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561A -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561A
KR20200143561A KR1020190070066A KR20190070066A KR20200143561A KR 20200143561 A KR20200143561 A KR 20200143561A KR 1020190070066 A KR1020190070066 A KR 1020190070066A KR 20190070066 A KR20190070066 A KR 20190070066A KR 20200143561 A KR20200143561 A KR 2020014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upport member
display device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도형
류용길
김원주
정우현
황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유일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3561A/ko
Priority to US16/877,562 priority patent/US11632863B2/en
Priority to EP20176397.6A priority patent/EP3761386B1/en
Priority to CN202010521642.1A priority patent/CN112086396A/zh
Publication of KR2020014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561A/ko
Priority to US18/119,165 priority patent/US2023025498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1L27/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edge clamping, e.g. clamping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4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3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29C2043/04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travelling between different stations, e.g. feeding, moulding, cur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29C2043/360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1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pressing members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parts for opening or closing the mould, e.g. movable pistons
    • B29C2043/3615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 B29C2043/3621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ments acting on the material in the same or diferent directions, e.g. making tubular T-joints, profiles
    • B29C2043/3623Forming elements, e.g. mandrels or rams or stampers or pistons or plungers or punching devices a plurality of individual elements acting on the material in the same or diferent directions, e.g. making tubular T-joints, profiles coupled on a support, e.g.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4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3/42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mould parts or sliders being movable independently from the mould halves for making undercut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B29C51/087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with at least one of the mould parts comprising independently movabl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4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H01L22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지지부재가 패널부재에서 떨어지지 않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Display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장치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부가 곡률진 표시 장치, 이러한 표시 장치를 불량을 최소화하면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며,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패널부재의 일면과 상이한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에서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는 상기 커버부재를 투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평한 부분이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며, 곡률지게 형성된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제1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영역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3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형상과 상기 제3영역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영역의 끝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영역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3영역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끝단, 상기 패널부재의 끝단 및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의 위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장변과 단변을 갖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곡률진 부분은 상기 표시 장치의 장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배치되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하고, 선형 운동 가능한 제1지그부와, 상기 제1가압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가압부의 운동 시 상기 제1가압부와 함께 선형 운동하는 선형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그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하는 제2지그부와, 상기 제2지그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성형 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제3지그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가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지그부 측으로 돌출된 제1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되는 가압바디부와, 상기 가압바디부로부터 상기 가압바디부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내부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지지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선형운동부가 선형 운동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제3지그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선형운동부의 운동 시 상기 선형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지그부에서 선형 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절곡시키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가압부를 선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그부와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지지부재를 제2지그부에 안착하는 단계와, 제1지그부의 가압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부의 운동에 따라 상기 제2지그부의 선형운동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선형 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의 일부를 절곡시키는 단계와, 제3지그부로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된 끝단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의 일부를 다시 절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되는 부분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 및/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 시 상기 가압부의 하면은 상기 선형운동부의 상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가압 시 상기 제3지그부의 측면과 상기 선형운동부의 측면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제1각도로 절곡시키고,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상기 제1각도와 상이한 제2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공압으로 흡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커버부재 및 패널부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평평한 부분과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평평한 부분에서 상기 패널부재의 절곡된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패널부재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필름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는 곡률진 부분을 갖을 수 있으며, 곡률진 부분에서 각 부재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부재의 곡률진 부분에서 부재들의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지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지그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지그부와 제3지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지그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3지그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부재를 제조하는 제조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커버부재(10), 패널부재(20) 및 지지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는 유리 및/또는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0)는 외부의 빛이 투과하거나 표시패널(20-1)에서 표시되는 이미지가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10)는 평평한 제1영역(10-1), 제1영역(10-1)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영역(10-1),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은 표시패널(20-1)의 폭 