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78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781A
KR20180034781A KR1020160124248A KR20160124248A KR20180034781A KR 20180034781 A KR20180034781 A KR 20180034781A KR 1020160124248 A KR1020160124248 A KR 1020160124248A KR 20160124248 A KR20160124248 A KR 20160124248A KR 20180034781 A KR20180034781 A KR 2018003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stic substrate
light absorbing
electrostatic shieldin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춘
김우송
조규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781A/ko
Priority to US15/711,207 priority patent/US10496134B2/en
Priority to CN202310963058.5A priority patent/CN117042517A/zh
Priority to CN201710888106.3A priority patent/CN107871770B/zh
Publication of KR2018003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781A/ko
Priority to US16/524,701 priority patent/US11157044B2/en
Priority to US17/508,376 priority patent/US202200434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01L51/525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72
    • H01L51/0097
    • H01L51/5246
    • H01L51/5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21Patterning of a layer by embossing, e.g. stamping to form trenches in an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6Cushion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01L2251/105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휘어진 플라스틱 기판과, 플라스틱 기판의 제1면 상의 표시소자층과, 표시소자층 상의 박막봉지층; 및 플라스틱 기판의 제1면의 반대편인 제2면 상에 배치되며 플라스틱 기판을 따라 휘어진 광흡수층과, 플라스틱 기판을 향하는 상기 광흡수층의 제3면의 반대편인 제4면 상에 배치되는 쿠션층과, 쿠션층 상에 배치되는 정전기 차폐층을 포함하며 쿠션층 및 정전기 차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패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고 무게가 가벼워 그 사용의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하게 활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를 설계하는데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휘어진(curv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휘어진 플라스틱 기판;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제1면 상의 표시소자층; 상기 표시소자층 상의 박막봉지층;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제1면의 반대편인 제2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 기판을 따라 휘어진 광흡수층; 상기 플라스틱 기판을 향하는 상기 광흡수층의 제3면의 반대편인 제4면 상에 배치되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 상에 배치되는 정전기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패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휘어지고 복수의 화소와 대응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표시영역과 전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표시영역을 지나 상기 비표시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단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단부는, 상기 광흡수층,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의 단부들 보다 더 도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개패턴은 상기 광흡수층의 휘어진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은 각각 절개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층의 절개패턴과 상기 정전기 차폐층의 절개패턴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제2면과 상기 광흡수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광흡수층에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을 향하는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산부(emboss portion)들 및 골부(deboss portion)들을 구비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부들은 각각 섬형이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골부들은 상기 산부 각각을 둘러싸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골부는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카본 블랙 및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수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플라스틱 기재층; 및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카본 블랙 및 상기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블랙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카본 블랙 및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섞인 블랙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폐층은, 구리 및 그라파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제1플라스틱층; 상기 제1플라스틱층 상의 제2플라스틱층; 및 상기 제1플라스틱층과 상기 제2플라스틱층 사이에 개재되는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면층의 층들이 일부 박리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외광 반사성을 저감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3은 도 2의 III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자층과 배면층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변형예들이다.
