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49A -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電子)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 the same) - Google Patents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電子)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49A
KR19980018949A KR1019970040414A KR19970040414A KR19980018949A KR 19980018949 A KR19980018949 A KR 19980018949A KR 1019970040414 A KR1019970040414 A KR 1019970040414A KR 19970040414 A KR19970040414 A KR 19970040414A KR 19980018949 A KR19980018949 A KR 1998001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contact
rotating member
shaft
oper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788B1 (ko
Inventor
준 스가하라
고지 오노
다쿠미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1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50Adjustable resis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switch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5Selecting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e.g. by clos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H01H19/585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provided with printed circuit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Abstract

부싱의 단면이 원형이고 부싱의 벽으로부터 연장한 구멍을 지닌다. 부싱 의 구멍은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를 형성하는 상부를 지닌다. 작동축은 부싱의 구멍을 통해 연장해 있다. 작동축은 작은 직경부와 큰 직경부를 형성하는 상부를 지닌다. 작동축은 부싱에 대해 원주로 회전할 수 있고, 부싱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축의 작은 직경부는 부싱의 구멍의 작은 직경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작동축의 큰 직경부는 부싱의 구멍의 작은 직경부보다 직경이 크다. 회전부품부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회전부재는 작동의 하부에 커플되어 있다. 회전부재는 작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자동축의 운동에 무관하게 정지된다. 제1접점은 회전부재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2접점은 탄성적이고 고정기판에 제공되어 있다. 제2접점은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1접점위를 회동한다. 푸쉬 스위치부는 회전부품부 아래에 위치해 있고, 작동축의 하단을 맞물린다. 푸쉬 스위치부는 작동축의 축방향 운동에 따라 작동축의 하단에 의해 프레스될 때 작동한다.

Description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電子)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오디오장비 또는 비디오장비와 같은 여러 전자장비에 이용되는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식 조작 전자소자 또는 컴퍼짓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푸쉬버튼을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 또는 컴퍼짓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5,180,050호는 축방향 및 회전운동을 위해 하우징에 설치된 스위치 액츄에이터가 축방향 상실운동 연결을 통하여 액츄에이터 축상의 회전스위치를 작동하는 푸쉬버튼 회전스위치를 개재하고 있다.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푸쉬버튼 스위치는 액츄에이터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한 반원판에 의해 맞물려있고, 액츄에이터의 회전위치에 대해 액츄에이터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동된다. 임의적으로, 판은 선택된 위치에서 푸쉬버튼을 디저블하기 위해 선택된 액츄에이터 회전위치에서 푸쉬버튼 스위치와 래지스터하는 구멍을 지닌다. 액츄에이터는 하우징내의 전구로부터 스위치 노브상의 인디케이터를 조사하기 위해 광전도 투명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내에 일체가되어 성형된 가요성 디텐트 핑거는 접촉감을 전달하기 위해 축방향 운동중 맞물린다.
미합중국 특허 제5,180,050호의 푸쉬버튼 스위치에서, 푸쉬버튼 스위치부와 회전 스위치부가 공통 노부에 의해 작동될 수가 있다. 이 노브는 푸쉬버튼 스위치부의 제어버튼과 회전스위치부의 제어축에 접속된 스탬의 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탬은 계단과 이 계단의 대향측에서 연장한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을 지닌다. 스탬의 작은 직경부는 하우징의 벽의 구멍을 통해 하우징에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의 벽의 구멍은 스탬의 큰 직경부보다 단면이 작다. 이 스탬이 정상위치를 취할 때, 스탬의 계단은 하우징의 벽과 인접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개량된 컴프짓장치 또는 푸쉬버튼을 지닌 개량된 회전 조작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개량된 컴프짓장치 또는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태양은 원형의 단면을 하고 부싱의 벽을 통하여 연장한 구멍을 지닌 부싱를 구비한 푸쉬버튼을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구멍은 작은 직경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큰 직경부를 형성하는 하부; 부싱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여 작은 직경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큰 직경부를 형성하는 하부를 지니고, 하우징에 대해 원주로 회전가능하고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자동축을 구비하고, 이 작동축의 작은 직경부는 하우징의 구멍의 작은 직경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작동축의 큰 직경부는 하우징 구멍의 작은 직경부보다 직경이 크고 ; 또한 회전부재를 구성하는 회전부품부 ; 이 회전부재를 작동축의 하부에 커플링하여 이 회전부재를 작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하고 작동축의 축방향 회전과 무관하게 정지시키는 수단 ; 고정기판 ; 회전부재의 하면에 고정된 제1 접점 ; 탄성적이고 고정기판에 제공되어 제1접점 아래에 위치하고 제1접점과 접촉하고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1접점위를 회동하는 제2접점 및 회전부품부 아래에 위치하여 작동축의 하단을 맞물리고 작동축의 축방향 운동에 따라 작동축의 하단에 의해 프레스될 때 작동하는 푸쉬 스위치부를 구비한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은 제1태양을 토대로 한 것이고, 작은 직경부와 하우징의 구멍의 부싱이 작은 직경부와 부싱의 구멍의 큰 직경부 사이의 경계선에서 계단을 지니고, 작동축은 작은 직경부와 큰 직경부 사이의 경계선에 계단을 지니고 부싱의 계단과 작동축의 계단은 작동축이 정상위치에 있을 때, 서로 접촉하는 푸쉬버튼을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태양은 제1태양을 토대로 한 것으로, 작동축이 작동축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서 아래고 연장한 핀을 지니는 푸쉬 스위치를 지니는 회전 조작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태양은 푸쉬 스위치의 부분과 회전부품부의 고정기판을 스위치 블록에 정확히 결합하는 단계 ; 참고로 역위된 U자모양의 결합부재를 이용함과 동시에 부싱, 자동축, 회전부재 및 스위치 블록을 역위된 U자모양의 결합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단계와 부싱, 작동축, 회전부재 및 스위치 블록을 함께 결합하기 위해 반전된 U자모양의 결합부재를 스위치 블록의 하면과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은 원주로 이동가능한 공통축 ;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이 회전부재의 회전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회전조작 전자부품 ; 회전조작 전자부품의 회전부재를 공통축과 커플링하여 공통축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부재를 회전하게 하고 공통축의 축방향 운동에 무관하게 정지하게 하는 키이 커플링 ; 축방향 가동 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 가동부재의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푸쉬 스위치 ; 축방향 가동부재를 공통축과 연결하여 축방향 가동부재가 공통축의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키이 커플링은 공통측과 회전조작 전자부품의 회전부재중 하나에 제공된 축방향으로 연장한 핀을 포함하고 축방향으로 연장한 핀은 나머지 공통축의 리세스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측방향으로 연장한 핀은 공통축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있는 컴퍼짓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술배경의 컴포짓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C자모양의 와셔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B-B을 택한 단면도.