방향(예를 들면, 도 2의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은 표시패널(20-1)의 장변 부분(예를 들면, 표시패널(20-1)의 밴딩 영역(B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표시패널(20-1)의 밴딩 영역(BA)은 표시패널(20-1)의 장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은 제1영역(10-1)으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은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은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은 서로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영역(10-2)의 외면의 길이는 제3영역(10-3)의 외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2영역(10-2)의 외면의 길이 또는 제3영역(10-3)의 외면의 길이 중 하나는 제2영역(10-2)의 외면의 길이 또는 제3영역(10-3)의 외면의 길이 중 다른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영역(10-1)의 상면에서 제2영역(10-2)의 끝단 또는 제3영역(10-3)의 끝단 중 하나까지의 제1거리(W1)는 제1영역(10-1)의 상면에서 제2영역(10-2)의 끝단 또는 제3영역(10-3)의 끝단 중 다른 하나까지의 제2거리(W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거리(W1)는 제1영역(10-1)의 상면에서 제2영역(10-2)의 끝단까지의 거리이며, 제2거리(W2)는 제1영역(10-1)의 상면에서 제3영역(10-3)의 끝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영역(10-2)의 외면의 길이와 제3영역(10-3)의 외면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거리(W1)와 제2거리(W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에 배치되는 패널부재(20) 부분에서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패널부재(20)는 커버부재(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20)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패널부재(20)는 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패널부재(20)는 커버부재(10)의 하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굴곡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부재(20)는 제1영역(10-1)에서는 커버부재(10)의 하면과 같이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곡률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널부재(20)의 끝단은 커버부재(10)의 끝단보다 패널부재(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0)의 끝단은 패널부재(20)의 끝단으로부터 커버부재(10)의 하면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부재(10)의 끝단의 일부분에는 패널부재(20)가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다른 구성(예를 들면, 외부의 케이스 등)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다른 구성과 커버부재(10)가 결합하는 경우에도 커버부재(10)와 다른 구성의 결합력으로 인한 패널부재(20)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10)와 다른 구성의 결합 시 패널부재(20) 중 후술할 표시패널(20-1)의 끝단이 커버부재(10)와 다른 구성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표시패널(20-1)의 박막 봉지층(E)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널부재(20)는 표시패널(20-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20-1)은 기판(21) 상에서 표시 영역(D)과 표시 영역(D)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에는 발광부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C)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20-1)은 표시 영역(DA)의 일부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거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는 밴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밴딩 영역(BA)은 커버부재(10)의 굴곡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부재(10)의 굴곡진 부분에는 비표시 영역(NDA)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부재(10)의 굴곡진 부분에는 표시 영역(DA)의 일부와 비표시 영역(NDA)이 모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부재(10)의 굴곡진 부분에는 표시 영역(DA) 일부 및 비표시 영역(NDA)이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20-1)은 기판(21), 박막 트랜지스터(TFT), 패시베이션막(27), 유기 발광 소자(28) 및 박막 봉지층(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27) 상에 유기 발광 소자(28)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21)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2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23)이 형성된 후, 활성층(23)이 게이트 절연층(2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23)은 소스 영역(23-1)과 드레인 영역(23-3)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2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23)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23)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버퍼층(2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3)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 된다.
게이트 절연층(24)의 상면에는 활성층(2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2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26)과 게이트 절연층(24)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26) 상에 소스 전극(27-1) 및 드레인 전극(27-2)을 각각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3)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27)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28, OLED)의 화소 전극(28-1)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28-1)은 패시베이션막(27)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27-2)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 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27)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27) 상에 화소 전극(28-1)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28-1) 및 패시베이션막(27)을 덮도록 화소정의막(2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28-1)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화소 전극(28-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전극(28-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28-1)과 대향전극(28-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28-1)과 대향전극(28-3)은 중간층(28-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28-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2)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간층(28-2)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중간층(28-2)은 표시 영역(D)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중간층(28-2)은 직사각형 정사각형을 제외한 형상의 표시 영역(D)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중간층(28-2)은 표시 영역(D) 내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데,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대향전극(28-3)은 중간층(28-2) 상에 배치된다. 대향전극(28-3)은 복수개의 화소들을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8-3)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로뮴(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투광성의 도전막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대향전극(28-3) 상에는 LiF를 포함하거나, 무기절연물을 포함하거나, 유기절연물을 포함하는 캐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캐핑층은 대향전극(28-3)과 박막 봉지층(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박막 봉지층(E)은 대향전극(28-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복수의 무기층들을 포함하거나,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층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탄탈륨옥사이드, 하프늄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학기상증착법(CVD)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상기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 제3 유기층, 제4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층은 제2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층도 제3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박막 봉지층(E) 상에는 입력감지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는 박막 봉지층(E) 상에 제1터치 도전층(31), 제1절연층(32), 제2터치 도전층(33), 제2절연층(34)이 순차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전극(미표기)은 제1터치 도전층(31) 및 제2터치 도전층(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터치 도전층(33)은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로 작용하고, 제1터치 도전층(31)은 패터닝된 제2터치 도전층(33)을 일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터치 도전층(31) 및 제2터치 도전층(33) 모두 센서부로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절연층(32)은 상기 제1터치 도전층(31)의 상면을 노출 시키는 비아홀을 포함하고, 상기 비아홀을 통해서 제1터치 도전층(31)과 상기 제2터치 도전층(33)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전극(미표기)를 형성하는 제1터치 도전층(31)과 제2터치 도전층(33)을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터치전극의 저항이 감소하여, 입력감지부재(30)의 