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667B1 -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667B1
KR102620667B1 KR1020227007061A KR20227007061A KR102620667B1 KR 102620667 B1 KR102620667 B1 KR 102620667B1 KR 1020227007061 A KR1020227007061 A KR 1020227007061A KR 20227007061 A KR20227007061 A KR 20227007061A KR 102620667 B1 KR102620667 B1 KR 10262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driver
seat
control uni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205A (ko
Inventor
야스히로 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2004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e.g. to weight or lack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62D5/063Pump driven by vehicl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4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e.g. caused by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22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related to ac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2Trucks; Load vehicles
    • B60W2300/121Fork lift trucks, Cl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60W2510/101Transmission neutr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6Ratio select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16Position of fuel or air injector
    • B60W2710/0627Fuel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1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N2200/106Driver presence, e.g. detected by door lock, seat sensor or belt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엔진 제어 장치(1)는, 포크리프트(2)의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이착석 상태를 검출하는 시트 스위치(18)와, 포크리프트(2)의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중립 스위치(19)와,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엔진 정지 제어부(22)와,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재개시키는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엔진 제어 장치는, 작업용 차량의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좌 유무를 검출하는 시트 스위치와, 작업용 차량의 주 전원 스위치인 키 스위치와, ECU를 구비하고 있다. ECU는, 시트 스위치에 의해 작업용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는, 엔진을 정지시키고, 그 후 운전자에 의해 키 스위치가 OFF되면, 엔진을 기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8481호 공보
그런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작동유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를 동작시킴으로써, 파워 스티어링 어시스트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 차량이 있다. 그와 같은 산업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한번 이석하면, 키 스위치가 OFF로부터 ON으로 전환될 때까지의 동안은 엔진이 정지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파워 스티어링 어시스트를 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일시적으로 운전석으로부터 이석해도, 파워 스티어링 어시스트를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는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작동유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가 동작하는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이며, 산업 차량의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이착석 상태를 검출하는 이착석 검출부와, 산업 차량의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중립 검출부와,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1 제어부와, 제1 제어부에 의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중립 검출부에 의해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재개시키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엔진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다. 그렇게 하면, 엔진이 타성으로 회전되고, 엔진의 회전 속도가 서서히 낮아져 간다. 그 후,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재개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이석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해도, 엔진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함과 함께 디렉션 조작구를 중립 위치로 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재개된다. 이 때문에, 유압 펌프로부터 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이 계속되게 된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일시적으로 운전석으로부터 이석해도, 파워 스티어링 어시스트를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엔진 제어 장치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제1 제어부는,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연료 공급부를 제어하고, 제2 제어부는,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중립 검출부에 의해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연료 공급부를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연료 공급부에 의한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 또는 재개시킴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용이하고도 또한 확실하게 정지 또는 재개시킬 수 있다.
엔진 제어 장치는, 연료 공급부와 배터리의 사이에 배치된 릴레이를 더 구비하고, 제1 제어부는,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릴레이를 통해 연료 공급부를 제어하고, 제2 제어부는,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 됨과 함께 중립 검출부에 의해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릴레이를 통해 연료 공급부를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류가 흐르면 개방되는 릴레이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가 고장났을 때에도, 릴레이가 개방 상태로 되고, 연료 공급부가 통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연료 공급부에 의한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엔진의 정지가 억제되기 때문에, 산업 차량을 안전한 장소로 후퇴 주행시킬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었음이 검출되면,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운전자가 매우 짧은 시간만 운전석으로부터 이석한 경우에는,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제어부는,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 됨과 함께 중립 검출부에 의해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경고를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 후,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했을 때에,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경고가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일시적으로 운전석으로부터 이석해도, 파워 스티어링 어시스트를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제어 장치를 구비한 산업 차량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엔진 제어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엔진 정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엔진 정지 제어 처리 수순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엔진 재시동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엔진 재시동 제어 처리 수순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제어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엔진 재시동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엔진 재시동 제어 처리 수순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제어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제어 장치를 구비한 산업 차량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엔진 제어 장치(1)는, 산업 차량인 엔진식 포크리프트(2)에 탑재되어 있다.
