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257B1 - 작동레버 - Google Patents

작동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257B1
KR0182257B1 KR1019910700415A KR910700415A KR0182257B1 KR 0182257 B1 KR0182257 B1 KR 0182257B1 KR 1019910700415 A KR1019910700415 A KR 1019910700415A KR 910700415 A KR910700415 A KR 910700415A KR 0182257 B1 KR0182257 B1 KR 018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andle
contact member
contact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719A (ko
Inventor
스코왈드 케니츠
스티니비 잔
Original Assignee
레이프 라손
스칸드메크 메카니아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8902828A external-priority patent/SE8902828D0/xx
Application filed by 레이프 라손, 스칸드메크 메카니아 에이비 filed Critical 레이프 라손
Publication of KR92070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6Signals to a clutch outside the gear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 H01H2009/06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having switches mounted on a control handle, e.g. gear shift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레버는 손잡이부분(1) 및 기다란 레버부분(2)으로 구성된다. 기다란 레버부분(2)의 한쪽 단부에는 손잡이부분이 달려 있는데 작동기구에 연결된 상기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손잡이 부분에는 전기 스위치(14, 12)가 제공되어 있다. 손잡이부분(1)은, 레버부분의 종축(3)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내부에 상기 레버부분의 단부(10)가 돌출해 있는 공동(4)을 가진다. 공동(4) 내에는 레버부분의 단부(10)의 외주면(12)에 대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11)이 있다. 이 공간내에는 링형상의 탄성중심부재(13)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한쪽 주위면은 상기 내주면(11)과 접촉하고, 다른쪽 주위면은 레버부분의 상기 단부(10) 및 적어도 하나의 링형상의 가동접점부재(14)와 접촉하여 상기 가동접점부재(14)가 스위치의 일부로서 손잡이 부분에 연결되어서 손잡이 부분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심부재(13)가 가동접점부재(14)를 레버부분의 단부(10)에 대해 그 중심에 위치시킨다. 가동접점부재가 상기 손잡이부분에 대한 중립위치에서 상기 단부(10)에 대한 틈새를 가진다.(상기 단부(10)는 스위치의 일부인 고정접점부재로서 작용한다) 손으로 상기 손잡이 부분을 레버부분에 대해서 반경 방향 어느쪽으로든 이동시키면, 상기 링형상의 접점부재가 다른 접점부재와 접촉하는 여러 접촉위치들 중 어느 한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작동레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제4도의 선 Ⅰ-Ⅰ을 따라서 취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의 축방향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라서 취해진 레버의 반경방향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4도의 선 Ⅲ-Ⅲ을 따라서 취해진 레버의 축방향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1도의 선 Ⅳ-Ⅳ를 다라서 취해진 레버의 반경방향 단면도이고,
제5도는 레버가 작동위치에 있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이고,
제6도는 제1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버의 축방향 단면도이고,
제7도는 제6도의 선 Ⅶ-Ⅶ를 따라서 취해진 레버의 반경방향 단면도이고,
제8도는 제6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버의 축방향 단면도이고, 그리고
제9도는 제8도의 선 Ⅸ-Ⅸ를 따라서 취해진 레버의 반경방향 단면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작동레버, 특히 전기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손잡이부분과, 작동기구에 연결된 한쪽 단부가 상기 손잡이 부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기다란 레버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동레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본 발명은 스위치를 서로 다른 여러 연결위치로 변화시키도록 손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전기 스위치가 배열되어 있는 손잡이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유형의 작동레버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레버에 있는 오버드라이브 기어(overdrive gear)를 스위치 조작하기 위하여 레버 내에 손으로 조작될 수 있는 푸쉬 스위치와 같은 전기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비행기의 작동에 있어서는, 조이스틱(joy sticks) 내에 여러 가지 유형의 스위치를 배열시켜 놓고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스위치의 변화에 의해서 가능한 한 자동으로 작동하여서 여러 가지 접촉 가능을 최대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레버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레버에 의해서 달성된다. 