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140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140B1
KR102551140B1 KR1020170121306A KR20170121306A KR102551140B1 KR 102551140 B1 KR102551140 B1 KR 102551140B1 KR 1020170121306 A KR1020170121306 A KR 1020170121306A KR 20170121306 A KR20170121306 A KR 20170121306A KR 102551140 B1 KR102551140 B1 KR 10255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sensing electrode
light blocking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118A (ko
Inventor
박광우
김정원
이현범
정진환
주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140B1/ko
Priority to US15/955,422 priority patent/US10476038B2/en
Priority to EP18179711.9A priority patent/EP3460643B1/en
Priority to CN201810788033.5A priority patent/CN109524435B/zh
Publication of KR2019003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스위칭 복합층, 상기 스위칭 복합층 위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서로 이격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발광층, 상기 스위칭 복합층, 상기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발광층을 덮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을 덮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차광층, 상기 차광층 위에 위치하며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는 상기 감지 전극과 중첩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의 입력 장치로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펜 등으로 화면을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센서(touch sensor)가 적용되고 있다. 터치 센서의 여러 감지 방식들 가운데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전극에서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가 일어난 위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가요성(flexible) 표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표시 장치를 얇게 만들어야 하며, 이를 위해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에 내장된다. 내장형 터치 센서는 자체 기판을 포함하지 않으며, 표시 장치의 어느 한 구성요소 위에 감지 전극들을 직접 형성한다.
실시예들은 반사 색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야각에 따른 휘도 및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스위칭 복합층, 상기 스위칭 복합층 위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서로 이격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발광층, 상기 스위칭 복합층, 상기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발광층을 덮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을 덮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차광층, 상기 차광층 위에 위치하며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는 상기 감지 전극과 중첩한다.
상기 감지 전극은 서로 연결되어 그물 모양을 가지는 복수개의 도전 세선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는 상기 도전 세선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은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도전 세선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와 평면상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스위칭 복합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차광층 사이의 간격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차광층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상기 차광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개구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은 평면상 서로 이격되는 제1 감지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상기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부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감지 전극을 덮는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상기 복수개의 도전 세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위에 위치하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 위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덮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은 평면상 서로 이격되는 제1 감지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상기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부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층은 상기 차광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상기 차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색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박막 봉지층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색필터는 상기 도전 세선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색필터를 덮는 덮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평면상 서로 이격되는 제1 감지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상기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부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층은 상기 차광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덮개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장형 터치 센서에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고 반사 색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고 반사 색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P1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일부 단면도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P2 부분의 확대 평면도로서, 제1 감지 셀, 제2 감지 셀 및 제2 연결부와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를 분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P2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P3 부분의 확대 평면도로서, 도전 세선 및 화소 정의막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표시 장치의 박막 봉지층의 두께에 따른 차광층의 일측 폭을 조절하여 45도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박막 봉지층의 두께에 따른 차광층의 일측 폭을 조절하여 60도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그러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P1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2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100)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가능하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 바깥의 주변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개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에서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주변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있으나,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의 배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의 배치는 달라질 수 있다.
터치 센서(200)는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는 감지 전극(241, 242),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연결 배선(247, 24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 전극(241, 242)이 표시 영역(DA)에 위치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 전극(241, 242)이 주변 영역(PA)까지 확장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 전극은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로 활용될 수 있다.
