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434B1 -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434B1
KR100403434B1 KR10-2001-0016223A KR20010016223A KR100403434B1 KR 100403434 B1 KR100403434 B1 KR 100403434B1 KR 20010016223 A KR20010016223 A KR 20010016223A KR 100403434 B1 KR100403434 B1 KR 10040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push switch
rotary electric
electric compone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741A (ko
Inventor
미야케도시카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64Encased switches adapted for ganged operation when assembled in a line with identical switches, e.g. stack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축의 회전방향의 여유가 적고, 저렴하며 조립성이 양호한 것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조작축 (4)에는 바깥 둘레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b)를 가지고, 이 플랜지부(4b)와 회전체(3)가 스플라인결합하였기 때문에 회전중심(C1)으로부터 플랜지부(4b)가 돌기(3d)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돌기(3d)의 끼워맞춤상태에 약간의 여유가 있더라도 종래에 비하여 회전방향의 여유가 작아져 조작축(4)의 회전이 회전체(3)에 즉시 전달할 수 있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ROTARY TYPE ELECTRIC PARTS WITH PUSH SWITCH}
본 발명은 음향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구성을 도 4,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회전형 전기부품(31)은 저항체(32)를 설치한 절연기판(33)과, 이 절연기판 (33)에 설치되고 베어링부(34)를 설치한 컵형상의 커버(35)와, 이 커버(35)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부에 소판(小版)형 구멍(36a)을 가짐과 동시에, 저항체 (32)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37)를 설치한 원판형상의 회전체(36)와, 베어링부 (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 둘레면에 설치된 소판형부(38a)를 구멍(36a)에 삽입하여 스플라인결합된 조작축(38)으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스위치(41)는 접점기구부(도시 생략)를 수납한 케이스(42)와, 접점기구부를 조작하는 푸시버튼부(43)로 구성되고, 이 푸시스위치(41)는 회전형 전기부품 (31)의 후방부에 겹쳐진 상태로 커버(35)에 의해 회전형 전기부품(31)과 일체화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축(38)은 선단부에 홈부(38b)를 가지고, 선단부가 절연기판(33)의 구멍(33a)에 삽입된 후, 홈부(38b)에 워셔 등의 빠짐방지기구(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조작축(38)의 빠짐방지를 행함과 동시에, 조작축(38)을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동작은, 먼저 조작축 (36)을 회전하면 소판형부(38a)에 의해 회전체(36)를 회전하고, 그 결과 슬라이더 (37)가 저항체(32)상을 슬라이딩하여 저항치를 가변하게 된다.
또 회전체(38)의 소판형 구멍(38a)과 스플라인결합된 조작축(38)을 축선방향으로 가압하면 조작축(38)의 선단부에서 푸시버튼(43)을 가압, 이동시켜 접점의 전환을 행하고, 조작축(38)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세상태로 있는 푸시버튼(43)에 의해조작축(38)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감과 동시에 접점이 원래의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또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회전동작과 축선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조작축(38)과 회전체(36)가 바깥 둘레면에 설치한 소판형부(38a)를 회전체 (36)의 중심부에 설치한 소판형 구멍(36a)에 삽입됨으로써 스플라인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38)의 축선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소판형부 (38a)의 소판형 구멍(36a)에 대한 끼워 맞춤을 느슨하게 하여 약간의 여유가 있는 상태로 끼워 맞춰져 있다.
