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212A - 자동차 도어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212A
KR19990064212A KR1019980702698A KR19980702698A KR19990064212A KR 19990064212 A KR19990064212 A KR 19990064212A KR 1019980702698 A KR1019980702698 A KR 1019980702698A KR 19980702698 A KR19980702698 A KR 19980702698A KR 19990064212 A KR19990064212 A KR 19990064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tent
lock
door lock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트 바이에르스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claimed from PCT/DE1996/001857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13942A2/de
Publication of KR1999006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05B85/045Strikers for bifurca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1/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 E05B51/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E05B51/02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actuated in response to external pressure, blast or expl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은 잠금풀리(50)용 유입홈(12)과, 상기 유입홈(12) 내에서 운동하며 하우징(11) 내에 장착된 회전멈춤쇠(13)와, 상기 회전멈춤쇠(13)를 잠금지점에 고정시키며 하우징(11)내에 장착되는 하나의 멈춤쇠발톱(14), 및 상기 하우징(11)내에 장착된 상기 멈춤쇠발톱(14)용 전기 구동부로 이루어진 외부하우징(11)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그와 같은 종류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1)은 외측으로 상기 잠금풀리용 유입홈(12) 오목부에 의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보덴와이어(24,25) 및 잠금실린더용 진입지지대(26)용 유입지지대(23)에 의해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사실은 하우징(11) 내에 상기 회전멈춤쇠(13)를 모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46)는 자체적으로 잠금위치에 있는 회전멈춤쇠(13)와 기어링되며, 상기 회전멈춤쇠(13)는 구동모터(46)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증가하면 더욱더 잠금방향으로 회전한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상기 하우징(11)이 사실상 상기 회전멈춤쇠(13) 및 멈춤쇠발톱(14) 내에 또는 그 면에 평행하게 놓인 중앙면(51)에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면(51)에 평행한 평평한 면 양쪽에는 유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자물쇠
종래의 자동차 도어 자물쇠(EP-A-0 589 158)는 열쇠를 작동시키는 폐쇄실린더(잠금실린더) 없이도 작동하고, 기계요소들의 수가 적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하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 자물쇠는 외측하우징 내부에 단지 매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재, 즉 회전멈춤쇠, 멈춤쇠발톱(detent pawl) 및 전기 모터만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멈춤쇠발톱용 모터를 순수 전기적으로만 제어함으로써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기어봉(gear rod)들이 생략되어 있다. 밖에서 또는 안에서 전기적으로 자물쇠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작동이 편하며 조립단가가 적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도어 자물쇠에서는 다수의 기능들이 간편하게 집약되어 있다. 그러나 체결된 시스템을 장착지점으로 이송하기는 정말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별부재가 거의 없고 가볍게 구성되어 있으며 절도범(창유리를 부수고 안에 손을 넣어 여는 것을 방지함) 역시 별도의 전기 모터 없이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전기 모터 제어를 중지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다른 별도의 장치 없이도 전기적으로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까지 통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상작동은 보조밧데리를 써서 제어하고 아울러 크래쉬-센서를 써서 작동시킨다. 실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즉 상기 자물쇠를 기계적으로 열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하여, 전기 부속을 다 빼낼 경우에 계산기를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태클 라인(tackle line)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계산기는 권취된 금속-캐리어판의 캐리어부재가 열리도록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DE-A- 42 48 235) 공지된 바로는 절도방지 레버가 달린 멈춤쇠발톱을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절도방지레버는 잠금동작시에 떨어져 있는 멈춤쇠발톱을 자신쪽으로 잠그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상기 멈춤쇠발톱을 바깥에서, 예를 들어 원하는 경우에 도어외측판에 유입되도록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바깥쪽에서 들어올리거나 내지는 밀어젖히지 못하도록 한다. 이는 언제든지 열려있는 폐쇄(잠금)풀리(pulley)용 유입홈에 의해서는 일어날 수 없다.
일반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전자적 제어에 있어서 기초적인 작업이 흥미롭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스마트카드-자동자물쇠의 분리" Siemens Zeitschrift, Sonderheft"특수 FuE". 1995년 초, 24-27쪽). 이러한 작업논문에 설명된 수정된 문손잡이장치 및 자물쇠장치들은 거기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고 단지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개념 또는 그와 비슷한 류의 개념만을 반영하고 있다.
서두에 설명된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개념은 현대적이면서 미래를 지향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에 관한 요구조건들을 충족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아직 좀 더 개선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요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 도어폐쇄(잠금)장치의 개략도.
도 2은 도 1의 잠금장치의 자동차 도어 자물쇠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뒷자석 도어 자물쇠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보덴와이어를 사용하여 부가적인 기계작동을 하는 자동차 운전자 도어 자물쇠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주행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도어 압착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넓은쪽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에서 좁은쪽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용 잠금풀리-가이드를 유입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잠금풀리-가이드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멈춤쇠발톱의 연화술에 따른 긴급해체부가 달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실시예를 도 3 이외의 유사한 방식으로 매우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11은 연화술에 의한 긴급잠금해제부가 달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용 잠금풀리.
