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785A -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785A
KR19990036785A KR1019980041448A KR19980041448A KR19990036785A KR 19990036785 A KR19990036785 A KR 19990036785A KR 1019980041448 A KR1019980041448 A KR 1019980041448A KR 19980041448 A KR19980041448 A KR 19980041448A KR 19990036785 A KR19990036785 A KR 1999003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evice
pattern
forming
manufacturing
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569B1 (ko
Inventor
마사테루 안도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3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5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prior to d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ic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제품영역내의 배선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 1의 레지스트 트레이스와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간의 단차의 높이를 대폭으로 저감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는 돌출부상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의도적으로 잔존되고, 제품영역내의 배선패턴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의 층간절연막, 축적전극 및 플레이트전극에 대응하는 절연층들 및 전도층들, 그리고 종래장치의 제 2의 상층배선 및 하지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배선들간의 단차의 높이를 크게 줄임으로서, 이 두 패턴간의 포커스 조절을 개선할 수 있고, 이 레지스트의 형상들을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장치에서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구조 및 액세서리 패턴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LSI의 고집적화에 따라서, 소자면적은 매년 감소되어가며, 높은 일드를 유지하면서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반도체장치의 생산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크게 좌우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얼라이먼트 마크의 가시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우수한 레지스트 형상이 확보되어야 한다.
도 1∼4에서, 스택형 커패시터 구조를 사용한 DRAM과 같은 반도체장치에 있어서의 종래의 얼라이먼트 마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P형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진 반도체기판을 표시한다. 이 반도체기판(1)의 비능동영역상에는, 일반적으로, 소자분리용의 필드산화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능동영역상에는, 예를 들어, 제 1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워드선 및 N-형 확산층이 순차 형성된다.
다음으로, 반도체기판(1)상의 전면에 SiO2층, BPSG층 등과 같은 제 1의 층간절연막이 퇴적되며, 제 2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비트선과 N-형 확산층을 접속하기 위해 접점이 설치된다. 그리고 나서, 제 2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비트선이 형성된다. 또한, 반도체기판(1)상의 전면을 덮도록 제 2의 층간절연막이 퇴적된 후에, 제 3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스택형 커패시터 구조의 축적전극(3)과 N-형 확산층을 접속하기 위한 접점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축적전극(3)이 형성되기 전에 퇴적된, 제 1의 층간절연막 및 제 2의 층간절연막이 층간절연막(2)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스택형 커패시터 구조의 축적전극(3) 및 제 4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전극(4)이 순차 형성되며, 이어서, 비교적 두꺼운 형태의 제 3의 층간절연막(5)이 퇴적된다. 이 때, 축적전극(3)의 형성에 의해 셀영역과 주변회로영역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단차를 저감하기 위해, 제 3의 층간절연막(5)이, 예를 들어, 종래의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기술 등에 의해 평단화 된다. 또한, 종래의 포트리소그래피 기술과 에칭 기술을 사용해서, 스크라이브선 영역(6)이 형성된다. 이 때, 반도체기판(1)상의 막의 총 두께는, 예를 들면 약 2000㎚정도이다.
도 2에서는, W, AL 등과 같은 제 1의 상층배선(7)이 제 3의 층간절연막(5)상에 형성되며, 이어서, 제 1의 상층배선(7)을 덮기 위해, 예를 들면, 플라스마-SiO2로 이루어진 금속층간막(8a)이 퇴적된다. 다음으로, 제 1의 상층배선(7)과 제 2의 상층배선(9)(도 3을 참조)을 커플링 하기 위한 접점(스루홀)을 형성한다. 이것과 동시에, 이 후의 공정에서 상기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는 영역 아래에, 플라스마-SiO2의 금속층간막(8a)으로 이루어진 하지막(8b)이 상기 스크라이브선 영역(6)상에 형성된다.
도 3에서는, W, AL 등과 같은 제 2의 상층배선층(9)이 퇴적되고 나서, 전면을 덮기 위해 포토레지스트막(10)이 도포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서는,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막(10)을 패턴을 행해서, 제품영역 내의 제 2의 상층배선(9)의 배선트레이스(wiring trace)를 형성하기 위한 제 1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a)와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b)가 형성된다. 이 시점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들(10a 및 10b)간에는, 약 2200∼2400㎚정도 높이의 단차가 생기고 있다.
