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594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594B1
KR102600594B1 KR1020220120825A KR20220120825A KR102600594B1 KR 102600594 B1 KR102600594 B1 KR 102600594B1 KR 1020220120825 A KR1020220120825 A KR 1020220120825A KR 20220120825 A KR20220120825 A KR 20220120825A KR 102600594 B1 KR102600594 B1 KR 10260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lectrode
disposed
touch
spac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844A (ko
Inventor
성석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5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들에 배치되는 표시 소자들과,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마주하는 제2 베이스 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광 반사 패턴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등에 널리 이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화면 상에 표시된 소정의 객체 또는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서 키보드, 리모트 콘트롤 장치 등의 통상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으로 직접 화면의 영역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의 구현 방식으로는, 표시 패널과 별도로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 표시 패널 상에 부착하는 구조, 또는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터치 전극 및 배선을 형성하여 하나의 패널로 구현하는 인-셀(In-Cell) 구조 등이 있으며, 특히, 인-셀(In-Cell) 구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적용된 표시 장치는 민감한 터치감과,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슬림화 등의 이유로 각광 받고 있다.
한편, 인-셀(In-Cell) 구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적용된 표시 장치에서, 터치 전극과 표시 소자(일 예로, 캐소드 전극)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기생 캐패시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생 캐패시터는 터치 인식의 오동작을 초래하므로, 터치 전극과 표시 소자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며 기생 캐패시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생 캐패시터를 최소화하며 외부 시인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들에 배치되는 표시 소자들과,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에 마주하는 제2 베이스 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에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 및 상기 제1 베이스 기판 상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적어도 한 부분이 상하로 굴곡진 요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을 향하여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들은 상기 화소 영역에 제공된 제1 전극과,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고 광을 생성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은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도전 라인들, 및 상기 제1 도전 라인들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도전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도전 라인들 및 상기 제2 도전 라인들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화소 정의막으로부터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정의막으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내측으로 파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들은 상기 제1 도전 라인들과 상기 제2 도전 라인들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의 일부에 스페이서를 배치하고 나머지 영역에 상기 스페이서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광 반사 패턴을 배치함으로써, 터치 전극과 표시 소자 사이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전극과 표시 소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터를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되는 광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가 외부로 시인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1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Ⅱ ~ 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손, 스타일러스, 기타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영상 정보를 표시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표시 장치가 한 쌍의 장 변과, 한 쌍의 단 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며, 상기 단 변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D1), 상기 장 변의 연장 방향을 제2 방향(D2)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미도시)들이 제공된 표시부(100) 및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부(100)에서 생성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상기 터치부(200)에서 사용자의 터치 및/또는 터치시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영역(SA), 및 상기 표시 영역(DA)과 상기 감지 영역(S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 영역(SA)은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며, 상기 표시 영역(D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을 가지거나, 더 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임의의 시각 정보, 예를 들어, 텍스트, 비디오, 사진,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등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 임의의 시각 정보는 "영상"으로 표기한다. 상기 표시부(100)의 종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표시 소자(미도시)들이 제공된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비표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복수의 신호 배선들(미도시) 및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들에 연결된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들 각각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들 중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들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통하여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을 생성하는 광 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00)는 상기 표시부(100)의 전면, 즉, 영상이 표시되는 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00)의 내부에 상기 표시부(100)와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부(200)가 상기 표시부(100)의 상면에 제공된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터치부(200)는 감지 영역(SA) 및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 영역(SA)은 상기 표시부(10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감지 영역(S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부(100)의 주변 영역(PA)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00)는 상기 감지 영역(SA)에 제공된 터치 감지부와, 상기 주변 영역(PA)에 제공된 배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는 