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109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109B1
KR102281109B1 KR1020130169360A KR20130169360A KR102281109B1 KR 102281109 B1 KR102281109 B1 KR 102281109B1 KR 1020130169360 A KR1020130169360 A KR 1020130169360A KR 20130169360 A KR20130169360 A KR 20130169360A KR 102281109 B1 KR102281109 B1 KR 102281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ignal lines
group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332A (ko
Inventor
박현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109B1/ko
Priority to US14/302,288 priority patent/US9465495B2/en
Publication of KR2015008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을 밀봉되게 결합시키는 밀봉체; 상기 하부 기판 위에 위치하며, 전기 광학 활성층을 포함하는 표시층; 상기 상부 기판 위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 및 터치 전극에 터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 신호선;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밀봉체와 중첩하지 않게 위치하는 제1 그룹의 신호선 및 상기 밀봉체와 중첩하게 위치하는 제2 그룹의 신호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특히,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등의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FPD)는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전기 광학 활성층(electro-optical active layer)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패널은 각각 유기 발광층, 액정층 및 전하를 띤 입자를 포함한다. 전기장 생성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고, 전기 광학 활성층은 이러한 데이터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최근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터치하면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터치되었는지 여부 및 그 터치 위치 등의 터치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대형화에 따라 터치 센서의 채널 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터치 전극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 신호선의 수도 증가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터치 신호선은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인 주변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계되는데, 최근 베젤 폭을 줄이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서 주변 영역의 폭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지만, 터치 신호선이 위치하는 공간이므로 주변 영역의 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주변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터치 신호선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을 밀봉되게 결합시키는 밀봉체; 상기 하부 기판 위에 위치하며, 전기 광학 활성층을 포함하는 표시층; 상기 상부 기판 위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 및 터치 전극에 터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 신호선;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밀봉체와 중첩하지 않게 위치하는 제1 그룹의 신호선 및 상기 밀봉체와 중첩하게 위치하는 제2 그룹의 신호선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은 약 5 μm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은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신호선 간의 간격이 100 μ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과 접촉하는 보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선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선은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이와 접촉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선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선은 약 4.5 μm 내지 약 195 μ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선은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신호선의 간격이 약 4 μm 내지 약 5 μm일 수 있다.
상기 밀봉체와 상기 하부 기판 사이에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 중 하나는 감지 입력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감지 출력 전극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제1 터치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신호선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터치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광학 활성층은 유기 발광층이고, 상기 상부 기판은 봉지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에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기일하게 합착시키는 밀봉체와 중첩하는 위치에 터치 신호선을 형성할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고 베젤 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배치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D-D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표시 패널(10) 연결된 표시 제어부(display controller)(20) 및 터치 제어부(touch controller)(3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를 감지한다. 표시 패널(10)은 평면 구조로 볼 때 실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 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주변 영역(peripheral area, PA)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활성 영역(touch active area)(TA)일 수 있다. 터치 활성 영역(TA)은 실제로 물체가 터치 표시 패널(10)에 접근하거나 표시 패널(10)에 접촉하면 터치로서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여기서 접촉(contact)이란 사용자의 손과 같은 외부 물체가 표시 패널(10)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뿐만 아니라 외부 물체가 표시 패널(10)에 접근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hovering) 경우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과 터치 활성 영역(T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일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주변 영역(PA)의 일부에도 터치 활성 영역(TA)이 존재할 수 있고, 표시 영역(DA)의 일부에만 터치 활성 영역(TA)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서로 마주보는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을 포함하고, 하부 기판(100) 위에 형성된 표시층(200)과 상부 기판(300) 위에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터치 전극층(400)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은 주변 영역(PA)에서 밀봉체(sealant)(50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유리 기판 같은 투명 절연체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100) 위에 위치하는, 전기 광학 활성층을 포함하는 표시층(200)은 복수의 화소 및 화소와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표시 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주로 표시 영역(DA)에 위치한다.