도 12는 마찬가지로 연화술에 따른 긴급 잠금해제부가 달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용 잠금풀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회전멈춤쇠, 멈춤쇠발톱 및 잠금풀리의 조합으로 보충된 제동발톱 및 잠금풀리 조합에 대한 두가지 대안(a:b)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에 대한 첫 번째 개선안은 청구범위 1항에 제시된 대상이며, 그 뒤에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서 계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개선안들은 각각 해당 종속항에 제시된, 즉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14, 청구항 15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기원을 이룬 종래기술 현황으로부터 나온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기계적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여태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부속된 여러 가지 레버들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자물쇠기계학에 대한 종래의 개념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통해 이제 외부하우징이 더욱더 캡슐화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최적화되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특히 상기 멈춤쇠발톱이 도둑으로부터 절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습기로부터 보호되도록 완벽하게 밀폐되어 있다. 이는 전기적 연결단자로 가는 전기 도전선들은 다른 장치 없이 밀폐시켜도 하우징벽을 통해 전기적으로 통한다는 사실에 의거해 볼 때 가능한 일이다. 이제 종래기술의 방법으로서도 밀폐가능한 폐쇄풀리에 유입홈을 만드는 일만이 남았다.
안전성문제 또는 특정한 국가에서는 규정상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멈춤쇠발톱을 기계적으로 별도작동시키기 위해 여기에도 마찬가지로 밀폐기술을 사용하여 보덴 와이어(bowden wire)용 유입홈 개념을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폐쇄실린더용 삽입홈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폐쇄실린더를 일예로 들어 일측 트렁크문(tail gate)에 직접 통합시키는 방법도 있다.
멈춤쇠발톱을 별도 절도방지레버에 장착시킴으로써 도난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을 성취하였다. 이러한 멈춤쇠발톱은 멈춤쇠발톱이 열리는 동작을 하도록 모터부에 의해 직접 구동되도록, 즉 이 모터부가 반대되는 동작을 함으로써 구동되도록 하였다.
게다가 하우징내에는 본 발명의 사상을 따라 상기 멈춤쇠발톱용 완벽한 모터전기부가 또는 그에 해당하는 회전멈춤쇠용 전기구동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를 그곳에 가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회전멈춤쇠가 열려 있을 때에 상기 멈춤쇠발톱이 계속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소음문제를 줄였다.
상기 회전멈춤쇠(잠금보조장치, 경우에 따라서는 열림보조장치)를 모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의(경우에 따라서는 또하나의)구동모터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 하우징 안에 통합시켰을 경우에 이 모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회전멈춤쇠와 연동하도록 하거나,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증가해감에 따라 점점 더 상기 잠금방향으로 회전되어 들어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폐쇄풀리와 함께 병행하여 또는 도어의 압착하는 힘이 주행속도에 따라 더욱 증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속도가 빠를 때 나는 파이프소음이 더 이상 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식을 통해 현격하게 향상된 점은 청구항 5항에 따른 실시예에 제시되어 있다. 하우징에 상기 폐쇄풀리용 유입홈 두개를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를 선택적으로 왼쪽으로 유입하든지 오른쪽으로 유입시켜 삽입할 수(트렁크문), 승강트렁크문에서는 중앙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필요한 타입을 지닌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전체제품수가 두배 또는 몇배가 되기 때문에 시리즈가 작다 해도 경제적으로 생산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상을 이와 관련된 종속항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역시 안내라인 또는 팩킹의 역할을 하는 특정한 유형의 폐쇄풀리-라인들의 경우에 있어서의 특수성을 고려해야만 하므로 청구항 7항,청구항 8항 및 청구항 9항에 게재된 사항들은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은 안전성의 이유에서 때때로 발생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를 급히 열어야만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여기서 연화술에 의한 스터드도 청구항 14, 청구항 15, 청구항 16 및 청구항 17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구현되어 있다. 연화술에 따른 긴급작동은 벨트스트랩으로서 감지한다.
이하에 본 발명은 단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전자적으로 제어된 자동차용 잠금 및 중앙폐쇄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단면적으로 절개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밧데리에 의해 작동하는 중앙의 제어전자유닛(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가적인 보조밧데리(2) 또는 긴급시를 대비한 다른 전기적인 에너지저장장치가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유닛은 일반적인 자동차전원이 끊길 경우에도, 예를 들어 사고시에도 작동을 계속할 수 있다. 이송가능한 운전자가 휴대하는 송신모듈(3, 전자 자물쇠/스마트카드)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자동차차체의 도어외측손잡이(5)에 장착된 수신기(4)로 인가된다. 상기 수신기(4)는 제어전자유닛(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어외측손잡이(5)는 자신의 손잡이홈통(6)을 이용해 단지 전기 제어신호만을 상기 제어전자유닛(1)으로 전달한다. 기계적인 연결부는 더 이상 구비되어 있지 않다. 같은 방식으로 도어내측손잡이(7)로부터 전자 신호들이 해당 마이크로스위치회로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제어전자유닛(1)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홈통(8)으로부터 열림신호 및 때에 따라서는 비안전신호가 전달되며 안전버튼(9)으로부터는 안전신호가 인가된다.