도 4는 노브가 눌러진 기술배경의 컴포짓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 A-A을 택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선 C-C을 택한 단면도.
도 8은 작동축이 눌러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의 확대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스위치 블록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작동축, 102 : 부싱, 103 : 회전부재, 106 : 고정기판, 104 : 접촉판, 112 : 가동접점, 114 :중간판, 115 : 바인딩부재,
선행 기술의 컴퍼짓장치를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금속으로된 작동축(101)을 포함하는 선행기술의 컴퍼짓장치를 도시한다. 작동축(101)은 장치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는 부싱(102)의 원통구멍(102A)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작동축(101)은 부싱(102)의 벽에 대하여 원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작동축(101)은 부싱(102)의 벽에 대하여 원주로 회전할 수 있다. 작동축(101)은 부싱(102)의 벽에 대하여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작동축(101)은 부싱(102)의 벽에 대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축(101)의 상단(10lE)은 노브로 이용될 수 있는 큰 직경부를 형성한다. 노브(101E)는 장치의 하우징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작동축(101)은 상단(큰 직경부)(101E)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한 중간 직경 원통부(101A)를 지니고 있다. 중간 직경 원통형부(101A)와 상단(큰 직경부)(101E)사이의 경계선에 계단이 있다. 작동축(101)의 중간 직경 원통형부(101A)는 연장해서 구멍(102A)의 상단을 경유하여 부싱(102)의 원통형 구멍(102A)에 고정된다.
성형된 수지로 된 회전부재(103)는 장치 하우징에 연장되어 있다. 회전부재(103)는 디스크부(103A)와 원통형부(103B)를 지니고 있다. 디스크부(103A)의 바깥 직경은 원통형부(103B)의 바깥 직경보다 크다. 원통형부(103B)는 동축 방향으로 그리고 디스크부(103A)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부재(103)의 원통형부(103B)는 연장하여 구멍(102A)의 하단을 경유하여 부싱(102)의 원통형 구멍(102A)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부재(103)는 부싱(102)의 벽에 대하여 원주로 회전할 수 있다. 접촉판(104)은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판(104)은 회전부재(103)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103)의 원통형부(103B)는 원통형부(103B)의 벽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한 계단구멍(103C)을 지닌다. 계단구멍(103C)의 상부는 하부보다 단면이 크다. 계단구멍(103C)의 상부와 하부사이의 경계선에는 계단이 있다. 계단구멍(103C)은 원형이 아닌 단면을 한다.
작동축(101)은 중간 원통형부(101A)로부터 아래로 연장한 작은 크기의 계단축부(101B)가 회전부재(103)의 원통형부(103B)의 계단구멍(103C)으로 연장되어 있다. 작은 크기의 계단축부(101B)의 하부영역은 비원형 단면을 한다. 작은 크기의 계단축부(10lB)의 하부영역은 회전부재(103)의 원통형부(103B)의 계단구멍(103C)의 하부의 모양과 유사하다. 작은 크기의 계단측부(101B)의 히부영역은 계단부(103C)의 하부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계단축부(101B)의 하부영역은 계단구멍(103C)의 하부를 형성하는 회전부재(103)의 부분을 맞물린다. 작은 크기의 계단축부(101B)의 단면과 계단구멍(1()3C)의 하부의 단면이 비원형이기 때문에, 회전부재(103)는 작동축(101)과 함게 원주로 회전할 수 있다. 작은 크기의 계단축부(101B)의 하부영역은 회전부재(103)의 원통형부(103B)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축(101)은 회전부재(10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하면은 회전부재(103)의 원통형부(103B)의 계단구멍(103C)과 연통하는 중앙 리세스를 지닌다. 작동축(101)의 하부는 회전부재(103)의 원통형부(103B)의 계단구멍(103C)으로부터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중앙 리세스로 연장한다.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중앙 리세스의 작동축(101)의 하부는 워셔 또는 스넵(105)이 고정된 원주로 연장한 홈(101D)을 지닌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와셔(105)는 ''C자모양을 한다. 작동축(101)이 최상위 위치(정상위치)를 취할 때, C자모양의 와셔(105)는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중앙 리세스의 바닥을 형성하는 회전부재(103)의 벽에 접한다. 따라서, C자모양의 와셔(105)는 회전부재(103)와 작동축(101)의 분리를 방지한다.
