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966A -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966A
KR19990013966A KR1019980028898A KR19980028898A KR19990013966A KR 19990013966 A KR19990013966 A KR 19990013966A KR 1019980028898 A KR1019980028898 A KR 1019980028898A KR 19980028898 A KR19980028898 A KR 19980028898A KR 19990013966 A KR19990013966 A KR 1999001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ttachment
groove
attachment device
fix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502B1 (ko
Inventor
미쯔루 마찌지마
Original Assignee
타카다 요시유키
에스에무시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5356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1396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타카다 요시유키, 에스에무시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카다 요시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1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15B15/2892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tuator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유체압실린더에 센서(2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21)를, 상기한 실린더의 지지봉(5)에 부착하기 위한 기단부(21a)와, 실린더튜브에 맞닿아 그 부착장치(21)의 자세를 결정하는 선단부(21b)로 구성한다. 상기한 기단부(21a)에는, 상기한 지지봉(5)을 끼워넣기 위한 제1부착홈(22)과, 끼워맞춰진 지지봉(5)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나사(26)가 설치되고, 상기한 선단부(21b)에는, 상기한 센서(20)를 위치조정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제2부착홈(23)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본 발명은 유체압실린더에 피스톤의 동작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부착하기 위한 센서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압실린더의 지지봉을 이용하여 상기한 센서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압실린더에는, 피스톤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기근접스위치 등의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튜브와 그 양단의 커버를 지지봉으로 결합한 구조의 실린더에 있어서는, 통상 상기한 지지봉을 이용하여 센서가 부착되어진다.
도 3 내지 도 5는 실린더(1)의 지지봉에 센서(10)를 부착하기 위한 공지된 부착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실린더(1)는, 원통형상의 실린더튜브(2)와, 그 축방향 양단에 설치한 헤드커버(3) 및 봉커버(4)를 복수개(도시된 예는 4개)의 지지봉(5)과 너트(6)에 의해 하나로 결합한 것이다. 상기한 실린더튜브(2) 내부를 기밀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의 외주면에는 위치검출용으로서 고리형상의 영구자석(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고, 이 영구자석을 상기한 센서(10)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의 도면부호 7은 피스톤봉, 3a와 4a는 압축공기배급용 포트, 8은 배기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피스톤의 속도를 조절하는 플러그이다.
센서(10)를 상기한 지지봉(5)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11)는, 지지봉(5)이 끼워맞춰지는 제1부착홈(12)과, 선단이 이 제1부착홈(12) 내에 개구된 복수개의 나사구멍(13)과, 이들 나사구멍(13)에 부착되는 제1고정나사(15)와, 상기한 나사구멍(13)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된 센서부착용 나사구멍(1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부착홈(12)에 지지봉(5)을 끼워맞추고, 제1고정나사(15)를 체결하여 그 선단을 지지봉에 눌러붙임으로써, 이 부착장치가 지지봉(5)의 긴 쪽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센서(10)는 몸체(16)의 측방에 돌출한 부착부(17)를 구비하고, 이 부착부(17)에 설치된 구멍(17a)을 통해 제2고정나사(18)를 상기한 나사구멍(14)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센서부착장치(11)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센서(10)는 그 저부가 실린더튜브(2)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봉(5)을 이용하면 센서를 간단히 부착할 수 있지만, 상기한 종래 센서부착장치는, 부착장치(11)에 센서(10)를 미리 부착해 두지 않으면, 이들 부착장치(11) 및 센서(10)를 지지봉(5)에 올바른 자세로 부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부착장치(11)만으로는 지지봉(5)의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그 부착각도가 정해지지 않으므로, 도 4에 도시하듯이,이 부착장치(11)에 센서(10)를 미리 부착하여 센서(10)가 실린더튜브(2)의 외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고정나사(15)를 체결하도록 하지 않으면, 이 부착장치(11)를 바른 각도로 지지봉(5)에 고정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부착장치는, 센서를 부착할 때의 작업에 제약이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그다지 좋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센서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제2고정나사(18)를 풀어서 센서(10)를 부착장치(11)로부터 분리하는 작업과, 제1고정나사(15)를 풀어서 그 부착장치(11)를 푸는 작업을 병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또한, 상기한 고정나사(15),(18)가 90°다른 방향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작업공간이 좁은 현장에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2방향에서 작업하는 중에는 상당한 곤란이 따른다. 