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026B1 -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026B1
KR102556026B1 KR1020150148820A KR20150148820A KR102556026B1 KR 102556026 B1 KR102556026 B1 KR 102556026B1 KR 1020150148820 A KR1020150148820 A KR 1020150148820A KR 20150148820 A KR20150148820 A KR 20150148820A KR 102556026 B1 KR102556026 B1 KR 10255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ver window
guide
panel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654A (ko
Inventor
서영석
정철윤
김무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026B1/ko
Priority to US15/261,183 priority patent/US10899065B2/en
Priority to CN201610941270.1A priority patent/CN106611825B/zh
Publication of KR2017004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8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 B29C51/082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 B29C51/087Deep drawing or matched-mould forming, i.e. using mechanical means only by shaping between complementary mould parts with at least one of the mould parts comprising independently movable se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5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magnetic forces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커버윈도우가 안착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되는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금형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어 형상이 가변되며, 패널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안내부와의 상호 자기력에 의해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먼저 상기 커버윈도우로 안내하는 형상가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A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용 전자 기기로는 모바일 폰과 같은 소형 전자 기기 이외에도 최근 들어 태블릿 PC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 전자 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과 같은 시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이 소형화됨에 따라, 표시부가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평평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부릴 수 있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일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된 커버윈도우나 일부가 곡률지게 형성된 커버윈도우에 패널 부재를 부착하는 경우 커버윈도우의 절곡된 부분이나 커버윈도우의 곡률진 부분에 패널부재가 먼저 접착됨으로써 다른 부분이 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윈도우와 패널 부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접착이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버윈도우가 안착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되는 제1 안내부와, 상기 제1 금형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어 형상이 가변되며, 패널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안내부와의 상호 자기력에 의해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먼저 상기 커버윈도우로 안내하는 형상가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또는 상기 형상가변부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부 또는 상기 형상가변부 중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형상가변부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금형의 중심에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을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커버윈도우와 먼저 접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금형의 곡률진 부분 또는 절곡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금형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서브안내부와,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서브안내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제2 서브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안내부와 상기 제2 서브안내부는 자기장의 세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된 상기 제1 서브안내부의 제1 높이와 상기 제2 서브안내부의 제2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안내부 및 상기 제2 서브안내부는 선택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부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부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상가변바디부와, 상기 형상가변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안내부와 자기력에 의해 근접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형상가변바디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도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형상가변바디부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커버윈도우를 제1 금형에 안착하고, 패널부재를 형상가변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변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를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형상가변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패널부재를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은 자기장에 의한 인력으로 상기 패널부재와 상기 커버윈도우가 가까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은 자기장에 의한 척력으로 상기 패널부재와 상기 커버윈도우의 근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자기력의 세기는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자기력의 세기와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과 상기 커버윈도우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와 패널 부재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와 패널 부재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에 패널 부재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형상가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1 금형 및 제1 안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1 금형, 제1 안내부 및 센서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형상가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제1 금형(110), 제2 금형(120), 제1 안내부(130), 형상가변부(140), 커버윈도우고정부(150), 압력조절부(160), 흡입부(170) 및 금형구동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110)은 커버윈도우(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10)은 금속 재질, 합성 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이 커버윈도우(10)의 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가 일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커버윈도우(10)의 다른 부분은 곡률지게 형성되는 경우 제1 금형(110)의 일면 중 일부분은 평평하고 제1 금형(110)의 일면 중 다른 부분은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형(12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금형(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형(120)은 제1 금형(11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형구동부(18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금형구동부(180)는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를 운동시킴으로써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을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사이에는 실링부(111)가 설치되어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결합 시 형성하는 공간과 외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실링부(111)는 일반적인 링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실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금형(110)이 금형구동부(180)에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안내부(130)는 제1 금형(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내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 안내부(130)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내부(130)는 영구자석, 전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안내부(13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안내부(13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내부(130)는 금속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내부(13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력에 의하여 인력이나 척력이 발생하는 모든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안내부(130)는 자석 중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안내부(130)는 제1 금형(1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안내부(130)는 패널부재(20)가 가장 먼저 커버윈도우(10)에 부착되어야 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 금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안내부(130)는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 상의 제1 