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339B1 -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 Google Patents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339B1
KR100320339B1 KR1019980041809A KR19980041809A KR100320339B1 KR 100320339 B1 KR100320339 B1 KR 100320339B1 KR 1019980041809 A KR1019980041809 A KR 1019980041809A KR 19980041809 A KR19980041809 A KR 19980041809A KR 100320339 B1 KR100320339 B1 KR 10032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ember
operation shaft
connecting member
push switch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895A (ko
Inventor
겐죠 가와사키
사토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3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Abstract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고무부재(41)의 정점부와 조작축(35)의 돌기부(35d)가 단순히 서로 접촉관계이기 때문에, 설치의 불일치 등에 의하여 축방향에 있어서의 고무부재(41)와 돌기부(35d)와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없으며, 따라서 돌기부(35d)의 고무부재(41)에 대한 압압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클릭감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고무부재(13)와 연결부재(15)를 요철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고무부재(13)와 연결부재(15)와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연결부재(15)의 고무부재(13)에 대한 압압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안정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ROTATING ELECTRIC PART HAVING PUSH SWITH}
본 발명은 조작축의 축방향의 이동동작으로 접점을 온, 오프시키는 푸시스위치를 구비하고, 조작축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펄스스위치, 또는 가변저항기 등의 회전형 전기부품을 조작하도록 한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31)은 수납부(31a)와 관통구멍(31b)과, 끝부에 관통구멍(31b)의 일부를 막도록 설치된 턱부(31c)를 가지고 있다.
또 베어링(31)의 수납부(31a)내에는 중심부에 구멍(32a)을 가지는 회전가능한 자기드럼(32)과, 자기드럼(32)에 대향한 위치에 고정된 복수개의 홀IC(33)가 수납되어, 자기드럼(32)과 홀IC(33)로 로터리 엔코더인 회전형 전기부품(D)이 구성되어 있다.
또 자기드럼(32)에는 요철부(32b)가 마련되어, 수납부(31a)내에 고정된 스프링(34)이 요철부(32b)에 걸리고 빠질 수 있게 되어 있어, 자기드럼(32)의 회전시, 클릭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조작축(35)은 홈(35a)을 가지는 원형부(35b)와 원형부(35b)에 연결되는 비원형부(35c)와 비원형부(35c)에 연결되는 돌기부(35d)를 가지고, 이 조작축(35)은 베어링(31)의 관통구멍(31b)과 자기드럼(32)의 구멍(32a)에 삽입되고, 원형부 (35b)가 턱부(31c)에, 또 비원형부(35c)가 구멍(32a)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35)의 홈(35a)에는 금속제의 와셔(36)가 설치되어 와셔(36)가 턱부(31c)의 내면과 서로 접촉하도록 하여 조작축(35)의 빠짐방지를 행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조작축(35)은 회전동작과 축방향의 이동동작이 가능하여 조작축(35)을 회전하면, 원형부(35b)가 턱부(31c)를 가이드로 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비원형부(35c)에 의하여 자기드럼(32)을 회전시키고, 또 조작축(35)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턱부(31c)와 구멍(32a)사이에서 슬라이드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절연기체(37)는, 베어링(31)의 수납부(31a)의 개방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이 절연기체(37)의 오목부(37a)내에는, 푸시스위치(P)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푸시스위치(P)는 케이스(38)에 매설된 고정접점(39)과 케이스(38)내에설치된 가동접점(40)과, 케이스(38)내에 설치되어 가동접점(40)을 덮도록 설치된 돔형상의 고무부재(41)와, 케이스(38)의 개방부를 덮도록 설치된 판부(4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푸시스위치(P)가 회전형 전기부품(D)의 후부에 설치되었을 때, 고무부재(41)의 정점부는 조작축(35)의 돌기부(35d)와 서로 접촉한 상태로서 조작축(35)을 앞쪽으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조작축(35)에 설치된 손잡이(43)를 회전하면, 조작축(35)에 의하여 자기드럼(32)이 클릭동작을 행하면서 회전하고, 이 자기드럼(32)의 회전에 의하여 홀IC(33)가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회전형 전기부품(D)이 조작된다.