승강트렁크문 또는 트렁크문에 있을 수 있는 고유한 자동차 도어 자물쇠(10)는 아주 적은 수의 기계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사방이 폐쇄된 외측하우징(11)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하우징은 통상적으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를 들자면 서로 병합되어 압착되어 있는 두 개의 거푸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측하우징(11)에는 비도시된 잠금풀리용 유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명 및 다른 설명을 위해서 동시에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유입홈(12)내에서 하우징(11) 안에 형성된 회전멈춤쇠(13)가 운동한다. 이 멈춤쇠는 하우징(11) 내에 장착된 멈춤쇠발톱(14)에 의해서 도어자물쇠구조에서 지극히 일반적인 형태 그대로 잠금지점에 고정된다. 상기 외측하우징(11) 내에는 상기 멈춤쇠발톱(14)용 전기 구동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는 도어자물쇠를 열려 할 때 상기 멈춤쇠발톱(14)을 회전멈춤쇠(13)의 잠금지점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15)로서는 전기 구동모터가 사용되는데, 이 모터는 상기 멈춤쇠발톱(14)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톱니바퀴기어셋트(16)에 의해 축스핀들(17) 및 축막대(18)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상으로, 예를 들어 전자석(솔레노이드)을 이용한 여러 가지 다른 대안들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언급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하우징(11) 외측에는 하우징(11)내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구동부(15)와 마이크로스위치회로(20)를 연결하는 전기 연결장치(19)가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회로(20)는 예를 들어 상기 멈춤쇠발톱(14) 또는 회전멈춤쇠(13)의 상태를 직접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더불어 그밖의 다른 기능들, 예를 들어 상기 모터구동부(15) 모터의 과열을 확인하거나 그와 비슷한 기능들을 하며 마이크로 회로들(10)은 전자기계적인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가능하다. 그러나 최근들어 비접촉방식으로 작동하는 마이크로스위치(20), 예를 들어 홀-원리 또는 커패시터나 유도원리에 따라 작동하거나 또는 광전자 마이크로스위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 하우징구성 기술부문에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전기 연결장치(19)로 가는 도전선들 모두를 하우징 플라스틱물질(11) 안에 매립하는 방법도 제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기 연결장치(19)를 적합한 전기 연결케이블(21) 내지 적절한 버스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전자유닛(1)과 연결시키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잠금장치의 다른 구성그룹에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11)을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잠금풀리용 유입홈(12)의 리세스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도록(완전 캡슐형) 하는 방법도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난으로부터 보호하며 습기로부터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적으로 제어된 자동차 도어 자물쇠에 대한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제공된 모든 가능성을 완전히 이용한 것이다.
거론되고 있는 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전자-제어기술 기능들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체영역에 있어 본 특허출원건의 공개내용이 된 EP-A-0 589 158의 공개내용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실시예는 또하나의 도난방지방법을 나타낸다. 자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체사상은 높은 도난방지효과를 제공한다. 왜냐하면 자동차 안으로 무력을 가해 들어온 이후에도 예를 들어 창문을 깨어 부수고 들어온 다음에도 도어내측손잡이(7)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제어전자유닛(1)에 의해 작동하지 않도록 스위칭됨으로 인해 상기 자동차 도어 자물쇠가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멈춤쇠(13)와 멈춤쇠발톱(14)를 모터구동부(15)와 더불어 하우징(11) 내에 캡슐화했기 때문에 작업자는 기계적으로도 상기 멈춤쇠발톱(14)을 작동시킬 수 없다. 그러나 원리적으로는 상기 유입홈(12) 안으로 밀어넣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또 하나의 특수한 도난보호방법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즉 떼어낸 지점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동위치로 상기 멈춤쇠발톱(14)을 떨어진 상태로 차단하는 도난방지레버(22)가 상기 하우징(11) 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레버는 구동부(15)에 의해서 열는 동작이 시작되면 멈춤쇠발톱(14)의 반대방향으로 운동하여 잠금위치로 온다. 멈춤쇠발톱(14)용 도난방지레버(22)는 전체적으로는 새로운 기술(DE-A-42 28 235)이 아니다. 그러나 여기서 특이한 점은 상기 도난방지레버(22)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5)를 삽입하는 기술적 사상을 이용했다는 점이다. 도 2에는 도 2의 위치 맞은편에 다른 하나의 축막대가 위로 올려져서 우측에 놓인 도난방지레버(22)의 레버암을 윗쪽으로 누르고 좌측에 놓인 도난방지레버(22)의 잠금노우즈(nose)를 멈춤쇠발톱(14) 상단에 있는 잠금리세스 안으로 유입시켜 물리도록 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멈춤쇠발톱(14)은 부수고 들어오려는 시도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원칙적으로 단지 길다란 오목부 또는 축막대(18)에 있는 장공을 통하여만을 사용함으로써 이상과 같은 차단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억지로 열려고 하는 힘이 플라스틱부재로 구성가능한 상기 축막대(18)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도난방지레버(22)는 문을 억지로 열려 했을 경우에 열리지 않도록 높은 저항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설명에서 상기 모터부(15)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무조건 전기 구동모터로만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작업자는 상기 멈춤쇠발톱(14)을 직접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대체안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솔레노이드)는 이 때 상기 멈춤쇠발톱(14)의 제어암(14')에 물린다. 상기한 두가지 경우에서 상기 멈춤쇠발톱(14)은 회전멈춤쇠(13)가 열렸을 경우에 장시간 떨어지도록(간격이 떨어지도록) 고정된다. 이로써 소음으로 인한 불편을 줄인다. 톱니바퀴기어셋트(16)와 도시된 바대로 작동하는 구동부(15)는 비교적 천천히 반동을 하지만 솔레노이드는 빨리 동작한다. 따라서 본 사상은 일차적으로 솔레노이드를 멈춤쇠발톱(14)용 구동부(15)로서 구현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완전 캡슐화된, 자동차-뒷좌석 도어용 도어자물쇠(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자물쇠는 특별한 열림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운전자도어용 자동차 도어 자물쇠(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자물쇠는 부가적으로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장착된 것이다(마스터키로 제어되는 슬레이브 자물쇠들). 이 때 도시된 실시예에는 하우징(11)에 바깥에서 열기 위한 제 1 보덴와이어(24) 및 내부작동을 위한(안전, 비안전, 개방) 제 2 보덴와이어(25)용 유입홈(23)이 구비되어 있다. 이 보덴와이어-유입홈(23)은 기본적으로는 외측하우징(11)을 수단으로 하여 완전 캡슐화를 시키겠다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다르지 않다. 