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078B1 -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078B1
KR100413078B1 KR10-2001-0011991A KR20010011991A KR100413078B1 KR 100413078 B1 KR100413078 B1 KR 100413078B1 KR 20010011991 A KR20010011991 A KR 20010011991A KR 100413078 B1 KR100413078 B1 KR 100413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contacts
movable contact
switch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217A (ko
Inventor
미조부치신이치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9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부품점수를 종래보다도 줄여 조립성을 개선한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슬라이더 조각(7)의 기초부(7b)를 매설(埋設)하는 절연기체(6)를 가지고, 이 절연기체(6)에 기초부(8b, 9b)를 매설하는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을 설치하고, 슬라이더 조각(7)의 접점부(7a)는 회전체(4)의 도체패턴(4b)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 1, 제 2 고정 접점(8, 9)의 제 1, 제 2 접점부(8a, 9a)는 슬라이더 조각(7)의 접점부(7a)의 돌출방향과 반대측의 면에 노출하여 형성되어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의 제 1, 제 2 접점부(8a, 9a)에 탄성가세하여 도통가능한 가동접점(11)을 가지고, 조작축(2)의 가압조작으로 가동접점(11)이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의 제 1, 제 2 접점부(8a, 9a)로부터 접촉이탈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ROTARY TYPE ELECTRIC PARTS WITH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축의 가압조작에 의해 스위치회로를 오프 가능한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도 5에 나타내는 것 같은 스위치부 (20)를 가지고, 이 스위치부(20)는 도시 오른쪽에 절연기판(21)이 설치되고, 이 절연기판(21)의 표면에는 금속성의 고정접점(22)이 설치되고, 고정접점(22)의 하단부에 형성한 부착구멍(22b)에 제 1 단자(23)를 코킹부착하고 있다.
또 절연기판(21)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24)이 제 2 단자(25)에 코킹부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24)은 장착구멍(24a)을 가지는 고리형상의 유지부(24b)가 형성되고, 이 유지부(24b)의 상부측에 원호형상의 아암부 (24c)가 형성되어 유지부(24b)와 아암부(24c)가 접속부(24d)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접속부(24d)에는 접점부(24e)가 고정접점(22)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24)은 아암부(24c)의 하부가 2단으로 구부러져 부착구멍(24g)을 절연기판(21)의 부착구멍(21c)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2 단자(25)를 부착구멍 (21c)에 코킹부착하여 가동접점(24)이 절연기판(21)에 고착된다.
또 고리형상의 유지부(24b)의 전후는 제 1, 제 2 절연홀더(26, 27)가 배치되고, 이 제 1, 제 2 절연홀더(26, 27)에 의해 유지부(24b)가 끼워 유지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절연홀더(27)의 도시 왼쪽에는 내부가 공동인 케이스(28)가 설치되고, 이 케이스(28)의 좌우 끝부에는 포올부(28a)가 돌출형성되고, 이 포올부 (28a)에 의해 케이스(28)가 절연기판(21)에 설치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케이스(28)에는 창(28b)이 관통형성되고, 이 창(28b)은 뒤면측으로부터 뒤쪽 판(29)에서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뒤쪽 판(29)과 제 2 절연홀더(27)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0)이 장치되어, 제 2 절연홀더(27)를 항상 절연기판(21)측에 탄성가세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부(20)를 가지는 종래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기판(21)의 오른쪽에 예를 들면 가변저항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형 전기부품(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형 전기부품(31)의 조작축(32)이 제 1, 제 2 절연홀더(26, 27)의 축구멍(26a, 27a)내에 삽입되어 회전자유롭게 되어 있고, 조작축(32)의 가압조작으로 스위치부(20)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작축(32)을 가압 조작하지 않을 때는 제 2 절연홀더(27)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도시 오른쪽 방향으로 탄성 가세되어 조작축(32)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고 있다.