또 손잡이(43)를 축방향으로 압압하여 이동시키면, 조작축(35)도 이동하여 돌기부(35d)로 고무부재(41)를 압압한다.
그러면 고무부재(41)가 눌려 변형하여 반전하고, 고무부재(41)의 클릭동작으로 가동접점(40)을 압압하여 가동접점(40)이 고정접점(39)에 접촉하여 온이 된다.
또한 손잡이(43)의 압압을 해제하면, 고무부재(41)는 자기의 스프링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반전복귀하기 때문에, 조작축(35)은 고무부재(41)에 의하여 되밀려져, 와셔(36)가 턱부(31c)에 걸어멈춰짐과 동시에, 가동접점(40)은 자기의 스프링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오프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형 전기부품(D)과 푸시스위치(P)의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고무부재(41)의 정점부와 조작축(35)의 돌기부(35d)가 단지 서로 접촉관계이기 때문에 설치의 불균일 등에 의하여 축방향에 있어서의 고무부재(41)와 돌기부(35d)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없고, 따라서 돌기부(35d)의 고무부재(41)에 대한 압압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클릭감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조작축(35)의 축심상에서 고무부재(41)의 중심부를 압압하였을 때가 최량의 클릭감이 되나, 돌기부(35)의 고무부재(41)에 대한 압압위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클릭감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돌기부(35d)의 선단부와 고무부재(41)가 서로 접촉관계이기 때문에 진동, 또는 돌기부(35d)의 압압시, 돌기부(35d)와 고무부재(41)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생겨 고무부재(41)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돌기부(35d)의 압압시, 고무부재(41)사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돌기부 (35d)의 선단부가 고무부재(41)의 중심부로부터 어긋나 압압위치가 변하여 클릭감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돌기부(35d)로 고무부재(41)를 압압하기 때문에 일점에 의한 압압이 되고, 고무부재(41)의 변형이 안정되지 않아 클릭감에 불균일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종래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어링 1a : 수납부
1b : 관통구멍 1c : 통부
1d : 턱부 2 : 회전체
2a : 구멍 2b : 요철부
2c : 통형상부 2d : 유지부
2e : 절연부재 2f : 구멍
3 : 가동접점 4 : 설치기체(基體)
4a : 구멍 4b : 수납부
5 : 고정접점 D : 회전형 전기부품
7 : 조작축 7a : 조작부
7b : 턱부 7c : 비원형부
7d : 걸어맞춤부 8 : 탄성부재
9 : 설치판 P : 푸시스위치
10 : 케이스 11 : 고정접점
12 : 가동접점 13 : 고무부재
13a : 오목부 14 : 판부
15 : 연결부재 15a : 걸어맞춤부
15b : 기부(基部) 15c : 팽출부
15d : 볼록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해결수단으로서 구멍을 마련한 회전체를 가지는 회전형 전기부품과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의 후부(後部)에 설치되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 및 상기 가동접점을 동작하기 위한 공기형상의 고무부재를 가지는 푸시스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구멍에 삽입된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과 상기 고무부재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작축의 이동을 상기 고무부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의 끝부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끼워맞춰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한쪽에는 오목부, 다른쪽에는 볼록부가 마련되어 서로 요철결합되고, 상기 조작축의 회전동작으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을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축의 축방향의 이동동작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고무부재를 가동하여 상기 푸시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축의 축선상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연결부재의 걸어맞춤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오목부와 요철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의 해결수단으로서, 공기형상의 상기 고무부재의 평탄면을 이루는 정점부에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를 마련하고, 또 상기 고무부재의 정점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대향면을 평탄면으로 이루고, 상기 고무부재의 평탄면과 상기 연결부재의 평탄면을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서로 요철결합시킨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의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평탄면을 가지는 팽출부를 마련하고, 설치기체에 설치한 수납부로 상기 팽출부를 유지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연다이캐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어링(1)은 수납부(1a)와, 관통구멍(1b)을 통부(1c)와, 통부(1c)의 끝부에 관통구멍(1b)의 일부를 막도록 설치된 턱부(1d)를 가지고 있다.