왜냐하면 상기 유입홈(23)을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외부하우징(11)을 조합형차량의 승강트렁크문에 장착했을 경우, 도시되지 않은 잠금실린더를 직접 찔러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입지지대(26)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흥미로운 점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회전멈춤쇠(13) 및 멈춤쇠발톱(14)의 좌우측(내지는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도시된 자동차 도어 자물쇠는 매우 평평하게 구성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념은 본발명의 또 다른 독창적인 기술적 사상과 더불어 다시한 번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한가지 알 수 있는 바는 상기 제 1 보덴와이어(24)가 전체선회축(28)에 지탱된 개구부레버(29)에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 레버는 보덴와이어(24)를 끌어당기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전달레버(32)의 잠금아암(31)에 있는 잠금노우즈(30)가 장치쪽으로 와서 이 레버를 도 4에 도시된 바대로 아래쪽으로 문다. 전달레버(32)는 이 때 상기 축(33) 둘레를 회전한다. 위쪽으로 돌출한 전달아암(34)은 장공측벽(35)에 의해 축(33)을 돌아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한다. 도 4에 도시된 위치는 잠금해제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전달페그(36)가 상기 장공측벽(35)의 상부 영역에 있다. 도 4에서 상기 전달레버(32) 하측에는 개별적인 멈춤쇠발톱(14)이 있다. 그 장치는 상기 회전멈춤쇠(13)에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멈춤쇠발톱(14)는 상기 전달아암(34) 영역내에 전달레버(32)와 같은 덮개로 덮어씌워져 있다. 그러나 상기 멈춤쇠발톱(14)은 L-자형 장공측벽(37)을 갖는다. 이 측벽은 상기 L자에서 긴 변이 상기 장공측벽(35)과 같은 덮개로 씌워져 있으나 축(33) 근처에 L-자 짧은 변은 왼쪽으로 뻗어있다. 상기 전달레버(39)의 전달아암(34)으로부터 전달각(38)이 돌출해 있다. 이 전달각에는 도 4의 우측으로부터 내측 개구레버(39)가 닿는다. 보덴와이어(25)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잡아당기면 이중레버(40)가 자신의 중앙 선회축둘레를 회전하고, 그 상단은 상기 내측 개구레버(39)에 연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대로 왼쪽으로 회전한다(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로써 상기 내측 개구레버(39)는 전달레버(32)에 있는 전달각(38)를 향하여 누르게 되고 상기 전달각을 축(33) 둘레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개구레버(29)가 잠금노우즈(30)에 의해 전달레버(32)에 가했던 것과 같은 류의 작용을 한다. 상기 전달페그(36)가 장공측벽(37) 내부 상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멈춤쇠발톱(14)을 물어 회전멈춤쇠(13)를 해제한다.
이러한 기능은 구동부(15)에 의해 회전하도록 어셋된 작동노크(41)가 상기 전달레버(32)의 전달아암(31)에 닿으면, 즉 도 4에 도시된 지점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일어난다.
도시된 부가적으로 기계적으로 작동가능한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안전은 제 2 보덴와이어(25)를 밀어넣음으로써 수행된다. 이로써 상기 이중레버(40)가 시계방향으로 중앙축을 돌아 회전한다. 상기 내측 개구레버(39)는 스프링부재(42)에 의해 내측 보호레버(44)에 있는 잠금휴대각(43)을 태우게 된다. 이 레버는 우측에 수평으로 누운 장공측벽(45)를 구비하고 있다. 그 측벽 내부에서 다시 전달페그(36)가 운동한다. 상기 내측보호레버(44)는 전체선회축(2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상기 장공측벽(45)는 전달페그(36)를 우측으로 상기 전달레버(32) 축(33) 방향으로 상기 L-장공측벽(37)의 짧은 쪽 L-변 영역안에 태우게 된다. 그 다음에는 상기 전달레버(32)가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으나 잠금쇠발톱(14)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는 보호지점으로 온다. 왜냐하면 상기 전달레버(36)가 자유운동할 시에 상기 L-장공측벽(37)의 짧은 쪽 L-변 내에서 운동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부가적으로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현격하게 증가한다. 이로 인해 원칙적으로는 상기 자동차 도어 자물쇠(10)를 완전전자-구조로 구성하려했던 본 발명의 사상에 어긋하는 것이지만 종종 국가적인 기술논문이라는 이유로 인해 불가피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모듈식으로 구성해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다. 일체형 외부 하우징(11)이 달린 기본자물쇠로써 표준구성부재들을 첨가해 넣음으로써 생각해볼 수 있는 모든 변형예를 실시해 보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나아가 특별하게 실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1)내에 회전멈춤쇠(13)를 모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46)를 장착하여 모터가 잠금지점에 있는 회전멈춤쇠(13)에서 이 멈춤쇠와 자체적으로 기어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멈춤쇠(13)는 구동모터(46)에 의하여 자동차 주행속도가 증가하면 점점더 잠금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문제는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멈춤쇠(13) 회전축(47)에 병행발톱(48)에 의해 상기 회전멈춤쇠(13)와 연결된 부분원에 톱니곡선이 형성된 만곡레버(49)가 지탱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만곡레버(49)는 구동모터(46)에 의해서 톱니바퀴기어셋트(51)를 통해 구동되는 축스핀들(50)이 달린 톱니곡선과 맞물린다. 주행속도가 빨라질수록 상기 회전멈춤쇠(13) 역시 다욱 잠금방향으로 회전한다. 도어자물쇠를 열기 위해서는 자연히 잠금(병행)발톱(48)이 달리 구현된 상기 회전멈춤쇠(13)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도록 떼어져야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자물쇠는 선택적으로 좌측유입, 우측유입 또는 중앙유입(승강트렁크문, 트렁크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개념은 상기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보편적인 사용을 가능케 했다. 이로써 이 자동차 도어 자물쇠는 소형 자동차 구조에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미 여러번 설명한 바 있는 상기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구성부재들은 이상에서 사용된 부재번호를 동일하게 달고 있다. 여기에서는 처음으로 도시된 잠금풀리(50)가 부가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자동차 도어 자물쇠는 바람직한 그리고 자체적으로 독창적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하우징(11)을 회전멈춤쇠(13) 및 멈춤쇠발톱(14)의 면 내부에 또는 거기에 평행하도록 놓인 중앙면(51)에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면(51)에 평행한 양측 평면에 유입홈(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면(51)은 매우 우수한 특징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여기서도 역시 상기 하우징(11)을 플라스틱으로 구현되거나, 금속 강화기판을 형성하거나 상호 물리도록 형성된 두 개의 반원거푸집 형태로 구성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상술한, 하우징(11) 각 평면에 유입홈(12)을 형성한 구조는 잠금풀리(50)가 좌측유입, 우측 유입 또는 승강트렁크문 또는 트렁크문일 경우에 중앙유입되기에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도어자물쇠를 내장하고 있다. 하나 또는 그와같은 자동차 도어 자물쇠 역시 결과적으로 모든 도어 및 트렁크문열쇠들 심지어는 엔진본넷 자물쇠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형자동차 시리즈에서도 종래의 기술에 비하면 이 자물쇠의 부재갯수가 적어도 2배가 되므로 이 자동차 도어 자물쇠를 사용하면 저렴한 가격에 장착가능하다.
