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280B1 -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280B1
KR102552280B1 KR1020197021203A KR20197021203A KR102552280B1 KR 102552280 B1 KR102552280 B1 KR 102552280B1 KR 1020197021203 A KR1020197021203 A KR 1020197021203A KR 20197021203 A KR20197021203 A KR 20197021203A KR 102552280 B1 KR102552280 B1 KR 10255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rd
touch sensor
coat layer
typ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805A (ko
Inventor
키요히토 시게무라
Original Assignee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Abstract

내상성(耐傷性)을 유지하면서, 제조 과정에서의 가공성이 뛰어난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해서 이용되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로서,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와,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일방(一方)의 주면(主面)에, 적어도 엣지부(31)를 제외하고 대면적(大面積)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 하드 코트층(4)과, 상기 제1 하드 코트층(4)의 비형성 영역에, 상기 제1 하드 코트층(4)과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1 하드 코트층(4) 보다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5)을 갖추었다.

Description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
본 발명은,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해서 이용되는 하드 코트(hard court)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비교해서 백 라이트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전력 절약이고 얇고 가벼운 데다가, 화상의 명암에 있어서 높은 콘트라스트로 응답 속도에도 뛰어나기 때문에, 근년, 스마트 폰에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세트 메이커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유기 EL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형이 되면, 둥글게 하거나, 접어서 가지고 다닐 수 있게 되어, 스마트 폰 등의 휴대 기기의 외관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스마트 폰을 비롯해, 태블릿형 단말,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 액정, 게임기 등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는 직접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로서의 터치 센서가 불가결하다.
터치 센서에는, 글라스를 기재로 하는 글라스 타입과, 필름을 기재로 하는 필름 타입이 존재한다.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해서 이용하는 경우,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성을 살리기 위해서도 필름 타입의 터치 센서가 바람직하다.
다만, 필름 타입 터치 센서를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해 이용하게 되면, 터치 센서 표면의 상처에 의한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시인성(視認性)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최표면에 균일한 하드 코트층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6-015618호 공보
그렇지만,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최표면에 전면적으로 설치되는 하드 코트층은, 내상성(耐傷性)이 높은 재료를 사용할수록, 제조 과정에서의 가공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가공성의 저하란, 펀칭(Punching) 가공 등의 외형 가공에서, 가공 개소, 즉 가공 후의 제품에서의 엣지부(緣部)에, 가압에 의한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하여, 품질이나 수율(收率)이 저하하는 것이나, 가압에 의한 크랙 등의 결함을 피하기 위해 레이저 가공과 같은 생산 효율이나 열 데미지 등의 면에서 과제가 있는 가공 방법을 취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을 말한다.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은, 하드 코트층을 지지하는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플렉서블해서, 가압에 대해 변형하기 쉽고, 그 위에 형성된 경도(硬度)가 높은 하드 코트층에 대해 부분적으로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외형 가공 시에 발생하는 크랙 등의 결함이 미소(微小)해 외형에는 위화감이 없었다고 해도, 플렉서블 용도로의 제품 사용시에 몇 번이나 접어 구부렸을 때에, 마이크로 크랙이나 덜컹거림 같은 단면의 미세한 요철(凹凸)의 일부에 응력이 집중해서 파괴하고, 거기를 기점으로 하드 코트 전체에 균열이나 눈에 보이는 금으로서 퍼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상성을 유지하면서, 제조 과정에서의 가공성이 뛰어난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양태를 설명한다. 이들 양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해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얻는데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견지(一見地)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는,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제1 하드 코트층과, 제2 하드 코트층을 갖추고 있다.
제1 하드 코트층은,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일방(一方)의 주면(主面)에, 적어도 엣지부를 제외하고 대면적(大面積)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하드 코트층은, 제1 하드 코트층의 비형성 영역에, 제1 하드 코트층과 인접해서 설치되고, 제1 하드 코트층 보다 경도가 낮은 것이다.
이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에서는, 제1 하드 코트층 보다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이, 가압(加壓)에 대한 터치 센서의 변형에 추종 하기 쉽고, 그 결과, 부분적으로 응력(應力)이 집중하기 어렵다. 따라서, 크랙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투명창부 및 상기 투명창부를 둘러싼 창틀부를 가지고,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투명창부 및 창틀부 상에, 엣지부를 제외하고 존재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투명창부 및 상기 투명창부를 둘러싼 창틀부를 가지고,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투명창부 상에 존재하고,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투명창부를 둘러싼 창틀부 상에 존재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특정 위치에 폴딩(Folding, 折疊)용의 띠(帶) 형상 굴곡부를 가지고, 띠 형상 굴곡부에는 제1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지 않고, 제2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관통홀부를 가지고, 전술한 엣지부에 관통홀부의 주위도 포함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를, JIS K 5600-5-4:1999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 의한 연필 경도 H∼9H의 범위로 하고, 제1 하드 코트층 보다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를, 연필 경도 6B∼4H의 범위로 해도 무방하다.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과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 차를 2 계급 이상으로 해도 무방하다.
