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132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132B1
KR102168132B1 KR1020130169362A KR20130169362A KR102168132B1 KR 102168132 B1 KR102168132 B1 KR 102168132B1 KR 1020130169362 A KR1020130169362 A KR 1020130169362A KR 20130169362 A KR20130169362 A KR 20130169362A KR 102168132 B1 KR102168132 B1 KR 10216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layer
dispose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265A (ko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132B1/ko
Priority to US14/449,454 priority patent/US9710084B2/en
Publication of KR2015007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 위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박막 표시층, 상기 표시 기판 위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상기 박막 표시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봉지 기판, 상기 봉지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감지층,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전기 광학 활성층(electro-optical active layer)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전하를 띤 입자를 포함한다. 전기장 생성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고, 전기 광학 활성층은 이러한 데이터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최근 이러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이를 보호하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윈도우는 수지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수지층을 균일하게 경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 위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박막 표시층, 상기 표시 기판 위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상기 박막 표시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봉지 기판, 상기 봉지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감지층,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박막 표시층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 감지층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봉지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터치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입력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전달하거나,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출력 신호를 상기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표시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터치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연결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입력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전달하거나,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출력 신호를 상기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평면상 동일한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평면상 서로 반대쪽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박막 표시층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화소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 및 상기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감지층으로부터 감지 출력 신호를 인가 받는 터치 드라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터치 감지층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지층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은 상기 윈도우를 접착시키고, 자외선을 조사받아 경화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를 윈도우가 아닌 표시 기판에 배치하여, 수지층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경로의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지층을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를 위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부품이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은 도 1 및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한 터치 감지층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배치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Ⅹ-Ⅹ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이들 도면에는 가요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벤딩되어 표시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기 전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봉지 기판(300), 터치 감지층(400), 편광층(310), 수지층(320) 및 윈도우(9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 및 봉지 기판(300)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평면 구조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과 표시 영역(peripheral area)(DA)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기판(110) 및 표시 기판(110) 위에 배치되어 있는 박막 표시층(200)을 포함한다. 표시 기판(110)의 모서리는 파손 위험을 줄이기 위해 라운더(round)지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표시 기판(110)의 배면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쿠션층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박막 표시층(200)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는 후술하는 스위칭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s, Qd), 스토리지 캐패시터(Cst) 및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를 포함한다. 이러한 박막 표시층(200)의 표시 영영역(D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은 박막 표시층(200)의 각 화소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를 포함한다.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는 표시 기판(110) 위의 주변 영역(P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은 터치 센서(800)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800)는 표시 기판(110) 위의 주변 영역(PA)에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터치 센서(800)는 표시 영역(DA)에서 화면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센서(800)를 터치하면, 표시 영역(DA)에서 표시되면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바뀔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80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한다.
봉지 기판(300)은 박막 표시층(200)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표시 기판(110)과 밀봉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합착되어 밀봉 기판(encapsulation substrate)으로서 기능을 한다.
터치 감지층(400)은 봉지 기판(300) 위에 배치되어 있고, 터치를 감지한다. 터치 감지층(400)은 실제로 물체가 터치 감지층(400)에 접근하거나, 터치 감지층(400)에 접촉하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이란 사용자의 손과 같은 외부 물체가 터치 감지층(400)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뿐만 아니라 외부 물체가 터치 감지층(400)에 접근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hovering) 경우도 포함한다.
터치 감지층(400) 위에 편광층(310), 수지층(320) 및 윈도우(900)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편광층(310)은 외부광의 반사를 줄여 명암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수지층(320)은 윈도우(900)을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다. 수지층(320)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윈도우(900)는 표시 패널(100) 및 터치 감지층(4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은 표시 단자(610), 입력부(620), 제1 연결부(630) 및 터치 패드부(640)를 포함한다.
표시 단자(610)는 표시 기판(110)에 부착되어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을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에 연결시키고, 입력부(62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고, 제1 연결부(630)는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과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을 연결시킨다.