또 베어링(1)의 수납부(1a)내에는 중심부에 비원형상의 구멍(2a)을 가지는 회전가능한 회전체(2)가 설치되고, 이 회전체(2)는 요철부(2b)와 통형상부(2c)를 가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2d)와, 유지부(2d)에 결합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부재(2e)와, 절연부재(2e)에 설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3)으로 구성되고, 또 이 회전체(2)의 통형상부(2c)는 베어링(1)의 관통구멍(1b)내에 삽입되어 베어링(1)을 가이드로 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설치기체(4)에는 고정접점(5)이 매설되고, 이 설치기체(4)는 베어링(1)의 수납부(1a)의 개방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베어링(1)에 설치되어 있다.
또 설치기체(4)가 설치되었을 때, 고정접점(5)의 탄성접점(도시 생략)이 가동접점(3)에 접속 이탈하여 접점의 전환이 행하여지는 것으로 가동접점(3)을 가지는 회전체(2)와 고정접점(5)을 가지는 설치기체(4)로 펄스스위치인 회전형 전기부품(D)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형 전기부품(D)은 엔코더, 가변저항기 등이어도 좋다.
또 베어링(1)의 수납부(1a)내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6)이 고정되고, 이 스프링(6)이 회전체(2)의 요철부(2b)에 걸리고 빠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회전체(2)의 회전시, 클릭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금속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축(7)은 조작부(7a)와 조작부(7a)보다 큰 지름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턱부(7b)와, 턱부(7b)에 연결되어 설치된 비원형부(7c)와, 비원형부(7c)에 연결되어 축심부에 설치된 원주형상의 걸어맞춤부(7d)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조작축(7)은 베어링(1)의 관통구멍(1b)과 회전체(2)의 구멍(2a)에 삽입되어 조작부(7a)가 턱부(1d)에, 또 턱부(7b)가 관통구멍(1b)에, 또한 비원형부 (7c)가 구멍(2a)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어 조작축(7)은 턱부(1d)에 의한 조작부 (7a)의 지지로 회전함과 동시에 축방향의 이동을 행하고, 또 조작축(7)은 턱부(7b)가 베어링(1)의 턱부(1d)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베어링(1)으로부터의 탈락방지를 행하고 있다.
또 스프링성있는 금속판을 만곡시켜 형성된 탄성부재(8)는 조작축(7)의 조작부(7a)에 삽입되어 베어링(1)의 턱부(1d)와 조작축(7)의 턱부(7d)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탄성부재(8)는 조작축(7)을 항상 뒤쪽으로 탄성압압함과 동시에 조작축(7)이 앞쪽으로 되밀렸을 때, 턱부(7b)의 턱부(1d)에 대한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부재(8)의 턱부(1d)에 대한 충돌을 완화하여 충돌음을 적게 하고 있다.