응답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전극은 유기 발광 소자(28)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전극의 제1터치 도전층(31) 및 제2터치 도전층(33)은 유기 발광 소자(28)의 발광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터치 도전층(31) 및 제2터치 도전층(33)은 각각 전도성이 좋은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터치 도전층(31) 및 제2터치 도전층(33)은 각각 투명 도전층, 알루미늄(Al), 구리(Cu) 및/또는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래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터치 도전층(31) 및 제2터치 도전층(33)은 각각 Ti/Al/Ti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절연층(32) 및 제2절연층(34)은 각각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는 박막 봉지층(E) 상에 증착 등에 의해 직접 형성되므로, 박막 봉지층(E) 상에 별도의 접착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패널(20-1)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입력감지부재(30)는 박막 봉지층(E)과 제1절연층(32) 사이에는 터치 버퍼층(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버퍼층은 박막 봉지층(E)의 손상을 방지하며, 입력감지부재(30)의 구동시 발생할 수 있는 간섭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버퍼층은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고, 예시한 재료들 중 복수의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감지부재(30)는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감지부재(30)는 터치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재(1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널부재(20)는 표시패널(20-1) 이외에도 광학적 기능부재(20-2)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적 기능부재(20-2)는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적 기능부재(20-2)는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들은 표시패널(20-1)의 화소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을 고려하여 배열될 수 있다. 컬러필터들 각각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안료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컬러필터들 각각은 전술한 안료나 염료 외에 양자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컬러필터들 중 일부는 전술한 안료나 염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산화티타늄과 같은 산란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적 기능부재(20-2)는 상쇄간섭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쇄간섭 구조물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된 제1반사층과 제1반사층을 포함할 있다. 제1반사층 및 제1반사층에서 각각 반사된 제1반사광과 제1반사광은 상쇄 간섭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광 반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표시패널(20-1)과 광학적 기능부재(20-2) 사이에는 점착층(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층(40)은 광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감지부재(30)가 내부에 배치되거나 입력감지부재(30) 상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재(50)는 패널부재(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50)는 커버부재(10)가 안착하는 패널부재(20)의 일면과 상이한 패널부재(20)의 다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50)는 쿠션부재(51), 방열부재(52) 및 차폐부재(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재(51)는 패널부재(20)에 부착되는 제1쿠션부재(51-1) 및 제1쿠션부재(51-1)에 연결되며, 패널부재(20)와 상이한 제1쿠션부재(51-1)에 배치되는 제2쿠션부재(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쿠션부재(51-1)와 제2쿠션부재(51-2)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쿠션부재(51-1)는 표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패널부재(20) 측으로 돌출되어 패널부재(2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패널부재(20)에서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제1쿠션부재(51-1)와 패널부재(20)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되어 제1쿠션부재(51-1)를 패널부재(20)에 접착시킬 수 있다. 특히 접착층은 기판(21)과 제1쿠션부재(5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쿠션부재(51-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부재(20) 및 제1쿠션부재(51-1)를 지지할 수 있다.
방열부재(52)는 쿠션부재(51)에 배치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열부재(52)는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층과 그라파이트(Graphite)를 포함하는 다른 층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재(52)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폴리이미드층이 제2쿠션부재(51-2)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재(52)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53)는 방열부재(52)에 배치되어 외부의 전기신호 또는 전자신호 등을 차폐할 수 있다. 이때, 차폐부재(53)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폐부재(53)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5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50)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열반응 테이프(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재(50)의 크기는 커버부재(1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50)의 크기는 패널부재(2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50)의 폭(예를 들면, 도 1의 Y방향)은 패널부재(20)의 폭과 동일하거나 패널부재(2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0)의 길이(예를 들면, 도 1의 X방향)는 패널부재(2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패널부재(2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폭과 길이는 곡률지지 않고 평평한 평면에 지지부재(50)와 패널부재(20)를 펼쳐놓았을 때 측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패널부재(20)와 지지부재(50)는 커버부재(10)와 다른 장치 등이 결합할 때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10)와 다른 장치에 의하여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널부재(20)와 지지부재(50)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부재(20)와 지지부재(50)는 제2영역(10-2)의 일부 및 제3영역(10-3)의 일부에 배치됨으로써 커버부재(10)의 곡률진 부분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제1지그부(110), 제2지그부(120) 및 제3지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지그부(110)는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제2지그부(120)는 지지부재(50)가 안착되어 제1지그부(110)의 선형 운동에 따라 지지부재(50)를 일차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제3지그부(130)는 일차적으로 성형된 지지부재(50)를 이차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지그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지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지그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지그부(110)는 지지부재(50)의 일면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지그부(110)는 지그구동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지그구동부(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지그구동부(140)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지그구동부(140)는 제1지그부(110)와 연결되는 볼플린저와, 볼플린저가 선형운동하는 스크류 및 스크류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지그구동부(140)는 제1지그부(110)와 연결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그구동부(14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지그부(110)를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지그구동부(140)는 제1지그부(110)에 연결되지 않고, 제2지그부(120)에 연결되어 제2지그부(120)를 선형 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지그부(110)는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그구동부(140)는 제1지그부(110)와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지그부(110)는 제1지지부(111,112), 제1가압부(113), 제1가이드부(114), 제1돌기부(115), 제1온도측정부(116), 제1가열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1,112)는 지그구동부(140)와 연결하는 제1결합지지부(111)와 제1결합지지부(111)에 연결되는 제2결합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지지부(111)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에는 제2결합지지부(112)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홈에는 제2결합지지부(112)와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111A)가 제1가압부(113) 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지지부(111)에는 제1가이드부(114) 및 제1돌기부(115)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압부(113)는 가압바디부(113A)와 돌출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바디부(113A)는 일부가 제2결합지지부(112) 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가압바디부(113A)의 돌출된 일부는 제2결합지지부(112)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가압바디부(113A)는 일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3B)는 가압바디부(113A)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3B)의 