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161B1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61B1
KR102618161B1 KR1020197033909A KR20197033909A KR102618161B1 KR 102618161 B1 KR102618161 B1 KR 102618161B1 KR 1020197033909 A KR1020197033909 A KR 1020197033909A KR 20197033909 A KR20197033909 A KR 20197033909A KR 102618161 B1 KR102618161 B1 KR 10261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door
grain tank
traveling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852A (ko
Inventor
슌 이와모토
šœ 이와모토
가즈오 야스다
유키 오다
주니치 히라카와
가즈시 사코
도시아키 후지타
가츠히데 가토
도모야 마츠바야시
미키 요시카와
다쿠야 오토무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4231A external-priority patent/JP68997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42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11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59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73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9621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111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0001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수확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와 횡배열 상태로 마련되어,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4)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4)의 측벽(4W)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4Wo)에, 외측벽(4Wo)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개구된 점검구(41)와, 점검구(41)를 개폐하는 도어(43)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수확기
본 발명은, 수확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당해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수확기는, 곡립 탱크의 내부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측벽에 개구가 형성된 곡립 탱크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구는, 착탈 가능한 커버체〔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제1 사이드 커버(54)〕에 의해 덮여 있고, 이 커버체의 착탈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를, 곡립 탱크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한 점검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확기는, 탈곡 장치에, 탈곡기체의 내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선별 프레임과, 선별 프레임에 지지됨과 함께 처리물 누하 구멍의 개방도 조절 가능한 채프 시브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수확기에 있어서, 탈곡 장치에 공급되는 수확물의 양, 성상 등이 변화되어도, 채프 시브에서의 선별 처리가 고정밀도로 행해지도록, 채프 시브에서의 처리물 누하 구멍의 개방도 조절을 하는 수확기도 존재한다. 또한, 수확기는, 채프 시브의 개방도 조절부에 조작 케이블을 통해 연동 연결되어, 개방도 조절부를 전동력에 의해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격 조작 장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편하게 채프 시브의 개방도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것에서는, 채프판은 와이어를 통해 전동 모터에 의해 일체적으로 요동 작동하여, 처리물의 누하 개방도를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수확기에 있어서, 탈곡기체의 후방부에 선별 프레임을 출납시키는 점검구가 구비되고, 선별 프레임을 점검구로부터 탈곡기체의 외부로 취출하고, 선별 프레임에 있어서의 채프 시브 등의 청소나 점검 등을 탈곡기체의 외부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 있다.
또한, 수확기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을 변속하여 탈곡 장치의 급동 구동부로 출력하는 급동 변속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수확기에 의하면, 성상이나 품종 등이 상이한 작물을 수확하는 경우, 혹은 탈곡 장치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급동 변속 장치에 의해 급동의 구동 속도를 변경하여, 탈곡 잔류 등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수확기로서, 종래,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는 콤바인이 있다. 특허 문헌 3에 개시되는 콤바인에서는, 엔진의 동력이 전동 벨트를 통해 전동 케이스의 입력축으로 전달되고, 전동 케이스의 출력축의 동력이 전동 벨트 및 전동축을 통해 급동의 입력축으로 전달된다. 전동 케이스의 내부에, 입력축의 회전 속도를 고·중·저의 3단계로 변속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어 변속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는, 탈곡 장치의 전방부와, 그레인 탱크의 전방부(저부)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6-672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56250호 공보 일본 특허 제390759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 있어서 점검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점검구를 덮는 커버체를 떼어내기 전에, 이 커버체의 일부를 덮는 2개의 외측 커버〔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제3 사이드 커버(61), 제2 사이드 커버(55)〕를 떼어내야만 해, 복수의 수순을 밟을 필요가 있다. 또한, 점검구는, 곡립 탱크의 측벽에 있어서의 기체 전후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덮는 커버체, 및 외측 커버체를 떼어내는 작업은 대규모의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서는, 곡립 탱크의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곡립 탱크에 형성된 점검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어, 곡립 탱크의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수확기가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콤바인에서는, 커버체가 점검구의 에지부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당해 점검구가 막혀 있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의 내부에 축적된 곡립에 의해 곡립 탱크의 외측을 향해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진 경우에는, 커버체에 대하여, 외측, 즉, 커버체가 떼어지는 측을 향해 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종래의 구성에서는, 곡립 탱크의 내부의 압력에 의해 커버체가 탈락할 가능성이 있고, 당해 압력에 대한 내구성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메인터넌스 시에 사용 가능한 점검구를 곡립 탱크에 구비하면서도, 곡립 탱크의 내부의 압력 등에 의해 점검구가 예기치 못하게 개방되지 않는 수확기가 요망되고 있다.
원격 조작 장치가 주행 기체의 깊숙한 개소에 위치하는 경우, 원격 조작 장치와 조작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고, 선별 프레임을 탈곡기체의 외부로 취출하는 취출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원격 조작 장치와 조작 케이블의 연결 해제에 수고가 들어, 선별 프레임의 취출에 필요한 수고가 많아진다. 또한, 원격 조작 장치를 떼어내고, 원격 조작 장치와 조작 케이블을 연결한 채로 하여 원격 조작 장치를 선별 프레임과 함께 취출하는 취출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원격 조작 장치의 떼어내기에 수고가 들어, 선별 프레임의 취출에 필요한 수고가 많아진다.
그 때문에, 선별 프레임의 취출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수확기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을 채용한 경우, 급동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할 때, 탈곡 장치 혹은 그레인 탱크가 급동 변속 장치의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탈곡 장치 등이 변속 조작의 장애로 되어, 급동 변속 장치의 변속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급동 변속 장치를 변속 조작하기 쉬운 수확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수확기는,
수확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 횡배열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에, 상기 외측벽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개구된 점검구와,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 탱크의 점검구는, 외측벽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에 대하여 스페이스가 넓은 측으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고,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점검구의 점유 영역을 비교적 좁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점검구를 개방하기 위한 작업이 대규모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점검구는, 도어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점검구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의 내부를 유지 관리할 때에 필요한 점검구의 개폐가 용이하기 때문에, 당해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상기 곡립이 토출되는 토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점검구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토출부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점검구와 토출부가 측면에서 보아 중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각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실성 높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점검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요동하는 내측 개방 형상인 경우라도, 개방되는 도어가 곡립 탱크 내부에 마련된 토출부와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나아가, 토출부의 주변에, 곡립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라도, 이와 같은 장치와 도어의 간섭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토출부의 주변에 있어서 유지 관리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져,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점검구는, 상기 외측벽에 있어서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토출부와 점검구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예를 들어 토출부 및 그 주변의 장치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에, 이것들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점검구의 에지부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에지부는, 시일 부재를 통해 맞닿아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점검구의 에지부와 도어의 맞닿음부가 시일 부재를 통해 맞닿아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의 밀폐성을 확실성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점검구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에지부에 대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맞닿음부가 점검구의 에지부에 대하여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의 내부에 축적된 곡립에 의해, 곡립 탱크의 외측을 향해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진 경우라도, 이 압력에 의해 도어가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 탱크의 내부의 압력에 대한 내구성이 높은 도어를 실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외측벽의 외면에 대하여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예를 들어, 본 구성과 상이한 도어가 외측벽의 외면에 대하여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며, 수확기가 강풍에 움직여진 경우 등에는, 당해 도어에 대하여 공기 저항이 국소적으로 가해져, 도어가 파손 또는 탈락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도어를 포함하는 외측벽의 외면에 가해지는 공기 저항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도어의 파손이나 탈락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포함하는 외측벽의 외면이 동일 평면인 점에서, 예를 들어 외측벽의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성 등, 외측벽의 주변에 있어서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이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핸들이,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핸들이 외측벽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외측벽의 주변에 있어서의 안전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내측을 향해 오므라지는 내측 오므라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에 있어서의 에지의 각도를 완만하게 할 수 있어, 핸들의 조작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점검구가 세로로 긴 형상이면, 작업자는 무리 없는 자세로 곡립 탱크에 출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 탱크로의 출납을, 점검구를 통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하부가 오므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류된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로부터 배출하는 바닥 스크루가 배치된 하측 탱크부와, 상기 하측 탱크부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탱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점검구는, 상기 상측 탱크부 중 상기 외측벽을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점검구가 상측 탱크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가 오므라진 형상인 하측 탱크부에 걸쳐서 점검구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간편하게 점검구를 마련하기 쉽다. 나아가, 이와 같은 점검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설치도, 간편하게 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은,
수확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 횡배열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에 개구된 점검구와, 내측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점검구의 에지부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상기 점검구를 막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점검구를 막는 것이 개폐 방식이 결정된 도어이고, 소위 내측 개방형으로 구성된 도어가 점검구의 에지부에 대하여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의 내부에 축적된 곡립에 의해 곡립 탱크의 외측을 향해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진 경우라도, 이 압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 탱크의 내부의 압력 등에 의해 점검구가 예기치 못하게 개방되는 일이 없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에지부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에지부는, 시일 부재를 통해 맞닿아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점검구의 에지부와 도어의 맞닿음부가 시일 부재를 통해 맞닿아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의 내부의 압력이 높아진 경우라도, 시일 부재의 완충 작용에 의해 도어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도어의 주연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마련되어, 상기 에지부의 전체에 걸쳐서 맞닿아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도어의 주연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분산시킬 수 있고, 국소적으로 압력이 집중하는 것에 기인하는 도어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굴곡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상기 에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측벽의 외면에 대하여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굴곡부에 의해,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작용하는 압력에 대한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굴곡부에 연속하도록 맞닿음부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맞닿음부와 점검구의 에지부를 대향하여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나아가,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도어와 측벽의 외면을 같은 평면 상에 배치 가능해지고, 예를 들어 측벽의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성 등, 측벽의 주변에 있어서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이 마련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핸들이,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핸들이 측벽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측벽의 주변에 있어서의 안전성의 가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폐쇄 상태의 상기 도어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과 상기 로크 기구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로크 기구에 의해 도어를 로크함으로써, 당해 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는 로크 기구를, 도어의 외측에 마련된 핸들에 의해 곡립 탱크의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폐쇄 상태의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곡립 탱크에는 어느 정도의 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곡립 탱크를 구성하는 도어는, 예를 들어 금속제인 것 등,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는, 무거워질수록 점검구(곡립 탱크)에 대하여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특히,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약간의 기울기라도, 도어와 점검구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원인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태는 곡립 탱크의 밀폐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 기구에 의해 폐쇄 상태의 도어를 지지함으로써, 도어가 점검구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곡립 탱크의 밀폐성을 확실성 높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의 부분에, 복수의 리브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리브부에 의해, 곡립 탱크의 내부의 압력에 대한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리브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종리브부와,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횡리브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하 방향의 굽힘 응력 및 수평 방향의 굽힘 응력 등에 대한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높은 압력을 받은 경우라도, 도어의 파손 등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종리브부는,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횡리브부는,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상하의 에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운 오목부를 종리브부에 의해 끼움으로써, 당해 오목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중 비교적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쉬운 에지 부분에 있어서도, 당해 에지 부분에 횡리브부를 배치함으로써, 도어 전체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수확기는,
예취부에 의해 수확된 작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여,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된 탈곡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탈곡물을 저류하는 저류부가,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배치로 상기 주행 기체에 구비되고,
상기 탈곡 장치는, 탈곡기체와, 상기 탈곡기체의 내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선별 프레임과, 상기 선별 프레임에 지지됨과 함께 개방도 조절 가능한 채프 시브와, 상기 탈곡기체의 후방부에 개구되어, 상기 선별 프레임을 출납시키는 점검구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의 개방도 조절부에 조작 케이블을 통해 연동 연결되고, 상기 개방도 조절부를 전동력에 의해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저류부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원격 조작 장치에 주행 기체의 후방으로부터 손이 닿기 쉬우므로, 선별 프레임을 탈곡기체로 취출하여 청소나 점검 등을 행할 때, 원격 조작 장치와 조작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으로 해도, 원격 조작 장치의 떼어내기를 하는 것으로 해도, 조작하기 쉽다.
