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000B1 -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0000B1 KR102540000B1 KR1020227013810A KR20227013810A KR102540000B1 KR 102540000 B1 KR102540000 B1 KR 102540000B1 KR 1020227013810 A KR1020227013810 A KR 1020227013810A KR 20227013810 A KR20227013810 A KR 20227013810A KR 102540000 B1 KR102540000 B1 KR 102540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zor
- head
- head support
- gripping
- b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599 Cr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40 Fe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8 tinp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2—Ergonomic details, e.g. shape, ribs or rubber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3—Extendible or foldable handles; Ext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2—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unchangeable blades
- B26B21/06—Safety razors with fixed blade, e.g. with moulded-in bla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06—Blades or blade units with discontinuous cutting edges, e.g. wire-wrapped, no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 B26B21/58—Razor-bl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 면도기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지지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에 탑재된 면도기 헤드를 구비하고, 절곡시킴으로써 조립되는 면도기로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헤드 지지부의 전체가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날 몸체와, 상기 날 몸체를 수용하는 틀 몸체를 가지며,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면도기 헤드의 폭방향의 적어도 양단부를 지지하는 양단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틀 몸체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헤드 지지부와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날 몸체에 의해 절단된 체모가 통과 가능함과 함께, 상기 헤드 지지부로부터 상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킬 때의 역점부를 구비하는 절결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조립식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면도기는, 헤드 및 핸들이 일체가 된 본체와, 수지제의 케이스에 금속제의 칼날이 수용된 면도기 헤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체는 수지 또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많고, 수용에 큰 용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보관을 위한 수용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거나, 휴대가 불편하다거나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근래에는, 물건을 소중히 사용하고 쓰레기를 줄이는 리듀스(Reduce),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리유즈(Reuse), 및 쓰레기를 자원으로서 다시 이용하는 리사이클(Recycle)의 3개의 R(알)을 총칭한 3R이 제창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면도기는 수지 및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있었지만, 리사이클이 용이한 소재로의 치환(Replace)도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체의 소재를 수지에서 종이로 치환한 면도기는 환경 배려형 면도기로서 순환형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엔 서미트에서 채택된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있어서의 17의 목표 중에는, 지속 가능한 생산 소비 형태를 확보하는 것이 들어 있고, 폐기물의 발생을 큰 폭으로 삭감할 것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 면도기의 분야에 있어서도, 환경에 좋은, 3R을 만족하는 면도기의 개발을 추진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부분이 종이 등의 재생 용이한 자원을 이용하여 구성된 면도기는, 3R을 만족하여 환경에 좋은 기술로서 유망하다. 이와 같은 종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 면도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1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12에 기재된 면도기는, 본체가 종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환경을 배려한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만, 이하와 같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7에는,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본체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으로 된 면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면도기에서는, 본체를 구성하는 시트의 조립전의 형상을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형성 가능한 것은 있지만, 디자인의 자유도가 제한됨과 함께, 본체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버린다. 본체가 필요 이상으로 커진 이러한 구성으로는, 본체를 구성하는 종이 등의 소재의 사용량이 많아져 환경에 좋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 특허문헌 8 내지 11에 기재된 면도기에서는,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 아니기는 하지만, 대략 직사각형의 시트에 단순한 형상의 시트를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의 구성 소재인 종이 등의 사용량의 삭감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면도기에 있어서도, 홀더부(6)의 하부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어, 구성 소재인 종이 등의 사용량의 삭감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12에 기재된 면도기는, 사용자가 시트 형상이 된 본체를 여러 차례 절곡시킴으로써 조립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에 필요한 공정수가 많고, 또한 조립 방법도 복잡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면도기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번잡한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간단하게 조립 가능한 구성으로 되지는 않았다.
특허문헌 11 및 12를 포함하는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종래의 면도기는,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본체 전체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으로는 되지 있지 않지만,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핸들(주 몸체편(1) 또는 홀더부(6))의 하단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면도기를 유저가 집으려면, 이와 같은 직선 형상의 하단 부분이 유저의 손가락과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또, 유저가 면도기를 잡는 방법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직선 형상의 하단 부분을 유저가 잡아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유저가 이와 같은 직선 형상의 종이 등으로 형성된 부분을 잡거나 접촉하거나 하면,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면도기는,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 본체가 종이로 구성된 면도기를 사용하는 목적 중 하나는 자원의 리사이클이지만, 사용 후의 면도기를 리사이클하려면, 종이, 수지 및 금속 등의 소재마다 분별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면도기는, 본체 전체가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도, 면도기 헤드의 본체로부터의 제거가 고려되지 않고, 본체와 면도기 헤드가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본체와 면도기 헤드와의 분리가 곤란하고, 만일 본체와 면도기 헤드를 분리하려고 하면 면도기 헤드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본체와 면도기 헤드를 분리할 수 있다고 해도, 면도기 헤드가 수지 소재와 금속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면도기 헤드가 수지 소재와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복수의 소재가 혼합된 상태가 되어 버린다. 소재의 리사이클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간단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리사이클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지만, 복수의 소재가 혼재한 채로는 간단하고 또한 경제적인 리사이클이 곤란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면도기 헤드는, 폐기시에 있어서의 소재의 분별이 충분하고 소재마다의 분리의 용이성이 고려되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고, 사용 후의 면도기를 유효하게 리사이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종래의 면도기에서는, 면도기 날(7)이 고착된 직사각형편(8)의 면이, 헤드를 형성하는 완만한 원호 형상의 외부표면(33)과 각도를 갖는 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저가 핸들을 조작하여, 피부에 면접촉하는 각도로 면도기의 칼날을 피부에 누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 칼날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종이로 형성된 헤드의 단부로부터 칼날 또는 면도기 헤드가 탈락하거나, 외력에 의해 본체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특허문헌 12 이외의 상기 특허문헌에 공통이기 때문에, 본체 부분이 종이로 구성된 종래의 면도기가 가지는 공통의 과제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 가능한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의 면도기를 제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 내의 부호 등을 괄호 안에 부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기술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까지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지지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에 탑재된 면도기 헤드를 구비하고, 절곡시킴으로써 조립되는 면도기로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헤드 지지부의 전체가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날 몸체와, 상기 날 몸체를 수용하는 틀 몸체를 가지며,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면도기 헤드의 폭방향의 적어도 양단부를 지지하는 양단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틀 몸체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헤드 지지부와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날 몸체에 의해 절단된 체모가 통과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지지부로부터 상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킬 때의 역점(力點)부를 구비하는 절결부를 가지는,
면도기이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종이로 형성된 파지부 및 헤드 지지부로부터 금속으로 형성된 면도기 헤드를 용이하게 이탈시키기 쉬워져,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별할 수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성에서는,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과, 면도기 헤드 내에 절단된 체모가 잔존하지 않게 통과시키는 기능을 겸비하는 절결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분별 폐기에 의한 리사이클을 용이하게 하면서, 동시에, 청결하고 또한 쾌적하게 사용 가능한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헤드 지지부가 위치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킬 때에, 절결부에 접촉하기 쉬운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분별 폐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절단된 체모가 절결부로 통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면도기 헤드 내에의 체모의 잔존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하고 쾌적하게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날 몸체에 의해 절단된 체모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대향하는 면으로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헤드 지지부가 위치하지 않는 장소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개구부로부터도 절단된 체모가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면도기 헤드 내에의 체모의 잔존을 더욱 억제할 수 있고, 더욱 청결하고 쾌적하게 사용 가능한 면도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가장자리부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부에 가까운 쪽에서 상기 헤드 지지부와 접착된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키려고 사용자가 절결부에 힘을 더했을 때,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키는 힘이 전달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이것에 의해, 분별 폐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틀 몸체는, 상기 날 몸체가 노출되는 개구부 및 상기 절결부를 가지는 프런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 케이스는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되는 쪽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대향되는 쪽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상기 프런트 케이스는 상기 리어 케이스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가장자리부와, 당해 가장자리부에 대항하는 리어 케이스의 가장자리부는, 0.5mm 이상 3mm 이하의 거리를 갖는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킬 때에, 절결부에 더욱 접촉하기 쉬운 구성이 되기 때문에, 분별 폐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틀 몸체의 상기 주변부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설치된 접착금지 영역을 제외한 접착 영역에서, 상기 양단 지지부에 직접 접착된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면도기 헤드의 주변부가 헤드 지지부에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분리시키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틀 몸체는 상기 접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 형상이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비교적 작은 접착 영역으로도, 헤드 지지부에 면도기 헤드를 안정적으로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분별 용이하면서도 쾌적하게 사용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양단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삼각형부를 더 가지며,
조립 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폭방향과 교차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이고,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기 삼각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삼각형부와의 연결부를 따라 분기한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삼각형부가 상기 중심선과 교차하는 정점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협소부를 갖고, 상기 협소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와는 반대쪽의 단부를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퍼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는 만곡 형상이고, 상기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정점으로부터 상기 단부에 걸쳐 중심 접음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따라 연결 접음선이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 직사각형이고 또한 평면 형상인 직사각형 평면부를 각각 갖고, 상기 직사각형 평면부는 상기 양단 지지부의 앞면에 접착되며,
상기 파지부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심선 쪽으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조립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연결 접음선 및 상기 중심 접음선을 따라 절곡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헤드 지지부가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이면 측으로 경사지며,
조립 후 상태에서는,
상기 파지부의 상기 중심선의 부분이 등 부분이 되고, 상기 파지부의 가장자리부가 배 부분이 되며,
상기 등 부분으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배 부분 측을 향해 굴곡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지지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에 탑재된 면도기 헤드를 구비하고, 절곡시킴으로써 조립되는 면도기로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헤드 지지부의 전체가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의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되며,
조립 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면도기 헤드의 폭방향의 적어도 양단부를 지지하는 양단 지지부와, 상기 양단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삼각형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폭방향과 교차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이고,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기 삼각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삼각형부와의 연결부를 따라 분기한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삼각형부가 상기 중심선과 교차하는 정점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협소부를 갖고, 상기 협소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와는 반대쪽의 단부를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퍼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는 만곡 형상이고, 상기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정점으로부터 상기 단부에 걸쳐 중심 접음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따라 연결 접음선이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 직사각형이고 또한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인 직사각형 평면부를 각각 갖고, 상기 직사각형 평면부는 상기 양단 지지부의 앞면에 접착되며,
상기 파지부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심선 쪽으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조립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연결 접음선 및 상기 중심 접음선을 따라 절곡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헤드 지지부가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이면 측으로 경사지며,
조립 후 상태에서는,
상기 파지부의 상기 중심선의 부분이 등 부분이 되고, 상기 파지부의 가장자리부가 배 부분이 되며,
상기 등 부분으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배 부분 측을 향해 굴곡된 상태가 되는,
면도기이다.