금형(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안내부(130)는 일자로 제1 금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안내부(130)는 도 1의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금형(110)에 설치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형상가변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가변바디부(141)와 제2 안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바디부(141)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형상가변부(140)는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내부(14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안내부(142)는 자석 또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안내부(14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안내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안내부(142)가 자성체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형상가변부(140)는 신축성 있는 자성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형상가변부(140)는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형상가변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가변바디부(141) 내부에 자성체 또는 자화된 입자가 포함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자성체 또는 자화된 입자 등은 분말 형태로 형성된 후 형상가변바디부(141)를 형성하는 물질과 혼합되어 형상가변바디부(141)의 제조 시 형상가변바디부(141)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형상가변부(140)는 형상가변바디부(141)와 제2 안내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바디부(141)와 제2 안내부(142)는 서로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형상가변부(140)의 일부는 형상가변바디부(141)로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제2 안내부(142)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 안내부(142)는 제1 안내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안내부(142)는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 중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윈도우고정부(150)는 커버윈도우(10)를 제1 금형(1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고정부(1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고정부(150)는 점전척 또는 정정척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고정부(150)는 제1 금형(110)에 설치되는 돌기, 클램프 등과 같은 구조물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고정부(150)는 제1 펌프(152), 제1 안내유로(151)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안내유로(151)는 제1 금형(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윈도우(10)가 안착하는 제1 금형(110)의 일면에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펌프(152)가 제1 안내유로(151) 내부의 압력을 거의 진공에 가깝게 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를 제1 금형(1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고정부(150)가 제1 펌프(152) 및 제1 안내유로(151)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압력조절부(160)는 제2 금형(120) 내부로 연결되며, 제2 금형(120)과 형상가변부(140)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 또는 액체를 공급하여 형상가변부(140)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부(160)는 제2 금형(120) 내부로 연결되는 공급유로(161)와 공급유로(161) 상에 설치되는 압력조절펌프(16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170)는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부(170)는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2 안내유로(171)와 제2 안내유로(171)에 설치되는 제2 펌프(172)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구동부(180)는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를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금형구동부(180)는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금형구동부(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금형구동부(180)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금형구동부(180)는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금형구동부(180)는 일 실시예로써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형구동부(180)는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금형구동부(180)는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랙 기어와, 랙 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금형구동부(18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금형(110) 및 제2 금형(12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형 운동시키는 장치 및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형구동부(180)가 제1 금형(110)과 연결되어 제1 금형(110)을 선형 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를 통하여 표시 장치(미표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을 분리한 후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는 각각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로봇암 또는 셔틀 등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커버윈도우(10)가 제1 금형(110)에 안착되면, 제1 펌프(152)가 작동하여 제1 안내유로(151)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커버윈도우(10)를 제1 금형(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부재(20)는 형상가변부(140) 상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가 배치되기 전 또는 배치된 후 커버윈도우(10) 및 패널부재(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의 외부에서 패널부재(20) 상에 접착부재(30)가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2 금형(120)과 근접하도록 금형구동부(180)가 작동하여 제1 금형(110)을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도 1의 Z축방향)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이 완전히 결합하면, 실링부(111)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의 결합면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펌프(162)가 작동하여 공급유로(161)를 통하여 기체 또는 액체를 제2 금형(120)과 형상가변부(140) 사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부(140)의 형상은 가변하게 되고, 형상가변부(140)는 커버윈도우(10) 측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상가변부(140)가 움직이는 경우 종래에는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의 끝단 또는 곡률진 부분의 일부분이 패널부재(20)와 가장 먼저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양단 부분이 먼저 부착되는 경우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기체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에 사이에 갇히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는 전면에서 부착되지 않으며,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여 제품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안내부(130)와 제2 안내부(142)는 패널부재(20)의 일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먼저 커버윈도우(10)에 안내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처음으로 커버윈도우(10)에 접착되는 패널부재(20)의 일 부분은 커버윈도우(10)의 양단이 아닐 수 있으며, 커버윈도우(10)의 양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내부(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윈도우(10)의 양단이 아닌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먼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접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가변부(140)의 형상이 가변하는 경우 제1 안내부(130)의 자기장에 의하여 제2 안내부(142)는 자기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안내부(130)와 제2 안내부(142)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여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형상가변부(140)의 형상이 가변함에 따라 제2 안내부(142)는 제1 안내부(1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부재(20)는 제1 안내부(130)가 배치된 부분의 커버윈도우(10) 부분과 가장 먼저 부착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30) 부분에서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의 접착이 시작되면, 압력조절펌프(162)는 계속해서 작동함으로써 형상가변부(140)를 계속 팽창시킬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는 처음 접착된 지점을 중심으로 커버윈도우(10)의 양단으로 순차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동안 제2 펌프(172)가 작동하여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기체는 형상가변부(140)의 팽창에 따라서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서 제2 안내유로(17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의 접착이 완료되면, 제2 펌프(172)의 작동은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펌프(152)는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제조된 상기 표시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펌프(162)는 공급유로(16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형상가변부(140)를 초기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금형구동부(180)는 상기와 반대로 