그러나 조작축(38)을 회전하였을 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판형부 (38a)의 반경방향의 끝부(38c)가 회전체(36)에 걸어맞추어져 회전체(36)를 회전하게 되나, 회전중심(C2)으로부터 끝부(38c)까지의 거리가 짧고, 이 때문에 소판형부 (38a)와 소판형 구멍(36a)의 끼워 맞춤이 약간의 여유가 있어도 회전방향의 여유가 커져 조작축(38)의 회전을 회전체(36)에 즉시 전달할 수 없는 것이었다.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소판형부(38a)가 소판형 구멍 (36a)에 끼워 맞춰져 있기 때문에 조작축(38)을 회전하였을 때 회전중심(C2)으로부터 끝부(38c)까지의 거리가 짧고, 이 때문에 소판형부(38a)와 소판형 구멍(36a)의 끼워 맞춤에 약간의 여유가 있더라도 회전방향의 여유가 커져 조작축(38)의 회전을 회전체(36)에 즉시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조작축(38)의 빠짐방지에 빠짐방지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가격도 비싸 생산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축의 회전방향의 여유가 적고, 저렴하며 조립성이 양호한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기체 1a : 오목부
1b : 볼록부 1c : 유지부
1d : 구멍 2 : 코드패턴(도전패턴)
2a : 접점부 2b : 단자
3 : 회전체 3a : 통형상부
3b : 앞면벽 3c : 관통구멍
3d : 돌기 3e : 볼록부
3f : 요철부 4 : 조작축
4a : 축부 4b : 플랜지부
4c : 노치부 4d : 가장 끝부
5 : 슬라이더 5a : 기초부
5b : 볼록부 5c : 구멍
5d : 접촉부 6 : 클릭판
6a : 판형상부 6b : 아암부
6c : 구멍 6d : 구멍
7 : 베어링부 7a : 관통구멍
7b : 통형상부 7c : 나사부
7d : 판형상부 7e : 구멍
8 : 설치판 8a : 구멍
8b : 앞면판 8c : 구멍
8d : 선단부 10 : 회전형 전기부품
11 : 푸시스위치 12 : 케이스
13 : 푸시버튼부 C1 : 회전중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회전체를 가지는 회전형 전기부품과, 축선방향의 이동과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작이 가능한 조작축과, 이 조작축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조작되는 푸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에는 바깥 둘레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이 플랜지부와 상기 회전체가 스플라인결합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체에는 돌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에는 노치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를 상기 노치부에 끼워 맞추어 스플라인결합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체는 통형상부를 가지고, 이 통형상부내에 상기 돌기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통형상부의 내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돌기의 위치에서 도전패턴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조작축을 삽입하는 구멍을 가지는 앞면벽을 설치하고, 앞면벽과 상기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를위치시켜 상기 조작축이 상기 회전체에 유지된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체(1)는 앞면측에 설치된 원형의 오목부(1a)와, 앞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볼록부(1b)와, 후면측에 설치된 오목부에 설치된 오목한 유지부(1c)와, 중앙부에서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d)을 가진다.
도전패턴을 구성하는 코드패턴(2)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절연기체(1)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접점부(2a)가 오목부(1b)의 바닥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단자 (2b)가 절연기체(1)로부터 바깥쪽으로 도출되어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3)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원형의 통형상부(3a)와, 통형상부(3a)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를 전후로 구분하는 앞면벽(3b)과, 앞면벽(3b)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구멍(3c)과, 통형상부(3a)내에서 앞면벽(3b)보다 뒤쪽에 위치하여 통형상부(3a)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3d)와, 이 돌기(3d)의 뒤면측에 형성된 볼록부(3e)와, 통형상부(3a) 내에서 앞면벽(3b)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링형상으로 설치된 요철부(3f)를 가진다.
합성수지의 성형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축(4)은 축부(4a)와, 이 축부(4a)의 한쪽 끝부에 형성되고, 축부(4a)의 바깥 둘레로부터 지름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부(4b)와, 이 플랜지부(4b)에 설치된 복수개의 노치부 (4c)를 가진다.
그리고 이 조작축(4)은 회전체(3)의 뒤쪽으로부터 축부(4a)가 관통구멍(3c)에 삽입되고, 노치부(4c)와 돌기(3d)를 끼워 맞춤으로써 스플라인결합되어 조합되어 있다.
