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085A - 엔시가공에 있어서의 엔시프로그램 해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엔시가공에 있어서의 엔시프로그램 해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085A
KR19990077085A KR1019980705220A KR19980705220A KR19990077085A KR 19990077085 A KR19990077085 A KR 19990077085A KR 1019980705220 A KR1019980705220 A KR 1019980705220A KR 19980705220 A KR19980705220 A KR 19980705220A KR 19990077085 A KR19990077085 A KR 19990077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ing
program
database
condition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788B1 (ko
Inventor
카즈오 야마자키
나오키 모리타
사다유키 마츠미야
야스시 후카야
Original Assignee
카즈오 야마자키
다카츠지 노리오
가부시키가이샤 미츠토요
카슈와 준로
오쿠마 가부시키가이샤
모리 유키오
가부시키가이샤 모리세이키 세이샤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즈오 야마자키, 다카츠지 노리오, 가부시키가이샤 미츠토요, 카슈와 준로, 오쿠마 가부시키가이샤, 모리 유키오, 가부시키가이샤 모리세이키 세이샤쿠쇼 filed Critical 카즈오 야마자키
Publication of KR1999007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05B19/4093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concerning programming of machining or material parameters, pocket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528Create machining conditions database by analyzing actual machining nc progr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304Divide into several machining processes, divide each also in several sub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NC프로그램 분석장치에는 가공방법 분석수단(34)과 데이터베이스 작성수단(35)가 구비된다. 가공방법 분석수단은, 실가공 NC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에 의하여 모든 워크피스에 대하여 가공조건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실가공 NC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가공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21,22,23,24)에 그러나 정보를 반영시킨다.

Description

엔시가공에 있어서의 엔시프로그램 해석방법 및 장치
수치 제어 공작 기계는, NC프로그램 입력에 의하여 공작기계의 동작을 자동제어 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근년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 파워일렉트로닉스 기술, 혹은 소프트웨어 기술과 조합되어 컴퓨터 수치제어공작기계(CNC공작기계)로서 각종의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통상, NC프로그램 등의 수치제어정보에는 공구계산명령, 주축회전수 명령, 보내기 속도명령, 이동. 보간명령, 보조기능명령 등의 독자 정보나 가공 이력이 프로그램되어 있고, 가공제어대상인 공작기계에 적당한 수치제어정보가 그 때마다 NC프로그램으로서 작성되어 있다.
종래에 있어서 수치제어정보는, 소재데이터와 최종부품 형상이 부여되는 것에 의하여 CAD/CAM 혹은 자동 프로그래밍툴 등을 이용하여 소망의 NC프로그램으로서 작성되며, 이들을 실제의 공작기계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혹은 테스트컷트를 반복하면서 현장에서 NC프로그램으로서 공작기계의 가공제어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NC프로그램 생성과정을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공정설계부(1)에는, 워크 형상 혹은 도면 데이터 등으로 되는 소재 데이터 및 최종 부품형상이 공급되고, 기계 사양 데이터베이스(2) 및 치구보치구데이터베이스(3)에서 읽혀지는 공작기계 및 치구, 유지구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각 공정이 결정된다. 여기서 공정이라는 것은, 공작기계 상에서 워크피스가 고정되는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 없이 수행되는 일련의 전체 가공작업군을 의미한다. 또한 가공요소는, 워크의 동일 가공위치에 대한 복수개의 작업요소의 일군을 말한다. 즉 작업요소는, 각 공구가 수행하는 단일의 가공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천공작업, 밀링가공 등의 단일의 작업을 말한다. 그리고 가공요소는 워크피스의 동일 가공위치에 대하여 복수개의 작업요소를 조합하여 하나의 가공을 완성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나사구멍가공의 경우, 센터구멍 가공과 드릴가공, 그리고 탭 가공의 세 개의 작업요소를 합쳐 가공요소가 된다.
공정설계부(1)가 우선 이와 같은 공정을 결정하면, 다음에 작업 설계부(4)에 있어서, 각 공정에서 가공하여야 하는 가공요소, 및 가공요소를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작업요소가 작업전개 데이터베이스(5)에 기초하여 인식되며, 공구데이터베이스(6),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7), 가공시간산출 데이터베이스(8)에서의 각 가공정보를 이용하여 각 작업요소의 공구리스트, 작업지시서가 부호(9,10)으로 표시되도록 작성되며, 제1공정NC프로그램, 제2공정 NC프로그램, ...으로 표시되도록 원수치제어정보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원NC프로그램은, 최적의 프로그램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원NC프로그램은, NC프로그램수정편집부(11)에 보내지고, 그 출력된 수치제어정보를 기초로 시뮬레이션 혹은 공운전 또는 테스트컷트를 수행하고, 툴패스를 최적화하고, 절삭속도, 보내기(이송)속도, 절삭량 등 가공 조건을 최적화한다. 이와 같은 최적화를 위해서는, 통상 상술한 시뮬레이션이나 테스트컷트를, 수행함에 부가하여 현장에서 노우하우 등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수정작업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지 않고, 현장의 숙련자의 수작업에 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CAM에서 출력되는 수치제어정보를 테스트컷트하고, 어떤 부분에서 채터가 발생한 경우, 그 부분의 보내기나 회전수를 변경하든가 혹은 절삭폭, 혹은 절삭깊이를 변경해야 하는 수치제어정보를 수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수정은 종래에 있어서 현장작업자의 숙련에 의하여 수행되고, 원NC프로그램이 그대로 NC프로그램 수정편집부(11)에서 수정되고 있다.
또한 미묘한 툴패스의 변경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을 수행할 필요가 있어도, CAM의 능력부족 등에 의하여 이와 같은 피드백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통상의 경우, 종래에 있어서는 현장 작업자가 가지는 노우하우가 NC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피드백되는 것은 거의 없었다.