작동함으로써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을 분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로봇암은 제조된 상기 표시 장치를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A)는 제1 금형(110A), 제2 금형(120A), 제1 안내부(130A), 형상가변부(140A), 커버윈도우고정부(150A), 압력조절부(160A), 흡입부(170A) 및 금형구동부(18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110A)은 커버윈도우(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10A)은 일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금형(110A)의 양단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금형(120A)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내부(130A)는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2 서브안내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2 서브안내부(132A)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2 서브안내부(132A)가 모두 영구자석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2 서브안내부(132A)는 제1 금형(110A)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안내부(131A)는 제1 금형(110A)의 중심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서브안내부(132A)는 제1 금형(110A)의 절곡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서브안내부(132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110A)의 절곡이 시작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안내부(132A)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제2 서브안내부(132A)는 제1 금형(110A)의 절곡된 부분에 각각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서브안내부(132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제2 서브안내부(132A)는 제1 금형(110A)의 절곡된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2 서브안내부(132A)는 커버윈도우(10)와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와 마주보는 제1 서브안내부(131A)의 극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일 수 있으며, 커버윈도우(10)와 마주보는 제2 서브안내부(132A)의 극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일 수 있다.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2 서브안내부(132A)의 자기력의 세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안내부(131A)의 자기력의 세기는 제2 서브안내부(132A)의 자기력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A)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형상가변부(140A)가 형상가변바디부(141A)와 제2 안내부(142A)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안내부(142A)는 형상가변바디부(141A)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어 형상가변부(140A)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안내부(142A)는 자석 또는 자성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안내부(142A)가 자석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안내부(142A)는 제3 서브안내부(142A-1)와 제4 서브안내부(142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서브안내부(142A-1)는 제1 서브안내부(131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서브안내부(142A-2)는 제2 서브안내부(132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 서브안내부(142A-1)와 제4 서브안내부(142A-2)는 커버윈도우(10)와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와 마주보는 제3 서브안내부(142A-1)의 극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극 일 수 있으며, 커버윈도우(10)와 마주보는 제4 서브안내부(142A-2)의 극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일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제1 서브안내부(131A)의 극성과 제3 서브안내부(142A-1)의 극성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제2 서브안내부(132A)의 극성과 제4 서브안내부(142A-2)의 극성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커버윈도우고정부(150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고정부(150A)가 점전척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압력조절부(160A)는 공급유로(161A)와 압력조절펌프(16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170A)는 제2 안내유로(171A)와 제2 펌프(17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부(160A)와 흡입부(170A)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금형구동부(180A)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형구동부(180A)가 제1 금형(110A)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A)의 작동을 살펴보면,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제1 금형(110A)과 제2 금형(120A) 사이에 진입시킨 후 금형구동부(180A)가 작동하여 제1 금형(110A)과 제2 금형(120A)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금형(110A)과 제2 금형(120A)의 결합된 후 압력조절펌프(162A)가 작동하여 제2 금형(120A)과 형상가변부(140A) 사이의 공간에 기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여 형상가변부(140A)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상가변부(140A)가 팽창하는 경우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3 서브안내부(142A-1)는 서로 인력이 발생하고, 제2 서브안내부(132A)와 제4 서브안내부(142A-2)는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서브안내부(132A)가 설치된 커버윈도우(10)의 다른 부분에는 패널부재(20)가 먼저 근접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제1 서브안내부(131A)가 설치된 커버윈도우(10)의 일 부분은 제1 서브안내부(131A)와 제3 서브안내부(142A-1)의 인력으로 인하여 커버윈도우(10)의 다른 부분보다 패널부재(20)와 먼저 접착될 수 있다. 특히 제1 서브안내부(131A)의 자기력의 세기가 제2 서브안내부(132A)의 자기력의 세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패널부재(20)는 제1 서브안내부(131A)가 위치한 커버윈도우(10) 부분에 먼저 접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의 접착이 시작된 후 압력조절펌프(162A)가 계속해서 작동하면,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는 제1 서브안내부(131A)가 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부터 커버윈도우(10)의 양단까지 순차적으로 커버윈도우(10)와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펌프(172A)는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A)는 제1 서브안내부(131A)가 배치된 패널부재(20)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커버윈도우(10)와 근접한 후 패널부재(20)를 커버윈도우(10)와 가장 먼저 접착시킨 후 순차적으로 커버윈도우(10)의 절곡된 부분과 패널부재(20)를 접착시킴으로써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 사이에 이물질 또는 기포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A)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절곡된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의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1 금형 및 제1 안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B)는 제1 금형(110B), 제2 금형(미도시), 제1 안내부(130B), 형상가변부(140B), 커버윈도우고정부(150B), 압력조절부(미도시), 흡입부(미도시) 및 금형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10B), 상기 제2 금형, 커버윈도우고정부(150B), 상기 압력조절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금형구동부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내부(130B)는 제1 서브안내부(131B)와 제2 서브안내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안내부(131B)와 제2 서브안내부(132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서브안내부(131B)와 제2 서브안내부(132B)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제1 금형(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안내부(131B)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거리는 제2 서브안내부(132B)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서브안내부(131B)는 제2 서브안내부(132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B)는 형상가변바디부(141B)와 제2 안내부(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바디부(141B)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안내부(142B)는 제3 서브안내부(142B-1)와 제4 서브안내부(142B-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서브안내부(142B-1)와 제4 서브안내부(142B-2)는 각각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의 접착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안내부(130B)와 제2 안내부(142B) 사이에 작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형상가변부(140B)가 팽창하여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를 합착하는 경우 제1 서브안내부(131B)와 제3 서브안내부(142B-1) 사이의 거리는 제2 서브안내부(132B)와 제4 서브안내부(142B-2)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안내부(131B)는 제3 서브안내부(142B-1)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2 서브안내부(132B)와 제4 서브안내부(142B-2) 사이에서도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서브안내부(131B)와 제3 서브안내부(142B-1) 사이의 인력이 제2 서브안내부(132B)와 제4 서브안내부(142B-2) 사이의 인력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 서브안내부(131B)이 배치된 부분에서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가 먼저 접착될 수 있다.