따라서, 원격 조작 장치와 조작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고 선별 프레임을 취출하는 데 있어서는, 연결 해제를 하기 쉬워, 선별 프레임의 취출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를 떼어내어 원격 조작 장치와 조작 케이블을 연결한 채로 하여 선별 프레임을 취출하는 것에 있어서는, 원격 조작 장치를 떼어내기 쉽고, 선별 프레임의 취출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저류부는, 탈곡물 탱크이고, 상기 탈곡물 탱크의 후방측에 상기 주행 기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탈곡물 탱크로부터 탈곡물을 배출하는 종배출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에 기립 설치되어, 상기 종배출 장치를 지지하는 지주가 구비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는, 상기 지주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종배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높은 강성을 구비하는 지주를 원격 조작 장치의 지지에 활용한 간소한 지지 구조에 의해 원격 조작 장치를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격 조작 장치는, 상기 지주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기 지주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원격 조작 장치에 주행 기체의 후방으로부터 더 손이 닿기 쉬우므로, 원격 조작 장치의 떼어내기, 혹은 원격 조작 장치와 조작 케이블의 연결 해제를 더 행하기 쉽고, 선별 프레임의 취출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수확기는,
주행 기체의 전방에 마련되어, 포장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마련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상기 예취부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상기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반송부와,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탈곡 장치의 급동 구동부로 출력하는 급동 변속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이고 또한 상기 반송부의 하방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탈곡 장치가 급동 변속 장치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반송부가 급동 변속 장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기체 프레임이 급동 변속 장치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므로, 급동 변속 장치를 주행 기체의 외부로부터 변속 조작하는 데, 탈곡 장치, 반송부 및 기체 프레임이 장애로 되기 어려워, 변속 조작하기 쉽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탈곡 장치를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여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탈곡 장치를 덮는 외장 커버를 급동 변속 장치의 커버에 활용하여 저렴하게 급동 변속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전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변속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급동 변속 장치를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급동 변속 장치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장 커버의 전단부에, 기체 횡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폐쇄 상태로 되면, 상기 변속 조작부를 전방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개방 상태로 되면, 상기 변속 조작부를 개방하는 전방 횡방향 커버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외장 커버를 폐쇄하는 것만으로, 변속 조작부가 전방 횡방향 커버부에 의해 전방측으로부터 덮여 변속 조작부를 보호할 수 있다. 외장 커버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전방 횡방향 커버부에 의한 변속 조작부의 덮음이 해제되고 변속 조작부가 개방되어, 변속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반송부의 구동축으로 동력 전달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급동과 반송부로 분기시키는 수단에 급동 변속 장치를 활용하면서, 급동의 변속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일정 회전 속도의 동력을 반송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가 갖는 풍구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엔진은, 상기 주행 기체의 양 횡측부 중, 상기 급동 변속 장치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횡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엔진의 동력이 상기 풍구를 통해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입력축으로 전달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풍구를 카운터 수단에 활용한 간소한 동력 전달 구조에 의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급동 변속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급동 변속 장치에 있어서, 입력축이 출력축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입력 풀리의 직경이 출력 풀리보다도 큰 입력 풀리를 채용하는 데, 입력축이 출력축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에 비해, 풀리가 급동 변속 장치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회피 혹은 억제하면서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반송부의 구동축 및 상기 급동 구동부가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출력축의 동력이 상기 급동 구동부로 전달되고, 또한 상기 입력축의 동력이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되고, 상기 출력축과 상기 급동 구동부를 연계하는 전동계가 상기 입력축과 상기 구동축을 연계하는 전동계보다도 주행 기체 횡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반송부의 구동 부하보다도 급동의 구동 부하의 쪽이 크고, 반송부용 전동 부재의 교환 빈도보다도 급동 구동부용 전동 부재의 교환 빈도의 쪽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급동 구동부용 전동 부재가 반송부용 전동 부재보다도 주행 기체 횡외측에 위치하므로, 급동 구동부용 전동 부재를 교환하기 쉽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배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콤바인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우측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콤바인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평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콤바인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곡립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평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곡립 탱크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배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곡립 탱크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곡립 탱크의 내측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좌측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10은 우측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천장 점검구의 주변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평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하측 커버의 연결 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배면에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하측 커버의 연결 기구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우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1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우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원격 조작 장치의 배치부를 도시하는 후방면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방도 조절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방도 조절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원격 조작 장치의 후방면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원격 조작 장치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개방도 조절부와 원격 조작 장치의 연계 및 선별 프레임의 취출
도 2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27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급동 변속 장치의 배치부 및 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8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급동 변속 장치의 배치부 및 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9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급동 변속 장치의 배치부 및 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0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풍구의 풍량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 실시 형태 1에 관한 본 발명이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콤바인의 진행 방향을 전방측으로 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콤바인의 개략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0)은, 기체 프레임 F에 지지된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 C에 의해 주행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콤바인(100)은 보통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포장에 식립하는 벼, 대두, 메밀 등의 작물을 수확 가능하다.
콤바인(100)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와, 예취된 식립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2)와, 탈곡 장치(2)와 횡배열 상태로 마련되어, 탈곡 장치(2)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4)와,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 A와, 이들 각 장치를 포함하는 콤바인(100)의 전체를 조작하기 위한 운전부 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취부(1)에 의해 예취된 작물이 언로더 A에 의해 배출될 때까지의 흐름에 기초하여, 「상류측」 및 「하류측」을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예취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는, 기체 프레임 F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예취부(1)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1)는, 콤바인(100)의 선회 시 등의 비수확 작업 시에는 상승 상태로 되고, 수확 작업 시에는 포장면에 근접한 하강 상태로 된다.
예취부(1)에는, 식립 곡간을 빗어 나누는 디바이더(11)와, 회전 구동됨으로써 식립 곡간을 후방으로 긁어 넣는 긁어 넣기 릴(12)과, 긁어 넣기 릴(12)에 의해 긁어 넣어진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절단 장치(13)와, 절단 장치(13)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후방의 탈곡 장치(2)로 반송하는 횡이송 장치(14) 및 반송 장치(15)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2)는, 예취부(1)의 후방이며 기체 프레임 F의 좌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2)는 수확된 작물을 탈곡 처리한다. 상세하게는, 탈곡 장치(2)는 예취부(1)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탈곡하여, 1번물로서의 곡립을 얻는다. 탈곡에 의해 얻어진 곡립은, 탈곡 장치(2)가 구비하는 1번물 회수부(22)에 의해 회수됨과 함께, 1번물 반송부(3)로 반송된다(도 3도 참조).
〔1번물 반송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물 반송부(3)는, 탈곡 장치(2)로부터 곡립 탱크(4)로 곡립을 반송한다. 1번물 반송부(3)에는,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하는 양곡 장치(31)와, 상방으로 반송된 곡립을 횡이송하여 곡립 탱크(4)의 내부로 반송하는 횡이송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곡립 탱크(4)의 상방 영역으로 곡립을 반송할 수 있다.
양곡 장치(31)는 구동 스프로킷과 종동 스프로킷에 걸쳐서 감아 걸린 무단 회동 체인의 외주측에 복수의 버킷이 구비된 버킷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곡 장치(31)의 하류측의 단부(상단부)는, 횡이송부(32)의 상류측의 단부(좌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횡이송부(32)는 곡립 탱크(4)의 내측벽(4Wi)을 관통하고 있다. 이로써, 횡이송부(32)의 하류측의 단부(우단부)가 곡립 탱크(4)의 내부에 배치된다. 횡이송부(32)에는 케이싱(33)에 덮여 곡립을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스크루부(34)와, 횡이송부(32)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단부에 배치되고 회전 블레이드(36)의 회전 작용에 의해 곡립 탱크(4)의 내부에 곡립을 토출하는 토출부(35)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블레이드(36)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회전 블레이드(36)의 회전 작용에 의해 토출부(35)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은, 곡립 탱크(4)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투척된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토출부(35)는,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후방측으로 곡립을 토출한다. 횡이송부(32)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는, 측정 장치 S에 의한 측정 대상으로 된다.
〔측정 장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 장치 S는, 곡립 탱크(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부(35)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측정 장치 S는, 곡립 탱크(4)로 반송되는 곡립의 상태를 측정한다. 측정 장치 S에는, 곡립 탱크(4)로 반송되는 곡립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 장치 S1과, 수분이나 단백 등의 곡립 성분을 측정하는 식미 측정 장치 S2가 포함된다.
〔언로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더 A는,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구 A3으로부터 배출한다. 언로더 A에는, 곡립 탱크(4)의 바닥 스크루(4S)에 의해 곡립 탱크(4)의 외부로 반송된 곡립을 상방으로 종이송하는 종이송 스크루 컨베이어 A1과, 종이송 스크루 컨베이어 A1에 접속되어 당해 종이송 스크루 컨베이어 A1에 의해 반송된 곡립을 배출구 A3으로 횡이송하는 횡이송 스크루 컨베이어 A2가 구비되어 있다. 언로더 A는, 종이송 스크루 컨베이어 A1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축심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콤바인(100)에서는, 곡립 탱크(4)의 내부의 메인터넌스가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내부에는, 곡립을 토출하는 토출부(35)나 곡립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 S가 구비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이들에 대해서도 메인터넌스의 대상으로 된다. 이하, 곡립 탱크(4) 및 그 주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곡립 탱크 및 그 주변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는, 당해 곡립 탱크(4)보다도 후방측에 마련된 상하 축심 주위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립 탱크(4)는, 탈곡 장치(2)에 인접하여 당해 탈곡 장치(2)로부터의 곡립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위치와, 탈곡 장치(2)로부터 이격됨과 함께 기체 프레임 F로부터 비어져 나와 당해 탈곡 장치(2)의 우측방을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위치로 위치 변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4)가 메인터넌스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2)나 언로더 A 등, 곡립 탱크(4)의 주변 기기의 메인터넌스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는,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곡립 탱크(4)가 작업 위치에 있는 상태를 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는 전후 방향을 긴 쪽 방향으로 하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4)는 천장판(4C)과, 천장판(4C)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4W)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천장판(4C)과 복수의 측벽(4W)에 의해 둘러싸여, 곡립 탱크(4)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천장판(4C)의 후방부에는, 후방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천장판 경사부(4Ca)(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립 탱크(4)의 후방측에 배치된 언로더 A가 선회할 때에, 당해 언로더 A와 곡립 탱크(4)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4W)에는, 곡립 탱크(4)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측벽(4Wf)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외측벽(4Wo)과, 외측벽(4Wo)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측벽(4Wi)과, 전방측벽(4Wf)에 대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후방측벽(4Wr)이 포함된다.