또 회전형 전기부품(D)의 후부에는 설치판(9)에 의하여 푸시스위치(P)가 설치되고, 이 푸시스위치(P)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0)에 매설된 고정접점(11)과, 케이스(10)내에 설치된 가동접점(12)과, 케이스(10)내에 설치되고, 가동접점(12)을 덮도록 설치된 공기형상의 고무부재(23)와, 고무부재(13)의 탈락방지를 이루는 판부(14)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무부재(13)는 공기형상의 정점부가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그 중심부, 즉 조작축(7)의 축심부와 일직선상의 위치에 오목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푸시스위치(P)가 회전형 전기부품(D)의 후부에 설치되었을 때, 고무부재(13)는 조작축(7)의 걸어맞춤부(7d)와 일직선상의 위치에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의 성형품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5)는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15a)를 가지는 대략 원추형상의 기부(基部)(15b)와, 기부(15b)의 한쪽 끝으로부터 팽출한 평탄면을 가지는 팽출부(15c)와, 팽출부(15c)의 중심부에 설치된 볼록부(15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부재(15)는 기부(15b)가 설치기체(4)의 구멍(4a)과 회전체(2)의 절연부재(2c)의 구멍(2f)에 삽입되어 걸어맞춤부(15a)인 구멍에 조작축(7)의 걸어맞춤부(7d)를 끼워넣음(끼워맞춰 결합)과 동시에 볼록부(15d)를 고무부재(13)의 오목부(13a)에 끼워맞춘(요철결합)상태에서 팽출부(15c)의 평탄면을 고무부재(13)의 정점부의 평탄면에 서로 접촉시키고, 또한 팽출부(15c)를 설치기체(4)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수납부(4b)에 수납, 유지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연결부재(15)는 걸어맞춤부(15a) 및 볼록부(15d)가 조작축(7)의 축심선(S)상에 위치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연결부재(15)는 고무부재 (13)로 압압되어 설치기체(4)에 서로 접촉하여 수납부(4b)에 유지되고, 또 조작축 (7)은 이 연결부재(15)로 앞쪽으로 압압되어 있다.
또 턱부(1d)의 구멍 및 원통부(2a)와 관통구멍(1b)의 접촉부 등, 금속끼리가 슬라이딩하는 개소에는 도시생략한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있어서, 도 1의 상태에서 조작축(7)을 회전하면, 조작축(7)은 조작부(7a)가 턱부(1d)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조작축(7)에 일체로 설치된 연결부재(15)의 기부(15b)의 근본부분이 설치기체(4)의 구멍(4a)으로 가이드되어 2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조작축(7)에 의하여 회전체 (2)가 클릭동작을 행하면서 회전한다.
또한, 회전체(2)의 회전으로 가동접점(3)이 회전하여 가동접점(3)이 고정접점(4)과 접촉 이탈하여 접점의 전환이 행하여져 회전형 전기부품(D)이 조작된다.
또 도 1의 상태에서 조작축(7)을 축방향으로 압압하여 이동시키면, 조작부(7a)가 턱부(1d), 및 비원형부(7c)가 구멍(2a)을 가이드로 하여 이동하고 조작축(7)은 연결부재(15)를 축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부재(15)는 볼록부 (15d)와 팽출부(15c)의 평탄면으로 고무부재(13)의 평탄면을 압압한다.
그러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부재(13)가 눌려져 변형하여 반전하여, 고무부재(13)의 클릭동작으로 가동접점(12)을 압압하여 가동접점(12)이 고정접점(11)에 접촉하여 온이 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조작축(7)의 압압을 해제하면, 고무부재(13)는 자기의 스프링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반전복귀하기 때문에 연결부재(15)와 조작축(7)은 고무부재(13)에 의하여 되밀려진다.
이때, 조작축(7)의 턱부(7b)와 베어링(1)의 턱부(1d)사이에 개재한 스프링부재(8)에 의하여 조작축(7)의 복귀충격이 완화되어 충돌음이 매우 적어진다.
또 이때, 기부(15b)는 대략 원추형상으로, 선단이 가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4a)에 걸리는 일은 없다.