감지 전극(241, 242)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감지 전극(241),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과 연장되는 제2 감지 전극(24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배선(247, 248)은 제1 감지 전극(241)과 연결되는 제1 연결 배선(247), 제2 감지 전극(242)과 연결되는 제2 연결 배선(24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감지 전극(241) 및 제2 감지 전극(242)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며, 상호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자기 정전 용량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전극(241)은 대략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 감지 셀(241a),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며 복수개의 제1 감지 셀(241a)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연결부(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241)은 제2 방향(Y)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 Tx 터치 전극(transmitter touch electrode)일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242)은 대략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 감지 셀(242a),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며 복수개의 제2 감지 셀(242a)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 연결부(2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242)은 제1 방향(X)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2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 Rx 터치 전극(receiver touch electrod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감지 셀(241a)과 제2 감지 셀(242a)이 마름모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감지 전극(241)이 Tx 터치 전극이고, 제2 감지 전극(242)이 Rx 터치 전극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감지 전극(241)이 Rx 터치 전극이고, 제2 감지 전극(242)이 Tx 터치 전극일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241) 및 제2 감지 전극(242)은 각각 제1 연결 배선(247)과 제2 연결 배선(248)을 통해 패드부(PAD)에 연결될 수 있다. 패드부(PAD)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1 터치 신호 및 제2 터치 신호를 감지 전극(241, 242)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241)과 제2 감지 전극(242)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감지 전극(241)과 제2 감지 전극(242) 사이에 정전 용량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있을 때, 제1 감지 전극(241)과 제2 감지 전극(242) 사이에 형성된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이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인식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평면 상으로 볼 때, 제1 감지 셀(241a)과 제2 감지 셀(242a)은 서로 이웃하고, 제1 연결부(241b)와 제2 연결부(242b)는 서로 교차하나 제2 절연층(220)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는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241b)는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와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41b)는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층(210) 위에 제1 연결부(241b)가 위치한다. 제1 절연층(210)은 제1 연결부(241b)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241b) 위에 제2 절연층(220)이 위치하고, 제2 절연층(220)은 제1 연결부(241b)와 중첩하는 접촉구(221)를 가질 수 있다. 제2 절연층(220) 위에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감지 셀(241a)은 접촉구(221)를 통해 제1 연결부(24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242)의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연결부(242b)가 반드시 제1 감지 셀(241a) 및 제2 감지 셀(242a)과 동시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질을 이용하여 다른 공정 단계에서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241b)가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과 다른 층에 위치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연결부(242b)가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1 연결부(241b)와 다른 층에 위치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감지 전극(241, 242)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크롬(Cr), 니켈(Ni) 등과 같은 저저항 금속을 포함하거나,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과 같은 도전성 나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전극(241, 242)은 저항이 낮아 RC 지연을 줄일 수 있고, 연성이 우수하므로 휘어짐과 같은 반복적인 변형에도 쉽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 절연층(210)과 제2 절연층(220)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기물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하프늄 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절연층(210)과 제2 절연층(220)의 재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페릴렌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200)는 그물(mesh)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감지 전극(241, 242) 및 연결 배선(247, 248)은 복수개의 도전 세선(conductive fine line)(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감지 전극(241, 242) 및 연결 배선(247, 248)이 복수개의 도전 세선(41)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도 3 및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전 세선(41)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감지 전극(241, 242)은 복수개의 도전 세선(41)으로 이루어져 그물 모양을 가지므로, 표시 패널(100)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지 않으며, 표시 패널(100)의 도전선들과 중첩하는 면적을 줄여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200)는 자체 지지판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 패널(100)을 지지판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터치 센서(200)는 전체 두께가 매우 얇아지므로,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며, 가요성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
도 5는 도 2의 P2 부분의 확대 평면도로서, 제1 감지 셀, 제2 감지 셀 및 제2 연결부와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를 분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P2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P3 부분의 확대 평면도로서, 도전 세선 및 화소 정의막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전극(241) 및 제2 감지 전극(242)은 전체적으로 그물 모양을 이루는 복수개의 도전 세선(4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는 복수개의 도전 세선(4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 셀(241a) 및 제2 연결부(242b)와 중첩하여 그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241b)도 복수개의 도전 세선(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및 8을 참고하여 표시 패널과 터치 센서간의 위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정의막(350)은 화소(PX)와 중첩하는 제1 개구부(351), 인접하는 화소(PX) 사이에 형성된 제2 개구부(352)를 가진다. 따라서, 제1 개구부(351) 및 제2 개구부(352)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350)은 실질적으로 복수개의 사각 고리 형상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화소 정의막(350)은 인접하는 화소(PX) 사이에 제2 개구부(352)를 가지므로, 화소 정의막(350)은 평면상 복수개의 도전 세선(41)과 중첩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8을 참고하여 표시 장치의 층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기판(10), 기판(10) 위에 위치하는 스위칭 복합층(20), 스위칭 복합층(20) 위에 위치하는 발광 부재(25), 발광 부재(25)를 덮는 박막 봉지층(30), 박막 봉지층(30) 위에 위치하는 차광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200)는 차광층(4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이나,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성 기판일 수 있다.