포크리프트(2)는, 엔진(3)과, 이 엔진(3)의 출력축에 토크 컨버터(4)를 통해 연결된 트랜스미션(5)과, 이 트랜스미션(5)에 감속기(6) 및 액슬 샤프트(7)를 통해 연결된 좌우 한 쌍의 구동륜(8)을 구비하고 있다.
엔진(3)은, 가솔린 엔진이어도 되고, 디젤 엔진이어도 된다. 엔진(3)은,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엔진(3)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토크 컨버터(4), 트랜스미션(5), 감속기(6) 및 액슬 샤프트(7)를 통해 구동륜(8)에 기계적으로 전달되고, 구동륜(8)이 회전한다. 이에 의해, 포크리프트(2)가 주행한다.
또한, 포크리프트(2)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탱크(9)와, 이 탱크(9) 내에 저류된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10)와, 이 유압 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동작하는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1)(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 리프트 실린더(12) 및 틸트 실린더(13)와, 컨트롤 밸브 유닛(14)을 구비하고 있다.
유압 펌프(10)는, 엔진(3)으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1)는, 스티어링 휠(도시생략)의 조타 어시스트(이하, '파워 스티어링 어시스트'라고 함)를 행하는 유압 실린더이다. 리프트 실린더(12)는, 마스트(도시생략)에 설치된 한 쌍의 포크(도시생략)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이다. 틸트 실린더(13)는, 마스트를 틸팅시키는 유압 실린더이다. 컨트롤 밸브 유닛(14)은, 유압 펌프(10)로부터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1), 리프트 실린더(12) 및 틸트 실린더(13)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포크리프트(2)는, 차속 센서(15)와, 디렉션 레버(16)(디렉션 조작구)를 구비하고 있다. 차속 센서(15)는, 포크리프트(2)의 차속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디렉션 레버(16)는, 트랜스미션(5)을 전진, 후진 및 중립 중 어느 상태로 전환 조작하는 조작 레버이다.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는, 트랜스미션(5)에 의해 엔진(3)으로부터 출력된 주행 구동력이 구동륜(8)에 기계적으로 전달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디렉션 레버(16)가 전진 위치 또는 후진 위치에 있을 때는, 트랜스미션(5)에 의해 엔진(3)으로부터 출력된 주행 구동력이 구동륜(8)으로 기계적으로 전달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엔진 제어 장치(1)는, 엔진(3)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엔진 제어 장치(1)는, 인젝터(17)와, 시트 스위치(18)와, 중립 스위치(19)와,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를 구비하고 있다.
인젝터(17)는, 엔진(3) 내의 연소실(도시생략)을 향해 연료를 분사시키는 연료 분사 밸브이다. 인젝터(17)는, 엔진(3)의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있다. 인젝터(17)는,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로부터의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갖고 있다(도 2 참조). 인젝터(17)는, 엔진(3)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를 구성하고 있다.
시트 스위치(18)는, 포크리프트(2)의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오퍼레이터)의 이착석 상태를 검출하는 이착석 검출부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이석이란, 운전석(21)의 시트에 앉아 있는 운전자가 단시간(예를 들어 수초)만 일어서서 운전석(21)의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중립 스위치(19)는,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중립 검출부이다.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는, CPU, RAM, RO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는, 차속 센서(15), 시트 스위치(18) 및 중립 스위치(19)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규정의 처리를 행하여, 인젝터(17)를 제어한다.
도 2는, 엔진 제어 장치(1)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는, 엔진 정지 제어부(22)와,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를 갖고 있다.
엔진 정지 제어부(22)는,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인젝터(17)로부터의 연료의 분사를 정지시키도록 인젝터(17)의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1 제어부를 구성한다.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엔진 정지 제어부(22)에 의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중립 스위치(19)에 의해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인젝터(17)로부터의 연료의 분사를 재개시키도록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재개시키는 제2 제어부를 구성한다.
도 3은, 엔진 정지 제어부(22)에 의해 실행되는 엔진 정지 제어 처리 수순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엔진 정지 제어부(22)는, 우선 중립 스위치(19)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이외의 위치(전진 위치 또는 후진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수순 S101).