이후 형상가변부(140B)의 팽창에 따라서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는 최초 접착 지점으로부터 커버윈도우(10)의 양단까지 순차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B)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B)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B)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의 제1 금형, 제1 안내부, 형상가변부 및 센서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C)는 제1 금형(110C), 제2 금형(미도시), 제1 안내부(130C), 형상가변부(140C), 커버윈도우고정부(150C), 압력조절부(미도시), 흡입부(미도시) 및 금형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10C), 상기 제2 금형, 커버윈도우고정부(150C), 상기 압력조절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금형구동부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내부(130C)는 제1 서브안내부(131C)와 제2 서브안내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안내부(131C)와 제2 서브안내부(132C)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안내부(132C)는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이 안착되는 제1 금형(110C)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안내부(132C)는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의 중앙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C)는 형상가변바디부(141C)와 제2 안내부(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바디부(141C)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안내부(142C)는 형상가변바디부(141C) 사이에 배치되어 형상가변바디부(141C)와 서로 연결되는 제3 서브안내부(142C-1)와 제4 서브안내부(142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서브안내부(142C-1)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서브안내부(142C-2)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C)는 센서부(195C)와 전원공급부(190C)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95C)는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거리 또는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의 접착 여부, 패널부재(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95C)는 광센서, 레이저센서, 접촉센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서부(195C)는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가 가장 먼저 접착되야 하는 패널부재(20)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95C)는 제1 금형(110C)의 중심 부분 또는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제1 금형(110C)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C)는 제1 서브안내부(131C)와 제2 서브안내부(132C)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191C)와, 제1 서브안내부(131C)와 전원부(191C) 사이 및 제2 서브안내부(132C)와 전원부 사이의 전류를 차단하는 스위치부(19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192C)는 제1 서브안내부(131C)와 전원부(191C) 사이의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192C-1) 및 제2 서브안내부(132C)와 전원부(191C) 사이의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192C-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C)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가 각각 배치된 후 상기 압력조절부를 통하여 형상가변부(140C)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상가변부(140C)가 팽창하는 경우 제1 스위치부(192C-1)는 전원부(191C)와 제1 서브안내부(131C)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안내부(131C)는 극성을 갖으며, 제3 서브안내부(142C-1)를 끌어당길 수 있다.
제2 스위치부(192C-2)는 제2 서브안내부(132C)와 전원부(191C)를 연결시켜 제2 서브안내부(132C)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안내부(132C)와 제4 서브안내부(142C-2)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극성이 동일해짐으로써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서브안내부(131C)와 제2 서브안내부(132C)가 작동하는 경우 제1 서브안내부(131C)가 배치된 부분에서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의 접착이 가장 먼저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95C)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의 접착이 시작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95C)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가 도 5의 Y축 방향으로 선접촉이 이루어진 것으로 감지하면, 제1 스위치부(192C-1) 및 제2 스위치부(192C-2)가 작동하여 전원부(191C)에서 제1 안내부(130C)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부(140C)는 상기 압력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팽창함으로써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를 일 부분으로부터 커버윈도우(10)의 양단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2 스위치부(192C-2)만 작동하여 제2 서브안내부(132C)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2 서브안내부(132C)의 극성은 대향하는 제4 서브안내부(142C-2)의 극성과 상이하게 형성됨으로써 제2 서브안내부(132C)와 제4 서브안내부(142C-2)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에서 제2 서브안내부(132C)와 제4 서브안내부(142C-2) 사이의 인력과 형상가변부(140C)의 가압력이 합해져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는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C)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C)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C)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D)는 제1 금형(110D), 제2 금형(120D), 제1 안내부(130D), 형상가변부(140D), 커버윈도우고정부(150D), 압력조절부(160D), 흡입부(170D) 및 금형구동부(18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110D)은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거나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금형(110D)의 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금형(120D)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금형(110D)과 제2 금형(120D) 사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부(111D)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30D)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안내부(130D)는 제1 금형(110D)의 절곡된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안내부(130D)가 2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형상가변부(140D)는 형상가변바디부(141D)와 제2 