끝단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고) 이러한 경우 돌출부(113B)의 끝단은 지지부재(50)의 성형 시 지지부재(50)의 일부를 절부가 절곡 시 지지부재(50)의 일부의 절곡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14)는 제1지지부(111,112)로부터 제2지그부(미도시) 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지지부(111,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114)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제1돌기부(115)는 제1지그부(110)에 배치되어 제1지그부(110)의 외면과 제2지그부(120)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돌기부(11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돌기부(115) 중 일부는 제1가압부(113)의 외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1돌기부(115) 중 다른 일부는 제1지지부(111,112)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부(115)는 제1지그부(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제1돌기부(115)에는 높이 조절을 위한 나사, 볼트 등이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각 제1돌기부(115)가 제1지그부(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부(115)는 제1지그부(110)의 선형 운동 시 제1지그부(110)가 제2지그부(120)에 근접하는 경우 제1지그부(110)의 외면과 제2지그부(120)의 외면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5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돌기부(115)는 고무, 실리콘 및/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제2지그부(120) 외면에 제1돌기부(115)의 접촉 시 제2지그부(120) 외면에 충격을 가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온도측정부(116)는 제1지지부(111,1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온도측정부(116)는 제2결합지지부(112) 내부에 배치되어 제1지지부(111,11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온도측정부(116)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온도측정부(116)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온도측정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온도측정부(116)는 제1지지부(111,112)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5의 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가열부(117)는 제1지지부(111,112) 내부에 배치되어 제1지지부(111,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열부(117)는 제1온도측정부(116)에서 측정된 제1지지부(111,112)의 온도에 근거하여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제1가열부(117)는 제2결합지지부(1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열부(117)는 제2결합지지부(11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가열부(117)는 제2결합지지부(11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면서 제2결합지지부(112)의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직선에 대해서 제2결합지지부(112)의 측면 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가열부(117)는 지지부재(50)의 성형 시 지지부재(50)의 측면 부분에 열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1가열부(117)는 지지부재(50) 중 변형이 발생하는 부분에 열을 가함으로써 지지부재(50)의 변형을 도와줄 수 있다. 제1가열부(117)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가열부(117)는 지지부재(50) 중 변형될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지그부와 제3지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지그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3지그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제2지그부(120)는 제1지그부(미도시)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지지부재(50)가 안착할 수 있다. 제3지그부(130)는 제2지그부(1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그부(120)는 제2지지부(121), 선형운동부(122), 제1선형가이드부(123), 제2가이드부(124), 제3가이드부(125), 제2선형가이드부(126), 탄성부(127) 및 간격조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121)는 제1지지부(111,1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121)는 별도의 장치 또는 건물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1)에는 선형운동부(122)가 수납되며, 선형운동부(122)가 선형 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제3지그부(130)가 안착하고 제3지그부(130)의 일부가 선형 운동하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선형운동부(122)는 제2지지부(121)에 수납되어 제1지지부(111,112)의 선형 운동 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122)는 지지부재(5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형운동부(122)는 표면에 흡입홀(122A)이 형성되어 지지부재(50)를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선형운동부(122)는 지지부재(50)에 연결되며, 흡입홀(122A)에 연통하고 흡입홀(122A) 내부의 기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연결유로(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유로(122B)는 외부의 펌프 등과 연결되어 흡입홀(122A) 내부의 기체를 흡입할 수 있다.
제1선형가이드부(123)는 선형운동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선형가이드부(123)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지지부(121)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24)는 제1가이드부(114) 삽입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114)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2가이드부(124)는 제1가이드부(114)의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가이드부(114) 또는 제2가이드부(124) 중 하나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114) 또는 제2가이드부(124)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부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114)와 제2가이드부(124)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지지부(111,112)와 제2지지부(121)가 서로 상대 운동하는 경우 제1지지부(111,112)와 제2지지부(121) 중 하나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모든 형태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5)는 후술할 제2가압부(132)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3가이드부(125)는 제2지지부(121)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5)는 리니어모션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선형가이드부(126)는 제1선형가이드부(123)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선형운동부(122)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1선형가이드부(123) 또는 제2선형가이드부(126) 중 하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선형가이드부(123) 또는 제2선형가이드부(126)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부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선형가이드부(12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둥 형태의 부재이며, 제2선형가이드부(126)는 가이드부시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부(127)는 제2지지부(121)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며, 탄성부(127)의 다른 일부는 제2지지부(1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27)는 선형운동부(122)와 접촉하여 선형운동부(122)의 운동에 따라 압축될 수 있으며, 선형운동부(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127)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탄성부(127)는 선형운동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127)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탄성부(127)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탄성부(127)가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간격조절부(128)는 제2지지부(121)를 관통하여 선형운동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128)는 탄성부(127)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격조절부(128)는 선형운동부(12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선형운동부(122)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형운동부(122)에 결합되는 간격조절부(128)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간격조절부(128)가 선형운동부(122) 내부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격조절부(128)는 선형운동부(122)의 외면과 제2지지부(121)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127)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지그부(130)는 구동부(131), 제2가압부(132), 이동블록(133), 고정브라켓(134), 단열부재(135), 제4가이드부(136), 제2돌기부(137), 제2가열부(138) 및 제2온도측정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1)는 제2가압부(132) 및 이동블록(133)을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1)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131)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131)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131)는 볼스크류와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부(131)가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가압부(132)는 일면이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미도시)를 마주보는 제2가압부(132)의 일면을 평평할 수 있다.