엔진 정지 제어부(22)는,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시트 스위치(18)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수순 S102). 규정 시간은, 예를 들어 2초 정도이다.
엔진 정지 제어부(22)는,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인젝터(17)를 폐쇄하도록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한다(수순 S103). 다시 말해, 엔진 정지 제어부(22),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3)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인젝터(17)를 제어한다. 이때, 엔진 정지 제어부(22)로부터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로, 제어 신호로서 OFF 신호가 출력된다.
엔진 정지 제어부(22)는, 수순 S101에서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다고 판단했을 때, 또는 수순 S102에서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때는, 인젝터(17)를 개방하도록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한다(수순 S104). 이때, 엔진 정지 제어부(22)로부터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로, 제어 신호로서 ON 신호가 출력된다.
도 4는, 엔진 재시동 제어부(23)에 의해 실행되는 엔진 재시동 제어 처리 수순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우선 시트 스위치(18)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수순 S111).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했다고 판단했을 때는, 중립 스위치(19)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수순 S112).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인젝터(17)를 개방하도록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한다(수순 S113). 다시 말해,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중립 스위치(19)에 의해,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3)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인젝터(17)를 제어한다. 이때, 엔진 정지 제어부(22)로부터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로, 제어 신호로서 ON 신호가 출력된다.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수순 S111에서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 또는 수순 S112에서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인젝터(17)를 폐쇄하도록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한다(수순 S114). 이때, 엔진 정지 제어부(22)로부터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로, 제어 신호로서 OFF 신호가 출력된다.
이상에 있어서, 예를 들어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포크리프트(2)가 주행하고 있을 때에, 운전자가 규정 시간 연속해서 운전석(21)으로부터 이석하면, 인젝터(17)가 밸브를 폐쇄한다. 따라서, 인젝터(17)로부터 엔진(3) 내에 대한 연료의 분사가 정지하기 때문에, 엔진(3)이 정지하고,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다. 이에 의해, 포크리프트(2)의 무인 주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인젝터(17)로부터의 연료의 분사가 정지한 직후에는, 엔진(3)이 타성으로 회전되고, 엔진(3)의 회전 속도가 서서히 낮아져 간다. 이 때문에, 포크리프트(2)의 주행 속도가 서서히 저하된다.
그리고, 엔진(3)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 즉 포크리프트(2)의 주행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하고, 디렉션 레버(16)를 중립 위치로 전환 조작하면, 인젝터(17)가 밸브를 개방한다. 따라서, 인젝터(17)로부터 엔진(3) 내에 대한 연료의 분사가 재개되기 때문에, 엔진(3)이 재시동되고,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재개된다. 이에 의해, 포크리프트(2)의 주행이 계속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다. 그러자, 엔진(3)이 타성으로 회전되고, 엔진(3)의 회전 속도가 서서히 낮아져 간다. 그 후,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재개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석(21)으로부터 이석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해도, 엔진(3)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함과 함께 디렉션 레버(16)를 중립 위치로 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재개된다. 이 때문에, 유압 펌프(10)로부터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11)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이 계속되게 된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일시적으로 운전석(21)으로부터 이석해도, 파워 스티어링 어시스트를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포크리프트(2)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젝터(17)에 의한 엔진(3)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 또는 재개시킴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용이하고도 또한 확실하게 정지 또는 재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었음이 검출되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석(21)의 시트에 대한 재착석이나 포크(전술)에 적재된 짐의 관측 등과 같이, 운전자가 매우 짧은 시간만 운전석(21)으로부터 이석한 경우에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음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륜(8)에 기계적으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어도,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불필요하게 정지하는 일이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제어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엔진 제어 장치(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추가하여, 경고기(30)를 구비하고 있다. 경고기(30)는, 버저 등의 경고음을 발해도 되고, 램프 등으로 경고 표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엔진 제어 장치(1)의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엔진 재시동 제어부(23) 대신에, 엔진 재시동 제어부(23A)를 갖고 있다.
엔진 재시동 제어부(23A)는, 엔진 정지 제어부(22)에 의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중립 스위치(19)에 의해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인젝터(17)로부터의 연료의 분사를 재개시키도록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한다.