더욱이 종래에 있어서 현장에서 원NC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한 이유는, 특정의 워크에 대한 원NC프로그램이 통상 특정의 공작기계에 적용되는 것은 한정되지 않는 것에 있다. 이 때문에 공작기계의 성능이나 사양이 다른 것에 의하여 수치제어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공시간을 다시 산출하고, 각각의 작업지시서의 변경이 필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최적화가 수행된 후, 다시 공구리스트, 작업지시서가 고쳐져 작성되고 수정후 제1공구리스트 작업지시서(12) 혹은, 수정후 제2공정공구리스트 작업지시서(13)로서 수치제어부(14)에 보내진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이러한 수정후의 제1공정NC프로그램, 제2공정NC프로그램, ...이 실제의 최종적인 현장에서의 실가공 NC프로그램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NC가공시스템에 있어서는 수치제어정보를 수정편집한 때의 작업을 반복 이용하거나 피드백되거나 혹은 노우하우로서 축적, 재이용 가능하지 않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이들 각종 현장 노우하우 그외의 프로그램 수정편집데이터는 전부 현장의 숙련작업자에 의존하고 있고, 다시 재이용성이 곤란하다고 하는 큰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것은 종래에 있어서 CAD/CAM시스템이 있어서는 자동프로그램시스템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작성가능한 원NC프로그램도 그대로는 각 개별의 공작기계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각 가공 마다 프로그램의 편집 수정을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경우하여 처음으로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실가공 NC프로그램이 양산용 가공프로르램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공작기계 유저에게 있어서도 간편한 이용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공작기계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에 있어서는, 거의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대폭 수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더욱이 다른 기종 혹은 동일 기종이기는 하지만 개량된 사용을 구비하는 새로운 공작기계가 도입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과거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이 전부 이용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치제어정보, 특히 수정편집이 완료한 실가공 NC프로그램을 해석하고,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양산가공에 사용되는 실가공 NC프로그램에서 역으로 현장 노우하우 그외의 각종 가공조건 즉 얻던 특정의 작업에 대한 최적의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고, 이들을 데이터베이스로하여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은, 소재정보, 도면정보, 기계정보, 가공정보 혹은 계측데이터 등과 시스템적으로 관련된 것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기계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최적 가공방법, 최적 가공조건을 인출하여 각 경우에 있어서 최적인 현장 가공프로그램을 이들이 피드백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시로 자동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가은 데이터베이스는, 단순히 자기의 공작기계 뿐만 아니라, 다른 공작기계에 대한 데이터로서도 공급 가능하며, 이들의 데이터베이스를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을 구축하고 있는 관련된 전체 공작기계군에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의 소정 편집을 숙련자에 의존하는 것 없이, 그 많은 부분을 데이터베이스와의 대화에 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NC가공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 해석 방법 및 장치, 특히 수치제어정보를 이용하여 각종의 가공 제어를 수행하는 NC가공에 있어서, 실가공에 사용되는 NC프로그램에서 각종의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고, 이들을 범용정보로서 수치제어된 공작 기계 혹은 다른 수치제어 공작 기계에 발전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로서 기억되는 것이 가능한 개량된 NC프로그램 해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NC프로그램 작성순서를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NC프로그램 분석방법 및 장치가 내장된 수치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시스템 중의 본 발명에 관한 NC가공시스템 요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4a, 4b, 4c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되는 실가공 NC프로그램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소재형상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최종 가공형상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공구리스트를 보인 도면.
도 8a, 8b, 8c, 8d, 8e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가공 NC프로그램에서 유도된 G코드 전개리스트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공요소에 대한 작업요소와 사양 공구 및 프로그램 분석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10는, 작업요소 리스트를 보인 설명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도시된 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보인 설명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되는 가공 패턴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보인 설명도.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적 데이터베이스로서 구멍 가공요소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분석순)을 보인 설명도.
도 14는, 본 실시예의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구멍가공요소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동일 구멍순)을 보인 설명도.
도 15는, 본 실시에에 있어서 작업요소 가공별의 가공조건을 적삭조건 데이터베이스로서 도시한 일례를 보인 설명도.
도 1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요소 가공마다 공구의 가공조건을 보인 공구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보인 설명도.
도 17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공 패턴 정의의 일례를 보인 설명도.
본 발명은, NC프로그램에서 가공제어가 수행된 NC가공에 있어서 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수단과, 상기 가공조건을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NC프로그램에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NC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수단과, 상기 가공조건을 각 작업요소가공와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NC프로그램에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실가공 NC프로그램, 소재재질 데이터 및 공구리스트가 입력되며, 상기 실가공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각 작업요소가공 마다의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수단과, 상기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 추출된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NC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데이터베이스 작성수단과, 상기 가공조건을 각 작업요소가공과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NC프로그램 작성용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방법 분석수단은 실가공 NC프로그램을 각 작업요소 가공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실가공NC프로그램에서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조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4항 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실가공 NC프로그램을 각 작업요소가공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에는, 공구가공 궤적에서 작업요소가공을 조합판정하기 위한 패턴정의 기억부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3항기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 및 공구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NC프로그램에서 가공제어가 수해오디는 NC가공에 있어서,
NC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단계와, 상기 가공조건을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단계를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NC프로그램에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NC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각 작업요소가공 마다의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분석단계와, 상기 가공조건을 각 작업요소가공과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단계를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NC프로그램에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방법에 있어서, 실가공 NC프로그램, 소재재질데이터 및 공구리스트가 입력되고, 상기 실가공 NC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각 작업요소가공마다의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단계와, 상기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에 추출된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NC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작업요소 가공과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 작성단계를 구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컴퓨터에, NC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수단과, 상기 가공조건을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NC프로그램 분석방법 및 장치가 적용된 수치제어공작기계 시스템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와 동일하게, 소재데이터와 최종부품 형상이 부여되는 것에 의하여, NC프로그램이 작성된다. 도면에 있어서, 소재데이터는 소재형상과 재질을 포함한다. NC프로그램 작성수단(20)은 상기 입력된 소재데이터와 최종 부품형상에 각종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부여된 과거에 축적된 노우하우데이터를 가미하여 소망의 NC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는, 작업전개 데이터베이스(21),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22), 공구 데이터베이스(23), 가공이력 데이터베이스(24)로 되고, 이들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과거의 현장 노우하우 그외 실제 가공에 필요한 조건 및 사용되는 공작기계 특유의 조건이 NC프로그램 작성을 위하여 참조데이터로서 NC프로그램 작성수단(20)에 공급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작성된 NC프로그램, 및 공구리스트는 수치제어장치(25)에 보내지고, 필요한 공운전, 테스트컷트 혹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종래의 도 1에서 설명한 NC프로그램 수정편집을 경우하여, 수치제어장치(25)가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이용되는 실가공 NC프로그램으로서 완성된다. 도 2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NC프로그램의 수정편집부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
수치제어장치(25)는, 공작기계(26)를 구동하기 위한 NC프로그램 실행수단(27), 서보제어수단(28) 및 오차보정수단(29)를 포함하고, 상기 NC프로그램 및 공구리스트 그리고 소재 데이터는 각각 NC프로그램 실행수단(27)에 입력된다. NC프로그램 실행수단(27)은, 후술하는 측정 결과를 참조하면서 상기 각 입력데이터에 의하여 절절한 보내기 속도에 기초한 보간처리를 수행하고, 서보제어수단(28)에 서보제어신호를 공급하며, 공작기계(26)를 서보제어수단(28)의 출력구동신호에 의하여 정확하게 NC프로그램에 맞춰서 보내기 구동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오차보정수단(29)은, 공작기계(26)의 온도변화 등에 의한 위치. 치수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공작기계(26)에 설치된 측정기의 출력을 사용하여 온도에 기인하는 오차 등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공작기계(26)는, 테이블에 올려진 워크피스(30)에 대하여 소망의 작업요소가공, 가공요소가공, 그리고 공정가공을 NC프로그램을 따라 실행하고, 워크피스(30)의 제1자세에 있어서 가공을 완료한다.