스위칭 복합층(20)은 기판(10) 위에 차례로 위치하는 버퍼층(120), 반도체(135), 게이트 절연막(140), 게이트 전극(125), 층간 절연막(160), 소스 전극(176) 및 드레인 전극(177), 그리고 평탄화막(1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칭 복합층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버퍼층(120)은 다결정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시 기판(10)으로부터 불순물을 차단하여 다결정 규소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버퍼층(120)은 기판(10)을 평탄화시켜 버퍼층(120) 위에 형성되는 반도체(135)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퍼층(120)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버퍼층(120) 위에는 반도체(135)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135)는 다결정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135)는 채널 영역, 채널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며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반도체(135) 위에 게이트 절연막(140)이 위치하고,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게이트 전극(125)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5)은 반도체(135)의 채널 영역과 중첩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5) 위에 층간 절연막(160)이 위치하고, 층간 절연막(160) 위에 소스 전극(176)과 드레인 전극(177)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전극(176)과 드레인 전극(177)은 층간 절연막(160)과 게이트 절연막(140)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반도체(135)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연결된다. 도 7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이며, 평탄화막(180)으로 덮일 수 있다.
발광 부재(25)는 평탄화막(180)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인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서로 분리시키는 화소 정의막(350)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평탄화막(180) 위에 차례로 위치하는 제1 전극(191), 발광층(192), 그리고 제2 전극(19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탄화막(180) 위에 제1 전극(191)이 위치한다. 제1 전극(191)은 화소마다 하나씩 형성되고, 평탄화막(180)에 형성된 비아 홀을 통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177)과 연결된다. 평탄화막(180)과 제1 전극(191) 위에 화소 정의막(350)이 위치한다.
화소 정의막(350)은 제1 개구부(351)를 형성하여 발광층(192)이 위치할 제1 전극(191)의 중앙부를 노출시킨다.
제1 전극(191) 위에 발광층(192)이 위치하고, 발광층(192)과 화소 정의막(350) 위에 제2 전극(193)이 위치한다. 제2 전극(193)은 화소별 구분 없이 표시 패널(100) 전체에 형성된다. 제1 전극(191)과 제2 전극(193) 중 어느 하나는 발광층(192)으로 정공을 주입하고, 다른 하나는 발광층(192)으로 전자를 주입한다.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192)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고, 여기자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빛이 방출된다. 제1 전극(191), 발광층(192) 및 제2 전극(193)은 함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이룬다. 제1 전극(191)은 반사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193)은 투명막 또는 반투명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192)에서 방출된 빛은 제1 전극(191)에서 반사되고, 제2 전극(193)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제2 전극(193)이 반투명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전극(191)에서 반사된 빛의 일부는 제2 전극(193)에서 재반사되며, 공진 구조를 이루어 광 추출 효율을 높인다.
화소 정의막(350)은 제1 개구부(351)와 이격된 제2 개구부(352)를 가진다. 제2 개구부(352)는 평탄화막(180)의 상부면을 노출시킨다. 따라서, 제2 전극(193)은 제2 개구부(352)에서 평탄화막(180)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한다.
제2 전극(193) 위에 박막 봉지층(30)이 형성되어 제2 전극(193)을 덮는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수분과 산소에 매우 취약하므로, 박막 봉지층(30)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밀봉시켜 외부의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차단한다. 박막 봉지층(30)은 무기막과 유기막의 다층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기막은 Al2O3, SiNx, 및 S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박막 봉지층(30)은 두께가 매우 얇아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며, 가요성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
이러한 박막 봉지층(30)은 유기막을 포함하므로 평탄화된다. 따라서, 제2 개구부(352)에 위치하는 제2 전극(193)과 박막 봉지층(30)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d1)은 화소 정의막(35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2 전극(193)과 박막 봉지층(30)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d2)보다 크게 된다.