부싱(102)의 하단은 고정기판(106)이 접촉하는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를 형성한다. 고정기판(106)은 부싱(102)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회전부재(103)는 부싱(102)의 플렌지와 고정기판(106)의 안쪽의 돌출부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촉판(104)은 내부 링 접점(104A)과 선형접점(104B)을 지닌다. 선형접점(104B)은 내부 링 접점(104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링 접점(104A) 및 선형접점(104B)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선형접점(104B)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벽은 선형접점(104B)사이의 공간에서 노출되어 있다. 전에 설명 했듯이, 회전부재(103)는 성형수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형접점(104B)은 절연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촉판(104)은 소정의 간격까지 고정기판(106)의 벽과 축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다. 3개의 탄성접점아암(107A,107B,107C)은 고정기판(106)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탄성접점아암(107A,107B,107C)은 팁(108A,108B,108C)을 지니고 있다. 탄성접점아암(107A)의 팁(108A)은 탄성접점아암(107A)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판(104)의 내부 링접점(104A)에 대해 압축된다. 접촉판(104)의 회전중, 즉 작동축(101)의 회전중, 탄성접점아암(107A)의 첨부(108A)가 접촉판(104)의 내부 링 접점(104A)과 접촉을유지한다. 탄성접점아암(107B)의첨부(108B)는 탄성접점아암(107B)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판(104)의 선형접점(104B) 또는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벽에 대하여 프레스된다. 접촉판(104)의 회전중, 즉 작동축(101)의 회전중, 탄성접점아암(107B)의 첨부(108B)는 제1전기펄스신호가 탄성접점아암(104A,107B) 사이에서 발생하도록 접촉판(104)의 선형접점(104B)중 하나 또는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벽을 연속적으로 교대로 만난다. 탄성접점아암(107C)의 첨부(108C)는 탄성접점아암(107C)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벽 또는 접촉판(104)의 선형접점(104B)중 하나에 대하여 프레스된다.
접촉판(104)의 회전중, 즉 작동축(101)의 회전중, 탄성접점아암(106C)의 첨부(108C)는 제2전기펄스신호가 탄성접점아암(107A,107C)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접촉판(104)의 선형접점(104B)과 회전부재(103)의 디스크부(103A)의 벽을 순차적으로 교대로 만난다. 탄성접점아암(107B)의 첨부(108B)의 위치는 접촉판(104)에 대한 원주방향으로 탄성접점아암(107C)의 첨부(108C)의 첨부와 오프셋트된다. 따라서, 제1전기펄스신호의 위상은 제2전기펄스신호의 위상과 다르다.
회전부재(103), 접촉판(104)및 탄성접점아암(107A, 107B, 107C)은 회전 엔코더(109)의 부분을 구성한다.
스위치기판(110)은 고정기판(106)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스위치기판(110)은 고정판(106)에 대해 접해 있다. 중앙고정접점(111A)과 외부고정접점(111B)은 스위치기판(110)의 상면에 제공되어 있다. 중앙고정접점(111A)의 중심은 작동축(101)의 축의 익스텐션에 있다.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의 하부 모서리는 외부고정접점(11lB)에 위치해 있다.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은 탄성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후술되어 있듯이,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은 중앙고정 접점(11lA)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중앙고정접점(111A), 외부고정접점(111B) 및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은 푸쉬 스위치(113)의 부분을 구성 한다. 중간판(114)은 돔 모양의 가동접점과 작동축(101)의 하단(101C)사이에 시이트되어 있다. 중간판(114)은 작동축(101)과 함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은 중간판(114)의 축방향 운동, 즉 작동축(101)의 축방향 운동에 따라 변형된다.
작동축(101)이 최상위치(정상위치)에 있을 때,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은 중앙고정접점(111A)과 분리 된다. 이 경우에, 중앙고정접점(11lA)은 외부고정 접점(111B)과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작동축(101)이 최상위 위치(정상위치)로부터 최하위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이 변형되고 외부고정접점(111B)과 접촉함과 동시에 중앙고정접점(111A)과 접촉한다. 이 경우에, 중앙고정접점(11lA)은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을 경유하여 외부고정접점(11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온/오프신호 또는 이전신호는 작동측(101)의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중앙고정접점(111A)과 의부고정접「넘(111B)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치기판(110)은 탄성 접촉아암(107A,107B,107C)에 전기 적으로 접속된 단자(116A,116B,116C)를 지지한다. 또한, 스위치기판(110)은 중앙고정접점(111A)과 외부고정접점(11l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한다.
휨부재(115)는 반전된 U자모양을 한다. 휨부재(115)의 상단은 부싱(102)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115A)를 지니고 있다. 휨부재(115)의 하부는 스위치기판(110)의 하면에 대해 프레스된 안쪽으로 연장한 플렌지(115B)를 지니고 있다. 부싱(102), 고정기판(106) 및 스위치기판(110)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는 휨부재(115)의 상부 플렌지(115A)와 하부 플렌지(115B)사이에서 함께 바인드된다. 바인딩부재(115)와 스위치기판(110)은 장치 하우징의 하부를 형성한다. 부싱(102)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 고정기판(106) 및 스위치기판(110)은 바인딩부재(115)의 다리사이의 영역에서 연장되어 있다.
작동축(101)이 노브(10lE)를 작동함으로써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부재(103) 및 접촉판(104)이 회전한다. 따라서, 탄성접촉아암(107A,107B,107C)은 내부링 접점(104A) 및 접촉판(104)의 선형접점(104B)에 대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펄스신호는 발생하여 탄성접점아암(107A,107B,107C)으로부터 단자(116A,116B,116C)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 작동축(101)의 회전에 무관하게 중앙고정접점(111A)과 분리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푸쉬 스위치(113)는 작동축(101)의 회전중 비작동이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동축(101)이 노브(101E)를 작동시킴으로써 축방향으로 눌러질 때, 작동축(101)의 하단(101C)은 중간판(114)을 경유해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을 아래로 누른다. 따라서, 돔 모양의 가동접점(112)은 변형되어 중앙고정접점(111A)과 접점됨과 동시에 외부공정접점(111B)과 접촉한다. 이 방식에서, 푸쉬 스위치(113)는 작동축(101)의 축방향 압축중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변경된다. 회전부재(103)는 작동축(101)의 축방향 이동과 무관하게 정지를 유지한다. 따라서, 회전 앤코더(109)는 작동축(101)의 축방향 누름동안 비작동을 유지한다.