제1 하드 코트층 및 제2 하드 코트층이, 동일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진 연속하는 일체(一體)의 막으로서, 광 조사에 의한 경화 정도 만이 다르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하드 코트층과 제2 하드 코트층을, 경도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별체(別體)의 막으로 해도 무방하다.
제1 하드 코트층 및 제2 하드 코트층은, 면일(面一)이고, 또한 균일한 무광택 상태에 있어도 무방하다.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독립된 영역의 면적은, 전체의 10∼99.98%로 해도 무방하다.
엣지부는,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측면으로부터 1.5 mm 이내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은, 경도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더 나누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내상성(耐傷性)을 유지하면서, 제조 과정에서의 가공성이 뛰어난 것이다.
[도 1]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
[도 2]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
[도 3]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
[도 4]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
[도 5]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
[도 6]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개략도.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1)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기본 구성
도 1을 이용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1(a)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평면도이며, 도 1(b)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단변(短邊) 중앙에서의 단면도이다.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는,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해서 이용되고, 표면에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생기는 정전 용량(전하)의 변화를, 센서가 감지하는 것으로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는,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와,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를 갖추고 있다.
필름 타입 터치 센서(2)는, 투명 필름 기재에 패턴화한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전극 필름으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그 때문에, 평면 뿐만이 아니라, 필름 기재의 특장(特長)을 살린 곡면 형상의 디자인도 실현 가능하다. 필름 타입 터치 센서(2)는, 도 1(a)에 도시한 것처럼, 투명창부(21) 및 투명창부(21)를 둘러싼 창틀부(22)를 가지고 있다. 통상, 투명창부(21)에는 X와 Y의 투명 전극을 가지고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투시할 수 있고, 창틀부(22)는 인회(引回) 배선을 가진다. 통상, 검출 방식은 정전 용량 방식이다.
제1 하드 코트층(4)은,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표면을 상처로부터 보호하는 부재이다. 제1 하드 코트층(4)은, 도 1(b)에 도시한 것처럼,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일방(一方)의 주면(主面)에, 엣지부(31)를 제외하고 대면적(大面積)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드 코트층(4)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은,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투명창부(21) 및 창틀부(22) 상에, 엣지부(31)를 제외하고 존재한다.
제2 하드 코트층(5)은, 제1 하드 코트층(4)과 마찬가지로,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표면을 상처로부터 보호하는 부재이다. 제2 하드 코트층(5)은, 도 1(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하드 코트층(4)의 비형성 영역, 즉 엣지부(31)에, 제1 하드 코트층(4)과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2)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의 조합 효과
본 발명의 제2 하드 코트층(5)은, 제1 하드 코트층(4) 보다 경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표면 내상성과 가공성의 양립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투명창부(21) 및 창틀부(22) 상에, 엣지부(31)를 제외하고 경도가 높은 제1 하드 코트층(4)을 설치함으로써, 최표면의 상처에 의한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표면 내상성).
한편, 제1 하드 코트층(4)의 비형성 영역, 즉 엣지부(31)에, 제1 하드 코트층(4)과 인접하여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5)을 설치함으로써, 펀칭 등의 가공 시에 엣지부(31)에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고, 수율 ·품질·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가공성).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제1 하드 코트층(4) 보다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5)이, 가압에 대한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변형에 추종 하기 쉽고, 그 결과, 부분적으로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의 표면 경도는, 공지된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경도는, JIS K 5600-5-4: 1999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 의해 측정한 연필 경도이다. 연필 경도 시험은, 하중 750 g, 45°스크래치의 시험 조건으로 실시한다.
제2 하드 코트층(5)은, 제1 하드 코트층(4) 보다 경도가 낮으면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하드 코트층(4)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가 연필 경도 H∼9H의 범위이고, 제1 하드 코트층(4) 보다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5)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가 연필 경도 6B∼4H의 범위이다.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구성 재료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표면 내상성 및 가공성은 다르기 때문에, 경도의 고저는 상대적인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하드 코트층(4)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가 연필 경도 3H∼9H이다.
또한, 양 영역의 경도 차가 2 계급 이상이면, 표면 내상성과 가공성을 양립하는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덧붙여, 상기한 경도 범위나 경도 계급 차는 특히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하드 코트층(4) 보다 제2 하드 코트층(5)이 낮은 경도이면 무방하다.
