 근접되므로 핸들조작시, 겨드랑이가 붙어 권취조작이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행해지는 동시에 릴의 요동이 적어진다.
또, 스풀축(104) 의 축단압접의 조정집게(118) 의 조정조작도 핸들(117) 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쉽게 행할 수 있다.
스풀축(104) 보다 후방의 릴 측방(102) 에 권취용의 핸들(117) 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릴을 쥔 손의 위치에 릴의 중심과 핸들(117) 의 장착위치가 접근하게 되고, 줄을 던질 때 스풀(111) 서밍가능상태로 릴을 유지해도, 릴을 쥐기 쉽고 낚싯대와 릴을 던지기 쉽게 된다.
스풀축(104) 의 전방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G) 를, 후방측에 핸들축(106) 을 각각 나누어 배치하였으므로, 구동부를 균형있게 릴 본체(E) 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릴 전체의 균형이 양호하게 된다.
또, 트레버스 캠축(154), 핸들축(106), 스풀축(104) 이 밀착되지 않으므로, 제조조립, 분해 및 아프터서비스가 양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이 구성되면,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쥐고 유지한 상태로 엄지손가락으로 전환부재(108) 의 전환조작이 가능하며, 클러치 OFF 상태로 한 직후에 서밍조작가능상태로 되므로 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동시에, 낚싯줄 방출조작으로부터 낚싯줄 권취조작의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4도, 제25도는 우측릴 측판형상의 변경예로, 제24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우측릴 측판측의 측면도, 제25도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의 배면도이다.
릴 측판(103) 의 외측면에는 릴 전체를 손으로 쥐고 유지했을 때, 손가락이 삽입되는 링(103e)이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이 삽입되는 링(103e)이 형성되어 있으면, 릴을 단단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좌측 핸들 릴로 설명하였으나, 우측 핸들 릴에 실시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을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릴 본체(E) 는 좌우 양측 프레임(101, 101') 과 지지판(101a)과 고정판(101b)이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별개로 형성하여 좌우 양측 프레임(101,101')을 평행으로 유지하여도 된다.
제26도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가 설치된 양베어링형 릴의 1예를 예시하는 평면도, 제27도는 제26도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28도는 제26도에 도시한 릴의 배면도이다.
릴 본체(201) 의 좌우 측판(201a, 201b)간에는 각각 베어링(202a, 202b)에 의해 스풀(203) 이 부착된 스풀축(205)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05) 의 끝부에는 피니언(207) 이 부착되어 있고, 핸들축(208) 에 부착된 구동기어(210) 와 맞물려 있다.
이 결과 핸들(212) 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스풀(205) 은 회전구동된다.
또한 핸들축(208)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역회전방지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핸들(212)은 낚싯줄 감기방향만으로 회전조작된다.
또 측판(201b)내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레버(260)를 조작함으로써, 스풀(203) 은 낚싯줄 방출방향으로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풀(203) 의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 반대쪽의 좌우 측판(201a, 201b)간에는, 외주면에 트래버스홈(215a)이 형성되고, 끝부에 구동기어(210) 와 맞물리는 기어(217) 가 부착된 트래버스축(215)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축(215) 은 좌우측판(201a, 201b)간에 부착되고, 하부면측에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롯(220a)이 형성된 안내통(220) 내에 수용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회전구동한다.
안내통(220) 의 외주면에는 돌출부(220b)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안내통(220)의 외주면 및 돌출부(220b)를 에워싸도록 구동체(225) 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부(220b)는 구동체(225) 가 안내통(220) 을 따라 왕복미끄럼이동할 때의 회전방지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구동체(225) 의 하부측에는 수용부(2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통(220) 에 형성된 슬롯(220a)을 통하여 트래버스홈(215a)과 걸림되는 걸림편(227) 이 수용되어 있다.
수용부(225a)의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주머니 너트(229) 가 부착되어 있다. 주머니 너트(229) 에는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연결부(22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부(229a)가 이하에 설명하는 작동체와 빠짐방지된 상태로 걸림되어 있다.
스풀(203) 의 아래쪽 좌우 측판(201a, 201b)간에는 릴 본체(201) 를 낚싯대에 부착하는 낚싯대 부착부(230) 가 설치되어 있다.