제2가압부(132)는 만곡부(133A,133B,13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133A,133B,133C)는 삽입홈(13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32C)의 단면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32C)은 돌출부(113B)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삽입홈(132C)의 주변에는 제1돌기(132A)와 제2돌기(13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돌기(132A)와 제2돌기(132B)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돌기(132A) 및 제2돌기(132B) 사이에는 삽입홈(132C)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돌기(132A)는 제2돌기(132B)보다 선형운동부(122)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132A)의 끝단 및 제2돌기(132B)의 끝단은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돌기(132A)의 끝단 및 제2돌기(132B)의 끝단은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블록(133)은 구동부(131) 및 제2가압부(13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이동블록(133)은 구동부(131)의 작동에 따라 선형 운동함으로써 제2가압부(13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고정브라켓(134)은 제2지지부(1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34)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131)를 지지할 수 있다.
단열부재(135)는 고정브라켓(134)과 구동부(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열부재(135)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134)을 통하여 구동부(131)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가이드부(136)는 제2지지부(121)와 이동블록(133)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블록(133)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4가이드부(136)는 제2지지부(121)에 고정되거나 고정브라켓(13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4가이드부(136)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부(137)는 제2가압부(13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137)는 제2가압부(132)의 측면과 선형운동부(122)의 측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돌기부(137)는 제2가압부(132)에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제2가압부(132)에 고정되며, 볼트 또는 나사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2가압부(13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137)는 제1돌기부(115)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열부(138)는 제2가압부(132)에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가열부(138)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제2가압부(132)의 길이방향(예를 들면, 도 9의 X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열부(138)는 돌출부(113B)와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제2가열부(138)는 지지부재(50)의 변형되는 부분에 열을 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온도측정부(139)는 제2가압부(132)에 배치되어 제2가압부(13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온도측정부(139)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온도측정부(139)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온도측정부(139)는 제2가압부(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지지부재(50)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부재를 제조하는 제조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지지부재(50)는 별도의 필름부재(90)가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부재(90)는 지지부재(50)의 쿠션부재(미도시)에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필름부재(90)가 부착된 지지부재(50)는 제2지그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122)의 일면은 제2지지부(121)의 일면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부재(50)는 제2지지부(121)의 일면 및 선형운동부(122)의 일면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선형운동부(122)는 흡입홀(122A)을 통하여 지지부재(50)를 흡착함으로써 지지부재(5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도 11 참고)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50)가 제2지그부(120)에 안착하면, 지그구동부(140)가 작동하여 제1지그부(110)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제1지그부(110)는 선형 운동하는 경우 제1가압부(113)가 지지부재(5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압부(113)는 지지부재(50)를 가압함으로써 선형운동부(122)를 가압하고, 선형운동부(122)는 제1가압부(113)와 함께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가압부(113)에 배치된 제1돌기부(115)는 선형운동부(122)와 접촉할 수 있으며, 제1가압부(113)에 배치된 제1돌기부(115)가 선형운동부(122)와 접촉한 후 제1지지부(111,112)에 배치된 제1돌기부(115)는 제2지지부(121)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탄성부(127)는 선형운동부(122)의 운동에 따라 압축되며, 간격조절부(128)는 선형운동부(122)와 함께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지그부(110)의 운동에 따라 제1가이드부(114)는 제2가이드부(124)에 삽입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제1선형가이드부(123)는 제2선형가이드부(126)에 삽입되어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부(117)가 작동하여 제1지그부(11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가열부(117)는 제1지그부(110)가 선형 운동하기 전에 작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가열부(117)는 제1지그부(110)가 선형 운동하는 동안 작동할 수도 있다. 