터치 패드부(640)는 터치 센서(800)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터치 센서(800)의 터치 입력 신호를 터치 센서(800)에 전달하거나, 터치 센서(800)로부터 터치 출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한다.
또한,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에는 각종 회로 소자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은 입력부(6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에 인가한다.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은 봉지 기판(300)에 부착되어,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을 터치 감지층(400)에 연결시키는 터치 단자(710)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은 제1 연결부(630)를 통하여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에 연결되고, 입력부(62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에는 터치 드라이버(550)가 실장되어 있다. 터치 드라이버(550)는 외부로부터 터치 감지층(400)의 감지 입력 신호를 인가 받아 터치 감지층(400)에 전달한다. 또한, 터치 드라이버(550)는 터치 감지층(400)으로부터 감지 출력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이 표시 기판(110)에 부착된 위치와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이 봉지 기판(300)에 부착된 위치가 도면에서 볼 때,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이 표시 기판(110)에 부착된 위치와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이 봉지 기판(300)에 부착된 위치가 도면에서 볼 때, 서로 반대의 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 및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은 표시 기판(110)의 한 모서리 쪽에서 벤딩되어 표시 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900)는 수지층(320)에 의해 편광층(310)에 부착되어 있다. 수지층(320)의 경화를 위해서는 자외선을 조사하는데, 자외선의 조사가 충분히 진행되어야 수지층(320)이 균일하게 경화되고, 이에, 윈도우(900)을 떨어지지 않게 부착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광원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800)가 윈도우(900)의 배면에 배치되어 수지층(32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투입을 막아 수지층(320)이 균일하게 경화되지 않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800)를 표시 기판(110) 위에 주변 영역(PA)에 배치함으로써, 자외선이 조사되는 경로의 영역(A)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수지층(320)이 균일하게 경화되고, 윈도우(900)가 떨어지지 않게 부착된다.
또한, 터치 센서(800)가 표시 기판(110) 위에 배치되어 있고,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의 터치 패드부(6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터치 센서(800)의 실장을 위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이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부품이 간소화 된다.
또한, 터치 센서(800)를 윈도우(900)에 배치하지 않으므로, 윈도우(900)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
그러면,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이들 도면에는 가요성 회로 기판이 벤딩되어 표시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기 전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0)는 표시 패널(100), 봉지 기판(300), 터치 감지층(400), 편광층(310), 수지층(320) 및 윈도우(9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0)는 표시 패널(100)에 부착되어 있는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 및 봉지 기판(300)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평면 구조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과 표시 영역(peripheral area)(DA)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기판(110) 및 표시 기판(110) 위에 배치되어 있는 박막 표시층(200)을 포함한다.
박막 표시층(200) 위에는 봉지 기판(300), 터치 감지층(400), 편광층(310), 수지층(320) 및 윈도우(900)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박막 표시층(200), 봉지 기판(300), 터치 감지층(400), 편광층(310), 수지층(320) 및 윈도우(900)는 도 1에 따른 유기 발광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기판(110) 위에 주변 영역(PA)에는 박막 표시층(200)의 각 화소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 및 터치 센서 패턴(810)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 센서 패턴(810) 위에 터치 센서(800)가 배치되어 있다. 터치 센서 패턴(810)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의 점등 패턴을 포함하고, 터치 센서(800)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을 포함한다.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은 표시 단자(610), 입력부(620) 및 터치 연결부(650)를 포함한다.
표시 단자(610)는 표시 기판(110)에 부착되어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을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에 연결시키고, 입력부(62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는다.
터치 연결부(650)는 터치 센서 패턴(810)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터치 센서(800)의 터치 입력 신호를 터치 센서(800)에 전달하거나, 터치 센서(800)로부터 터치 출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한다.
또한,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에는 각종 회로 소자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은 입력부(6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에 인가한다.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은 터치 단자(710) 및 제2 연결부(720)를 포함한다.