사용자의 손이나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 장치로의 터치 이벤트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두 개의 감지 전극들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센싱하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감지 영역(SA)에 제공된 터치 전극들(220)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전극들(220)은 상기 터치부(200)에서, 상기 표시부(100)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며 감지 라인들(230)을 통하여 패드부(PD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220)은 상기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부가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터치 전극들(220)의 일부는 제1 방향(D1)으로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센싱 전극 행들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 전극들(220)의 나머지는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 행들과 교차하는 방향(D2)으로 연결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센싱 전극 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부는 상기 터치부(200)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미도시)에 상기 터치 감지부를 연결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외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위치 검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부는 상기 구동 회로로부터의 감지 입력 신호를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220)로 전달하거나,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220)로부터 감지 출력 신호를 상기 구동회로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배선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220)에 연결된 상기 감지 라인들(230)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1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Ⅱ ~ 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들(300)이 제공된 표시부(100)와, 서로 인접하는 표시 소자들(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들(SP)과, 상기 표시부(100) 상에 배치된 터치부(200), 및 상기 터치부(200)에서 상기 표시부(10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22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표시 영역(DA) 및 주변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비표시영역으로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제1 베이스 기판(110)과,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 상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표시 소자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은 투명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은 경성(rigid) 기판 또는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경성 기판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유리 세라믹 기판 및 결정질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에 적용되는 물질은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시, 높은 처리 온도에 대해 저항성(또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사이에는 버퍼층(11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5)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5) 상에는 반도체 패턴(12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120)은 반도체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의 활성층으로 동작한다. 상기 반도체 패턴(110)은 소스 영역(120b), 드레인 영역(120c), 및 상기 소스 영역(120b)과 상기 드레인 영역(120c) 사이에 제공된 채널 영역(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120)은 무기 반도체 또는 유기 반도체로부터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120b) 및 상기 드레인 영역(120c)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패턴(120) 상에는 층간 절연막(1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25)은 상기 반도체 패턴(120)을 커버하며, 상기 반도체 패턴(120) 및 게이트 전극(13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25)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25)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저저항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패턴(120)의 채널 영역(120a)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예컨대, 단일 종 또는 여러 종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알루미늄네오디뮴(AlNd), 티타늄(Ti), 알루미늄(Al), 은(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단일층을 형성하거나 배선 저항을 줄이기 위해 저저항 물질인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의 이중층 또는 다중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3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35)은 상기 층간 절연막(125)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35)은 소스 전극(140a) 및 드레인 전극(140b)과 상기 게이트 전극(13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25)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135)을 관통하는 개구부들은 상기 반도체 패턴(120)의 소스 영역(120b) 및 드레인 영역(120c)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35) 상에는 상기 소스 전극(140a) 및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40a) 및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35)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40a)과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은 단일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두 종 이상의 금속, 또는 두 종 이상 금속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스 전극(140a)과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몰리브덴텅스텐(MoW), 알루미늄네오디뮴(AlNd), 티타늄(Ti), 알루미늄(Al), 은 (Ag)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단일층을 형성하거나 배선 저항을 줄이기 위해 저저항 물질인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의 이중층 또는 다중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40a)의 일단은 데이터라인(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40a)의 타단은 상기 개구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소스 영역(120b)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의 일단은 상기 개구부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영역(120c)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의 타단은 상기 표시 소자들(300) 중 하나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탑 게이트(top gate)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 상에는 보호막(14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45)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막(145)은 투명하고, 유동성이 있어 하부 구조의 굴곡을 