평탄화된 박막 봉지층(30) 위에 차광층(40)이 위치한다. 차광층(40)은 박막 봉지층(30)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차광층(40)은 화소 정의막(350)의 제1 개구부(351)와 중첩하지 않으며, 화소 정의막(350)의 제2 개구부(352)와 중첩한다. 이러한 차광층(40)은 복수개의 화소(PX)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그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PX)는 하나의 발광 단위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대응한다. 이 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면적은 화소 정의막(350)의 제1 개구부(351)를 통해 발광하는 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PX)의 면적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차광층(40) 사이의 간격(t1)은 제1 개구부(351)의 크기(t2)보다 크게 함으로써,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과 중첩하여 제2 전극(193)의 일부를 가리는 차광층(40)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전극(193)에서 반사되는 외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의 외광 반사 및 반사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광층(40) 위에 터치 센서(20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200)는 차광층(40) 위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210), 제1 절연층(210) 위에 위치하는 감지 전극(241, 242), 감지 전극(241, 242) 위에 위치하는 제3 절연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241, 242)은 제1 감지 전극(241)과 제2 감지 전극(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241)은 제1 감지 셀(241a), 제1 감지 셀(241a)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242)은 제2 감지 셀(242a), 제2 감지 셀(242a)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2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210) 위에 제1 연결부(241b)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연층(210) 및 제1 연결부(241b) 위에 제2 절연층(22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절연층(220) 위에 제1 감지 셀(241a), 제2 감지 셀(242a), 그리고 제2 연결부(242b)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감지 셀(241a), 제1 연결부(241b), 제2 감지 셀(242a) 및 제2 연결부(242b)는 복수개의 도전 세선(4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감지 셀(242a)에서, P3 부분의 VIII-V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는 제2 감지 셀(242a)의 도전 세선(41)만이 도시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정의막(350)은 발광층(192)과 중첩하는 제1 개구부(351), 차광층(40)과 중첩하는 제2 개구부(352)를 가진다. 화소 정의막(350)은 평면상 도전 세선(41)과 중첩하지 않으며, 화소 정의막(350)의 제2 개구부(352)는 도전 세선(41)과 중첩한다. 이 때, 제2 개구부(352)에 위치하는 제2 전극(193)과 차광층(40) 사이의 간격(d1)은 화소 정의막(35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제2 전극(193)과 차광층(40) 사이의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 세선(41)과 중첩하는 위치에 화소 정의막(350)의 제2 개구부(352)를 형성함으로써, 도전 세선(41)과 제2 전극(193)간의 간격(d3)을 최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세선(41)과 제2 전극(193)간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여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전 세선(41)과 제2 전극(193)간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박막 봉지층(30)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시야각(θ)을 확보하기 유리해진다.