표시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도시되지 않음)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은 서로 교차하며 뻗을 수 있다. 표시 신호선은 주변 영역(PA)으로 연장되어 패드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대략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화소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연결된 스위칭 소자(도시되지 않음) 및 이에 연결된 화소 전극(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표시 패널(10)에 집적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일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선이 전달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되어 데이터선이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화소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 화소는 화소 전극과 이에 대향하는 공통 전극(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는 발광층이 위치하여 발광 소자(LD)를 형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은 공통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들 기본색의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삼원색 또는 사원색을 들 수 있다. 각 화소는 각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며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발광 소자가 포함하는 발광층이 유색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유리 같은 투명 절연체로 이루어진 상부 기판(3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전극층(400)은 복수의 터치 전극(410, 42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층(400)은 주로 터치 활성 영역(TA)에 위치한다.
터치 전극층(400)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type),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이 서로 마주하는 주변 영역(PA)에는 밀봉체(500)가 위치한다. 밀봉체(500)는 표시 영역(DA)의 둘러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체(500)는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을 결합시키며, 수분, 산소 등의 불순물이 외부에서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하부 기판(100)과 밀봉체(500) 사이에는 밀봉체(500)의 형성 시 조사되는 레이저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사층(도시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고, 반사층이 차지하는 평면 영역은 밀봉체(500)가 차지하는 평면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
밀봉체(500)는 예컨대 하부 기판(100) 또는 하부 기판(100)에 적층된 절연층 위에 밀봉 물질(sealing material)을 스크린 프린트(screen print) 같은 인쇄법으로 도포하고, 상부 기판(300)을 위치시킨 후, 밀봉 물질이 도포된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포된 밀봉 물질은 고체 상태의 프릿(frit)일 수 있다. 밀봉 물질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밀봉 물질이 용융되어 접착제처럼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에 접착되고,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에 접착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을 합착시키는 밀봉체(50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기판(100)과 상부 기판(300)을 밀봉되게 결합시키는 밀봉체(5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기판(300)이 하부 기판(100)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인쇄된 밀봉 물질에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상부 기판(300)은 그 위에 터치 전극층(400)과 터치 신호선(411, 412, 421)이 형성된 후에 하부 기판(100)에 결합된다. 따라서 밀봉체(500)와 중첩하는 부위에 비투광성의 터치 신호선 등이 형성되어 있으면, 밀봉체(500)를 형성하기 위한 밀봉 물질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다.
한편, 밀봉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레이저가 조사되면 예컨대 겔(gel) 상태의 밀봉 물질이 경화되어 밀봉체(5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상부 기판(300)은 밀봉 기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부 기판(300)은 후술할 발광 소자(LD)를 밀봉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기판(300)의 주변 영역에는 터치 전극층(400)의 터치 전극(410, 420)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된 터치 신호선(411, 412, 421)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들 터치 신호선의 일부(421b)는 밀봉체(500)와 중첩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체(500)와 중첩하게 위치하는 제2 신호선(421b)은 그 선폭에 제한이 있는데, 예컨대 약 5 μm 이하일 수 있다. 반면, 제1 그룹의 신호선(421a)은 보다 넓은 범위의 선폭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약 4.5 μm 내지 약 195 μm 의 범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밀봉체(500)와 중첩하는 제2 신호선(421b)의 위쪽에서 레이저를 조사할 경우 레이저의 일부가 제2 신호선(421b)의 폭만큼 가려지지만, 제2 신호선(421b)의 폭이 예컨대 약 5 μm 이하로 좁으면 회절 현상에 의해 제2 신호선(421b)의 아래에도 레이저가 도달하여, (예컨대, 밀봉 물질을 용융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밀봉 물질에 인가될 수 있다.
터치 전극층(400) 위에는 외부광의 반사를 줄일 수 있는 반사 방지층(610)이 위치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610)은 선편광판, 위상차판 등을 포함하는 편광층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610) 위에는 하부 기판(100), 표시층(200), 상부 기판(300), 터치 전극층(400) 등을 보호하기 위해, 예컨대 유리로 이루어진 윈도우(700)가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700)의 가장 자리에는 상부 기판(300)과 마주하는 면에 차광층(710)이 위치할 수 있고, 차광층(710)은 표시 패널(10)의 주변 영역(PA)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700)는 레진 같은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층(620)을 통해 반사 방지층(6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층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터치 센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기판(300) 위에 터치 전극층(400)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 전극층(400)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활성 영역(TA) 내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 활성 영역(TA)은 표시 영역(DA) 전체일 수 있고, 주변 영역(PA)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의 일부만이 터치 활성 영역(TA)일 수도 있다.