(3)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의 재료
제1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은, 동일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진 연속하는 일체의 막이며, 광 조사에 의한 경화 정도 만이 다르다.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는, 공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 수지나 전자선 경화성 수지 등이 대표적인 것으로 들 수 있지만, 자외선이나 전자선 이외의 활성선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여도 무방하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올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 혹은 프리 폴리머를 반응시켜 얻어진 생성물에,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하 아크릴레이트라고 기재한 경우,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水酸基)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계의 모노머를 더 반응시키는 것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아크릴레이트계의 모노머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올리고머로 하고, 이것에 반응성 희석제, 광반응 개시제를 첨가해, 반응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 광반응 개시제로는, 벤조인 유도체, 옥심 케톤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티오크산톤 유도체 등 중에서, 1종 혹은 2종 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폴리올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통상 공지의 광증감제와 함께 사용된다. 또한 상기 광반응 개시제도 광증감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미힐러케톤, α-아밀옥심 에스테르(Amyloxime ester), 티오크산톤 등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의 광반응제의 사용 시,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의 증감제를 이용할 수 있다. 도포 건조 후에 휘발하는 용매 성분을 제외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반응 개시제 또는 광증감제는 상기 조성물의 통상 1∼10 질량% 첨가할 수 있고, 2.5∼6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이중 결합이 하나의 모노머로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초산 비닐, 벤질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등의 일반적인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두 개 이상 가지는 모노머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비닐 벤젠, 1,4-시클로헥산 디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실 디메틸디아크릴레이트, 전출(前出)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로는, 아데카 옵토머(ADEKA OPTOMER) KR·BY 시리즈: KR-400, KR-410, KR-550, KR-566, KR-567, BY-320B(이상, 아사히 전화 공업 주식회사제), 혹은 코에이 하드 A-101-KK, A-101-WS, C-302, C-401-N, C-501, M-101, M-102, T-102, D-102, NS-101, FT-102 Q8, MAG-1-P20, AG-106, M-101-C(이상, 히로에 화학 공업 주식회사제), 혹은 세이카빔 PHC2210(S), PHC  X-9(K-3), PHC2213, DP-10, DP-20, DP-30, P1000, P1100, P1200, P1300, P1400, P1500, P1600, SCR900(이상, 다이니치 세이카 공업 주식회사제), 혹은 KRM7033, KRM7039, KRM7130, KRM7131, UVECRYL29201, UVECRYL29202(이상, 다이셀·UCB 주식회사), 혹은 RC-5015, RC-5016, RC-5020, RC-5031, RC-5100, RC-5102, RC-5120, RC-5122, RC-5152, RC-5171, RC-5180, RC-5181(이상, 대일본 잉키 화학 공업 주식회사제), 혹은 오렉스(OREC) No.340 클리어(중국 도료 주식회사제), 혹은 산라드 H-601(산요 화성 공업 주식회사제), 혹은 SP-1509, SP-1507(쇼와 고분자 주식회사제), 혹은 RCC-15C(그레이스·재팬 주식회사제), 아로닉스 M-6100, M-8030, M-8060(이상, 동아 합성 주식회사제) 혹은 이외의 시판 중인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4)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의 형성 방법
상술한 대로, 제1 하드 코트층(4) 및 상기 제2 하드 코트층(5)은, 동일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진 연속하는 일체의 막으로서 형성되지만, 이 막을 필름 타입 터치 센서(2) 상(上)에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박막을 형성하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습식 도포법, 하드 코트 부착 필름을 이용한 래미네이트(laminate)법, 하드 코트 전사 필름을 이용한 전사법 등이 있다.
습식 도포법이란, 예를 들면, 활성 광선 경화 수지를 용매, 예를 들면,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케톤류, 에스테르류, 글리콜에테르류, 이외의 용매로 용해하여 도포 유체를 조제하고, 이 도포 유체를 이용해, 웨트 상태의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습식 도포법에 이용되는 도포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스핀 코트 도포, 딥(deep) 도포, 익스트루젼(Extrusion) 도포, 롤 코트 도포, 스프레이 도포, 그라비아 도포, 와이어 바 도포, 에어 나이프 도포, 슬라이드 호퍼 도포, 커텐 도포 등의 공지의 용액을 이용한 도포 방법(도포 장치)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도포 방식에 의해 필름 타입 터치 센서(2) 상에 형성한 하드 코트막은, 막을 경화할 목적으로, 활성 광선이 조사된다. 활성 광선 경화 수지를 광 경화 반응에 의해 경화 피막층을 형성하기 위한 광원으로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이면 무엇이든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조사 조건은 각각의 램프에 따라 다르지만, 조사 광량은 20∼10000 mJ/cm2↑ 정도 있으면 무방하고, 바람직하게는, 50∼2000 mJ/cm2 이다. 근자외선 영역∼가시광선 영역에 걸쳐서는 그 영역에 흡수극대(吸收極大)가 있는 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도포 건조된 후, 자외선을 광원으로부터 조사하지만, 조사 시간은 0.5초∼5분이 좋고,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 효율, 작업 효율에서 3초∼2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하드 코트 부착 필름을 이용한 래미네이트법, 하드 코트 전사 필름을 이용한 전사법의 경우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이나 전사 필름의 상태에서 미리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시켜 둘 수도 있고, 래미네이트나 전사 후에 경화시킬 수도 있다.
전술과 같이,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을, 동일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진 연속하는 일체의 막으로 되어, 양자의 단단함 만이 다르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름 타입 터치 센서(2) 상에 습식 도포법에 의해, 연속하는 일체의 막을 도설하고, 다음에 전체적으로 약한 활성 광선을 조사한 후, 엣지부(31)를 제외하고 활성 광선을 더 조사한다.
이에 따라, 박막은, 엣지부(31)를 제외하여 경도가 높은 제1 하드 코트층(4)이 되고, 엣지부(31)만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5)이 된다. 덧붙여, 당연히, 제1 하드 코트층(4) 및 상기 제2 하드 코트층(5)의 표면은 면일이다.