이때, 제1온도측정부(116)는 제1지그부(1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1온도측정부(116)에서 측정된 제1지그부(110)의 온도와 기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제1가열부(117)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온도측정부(116)에서 측정된 제1지그부(11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제1가열부(117)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1온도측정부(116)에서 측정된 제1지그부(11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이면, 제1가열부(117)를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지그부(110)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 지지부재(50)의 끝단 부분은 제1가압부(113) 및 제2가압부(132)에 의하여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압부(113)가 선형 운동하면서 지지부재(50)의 중앙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 지지부재(50)의 끝단은 제2가압부(132)의 돌출부(113B)에 걸림으로써 제1지그부(110) 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후 지지부재(50)의 끝단 부분은 제1가압부(113)의 운동에 따라 돌출부(113B)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지지부재(50)의 끝단 부분은 일차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50)의 끝단은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절곡이 시작되는 부분이 제1각도를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50)의 절곡된 부분은 제1곡률반경을 갖는 곡면(또는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도 1 및 도 12 참고)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제1가압부(113)로 선형운동부(122)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제2가압부(132)가 선형 운동하여 1차적으로 변형된 지지부재(50)의 끝단 부분을 2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2가압부(132)는 제3가이드부(125)를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으며, 이동블록(133)은 제4가이드부(136)를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부(131)가 작동하여 이동블록(133)과 제2가압부(13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3B)와 만곡부(133A,133B,133C)는 지지부재(50)의 변형된 끝단을 가압하여 2차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50)의 변형된 끝단 부분이 삽입홈(132C)에 수용되고, 돌출부(113B)와 함께 지지부재(5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재(50)의 끝단 부분은 1차 성형보다도 더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50)의 끝단 부분은 제2곡률반경을 갖는 곡면(또는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곡률반경은 제1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0)의 평평한 부분에서 지지부재(50)가 절곡된 부분의 경계에서 절곡이 시작되는 지지부재(50) 부분이 지지부재(50)의 평평한 부분과 형성하는 각도는 상기 도 12에서 설명한 각보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재(50)의 끝단은 선형운동부(122)에 안착되는 지지부재(50)의 일면과 상이한 지지부재(50)의 다른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2가열부(138)는 지지부재(50)의 변형을 원활하게 하도록 제2가압부(13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온도측정부(139)는 제2가압부(13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가열부(138)는 제2온도측정부(139)에서 측정된 온도를 근거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가열부(138)의 제어방법은 제1가열부(117)의 제어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50)가 절곡되는 경우 필름부재(90)도 지지부재(50)와 함께 절곡될 수 있다. 또한, 필름부재(90) 중 일부(예를 들면, 필름부재(90)의 양 끝단)은 제2지지부(121)에 안착되어 지지부재(50)를 지지할 수 있다.(도 13 참고)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구동부(131)가 도 13과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31)의 작동에 따라 이동블록(133)과 제2가압부(13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가압부(132)는 지지부재(50)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도 14 참고)
이후 지그구동부(140)가 작동하여 제1가압부(113)를 선형운동부(1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흡입홀(122A)은 거의 진공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지지부재(50)는 선형운동부(122)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0)의 최외곽의 크기는 제1돌기(132A) 사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음으로써 상기와 같이 제1가압부(113)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에도 지지부재(5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가압부(113)가 작동하는 경우 탄성부(127)는 선형운동부(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가압부(113)가 지속적으로 선형 운동하는 경우 선형운동부(122)는 초기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선형운동부(122)는 간격조절부(128)에 의해 더 이상 제1가압부(113)의 운동과 함께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부재(50)는 선형운동부(12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가압부(113)가 선형 운동을 지속하면 제1가압부(113)는 지지부재(5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제1가압부(113)는 지지부재(50)의 절곡된 부분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50)의 절곡된 부분은 어느 정도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제1가압부(113)가 인출된 후에도 선형 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도 13)