우선 레버를 하우징(11) 내부에 바르게 장착하였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는 매우 평평하게 설계되거나 설계될 수 있다는 사실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에 대해서는 서두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이는 도 6 및 특히 도 7에 따른 도시된 실시예에도 나타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보덴와이어(24,25)의 집적을 위해 보덴와이어를 하우징(11) 좁은 쪽에 있는 유입홈(23)과 통하도록 한다. 상기 보덴와이어(24,25) 지점에서 자동차-자물쇠를 삽입했을 때 좌우측 유입구가 원칙상으로는 서로 다르지 않다. 언제나 하우징(11)에서 중앙면(51) 방향으로 나온다.
도 6에는 하측에 독립된 부재로서 상기 유입홈(12)에 맞는 형태로 맞추어지는 밀폐캡(52')이 독립된 부재로서 따로 구비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밀폐캡(52')은 하우징(11) 부분에 유입홈(12)을 밀폐할 목적으로 장착가능하지만 하우징(11)이 미리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밀폐캡은 직접 사용되지는 않는데, 그 안으로 상기 잠금풀리(50)가 유입되지 않는다. 특히 이 밀폐캡(52')은 상기 유입홈(12) 안으로 밀어넣을 수 있고 그 안에서 하우징(11)에 걸리게 된다. 상기 밀폐캡(52')은 자동차 도어 자물쇠를 밀어넣을 경우에 함께 움직여 내부에 장착될 때 자동차도어 안으로 들어가 사용되지는 않는 적합한 유입홈(12)이 있는 하우징(11) 부분에 장착된다. 이로써 상기 하우징(11)도 역시 상기 잠금풀리(50)의 유입부 역할을 하는 유입홈(12)의 리세스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가는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의 하우징(11)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풀리(50)에는 부가적인 잠금풀리-가이드(52)를 장착해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잠금풀리-가이드들은 종래기술상으로는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왔던 것이며 작업자는 여기에는 만곡형태의 또는 키형태의 가이드, 지지진동링크 또는 그와 같은 장치가 달린 가이드들을 사용한다. 이에 관해서는 종래기술도 광범위하다. 최소한 상기 잠금풀리-가이드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하우징(11)안에 내장되어 통합되어 있도록 해야한다.
잠금풀리-가이드(52)는 일반적으로 잠금풀리(50)를 상하측으로(자동차 도어 자물쇠가 옆문에서 몰 수 있는 것과 같이 세로형일 경우에) 안내할 뿐만 아니라 세측면으로 안내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점에서, 그러나 내부장착을 하려는 이유에서 여기에서 미리 제시된 개념에 따라 유입홈(12)에 배치된 잠금풀리-가이드(52)를 독립부재로서 장착하여 표면에 거울처럼 대칭되도록 그리고 하우징(11)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두 평평한 면중의 하나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에 대한 대안(도 8 및 도 9에 도시됨)으로서는 유입홈(12)에 배치된 잠금풀리-가이드(52)를 독립된 부재로 구성하여 한편으로는 평평한 면에 장착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평평한 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실시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두 개의 잠금풀리-가이드(52)들 중 하나는 마련된 상기 하우징(11)의 평평한 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따로 제조되는 잠금풀리-가이드(52)의 좌우측 유입부에 대한 구성예를 보여준다. 도 6 및 도 7은 하우징(11) 내부 장착지점에 위치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다른 대체안으로서의 잠금풀리-가이드(52)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풀리-가이드(52)가 하우징(11)에 걸릴수 있게 구성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상기한 잠금풀리-가이드로서 종래기술상으로도 일반적이듯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상기 잠금풀리-가이드(52)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하우징(11)에 걸림부(54,55,56)을 위한 걸림수납부(53)가 상기 잠금풀리-가이드(52)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상에 따르면 상기 걸림수납부(53)를 하우징(11)의 좁은쪽에 장착하여 양쪽 지점으로 이용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도 6에서 우측의 하우징(11) 하단 좁은 쪽에 후크모양의 걸림부(54)를 위한 홈모양의 걸림수납부(53)가 잠금풀리-가이드(52)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잠금풀리(50) 상부의 가운데에는 또하나의 훅크모양의 걸림부(55)를 위한 걸림수납부(53)가 잠금풀리-가이드(52)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홈페그로서 구현된 걸림부를 위한 다른 하나의 걸림수납부를 상기 잠금풀리-가이드(52)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감스럽게도 하우징(11)에 걸리는 잠금풀리-가이드(52)로써 유입홈(12)에 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유입홈을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어디에서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상기 잠금풀리-가이드(52)극 하우징(11)과 연결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각 제조법에 맡긴다. 여기서도 역시 자물쇠제조자 뿐만 아니라 자동차제조자가 조립시에 밴드에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독창적인 사상, 즉 자동차 도어 자물쇠를 긴급하게 해제해야만 하는 경우에 사용가능한 기술적 사상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도 역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달았다.
