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438B1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438B1
KR102554438B1 KR1020160094337A KR20160094337A KR102554438B1 KR 102554438 B1 KR102554438 B1 KR 102554438B1 KR 1020160094337 A KR1020160094337 A KR 1020160094337A KR 20160094337 A KR20160094337 A KR 20160094337A KR 102554438 B1 KR102554438 B1 KR 10255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osed
organic
display device
organ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919A (ko
Inventor
이민정
권도현
장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38B1/ko
Priority to US15/622,029 priority patent/US10249692B2/en
Publication of KR2018001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유기막과,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된 무기막과, 상기 무기막 상에 배치된 터치 전극들과, 상기 터치 전극들을 커버하는 제2 유기막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 EPD)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플라스틱(plastic)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연성이 향상된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며, 플렉서블 기판의 재료로서 플라스틱 또는 수지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표시 장치가 휘거나 굽혀질 때 터치 감지부와 박막 봉지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박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과,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과,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유기막과,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된 무기막과, 상기 무기막 상에 배치된 터치 전극들과, 상기 무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 전극들을 커버하는 제2 유기막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표시 소자의 유기 발광층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은 상기 제1 유기막을 노출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 기판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층과,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반도체층에 각각 연결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과,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화소 정의막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유기막은 다중층 또는 다중막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유기막은 상기 무기막과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기판 상에 표시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제1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무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막 상에 터치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무기막 상에 상기 터치 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무기막 상에 상기 터치 전극들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2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컬러 필터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2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이 상기 제1 유기막을 노출하도록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터치 감지부의 유기막은 박막 봉지층의 무기막과 접촉되어, 표시 장치가 휘거나 굽혀지더라도 터치 감지부와 박막 봉지층 사이에서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퍼층, 박막 봉지층, 및 터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 버퍼층, 및 터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장치(10)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00),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감지부(200), 및 표시부와 터치 감지부 사이에 배치된 버퍼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0)는 임의의 시각 정보, 예컨대, 텍스트, 비디오, 사진,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임의의 시각 정보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의 종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감지부(200)는 사용자의 손이나 별도의 입력 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는 감지 전극들을 이용하여 터치 및/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터치 감지부(200)는 정전 용량 방식이나 압저항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은 두 개의 감지 전극들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감지 전극 자신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 방식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버퍼층(300)은 표시부(100) 상에 배치된 제1 유기막(310) 및 제1 유기막(310) 상에 배치된 무기막(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터치 감지부(200)와 제1 유기막(310) 사이에 무기막(320)을 배치하여, 터치 감지부(200)가 버퍼층(300)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00)는 베이스 기판(110),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120), 및 표시 소자(120)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가요성 기판일 수 있으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 및 플라스틱 기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베이스 기판(1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alate(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PEI)), 및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PES)), 폴리에틸렌 에테르프 탈레이트(polyethylene etherphthalate), 폴리 아릴레이트(poly arylate), 및 폴리아클릴레이트(poly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포일이나 박막 유리(thin glass)와 같은 가요성 있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기판(110)은 리지드(rigid) 기판일 수도 있으며, 실리콘 옥사이드(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시 소자(120)는 상기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된 반도체층(SM)과, 상기 반도체층(SM)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GE)과,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에 배치된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반도체층(SM)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되며 비정질 실리콘(a-Si), 다결정 실리콘(p-Si) 및 산화물 반도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SM)은 소스 전극(SE)과 접하는 영역에서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하는 영역에서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되어 형성된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의 영역은 채널 영역일 수 있다.
반도체층(SM) 상에 제1 절연층(12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21)은 상기 반도체층(SM)을 커버하고, 반도체층(SM)과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제1 절연층(121) 상에서 반도체층(SM)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 전극(GE)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은(Ag), 텅스텐(W), 구리(Cu),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백금(Pt), 탄탈륨(Ta), 네오디뮴(Nd), 스칸듐(Sc),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 상에 제2 절연층(1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22)은 게이트 전극(GE)과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을 절연시킨다.
제2 절연층(122) 상에는 상기 소스 전극(SE)과 상기 드레인 전극(DE)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는 탑 게이트(top gate) 구조로 구현된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박막트랜지스터(TFT)는 예컨대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상에는 제3 절연층(1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123)은 일부가 제거되어 드레인 전극(DE)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컨택홀(CH)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23)은 유기 보호층일 수 있다. 유기 보호층은 아크릴(Acryl),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및 BCB(Benzocyclobut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투명하고 유동성을 갖으며, 하부 구조의 굴곡을 완화시키거나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막일 수 있다.
제3 절연층(123) 상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 형태에 따라,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n type),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 및 양면 발광형(dual emission type)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터치 감지부(200) 방향으로 발광하는 전면 발광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형 전극인 제1 전극(125)과, 제1 전극(125)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126), 및 상기 유기 발광층(126) 상에 배치되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형 전극인 제2 전극(127)을 포함한다.
제1 전극(125)은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될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anode)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전극(125)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25) 상에는 화소 정의막(124)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4)은 상기 제1 전극(12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화소 정의막(124)은 유기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4)에 의하여 노출된 제1 전극(125) 상에는 유기 발광층(126)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127)은 투과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소드(cathode)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극(127)은 일함수가 작은 리튬(Li), 칼슘(Ca), LiF/Ca, LiF/A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은(Ag) 등의 금속을 얇게 형성한 반투과막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극(127)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GZO(gallium doped zinc oxide), ZTO(zinc tin oxide), GTO(gallium tin oxide), 및 FTO(fluorine doped tin oxide)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도전막일 수 있다.
제1 전극(125)과 제2 전극(127)은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전극(125)과 제2 전극(127)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26)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유기 발광층(126)은 청색광, 녹색광, 적색광, 또는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3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봉지(encapsulation)하여 외부의 수분 및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보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박막 봉지층(13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버퍼층(300)은 박막 봉지층(13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유기막(310) 및 무기막(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막(310)은 고분자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기막(310) 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유기막(310)은 다중층 또는 다중막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320)은 제1 유기막(3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기막(320)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사이드(SiO2),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xNy), 또는 산화 알루미늄(Al2O3)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는 무기막(3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전극들(210), 제2 유기막(220), 블랙 매트릭스(230), 컬러 필터(240), 접착제(250), 및 윈도우(26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들(210)은 무기막(320) 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으며,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전극들(21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n2O3(indium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및 AZO(aluminum zinc 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기막(220)은 터치 전극들(210)을 커버하여 무기막(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기막(220)은 유기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저온 스퍼터 방식에 의해 성막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기막(220)의 일부는 무기막(320)과 직접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터치 전극들(210)을 커버하는 제2 유기막(220)이 무기막(320)과 접촉되어, 표시 장치(10)가 휘거나 굽혀지더라도 터치 감지부(200)와 버퍼층(300) 사이에서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30)는 제2 유기막(220) 상에서 터치 전극들(210)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컬러 필터(240)는 제2 유기막(220) 상에서 유기 발광층(126)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화소 영역을 투과하는 광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블랙 매트릭스(230)는 컬러 필터(240) 사이를 구분하며, 표시 장치(10)가 영상을 구현함에 있어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30)와 컬러 필터(240) 상에는 접착층(250)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60)는 접착층(25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산소 및 수분 등을 차단할 수 있으며, 외력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터치 감지부(2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감지부(200)의 제2 유기막(220)과, 버퍼층(300)의 무기막(320)은 제1 유기막(310)을 노출시키는 관통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240)는 관통홀(H)을 통해 제1 유기막(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유기 발광층(126)과 컬러 필터(240)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무기막(320)과 제2 유기막(220)을 제거하여, 유기 발광층(126)에서 발광한 빛이 무기막(320) 또는 제2 유기막(220)에서 반사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2 유기막(220)과 무기막(320)에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해 컬러 필터(240)를 배치시킴으로써, 유기 발광층(126)에서 발광한 빛을 효과적으로 집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표시부
200: 터치 감지부
300: 버퍼층