제1자세에 의한 워크피스(30)의 공정가공이 완료하면, 측정기(31)가 측정제어장치(32)의 측정프로그램을 따라 워크피스(30)의 좌표측정을 행하고, 그 측정결과는 측정결과분석수단(33)을 통하여 수치제어장치(25)의 NC프로그램 실행수단(27) 및 가공방법 분석수단(34)로 피드백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들 츨정결과는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21,22,23,24)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성된 NC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워크피스(30)에 소망의 수치제어가공을 수행할 수 있고, 워크피스(30)는 제1자세에서의 공정가공이 종료한 후, 자세(위치)를 바꾸고, 제2자세에 있어서, 동일하게 NC프로그램을 따라 가공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상기 수치제어장치(25)에 있어서 실행되는 실가공NC프로그램의 내용을 적절하게 해석하여 그 NC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가공 노우하우 등의 가공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이렇게 추출된 가공정보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이 가능함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공정보는 각 작업요소가공 마다의 가공조건으로서 NC프로그램의 해석결과에서 추출되고, 그 가공조건이 각 작업요소가공과 대응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도 2에 있어서 가공프로그램 및 공구리스트 그리고 측정결과는, 가공방법분석수단(34)에 공급되어 있고,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알고리듬을 따라 필요한 가공정보가 추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추출된 가공정보는, 필요한 가공정보가 추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추출된 가공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작성수단(35)에 공급되고, 각각의 항목 마다 분류된 가공정보가 각 작업요소가공과 대응하는 가공조건으로서 전술한 각 데이터베이스, 즉 작업전개 데이터베이스(21),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22), 공구 데이터베이스(23) 및 가공이력 데이터베이스(24)레 써넣어져 기억된다.
따라서 각 데이터베이스(21~24)는 공작기계(26)에 의한 워크피스(30)의 실가공이 수행된 후에는, 그 실가공에 반영된 현장 노우하우 등의 가공정보를 항상 저장하고, 그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현재의 가공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통상의 경우 다음의 NC프로그램 작성시에 최적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가공정보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NC가공시스템에 의하면, 종래는 단순히 원NC프로그램의 수정편집용에만 사용되고 있는 현장 노우하우 그 외 다른 가공정보를 최종 현장가공에 사용되는 수정이 끝난 실가공 NC프로그램에서 역으로 해석 추출하고, 이것을 데이터베이스에 즉시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로의 작업정보의 반영에 의하여 NC프로그램 작성수단은 항상 최신이면서도 현장의 노우하우를 저장한 프로그램 작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종래에 비하여 원가공 프로그램에서 실가공프로그램으로의 수정 편집 작업을 현저하게 간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공정보의 데이터베이스로의 반영은, 예를 들면 실가공이 개시되고 나서 수개의 가공요소의 가공 이내에 데이터베이스로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에 계속되는 NC프로그램 혹은 현재의 NC프로그램의 재조정도 즉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가공정보가 반영된 각 데이터베이스는, CIM을 구축하고 있는 어떠한 공작기계에도 임의로 적용할 수 있고, 물론 소재 혹은 최종부품형상이 변경된 경우에 있어서도, 공작기계 혹은 공구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의 부분은 그대로 다른 것에 전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데이터를 CIM을 구축하는 전체의 단말기기에 동일하게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어떠한 수치제어정보의 작성 혹은 이들의 실행에 있어서도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우수한 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공정보를 각 작업요소 가공마다의 가공조건으로서 모듈화하는 것에 의존하고 있고, 이러한 것에 의하여 기억된 데이터베이스의 범용성을 현저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가공방법 분석수단(34)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의 해석 및 가공정보 혹은 가옹조건의 추출공정을 실예로 맞추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전술한 수치제어시스템(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 해석장치의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고, 가공방법 분석수단(3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가공NC프로그램, 소재데이터, 공구리스트가 입력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최종 가공형상, 측정결과도 입력된다.
가공방법 분석수단(34)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각 데이터는 기억장치(40)에 기억되고, 실가공NC프로그램이 1블럭마다 해석되며, 수치데이터변환부(41)에 의하여 데이터변환되며, G코드전개리스트 생성부(42)에 있어서 G코드전개리스트로서 각 데이터가 등록된다. 이 때 마크로프로그램이나 서브프로그램 등 1블럭마다 복수개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RS-274-D포맷에 따라 기본명령으로 전개후, G코드전개리스트에 등록한다. 이러한 G코드으로의 전개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가공 NC프로그램을 컴퓨터처리하기 위하여 해석이 용이한 G코드로 전개하고 있다.
가공방법 분석수단(34)에 있어서는, 상기 G코드전개리스트를 참조하면서 작성요소로의 분할부(43)에 있어서 연속하는 실가공프로그램이 작업요소마다로 분할된다. 그리고 작업요소마다 분할된 G코드전개프로그램은 패턴정의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패턴정의를 참조하면서 작업요소마다의 가공조건이 추출부(45)에 있어서 추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추출된 작업요소마다의 가공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작성수단(35)을 통하여 작업전개데이터베이스(21), 절삭조건데이터베이스(22), 공구데이터베이스(23) 및 가공이력데이터베이스(24)에 기억된다.
상기 분할부(43)에 있어서 각 작업요소가공 마다로의 프로그램분할은 통상의 경우, 시퀀스번호(N번호), 공구 분할(T코드), 공구교환(M6), 및 옵셔널스톱(M01)에 주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상, 이러한 작업요소로의 프로그램분할은, 우선 공구교환에 착안하고, 공구교환의 사이에는 단일의 공구가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을 작업요소의 단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의 공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작업요소가공이 수행되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면 동일한 드릴로 복수개의 준비공을 천공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어서, 상기 공구교환에 더하여 공구궤적패턴을 읽어내고, 이들에 의하여 작업요소 가공마다의 분할을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조건추출부(45)는 상기 작업요소 마다로 분할된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가공조건을 추출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접 작업조건을 추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분할한 범위의 공구궤적과 워크피스 형상에서 작업요소가 어떠한 내용인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중간적인 워크피스데이터베이스 혹은 각 패턴리스트로서 작성한다. 이와 같은 패턴리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구멍가공의 경우 구멍가공요소리스트 등을 들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가공조건은 작업요소가공마다 각 데이터베이스에 써넣어지고, 일반적인 가공조건으로서는 각 작업요소가공 마다 가공된 소재와 사용된 공고 그리고 각 절삭조건이 관련된 데이터로서 기억, 저장된다. 이 경우 절삭조건은 통상 사용되는 공구의 회전속도 혹은 이송량은 아닌, 각 공구의 주속(周速)과 한 개의 날에 대한 보내기 및 1회전당의 보내기로서 데이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에 의하여 범용성이 있는 모듈화된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기초데이터에서 근사한 공구지름의 절삭조건을 필요에 따라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프로그램해석의 일례
도 4a, 4b, 4c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실가공 NC프로그램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O0001인 프로그램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5는 그 실가공 NC프로그램에 있어서 가공된 소재형상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그 실가공프로그램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소재에서 제작된 최종 가공형상이 되시되며, 이들 소재 데이터(재질을 포함한다) 및 최종 가공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방벙 분석수단(34)에 데이터 공급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가공에 있어서는 소재의 상면 밀링가공, 측면 밀링가공, 그리고 정면의 2개소의 나사공 가공 및 상면의 4개소의 면취 드릴가공, 그리고 슬롯트홈 가공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가공에 대하여 NC프로그램 작성수단(20)은 가공수단서를 결정하고, 이들을 작업요소에 전개하며, 각 작업요소 마다의 가공공구를 결정하고, 더욱이 각 가공 마다의 절삭조건을 결정한다.
도 7은 프로그램 O0001에 사용되는 공구리스트를 보인고, 각 공구번호는 T코드로 도시되며, 각각의 공구데이터가 도시한 바와 같이 리스트화되며, 공구리스트는 상술한 가공방법 분석수단(34)에 공급되어 있다.