전방측벽(4Wf)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운전부 D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벽(4Wi)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2)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방측벽(4Wr)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언로더 A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측벽(4Wo)은, 콤바인(10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부분의 일부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에는, 하부가 오므라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류된 곡립을 곡립 탱크(4)로부터 배출하는 바닥 스크루(4S)가 배치된 하측 탱크부(4L)와, 하측 탱크부(4L)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탱크부(4U)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 탱크부(4U)는 천장판(4C) 및 복수의 측벽(4W)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복수의 측벽(4W)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 탈곡 장치(2)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4Wo)에, 외측벽(4Wo)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개구된 점검구(41)와, 당해 점검구(41)를 개폐하는 도어(43)가 구비되어 있다.
점검구(41)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립 탱크(4)의 내부의 메인터넌스가 행해질 때에, 작업자가 무리 없는 자세로 곡립 탱크(4)에 출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구(41)는, 상측 탱크부(4U) 중 외측벽(4Wo)을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내부에는, 탈곡 장치(2)로부터의 곡립이 토출되는 토출부(35)가 마련되어 있다. 토출부(35)는 곡립 탱크(4)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부(35)는, 회전 블레이드(36)에 의해 후방측에 곡립을 투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토출부(35)가 곡립 탱크(4)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전방 영역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곡립을 투척 가능해지고, 곡립 탱크(4)의 내부에 있어서 구석구석까지 곡립을 저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부(35)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구(41)는, 측면에서 보아 토출부(35)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곡립 탱크(4)의 내부의 메인터넌스가 행해질 때에, 작업자는, 토출부(35) 및 그 주변의 측정 장치 S 등이 존재하지 않는 넓은 공간을 이용하여, 곡립 탱크(4)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구(41)는, 외측벽(4Wo)에 있어서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단, 점검구(41)는, 측면에서 보아 토출부(35)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외측벽(4Wo)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 또는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는 점검구(41)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는, 내측 개방형으로 구성되고, 점검구(41)의 에지부(42)에 곡립 탱크(4)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점검구(41)를 막는다. 이로써, 곡립 탱크(4)의 내부에 축적된 곡립에 의해 곡립 탱크(4)의 외측을 향해 작용하는 압력이 높아진 경우라도, 이 압력에 의해 도어(43)가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는 그 후방부가 힌지부(43E)에 의해 상하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편개식의 여닫이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점검구(41)가 외측벽(4Wo)에 있어서의 후방 영역에 배치된 구성에 있어서, 도어(43)를 개방한 때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4)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 가능해진다. 단,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43)는, 그 전방부가 힌지부(43E)에 의해 지지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어(43)는, 편개식에 한정되지 않고, 양개식의 여닫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는, 외측벽(4Wo)의 외면(4F)에 대하여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는 면부(43A)와, 곡립 탱크(4)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굴곡부(43B)를 갖고 있다. 면부(43A)는 도어(43)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어(43)는, 전체적으로, 외측벽(4Wo)의 외면(4F)에 대하여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43)는, 점검구(41)의 에지부(42)에 맞닿는 맞닿음부(43C)를 갖고 있다. 맞닿음부(43C)는, 굴곡부(43B)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점검구(41)의 에지부(42)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맞닿음부(43C)와 에지부(42)가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맞닿음부(43C)와 에지부(42)는 시일 부재(99)를 통해 맞닿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일 부재(99)는, 도어(4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맞닿음부(43C)를 좌우 방향에서 끼워 넣도록 하여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맞닿음부(43C)는, 에지부(42)에 대하여 곡립 탱크(4)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닿음부(43C)는, 도어(43)의 주연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마련되고, 에지부(42)의 전체에 걸쳐서 맞닿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에는 곡립 탱크(4)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3D)에는, 도어(43)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44)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44)은 레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핸들(44)은 스포크식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43D)는, 내측을 향해 오므라지는 내측 오므라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43D)는, 면부(43A)와 평행하고, 또한 당해 면부(43A)보다도 곡립 탱크(4)의 내측에 배치된 핸들 설치부(43Da)와, 핸들 설치부(43Da)의 상하 에지의 각각으로부터 경사져서 면부(43A)에 연결하는 경사부(43Db)를 갖고 있다. 이로써, 오목부(43D)는 곡립 탱크(4)의 내측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오므라지는 내측 오므라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핸들 설치부(43Da)에는 핸들(44)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4)의 내측의 부분에는, 복수의 리브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곡립 탱크(4)의 내부의 압력에 대한 도어(4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리브부(46)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종리브부(46A)와,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횡리브부(46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종리브부(46A)는 도어(43)의 내측에 4개 형성되어 있고, 횡리브부(46B)는 도어(43)의 내측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종리브부(46A) 중 일부(2개)는, 오목부(43D)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43D)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종리브부(46A)가, 오목부(43D)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43D)는, 핸들 설치부(43Da)와, 핸들 설치부(43Da)의 상하 에지의 각각에 연속하는 한 쌍의 경사부(43Db)와, 핸들 설치부(43Da)의 측에지의 각각에 연속하는 한 쌍의 종리브부(46A)(한 쌍의 종리브부(46A)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설치부(43Da) 및 한 쌍의 경사부(43Db)는, 굴곡된 1매의 판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로써,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43)의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종리브부(46A)에 의해, 당해판체의 측에지의 각각이 덮임으로써, 오목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횡리브부(46B)는, 도어(43)에 있어서의 상하의 에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횡리브부(46B) 중, 도어(43)의 상부 에지에 배치된 횡리브부(46B)는, 복수의 종리브부(46A) 모든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횡리브부(46B) 중, 도어(43)의 하부 에지에 배치된 횡리브부(46B)는, 복수의 종리브부(46A) 모든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횡리브부(46B)는, 복수의 종리브부(46A)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내부에는, 폐쇄 상태의 도어(43)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5)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44)과 로크 기구(5)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43)의 외측으로부터 핸들(44)을 통해 로크 기구(5)를 조작할 수 있다.
로크 기구(5)는, 도어(43)의 내측에 마련된 로크 바(53)와, 외측벽(4Wo)의 내측에 마련되어 로크 바(53)를 고정하는 고정 스테이(54)를 갖고 있다. 로크 바(53)가 고정 스테이(54)에 고정됨으로써, 도어(43)가 로크된다.
또한, 로크 기구(5)는, 핸들 설치부(43Da)를 관통하는 핸들축부(44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51)와, 핸들축부(44A)에 연결함과 함께 로크 바(53)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52)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축부(44A)(핸들(44))와 연결 부재(52)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함께 일체 회전한다. 또한, 연결 부재(52)와 로크 바(53)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함께 일체 회전한다. 따라서, 핸들(44)과 로크 바(53)는 연결 부재(52)를 통해, 핸들축부(44A)의 축심 주위로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9 참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44)이 수평 자세의 상태이고, 로크 바(53)가 수평 방향을 따르는 로크 자세로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44)이 회전 축심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자세의 상태이고, 로크 바(53)가, 회전 축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로크 자세로 된다.
또한, 핸들(44)이 연직 자세의 상태이고, 로크 바(53)가, 연직 방향을 따르는 로크 해제 자세로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44)이 회전 축심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연직 자세의 상태이고, 로크 바(53)가, 회전 축심으로부터 연직 방향을 따라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로크 해제 자세로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스테이(54)는, 로크 바(53)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스테이(54)는,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정 긴 구멍(55)을 통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도 8 참조). 이로써, 고정 스테이(54)의 배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고정 스테이(54)는, 외측벽(4Wo)으로부터 곡립 탱크(4)의 내측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54A)를 갖고 있다.
로크 바(53)가 로크 해제 자세의 상태에서, 도어(43)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요동하면(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나는 위치가 폐쇄 위치이고, 가상선으로 나타나는 위치가 개방 위치임), 당해 로크 바(53)는, 고정 스테이(54)의 돌기부(54A)보다도 외측벽(4Wo)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핸들(44)을 조작하여 로크 바(53)를 로크 자세로 하면, 로크 바(53)는, 외측벽(4Wo)과 고정 스테이(54)의 돌기부(54A)에 의해,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지는 상태로 된다(도 8 참조). 이로써, 로크 바(53)의 요동이 규제되어, 도어(43)는,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요동이 규제된 로크 상태로 된다.
또한, 조정 긴 구멍(55)에 의해 고정 스테이(54)의 배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도어(43)의 로크 상태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스테이(54)를 우측(외측벽(4Wo)측) 근처에 배치함으로써, 로크 바(53)와 돌기부(54A)를 강하게 맞닿게 할 수 있고, 도어(43)의 요동이 보다 강하게 억제된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스테이(54)에는, 로크 해제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되는 로크 바(53)를 안내하는 로크 바 안내부(54B)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도어(43)를 로크하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바 안내부(54B)는, 돌기부(54A)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부(54A)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외측벽(4Wo)측으로 경사져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내부에는, 폐쇄 상태의 도어(43)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6)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 기구(6)는, 도어(43)의 내측에 마련된 지지 바(61)와, 외측벽(4Wo)의 내측에 마련되어 지지 바(61)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62)를 갖고 있다. 지지 바(61)가 지지 스테이(62)에 지지됨으로써, 도어(43)가 지지된다.
지지 바(61)는 오목부(43D)를 구성하는 한 쌍의 종리브부(46A)의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바(61)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되도록, 오목부(43D)를 구성하는 한 쌍의 종리브부(46A)의 각각을 관통하고 있다.