또한, 엔진 재시동 제어부(23A)는,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중립 스위치(19)에 의해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경고를 행한다.
도 6은, 엔진 재시동 제어부(23A)에 의해 실행되는 엔진 재시동 제어 처리 수순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엔진 재시동 제어부(23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엔진 재시동 제어부(23)와 마찬가지로, 수순 S111 내지 S113을 순차 실행한다. 엔진 재시동 제어부(23A)는, 수순 S112에서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없다고 판단했을 때는, 경고기(30)에 의해 경고를 행하도록 경고기(30)를 제어한다(수순 S120).
엔진 재시동 제어부(23A)는, 수순 S111에서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 또는 수순 S120을 실행한 후, 인젝터(17)를 폐쇄하도록 제어용 솔레노이드(17a)를 제어한다(수순 S114).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 후,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했을 때에,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경고가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디렉션 레버(16)를 중립 위치로 전환 조작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재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엔진 제어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엔진 제어 장치(1)는, 인젝터(17)의 제어용 솔레노이드(17a)와 포크리프트(2)에 탑재된 배터리(40)의 사이에 배치된 릴레이(41)를 구비하고 있다.
릴레이(41)로서는, 1차측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2차측이 개방하는 b 접점 릴레이가 사용된다. 릴레이(41)는,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개폐 상태가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로부터 릴레이(41)로 OFF 신호가 출력되면, 릴레이(41)가 폐쇄 상태로 되고, 배터리(40)와 제어용 솔레노이드(17a)가 도통한다.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로부터 릴레이(41)로 ON 신호가 출력되면, 릴레이(41)가 개방 상태로 되고, 배터리(40)와 제어용 솔레노이드(17a)의 도통이 차단된다.
엔진 제어 장치(1)의 차량 제어 컨트롤러(20)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엔진 정지 제어부(22)와,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를 갖고 있다.
엔진 정지 제어부(22)는,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다고 판단함과 함께,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인젝터(17)를 폐쇄하도록 릴레이(41)를 제어한다(도 3의 수순 S101 내지 S103 참조). 다시 말해, 엔진 정지 제어부(22)는,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3)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릴레이(41)를 통해 인젝터(17)를 제어한다.
이때, 엔진 정지 제어부(22)로부터 릴레이(41)로, 제어 신호로서 ON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릴레이(41)가 개방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인젝터(17)의 제어용 솔레노이드(17a)가 OFF 상태(비통전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인젝터(17)가 밸브를 폐쇄하기 때문에, 인젝터(17)로부터의 연료의 분사가 정지한다.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운전자가 운전석(21)에 착석했다고 판단함과 함께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다고 판단했을 때는, 인젝터(17)를 개방하도록 릴레이(41)를 제어한다(도 4의 수순 S111 내지 S113 참조). 다시 말해,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는, 시트 스위치(18)에 의해 운전석(21)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중립 스위치(19)에 의해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엔진(3)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릴레이(41)를 통해 인젝터(17)를 제어한다.