레버의 손잡이 부분은, 레버부분이 종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레버부분의 한쪽 단부가 뻗어 있는 공동이 상기 손잡이부분 내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공동 내에는 상기 레버부분의 상기 단부의 외주면에 대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이 있다. 이 공간 내에는 링 형상의 탄성중심부재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한쪽 주위면은 상기 내주면과 접촉하고 다른쪽 주위면은 상기 레버부분의 상기 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링 형상의 가동접점부재와 접촉하여 있으며, 상기 가동접점부재가 스위치의 일부로서 상기 손잡이부분에 연결되어서 상기 손잡이부분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심부재가 상기 가동접점부재를 상기 레버부분의 단부에 대해 그 중심에 위치시킨다. 상기 가동접점부재가 상기 손잡이부분에 대한 중립위치에서 상기 레버부분의 상기 단부에 대한 틈새를 가진다. 상기 단부는 스위치의 일부인 고정접점부재로서 작용한다.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분을 상기 레버부분에서 대해서 상기 반경 방향 어느 쪽으로든 이동시키면 상기 링형상의 접점부재가 다른 접점부재와 접촉하는 여러 접촉위치들 중 어느 한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레버는, 어떤 장치의 일부이거나 이 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레버와 함께 작동하는 수단의 전기적 작동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의 기계적인 변환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레버의 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서로 다른 기어 위치를 사이에서 손으로 기어 변속을 하기에 적합한 레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는 손잡이부분(1)과, 도면에 위쪽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는 레버부분(2)과로 이루어져 있다. 레버부분(2)의 상단부는 손잡이부분(1)과 연결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회전작동이 가해지거나 이러한 작동을 전달하는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분(1)은 옆쪽으로 즉, 레버부분이 종축(3)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레버부분(20)은, 손잡이부분(1)내에 있는 공동(4)안으로 끼워지는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 향해있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 레버부분(2)에는 부싱(5)이 장착되어 있다. 부싱(5)은, 예를 들어 변형이 되지 않는(shape-stable)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료로 제조된다. 부싱(5)에는 원통형 내부면(6)을 가지는 관통구멍이 있는데, 이 원통형 내부면(6)은 레버부분(2)의 상응하는 원통형 외부면(7)과 끼워지게에 적합하여서 부싱(5)이 원통형 외부면(7)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원통형 외부면(7)은, 레버부분(2)의 대직경부 바로 위쪽에 제공되어 있는 계단부(8)에서 종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부싱(5)이 더 이상 아래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부싱에 대한 정지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부싱(5)의 위쪽으로 레버부분(2)의 단부(10)가 뻗어 있으며, 이 단부(10)의 바깥쪽 직경은 레버부분(2)의 원통형 외부면(7)의 바깥쪽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10)는 손잡이부분(1)에 있는 공동(4)의 원통형 내주면(11) 안으로 뻗어 있으며, 손잡이부분(1)의 원통형 내주면(11)과 단부(10)의 원통형 외부면(12)이 링형상의 공동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링형상의 공동 내에는 실리콘과 같은 고탄성 재료로 제조된 O-링 부재인 중심부재(13)가 끼워져 있는데, 이 중심부재(13)의 안쪽은 레버부분(2)의 단부(10)의 원통형 외부면(12)과 접촉하여 있고, 그 바깥쪽은 손잡이부분(1)에 있는 원통형 내주면(11)과 접촉하여 있다.
손잡이부분(1)내에 있는 공간, 특히 중심부재(13)가 설치된 원통형 부분에는 링형상의 접점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부재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접점부재(14)는 레버, 즉 손잡이부분(1)에 있는 전기스위치의 일부이며, 이러한 링형상의 접점부재(14)가 가동접점부재임에 반하여 단부(10)의 외통형 외부면(12)은 스위치의 제2고정접점부재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스위치에서 전체 레버부분(2)은 고정접점부재에 대한 연결 리이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따라서 레버는 전기를 전도시키거나 전도층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스위치의 폐회로를 지나는 연결 리이드는 어느 곳에나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부분(1)의 아래가 가장 적절하다.