지지 스테이(62)는, 지지 바(61)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스테이(62)는 외측벽(4Wo)으로부터 곡립 탱크(4)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스테이(62)는 지지 바(61)를 하방으로부터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43)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요동하면, 지지 바(61)는, 평면으로 보아 지지 스테이(62)와 중복되는 피지지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지지 바(61)는, 지지 스테이(6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이로써, 지지 스테이(62)가 지지 바(61)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상태로 되고, 지지 바(61)를 통해, 폐쇄 상태의 도어(43)가 지지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62)에는, 도어(43)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요동하는 과정에서, 지지 바(61)를 피지지 위치로 안내하는 지지 바 안내부(62A)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바 안내부(62A)는, 지지 스테이(62)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지지 스테이(62)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4)의 내측단부로부터 외측벽(4Wo)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자중에 의해 도어(43)가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라도, 지지 바 안내부(62A)에 의해 도어(43)를 일단 들어올릴 수 있고, 폐쇄 위치로서 적절한 위치에 도어(43)를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내부에는, 곡립 탱크(4)의 내측으로 개방된 도어(43)가 지나치게 개방됨으로써 곡립 탱크(4)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는 문받이 기구(7)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문받이 기구(7)는 곡립 탱크(4)의 내부에 있어서 상하의 2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문받이 기구(7)는 도어(43)의 지나친 개방을 억제하는 스토퍼(71)와, 도어(43)가 개방되는 한계 위치에 있어서 스토퍼(71)와 접촉하는 스토퍼 받침부(73)를 갖고 있다(도 5도 참조).
스토퍼(71)는 외측벽(4Wo)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71)는 스토퍼 지지부(72)를 통해 외측벽(4Wo)에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71)에 있어서의 스토퍼 받침부(73)와 접촉하는 부분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71)는, 예를 들어 고무제인 것 등, 완충 작용을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
스토퍼 받침부(73)는 도어(43)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받침부(73)는, 도어(43)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43E)에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받침부(73)는 힌지부(43E)의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어(43)와 함께 일체 회전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받침부(73)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어(4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종리브부(46A) 중 일부(본 예에서는 2개)와 맞닿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토퍼 받침부(73)의 한쪽 면이, 2개의 종리브부(46A)와 맞닿아 있다. 스토퍼 받침부(73)의 다른 쪽 면은, 도어(43)가 개방되는 한계 위치에 있어서 스토퍼(71)와 접촉한다(도 5 참조). 스토퍼 받침부(73)가 종리브부(46A)와 맞닿아 있음으로써, 스토퍼(71)와의 접촉 시에 있어서의 스토퍼 받침부(7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벽(4Wo)에는, 당해 외측벽(4Wo)에 개구된 감시 창(45)과, 당해 감시 창(45)을 개폐하는 소도어(45A)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도어(45A)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소도어(45A)에 의해 감시 창(45)이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도, 당해 감시 창(45)으로부터 곡립 탱크(4)의 내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도어(45A)를 개방함으로써, 곡립 탱크(4)의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도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시 창(45)은 점검구(41)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고, 감시 창(45)을 통한 곡립 탱크(4)로의 출납은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외측벽(4Wo)에 있어서의 개구 부분(점검구(41)나 감시 창(45))이 차지하는 영역을 필요 이상으로 넓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4)의 내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감시 창(45)은 점검구(41)의 하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곡립 탱크(4)의 내부에 있어서의 점검구(41)의 하부 근방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점검구(4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의 도어(43)를 개방하는 경우,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막힘 등, 도어(43)의 개방의 방해로 되는 요인을 당해 도어(43)의 개방 전에 인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와 같은 경우, 감시 창(45)을 폐쇄하는 소도어(45A)를 개방함으로써, 막힘을 일으키고 있는 곡립을 배제하는 등, 도어(43)의 개방의 방해로 되어 있는 요인을 배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감시 창(45)이 배치되는 점검구(41)의 하부 근방은, 콤바인(100)에 승차하지 않은 작업자(예를 들어, 포장에 서 있는 작업자)의 시선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것에 의하면, 작업자는, 선 자세로, 감시 창(45)으로부터 곡립 탱크(4)의 내부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도어(45A)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점검구(41)에 비해 개폐 빈도가 적어지는 감시 창(45)에 있어서, 간소한 개폐 구조로 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소도어(45A)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나아가, 소도어(45A)는, 항상 폐쇄 상태인 개폐 불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라도, 소도어(45A)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시 창(45)을 통해 곡립 탱크(4)의 내부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4C)에는 당해 천장판(4C)에 개구된 천장 점검구(47)와, 당해 천장 점검구(47)를 개폐하는 덮개(47A)가 구비되어 있다. 천장 점검구(47)는 곡립 탱크(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부(35)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천장 점검구(47)로부터, 토출부(35) 및 그 주변의 측정 장치 S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장 점검구(47)는, 천장판(4C)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47A)는, 그 후방부가 덮개 힌지(47B)에 의해 수평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편개식의 여닫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47A)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덮개(47A)에 의해 천장 점검구(47)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도, 당해 천장 점검구(47)로부터 곡립 탱크(4)의 내부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천장 점검구(47)의 후방측에는, 천장 점검구(47)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48)가 마련되어 있다. 보강 부재(48)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리브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부(35)가, 곡립을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후방측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보강 부재(48)가 천장판(4C)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강 부재(48)가 천장판(4C)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는, 당해 보강 부재(48)가, 상방을 향해 후방측으로 토출되는 곡립의 방해로 되고, 곡립 탱크(4)의 후방 영역에 있어서 곡립이 저류되기 어려워지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부재(48)는 천장판(4C)의 외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보강 부재(48)가, 토출되는 곡립의 방해로 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곡립 탱크(4)의 후방 영역에 있어서 곡립이 저류되기 어려워지는 사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탱크부(4L)를 보호하는 하측 커버(8)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 탱크부(4L)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하측 커버(8)의 상부와 하부가, 하측 탱크부(4L)와 연결되어 있다. 하측 커버(8)의 상부는, 후술하는 연결 기구(9)에 의해 하측 탱크부(4L)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커버(8)는 하측 커버(8)의 상부가 하측 탱크부(4L)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하측 탱크부(4L)와 연결하는 하측 커버(8)의 하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측 커버(8)는, 외측벽(4Wo)에 대하여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는 벽면부(8A)와, 벽면부(8A)의 하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고, 하방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부(8B)를 갖고 있다(도 3도 참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커버(8)에는 하측 탱크부(4L)에 대하여 연결 및 연결 해제가 가능한 연결 기구(9)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연결 기구(9)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구비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9)는, 하측 탱크부(4L)에 마련된 바(97)에 걸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훅(92) 및 걸림 고정편(93)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훅(92) 및 걸림 고정편(93)은, 하측 커버(8)에 있어서의 벽면부(8A)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벽면부(8A)의 외측에는 손잡이부(91)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91)는 한 쌍의 훅(92)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91)가 상방으로 요동함으로써, 한 쌍의 훅(92)은 하방으로 요동한다. 한 쌍의 훅(92)이 바(97)에 걸림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손잡이부(91)를 요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훅(92)이 하방으로 요동하여 바(97)와의 걸림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하측 커버(8)의 전체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바(97)에 걸림 고정되어 있던 상태의 걸림 고정편(93)도 벗어나, 연결 기구(9)에 의한 연결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하측 커버(8)가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부(8A)와 하측 탱크부(4L)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도, 벽면부(8A)가 외측벽(4Wo)에 대하여 요동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벽면부(8A)와 외측벽(4Wo)이 같은 평면 상으로 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9)가, 하측 커버(8)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9)에는, 하측 탱크부(4L)의 외면에 마련된 딱딱한 U자상의 브래킷(95)과, 브래킷(95)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마련된 판상의 연결부(96)가 구비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부(96)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바(97)는, 한 쌍의 연결부(96)의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바(97)에 대하여 하측 커버(8)측에 마련된 한 쌍의 훅(92) 및 걸림 고정편(93)이 걸림 고정됨으로써, 연결 기구(9)가 연결 상태로 된다.
브래킷(95)과 연결부(96)는, 이들을 전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관통하는 볼트(9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96)에 있어서의 볼트(98)의 관통 부분에는, 하측 탱크부(4L)의 경사 부분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정 긴 구멍(96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98)는, 조정 긴 구멍(96A)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연결부(96)를 관통하고 있다. 이로써, 연결부(96)는, 조정 긴 구멍(96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브래킷(95)과의 연결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연결부(96)를 관통하는 상태로 마련되는 바(97)의 배치 위치도 조정 긴 구멍(96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당해 바(97)와 벽면부(8A)(상세하게는 한 쌍의 훅(92) 및 걸림 고정편(93))의 연결 위치도 조정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측 커버(8)의 전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벽면부(8A)와 외측벽(4Wo)을 같은 평면 상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실시 형태 1에 관한 콤바인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가, 점검구(41)의 에지부(42)에 곡립 탱크(4)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도어(43)는, 곡립 탱크(4)의 외측으로부터, 점검구(41)의 에지부(42)에 맞닿아 있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는, 점검구(41)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도어(43)는 점검구(41)의 에지부(42)와는 맞닿지 않는 양태로, 점검구(41)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점검구(41)의 에지부(42)에, 폐쇄 위치에 있는 도어(43)에 맞닿도록 구성된 문받이가 마련되고, 도어(4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점검구(41)와 도어(43)의 크기의 차에 의해 생기는 간극에, 당해 간극을 밀폐하는 시일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는, 힌지부(43E)에 의해 지지된 편개식의 여닫이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도어(43)는, 미닫이와 같은 슬라이드식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폴딩 도어나 글라이드 슬라이드 도어와 같은 링크식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는, 세로로 긴 형상인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3)의 상부 에지는, 곡립 탱크(4)의 상면에 형성된 천장판 경사부(4Ca)와 평행이 되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어(43)가 직사각형인 경우에 비해, 도어(43)의 크기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감시 창(45)이, 외측벽(4Wo)에 개구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 감시 창(45)은, 외측벽(4Wo)에 복수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 창(45)은, 외측벽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하방측의 감시 창(45)은, 작업자의 시야의 높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문받이 기구(7)로서의 스토퍼(71)가 외측벽(4Wo)측에 마련되고, 스토퍼 받침부(73)가 도어(43)측에 마련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들이 마련되는 위치는, 반대여도 된다. 즉, 스토퍼(71)가 도어(43)측에 마련되고, 스토퍼 받침부(73)가 외측벽(4Wo)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스토퍼(71)는, 도어(43)의 내측에 있어서의 요동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예를 들어, 로크 기구(5)의 근방)에 마련되고, 스토퍼 받침부(73)는, 후방측벽(4Wr)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7〕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43)가, 힌지부(43E)에 의해 상하축 주위로 요동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도어(43)는, 수평축 주위로 요동하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구(41)가, 외측벽(4Wo)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개구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점검구(41)는 외측벽(4Wo)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부에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도어(43)는, 내측 개방형이며, 점검구(41)의 에지부(42)에 곡립 탱크(4)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당해 점검구(41)를 막도록 구성된다.