Claims (15)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유기막;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된 무기막;
    상기 무기막 상에 배치된 터치 전극들; 및
    상기 무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 전극들을 커버하는 제2 유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기막은 상기 무기막과 접촉되게 배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표시 소자의 유기 발광층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은 상기 제1 유기막을 노출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반도체층에 각각 연결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막은 다중층 또는 다중막 구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삭제
  13. 베이스 기판 상에 표시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제1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무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기막 상에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기막 상에 상기 터치 전극들을 커버하도록 제2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기막을 상기 무기막과 접촉되게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2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이 상기 제1 유기막을 노출하도록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094337A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5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37A KR102554438B1 (ko)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5/622,029 US10249692B2 (en) 2016-07-25 2017-06-13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337A KR102554438B1 (ko)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19A KR20180011919A (ko) 2018-02-05
KR102554438B1 true KR102554438B1 (ko) 2023-07-13

Family

ID=6098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337A KR102554438B1 (ko)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49692B2 (ko)
KR (1) KR102554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54B1 (ko) 2016-09-30 202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6822B1 (ko) * 2017-10-30 2022-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433274B1 (ko) * 2017-11-28 2022-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90394A (ko) * 2019-01-21 2020-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96357A (ko) 2019-02-01 2020-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034167A (zh) * 2019-03-27 2019-07-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145887A (ko) 2019-06-19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600504A (zh) * 2019-08-16 2019-12-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600516B (zh) * 2019-09-10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模组以及显示装置
KR20210116749A (ko) 2020-03-13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911B1 (ko) 2010-08-10 2017-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3054B1 (ko) * 2012-07-11 2018-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14212B1 (ko) 2012-08-10 2020-05-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101963810B1 (ko) 2012-08-22 2019-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6622B1 (ko) 2013-08-19 2020-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60017396A (ko) * 2014-08-05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19A (ko) 2018-02-05
US10249692B2 (en) 2019-04-02
US20180026079A1 (en)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438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36441B1 (ko)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1048351B2 (en) Display device
CN107037921B (zh) 显示装置
CN107272942B (zh) 触摸屏和具有其的显示装置
US11563062B2 (en) Display device
KR10232283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1932126B1 (ko) 터치 타입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240937B1 (ko) 표시 장치
US1030491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194818B1 (ko) 플렉서블 터치 표시 패널
US2015021254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967290B1 (ko) 인셀-터치 타입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150220191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23097A (ko) 표시 장치
US9425434B2 (en) Display device
CN111009550A (zh) 显示装置
KR20170077908A (ko) 표시 장치
KR10252404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93420A (ko) 표시 장치
KR2021002756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87980B1 (ko)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00104475A (ko) 표시 장치
KR102344330B1 (ko) 표시 장치
KR2022012127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