가공방법 분석수단(34)에 있어서는, 우선 실가공 NC프로그램이 기억장치(40)에 기억된 후 수치데이터변환부(41)를 경우하여 G코드전개리스트 생성부(42)에 의하여 컴퓨터에서 해석하기 쉬운 G코드전개리스트로 변환된다. 도 8a, 8b, 8c, 8d, 8e는 상기 실가공 프로그램 O0001이 G코드로 전개된 형상의 리스트를 보이고, 양자는 행번호에 의하여 링크되어 있고, 그 내용은 실질적으로 전부 동일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실가공프로그램은 시퀀스 N번호 1에서 9까지의 9종류로 구별되고, 이들 9개의 시퀀스는 각각 별개의 공구를 사용한 작업으로서 구별된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일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소재가 다른 가공위치를 가공하는 것은, 다른 작업 요소로서 인식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의 가공궤적패턴에서 프로그램이 작성 요소로 분할된다. 그러나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다음에 있어서는 상기 9개소의 시퀀스번호(N)로 나우어 각 작업요소가공 마다의 가공조건 추출을 예시한다.
N1의 작업요소의 해석
행번호 4에서 T1이 명령되고, 행번호 5에서 M6(공구교환)을 수행하고 있어서, 행번호7에서 다음의 M6(공구교환)이 명령되기 까지는 공구(T1)으로 가공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일군의 프로그램을 시퀀스번호(N1)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실가공 NC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시퀀스번호는 공작기계에 대하여 어떠한 의미도 없는 것은 분명하다.
공구(T1)은 상술한 도 7에 있어서 도시한 공구리스트의 T코드1에서, 직경 100mm의 페이스밀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 행번호7은, 워크좌표계 G54를 지정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표계 G54는 도 6에 도시한 최종 가공형상의 상면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을 제1공정의 가공으로 정의하고 있다.
행번호 10에서 처음 절삭 보내기를 하고, 절삭면은 Z0.1의 좌표이다(행번호 9). 또한 페이스밀의 강하점은 행번호 7에 의하여 (160,50)이라는 XY좌표로 설정되어 있다. 행번호 10에서 13은 Z좌표는 동일하게, 이동축은 X,Y,X,Y 교대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공구궤적 패턴을 패턴정의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정의데이터와 맞춰보는 것에 의하여, 그 작업요소가 면가공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9에는 가공요소에 대한 작업요소와 사용공구, 프로그램 분석방법의 패턴 정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패턴 정의를 사용하여 상기 작업 요소가공의 인정이 수행된다.
도 10에는 작업요소리스트의 일례가 도시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작업요소가공 마다 가공조건이 각종의 중간적인 리스트로서 작성되고 또한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21에서 24)에 범용성이 있는 모듈화된 데이터로서 저장, 기억되어 있다. 물론 도 10에 도시한 작업요소는 일례일 뿐이고, 이와 같은 비교적 큰 작업요소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요소를 더욱 분할한 작업요소를 정의하고, 각 단계 마다의 정의된 작업요소에 따라 가공조건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도 본 발명에서는 가능하며, 이와 같은 작업요소의 정의 레벨은 공작기계의 정밀도 혹은 가공 시스템 전체의 분해능력에 따라 임의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분할이 수행되면, 이들은 중간적인 작업조건 리스트로서 기억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 가공패턴리스트 데이터베이스 및 구멍가공요소 리스트의 3종류의 리스트가 준비되어 이다.
도 11은 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보인 것이고, 워크피스의 각 가공요소에 대한 작업요소의 조랍, 또는 각 작업요소에 대하여 사용된 공구가 리스트화되며, 또한 동일하게 작 작업요소 마다 워크피스파일 및 궤적리스트 파일이 데이터화된다. 도 11에 있어서, 예를 들면 No. 1, 2는 면가공이 거친 밀링 가공과 마무리 밀링가공의 두 개의 작업요소에 의하여 수행되고, 각각 다른 공구가 다른 궤적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2는 가공패턴리스트 데이터를 보이고, 각 가공 패턴은 예를 들면 면가공요소, 포켓가공요소, 코아 가공요소, 홈가공요소 및 구멍 가공요소로 분류되어 있고, 각각의 가공요소가 각 작업요소로 되고, 그 때의 가공 깊이 및 가공방법이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구멍가공요소별 리스트를 도시하고, 도 13은 프로그램의 해석순서로 기술된 것 그리고 14는 동일 구멍순으로 기술된 것을 보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은 3종류의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중간적으로 사용하여 각 작업요소의 해석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가공조건을 추출하여 상기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퀀스(N1)의 작업요소에 대해서는, 면가공요소인 것이 판단되어서, 그 결과를 면가공패턴리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소망의 항목을 세트하고, 주축회전수 및 이송속도에서 필요한 절삭조건을 기록한다.
시퀀스(N1)에 대하여 더욱 프로그램을 해석하면, 행번호 10, 11, 12와, 행번호 15,16,17은 Z좌표가 다를 뿐인 동일한 궤적이고, 이들 이하는 동일 공구의 작업요소가 없는 것에서 행번호 15,16,17이 마무리 가공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요소는 면가공요소이기 때문에 소재치수를 연속한 점요소로 변환하고 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도 11)의 워크피스 파일(AAA1)에 저장하고, 워크피스 데이티베이스N0.1, 2과 관련된다.