도 1∼4의 선행기술의 컴포짓장치에 있어서, C자모양의 와셔(105)를 작동축(101)의 홈(101D)에 위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향이 있다· 회전부재(103)에 대해 작동축(101)의 축방향 운동을 하게 하기 위해, 작동축(101)의 작은 크기의 계단부(101B)와 계단구멍(103C)의 하부을 형성하는 회전부재(103)의 부분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 이 공간은 회전 앤코더(109)를 작동하기 위해 작동축(101)의 회전의 플레이 앵글(play angle)을 제공한다. 이러한, 플레이 앵글은 작동축(101)의 회전이 역위될 때 매우 넓다.
도 5는 본 발명의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 또는 컴퍼짓장치를 도시한다. 도 5의 컴퍼짓장치는 금속 다이케스팅으로된 부싱(21)을 포함한다. 부싱(21)은 장치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한다. 부싱(21)은 벽을 통해 연장한 것의 원통의 구멍(22)을 지닌다. 부싱(21)의 상단은 안쪽으로 연장한 플렌지를 지닌다. 부싱(21)의 하단은 작은 직경부(22A)와 큰 직경부(22B)를 지닌다. 작은 직경부(22A)는 원통형구멍(22)의 상단을 점유한다. 큰 직경부(22B)는 작은 직경부(22A)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작은 직경부(22A)와 원통형 구멍(22)의 큰 직경부(22B)사이의 경계선에는 계단(22C)이 있다.
거의 원통형의 작동축(23)은 부싱(21)의 원통형 구멍(22)을 통해 동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작동축(23)은 금속으로 되어 있다. 작동축(23)은 부싱(21)의 벽에 대해 원주로 회전할 수 있다. 작동축(23)은 부싱(21)의 벽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다시말해, 작동축(23)은 부싱(21)의 벽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축(23)의 상부(23A)는 노브로 이용되는 작은 직경부를 형성한다.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A)는 부싱(21)밖으로 위쪽으로 연장한다. 작동축(23)의 중간부(23B)는 작은 직경부(23A) 아래로 연장한 큰 직경부를 형성한다.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A)와 큰 직경부(23B)사이의 경계선에는 계단이 있다. 작동축(23)의 중간축(23B)의 직경은 부싱(21)의 원통형 구멍(22)의 작은 직경부(22A)의 직경 보다 크다. 작동축(23)의 큰 직경부(23B)는 부싱(21)의 원통형 구멍(22)의 큰 직경부(22A)에 요동할 수 있게 고정되어 있다. 작동축(23)의 하부(23C)는 큰 직경부(23B) 아래로 연장한 작은 직경부를 형성한다. 작동축(23)의 큰 직경부(23B)와 작은 직경부(23C) 사이의 경계선에 계단이 있다. 큰직경부(23B)와 작은 직경부(23C)사이의 경계선에 계단이 있다.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C)는 부싱(21)의 원통형 구멍(22) 밖으로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성형 수지로 된 회전부재(24)는 장치 하우징에 연장되어 있다. 회전부재(24)는 디스크부(24A)와 원통형부(24B)를 지니고 있다. 디스크부(24A)의 외측직경은 원통형부(24B)의 외측 직경보다 크다. 원통형부(24B)는 디스크부(24A)로부터 동축방향으로 위로 연장해 있다.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는 부싱(21)벽에 대하여 원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는 구멍(22)의 하단을 경유하여 부싱(21)의 원통형 구멍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판(4)은 회전부재(24)의 디스크부(24A)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판(4)과 회전부재(24)의 결합은 인서트를 이용하는 몰딩처리와 같은 적절한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접촉판(4)의 회전부재(24)와 하게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는 원형의 단면의 축방향으로 연장한 중앙구멍(24C)을 지닌다.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C)는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중앙 구멍(24C)을 통해 요동할 수 있게 연장되어 있다. 특히,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C)는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벽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C)는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벽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동축(23)은 큰 직경부(23B)와 작은 직경부(23C)사이에 계단을 형성하는 큰 직경부(23B)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한 오프 중심 핀(23D)을 형성한다. 오프 센터 핀(23D)은 작동축(23)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프 센터 펀(23D)은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C) 바깥으로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오프 센터 핀(23D)은 작동축(23)의 중앙에 대칭이다. 오프 센터 핀(23D)의 위치는 작동축(23)의 중심에 대해 대칭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는 상면으로 부터 연장한 오프 센터 리세스(24D)를 지니고 있다. 각각의 오프 센터 리세스(24D)는 원형의 단면을 지닌다. 오프 센터 리세스(24D)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이다. 오프 센터 리세스(24D)는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중앙 구멍(24C) 밖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작동축(23)의 오프 센터 핀(23D)은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오프 센터 리세스(24D)에 요동할 수 있게 고정 되어 있다. 작동축(23)의 오프 센터 핀(23D)은 회전부재(24)의 벽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작동축(23)의 오프 센터 핀(23D)은 회전부재(24)의 벽에 대하여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재(24)의 오프 센터 리세스(24D)로 연장한 작동축(23)의 오프 센터 핀(23D)은 작동축(23)과 회전부재(24)사이에 키이 커플링을 형성한다. 핀(23D)과 리세스(24D)는 오프세트된 구성을 하기 때문에, 키이 커플링에 의해 회전부재(24)가 작동축(23)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키이 커플링에 의해 작동축(23)이 회전부재(24)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회전부재(24)의 디스크부(24)의 하면은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중앙 구멍과 연통하는 중앙 리세스를 지닌다.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C)는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중앙구멍(24C)으로부터 회전부재(24)의 디스크부(24A)의 중앙 리세스에 연장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부싱(21)의 하단은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를 지닌다. 