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338B1 -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 Google Patents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338B1
KR100320338B1 KR1019980038940A KR19980038940A KR100320338B1 KR 100320338 B1 KR100320338 B1 KR 100320338B1 KR 1019980038940 A KR1019980038940 A KR 1019980038940A KR 19980038940 A KR19980038940 A KR 19980038940A KR 100320338 B1 KR100320338 B1 KR 10032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body
push switch
shaft
operation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985A (ko
Inventor
유키오 간자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2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은, 축(34)의 분할홈(35)이 푸시 스위치(P)의 누름 버튼(41)과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34)의 누름 버튼(41)에 대한 누르기 동작이 일정하지 않고, 이동량에 대한 스위치동작에 불균일이 생겨,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은, 구동체(3)에 설치된 조작축(7)의 축선(S) 상에 설치된 기둥형상부(7a)로, 푸시 스위치(P)를 조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7)의 이동을 스위치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고, 조작축(7)의 이동량에 대한 스위치의 동작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ROTATING ELECTRIC PART HAVING PUSH SWITCH}
본 발명은, 조작축의 축선 방향의 이동동작으로 스위치를 ON, OFF 시키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조작축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펄스 스위치 또는 가변저항기 등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조작하도록 한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30)에 오목부(31)와 기어(32)를 가지는 손잡이(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축(34)에는, 축선 방향에 직선형상으로 설치된 분할홈(35)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다리부(36)와, 끝단부에 설치된 걸어멈춤부(37) 등을 가지고, 축(34)은, 오목부(31)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리부(36)를 손잡이(33)에 삽입하고, 걸어멈춤부 (37)를 손잡이(33)에 스냅(Snap)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축(34)과 손잡이(33) 사이에 스프링(38)이 설치되고, 설치판(39)에는, 축(34)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푸시 스위치(P)와, 이 푸시 스위치 (P)와 병설된 회전형 전기부품(D)이 설치되고, 또한 전달기어(40)가 설치되어, 손잡이(33)와 회전형 전기부품(D)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33)를 회전하면, 전달기어(40)를 거쳐 회전형 전기부품(D)이 조작되고, 또한 축(34)을 스프링(38)에 대항하여 누르면, 축(34)의 끝단부에서, 푸시 스위치(P)의 누름 버튼(41)을 눌러, 푸시 스위치(P)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은, 축(34)의 분할홈(35)이 푸시 스위치(P)의 누름 버튼(41)과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34)의 누름 버튼(41)에 대한 누르기 동작이 일정하지 않아, 이동량에 대한 스위치동작에 불균일이 생겨,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누름 버튼(41)을 복귀시키는 스프링 외에, 축(34)을 가세하기 위한 스프링(38)을 필요로 하여, 고비용이고 조립성이 나쁘고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회전형 전기부품(D)이 푸시 스위치(P)와 병설되어, 전달기어(40)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고비용이고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구동체와 조작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회전형 전기부품 1 : 설치기체(基體)
1a : 구멍 1b : 바닥벽
1c : 오목부 1d : 측벽
2 : 도전판 3 : 구동체
3a : 구멍 3b : 통형상부
3c : 받침부 3d : 작은 구멍
3e : 절결부 3f : 걸어멈춤부
3g : 플랜지부 3h : 요철부
4 : 섭동자 5 : 판 스프링
5a : 탄성조각 6 : 앞면판
6a : 평판부 6b : 통부
7 : 조작축 7a : 기둥형상부
7b : 분할홈 7c : 설치다리
7d : 단부(段部) S : 축선
P : 푸시 스위치 8, 9 : 고정접점
10 : 절연체 11 : 가동접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설치기체(基體)와, 상기 설치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멍을 설치한 통형상부를 가지는 구동체를 가지는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의 뒷부분에 배치되어 가동접점과고정접점을 가지는 푸시 스위치와, 상기 구동체의 상기 통형상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체에 설치되고, 축선 상에 설치된 기둥형상부와, 축선 방향의 분할홈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설치다리를 한쪽 끝단쪽에 형성한 조작축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다리를 상기 통형상부의 내부에 걸어 고정하여, 상기 조작축을 상기 구동체에 설치하고, 상기 조작축의 회전동작으로 상기 구동체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을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의 이동동작으로, 상기 기둥형상부에 의하여 상기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구동체의 한쪽 끝단쪽에는, 상기 통형상부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받침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부로 상기 기둥형상부를 지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구동체의 상기 받침부의 외주의 일부에, 상기 통형상부의 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설치다리의 끝단부가 삽입 가능한 절결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구동체의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구멍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걸어멈춤부를 설치하고, 상기 걸어멈춤부에 상기 설치다리를 걸어 고정한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도 1,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구동체와 조작축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형 전기부품(D)은 펄스 스위치를 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컵형상의 설치기체(1)는, 원형의 구멍(1a)을 가지는 바닥벽(1b)과, 오목부(1c)를 가지는 측벽(1d)을 가지고 있다.