긴급해제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시스템의 사전에 조절된 개념에 따라 중심적인 안전 기술상의 문제이다. 따라서 하우징(11) 내부의 멈춤쇠발톱(14)이 긴급해제시에는 연화술에 의한 이러한 종류의 카트리지로서는 예를 들어 벨트스트랩이 있다.
특히 연화술에 따른 자동차도어용 긴급잠금해제 개념은 도 11 및 도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다른 구성에서도 적용된다.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풀리(50)에는 위급모터, 특히 연화술에 의한 카트리지(57)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카트리지는 위급한 경우에 제어되어 점화가능하며 적어도 잠금풀리(50)에서 회전멈춤쇠(13)를 고정하는 부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잠금풀리(50)는 조절가능한 베어링볼트(59)가 달린 잠금레버(5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베어링볼트(59)는 긴급모터(57)를 통하여, 특히 연화술로 해당 베어링으로부터 밀어내어 해제된다.
상기한 바에 대한 대체안으로서 도 12에 따른 실시예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잠금풀리(50)는 베어링볼트(59)에 의해 선반기판(60)에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판은 기판측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볼트(59)는 긴급모터(57)에 의해서 해당 베어링으로부터 연화술로 해제되어 상기 선반기판(60)에 지탱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두가지 변형예들은 긴급한 경우에 잠금풀리(50)를 차체에서, 예를 들어 차체의 B-기둥 또는 C-기둥으로부터 해제한 다음 자동차 도어 자물쇠 내에 남아 자동차 문이 열릴 때 함께 따라오도록 긴급잠금해제동작을 수행한다.
이미 언급하였고 자물쇠로 열 수 있는 엔진-본넷 잠금은,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 전체 시스템에서 고유한 위치값을 갖는 엔진-본넷의 체결은 정전되었을 때도 열쇠를 써서 다른 장치 없이도 모터실에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밧데리 또는 중앙전자유닛을 장착할 수도있고 모터실 내부에서 긴급할 때 기계적으로 열 수도 있다.
계속적으로 이상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는 상기 긴급모터가 연화술에 의한 구동부, 특히 연화술 카트리지(57)로 구현되었다는 사실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잠금풀리(50)를 위해 내지는 그에 해당하는 부재를 위하여 또하나의 긴급모터부를,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와 같은 형태의 구동부를 장착하는 것 역시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문제는 각각 에너지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므로 이상과 같이 긴급하게 열어야만 하는 경우 또는 긴급하게 잠가야만 하는 경우에 상기 긴급모터부를 연화술로 제조하였든가 또는 외부에서도 간단히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은 큰 효과를 가져다 준다.
회전멈춤쇠(13)가 멈춤쇠발톱(14)에 의해 자신의 잠금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자동차 도어 자물쇠 이외에도, 회전멈춤쇠(13)과 멈춤쇠발톱(14)의 조합 대신에 해당 걸림부를 구비한 잠금풀리(50)와 직접 연동하게 되어 있는 단지 하나의 걸림발톱(61)만을 구비한 다른 자동차 도어 자물쇠도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그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도어 자물쇠에 적용가능하며, 그에 대해서는 청구항 17항에 나타나 있다. 적합한 멈춤쇠 또는 멈춤쇠발톱(14)을 사용하는 대신에 적절한 멈춤쇠 또는 단일 걸림발톱(61)을 사용함으로써도 제동이 가능하다. 도 13은 상기 회전멈춤쇠에 대한 구성상 대체안을 두가지 변형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a는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압력을 받아 제동되는 잠금풀리(50) 및 걸림발톱(61)이 달린 록커 디텐트(rocker detent)자물쇠를 도시하고 있다. 그와는 달리, 도 13b는 위에서 걸러서 인장력을 받아 제동되는 잠금풀리(50) 및 걸림발톱(61)이 달린 록커 디텐트자물쇠를 도시한다.