이때, 엔진 재시동 제어부(23)로부터 릴레이(41)로, 제어 신호로서 OFF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릴레이(41)가 폐쇄 상태(도 7의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인젝터(17)의 제어용 솔레노이드(17a)가 ON 상태(통전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인젝터(17)가 밸브를 개방하기 때문에, 인젝터(17)로부터의 연료의 분사가 재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 제어 컨트롤러(20)가 고장났을 때에도, 릴레이(41)가 개방 상태로 되고, 인젝터(17)의 제어용 솔레노이드(17a)가 통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인젝터(17)에 의한 엔진(3)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엔진(3)의 정지가 억제되기 때문에, 포크리프트(2)를 안전한 장소로 후퇴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포크리프트(2)의 주행 시에,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하고 있지만, 포크리프트(2)의 주행이 정지 중이라도,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이 정지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고 있음이 검출되었을 때에, 인젝터(17)가 폐쇄하도록 제어되어 있지만, 특히 그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고,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된 시점에, 인젝터(17)를 폐쇄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고 있음이 검출되었을 때에, 인젝터(17)가 폐쇄하도록 제어되어 있지만, 특히 그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고, 디렉션 레버(16)가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도, 운전석(21)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었을 때는, 인젝터(17)를 폐쇄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젝터(17)를 제어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 또는 재개시키고 있지만, 특히 그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엔진(3)에 있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에 점화하는 점화 플러그를 제어하거나, 엔진(3)에 대한 흡입 공기량을 조정하는 스로틀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 또는 재개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엔진 제어 장치(1)는, 포크리프트(2)에 탑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면, 예를 들어 견인 트랙터 등의 산업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1: 엔진 제어 장치
2: 포크리프트(산업 차량)
3: 엔진
10: 유압 펌프
11: 파워 스티어링 실린더(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
16: 디렉션 레버(디렉션 조작구)
17: 인젝터(연료 공급부)
18: 시트 스위치(이착석 검출부)
19: 중립 스위치(중립 검출부)
21: 운전석
22: 엔진 정지 제어부(제1 제어부)
23, 23A: 엔진 재시동 제어부(제2 제어부)
30: 경고기
40: 배터리
41: 릴레이

Claims (5)

  1.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로부터의 작동유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가 동작하는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이며,
    상기 산업 차량의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이착석 상태를 검출하는 이착석 검출부와,
    상기 산업 차량의 디렉션 조작구가 중립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중립 검출부와,
    상기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와,
    상기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상기 엔진에 대한 연료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연료 공급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에 의해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킨 후, 또한, 상기 엔진의 회전이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상기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상기 중립 검출부에 의해 상기 디렉션 조작구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상기 연료 공급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재개시키고,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상기 파워 스티어링용 액추에이터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계속시키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와 배터리의 사이에 배치된 릴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이 검출되면, 상기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연료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상기 중립 검출부에 의해 상기 디렉션 조작구가 상기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엔진에 대한 연료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연료 공급부를 제어하는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으로부터의 운전자의 이석 상태가 규정 시간 계속되었음이 검출되면,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이착석 검출부에 의해 상기 운전석에 대한 운전자의 착석이 검출됨과 함께 상기 중립 검출부에 의해 상기 디렉션 조작구가 상기 중립 이외의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경고를 행하는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5. 삭제
KR1020227007061A 2019-09-04 2020-08-25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KR102620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1525A JP7338334B2 (ja) 2019-09-04 2019-09-04 産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JP-P-2019-161525 2019-09-04
PCT/JP2020/031909 WO2021044892A1 (ja) 2019-09-04 2020-08-25 産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205A KR20220042205A (ko) 2022-04-04
KR102620667B1 true KR102620667B1 (ko) 2024-01-04

Family

ID=7484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061A KR102620667B1 (ko) 2019-09-04 2020-08-25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298981A1 (ko)
EP (1) EP4026999A4 (ko)
JP (1) JP7338334B2 (ko)
KR (1) KR102620667B1 (ko)
CN (1) CN114303008B (ko)
AU (1) AU2020341409B2 (ko)
BR (1) BR112022003115A2 (ko)
CA (1) CA3152177A1 (ko)
TW (1) TWI746128B (ko)