적절하게 절연된 연결 리이드(15)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연결 리이드(15)의 일단부는 가동접점부재(14)에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전기회로에 연결되어서 전기적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작동의 예로서 자동차 클러치의 전기적 작동을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통상의 수동기어박스는 그대로 둔채 자동차의 수동 클러치를 없애버릴 수가 있다. 가동접점부재(14)의 외주부(16)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손잡이부분(1)의 원통형 내주면(11)에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가동접점부재가 손잡이부분(1)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레버의 제1실시예에서, 가동접점부재(14)는 간단한 와셔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전기 리이드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링형상의 접점부재(14)의 내주부(17)는, 외주부(16)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이거나 적어도 그 일부가 원통형인 형상을 가지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분(2)의 단부(10)의 원통형 외부면(12)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분(2)에 대한 손잡이부분(1)의 중립위치, 즉 스위치의 중립위치에서, 가동접점부재(14)는 레버부분(2)의 단부인 고정접점부재(10)와 동축상에 놓여져 있다. 이러한 중립위치에서는 단부(10)의 둘레로 링형상의 접촉공간(18)이 존재하는데, 이 제1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접촉공간(18)이 원주 방향으로의 폭이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따라서, 스위치는 개방된다. 접촉 공간(18)은 중립위치에서의 접촉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하는데, 스위치의 접점부분들 사이의 우발적인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하는 반면에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가능한 한 빠른 작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너무 커서도 안된다.
손잡이부분(1)은 중립위치에서 레버부분(2)과 중심이 잘 일치되게 위치되어서 안내되며, 측방향 즉, 레버부분(2)의 종축(3)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동적인데, 중심부재(13) 및 부싱(5)에 의해 레버부분(2)과 이 손잡이부분(1)이 접촉되는 레버의 연결부를 통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손잡이부분(1)에는 하단부에 경첩보올(20)이 제공되어 있는 중앙축(19)이 있다. 이 중앙축(19) 및 경첩보올(20)은 레버부분(2)에 있는 기다란 원통형 공간(21)내에 삽입된다. 경첩보올(20)은 중앙축(19)의 리이드 중심으로서 중앙축(19)이 약간씩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원통형 공간(2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첩보올(20)은, 공간(21)내에서 레버부분(2)의 안쪽 벽에 대한 마찰력에 의해 손잡이부분(1)을 지탱시키고 있다. 중앙축(19)의 상단부에는 링형공간(24)을 유지하고 있는 표면(23)을 가지는 확대부(22)가 제공되어 있으며, 링형공간(24)의 반경방향 거리는 접촉공간(180의 반경방향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다.
손잡이부분(1)의 내주면(11)은 접점부재(14)의 아래쪽에서 하향 경사단부(25)와 이어져 있는데, 이 경사단부(25)는 경청보올(20)을 중심으로 한 원호와 일치하는 각도를 가진다. 부싱(5)에도 상응하는 상향지지면(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경사단부(25)와 지지면(26)은 손잡이부분(1)이 부싱(5)에 대해서 정지되고 또한 그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면 및 안내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레버부분(2)의 상부면과 손잡이부분(1)의 하부면 사이에는 공간(27)이 제공되어 있어서, 손잡이부분(1)이 이동할 때 레버(2)에 대해 발생하는 마찰은 작동자의 손에 의해 손잡이부분(1) 상에 발생하는 하중에도 불구하고 작게 유지된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손잡이부분(1)이 레버부분(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들어올려지지 못하게 하는 2개의 정지부(28)와 그 손잡이부분(1)이 레버부분(2)의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도록 손잡이부분(1)을 위한 로커를 형성하는 홈(29)에 의해 스냅부가 구성되어 있는 특이한 형상의 부싱(5)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 부분(1)의 본연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회전이 가능하며, 또한 회전이 되지 않을 때의 작동감이 향상되었다고 경험에 의해서 느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 부분의 윗면에는, 예를 들어 소정의 각도위치에서의 기어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정지부(28)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어서, 손잡이부분(1)을 레버부분(2)의 단부(10) 상에 단지 밀어줌으로써 손잡이부분(1)을 간단히 장착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나서, 정지부(28)가 손잡이부분(1)의 안쪽으로 튀어나온 고리형부분(30)과 협동하여 비스듬히 밀려져서 탄력성 있게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서, 고리형부분(30) 상의 정지부(31)와 협동하여 손잡이부분(1)이 들어올려지지 못하게 방지한다. 