고정기판(6)은 부싱(21)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와 접촉한다. 고정기판(106)은 부싱(21)의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회전부재(24)는 부싱(21)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와 고정기판(6)의 안쪽 돌출부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촉판(4)은 내부 링 접점(4A)과 선형접점(4B)을 지니고 있다. 선형접점(4B)은 내부 링 접점(4B)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링 접점(4A)과 선형접점(4B)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선형접점(4B)은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회전부재(24)의 디스크부(24A)의 벽은 선형접점(4B)사이의 공간에서 노출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 했듯이, 회전부재(24)는 성형수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형접점(4B)은 절연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점(4)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기판(6)의 벽에 의해 축방향으로 분리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3개의 탄성접촉아암(7A, 7B, 7C)은 첨부(8A, 8B, 8C)를 지닌다. 탄성접점아암(7A)의 첨부(8A)는 탄성접점아암(7A)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판(4)의 내부 링 접점(4A)에 대하여 프레스된다. 접촉판(4)의 회전중, 즉 작동축(23)의 회전중, 탄성접점아암(7A)의 첨부(8A)는 접촉판(4)의 내부 링 접점(4A)과 접촉을 유지한다. 탄성접점아암(7B)의 첨부(8B)는 탄성접점아암(7B)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24)의 디스크부(24A)의 벽 또는 접촉판(4)의 선형접점(4B)중 하나에 프레스된다. 접촉판(4)의 회전중, 즉 작동축(23)의 회전중, 탄성접점아암(7B)의 첨부(8B)는 제1전기펄스신호가 탄성접점아암(7A, 7B)사이에서 발생하도록 접촉판(4)의 선형접점(4B)과 회전부재(24)의 디스크부(24)의 벽과 연속적으로 교대로 만난다. 탄성접점아암(7C)의 첨부(8C)는 탄성접점아암(7C)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24)의 벽 또는 접촉판(4)의 선형접점(4B)중 하나에 대하여 프레스된다. 접촉판(4)의 회전중, 즉 작동축(23)의 회전중, 탄성접점아암(7C)의 첨부(8C)는 제2전기펄스신호가 탄성접점아암(7A)과 (7C)사이에 발생할 수 있도록 접촉판(4)의 선형접점(4B)과 회전부재(24)의 디스크부(24A)를 순차적으로 교대로 만난다. 탄성접점아암(7B)의 첨부(8B)의 위치는 접촉판(4)에 대한 원주방향으로 탄성접점아암(7C)의 첨부(8C)의 위치와 오프셋된다. 따라서, 전기펄스신호의 위상은 제2전기펄스신호의 위상과 다르다.
회전부재(24), 접촉판(4) 및 탄성접점아암(7A, 7B, 7C)은 회전앤코더(25)의 부분을 구성한다.
스위치기판(10)은 고정기판(6)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스위치기판(10)은 고정기판(6)에 대해 접해 있다. 중앙고정판(11A) 및 외부고정접점(11B)은 스위치기판(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중앙고정접점(11A), 외부고정접점(11B) 및 스위치기판(10)의 결합은 인서트를 이용하는 몰딩처리와 같은 적절한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중앙고정접점(11A)의 중앙은 작동축(23)의 축의 익스텐션에 있다.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의 하부 모서리는 의부고정접점(11B)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은 외부고정접점(1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은 탄성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후술되어 있듯이, 돔 모양의 가동접점(12), 중앙고정접점(1lA)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는다. 중앙고정접점(11A), 외부고정접점(1lB)및돔모양의가동접점(12)은 푸쉬 스위치(26)의 부분을 구성한다. 중간판(14)은 작동축(23)의 하단과 돔모양의 가동접점(12)사이에 시이트되어 있다. 중간판(14)은 작동축(23)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은 중간판(14)의 축방향 운동, 즉 작동축(23)의 축방향 운동에 따라 변형된다.
작동축(23)이 최상의 위치(정상위치)에 있을 때,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이 중앙고정접점(11A)과 분리 된다. 이 경우에 , 중앙고정접점(11A)은 외부고정접점(11B)과 전기 적으로 분리된다. 작동축(23)이 최상위치(정상위치 )로부터 최하위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이 변형되어 접점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외부고정접점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중앙고정접점(11A)은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을 경유하여 외부고정접점(1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온/오프신호 또는 이전신호는 중앙고정접점(11A)과 외부고정접점(11B)사이에서 작동축(23)의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치기판(10)은 단자(16A, 16B, 16C)를 지지하는데 이들의 단자는 탄성접촉아암(7A, 7B, 7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기판(10)은 단자(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지지하는데 이들은 중앙고정접점(11A)과 외부고정접점(11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바인딩부재(15)는 거의 역위의 U자모양을 한다. 바인딩부재(15)의 상부는 부싱(21)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의 상면과 접촉하는 안쪽으로 연장한 플렌지(15A)를 지닌다. 바인딩부재(15)의 하부는 스위치기판(10)의 하면에 대해 프레스된 안쪽으로 연장한 플렌지(15B)를 지닌다. 바깥쪽으로 연장한 부싱(21)의 플렌지, 고정기판(6) 및 스위치기판(10)은 바인딩부재(15)의 상부 플렌지(15A) 및 하부 플렌지(15B)사이에서 함께 결합되어 있다. 바인딩부재(15) 및 스위치기판(10)은 바인딩부재(15)의 다리사이의 영역에서 연장되어 있다. 부싱(21)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 고정기판(6) 및 스위치기판(10)은 바인딩부재(15)의 다리사이의 영역에 연장되어 있다.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은 작동축(23)을 중간판(14) 위쪽으로 밀친다. 누르는 힘이 없이, 작동축(23)은 최상위 위치(정상위치)에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의 힘에 의해 유지된다. 작동축(23)이 최상위 위치(정상위치)에 있을 때,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A)와 큰 직경부(23B)사이의 단계(23E)가 원통형 구멍(22)의 작은 직경부(22A)와 큰 직경부(22B)사이의 게단(22C)을 형성하는 부싱(21)의 내면에 대해 프레스된다. 작동축(23)과 부싱(21)사이의 맞물림은 부싱(21)과 작동축(23)의 분리를 방지한다.