다음에 행번호 19에서 행번호 30까지는 워크좌표계(G55),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최종가공형상의 정면 가공의 좌표계를 명형하고 있어서, 이들을 제2공정으로 판단한다. 행번호 22,23,24와 행번호 27,28,29는 Z점이 다를 뿐인 동일한 궤적이기 때문에, 또한 Z좌표가 0.1의 차이기 때문에 행번호 22,23,24가 거친 가공, 그리고 행번호 27,28,29가 마무리 가공으로 판단한다. 더욱이 절삭영역이 워크 전체를 덮고 있어서, 면가공요소로 판단하고, 제1공정과 동일하게 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시퀀스(N)에는 복수개의 작업요소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해석에 따라 각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과 동시에 이들 데이터베이스에서 도 15에 도시한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로의 가공조건의 써넣기가 수행된다. 이러한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는 도 2, 도 3에 있어서 도면부호 22로 도시하고 있고,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 가공조건이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가공조건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공번호로 가공공구를 도시하고, 워크 재질이 소재의 재질을 도시한 상기 공그의 원주속도, 1날당 보내기(F1), 1회전당의 보내기(F2), W(1회의 커팅폭) 및 H(1회의 커팅높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따라서 그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의하면 각 작업요소 마다에 워크피스의 재질에 대하여 최적의 선택공구, 그리고 최적의 가공조건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되고, 이들에 의하여 각 작업요소 마다 워크재질, 혹은 공구가 결정되면 각각 최적의 가공 원주속도, 보내기 절삭을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모듈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NC가공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종래와 같은 번잡한 수정편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직접 최적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5에 도시한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에는 이미 특정의 조건하에 있어서 현장에서의 노우하우, 시뮬레이션 혹은 테스트컷트를 경유한 다음의 최적 조건을 도시하고 있고, 이들 이후에 발생한 동일 조건 혹은 동일 환경하에 있어서의 가공조건을 용이하게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같은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를 전체의 경우에 대하여 망라하는 것은 실제상 곤란하지만, 본 NC가공시스템에 의하면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중단없이 계속적으로 축적되고, 또한 이들을 단일의 공작기계만이 아닌 CIM을 구축하고 있는 전체의 공작기계 혹은 다른 공작기계 까지 임의로 확대하여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새로운 NC프로그램이 작성될 때 마다 그 축척량이 증대하고, 이와 같이 나날이 성장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더욱 자기의 공작기계가 휴지상태에 있어도 다른 공작기계에서의 가공 실적을 용이하게 프로그램 작성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극히 우수한 성장성 및 확장성을 구비하는 잇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는, 더욱 측정결과 분석수단(33)에서 얻어진 측정결과를 반영하여 절삭시간, 절삭거리 및 절삭날 형상으로 설정된 복수개의 날끝 포인트, 도면에 있어서는 포인트(1,2,3,4,5)의 5개소에 대하여 워크와의 접촉회수, 절삭개시각, 절삭종료각도 기억하고 있고, 이들의 공구 사용실적에서 더욱 확장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공구의 사용실적 데이터는 도 16에 도시한 공구데이터베이스로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도 2, 3에 도시한 공구 데이터베이스(23)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수명값, 마모량 및 남은 수명값을 써넣을 수 있고, 각 공구에 대하여 어떠한 사용실적의 경우에 어떠한 마모 이력을 가지는가 또한 그 실질적인 수명값을 기억할 수 있으며, NC프로그램 작성시에 채용하는 최적 공구 선정 및 공구교환 혹은 더욱 나가서 최종 가공형상과 공구와의 연관성 등도 고려한프로그램 작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시퀀스(N1)의 작업요소 해석 및 작업조건의 추출에서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가공방법 분석 및 추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로의 기억작용을 설명하였지만, 이하 동일하게 시퀀스(N2)에서 (N9)까지의 작업 요소에 대한 해석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N2의 작업요소의 해석
행번호 31에서 주축공구가 T2로 되고, N2의 작업요소로 이행한다. T2는 도 7의 공구리스트에서 직경 3mm의 센터드릴이라고 인식되며, 그 결과 N2의 작업요소는 구멍가공요소라고 판단되며, 후술하는 제1공정에 있어서의 5개의 작업요소 및 제2공정에 있어서의 2개의 작업요소가 도 13, 14의 구멍가공요소리스트에 중간적으로 기억되고, 그 대의 가공조건이 각 작업요소 가공과 대응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5의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 및 도 16의 공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다.
제1공정(G54)
좌표1(70.000,50.000) 좌표2(-70.000,50.000)
좌표3(-70.000,50.000) 좌표4(70.000,-50.000)
좌표5(30.000,0.000)
제2공정(G55)
좌표1(40.000,0.000) 좌표2(-40.000,0.000)
N3의 작업요소 해석
행번호 47에 의하여 주축공구가 T3으로 되고, N3의 작업요소로 이행한다. 공구(T3)은 공구리스트 보다 직경 20mm의 드릴임을 인식하고, N3의 작업요소는 구멍가공요소라고 판단하며 이하의 5개의 작업요소가 구멍가공요소리스트(19,20)에 기록되며, 상술한 시퀀스와 동일하게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 및 공구 데이터베이스로의 기억이 수행된다.
제1공정(G54)
좌표1(70.000,50.000) 좌표2(-70.000,50.000)
좌표3(-70.000,50.000) 좌표4(70.000,-50.000)
N4의 작업요소 해석
행번호 57에 의하여 주축공구가 T4로 되고, 직경 30mm의 드릴인 것에서 N4의 작업요소는 구멍가공요소라고 판단하고 이하의 4개의 작업요소가 구멍가공요소리스트에 세트되며,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 및 공구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된다.
제1공정(G54)
좌표1(30.000,0.000,-19.9)
좌표2(-70.000,50.000) 좌표3(-70.000,-50.000)
좌표4(70.000,-50.000)
N5의 작업요소의 해석
행번호 68에 의하여 주축공구가 T5 즉 직경 25mm의 엔드밀로 교환되어 있다.
통상, 엔드밀, 페이스밀 등에 있어서는, 대응 가능한 가공 패턴의 종류가 많고, 단순히 사용공구만으로는 어떠한 작업요소인가의 판정은 어렵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구 가공 궤적을 가공패턴 정의와 맞추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이들 판정이 수행되고, 이미 페이스밀 및 드릴에 대하여 몇 개의 예시를 수행하였지만, 더욱이 도 17에는 이들 가공패턴정의와 가공요소와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보인다.
시퀀스 N5의 작업요소로 돌아가서, 행번호 71에서 행번호 74에 의하여 공구1(G54) 좌표3(30,0)에서 가공면(Z-19.9)로 강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행번호 75에서 행번호 81은 동일 편면을 이동하고, 행번호 75의 좌표(-50,0)과 행번호 80의 좌표(-50,0)이 동일한 좌표이기 때문에, 닫힌 궤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행번호 5에서 행번호 80은 행번호 75에서 G41의 좌측보정이 걸쳐 있기 때문에, 궤적에 대하여 내측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그 궤적에 대하여 G41에서 공구반경만큼 내측에 시프트된 궤적을 설계하고, 더욱이 그 궤적에 대하여 공구반경 만큼 시프트한 궤적을 구한다. 그러나 이 경우, 궤적이 없어져 있고, 공구궤적에서, 행번호 75에서 행번호 80을 공구가 이동하면 내측이 적삭되어 남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포켓가공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7에 도시한 가공패턴의 정의에서 가공요소 포켓에 관하여 엔드밀을 사용한 경우의 패턴으로 되고, 이와 같은 복잡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도 17과 같은 패턴 정의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프로그램의 해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행번호 75의 이동은 어프로치로서 판단되고, 또한 행번호 81의 이동은 철수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어프로치량 및 철수량은 도 12의 포켓 가공요소 패턴리스트에 저장된다.
행번호 82에서 워크면 보다 상부로 이동하고, 행번호 83에서 제2공정(G55)의 좌표(40,0)으로 위치결정된다. 행번호 86에서 행번호 88은 동일 평면을 이동하고 행번호 87에서 2주연의 궤적을 이동하고, 이전과 동일하게 그 궤적에 대하여 행번호 86에서 G41의 좌측보정이 걸쳐있기 때문에, 궤적에 대하여 내측이라고 판단된다. 이것에 대하여 G41에서 공구반경 만큼 내측으로 시프트한 궤적을 구하고, 더욱이 공구 반경만큼 시프트된 궤적을 구한다. 그러나 이 경우 판단(1)에 의하여 궤적이 없어지고, 그 결과 내측이 절삭되어 남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포켓 가공요소라고 판단된다. 동일하게 행번호 93에서 행번호 95도 포켓 가공요소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포켓 가공요소의 중심좌표를 시퀀스(N2,N4)의 작업 요소에서 전 가공되어 있다고 하는 조건에서, 포켓의 형상이 원인 것에서 구멍가공요소라고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시퀀스(N5)에 대해서도 가공패턴정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요소의 인식을 수행하고, 그 때 구해진 가공조건을 현장 노우하우를 가미한 가공조건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가공조건은 도 15에 도시한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 및 도 16에 도시한 공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지만, 물론 상술한 각각의 분석결과를 도 2, 3에 도시한 작업 전개 데이터베이스(21) 및 가공이력 데이터베이스(24)에도 동일하게 각각 필요한 데이터를 공급하고 이들을 작업 요소 마다 저장하고 있다.