또한, 회전방지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한 정지부(32)에 이해서 제공되는데, 이 정지부(32)에는 홈(29)의 상응하는 표면과 협력하여 실제로 회전방지작용을 하도록 설치된 정지면(33)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하여, 손잡이부분(1)의 반경방향 이동은 마찰이 별로 생기지 않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몇 가지 작동기능이 더 있는데, 즉 레버부분(2)을 손잡이부분(1)으로 작동시킬 때 두 개의 손가락으로 슬리이브(34)를 잡고서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레버부분(2)을 안내부로 이용하면서 축방향으로 슬리이브(34)가 이동된다. 이 슬리이브(34)는 우발적으로 역전기어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슬리이브(34)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해 하향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하향위치는, 슬리이브(34)에 있는 그루우브(37)내의 정지면(36)에 대해서 접촉하는 부싱(5)의 노치(35)에 의해서 제공된다. 또한, 손잡이부분(1)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슬리이브(34)를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잡이부분(1)에 있는 스위치가 폐쇄위치로 바뀐다. 이는, 슬리이브(34)의 경사안내면(39)이 손잡이부분(1)에 있는 경사안내면(38)과 협동함으로써 이와 같은 반경방향의 회전이동이 생긴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에 관한 레버의 작용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레버의 구성에 의해서 명백해졌을 것이다. 이제, 그러한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레버의 작동은 항상 손잡이부분(1)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작동자가 손잡이부분(1)을 손으로 잡고서 소정의 작동위치, 예를 들면 기어위치쪽으로 이 손잡이부분(1)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런데 레버부분(2)은, 손잡이부분(1)을 이 레버부분(2)에 대해서 중심이 맞추어지게 할 때 손잡이부분(1)에 있는 중심부재(13)의 저항을 변화시키는 저항을 제공하는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손잡이부분(1)은 중앙의 중립위치에 놓여져 있으며, 이 손잡이부분(1)을 반경방향 어느 한쪽으로 이동시키면 중심 부재(13)는 힘이 가해진 어느 한쪽으로 밀려서, 손잡이부분(1)이 레버부분(2)에 대해서 즉, 레버부분의 종축(3)에 대해서 편심된 위치로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이 조금만 생겨도, 손잡이부분(1)에 의해서 이동되는 접점부재(14)와, 고정부재 즉, 레버부분(2)의 단부(10) 특히, 이 단부의 표면과의 사이에 있는 어느 지점에서는 벌써 접촉이 생긴다. 그러한 작동위치의 한 예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5도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분(1)은 도면의 오른쪽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서, 스위치는 폐쇄되고 회로가 스위치에 연결되는데, 이때 기어가 맞물리기 전에 클러치가 분리된다.
손잡이부분(1)을 놓자마자, 중심부재(13)에 의해서 손잡이부분(1)이 그 중앙위치로 되돌아가서, 처음의 상태가 되어 중심부재(13)가 손잡이부분(1)의 내주면(11)에 힘을 가한다. 중심부재(13)는 이 내주면(11) 안쪽에 위치되고 접점부재(14)는 다시 중심축상에 놓여지며 접촉공간(18)이 접점부재(14) 둘레로 다시 형성되어서, 스위치는 개방되고 클러치의 기능은 기어위치가 얻어짐과 동시에 재개된다. 접점부재(14) 뿐만 아니라 중심부재(13)도 레버부분(2)의 단부(10)와 손잡이부분(1)의 내주면(11) 사이의 동일한 공간에 놓여져서, 제조 중에 생기는 허용오차로 인한 편향성을 무시하고는 접점부재(14)가 연속적으로 중심축상에 놓여지게 된다. 접점부재(14) 이외의 부품들은 모두가 절연재로 제조되어서, 어떤 방법으로든 밀폐되는 회로는 없다. 손잡이부분(1)은 손으로 붙잡기 쉽고 표면에 약간의 변형이 제공될 수 있도록 비교적 단단하고 견고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반면에 부싱(5)은 다소 덜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슬리이브(34)도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제6도 및 제7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접점부재의 구조만이 다르다. 제2실시예의 접점부재(40)도 링형상을 가지지만, 닫혀져 있는 링이 아니다. 접점부재(40)는,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도전부(41 내지 44)로 이루어져 있는 것처럼,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들 도전부(41 내지 44)는 이들 사이에 각각 공간(63)이 있어서 서로에 대해 절연된 상태이다. 이들 도전부(41 내지 44)는 각각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서 별개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고정접점부재인 레버부분(2)의 단부(10)의 외부면(48)도 접촉면이 되며, 이 외부면의 작은 외경을 통해서 손잡이부분(1)에 있는 접점도 편심위치로 이동되면 접점이 되는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접점이 각각의 도전부(41 내지 44)에 대해서 하나씩만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분(1)이 편심위치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소정의 회로가 폐쇄된다. 접점부재가 이와 같이 분할되어 있으므로, 접점부재중의 어느 하나가 공통으로 하나 이상의 접점부재에 연결 가능하게 되는 보다 많은 위치를 가지는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손잡이 부분의 이동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작용이 스위치온 될 수 있다. 