낚싯대 부착부(230) 의 표면에는 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된 판형상의 작동체(235) 의 중심부가 칼라(237) 및 칼라(237) 내에 배치된 지축(238) 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고, 이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8도 참조).
작동체(235) 의 한쪽끝에는 상기 주머니 너트(229) 의 연결부(229a)가 빠짐방지된 상태로 삽입되는 슬롯(235a)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끝에는 스풀(203) 에 감겨져 있는 낚싯줄(S)을 삽입관통시키는 낚싯줄 안내구멍(241) 을 가진 낚싯줄 안내체(24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핸들(212) 을 권취조작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풀(203) 은 구동기어(210) 및 피니언(207) 을 통하여 낚싯줄을 권취하도록 회전구동된다.
또, 구동기어(210) 의 회전에 의해 트래버스축(215) 은 기어(217) 를 통하여 회전된다.
트래버스홈(215a)에는 걸림편(227) 이 걸어맞춤되어 있고, 트래버스축(215) 의 회전에 의해 걸림편(227) 을 구비한 구동체(225) 는 안내통(220) 에 따라 왕복미끄럼이동된다.
이 경우 구동체(225) 는 안내통(220) 에 형성된 돌출부(220b)에 의해 회전함이 없이 안내통(220) 에 따라 왕복미끄럼이동된다.
구동체(225) 의 왕복미끄럼이동에 의해 작동체(235) 는 지축(238) 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판(201a, 201b)간에서 회동하도록 구동된다.
작동체(235) 의 선단부는 원호형상의 동작을 하려고 하나 작동체(235) 에 형성된 슬롯(235a)내에서 연결부(229a)가 이동함으로써 트래버스축(215) 을 따라 왕복구동된다.
작동체(235) 가 지축(238) 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낚싯줄 안내체(240) 는 스풀(203) 의 전방에서 좌우로 왕복구동된다.
따라서 스풀(203) 에 낚싯줄(S) 을 권취하는 경우, 낚싯줄 안내체(240) 가 스풀(203) 의 전방에서 스풀(203) 을 따라 왕복구동되기 때문에, 스풀(203) 에는균등하게 낚싯줄(S) 이 감겨진다.
또한 작동체(235) 를 안정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가령,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측판(201a, 201b)간에 작동체(235) 를 끼워지지하도록 안내부재(245) 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안내부재는 복수개소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스풀(203)의 뒷쪽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 좌우 측판(201a, 201b)간에는 실제의 권취조작에 있어서, 구동체(225) 의 왕복구동이 조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그 윗쪽에 커버(247)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247) 는 상기한 미끄럼이동 구동부의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우 측판(201a, 201b)에 대하여 착탈자유롭게 구성하거나 개폐자유롭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풀(203) 의 앞쪽에 배치된 낚싯줄 안내체(240) 도 왕복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그 윗쪽에 커버(249) 가 배치되어 있다.
제27도에 도시한 예에서 낚싯줄 안내체(240) 는 커버(249) 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으나, 커버(249) 가 낚싯줄 안내체(240) 전부를 덮도록 작동체(235) 의 형상, 커버(249) 의 위치, 형상 등은 여러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에 스풀(203) 을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으로 자유회전시키기 위한 클러치 기구의 구성에 대하여 제2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9도는 제26도에 있어서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클러치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26도에 도시한 클러치 레버(260) 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모양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지축(261) 에 의해 측판(201b)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260) 의 선단부에는 슬롯(260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지축(265) 에 의해 측판(201b)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된 작동체(263) 의 걸림 볼록부(263a)가 삽입되어 있다.
걸림 볼록부(263a)에는 한쪽 끝이 측판(201b)에 부착된 배분 스프링(264) 의 다른 끝이 부착되어 있고, 클러치 레버(260) 의 ON, OFF를 나누어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체(263) 의 걸림 볼록부(263a)와 반대쪽에는 슬롯(26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스풀축(205) 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된 회동캠(267) 의 걸림 볼록부(267a)가 삽입되어 있다.