그리고, 상기한 센서(10)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부착장치(11)의 고정을 풀어서 부착장치(11)와 센서(10)를 함께 지지봉(5)을 따라서 이동시키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부착장치에 센서를 미리 부착해 두지 않아도, 그 부착장치를 단독으로 실린더의 지지봉에 바른 자세로 부착할 수 있고, 따라서, 이 부착장치를 먼저 지지봉에 부착한 이후 센서를 부착하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부착시의 작업성이 좋은 센서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부착장치의 고정을 풀지 않고 센서만을 단독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시의 작업성을 높이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부착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와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를,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공구로 용이하게 회전조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와 부착장치로 이루어지는 센서용 부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부착장치는, 지지봉에 부착하기 위한 기단부와, 실린더튜브에 맞닿게 하여 부착장치의 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선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기단부에는, 상기한 지지봉이 끼워맞춰지는 제1부착홈과, 끼워맞춰진 지지봉에 부착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나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선단부에는, 상기한 센서를 실린더튜브의 축선방향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제2부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장치의 선단부를 실린더튜브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그 부착장치를 지지봉에 고정함으로써, 그 부착장치를 단독으로 지지봉에 바른 각도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착장치를 먼저 지지봉에 부착하고, 그 후에 센서만을 단독으로 이 부착장치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부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센서의 교환이나 위치조정 등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부착장치의 고정을 풀 필요 없이, 센서만을 단독으로 착탈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시의 작업성도 매우 좋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센서가 제2고정나사에 의해 부착홈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 제2고정나사와 상기한 부착장치용의 제1고정나사를 서로 같은 방향에 설치함으로써, 공구로 같은 방향에서 회전조작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작업공간을 2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고,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공구에 의해 상기한 작업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부착홈이 내부의 홈 폭보다 개구부의 홈 폭이 좁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한 센서가 이 부착홈의 내부 홈 폭보다 작지만 개구부의 홈 폭보다 큰 가로 폭을 가지고 있어서, 이 센서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한 제2고정나사를 돌려서 그 선단을 부착홈의 홈 바닥에 눌러붙임으로써, 그 센서를 부착홈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홈의 안쪽으로부터 눌러붙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부착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부착장치를 실린더의 지지봉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센서부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센서부착장치를 지지봉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부착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센서(20)가 부착되는 유체압실린더(1)는, 도 3에 도시한 실린더(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면의 주요한 동일 위치에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센서부착장치는, 실린더(1)에 있어서 피스톤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한 센서(20)와, 이 센서(20)를 실린더(1)의 지지봉(5)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부착장치(21)는, 지지봉(5)에 부착하기 위한 기단부(21a)와, 실린더튜브(2)의 외면에 맞닿아 부착장치(21)의 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선단부(21b)로 이루어져 있어, 선단이 구부러진 갈고리 모양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전체를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자성체 소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기단부(21a)에는, 상기한 지지봉(5)이 끼워맞춰지는 제1부착홈(22)과, 지지봉(5)의 중심에서 선단부(21b) 쪽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그 제1부착홈(22)을 향해 뚫어진 복수의 나사구멍(25)과, 각 나사구멍(25)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1고정나사(2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고정나사(26)를 체결하여 그 선단(26a)을 지지봉(5)에 눌러붙임으로써, 부착장치(21)를 지지봉(5)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1부착홈(22)은 지지봉(5)이 반원이상 끼워맞춰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한 선단부(21b)에는, 상기한 실린더튜브(2)의 외면에 빈틈없이 맞닿는 원호형상의 접촉부(24)와, 상기한 센서(20)를 실린더튜브(2)의 축선방향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제2부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부착홈(23)은 상기한 접촉부(24) 근처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2부착홈(23)은, 그 개구부의 가장자리(23a)를 안쪽을 향해 돌출시킴으로써, 개구부의 홈 폭이 내부의 홈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한 가장자리(23a)를 센서(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센서(20)는 상기한 부착홈(23)에 홈 단부로부터 삽입 가능한 가늘고 긴 몸체(28)를 가지고 있다. 이 몸체(28)의 가로 폭은 상기한 제2부착홈(23) 내부의 홈 폭보다 작지만 개구부의 홈 폭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어, 그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센서에는 또한 몸체(28)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1개의 나사구멍(28a)과, 그 나사구멍(28a)에 나사결합되는 제2고정나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고정나사(30)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33)에 의해 체결하여 그 선단을 부착홈(23)의 홈 바닥에 눌러붙이면, 센서(20)의 양 어깨부분이 부착홈(23)의 가장자리(23a)에 홈 안쪽으로부터 맞닿게 되어, 센서(20)가 부착홈(23)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도면부호 31은 센서(20)의 윗면에 형성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도면부호 32는 몸체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리드선이다.