상기 구성의, 파지부에 협소부를 가지며, 협소부로부터 헤드 지지부와 반대쪽의 단부를 향해 폭방향으로 퍼지도록 형성되는 면도기에 의하면, 평면 형상의 면도기의 외형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하지 않고 모서리를 둥글게 할 수 있으므로, 종이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면도기의 외형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져, 본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유저가 면도기를 사용할 때에는 협소부 근방에 유저의 인지 및 엄지가 위치하게 되지만, 협소부가 있음으로써 유저의 손가락이 아래쪽으로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중심선을 따라 정점으로부터 단부에 걸쳐 중심 접음선이 형성되고, 연결부를 따라 연결 접음선이 형성되고, 조립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연결 접음선 및 중심 접음선을 따라 절곡되는 구성에 의해, 중심 접음선을 따라 파지부를 절곡시키면, 중심 접음선에 이어지는 연결 접음선도 무리 없이 절곡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립시에 있어서, 연결 접음선을 따라 파지부를 절곡시키면, 연결 접음선에 이어지는 중심 접음선도 무리 없이 절곡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유저가 원터치로 면도기를 조립 가능하게 되는 등, 면도기의 조립에 요구되는 공정수를 저감하여, 면도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면도기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할 때까지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연결 접음선이 절곡될 때에, 헤드 지지부를 배 부분 측을 향해 순조롭게 굴곡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헤드 지지부와 반대쪽의 단부가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는 면도기에 의하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당해 단부 근방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둥글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당해 단부 근방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거나, 면도기의 파지 방법에 따라 유저가 당해 단부 근방을 잡아 버리거나 해도,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면도기 헤드가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 직사각형이고 또한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인 직사각형 평면부를 각각 가지며, 이들 2개의 직사각형 평면부가 양단 지지부의 앞면에 접착되는 구성에 의해, 쉽게 떼어내는 것을 고려한 적절한 강도로 면도기 헤드와 양단 지지부를 접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 헤드를 파손하는 일 없이 본체와 면도기 헤드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분리시에 면도기의 칼날이 드러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배려한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등 부분으로부터 연속하는 헤드 지지부가 배 부분 측을 향해 굴곡하고, 면도기 헤드가 양단 지지부의 등 부분 측의 면에 배치되는 구성에 의해, 면도기 헤드와 양단 지지부의 등 부분 측의 면을 대략 평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파지부를 조작할 때에, 피부에 면접촉하는 각도로 면도기 헤드의 칼날을 피부에 누를 수 있다. 또, 칼날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양단 지지부의 등 부분 측의 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 외력을 받는 종래 구성과 달리, 당해 면을 따라 그 외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가 탈락하거나, 외력에 의해 본체의 일부가 파손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파지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중심선 쪽으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구비하고, 절곡부는 파지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구성에 의해,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파지부의 배 부분이 둥근 형상이 되어, 파지부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유저의 손가락이 맞닿을 가능성이 높은 배 부분에 예리한 부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을 배려한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기 파지부 측과는 반대쪽에 설치되고,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끼워맞춰지는 헤드 고정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헤드 고정부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파지부 또는 헤드 지지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면도기 헤드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당해 면도기가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파지부 또는 헤드 지지부에 상응하는 것이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다른 고강성의 면도기와 동일한 조작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고정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파지부를 파지했을 때의 파지부의 형상 변화를 억제하여 파지부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파지부를 잡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면도기가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파지부 또는 헤드 지지부에 상응하는 것이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다른 고강성의 면도기와 동일한 조작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장공부에 사용자의 손가락 안쪽이 위치되었을 때에, 장공부의 가장자리와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끄러짐을 억제하면서 면도기를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도기 헤드의 상기 파지부 측의 일부가 상기 양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파지부 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사용 후에는 상기 면도기 헤드가 상기 헤드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상기 특허문헌 중에서도 특허문헌 3 내지 5 등에 기재된 면도기와 같이 칼날이 직접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종이제의 본체로부터 금속제의 칼날을 분리할 수 있다면 분별 폐기는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리사이클할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칼날이 노출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 칼날이 본체에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을 위해서 본체와 면도기 헤드를 분리하려고 하는 유저의 안전성을 배려한 구성으로 되지 않았었다. 이러한 면도기 중에는, 종이 본체를 반으로 절곡하여 칼날을 쌈으로써 안전성을 배려한 면도기도 있지만, 이와 같은 면도기에서는 리사이클이 고려되고 있지 않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 헤드의 파지부 측의 일부가 양단 지지부로부터 파지부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사용 후에는 면도기 헤드가 헤드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에 의해, 조립시에 연결 접음선이 절곡될 때, 연결 접음선을 따라 분기한 파지부의 테이퍼 형상 부분이 상기 파지부 측의 일부로부터 이격되어, 면도기 헤드의 상기 파지부 측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 헤드에 유저의 손가락을 걸기 쉬운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상기 파지부 측의 일부에 손가락을 걸어, 면도기 헤드를 헤드 지지부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후의 면도기 헤드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되고, 파지부 및 헤드 지지부가 종이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의해, 면도기 헤드를 면도기로부터 분리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사용 후의 면도기를 금속 소재와 종이 소재로 분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재마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용이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리사이클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리사이클을 위해서 본체와 면도기 헤드를 분리하려고 하는 유저의 안전성을 배려하여, 리사이클의 실효성을 높인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면도기 헤드의 파지부 측의 일부가 헤드 지지부의 양단 지지부로부터 파지부 측으로 돌출하도록 당해 양단 지지부에 접착된 구성에 의해, 면도기 헤드를 삼각형부의 정점 부근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삼각형부의 정점 근방은 굴곡방향으로의 외력이 헤드 지지부에 가해졌을 때에 변형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배 부분 측을 향해 굴곡된 헤드 지지부의 굴곡방향으로의 휘어짐을 적절히 억제하여, 면도기 헤드의 굴곡방향에 대한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는, 사용자가 상기 면도기 헤드를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면도기 헤드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리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종이로 형성된 헤드 지지부 및 파지부가 적절한 탄성을 가지며, 피부에 과도한 압력이 주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일측에 형성된, 가압됨으로써 변형되는 삽입부와,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타측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압됨으로서 가압됨으로써 변형되는 삽입 구멍부를 가지며,
조립 후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 구멍부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파지부가 상기 중심 접음선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와 삽입 구멍부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중심 접음선 부분의 종이의 탄성에 의해 파지부의 배 쪽이 열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 지지부의 굴곡이 등 부분 쪽으로 돌아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를 파지부에 대해서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는,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등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 부분을 향하도록 형성된 절단부를 가지며,
상기 절단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파지부가 상기 중심 접음선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중심 접음선 부분의 종이의 탄성에 의해 파지부의 배 쪽이 열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 지지부의 굴곡이 등 부분 쪽으로 돌아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를 파지부에 대해서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면도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2개의 상기 가장자리부 중 하나의 상기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절결부를 더 구비하며,
조립 후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절결부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파지부가 상기 중심 접음선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면도기에 의하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중심 접음선 부분의 종이의 탄성에 의해 파지부의 배 쪽이 열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 지지부의 굴곡이 등 부분 쪽으로 돌아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를 파지부에 대해서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제조 도중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의 삽입부 및 삽입 구멍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의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면도기의 절단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소편부가 우측으로 절곡된 상태의 절단부 근방을 등 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우측 돌출부가 절결부에 끼워맞춰진 상태의 우측 돌출부 근방을 배 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 헤드를 떼어낸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6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의 삽입부 및 삽입 구멍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의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면도기의 절단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소편부가 우측으로 절곡된 상태의 절단부 근방을 등 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우측 돌출부가 절결부에 끼워맞춰진 상태의 우측 돌출부 근방을 배 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 헤드를 떼어낸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6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면도기는, SDGs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3R을 만족하여 환경에 좋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면도기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적으로 해석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 구체적인 사이즈 등의 수치 또는 수치 범위를 나타내 설명한 경우도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러한 수치 또는 수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설명을 생략 하는 경우가 있다.