WO (1) WO202104489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291A (ja) 1998-09-29 2000-04-11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誤動作防止装置
JP2011017272A (ja) * 2009-07-08 2011-01-27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5048723A (ja) * 2013-08-30 2015-03-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026A (en) * 1976-08-21 1978-03-10 Kubota Ltd Start safety alarm system for tractor
US4079806A (en) * 1976-12-17 1978-03-21 Fiat-Allis Construction Machinery, Inc. Vehicle starting circuit to by-pass auxiliary steering system
JPS63251329A (ja) * 1987-04-07 1988-10-18 Kubota Ltd 車輌のエンジン停止装置
JPH086615B2 (ja) * 1987-12-10 1996-0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車の運転制御装置
JPH0251934U (ko) * 1988-10-07 1990-04-13
US5156232A (en) * 1989-04-13 1992-10-20 Fumio Muroya Operation controlling apparatus of the passenger working machine
JP3641487B2 (ja) * 1993-05-10 2005-04-20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歩行型兼用作業車
JP3512929B2 (ja) * 1995-12-12 2004-03-3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H11245682A (ja) * 1998-02-26 1999-09-14 Isuzu Motors Ltd オートクラッチを備えた車両の離席警報装置
JP4136065B2 (ja) * 1998-04-21 2008-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2000008889A (ja) * 1998-06-18 2000-01-11 Hino Motors Ltd 内燃機関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3583947B2 (ja) 1999-05-17 2004-11-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JP4111365B2 (ja) * 1999-06-07 200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JP2001182572A (ja) 1999-12-24 2001-07-0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緊急停止装置
JP3907581B2 (ja) 2002-12-13 2007-04-18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4227840B2 (ja) * 2003-05-29 2009-02-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走式産業機械の走行制御装置
JP2005002798A (ja) * 2003-06-09 2005-01-06 Toyota Industries Corp 運転者不在時のエンジン停止装置
JP2005170600A (ja) * 2003-12-11 2005-06-30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安全装置
EP1659279B1 (de) * 2004-11-17 2007-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 subsidary of Ford Motor Company Verfahren zum kontrollierten Abstellen einer mit einer hydraulischen Lenkunterstützung ausgestatteten Brennkraftmaschine
JP4074629B2 (ja) 2005-06-23 2008-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
CN102422750B (zh) * 2011-08-23 2013-07-10 宁波大叶园林设备有限公司 有安全电路保护措施的骑乘割草机
JP5326026B2 (ja) 2012-06-14 2013-10-30 花王株式会社 レトルトパウチ
JP5831504B2 (ja) * 2013-07-03 2015-12-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BR102015006784B1 (pt) * 2015-03-26 2022-07-05 Fca Fiat Chrysler Automoveis Brasil Ltda Sistema e método para determinar a presença de ocupantes não auto-suficientes no banco traseiro de veículos
CN106560565B (zh) * 2016-01-08 2019-01-2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地下铲运机安全保护控制方法、装置和系统
GB2547959B (en) * 2016-01-08 2020-07-08 Cummins Inc Communication interface for start-stop systems and methods
JP6863216B2 (ja) * 2017-10-12 2021-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291A (ja) 1998-09-29 2000-04-11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誤動作防止装置
JP2011017272A (ja) * 2009-07-08 2011-01-27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5048723A (ja) * 2013-08-30 2015-03-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6999A1 (en) 2022-07-13
CA3152177A1 (en) 2021-03-11
AU2020341409A1 (en) 2022-03-24
US20220298981A1 (en) 2022-09-22
TW202113223A (zh) 2021-04-01
TWI746128B (zh) 2021-11-11
WO2021044892A1 (ja) 2021-03-11
CN114303008A (zh) 2022-04-08
KR20220042205A (ko) 2022-04-04
JP7338334B2 (ja) 2023-09-05
JP2021038725A (ja) 2021-03-11
BR112022003115A2 (pt) 2022-08-09
CN114303008B (zh) 2024-01-02
EP4026999A4 (en) 2022-10-12
AU2020341409B2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7996B2 (ja) 産業車両
US8577575B2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10018270B2 (en) Industri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strial vehicle
JP2007085313A (ja) 車両の制御装置
US9440833B2 (en) Engine-powered forklift truck and method of releasing load handling interlock thereof
KR102620667B1 (ko) 산업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WO2014098028A1 (ja) 作業車両
JP7023086B2 (ja) 作業車
JP3890035B2 (ja) 多重補償系システムを有する車両用電動操舵装置
US9505395B2 (en) Industrial vehicle
JP5516883B2 (ja) 車両の自動停止制御装置
CN105074174A (zh) 跨座式车辆的发动机控制装置
JP5953220B2 (ja) 作業車両
AU2014203351B2 (en) Industri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strial vehicle
JP2007187048A (ja) エンジンの停止制御装置
KR102413063B1 (ko) 건설 기계의 isg 제어 시스템 및 건설 기계의 isg 제어 방법
JP5811026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6322360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車両
JP2008297934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17007377A (ja) 作業車両のpto制御装置
JPH02151533A (ja) 定速走行装置のフエイルセ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