또 조작축(7)의 턱부(7b)가 턱부(1d)에 의하여 이동이 정지하고, 또한 연결부재(15)의 팽출부(15c)가 설치기체(4)의 수납부(4b)에 유지되어 이동이 정지하면, 가동접점(12)은 자기의 스프링성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오프상태로 되어 도 1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형 전기부품(D)과 푸시스위치(P)의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7a)가 턱부(1d)를 가이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쪽 가이드부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나, 턱부(7b)를 통부(1c)로 가이드하여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그리스를 도포하여도 좋다. 그 경우, 큰 지름으로의 지지회전이 되기 때문에 원활하고 안정된 조작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무부재(13)와 연결부재(15)의 오목부(13a)와볼록부(15d)의 관계를 역으로 하고, 고무부재(13)에는 볼록부를, 또 연결부재(15)에는 오목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고무부재(13)와 연결부재(15)를 요철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고무부재(13)와 연결부재(15)와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연결부재(15)의 고무부재(13)에 대한 압압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안정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고무부재(13)와 연결부재(15)가 요철결합이기 때문에 진동, 또는 연결부재(15)의 압압시, 연결부재(15)와 고무부재(13)사이에서 슬라이딩을 일으키는 일이 없고, 고무부재(13)의 마모가 없는 수명이 긴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고무부재(13)와 연결부재(15)가 요철결합이기 때문에 연결부재(15)의 압압시, 고무부재(13)에 대한 압압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클릭감이 안정된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축(7)의 축선(S)상에 조작축(7)과 연결부재(15)의 걸어맞춤부(7d, 15a) 및 연결부재(15)와 고무부재(13)의 오목부(13a)와 볼록부(15d)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조작축(7)의 축선(S)상에서 고무부재(13)를 압압할 수 있어 안정된 클릭감이 양호한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고무부재(13)의 평탄면과 연결부재(15)의 평탄면을 서로 접촉시켰기 때문에 연결부재(15)의 고무부재(13)에 대한 압압이 면압압이 되어 고무부재(13)의 변형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매우 클릭감이 양호한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연결부재(15)에 설치한 팽출부(15c)를 설치기체(4)의 수납부(4b)에 수납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연결부재(15)의 조립시 위치결정이 되어 조립성이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15)로 조작축(7)의 자유단인 걸어맞춤부(7d)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어 조작축(7)의 조작성이 양호하여 안정된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조작축과, 이 조작축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납부를 형성하는 베어링과, 상기 조작축이 삽입되는 구멍을 마련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됨과 동시에, 회전형 전기부품의 가동접점을 가지는 회전체와, 상기 수납부의 개방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의 가동접점으로 슬라이딩하는 회전형 전기부품의 고정접점 및 구멍을 가지는 설치기체와,
    상기 설치기체의 후부에 설치되어 푸시스위치용의 가동접점과 푸시스위치용의 고정접점 및 상기 푸시스위치용의 가동접점을 동작하기 위한 공기형상의 고무부재를 가지는 푸시스위치와, 상기 조작축과 상기 고무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작축의 이동을 상기 고무부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의 끝부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끼워맞춰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한쪽에는 오목부, 다른쪽에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서로 요철결합되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설치기체의 구멍으로 가이드되어 삽입되고, 상기 조작축은 상기 베어링과 상기 설치기체에 의해 2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조작축의 회전동작으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형 전기부품을 조작함과 함께 상기 조작축의 축방향의 이동동작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거쳐 고무부재를 가동하여 상기 푸시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의 회전축선상에, 상기 조작축과 상기 연결부재의 걸어맞춤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3. 제 1항에 있어서,
    공기형상의 상기 고무부재의 평탄면을 이루는 정점부에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를 마련하고, 또 상기 고무부재의 정점부와 대향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대향면을 평탄면으로 이루고, 상기 고무부재의 평탄면과 상기 연결부재의 평탄면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로 서로 요철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평탄면을 일면에 가지고, 다른쪽 면이 상기 설치 기체에 접촉하는 팽출부를 마련하고, 설치기체에 설치한 수납부로 상기 팽출부를 유지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1019980041809A 1997-10-08 1998-10-07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KR100320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5953 1997-10-08
JP9275953A JPH11121210A (ja) 1997-10-08 1997-10-08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95A KR19990036895A (ko) 1999-05-25
KR100320339B1 true KR100320339B1 (ko) 2002-02-19

Family

ID=1756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809A KR100320339B1 (ko) 1997-10-08 1998-10-07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121210A (ko)