이를 기어레버로 사용하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클러치가 그 사용되는 기어에 관계없이 다양한 시간지연을 가지며 작동될 수 있는데, 이 손잡이부분이 이동되는 방향, 즉 접점이 작동되는 방향에 무관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접점부재(4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접점부재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착되는데, 이는 안쪽의 대칭회전표면에 의해서 고정된다는 뜻이며, 이러한 대칭회전표면은 중심부재(13)를 고정되게 위치시키는 안쪽의 대칭회전표면에 이어져 있으며, 이러한 정지부로서 원통형 내주면(11)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내주면(11)은 중심부재(13) 및 접점부재(40)에 대한 공통의 안내면이 된다. 또한, 접점부재(40)에는 절연재로 제조된 링 형상이 홀더(45)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홀더(45) 내에는 도전부(41, 42)가 부분적으로 성형되어 있어서, 그 내주부(47) 즉, 원호형상의 접촉면이 레버부분(2)의 상부면에 있는 고정접점부재인 단부(10)의 접촉면(48)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홀더(45)는 손잡이부분(1)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되어 있어서, 도전부(41 내지 44)가 레버부분(2)의 종축(3) 둘레로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있다. 원통형 내주면(11)에는 홈(49)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홈(49)안으로는 홀더(45)에 제공된 돌출부(50)가 끼워져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레버에 의해서 중립위치로부터 도전부(41 내지 44)가 연결되도록 작동하면, 손잡이 부분을 편심위치로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레버가 고정접점 부재쪽으로 위쪽으로 이동된다. 제2실시예에서, 접촉 작용부는 대략 90°정도의 큰 각도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들 부분의 경계는 공간(63)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레버의 제3실시예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다르지만, 그 원리는 동일한 전기적 작용을 가지는데, 즉, 레버의 작동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기회로들이 폐쇄된다. 제3 실시예에는 하나의 폐회로에 대해서 2개의 접촉위치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더 많은 접점부재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링형상의 접점부재들의 외주부는, 레버부분(2)의 상부를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다수의 도전부로 분할되어 있다. 접점부재는 레버부분(2)의 상부둘레로 서로 다른 반경방향 평면상에 놓여진 도전부들로 분할되어 있으며, 레버부분(2)의 상부는 고정접점부재가 된다. 실제로, 이러한 링형상의 가동접점 부재는 필요한 각 접촉지점에 대한 링형상의 가동접점부재를 더 제공함으로써 보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위치가 폐쇄되는 2개의 접촉지점이 필요하며, 2개의 접점부재(51, 52)는 손잡이 부분(1)과 함께 스위치의 가동접점부재가 된다. 가동접점부재(51, 52)의 접촉 표면을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분할시키기 위해서, 가동 접점부재(51, 52)는 레버부분(2)의 상부를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내주부(51, 52)가 서로에 대해서 반경방향으로 약간씩 떨어져 있다. 이는, 접점부재(51 52)가 서로 다른 원호 중심을 가져서 그러한 원호의 일부인 내주부(53, 54)만이 스위치의 실질적인 접촉면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점 부재(51, 52)의 외주부(55, 56)는 서로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손잡이부분(1)에 있는 원통형 내주면(11)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원통형 내주면(110과 레버부분(2)의 단부(10) 사이에는 탄성재료로 제조된 중심부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심부재(13)는 스위치의 가동접점부재(51)와 손잡이 부분(1)의 내주면(11)에 의해서 그 내부가 한정되어 있는 대칭 회전 공간의 단부면 사이의 위쪽으로 놓여져 접점부재(51, 52)의 중심의 차이는, 이들 부재들이 그 중심에 대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놓여져 있는 각각의 회전구멍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스위치가 개방된 제9도의 중립 위치에서 대체로 대칭인 접촉공간(57)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접점부재(51, 52)는 손잡이부분(1)과 레버부분(2)의 공동의 종축(58)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편심된 상태이다. 내주부(53, 54)의 원호의 중심들은 바람직하게 종축(58)의 각 측면으로 서로 대칭되게 놓여져 있으며 이 종축(58)으로부터 동일하게 상당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접촉부분들의 소정의 각도 간격을 제공하기 위해서, 접점부재(51, 52)는 종축(58)에 대한 소정의 회전지점에 고정된다. 이는, 접점부재(51, 52)에 손잡이부분(1)에 상응하는 홈(60) 안으로 끼워지는 돌출부(59)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히 해결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재(51, 52)의 내주부(53, 54)의 편심으로 인해서 예를 들어 대칭선(61)의 오른쪽으로 180°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 간격이 제공되며, 하나의 접점부재 예를 들어 상부접점부재(51)가 고정접점부재의 고정 접촉면 즉, 레버부분(2)의 외부면(62)에 대해서 돌출하여 이 외부면(62)과 근접하게 놓여져 있다. 두 내주부(53, 54)는 모든 원형이기 때문에, 하부접점부재(52)는 그 내주부(54)가 상부접점부재(51)의 내주부(53) 보다 고정접점부재인 레버부분(2)쪽으로 즉, 대칭선(61)의 왼쪽으로 전체 외주부의 약 180°만큼 더 근접하게 놓여져 있다.