이상, 습식 도포법에 따른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의 형성 방법을 설명했지만, 하드 코트 부착 필름을 이용한 래미네이트법, 하드 코트 전사 필름을 이용한 전사법도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이다.
습식 도포법이 필름 타입 터치 센서(2) 상에 직접, 광 조사 전의 박막을 도설, 건조하는데 있어서, 하드 코트 부착 필름을 이용한 래미네이트법은, 미리 투명한 수지 필름에 습식 도포법으로 광 조사 전의 박막을 도설, 건조해 두고, 박막측이 최표면이 되도록 필름 타입 터치 센서(2) 상에 래미네이트 한다. 그 후의 광 조사는, 습식 도포법의 경우와 같다.
또한, 하드 코트 전사 필름을 이용한 전사법은, 미리 이형성(離型性)을 가지는 수지 필름에 습식 도포법으로 광 조사 전의 박막을 도설, 건조해 두고, 수지 필름측이 최표면이 되도록 필름 타입 터치 센서(2) 상에 래미네이트 한 후, 수지 필름을 박리한다. 그 후의 광 조사는, 습식 도포법의 경우와 같다.
덧붙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하드 코트층(5)이 형성되는 영역인 엣지부(31)는,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외주 측면으로부터 1.5 mm 이내이다.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은, 동일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진 연속하는 일체의 막이지만, 광 조사 정도의 차이에 따라 광학 특성이 다르다. 그 결과,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의 경계에서의 시각적 위화감이 생긴다.
그렇지만, 제2 하드 코트층(5)이 형성되는 영역인 엣지부(31)가,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외주 측면으로부터 1.5 mm 이내이면, 외주 측면에 접근해 있기 때문에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외주 형상을 강조하는 정도로 느껴져, 시각적 위화감이 경감되고, 또한 조합되는 타 부품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최종 제품에서 시각적으로 전혀 인식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덧붙여, 상기의 광학 특성이란, 투과율, 탁도(濁度), 색(色) 차이, 굴절률 등으로서, 사용하는 활성 광선 경화 수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특성은 다양하다.
(5)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각 구성
필름 타입 터치 센서(2)는 공지된 기술 그대로이며, 설명은 생략 가능하지만, 플렉서블성의 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는 과제와도 관련되므로, 각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필름 기재> 
필름 기재의 재질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 폴리이미드, 환(環) 형상 올레핀 폴리머, 환 형상 올레핀 코폴리머,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의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 기재는 복수매 사용해도 무방하다. 필름 기재의 합계 두께는 18∼200 ㎛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합계 두께가 18 ㎛ 미만에서는, 층(層)으로서의 강도가 부족하여 분열되거나 하므로 취급이 곤란하게 되고, 합계 두께가 200 ㎛를 넘는 경우는, 필름 기재에 강성(剛性)이 너무 많아서 플렉서블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투명 전극> 
투명 전극은, 투명 도전막을 각각 패턴화해 형성할 수 있다.
투명 도전막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등의 각종 수지 바인더와, 도전성 나노 파이버로 이루어진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도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막은,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범용의 각종 인쇄 수법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것 외에, 도전성 나노 파이버를 함유시킨 광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드라이 필름 등과 같은 시트(DFR)를 붙이는 등을 해서 설치할 수도 있다.
도전성 나노 파이버로는, 예를 들면, 은, 금, 동, 니켈, 금 도금된 은, 알루미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나노 파이버의 예로는, 금, 은, 백금, 동, 팔라듐 등의 금속 이온을 담지(擔持)한 전구체(前驅體) 표면에 프로브의 선단부로부터 인가 전압 또는 전류를 작용시켜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제작한 금속 나노 파이버나, 펩티드 또는 그 유도체가 자기(自己) 조직화적으로 형성한 나노 파이버에 금 입자를 부가해서 된 펩티드 나노 파이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 튜브 등의 거뭇한 도전성 나노 파이버(3)여도, 그림자와의 색 또는 반사성 등에 차이가 인정되는 경우는 대상이 된다. 덧붙여, 도전성 나노 파이버로는, 상기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나노 와이어로는, 특히 은나노 파이버가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막의 두께는, 수십 nm로부터 수백 nm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두께가 수십 nm 보다 얇으면 층으로서의 강도가 부족하고, 두께가 수백 nm 보다 두꺼우면 플렉서블성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또한, 투명 전극으로서, 금속 세선(細線)으로 이루어진 메쉬 패턴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메쉬의 개구부로부터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투시한다. 금속 세선의 재료로는, 은, 동,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인회 배선>
인회 배선은,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창틀부(22)에 설치되어, 일단(一端)은 투명 전극에 접속되고, 타단(他端)은 외부 출력단이 된다. 이 외부 출력단은, 도시하지 않은 플렉서블 회로 기판(FPC)을 통해 검출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단자부이다.