도 7a 내지 도 7h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개패턴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면층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8 및 도 9의 K 에서 바라본 광흡수층의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 중 소자층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변형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는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하우징(20)과 조립될 수 있고,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전자 기기(1)의 구동을 위한 중앙 프로세서, 및 배터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 기기(1)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 북,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이 소정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윈도우 커버(100) 및 윈도우 커버(100)의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 및 배면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커버(100)는 투명한 소재를 포함한다. 윈도우 커버(100)는 예컨대 유리(glass) 기판 또는 폴리머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기판으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윈도우 커버(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따라(conformity with) 휘어진다. 일 실시예로, 윈도우 커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윈도우 커버(100)는 양 측 중 어느 한 측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 커버(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보호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 커버(100)의 단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단부 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은 윈도우 커버(100)의 배면, 예컨대 윈도우 커버(100)와 하우징(20, 도 1 참조) 사이에 배치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은 휘어진다. 예컨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100)를 따라 양 측이 휘어진 형상을 가지거나, 양측 중 어느 한 측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전면은 윈도우 커버(100)에 의해 보호되고, 배면은 배면층(3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배면층(3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배면, 예컨대 윈도우 커버(100)와 하우징(20, 도 1 참조) 사이에 배치된다. 배면층(3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따라 휘어진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은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소정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비표시영역(NDA)은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영역(D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표시영역(D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휘어진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영역(DA)은 휘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영역(DA)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제1표시영역(DA1) 및 제1표시영역(DA1)에 대하여 휘어진 제2표시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표시영역(DA1, DA2)을 통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배면층(3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배면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따라 휘어진다. 배면층(300)의 단부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우징(20)과의 조립성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면층(300)의 단부는 표시영역(DA)을 지나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되도록 연장되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Δd)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II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소자층과 배면층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변형예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은 투명 점착층(110)에 의해 윈도우 커버(100)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은 소자층(240), 터치층(260), 및 반사방지층(27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자층(240)은 플라스틱 기판(210), 플라스틱 기판(210)의 전면(210f, 이하, 제1면이라 함) 상에 배치되고 유기발광소자와 같은 표시소자를 구비한 표시소자층(220), 및 박막봉지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층(260)은 투명 점착층(250)을 매개로 소자층(2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층(260)은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자층(240) 상에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터치층(260) 상에는 외광 반사에 의한 야외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편광판, 또는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반사방지층(270)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270)은 소자층(240) 상에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터치층(260)이 투명 점착층(250)을 매개로 소자층(240) 상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터치층(260)은 소자층(240) 상에 증착 공정 등을 통해 패터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명 점착층(250)은 생략될 수 있다.
배면층(300)은 광흡수층(310),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을 포함한다.
광흡수층(310)은 카본 블랙 및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광흡수층(310)은 외부, 예컨대 윈도우 커버(100)의 외측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향해 입사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투과한 빛(이하, 외광이라 함)을 흡수한다. 외광이 광흡수층(310)에 흡수되므로, 외광이 배면층(300) 또는 플라스틱 기판(210)에 의해 반사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지나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외광 반사)를 해소할 수 있다.
광흡수층(310)은 표시영역(DA)과 전체적으로 중첩되도록 기판(210)의 배면(210r 이하, 제2면이라 함)에 배치된다. 예컨대, 광흡수층(310)의 단부는 표시영역(DA)을 지나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되, 비표시영역(NDA) 상에 위치하도록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흡수층(310)은 점착층(350)을 매개로 플라스틱 기판(210)의 제2면(210r)에 배치될 수 있다. 점착층(350)은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350)은 플라스틱 기판(210)을 향해 볼록한 (또는, 점착층(350)의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산부(351) 및 산부(35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오목한 골부(35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350)의 산부(351)는 플라스틱 기판(210)의 제2면(201r)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골부(352)는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점착층(350)의 부착시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쿠션층(320)은 광흡수층(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쿠션층(320)은 광흡수층(310)의 전면(310f, 이하, 제3면이라 함)의 반대편인 광흡수층(310)의 배면(310r, 이하, 제4면이라 함)상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320)은 소자층(240)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예컨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와 하우징(20)의 조립시, 하우징(20)에 배치되는 중앙 프로세서, 배터리 등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쿠션층(320)은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수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320)은 약 50㎛ 내지 300㎛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20, 도 1 참조)과의 조립성 향상을 위하여, 쿠션층(320)의 단부는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쿠션층(320)의 단부는 표시영역(DA)을 지나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되, 비표시영역(NDA) 상에 위치하도록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차폐층(330)은 쿠션층(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전기 차폐층(330)은 쿠션층(320)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정전기 차폐층(330)은 그라파이트 및/또는 구리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기 차폐층(330)은 소재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 또는/및 하우징(20)의 내측에 수용되는 중앙 프로세서 등에서 방출되는 열을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전기 차폐층(330)은 약 30㎛ 내지 100㎛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20)과의 조립성 향상을 위하여, 정전기 차폐층(330)의 단부는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정전기 차폐층(330)의 단부는 표시영역(DA)을 지나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되, 비표시영역(NDA) 상에 위치하도록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흡수층(310),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이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며,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는 광흡수층(310),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의 단부들 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광흡수층(310),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하우징(20)과의 조립성을 제한하지 않도록 플라스틱 기판(210)의 단부는 광흡수층(310),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의 단부들 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배면층(300)은 플라스틱 기판(210)을 따라 휘어지며, 플라스틱 기판(210)의 휘어진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개패턴(301)을 포함한다. 절개패턴(301)은 배면층(3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패턴(301)의 깊이(d)는 배면층(300)의 두께(t)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절개패턴(301)에 의해 배면층(300)의 휘어진 부분에서 배면층(300)의 각 층에 가해지는 응력은 분산될 수 있다.