터치 단자(710)는 봉지 기판(300)에 부착되어,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을 터치 감지층(400)에 연결시키고, 제2 연결부(720)는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과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을 연결시킨다. 이러한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은 제2 연결부(720)를 통하여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에 연결되고, 입력부(62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에는 터치 드라이버(550)가 실장되어 있다. 터치 드라이버(550)는 외부로부터 터치 감지층(400)의 감지 입력 신호를 인가 받아 터치 감지층(400)에 전달한다. 또한, 터치 드라이버(550)는 터치 감지층(400)으로부터 감지 출력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이 표시 기판(110)에 부착된 위치와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이 봉지 기판(300)에 부착된 위치가 도면에서 볼 때, 서로 반대쪽 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이 표시 기판(110)에 부착된 위치와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이 봉지 기판(300)에 부착된 위치가 도면에서 볼 때, 동일한 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 및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700)은 표시 기판(110)의 한 모서리 쪽에서 벤딩되어 표시 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된다.
윈도우(900)는 수지층(320)에 의해 편광층(310)에 부착되어 있다. 수지층(320)의 경화를 위해서는 자외선을 조사하는데, 자외선의 조사가 충분히 진행되어야 수지층(320)이 균일하게 경화되고, 이에, 윈도우(900)을 떨어지지 않게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800)를 표시 기판(110) 위에 주변 영역(PA)에 배치함으로써, 자외선이 조사되는 경로의 영역(A)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수지층(320)이 균일하게 경화되고, 윈도우(900)가 떨어지지 않게 부착된다.
또한, 터치 센서(800)가 표시 기판(110) 위에 배치되어 있고,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600)의 터치 연결부(65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터치 센서(800)의 실장을 위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터치 센서(800)를 윈도우(900)에 배치하지 않으므로, 윈도우(900)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감소한다.
그러면,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층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은 도 1 및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한 터치 감지층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선 Ⅶ-Ⅶ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봉지 기판(300) 위에 터치 감지층(400)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 감지층(400)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활성 영역(TA) 내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 활성 영역(TA)은 표시 영역(DA) 전체일 수 있고, 주변 영역(PA)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의 일부만이 터치 활성 영역(TA)일 수도 있다.
터치 감지층(4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감지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형(electro-magnetic type, EM),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접촉 감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터치 감지층(400)은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며, 복수의 터치 전극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터치 활성 영역(TA)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도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어 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서로 동일한 층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설도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각각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감지층(400)의 감도 향상을 위해 돌출부를 가지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행 또는 열에 배열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열 또는 행에 배열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의 적어도 일부는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이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이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 행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제1 연결부(41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 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연결부(42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각 행의 서로 연결된 제1 터치 전극(410)은 제1 터치 배선(411)을 통해 터치 드라이버(550)와 연결되고, 각 열의 서로 연결된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터치 배선(421)을 통해 터치 드라이버(550)와 연결된다. 제1 터치 배선(411)과 제2 터치 배선(42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터치 활성 영역(T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배선(411)과 제2 터치 배선(421)의 끝부분은 봉지 기판(300)의 주변 영역(PA)에서 패드부(450)를 형성한다.