인회 배선은, 상술한 것처럼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창틀부(2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몰리브덴, 은, 크롬, 동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인회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패턴 폭이나 패턴 간격 등에 따라 형성 방법이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인회 배선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필름 기재 위에 설치된 금속층을 이른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법에 따라 패터닝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인회 배선을 좁은 피치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 인회 배선의 폭 및 각 인회 배선 간의 간격을 2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인회 배선의 저항값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인회 배선은, 예를 들면 은 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해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회 배선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회 배선의 저항값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도 2를 이용하고,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단변 중앙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하드 코트층(4)이 설치되는 영역은,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투명창부(21)상에만 존재하고, 제2 하드 코트층(5)이 설치되는 영역이 창틀부(22)상 전체에 존재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과의 경계가,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투명창부(21)와 창틀부(22)와의 경계와 일치한다. 이 경우,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과의 경계에서의 시각적 위화감을 없앨 수 있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중복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3. 제3 실시 형태 
도 3을 이용하고,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단변 중앙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가, 장변(長邊) 방향 중앙에, 단변(短邊)과 평행한 폴딩용의 띠 형상 굴곡부(32)를 하나 가지고, 띠 형상 굴곡부(32)에는 제1 하드 코트층(4)을 설치하지 않고, 제2 하드 코트층(5)을 설치하는 점에서, 제2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 경우, 띠 형상 굴곡부(32)에도, 제1 하드 코트층(4) 보다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를 반복해서 접어 사용해도, 띠 형상 굴곡부(32)에 크랙이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덧붙여, 띠 형상 굴곡부(32)에서는 표면 내상성이 저하하게 되지만, 두 개로 접는 사용 형태에서는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띠 형상 굴곡부(32)에서 세밀한 표시를 시키는 빈도는 적고, 시인성에의 영향은 작다.
띠 형상 굴곡부(32)의 폭은, 상술한 대로, 필름 타입 터치 센서(2)의 필름 기재의 합계 두께가 18∼200 ㎛이기 때문에, 그 두께에서 접는 형태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는 영역 폭이 들어가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무방하다. 일례를 든다면, 2∼30 mm로 형성할 수 있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중복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양태는, 제1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도 4를 이용하고,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단변(短邊) 중앙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가, 중앙부에 관통홀부(33)을 가지는 경우, 외주부(外周部) 이외에 관통홀부(33)의 주위도 엣지부(31)에 포함하고, 여기에 제2 하드 코트층(5)을 설치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 경우, 관통홀부(33)의 주위도, 제1 하드 코트층(4)과 인접하고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5)을 설치함으로써, 펀칭 가공 시에 엣지부(31)인 관통홀부(33)의 주위에 크랙이 들어가지 않아, 수율·품질·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관통홀부(33)에는, 예를 들면, 스피커(33ab), 메커니컬 스위치(mechanical switch), 카메라 렌즈부(33ba)등이 배치된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중복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양태는, 제2, 제3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5. 제5 실시 형태
도 5를 이용하고,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단변 중앙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이, 면일(面一)이며, 또한 미세 요철면(凹凸面)(8)에 의한 균일한 무광택 상태에 있는 점에서, 제2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 경우,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에 걸쳐 마련된 균일한 무광택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과의 경계에서의 시각적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무광택 상태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너무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의 헤이즈(Haze) Hz를 1.5∼60%의 수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Hz)가 1.5% 미만이면 시각적 위화감의 경감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헤이즈(Hz)가 60%를 넘으면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방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헤이즈(Hz)가 3.0∼30%이다.
여기서, 헤이즈(Hz)란, JIS K 7136: 2000에 준거해 측정된 것이다.
미세 요철면(8)의 형성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의 표면에 직접, 기계적(샌드블래스트(sandblast)라든지, 엠보스 롤러(Emboss roller)에 의한 엠보스 가공 등), 광학적(레이저 등), 물리 화학적(유기용제 무기 약품 등에 의한 에칭 처리 등)으로 처리하여, 소망하는 조도(粗度)를 부여한다거나, 혹은,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의 재료 중에 미립자를 함유시켜 코팅함으로써 미립자 형상을 표면에 노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세 요철면(8)을 형성하지 않고,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을 무광택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립자를 함유하고 또한 평활 표면을 가지는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에서, 그 층 내부의 미립자에 의한 확산 효과에 의해 무광택 상태로 해도 무방하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중복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양태는, 제1,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6. 변화 예
이상,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 형태 및 변형 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을, 동일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진 연속하는 일체의 막으로, 광 조사에 의한 경화 정도 만이 다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이, 경도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별체의 막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은, 별도로 도설(塗說)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제1 하드 코트층(4)과 제2 하드 코트층(5)은, 각각이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하드 코트층(4) 및 제2 하드 코트층(5)은,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범용의 각종 인쇄 수법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경도가 다른 재료로는, 예를 들면, 전술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 중에서 상이한 수지의 조합을 적절히 선택한다. 또한, 전술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에 대해, 첨가물의 종류나 첨가량을 변경함으로써 경도(硬度)가 다른 재료로 할 수 있다.