이 때 플랜지부(4b)가 앞면벽(3b)에 걸어 맞추어져 조작축(4)의 앞쪽으로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랜지부(4b)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가 통형상부(3a)의 안쪽 면에 근접하여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성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5)는 링형상의 기초부(5a)와, 이 기초부(5a)로부터 돌출한 볼록부(5b)에 설치된 구멍(5c)과, 이 볼록부(5c)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5d)를 가진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5)는 구멍(5c)에 회전체(3)의 볼록부(3e)를 삽입한 후, 볼록부(3e)의 선단부를 열 코킹함으로써 회전체(3)에 설치된다.
이 때 슬라이더(5)는 플랜지부(4b)의 뒤쪽에 위치하여 조작축(3)이 뒤쪽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작축(4)이 회전체(3)와 슬라이더(5)에 의해 빠짐 방지된 반제품은 슬라이더(5)측으로부터 절연기체(1)의 오목부(1a)내에 수납하여 회전체 (3)를 오목부(1a)에 수납한다.
이 때 회전체(4)는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더(5)의 접촉부(5d)가 코드패턴(2)의 접점부(2a)에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축(4)이 회전체(3)와 슬라이더(5)에 의해서 빠짐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도중의 반송시 등으로 분리되는 일이 없어 조립성이 좋아진다.
스프링성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상의 클릭판(6)은 판형상부 (6a)와, 이 판형상부(6a)로부터 뒤쪽으로 잘아 세워진 한 쌍의 아암부(6b)와, 한 쌍의 아암부 (6b)의 중앙부에 설치된 구멍(6c)과, 판형상부(6a)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된 한 쌍의 구멍(6d)을 가지고, 이 클릭판(6)은 구멍(6c)에 축부(4a)를 삽입함과 동시에, 구멍(6d)에 절연기체(1)의 볼록부(1b)를 삽입한 상태로 판형상부 (6a)가 절연기체(1)의 앞면에 겹쳐져서 얹어 놓여져 있다.
이 때 아암부(6b)가 요철부(3f)에 맞닿은 상태가 되어 클릭기구를 구성하고, 그리고 회전체(3)가 회전하였을 때 아암부(6b)가 걸리거나 벗겨짐을 행하여 회전체 (3)의 회전에 클릭감을 얻도록 되어 있다.
아연다이캐스트 등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부(7)는 중앙에 관통구멍 (7a)을 가지는 통형상부(7b)와, 통형상부(7b)의 바깥 둘레에 설치된 나사부(7c)와, 통형상부(7b)의 후단부에 설치된 판형상부(7d)와, 판형상부(7d)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된 한 쌍의 구멍(7e)을 가진다.
그리고 이 베어링부(7)는 관통구멍(7a)에 축부(4a)를 삽입함과 동시에, 구멍 (7e)에 절연기체(1)의 볼록부(1b)를 삽입한 상태에서 판형상부(7d)가 클릭판(6)에 겹쳐져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설치판(8)은 중앙부에 구멍(8a)을 가지는 앞면판(8b)과, 앞면판(8b)의 측부로부터 뒤쪽으로 구부려진 한 쌍의 다리부(8c)와, 앞면판 (8b)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된 한 쌍의 구멍(8d)을 가진다.
그리고 이 설치판(8)은 중앙부의 구멍(8a)에 베어링부(7)의 통형상부(7b)를 삽입함과 동시에, 구멍(8d)에 절연기체(1)의 볼록부(1b)를 삽입한 상태에서 앞면판 (8b)이 베어링부(7)의 판형상부(7d)에 겹쳐지고, 또한 다리부(8c)가 절연기체(1)의 양쪽 측부를 끼워 유지하여 다리부(8c)의 선단부(8e)를 절연기체(1)의 뒤 부분에서 구부려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형 전기부품(10)이 형성되고, 조작축(4)은 클릭감을 가진 회전동작과, 축선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회전형 전기부품(10)은 회전형 엔코더로 나타내었으나, 저항체를 도전패턴으로 한 회전형 저항기로 형성하여도 좋다.
