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176B1 -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176B1
KR100256176B1 KR1019970033139A KR19970033139A KR100256176B1 KR 100256176 B1 KR100256176 B1 KR 100256176B1 KR 1019970033139 A KR1019970033139 A KR 1019970033139A KR 19970033139 A KR19970033139 A KR 19970033139A KR 100256176 B1 KR100256176 B1 KR 10025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cking
door lock
do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규
Original Assignee
조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규 filed Critical 조현규
Priority to KR101997003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176B1/ko
Priority to PCT/KR1997/000195 priority patent/WO1999000572A1/en
Priority to AU45750/97A priority patent/AU4575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7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의 도어의 개방에 있어 기계적인 수단을 베제하고,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하여 도어로크의 구성부품들이 정확한 작동을 발생케하여 도어의 개방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록에 있어서, 래치기어(20)의 일측에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이 구비되고, 타단에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에 연동되는 걸림돌기(31' )과 연결구(301)이 형성된 특징의 폴기어(30)를 구성하며, 상기 폴기어(30)에는 전기 신호에 의해 당김작동되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가 하우징(10)의 통공(10')에관통되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와 결합 연계설치하고, 폴(로킹플레이트)기어의 걸림돌기(31')에 작용되는 수동 언록킹 레바기어(51a)를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록 하우징블록(10)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동 언록킹 레바기어(51a)에 구동축(90)이 연계설치되어있고 구동축(90) 일측에는 수동언록킹 레버(51b)를 배설함에 있어 구동수단(40)이 고장시에 대비하여 비상시에 수동작동으로도 도어를 개방할수있게 하여 도어의 개방기능과 괘정 및 해정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이 발명된 전동식 도어록은, 기존 기계식 도어록본체의 해정시 각종 도어손잡이 등에 연결되는 행가로드 또는 록킹레버기어 및 도어로크의 하우징 외부에 외접되어있는 복잡한 구조의 조립된 기기들을 완전 제거함으로서 도어록 구조를 간단히하여 설계와 제작 및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어록 구성부품을 밀폐장착시킬 수 있는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하여 도어록 구성의 주요부품들을 커버케이스(11)로 복개 결합하여 도어록의 주요 구성부품들을 도어록 하우징 블록(10)의 외부에 전혀 노출시키지않았기때문에 차유리 틈사이로 비 정상적인 도구의 침입,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함에 따라 도난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로크 (래치)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 및 도어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하고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계적 작동 구조의 도어록을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되게 하여 도어의 열림 및 괘정 또는 해정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게 한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로크이며, 전기적 온, 오프 신호전환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도어 록은 도난 방지를 주 목적으로 하는 특수성 때문에 보안 안전성을 고취하는 차원에서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근래에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도어의 록(잠금) 및 언록(잠금해제)의 부분적 기능만 제어하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공지된 바 있다.
종래 공지된 기술로서 도 10a 내지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도어로크의 구조로서의 현재 상용되고있는 기계식 도어로크는 운전자의 인력에 의하여 도어핸들을 당겨, 도어 핸들의 기계적 부품인 도어핸들 행가에 연결된 와이어로드 및 스틸로드를 이용하여, 도어록 하우징 외부에 외접되어있는 중간 록킹 레버에 연결된 로킹 플레이트 기어 및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기계적인 작동방법을 이용하여 도어로크를 해정시켰고, 현재도 도어의 개방만큼은 기계식 방법에 의하여 조작되고 있는 것이다.
즉, 도어 패널(P)안에 록, 언록 푸시풀 노브버튼(B)작동에만 적용 사용하는 전자적 기기 액츄레이터(A) 및 솔레노이드기기의 사우드 및 연결로드 및 조립 조인트등의 부품들이 노출되어 있으며, 기존 자동차의 록, 언록 전자 제어시스템인,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 기기는 운행 중지 후에도 계속해서 전원이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부 유리사이로 자대(평철)나 갈고리등으로 충격을 가하면 온(ON)작용이 되어 언록(잠금해제)이 되어 오디오 및 차내의 중요 부품들이 도난 당하거나 자동차의 절도가 가능하였던 것이며,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례로서 선출원발명(공개 번호 92-660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문 잠금 기구와 내부 조작장치와 잠금 손잡이 및 액츄레이터를 구비한 자동차의 문 잠금구조에 있어서, 상기 잠금 손잡이와 내부 손잡이 조작장치의 조작에 의해 도어로크의 해정 및 괘정상태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에 의해 자동잠금 및 해제수단의 전자기기인 액츄레이터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수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식 도어록킹 시스템이 공개된바 있으며, 또한 도 8 b, c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자동식 도어로크의 록(잠금) 구조에 있어서도 아무리 고급차라도 도어의 열림작동은 기계식 구조로 제작 조립 되어 있고, 반자동식이라고 할 수 있는 도어 패널 안의 전자 부품들인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 등의 전자 기기들이 중간 연결 로드(F)로 록킹 레버기어(H)나 로킹플레이트 기어(G)에 간접적으로 연결시켜 액츄레이터 및 솔레노이드의 전자기기만 온, 오프 스위치로 작동시켜 제어하였을 뿐, 주요 연결되어 있는 부품들은 도어 패널 내부에서 노출시켜 놓고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인 C, D, E, I 는 이미 알려진 도어 패널 및 기계적 구성요소로서 C는 기계식 도어 로크, D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 행가로드, E는 푸시풀 노브·록 버턴 로드, I는 키록실린더 및 연결 로드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어패널 내부에 길게 늘어져 있는 중간로드 및 다수의 연결 조인트등의 정밀 결합 규격을 맞추지 못하여 부정확한 오작동으로 인한 잦은 고장과 복잡한 부품구조로 인한 조립공정의 비효율적인 요소로 제작 원가를 가중시켰으며, 도어패널안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부품들이 도어 패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잡음등으로 인하여 승차감을 저해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의 기계식 도어로크는 각 주요 부품의 연계 시스템 부품들이 도어패널안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어의 외부 유리틈새를 통해 평철이나 갈고리 등의 비정상적인 도구를 침투 활용하여 도어 패널안에 노출되어 있는 각종 부품에 충격을 가할 경우에나, 특정기기인 