이에 대해 아래에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표시 장치의 박막 봉지층의 두께에 따른 차광층의 일측 폭을 조절하여 45도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0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박막 봉지층의 두께에 따른 차광층의 일측 폭을 조절하여 60도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트(P)는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차광층의 일측 폭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45도 시야각 및 60도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박막 봉지층(30)의 두께를 증가시킴에 따라 차광층(40)의 일측 폭(w)도 증가시켜야 한다. 여기서 차광층(40)의 일측 폭(w)은 발광층(192)의 단부와 인접한 차광층(40)의 단부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박막 봉지층(30)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서로 인접한 차광층(40) 사이의 간격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외광 반사가 증가하여 반사 색감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정의막(350)에 제2 개구부(352)를 형성함으로써, 박막 봉지층(3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며, 이 경우 차광층(40)과 발광층(19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시야각 확보가 유리해진다. 따라서, 시야각 확보를 위해 차광층(40)의 일측 폭(w)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외광 반사가 증가되지 않고, 반사 색감이 저하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고 반사 색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야각 및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터치 센서(200) 위에 위치하는 편광판(320), 편광판(320) 위에 위치하는 윈도우(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320)은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윈도우(34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터치 센서(200) 및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절연층(230)과 편광판(320) 사이에는 제1 점착제(310)가 위치하여 제3 절연층(230)과 편광판(320)을 서로 부착한다. 그리고, 편광판(320)과 윈도우(340) 사이에는 제2 점착제(330)가 위치하여 편광판(320)과 윈도우(340)를 서로 부착한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차광층 위에 제1 절연층이 위치하였으나, 차광층을 덮는 덮개층을 차광층과 제1 절연층 사이에 더 위치시키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1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덮개층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평탄화된 박막 봉지층(30) 위에 차광층(40)이 위치한다. 차광층(40)은 박막 봉지층(30)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차광층(40) 및 박막 봉지층(30) 위에 덮개층(50)이 위치한다. 덮개층(50)은 차광층(40) 및 박막 봉지층(30)을 덮어 평탄화한다. 따라서, 덮개층(50)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200)의 단차에 의한 난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덮개층(50) 위에 제1 절연층(210)이 위치하고, 제1 절연층(210) 위에 감지 전극(241, 242)이 위치하며, 감지 전극(241, 242) 위에 제3 절연층(230)이 위치할 수 있다.
덮개층(50) 및 제3 절연층(23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페릴렌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230) 위에 제1 점착제(310), 편광판(320), 제2 점착제(330), 그리고 윈도우(340)가 차례대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 위에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별도의 편광판이 위치하였으나, 색필터와 차광층을 이용하여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색필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평탄화된 박막 봉지층(30) 위에 차광층(40)이 위치한다. 차광층(40)은 박막 봉지층(30)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서로 인접하는 차광층(40) 사이에 색필터(51)가 위치할 수 있다. 색필터(51)는 박막 봉지층(3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색필터(51)는 차광층(40)과 함께 외광 반사를 최소화한다. 즉, 차광층(40)은 외광이 제2 전극(193)에서 반사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광이 색필터(51)에서 반사되는 경우 색필터(51) 자체의 색상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은 반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색 색필터(R) 및 녹색 색필터(G)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색필터(51)는 도전 세선(41)과 중첩하지 않는다. 차광층(40) 및 색필터(51) 위에 덮개층(50)이 위치한다. 덮개층(50)은 차광층(40) 및 색필터(51)를 덮어 평탄화한다. 덮개층(50) 위에 제1 절연층(210)이 위치하고, 제1 절연층(210) 위에 감지 전극(241, 242)이 위치하며, 감지 전극(241, 242) 위에 제3 절연층(230)이 위치할 수 있다. 덮개층(50) 및 제3 절연층(23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절연층(230) 위에 윈도우(340)가 위치할 수 있다. 제3 절연층(230)과 윈도우(340) 사이에 제3 절연층(230)과 윈도우(340)를 서로 부착하기 위한 제1 점착제(3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편광판을 터치 센서(200) 위에 형성하지 않으므로, 표시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기판 20: 표시 부재
30: 박막 봉지층 40: 차광층
41: 도전 세선 50: 덮개층
51: 색필터 100: 표시 패널
200: 터치 센서 210: 제1 절연층
220: 제2 절연층 230: 제3 절연층
241: 제1 감지 전극 242: 제2 감지 전극
350: 화소 정의막 351: 제1 개구부
352: 제2 개구부

Claims (20)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스위칭 복합층,
    상기 스위칭 복합층 위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서로 이격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는 발광층,
    상기 스위칭 복합층, 상기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발광층을 덮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을 덮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차광층, 그리고
    상기 차광층 위에 위치하며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화소 정의막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화소 정의막을 관통하고 상기 감지 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차광층의 폭이 상기 제2 개구부의 폭보다 넓은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감지 전극은 서로 연결되어 그물 모양을 가지는 복수개의 도전 세선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는 상기 도전 세선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차광층은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4. 삭제
  5. 제2항에서,
    상기 도전 세선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와 이격되는 표시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제2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스위칭 복합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차광층 사이의 간격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차광층 사이의 간격보다 큰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화소 정의막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표시 장치.