터치 전극층(400)은 다양한 방식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type),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터치 전극층(400)은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며, 복수의 터치 전극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서로 물리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터치 활성 영역(TA)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도 열 방향 및 행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지만,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 각각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전극층(400)의 감도 향상을 위해 돌출부를 가지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열 또는 행에 배열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행 또는 열에 배열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의 적어도 일부는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 또는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이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동일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이 터치 활성 영역(TA)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각 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은 제1 연결부(41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각 행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연결부(423a, 423b)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서로 이웃한 제1 터치 전극(41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3)는 제1 터치 전극(410)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제1 터치 전극(41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 전극(410)과 제1 연결부(413)는 서로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동시에 패터닝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2 터치 전극(4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3a, 423b)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하부 연결부(423a)와 상부 연결부(423b)를 포함한다. 하부 연결부(423a)는 제2 터치 전극(420)은 물론 제1 터치 전극(410)과 중첩하지만, 제1 터치 전극(410)는 제1 절연층(431)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상부 연결부(423b)는 제1 터치 전극(410) 내부에 섬과 같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1 터치 전극(410)과 분리되어 있다. 상부 연결부(423b)는 제2 터치 전극(42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패터닝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423a)는 후술하는 터치 신호선(411, 412, 421)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동시에 패터닝될 수 있다.
두 개의 하부 연결부(423a)는 하나의 상부 연결부(423b)와 짝을 이루어 서로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4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각 하부 연결부(423a)의 일단은 서로 이웃하는 제2 터치 전극(420) 각각에 연결되어 있고, 각 하부 연결부(423a)의 타단은 상부 연결부(423b)에 연결되어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제2 터치 전극(420) 중 하나는 제1 절연층(431)을 사이에 두고 접촉 구멍을 통해 한 하부 연결부(423a)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부 연결부(423b)는 제1 절연층(431)을 사이에 두고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하부 연결부(423a)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서로 이웃하는 제2 터치 전극(420) 중 다른 하나는 제1 절연층(431)을 사이에 두고 접촉 구멍을 통해 다른 한 하부 연결부(423a)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 연결부(423b)는 제1 절연층(431)을 사이에 두고 접촉 구멍을 통해 상기 다른 한 하부 연결부(423a)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제2 터치 전극(420)은 한 하부 연결부(423a), 상부 연결부(423b) 및 다른 한 하부 연결부(423a)를 통해 다른 제2 터치 전극(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연결부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 중 하부 연결부(423a)는 상부 기판(300) 위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제1 절연층(431)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431) 위에는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 그리고 제2 연결부 중 상부 연결부(423b)가 위치하는데, 이들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함께 패터닝될 수 있다. 제2 터치 전극(420)과 상부 연결부(423b)는 접촉 구멍을 통해 하부 연결부(423a)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터치 전극(410), 제2 터치 전극(420) 및 상부 연결부(423b) 위에는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2 절연층(4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층(431, 432)은 SiOx, SiNx 및/또는 SiOxNy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각 열의 서로 연결된 제1 터치 전극(410)은 제1 터치 신호선(411, 412)을 통해 터치 제어부(30)와 연결되고, 각 행의 서로 연결된 제2 터치 전극(420)은 제2 터치 신호선(421)을 통해 터치 제어부(30)와 연결된다. 제1 터치 신호선(411, 412)은 같은 열의 서로 연결된 제1 터치 전극들(4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 신호선(411)과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 신호선(412)를 포함하는 이중 라우팅(double routing) 구조일 수 있다. 제1 터치 신호선(411, 412) 및 제2 터치 신호선(4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판(300)의 주변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터치 신호선(411, 412)과 제2 터치 신호선(421)의 끝부분은 상부 기판(300)의 주변 영역(PA)에서 패드부(450)를 형성한다.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은 표시층(200)으로부터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투과도 이상을 가진다. 예컨대,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은 나노 와이어(AgNw) 등의 얇은 금속층, 메탈 메쉬(metal mesh),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413) 및 상부 연결부(423b)의 재료도 마찬가지다.