만능 키 등의 활용으로 쉽게 강제 해정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외부 유리 사이로 자대(평철) 또는 갈고리등을 침투시켜 록킹레버 및 이를 연결하는 로드 및 부품등에 충격을 가하여 도어를 강제 해정시킬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고급차종은 비정상적으로 해정되었을 때, 각종 도난 경보 기능이 작동되게 하였던 것이 있었으나, 일단 도어가 열리고 나면 신속한 동작으로 도난경보기를 제압하거나 귀중품들을 절도하거나 자동차의 절도가 가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중 기계식 도어로크장치의 선출원발명(공개 번호 92-6603)에서는 기존 도어록의 구조적 문제점만 짚어 개론하였지, 문제점 해결에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이 추상적인 개론만 전개하여 놓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전자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록의 설계함에 외부에 노출된 기기들이나 불필요한 부품들 제거하여, 주요 구성 부품들만 밀폐장착시켜 보안의 향상을 높이는 방법은 개론 시키지 못하였으며, 반드시 전자식 방법으로 작동시키는 도어록을 설계하려면 기존 도어록의 내외부에 부착되어있는 각종 부품들을 제거 및 정리하고 전자적 기기의 연계구동되는 새로운 부품의 개발을 설계해야함에도 언급이 없고 추상적인 개론만 펼쳐 나갔고, 전기적 신호로 작동되는 전자식 도어록이라면 전기에너지의 단전 및 전기적 구동수단의 고장시에 대비하여 비상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기능의 구성시스템을 전개하지도 않았을뿐더러, 전기적 신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도 2중 3중 복잡한 구조의 제어시스템을 설계하여 불필요한 중간 매개체를 만들어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도어록의 주요 구성부품 및 주요 부품을 밀폐장착시킬 수 있는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하여 도어록의 주요 구성부품을 밀폐장착시켜 하우징 블록 외부에는 부품들이 절대 노출되지 않게 설계하여 보안을 완벽하게 구상하였고, 본 발명자의 전기적 신호 제어수단의 발명에 있어, 메인 전원 에너지를 직열 연결시스템으로 전기회로를 설계하여 최종적인 기기의 도어록의 전기적 구동수단(40)에 전기에너지를 직열방법으로 공급하여 구동수단(40)의 당김 운동 에너지를 작동기기(41)를 통하여 도어록의 구성 부품에 직접 전달되어 작동케함으로써 통상의 단순구조와는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고 보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도어로크는 도어의 여닫음의 사용이 용이해야하며, 자동차의 도난및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보안을 주목적으로 하는 도어로크로서의 자동차 주요 부품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되었다.
1)상기 기존의 기계식 도어 로크의 복잡한 구조의 부품들을 도어 패널안에 노출시키지 않아야 하며,
2) 상기의 기존 도어 로크의 복잡한 구조의 외부 노출된 부품들을 완전 제거하여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야 하며,
3) 상기의 각종 노출 연결된 부품들을 제거하고도 정밀하고도 정확한 동작의 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도어로크를 발명하여야 하며,
4) 도어로크의 구성상 주요한 부품들이 도어로크 외부로 노출 연계되지않고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 내부에 밀폐 장착시킬수 있는 밀폐식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과, 밀폐식 하우징 블록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주요 부품들을 발명하여야 하며,
5)만능키 등의 침입을 막기위하여 도어외부에 부착되는 도어핸들 하우징에 설치된 키록실린더를 없애야하며, 다양한 주파수 개념의 원격리모콘 온, 오프 센서스위치를 적용시켜야한다.
6)상기 기능을 갖춘 도어로크를 통상적으로 작동시킬수있는 전자회로도를 발명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 도어 로크(래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어 록(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의 초기 언록(잠금 해제) 해제 작동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최종 도어 로크의 언록(잠금 해제)의 완료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3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제4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관한 제5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로크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7a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어 록(잠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3의 도어 로크의 초기 언록(잠금 해제) 해제 작동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3의 최종 도어 로크의 언록(잠금 해제)의 완료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 a, b, c d 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의 작동 시스템의 공통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전기회로도이고,
도 9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 핸들의 내부 스위칭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10a, b, c 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블록 10' : 통공
10" : 통공 11 ,12 : 커버 케이스
20 : 래치기어 21 : 걸림홈
22 : 록킹홈 23 : 힌지축
24 : 래치기어 탄성스프링 30 : 폴(로킹플레이트)기어
31 : 걸림 돌기 31' : 걸림 돌기
301 : 연결구 32 : 힌지축
33 : 걸림턱 34 : 탄성스프링
40 : 구동수단 41 : 작동기기
42 : 록킹홈 43 : 스프링
46 : 보호 관 51 a : 수동 언록킹 기어
51 b : 수동 언록킹 레버 52 : 연결구
53a : 구동축 53b :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
54' : 언록킹 캠기어 54" : 언록킹 캠기어
90 : 구동축 60 : 회전캠
61 : 돌기 70 : 모터
80 : 도어 핸들 81 : 도어핸들 접점
82 : 도어핸들 하우징 접점 83 : 도어핸들 하우징
100 : 도어록 본체 200 : 키 록실린더 스위치
300 : 도어 핸들 스위치
400 : 중앙제어 원격무선 온,오프 스위치 센서
500 : 외부 전원 소켓
600 : 정격전압 메인 인입 전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의 개방 및 잠금장치는,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커 핀에 상응하여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록 본체내에 힌지축을 기점으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동되는 래치(포크)기어와 이 래치기어의 록킹홈에 안내되게 구동축에 의해 동작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를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는 ㄷ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기어와 폴(로킹플레이트)기어가 장착된 하우징 블록의 외측에는 당김작동기기를 결합한 구동수단을 결합하여 이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기기를 구비한 구동수단을 설치하되, 그 작동기기의 선단이 하우징 블록을 관통하게 하고 이를 통하여 기계적 제어수단의 폴(로킹플레이트)기어에 연결 결합하며, 상기 구동수단에는 자동차에 사용하는 정격전압의 메인 전원을 중앙 제어시스템의 기능의 원격 무선 온, 오프 스위치 및 키 록실린더의 작동 및 괘정,해정 신호 출력에 의하여, 도어 핸들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와, 또다른 예시로서 도어로크의 구동수단에 순차적으로 전원이 연결됨에 따라 도어로크가 래치기어 뒤에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 스위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전원이 연결됨에 따라 도어로크의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본 발명의 도어로크가 작동되어 도어가 열리게 되는 도어래치와 전기적 신호에 의한 록킹 작동 시스템이 구성되는것이다.