완화시켜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유기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물질로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 Cyclo Butene, BCB),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PA)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45)에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등을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140b)의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145) 상에는 상기 표시 소자들(3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들(300)은 상기 드레인 전극(140b)에 접속하는 제1 전극(150)과, 상기 제1 전극(150) 상에 배치된 발광층(160), 및 상기 발광층(160) 상에 배치된 제2 전극(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50) 및 상기 제2 전극(170) 중 하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150)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170)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50) 및 상기 제2 전극(170)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소자들(300)이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50)이 투과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170)이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들(300)이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50)이 반사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170)이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들(300)이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50) 및 상기 제2 전극(170) 모두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소자들(300)이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이며, 상기 제1 전극(150)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각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150)은 상기 보호막(14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50)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미도시), 및 상기 반사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 및 상기 반사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레인 전극(140b)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백금(Pt),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GZO(gallium doped zinc oxide), ZTO(zinc tin oxide), GTO(Gallium tin oxide) 및 FTO(fluorine doped tin oxide)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50) 상에는 화소 정의막(15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15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상기 제1 전극(150)의 에지부와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소 정의막(155)의 개구부는 상기 제1 전극(150)의 상기 터치부(200)를 향하는 표면의 대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에테르(PAE, polyarylether), 헤테로사이클릭 폴리머(heterocyclic polymer), 파릴렌(parylene), 에폭시(epoxy), 벤조시클로부텐(BCB, benzocyclobutene), 실록산계 수지(siloxane based resin) 및 실란계 수지(silane based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 상에는 상기 스페이서들(SP)과 광 반사 패턴들(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들(SP)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으로부터 상기 터치부(2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표시부(100)와 상기 터치부(20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 또는 상기 터치부(200)에 외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스페이서들(SP)은 상기 터치부(200)가 상기 표시 소자들(300)과 맞닿아 상기 표시 소자들(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들(SP)은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표시 소자들(300)의 표시 특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상기 표시 영역(DA)에서 규칙적으로 배치되거나 랜덤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으로부터 상기 터치부(20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페이서들(SP)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들(SP) 및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페이서들(SP) 및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상기 스페이서들(SP)은 순차적으로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독자적인 구조물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순차적으로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독자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상기 스페이서들(SP), 및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하프 톤 마스크를 사용한 노광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SP)의 높이보다 낮게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60)은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전극(150)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60)은 적어도 광 생성층(light generation layer, LGL)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적색(red), 녹색(grean), 청색(blue) 및 백색(white)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층(160) 상에는 상기 제2 전극(17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70)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 및 상기 스페이서들(SP)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70)은 반투과 반사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17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박형 금속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70)은 상기 투명 도전막에 비하여 일함수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170)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60)에서 출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제2 전극(170)을 투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2 전극(17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반사막에서 다시 반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막 및 상기 제2 전극(170) 사이에서, 상기 발광층(160)에서 출사된 광은 공진할 수 있다. 