이에 의하여 가동접점(24)의 접점부(24e)가 고정접점(22)의 접촉부(22a)에 접촉하여 고정접점(22)을 거쳐 제 1, 제 2 단자(23, 25)가 도통하여 스위치회로가 온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31)을 화살표 B 방향으로 가압 조작하면 제 1, 제 2 절연홀더(26, 27)가 코일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시 왼쪽으로 눌려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제 1, 제 2 절연홀더(26, 27)에 끼워유지되어 있는 가동접점(24)의 유지부(24b)도 도시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부 (24e)가 고정접점(22)의 접촉부(22a)로부터 떨어져 제 1, 제 2 단자(23, 25) 사이의 도통이 차단된다. 그리고 제 1, 제 2 단자(23, 25) 사이의 스위치회로가 오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예를 들면 회전형 전기부품(31)이 가변저항기이면 조작축(32)의 회전조작으로 저항치를 가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축(32)을 가압 조작하면 제 1, 제 2 단자 사이의 스위치회로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하나의 조작축(32)으로 회전형 전기부품(31)의 조작과 스위치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효율이 좋다.
그러나 종래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회전형 전기부품(31)내에 도시 생략하나, 예를 들면 슬라이더 조각을 설치한 슬라이더받이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더받이와는 따로 스위치회로를 구성하는 절연기판(21)을 설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많아져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박형화가 어려웠다.
또 부품점수가 많기 때문에 조립에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박형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부품점수를 종래보다도 줄여 조립성을 개선한 스위치부착 회전형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절연기체의 제조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절연기체의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부품의 동작을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어링부재 1a : 축 구멍
2 : 조작축 4 : 회전체
4a : 축 구멍 4b : 도체패턴
4c : 절연체 6 : 절연기체
6a : 가이드구멍 6b : 직사각형구멍
6c : 절단용 구멍 7 : 슬라이더 조각
7a : 접점부 7b : 기초부
7c : 단자 8 : 제 1 고정접점
8a : 제 1 접점부 8b : 기초부
8c : 단자 9 : 제 2 고정접점
9a : 제 2 접점부 9b : 기초부
9c : 단자 10 : 간극
11 : 가동접점 11a : 접점부재
12 : 유지부재 13 : 코일 스프링
14 : 케이스 16 : 금속판
16b : 제 1 접속부 16c : 제 2 접속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자부품은 회전 및 축선방향으로 가압조작 가능한 조작축과, 이 조작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이 회전체의 한쪽 면에 형성된 도체패턴과, 이 상기 도체패턴에 탄성접촉하는 슬라이더 조각을 구비하고, 이 슬라이더 조각의 기초부를 매설하는 절연기체를 가지고, 이 절연기체에 기초부를 매설하는 고정접점을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 조각의 접점부는 상기 도체패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접점의 접점부는 상기 슬라이더 조각의 접점부의 돌출방향과 반대측의 면에 노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접점의 접점부에 탄성 가세하여 도통 가능한 가동접점을 가지고, 상기 조작축의 가압조작으로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의 접점부로부터 접촉 이탈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접점은 서로 절연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에 탄성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 사이를 도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고정접점과는 서로가 접속부에서 접속된 상태로 상기 절연기체에 상기 기초부가 매설되어 상기 절연기체에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고정접점을 매설한 다음에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여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고정접점을 서로 절연분리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접점은, 제 1,제 2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탄성 접촉 가능한 접점부재와 이 접점부재를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접촉 이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축의 가압조작에 의해 상기 유지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제 1, 제 2 고정접점에 탄성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을 가지고, 이 코일 스프링은 상단부가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유지부재에 위치결정되어 유지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절연기체의 제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절연기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예를 들면 엔코더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에 베어링 부재(1)가 배치되고, 이 베어링부재(1)는 아연다이캐스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조작축(2)이 회전 가능한 축 구멍(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축(2)은 금속막대 등으로 이루어지고, 축 구멍(1a)내에서 회전 및 축선(C)방향으로 가압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축(2)은 축 구멍(1a)에 삽입된 다음에 축 구멍(1a)으로부터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홈(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빠짐 