< 1. 실시형태 >
< (1) 면도기(1)의 구성 >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제조 도중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의 삽입부 및 삽입 구멍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의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각 도면에는 x축, y축 및 z축을 나타내고 있다. 면도기를 형성하는 평면 형상의 종이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고 있는 축을 "z축"이라고 정의한다. z축에 수직인 축을 "y축"이라고 정의한다. 또, y축 및 z축의 양쪽 모두에 수직인 축을 "x축"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는, x축, y축 및 z축은 오른손 좌표계의 직교좌표를 형성한다. 이하, z축의 화살표 방향을 z축+측, 화살표와는 반대방향을 z축-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고, 그 밖의 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z축+측 및 z축-측을 각각 "앞쪽" 및 "뒤쪽"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x축+측 및 x축-측을 각각 "우측" 및 "좌측"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y축+측 및 y축-측을 각각 "위쪽(상측)" 및 "아래쪽(하측)"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위쪽 및 아래쪽은 y축에 대해 주로 z축 족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y축 방향을 길이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x축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z축 방향을 두께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1)는 면도기 헤드(61) 및 본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40)는 파지부(11), 절곡부(14a 및 14b) 및 헤드 지지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면도기(1)의 공장에서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평면 형상의 본체(40)의 제조와 면도기 헤드(61)의 제조가 각각 별개로 행해진다. 별개로 제조된 본체(40)와 면도기 헤드(61)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1)가 제조된다. 그리고, 본체(40)가 절곡부(14a 및 14b)가 각각 뒤쪽으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면도기(1)의 완성품이 제조된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1)는 제조 도중의 상태의 면도기(1)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면도기(1)는 공장에서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의 면도기(1)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제조 완료시의 면도기(1)가 조립되는 것에 의해, 본체(40)가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면도기(1)가 된다.
< 본체(4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는 종이로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40)는 내수성을 가지는 종이 소재, 또는 표면이 내수 코팅된 종이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본체(40)는 본체(40)의 윤곽을 따라 종이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40)의 두께는, 예를 들어, 대략 1 밀리미터이다. 본체(40)는 xy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y축에 평행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외형을 갖는다. 여기서, 평면 형상의 본체(40)의 우측의 단부, 좌측의 단부, 상단의 단부 및 아래쪽의 단부를, 각각 우단부(40a), 좌단부(40b), 상단부(40c) 및 하단부(40d)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우단부(40a)로부터 좌단부(40b)까지의 전체 폭(W1)은 대략 57 밀리미터이다. 상단부(40c)로부터 하단부(40d)까지의 전체 길이(L1)는 대략 89 밀리미터이다.
< 접음선 >
본체(40)에는, 면도기(1)의 제조시 및 조립시에 절곡시키기 쉽게, 중심 접음선(41), 연결 접음선(42a 및 42b) 및 반전 접음선(43a 및 43)이 형성된다. 접음선은, 예를 들어, 종이에 형성된 주름 또는 천공부이다. 중심 접음선(41)은 본체(40)의 하단부(40d)로부터 중심선(CL)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중심 접음선(41)은 중심선(CL) 상에 위치하는 정점(17)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결 접음선(42a)과 연결 접음선(42b)으로 분기한다.
연결 접음선(42b)은 정점(17)으로부터 본체(40)의 좌측 끝까지 좌상단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결 접음선(42b)은 곡선 접음선(42bc) 및 직선 접음선(42b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곡선 접음선(42bc)은 정점(17)에 접속되고 우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직선 접음선(42bs)은 곡선 접음선(42bc)의 좌측에 있어서 곡선 접음선(42bc)에 접속되고 본체(40)의 좌측 끝까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접음선(42a)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연결 접음선(42b)과 좌우대칭이 되도록, 정점(17)으로부터 본체(40)의 우측 끝까지 우상단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결 접음선(42a)은 곡선 접음선(42ac) 및 직선 접음선(42a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곡선 접음선(42ac)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곡선 접음선(42bc)과 좌우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직선 접음선(42as)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직선 접음선(42bs)과 좌우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평면 형상의 본체(40)에 있어서,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은 파지부(11)와 헤드 지지부(31)와의 경계가 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의 아래쪽이 파지부(11)가 되고,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의 위쪽이 헤드 지지부(31)가 된다. 이하, 평면 형상의 본체(40)에 있어서,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을 따른 부분을, 각각 연결부(46a 및 46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즉, 연결부(46a 및 46b)는 파지부(11)와 헤드 지지부(31)를 연결한다.
반전 접음선(43a)은, 평면 형상의 본체(40)에 있어서, 후술하는 파지부(11a)와 절곡부(14a)와의 경계에 형성된다. 즉, 반전 접음선(43a)은 중심 접음선(41) 및 연결 접음선(42a 및 42b)과 교차하지 않고, 중심 접음선(41)의 우측에 있어서, 중심 접음선(41)에 가까워지면서 위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반전 접음선(43b)은, 평면 형상의 본체(40)에 있어서, 후술하는 파지부(11b)와 절곡부(14b)와의 경계에 형성된다. 즉, 반전 접음선(43b)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반전 접음선(43a)과 좌우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전 접음선(43a)의 좌측이 파지부(11)가 되고, 반전 접음선(43a)의 우측이 절곡부(14a)가 된다. 반전 접음선(43b)의 우측이 파지부(11)가 되고, 반전 접음선(43b)의 좌측이 절곡부(14b)가 된다. 반전 접음선(43a 및 43b)은 각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 헤드 지지부(31) >
헤드 지지부(31)는 직사각형부(32) 및 삼각형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사각형부(32)는 폭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직사각형부(32)는 면도기 헤드(61)의 적어도 양단을 지지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단 지지부"의 일례이다. 직사각형부(32)의 x축 방향의 폭(W4)은 대략 42 밀리미터이다. 직사각형부(32)의 z축+측 즉 앞쪽에는, 평탄한 점착면(32a)이 형성된다. 점착면(32a)에는,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 각각 접착제(64)가 도포되어 면도기 헤드(61)가 접착된다.