피니언(207) 은 스풀축(205) 과 걸림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위치와, 이 걸림관계가 풀려 스풀축(205) 에 대하여 자유회전하는 위치가 되도록 스풀축(205) 을 따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피니언(207) 에는 양 아암부 선단에서 축지지된 클러치판(272) 이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판(272) 은 그 양 아암부 선단에 배치된 스프링(270) 에 의해 항상 회동캠(267) 의 면에 맞닿도록 가압되어 있다.
회동캠(267) 의 둘레 끝부에는 클러치판(272) 의 양팔부에 걸림되는 경사면형상의 캠면(267b)이 형성되어 있고, 회동캠(267) 이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클러치판(272) 은 캠면(267b)의 경사에 의해 스프링(270) 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들어올려진다. 클러치판(272) 이 들어올려지면 퍼니언(207) 은 스풀축(205) 에 대하여 자유회전하는 위치로 미끄럼이동된다.
상기 회동캠(267) 의 외주부에는 복귀용 플레이트(273) 의 기단부가 부착된 볼록부(26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귀용 플레이트(273) 의 선단부는 회동캠(267) 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핸들축(208) 과 일체로 회전하는 복귀용 기어(277) 와 걸림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 기구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29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는 클러치 ON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핸들축(208)을 화살표로 표시한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스풀축(205) 에는 피니언(207)을 통하여 구동력이 전달되고. 스풀은 낚싯줄 감기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클러치 레버(260) 를 2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조작하면, 클러치 레버(260) 는 지축(261) 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작동체(263)도 지축(265) 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작동체(263) 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회동캠(267) 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캠면(267b)에 의해 클러치판(272) 은 스프링(270) 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들어올려진다.
클러치판(272) 이 들어올려지면 피니언(207) 은 스풀축(205) 에 대하여 자유회전하는 위치에 미끄럼이동되고, 피니언(207) 과 스풀축(205) 과의 걸림관계는 단절된다.
이에 의해 스풀축(205) 은 낚싯줄 방출방향으로 자유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배분 스프링(264) 에 의해 유지된다.
또 이 상태로 복귀용 플레이트(273) 의 선단은 복귀용 기어(277) 에 걸림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260) 가 상기와 같이 OFF된 상태로, 핸들축(208) 을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복귀용 기어(277) 는 복귀용 플레이트(273) 를 되밀고, 회동캠(267)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에 의해 클러치판(272) 은 스프링(270) 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캠(267) 면에 맞닿음되고, 이에 의해 피니언(207) 은 스풀축(205) 과 걸림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위치로 돌아온다.
이에 따라 클러치 레버(260) 는 실선으로 표시되는 위치로 회동되어 배분 스프링(264) 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즉, 핸들을 낚싯줄 감기방향으로 조작하면 재차 클러치 ON 상태로 된다.
물론 이상 설명한 클러치 기구는 하나의 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그 구성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다음에 제3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제2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핸들축(208) 을 스풀축(205) 의 전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클러치 기구의 클러치 레버(260) 를스풀축(205) 의 후방에 배치하고 있다.
또 트레버스축(215) 에의 구동력 전달은 스풀축(205) 의 반대측에 부착된 기어(216a) 및 이에 맞물리는 기어(216b)를 통하여 반대측의 측판(201a)으로부터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핸들축 및 클러치 레버 등의 배치는 종래부터 공지이며, 이와 같이 구성된 양베어링형 릴에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론 설치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낚싯줄 안내체와, 이것을 왕복구동시키는 왕복구동부를 스풀의 전후에 분리하여 연결시킨 점에 특징을 가지고 있고, 핸들축, 클러치 레버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제31도 및 제32도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고, 제31도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를 설치한 양베어링형 릴의 배면도, 제32도는 제31도에 있어서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풀(3) 의 낚싯줄 풀어내기측에 배치된 낚싯줄 안내체(240) 는 좌우 측판(201a, 201b)간에 배치된 안내레버(280) 에 지지되어 있다. 안내레버(280) 는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240) 는 안내레버(280) 에 회전방지되는 동시에 축방향에 미끄럼이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체(240) 의 아래쪽에는 연결부(240a)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체(235) 의 끝부에 형성된 슬롯(225b)에 빠짐방지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그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26도 혹은 제30도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낚싯줄 안내체(240) 는 스풀(203) 에 대하여 항상 평행으로된 상태로 왕복미끄럼이동되기 때문에, 스풀(203) 에 대하여 낚싯줄을 보다 안정적으로 균등하게 감을 수 있게된다. 또 작동체(235) 는 양쪽 끝부에 있어서 지지된 상태로 되므로 회동동작이 안정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7도에 도시한 안내부재(245) 를 좌우 측판(201a, 201b)간에 배치하여도 된다.