제1 터치 신호선(411, 412) 및 제2 터치 신호선(421)은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부의 하부 연결부(423a)도 마찬가지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을 형성하는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은 터치 감지 센서로서 기능하는 상호 감지 축전기(mutual sensing capacitor)를 형성한다. 상호 감지 축전기는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 중 하나를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감지 입력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감지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지 출력 전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감지 입력 신호와 감지 출력 신호를 묶어 터치 신호로 언급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의 제1 터치 전극(410)이 서로 분리되고 복수의 제2 터치 전극(420)도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인 터치 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터치 제어부(3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터치 전극은 터치 감지 센서로서 자가 감지 축전기를 형성할 수 있다. 자가 감지 축전기는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될 수 있고, 손가락 등의 외부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생겨 입력된 감지 입력 신호와 다른 감지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선의 배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선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며 상부 기판(300) 위치하는 제2 터치 신호선(421)의 일부의 평면 배치의 한 예가 도시된다. 표시 패널의 우측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제2 터치 신호선(421)의 배치를 예로 들어 설명할지라도, 이러한 터치 신호선의 배치는 좌측, 상측 및 하측 주변 영역에서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 터치 신호선(421)을 단순히 터치 신호선으로 언급하겠다. 또한, 도시된 터치 신호선의 개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전체 터치 신호선의 개수, 주변 영역(PA)에서 특정 위치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주변 영역(PA)에는 표시 패널의 다른 구성 요소가 위치할 수 있지만, 터치 신호선(421)과 밀봉체(500)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들을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신호선(421)은 제1 그룹의 신호선(421a)과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을 포함한다. 제1 그룹의 신호선(421a)과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은 모두 주변 영역(PA)에 위치하지만,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은 밀봉체(500)와 중첩하게 위치하고 제1 그룹의 신호선(421a)은 표시 영역(DA)과 밀봉체(5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들 터치 신호선(421a, 421b)은 상부 기판(300) 위에 위치하고 밀봉체(500)는 상부 기판(300) 아래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8 참고). 본 명세서에서, 제1 그룹의 신호선 및 제2 그룹의 신호선에서 그룹은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단지 하나의 신호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을 측면에서 볼 때 표시 영역(DA)이 가려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그룹의 신호선(421a) 중 표시 영역(DA)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신호선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예컨대 약 200 μm 이상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그룹의 신호선(421a) 중 밀봉체(500)의 형성 시 레이저 조사를 위해 밀봉체(500)와 예컨대 약 100 μm 이상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그룹의 신호선(421a)은 그 폭이 예컨대 약 4.5 μm 내지 약 195 μm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신호선이라도 위치에 따라서 폭이 다를 수 있다. 신호선의 두께는 저항(resistance)을 줄이기 위해 두꺼운 것이 유리할지도 신호선이 배치되도록 의도된 영역의 크기와 신호선의 개수에 따라 제약이 따른다. 제1 그룹의 신호선(421a)이 복수 개인 경우 이웃하는 신호선 간의 간격은 약 4 μm 내지 약 5 μm일 수 있다.
상부 기판(300)을 사이에 두고 밀봉체(500)와 중첩하게 위치하는 제2 그룹의 신호선(421b)는 광범위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제1 그룹의 신호선(421a)과 달리 그 폭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은 레이저가 조사될 때 신호선(421b)이 밀봉체(500)를 가리더라도, 회절 현상에 의해 신호선(421b) 아래에도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그러한 폭은 예컨대 약 6 μm일 수 있으며, 레이저의 파장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폭이 좁을수록 회절이 더 많이 일어나므로, 사용될 수 있는 레이저의 파장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은 약 5 μm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선폭의 상한이 약 6 μm일 수도 있다.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이 복수 개인 경우 이웃하는 신호선 간의 간격은 비제한적이 예로서 약 100 μm 이상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2 그룹의 신호선(421b) 위에 이와 접촉하는,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보조선(421c)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은 선폭에 제한이 있으므로, 요구되는 것보다 높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저항이 높을 경우 터치 신호의 송수신 특성이 나빠지므로 터치 센서의 감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그룹의 신호선(421b) 위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431)에 접촉 구멍을 형성하고, 제2 그룹의 신호선(421b)과 접촉하는 도전체인 보조선(421c)을 형성하면 해당 신호선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보조선(421c)은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이와 접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선(421c)은 투광성이므로 레이저 조사에 의한 밀봉체(500)의 형성에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보조선(421c)은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지만, 신호선 간의 쇼트가 일어나지 않도록 이웃하는 투명 보조선(421c)과는 이격되게 형성된다.