삼각형부(33)는 직사각형부(32)와 파지부(11)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뾰족한 대략 삼각형 모양을 갖는다. 삼각형부(33)의 아래쪽의 정점(17)은 중심선(CL) 상에 위치한다. 삼각형부(33)는 정점(17)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또, 평면 형상의 본체(40)를 앞쪽으로부터 보아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정점(17)을 개재하여 인접하는 삼각형부(33)의 2개의 변 중에서, 일측 변의 직사각형부(32) 측의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타측 변의 직사각형부(32) 측의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α)는 80도 이상 120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α)는 90도 이상 110도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선 접음선(42as)을 정점(17) 측으로 연장시킨 선과 직선 접음선(42bs)을 정점(17) 측으로 연장시킨 선이 이루는 각도(α)는 대략 102도이다.
< 파지부(11) >
파지부(11)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유저 등에 의해 파지된다. 파지부(11)는 중심선(CL)에 대해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정점(17)의 근방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협소부(11c)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협소부(11c)의 x축 방향의 폭(W2)은 대략 22 밀리미터이다.
협소부(11c)의 아래쪽에서, 파지부(11)는 협소부(11c)로부터 하단부(40d)를 향해 폭방향으로 퍼지도록 형성된 확대부(11d)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확대부(11d)의 x축 방향의 폭(W3)은 대략 36 밀리미터이다.
파지부(11)의 아래쪽 근방의 단부는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파지부(11)는, 확대부(11d)의 좌단으로부터 하단부(40d)를 경유하여 확대부(11d)의 우단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이 되고, 아래쪽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파지부(11)는, 중심 접음선(41)의 우측에 위치하는 파지부(11a)와, 중심 접음선(41)의 좌측에 위치하고,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파지부(11a)와 좌우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파지부(1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점(17)의 위쪽에서, 파지부(11)는 삼각형부(33)와의 연결부(46a 및 46b)를 따라 분기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파지부(11b)는 연결부(46b)를 통하여 헤드 지지부(31)의 삼각형부(33)의 좌측에 연결된다. 파지부(11b)는 좌측의 가장자리부(12b)와 연결 접음선(42b)이 가까워지면서 좌상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파지부(11b)의 상단은 헤드 지지부(31)의 직사각형부(32)의 좌하측 모서리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파지부(11a)는 연결부(46a)를 통하여 헤드 지지부(31)의 삼각형부(33)의 우측에 연결된다. 파지부(11a)는 우측의 가장자리부(12a)와 연결 접음선(42a)이 가까워지면서 우상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파지부(11a)의 상단은 헤드 지지부(31)의 직사각형부(32)의 우하측 모서리에 접속된다.
<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 >
파지부(11)는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부(51)는 중심선(CL)에 대해서 일측에 형성되고, 가압됨으로써 변형된다. 삽입 구멍부(52)는 중심선(CL)에 대해서 타측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5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가압됨으로써 변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는 각각 파지부(11a 및 11b)에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는 각각 파지부(11b 및 11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의 구체적인 구성은 주로 도 3의 확대도에 나타나 있다.
삽입부(51)는 x축에 평행한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의 형상을 가지며, 확대부(51b) 및 근본부(5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근본부(51c)는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이며, y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갖는다. 확대부(51b)는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이며, 근본부(51c)의 우측에 위치한다. 확대부(51b)의 위쪽 및 아래쪽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을 향해 삼각형 모양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삽입부(51)는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의 칼집(cut)(51a)에 의해 형성된다. 칼집(51a)은 파지부(11a)에 형성되고, 평면 형상의 파지부(11a)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상측부(51aa), 상측 돌출부(51ab), 우측부(51ac), 하측 돌출부(51ad) 및 하측부(51a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측부(51aa)는 근본부(51c)의 위쪽 경계(변)가 되는 부분이며,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칼집이다. 하측부(51ae)는 근본부(51c)의 아래쪽 경계(변)가 되는 부분이며,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부(51aa)와 상하대칭인 칼집이다. 상측 돌출부(51ab)는 확대부(51b)의 위쪽 경계가 되는 부분이며, 상측부(51aa)의 우단과 연속하는 칼집이다. 하측 돌출부(51ad)는 확대부(51b)의 아래쪽 경계가 되는 부분이며, 하측부(51ae)의 우단과 연속하는 칼집이다. 우측부(51ac)는 확대부(51b)의 우측 경계(변)가 되는 부분이며,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칼집이다. 우측부(51ac)의 상단 및 하단은 상측 돌출부(51ab)의 우단 및 하측 돌출부(51ad)의 우단과 각각 연속한다.
삽입 구멍부(52)는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의 칼집(52a)에 의해 형성된다. 칼집(52a)은 파지부(11b)에 형성되고, 평면 형상의 파지부(11b)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 도시하였을 때에, 상측부(52aa), 종방향 연장부(52ab), 하측부(52ac) 및 횡방향 연장부(52a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방향 연장부(52ab)는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이 되도록 y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칼집이다. 상측부(52aa)는 종방향 연장부(52ab)의 상단과 연속되고, 우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칼집이다. 하측부(52ac)는 종방향 연장부(52ab)의 하단과 연속되고,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부(52aa)와 상하대칭으로 우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칼집이다. 횡방향 연장부(52ad)는 종방향 연장부(52ab)의 중심점에 접속되고, 대칭선(SL) 상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칼집이다.
여기서, 상측부(52aa)의 우단 및 좌단 그리고 하측부(52ac)의 우단 및 좌단의 4개의 점으로 둘러싸이는 범위를 사다리꼴부(52b)라고 정의한다. 상측부(52aa)의 위쪽 영역을 걸어맞춤 영역(52c)이라고 정의한다. 하측부(52ac)의 아래쪽 영역을 걸어맞춤 영역(52d)이라고 정의한다. 종방향 연장부(52ab)의 좌측 영역으로서 횡방향 연장부(52ad)의 위쪽 영역을 상측 직사각형부(52e)라고 정의한다. 종방향 연장부(52ab)의 좌측 영역으로서 횡방향 연장부(52ad)의 아래쪽 영역을 하측 직사각형부(52f)라고 정의한다.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는, 평면 형상의 파지부(11)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파지부(11)의 y축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하단부(40d) 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의 대칭선(SL)은, 예를 들어, 하단부(40d)에서 19 밀리미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삽입부(51)에 있어서의 상측 돌출부(51ab)의 상단과 하측 돌출부(51ad)의 하단과의 사이의 거리(R24)는, 삽입 구멍부(52)에 있어서의 상측부(52aa)의 상단과 하측부(52ac)의 하단과의 사이의 거리(R25)와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거리(R24 및 R25)는 모두 대략 12 밀리미터이다.
삽입부(51)에 있어서의 상측부(51aa)와 하측부(51ae)와의 사이의 거리(R26)는, 삽입 구멍부(52)에 있어서의 종방향 연장부(52ab)의 상단과 하단과의 사이의 거리(R27)와 대략 동일하고, 또한 거리(R24 및 R25)보다 짧다. 본 실시형태에서, 거리(R26 및 R27)는 모두 대략 9 밀리미터이다.
중심선(CL)과 삽입부(51)의 우측부(51ac)와의 사이의 거리(R21)는, 중심선(CL)과 삽입 구멍부(52)의 종방향 연장부(52ab)와의 사이의 거리(R22)보다 크고, 또한 중심선(CL)과 삽입 구멍부(52)의 횡방향 연장부(52ad)의 좌단과의 사이의 거리(R23)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 거리(R21, R22 및 R23)는 각각 대략 8.5 밀리미터, 대략 6 밀리미터 및 대략 11 밀리미터이다.
삽입부(51)에 있어서의 중심선(CL)과 하측부(51ae)의 좌단과의 사이의 거리(R28)는, 삽입 구멍부(52)에 있어서의 중심선(CL)과 하측부(52ac)의 우단과의 사이의 거리(R29)보다 짧다. 본 실시형태에서, 거리(R28 및 R29)는 각각 대략 3 밀리미터 및 대략 5 밀리미터이다.
< 절곡부(14a 및 14b)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4b)는 파지부(11b)의 좌측의 가장자리부(12b)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절곡부(14b)의 폭방향의 길이는 파지부(11)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작다. 평면 형상의 본체(40)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절곡부(14b)의 y축 방향에 따른 길이(이하, 절곡부 길이(L3)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파지부(11b)의 y축 방향에 따른 길이(이하, 파지부 길이(L2)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로 나눈 값이 0.25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절곡부 길이(L3) 및 파지부 길이(L2)는 각각 대략 46 밀리미터 및 대략 80 밀리미터이다. 그리고, 절곡부 길이(L3)를 파지부 길이(L2)로 나눈 값이 대략 0.58 이다.