방지홈(2a)에 빠짐 방지링(3)을 끼워 넣음으로써 조작축(2)은 축 구멍(1a)에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 축 구멍(1a)에 삽입하여 베어링부재(1)의 공동내부에 위치하는 조작축(2)에는 미끄럼 떨어짐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부재(1)의 공동 내부에는 수지재료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원반형상의 회전체(4)가 배치되고, 이 회전체(4)의 회전중심으로 엽전형상의 축 구멍(4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4)의 축 구멍(4a)에 조작축(2)의 미끄럼 떨어짐부(2b)를 삽입하면, 조작축(2)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4)가 회전함과 동시에 조작축(2)이 축구멍(4a)내를 축선(C)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회전체(4)의 도시 하면측의 한쪽의 면에는 금속판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도체패턴(4b)이 노출 형성되고, 이 도체패턴(4b)의 원주방향을 부분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절연체(4c)가 노출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체(4)는 도시 상부의 바깥 둘레부에 스프링부재(5)가 접촉하여 배치되고, 이 스프링부재(5)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축(2)을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토오크가 소정의 값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체(4)의 도시하부에는 절연기체(6)가 배치되고, 이 절연기체(6)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슬라이더 조각(7) 및 복수의 고정접점인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이 매설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절연기체(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원형의 가이드구멍 (6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구멍(6a)을 사이에 두고 도면에 나타낸 상하에 한 쌍의 직사각형 구멍(6b, 6b)이 관통 형성되고, 이 직사각형 구멍(6b, 6b)에 복수의 슬라이더 조각(7)의 접점부(7a)가 노출되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 조각(7)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구멍(6b)에 위치하는 복수의 접점부(7a)는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체(4)의 도체패턴(4b)측으로 구부러져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 조각(7)의 접점부(7a)가 회전체(4)의 도체패턴(4b)에 탄성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조각(7)은 기초부(7b)를 가지고, 이 기초부(7b)가 절연기체(6)에 매설되어 기초부(7b)에 접속하는 복수의 단자(7c)가 도 4에 나타내는 절연기체(6)의 왼쪽 바깥부로 도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기체(6)의 외부로 도출된 단자(7c)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각인 아래쪽으로 구부려져 프린트기판(도시 생략) 등에 설치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은 제 1, 제 2 접점부(9a, 10a)를 가지고, 이 제 1, 제 2 접점부(9a, 10a)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조각(7)의 접점부(7a)의 돌출방향과 반대측의 면에 노출하여 원뿔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점부(8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구멍(6a)의 왼쪽에 형성되고, 이 제 1 접점부(8a)에 접속하는 기초부(8b)가 관통구멍(6a)과 직사각형 구멍(6b) 사이를 도시 오른쪽 방향으로 둘러쳐 절연기체(6)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절연기체(6)의 도시 오른쪽에 기초부(8b)가 둘러쳐져 이 기초부(8b)로부터 단자(8c)가 절연기체(6)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점부(9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구멍(6a)의 오른쪽에 형성되고, 이 제 2 접점부(9a)에 접속하는 기초부(9b)가 절연기체(6)에 매설되고, 상기 기초부(9b)로부터 단자(9c)가 절연기체(6)의 외부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은 서로 절연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조각(7)과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은 절연기체(6)에 인서트성형 등으로 매설될 때에 있어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 1, 제 2 접속부(16b, 16c)에서 서로 접속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 조각(7)과 제1 , 제 2 고정접점(8, 9)은 뒤에서 설명하는 1매의 금속판(16)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고, 또 관통구멍(6a)의 주위에 이 관통구멍 (6a)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1매의 금속판(16)으로 일체 형성된 슬라이더 조각(7)과 제 1, 제 2 고정접점을 절연기체(6)에 매설한 다음에 제 1, 제 2 접속부(16b, 16c)를 절단함으로써, 소정간격의 간극(10)이 형성되어 복수의 슬라이더 조각(7) 및 슬라이더 조각 (7)과 제 1, 제 2 고정접점이 서로 절연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절연기체(6)의 제조방법을 도 3,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매의 후프형상의 금속판(16)의 좌우 양쪽 끝부 부근에는 복수의 가이드구멍(16a)이 소정의 피치치수로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16a)에서 금속판(16)을 다음공정에 정밀도 좋게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최초의 펀칭공정에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조각 (7) 및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이 제 1, 제 2 접속부(16b, 16c)에서 접속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금속판(16)이 펀칭되어 있다.