배면층(3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과 별도로 제작된 필름으로서, 점착층(350)에 의해 플라스틱 기판(210)의 배면(210r, 이하 제2면이라 함)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210)의 휘어진 제2면(210b)을 따라 배면층(300)이 부착될 때, 배면층(300)을 이루는 층들 사이의 계면에는 응력이 작용하며, 이 응력에 의해 배면층(300)은 플라스틱 기판(2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배면층(300)을 이루는 층들이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면층(300)은 플라스틱 기판(210)의 휘어진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패턴(301)을 구비하므로, 배면층(300)이 플라스틱 기판(2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배면층(300)을 이루는 층들이 일부 박리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절개패턴(301)은 배면층(300) 중 일부의 층인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은 각각 절개패턴(320a, 330a)을 구비하며, 쿠션층(320)의 절개패턴(320a)과 정전기 차폐층(330)의 절개패턴(330a)은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어, 배면층(300)의 절개패턴(30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흡수층(310),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이 적층된 후,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 각각에 절개패턴(320a, 330a)을 형성할 수 있다.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의 절개패턴(320a, 330a)은 동일한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연결되어 배면층(300)의 절개패턴(30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절개패턴(301)이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을 지나도록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절개패턴(301A)은 쿠션층(32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쿠션층(320)의 절개패턴(320a)이 배면층(300)의 절개패턴(301A)일 수 있다. 쿠션층(320)에만 형성된 절개패턴(301A)은, 쿠션층(320) 상에 정전기 차폐층(330) 또는 광흡수층(510)을 형성하는 공정 전에,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절개패턴(301B)은 정전기 차폐층(33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정전기 차폐층(330)의 절개패턴(330a)이 배면층(300)의 절개패턴(301B)일 수 있다. 절개패턴(301B)은 정전기 차폐층(330)에 쿠션층(320) 등을 형성하기 전에,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정전기 차폐층(33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절개패턴(301, 301A, 301B)에 따라 응력을 분산하는 효과는 다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응력 분산의 효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패턴(301)이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에 모두 형성된 경우에 가장 좋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패턴(301B)이 정전기 차폐층(330)에만 형성된 경우가 그 다음으로, 좋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패턴(301A)이 쿠션층(320)에만 형성된 경우가 그 다음으로 좋다.
배면층(300)의 광흡수층(310)에는 절개패턴(301, 301A, 301B)이 형성되지 않는다. 광흡수층(310)에 절개패턴(301, 301A, 301B)이 형성되는 경우, 절개패턴(301, 301A, 301B)에 해당하는 영역은 외광 흡수를 하지 못하므로, 외광 반사에 따른 시인성 저하의 문제를 해소하기 어렵다.