이 때문에,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한 경우에, 제품영역내의 배선트레이스용의 제 1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a)의 포커스 길이가 얼라이먼트 마트용의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b)의 포커스 길이와 다르다. 그래서,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b)의 레지스트 형상이 극도로 악화해서, 일드가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를 일으켜서,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의 레지스트가 보지되지 않아서, 제 2의 상층배선(9)을 에칭할 때, 패턴분리를 일으켜서 일드 저하를 일으킨다.
제 1의 문제점은,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와 액세서리 패턴이 형성될 때, 이 얼라이먼트 마크 및 액세서리 패턴이 잘 형성되지 않아서,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장치의 고집적화에 수반해서, 총 적층되는 층들이 두껍게 되며, 제품영역내의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제 1의 패턴과 이 제 1의 패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제 2의 패턴과의 사이에 큰 단차가 생긴다. 그래서,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 두 개의 패턴들의 포커스 길이가 달라서, 제 2의 상층배선공정에서, 정밀도가 높은(우수한 레지스트 형상을 가짐) 얼라이먼트 및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제 2의 문제점은,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 및 액세서리 패턴의 형성 후의 에칭공정에 있어서, 얼라이먼트 마크 및 액세서리 패턴부의 패턴분리를 발생시켜서, 일드 저하를 일으키게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제품영역내의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제 1의 패턴과 이 제 1의 패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액세서리 패턴과의 사이에 큰 단차가 있어서, 이 제 1 및 제 2의 레지스트 패턴들의 포커스 길이가 다르다.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의 레지스트 형상이 극단적으로 악화되어서, 이 레지스트들이 보지될 수 없어서 에칭공정에 있어서 패턴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서 볼 때, 공정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얼라이먼트 마크부 등으로부터 패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서 일드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얼라이먼트 마크부 등으로부터 패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서 일드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4는 종래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들이며,
도 4는 상기 방법의 최종공정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연속적으로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방법의 최종공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한 특정에 따라서, 기판 및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이 기판 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를 기판 상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절연층들 또는 복수의 전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돌출부의 복수의 절연층들 또는 전도층들은 기판상의 제품영역내의 패턴부에 설치된 복수의 절연층들 또는 전도층들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형성공정은, 복수의 절연층들 또는 전도층들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들을 포함한다. 이 복수의 절연층들 또는 전도층들은, 기판상의 제품영역내의 패턴부의 복수의 절연층들 또는 전도층들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시에 잔존하게된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 패턴은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배선패턴과 액세서리 패턴간의 높은 단차를 크게 저감할 수 있다. 그래서,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종래의 제조공정시의 공정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얼라이먼트 마크의 패턴분리 및 그 표면으로부터 액세서리 패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일드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하는 도면들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도 5∼9는 스택형 커패시터 구조의 DRAM 등의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을 연속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제조방법의 최종공정을 도시한다.
우선, 도 5에 있어서, P형 실리콘 반도체기판(1)상에 LOCOS법에 의해 약 400㎚정도의 두께를 가진 필드산화막을 선택적으로 형성해서 능동영역을 구획한다. 이 능동영역상에, 열산화법에 의해 약 15㎚정도의 두께를 가진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 게이트산화막상에 약 200㎚정도의 두께를 가진 제 1의 다결정실리콘층을 퇴적하고,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해서 이 표면을 패턴을 해서 게이트전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필드산화막 및 게이트전극을 마스크로 사용해서, 인 등의 불순물을 반도체기판(1)내로 주입해서, 그 표면 내에 N-형 확산층(LDD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SiO2층, BPSG 등의 제 1의 층간절연막을 반도체기판(1)의 전면에 퇴적하고, 제 2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진 비트선과 N-형 확산층을 접속하기 위한 접점을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및 드라이에칭(이방성) 기술을 사용해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2의 다결정실리콘층의 비트선을 형성한다. 이어서, 반도체기판(1)의 전면을 덮도록 다시 제 2의 층간절연막을 퇴적한 후, 제 3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이루어지는 스택형 커패시터 구조의 축적전극(도 6∼9를 참조)과 N-형 확산층을 접속하기 위한 접점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축적전극(3)을 형성하기 전에 퇴적된, 제 1의 층간절연막 및 제 2의 층간절연막이, 약 600∼700㎚의 두께를 가지는 층간절연막(2)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도 6에 있어서, 스택형 커패시터 구조의 축적전극(3)을 구성하는 약 600∼800㎚정도의 두께를 가진 제 3의 다결정실리콘층과, 플레이트전극(4)을 구성하는 약 200㎚정도의 두께를 가진 제 4의 다결정실리콘층을 각각 반도체기판(1)의 전면 상에 퇴적하며,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및 에칭기술을 사용해서, 축적전극(3) 및 플레이트전극(4)을 순차 형성한다. 이 때, 이 후의 공정에서 형성하는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하는 영역 아래에, 축적전극(3)을 구성하는 제 3의 다결정실리콘층 및 플레이트전극(4)을 구성하는 제 4의 다결정실리콘층의 부분을 층간절연막(2)상에 의도적으로 잔존시킨다.