다음에 슬라이더 조각(7) 및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이 일체로 형성된 금속판(16)을 다음공정의 성형공정에 반송하고 성형금형(도시 생략)내에 절연기체(6)의 수지재료를 흘려 넣으면 슬라이더 조각(7) 및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의 각각의 기초부(7b, 8b, 9b)가 수지재료로 매설된다.
이 때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조각(7)의 접점부(7a) 주위에는 직사각형 구멍(6b)이 관통 형성되고,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은 각각의 접점부(8a, 9a)가 절연기체(6)의 다른쪽 면으로부터 노출하여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제 2 접속부(16c)에는 절단용 구멍(6d)이 관통형성되어 제 2 접속부(16c)가 절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절연기체(6)를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설치한 금속판(16)을 다음공정의 절단 벤딩공정으로 반송하고, 절단 벤딩금형(도시 생략)으로 직사각형 구멍(6b)내에 위치하는 제 1 접속부(16b, 16b)를 절단하여 도 4에 나타낸 것 같은 간극(10)을 형성한다. 또 직사각형 구멍(6b)을 이용하여 슬라이더 조각(7)의 접점부(7a)를 돌출시킨다. 그렇게 하면 구동구멍(6b)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 조각(7)이 근본부분으로부터 구부려져 접점부(7a)가 절연기체(6)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체(4)의 도체패턴(4b)측으로 돌출된다.
또 절단용 구멍(6d)내에 위치하는 제 2 접속부(16c)는 절단 벤딩금형의 펀치에 의해 절단용 구멍(6d)내에서 절단된다. 그렇게 하면 복수의 슬라이더 조각(7)과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은 서로 절연분리된다.
또 절단 벤딩공정에서는 각각의 단자(7c, 8c, 9c)가 금속판(16)으로부터 떼어 내지고, 그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7c, 8c, 9c)가 구부려져 절연기체(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기체(6)의 하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것 같은 가동접점(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11)은 금속제로 원형의 접점부재 (11a)를 가지고, 이 접점부재(11a)의 중앙부에 구멍(11b)이 형성되고, 이 구멍 (11b)을 거쳐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유지부재(12)가 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가동접점(11)은 접점부재(11a)를 가지고, 이 접점부재(11a)를 제 1, 제 2 고정접점(8, 9)에 접촉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재(12)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동접점(11)은 뒤에서 설명하는 코일 스프링(13)의 탄성력으로 접점부재(11a)가 제 1, 제 2 접점부(8a, 9a)에 탄성접촉하여 서로 절연된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이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 유지부재(1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재(11a)의 오른쪽에 절연기체(6)에 형성한 가이드구멍(6a)에 가이드 가능한 가이드부(12a)가 돌출형성되고, 접점부재(11a)의 왼족에 뒤에서 설명하는 코일스프링(13)을 위치결정하여 유지 가능한 위치 결정부(12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부재(12)의 중앙부에는 조작축(2)의 선단부(2c)가 회전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구멍(12c)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2)의 축선(C)방향의 가압조작으로 가동접점(11)이 다른 부재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가동접점(11)의 아래쪽에는 코일 스프링(13)이 배치되고, 이 코일 스프링(1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13a)의 지름치수가 하단부(13b)의 지름치수보다 작게 형성된 대략 사다리꼴형상을 이루고, 상단부 (13a)가 유지부재(12)의 위치결정부(12b)에 삽입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3)의 가세력으로 가동접점(11)이 항상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가동접점(11)이 제 1, 제 2 고정접점(8, 9)에 탄성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가동접점(11)이 항상 위쪽으로 밀어 올려짐으로써 조작축(2)도 항상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 절연기체(6)의 아래쪽에는 코일 스프링(13) 및 가동접점(11)을 수납 가능한 케이스(14)가 배치되고, 이 케이스(14)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부(14a)의 바닥면에는 코일스프링(13)의 하단부(13b)를 위치 결정가능한 위치 결정부(14b)가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조립은 상기 베어링 부재(1)에 조작축(2)의 빠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베어링부재(1)의 내부에 회전체(4)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베어링부재(1)와 절연기체(6)를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절연기체(6)의 하부에 가동접점(11)과 코일스프링(13)을 수납하는 케이스(14)를 위치결정한다. 