배면층(300)의 절개패턴(301, 301A, 301B)은 광흡수층(310)의 휘어진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면층(300)이 절개패턴(301, 301A, 301B)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배면층(300)이 박리되는 경우, 광흡수층(310)이 플라스틱 기판(210)으로부터 박리되므로 플라스틱 기판(210)과 광흡수층(310) 사이의 갭을 통해 빛이 반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패턴(301, 301A, 301B)은 광흡수층(310)의 휘어진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h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개패턴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h를 참조하면, 절개패턴(301)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흡수층(310)의 구부러진 영역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일직선으로 형성되거나(도 7a), 구불구불하게 형성되거나(도 7b 내지 도 7c), 점선과 같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도 7d 내지 7h)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h에서는 도 4의 절개패턴(30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절개패턴(301A, 301B)의 경우도 도 7a 내지 도 7h에서 설명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면층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면층(300A)은 광흡수층(310A), 쿠션층(320), 정전기 차폐층(330)을 포함하며, 광흡수층(310)의 제3면(301f) 상에 배치되는 점착층(350)을 포함하며, 광흡수층(310A)과 쿠션층(320) 사이에는 제1점착층(341)이 개재되고, 쿠션층(320)과 정전기 차폐층(330) 사이에는 제2점착층(342)이 개재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배면층(300B)은 광흡수층(310B), 쿠션층(320), 정전기 차폐층(330)을 포함하며, 광흡수층(310)의 제3면(301f) 상에 배치되는 점착층(350)을 포함하며, 광흡수층(310A)과 쿠션층(320) 사이에는 제1점착층(341)이 개재되고, 쿠션층(320)과 정전기 차폐층(330) 사이에는 제2점착층(342)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및 제2점착층(341, 342)은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아크릴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배면층(300A, 300B)의 쿠션층(320), 정전기 차폐층(330)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광흡수층(310A)은 플라스틱 기재층(313) 및 블랙층(315)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층(313)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층(313)은 약 15㎛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약 1㎛ 내지 15㎛의 두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블랙층(315)은 카본 블랙 및/또는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일종의 코팅층일 수 있다. 블랙층(315)의 두께는 약 0.1 내지 2.5㎛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광흡수층(310B)은 카본 블랙 및/또는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매트릭스 물질인 수지재에 섞인 블랙 수지층일 수 있다. 매트릭스 물질인 수지재는 예컨대 PET, 아크릴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블랙 수지층의 두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약 1㎛ 내지 15㎛의 두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8 및 도 9의 K 에서 바라본 광흡수층의 평면도이다.
도 10a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점착층(350)은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산부(351)들 및 산부(351)들에 대하여 오목한 골부(352)들을 포함한다. 산부(351)들은 각각 섬형이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산부(351)들은 평면상에서 사각형, 타원형(또는 원형),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일 수 있다.
골부(352)들은 산부(351)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어 그물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골부(352)들은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배면층(300A, 300B)이 플라스틱 기판(210, 도 4 참조)에 부착될 때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면층(300A, 300B)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흡수층(310)과 플라스틱 기판(210)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외광 반사 저감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a내지 도 10c에서는, 도 8 및 도 9의 배면층(300A, 300B)에 구비된 점착층(35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배면층(300)의 점착층(350)은, 도 10a내지 도 10c에 도시된 산부(351)들과 골부(352)들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 중 소자층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소자층(240)은 플라스틱 기판(210), 표시소자층(220) 및 박막봉지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210)은 제1플라스틱층(211)과 제2플라스틱층(215),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무기층(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플라스틱층(211, 215)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일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플라스틱층(211, 215)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 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환형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polymer),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등일 수 있다.