절곡부(14b)는 중심선(CL) 쪽으로 절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절곡부(14b)는, 절곡부(14b)가 파지부(11b)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반전 접음선(43b)을 따라 절곡된다. 절곡부(14a)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절곡부(14b)와 좌우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절곡부(14a)는, 절곡부(14b)와 마찬가지로, 절곡부(14a)가 파지부(11b)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반전 접음선(43a)을 따라 절곡된다.
이와 같이, 절곡부(14a 및 14b)가 모두 절곡된 상태(이하, "제조완료 상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로, 면도기(1)는 공장으로부터 출시된다(도 2 참조). 제조완료 상태의 면도기(1)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절곡부(14b)의 외측의 가장자리(16b)는 중심선(CL)과 대략 평행하고, 또한 파지부(11)의 중심 접음선(41)에서의 절곡시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거리를 중심선(CL)으로부터 띄우고 중심선(CL)의 좌측에 위치한다. 절곡부(14a)의 외측의 가장자리(16a)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가장자리(16b)와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다.
절곡부(14b)는 조립 후 상태에서 삽입부(51)와 삽입 구멍부(52)가 끼워맞춰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절결부(15b)를 갖는다. 절결부(15b)의 y축 방향에 따른 길이(이하, 절결부 길이(L4)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절곡부 길이(L3)로 나눈 값이 0.26 이상이다(도 1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절결부 길이(L4)는 대략 18 밀리미터이다. 그리고, 절결부 길이(L4)를 절곡부 길이(L3)로 나눈 값이 대략 0.39 이다. 절곡부(14a)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절결부(15b)와 좌우대칭인 형상의 절결부(15a)를 갖는다.
절곡부(14b)가 절곡되었을 때에, 절곡부(14b)에 절결부(15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부(14b)와 삽입 구멍부(52)가 겹치는 것이 회피되고 있다(도 2 참조). 마찬가지로, 절곡부(14a)가 절곡되었을 때에, 절곡부(14a)에 절결부(15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부(14a)와 삽입부(51)가 겹치는 것이 회피되고 있다(도 2 참조). 이것에 의해, 파지부(11)를 중심 접음선(41)으로 절곡시킨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51)와 삽입 구멍부(52)를 물리적인 장해 없이 끼워맞출 수 있다.
< 면도기 헤드(61) >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61)는 전체가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틀 몸체 및 날 몸체(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틀 몸체는 프런트 케이스(65) 및 리어 케이스(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런트 케이스(65)와 리어 케이스(66)가 연결됨으로써 틀 몸체가 상자 형상이 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날 몸체(62)는 당해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날 몸체(62)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5매의 칼날과, 5매의 칼날을 z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는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날 몸체(62)는, 예를 들어, 철과 크롬 또는 크롬 및 니켈과의 합금인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날 몸체(62)는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날 몸체(62)는 4매 이하 또는 6매 이상의 칼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날 몸체(62)는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다른 금속으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프런트 케이스(65)는 리어 케이스(66)와 함께 날 몸체(62)를 수용하는 틀 몸체를 형성한다. 프런트 케이스(65) 및 리어 케이스(66)는, 예를 들어 철을 주석으로 표면 처리한 양철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프런트 케이스(65) 및 리어 케이스(66)는 다른 금속으로 표면 처리될 수도 있고, 표면 처리되지 않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날 몸체(62) 및 프런트 케이스(65) 및 리어 케이스(66)는, 철을 주로 포함하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면도기 헤드(61)를 "철"의 분류로 리사이클 또는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프런트 케이스(65)는 앞쪽의 면에 개구부(65a)를 가지며, 뒤쪽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구부(65a)로부터는 날 몸체(62)가 노출된다. 프런트 케이스(65)는, 메인 판(main plate)(65c), 장측판(long-side plate)(65d 및 65e) 및 단측판(short-side plate)(65f 및 65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판(65c)은 xy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x축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면을 갖는다. 메인 판(65c)의 면의 대략 중앙에는, x축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부(65a)가 형성된다. 장측판(65d 및 65e)은 각각 메인 판(65c)의 상단 및 하단에서 뒤쪽을 향해 z축 방향(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이다. 각각의 장측판(65d 및 65e)은 뒤쪽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65b)를 2개 갖는다. 즉, 프런트 케이스(65)에는 4개의 돌출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단측판(65f 및 65g)은 각각 메인 판(65c)의 우단 및 좌단으로부터 뒤쪽을 향해 연장되는 판이다.
메인 판(65c), 장측판(65d 및 65e) 및 단측판(65f 및 65g)은, 예를 들어 일체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런트 케이스(65)는, 장측판(65d 및 65e) 및 단측판(65f 및 65g)을 각각 메인 판(65c)에 대해서 절곡시키는 것에 의해, 메인 판(65c)의 뒤쪽에 상하 좌우가 둘러싸여 리어 케이스(66)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측판(65d 및 65e)에는, 각각 절결부(65h 및 65i)가 형성된다(도 6 및 도 8 참조). 절결부(65h 및 65i)는, 장측판(65d 및 65e)의 x축 방향(장축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위치에,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또한 뒤쪽의 단부로부터 앞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절결부(65h 및 65i)는 날 몸체(62)로 절단된 체모가 통과함으로써 면도기 헤드(61) 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절결부(65h 및 65i)는,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킬 때에, 유저가 손가락, 손톱, 또는 지그를 거는 역점(力點)이 되는 역점부를 포함한다. 즉, 절결부(65h 및 65i)는 분별 폐기에 의한 리사이클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과 면도기 헤드(61) 내에 절단된 체모를 잔존시키지 않게 함으로써 면도기를 청결하고 쾌적하게 사용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리어 케이스(66)는 바닥판(66d) 및 장측판(66e 및 66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66d)은 xy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프런트 케이스(65)의 메인 판(65c)과 대향된다. 바닥판(66d)은 x축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면을 갖는다. 바닥판(66d)의 뒤쪽의 면에는, x축 방향의 양단 근방에 직사각형이고 또한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인 직사각형 평면부(66a 및 66b)가 각각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바닥판(66d)의 뒤쪽의 면의 대략 중앙에는, x축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부(66c)가 형성된다. 개구부(66c)의 우측 및 좌측에는, 접착제(64)가 도포되는 직사각형 평면부(66a 및 66b)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바닥판(66d)의 뒤쪽의 우하측 모서리의 근방의 영역을 돌출부(61a)라고 정의한다. 또, 바닥판(66d)의 뒤쪽의 좌하측 모서리의 근방의 영역을 돌출부(61b)라고 정의한다. 또한, 직사각형 평면부(66a 및 66b)의 적어도 하나에는, 면도기 헤드(61)와 직사각형부(32)와의 접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정도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장측판(66e 및 66f)은 각각 바닥판(66d)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z축 방향(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이다. 바닥판(66d) 및 장측판(66e 및 66f)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다. 장측판(66e)과 장측판(66f) 사이에는, 날 몸체(62)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리어 케이스(66)는 장측판(66e)과 장측판(66f) 사이의 공간에 날 몸체(62)를 수용한 상태로 프런트 케이스(65)에 연결된다. 그리고, 프런트 케이스(65)의 장측판(65d)에 있어서의 2개의 돌출부(65b) 및 장측판(65e)에 있어서의 2개의 돌출부(65b)가, 각각 프런트 케이스(65)의 리어 케이스(66)의 개구부(66c)를 향해 절곡됨으로써, 리어 케이스(66)가 프런트 케이스(65)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61)는, 파지부(11) 측의 일부가 직사각형부(32)로부터 파지부(11) 측으로 돌출하도록, 리어 케이스(66)의 직사각형 평면부(66a 및 66b)가 직사각형부(32)에 접착된다. 상세하게는, 면도기 헤드(61)는, 돌출부(61a)가 연결 접음선(42a)의 아래쪽에 위치되고, 또한 돌출부(61b)가 연결 접음선(42b)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리어 케이스(66)의 직사각형 평면부(66a 및 66b)와 직사각형부(32)의 점착면(32a)이 접착제(64)로 접착된다.