  9. 제2항에서,
    서로 인접한 상기 차광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개구부의 크기보다 큰 표시 장치.
  10. 제2항에서,
    상기 감지 전극은 평면상 서로 이격되는 제1 감지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상기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부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감지 전극을 덮는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2항에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복수개의 도전 세선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3. 제2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 위에 위치하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 위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2항에서,
    상기 차광층과 상기 터치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덮개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덮개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감지 전극은 평면상 서로 이격되는 제1 감지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상기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부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층은 상기 차광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7. 제2항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차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색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필터는 상기 박막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색필터는 상기 도전 세선과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9. 제17항에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색필터를 덮는 덮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평면상 서로 이격되는 제1 감지 전극 및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상기 감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감지 전극의 일부와 상기 제2 감지 전극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층은 상기 차광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덮개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21306A 2017-09-20 2017-09-20 표시 장치 KR10255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06A KR102551140B1 (ko) 2017-09-20 2017-09-20 표시 장치
US15/955,422 US10476038B2 (en) 2017-09-20 2018-04-17 Display device
EP18179711.9A EP3460643B1 (en) 2017-09-20 2018-06-26 Display device
CN201810788033.5A CN109524435B (zh) 2017-09-20 2018-07-18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06A KR102551140B1 (ko) 2017-09-20 2017-09-2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18A KR20190033118A (ko) 2019-03-29
KR102551140B1 true KR102551140B1 (ko) 2023-07-04

Family

ID=6248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06A KR102551140B1 (ko) 2017-09-20 2017-09-2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76038B2 (ko)
EP (1) EP3460643B1 (ko)
KR (1) KR102551140B1 (ko)
CN (1) CN109524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0331B (zh) * 2019-02-23 2020-05-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145908A (ko) * 2019-06-20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05368A (ko) * 2019-07-03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17145A (ko) 2019-08-07 2021-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3062A (ko) 2019-10-10 2021-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4654A (ko) * 2019-11-05 2021-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52058A (ko) * 2020-06-04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1863899B (zh) * 2020-07-21 2022-07-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20220059805A1 (en) * 2020-08-19 2022-02-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64449A (ko) * 2020-11-11 2022-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86771A (ko) * 2020-12-16 2022-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176B1 (ko) * 2009-11-26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35358B1 (ko) 2010-01-07 2011-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5584B1 (ko) * 2014-10-31 2021-08-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83342B1 (ko) * 2014-12-09 2021-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3329B1 (ko) 2015-04-30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68844B2 (en) 2015-06-2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750428B1 (ko) * 2015-09-24 2017-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467806B1 (ko) * 2015-10-23 2022-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54435B1 (ko) * 2015-12-23 2022-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48516B1 (ko) * 2016-01-20 2022-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4349B1 (ko) * 2016-09-30 2023-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66667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88906A1 (en) 2019-03-21
EP3460643B1 (en) 2023-10-18
CN109524435B (zh) 2023-08-22
KR20190033118A (ko) 2019-03-29
CN109524435A (zh) 2019-03-26
EP3460643A1 (en) 2019-03-27
US10476038B2 (en)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140B1 (ko) 표시 장치
KR102338359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621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67874B1 (ko) 표시 장치
KR10261149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6609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48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63736B1 (ko)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398678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81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4596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350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41352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67290B1 (ko) 인셀-터치 타입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10391277A (zh) 具有触摸传感器的有机发光显示装置
US993997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KR1024463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20237841A1 (zh) Oled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283342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7221058B2 (ja) 表示装置
KR102521628B1 (ko) 표시 장치
KR102549925B1 (ko)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24218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50000779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094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