또한 그 타단에는 수동 언록킹 레버와 연동하여 작동되어 지도록 수동 언록킹 레버 기어가 폴(로킹플레이트)기어에 상응하여 그 하단부에 배설되어 있어 비상시에만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기계적 구조로 되어 있는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 실린더에 키를 삽입하거나 원격 리모콘의 온, 오프 스위칭 시스템을 온(ON)으로 작동하여 각 도어핸들 스위치에 전원을 공급하면, 도어핸들을 잡아당기는 순간 도어핸들 내부장치 스위치가 자동 접점되면서 구동수단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수단이 동작 되면서 로크의 폴(로킹플레이트)기어가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가 차단되어 지더라도 하우징 블록 의 부에 설치된 수동 언록킹 레버를 자동차의 실내에서 수동으로 조작 작동시켜 도어록의 잠금해제할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의 도어로크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도어의 개방 및 도어록의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 구조 및 작동에 대한 기본 실시예로서, 솔레노이드 및 액츄레이터 등의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결합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로크(래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 는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이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구동축(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또 다른 외부 케이스(12)의 상측에는 구동 수단(40)을 일체로 부설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당겨지는 작동기기(41)를 구비한 구동수단(40)을 설치하되, 작동기기(41)는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 )을 관통하여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ㄷ자형상으로 구성되며,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 및 연결구(301)로 구성되어 있는 주요 부품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 ㄷ자형상의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는 주요 부품으로 발명되었으며, 상기 걸림돌기(31') 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 언록킹 레버(51b)가 구동축(90)과 연계되어 있으며, 구동축(90)에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의 전동식 도어록에 있어 비상시에 수동조작 시스템이 꼭 필요하며, 다만 수동 조작시스템은 외부에서의 비정상적인 도구들이 침입을 받지않게 설계되어야하기 때문에 본 발명 부분에 있어 수동조작 시스템은 그 목적을 이룬것이라 하겠다.
여기서 상술한 구동수단(40)은 솔레노이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액츄레이터 및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도 가능하다.
상기 밀폐형 도어록 본체(100)은 본 발명의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구성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 12)등으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킨 것이 특징이며,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에 또한 특징이 있고,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떻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언로크 레버(51b) 돌출구 부분에도 특징이 있으며, 돌출구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 않으며,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 언로크 레버(51 b )만 돌출되어있을 뿐이다,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의 시건장치 시스템에 있어,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기계적인 수단의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의 온, 오프 신호 전환방식을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떻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록킹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구성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 무선리모콘 센서의 시건기능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로크(래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적용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부품인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함에 있어서,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 수 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서는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ㄴ자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범위를 고려하여, 하우징 블록(10) 자체와 구동수단(4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 해야하므로, 본 발명의 하우징 블록(10)은 구성의 형상을 어떠한 도어패널 내부 구조 및 도어 유리작동의 범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도어패널 내부 조건에 맞게 설계 형성된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에 도어로크의 주요 구성 부품들을 다음과 같이 하우징 내부에 밀폐 장착 시켜 도어록본체(100)를 구성하였으며, 도어록 본체(100) 외부에 구동수단(40)을 밀폐결합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우징 블록(10) 내부에는 다음과같은 특징의 부품들이 구성되어 있다,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의 또다른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걸림돌기(31') 타단에는 수동 언 록킹 레버기어 (51a)가 배설 되어 있으며,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는 구동축(90)에 연결 연계되어 있으며, 구동축(90)에는 수동 언 록킹 레버(51b)가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수동 언 록킹 레버(51b)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수동언록킹레버기어(51a)가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구성 형성된 걸림돌기(31')를 상응 작동시켜 연계 구성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역으로, 운전자가 도어를 닫으면 기존 도어에 장착되어있는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인 래치기어 및 폴(로킹 플레이트)기어 등에 탄지되어있는 탄성스프링이 회동되면서 자연적 기능으로 자동차 새시에 고정 부착 되어 있는 스트라이커핀을 1차 구속하게 되고 연속 동작에의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가 록킹홈에 장착되어 스트라이커핀을 구속하여 안전한 도어의 닫힘을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솔레노이드 및 액츄레이터 등의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결합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2 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이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접합되어있고, 힌지축(32)에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고 탄성 스프링(34)에 의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로 복귀 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또 다른 외부 케이스(12)의 상측에는 구동 수단(40)을 일체로 부설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당겨지는 작동기기(41)를 구비한 구동수단(40)을 설치하되, 작동기기(41)를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 을 관통하여 언록킹 캠기어(54)의 연결구(52)에 연결 결합시켰다.