그리고 베어링부재(1)와 케이스(14)의 바깥 둘레부를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멈춤부재(15)로 코킹부착한다. 그렇게 하면 가동접점(11)이 코일스프링(13)에 의해 위쪽으로 탄성 가세되어 제 1, 제 2 고정접점(8, 9)에 탄성접촉하여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이 조립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조작축(2)을 회전조작하면 조작축(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체(4)가 회전하고 도체패턴(4b)이 슬라이더(7)의 접점부(7a) 상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펄스신호가 발생하여 이 펄스신호로 조작축(2)의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축(2)을 축선(C)방향으로 가압 조작하면, 가동접점(11)이 코일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져 접점부재(11a)가 제 1, 제 2 고정접점(8, 9)으로부터 이간된다.
그렇게 하면 제 1, 제 2 고정접점(8, 9)사이의 도통이 차단되어 제 1, 제 2 고정접점(8, 9) 사이의 스위치회로를 오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1매의 절연기체(6)에 슬라이더 조각(7)과 제 1, 제 2 고정접점(8, 9)을 매설하여 일체화하였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은 절연기체에 도체패턴측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더 조각의 접점부와, 이 슬라이더 조각의 접점부의 돌출방향과 반대측의 면에 노출하여 형성된 고정접점의 접점부를 가지고, 이 고정접점의 접점부에 탄성 가세하여 도통 가능한 가동접점을 가지고, 조작축의 가압조작으로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접점의 접점부로부터 접촉이탈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1매의 절연기체에 슬라이더 조각과 고정접점을 일체화할 수 있어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 공정율이 좋은, 또한 박형화가 가능한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접점은 서로 절연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복수의 고정접점에 탄성 접촉하여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 사이를 도통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이 복수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됨으로써 복수의 고정접점 사이의 스위치회로를 확실하게 온/오프할 수 있어 고성능의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고정접점은 서로가 접속부에서 접속된 상태로 상기 절연기체에 상기 기초부가 매설되고, 상기 절연기체에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고정접점을 매설한 다음에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여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고정접점을 서로 절연 분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더조각과 고정접점을 인서트성형 등에 의해 절연기체에 매설하여 일체화할 수 있고,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 가동접점은 다른 부재로부터 독립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성 등이 필요없고, 재료선택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접점은 제 1, 제 2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탄성 접촉 가능한 접점부재와 이 접점부재를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접촉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축의 가압조작에 의해 상기 유지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축의 가압조작에 연동하여 고정접점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조작축의 조작감이 좋다.