상기 광의 공진에 의하여 상기 표시 소자들(300)의 광 추출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70) 상에는 캡핑 층(17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핑 층(175)은 상기 제2 전극(170)과 상기 터치부(200) 사이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캡핑 층(175)은 상기 제2 전극(170)과 상기 터치부(200)를 절연시킬 수 있는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00)는 상기 표시 소자들(300)을 외부 환경과 격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부(200)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기판(210)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10) 상에 배치된 터치 전극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기판(210)은 실런트를 통하여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과 합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200)는 감지 영역(SA) 및 상기 감지 영역(SA)에 인접하여 배치된 주변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역(SA)은 상기 표시부(100)의 상기 표시 영역(DA)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부(100)의 상기 주변 영역(PA)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220)은 상기 터치부(200)에서, 상기 표시부(100)를 향하는 면 상의 상기 감지 영역(S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2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220a), 및 상기 제1 영역(220a)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2 영역(220a)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2 영역(220b)은 상기 제1 영역(220a)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220a)은 상기 제2 영역(220b)에 둘러싸인 고립된 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들(220)은 금속 메쉬(metal mes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터치 전극들(220)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도전성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전성 라인들은 일 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도전 라인들(221), 및 상기 복수의 제1 도전 라인들(221)에 교차하는 방향(D2)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도전 라인들(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 라인들(221) 및 상기 제2 도전 라인들(223)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화소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소자들(300)은 상기 제1 도전 라인들(221) 및 상기 제2 도전 라인들(223)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20a)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라인들은 상기 제2 영역(220b)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20a)에 배치된 제1 도전 라인들(221)은 상기 제2 영역(220b)에 배치된 제1 도전 라인들(221)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220a)에 배치된 제2 도전 라인들(223)은 상기 제2 영역(220b)에 배치된 제2 도전 라인들(223)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220a)에 배치된 제1 도전 라인들(221) 및 제2 도전 라인들(223)은 전기적으로 고립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들(SP)은, 상기 표시부(100)에서 상기 제1 영역(220a)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제2 영역(220b)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상기 표시부(100)에서 상기 제2 영역(220b)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220a)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들(SP)은 상기 제1 영역(220a)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되고,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상기 제2 영역(220b)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은 상기 노광 공정 등에서 상기 스페이서들(SP)의 높이보다 낮게 패터닝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과 상기 스페이서들(SP)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영역(220b)에서의 상기 표시 소자(300)와 상기 터치 전극(2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영역(220a)에서의 상기 표시 소자(300)와 상기 터치 전극(220) 사이의 거리와 상이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영역(220b)에서의 상기 표시 소자(300)와 상기 터치 전극(2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영역(220a)에서의 상기 표시 소자(300)와 상기 터치 전극(220)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광 반사 패턴(400)과 상기 스페이서(SP)의 높이 차이만큼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영역(220b)에서의 상기 표시 소자(300)와 상기 터치 전극(220) 사이의 거리가 더욱 확보되므로, 상기 표시 소자(300)와 상기 터치 전극(220) 사이에서 발생되는 기생 캐패시터가 감소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페이서들(SP)만이 상기 제1 영역(220a)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이 상기 제2 영역(220b)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영역(220b)에서의 상기 표시 소자(300)와 터치 전극(220) 사이의 거리가 더욱 넓어져서 기생 캐패시터가 발생하는 것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00)로 외부 광이 입사되면, 상기 입사된 광은 상기 표시부(100)의 제1 영역(220a)에 배치된 상기 스페이서들(SP)에 의해 반사를 일으켜 사용자가 상기 제1 영역(220a)에 배치된 상기 스페이서들(SP)을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영역(상기 제1 영역(220a)에 해당함)에 배치된 스페이서들(SP)들이 시인되는 것은 상기 표시부(100)의 특정 영역에만 패턴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를 화질 불량으로 오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들(SP)과 유사한 광 반사를 일으키는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이 상기 제1 영역(220a)을 감싸는 상기 제2 영역(22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이 상기 제2 영역(220b)에 배치되면, 상기 표시부(100)의 전체 영역에서 상기 스페이서들(SP) 및 상기 광 반사 패턴들(400)이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를 상기 표시부(100)에 나타나는 균일한 패턴으로 인식하여 화질 불량으로 오인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들(300')이 제공된 표시부(100')와, 상기 표시부(100') 상에 배치된 터치부(200), 및 상기 터치부(200)에서 상기 표시부(10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도 7의 22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제1 베이스 기판(110)과,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 상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표시 소자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들(300') 각각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접속된 제1 전극(150)과, 상기 제1 전극(150) 상에 배치된 발광층(160), 및 상기 발광층(160) 상에 배치된 제2 전극(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50) 상에는 화소 정의막(15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15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상기 터치 전극(220)의 제1 도전 라인들(221)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광 반사 패턴(400')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반사 패턴(400')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으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의 내측으로 파인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광 반사 패턴(400')의 파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 반사 패턴(400')으로 인해, 상기 터치부(200)의 터치 전극들(220)과 상기 표시부(100)의 제2 전극(17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터치 전극들(220)과 상기 제2 전극(170') 사이의 간격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터치 전극들(220)과 상기 제2 전극(170') 사이에서 형성되는 기생 캐패시터가 줄어들 수 있다.