면도기 헤드(61)는, 헤드 지지부(31)의 직사각형부(32)와의 접착을 위해서 상기 접착제(64)가 배치된 영역을 접착 영역으로 하고, 그 이외의 영역을 접착금지 영역으로 한다. 접착 영역은 면도기 헤드(61)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중앙 위치는 아니고, 위쪽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키고자 절결부(65i)에 힘을 가했을 때에, 이탈시키는 힘이 전달되기 쉬운 구성이 된다. 또, 접착금지 영역은, 틀 몸체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66)의 주변부로부터, 예를 들어 0.5 mm 이상 1 mm 이하의 영역 등의, 접착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영역으로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접착금지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면도기 헤드(61)의 주변부가 헤드 지지부(31)에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분리시키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금지 영역은 리어 케이스(66)의 주변부로부터 0.5 mm 이상 3 mm 이하의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킬 때에 사용자가 절결부(65h)에 힘을 가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면도기 헤드(61)의 위쪽의 단부에 가까운 쪽이 아니라, 아래쪽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접착 영역을 마련할 수 있다. 면도기 헤드(61)가 절결부(65h 및 65i)의 쌍방 모두를 가지는 구성의 경우에는, 위쪽 또는 아래쪽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접착 영역을 마련할 수 있다.
또, 상기 리어 케이스(66)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 영역이 평면 형상이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접착 영역으로도, 헤드 지지부(31)에 면도기 헤드(61)를 안정적으로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분별 용이하면서도 쾌적하게 사용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접착 영역은 그 전체가 평면 형상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평면 형상이더라도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조립 >
도 2에 나타내는 제조완료 상태의 면도기(1)는, 조립시에는, 앞쪽이 볼록하게 되도록, 유저에 의해 중심 접음선(41) 및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을 따라 절곡된다. 구체적으로, 유저는, 예를 들어, 면도기(1)의 조립시에,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파지부(11)를 절곡시킨다. 파지부(11)의 절곡은, 예를 들어 한 손으로 행할 수 있다. 파지부(11)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 연결 접음선(42a 및 42b)도 자연적으로 절곡된다. 제조 완료시에 절곡부(14a 및 14b)가 이미 절곡되어 있으므로, 유저는 면도기(1)의 조립을 한 손으로 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후 상태에서는, 파지부(11)의 중심선(CL)의 부분이 등 부분(21)이 되고, 파지부(11)의 가장자리부(12a 및 12b)가 각각 배 부분(22a 및 22b)이 된다. 등 부분(21)으로부터 연속되는 헤드 지지부(31)는, 이것에 의해 헤드 지지부(31)가 중심선(CL)에 대해서 이면 측으로 경사진다. 즉, 헤드 지지부(31)는 배 부분(22a 및 22b) 쪽을 향해 굴곡된다. 면도기 헤드(61)는 직사각형부(32)의 등 부분(21) 쪽의 점착면(32a)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면도기(1)를 x축 방향을 따라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직사각형부(32)의 점착면(32a)의 연장 방향과 중심선(CL)이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β)가 35도 이상 55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β)는 40도 이상 50도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도(β)는 대략 45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후 상태에서는, 삽입부(51)가 삽입 구멍부(52)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에 있어서, 유저가 삽입부(51)를 가압하면, 파지부(11a)의 칼집(51a)이 갈라지고, 삽입부(51)는 파지부(11b)에 가까워지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유저가 삽입부(51)를 더욱 가압하면, 삽입부(51)가 파지부(11b)의 삽입 구멍부(52)를 가압하여, 파지부(11b)의 칼집(52a)이 갈라진다. 이 때, 삽입 구멍부(52)의 사다리꼴부(52b), 상측 직사각형부(52e) 및 하측 직사각형부(52f)가 말려 올라가서 구멍(이하, "갈라짐 구멍"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이 형성된다. 갈라짐 구멍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최대로 거리(R25)까지이므로, 삽입부(51)는 갈라짐 구멍에 삽입된다. 그리고, 유저가 삽입부(51)로부터 손을 떼면, 사다리꼴부(52b)가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려고 삽입부(51)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삽입부(51)의 확대부(51b)의 상단 및 하단이 파지부(11b)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영역(52c 및 52d)에 각각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삽입부(51)가 갈라짐 구멍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파지부(11)가 유저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다. 헤드 지지부(31) 및 파지부(11)는, 유저가 면도기 헤드(61)를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면도기 헤드(61)가 유저의 피부에 밀리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 후에는 면도기 헤드(61)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돌출부(61a 및 61b)에 손가락을 걸어, 면도기 헤드(61)를 직사각형부(32)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면도기 헤드(61)와 헤드 지지부(31)를 분리한다.
< 포장 >
면도기(1)는, 예를 들어, 1개씩 종이로 포장된다. 또한, 면도기(1)는 2개 이상을 모아서 종이로 포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면도기(1)를 종이로 포장하면, 출장 또는 여행 등의 기회에 면도기(1)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포장지를 본체(40)와 모아서 "종이"의 분류로 폐기할 수 있다.
< 2. 변형예 >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 1 내지 6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본체의 형상 등이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실시형태와 공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 (1) 변형예 1 >
도 12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의 면도기(2)는,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1)와 비교해서,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지 않으며, 파지부(11)의 외형이 상이하다. 면도기(2)는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40)와 면도기 헤드(61)가 연결됨으로써, 도 12에 나타내는 완성품이 된다. 이와 같이, 절곡부(14a 및 14b)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절곡 가공의 삭감에 의해 제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면도기(2)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종이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면도기(2)의 제조에 있어서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면도기(2)의 파지부(11)의 외형은 아래쪽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파지부(11)의 아래쪽이 유저의 손에 맞닿았을 때에 유저의 손에 주는 자극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2)를 사용 중인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2) 변형예 2 >
도 13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면도기의 절단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면도기(3)는,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1)와 비교해서, 절곡부(14a 및 14b) 및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 대신에 절단부(71)를 구비하고, 파지부(11)의 외형이 상이하다. 면도기(3)는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40)와 면도기 헤드(61)가 연결됨으로써, 도 13에 나타내는 완성품이 된다. 이와 같이, 절곡부(14a 및 14b)를 마련하지 않은 구성에 의해, 절곡 가공의 삭감에 의해 제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면도기(3)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종이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면도기(3)의 제조에 있어서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면도기(3)의 파지부(11)의 외형은 아래쪽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파지부(11)의 아래쪽이 유저의 손에 맞닿았을 때에 유저의 손에 주는 자극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3)를 사용 중인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절단부(71)의 구성 >
본 실시형태에서, 절단부(71)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이고, 또한 x축에 평행한 대칭선(SL)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71)는 칼집(71a 및 7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칼집(71a)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이며,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가지며, 우상부(71aa) 및 좌상부(71a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상부(71aa)는 파지부(11a)에 형성되고, 평면 형상의 본체(40)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중심선(CL) 상의 일 점으로부터 우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칼집이다. 좌상부(71ab)는 파지부(11b)에 형성되고,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우상부(71aa)와 좌우대칭인 칼집이다.
칼집(71b)은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이고, 또한 대칭선(SL2)을 기준으로 하여 칼집(71a)과 상하대칭인 형상을 가지며, 우하부(71ba) 및 좌하부(71b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하부(71ba)는 파지부(11a)에 형성되고, 대칭선(SL2)을 기준으로 하여 우상부(71aa)와 상하대칭인 칼집이다. 좌하부(71bb)는 파지부(11b)에 형성되고,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우하부(71ba)와 좌우대칭인 칼집이다.
여기서, 칼집(71a)의 아래쪽 영역으로서 칼집(71b)의 위쪽 영역을 소편부(small piece part)(71c)라고 정의한다.
< 조립 후 >
면도기(3)가 조립된 후의 상태에서는, 칼집(71a 및 71b)은 등 부분(21)으로부터 배 부분(22a 및 22b)을 각각 향하면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변형예 2의 소편부가 우측으로 절곡된 상태의 절단부 근방을 등 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예를 들어, 면도기(3)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소편부(71c)를 손으로 잡아 우측으로 절곡시킨다. 소편부(71c)가 절곡될 때, 칼집(71a 및 71b)이 갈라지고, 파지부(11)에는, 칼집(71a)에 의한 절단 끝인 본체 상측 단부(71d)와, 칼집(71b)에 의한 절단 끝인 본체 하측 단부(71e)가 형성된다. 한편, 소편부(71c)에서는, 칼집(71a)에 의한 절단 끝인 소편 상측 단부(71f)와, 칼집(71b)에 의한 절단 끝인 소편 하측 단부(71g)가 형성된다.