또 조작축의 가압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탄성 가세하는 코일스프링을 가지고, 이 코일 스프링은 상단부가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유지부재에 위치결정되어 유지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진동 등에 의해 코일 스프링이 유지부재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어 항상 안정되게 가동접점을 탄성가세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조작축과, 이 조작축이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구멍을 가지고, 상기 조작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절연기체와;
    상기 회전체의 하면에 형성된 도체패턴과;
    상기 도체패턴에 탄성접촉하는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절연기체에 기초부를 매설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절연기체의 하면에 그 일부가 노출하도록 하여 기초부를 매설하며 서로 절연하여 형성되는 제 1, 제 2의 고정접점과;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과 대향하도록 상기 절연기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가동접점을 가지고;
    상기 가동점점은 상기 조작축을 축선방향으로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그 제 1, 제 2 고정접점 사이를 도통하고, 상기 조작축을 축선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에는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과 이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과는 서로가 접속부에서 접속된 상태로 상기 절연기체에 상기 기초부가 매설되고, 상기 절연기체에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을 매설한 다음에 상기 접속부를 절단하여 상기 슬라이더 조각과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을 서로 절연분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탄성 접촉 가능한 접점부재와 이 접점부재를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접촉 이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축의 가압조작에 의해 상기 유지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제 1, 제 2 고정접점에 탄성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단부가 상기 가동접점의 상기 유지부재에 위치결정되어 유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10-2001-0011991A 2000-03-09 2001-03-08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KR100413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1092A JP3698610B2 (ja) 2000-03-09 2000-03-09 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2000-071092 2000-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217A KR20010089217A (ko) 2001-09-29
KR100413078B1 true KR100413078B1 (ko) 2003-12-31

Family

ID=1858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991A KR100413078B1 (ko) 2000-03-09 2001-03-08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98610B2 (ko)
KR (1) KR100413078B1 (ko)
CN (1) CN1269146C (ko)
TW (1) TW4866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4550B2 (ja) * 2006-10-06 2012-05-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電気部品
CN104362023B (zh) * 2014-10-14 2016-06-29 东莞高仪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双位开关功能的编码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176A (en) * 1974-12-13 1976-04-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e pole pushbutton rotary switch
KR19980018949A (ko) * 1996-08-23 1998-06-05 모리시타 요이찌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電子)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 the same)
JPH10208589A (ja) * 1997-01-28 1998-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H11135307A (ja) * 1997-10-27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H11135310A (ja) *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176A (en) * 1974-12-13 1976-04-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e pole pushbutton rotary switch
KR19980018949A (ko) * 1996-08-23 1998-06-05 모리시타 요이찌 푸쉬 스위치를 지닌 회전조작형 전자(電子)부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 the same)
JPH10208589A (ja) * 1997-01-28 1998-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H11135307A (ja) * 1997-10-27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H11135310A (ja) *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6699B (en) 2002-05-11
JP3698610B2 (ja) 2005-09-21
CN1313608A (zh) 2001-09-19
CN1269146C (zh) 2006-08-09
KR20010089217A (ko) 2001-09-29
JP2001257108A (ja)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US6218635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device
EP0847069B1 (en)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KR100927253B1 (ko) 로터리형 푸시 스위치
US3928741A (en) Momentary contact single pole switch
KR100420190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US3934104A (en) Push-button switch
KR100453998B1 (ko) 스위치장치
US4158831A (en) Single turn potentiometer with helical coil spring wiper
KR100413078B1 (ko) 스위치부착 회전형 전기부품
US3946182A (en) Pushbutton actuator switch with pop-in head
US3346708A (en) Rotary switch with roller detent apparatus directly biasing contact structure into open and closed positions
JPS6220206A (ja) 押ボタンスイツチとその製造方法
JP4718430B2 (ja) 回転式スイッチ用基板体の製造方法
JP4075590B2 (ja) 回転型電子部品
JP3589269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200213397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型エンコーダ、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07512A (ja) クリック感触付電気部品
US6353196B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3566483B2 (ja) 端子取付け構造
KR100298507B1 (ko) 스위치
JP4338629B2 (ja) 摺動子及び摺動子の製造方法
JP4323342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3712931B2 (ja) 回転型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