또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ㄷ자형상으로 구성되며,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31') 하부에 언록킹 레버 기어(54')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으로 언록킹캠기어(54")가 배설되어 있으며, 언록킹 캠기어(54')와 언록킹 캠기어(54")는 구동축(90)에 연계접합되어 있으며, 접합되어 있는 캠기어에는 연결구(52)가 형성되어있으며,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가 연결 결합되어있어 구동수단(40)의 당김작동 운동에너지를 작동기기(41)를 통하여 언록킹 캠(54")기어에 전달하여 언록킹 캠기어에 연계되어있는 구성부품들을 연계작동 시켜 도어록 본체(100)가 작동된다.
또한, 언록킹 캠기어(54')의 타단에는 비상시 수동조작 작동할 수 있는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53a)가 설치되고 구동축(53b)으로 설치되어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며, 상기의 전동식 도어록에있어 비상시에 수동조작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단, 수동 조작시스템은 외부에서의 비 정상적인 도구들이 침입을 받지않게 설계해야하기 때문에 본 발명 부분에 있어 수동조작 시스템은 그 목적을 이룬 것이라 하겠다.
여기서 상술한 구동수단(40)은 솔레노이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액츄레이터 및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도 가능하다.
상기 밀폐형 도어록 본체(100)은 본 발명의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구성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 12)등으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킨것이 특징이며,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는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떻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언로크 레버(51b)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않으며,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 언로크 레버(51b)만 돌출되어 있을 뿐이다.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잠금), 언록(잠금해제)의 시건장치 시스템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기계적인 수단의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의 온, 오프 신호 전환방식을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떠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록킹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라 볼 수 있으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리모컨센서의 시건기능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로크(래치)에 있어, 기본적으로 적용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부품인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함에 있어,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수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ㄴ자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여, 하우징 블록(10)과 구동수단(4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수있는 형상으로 설계해야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구성 형상을 어떠한 도어패널 내부 구조및 도어 유리작동의 범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도어패널 내부조건에 맞게 설계 형성된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에 도어로크의 주요 구성 부품들을 하우징 본체내부에 밀폐 장착 시켜, 하우징 블록본체(100)을 구성하여, 하우징 블록 본체 외부에 구동수단(40)을 밀폐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우징 블록의 본체 내부에 특수하게 설계제작된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에 걸림돌기(31' )를 형성하고, 걸림돌기(31') 타단에는 언 록킹 캠기어(54')가 배설 되어 있으며, 언 록킹 캠기어(54')에는 구동축(90)이 연계 접합되어있고 구동축(90)에는 언록킹 캠기어(54")가 접합되어 있으며,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4b)를 수동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상응 작동되어 연계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 구조 및 작동에 대한 또 다른 제3실시예로서, 솔레노이드 및 액츄레이터 등의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결합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이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다.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34)에의해 래치기어(20)로 복원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하우징(10)은 통공(10')이 형성되어있으며, 이 통공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삽입 결합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구성되며, 도어록 본체(100)과 구동수단(40)은 분리 설치되며, 구동 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고,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의 또다른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걸림돌기(31') 타단에는 수동 언 록킹 레버기어 (51a)가 배설 되어 있으며,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는 구동축(90)에 연결 연계되어 있으며, 구동축(90)에는 수동 언 록킹 레버(51b)가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수동 언 록킹 레버(51b)를 수동 조작 작동시키면 연계작동되는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에 구성 형성된 걸림돌기(31')가 상응 작동되어 연계형성되어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래치기어(20)는 탄성스프링(24)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구속하고 있던 스트라이크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킨다,
상기 밀폐형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은 각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부분 노출된 부품중 작동기기(41)를 보호관(46)으로 감싸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는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떠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언로크 레버(51b) 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구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않고,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 언로크 레버(51b)만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 언록의 시건장치 시스템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를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떻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로크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 시건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록에 기본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 수 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ㄴ자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여, 하우징 블록(10)과 구동수단(4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있는 형상으로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구성 형상을 어떠한 도어패널 내부 구조및 도어 유리작동의 범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구동수단(40)은 솔레노이드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액츄레이터 및 실린더 작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도 가능하다.
또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ㄷ자형상으로 구성되며, 걸림돌기(31)과 걸림돌기(31') 및 연결구(301)로 구성되어 있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를 구동축(32)에 회동되게하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31') 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 언록킹 레버(51b)가 구동축(90)과 연계되어 있으며, 구동축(90)에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구동수단을 모터를 적용하여, 모터 결합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작동관계를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2, 3, 4 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록킹홈(22)와 적어도 2 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상응하여 회동되는 폴(로킹풀레이트)기어(30)가 배설되어있고, 배설되어있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및 걸림턱(34)등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는 구동축(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개입 설치된 탄성 스프링 (34)에 의하여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언제나 복귀하게 되어 있으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 타단에는 외접되게 설치된 회전캠기어(60)가 있으며, 회전캠기어(60)에는 걸림턱(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캠(60)에 외부 연계 결합된 모터(70)이 있으며, 모터(7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회전캠(60)이 회전되면 걸림턱(61)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턱(33)에 작동되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가 래치기(20)어의 록킹 홈(22)에서 이탈되면서 래치기어(20)가 스트라이커 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키는 구조의 전동식 도어로크이다.
여기에서도 본 발명의 주요 부품인 하우징 블록(10)을 발명함에 있어, 상기의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밀폐장착시킬 수 있게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형상이 ㄴ자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종류의 도어패널 내부 구조에 맞게, 또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여, 하우징 블록(10)과 구동수단(4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함에 있어, 하우징 블록(10)의 구성 형상을 어떠한 도어패널 내부 구조및 도어 유리작동의 범위에 맞추어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모터(70)는 다음 후술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70)의 전원은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스위치(80)에 연결되어 모터(70)의 회전캠(60)이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감지스위치(80)는 힌지축(23)을 지점으로 회동되는 래치기어(20)에 외접되게 탄성을 접지봉(81)은 전기적 온,오프 스위치 접지봉(8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래치기어(20)가 잠금상태이거나 절반쯤 잠긴상태에서는 각단자가 접속되면서 모터(70)에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감지스위치(8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모터(70)가 구동을 개시하면서 그 축에 접속된 회전캠(60)이 회전되고, 이에 의해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가 작동되면서 걸림돌기(31)가 록킹홈(22)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기어(20)가 열림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래치기어(20)가 열림 상태로 되는 순간 감지스위치(80)의 접지봉(81)이 더욱 돌출되면, 각 단자의 접속이 차단됨에 따라 모터(70)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모터가 1회 회전후 멈추게 된다.