N6의 작업요소 해석
행번호 97에 의하여 주축공구가 T6으로 되고 직경 25mm의 엔드밀이 사용된다.
행번호 105에서 행번호 108의 이동은, 동일평면 상이고, 행번호 105와 행번호 108의 좌표가 동일하기 때문에 닫힌 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 궤적과 공구계를 판단(1)에서 확인한다. 그 결과 내측에 절삭이 남아 있는 것이 없음을 알면 이것을 포켓 가공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궤적은 시퀀스(N5)의 궤적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무리 가공이라고 판단되며, 시퀀스(N5)의 작업요소(1)의 가공은 거친 가공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행번호 105에서 행번호 108의 점을 마무리 형상으로 판단하고, 워크피스 파일(BBB1)(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 도 11)에 저장하며, 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의 N0. 5.6에 포켓 가공요소로서 저장한다.
N7의 작업요소 해석
행번호 111에 의하여 주축공구가 T7로 되고, 직경 8.2mm의 드릴이라고 인식한다. 따라서 시퀀스 N7은 구멍가공요소라고 판단되며, 이하의 작업요소가 구멍가공요소 리스트에 저장된다.
제1공정(G55)
좌표1(40.000,0.000)
좌표2(-40.000,0.000)
N8의 작업요소해석
행번호 119에 의하여 주축공구가 T8로 되고, 직경 25mm의 면취 공구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행번호 124에서 행번호 128으로 Z축이 상승하기 까지 G81의 드릴고정 싸이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N8의 작업요소는 구멍가공요소라고 판단되며, 이하의 작업요소가 구멍가공 요소리스트에 저장된다.
제14공정(G54)
좌표1(70.000,50.000)
좌표2(-70.000,50.000)
좌표3(-70.000,-50.000)
좌표4(70.000,-50.000)
제2공정(G55)
좌표1(40.000,0.000)
좌표2(-40.000,0.000)
N9의 작업요소 해석
행번호 134에 있어서 주축공구가 T9으로 되고, M10 탭으로 교환된다. 따라서 시퀀스(N7)의 작업요소는 구멍가공요소라고 판단되며, 이하의 작업요소가 구멍가공요소 리스트에 저장된다.
제14공정(G55)
좌표1(40.000,0.000)
좌표2(-40.000,0.000)
이상과 같이 하여, 실가공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해석되고, 각 작업요소 마다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워크피스 데이터베이스(도 11), 가공 패턴리스트 데이터베이스(도 12), 및 구멍가공요소리스트 데이터베이스(도 13, 도 14)가 작성되고, 더욱이 이들의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도 15) 및 공구 데이터베이스(도 16)이 작성되고,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일하게 작업전개 데이터베이스(21), 가공이력 데이터베이스(24)에 실가공NC프로그램에서 추출된 가공조건이 즉시 저장, 기억된다.
전술한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 자체도 각각 필요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중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NC프로그램 작성수단(20)으로의 보조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들을 본 발명의 기억수단으로서 취급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해석프로그램은, 컴퓨터에 가공방법 분석수순 및 데이터베이스 작성수단을 기록한 매체로서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은 매체는 통상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ROM, CD메모리 등그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NC가공시스템에 의하면, 최종적인 현장에서 실가공에 사용되는 NC가공프로그램에서 가공방법을 분석하여 필요한 가공조건을 추출하고, 이들을 NC프로그램 작성시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서, 현장 노우하우, 테스트컷트 혹은 시뮬레이션에 의해서만 얻어지는 프로그램의 수정 편집을 포함한 가공조건을 확실하게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데이터베이스 작성에 극히 유용한 데이터베이스를 용이하게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가공의 경우 작성된 수치제어정보에서, 소재형상, 최종가공형상, 가공공정, 공구정보, 절삭조건 등 어떠한 수치제어정보가 사용되는 공작기계의 성능, 그리고 그 가공시의 정밀도 측정 데이터, 가공시간 등을 대응시켜서 축적하고 있고, 그 결과 각각의 수치제어정보 작성자가 가지는 노우하우 및 현장에서의 각종 노우하우의 전체를 망라한 결과의 가공조건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수치제어정보의 작성자가 바뀐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 반드시 필요했던 데스트컷 혹은 시뮬레이션 등으로 최적의 가공 노우하우를 모색할 필요없이, 단순한 자동 프로그래밍에 의해서도 최적의 가공 노우하우를 가지는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수치제어정보 작성자에 의한 가공조건의 불균형을 없애고, 최적의 가공조건에서 효율 높은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품질의 유지 향상 혹은 가공 기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특정의 공작기계에서 작성한 프로그램을 가공 능력이 다른 다른 공작기계에 적용한 경우에도, 모듈화된 가공조건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 때의 공작기계와 새로운 현재의 개량된 공작기계의 가공능력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새로운 수치제어프로그램을 자동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면 구식의 공작기계에 축적된 가공데이터는 신식의 공작기계에 있어서 변경점 이외의 정보로서 사용하고, 이러한 변경점에 관애서만 새로운 정보를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 프로르래밍에 의해서도 과거의 축적된 데이터를 반영시킨 최적의 프로그래밍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공장 전체의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NC가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가공조건은 다른 임의의 공작기계가공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고, CIM전체에 이와 같은 가공정보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가공효율을 개선하고, 또한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화하는 것에 의하여 끊임없이 성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NC프로그램으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수단과,
    상기 가공조건을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NC가공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해석장치.
  2. NC프로그램으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각 작업요소 가공마다의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수단과,
    상기 가공조건을 각 작업요소가공과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NC가공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 해석장치.
  3. NC프로그램으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실가공 NC프로그램, 소재 재질데이터 및 공구리스트가 입력되고, 상기 실가공 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수단과,
    상기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에 추출된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NC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데이터베이스 작성수단과,
    상기 가공조건을 각 작업요소가공과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NC프로르갬 작성용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NC가공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방법 분석수단은 실가공 NC프로그램을 각 작업요소 가공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와,
    실가공 NC프로그램에서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조건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가공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해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실가공 NVC프로그램을 각 작업요소 가공으로 분할하는 분할부에는, 공구 가공궤적에서 작업요소 가공을 대조 판정하기 위한 패턴정의기억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가공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 해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절삭조건 데이터베이스 및 공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가공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 해석장치.
  7. NC프로그램에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NCV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단계와,
    상기 가공조건을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단계을 구비하는 NC가공에 있어서의 NC프로그램 해석방법.
  8. NC프로그램으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에 있어서,
    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단계와,
    상기 가공조건을 각 작업요소 가공과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단계를 구비하는 NC가공방법.
  9. NC프로그램으로 가공제어가 수행되는 NC가공방법에 있어서,
    실가공 NC프로그램, 소재재질데이터 및 공구리스트가 입력되고, 상기 실가공 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의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단계와,
    상기 각 작업요소 가공 마다 추출된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NC프로그램작성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작업요소 가공에 대응하여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 작성단계를 구비하는 NC가공방법.