안내부(14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바디부(141D)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내부(142D)는 자성체 또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안내부(142D)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가변바디부(141D)와 제2 안내부(142D)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2 안내부(142D)는 형상가변바디부(141D)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부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안내부(142D)가 형상가변바디부(141D)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윈도우고정부(150D)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고정부(150D)는 정척척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압력조절부(160D)는 공급유로(161D) 및 압력조절펌프(162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170D)는 제2 안내유로(171D) 및 제2 펌프(17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부(160D) 및 흡입부(170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금형구동부(180D)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형구동부(180D)가 제1 금형(110D)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D)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금형(110D)과 제2 금형(120D)을 분리한 상태에서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를 제1 금형(110D)과 제2 금형(120D)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금형구동부(180D)가 작동하여 제1 금형(110D)과 제2 금형(120D)을 결합한 후 압력조절펌프(162D)를 작동시켜 형상가변부(140D)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안내부(142D)도 팽창하면서 제1 안내부(130D)와 근접할 수 있다. 제1 안내부(130D)와 제2 안내부(142D)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서로 동일한 극성이므로 서로 척력이 발생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D)가 지속적으로 팽창하면 제1 안내부(130D)와 제2 안내부(142D)가 서로 마주부분 패널부재(20) 부분은 거의 움직이지 않고 패널부재(20)의 중앙 부분이 지속적으로 팽창하여 가장 먼저 커버윈도우(10)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형상가변부(140D)의 지속적인 팽창으로 인하여 제2 안내부(142D)가 배치된 패널부재(20) 부분도 커버윈도우(10)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펌프(172D)가 작동하여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후 지속적으로 형상가변부(140D)의 팽창으로 인하여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가 완전히 접착되면, 금형구동부(180D)가 작동하여 제1 금형(110D)과 제2 금형(120D)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제1 금형(110D)과 제2 금형(120D) 사이에서 표시 징치(미도시)를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D)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D)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D)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E)는 제1 금형(110E), 제2 금형(120E), 제1 안내부(130E), 경로가이드부(199E), 형상가변부(140E), 커버윈도우고정부(150E), 압력조절부(160E), 흡입부(170E) 및 금형구동부(18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110E)은 적어도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되거나 절곡된 커버윈도우(10)가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10E)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금형(120E)에는 형상가변부(140E)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금형(120E)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링부(111E)가 제1 금형(110E)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안내부(130E)는 자석 또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안내부(130E)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경로가이드부(199E)는 제1 안내부(130E)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경로가이드부(199E)는 커버윈도우(10)의 적어도 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경로가이드부(199E)는 제1 안내부(130E)가 커버윈도우(1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 안내부(130E)를 가이드할 수 있다.
경로가이드부(199E)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로가이드부(199E)는 제1 안내부(130E)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일 및 제1 안내부(130E)를 상기 레일 상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경로가이드부(199E)는 제1 안내부(130E)가 설치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경로가이드부(199E)는 제1 안내부(130E)가 설치되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로가이드부(199E)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안내부(130E)를 커버윈도우(10)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이동시키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E)는 제1 안내부(130E)의 이동에 따라 반응하도록 자석 또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부(140E)는 도 2 또는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형상가변부(140E)가 자성체를 내부에 포함하는 도 2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윈도우고정부(15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고정부(150E)가 점전척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압력조절부(160E)는 공급유로(161E) 및 압력조절펌프(162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170E)는 제2 흡입유로(171E)와 제2 흡입펌프(172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부(160E) 및 흡입부(17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금형구동부(180E)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형구동부(180E)가 실린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E)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금형(110E)과 제2 금형(120E)이 개방되거나 분리된 상태에서 커버윈도우(10), 패널부재(20) 및 접착부재(30)를 제1 금형(110E)과 제2 금형(120E) 사이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금형구동부(180E)를 통하여 제1 금형(110E)과 제2 금형(120E)을 완전히 결합하여 외부와 내부 공간을 차단한 상태에서 압력조절펌프(172E)를 작동시켜 형상가변부(140E)를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펌프(172E)가 작동하여 패널부재(20)와 커버윈도우(10) 사이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 안내부(130E)는 커버윈도우(10)의 일 부분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안내부(130E)에 의하여 형상가변부(140E)의 일부분이 제1 안내부(130E)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과 패널부재(2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특히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 중 일부분과 패널부재(20)가 가장 먼저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압력조절펌프(172E)가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형상가변부(140E)는 더욱 팽창할 수 있다. 