여기서, 패드부(450)는 도면에서 볼 때, 봉지 기판(30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도 3의 유기 발광 장치의 경우는 패드부(450)가 도면에서 볼 때, 봉지 기판(30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서로 이웃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2)는 제1 터치 전극(41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되어 있고, 제1 터치 전극(41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터치 전극(410)과 제1 연결부(412)는 서로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동시에 패터닝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제2 터치 전극(4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2)는 제2 터치 전극(420)과 다른 층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터치 전극(420)과 제1 연결부(412)는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별도로 패터닝될 수 있다. 제2 터치 전극(420)과 제2 연결부(422)는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부(412)와 제2 연결부(422) 사이에는 제1 절연막(430)이 위치하여 제1 연결부(412)와 제2 연결부(422)를 서로 절연시킨다. 제1 절연막(430)은 제1 연결부(412)와 제2 연결부(422)의 교차부마다 배치된 복수의 독립된 섬형의 절연체일 수 있다. 제1 절연막(430)은 제2 연결부(422)가 제2 터치 전극(4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터치 전극(420)의 적어도 일부를 드러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절연막(430)은 그 가장자리가 둥글려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SiOx, SiNx 또는 SiOxNy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 제2 터치 전극(420) 및 제2 연결부(422) 위에는 제2 절연막(44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절연막(440)은 터치 활성 영역(TA)의 전반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며, SiOx, SiNx 또는 SiOxNy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서로 이웃한 제2 터치 전극(4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2)가 제1 터치 전극(41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터치 전극(410)과 일체화되어 있고, 서로 이웃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2)는 제1 터치 전극(410)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은 박막 표시층(200)으로부터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투과도 이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은 나노 와이어(AgNw) 등의 얇은 금속층, 메탈 메쉬(metal mesh),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412) 및 제2 연결부(422)의 재료도 마찬가지다.
제1 터치 배선(411) 및 제2 터치 배선(421)은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이 포함하는 투명한 도전 물질, 또는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접촉 감지 센서로서 기능하는 상호 감지 축전기(mutual sensing capacitor)를 형성한다. 상호 감지 축전기는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 중 하나를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감지 출력 신호로서 나머지 터치 전극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과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 터치 배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터치 센세 제어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터치 전극은 접촉 감지 센서로서 자가 감지 축전기(self sensing capacitance)를 형성할 수 있다. 자가 감지 축전기는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될 수 있고, 손가락 등의 외부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생겨 입력된 감지 입력 신호와 다른 감지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박막 표시층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막 표시층(200)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도 8은 도 1 및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또는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이러한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는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500)를 통하여 인가 받는다.
게이트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는 게이트선(121)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에 전달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d)를 흘린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가 턴 오프(turn 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I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는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또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s, Q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의 연결 관계는 바뀔 수 있다.
도 9는 도 1 및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배치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Ⅹ-Ⅹ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도 1 및 도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기판(110) 위에 박막 표시층(200)이 배치되어 있다.
박막 표시층(200)은 버퍼층(120), 스위칭 및 구동 반도체층(154a, 154b), 게이트 절연막(140), 게이트선(121),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 층간 절연막(160),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 구동 드레인 전극(175b) 및 보호막(180)을 포함한다.
버퍼층(120)은 표시 기판(110)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질화규소(SiNx)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SiNx)와 산화 규소(SiO2)가 적층된 이중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불순물 또는 수분과 같이 불필요한 성분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층(120) 위에는 스위칭 반도체층(154a) 및 구동 반도체층(154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54a) 및 구동 반도체층(154b)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채널 영역(1545a, 1545b)과, 소스 영역(1546a, 1546b) 및 드레인 영역(1547a, 1547b)을 포함한다. 소스 영역(1546a, 1546b) 및 드레인 영역(1547a, 1547b)은 각각 채널 영역(1545a, 1545b)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다.
채널 영역(1545a, 1545b)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폴리 실리콘, 즉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이고, 소스 영역(1546a, 1546b) 및 드레인 영역(1547a, 1547b)은 도전성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 실리콘, 즉 불순물 반도체(impurity semiconductor)이다.
스위칭 반도체층(154a) 및 구동 반도체층(154b)의 채널 영역(1545a, 1545b)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질화 규소 및 산화 규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단층 또는 복수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게이트선(121)이 배치되어 있고, 버퍼층(120) 위에는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어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게이트선(12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54a)으로 돌출한 스위칭 게이트 전극(124a)을 포함한다.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은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54b)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동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24a)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4b)은 각각 채널 영역(1545a, 1545b)과 중첩한다.