제8도 및 제9도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그 중립위치로부터 대칭선(61)의 오른쪽으로 180°만큼 위로 작동시키면, 손잡이부분(1)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하부접점부재(52)의 내주부(54)에 의하여 고정접점부재인 레버부분(20의 단부(10)와 하부접점부재(52)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스위치 및 관련된 전기회로가 폐쇄되어서, 지시수단 등을 작동시키는 전기 종동장치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 기재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심 부재(13)가 중앙축(19)의 확대부(22)와 레버부분(2)의 내벽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점부재(14)가 바깥쪽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중앙축(19)의 상부둘레로 고정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레버부분(2)의 내부면이 가동접점부재(14)와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된다. 제8도 및 제9도에 따른 접점부재의 내주부를 편심되게 위치시키는 대신에, 접점부재들이 그 내주부의 서로 다른 분할부분 전체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접점부재라는 용어는 레버부분에 고정되게 배열된 것을 의미하며, 가동접점부재라는 용어는 손잡이 부분과 함께 이동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면이라는 용어는 스위치의 구조에 따른 가동접점 부재와 고정접점부재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접점부재의 표면을 의미한다.

Claims (15)

  1. 전기 스위치(14,12/40,48/51,52,62)를 포함하고 있는 손잡이부분(1)과, 그리고 한쪽 단부는 상기 손잡이부분(1)을 지탱하고 있고 반대 단부는 작동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기다란 레버부분(2)으로 이루어져 있는 레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분(1)이 상기 레버부분(2)의 종축(3)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부분(1) 내에는 상기 레버부분(2)의 단부(10)가 뻗어있는 공동(4)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4) 내에는 상기 레버부분(2)의 상기 단부(10)의 외주면(12/48/62)에 대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11)이 있고 이 공간 내에 링형상의 탄성중심부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중심부재(13)의 한쪽 주위면은 상기 내주면(11)과 접촉하고 다른쪽 주위면은 상기 레버부분(2)의 상기 단부(10) 및 적어도 하나의 링형상의 가동 접점부재(14/40/51,52)와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접점부재(14/40,51,52)가 스위치의 일부로서 상기 손잡이부분(1)에 연결되어서 상기 손잡이부분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부재(13)는 상기 가동접점부재(14)를 상기 레버부분(2)의 단부(10)에 대해 그 중심에 위치시켜서 상기 가동접점부재(14)가 상기 손잡이부분(1)에 대한 중립 위치에서 상기 단부(10)에 대한 틈새를 가지며, 상기 단부(10)는 스위치의 일부인 상기 레버 내의 고정접점부재로서 작용하며,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분(1)을 상기 레버부분(2)에 대해서 상기 서로 다른 반경방향 어느 쪽으로든 이동시키면 상기 링형상의 접점부재가 다른 접점부재와 접촉하는 여러 접촉 위치들 중 어느 한 위치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의 접점부재(14)가 상기 레버부분(2)의 상기 단부(10)를 따라서 뻗어 있는 외주부와 밀접하게 놓여진 접촉면(17)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17)은 상기 손잡이부분(1)의 작동 중에 소정의 접촉위치에 관계없이 소정의 전기회로를 폐쇄시키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부재(40/51,52)가 상기 고정접점부재로서 작용하는 단부(10)와 접촉하여 상기 반경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접촉작용이 얻어질 수 있도록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부재(40)가 2개 이상의 부분(41-44)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부분(41-44)이 서로에 대해서 절연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분(1)의 종축 둘레로 소정의 분할부분과 마주하는 하나의 접촉면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부재가 상기 고정접점부재(10)의 둘레로 뻗은 2개의 폐쇄 링부재(51, 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부재(51,52)의 각각에 제공된 접촉면이 상기 레버 부분(2)의 종축(3) 둘레에 있는 소정의 분할부분 전체로 연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51,52)의 상기 각각의 접촉면이 내주부(53,54)이며, 상기 내주부(53,54)가 서로에 대해서 중심이 편향되어 있는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4)의 상기 내주면(11)이 상기 중심부재(13) 및 상기 링형상의 접점부재(14)에 대한 지지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분(2)이 관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분(1)에 연결된 중앙축(19)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앙축(19)에는 상기 손잡이부분(1)의 반경방향 이동에 대한 경첩 이동의 중심이 되도록 배치된 경첩보올(2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9. 