이하의 표 1은 상술한 실시예 별로, 터치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터치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터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구분 터치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간격 2(㎛) 터치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간격 4(㎛) 터치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간격 6(㎛) 터치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간격 8(㎛)
기생 커패시터(pF) 실험군 0.17 0.157 0.15 0.146
일 실시예 0.07 0.05 0.03 0.03
다른 실시예 0.05 0.03 0.03 0.02
표 1의 실험군은 스페이서들이 표시 장치 전 영역에서 균일하게 배치된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표 1의 일 실시예는 스페이서들이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제1 영역(도 5의 220a))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들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광 반사 패턴들이 상기 특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표 1의 다른 실시예는 스페이서들이 표시 장치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고, 화소 정의막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파인 형상을 갖는 광 반사 패턴들이 상기 특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험군과, 상기 일 실시예, 및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상기 터치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터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하지 않은 실험군에 비해 상기 터치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터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특정영역에만 스페이서들을 배치하고, 상기 특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 광 반사 패턴을 배치할 경우, 상기 광 반사 패턴이 형성된 영역에서 터치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간격이 더욱 확보되어 기생 커패시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300")가 제공된 표시부(100")와, 상기 표시부(100") 상에 배치된 터치부(200), 및 상기 터치부(200)에서 상기 표시부(10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들(도 7의 22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제1 베이스 기판(110)과,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 상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표시 소자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들(300") 각각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접속된 제1 전극(150)과, 상기 제1 전극(150) 상에 배치된 발광층(160), 및 상기 발광층(160) 상에 배치된 제2 전극(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50) 상에는 화소 정의막(155")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15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상기 터치 전극(220)의 제1 도전 라인들(221)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적어도 한 부분이 상하로 굴곡진 요철 패턴의 형상을 갖는 광 반사 패턴(400")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은 상기 터치부(200) 방향을 의미하며, '하'는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광 반사 패턴(400")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으로부터 상기 터치부(200)를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반사 패턴(400")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으로부터 상기 제1 베이스 기판(110)을 향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패턴(400")이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소 정의막(155")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패턴(400")의 돌출부 및 함몰부의 가공은 레이저 가공, 습식 또는 건식 식각, 임프린트(imprint) 공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반사 패턴(400")의 돌출부 및 함몰부는 하프 톤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 반사 패턴(400")은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 반사 패턴(400")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터치부(200)의 터치 전극들(220)과 상기 표시부(100)의 제2 전극(17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전극들(220)과 상기 제2 전극(170") 사이의 간격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터치 전극들(220)과 상기 제2 전극(170") 사이에서 형성되는 기생 캐패시터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부 110: 제1 베이스 기판
115: 버퍼층 120: 반도체 패턴
125: 층간 절연막 130: 게이트 전극
135: 게이트 절연막 140a/140b: 소스 전극/드레인 전극
145: 보호막 150: 제1 전극
155/155'/155": 화소 정의막 160: 발광층
170/170'/170": 제2 전극 175/175'/175": 캡핑 층
200: 터치부 210: 제2 베이스 기판
220: 터치 전극 221: 제1 도전 라인
223: 제2 도전 라인 300/300'/300": 표시 소자
400/400'/400": 광 반사 패턴 SP: 스페이서

Claims (10)

  1. 복수의 화소 영역들을 포함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복수의 표시 소자들;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들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스페이서들;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스페이서들에 인접한 광 반사 패턴들; 및
    표시 소자들 상에 배치한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 각각은,
    복수의 메탈 메쉬 라인들을 포함한 전극; 및
    상기 메탈 메쉬 라인들 사이에 적어도 일부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 각각은 상기 메탈 메쉬 라인들 중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메탈 메쉬 라인의 일부를 컷팅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 중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가상의 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의 선들은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의 중심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복수의 가상의 선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메탈 메쉬 라인들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메탈 메쉬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메탈 메쉬 라인들은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메탈 메쉬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표시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을 둘러싸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광 반사 패턴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메탈 메쉬 라인들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메탈 메쉬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제1 메탈 메쉬 라인들과 상기 제2 메탈 메쉬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패턴들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과 다른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들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에 의해 둘러싸인,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은 상기 메탈 메쉬 라인들에 인접하여 상기 메탈 메쉬 라인들 간에 길이 방향으로 불연속성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120825A 2016-01-20 2022-09-23 표시 장치 KR10260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825A KR102600594B1 (ko) 2016-01-20 2022-09-23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914A KR102448516B1 (ko) 2016-01-20 2016-01-20 표시 장치