작동축(23)이 작은 직경부(23A)를 작동함으로써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부재(24)와 접촉판(4)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접점아암(7A, 7B, 7C)의 첨부(8A, 8B, 8C)는 내부 링 접점(4A)과 접촉판(4)의 선형접점(4B)에 대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펄스신호가 발생하여 탄성접점아암(7A, 7B, 7C)으로부터 단자(16A, 16B, 16C)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은 작동축(23)의 회전에 무관하게 중앙고정접점(11A)과 분리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푸쉬 스위치(26)는 작동축(23)의 회전동안 작동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동축(23)이 상단을 작동하여 눌러질 때, 작동축(23)의 하단이 중간판(14)을 경유하여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돔 모양의 가동접점(12)이 변형되고 중앙고정접점(11A)과 접촉함과 동시에 외부고정접점(11B)과 접촉을 유지한다. 회전부재(24)는 작동축(23)의 축방향 운동에 무관하게 정지된다. 따라서, 회전앤코더(25)는 작동축(23)의 축방향 누룸동안 작동하지 않는다.
작동축(23)과 회전부재(24)사이의 키이 커플링에서, 오프 센터 핀(23D)의 위치는 작동축(23)의 축의 위치, 즉 작동축(23)의 회전중심의 위치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있다. 이와 유사 하게, 오프 센터 리세스(24D)의 위치는 회전부재(24)의 축의 위치, 즉 회전부재(24)의 회전중심의 위치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회전 앤코더(25)를 작동하기 위해 작동축(23)의 회전의 플레이앵글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의 컴퍼짓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제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바인딩부재(15)가 마련된다. 바인딩부재(15)의 상단은 안쪽으로 연장한 플렌지(15A)와 중앙구멍(15D)을 지닌다. 바인딩부재(15)는 서로 대향하는 다리(15C)를 지닌다. 부싱(21)은 원통형부(21A)의 하단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한 원통형부(21A)와 플렌지(21B)를 지닌다. 부싱(21)이 아래로부터 바인딩부재(15)의 다리(15C)사이의 영역에 위치한다. 부싱(21)의 원통형부(21A)는 바인딩부재(15)의 중앙개구부(15D)를 통과한다. 부싱(21)의 바깥쪽으로 연장한 플렌지(21B)는 바인딩부재(15)의 안쪽으로 연장한 플렌지(15A)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 작동축(23)이 아래로부터 부싱(21)의 원통형구멍(22)으로 위치된다.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23A)는 부싱(21)의 상단에서 개구부를 통과하는 반면 작동축(23)의 큰 직경부(23B)는 부싱(21)의 원통형 구멍(22)으로 이동한다. 다음 회전부재(24)는 아래로부터 작동축(23)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 단계동안, 작동축(23)의 작은 직경부는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중앙구멍(24C)을 통과 하는 반면, 작동축(23)의 오프 센터 핀(23D)은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오프 센터 핀(23D)에 끼워진다.
다음, 고정기판(6)과 스위치기판(10)을 포함하는 스위치 블록(27)은 아래로 부터 바인딩부재(15)의 다리(15C)사이의 영역에 위치한다. 바인딩부재(15)의 다리(15C)의 하부 모서리(1또)는 위쪽으로 스위치기판(10)의 하면을 누르도록 안쪽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의 컴퍼짓장치가 완료된다.
스위치 블록(27)은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제조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돔 모양의 가동접점(12)과 중간판(14)은 스위치기판(10)에 연속적으로 위치된다. 다음, 고정기판(6)이 스위치기판(10)에 위치된다. 이 단계중, 고정기판(6)의 아래로 연장한 펀(6A)은 스위치기판(10)의 계단구멍(10A)에 끼워져 있다. 고정기판(6)의 아래로 연장한 핀(6A)의 하부는 프레스되어 구멍(10A)에 계단을 형성하는 스위치기판(10)의 벽과 맞물려서 변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돔 모양의 가동접점(12), 중간판(14) 및 고정기판(6)이 스위치 블록(27)에 결합된다.
스위치 블록(27)은 도 5 내지 도 8의 컴포짓장치의 조립전에 조립된다. 도 5 내지 도 8의 컴포짓장치의 조립중, 바인딩부재(15)가 참고로 이용되었고, 또 다른 부품이 한쪽방향, 즉 위쪽방향에 대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8의 컴퍼짓장치의 조립이 효율적으로 쉽게 수행된다.
회전부재(24)의 원통형부(24B)의 오프 센터 리세스(24D)의 수와 작동축(23)의 오프 센터 핀(23D)의 수는 두 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프센터핀(23D)의 수와 오프 센터 리세스(24D)의 수는 3개 이상으로 될 수 있다.
없다.

Claims (5)

  1. 원형의 단면을 하고 부싱의 벽을 통하여 연장한 구멍을 지닌 부싱를 구비한 푸쉬버튼을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구멍은 작은 직경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큰 직경부를 형성하는 하부; 부싱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여 작은 직경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큰 직경부를 형성하는 하부를 지니고, 하우징에 대해 원주로 회전가능하고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작동축을 구비하고, 이 작동축의 작은 직경부는 하우징의 구멍의 작은 직경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작동축의 큰 직경부는 하우징 구멍의 작은 직경부보다 직경이 크고; 또한 회전부재를 구성하는 회전부품부;이 회전부재를 작동축의 하부에 커플링하여 이 회전부재를 작동축과 함께 회전하게 하고 작동축의 축방향 회전과 무관하게 정지시키는 수단 ; 고정기판 ; 회전부재의 하면에 고정된 제1접점 ; 탄성적이고 고정기판에 제공되어 제1접점 아래에 위치하고 제1접점과 접촉하고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제1접점위를 회동하는 제2접점 및 회전부품부 아래에 위치하여 작동축의 하단을 맞물리고 작동축의 축방향 운동에 따라 작동축의 하단에 의해 프레스될 때, 작동하는 푸쉬 스위치부를 구비한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은 직경부와 하우징의 구멍의 부싱이 작은 직경부와 부싱의 구멍의 큰 직경부 사이의 경계선에서 계단을 지니고, 작동축은 작은 직경부와 큰 직경부 사이의 경계선에 계단을 지니고, 부싱의 계단과 작동축의 계단은 작동축이 정상위치에 있을 때, 서로 접촉하는 푸쉬버튼을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축이 작동축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서 아래로 연장한 핀을 지니는 푸쉬 스위치를 지니는 회전조작 전자부품.