게이트선(121),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 및 버퍼층(120) 위에는 층간 절연막(160)이 배치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에는 스위칭 반도체층(154a)의 소스 영역(1546a)과 드레인 영역(1547a)을 각각 노출하는 스위칭 소스 접촉 구멍(61a)와 스위칭 드레인 접촉 구멍(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160)에는 구동 반도체층(154b) 소스 영역(1546b)과 드레인 영역(1547b)을 각각 노출하는 구동 소스 접촉 구멍(61b)와 구동 드레인 접촉 구멍(62b)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이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게이트선(1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고,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54a)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스위칭 소스 전극(173a)을 포함한다.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있으며, 데이터선(171)과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선(172)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54b)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구동 소스 전극(173b) 및 구동 전압선(172)에서 돌출하여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과 중첩하고 있는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과 제2 스토리지 축전판(178)은 층간 절연막(160)을 유전체로 하여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이룬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a)과 마주하고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은 구동 소스 전극(173b)과 마주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a)과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각각 스위칭 소스 접촉 구멍(61a)와 스위칭 드레인 접촉 구멍(62a)을 통하여, 스위칭 반도체층(154a)의 소스 영역(1546a)과 드레인 영역(1547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연장되어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접촉 구멍(63)을 통해서 제1 스토리지 축전판(128)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 소스 전극(173b)과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은 각각 구동 소스 접촉 구멍(61b)와 구동 드레인 접촉 구멍(62b)을 통하여, 구동 반도체층(154b)의 소스 영역(1546b)과 드레인 영역(1547b)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54a), 스위칭 게이트 전극(124a), 스위칭 소스 전극(173a)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를 이루고, 구동 반도체층(154b), 구동 게이트 전극(124b), 구동 소스 전극(173b)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를 이룬다.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5b) 위에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에는 구동 드레인 전극(175b)를 노출하는 제2 접촉 구멍(185)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LD) 및 화소 정의막(350)이 배치되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는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360) 및 공통 전극(270)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은 보호막(180) 위에 배치되어 있고, 층간 절연막(160)에 형성된 제2 접촉 구멍(185)을 통해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구동 드레인 전극(17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화소 전극(19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의 애노드(anode) 전극이 된다.
화소 전극(19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은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부 및 보호막(180) 위에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정의막(350)은 화소 전극(191)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화소 정의막(350)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또는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의 개구부 내의 화소 전극(191) 위에는 유기 발광층(360)이 배치되어 있다. 유기 발광층(360)은 발광층, 정공 수송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 발광층(360)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 전극인 화소 전극(191) 위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60)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360)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에 형성하고, 각 화소별로 각각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백색 유기 발광층과 색필터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의 개별 화소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증착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에서 설명한 백색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예로,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화소 정의막(350) 및 유기 발광층(360) 위에 배치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 칼슘, 플루오르화리튬/칼슘,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 알루미늄, 은, 마그네슘, 또는 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27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의 캐소드(cathode) 전극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10: 표시 기판
200: 박막 표시층 300: 봉지 기판
320: 수지층 400: 터치 감지층
600: 표시용 인쇄 회로 기판 640: 터치 패드부
650: 터치 연결부 700: 터치용 인쇄 회로 기판
800: 터치 센서 810: 터치 센서 패턴
900: 윈도우

Claims (15)

  1.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상기 표시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박막 표시층,
    상기 표시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터치 센서,
    상기 박막 표시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봉지 기판,
    상기 봉지 기판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 영역에서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층,
    상기 터치 감지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윈도우,
    상기 표시 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박막 표시층 및 상기 터치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그리고
    상기 봉지 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터치 감지층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용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터치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 패드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터치 패드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입력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전달하거나,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출력 신호를 상기 외부로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표시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센서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터치 센서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터치 연결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입력 신호를 상기 터치 센서에 전달하거나,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출력 신호를 상기 외부로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평면상 동일한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표시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평면상 서로 반대쪽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박막 표시층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표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화소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용 구동 드라이버 및