상기와 같이 성형된 지지부재(50)는 필름부재(90)가 부착된 상태로 외부로 반출되거나 다른 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커버부재(10)와 패널부재(20)는 별도의 장치 등을 통하여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상기 도 11 내지 도 15에서 제조된 지지부재(50)를 패널부재(2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필름부재(90)는 제거된 상태일 수 있으며, 필름부재(90)가 제거되면 지지부재(50)의 일면에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에 배치된 패널부재(20) 및 지지부재(50)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후 지지부재(50)의 일면에서 가압롤러(R) 등으로 지지부재(5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압롤러(R)는 지지부재(50)의 일부분(예를 들면, 지지부재(50)의 중앙 부분)에서 지지부재(50)의 절곡된 부분 또는 지지부재(50)의 끝단까지 이동하면서 지지부재(50)를 패널부재(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롤러(R)는 도 16의 Z축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가압롤러(R)가 상기와 같이 운동하는 경우 지지부재(50)의 절곡된 부분은 펼쳐지면서 패널부재(2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50)의 양단을 절곡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패널부재(20)에 부착하는 경우 패널부재(20)의 끝단 부분에서 지지부재(50)가 먼저 접촉되거나 패널부재(20)의 끝단과 패널부재(20)의 중앙 부분에서 지지부재(50)의 부착 후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50)를 평평한 상태에서 부착하는 경우 패널부재(20)의 끝단 부분은 패널부재(20)의 다른 부분보다 지지부재(50)에 가깝게 배치되어 패널부재(20)의 끝단과 지지부재(50)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재(50)의 중앙 부분에서 합착을 시작하여 지지부재(50)의 끝단 측으로 순차적으로 지지부재(50)와 패널부재(20)를 합착하더라도 지지부재(50)의 중앙 부분과 지지부재(50)의 끝단 사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50)를 평평한 상태에서 패널부재(20)에 부착하는 경우 커버부재(10)의 곡률진 부분에서 지지부재(50)가 패널부재(20)의 부착 후 지지부재(5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패널부재(2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의 끝단 부분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절곡시킨 상태에서 패널부재(20)에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지지부재(50)의 끝단의 곡률반경은 커버부재(10) 및/또는 패널부재(20)의 끝단의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50)의 일부분(예를 들면, 중앙 부분)보다 먼저 패널부재(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지지부재(50)와 패널부재(20)의 부착 시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지지부재(50)를 패널부재(20)에 고정 시 커버부재(10)의 곡률진 부분에서 지지부재(50)가 패널부재(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커버부재(10), 표시패널(20-1) 및 지지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0), 표시패널(20-1) 및 지지부재(5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부재(10), 표시패널(20-1) 및 지지부재(50)는 도 1에서 설명한 부분과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부재(10)는 제1영역(10-1′), 제2영역(10-2′) 및 제3영역(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영역(10-2′) 및/또는 제3영역(10-3′)은 적어도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영역(10-2′)의 곡률진 부분과 제3영역(10-3′)의 곡률진 부분은 곡률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영역(10-2′)의 곡률진 부분의 곡률반경은 제3영역(10-3′)의 곡률진 부분의 곡률반경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2영역(10-2′)의 곡률반경과 제3영역(10-3′)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한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영역(10-2′)의 곡률반경과 제3영역(10-3′)의 곡률반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2영역(10-2′)의 길이와 제3영역(10-3′)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영역(10-2′)의 길이 또는 제3영역(10-3′)의 길이 중 하나는 제2영역(10-2′)의 길이 또는 제3영역(10-3′)의 길이 중 다른 하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2영역(10-2′)의 길이와 제3영역(10-3′)의 길이는 각 영역의 외면의 길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영역(10-2′)의 끝단과 제1영역(10-1′)의 일면까지의 거리는 제3영역(10-3′)의 끝단과 제1영역(10-1′)의 일면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영역(10-2′)의 끝단과 제1영역(10-1′)의 일면까지의 제1거리(W1)는 제3영역(10-3′)의 끝단과 제1영역(10-1′)의 일면까지의 제2거리(W2)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거리는 도 18의 Z방향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패널부재(20) 및/또는 지지부재(50)의 끝단은 커버부재(10)의 끝단과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부재(20) 및/또는 지지부재(50)의 끝단은 커버부재(10)의 끝단보다 커버부재(10)의 중심과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1지그부(110′), 제2지그부(120′), 제3지그부(130′) 및 지그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지그부(110′), 제2지그부(120′), 제3지그부(130′) 및 지그구동부(140′)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그구동부(140′)는 제2지그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지그부(120′)는 제1지그부(1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지그부(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지그부(120′)는 지그구동부(140′)의 작동에 따라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3지그부(130′)는 제2지그부(120′)의 선형 운동 시 제2지그부(120′)와 함께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3지그부(130′)는 지지부재(미도시)의 양단을 절곡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필름부재(미도시)가 부착된 상기 지지부재를 제2지그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지그부(120′)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가 제2지그부(120′)에 고정되면, 지그구동부(140′)를 작동시켜 제2지그부(120′)를 제1지그부(110′)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가압부(131′)가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할 수 있으며, 선형운동부(122′)가 제1가압부(131′)에 의해 제2지지부(121′) 내부로 진입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을 1차적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후 제3지그부(130′)가 작동하여 1차적으로 절곡된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을 다시 한번 더 절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은 1차적으로 절곡될 때보다 더 큰 각도를 갖도록 절곡될 수 있다.