유저가 소편부(71c)로부터 손을 떼면, 소편부(71c)는 절곡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파지부(11)가 종이의 탄성 또는 외력 등에 의해 평면 형상으로 돌아가려 해도, 본체 상측 단부(71d)와 소편 상측 단부(71f)와의 사이, 및 본체 하측 단부(71e)와 소편 하측 단부(71g)와의 사이에 물리적인 간섭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절곡된 파지부(11)가 평면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억제되어,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본 변형예 2의 면도기(3)에서는,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 설명을 했지만, 면도기(3)는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절곡부(14a 및 14b)에는, 절결부(15a 및 15b)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
< (3) 변형예 3 >
도 16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제조 완료시에 있어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면도기(4)는, 도 1에 나타내는 면도기(1)와 비교해서, 절곡부(14a 및 14b) 및 삽입부(51) 및 삽입 구멍부(52) 대신에, 우측 돌출부(81), 좌상측 돌출부(82a) 및 좌하측 돌출부(82b)를 구비하고, 파지부(11)의 외형이 상이하다. 면도기(4)는,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본체(40)와 면도기 헤드(61)가 연결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완성품이 된다. 이와 같이, 절곡부(14a 및 14b)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절곡 가공의 삭감에 의해 제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면도기(4)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종이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면도기(4)의 제조에 있어서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면도기(4)의 파지부(11)의 외형은 아래쪽이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파지부(11)의 아래쪽이 유저의 손에 맞닿았을 때에 유저의 손에 주는 자극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4)를 사용 중인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우측 돌출부(81)의 구성 >
우측 돌출부(81)는 파지부(11)의 가장자리부(1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우측 돌출부(81)는 xy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돌출부(81)는, 평면 형상의 본체(40)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상측 볼록부(81a) 및 하측 볼록부(81b)를 형성하면서 가장자리부(12a)로부터 우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측 볼록부(81a)는 우측 돌출부(81)의 위쪽에 위치하고,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하측 볼록부(81b)는 우측 돌출부(81)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측 볼록부(81a)와 파지부(11a)와의 사이에는, 아래쪽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상측 오목부(81c)가 형성된다. 하측 볼록부(81b)와 파지부(11a)와의 사이에는, 위쪽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하측 오목부(81d)가 형성된다. 상측 오목부(81c)와 하측 오목부(81d)와의 사이에는, 가장자리부(12a)를 따라 오목부간 접음선(81e)이 형성된다.
< 좌상측 돌출부(82a) 및 좌하측 돌출부(82b)의 구성 >
좌상측 돌출부(82a) 및 좌하측 돌출부(82b)는 xy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좌상측 돌출부(82a)와 좌하측 돌출부(82b)와의 사이에는 절결부(8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상측 돌출부(82a)는, 평면 형상의 본체(40)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상측 볼록부(82c)를 형성하면서 가장자리부(12b)로부터 좌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측 볼록부(82c)는 좌상측 돌출부(82a)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측 볼록부(82c)와 파지부(11b)와의 사이에는, 위쪽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상측 오목부(82e)가 형성된다.
좌하측 돌출부(82b)는, 평면 형상의 본체(40)를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하측 볼록부(82d)를 형성하면서 가장자리부(12b)로부터 좌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하측 볼록부(82d)는 좌하측 돌출부(82b)의 위쪽에 위치하고, 위쪽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하측 볼록부(82d)와 파지부(11b)와의 사이에는, 아래쪽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하측 오목부(82f)가 형성된다.
여기서, 우측 돌출부(81)에 있어서의 상측 볼록부(81a)의 상단과 하측 볼록부(81b)의 하단과의 사이의 길이를 볼록부간 길이(L41)라고 정의한다. 상측 오목부(81c)와 하단과 하측 오목부(81d)의 상단과의 사이의 길이를 오목부간 길이(L42)라고 정의한다.
절결부(82)에 있어서의, 상측 볼록부(82c)의 하단과 하측 볼록부(82d)의 상단과의 사이의 길이(이하, 볼록부간 길이(L43)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는, 오목부간 길이(L42)보다 약간 크고, 또한 볼록부간 길이(L41)보다 작다. 상측 오목부(82e)의 상단과 하측 오목부(82f)의 하단과의 사이의 길이(이하, 오목부간 길이(L44)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는, 볼록부간 길이(L43)보다 크고, 또한 볼록부간 길이(L41)보다 작다.
< 조립 후 >
조립 후 상태에서는, 우측 돌출부(81)가 절결부(82)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17은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우측 돌출부(81)가 절결부(82)에 끼워맞춰진 상태의 우측 돌출부(81) 근방을 배 쪽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예를 들어, 면도기(4)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우측 돌출부(81)를 오목부간 접음선(81e)을 따라 x축-측으로 절곡시킨다. 우측 돌출부(81)가 절곡된 상태에서는, 우측 돌출부(81)의 상측 오목부(81c) 및 하측 오목부(81d)는, 절결부(82)의 좌상측 돌출부(82a)와 좌하측 돌출부(82b)와의 사이(상세하게는, 도 17에 도시하지 않은 상측 오목부(82e)와 하측 오목부(82f)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유저가 우측 돌출부(81)로부터 손을 떼면, 우측 돌출부(81)는 절곡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파지부(11)가 종이의 탄성 또는 외력 등에 의해 평면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해도, 우측 돌출부(81)의 상측 볼록부(81a)와 파지부(11b)와의 사이, 및 우측 돌출부(81)의 하측 볼록부(81b)와 파지부(11b)와의 사이에 물리적인 간섭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절곡된 파지부(11)가 평면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억제되어,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우측 돌출부(81)를 절곡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우측 돌출부(81)를 절결부(82)에 끼워맞출 수 있으므로, 실시형태 및 변형예 1 및 변형예 2의 구성과 비교해서, 파지부(11)를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시킨 상태로 간단하고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면도기(4)에서는,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 설명을 했지만, 면도기(4)는 절곡부(14a 및 14b)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절곡부(14a 및 14b)에는, 절결부(15a 및 15b)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
또,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의 면도기(4)에서는, 우측 돌출부(81)가 가장자리부(1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절결부(82)가 가장자리부(12b)에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을 했지만, 우측 돌출부(81)가 가장자리부(12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절결부(82)가 가장자리부(12a)에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 (4) 변형예 4 >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 헤드가 제거된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폭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4의 면도기(5)는,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파지부와 절곡부에 의해 통이 형성되어, y축 방향으로부터 본 그 통의 단면이 대략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면도기(1)와 상이하다. 또, 면도기 헤드(61)의 구성이 면도기(1)와 상이하다.
면도기(5)의 본체(40)는 헤드 고정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 고정부(100)는 뒷덮개부(102) 및 찔러넣음부(103a 및 10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 고정부(100)는, 헤드 지지부(31)에 대해서, 파지부(11) 측과는 반대쪽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헤드 고정부(100)에 있어서의 뒷덮개부(102)는 헤드 지지부(31)의 위쪽에 접속되고,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외형을 갖는다. 뒷덮개부(102)는, 앞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폭방향의 폭을 약간 좁히면서 축소부(102c)까지 아래쪽에 연장된 후, 폭방향의 폭을 크게 넓히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헤드 지지부(31)의 위쪽에 접속된다. 즉, 뒷덮개부(102)는 축소부(102c)에 있어서 약간 잘록해진 형상을 갖는다. 뒷덮개부(102)와 헤드 지지부(31)와의 경계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음선(101)이 형성된다.
찔러넣음부(103a 및 103b)는, 헤드 고정부(100)가 접음선(101)에서 절곡되었을 때에, 파지부(11) 및 절곡부(14a 및 14b)와 끼워맞춰진다. 상세하게는, 찔러넣음부(103a)는 뒷덮개부(102)의 축소부(102a)의 위쪽에 있어서 뒷덮개부(102)의 우측의 가장자리에서 우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찔러넣음부(103a)와 뒷덮개부(102)는 연속되고, 이들의 경계에는 접음선(104a)이 형성된다.
찔러넣음부(103b)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찔러넣음부(103a)와 대칭인 형상이며, 뒷덮개부(102)의 축소부(102a)의 위쪽에 있어서 뒷덮개부(102)의 좌측의 가장자리에서 좌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찔러넣음부(103b)와 뒷덮개부(102)는 연속되고, 이들의 경계에는 접음선(104b)이 형성된다.