제33도 및 제34도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고, 제33도는 양베어링형 릴의 종단면, 제34도는 제33도에 있어서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작동체의 지지 및 작동체의 구동측 끝부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작동체(335) 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낚싯대 부착부(330) 는 그 중앙부분에 돌출부(331) 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체(335) 의 축지지부는 이 돌출부(331) 의 뒷면측에 있고, 돌출부(331) 의 윗면에서 빠짐방지된 통체(332) 에 돌출부(331) 의 뒷면측으로부터 와셔(333) 및 나사(335a)를 통하여 작동체의 중앙부가 돌출부(331) 의 됫면에 축지지된다.
작동체(335) 가 축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331) 의 전방벽부 및 후방벽부에는 각각 작동체(335) 가 삽입관통되는 절결부(331a, 3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동체(335) 를 낚싯대 부착부(330) 의 뒷면측에 지지함으로써,노출부분을 적게 할 수 있고, 줄 얽힘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이 향상된다.
물론, 낚싯대 부착부에 있어서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통(320) 의 슬롯(320a)이 스풀측에 개방되어 있고, 구동체(325)에 설치된 걸림편(327) 은 스풀축을 향하여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체(335)는 스풀(203) 측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져 있고, 일으켜 세워진 선단부에서 구동체(325) 의 주머니 니트(329) 가 빠짐방지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체(325) 가 좌우로 미끄럼이동되어서 작동체(335) 의 선단측이 원호를 그리며 이동 (전후운동) 할 수 있도록 주머니 너트(329) 는 스풀측에 뻗어나와 있고, 이 뻗어나온 부분에 작동체(335) 의 선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유격을 가지고 빠짐방지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부분의 윗쪽은 커버(347) 에 의해 전체적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분을 수평방향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그 높이를 낮추도록 누룰 수 있게 되고, 릴의 유지성이 양호하게 되어 낚시조작성이 한층 향상된다.
제35도(a) ∼ (c)는 구동부분을 수평형상으로 구성한 변형예를 예시하고 있다.
어떤 변형예에 있어서도 구동체(325) 가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는 경우에는 작동체(335) 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양자는 걸림되어 있다.
(a) 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구동체(325) 와 주머니 너트(329) 와의 사이에양자를 고정하는 협착부재(310) 를 배치하고, 아래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부(310a)를 작동체(335) 에 빠짐방지되도록 지지하고 있다. 작동체(335) 의 선단측은 수평방향으로 굴곡되고, 선단부에 U자 형상의 절결부(335a)가 형성되어 있다.
협착부재(310) 의 아래측 돌출부는 이 절결부(335a)에 빠짐방지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작동체(335) 는 전후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b) 에 도시한 변형예에서 주머니 너트(329) 는 스풀측을 향하여 돌출한 걸림부(32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329a)는 작동체(335) 의 선단부에 형성된 U자형상의 절결부(335a)에 배치되어 있고, 작동체(335) 는 전후구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c) 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구동체(325) 의 외주면에 아래쪽으로 돌출한 걸림부(325a)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a)도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작동체(335) 에 빠짐방지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분과 작동체의 걸림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구동부분은 수평방향, 수직방향 이외에도 경사진 상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36도 내지 제38도는 본 발명에 관한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고, 제36도는 릴 본체를 앞쪽에서 본 도면, 제37도는 릴 전방부를 확대한 종단면도, 그리고 제38도는 릴 전방부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낚싯줄 안내체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작동체(435) 의 전방 선단측은 수평방향으로 굴곡되어서 그 끝부가 U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U자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435a)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어 낚싯줄이 삽입관통하는 슬롯(340a)이 형성된 낚싯줄 안내체(340) 가 연결되어 있다. 이 작동체와 낚싯줄 안내체(340)와의 연결은 예컨대 코킹, 접착 또는 고정링 등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연결된다.