이어서, 약 1500㎚정도의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진 제 3의 층간절연막(5)을 전면에 퇴적한다. 이 후, 축적전극(3)의 형성에 의해, 셀영역과 주변회로영역과의 사이에 생기는 단차를 저감하기 위해, 예를 들면 종래의 CMP(화학적 기계적 연마)기술 등을 사용해서, 약 300㎚정도의 연마를 표면에 행해서 평단화 한다. 또는, 예를 들면 (63)BHF등을 사용해서 에칭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평단화를 행해도 좋다.
도 7에서는,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과 에칭기술을 사용해서, W, AL등의 제 1의 상층배선(7)과 N-형 확산층을 접속하기 위한 접점과, 스트라이브선 영역(6)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전극(4)용의 제 4의 다결정실리콘층이 에칭 시에 마스크로서 작용하며, 후 공정에서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하는 영역 아래에, 축전전극(3)용의 제 3의 다결정실리콘층 및 층간절연막(2)의 부분을 잔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약 400∼500㎚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W, AL등의 제 1의 상층배선(7)을 상기 제 3의 층간절연막(5)상에 형성하고 나서, 제 1의 상층배선(7)을 덮기 위해, 예를 들면, 약 500㎚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플라스마-SiO2로 제조된 금속층간막(8a)을 퇴적한다. 그리고, 제 1의 상층배선(7)과 제 2의 상층배선(9)(도 8을 참조)을 접속하기 위한 접점(스루홀)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후 공정에서 제 2의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설치하는 영역 아래에, 상기 플라스마-SiO2의 금속층간막(8a)으로 이루어진 하지막(8b)을 퇴적한다.
도 8에서는, 종래의 스퍼터링법에 의해 약 800∼900㎚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W, AL 등의 제 2의 상층배선(9)을 전면 상에 퇴적하고 나서, 이 전면을 덮도록 포토레지스트막(10)을 도포한다.
마지막으로, 도 9에서는,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해서 포토레지스트막(10)을 패턴을 행해서, 제품영역내의 제 2의 상층배선(9)의 배선트레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제 1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a) 및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b)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품영역내의 제 1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a)와 얼라이먼트 마크를 구성하는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b)와의 단차의 높이는 약 500∼700㎚정도가 되며, 이것은 약 2200∼2400㎚인 종래의 경우와 비교해서 약 1500∼1700㎚정도가 대폭 저감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품영역내의 배선패턴과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과의 단차 높이를 크게 줄여서, 상기 두 패턴들 간의 포커스 길이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얼라이먼트 마크를 형성하기 위한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b)의 레지스트 형상을 높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개선시키고,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의 우수한 레지스트 형상을 보지해서, 패턴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 2의 레지스트 트레이스(10b)를 반도체기판 상에 퇴적된 스택형 돌출부(11)상에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부(11)는 종래의 하지막(8b) 및 제 2의 상층배선(9)에 대응하는 절연층 및 전도층과, 본 발명의 층간절연막(2), 축적전극(3) 및, 플레이트전극(4)에 대응하는 절연층 및 전도층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가 아닌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본 실시형태를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우선,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의 정밀도를 종래의 공정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개선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을, 예를 들어, 다결정실리콘층들과, 예를 들어, SiO2층 및 BPSG층으로 구성된 층간절연막을, 의도적으로 반도체기판(1)상에 잔존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상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을 제품영역내의 배선패턴보다 낮지 않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배선패턴과 액세서리 패턴간의 단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두 번째로, 상층배선공정의 에칭 시에, 얼라이먼트 마크의 패턴분리 및 이 표면으로부터의 액세서리 패턴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서, 패턴분리에 기인한 단락 등에 의한 일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제품영역내의 상층배선공정의 배선패턴과 일반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과의 단차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얼라이먼트 마크 등의 액세서리 패턴의 레지스트 형상의 극단적인 악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높은 정밀도를 가진 레지스트 형상을 획득할 수 있다.