제1 및 제2플라스틱층(211, 215)의 두께는 약 3㎛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선택적인 일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플라스틱층(211, 215)은 약 3㎛ 내지 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선택적인 일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플라스틱층(211, 215)은 약 5㎛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무기층(213)은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배리어층으로서, 질화규소(SiNx) 및/또는 산화규소(SiOx)와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무기층(213)은 약 6000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소자층(220)은 플라스틱 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화소회로(CL) 및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CL)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는 구동 반도체층(A1), 구동 게이트전극(G1), 구동 소스전극(S1), 및 구동 드레인전극(D1)을 포함하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2)는 스위칭 반도체층(A2), 스위칭 게이트전극(G2), 스위칭 소스전극(S2), 및 스위칭 드레인전극(D2)을 포함하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및 제2스토리지 축전판(CE1, CE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210)과 구동 및 스위칭 반도체층(A1, A2) 사이에는 버퍼층(201)이 개재되고, 구동 및 스위칭 반도체층(A1, A2)과 구동 및 스위칭 게이트전극(G1, G2)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층(203)이 개재되며, 제1 및 제2스토리지 축전판(CE1, CE2) 사이에는 유전체층(205)이 개재되고, 구동 및 스위칭 게이트전극(G1, G2)과 구동 및 스위칭 소스/드레인전극(S1, D1, S2, D2) 사이에는 층간 절연층(207)이 개재되며, 구동 및 스위칭 소스/드레인전극(S1, D1, S2, D2) 상에는 절연층(209)이 배치된다.
버퍼층(201)과 게이트 절연층(203)은 질화규소(SiNx) 및/또는 산화규소(SiOx)와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유전체층(205) 및 층간 절연층(207)은 전술한 산화규소, 질화규소, 및 또는 산화알루미늄(Al2O3)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절연층(209)은 Polymethylmethacrylate(PMMA)나, Polystylene(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화소전극(221), 발광층(223) 및 대향전극(225)을 포함함, 화소전극(221)은 화소정의막(213)을 통해 노출된다. 화소정의막(213)은 화소전극(221)의 가장자리를 커버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213)은 유기 절연재 및 무기 절연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유기 절연재로만, 또는 무기 절연재로만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전극(221)은 평탄화층인 절연층(209) 상에 배치된다. 화소전극(221)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층일 수 있다. 또는, 제 화소전극(221)은 은(Ag) 또는 은(Ag)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이거나, 전술한 금속 박막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성 산화물층의 다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전극(221)은 순차적으로 70Å/850 Å /50 Å 의 두께를 갖는 ITO/Ag/ITO의 3층일 수 있다.
발광층(223)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기물을 포함하며, 화소정의막(213)을 통해 노출된 화소전극(221)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발광층(223)의 아래 및/또는 위에는 홀 수송층(HTL), 홀 주입층(HI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25)은 플라스틱 기판(21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25)은 일함수가 작은 Li, Ca, LiF/Ca, LiF/Al, Al, Mg, Ag, Ag와 Mg의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투과 금속 박막일 수 있다. 또는, 대향전극(225)은 전술한 반투과 금속 박막 및 반투과 금속 박막 상에 배치되는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23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박막봉지층(230)은 제1무기층(231)과 제2무기층(232),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층(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무기층(231, 232)은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티타늄(TiN), 산화티타늄(TiO2), 산질화규소(SiON),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무기층(231, 232)은 수분 등으로부터 대향전극(225) 및 발광층(223)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233)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폴리머(polymer)계열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233)은 제1 및 제2무기층(231, 232)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유기층(233)은 제1 및 제2무기층(231, 232)의 내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제1 및 제2무기층(231, 232)의 결함을 보완하며 평탄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박막봉지층(230)은 2개의 무기층 및 이들 사이의 1개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층과 유기층의 개수 및 적층 순서는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다.