또한, 경도가 다른 재료로서, 활성 광선 경화 수지 이외의 경화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열 경화 수지, 가열 수증기 경화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2 하드 코트층(5)에, 자기 수복성 및 내상성을 가지는 연질(軟質) 합성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자기 수복성이란, 한 번 생긴 상처가 경시적(經時的)으로 소실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제2 하드 코트층(5)의 연질 합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투명 고무 형상 수지, 실리콘계 고무 형상 수지, 올레핀계나 스티렌계의 엘라스토머(elastomer), 이들의 혼합, 혹은 다른 수지와의 혼합, 폴리머 알로이 등이 사용 가능하지만, 투명성·자기 수복성·내찰상성(耐擦像性)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가, 단(端) 쪽으로 관통홀부(33)을 가지고, 외주부 이외에 관통홀부(33)의 주위에도 제2 하드 코트층(5)을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홀부(33)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의 어느 개소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중앙부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가, 장변 방향 중앙에, 단변과 평행한 폴딩용의 띠 형상 굴곡부(32)를 하나 가지고, 띠 형상 굴곡부(32)에 제2 하드 코트층(5)을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가, 장변 방향 중앙에 단변과 평행한 폴딩용의 띠 형상 굴곡부(32)를 하나 가짐과 동시에, 단변 방향 중앙에도 장변과 평행한 폴딩용의 띠 형상 굴곡부(32)를 하나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종횡 2회 접을 수 있다. 또한, 평행한 띠 형상 굴곡부(32)를 2 이상 설치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접는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필름의 적층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띠 형상 굴곡부(32)의 폭을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변화 예의 어느 경우에서도, 제1 하드 코트층(4)이 설치되는 독립된 영역의 면적이 전체의 10∼99.98%이다.
즉, 제1 하드 코트층(4)은, 최표면의 상처에 의한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우선하고 있어, 표시 화면의 시인성을 가능한 확보하도록 대면적(大面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독립된 영역의 면적이란, 하나의 연속된 제1 하드 코트층(4)의 형성 영역을 의미한다. 제1 하드 코트층(4)의 비연속된 소면적(小面積)의 형성 영역을 모아도, 표시 화면의 시인성은 충분하지 않다.
한편, 제2 하드 코트층(4)은, 가공성은 향상시키면서, 표시 화면의 시인성을 가능한 저해하지 않도록 소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변화 예로서, 제2 하드 코트층(4)이 설치되는 영역이, 경도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더 나누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외주부, 관통홀부(33) 주위 및 띠 형상 굴곡부(32)에서, 제2 하드 코트층(4)의 경도를 2종 이상으로 다르게 한다.
7. 플렉서블 디바이스 
도 6을 이용하고, 상기의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7)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7)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플렉서블 디바이스(7)는,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6)와,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6)와의 표시면(6a)에 적층되어 있는 상기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를 갖춘 것이다.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유기 화합물의 전계 발광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이다. 유기 EL 소자는, 화소 전극 및 대향 전극, 그리고 양 전극의 사이에 배치된 전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전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재료는, 저분자 유기 화합물의 조합(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과, 고분자 유기 화합물로 대별될 수 있다. 전계 발광하는 고분자 유기 화합물의 예로는, PPV로 불리는 폴리페닐렌 비닐렌(Polyphenylene vinylene)이나 그 유도체 등이 포함된다.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6)는, 필름 기판을 이용한 유연한 유기 EL 디스플레이로서, 글라스 기판을 이용한 벤딩되지 않는 유기 EL 디스플레이(리지드 타입)와 비교해서, 사용 형태가 자유롭다.
상기한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1)는, 내상성을 유지하면서, 제조 과정에서의 가공성이 뛰어난 것 이외에, 다양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바이스(7)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여기까지 플렉서블 디바이스(7)의 디스플레이로서,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6)를 이용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6) 이외의 공지의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그 외의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의 일례로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액정, QLED(quantum―dot light emitting diode), 마이크로 LED, EPD(Electrophoretic Display)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형 단말,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背面) 액정, 게임기 등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는 직접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특히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배치되어, 둥글게 하거나, 접어서 가지고 다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2: 필름 타입 터치 센서
21: 투명창부
22: 창틀부
31: 엣지부
32: 띠 형상 굴곡부
33: 관통홀부
4: 제1 하드 코트층
5: 제2 하드 코트층
6: 플렉서블형 유기 EL 디스플레이
6a: 표시면
7: 플렉서블 디바이스
8: 미세 요철면

Claims (14)

  1.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해서 이용되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에 있어서,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일방의 주면(主面)에, 적어도 엣지부를 제외하고 대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 하드 코트층과,
    상기 제1 하드 코트층의 비형성 영역에, 상기 제1 하드 코트층과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1 하드 코트층 보다 경도가 낮은 제2 하드 코트층
    을 갖춘,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투명창부 및 상기 투명창부를 둘러싼 창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투명창부 및 창틀부 상에, 상기 엣지부를 제외하고 존재하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투명창부 및 상기 투명창부를 둘러싼 창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투명창부 상에 존재하고,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상기 투명창부를 둘러싼 창틀부 상에 존재하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특정 위치에 폴딩용의 띠 형상 굴곡부를 가지고,
    상기 띠 형상 굴곡부에는 상기 제1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가, 관통홀부를 가지고,
    상기 엣지부에 상기 관통홀부의 주위도 포함하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가, JIS K 5600-5-4: 1999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 의한 연필 경도 H∼9H의 범위이고,
    상기 제1 하드 코트층 보다 경도가 낮은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가 연필 경도 6B∼4H의 범위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과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된 영역의 경도 차가 2 계급 이상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이, 동일한 활성 광선 경화 수지로 이루어진 연속하는 일체의 막으로서, 광 조사에 의한 경화 정도 만이 다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 코트층과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이, 경도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별체의 막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 코트층 및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이, 면일(面一)이고, 균일한 무광택 상태에 있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독립된 영역의 면적이, 전체의 10∼99.98%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가, 상기 필름 타입 터치 센서의 측면으로부터 1.5 mm 이내인,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경도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더 나누어져 있는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14.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와,