    상기 터치용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 감지층으로부터 감지 출력 신호를 인가 받는 터치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터치 감지층 및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지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 윈도우를 접착시키고, 자외선을 조사받아 경화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는 광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30169362A 2013-12-31 2013-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6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62A KR102168132B1 (ko) 2013-12-31 2013-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449,454 US9710084B2 (en) 2013-12-31 2014-08-01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62A KR102168132B1 (ko) 2013-12-31 2013-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265A KR20150079265A (ko) 2015-07-08
KR102168132B1 true KR102168132B1 (ko) 2020-10-21

Family

ID=5348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362A KR102168132B1 (ko) 2013-12-31 2013-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10084B2 (ko)
KR (1) KR102168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3422B2 (en) * 2014-04-14 2018-11-20 Lg Innotek Co., Ltd. Curved touched window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89934B1 (ko) * 2014-11-28 2021-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393025B (zh) * 2014-12-09 2017-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TWI567603B (zh) * 2015-04-16 2017-01-2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裝置
KR102396840B1 (ko) * 2015-06-10 2022-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24830B1 (ko) * 2016-01-26 2021-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56829B1 (ko) 2016-06-29 2023-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기능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22910B (zh) * 2016-08-17 2018-05-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控面板
KR101926527B1 (ko) * 2016-09-30 2018-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2916B1 (ko) * 2016-09-30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0256B1 (ko) * 2016-09-30 2024-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92915B1 (ko) * 2016-09-30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54947A (ko) * 2016-11-14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3245B1 (ko) * 2017-03-15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박막 증착 장치
CN107749245A (zh) * 2017-10-11 2018-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oled显示屏及电子设备
KR102388802B1 (ko) * 2017-10-16 2022-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CN107817633A (zh) * 2017-10-26 2018-03-20 惠科股份有限公司 信号传输装置及显示装置
CN107632743B (zh) * 2017-11-01 2019-02-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触控式oled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502274B1 (ko) * 2018-02-21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62819B1 (ko) * 2018-03-06 2019-03-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가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용 안테나
CN111316443B (zh) 2018-03-31 2022-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显示装置的制造方法和电子设备
KR102037851B1 (ko) * 2019-06-11 2019-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3607B1 (ko) * 2019-10-28 2020-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6852B2 (ja) 2006-11-29 2012-04-1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
KR100904960B1 (ko)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629842B2 (en) * 2008-07-11 2014-0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928597B2 (en) * 2008-07-11 2015-01-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004405B1 (ko) 2008-08-20 2010-12-28 이미지랩(주) 터치 패널
KR101661160B1 (ko) 2010-03-31 201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장치
KR20110125358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19543A (ko) 2010-08-26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셀 tsp 표시장치
KR101761580B1 (ko) * 2010-09-08 2017-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JP5687570B2 (ja) * 2011-06-10 2015-03-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30003742A (ko) 2011-07-01 201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US8836654B2 (en) 2011-10-04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window position and size control in (multi-fold) multi-display devices
JP2014122947A (ja) * 2012-12-20 2014-07-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及びカバー部材
JP5946216B2 (ja) * 2012-12-21 2016-07-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そ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5960A1 (en) 2015-07-02
US9710084B2 (en) 2017-07-18
KR20150079265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1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350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7584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including touch sensor
KR1022967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81109B1 (ko) 표시 장치
KR102261761B1 (ko) 표시 장치
KR1023621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9919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1399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9619091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92035B1 (ko)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81391B1 (ko) 표시 장치
KR102289934B1 (ko)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33452B1 (ko) 표시 장치
KR102189313B1 (ko) 표시 장치
KR2015005354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2741B1 (ko) 표시 장치
US993997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US20160202812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KR20200141017A (ko)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7854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230232676A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