KR1020220120825A KR102600594B1 (ko) 2016-01-20 2022-09-23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914A Division KR102448516B1 (ko) 2016-01-20 2016-01-2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844A KR20220133844A (ko) 2022-10-05
KR102600594B1 true KR102600594B1 (ko) 2023-11-10

Family

ID=593145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914A KR102448516B1 (ko) 2016-01-20 2016-01-20 표시 장치
KR1020220120825A KR102600594B1 (ko) 2016-01-20 2022-09-23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914A KR102448516B1 (ko) 2016-01-20 2016-01-2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635209B2 (ko)
KR (2) KR102448516B1 (ko)
CN (2) CN1070379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4713A (en) 2010-10-21 2012-04-25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KR102417986B1 (ko) 2015-12-28 2022-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98258B1 (ko) 2016-01-20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GB201705365D0 (en) 2017-04-03 2017-05-17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GB201705364D0 (en) 2017-04-03 2017-05-17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CN106990871A (zh) * 2017-04-13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387964A (zh) 2017-08-02 2019-0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551140B1 (ko) * 2017-09-20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678588B (zh) * 2017-09-27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屏和触控显示装置
KR102398001B1 (ko) * 2017-12-29 2022-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GB201800574D0 (en) 2018-01-14 2018-02-28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KR102402682B1 (ko) 2018-02-13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538885B (zh) * 2018-03-07 2021-02-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阵列基板及显示装置
GB201803767D0 (en) 2018-03-09 2018-04-25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KR102536116B1 (ko) * 2018-04-12 2023-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GB201807747D0 (en) 2018-05-13 2018-06-27 Optovate Ltd Colour micro-LED display apparatus
KR102664156B1 (ko) * 2018-08-14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N112639697A (zh) * 2018-09-03 2021-04-09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设备
KR20200046221A (ko) * 2018-10-23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KR102075741B1 (ko) * 2018-12-17 202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CN109742111B (zh) * 2019-01-07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176187B (zh) * 2019-06-19 2020-12-2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固态全反射显示器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286803B (zh) * 2019-06-28 2023-05-0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202102883A (zh) 2019-07-02 2021-01-16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定向顯示設備
WO2021041202A1 (en) 2019-08-23 2021-03-04 Reald Spark, Llc Directional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ivacy display
EP4028805A4 (en) 2019-09-11 2023-10-18 RealD Spark, LLC SWITCHABLE LIGHTING DEVICE AND VISION DISPLAY
CN114730044A (zh) 2019-09-11 2022-07-08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定向照明设备和隐私显示器
EP4038668A4 (en) 2019-10-03 2024-01-24 Reald Spark Llc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PASSIVE OPTICAL NANOSTRUCTURES
WO2021067612A1 (en) 2019-10-03 2021-04-08 Reald Spark, Llc Illu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passive optical nanostructures
EP4107580A4 (en) 2020-02-20 2024-03-20 Reald Spark Llc LIGHTING AND DISPLAY DEVICE
KR20210116749A (ko) * 2020-03-1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584600A (zh) * 2020-05-27 2020-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857446B (zh) * 2020-07-13 2021-09-2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掩膜板、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1722761A (zh) * 2020-07-14 2020-09-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CN111897451B (zh) * 2020-07-21 2022-03-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电子设备
CN112310316A (zh) * 2020-10-28 2021-0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2328122A (zh) * 2020-11-26 2021-02-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13140689B (zh) * 2021-04-16 2023-05-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3644219A (zh) * 2021-08-10 2021-11-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7612A1 (en) * 2007-03-29 2008-10-02 Cok Ronald S Device having spacers