    상기 플렉서블형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적층되어 있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
    를 갖춘,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21203A 2017-11-28 2018-10-23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552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28027 2017-11-28
JP2017228027A JP6556812B2 (ja) 2017-11-28 2017-11-28 ハードコート付フィルムタイプ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バイス
PCT/JP2018/039269 WO2019107014A1 (ja) 2017-11-28 2018-10-23 ハードコート付フィルムタイプ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805A KR20200091805A (ko) 2020-07-31
KR102552280B1 true KR102552280B1 (ko) 2023-07-06

Family

ID=6666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203A KR102552280B1 (ko) 2017-11-28 2018-10-23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33132B2 (ko)
JP (1) JP6556812B2 (ko)
KR (1) KR102552280B1 (ko)
CN (1) CN110392873B (ko)
WO (1) WO2019107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6812B2 (ja) * 2017-11-28 2019-08-07 Nissha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付フィルムタイプ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バイス
JP7298146B2 (ja) * 2018-12-05 2023-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偏光板、及び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CN110610979A (zh) * 2019-09-29 2019-12-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1650787B (zh) * 2020-06-11 2023-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20025969A (ko) * 2020-08-24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867374B2 (en) * 2021-07-19 2024-01-09 Lacks Enterprises, Inc. Hardcoat diffuser for automotive light assemblies
CN114005362B (zh) * 2021-10-29 2023-11-1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928A (ja) 2004-06-18 2006-02-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レーザ照射装置およびレーザ照射方法
US20120242610A1 (en) 2009-11-20 2012-09-27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isplay panel with touch sensor function
JP2016015618A (ja) 2014-07-02 2016-01-2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折り畳み式表示装置及び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575A (ja) * 1996-09-10 1998-03-31 Canon Inc 光カード
US7252864B2 (en) * 2002-11-12 2007-08-07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film for display devices
JP2005018492A (ja) * 2003-06-27 2005-01-20 Masanobu Komazaki フレキシブルマット型情報入力表示装置およびフレキシブルマット型情報処理装置
JP4508635B2 (ja) * 2003-12-26 2010-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5352275A (ja) * 2004-06-11 2005-12-22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表面保護部材
US20050282945A1 (en) * 2004-06-21 2005-12-22 Vampire Optical Coatings, Inc. Coating compositions
JP2006010811A (ja) * 2004-06-23 2006-01-12 Sony Corp 表示装置
KR101221428B1 (ko) * 2004-07-20 2013-01-11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KR101110903B1 (ko) * 2004-07-27 2012-06-0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차폐장치
KR101335772B1 (ko) * 2006-03-02 2013-12-0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US20070238804A1 (en) * 2006-04-11 2007-10-11 Encai Ho UV-curable hard coating compositions
JP5144907B2 (ja) * 2006-07-27 2013-02-1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加飾成形品のハードコート層形成方法
US8018568B2 (en) * 2006-10-12 2011-09-13 Cambrios Technologies Corporation Nanowire-based transparent conductor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110209749A1 (en) * 2010-01-07 2011-09-01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attern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lexible display panel, flexible solar cell, electronic book, thin film transistor, electromagnetic-shielding sheet,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pplying thereof
US20120075166A1 (en) * 2010-09-29 201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ed adaptive display systems
KR101320385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3117584A (ja) * 2011-12-01 2013-06-13 Keiwa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TWI489340B (zh) * 2011-12-23 2015-06-21 Lg Chemical Ltd 觸控面板及包含其之顯示裝置
KR101935552B1 (ko) * 2012-06-27 2019-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61078B1 (ko) * 2012-08-28 2020-09-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245511B1 (ko) * 2012-12-27 2021-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97150B1 (ko) * 2013-02-01 2020-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2014192149A (ja) * 2013-03-28 2014-10-06 Japan Display Inc Oled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76666B1 (ko) * 2013-04-1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JP6092714B2 (ja) * 2013-05-29 2017-03-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05230A1 (en) * 2013-07-12 2015-01-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US9395070B2 (en) * 2013-07-19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upport of flexible component and light-emitting device
KR102097031B1 (ko) * 2013-07-22 2020-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TWI643056B (zh) * 2013-07-22 2018-1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WO2015030086A1 (en) * 2013-08-30 2015-03-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102288238B1 (ko) * 2013-09-03 2021-08-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KR102315659B1 (ko) * 2013-11-27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9229481B2 (en) * 2013-12-20 2016-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20150075367A (ko) * 2013-12-25 2015-07-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E112015000739T5 (de) * 2014-02-11 2016-12-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zeigevorricht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CN106030845B (zh) * 2014-02-28 2017-09-22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模块及智能设备
JP6319434B2 (ja) * 2014-05-30 2018-05-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JP6602585B2 (ja) * 2014-08-08 2019-11-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101772B2 (en) * 2014-09-24 2018-10-16 Dell Products, Lp Protective cover and display position detection for a flexible display screen