이때, 경로가이드부(199E)는 제1 안내부(130E)를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으로부터 커버윈도우(10)의 끝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안내부(130E)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내부(130E)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제1 안내부(130E)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안내부(130E)가 이동하는 경우 패널부재(20)는 커버윈도우(10)의 일 부분으로부터 커버윈도우(10)의 양단까지 순차적으로 커버윈도우(10)에 접착될 수 있다. 특히 형상가변부(140E)가 제1 안내부(130E)의 이동에 따라 패널부재(20)를 상기와 같은 경로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어 표시 장치(미도시)가 제조되면, 금형구동부(180E)가 작동하여 제1 금형(110E)과 제2 금형(120E)을 분리한 후 상기 표시 장치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E)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E)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E)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F)는 제1 금형(110F), 제2 금형(120F), 제1 안내부(130F), 경로가이드부(199F), 형상가변부(140F), 커버윈도우고정부(150F), 압력조절부(160F), 흡입부(170F) 및 금형구동부(180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10F), 제2 금형(120F), 제1 안내부(130F), 형상가변부(140F), 커버윈도우고정부(150F), 압력조절부(160F), 흡입부(170F) 및 금형구동부(180F)는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경로가이드부(199F)는 커버윈도우(10)의 일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경우 경로가이드부(199F)는 평평한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10)의 일 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경로가이드부(199F)도 일 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10)의 일 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되는 경우 경로가이드부(199F)도 일 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로가이드부(199F)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경로가이드부(199F)가 리니어모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F)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1 금형(110F)과 제2 금형(120F) 사이에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및 접착부재(30)를 배치한 후 압력조절펌프(162F)를 작동시켜 기체 또는 액체를 공급유로(161F)를 통하여 제2 금형(120F)과 형상가변부(140F) 사이로 공급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F)는 팽창하면서 패널부재(20) 및 접착부재(30)를 커버윈도우(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형상가변부(140F)는 일정 부피 이상 팽창하게 되면, 형상가변부(140F)의 일부분은 제1 안내부(130F)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F)가 지속적으로 팽창하게 되면,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는 제1 안내부(130F)가 배치된 위치에서 가장 먼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제1 안내부(130F)는 상기와 같이 형상가변부(140F)의 팽창에 따라서 경로가이드부(199F)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내부(130F)는 커버윈도우(10)의 일 부분으로부터 커버윈도우(10)의 끝단까지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안내부(130F)는 커버윈도우(10)의 절곡된 지점을 지나 커버윈도우(10)의 끝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안내부(130F)가 이동하는 경우 제1 안내부(130F)의 이동에 따라 형상가변부(140F)는 팽창하는 힘과 제1 안내부(130F)에 의해 안내되는 힘으로 인해 패널부재(20)를 커버윈도우(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흡입펌프(172F)는 제2 흡입유로(171F)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어 표시 장치(미도시)의 제조가 완료되면, 금형구동부(180F)는 제1 금형(110F)과 제2 금형(120F)을 개방하고, 제조된 상기 표시 장치는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F)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F)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F)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G)는 제1 금형(110G), 제2 금형(120G), 제1 안내부(130G), 경로가이드부(199G), 형상가변부(140G), 커버윈도우고정부(150G), 압력조절부(160G), 흡입부(170G) 및 금형구동부(180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110G), 제2 금형(120G), 형상가변부(140G), 커버윈도우고정부(150G), 압력조절부(160G), 흡입부(170G) 및 금형구동부(180G)는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내부(130G)는 제1 서브안내부(131G) 및 제2 서브안내부(132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안내부(131G)와 제2 서브안내부(132G)는 각각 커버윈도우(1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이 절곡된 경우 제1 서브안내부(131G)는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에 배치되며, 제2 서브안내부(132G)는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으로부터 절곡된 커버윈도우(10)의 다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된 경우 제1 서브안내부(131G)는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에 배치되며, 제2 서브안내부(132G)는 커버윈도우(10)의 일부분으로부터 곡률지게 연결된 커버윈도우(10)의 다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안내부(131G)와 제2 서브안내부(132G)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안내부(131G)와 제2 서브안내부(132G)는 전류의 공급에 따라 작동을 중지하거나 작동할 수 있다.
경로가이드부(199G)는 제1 서브안내부(131G)가 이동 가능한 제1 경로가이드부(199G-1)와, 제2 서브안내부(132G)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경로가이드부(199G-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가이드부(199G-1)와 제2 경로가이드부(199G-2)는 커버윈도우(1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경로가이드부(199G-1)와 제2 경로가이드부(199G-2)는 커버윈도우(10)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G)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금형구동부(180G)의 작동에 따라 제1 금형(110G)과 제2 금형(120G)을 개방한 후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및 접착부재(30)를 각각 제1 금형(110G)과 제2 금형(120G) 사이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금형구동부(180G)가 제1 금형(110G)과 제2 금형을 결합시키면, 압력조절펌프(162G)가 작동하여 공급유로(161G)를 통하여 기체 또는 액체를 제2 금형(120G)과 형상가변부(140G) 사이로 공급할 수 있다.