〔9〕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점검구(41)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점검구(41)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전후 방향을 따르는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F]의 방향이 주행 기체(101)의 전방향, [B]의 방향이 주행 기체(101)의 후방향, 도 16에 나타내는 [L]의 방향이 주행 기체(101)의 좌방향, [R]의 방향이 주행 기체(101)의 우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02)가 장비된 주행 기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0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 부위에 운전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103)는 캐빈(104)에 의해 덮여 있다. 운전부(103)의 하방에 원동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원동부에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주행 기체(101)의 후방부에 탈곡 장치(106) 및 저류부로서의 탈곡물 탱크(107)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6)와 탈곡물 탱크(107)는 탈곡물 탱크(107)가 운전부(103)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주행 기체(101)의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탈곡 장치(106)의 후방부에 배출 짚 세단 장치(108)가 장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0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측의 부위로부터 예취 반송 장치(109)가 전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예취 반송 장치(109)에는, 주행 기체(101)로부터 전방으로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연장 돌출되어 있는 반송부(110) 및 예취부(111)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111)의 후방부는 반송부(110)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예취부(111)는, 반송부(110)가 요동 조작됨으로써, 하강 작업 상태와 상승 비작업 상태에 걸쳐서 승강 조작된다.
콤바인에 있어서는, 예취부(111)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주행 기체(101)를 주행시킴으로써, 작물로서의 벼, 보리, 대두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즉, 예취부(111)에 있어서, 포장의 식립 곡간 중, 주행 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식립 곡간의 이삭 끝측이 회전 릴(112)에 의해 후방으로 긁어 넣어지면서, 식립 곡간의 밑동측이 예취 장치(113)에 의해 절단되어, 작물로서의 식립 곡간의 예취가 행해진다. 그리고, 예취 곡간의 밑동으로부터 이삭 끝까지의 전체가 오거(114) 및 반송부(110)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106)에 공급된다. 탈곡 장치(106)에 있어서, 예취 곡간이 탈곡 처리되고,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탈곡립을 진애와 선별하는 선별 처리가 행해진다. 탈곡 배출 짚이 배출 짚 세단 장치(108)에 의해 세단 처리된다. 세단 짚은, 배출 짚 세단 장치(108)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 커버(108a)에 의해 안내되어 주행 기체(101)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선별 처리 후의 탈곡립이 양곡 장치(117)에 의해 탈곡물 탱크(107)에 공급되어 저류된다. 탈곡물 탱크(107)에 저류된 탈곡립은, 탈곡물 배출 장치(116)에 의해 탈곡물 탱크(107)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탈곡 장치(106)의 구성〕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6)는, 탈곡기체(120)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기체(120)의 상부에 탈곡부(106A)가 형성되고, 탈곡기체(120)의 하부에 선별부(106B)가 형성되어 있다. 탈곡기체(120)의 후방부에 점검구(150)가 개구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106A)에 있어서는, 반송부(110)에 의해 급실(121)의 전단부에 공급된 예취 곡간이 급동(122) 중 긁어 넣기부(122a)에 의해 급동(122)의 후방을 향해 긁어 넣어지고, 급동(122) 중 탈곡 처리부(122b)에 공급된다. 탈곡 처리부(122b)에 공급된 곡간이 급치(123) 및 받침망(124)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탈곡 처리부(122b)에 의해 회동력이 부여된 탈곡 처리물이 천장판(125)에 지지되어 있는 먼지 이송 밸브(125a)에 맞닿고, 급실(121)의 후방을 향해 유동하도록 먼지 이송 밸브(125a)에 의해 안내되고, 탈곡 처리물이 급실(121)의 후방을 향해 이송되면서 탈곡 처리된다.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탈곡립이 받침망(124)의 처리물 누하 구멍을 통해 선별부(106B)에 낙하한다. 탈곡 처리에 의해 발생한 탈곡 진애로서의 짚 부스러기가 급실(12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진구(126)로부터 급실(121)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급실(121)로부터 배출된 탈곡 진애는, 점검구(150)에 겸용의 배출구(127)로부터 배출 짚 세단 장치(108)로 유입된다.
선별부(106B)는 선별실(130)을 구비하고 있다. 선별실(130)은, 탈곡기체(120)의 좌우의 측벽부 등에 의해 탈곡기체(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선별실(130)에 선별 프레임(131)이 마련되어 있다. 선별 프레임(131)은 선별 프레임(131)의 전방부에 작용하는 지지부(132) 및 선별 프레임(131)의 후방부에 연결된 구동 기구(133)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구동 기구(133)에 의해 요동 구동된다. 선별 프레임(131)의 내부에, 그레인 팬(134a), 체 선부(134), 제1 채프 시브(135), 그레인 시브(136) 및 제2 채프 시브(137)가 지지되어 있다. 선별 프레임(131)의 전방 하방에 풍구(138)가 마련되어 있다. 풍구(138)에 의해 선별풍이 선별실(130)의 후방을 향해 공급된다. 받침망(124)으로부터 누하된 탈곡 처리물이 그레인 팬(134a), 체 선부(134), 제1 채프 시브(135), 그레인 시브(136) 및 제2 채프 시브(137)에 의해 흔들리고, 또한 풍구(138)로부터의 선별풍을 받아 곡립과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된다.
선별 프레임(131)의 하방에 1번 회수부(139) 및 2번 회수부(14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번 회수부(139) 및 2번 회수부(140)는, 스크루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선별 프레임(131)의 제1 채프 시브(135) 및 그레인 시브(136) 등에 의해 선별된 1번 처리물로서의 정립이 1번 회수부(139)에 낙하하여 회수되고, 1번 회수부(139)에 의해 탈곡기체(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정립은, 양곡 장치(117)로 이어지고, 양곡 장치(117)에 의해 탈곡물 탱크(107)로 반송된다. 선별 프레임(131)의 제2 채프 시브(137) 등에 의해 선별된 2번 처리물로서의 미처리립이 2번 회수부(140)에 낙하하여 회수되고, 2번 회수부(140)에 의해 탈곡기체(1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미처리립은, 환원 장치(141)로 이어지고, 환원 장치(141)에 의해 선별실(130)의 전방부로 반송되어 선별 프레임 내의 전방부로 환원된다. 선별 프레임(131)에 있어서 선별된 짚 부스러기 등의 선별 진애는, 배출구(127)로부터 배출되어, 배출 짚 세단 장치(108)로 유입된다.
〔제1 채프 시브(135)의 개방도 조절〕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채프 시브(135)는, 선별 프레임(131)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복수의 채프 플레이트(135a)로 구성되어 있다. 채프 플레이트(135a)끼리의 사이의 간극이 처리물 누하 구멍으로 된다.
각 채프 플레이트(135a)의 상단부가 지지점축(143)을 통해 선별 프레임(131)의 지지부(131a)에 지지되고, 각 채프 플레이트(135a)는, 지지점축(143)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선별 프레임(131)에 지지되어 있다. 각 채프 플레이트(135a)의 하단부가 연동 링크(144)에 연결되어 있다. 채프 플레이트(135a)와 연동 링크(144)는, 연결 핀(144a)을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채프 플레이트(135a)는, 연동 링크(144)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선별 프레임(131)에 대하여 동일한 요동 방향으로 연동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별 프레임(131)의 우측 횡외측(탈곡물 탱크측)에 개방도 조절부(145)가 마련되어 있다. 개방도 조절부(145)는, 지지점축(146)을 통해 선별 프레임(131)에 지지되고, 지지점축(146)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개방도 조절부(145)의 지지점축(146)과, 채프 플레이트(135a)의 지지점축(143)은, 동일한 지지점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방도 조절부(145)의 자유단측과 연동 링크(144)가 연동축(147)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연동축(147)은, 선별 프레임(131)에 형성된 긴 구멍형의 관통 구멍(148)을 지나고 있다.
개방도 조절부(145)가 요동 조작되면, 개방도 조절부(145)의 요동력이 연동축(147)에 의해 연동 링크(144)로 전달되어 연동 링크(14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동 링크(14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채프 플레이트(135a)가 지지점축(143)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고, 채프 플레이트(135a)끼리의 간극의 넓이가 변화된다. 즉, 처리물 누하 구멍의 개방도가 변화된다.
도 20,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도 조절부(145)에 조작 케이블(149)을 통해 원격 조작 장치(160)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도 18,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160)는 탈곡물 탱크(107)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 케이블(149)은, 개방도 조절부(145)로부터 선별실(130)을 통해 탈곡기체(120)의 후방부에 이르고, 탈곡기체(120)의 후방부에 개구되어 있는 점검구(150)로부터 탈곡기체(120)의 외부로 나와 원격 조작 장치(160)에 이르고 있다.
도 15, 도 16,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물 배출 장치(116)에는, 종배출 장치(116a)와, 횡배출 장치(116b)가 구비되어 있다. 종배출 장치(116a)는, 탈곡물 탱크(107)의 후방측에 주행 기체(10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횡배출 장치(116b)는, 종배출 장치(116a)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18,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배출 장치(116a)의 횡측방에 있어서, 지주(151)가 기체 프레임(101a)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지주(151)로부터 지지 암(152)이 종배출 장치(116a)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종배출 장치(116a)를 포지하는 포지 부재(153)가 지지 암(152)의 연장 돌출 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종배출 장치(116a)가 포지 부재(153) 및 지지 암(152)을 통해 지주(151)에 지지되어 있다. 도 18, 도 23에 나타내는 부호 154는, 탈곡 장치(106)와 지주(151)에 연결되어, 지주(151)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이다. 보강 부재(154)와 지주(151)는, 연결 부재(151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강 부재(154)의 단부가 연결 부재(152a)를 통해 지지 암(152)에 연결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부호 155는, 전동 모터이고, 종배출 장치(116a)의 기어(116c)를 회전 조작하고, 탈곡물 배출 장치(116)를 선회 조작한다.
도 18,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160)는 지주(151)에 지지되어 있다. 원격 조작 장치(160)는, 종배출 장치(116a)를 지지하기 위해 높은 강성을 구비하는 지주(151)에 의해 확실히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조작 장치(160)는 지주(15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지주(151)에 지지되어 있지만, 지주(151)의 횡측이나 전방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160)는 조작 케이스(161)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케이스(161)는, 케이스 본체(161a) 및 덮개 케이스(161b)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케이스(161b)는, 케이스 본체(161a)에 연결 볼트(163)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탈착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장치(160)의 지주(151)로의 지지는, 조작 케이스(161)가 2개의 설치 볼트(162)에 의해 지주(151)의 지지부(151b)에 연결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2개의 설치 볼트(162)는, 조작 케이스(161)의 외부로부터 덮개 케이스(161b)의 관통 구멍을 통해 조작 케이스(161)의 내부에 들어가, 케이스 본체(161a)의 저부를 지지부(151b)에 체결함으로써, 조작 케이스(161)를 지지부(151b)에 지지하고 있다. 설치 볼트(162)의 단부에 핸들(162a)이 상대 회전 불능으로 구비되어 있다. 핸들(162a)은 조작 케이스(161)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핸들(162a)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설치 볼트(162)를 지지부(151b)로부터 떼어내고, 조작 케이스(161)를 덮개 케이스(161b)가 폐쇄된 채의 상태로 지주(151)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원격 조작 장치(160)의 전체를 지주(15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61a)의 내부에, 전동 모터(164) 및 조작 암(165)이 지지되어 있다. 전동 모터(164)와 조작 암(165)은, 감속 전동 기구(166) 및 연동 기어(167)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전동 모터(164)의 출력축에 감속 전동 기구(166)의 입력부가 연동 연결되고, 감속 전동 기구(166)의 출력 기어(166a)에 연동 기어(167)가 맞물려 있다. 연동 기어(167)는, 조작 암(165)의 회전 지지축(165a)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되어 있다. 조작 암(165)에 조작 케이블(149)의 이너 케이블(149a)이 연결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부호 160a는 조작 암(165)의 요동각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원격 조작 장치(160)에 있어서는, 전동 모터(164)의 동력이 감속 전동 기구(166)에 의해 감속되어 연동 기어(167)로 전달되고, 연동 기어(167)가 회전 지지축(165a)을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조작된다. 연동 기어(167)가 회전 조작되면, 조작 암(165)이 연동 기어(167)의 동력에 의해 회전 지지축(165a)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조작되어 이너 케이블(149a)을 당김 조작하거나, 이완 조작하거나 한다. 이너 케이블(149a)이 당김 조작되면, 개방도 조절부(145)가 이너 케이블(149a)의 인장력에 의해 리턴 스프링(168)(도 20, 도 23 참조)에 저항하여 요동 조작된다. 이너 케이블(149a)이 헐거움 조작되면, 개방도 조절부(145)가 리턴 스프링(168)의 인장력에 의해 요동 조작된다.