또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ㄷ자형상으로 구성되어 걸림돌기(3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1') 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고,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를 연계시키는 구동축(90)이 상기 하우징 블록(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 언록킹 레버(51b)가 접합되어 있고, 비상시의 수동 언록킹 레버(51b)를 조작 작동에 의하여 연결 구동축(90)에 결합되어 있는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걸림돌기(31' )를 연동시키므로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연동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형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은 각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킬수있으며, 외부에 부분 노출된 부품중 작동기기(41)를 보호관(46)으로 감쌓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떻한 기기도 침입을 할수없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언로크 레버(51b) 돌출구 부분이며, 돌출구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않으며,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 언로크 레버(51b)만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발명에 있어 도어의 록, 언록의 시건장치 시스템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를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떠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로크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 시건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록에 있어 기본적으로 적용시킬수있는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구동수단을 모터를 적용하여, 모터 결합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도 5 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술적 용어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
도어록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블록(10)에 록킹홈(22)와 적어도 2 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상응하여 회동되는 폴(로킹풀레이트)기어(30)가 배설되어있고, 배설되어있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등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는 힌지축(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개입 설치된 탄성 스프링 (34)에 의하여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언제나 복귀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하우징 블록(10) 내부에는 주요 구성 부품들이 배설되어있으며, 구성 부품중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0')에 상응하게 언록킹 캠기어(54)가 배설되어있으며, 또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ㄷ자형상으로 구성되며,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31') 타단에 언 록킹 캠 기어(54')가 배설되어 있고, 언록킹 캠기어(54')에는 구동축(90)이 연계접합되어 있으며, 구동축(90)의 중간에는 언록킹 캠기어(54")가 2중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언록킹 캠기어(54")의 타단에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53b)가 배설되고 회동축(53a)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의 전동식 도어록에 있어 비상시에 수동조작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며, 다만 수동 조작시스템은 외부에서의 비 정상적인 도구들이 침입을 받지 않게 설계해야하기 때문에 본 발명 부분에 있어서의 수동조작 시스템은 그 목적을 이룬것이라 하겠다.
상기의 언록킹 캠기어(54)의 구동축(90)의 끝 부분에는 구동모터(70)가 연계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7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언록킹캠(54')이 회전되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에 작동되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20)어의 록킹 홈(22)에서 이탈되면서 래치기어(20)가 스트라이커 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키는 구조의 전동식 도어로크 이며,
상기 모터(70)는 다음 후술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70)의 전원은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스위치(80)에 연결되어 모터(70)의 언록킹캠(5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감지스위치(80)는 힌지축(23)을 지점으로 회동되는 래치기어(20)에 외접되게 탄성을 접지봉(81)은 전기적 온,오프 스위치 접지봉(8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래치기어(20)가 잠금상태이거나 절반쯤 잠긴상태에서는 각단자가 접속되면서 모터(70)에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감지스위치(8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모터(70)가 구동을 개시하면서 그 축에 접속된 언록킹캠(54)이 회전되고, 이에 의해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가 작동되면서 걸림돌기(31)가 록킹홈(22)으로부터 이탈되어 래치기어(20)가 스트라이커핀을 방출한다.
이어서 상기 래치기어(20)가 열림 상태로 되는 순간 감지스위치(80)의 접지봉(81)이 더욱 돌출되면, 각 단자의 접속이 차단됨에 따라 모터(70)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모터가 1회 회전후 멈추게 된다.
또한 본 수동 조작방법에있어 상기 하우징 블록(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53b)와 언록킹캠기어(54") 타단에 설치되어 있고, 비상시의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53b)를 조작 작동에 의하여 연결 구동축(90)에 결합되어 있는 언록킹캠기어(54' )가 걸림돌기(31' )를 연동시키므로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연동되어 도어록 본체(100)가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형 도어로크 하우징 블록(10)은 각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로 완전밀폐 복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부분 노출된 부품중 작동기기(41)를 보호관(46)으로 감싸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으로서는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이며, 삽입되는 입구부분으로는 어떻한 기기도 침입을 할 수 없으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언로크 레버(51b) 부분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는 도어 패널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패널안에서는 노출되지 않으며, 자동차 실내쪽으로 수동 언로크 레버(51b)만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발명과 같은 도어의 록, 언록의 시건장치 시스템은, 도어핸들 하우징에서 키 록실린더 박스 자체를 없애버리고 원격무선 리모콘식 키 센서를 적용하여 발명하였기 때문에 외부의 어떠한 비정상적인 도구들의 침입이나 만능 키 등의 침입에도 완벽하게 사전에 막을 수 있는 도어로크 시스템으로서, 보안성을 완벽하게 추구하여 보안의 주 목적을 달성한 것이 특징인 것이며, 상기 키 록실린더 박스가 필요없는 원격무선 시건 시스템은 본 출원의 발명기기 도어록에 있어, 기본적으로 적용시킬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상기 도어록의 작동을 위한 본 발명의 도어 잠김 장치의 전기회로 시스템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
도 8 a, b, c, d 는 본 발명의 도어록킹 시스템의 전기회로도로서, 자동차에 탑재된 축전지의 메인전원이 그 타단 일측에는 밧데리(600)와 비상시 사용되는 건전지연결용 및 예비 밧테리 연결용 외부 소켓(500)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제어 원격무선 온, 오프 스위치(400)나 운전석과 조수석의 키 록실린더(200)에 연결되고, 각 키록실린더 및 메인키시스템을 통과한 전원은 자동차의 모든 도어에 부설된 도어핸들(300)스위치에 각각 공급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두 개의 원격무선 온, 오프스위치센서 및 키 록실린더(200)중 어느 하나의 키 록실린더(200)에 키를 꽂아 록킹을 해제 시키는 온(ON) 작동 순간 도어핸들(300)에 전류를 흘려 보내게 되고, 도 8에서의 도어 핸들(300)을 약간 잡아당기면 메인전원에 연결된 접점과 출력측 접점이 접속되어 전원을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이 작동된다.