보조선(421c)은 ITO, IZO, ZnO,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선(421c)은 추가 공정이나 추가 마스크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선(421c)은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의 형성 시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종래에 사용되는 마스크의 단지 패턴만을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그룹의 신호선(421a), 제2 그룹의 신호선(421b)은 물론 보조선(421c)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배치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D-D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층(200)은 복수의 스위칭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s, Qd), 복수의 유지 축전기(Cst) 및 복수의 발광 소자(LD)를 포함한다. 즉, 표시층(200)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VDD)을 전달하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는 표시 제어부(20)를 통하여 인가받을 수 있다.
각 화소(PX)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 유지 축전기(Cst) 및 발광 소자(LD)를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는 게이트선(121)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에 전달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발광 소자(L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d)를 흘린다.
유지 축전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유지 축전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가 턴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는 발광 소자(L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발광 소자(L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I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또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스위칭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s, Qd), 유지 축전기(Cst) 및 발광 소자(LD)의 연결 관계는 바뀔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100), 하부 기판(100) 위에 위치하는 표시층(200) 및 발광 소자(LD)를 포함한다.
하부 기판(10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기판(10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표시층(200)은 버퍼층(110), 스위칭 및 구동 반도체층(154a, 154b), 게이트 절연층(140), 게이트선(121), 제1 축전판(128), 층간 절연층(160),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 구동 드레인 전극(175b) 및 보호막(180)을 포함한다.
버퍼층(110)은 하부 기판(10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산질화규소(SiOxNy)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0)은 반도체의 특성을 열화시키는 불순물 또는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버퍼층(110) 위에는 스위칭 반도체층(154a) 및 구동 반도체층(154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54a) 및 구동 반도체층(154b)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채널 영역(1545a, 1545b), 소스 영역(1546a, 1546b) 및 드레인 영역(1547a, 1547b)을 포함한다. 소스 영역(1546a, 1546b) 및 드레인 영역(1547a, 1547b)은 각각 채널 영역(1545a, 1545b)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다.
채널 영역(1545a, 1545b)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다결정 실리콘 즉,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이고, 소스 영역(1546a, 1546b) 및 드레인 영역(1547a, 1547b)은 도전성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 즉, 불순물 반도체(impurity semiconductor)이다.
스위칭 반도체층(154a) 및 구동 반도체층(154b)의 채널 영역(1545a, 1545b) 위에는 게이트 절연층(140)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층(140)은 질화규소 및 산화규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40) 위에는 게이트선(121)이 배치되어 있고, 버퍼층(110) 위에는 제1 축전판(128)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뻗어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게이트선(12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54a)으로 돌출한 스위칭 게이트 전극(124a)을 포함한다. 제1 축전판(128)은 제1 축전판(128)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54b)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동 게이트 전극(124b)을 포함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24a)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4b)은 각각 채널 영역(1545a, 1545b)과 중첩한다.
게이트선(121), 제1 축전판(128) 및 버퍼층(110) 위에는 층간 절연층(160)이 배치되어 있다. 층간 절연층(160)에는 스위칭 반도체층(154a)의 소스 영역(1546a)과 드레인 영역(1547a)을 각각 노출하는 스위칭 소스 접촉 구멍(61a)와 스위칭 드레인 접촉 구멍(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층간 절연층(160)에는 구동 반도체층(154b) 소스 영역(1546b)과 드레인 영역(1547b)을 각각 노출하는 구동 소스 접촉 구멍(61b)와 구동 드레인 접촉 구멍(62b)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층(160) 위에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이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게이트선(1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고,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스위칭 반도체층(154a)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스위칭 소스 전극(173a)을 포함한다.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을 전달하며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있으며, 데이터선(171)과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선(172)으로부터 구동 반도체층(154b)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구동 소스 전극(173b) 및 구동 전압선(172)에서 돌출하여 제1 축전판(128)과 중첩하고 있는 제2 축전판(178)을 포함한다. 제1 축전판(128)과 제2 축전판(178)은 층간 절연층(160)을 유전체로 하여 유지 축전기(Cst)를 이룬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a)과 마주하고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은 구동 소스 전극(173b)과 마주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a)과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각각 스위칭 소스 접촉 구멍(61a)와 스위칭 드레인 접촉 구멍(62a)을 통하여, 스위칭 반도체층(154a)의 소스 영역(1546a)과 드레인 영역(1547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연장되어 층간 절연층(16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접촉 구멍(63)을 통해서 제1 축전판(128) 및 구동 게이트 전극(12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동 소스 전극(173b)과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은 각각 구동 소스 접촉 구멍(61b)와 구동 드레인 접촉 구멍(62b)을 통하여, 구동 반도체층(154b)의 소스 영역(1546b)과 드레인 영역(1547b)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반도체층(154a), 스위칭 게이트 전극(124a), 스위칭 소스 전극(173a)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를 이루고, 구동 반도체층(154b), 구동 게이트 전극(124b), 구동 소스 전극(173b)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5b)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를 이룬다.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스위칭 드레인 전극(175a)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5b) 위에는 보호막(180)이 위치한다. 보호막(180)에는 구동 드레인 전극(175b)를 노출하는 제2 접촉 구멍(185)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발광 소자(LD) 및 화소 정의막(250)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LD)는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260) 및 공통 전극(270)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은 보호막(180) 위에 배치되어 있고, 층간 절연층(160)에 형성된 제2 접촉 구멍(185)을 통해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의 구동 드레인 전극(17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화소 전극(191)은 발광 소자(LD)의 애노드가 된다.