푸시스위치(11)는 접점기구부(도시 생략)를 수납한 케이스(12)와, 접점기구부를 조작하는 푸시버튼부(13)로 구성되고, 이 푸시스위치(11)는 회전형 전기부품 (10)의 뒤쪽부에 있어서 케이스(12)가 절연기체(1)의 유지부(1c)에 끼워 맞추어져 회전형 전기부품(10)과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스위치(11)가 일체화되었을 때, 조작축(4)의 후단부가 누름접시부(13)에 맞닿은 상태가 되어 조작축(4)이 항상 가세상태로 있는 푸시버튼부(13)에 의해 앞쪽으로 가압되어 플랜지부(4b)가 회전체(3)의 앞면벽(3b)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조작축(4)을 회전하면 플랜지부(4b)가 회전체(3)의 돌기(3d)를 걸어 회전체(3)를 회전하고, 그 결과 슬라이더(5)가 코드패턴(2)의 접점부(2a)상을 슬라이딩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조작축(4)은 클릭기구에 의해 클릭감을 가지고 회전함과 동시에,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4)은 플랜지부(4b)의 반경방향의 가장 끝단부(4d)가 돌기(3d)와 걸어 맞춰지게 되나, 이 가장 끝부(4d)로부터 회전중심(C1)까지의 거리는 종래의 것보다 커져 있다.
또 회전체(3)의 돌기(3d)와 스플라인결합된 플랜지부(4b)를 가지는 조작축 (4)을 축선방향으로 가압하면 조작축(4)의 후단부에서 푸시버튼(13)을 가압, 이동시켜 접점의 변환을 행하고, 그리고 조작축(4)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세상태에 있는 푸시버튼(13)에 의해 조작축(4)이 원래의 상태로 눌려 되돌아가고 있음과 동시에 접점이 원래의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회전동작과 축선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조작축(4)과 회전체(3)가 플랜지부(4b)에 설치한 노치부(4c)와 돌기(3d)에 의해 스플라인결합되고, 그리고 조작축(4)의 축선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돌기(3d)의 노치부(4c)에 대한 끼워 맞춤을 느슨하게 하여 약간의 여유가 있는 상태로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조작축(4)을 회전하였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4)의 플랜지부(4b)의 반경방향의 가장 끝부(4d)가 돌기(3d)와 걸어 맞추어지고, 이 가장 끝부(4d)로부터 회전중심(C1)까지의 거리는 종래의 것보다 커진다.
따라서 회전중심(C1)으로부터 가장 끝부(4d)까지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돌기(3d)의 끼워 맞춤상태에 약간의 여유가 있더라도 종래에 비하여 회전방향의 여유가 작아져 조작축(4)의 회전을 회전체(3)에 즉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조작축(4)에는 바깥 둘레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b)를 가지고, 이 플랜지부 (4b)와 회전체(3)가 스플라인결합하였기 때문에 회전중심(C1)으로부터 플랜지부 (4b)가 돌기(3d)에 걸어 맞춰지는 위치까지의 거리가 종래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돌기(3d)의 끼워 맞춤상태에 약간의 여유가 있더라도 종래에 비하여 회전방향의 여유가 작아져 조작축(4)의 회전이 회전체(3)에 즉시 전달될 수 있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회전체(3)에는 돌기(3d)를 설치함과 동시에, 플랜지부(4b)에는 노치부 (4c)를 설치하고, 돌기(3d)를 노치부(4c)에 끼워 맞추어 스플라인결합하였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성이 양호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회전체(3)는 통형상부(3a)를 가지고, 이 통형상부(3a)내에 돌기(3d)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지름방향으로 작게 할 수 있어 소형의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통형상부(3a)의 내면에서 플랜지부(4b)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4)의 축선방향의 이동이 안정되어 조작성이 양호한 것을 제공할 수 있는 데다가 조작축(4)과 슬라이더(5)의 중심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돌기(3d)의 위치에서 도전패턴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5)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공간활용이 좋아 소형의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통형상부(3a)에는 조작축(4)을 삽입하는 구멍(3c)을 가지는 앞면벽(3b)을 설치하고, 앞면벽(3b)과 슬라이더(5) 사이에 플랜지부(4b)를 위치시켜 조작축(4)이 회전체(3)에 유지되었기 때문에 조작축(4)이 회전체(3)와 슬라이더(5)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도중의 반송시 등에 분리되는 일이 없어 조립성이 양호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축(4)이 앞면벽(3b)과 슬라이더(5)에 의해 빠짐 방지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다른 부품의 빠짐 방지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저렴하고 생산성이 양호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회전체를 가지는 회전형 전기부품과,