상기한 부착장치(21)를 지지봉(5)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나사(26)와, 센서(20)를 부착장치(21)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나사(30)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들 고정나사(26),(30)를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로 같은 방향에서 회전조작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한 고정나사(26),(30)를 돌리기 위한 작업공간을 2방향에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공구로 상기한 작업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센서(20)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자기를 감지하는 자기근접스위치이지만, 다른 검출방식의 센서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한 피스톤에 부착된 금속에 흐르는 유도전류를 검출하는 고주파발신형인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센서부착장치로 상기한 센서(20)를 실린더(1)에 부착할 경우에는, 상기한 부착장치(21) 기단부(21a)의 제1부착홈(22)내에 지지봉(5)을 끼워맞추는 동시에, 선단부(21b)의 접촉부(24)를 실린더튜브(2)의 외면에 맞닿게 하여, 그 상태에서 제1고정나사(26)를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부착장치(21)를 지지봉(5)에 올바른 부착각도로 간단하며 또한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장치(21)의 제2부착홈(23)에 미리 센서(20)를 부착하여 둘 필요는 없지만, 이것을 부착해 두어도 상관없다. 또한, 제2고정나사(30)를 느슨하게 체결함으로써 센서(20)가 탈락되지 않을 정도로 임시로 고정해 두고, 부착장치(21)를 부착한 후에 그것을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한 센서(20)가 제2부착홈(23)에 미리 부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그 센서(20)를 상기한 제2부착홈(23)에 단부로부터 삽입하고, 그 부착홈(23)에 따른 위치조정을 시행한 후에, 느슨하게 있는 상기 제2고정나사(30)를 체결하여 선단을 홈 바닥에 눌러붙임으로써, 그 위치에 센서(2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부착장치(21)를, 그것에 센서(20)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지지봉(5)에 올바른 각도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착장치(21)를 먼저 지지봉(5)에 부착한 후에 센서(20)를 부착하는 것이나, 센서(20)를 부착한 부착장치(21)를 지지봉(5)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여, 부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센서(20)의 교환이나 위치조정 등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부착장치(21)를 고정하고 있는 제1고정나사(26)를 풀 필요 없이, 제2고정나사(30)만을 풀어 그 센서(20)를 단독으로 착탈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어, 관리시의 작업성도 대단히 좋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센서부착장치(21)가, 실린더튜브(2) 길이의 몇 분의 1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부착장치(21)는, 실린더튜브(2)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센서(20)의 부착위치를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서도, 그 부착장치(21)는 지지봉(5)에 고정한 채로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장치의 선단부를 실린더튜브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그 부착장치를 지지봉에 고정함으로써, 그 부착장치를 단독으로 지지봉에 바른 각도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착장치를 먼저 지지봉에 부착하고, 그 후에 센서만을 단독으로 이 부착장치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부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센서의 교환이나 위치조정 등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부착장치의 고정을 풀 필요 없이, 센서만을 단독으로 착탈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시의 작업성도 매우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센서가 제2고정나사에 의해 부착홈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 제2고정나사와 상기한 부착장치용의 제1고정나사를 서로 같은 방향에 설치함으로써, 공구로 같은 방향에서 회전조작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작업공간을 2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고,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공구에 의해 상기한 작업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동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그 센서를 실린더튜브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봉에 부착하기 위한 센서용 부착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부착장치가, 상기한 지지봉에 부착하기 위한 기단부와, 실린더튜브에 맞닿아 그 부착장치의 부착자세를 결정하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기단부에는, 상기한 지지봉이 끼워맞춰지는 제1부착홈과, 끼워맞춰진 지지봉에 부착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나사가 설치되고,