  4. 푸쉬 스위치의 부분과 회전부품의 고정기판을 스위치 블록에 정확히 결합하는 단계 ; 참고로 역위된 U자모양의 결합부재를 이용함과 동시에 부싱, 자동축, 회전부재 및 스위치 블록을 역위된 U자모양의 결합부재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재하는 단계와 부싱, 작동축, 회전부재 및 스위치 블록을 함께 결합하기 위해 반전된 U자모양의 결합부재를 스위치 블록의 하면과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 전자부품 제조방법.
  5. 원주로 이동가능한 공통축 ;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이 회전부재의 회전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회전조작 전자부품 ; 회전조작 전자부품의 회전부재를 공통축과 커플링하여 공통축의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부재를 회전하게 하고 공통축의 축방향 운동에 무관하게 정지하게 하는 키이 커플링 ; 축방향 가동부재를 포함하고 축방향 가동부재의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푸쉬 스위치 ; 축방향 가동부재를 공통축과 연결하여 축방향 가동부재가 공통축의 축방향 운동에 응답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키이 커플링은 공통축과 회전조작 전자부품의 회전부재중 하나에 제공된 축방향으로 연장한 핀을 포함하고, 축방향으로 연장한 핀은 나머지 공통축의 리세스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한 핀은 공통측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있는 컴퍼짓장치.
KR1019970040414A 1996-08-23 1997-08-23 푸쉬스위치를지닌회전조작형전자부품및이를제조하는방법 KR100317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2118 1996-08-23
JP22211896A JP3763169B2 (ja) 1996-08-23 1996-08-23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49A true KR19980018949A (ko) 1998-06-05
KR100317788B1 KR100317788B1 (ko) 2002-04-24

Family

ID=1677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414A KR100317788B1 (ko) 1996-08-23 1997-08-23 푸쉬스위치를지닌회전조작형전자부품및이를제조하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47335A (ko)
JP (1) JP3763169B2 (ko)
KR (1) KR100317788B1 (ko)
CN (1) CN1056462C (ko)
TW (1) TW35895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078B1 (ko) * 2000-03-09 2003-12-3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100447318B1 (ko) * 2002-02-18 2004-09-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합스위치 방식의 브로워스위치
KR100456563B1 (ko) * 2002-08-3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터리형 무접점 인포메이션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501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3437054B2 (ja) * 1997-05-12 2003-08-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入力スイッチ
JP3951357B2 (ja) 1997-05-27 2007-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6160225A (en) * 1997-07-03 2000-12-12 Alp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JPH1139998A (ja) * 1997-07-16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型エンコーダ
JP3549377B2 (ja) * 1997-10-08 2004-08-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JP3410007B2 (ja) * 1997-11-26 2003-05-26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キースイッチ
JP3766207B2 (ja) * 1998-05-25 2006-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3595838B2 (ja) * 1998-08-04 2004-12-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機器用複合スイッチ
JP4019515B2 (ja) 1998-08-21 2007-1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動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端末機器
JP3855498B2 (ja) * 1998-10-23 2006-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853587A1 (de) * 1998-11-20 2000-05-25 Fahrzeugklimaregelung Gmbh Schaltvorrichtung
JP4055281B2 (ja) * 1999-02-10 2008-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587721B2 (ja) * 1999-04-12 2004-11-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クリック付き回転型電気部品
FR2796755B1 (fr) 1999-07-21 2001-09-07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organe unique d'actionnement rotatif et axial
TW508606B (en) * 1999-07-27 2002-11-01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CH693347A5 (fr) * 1999-09-02 2003-06-13 Eao Ag Bouton-poussoir rotatif à impulsion.
JP3763711B2 (ja) * 1999-10-19 2006-04-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US6262378B1 (en) * 2000-05-03 2001-07-17 Shin Jiuh Corp. Rotary switch
US6236002B1 (en) * 2000-05-03 2001-05-22 Shin Jiuh Corp. Multiple switch assembly including cam operated rotary switch contacts and axially located pushbutton switch
JP2001325859A (ja) * 2000-05-16 2001-11-22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3789733B2 (ja) 2000-07-06 2006-06-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スイッチ
DE10139377A1 (de) * 2001-08-20 2003-03-13 Creative Technology Hong Kong Druckknopfanordnung für eine Taschenlampe
JP3864812B2 (ja) * 2002-03-07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US6674026B2 (en) 2002-05-10 2004-01-06 Tektronix, Inc. Rear mounted integrated rotary encoder including a pushbutton switch
US7105754B2 (en) * 2003-06-03 2006-09-12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control assembly for use in electric guitars
KR100804790B1 (ko) 2004-03-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
DE102004047573A1 (de) * 2004-09-27 2006-04-06 Hensoldt Ag Beleuchungsvorrichtung für ein Zielfernrohr
US20060243122A1 (en) * 2005-05-02 2006-11-02 James Carson Musical instrument mounting adapter
JP4687246B2 (ja) * 2005-05-31 2011-05-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型電子部品
US9186742B2 (en) * 2009-01-30 2015-11-17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wave brazing process and assemblies and materials therefor
US8198555B2 (en) * 2009-04-22 2012-06-12 Honda Motor Co., Ltd Multi-positio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screen
TWI423291B (zh) * 2010-09-03 2014-01-11 Primax Electronics Ltd 旋鈕機構
CN102412082A (zh) * 2010-09-21 2012-04-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旋钮机构
WO2012089508A1 (en) * 2010-12-30 2012-07-05 Arcelik Anonim Sirketi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knob which operates silently
US8901443B2 (en) 2012-08-10 2014-12-02 Honda Motor Co., Ltd. Multi-positio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screen
US9542016B2 (en) 2012-09-13 2017-01-10 Apple Inc. Optical sensing mechanisms for input devices
JP6559072B2 (ja) 2013-02-19 2019-08-14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軸方向スイッチを含む回転センサモジュール
WO2014128155A1 (en) 2013-02-19 2014-08-28 Novo Nordisk A/S Dose capturing cartridge module for drug delivery device