Claims (18)

  1. 잠금풀리(50)용 유입홈(12)과, 상기 유입홈(12) 내에서 운동하며 하우징(11) 내에 장착된 회전멈춤쇠(13)와, 상기 회전멈춤쇠(13)를 잠금지점에 고정시키며 하우징(11)내에 장착되는 하나의 멈춤쇠발톱(14)과 상기 하우징(11)내에 장착된 상기 멈춤쇠발톱(14)용 전기 구동부로 이루어진 외부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 외측에는 상기 구동부(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장치(19)가 장착되어 있거나 때에 따라서는 마이크로스위치(20)가 하우징(11)내에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외측으로 상기 잠금풀리용 유입홈(12) 오목부에 의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보덴와이어(24,25) 및 잠금실린더용 진입지지대(26)용 유입지지대(23)에 의해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11) 내부에는 떨어지는 지점 방향으로 연장된 제동지점에서 상기 멈춤쇠발톱(14)을 떨어지는 지점으로 차단하는 도난방지레버(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는 구동부(15)에 의해서 상기 멈춤쇠발톱(14)을 열려는 동작이 진행되면 그에 반대되는 운동을 하여 제동지점에 닿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발톱(14)은 구동부(15)로서 전자석이 장착되어 있고, 이 전자석은 회전멈춤쇠(13)가 열려 있을 경우에 상기 멈춤쇠발톱(14)을 장시간 동안 들어올려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4.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의 특징부에 있어서, 하우징(11)내에는 상기 회전멈춤쇠(13)를 모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46)는 자체적으로 잠금위치에 있는 회전멈춤쇠(13)와 기어링되며, 상기 회전멈춤쇠(13)는 구동모터(46)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증가하면 더욱더 잠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풀리(50)용 유입홈(12)과, 상기 유입홈(12) 내에서 운동하며 하우징(11) 내에 장착된 회전멈춤쇠(13)와, 상기 회전멈춤쇠(13)를 잠금지점에 고정시키며 하우징(11)내에 장착되는 하나의 멈춤쇠발톱(14)로 이루어진 외부하우징(11)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그와 동일한 종류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사실상 상기 회전멈춤쇠(13) 및 멈춤쇠발톱(14) 내에 또는 그 면에 평행하게 놓인 중앙면(51)에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면(51)에 평행한 평평한 면 양쪽에는 유입홈(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또는 동일 유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두 개의 보덴와이어(24,25)가 하우징(11)의 좁은쪽으로 나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또는 동일 유형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12)의 형태에 적합한 밀폐캡(52')이 독립된 부재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 이용되지는 않는 유입홈(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에 고정가능하며, 특히 유입홈(12) 안으로 밀어넣거나 또는 하우징(11)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또는 동일 유형 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12)에 장착된 잠금풀리-가이드(52)는 독립된 부재로서 구비되어 있으며, 표면에 거울처럼 대칭되도록 실시되어 있으며 하우징(11)에서 상기 두 개의 평평항 면들 중 하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 장치.
  9.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12)에 장착된 잠금풀리-가이드(52)들은 독립된 부재로서 하나는 일측의 평평한 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그리고 다른 하나는 타측의 평평한 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두 개의 잠금풀리-가이드(52)들 중 하나는 형성된 하우징(11)의 평평한 면에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리-가이드(52)는 하우징(11)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리-가이드(52)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잠금풀리-가이드(52)에 있는 걸림부(54,55,56)를 위한 걸림수납부(5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납부(53)는 하우징(11)의 좁은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두 지점으로도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4.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르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측징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 내에 있는 멈춤쇠발톱(14)은 긴급하게 구동해야 하는 경우 긴급시에는 제어되어 점화가능하고 상기 멈춤쇠발톱(14)을 열리는 지점에서 지탱하는 연화 카트리지(57)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5.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르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의 특징부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리(50)에는 긴급구동부, 특히 긴급시에 제어되어 점화가능하며 적어도 상기 잠금풀리(50)에서 회전멈춤쇠(13)를 고정하는 부분을 해제하는 연화술에 의한 카트리지(57)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리(50)는 조절가능한 베어링볼트(59)가 달린 잠금레버(5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어링볼트(59)는 긴급구동부(57)를 사용하여, 역시 마찬가지로 특수한 연화술을 이용해 해제되어 해당 선반베어링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리(50)는 베어링볼트(59)에 의해 자신쪽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선반기판(60)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볼트(59)는 긴급구동부(57)에 의해, 특히 연화적으로 해제되어 해당 베어링에 의해 지탱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멈춤쇠(13) 및 멈춤쇠발톱(14)으로 이루어진 조합 대신에, 적절한 록킹부가 달린 잠금풀리(50)와 직접 연동하는 단지 하나의 걸림발톱(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멈춤쇠발톱(14)을 작동하거나 제동하는 대신에 상기 걸림발톱(61)을 제동시키거나 작동시킴으로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자물쇠 및 동일 유형장치.
KR1019980702698A 1995-10-13 1996-09-27 자동차 도어 자물쇠 KR199900642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8042.8 1995-10-13
DE19538042 1995-10-13
DE19545722.6 1995-12-07
DE19545722A DE19545722A1 (de) 1995-10-13 1995-12-07 Kraftfahrzeug-Türschloß o. dgl.
PCT/DE1996/001857 WO1997013942A2 (de) 1995-10-13 1996-09-27 Kraftfahrzeug-türschloss od. dg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212A true KR19990064212A (ko) 1999-07-26

Family

ID=777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698A KR19990064212A (ko) 1995-10-13 1996-09-27 자동차 도어 자물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64212A (ko)
DE (1) DE19545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0531B4 (de) * 1997-03-14 2007-01-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DE19754216C2 (de) * 1997-09-15 2000-09-14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ießeinrichtung
US6102454A (en) * 1997-09-15 2000-08-15 Robert Bosch Gmbh Motor vehicle door lock arrangement
DE19744905A1 (de) * 1997-10-10 1999-04-15 Volkswagen Ag Einrichtung zur Ver- bzw. Entriegelung von klappbaren Elementen an einem Kraftfahrzeug
FR2778941B1 (fr) * 1998-05-20 2000-07-28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a condamnation electrique
DE29809583U1 (de) * 1998-05-28 1999-10-28 Aeg Hausgeraete Gmbh Schließ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FR2781835B1 (fr) * 1998-07-28 2001-01-05 Coutier Moulage Gen Ind Module de serrure electrique pour un coffre de vehicule
US6343494B2 (en) 1998-08-11 2002-02-05 Mannesmann Vdo Ag Locking device
DE59800541D1 (de) * 1998-09-26 2001-04-19 Ford Motor Co Notentriegelung fuer elektrisch/mechanisch betätigbare Verriegelungseinrichtungen, insbesondere in Kraftfahreugen
DE19844778C2 (de) * 1998-09-30 2000-11-30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mit elektronischer Motoransteuerung
FR2786521B1 (fr) * 1998-11-26 2001-06-29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portiere droite ou gauche de vehicule automobile
IT1308427B1 (it) * 1999-03-12 2001-12-17 Atoma Roltra Spa Sistema di chiusura per una porta di un autoveicolo.