US9425418B2 (en) * 2014-09-30 2016-08-2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TWM504700U (zh) * 2014-10-20 2015-07-11 G Tech Optoelectronics Corp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非平面鋼化玻璃保護貼
JP6482977B2 (ja) * 2014-11-10 2019-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積層フィルム、光学部材、表示部材、前面板、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6085182A1 (en) * 2014-11-27 2016-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JP6674764B2 (ja) * 2014-12-01 2020-04-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の作製方法
US9706607B2 (en) * 2014-12-10 2017-07-1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multiple types of micro-coating layers
US9780157B2 (en) * 2014-12-23 2017-10-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gate-in-panel circuit
US9978965B2 (en) * 2015-06-17 2018-05-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Rollable OLED display
KR102369943B1 (ko) * 2015-06-25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06715121A (zh) * 2015-07-17 2017-05-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部件用层积体以及图像显示装置
KR102507128B1 (ko) * 2015-08-03 2023-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438718B1 (ko) * 2015-08-11 2022-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486039B (zh) * 2015-08-26 2020-02-07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弯曲感测装置的柔性显示装置
KR102612798B1 (ko) * 2015-09-08 2023-12-1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494986B1 (ko) * 2016-01-11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73631B1 (ko) * 2016-03-02 202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603154B2 (ja) * 2016-03-08 2019-11-06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550694B1 (ko) * 2016-07-12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27705A (ko) * 2016-09-06 2018-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4781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1500B1 (ko) * 2016-11-11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80054965A (ko) * 2016-11-14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80066378A (ko) * 2016-12-08 2018-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7768B1 (ko) * 2017-02-24 2023-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110924A (ko) * 2017-03-30 2018-10-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Oled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816134B1 (ko) * 2017-03-31 2018-01-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컬러 필터와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377164B (zh) * 2017-06-08 2022-06-24 谷歌有限责任公司 可折叠显示器以及包括可折叠显示器的计算设备
WO2019030887A1 (ja) * 2017-08-10 2019-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18967B1 (ko) * 2017-10-26 2022-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37750B1 (ko) * 2017-11-06 2021-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096577A (ja) * 2017-11-28 2019-06-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556812B2 (ja) * 2017-11-28 2019-08-07 Nissha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付フィルムタイプ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バイス
KR102421143B1 (ko) * 2017-12-27 2022-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0422B1 (ko) * 2018-03-0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547124B1 (ko) * 2018-03-30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31828B1 (ko) * 2018-04-13 2023-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79339B2 (en) * 2018-05-10 2023-02-14 Applied Materials, Inc.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US10534400B2 (en) * 2018-05-24 2020-01-14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10698547B2 (en) * 2018-08-06 2020-06-30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US10541380B1 (en) * 2018-08-30 2020-0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ubstrate comprising an opening and adjacent grooves
KR102580792B1 (ko) * 2018-09-27 2023-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7379B1 (ko) * 2018-10-05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928A (ja) 2004-06-18 2006-02-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レーザ照射装置およびレーザ照射方法
US20120242610A1 (en) 2009-11-20 2012-09-27 Sharp Kabushiki Kaisha Flexible display panel with touch sensor function
JP2016015618A (ja) 2014-07-02 2016-01-2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折り畳み式表示装置及び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33132B2 (en) 2020-11-10
JP6556812B2 (ja) 2019-08-07
KR20200091805A (ko) 2020-07-31
CN110392873A (zh) 2019-10-29
CN110392873B (zh) 2021-08-06
JP2019101469A (ja) 2019-06-24
WO2019107014A1 (ja) 2019-06-06
US20200111845A1 (en)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280B1 (ko) 하드 코트 부착 필름 타입 터치 센서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
US9811222B2 (en) Sensing structure
KR102021564B1 (ko) 플렉서블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5121995B2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4794392B2 (ja) 曲面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5722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tructured flexible substrates with bends
US20130044384A1 (en) Color filter substrate embedded with 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370377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panel
KR20150088630A (ko) 터치센서
JP6070356B2 (ja) タッチパネル用導電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用導電シート
KR20120088920A (ko) 터치패널
KR20160043964A (ko) 정전 용량형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104406A (ko) 터치패널 제조장치
JP2020123110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導電性フィルム
JP2012027895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08211B2 (ja) タッチパネル
WO2012124543A1 (ja) 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JP2016091299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03966A (ko) 터치센서
US20230409150A1 (en) Touch panel conductive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ouch panel conductive member
KR2023008528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05538A (ko) 터치 패널의 제조방법
JP2019008617A (ja) 硬化膜付きタッチセンサーの製造方法及び硬化膜付きタッチセンサー
KR20160090174A (ko) 터치 윈도우
KR20120053612A (ko) 전도층과 패턴층이 분리되는 터치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