US9750886B2 (en) 2013-02-19 2017-09-05 Novo Nordisk A/S Drug delivery device with dose capturing module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5021391A1 (en) 2013-08-09 2015-02-12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15036072A (ja) * 2013-08-14 2015-02-23 株式会社北電子 操作スイッチ装置及び遊技機
EP3071262B1 (en) 2013-11-21 2020-04-08 Novo Nordisk A/S Rotary sensor assembly with space efficient design
JP6786389B2 (ja) 2013-11-21 2020-11-18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軸方向スイッチおよび冗長化機構を備えた回転センサアセンブリ
EP3071260A1 (en) 2013-11-21 2016-09-28 Novo Nordisk A/S Rotary sensor module with resynchronization feature
DE102013226502A1 (de) 2013-12-18 2015-06-18 Tes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kurzkettiger Makromoleküle auf Styrolbasis
JP6308458B2 (ja) * 2014-02-06 2018-04-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
US10048802B2 (en)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9797752B1 (en) 2014-07-16 2017-10-24 Apple Inc. Optical encoder with axially aligned sensor
US10190891B1 (en) *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CN105321759B (zh) * 2014-07-31 2017-09-12 深圳市艾维普思科技有限公司 一种模式切换开关
US10066970B2 (en) 2014-08-27 2018-09-04 Apple Inc. Dynamic range control for optical encoders
US9797753B1 (en) 2014-08-27 2017-10-24 Apple Inc. Spatial phase estimation for optical encoders
WO2016036747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145711B2 (en) 2015-03-05 2018-12-04 Apple Inc. Optical encoder with direction-dependent optical properties having an optically anisotropic region to produce a first and a second light distribution
WO2016144919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Compressible seal for rotatable and translatable input mechanisms
US9952682B2 (en) 2015-04-15 2018-04-24 Apple Inc. Depressible keys with decoupled electrical and mechanical functionality
US10018966B2 (en) 2015-04-24 2018-07-10 Apple Inc. Cover member for an input mechanism of an electronic device
JP6469551B2 (ja) * 2015-08-27 2019-0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US9891651B2 (en) 2016-02-27 2018-02-1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211293787U (zh) 2018-08-24 2020-08-18 苹果公司 电子表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231739B2 (en) 2019-12-23 2022-01-25 Neural DSP Technologies Oy Gyral-linear actuator for encoder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US11635786B2 (en) 2020-06-11 2023-04-25 Apple Inc. Electronic optical sensing device
SE2100056A1 (sv) * 2021-04-22 2022-10-23 Kjell Johansson Grafisk ton- och volymkontrollratt för elektroniska gitarr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0382A (en) * 1973-02-12 1976-12-28 Honeywell Inc. Adjustable mechanism for control devices
US4363018A (en) * 1980-11-03 1982-1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s of rotary type
JPS57101313A (en) * 1980-12-15 1982-06-23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Limit switch
US4463231A (en) * 1982-08-26 1984-07-31 Cts Corporation Push-push switch
US4724286A (en) * 1986-07-01 1988-02-09 Power Controls Corp. Adaptable rotary power control switch
US4866219A (en) * 1988-05-05 1989-09-12 Bourns, Inc. Modular encoder and switch assembly
TW197528B (ko) * 1991-09-19 1993-01-01 Mitsubishi Electric Machine
US5180050A (en) * 1991-10-15 1993-01-19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Pushbutton rotary switch
JP2916842B2 (ja) * 1992-11-11 1999-07-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画面表示制御装置
JP2562346Y2 (ja) * 1992-11-12 1998-02-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US5436413A (en) * 1993-09-17 1995-07-25 Hosiden Corporation Multiple staged rotary switch
JPH08167348A (ja) * 1994-12-14 1996-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5581058A (en) * 1995-02-03 1996-12-0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ultifunction switch stalk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US5588524A (en) * 1995-10-06 1996-12-31 Wu; Ching-Lung Push wheel swi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078B1 (ko) * 2000-03-09 2003-12-3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100447318B1 (ko) * 2002-02-18 2004-09-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합스위치 방식의 브로워스위치
KR100456563B1 (ko) * 2002-08-3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터리형 무접점 인포메이션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63169B2 (ja) 2006-04-05
US5847335A (en) 1998-12-08
KR100317788B1 (ko) 2002-04-24
TW358953B (en) 1999-05-21
CN1175784A (zh) 1998-03-11
JPH1064705A (ja) 1998-03-06
CN1056462C (zh) 200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8949A (ko)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電子)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 the same)
US7132615B1 (en) Switchpad for a pushbutton switch assembly
EP2755219B1 (en) Switch
US5952628A (en) Multiple-way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EP0750327B1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US7498527B2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JP2001325859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KR0182257B1 (ko) 작동레버
EP10491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US6268577B1 (en) Push-pull switch operator
KR100411969B1 (ko) 스위치 작동 기구
JPH07245042A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
JPH08329785A (ja) スイッチ装置
JP2001196207A (ja) クリック付回転型電気部品
JP2001325860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593130Y2 (ja) 複合操作形スイッチ
JP2539073Y2 (ja) 押釦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2170462A (ja) 揺動操作型電気部品
JP2003303532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KR100320338B1 (ko)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JPH0421228Y2 (ko)
KR0143520B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200201564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エンコーダ
KR20010109759A (ko) 펄스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