지그구동부(140′)가 상기와 반대로 구동되면, 제2지그부(120′)는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절곡된 상기 지지부재는 제2지그부(1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제1가압부(13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후 양단이 절곡된 상기 지지부재를 외부로 인출한 후 상기 필름부재를 제거하고 패널부재(미도시)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패널부재에 부착된 형태는 도 1, 도 16 또는 도 18의 형태와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커버부재
20: 패널부재
20-1: 표시패널
20-2: 광학적 기능부재
30: 입력감지부재
40: 점착층
50: 지지부재
100: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10: 제1지그부
120: 제2지그부
130: 제3지그부
140: 지그구동부

Claims (39)

  1.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며, 이미지를 표시하는 패널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배치되는 상기 패널부재의 일면과 상이한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에서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는 상기 커버부재를 투과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평한 부분이 배치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며, 곡률지게 형성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제1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영역과 반대편에 배치된 제3영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형상과 상기 제3영역의 형상은 상이한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영역의 끝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1영역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3영역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끝단, 상기 패널부재의 끝단 및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의 위치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는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장변과 단변을 갖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곡률진 부분은 상기 표시 장치의 장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1.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배치되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한 제1지그부;
    상기 제1가압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선형 운동 가능한 선형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그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하는 제2지그부; 및
    상기 제2지그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성형 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제3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그부 및 상기 제2지그부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 운동 가능하고,
    상기 제1지그부 및 상기 제2지그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선행 운동 시 상기 선형운동부는 상기 제1가압부와 함께 선형 운동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가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지그부 측으로 돌출된 제1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되는 가압바디부; 및
    상기 가압바디부로부터 상기 가압바디부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내부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지지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선형운동부가 선형 운동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제3지그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선형운동부의 운동 시 상기 선형운동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지그부에서 선형 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절곡시키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가압부를 선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2온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2가압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그부와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8. 지지부재를 제2지그부에 안착하는 단계;
    제1지그부의 가압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하는 단계;
    상기 제2지그부의 선형운동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선형 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의 일부를 절곡시키는 단계; 및
    제3지그부로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된 끝단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의 일부를 다시 절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되는 부분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 및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가압 시 상기 가압부의 하면은 상기 선형운동부의 상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을 가압 시 상기 제3지그부의 측면과 상기 선형운동부의 측면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제1각도로 절곡시키고,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 일부를 상기 제1각도와 상이한 제2각도로 절곡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보다 더 큰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공압으로 흡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6.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커버부재 및 패널부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평평한 부분과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평평한 부분에서 상기 패널부재의 절곡된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패널부재 상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필름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0070066A 2019-06-13 2019-06-13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00143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66A KR20200143561A (ko) 2019-06-13 2019-06-13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6/877,562 US11632863B2 (en) 2019-06-13 2020-05-19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0176397.6A EP3761386B1 (en) 2019-06-13 2020-05-26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N202010521642.1A CN112086396A (zh) 2019-06-13 2020-06-10 显示装置及制造显示装置的设备和方法
US18/119,165 US20230254985A1 (en) 2019-06-13 2023-03-08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66A KR20200143561A (ko) 2019-06-13 2019-06-13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561A true KR20200143561A (ko) 2020-12-24

Family

ID=7085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066A KR20200143561A (ko) 2019-06-13 2019-06-13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632863B2 (ko)
EP (1) EP3761386B1 (ko)
KR (1) KR20200143561A (ko)
CN (1) CN1120863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2953B (zh) * 2021-11-02 2024-01-09 东莞正广精密科技有限公司 用液晶制作手机后壳的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96B2 (ja) 1978-12-18 1985-02-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模様編編機
JPH09117480A (ja) 1995-10-25 1997-05-06 Zentaro Kojima 棺用蓋と棺用蓋成型用金型装置と棺用蓋の製造方法
US9439315B2 (en)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06167B1 (ko) 2013-03-25 2014-06-16 홍형복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용 위한 금형, 그리고 이에 의한 케이스 제조방법
JP5947766B2 (ja) 2013-08-16 2016-07-0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金型セット、熱成形装置、熱成形方法、及び熱成形品
KR20150030990A (ko) 2013-09-13 2015-03-23 주식회사 동구기업 렉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한 양 측면 벤딩성형용 가동금형
JP6349932B2 (ja) 2014-05-07 2018-07-04 東洋製罐株式会社 パウチの折り曲げ加工方法及び折り曲げ加工装置
US9298220B2 (en) * 2014-09-02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89568B1 (ko) 2014-09-18 2016-12-2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프레스 장치
KR101738411B1 (ko) 2015-04-03 2017-05-24 (주)대호테크 진공흡착이동식 유리성형장치
KR20170013574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새해성 차량의 어퍼 암 제조용 금형장치
JP6004296B1 (ja) 2015-08-12 2016-10-05 株式会社吉野機械製作所 曲げ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曲げ方法
KR102556026B1 (ko) 2015-10-26 202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51139B1 (ko) 2016-03-10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4781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887799B2 (ja) * 2016-12-26 2021-06-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90047168A (ko) 2017-10-26 2019-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54985A1 (en) 2023-08-10
CN112086396A (zh) 2020-12-15
EP3761386A2 (en) 2021-01-06
EP3761386A3 (en) 2021-03-31
US20200396849A1 (en) 2020-12-17
US11632863B2 (en) 2023-04-18
EP3761386B1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989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367020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roll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09606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WO2016086540A1 (zh) Oled触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12728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9985227B2 (en) Display device
US9802276B2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frame assembly,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230254985A1 (en)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2427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201831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114765249A (zh) 覆盖窗、显示装置和用于制造显示装置的设备
US113874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30017393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10025763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08859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10021232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2202164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219972435U (zh) 掩模组件
US2022038477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20230416901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mas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218831211U (zh) 显示装置
US20230180514A1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2505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KR20230054552A (ko) 마스크 조립체,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