  10. 컴퓨터에, NC프로그램을 해석하여 가공정보 혹은 가공조건을 추출하는 가공방법 분석순서와, 상기 가공조건을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순서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998-0705220A 1996-11-07 1996-11-07 엔시가공에있어서의엔시프로그램해석장치및가공방법 KR100421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6/003264 WO1998019820A1 (fr) 1996-11-07 1996-11-07 Procede et dispositif d'analyse de programme cn destine a l'usinage c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85A true KR19990077085A (ko) 1999-10-25
KR100421788B1 KR100421788B1 (ko) 2004-07-16

Family

ID=1415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220A KR100421788B1 (ko) 1996-11-07 1996-11-07 엔시가공에있어서의엔시프로그램해석장치및가공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01004B1 (ko)
EP (1) EP0881034B1 (ko)
JP (1) JP3694323B2 (ko)
KR (1) KR100421788B1 (ko)
DE (1) DE69637808D1 (ko)
WO (1) WO19980198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067A (ko) * 2017-08-04 2019-02-13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버니싱 공구 형식 선택 방법, 선택 장치 및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KR20220077163A (ko) * 2020-11-29 2022-06-09 스마트로봇연구소(주) 조선 철의장품 제작 중 조선소와 협력사 간 작업도면의 가공데이터 전달을 위한 가공요소 표현 데이터의 표준화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0576B2 (ja) * 1998-03-24 2006-07-26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加工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
WO2000011528A1 (fr) * 1998-08-24 2000-03-02 Okuma Corporation Procede et appareil destine au support de machines a commande numerique
US6512961B1 (en) * 1998-08-24 2003-01-28 Okum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operation event logs in NC machining
DE69839646D1 (de) * 1998-08-28 2008-08-07 Okuma Machinery Works Ltd Ines messinstrumentes für koordinaten- und oberflächenmessungen
US6502007B1 (en) * 1998-08-28 2002-12-31 Mori Seiki Co., Ltd.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of NC program in NC machining
JP4038334B2 (ja) * 1998-08-28 2008-01-23 株式会社ミツトヨ 座標及び表面性状測定におけるパートプログラムの解析及びパートプログラムの作成に関する装置及び方法
US6242880B1 (en) * 1998-09-08 2001-06-05 Cimplus, Inc. Tolerance based motion control system
US6591156B1 (en) 1998-12-25 2003-07-08 Okum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umerical control information
JP3998846B2 (ja) * 1999-02-15 2007-10-31 東芝機械株式会社 加工情報を用いた数値制御装置
JP4282157B2 (ja) * 1999-06-21 2009-06-17 株式会社東芝 加工条件評価・検証装置
EP1146407A4 (en) * 1999-07-05 2005-05-25 Mitutoyo Corp METHOD FOR WRITING DIGITAL CONTROL PROGRAM AND DIGITAL-CONTROLLED MACHINING SYSTEM
JP4398044B2 (ja) * 2000-02-03 2010-01-13 東芝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の数値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02003156A1 (fr) * 2000-06-30 2002-01-10 Mori Seiki Co., Ltd. Systeme de support d'usinage a commande numerique
WO2002034463A1 (fr) * 2000-10-26 2002-05-02 Citizen Watch Co., Ltd.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de preparer automatiquement un programme de traitement
US6677721B2 (en) * 2001-02-02 2004-01-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control and control structure for the movement control, pre-control and fine interpolation of objects in a speed controller clock which is faster than the position controller clock
DE10104712C1 (de) * 2001-02-02 2002-12-12 Siemens Ag Steuerungsverfahren sowie Regelungsstruktur zur Bewegungsführung, Vorsteuerung und Feininterpolation von Objekten in einem Drehzahlreglertakt, der schneller als der Lagereglertakt ist
CA2448736C (en) 2001-06-05 2010-08-10 Mikro Systems,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devices and devices created thereby
US7785098B1 (en) 2001-06-05 2010-08-31 Mikro Systems, Inc. Systems for large area micro mechanical systems
US7141812B2 (en) 2002-06-05 2006-11-28 Mikro Systems,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involving castings
JP2004240966A (ja) * 2003-01-17 2004-08-26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加工仕様のパターン化方法、パターン化情報を用いた切削条件・サイクルタイム抽出方法、そのプログラム
JP2004284002A (ja) * 2003-01-31 2004-10-14 Fujitsu Ltd 加工制御装置
JP4891528B2 (ja) * 2004-04-07 2012-03-07 オークマ株式会社 加工時間算出装置
EP1691330A1 (en) * 2005-02-15 2006-08-16 CNH Italia S.p.A. Production plant
US7792604B2 (en) 2005-03-23 2010-09-07 Hurco Companies, Inc. Method of performing additive lookahead for adaptive cutting feedrate control
KR101215237B1 (ko) * 2005-12-27 2012-12-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가공데이터 자동 백업 및 로딩 방법
US20080034309A1 (en) * 2006-08-01 2008-02-07 Louch John O Multimedia center including widgets
JP4800873B2 (ja) * 2006-08-04 2011-10-26 オークマ株式会社 近似点群データからの近似曲線生成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7933677B2 (en) * 2006-08-04 2011-04-26 Hurco Compan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rface finish management
US8024068B2 (en) 2006-08-04 2011-09-20 Hurco Companies, Inc. Machine tool control system
EP2049958B1 (en) * 2006-08-04 2012-09-19 Hurco Compan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ool use management
US8725283B2 (en) * 2006-08-04 2014-05-13 Hurco Companies, Inc. Generalized kinematics system
EP2069873A2 (de) * 2006-09-25 2009-06-17 Robert Bosch GmbH Rechnerbasiertes werkzeug und verfahren zum extrahieren des funktionscodes von steuergeräten
US20080116584A1 (en) * 2006-11-21 2008-05-22 Arkalgud Sitaram Self-aligned through vias for chip stacking
JP4943173B2 (ja) * 2007-02-06 2012-05-30 東芝機械株式会社 スライドコア穴の加工方法およびスライドコア穴加工に用いる計測・補正システム
JP4545171B2 (ja) * 2007-05-17 2010-09-15 正樹 佐藤 切削加工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切削加工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のプログラム、切削加工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モデリング方法、モデリング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モデリング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2189860B1 (en) * 2007-08-29 2013-1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Nc program generating device and nc program generating method
US7640074B2 (en) * 2007-11-13 2009-12-29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datamatrix barcodes utilizing numerical control drilling patterns
EP2559533B1 (en) 2008-09-26 2020-04-1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Casting
US8055375B2 (en) * 2008-09-30 2011-11-0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nalytical generator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pivoting on metrics for comprehensive visualizations
JP5431987B2 (ja) * 2010-01-29 2014-03-05 Dmg森精機株式会社 工作機械の制御装置
JP5792649B2 (ja) 2011-03-17 2015-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Ncプログラム生成方法
KR101257275B1 (ko) * 2011-10-26 2013-04-22 화천기공 주식회사 자동가공기능을 갖는 지능형 cnc공작기계 및 그 제어방법
US8813824B2 (en) 2011-12-06 2014-08-26 Mikro Systems, Inc.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producing holes
JP5906956B2 (ja) * 2012-06-20 2016-04-20 株式会社ミツトヨ Nc工作機械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装置
EP2915626B1 (en) * 2012-10-30 2018-03-28 Makino Milling Machine Co., Ltd. Processing program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JP5984630B2 (ja) * 2012-11-14 2016-09-06 三菱重工工作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の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EP2796954B1 (de) 2013-04-23 2015-11-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Numerische Steuerung mit Benachrichtigung eines CAM-Systems bei Änderung des Teileprogramms