화소 전극(191)은 ITO, IZO, ZnO,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250)은 화소 전극(191)의 가장자리부 및 보호막(180) 위에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정의막(250)은 화소 전극(191)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화소 정의막(250)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또는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250)의 개구부 내의 화소 전극(191) 위에는 유기 발광층(260)이 배치되어 있다. 유기 발광층(260)은 발광층을 포함하고,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 발광층(260)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 전극인 화소 전극(191) 위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260)은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유기 발광층(260)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공통 전극(270)은 화소 정의막(250) 및 유기 발광층(260) 위에 배치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은 리튬, 칼슘, 플루오르화리튬/칼슘,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 알루미늄, 은, 마그네슘, 또는 금 등의 금속이나 ITO, IZO, ZnO,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270)은 발광 소자(LD)의 캐소드가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표시 패널 100: 하부 기판
20: 표시 제어부 200: 표시층
30: 터치 제어부 300: 상부 기판
400: 터치 전극층 410, 420: 터치 전극
411, 412, 413: 터치 신호선 421a: 제1 그룹의 신호선
421b: 제2 그룹의 신호선 421c: 보조선
500: 밀봉체 DA: 표시 영역
PA: 주변 영역 TA: 터치 활성 영역

Claims (15)

  1.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을 밀봉되게 결합시키는 밀봉체;
    상기 하부 기판 위에 위치하며, 전기 광학 활성층을 포함하는 표시층;
    상기 상부 기판 위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층; 및
    터치 전극에 터치 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 신호선
    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체는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밀봉체와 중첩하지 않게 위치하는 제1 그룹의 신호선 및 상기 밀봉체와 중첩하게 위치하는 제2 그룹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은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선보다 좁은 선폭을 가지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은 5 μm 이하의 선폭을 가진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은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신호선 간의 간격이 100 μm 이상인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과 접촉하는 보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보조선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보조선은 상기 제2 그룹의 신호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이와 접촉하게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선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선은 4.5 μm 내지 195 μm의 선폭을 가진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그룹의 신호선은 복수 개의 신호선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신호선의 간격이 4 μm 내지 5 μm인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밀봉체와 상기 하부 기판 사이에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은 복수의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 중 하나는 감지 입력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감지 출력 전극인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터치 신호선은 상기 제1 터치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터치 신호선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터치 신호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전기 광학 활성층은 유기 발광층이고, 상기 상부 기판은 봉지 기판인 표시 장치.