낚싯줄 안내체(340) 의 반대측 끝부는 릴 본체의 좌우 양측판(201a, 201b)간에 배치된 지주(350) 에 형성된 지지부(350a)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걸림되어 있다.
이경우, 낚싯줄 안내체(340) 는 작동체(435) 의 회동에 의해 원호모양의 궤적을 이루므로, 지지부(350a)는 제3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낚싯줄이 삽입관통하는 구멍을 세로방향으로 뻗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이 훑어져서 손상을 입는 일이 없어진다.
또 낚싯줄 방출시 및 권취시에 낚싯줄이 접촉되는 부분은 곡면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절곡부(435a)), 낚싯줄이 손상되는 것을 좀 더 방지하고 있다.
또한 낚싯줄 안내체(340) 는 그 상단부에 있어서도 지주(350) 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체(435) 의 수평부분(435b)을 릴 본체의 좌우 측판(201a, 201b)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안내부재(345) 로 협지되도록 구성하면, 작동체(435) 의 선단측은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39도는 제32도에 도시된 구성과 같이, 스풀(203) 의 낚싯줄 풀어내기측에배치된 낚싯줄 안내체(340) 를, 릴 본체의 좌우 측판간에 배치된 안내레버(380) 에 지지된 변형예로 예시한다.
안내레버(380) 는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이에 의해 낚싯줄 안내체(340)의 하단에 설치된 절곡부(340a)는 안내레버(380) 에 회전방지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340a)에는 연결부(340b)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체(435) 의 끝부에 형성된 슬롯(435d)에 빠짐방지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이 결과, 낚싯줄 안내체(340) 는 스풀에 대하여 항상 평행으로된 상태로 왕복미끄럼이동되므로, 스풀에 대하여 낚싯줄을 보다 안정적으로 균등하게 감을 수 있게된다.
또 작동체(435) 는 양쪽의 끝부에서 지지된 상태로 되므로 그 회동동작이 안정된다.
물론, 지주(350) 에 형성된 지지부(350a)는 직선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 및 변형예의 특징부분은 적절히 편성하여 변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핸들이 낚시꾼의 몸에 접근하므로 핸들조작시, 겨드랑이가 붙어 권취조작을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릴의 요동이 적어진다.
또, 스풀축의 축단 압접의 조정집게의 조정조작도 핸들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스풀축보다 후방의 릴 측판에 권취용의 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릴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에 릴의 중심과 핸들의 장착위치가 가까워지고, 줄을 던질 때 스풀(11)을 서밍가능상태로 릴을 유지해도 릴을 쥐기 쉽고, 낚싯대와 릴을 던지기 쉬워지며 캐스팅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스풀축의 전방측에 레벨 와인드 장치를, 후방측에 핸들축을 각각 분할 배치하였으므로 구동부를 균형있게 릴 본체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릴 전체의 균형이 양호해진다.
또 트래버스 캠축, 핸들축, 스풀축이 밀집하지 않으므로 제조조립, 분해 및 아프터서비스가 양호하게 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 3항에 의해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쥐고 유지한 상태로 엄지손가락으로 전환부재의 전환조작이 가능하며, 클러치 OFF상태로 한 직후에 서밍조작가능상태가 되므로 릴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낚싯줄 방출조작으로부터 낚싯줄 권취조작의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낚시감과의 실랑이가 벌어질 때도, 릴 전체를 한쪽 손으로 쥐고 유지한 상태로, 전환부재의 전환조작과 서밍조작이 가능하며, 다른쪽 손으로 핸들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손을 이동할 필요없이 낚싯줄 방출조작으로부터 낚싯줄 권취조작의 일련의 동작을 연속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줄 안내체와, 이 낚싯줄 안내체를 왕복구동시키는 미끄럼이동구동부를 스풀의 전후부에 분리하여 배치했기 때문에 해수, 모래, 쓰레기 등을 많이 함유한 낚싯줄을 스풀에 권취안내할 때, 미끄럼이동구동부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미끄럼이동구동부에 있어서 항상 안정적인 작동을 얻을 수 있다.