또한, 도 8a 에서와 같이 키 록실린더(200)의 해정동작후 도어핸들(300)을 잡아당기는 순간 구동수단(4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도어록본체(100)가 열림상태가 되어 자동차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비상시에 있어서 기존 자동차는 밧데리가 완전 방전되었을 시에는 엔진실 본넷을 열고난 후 차체 밧데리 단자에 비상 밧데리 점프선을 연결하여 시동을하였으나(여기서 공통점으로서 기계식 도어로크나, 반자동식 도어로크는 도어를 열어야 자동차 내부로 들어가서 내부에 설치된 엔진실 본넷 버튼을 작동시킨 후 본넷을 열고 비상 밧데리로 연결 시동하였으나), 본 외부 소켓(500)은 차체 밧데리와 연결되어 있어 본넷을 열지 않고도 비상 밧데리 전원을 외부 소켓에 연결하면 본넷을 열지 않고도 시동을 할 수 있으며, 도어 해정시에도 도어로크로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치 않는다.
도 8b 는 상기의 메인전원과 키 록실린더(200)을 제거시키고 메인 전원과 원격무선리모콘(400)을 설치하여, 키 록실린더(200)를 대신하는 원격무선 ON/OFF 스위치를 적용하여 해정 또는 괘정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키 조작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만능키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도어 핸들의 스위칭(300)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손잡이(80')를 당길 경우에는 도어 하우징(83)에 설치된 접지단자(81')가 접지판(82)에 접점되어 스위칭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a, b, c 는 상기 도어잠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래치기어(20)의 록킹홈(42)에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됨과 아울러 타측의 록킹홈(22)에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가 삽입되면(가)와 같이 도어록 본체(100)는 잠기게 되고, 전기적인 온(ON)신호에 의해 구동 수단(40)이 동작되면서 그 작동봉(41)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를 끌어당기면 록킹홈(22)으로 부터 걸림돌기(31)가 이탈되어 도 2b에서와 같이 스트라이커 핀이 방출되어 자동차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경우는 구동수단의 전원(600)이 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경우에 한한다.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 a ),(51 b )는 만약, 구동수단(40)이 고장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다른 문을 열고 내부로 들어가 실내 돌출된 레버(51 b )를 조작하여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 a )와 걸림돌기(31' )를 회동시키면서 동시에 구동축(32)과 이에 결합된 일체적으로 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를 회동시켜 래치트기어(20)를 해정하고 스트라이크핀을 방출케하여 도어를 오픈 시키므로, 구동수단(40)의 동작을 대신하게 되어 비상시에 대처하게 된다.
여기서, 본 전기 회로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해정 및 괘정(언록,록) 작동 시스템으로서, 도 8 a, b, c, d 의 도면부호 400, 200의 중앙제어 메인키 실린더 및 원격리모콘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해정시에는 온으로 작동시켜 도면부호 300의 각 도어핸들 스위치로 전원을 공급하면, 전원 공급만으로 해정(언록,잠금 해제) 작동이 되는것이며, 괘정 작동으로서 도면부호 200, 400을 오프상태가 되게 조작하면 도면부호 300의 각 도어핸들 스위치로 공급하는 전원이 차단되어 괘정(록,잠금)시킬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작용도 앞의 일실시예와 비슷하나, 분명히 차이가 있다.
즉,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록킹홈(22)이 형성되어 있고, 록킹홈(22)에 상응하여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구동축(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 블록(10)에 설치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에 걸림턱(33)을 형성하되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소정위치에 그 걸림돌기(31)를 록킹홈(22)에 밀착되게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고, 걸림턱(33)에 외접되게 돌기(61)를 가진 회전캠(60)에 모터(7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전캡(60)에 구동력이 전달되게 되면 도어가 개폐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수단(40)의 작동상태의 고장시에 있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ㄷ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측에 걸림돌기(31')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31') 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블록(10)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 언록킹 레버(51b)가 구동축(90)을 통하여 수동 언록킹 레버(51a)를 회전시킬 수 있고,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동 언록킹 레버(51b)를 언제나 수동으로 조작하면 연계된 부품들이 작동되어 도어록 본체(100)를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로크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은, 종래에 도어록본체의 해정시 각종도어손잡이 등에 연결되는 로드 또는 레버 기어 및 도어로크의 외접되게 설치된 복잡한 부품 기계를 완전 제거하여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설계와 제작 및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어록 본체의 주요 구성부품과 이에 연결되는 부품을 밀폐결합되게하여 비정상적인 도구의 침입을 막아 오동작을 방지함에 따라 도난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도어로크 하우징에 외접되게 연계된 여러 가지의 기계적 부품 및 기계적 기능을 제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전동식 도어로크는 기존 도어로크보다 더 정밀한 기능으로 작동되며, 여기서 손쉬운 전자적 전기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록, 언록의 기능을 완벽하게 이룩한 것이다.