즉, 운전부(103)에 마련된 채프 조작 스위치(169)(도 15 참조)를 조작함으로써, 채프 조작 스위치(169)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고, 전동 모터(164)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로써, 원격 조작 장치(160)를 작동시킨다. 원격 조작 장치(160)는 조작 케이블(149)을 통해 원격 조작을 행하여, 개방도 조절부(145)를 요동 조작시킬 수 있고, 제1 채프 시브(135)의 처리물 누하 구멍의 개방도 조절을 행한다. 또한, 개방도 조절부(145)는 원격 조작 장치(1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한다.
제1 채프 시브(135), 제2 채프 시브(137), 그레인 시브(136) 등을 청소 및 점검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 배출 짚 세단 장치(108)의 회전 커터(108b) 및 배출구 커버(108a)를 제거하여 점검구(150)의 후방을 개방한다. 선별 프레임(131)을 지지부(132) 및 구동 기구(133)와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로 함으로써, 선별 프레임(131)을 점검구(150)로부터 탈곡기체(120)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도 17 참조). 이 경우, 설치 볼트(162)를 떼어냄으로써, 원격 조작 장치(160)를 조작 케이블(149)이 연결된 채의 상태로 하여 선별 프레임(131)과 함께 떼어낼 수 있다. 이때, 탈곡물 탱크(107) 및 원격 조작 장치(160)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는 요동 개폐 가능한 외장 커버(170)를 열고, 원격 조작 장치(160)의 후방을 개방한다(도 18, 도 23 참조). 원격 조작 장치(160)와 조작 케이블(149)을 연결한 채로 할 수 있으므로, 선별 프레임(131)을 점검구(150)로부터 선별실(130)로 넣어 복귀시킨 후에 있어서, 원격 조작 장치(160)와 조작 케이블(149)의 연동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도 18,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기체(101)의 후방부에 있어서, 탈곡 장치(106)와 탈곡물 탱크(107) 사이에 엔진용 연료 탱크(105)가 마련되어 있다. 연료 탱크(105)의 탈곡물 탱크(107)측의 횡측부는, 탈곡물 탱크(107)의 하부가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저부(107a)의 하방으로 들어가 있다. 원격 조작 장치(160)는 연료 탱크(10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있어서는, 연료 탱크(105)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실시 형태 2의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조작 장치(160)를 지주(151)로부터 떼어내어 선별 프레임(131)을 취출하는 형태를 채용하고 있지만, 원격 조작 장치(160)와 조작 케이블(149)의 연결을 해제하고 선별 프레임(131)을 취출하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물의 저류부로서 탈곡물 탱크(107)가 채용된 예를 나타냈지만, 주머니 포장 탱크가 구비된 저류부를 채용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조작 장치(160)가 종배출 장치(116a)의 지주(151)에 지지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전용의 지지 부재에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조작 장치(160)가 지주(15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지주(151)에 지지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지주(151)의 횡측이나 전방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채프 시브(137)는, 선별 프레임(131)의 좌횡외측에 마련되고, 제1 채프 시브(135)의 개방도 조절부(14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 개방도 조절부를 구비하여, 이 개방도 조절부를 인위 조작함으로써 개방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채프 시브(137)에 있어서도, 제1 채프 시브(135)와 동일한 원격 조작 장치에 의해 개방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F]의 방향이 주행 기체(201)의 전방향, [B]의 방향이 주행 기체(201)의 후방향, 도 25에 나타내는 [L]의 방향이 주행 기체(201)의 좌방향, [R]의 방향이 주행 기체(201)의 우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02)가 장비된 주행 기체(201)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20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 부위에 운전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203)에 운전 좌석(204)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부(203)는 캐빈(205)에 의해 덮여 있다. 주행 기체(201)의 후방부에 탈곡 장치(206) 및 탈곡물 탱크(207)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206)와 탈곡물 탱크(207)는 탈곡물 탱크(207)가 운전부(203)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주행 기체(201)의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탈곡 장치(206)의 후방부에 배출 짚 세단 장치(208)가 장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0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측의 부위로부터 예취 반송 장치(209)가 전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예취 반송 장치(209)에는, 주행 기체(201)로부터 전방으로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연장 돌출된 반송부(210) 및 주행 기체(201)의 전방에 마련되는 예취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예취부(211)의 후방부는, 반송부(210)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예취부(211)는 반송부(210)가 승강 실린더(212)의 신축에 의해 요동 조작됨으로써, 하강 작업 상태와 상승 비작업 상태에 걸쳐서 승강 조작된다.
콤바인에 있어서는, 예취부(211)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주행 기체(201)를 주행시킴으로써, 작물로서의 벼, 보리, 대두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즉, 예취부(211)에 있어서, 포장의 식립 곡간 중, 주행 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식립 곡간의 이삭 끝측이 회전 릴(213)에 의해 후방으로 긁어 넣어지면서, 식립 곡간의 밑동측이 예취 장치(214)에 의해 절단되어, 작물로서의 식립 곡간의 예취가 행해진다. 그리고, 예취 곡간의 밑동으로부터 이삭 끝까지의 전체가 오거(215)에 의해 반송부(210)로 반송된다. 반송부(210)로 반송된 예취 곡간이 반송부(210)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206)에 공급된다. 탈곡 장치(206)에 있어서, 예취 곡간이 급동(206a)에 의해 탈곡 처리되고,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탈곡립을 진애와 선별하는 선별 처리가 행해진다. 탈곡 배출 짚이 배출 짚 세단 장치(208)에 의해 세단 처리된다. 세단 짚은, 배출 짚 세단 장치(208)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 커버(208a)에 의해 안내되어 주행 기체(201)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선별 처리 후의 탈곡립이 양곡 장치(216)에 의해 탈곡물 탱크(207)에 공급되어 저류된다. 탈곡물 탱크(207)에 저류된 탈곡립은, 탈곡물 배출 장치(217)에 의해 탈곡물 탱크(207)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206)의 전방에 있어서, 사다리(218)가 기체 프레임(201a)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사다리(218)를 이용하여 탈곡 장치(206) 위로 오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다리(218)의 지주부는, 탈곡 장치(206)를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219)의 전단 에지의 경사를 따라 경사져 있다. 사다리(218)의 상단은, 외장 커버(219)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사다리(218)로부터 지지 부재(220)가 연장 돌출되고, 지지 부재(220)의 연장 돌출 단부에 백미러(221)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220)는 사다리(218)에 요동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다리(218)를 사용할 때, 지지 부재(220)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지지 부재(220) 및 백미러(221)를 사다리(218)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사다리(218)의 상부와 지주 부재(222)가 보강 부재(2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지주 부재(222)는 탈곡 장치(206)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탈곡물 배출 장치(217) 중 횡컨베이어부(217a)를 저장 자세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다리(218)는, 횡컨베이어부(217a)를 지지하기 위해 높은 강성을 갖는 지주 부재(222)에 의해 보강 부재(223)를 통해 지지되어, 요동 움직임이 어렵도록 확실히 지지된다. 이로써, 백미러(221)의 요동 움직임이 발생하기 어렵다.
〔동력 전달 구조에 대하여〕
운전 좌석(204)의 하방에 엔진(225)(도 26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엔진(225)은, 출력축(225a)(도 26 참조)이 주행 기체(201)의 횡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탑재 자세로 주행 기체(201)의 우횡측부에 마련되어 있다. 엔진(225)의 동력이 도 26에 도시하는 동력 전달 구조에 의해 크롤러 주행 장치(202), 탈곡 장치(206)에 있어서의 급동(206a) 및 선별부(206b) 등으로 전달된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25)의 출력축(225a)의 동력이 벨트 전달 기구(226)를 통해 주행 미션(227)에 입력되고, 주행 미션(227)으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02)의 구동륜체(202a)로 출력된다. 주행 미션(227)에 있어서는, 엔진(225)으로부터의 동력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부(227a)에 입력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부(227a)에 의해 변속된 동력이 부변속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분배 미션(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달되고, 분배 미션으로부터 좌우의 구동륜체(202a)로 출력된다.
엔진(225)의 출력축(225a)의 동력이 벨트 전달 기구(228)를 통해 탈곡물 탱크(207)의 바닥 스크루(229)로 전달되고, 바닥 스크루(229)로부터 탈곡물 배출 장치(217)의 종컨베이어부(217b) 및 횡컨베이어부(217a)로 전달된다.