제1항에 있어서, 절연재료로 제조된 부싱(5)이 상기 레버부분(2)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장착되어서 상기 손잡이부분(1)의 상기 공동(4)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부싱(5)에는 상기 레버부분(2)의 종축(3)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뻗은 미끄럼지지면(26)이 있고, 상기 미끄럼지지면(26) 상에는 상기 손잡이부분(1) 상에 제공된 상응하는 미끄럼지지면(26)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부분(1)이 지지되어서, 상기 공동(4) 내에 있는 상기 레버부분(2)의 단부(10)와 상기 단부(10)를 향해 있는 상기 공동(4)의 내주면(11)과의 사이에는 공간(27)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분(1)과 상기 부싱(5)에는 각각 정지부(28,30)가 제공되어서 상기 손잡이부분(1)을 장착시키고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스냅고정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분(1)이 상기 레버부분(2)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미끄럼지지면(25,26)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만 이 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분(2)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리이브(34)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브(34)에는 상기 슬리이브(34)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분(1)의 반경방향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손잡이부분(1) 상에 제공된 상응하는 안내정지부(38)와 협력하는 안내정지부(34)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자동차의 기어 박스의 기어위치들 사이에서 기어변속을 하기 위한 기어레버이며, 상기 스위치(12 내지 14)가 상기 기어의 작동 중에 전기 구동되는 클러치가 분리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34)가 역전기어의 변속작동 중에 분리되어서 클러치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방벽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분(1)이 상기 레버부분(2)에 대해서 회전하지 못하게 연결된, 즉 상기 종축(3) 둘레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15. 제9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9)이 상기 손잡이부분(1)에 있는 상응하는 정지부(32)와 협력하는 정지부(29)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레버 부분(2) 상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KR1019910700415A 1989-08-25 1990-08-24 작동레버 KR0182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902828-6 1989-08-25
SE8902828A SE8902828D0 (sv) 1989-08-25 1989-08-25 Manoeverspak
SE8903702-2 1989-11-06
SE8903702A SE464662B (sv) 1989-08-25 1989-11-06 Manoeverspak
PCT/SE1990/000544 WO1991002912A1 (en) 1989-08-25 1990-08-24 Actuating le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719A KR920701719A (ko) 1992-08-12
KR0182257B1 true KR0182257B1 (ko) 1999-05-01

Family

ID=2666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415A KR0182257B1 (ko) 1989-08-25 1990-08-24 작동레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85034A (ko)
EP (1) EP0489099B1 (ko)
JP (1) JP3026837B2 (ko)
KR (1) KR0182257B1 (ko)
AU (1) AU6338790A (ko)
DE (1) DE69013351T2 (ko)
WO (1) WO1991002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9853B (sv) * 1992-02-04 1993-09-27 Scandmec Ab Manöverspak
DE4237669A1 (de) * 1992-11-07 1994-05-11 Fichtel & Sachs Ag Kontaktanordnung für einen Schalthebelsensor
US5557981A (en) * 1993-05-25 1996-09-24 Tamco Limited One-piece gearshift lever with cold formed end
DE4320591A1 (de) * 1993-06-22 1995-01-05 Burgess Gmbh Schaltvorrichtung zur Anordnung im Bereich eines Bedienungshebels
FR2729617B1 (fr) * 1995-01-20 1997-03-28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automatique d'embrayage
US5779592A (en) * 1995-07-27 1998-07-14 Meritor Heavy Vehicle Systems, Llc Four position switch for shift assist system
US5571059A (en) * 1995-07-27 1996-11-05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Operator input system for gear shift assist mechanism