또한 기존 도어로크의 기계식 부품들을 완전 제거하여 제품의 조립공정도를 대폭 줄여서 제품의 제조 원가를 줄였으며, 밀폐식 일체형의 도어로크로 하우징 블록을 형성을 발명하여, 종래에 도어의 외부 유리틈새를 통해 평철이나 갈고리 등의 비정상적인 도구를 침투시켜 충격을 가할 경우에나 만능 키 등의 사용으로 속수무책으로 열리던 단점을 사전에 막을 수 있으며, 본 전동식 도어로크로는 도어유리를 깨지않는 한 상기의 비정상적인 방법에도 절대 열리지 않는 도난방지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7)

  1.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10)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는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구동축(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또 다른 외부 케이스(12)의 상측에는 구동 수단(40)을 일체로 부설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당겨지는 작동기기(41)를 구비한 구동수단(40)을 설치하되, 작동기기(41)는 유리작동범위를 피하는 형상으로 된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결합되며,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 및 연결구(30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31') 하부에 수동 언 록킹 레버 기어(51a)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수동 언록킹 레버(51b)가 구동축(90)과 연계되어 있으며, 구동축(90)에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하우징 블록(10)내부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2. 제1항에 있어서, 전동식 도어로크를 개폐 작동 및 록, 언록시키는 전자회로로서 정격전압 (600)을 중앙제어 메인 키 스위치인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는 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각 도어핸들 스위치(3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여기서 전원을 공급 받은 도어핸들 스위치(300)는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당기면 도어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 신호(300)를 전동식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 본체(100)를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
  3.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10) 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성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접합되어있고, 힌지축(32)에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고 탄성 스피링(34)에 의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로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또 다른 외부 케이스(12)의 상측에는 구동 수단(40)을 일체로 부설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당겨지는 작동기기(41)를 구비한 구동수단(40)을 설치하되, 작동기기(41)를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언록킹 캠기어(54)의 연결구(52)에 연결 결합되어 있고,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리돌기(31') 하부에 언록킹 레버 기어(54')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으로 언록킹캠기어(54")가 배설되어있으며, 언록킹 캠기어(54')와 언록킹 캠기어(54")는 구동축(90)에 연계접합되어 있으며, 접합되어있는 캠기어에는 연결구(52)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가 연결 결합되어있어 구동수단(40)의 당김작동 운동에너지를 작동기기(41)를 통하여 언록킹 캠(54")기어에 전달하여 언록킹 캠기어에 연계되어있는 구성부품들을 연계작동시켜 도어록 본체(100)가 작동 되며 언록킹 캠기어(54')의 타단에는 비상시 수동 조작 작동할 수 있는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53a)가 설치되고 구동축(53b)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블록 내부에 언록킹 캠기어(54')와 언록킹 캠기어(54")가 구동축(90)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언록킹 캠기어(54")에는 연결구(52)를 형성하고, 외부 수동 언록킹 캠기어 타단에는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 수동 언록킹 캠기어(53a)와 힌지축(53b)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5. 제3항에 있어서, 전동식 도어로크를 개폐 작동 및 록, 언록시키는 전자회로로서 정격전압(600)을 중앙제어 메인 키 스위치인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는 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각 도어핸들 스위치(3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여기서 전원을 공급 받은 도어핸들 스위치(300)는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당기면 도어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 신호(300)를 전동식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 본체(100)를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
  6.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10) 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접합되어있고, 힌지축(32)에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고 탄성 스프링(34)에 의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로 복귀 될 수있으며, 상기 하우징 블록(10)의 외측에는 도어패널(도시않음)에 부착하게 외부케이스(11)가 복개 결합되고, 하우징(10)에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감싸서 삽입 밀폐결합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구동 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며, 하우징 블록(10)의 내부에는 주요 부품인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홈(22)에 안착되에 형성하고,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걸림돌기(31') 타단에는 수동 언 록킹 레버기어(51a)가 배설되어 있으며, 수동 언록킹 레버기어(51a)는 구동축(90)에 연결 연계되어 있으며, 구동축(90)에는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수동 언 록킹 레버(51b)가 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통공(10')이 형성되어있으며, 이 통공에는 구동수단(40)의 작동기기(41)를 보호하는 보호관(46)이 감싸서 삽입 밀폐결합되며, 도어록 본체(100)와 구동 수단(40)은 도어유리 작동범위를 피하여 도어패널 내부에 분리 설치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분리 설치된 구동수단(40)은 작동기기(41)를 이용하여 도어록 본체(100)의 하우징 블록(10)의 통공(10')을 관통하여 상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연결구(301)에 연결하여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를 작동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도어록 본체(100)는 전동식 도어로크의 주요 구성 부품들을 전부 내부에 조립 장착시키고, 커버 케이스(11)로 밀폐 복개 결합시키고, 통공(10')은 작동기기(41)를 감싼 보호관(46)이 밀폐결합시켰고, 외부쪽에 노출된 부품은 래치기어와 스트라이커 핀이 삽입되는 입구 부분이며, 내부쪽에는 비상시에 자동차 실내에서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언로크 레버(51b)만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9. 제6항에 있어서, 전동식 도어로크를 개폐 작동 및 록, 언록시키는 전자회로로서 정격전압 (600)을 중앙제어 메인 키 스위치인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는 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각 도어핸들 스위치(3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여기서 전원을 공급 받은 도어핸들 스위치(300)는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당기면 도어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 신호(300)를 전동식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 본체(100)를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