형상가변부(140G)는 압력조절펌프(162G)의 작동에 따라서 팽창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재(20) 및 접착부재(30)는 형상가변부(140G)의 팽창에 따라 커버윈도우(10)에 근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제2 흡입펌프(172G)는 제2 흡입유로(171G)를 통하여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안내부(131G)에는 전류가 공급되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서브안내부(132G)에는 전류가 차단되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서브안내부(131G)가 배치된 부분에서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가 가장 먼저 접착될 수 있다. 이후 형상가변부(140G)가 지속적으로 팽창하는 동안 제1 경로가이드부(199G-1)는 제1 서브안내부(131G)를 커버윈도우(10)의 일 부분에서 커버윈도우(10)의 절곡된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서브안내부(131G)가 이동하면, 제1 서브안내부(131G)의 이동 경로에서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가 순차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이후 형상가변부(140G)가 지속적으로 팽창하면, 제1 서브안내부(131G)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제2 서브안내부(132G)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안내부(132G)가 작동하여 형상가변부(140G)를 제2 서브안내부(132G)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서브안내부(132G)는 제2 경로가이드부(199G-2)에 의해 커버윈도우(10)의 절곡된 부분으로부터 커버윈도우(10)의 끝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 및 패널부재(20)는 제2 서브안내부(132G)의 이동순서에 따라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합착하여 표시 장치(미도시)를 제조한 후 제1 금형(110G)과 제2 금형(120G)을 개방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G)는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G)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와 패널부재(20) 사이에 기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100G)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은 커버윈도우(10)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곡률진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커버윈도우(10)에 패널부재(20)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커버윈도우(10), 접착부재(30) 및 패널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윈도우(10)는 적어도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윈도우(10)는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윈도우(10)는 아크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윈도우(10)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윈도우(10)는 상기의 재질 이외에도 투명한 재질로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윈도우(10)가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윈도우(10)는 평평하게 형성된 제1 커버윈도우(11), 제1 커버윈도우(1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커버윈도우(12) 및 제3 커버윈도우(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윈도우(12) 및 제3 커버윈도우(13)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윈도우(12)의 곡률반경과 제3 커버윈도우(13)의 곡률반경을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커버윈도우(13)의 곡률반경은 제2 커버윈도우(12)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커버윈도우(13)의 곡률반경이 제2 커버윈도우(12)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 부재(20)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 부재(20)는 디스플레이 패널(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패널 부재(20)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패널 부재(20)는 커버윈도우(10)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은 커버윈도우(10)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이물질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널 부재(2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버윈도우(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형태의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 부재(20)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 부재(20) 및 커버윈도우(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30)는 패널 부재(20) 및 커버윈도우(10)가 서로 대향하는 패널 부재(20)의 면이나 커버윈도우(10)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30)는 접착력을 갖는 광학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접착부재(30)는 광학 점착 필름(Optical clearance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기판(21) 상에서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이 정의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발광부(D)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에는 전원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부(C)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기판(21) 및 발광부(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20)는 발광부(D)의 상부에 형성되는 박막 봉지층(E)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21)은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폴리이미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 상에 발광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D)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이 구비되고, 이들을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며, 이 패시베이션막(27) 상에 유기 발광 소자(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21)은 유리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SUS, Ti과 같은 금속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21)는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판(21)이 유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21)의 상면에는 유기화합물 및/또는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버퍼층(22)이 더 형성되는 데, SiOx(x≥1), SiNx(x≥1)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2)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활성층(23)이 형성된 후, 활성층(23)이 게이트 절연층(24)에 의해 매립된다. 활성층(23)은 소스 영역(23-1)과 드레인 영역(23-2)을 갖고, 그 사이에 채널 영역(2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층(23)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산화물 반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활성층(2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층(23)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활성층(23)은 버퍼층(22) 상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고, 이 다결정질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23)은 구동 TFT(미도시), 스위칭 TFT(미도시) 등 TFT 종류에 따라, 그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2)이 불순물에 의해 도핑된다.
게이트 절연층(24)의 상면에는 활성층(23)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25)과 이를 매립하는 층간 절연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26)과 게이트 절연층(24)에 콘택홀(H1)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층(26) 상에 소스 전극(27-1) 및 드레인 전극(27-2)을 각각 소스 영역(23-1) 및 드레인 영역(23-2)에 콘택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로는 패시베이션막(27)이 형성되고, 이 패시베이션막(27)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28, OLED)의 화소 전극(28-1)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전극(28-1)은 패시베이션막(27)에 형성된 비아 홀(H2)에 의해 TFT의 드레인 전극(27-2)에 콘택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7)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단층 또는 2개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하부 막의 굴곡에 관계없이 상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평탄화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 하부에 위치한 막의 굴곡을 따라 굴곡이 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패시베이션막(27)은, 공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투명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시베이션막(27) 상에 화소 전극(28-1)을 형성한 후에는 이 화소 전극(28-1) 및 패시베이션막(27)을 덮도록 화소 정의막(29)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화소 전극(28-1)이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화소 전극(28-1) 상에 중간층(28-2) 및 대향 전극(28-3)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28-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28-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28-1)과 대향 전극(28-3)은 상기 중간층(28-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28-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예로서, 중간층(28-2)은 유기 발광층(organic emission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2)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화소는 복수의 부화소로 이루어지는데, 복수의 부화소는 다양한 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화소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고,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부화소(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박막 봉지층(E)은 복수의 무기층들을 포함하거나,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봉지층(E)의 상기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 중 외부로 노출된 최상층은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투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 및 적어도 2개의 유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무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박막 봉지층(E)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무기층, 제1 유기층, 제2 무기층, 상기 제2 유기층, 제3 무기층, 제3 유기층, 제4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제1 무기층 사이에 LiF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금속층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할로겐화 금속층은 제1 무기층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할 때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유기층은 제2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기층도 제3 무기층 보다 면적이 좁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는 커버윈도우(10)와 디스플레이 패널(20) 사이에 이물질 또는 기포 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선명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커버윈도우(10)의 곡률진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커버윈도우(10)가 완전히 밀착함으로써 사용 시 디스플레이 패널(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커버윈도우(10)와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커버윈도우