또, 설치기체(1)에는, 오목부(1c) 내의 바닥벽(1b)의 윗면에 일부가 노출되고, 또 일부가 측벽(1d)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도전판(2)이 매설되어 있다.
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구동체(3)는, 중심부에 예를 들어 소판형(小判形)의 비원형의 구멍(3a)을 가지는 통형상부(3b)와, 통형상부(3b)의 한쪽 끝단쪽인 후단에, 구멍(3a)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받침부(3c)와, 통형상부(3b)의 중심부에 있어서 받침부(3c)에 설치된 작은 구멍(3d)과, 받침부(3c)의 외주의 일부에, 구멍(3a)과 연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절결부(3e)와, 구멍(3a)의 벽면의 일부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한 쌍의 걸어멈춤부(3f)와, 통형상부(3b)의 외주에 설치된 원형상의 플랜지부(3g)와, 플랜지부(3g)의 앞면에 설치된 요철부(3h)를 구비하고 있다.
또, 구동체(3)의 한 쌍의 절결부(3e)와 한 쌍의 걸어멈춤부(3f)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구동체(3)의 플랜지부(3g)의 뒷면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섭동자(摺動子)(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체(3)는, 설치기체(1)의 오목부(1c) 내에 플랜지부(3g)를 위치함과 동시에, 통형상부(3b)의 후단을 구멍(1a)에 삽입하여 설치기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구동체(3)에 설치된 섭동자(4)가 도전판(2)에 접속 이탈하여, 접점의 전환을 행하여 펄스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 금속판,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링크형상의 판 스프링(5)은, 설치기체(1)의 오목부(1c)를 막도록, 설치기체(1)와 플랜지부(3g)의 앞면에 배치되고, 그리고 판 스프링(5)의 탄성조각(5a)이 구동체(3)의 요철부(3h)에 걸리거나 벗겨져 구동체(3)의 회전동작에 대하여 클릭동작을 행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섭동자(4)를 설치한 구동체(3), 도전판(2)을 설치한 설치기체(1) 및 판 스프링(5), 조작축(7)으로 회전형 전기부품(D)의 하나인 펄스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고, 이 회전형 전기부품(D)은 가변저항기 등이더라도 좋다.
또,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앞면판(6)은, 평판부(6a)와 통부(6b)를 가지고, 이 앞면판(6)의 평판부(6a)는 판 스프링(5) 위에 올려 놓여지고, 앞면판(6)과 판 스프링(5)은 설치기체(1)에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축(7)은, 후단부에, 축선(S) 상에 설치된 기둥형상부(7a)와, 기둥형상부(7a)의 근방에 축선(S) 방향의 분할홈(7b)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탄성 있는 한 쌍의 설치다리(7c)와 단부(段部)(7d)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기둥형상부(7a)는, 설치다리(7c)보다 후단쪽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축(7)의 설치는, 기둥형상부(7a)쪽으로부터 앞면판(6)의 통부(6b), 구동체(3)의 통형상부(3b)의 구멍(3a)에 삽입하여, 조작축(7)의 설치다리 (7c)가 걸어멈춤부(3f)에 맞닿으면, 설치다리(7c)는 안쪽으로 휘어지고, 다시 조작축(7)의 삽입을 계속하면, 설치다리(7c)는 걸어멈춤부(3f)를 넘어가서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감(스냅고정)과 동시에, 그 설치다리(7c)의 선단부가 절결부 (3e) 내에 삽입되고, 또한 기둥형상부(7a)가 받침부(3c)의 작은 구멍(3d)에 삽입되어 기둥형상부(7a)가 받침부(3c)로 지지된 상태로, 조작축(7)이 구동체(3)에 설치된다.