또 낚싯줄 평행감기장치를 릴 전후에 분리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공간의 유효이용이 도모되어 릴 전발부에 있어서의 공간 축소,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릴 전체의 균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릴 중심이 안정되어 낚시조작성이 향상된다.

Claims (8)

  1.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스풀을 측판에 장착한 핸들로 권취회전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스풀축에서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과는 반대쪽의 후방에서의 상기 릴본체의 측판에 상기 핸들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에서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에서의 상기 릴 본체의 측판간에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평행으로 감는 레벨 와인드 장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
  3.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한 스풀을 낚싯줄 권취상태와 낚싯줄 방출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스풀을 측판에 설치한 핸들로 권취회전시키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장착되는 핸들축보다도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위치에서 핸들측 측판상부에 릴 전체를 쥐고 유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전환조작가능하게 되는 위치에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부재를 변위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보다도 낚싯줄 풀어내기 방향쪽의 전방위치의 측판간에 상기 스풀을 스풀축을 통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낚시용 양베어링형 릴.
  5. 릴 본체의 측판간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스풀에 낚싯줄을 균등하게 감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낚싯줄 풀어내기쪽과 반대쪽의 측판간에 배치되고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구동하는 구동체와, 릴 본체에 지지되며 한쪽이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체를 구비하고, 다른쪽이 상기 구동체에 연결된 작동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체의 왕복구동에 의해 상기 작동체 및 낚싯줄 안내체를 통하여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의 측판간에는 상기 작동체의 낚싯줄 안내체를 지지하고, 상기 낚싯줄 안내체를 스풀과 평행하게 왕복구동시키도록 안내하는 안내레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측판간에 지지된 핸들에 연동회전하는 트래버스캠축에 걸림연결되는 걸림편을 가지고 있고, 이 걸림편을 스풀을 향하여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
  8. 제 5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그 중앙부분이 릴 본체의 낚싯대 부착부의 뒷면에 축지지되어 회전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 평행감기장치.
KR1019950026128A 1994-08-23 1995-08-23 낚시용양베어링형릴및낚싯줄평행감기장치 KR100355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21171 1994-08-23
JP22117194A JP2919749B2 (ja) 1994-08-23 1994-08-23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94-238984 1994-10-03
JP23898494 1994-10-03
JP6266289A JP3020817B2 (ja) 1994-10-05 1994-10-05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94-266289 1994-10-05
JP7075671A JP3025172B2 (ja) 1994-10-03 1995-03-31 釣糸平行巻き装置
JP95-75671 199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92A KR960013192A (ko) 1996-05-22
KR100355073B1 true KR100355073B1 (ko) 2003-01-06

Family

ID=2746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128A KR100355073B1 (ko) 1994-08-23 1995-08-23 낚시용양베어링형릴및낚싯줄평행감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50979A (ko)
EP (1) EP0698343A3 (ko)
KR (1) KR100355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345A (ko) * 2015-05-27 2016-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6919A (en) * 1994-08-23 1999-12-07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balance and ergonomic properties
JP3325174B2 (ja) * 1995-12-13 2002-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483784B2 (ja) * 1998-09-02 2004-01-0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6513743B1 (en) 2001-06-11 2003-02-04 The Orvis Company, Inc. Anti-reverse large arbor fly reel
US20070038228A1 (en) * 2003-04-17 2007-02-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roenewoudseweg 1 Depilation device with a depilation tape
US9545088B2 (en) * 2013-11-29 2017-01-17 Globeride, Inc. Fishing reel
JP6530615B2 (ja) * 2015-02-26 2019-06-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49795B2 (ja) * 2017-09-29 2022-04-0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CN112772588A (zh) * 2019-11-07 2021-05-11 广东赛肯科技创新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渔轮及其刹车结构
CN111345269B (zh) * 2020-03-18 2023-05-09 界首市欧思润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高耐磨抗静电鱼线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092A (en) * 1886-02-16 Geoege l