Claims (12)

  1. 기판 및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의 전도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복수의 절연층들이, 상기 기판상의 제품영역내의 패턴부에 형성된 복수의 절연층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복수의 전도층들이, 상기 기판상의 제품영역내의 패턴부에 형성된 복수의 전도층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패턴이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7. 액세서리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기판 상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형성공정이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공정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형성공정이 복수의 전도층들을 형성하는 공정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층들이, 상기 기판상의 제품영역내의 패턴부에 복수의 절연층들을 형성하는 공정 시에 잔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층들이, 상기 기판상의 제품영역내의 패턴부에 복수의 전도층들을 형성하는 공정 시에 잔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패턴이 상층배선공정의 얼라이먼트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8-0041448A 1997-10-09 1998-10-01 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368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6886 1997-10-09
JP9276886A JPH11121327A (ja) 1997-10-09 1997-10-09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85A true KR19990036785A (ko) 1999-05-25
KR100368569B1 KR100368569B1 (ko) 2003-07-10

Family

ID=1757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448A KR100368569B1 (ko) 1997-10-09 1998-10-01 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69456B1 (ko)
JP (1) JPH11121327A (ko)
KR (1) KR100368569B1 (ko)
CN (1) CN11541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036A (ja) * 1999-07-21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15551B2 (ja) 2000-03-27 2003-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310716B4 (de) * 2002-12-23 2005-07-28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Justiermarken auf Halbleiterscheiben
DE102004014676B4 (de) * 2004-03-25 2009-05-1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integrierten Schaltungsanordnung mit Hilfsvertiefung, insbesondere mit Ausrichtmarken, und integrierte Schaltungsanordnung
US7572504B2 (en) * 2005-06-03 2009-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a polymer structure
US20100296074A1 (en) * 2009-04-30 2010-11-25 Nikon Corporation Exposure method,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2207676B (zh) * 2010-03-30 2013-04-03 Asml控股股份有限公司 使用光刻术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和系统
JP2010219541A (ja) * 2010-04-20 2010-09-30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79068B2 (ja) * 2011-10-03 2015-09-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2218A (ja) 1988-12-03 1990-06-12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82077A (ja) * 1989-08-24 1991-04-08 Nec Corp 半導体メモリ装置
JPH04290419A (ja) 1991-03-19 1992-10-1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174786B2 (ja) * 1991-05-31 2001-06-11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047688B2 (ja) 1993-08-02 2000-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21327A (ja) 1999-04-30
CN1214541A (zh) 1999-04-21
US6369456B1 (en) 2002-04-09
CN1154169C (zh) 2004-06-16
KR100368569B1 (ko)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569B1 (ko) 반도체장치및그제조방법
US20060276019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contacts on a wafer
US5763323A (en) Methods for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etching barrier layers and related structures
KR100341159B1 (ko) 2 개의 에칭 패턴을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0161425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형성 방법
KR100644526B1 (ko) 엠보싱형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386455B1 (ko) 복합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US2001004917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6249018B1 (en) Fabrication method to approach the conducting structure of a DRAM cell with straightforward bit line
KR19990067745A (ko) 하부 층에 고정된 얼라인먼트 마크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디바이스
KR101159112B1 (ko) 가변 용량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64116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95656B1 (ko) 반도체메모리제조방법
KR100712491B1 (ko) 다저항소자와 고정전용량의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5976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960011864B1 (ko) 반도체 소자의 도전배선 제조방법
KR100192927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0165491B1 (ko) 더미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278151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wiring detour around step
JPH08834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56785B1 (ko) 디램(dram) 소자의 적층형 캐패시터 제조 방법
US20050112858A1 (en) Contact hole forming method
KR0120548B1 (ko) 캐패시터의 마스크 공정 마진 확보를 위한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100163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CN118076091A (zh)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