엔진(225)의 출력축(225a)의 동력이 벨트 전달 기구(230a)를 통해 선별부(206b)에 있어서의 풍구(231)의 회전 지지축(231a)으로 전달되고, 회전 지지축(231a)으로부터 벨트 전달 기구(230b)를 통해 급동 변속 장치(232)의 입력축(232a)으로 전달된다. 급동 변속 장치(232)의 출력축(232b)의 동력이 벨트 전달 기구(233)를 통해 급동 구동부(234)의 입력축(234a)으로 전달된다. 급동 변속 장치(232)에는, 입력축(232a)의 회전 속도를 변속하여 출력축(232b)으로 전달하는 기어 변속 기구(235)가 내장되어 있다. 도 27,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 변속 장치(232)의 전단부에, 변속 조작부(232c)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급동 변속 장치(232)에 있어서는, 변속 조작부(232c)를 조작함으로써, 시프트 기어(235a)가 슬라이드하여 3개의 전동 기어(235b, 235c, 235d)에 걸리고, 고, 중, 저속의 3단계의 변속 상태로 전환되어 출력축(232b)의 회전 속도가 변경된다. 급동 구동부(234)에 의해 구동되는 급동(206a)의 회전 속도를 급동 변속 장치(232)에 의해 3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급동 변속 장치(232)의 입력축(232a)의 동력이 벨트 전달 기구(236)를 통해 선별부(206b)의 1번 스크루 컨베이어(237) 및 2번 스크루 컨베이어(238)로 전달된다. 1번 스크루 컨베이어(237)의 동력이 양곡 장치(216)의 버킷 컨베이어부(216a) 및 스크루 컨베이어부(216b)로 전달된다. 벨트 전달 기구(236)의 동력이 카운터축(239) 및 벨트 전달 기구(240)를 통해 선별부(206b)의 요동 선별 장치(241)로 전달된다. 2번 스크루 컨베이어(238)의 동력이 체인 전달 기구(263)를 통해 환원 장치(264)로 전달된다. 환원 장치(264)는 2번 스크루 컨베이어(238)로부터의 미처리립을 요동 선별 장치(241)로 환원하는 것이다. 풍구(231)의 회전 지지축(231a)의 동력이 벨트 전달 기구(242), 카운터축(243) 및 벨트 전달 기구(244)를 통해 배출 짚 세단 장치(208)의 회전 날(208b)로 전달된다. 1번 스크루 컨베이어(237), 2번 스크루 컨베이어(238), 요동 선별 장치(241) 및 회전 날(208b)은, 급동 변속 장치(232)에 의한 급동(206a)의 변속에 관계 없이, 일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급동 변속 장치(232)의 입력축(232a)과, 반송부(210)의 구동축(210a)에 있어서의 일단측 부분에 걸쳐서 정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5)가 마련되어 있다. 급동 구동부(234)의 역전 출력축(234b)과 구동축(210a)의 타단측 부분에 걸쳐서 역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6)가 마련되어 있다. 역전 출력축(234b)은 베벨 기어 기구(234c)를 통해 입력축(234a)에 연동 연결되어, 입력축(234a)의 회전 방향과는 역의 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정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5)가 팽창측으로 조작되어 전달 온 상태로 전환되고, 역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6)가 이완측으로 조작되어 전달 오프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입력축(232a)의 동력이 정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5)를 통해 구동축(210a)으로 전달되어, 반송부(210)가 반송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 반송부(210)는 급동 변속 장치(232)에 의한 급동(206a)의 변속에 관계 없이, 일정한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정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5)가 헐거움측으로 조작되어 전달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역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6)가 팽창측으로 조작되어 전달 온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출력축(232b)의 동력이 베벨 기어 기구(234c), 역전 출력축(234b) 및 역회전 전달의 벨트 전달 기구(246)를 통해 구동축(210a)으로 전달되어, 반송부(210)가 반송 회전 방향과는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반송부(210)의 구동축(210a)의 동력이 체인 전달 기구(247)를 통해, 예취부(211)의 배후에 위치하는 예취부(211)의 입력축(211a)으로 전달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부호 248은 운전부 공조의 냉매에 작용하는 컴프레서이다.
도 27,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 변속 장치(232)는, 탈곡 장치(206)의 전방이고 또한 반송부(210)의 하방의 개소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201a)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급동 변속 장치(232)는, 탈곡 장치(206) 중 풍구(231)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급동 변속 장치(232)와 기체 프레임(201a) 사이에 다이 부재(249)가 개재 장착되어 있고, 급동 변속 장치(232)가 기체 프레임(201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급동 변속 장치(232)는, 주행 기체(201)의 좌측의 횡측부에 배치되어, 주행 기체(201)의 양 횡측부 중, 엔진(225)이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횡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동 변속 장치(232)는 좌측의 횡측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엔진(225)이 좌측의 횡측부에 마련되는 경우, 우측의 횡측부에 배치하면 된다. 급동 변속 장치(232)의 변속 조작부(232c)는, 급동 변속 장치(232)의 전방부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조작부(232c)는, 상하 요동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지만, 좌우 요동 가능한 변속 조작부, 혹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변속 조작부를 채용해도 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206)를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219)는 5개의 분할 외장 커버(2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분할 외장 커버(250)는 탈곡 장치(206)의 횡측벽부에 마련된 지지부(도시하지 않음)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고, 탈곡 장치(206)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 탈곡 장치(206)를 덮는 폐쇄 상태로 탈착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7,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분할 외장 커버(250) 중, 외장 커버(219)의 전방 하부를 구성하는 분할 외장 커버(250a)의 전단부에, 주행 기체 횡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 횡방향 커버부(251)가 구비되어 있다.
도 29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외장 커버(250a)를 폐쇄 상태로 하면, 급동 변속 장치(232)가 분할 외장 커버(250a)에 의해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이고, 또한 변속 조작부(232c)가 전방 횡방향 커버부(251)에 의해 전방측으로부터 덮인다. 급동 변속 장치(232) 및 변속 조작부(232c)를 분할 외장 커버(250a) 및 전방 횡방향 커버부(251)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급동(206a)의 변속을 행하는 경우, 도 29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외장 커버(250a)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급동 변속 장치(232)의 분할 외장 커버(250a)에 의한 덮개가 해제되고, 또한 변속 조작부(232c)의 전방 횡방향 커버부(251)에 의한 덮개가 해제되고, 급동 변속 장치(232) 및 변속 조작부(232c)가 주행 기체 횡외측을 향하고, 또한 주행 기체 전방을 향해 개방된다. 또한, 반송부(210)가 급동 변속 장치(232)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탈곡 장치(206)가 급동 변속 장치(232)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기체 프레임(201a)이 급동 변속 장치(232)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반송부(210), 탈곡 장치(206) 및 기체 프레임(201a)이 변속 조작의 장애로 되기 어려워, 급동 변속 장치(232)를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변속 조작하기 쉽다.
도 27,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동 변속 장치(232)는, 입력축(232a)이 출력축(232b)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축(232a)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되고, 풍구(231)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 풀리(252)는, 출력축(232b)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되고, 급동 구동부(234)로 출력하는 출력 풀리(25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210)는 구동축(210a)이 급동 변속 장치(23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동 구동부(234)는 급동 변속 장치(232)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로 탈곡 장치(206)의 전방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 27,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232b)과 급동 구동부(234)를 연계하는 전동계로서의 급동용 벨트 전달 기구(233)는, 입력축(232a)과 구동축(210a)과 연계하는 전동계로서의 반송부용 벨트 전달 기구(245)보다도 주행 기체 횡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 전달 기구(233)의 벨트 교환은, 벨트 전달 기구(245)의 벨트 교환보다도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행하기 쉽다.
〔풍구(231)의 풍량 조절〕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231)의 양 횡측의 흡기구(231b)의 외측에 개방도 조절 부재(255)가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개방도 조절 부재(255)에 연동 로드(256)의 양단측의 암부(256a)가 연결되고, 좌우의 개방도 조절 부재(255)는, 연동 로드(256)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연동 로드(256) 중, 탈곡 장치(206)의 횡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점축부(256b)가 브래킷(257)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257)은 탈곡 장치(206)의 전방부에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개방도 조절 부재(255)는 연동 로드(256)를 통해 지지 작용하는 브래킷(257) 및 개방도 조절 부재(255)의 긴 구멍(255a)에 걸림 삽입되어 있는 지지 핀(258)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점축부(256b)의 축심 P를 요동 지지점으로 하고, 또한 긴 구멍(255a)을 가이드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동 로드(256)의 지지점축부(256b)로부터 연장 돌출된 조작 암(259)과, 전동 모터(260)가 링크 기구(261)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전동 모터(260)가 구동되면, 조작 암(259)이 링크 기구(261)를 통한 전동 모터(260)의 조작에 의해 요동 조작된다.
조작 암(259)이 요동 조작되면, 좌우의 암부(256a)가 축심 P를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조작되고, 좌우의 개방도 조절 부재(255)가 암부(256a)에 의해 요동 조작된다. 개방도 조절 부재(255)가 요동 조작되면, 흡기구(231b) 중 개방도 조절 부재(255)에 의해 폐쇄되는 부분의 면적이 변화하고, 흡기구(231b)의 개방도가 변화된다.
전동 모터(260)에 의한 좌우의 개방도 조절 부재(255)의 요동 조작에 의해, 좌우의 흡기구(231b)의 개방도 조절이 행해져 풍구(231)의 흡기량이 조절되고, 풍구(231)에 의해 공급되는 선별풍의 풍량 조절이 행해진다.
〔실시 형태 3의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급동 변속 장치(232)가 분할 외장 커버(250b)에 의해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이는 예를 나타냈지만, 급동 변속 장치(232)가 커버에 의해 덮이지 않고, 개방된 채로 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횡방향 커버부(251)를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전방 횡방향 커버부(251)를 구비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급동 변속 장치(232)의 입력축(232a)으로부터 반송부(210)로 동력 전달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급동 변속 장치(232)를 통하지 않고 반송부(210)로 동력 전달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225)으로부터의 동력이 풍구(231)를 카운터 수단으로 하여 급동 변속 장치(232)로 전달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전용의 카운터축을 마련하여 실시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급동 변속 장치(232)에 있어서, 입력축(232a)이 출력축(232b)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입력축(232a)이 출력축(232b)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 혹은 입력축(232a) 및 출력축(232b)이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축(232b)으로부터 급동 구동부(234)로의 전동계가 입력축(232a)으로부터 반송부(210)로의 전동계보다도 주행 기체 횡외측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반대로 되는 배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7)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다양한 개변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벼, 보리, 대두 외에, 옥수수 등의 각종 작물을 수확 대상으로 하는 각종 수확기에 적용할 수 있다.
100: 콤바인
2: 탈곡 장치
4: 곡립 탱크
4F: 외측벽의 외면
4L: 하측 탱크부
4S: 바닥 스크루
4U: 상측 탱크부
4W: 측벽
4Wf: 전방측벽
4Wi: 내측벽
4Wo: 외측벽
4Wr: 고속벽
5: 로크 기구
6: 지지 기구
7: 문받이 기구
8: 하측 커버
9: 연결 기구
35: 토출부
41: 점검구
42: 점검구의 에지부
43: 도어
43A: 면부
43B: 굴곡부
43C: 맞닿음부
43D: 오목부
44: 핸들
45: 감시 창
45A: 소도어
46: 리브부
46A: 종리브부
46B: 횡리브부
61: 지지 바
62: 지지 스테이
62A: 지지 바 안내부
99: 시일 부재
101: 주행 기체
106: 탈곡 장치
107: 저류부(탈곡물 탱크)
111: 예취부
116a: 종배출 장치
120: 탈곡기체
131: 선별 프레임
135: 채프 시브(제1 채프 시브)
145: 개방도 조절부
149: 조작 케이블
150: 점검구
151: 지주
160: 원격 조작 장치
201: 주행 기체
201a: 기체 프레임
206: 탈곡 장치
210: 반송부
210a: 구동축
211: 예취부
231: 풍구
232: 급동 변속 장치
232a: 입력축
232b: 출력축
232c: 변속 조작부
234: 급동 구동부
250a: 외장 커버(분할 외장 커버)
251: 전방 횡방향 커버부

Claims (30)

  1. 수확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 횡배열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상기 곡립이 토출되는 토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에, 상기 외측벽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 개구된 점검구와, 상기 점검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일방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점검구는, 상기 외측벽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타방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중 전후 방향으로 상기 토출부가 마련된 측과는 반대측 부분의 설정된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점검구는, 상기 외측벽에 있어서의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점검구의 에지부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에지부는, 시일 부재를 통해 맞닿아 있는, 수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점검구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에지부에 대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있는, 수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외측벽의 외면에 대하여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이 마련되어 있는, 수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내측을 향해 오므라지는 내측 오므라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확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확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하부가 오므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류된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로부터 배출하는 바닥 스크루가 배치된 하측 탱크부와, 상기 하측 탱크부의 상측에 마련된 상측 탱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점검구는, 상기 상측 탱크부 중 상기 외측벽을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수확기.