US20150002464A1 (en) * 2012-03-06 2015-01-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162387A1 (en) * 2013-12-11 2015-06-11 Shanghai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Oled display apparatus with in cell touch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1955B2 (en) * 2005-07-12 2009-05-12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robustness
KR101292765B1 (ko) * 2006-10-31 201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868542B2 (en) * 2007-02-09 2011-01-11 Canon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apparatus having periodic structure and sandwiched optical waveguide
KR100995066B1 (ko) * 2009-01-07 2010-11-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1788875A (zh) * 2009-01-23 2010-07-28 义强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装置
KR20100093221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CN102103426A (zh) * 2009-12-22 2011-06-2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US8283853B2 (en) * 2010-03-31 2012-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emitting device and article
TWI435292B (zh) * 2010-06-17 2014-04-21 Au Optronics Corp 感測式顯示裝置
KR101749753B1 (ko) 2010-10-21 2017-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CN102736764B (zh) 2011-04-04 2015-08-1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TWI451610B (zh) * 2011-05-17 2014-09-01 Au Optronics Corp 發光裝置之母板結構以及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CN102789826A (zh) * 2011-05-19 2012-11-21 智盛全球股份有限公司 导电薄膜
KR20130021160A (ko) * 2011-08-22 2013-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EP2812779A4 (en) 2012-02-10 2015-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ESH PATTERN FOR TOUCH SENSOR ELECTRODES
KR101310864B1 (ko) * 2012-08-22 2013-09-25 (주)이엔에이치 메탈 나노와이어 투명 도전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968929B1 (ko) * 2012-09-11 2019-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KR20140079268A (ko) 2012-12-18 2014-06-26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도층, 상기 전도층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JP2014174319A (ja) * 2013-03-08 2014-09-2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KR101625176B1 (ko) * 2013-04-22 2016-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용 컬러 필터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3999B1 (ko) * 2013-04-30 2019-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275439B2 (ja) * 2013-09-30 2018-02-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1413A (ko)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407932B1 (ko) 2013-11-04 2014-06-19 주식회사 제이텍 진공을 이용한 터치스크린패널의 재생 방법
KR102207563B1 (ko) 2013-10-29 2021-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93781B1 (ko) * 2013-10-29 2020-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JP6170421B2 (ja) * 2013-12-05 2017-07-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US10474299B2 (en) * 2014-02-24 2019-11-12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JP2016018734A (ja) * 2014-07-10 2016-0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201190A (zh) * 2014-08-26 2014-12-1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发光装置及其制备方法
TWI538197B (zh) * 2014-10-06 2016-06-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CN104503609A (zh) 2014-12-04 2015-04-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触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204462601U (zh) * 2015-03-30 2015-07-0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7612A1 (en) * 2007-03-29 2008-10-02 Cok Ronald S Device having spacers
US20150002464A1 (en) * 2012-03-06 2015-01-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ouch scre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162387A1 (en) * 2013-12-11 2015-06-11 Shanghai Tianma Micro-electronics Co., Ltd. Oled display apparatus with in cell touch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5959A1 (en) 2017-07-20
KR102448516B1 (ko) 2022-09-29
CN107037921A (zh) 2017-08-11
KR20170087557A (ko) 2017-07-31
US10635209B2 (en) 2020-04-28
US20200257394A1 (en) 2020-08-13
KR20220133844A (ko) 2022-10-05
US11353974B2 (en) 2022-06-07
CN107037921B (zh) 2022-03-08
CN114594875A (zh)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594B1 (ko) 표시 장치
KR102454435B1 (ko) 표시 장치
CN106997894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1932126B1 (ko) 터치 타입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63736B1 (ko)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375275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7290B1 (ko) 인셀-터치 타입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193454B1 (ko) 터치패널과 그 제조 방법
KR102554438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23097A (ko) 표시 장치
KR102498258B1 (ko) 표시 장치
KR101785043B1 (ko) 터치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70077908A (ko) 표시 장치
KR10246445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77910A (ko) 자기 정전 용량형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11839107B2 (en) Touch display device
KR20160041541A (ko)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44247B (zh) Display device
CN113126804B (zh) 触摸显示装置
KR102309172B1 (ko)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761626B2 (en)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11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5060B1 (ko) 표시장치
KR102668184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