    상기한 선단부에는, 상기한 실린더튜브에 맞닿는 접촉부의 근처에, 상기한 센서를 실린더튜브의 축선방향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제2부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센서가 제2고정나사에 의해 부착홈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그 제2고정나사와 상기한 부착장치용의 제1고정나사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이들 고정나사를 공구로 같은 방향에서 회전조작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부착홈이, 내부의 홈 폭보다 개구부의 홈 폭이 좁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한 센서가, 그 부착홈 내부의 홈 폭보다 작지만 개구부의 홈 폭보다는 큰 가로 폭을 가지고 있어서, 그 센서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한 제2고정나사를 체결하여 그 선단을 부착홈의 홈 바닥에 눌러붙임으로써, 그 센서를 부착홈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홈의 안쪽으로부터 눌러붙여 고정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KR1019980028898A 1997-07-16 1998-07-16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KR100270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7187 1997-07-16
JP20718797A JP3295619B2 (ja) 1997-07-16 1997-07-16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取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66A true KR19990013966A (ko) 1999-02-25
KR100270502B1 KR100270502B1 (ko) 2000-11-01

Family

ID=1653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898A KR100270502B1 (ko) 1997-07-16 1998-07-16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89111A (ko)
JP (1) JP3295619B2 (ko)
KR (1) KR100270502B1 (ko)
CN (1) CN1094570C (ko)
DE (1) DE19827765C2 (ko)
IT (1) ITMI981640A1 (ko)
TW (1) TW3861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8001B4 (de) * 2000-08-04 2008-09-18 Balluff Gmbh Sensoranordnung
JP2002048108A (ja) * 2000-08-04 2002-02-15 Smc Corp 位置検出センサの取付構造
DE20110965U1 (de) 2001-07-03 2001-09-06 Festo Ag & Co Arbeitszylinder
JP3780187B2 (ja) * 2001-08-31 2006-05-31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用シリンダチューブ
DE10240976B4 (de) 2001-09-03 2005-07-07 Smc K.K. Sensorbefestigung für Stellgliedkörper
DE10241833A1 (de) * 2002-09-09 2004-03-18 Mettler-Toledo Gmbh Wechselarmatur mit einem Sensor
US7191641B2 (en) * 2002-10-24 2007-03-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otary position sensing assembl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85538B2 (ja) * 2002-10-30 2006-06-14 太陽鉄工株式会社 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04278783A (ja) * 2003-02-28 2004-10-07 Tokico Ltd 電磁サスペンション装置
ITBS20030093A1 (it) * 2003-10-10 2005-04-11 Gimatic Spa Attrezzo di taglio o di presa con dispositivo per rilevarne il compimento dell'azione.
DE20318620U1 (de) 2003-12-02 2004-03-04 Rexroth Mecman Gmbh Druckmittelzylinderanordnung mit Positionssensoren für die Positionserfassung der Kolbenstellung
KR100646954B1 (ko) 2005-10-07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장치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시스템
DE102006009115A1 (de) * 2006-02-24 2007-08-30 Sick Ag Klemmvorrichtung
CN201043548Y (zh) * 2007-04-23 2008-04-02 吴文胜 油电混合油缸
JP4529093B2 (ja) * 2007-12-19 2010-08-25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ピストン位置検出装置
DE102010005023A1 (de) * 2010-01-20 2011-07-21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90411 Sensor zum Einsatz in einem Kraftfahrzeug
US20110302841A1 (en) * 2010-06-14 2011-12-15 Hangzhou Sanford Tools Co., Ltd. Swing gate operator
JP5382591B2 (ja) * 2010-12-21 2014-01-08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
CN104595279A (zh) * 2015-03-02 2015-05-06 张琦 一种节能柱塞式气压缸
JP6403073B2 (ja) 2015-06-11 2018-10-10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403071B2 (ja) 2015-06-11 2018-10-10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519864B2 (ja) 2015-06-11 2019-05-29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519865B2 (ja) * 2015-06-11 2019-05-29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292483B2 (ja) 2015-06-11 2018-03-14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403072B2 (ja) 2015-06-11 2018-10-10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614489B2 (ja) * 2015-12-01 2019-12-04 Smc株式会社 位置検出センサ