IT1308430B1 (it) * 1999-03-12 2001-12-17 Atoma Roltra Spa Serratura per una porta di un autoveicolo.
DE10006892A1 (de) * 2000-02-16 2001-08-23 Delphi Tech Inc Türschloß
DE10100008B4 (de) * 2001-01-02 2004-12-16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ausgeführt als Elektroschloß
DE10164829B4 (de) 2001-01-02 2006-07-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ss, ausgeführt als Elektroschloss
DE10100010B4 (de) * 2001-01-02 2005-05-1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ausgeführt als Elektroschloß,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als Elektroschloß ausgeführten Kraftfahrzeug-Türschlosses
DE10210797A1 (de) * 2002-03-12 2003-12-24 Siemens Ag Schliess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20732A1 (de) * 2002-05-08 2003-12-24 Brose Schliesssysteme Gmbh Kraftfahrzeug-Türschloß oder -Klappenschloß
DE10341254A1 (de) 2003-06-02 2005-01-13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Elektrische 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DE10328034B4 (de) * 2003-06-19 2016-05-19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Ver- und Entriegelung von Bauteilen
DE202006012091U1 (de) * 2006-08-04 2007-12-2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
EP2073323A1 (en) * 2007-12-21 2009-06-24 Iveco S.p.A.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between control means and actuation means, in particular for vehicular components
DE202008003674U1 (de) * 2008-03-14 2009-07-23 Kiekert Ag Kraftfahrzeugtür
DE102011016623A1 (de) * 2011-04-09 2012-10-11 Happich Gmbh Schließsystem für Türen und Klappen aller Art
DE102011113647A1 (de) 2011-09-19 2013-03-21 Audi Ag Kraftfahrzeugschloss
WO2014204415A2 (en) * 2013-05-10 2014-12-24 Arikan Kriko Ve Makine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Electromechanical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s
EP3239442B1 (en) 2016-04-29 2020-02-26 FCA Italy S.p.A. Key-operated unlocking of automotive power-operated key-cylinder-less door locks
CN106837021A (zh) * 2017-03-28 2017-06-13 成都因纳维特科技有限公司 基于儿童座椅接口感应的车辆智能儿童锁
US10800306B2 (en) 2018-07-12 2020-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yrotechnic locking device
DE102021109734A1 (de) * 2020-05-18 2021-11-18 Magna Closures Inc. Verschlussverriegelungsanordnung mit kraftentriegelungsmechanismus mit optimierter öffnungsfunktionalität und reduziertem rückstellgeräusch
DE102020118721A1 (de) 2020-07-15 2022-01-2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EP4112853A1 (en) * 2021-06-30 2023-01-04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redundancy system for a vehicle door lock, a vehicle comprising the redundancy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redundancy system
DE102021131891A1 (de) 2021-12-03 2023-06-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Schließ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0524A1 (de) * 1990-01-19 1991-07-25 Bocklenberg & Motte Bomoro Kraftfahrzeug-tuerschloss, -haubenschloss o. dgl.
DE4228235C2 (de) * 1992-08-25 2001-03-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Schlösser an Türen von Kraftfahrzeugen
DE4240013A1 (de) * 1992-08-25 1994-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ernsteuerbares 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DE4306143C3 (de) * 1993-02-27 2003-10-16 Kieker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s Spritzguß-Kunststoff bestehenden Gehäuses für einen Kraftfahrzeug-Türverschlu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45722A1 (de) 199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4212A (ko) 자동차 도어 자물쇠
US6050117A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US6523376B2 (en) Lock,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EP1402139B1 (en) Closur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latch arrangement
CN104755683B (zh) 机动车门锁和用于选择性地运行这种机动车门锁的方法
CN105604414A (zh) 具有牵拉机构的车辆门把手
US10072445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CN107687299A (zh) 用于车辆门的动力驱动门推进器
ITMI961397A1 (it) Impianto di bloccaggio centralizzato con chiusure per porte di un autoveicolo di strutture uguali
US5909918A (en) Valet block out for deck lid latch
CN101519931B (zh) 门锁装置
CN101402349B (zh) 副钥匙收纳装置
US6737758B2 (en) Motor-vehicle door locking system with quick unlocking
ITTO980438A1 (it) Serratura per una porta di un veicolo.
JP2005500202A (ja) オートマチック式の自動車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ギア又はシフトプログラム選択のための制御ユニット
US6578655B2 (en) Start/drive system for a vehicle
CN114080484A (zh) 机动车门锁
WO1999041474A1 (en) A motor vehicle door locking system
WO1992019474A1 (en) Steering control releasing device
KR100256175B1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EP0133815A1 (en) Lockable handle
GB2260361A (en) Theft prevention of motor vehicles
KR100487974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멀티펑션 터미널 센싱판
KR100256176B1 (ko)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Bur et al. Honeywell's automotive Door Latch design is ideal for corporate Latch strate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