도 11a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구동 게이트전극(G1)이 제1스토리지 축전판(CE1)의 기능을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b를 참조하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1)와 비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리지 축전판(CE1)과 구동 게이트전극(G1)이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고, 제2스토리지 축전판(CE2)은 구동 소스 및 드레인전극(S1, D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스토리지 축전판(CE1, CE2)사이에는 게이트 절연층(203)이 개재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광흡수층(310), 쿠션층(320) 및 정전기 차폐층(330)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배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A)는 윈도우 커버(100), 윈도우 커버(110)의 배면에 배치되며 휘어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 및 배면층(300C)을 포함한다. 윈도우 커버(11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은 앞서 도 2 내지 도 4, 및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면층(300C)은 광흡수층(310C),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흡수층(310C)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휘어진 제2면(220r)을 따라 휘어진다. 광흡수층(310C)은 선택적으로 앞서 도 4,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흡수층(310, 310A, 310B)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일 실시예로, 광흡수층(310C)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표시영역(DA)과 전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데 반해,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휘어진 부분에만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비교적 편평한 제1표시영역(DA1)과 대응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제2면(210r)에는 광흡수층(310C)만 배치될 뿐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200)의 휘어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절개패턴(301)을 구비할 수 있다.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의 소재 및 두께 등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도 12의 변형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B)는 제1표시영역(DA1)과 대응하는 광흡수층(310C) 상에 배치되는 추가 정전기 차폐층(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정전기 차폐층(340)은 정전기 차폐층(330C)과 동일한 소재를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 정전기 차폐층(340)은 그라파이트 및/또는 구리 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추가 정전기 차폐층(340)이 정전기 차폐층(330C)과 분리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 정전기 차폐층(340)과 정전기 차폐층(330C)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이 제1표시영역(DA1)과 제2표시영역(DA2) 중 제2표시영역(DA2)에만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표시영역(DA1)과 인접한 쿠션층(320C) 및 정전기 차폐층(330C)의 단부는 제1표시영역(DA1)을 향해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전자 기기
10: 디스플레이 장치.
20: 하우징
100: 윈도우 커버
2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층
300, 300A, 300B, 300C: 배면층
310, 310A, 310B, 310C: 광흡수층
320, 320A, 320B, 320C: 쿠션층
330, 330A, 330B, 330C: 정전기 차폐층
350: 점착층

Claims (17)

  1. 휘어진 플라스틱 기판;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제1면 상의 표시소자층;
    상기 표시소자층 상의 박막봉지층;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제1면의 반대편인 제2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라스틱 기판을 따라 휘어진 광흡수층;
    상기 플라스틱 기판을 향하는 상기 광흡수층의 제3면의 반대편인 제4면 상에 배치되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 상에 배치되는 정전기 차폐층;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패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휘어지고 복수의 화소와 대응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표시영역과 전체적으로 중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표시영역을 지나 상기 비표시영역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단부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단부는, 상기 광흡수층,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의 단부들 보다 더 도출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패턴은 상기 광흡수층의 휘어진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정전기 차폐층은 각각 절개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쿠션층의 절개패턴과 상기 정전기 차폐층의 절개패턴은 서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상기 제2면과 상기 광흡수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광흡수층에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을 향하는 두께 방향으로 볼록한 산부(emboss portion)들 및 골부(deboss portion)들을 구비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부들은 각각 섬형이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골부들은 상기 산부 각각을 둘러싸도록 서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는 외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카본 블랙 및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수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플라스틱 기재층; 및
    상기 플라스틱 기재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카본 블랙 및 상기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블랙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카본 블랙 및 블랙 잉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섞인 블랙 수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폐층은, 구리 및 그라파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제1플라스틱층;
    상기 제1플라스틱층 상의 제2플라스틱층; 및
    상기 제1플라스틱층과 상기 제2플라스틱층 사이에 개재되는 무기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24248A 2016-09-27 2016-09-27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4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48A KR20180034781A (ko) 2016-09-27 2016-09-27 디스플레이 장치
US15/711,207 US10496134B2 (en) 2016-09-27 2017-09-21 Display device
CN202310963058.5A CN117042517A (zh) 2016-09-27 2017-09-27 显示装置
CN201710888106.3A CN107871770B (zh) 2016-09-27 2017-09-27 显示装置
US16/524,701 US11157044B2 (en) 2016-09-27 2019-07-29 Display device
US17/508,376 US20220043484A1 (en) 2016-09-27 2021-10-2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48A KR20180034781A (ko) 2016-09-27 2016-09-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781A true KR20180034781A (ko) 2018-04-05

Family

ID=6168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248A KR20180034781A (ko) 2016-09-27 2016-09-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496134B2 (ko)
KR (1) KR20180034781A (ko)