CN105697452A (zh) * 2016-03-22 2016-06-22 周玉翔 一种带温度保护装置的大功率液压装置
DE102017003184A1 (de) * 2017-03-31 2018-10-04 Joimax Gmbh Einrichtung zum Halten eines elektromagnetischen Sensors
USD955944S1 (en) * 2017-04-20 2022-06-28 Dellner Bubenzer Germany Gmbh Braking unit column
JP6808182B2 (ja) * 2017-09-07 2021-01-06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6718584B2 (ja) * 2018-01-26 2020-07-08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JP1661954S (ko) * 2019-03-29 2020-06-22
JP1661955S (ko) * 2019-03-29 2020-06-22
JP1664828S (ko) * 2019-03-29 2020-07-27
JP1663520S (ko) * 2019-07-29 2020-07-13
USD924938S1 (en) 2019-07-29 2021-07-13 Hawe Hydraulik Se Housing portion for a hydraulic pump
JP1663497S (ko) * 2019-07-29 2020-07-13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456A (en) * 1976-10-04 1978-04-25 Cincinnati Milacron Inc. Mounting for magnetic switch
US4230023A (en) * 1977-12-05 1980-10-28 Scovill Manufacturing Company Clamping apparatus
JPS6120810A (ja) * 1984-07-09 1986-01-29 Nippon Denso Co Ltd 振動型角速度検出装置
US4594487A (en) * 1984-12-07 1986-06-10 Galland Henning Nopak, Inc. Mounting means for proximity sensing device
DE3525029C2 (de) * 1984-12-22 1995-08-31 Festo Kg Kolben-Zylinder-Anordnung
JPS61206810A (ja) * 1985-03-08 1986-09-13 C K D Seiki Kk 空圧または油圧シリンダのピストン位置検知器の取付装置
DE3516346C1 (de) * 1985-05-07 1986-04-3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lemm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Lagegebers an den Zuganker eines Druckmittelzylinders
US4752657A (en) * 1987-05-07 1988-06-21 Allied Automation Systems, Inc. Proximity switch mounting apparatus
US4800241A (en) * 1987-11-16 1989-01-24 Allied Automation Systems, Inc. Proximity switch mounting plate
WO1992008058A1 (en) * 1990-10-26 1992-05-14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Device for mounting position detecting sensor
DE9301708U1 (ko) * 1993-02-08 1993-05-27 Gerno Soyck Gmbh, 5885 Schalksmuehle, De
GB2316132B (en) * 1996-08-13 1999-02-17 Smc Kk Linear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81640A0 (it) 1998-07-16
KR100270502B1 (ko) 2000-11-01
US6089111A (en) 2000-07-18
ITMI981640A1 (it) 2000-01-16
DE19827765C2 (de) 2002-11-07
DE19827765A1 (de) 1999-01-28
JPH1137112A (ja) 1999-02-09
JP3295619B2 (ja) 2002-06-24
TW386143B (en) 2000-04-01
CN1205400A (zh) 1999-01-20
CN1094570C (zh)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502B1 (ko)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JP4099779B2 (ja)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取付機構
US6892594B2 (en) Mounting device for sensors
TWI267585B (en) Position detecting switch fixture for cylinder
TW200936895A (en) Piston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fluid pressure cylinder
US4652184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fastening a drill bell
KR100270503B1 (ko) 유체압실린더에 있어서의 센서부착장치
JP2012132499A (ja)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
JP4919902B2 (ja) 検知装置の取り付け装置
JPH021523Y2 (ko)
JPH0559212U (ja) 位置検出装置用取付装置
JP2000079573A (ja) ねじ挟着具
US10710205B2 (en) Query unit for toggle lever clamp
TWI747346B (zh) 感測器安裝具及流體壓力缸
JPH021524Y2 (ko)
JP2000046013A (ja) 機器における付属物の取り付け装置
JPH04126002U (ja) シリンダ装置
JP2554399Y2 (ja) シリンダ装置
KR200193094Y1 (ko) 캡이 장착된 드라이버
KR200249761Y1 (ko) 클립고정용 자동 클램프
KR19980029217U (ko) 탄성력을 이용하여 나사를 부착하는 드라이버
JPH0231866Y2 (ko)
JPH0719603U (ja)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
JPH0828518A (ja) 締結機構
JPH08149656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