    축선방향의 이동과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작이 가능한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해 조작되는 푸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에는 바깥 둘레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바깥 둘레부와 상기 회전체가 스플라인결합하여 상기 조작축이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함께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돌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의 바깥 둘레부에 노치부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를 상기 노치부에 끼워 맞추어 스플라인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통형상부를 가지고, 이 통형상부내에 상기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내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위치에서 도전패턴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에는 상기 조작축을 삽입하는 구멍을 가지는 앞면벽을 설치하고, 앞면벽과 상기 슬라이더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를 위치시켜 상기 조작축이 상기 회전체에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10-2001-0016223A 2000-03-29 2001-03-28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100403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5244 2000-03-29
JP2000095244A JP2001283684A (ja) 2000-03-29 2000-03-29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741A KR20010093741A (ko) 2001-10-29
KR100403434B1 true KR100403434B1 (ko) 2003-10-30

Family

ID=1861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223A KR100403434B1 (ko) 2000-03-29 2001-03-28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283684A (ko)
KR (1) KR100403434B1 (ko)
CN (1) CN1177345C (ko)
TW (1) TW498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318B1 (ko) * 2002-02-18 2004-09-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합스위치 방식의 브로워스위치
JP2007201415A (ja) * 2005-12-28 2007-08-09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459A (ko) * 1993-12-31 1995-07-24 김광호 전자렌지의 조작스위치 및 그 제어회로
JPH10154440A (ja) * 1996-11-22 1998-06-09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JPH11339598A (ja) * 1998-05-25 1999-12-10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H11353976A (ja) * 1998-06-09 1999-12-24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照明機能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0133087A (ja) * 1998-10-23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459A (ko) * 1993-12-31 1995-07-24 김광호 전자렌지의 조작스위치 및 그 제어회로
JPH10154440A (ja) * 1996-11-22 1998-06-09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JPH11339598A (ja) * 1998-05-25 1999-12-10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H11353976A (ja) * 1998-06-09 1999-12-24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照明機能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0133087A (ja) * 1998-10-23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741A (ko) 2001-10-29
TW498376B (en) 2002-08-11
JP2001283684A (ja) 2001-10-12
CN1177345C (zh) 2004-11-24
CN1315740A (zh) 2001-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6006B1 (en) Pressing and rotat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parts an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ing the electronic parts
US6333473B1 (en) Rotary-push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same
US6049044A (en) Multiple operation type electrical part
JP3109446B2 (ja) 軸ロック機構部およびそれを備えた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6329898B1 (en) Multiple operation type electrical part
JP2001325859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3923714B2 (ja) 回転型電気部品
KR100327285B1 (ko) 로터리스위치
KR100403434B1 (ko)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JP2007201415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1243849A (ja) 回転型電気部品のクリック構造
JP2601754Y2 (ja) ロータリスイッチ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4703526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JP2008071589A (ja) 多方向押圧形スイッチ
JP2006012701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3178650A (ja) 電子部品
JP200201564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エンコーダ
KR100320338B1 (ko)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US20010022267A1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2005166460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4178988A (ja) 回転式電子部品
JP2004265687A (ja) 回転型電気部品
JPH11339599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