KR1020130169360A 2013-12-31 2013-12-31 표시 장치 KR102281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60A KR102281109B1 (ko) 2013-12-31 2013-12-31 표시 장치
US14/302,288 US9465495B2 (en) 2013-12-31 2014-06-11 Display device having a reduced bezel wid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60A KR102281109B1 (ko) 2013-12-31 2013-12-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332A KR20150080332A (ko) 2015-07-09
KR102281109B1 true KR102281109B1 (ko) 2021-07-23

Family

ID=534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360A KR102281109B1 (ko) 2013-12-31 2013-12-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5495B2 (ko)
KR (1) KR102281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28B1 (ko) * 2013-12-30 2020-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CN104752476B (zh) * 2013-12-31 2018-05-22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3926729B (zh) * 2013-12-31 2017-12-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彩膜基板、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347532B1 (ko) * 2014-01-23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793120A (zh) * 2014-01-28 2014-05-1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KR20160005860A (ko) * 2014-07-07 2016-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9934B1 (ko) * 2014-11-28 2021-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55445B1 (ko) * 2015-03-30 2021-05-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CN104765505B (zh) * 2015-05-04 2018-11-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制造方法和显示装置
CN106299148B (zh) * 2015-06-10 2018-04-0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的封装结构及封装方法
KR102534273B1 (ko) * 2016-03-25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168865B (zh) * 2016-06-28 2019-1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内嵌式触摸屏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6024840A (zh) * 2016-07-12 2016-10-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柔性oled显示装置
KR20180038603A (ko) * 2016-10-06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636503B1 (ko) * 2016-11-10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US10474295B2 (en) 2016-11-10 2019-1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ensor and auxiliary sensor parts
CN106990871A (zh) * 2017-04-13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234088B (zh) * 2017-04-21 2023-04-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424289B1 (ko) * 2017-06-01 2022-07-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터치패널
CN107704135A (zh) * 2017-10-12 2018-02-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CN108110010B (zh) 2017-12-15 2021-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面板
KR102465351B1 (ko) * 2018-03-21 2022-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KR102471154B1 (ko) * 2018-03-27 2022-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628032A (zh) * 2018-05-10 2018-10-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的制备方法、显示基板及显示装置
KR102551226B1 (ko) * 2018-07-25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부재 및 터치 부재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427303B1 (ko) 2018-09-10 2022-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11671B1 (ko) * 2018-09-19 2023-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057872A (ko) * 2018-11-16 2020-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17494B1 (ko) * 2018-11-23 202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9671865B (zh) * 2018-12-21 2022-02-0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950423B (zh) * 2019-03-29 2022-02-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0289370B (zh) * 2019-06-28 2021-10-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和封装方法
KR20210011217A (ko) * 2019-07-22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CN110515495B (zh) * 2019-08-30 2023-06-27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及触控检测方法
US11462718B2 (en) * 2019-10-23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116732A (ko) 2020-03-12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6402B2 (en) * 2002-06-21 2004-11-09 Micron Technology, Inc. Row and column line geometries for improving MRAM write operations
KR100685925B1 (ko) 2002-12-30 2007-02-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948586B2 (en) 2005-07-11 2011-05-2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886488B2 (ja) 2006-12-02 2012-02-29 インフォビジョン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ホールデングズ リミティッド 液晶表示装置用の液晶パネル
KR100897157B1 (ko) 2008-02-28 2009-05-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928597B2 (en) * 2008-07-11 2015-01-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082294B1 (ko) * 2009-09-04 2011-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US9444453B2 (en) * 2009-09-11 2016-09-13 Apple Inc. Measuring body capacitance effect in touch sensitive device
CN102023406B (zh) * 2009-09-14 2017-02-1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US8982058B2 (en) 2009-09-30 2015-03-17 Apple Inc. Touch screen border regions
KR101309862B1 (ko) 2009-12-10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759577B1 (ko) 2010-08-23 2017-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셀 tsp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 구조
KR20120019543A (ko) 2010-08-26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셀 tsp 표시장치
KR20120029008A (ko) 2010-09-15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온-셀 tsp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689331B1 (ko) * 2010-11-23 2016-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US8797285B2 (en) * 2011-04-18 2014-08-05 Atmel Corporation Panel
KR20140013482A (ko) * 2012-07-24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5903A1 (en) 2015-07-02
US9465495B2 (en) 2016-10-11
KR20150080332A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109B1 (ko) 표시 장치
US9619091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17584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including touch sensor
KR1021681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49030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102388711B1 (ko) 표시 장치
KR1023621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1761B1 (ko) 표시 장치
KR10231399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2967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2741B1 (ko) 표시 장치
KR102288845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5354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3997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KR20150061851A (ko) 표시 장치
CN107450219B (zh) 具有触摸传感器的滤色器阵列以及具有该阵列的显示面板
KR20160087043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04895B1 (ko)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60035669A (ko) 표시 장치
KR10247854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