  10.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10) 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하는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 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접합되어있고, 힌지축(32)에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고 탄성 스프링(34)에 의해 폴(로킹 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로 복귀될 수 있으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 타단에는 외접되게설치된 회전캠기어(60)가 있으며, 회전캠기어(60)에는 걸림턱(6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캠(60)에 외부 연계 결합된 모터(70)이 있으며 모터(7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회전캠(60)이 회전되면 걸림턱(61)이 폴(로킹플레이트) 기어(30)의 걸림턱(33)에 작동되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어의 록킹 홈(22)에서 이탈되면서 래치기어(20)가 스트라이커 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키며, 상기 모터(70)의 전원은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스위치(80)에 연결되어 모터(70)의 회전캠(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11. 제10항에 있어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 타단에는 외접되게 설치된 회전캠기어(60)가 있으며, 회전캠기어(60)에는 걸림턱(6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캠(60)에 외부 연계 결합된 모터(7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회전캠(60)이 회전되면 걸림턱(61)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턱(33)에 작동되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 홈(22)에서 이탈되면서 래치기어(20)가 스트라이커 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20)가 열림 상태로 되는 순간 감지스위치(80)의 접지봉(81)이 더욱 돌출되면, 각 단자의 접속이 차단됨에 따라 모터(70)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모터가 1회 회전후 멈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13. 제10항에 있어서, 전동식 도어로크를 개폐 작동 및 록, 언록시키는 전자회로로서 정격전압 (600)을 중앙제어 메인 키 스위치인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는 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각 도어핸들 스위치(3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여기서 전원을 공급 받은 도어핸들 스위치(300)는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당기면 도어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 신호(300)를 전동식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 본체(100)를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
  14. 도어록 본체(100)에 구성되는 하우징 블록(10)내부에 차체프레임의 스트라이커 핀(75)을 구속 및 방출하는 래치기어(20)가 록킹홈(22)과 적어도 2단계로 걸림 작동을 하는 걸림홈(21)을 구비한 래치기어(20)가 힌지축(23)을 기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힌지축상에는 상기 래치기어(20)를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24)이 개입 설치되어 있고, 래치기어(20)의 일측에는 그 록킹홈(22)에 상응하는 걸림돌기(31)를 구비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힌지축(32)에 접합되어있고, 힌지축(32)에는 탄성스프링(34)이 탄지되어 있고 탄성 스프링(34)에 의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가 래치기어(20)로 복귀될 수 있으며,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0')타단에는 캠기어(54')가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는 걸림돌기(31)와 걸림돌기(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언록킹 캠기어(54')에는 구동축(90)이 연계접합되어 있으며, 구동축(90)중간에는 언록킹 캠기어(54")가 개입되고, 언록킹 캠기어(54")의 타단에 외부 수동 언록킹 레버(53b)가 구동축(53a)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언록킹 캠기어(54)의 구동축(90)의 끝 부분에는 구동모터(70)가 연계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7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언록킹캠(54')이 회전되면 폴(로킹플레이트)기어(30)의 걸림돌기(31')에 작동되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1)가 래치기어(20)의 록킹 홈(22)에서 이탈되면서 래치기어(20)가 스트라이커 핀(75)을 방출하여 도어를 1차 개방시키며, 모터(70)의 전원은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스위치(80)에 연결되어 모터(70)의 회전캠(60)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언록킹 캠기어(54')와 중간 개입 언록킹 캠기어(54")와 연계되어 있는 구동축(90)의 끝에는 모터(70)가 연계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20)가 열림 상태로 되는 순간 감지스위치(80)의 접지봉(81)이 더욱 돌출되면, 각 단자의 접속이 차단됨에 따라 모터(70)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구동모터가 1회 회전후 멈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로크.
  17. 제14항에 있어서, 전동식 도어로크를 개폐 작동 및 록, 언록시키는 전자회로로서 정격전압(600)을 중앙제어 메인 키 스위치인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을 공급받은 원격리모콘 온,오프 센서 스위치(400)(200)는 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각 도어핸들 스위치(3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여기서 전원을 공급 받은 도어핸들 스위치(300)는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당기면 도어핸들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 신호(300)를 전동식 도어로크의 구동수단(4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도어록 본체(100)를 작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 해정 작동 시스템.
KR1019970033139A 1997-06-26 1997-07-16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KR10025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139A KR100256176B1 (ko) 1997-06-26 1997-07-16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PCT/KR1997/000195 WO1999000572A1 (en) 1997-06-26 1997-10-15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AU45750/97A AU4575097A (en) 1997-06-26 1997-10-15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698 1997-06-26
KR19970027698 1997-06-26
KR1019970033139A KR100256176B1 (ko) 1997-06-26 1997-07-16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6176B1 true KR100256176B1 (ko) 2000-05-15

Family

ID=2663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139A KR100256176B1 (ko) 1997-06-26 1997-07-16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48B1 (ko) 2011-06-15 2013-05-14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CN109113443A (zh) * 2018-08-01 2019-01-01 宁波生久柜锁有限公司 电机式电子扣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48B1 (ko) 2011-06-15 2013-05-14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CN109113443A (zh) * 2018-08-01 2019-01-01 宁波生久柜锁有限公司 电机式电子扣锁
CN109113443B (zh) * 2018-08-01 2023-09-22 宁波生久科技有限公司 电机式电子扣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334B1 (ko) 파워 해제 이중 잠금 래치
US7232161B2 (en) Latch device for vehicle tailgate
US6371538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block type anti-theft mechanism
US20040012468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US20140200774A1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and method
EP2562029A2 (en) Power supply plug locking device
US20020000726A1 (en) Lock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doors
JP2004511687A (ja) 自動車ドアロック
US5666834A (en) Anti-theft mechanism for a vehicle door lock device
EP0959205B1 (en) Vehicle door lock
EP1105603A1 (en) Vehicle door lock with improved anti-theft features
KR100249478B1 (ko) 자동차의도어로크(래치)
WO1999000572A1 (en) Electric door latch and locking system of automobiles
KR100256175B1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KR100256176B1 (ko) 자동차의 도어 로크(래치)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한 괘정 및해정 작동 시스템
JP3447528B2 (ja) 車両における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装置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JP2000054708A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KR970062240A (ko) 자동차의 도어록킹 시스템
EP4332332A1 (en) Electronic lock for cargo vehicle doors
JP2556008B2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JP2002106226A (ja) 車両用トランク
JPH01271590A (ja) 車両用ドアロック機構の解錠装置
RU23901U1 (ru) Замок
KR20040098934A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의 록킹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