20: 패널부재
30: 접착부재
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10,110A,110B,110C,110D,110E,110F,110G: 제1 금형
120,120A,120D,120E,120F,120G: 제2 금형
130,130A,130B,130C,130D,130E,130F,130G: 제1 안내부
140,140A,140B,140C,140D,140E,140F,140G: 형상가변부
150,150A,150B,150C,150D,150E,150F,150G: 커버윈도우고정부
160A,160D,160E,160F,160G: 압력조절부
170A,170D,170E,170F,170G: 흡입부
180A,180D,180E,180F,180G: 금형구동부

Claims (20)

  1. 커버윈도우가 안착하는 제1 금형;
    상기 제1 금형에 배치되는 제1 안내부;
    상기 제1 금형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에 설치되어 형상이 가변되며, 패널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안내부와의 상호 자기력에 의해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먼저 상기 커버윈도우로 안내하는 형상가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또는 상기 형상가변부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부 또는 상기 형상가변부 중 다른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상기 형상가변부는 자석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금형의 중심에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을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커버윈도우와 먼저 접착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제1 금형의 곡률진 부분 또는 절곡된 부분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금형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서브안내부; 및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서브안내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2 서브안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안내부와 상기 제2 서브안내부는 자기장의 세기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에 설치된 상기 제1 서브안내부의 제1 높이와 상기 제2 서브안내부의 제2 높이는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안내부 및 상기 제2 서브안내부는 선택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부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가변부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상가변바디부; 및
    상기 형상가변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안내부와 자기력에 의해 근접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형상가변바디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형상가변바디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커버윈도우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16. 커버윈도우를 제1 금형에 안착하고, 패널부재를 형상가변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형상가변부의 형상을 가변시키면서 상기 제1 금형에 배치된 제1 안내부와의 상호 자기력으로 상기 패널부재의 일부를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형상가변부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패널부재를 상기 커버윈도우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은 자기장에 의한 인력으로 상기 패널부재와 상기 커버윈도우가 가까워지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은 자기장에 의한 척력으로 상기 패널부재와 상기 커버윈도우의 근접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중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자기력의 세기는 상기 자기력 중 상기 패널부재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자기력의 세기와 상이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의 일 부분과 상기 커버윈도우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50148820A 2015-10-26 2015-10-26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56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20A KR102556026B1 (ko) 2015-10-26 2015-10-26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5/261,183 US10899065B2 (en) 2015-10-26 2016-09-0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201610941270.1A CN106611825B (zh) 2015-10-26 2016-10-25 用于制造显示设备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20A KR102556026B1 (ko) 2015-10-26 2015-10-26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54A KR20170048654A (ko) 2017-05-10
KR102556026B1 true KR102556026B1 (ko) 2023-07-17

Family

ID=5856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820A KR102556026B1 (ko) 2015-10-26 2015-10-26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99065B2 (ko)
KR (1) KR102556026B1 (ko)
CN (1) CN106611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24483U (zh) * 2016-01-19 2016-06-21 Nanobit Tech Co Ltd 3d高分子分散液晶複合層結構
CN107863310B (zh) * 2017-10-30 2020-03-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栅极驱动区域的弯折装置及弯折方法
CN108198515A (zh) * 2018-02-07 2018-06-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贴合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143561A (ko) * 2019-06-13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10394971B (zh) * 2019-08-09 2021-11-16 黄春岛 一种包装盒成型机
CN110580860B (zh) * 2019-10-15 2022-04-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1823603B (zh) * 2020-06-30 2021-11-19 亳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酒店客房的遥控器保护膜更换装置
KR20230132021A (ko) 2022-03-07 2023-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071A (ja) 1993-11-02 1995-05-16 Fuji Photo Film Co Ltd 減圧貼付け装置
JPH08332646A (ja) 1995-06-06 1996-12-17 Meiki Co Ltd 真空積層装置および真空積層方法
JP4300476B2 (ja) 2004-04-27 2009-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JP5297046B2 (ja) 2008-01-16 2013-09-25 キヤノントッキ株式会社 成膜装置
JP5344870B2 (ja) 2008-08-22 2013-11-20 クライ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ワーク貼合装置
JP5584100B2 (ja) 2010-11-22 2014-09-0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シート圧着方法及びシート圧着装置
US8878116B2 (en) 2011-02-28 2014-11-04 Sony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state imaging element, solid-state imaging element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37549B1 (ko) * 2011-11-23 2013-12-06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합착장치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02470A (ko) 2012-06-29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102118873B1 (ko) 2013-11-22 2020-06-05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곡면 커버 부재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US10456960B2 (en) * 2015-07-24 2019-10-29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mentally forming a composite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99065B2 (en) 2021-01-26
KR20170048654A (ko) 2017-05-10
CN106611825A (zh) 2017-05-03
US20170113397A1 (en) 2017-04-27
CN106611825B (zh)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026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62895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63125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US11061498B2 (en) Display module
US2021016732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01512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512728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16025946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577002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15890B1 (ko) 표시 장치
CN107009528B (zh) 用于切割衬底的工作台
US2017012573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47412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1511381A (zh) 顯示設備及其製造方法
US2016000902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110112204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70029707A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08123054A (zh) 柔性显示器
KR102241849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9882B1 (ko) 곡면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2197B1 (ko)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116498B1 (ko) 패널부재 고정장치
CN219660307U (zh) 显示装置
US20230373203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220199920A1 (en)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