  10. 수확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와 횡배열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어느 측벽에도 외측 개방식의 개폐식의 도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 중, 상기 곡립 탱크에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에, 점검구와, 내측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점검구의 에지부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상기 점검구를 막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에지부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에지부는, 시일 부재를 통해 맞닿아 있는, 수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도어의 주연의 전체 주위에 걸쳐서 마련되어, 상기 에지부의 전체에 걸쳐서 맞닿아 있는, 수확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굴곡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상기 에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측벽의 외면에 대하여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이 마련되어 있는, 수확기.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폐쇄 상태의 상기 도어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과 상기 로크 기구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6.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폐쇄 상태의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17.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의 부분에, 복수의 리브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리브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종리브부와, 수평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횡리브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종리브부는, 상기 오목부를 사이에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횡리브부는,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상하의 에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20. 예취부에 의해 수확된 작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작물을 탈곡 처리하여,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된 탈곡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탈곡물을 저류하는 저류부가, 주행 기체의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배치로 상기 주행 기체에 구비되고,
    상기 탈곡 장치는, 탈곡기체와, 상기 탈곡기체의 내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된 선별 프레임과, 상기 선별 프레임에 지지됨과 함께 개방도 조절 가능한 채프 시브와, 상기 탈곡기체의 후방부에 개구되어, 상기 선별 프레임을 출납하는 점검구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의 개방도 조절부에 조작 케이블을 통해 연동 연결되고, 상기 개방도 조절부를 전동력에 의해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가 상기 저류부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조작 케이블은, 상기 탈곡기체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점검구를 통해 상기 탈곡기체의 후방으로 나와, 상기 원격 조작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수확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는, 탈곡물 탱크이고,
    상기 탈곡물 탱크의 후방측에 상기 주행 기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탈곡물 탱크로부터 탈곡물을 배출하는 종배출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에 기립 설치되어, 상기 종배출 장치를 지지하는 지주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종배출 장치에 대한 상기 탈곡 장치측에, 상기 종배출 장치와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원격 조작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와 상기 종배출 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종배출 장치와 인접하는 상태, 또한, 상기 지주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주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기.
  22. 주행 기체의 전방에 마련되어,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마련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상기 예취부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상기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반송부와,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탈곡 장치의 급동 구동부로 출력하는 기어 변속식의 급동 변속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이고 또한 상기 반송부의 하방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입력축 및 출력축이 상하 배열로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23. 주행 기체의 전방에 마련되어,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마련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상기 예취부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상기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반송부와,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탈곡 장치의 급동 구동부로 출력하는 급동 변속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를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이고 또한 상기 반송부의 하방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여 있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전단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변속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급동 변속 장치를 덮는 폐쇄 상태와,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급동 변속 장치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장 커버의 전단부에, 기체 횡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폐쇄 상태로 되면, 상기 변속 조작부를 전방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개방 상태로 되면, 상기 변속 조작부를 개방하는 전방 횡방향 커버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
  24. 주행 기체의 전방에 마련되어,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마련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상기 예취부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상기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반송부와,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탈곡 장치의 급동 구동부로 출력하는 급동 변속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이고 또한 상기 반송부의 하방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반송부의 구동축으로 동력 전달되는, 수확기.
  25. 주행 기체의 전방에 마련되어,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주행 기체에 마련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로부터 상기 예취부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작물을 상기 탈곡 장치에 공급하는 반송부와,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고, 전달된 동력을 변속하여 상기 탈곡 장치의 급동 구동부로 출력하는 급동 변속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의 전방이고 또한 상기 반송부의 하방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가 갖는 풍구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엔진은, 상기 주행 기체의 양 횡측부 중, 상기 급동 변속 장치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횡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엔진의 동력이 상기 풍구를 통해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입력축으로 전달되는, 수확기.
  26. 제22항, 제24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를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급동 변속 장치는,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 주행 기체 횡외측으로부터 덮여 있는, 수확기.
  27.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동 변속 장치에 있어서, 입력축이 출력축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수확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의 구동축 및 상기 급동 구동부가 상기 급동 변속 장치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출력축의 동력이 상기 급동 구동부로 전달되고, 또한 상기 입력축의 동력이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되고,
    상기 출력축과 상기 급동 구동부를 연계하는 전동계가 상기 입력축과 상기 구동축을 연계하는 전동계보다도 주행 기체 횡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수확기.
  29. 삭제
  30. 삭제
KR1020197033909A 2017-06-26 2018-06-06 수확기 KR102618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4231A JP6899711B2 (ja) 2017-06-26 2017-06-26 コンバイン
JPJP-P-2017-124232 2017-06-26
JPJP-P-2017-124231 2017-06-26
JP2017124232A JP6861107B2 (ja) 2017-06-26 2017-06-26 コンバイン
JP2017125982A JP6837393B2 (ja) 2017-06-28 2017-06-28 収穫機
JPJP-P-2017-125982 2017-06-28
JP2017129621A JP6861111B2 (ja) 2017-06-30 2017-06-30 収穫機
JPJP-P-2017-129621 2017-06-30
PCT/JP2018/021646 WO2019003831A1 (ja) 2017-06-26 2018-06-06 収穫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52A KR20200019852A (ko) 2020-02-25
KR102618161B1 true KR102618161B1 (ko) 2023-12-27

Family

ID=6474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909A KR102618161B1 (ko) 2017-06-26 2018-06-06 수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18161B1 (ko)
CN (1) CN110678064A (ko)
WO (1) WO2019003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7394B2 (en) * 2020-05-29 2023-08-29 Deere & Company Crop flow nozz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873A (ja) * 1999-10-12 2001-04-17 Nippon Fruehauf Co Ltd 跳ね上げ式扉におけるガスダンパ取付部の構造
JP2001161153A (ja) * 1999-12-14 2001-06-19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2005224215A (ja) * 2004-02-16 2005-08-25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6136337A (ja) * 2001-05-23 2006-06-0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2006333715A (ja) * 2005-05-31 2006-12-14 Iseki & Co Ltd 農用作業車の合成樹脂製容器
JP2016199918A (ja) * 2015-04-10 2016-12-01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44Y2 (ja) * 1977-03-15 1984-04-19 川重車体工業株式会社 車輛の出入口扉部の構造
JPS57100847U (ko) * 1980-12-11 1982-06-21
JPS6121030A (ja) * 1984-07-10 1986-01-2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収穫機
JPS6131018A (ja) * 1984-07-25 1986-02-13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脱穀機における揺動選別棚
JPH01265823A (ja) * 1988-04-18 1989-10-2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グレンタンク装置
JPH0350839U (ko) * 1989-09-19 1991-05-17
JP2900008B2 (ja) * 1992-10-20 1999-06-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装置
US5380247A (en) * 1993-06-21 1995-01-10 Agri-Technology Grain transportation apparatus for a combine
JPH0730016U (ja) * 1993-11-12 1995-06-06 三菱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JPH0956250A (ja) 1995-08-22 1997-03-04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10311187A (ja) * 1997-05-13 1998-11-24 Nippon Fruehauf Co Ltd バン型車両荷箱等の扉用シール材
CN1245867C (zh) * 2000-06-14 2006-03-22 井关农机株式会社 收获机
JP2002191226A (ja) * 2000-12-25 2002-07-0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粒貯留タンク
JP3907596B2 (ja) 2003-02-25 2007-04-1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2009165368A (ja) * 2008-01-11 2009-07-30 Kubota Corp 脱穀装置の揺動選別構造
JP2010187575A (ja) * 2009-02-17 2010-09-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5000028A (ja) * 2013-06-14 2015-01-05 株式会社クボタ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105792632B (zh) * 2013-12-03 2019-02-26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2015139437A (ja) * 2014-01-30 2015-08-03 井関農機株式会社 汎用コンバイン
JP2015186452A (ja) * 2014-03-26 2015-10-2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6067221A (ja) 2014-09-26 2016-05-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5612911A (zh) * 2014-10-30 2016-06-01 烟台荣盛压力容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收割机的便携式粮箱
JP6650708B2 (ja) * 2015-09-02 2020-02-1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493125B2 (ja) * 2015-09-29 2019-04-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6549993B2 (ja) * 2016-01-06 2019-07-2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873A (ja) * 1999-10-12 2001-04-17 Nippon Fruehauf Co Ltd 跳ね上げ式扉におけるガスダンパ取付部の構造
JP2001161153A (ja) * 1999-12-14 2001-06-19 Iseki & Co Ltd 脱穀装置
JP2006136337A (ja) * 2001-05-23 2006-06-0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選別装置
JP2005224215A (ja) * 2004-02-16 2005-08-25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6333715A (ja) * 2005-05-31 2006-12-14 Iseki & Co Ltd 農用作業車の合成樹脂製容器
JP2016199918A (ja) * 2015-04-10 2016-12-01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3831A1 (ja) 2019-01-03
CN110678064A (zh) 2020-01-10
KR20200019852A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5366B1 (en) Elevator slats for a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CN113615406B (zh) 联合收割机
KR102618161B1 (ko) 수확기
JP6837393B2 (ja) 収穫機
JP2014198009A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JP4650940B2 (ja) コンバイン
CN113562089B (zh) 履带行驶装置、联合收割机、收割机
JP6899711B2 (ja) コンバイン
CN110169255B (zh) 可移除的螺旋输送器槽
WO2016035544A1 (ja) 全稈投入形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およびコンバイン
JP6827356B2 (ja) コンバイン
JP4968377B2 (ja) コンバイン
JP7423397B2 (ja) 収穫機
JP6861111B2 (ja) 収穫機
CN112437602A (zh) 联合收割机
JP6861107B2 (ja) コンバイン
CN110637614A (zh) 联合收割机
JP6707620B1 (ja) 収穫機
JP6265880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2330975B1 (ko) 곡물 이송 커버 및 곡물 이송 커버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 유닛, 그리고 곡물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콤바인
JP2020178688A (ja) 収穫機
WO2019230256A1 (ja) コンバイン及び収穫機
JP5021388B2 (ja) コンバインの分草デバイダ構造
JP2001161157A (ja) コンバイン
JP3764382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