KR (1) KR100320339B1 (ko)
CN (1) CN1106028C (ko)
MY (1) MY1448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2988B2 (ja) * 2000-01-07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クリック付回転型電気部品
JP3869996B2 (ja) * 2000-03-10 2007-01-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3995435B2 (ja) * 2001-08-02 2007-10-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CN102455190B (zh) * 2010-10-23 2013-11-20 深圳市鑫汇科电子有限公司 一种磁感应式防水编码器
JP5681004B2 (ja) * 2011-03-14 2015-03-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気部品
DE102012023679C5 (de) * 2012-11-26 2016-11-17 Fritz Kübler GmbH Zähl- und Sensortechnik Lagesicherungselement, Drehgebersystem mit einem Lagesicherungselement sowie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Drehgebersystems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451513B1 (ko) * 2013-06-11 2022-10-06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회전 입력 메커니즘
WO2015021391A1 (en) 2013-08-09 2015-02-12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48802B2 (en)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0190891B1 (en)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WO2016036747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4362023B (zh) * 2014-10-14 2016-06-29 东莞高仪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双位开关功能的编码器
US10145711B2 (en) 2015-03-05 2018-12-04 Apple Inc. Optical encoder with direction-dependent optical properties having an optically anisotropic region to produce a first and a second light distribution
WO2016144919A1 (en) 2015-03-08 2016-09-15 Apple Inc. Compressible seal for rotatable and translatable input mechanisms
US10018966B2 (en) 2015-04-24 2018-07-10 Apple Inc. Cover member for an input mechanism of an electronic device
JP6496225B2 (ja) * 2015-09-29 2019-04-03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JP6471073B2 (ja) * 2015-09-29 2019-0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US9891651B2 (en) 2016-02-27 2018-02-1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211293787U (zh) 2018-08-24 2020-08-18 苹果公司 电子表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CN108922815B (zh) * 2018-09-30 2023-08-08 温州牧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旋钮开关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JP7145466B2 (ja) * 2019-03-27 2022-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移動体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CN114388207B (zh) * 2021-12-31 2024-04-16 上海龙纺避雷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旋转式电阻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557A (en) * 1988-01-28 1993-04-06 Mec A/S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ic or electronic component, a method of producing a key and a key
JPH04106822A (ja) * 1990-08-28 1992-04-08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ツチおよび押釦スイツチ用ゴム接点の製造方法
JPH08329790A (ja) * 1995-05-29 1996-12-13 Alps Electric Co Ltd タッチセンサ付き回転操作型電気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21210A (ja) 1999-04-30
CN1106028C (zh) 2003-04-16
KR19990036895A (ko) 1999-05-25
MY144874A (en) 2011-11-30
CN1213841A (zh) 199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339B1 (ko)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US5247849A (en) Shift lever construction
US3827313A (en) Miniaturized joystick and cam structure with push button switch operating means
JP354937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電気部品
KR100883945B1 (ko) 회전 조작형 전기 부품
US6049044A (en) Multiple operation type electrical part
KR900002952B1 (ko) 다련(多連) 스위치
US6329898B1 (en) Multiple operation type electrical part
JPH09231872A (ja) 車両用ノブスイッチ
US5200584A (en) Lever switch
KR880004032Y1 (ko) 펄스 스위치
KR100330849B1 (ko) 다방향 입력장치
US5665948A (en) Automobile knob switch
US5165531A (en) Trigger switch
US6600115B2 (en) Switching device
KR100864388B1 (ko) 복합 조작 입력 장치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US5991149A (en) Operation shaft receiving-type electric
US6548777B2 (en) Switch apparatus
JP200628658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KR100320338B1 (ko) 푸시스위치가부착된회전형전기부품
US6353196B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2003303532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5819130B2 (ja) 回転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