US9329591B2 (en) * 2013-05-28 2016-05-03 Siemens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oftware Inc. Feature geometry aspect recognition and machining
JP6261613B2 (ja) * 2013-12-27 2018-01-17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作機械の制御装置
WO2015097886A1 (ja) * 2013-12-27 2015-07-02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加工情報管理装置および工具経路生成装置
US10414051B2 (en) * 2014-11-18 2019-09-17 Ged Integrated Solutions, Inc. File translator system
JP6010094B2 (ja) 2014-11-28 2016-10-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サイクルタイムに係るパラメータ設定支援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JP5987081B1 (ja) * 2015-04-02 2016-09-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基準軸を切り替えて学習制御を行うサーボ制御装置
JP6484148B2 (ja) * 2015-09-03 2019-03-1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6819080B2 (ja) * 2016-06-08 2021-01-27 豊和工業株式会社 加工履歴検索システム
JP6557198B2 (ja) * 2016-09-06 2019-08-0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6854607B2 (ja) 2016-09-09 2021-04-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加工情報収集システム
US11720086B2 (en) * 2016-12-26 2023-08-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chining-process generation device, and machining-process generation method
JP6412093B2 (ja) * 2016-12-26 2018-10-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学習モデル構築装置およびオーバーヒート予知装置
JP6592038B2 (ja) * 2017-06-23 2019-10-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加工技術管理システム及び加工技術管理方法
JP6802213B2 (ja) * 2018-04-26 2020-12-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具選定装置及び機械学習装置
JP7219555B2 (ja) 2018-06-04 2023-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Ncプログラム変換処理方法及び加工処理システム
JP6871218B2 (ja) * 2018-10-12 2021-05-1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加工情報記録装置、加工情報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669484B (zh) * 2018-10-12 2019-08-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加工程式與對應之切削刀具之匹配辨識方法與系統
JP6629410B1 (ja) * 2018-10-23 2020-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Ncプログラム変換処理方法、変換用計算機、及び変換プログラム
TW202022652A (zh) * 2018-11-30 2020-06-16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加工參數調整系統及加工參數調整方法
JP7244367B2 (ja) * 2019-06-20 2023-03-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加工指令改良システム及び加工指令改良方法
JP6868081B2 (ja) * 2019-12-03 2021-05-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変換用計算機
JP6866513B2 (ja) * 2020-01-28 2021-04-28 Dmg森精機株式会社 加工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887A (en) * 1977-12-22 1979-07-10 Toyoda Mach Works Ltd Numerical controller
US4281379A (en) * 1978-12-18 1981-07-28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Computer driven control system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JPS58163009A (ja) * 1982-03-23 1983-09-27 Toyoda Mach Works Ltd 対話式デ−タ入力機能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における加工情報入力方法
JPS5960506A (ja) * 1982-09-29 1984-04-06 Fanuc Ltd 数値制御システム
JPH03158908A (ja) * 1989-11-17 1991-07-08 Fanuc Ltd 複合加工機における自動プログラミング方式
JP2685325B2 (ja) * 1990-03-30 1997-12-03 オークマ株式会社 数値制御情報作成装置
JPH0431906A (ja) * 1990-05-29 1992-02-04 Fanuc Ltd 工程編集方法
JP2941032B2 (ja) * 1990-09-27 1999-08-25 豊田工機株式会社 加工条件自動作成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JPH0474308U (ko) * 1990-11-02 1992-06-29
JP2901353B2 (ja) * 1990-12-28 1999-06-07 オークマ株式会社 数値制御工作機械における加工プログラム編集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JP2900646B2 (ja) * 1991-07-10 1999-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2862036B2 (ja) * 1991-09-17 1999-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H06222819A (ja) * 1993-01-26 1994-08-12 Fanuc Ltd Nc装置の加工プログラム実行方法
JP3387990B2 (ja) 1993-11-09 2003-03-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
KR100201020B1 (ko) * 1994-03-11 1999-06-15 모리시타 요이찌 컴퓨터시뮬레이션부착 nc제어미세가공방법과 이 방법에 사용하는 장치
JPH07295619A (ja) 1994-04-25 1995-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工作機械の数値制御装置
JP3395431B2 (ja) * 1995-02-27 2003-04-14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292809A (ja) * 1995-04-20 1996-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数値制御方法および数値制御装置
JP3702496B2 (ja) * 1995-07-10 2005-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を用いた加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067A (ko) * 2017-08-04 2019-02-13 가부시키가이샤 스기노 마신 버니싱 공구 형식 선택 방법, 선택 장치 및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KR20220077163A (ko) * 2020-11-29 2022-06-09 스마트로봇연구소(주) 조선 철의장품 제작 중 조선소와 협력사 간 작업도면의 가공데이터 전달을 위한 가공요소 표현 데이터의 표준화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01004B1 (en) 2002-06-04
JP3694323B2 (ja) 2005-09-14
DE69637808D1 (de) 2009-02-26
EP0881034A4 (en) 2002-01-16
EP0881034B1 (en) 2009-01-07
KR100421788B1 (ko) 2004-07-16
EP0881034A1 (en) 1998-12-02
WO1998019820A1 (fr) 199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788B1 (ko) 엔시가공에있어서의엔시프로그램해석장치및가공방법
US6400998B1 (en) Generation of measurement program in NC machining and machining manage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program
US6671571B1 (en) Method for NC- programming and system for NC- machining
JP3827951B2 (ja) Nc加工におけるncプログラムの最適化方法及び装置
US20030171841A1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generating machine tool control data
US5289382A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oducing data for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ing
US65911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umerical control information
EP3088978B1 (en) Control apparatus for machine tool
CN101208639A (zh) 加工工序生成装置
JP2811338B2 (ja) Nc加工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Fernandes et al. Incorporated tool selection system using object technology
JP4490634B2 (ja) 生産設備情報管理システム、生産設備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65404B2 (ja) 最適化装置、制御プログラム生成装置、プログラム
CN1092093C (zh) 用于分析数控加工中的数控程序的方法和装置
Xiang et al. A generative feature-based CAPP/CNC system for hydraulic manifold blocks
JP2004240966A (ja) 加工仕様のパターン化方法、パターン化情報を用いた切削条件・サイクルタイム抽出方法、そのプログラム
Majerik et al. Prismatic milling simulation process and CNC programming in the CAD/CAM system CATIA V5R20
Chow et al. An integrated intelligent machining system for axisymmetric parts using PC-based CAD and CAM software packages
Ssemakula Further development of a computer-aided process planning system and its integration with NC part programming
Ssemakula ICAPP: A process planning system for the CIM environment
Huang A Generative Process Planning System for Turned Components
Suh et al. Man–Machine Interface
Vittal et al. A computer–aided process planning system for rotational parts (CAPP–RP) for an FMS environment
Polajnar et al. An Interactive Simulation Model for Multiparameter Optimization of Cutting Processes in FMS
Chatelain et al. Productivity assessment from advanced integration of canned cycles to CAD/CAM soft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