즉, 구동체(3)에 스냅 고정된 조작축(7)은, 조작축(7)을 누르면 비원형의 구멍(3a)에 의하여 직진 이동하여, 단(段)부(7d)가 구동체(3)의 끝단부에 부딪쳐 그 이동이 정지하고, 또 조작축(7)이 누르기 전의 상태로 복귀되었을 때에는, 설치다리(7c)가 걸어멈춤부(3f)에 걸려 멈춰져, 그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다리(7c)는 선단의 돌출부(7e)와 다리부 (7f)를 가지고, 다리부(7f)의 외주면에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냅고정된 조작축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체의 걸어멈춤부(3f)와 맞닿고 있다.
또, 조작축(7)은 통부(6b)와 받침부(3c)의 2점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체(3)에 설치된 조작축(7)은 회전동작과 축선(S) 방향의 이동동작이 가능하고, 회전동작에 의하여 구동체(3)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기체(1)의 뒷부분에는 고정접점(8, 9)을 매설한 절연체(10)가 설치되고, 이 절연체(10)의 내부에는 스프링부재인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시형상의 가동접점(1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접점(11)은 그 주변부가 고정접점(9)에 항상 접촉하고, 또한 그중앙부는 조작축(7)의 기둥형상부(7a)에 맞닿아, 조작축(7)을 항상 앞쪽으로 밀어 눌러 설치다리(7c)를 걸어멈춤부(3f)에 걸어 멈추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접점(8, 9)을 가지는 절연체(10)와, 가동접점(11)으로 푸시 스위치(P)가 구성되고, 이 푸시 스위치(P)는 회전형 전기부품(D)에 대하여 축선(S)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조작축(7)을 회전조작하면, 이에 따라 구동체(3)도 회전한다. 그렇게 하면 구동체(3)에 설치된 섭동자(4)도 회전하여 바닥벽(1b)의 상면 및 도전판(2)상을 슬라이딩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또 구동체(3)의 회전에 따라 구동체(3)에 설치된 요철부(3h)도 회전하여 탄성조각(5a)에 걸리거나 벗겨져 클릭감촉을 일으킨다.
또, 조작축(7)을 축선(S) 방향으로 밀어 누르면, 조작축(7)은 기둥형상부 (7a)를 작은 구멍(3d)에 가이드되어 비원형상의 구멍(3a)을 따라 직진하여, 기둥형상부(7a)가 가동접점(11)을 누르고, 이 가동접점(11)이 고정접점(8)쪽으로 이동하여 가동접점(11)이 고정접점(8)에 접촉하여 고정접점(8)과 고정접점(9)이 도통하여 ON이 된다.
그리고, 조작축(7)의 밀어 누르기를 해제하면, 가동접점(11)의 탄성에 의하여, 조작축(7)은 설치다리(7c)가 걸어멈춤부(3f)에 걸어멈출 때까지 눌러 복귀됨과 동시에, 가동접점(11)은 고정접점(8)과의 접촉이 떨어져 OFF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형 전기부품(D)과 푸시 스위치(P)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체(3)에 설치된 섭동자(4)를 회전하도록 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섭동자(4)를 고정쪽인 설치기체(1)에 설치하고, 또 구동체(3)쪽에는 도전판(2)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도전판(2)을 고정쪽의 섭동자(4)에 접속 이탈시켜도 되고, 또 스프링부재인 금속판의 가동접점(11)을 탄성이 있는 고무부재 등의 스프링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은, 구동체(3)에 설치된 조작축(7)의 축선(S) 상에 설치된 기둥형상부(7a)로, 푸시 스위치(P)를 조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7)의 이동을 스위치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조작축(7)의 이동량에 대한 스위치의 동작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회전형 전기부품(D)과 푸시 스위치(P)를 축선(S)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 소형이고 조립성이 좋은 값싼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스프링부재인 가동접점(11)을, 조작축(7)의 복귀스프링에 겸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값싸고 조립성이 좋은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기둥형상부(7a)가 구동체(3)의 받침부(3c)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기둥형상부(7a)의 이동이 안정되어 확실하게 되고, 스위치의 조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지지구성이 간단하여, 값싸고 생산성이 양호한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받침부(3c)의 외주의 일부에, 통형상부(3b)의 구멍(3a)과 연통하는 절결부(3e)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 절결부(3e)에 조작축(7)의 설치다리(7c)를 삽입할 수 있고, 축선(S) 방향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축선(S) 방향에 소형의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통형상부(3b)에, 구멍(3a)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걸어멈춤부(3f)를 설치하여, 설치다리(7c)를 걸어 고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걸어멈춤부(3f)의 형성위치를 지름 방향에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맞추어 회전형 전기부품(D) 전체를 지름 방향으로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소형이고 재료비가 적은 값싼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도전판과 섭동자의 한쪽을 설치한 설치기체와, 상기 도전판과 섭동자의 다른쪽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기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중앙부에 구멍을 설치한 통형상부를 가지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를 회전구동시키는 조작축을 가지고, 상기 조작축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체를 