US1635629A (en) * 1927-07-12 Line distributor for fishing reels
US401049A (en) * 1889-04-09 And charles raettig
US1438007A (en) * 1921-05-09 1922-12-05 James Heddon S Sons Line-distributing device for reels
US1448786A (en) * 1921-10-22 1923-03-20 James P Breen Level winder for reels
US1507404A (en) * 1923-08-08 1924-09-02 James Heddon S Sons Line-distributing device for reels
GB496163A (en) * 1937-12-10 1938-11-25 Hardy Brothers Alnwick Ltd Improvements in fishing reels
US2263836A (en) * 1939-09-16 1941-11-25 Shakespeare Co Fishing reel
US2377996A (en) * 1944-05-24 1945-06-12 Philip G Coleman Level-wind mechanism
US2461884A (en) * 1946-01-03 1949-02-15 Louis S Elsinger Level wind for fishing reels
US2478111A (en) * 1946-11-22 1949-08-02 Kilian Rudolph Robert Bait casting reel
US2641418A (en) * 1947-04-25 1953-06-09 Miller Joe Wheeler Fishing reel
US2610809A (en) * 1947-05-01 1952-09-16 Sam H Breedlove Casting fish reel with level winding mechanism
US2641417A (en) * 1947-09-11 1953-06-09 William P Kinsey Fishing reel
US2646939A (en) * 1949-08-15 1953-07-28 Ocean City Mfg Co Fishing reel construction
US2609161A (en) * 1950-12-01 1952-09-02 Kjall G Guhlin Level wind reel
US3612437A (en) * 1969-07-14 1971-10-12 Shakespeare Co Free spool mechanism
JPS5714605Y2 (ko) 1974-11-07 1982-03-26
JPS5722541Y2 (ko) 1974-12-28 1982-05-15
JPS5737985Y2 (ko) * 1979-02-15 1982-08-20
JPS5915896Y2 (ja) 1980-03-31 1984-05-1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ル
JPS5714605A (en) * 1980-07-02 1982-01-25 Showa Denko Kk Easily heat-sealable resin composition and polypropylene composite film of high tranparency
JPS5722541A (en) * 1980-07-15 1982-0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ght reduction type smoke sensor
JPS6119659Y2 (ko) * 1981-02-09 1986-06-13
JPS5915896A (ja) * 1982-07-19 1984-01-26 株式会社東芝 ドレンフアンネル
JPS5916377U (ja) 1982-07-22 1984-01-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釣糸案内装置
JPH0347508Y2 (ko) * 1986-04-07 1991-10-09
JPH0420215Y2 (ko) * 1986-07-21 1992-05-08
JPS6444062A (en) * 1987-08-12 1989-02-16 Seiko Epson Corp Disposing and wiring method for molecular chain
JPH0361873A (ja) * 1989-07-29 1991-03-18 Sharp Corp 集積回路素子のテスト回路
JP2532309Y2 (ja) 1989-10-18 1997-04-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H03129069U (ko) * 1990-04-11 1991-12-25
JP2966583B2 (ja) * 1991-06-27 1999-10-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345A (ko) * 2015-05-27 2016-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KR102502468B1 (ko) 2015-05-27 2023-02-2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8343A2 (en) 1996-02-28
KR960013192A (ko) 1996-05-22
EP0698343A3 (en) 1996-06-05
US5850979A (en) 1998-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5073B1 (ko) 낚시용양베어링형릴및낚싯줄평행감기장치
AU759113B2 (en) Spinning reel having a water-proof structure
EP0865730B1 (en)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AU752896B2 (en) A master gear for a spinning reel
US5775614A (en) Fishing reel with spool supported between two side plates, level wind device and means for linking spool drive clutch with level wind device
US8534584B2 (en) Dual-bearing reel speed change operation mechanism
US5996919A (en)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balance and ergonomic properties
JP200422252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US4618107A (en) Fishing reel
DE4209400A1 (de) Ruecklaufgesperre fuer koederwurfhaspel
JP325612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KR10119107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US5040743A (en) Spinning reel with rear-actuated front drag
JPH09140302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4222559A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JP3029019B2 (ja) リールを内蔵した釣り竿
JP2004261077A (ja) 魚釣用リ−ル
JPH0123265Y2 (ko)
US4043521A (en) Casting reel for fishing
JPH0728864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025172B2 (ja) 釣糸平行巻き装置
US5678780A (en) Spinning reel reciprocation mechanism
JP3033799U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3185406A (en) Reel brake
JP3043968B2 (ja) 魚釣用リ−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