US5582558A (en) * 1995-07-27 1996-12-1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bined system for assisting shifting of manual transmission
US5569115A (en) * 1995-07-27 1996-10-2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Engine speed synchronization system for assisting in manual transmission shifting
US6421881B1 (en) * 2000-06-27 2002-07-2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nap-on gear shift knob
FR2817201B1 (fr) * 2000-11-30 2003-01-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mmeau de levier de vitesses avec un contacteur integre
FR2879523B1 (fr) * 2004-12-20 2008-07-04 Renault Sas Levier de commande de boite de vitesses de vehicule automobile, procede de montage et procede de demontage d'un tel levier
US20070169581A1 (en) * 2006-01-24 2007-07-26 Michael Bielen Gear shift lever and knob
FR2951996B1 (fr) * 2009-11-02 2012-03-16 Renault Sa Levier de vitesse comportant un pommeau fixe de facon demontable sur la tige du levi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32180A (fr) * 1954-11-17 1957-03-06 Fichtel & Sachs Ag Interrupteur et embrayage automatique,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s automobiles
FR1122131A (fr) * 1955-02-14 1956-09-03 Ferodo Sa Commande de changement de vitesse
US2732447A (en) * 1955-02-21 1956-01-24 Combined electric switch and gearshift
US3268680A (en) * 1964-11-19 1966-08-23 Anderson Associates Inc Unitary knob and switch
DE2162457A1 (de) * 1971-12-16 1973-06-2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althebel fuer kraftfahrzeuge
US3910388A (en) * 1973-08-07 1975-10-07 Nissan Motor Shifter with switches for sequentially operating a transmission and clutch
JPS5652105Y2 (ko) * 1976-04-05 1981-12-04
JPS5334215A (en) * 1976-09-10 1978-03-30 Nissan Motor Co Ltd Switching device for operating automatic clutch
US4183424A (en) * 1977-05-06 1980-01-15 Abramian Vladimir A Vehicle gearchange lever with clutch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26837B2 (ja) 2000-03-27
DE69013351D1 (de) 1994-11-17
KR920701719A (ko) 1992-08-12
AU6338790A (en) 1991-04-03
WO1991002912A1 (en) 1991-03-07
EP0489099A1 (en) 1992-06-10
EP0489099B1 (en) 1994-10-12
US5285034A (en) 1994-02-08
DE69013351T2 (de) 1995-05-24
JPH05500126A (ja) 199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257B1 (ko) 작동레버
KR100317788B1 (ko) 푸쉬스위치를지닌회전조작형전자부품및이를제조하는방법
JPH0272526A (ja) インデックス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4588880B2 (ja) 選択器を有する負荷時タップ切換器
EP0750327B1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EP0901059B1 (en) Multiple-operation joystick
US6180905B1 (en) Two position pushbutton switch with illuminated button
US4211906A (en) Rotary actuating device for low-voltage circuit breakers with toggle lever
JPH0159929B2 (ko)
US7064287B2 (en) Push button switch for vehicle
US6268577B1 (en) Push-pull switch operator
KR20010007003A (ko) 다방향 입력장치
KR20010078234A (ko) 스위치 작동 기구
CA1125821A (en) Turn-start push-stop switch operator
US2454242A (en) Horn button construction
US4263486A (en) Rotary operator
US3073918A (en) Shift knob switch
US5563388A (en) Control lever
EP2677529B1 (en) Rotary switch device
JPH08329785A (ja) スイッチ装置
JPS6030088Y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装置
US4896006A (en) Rotary switch actuating mechanism for actuating at least two plunger control elements
JPH0743906Y2 (ja) スイッチの接点構造
JPH0112025Y2 (ko)
JP2847950B2 (ja) 選択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