회전구동시키고, 상기 구동체에 설치한 도전판과 섭동자의 다른쪽을 상기 설치기체에 설치한 도전판과 섭동자의 한쪽으로 슬라이딩시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의 뒷부분에 배치되고 가동접접과 이 가동접점에 접촉 이탈하는 고정접점을 가지는 푸시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조작축의 설치기체쪽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조작축의 축선상에 배치된 기둥형상부와, 이 기둥형상부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형상부와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분할홈을 거쳐 설치된 설치다리를 가지고, 상기 조작축은 상기 구동체의 통형상부의 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설치다리를 상기 통형상부의 내부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걸어멈추고, 상기 조작축을 상기 구동체에 설치하여 상기 조작축의 회전동작으로 상기 구동체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을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의 축선 방향의 이동동작으로 상기 기둥형상부에 의하여 상기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한쪽끝단쪽에는, 상기 통형상부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받침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기둥형상부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상기 받침부의 외주의 일부에, 상기 통형상부의 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설치다리의 끝단부가 삽입 가능한 절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구멍의 안쪽에 돌출하는 걸어멈춤부를 설치하고, 상기 걸어멈춤부에 상기 설치다리를 걸어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가 부착된 회전형 전기부품.
KR1019980038940A 1997-09-22 1998-09-21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KR100320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57347 1997-09-22
JP25734797A JP3824751B2 (ja) 1997-09-22 1997-09-22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985A KR19990029985A (ko) 1999-04-26
KR100320338B1 true KR100320338B1 (ko) 2002-02-19

Family

ID=1730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940A KR100320338B1 (ko) 1997-09-22 1998-09-21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824751B2 (ko)
KR (1) KR100320338B1 (ko)
CN (1) CN1106027C (ko)
MY (1) MY128974A (ko)
TW (1) TW5351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1654B2 (ja) * 2006-05-18 2012-03-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4393A (en) * 1992-02-22 1993-08-25 Mckechnie Uk Ltd Keyboard
JPH08167348A (ja) * 1994-12-14 1996-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H08329790A (ja) * 1995-05-29 1996-12-13 Alps Electric Co Ltd タッチセンサ付き回転操作型電気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2447A (zh) 1999-03-31
JPH1196855A (ja) 1999-04-09
CN1106027C (zh) 2003-04-16
MY128974A (en) 2007-03-30
JP3824751B2 (ja) 2006-09-20
TW535182B (en) 2003-06-01
KR19990029985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339B1 (ko)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KR100317788B1 (ko) 푸쉬스위치를지닌회전조작형전자부품및이를제조하는방법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US7507919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20070122364A (ko) 복합 조작형 입력장치
JPH09746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5711415A (en) Rotary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JPH09231872A (ja) 車両用ノブスイッチ
KR100320338B1 (ko)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KR880004032Y1 (ko) 펄스 스위치
KR100330849B1 (ko) 다방향 입력장치
CN1233007C (zh) 多方向输入装置
JPH08329785A (ja) スイッチ装置
JP200400638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KR100403434B1 (ko)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JP2001243852A (ja) スイッチ押し機構付きエンコーダ装置
KR20180112143A (ko) 푸시 스위치 유닛
JP3539019B2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3931528B2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8658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H10149748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JP366550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370830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40003280Y1 (ko) 스위치장치
JP2730487B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