CN (2) CN10787177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630A (ko) * 2018-07-24 2020-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1045600A1 (ko) * 2019-09-06 2021-03-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불연속 패턴을 가지는 레이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175612A (zh) * 2019-08-16 2022-03-11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5597S1 (en) * 2014-10-01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10418585B2 (en) * 2016-05-12 2019-09-17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556812B2 (ja) * 2017-11-28 2019-08-07 Nissha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付フィルムタイプ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バイス
CN110416253B (zh) * 2018-04-26 2022-05-03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110445896B (zh) * 2018-05-04 2021-04-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显示屏组件
CN108878486A (zh) * 2018-06-26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9148517B (zh) * 2018-08-02 2022-03-22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20200055992A (ko) * 2018-11-14 2020-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950280B (zh) * 2019-02-26 2021-02-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具有静电防护结构的装置及其制备方法
CN109920938B (zh) * 2019-03-26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oled显示装置
CN110018753B (zh) * 2019-03-29 2022-03-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143561A (ko) * 2019-06-13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12634747B (zh) * 2019-09-20 2023-04-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010466B (zh) * 2019-11-22 2021-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和显示屏安装方法
US11374185B2 (en) * 2019-11-26 2022-06-2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panel
CN111355830A (zh) * 2020-02-24 2020-06-30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外壳结构物
CN111312660B (zh) * 2020-02-25 2022-08-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1184331A1 (zh) * 2020-03-20 2021-09-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11744107B2 (en) * 2020-06-0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blocking layer directly attached to supporting member for improved visibility
KR20220001038A (ko) * 2020-06-26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150929A (zh) * 2020-09-27 2020-12-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背板和显示装置
KR20220061305A (ko) * 2020-11-05 2022-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220132687A (ko) * 2021-03-23 202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5705789A (zh) * 2021-08-16 2023-02-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显示装置
KR20230032424A (ko) * 2021-08-31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CN114023781B (zh) * 2021-10-08 2023-06-16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曲面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114361360B (zh) * 2021-12-30 2024-02-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316830B (zh) * 2022-02-14 2023-12-0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复合胶带和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6639B2 (ja) * 2000-10-18 2006-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5371341B2 (ja) * 2007-09-21 2013-12-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気泳動方式の表示装置
KR101333612B1 (ko) * 2009-06-09 2013-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0242B1 (ko) * 2011-05-12 2019-11-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130025717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117890B1 (ko)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57612B1 (ko) 2013-05-21 2019-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3086B1 (ko) 2013-10-15 2020-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509439B2 (en) 2014-09-0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33261B1 (ko) 2015-01-27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49768B1 (ko) 2014-09-10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396296B1 (ko) * 2015-03-06 2022-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63454B1 (ko) * 2016-04-26 2023-08-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952938B (zh) * 2017-05-16 2020-06-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柔性显示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630A (ko) * 2018-07-24 2020-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971552B2 (en) 2018-07-24 2021-04-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4175612A (zh) * 2019-08-16 2022-03-11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WO2021045600A1 (ko) * 2019-09-06 2021-03-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불연속 패턴을 가지는 레이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71770A (zh) 2018-04-03
US20180088631A1 (en) 2018-03-29
US20220043484A1 (en) 2022-02-10
CN117042517A (zh) 2023-11-10
US11157044B2 (en) 2021-10-26
CN107871770B (zh) 2023-08-22
US10496134B2 (en) 2019-12-03
US20190354140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7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0594A (ko) 표시 패널
EP3706176A1 (en) Display panel
KR102390448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5834A (ko) 표시 패널
KR20200113092A (ko) 표시 패널
CN113439349A (zh) 显示面板
KR20200145902A (ko) 표시 패널
EP380968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38003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21002020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754716A1 (en) Display apparatus
KR20210103037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800425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21067949A (ja) 表示装置
KR20200136548A (ko) 표시장치
US20220102678A1 (en)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632613B1 (ko) 표시 패널
KR20220056929A (ko) 표시 장치
US11925052B2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031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52391A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4856A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CN112750791A (zh) 显示装置的制造方法和通过其制造的显示装置
KR20200030163A (ko) 표시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