파지부(11)에서는,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인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장공부(18)가 정점(17)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파지부(11a)는 가장자리부(12a)의 일부가 중심선(C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우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2aa)를 포함한다. 볼록부(12aa)는 위쪽의 반전 접음선(43aa)과 아래쪽의 반전 접음선(43ab)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볼록부(12aa)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찔러넣음부(103a)의 좌단의 길이방향의 길이 즉 접음선(104a)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또, 볼록부(12aa)와 접음선(101)과의 사이의 거리와 접음선(104a)과 접음선(101)과의 사이의 거리는 대략 동일하다.
볼록부(12aa)의 위쪽, 오른쪽 및 아래쪽의 가장자리는 칼집(43ac)으로 되어 있다. 파지부(11a) 및 절곡부(14a)를 반전 접음선(43aa 및 43ab)을 따라 절곡시켰을 때, 칼집(43ac)이 있기 때문에 볼록부(12aa)가 절곡되지 않는 한편, 절곡부(14a)에는 반전 접음선(43aa)과 반전 접음선(43ab)과의 사이에 오목부(14aa)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4aa)와 파지부(11a)와의 사이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장공(43ad)이 형성된다(도 22 및 도 23 참조).
파지부(11b)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볼록부(12aa)와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볼록부(12ba)를 포함한다. 즉, 볼록부(12ba)는 중심선(C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좌측으로 돌출한다. 볼록부(12ba)는 위쪽의 반전 접음선(43ba)과 아래쪽의 반전 접음선(43bb)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볼록부(12ba)의 위쪽, 왼쪽 및 아래쪽의 가장자리부는 칼집(43bc)으로 되어 있다. 파지부(11b) 및 절곡부(14b)를 반전 접음선(43ba 및 43bb)을 따라 절곡시켰을 때, 칼집(43bc)이 있기 때문에 볼록부(12ba)가 절곡되지 않는 한편, 절곡부(14b)에는 반전 접음선(43ba)과 반전 접음선(43bb)과의 사이에 오목부(14ba)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4ba)와 파지부(11b)와의 사이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장공(43bd)이 형성된다(도 22 및 도 23 참조).
절곡부(14a)의 가장자리(16a)에는, 중심선(CL)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회피부(16aa)가 형성된다. 회피부(16aa)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볼록부(12ba)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회피부(16aa)의 폭방향의 길이는 볼록부(12ba)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크다.
회피부(16aa)는, 파지부(11a) 및 파지부(11b)를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시킨 후, 파지부(11a) 및 절곡부(14a)를 반전 접음선(43aa 및 43ab)을 따라 더욱 절곡시킨 상태에 있어서, 볼록부(12ba)와 대향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절곡부(14b)의 가장자리(16b)에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회피부(16aa)와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회피부(16ba)가 형성된다.
회피부(16ba)는, 파지부(11a) 및 파지부(11b)를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시킨 후, 파지부(11b) 및 절곡부(14b)를 반전 접음선(43ba 및 43bb)을 따라 더욱 절곡시킨 상태에 있어서, 볼록부(12aa)와 대향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헤드 지지부(31)는, 삼각형부(33), 우단 지지부(35a) 및 좌단 지지부(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주로 도 18 및 도 19 참조). 우단 지지부(35a) 및 좌단 지지부(35b)는, 면도기 헤드(61)의 적어도 양단을 지지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단 지지부"의 일례이다.
삼각형부(33)는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의 위쪽에 위치한다. 우단 지지부(35a)는 삼각형부(33)의 우상측의 일부와 연속되고, 파지부(11a)의 위쪽이 삼각형부(33)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마련된다. 좌단 지지부(35b)는 삼각형부(33)의 좌상측의 일부와 연속되고, 파지부(11b)의 위쪽이 삼각형부(33)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마련된다. 면도기 헤드(61)는, 우단 지지부(35a), 좌단 지지부(35b), 및 삼각형부(33)의 3 곳에 접착됨으로써 헤드 지지부(31)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64a, 64b, 및 64c)가 배치되고, 이들 위치에서 면도기 헤드(61)가 헤드 지지부(31)에 접착된다. 면도기 헤드(61)와 헤드 지지부(31)와의 사이에는, 이러한 접착제(64a, 64b, 및 64c)가 배치된 영역을 접착 영역으로 하고, 그 이외의 영역을 접착금지 영역으로 한다. 즉,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61)를 형성하는 틀 몸체에 있어서의 리어 케이스(66x)에는, 접착 영역(66m, 66n, 및 66o)이 마련된다. 접착 영역(66m, 66n, 및 66o)은, 모두 면도기 헤드(61)에 있어서의 y축 방향의 중앙 위치가 아니라, 위쪽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키려고 절결부(65i)에 힘을 가했을 때에, 이탈시키는 힘이 전달되기 쉬운 구성으로 된다. 또, 접착금지 영역은, 틀 몸체를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66x)의 주변부로부터, 예를 들어 0.5mm 이상 1mm 이하의 영역 등의, 접착 영역(66m, 66n, 및 66o)을 제외한 소정의 영역으로서 마련된다. 이러한 접착금지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면도기 헤드(61)의 주변부가 헤드 지지부(31)에 접착되지 않게 해서,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분리시키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면도기 헤드(61)는 파지부(11) 측의 일부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파지부(11) 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헤드 지지부(31)에 고정된다. 접착금지 영역은 리어 케이스(66x)의 주변부로부터 0.5mm 이상 3mm 이하의 영역일 수도 있다.
파지부(11a)와 우단 지지부(35a)와의 경계는 L자 모양의 칼집(34a)으로 되어 있다. 칼집(34a)은 연결 접음선(42a)의 상측 단부의 위치(34aa)로부터 우하측을 향해 연장된 후, 위치(34ab)까지 좌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파지부(11b)와 좌단 지지부(35b)와의 경계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칼집(34a)과 대칭인 형상의 칼집(34b)으로 되어 있다. 칼집(34b)은 연결 접음선(42b)의 상측 단부의 위치(34ba)로부터 좌하측을 향해 연장된 후, 위치(34bb)까지 우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61)는 실시형태의 면도기 헤드(61)와 유사하지만, 주로 이하의 점에서 구성이 상이하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 헤드(61)는 프런트 케이스(65x) 및 리어 케이스(66x)에 의해 형성된 틀 몸체를 포함한다. 날 몸체(62)는, 실시형태처럼, 틀 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프런트 케이스(65x)의 개구부(65a)로 노출된다. 프런트 케이스(65)는, 메인 판(65c), 장측판(65j 및 65k) 및 단측판(65l 및 65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측판(65j 및 65k)은 각각 메인 판(65c)의 상단 및 하단에서 뒤쪽을 향해 z축 방향(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이다. 각각의 장측판(65j 및 65k)은 뒤쪽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65b)를 2개 갖는다. 단측판(65l 및 65m)은 각각 메인 판(65c)의 좌단 및 우단에서 뒤쪽을 향해 연장되는 판이다.
장측판(65j 및 65k)에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각 절결부(65h 및 65i)가 형성된다(도 20, 도 24 내지 도 26 참조). 절결부(65h 및 65i)는, 장측판(65j 및 65k)의, x축 방향(장축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위치에,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또한 뒤쪽으로부터 앞쪽에 향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절결부(65h 및 65i)와 대향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는, 헤드 지지부(31)가 위치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헤드 지지부로부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킬 때에, 절결부(65h 또는 65i)에 접촉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65h 및 65i)는 날 몸체(62)로 절단된 체모가 통과함으로써 면도기 헤드(61) 내에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절결부(65h 및 65i)는,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킬 때에, 유저가 손가락, 손톱, 또는 지그를 거는 역점이 되는 역점부를 갖는다. 즉, 절결부(65h 및 65i)는, 분별 폐기에 의한 리사이클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과, 면도기 헤드(61) 내에 절단된 체모를 잔존시키지 않음으로써 면도기를 청결하고 쾌적하게 사용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단측판(65l 및 65m)에는, 각각 절결부(65n 및 65o)가 형성된다(도 24 및 도 21 참조). 절결부(65n 및 65o)는, 단측판(65l 및 65m)의, y축 방향(장축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위치에,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또한 뒤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절결부(65n 및 65o)는, 장측판(65j 및 65k)의 절결부(65h 및 65i)와 마찬가지로, 절단된 체모를 통과시키는 기능과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킬 때의 역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리어 케이스(66x)는, 바닥판(66y), 장측판(66g 및 66h), 및 단측판(66i 및 66j)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66y)은 실시형태의 바닥판(66d)과 동일한 형상이지만, 실시형태의 개구부(66c)를 대신해서, 2개의 개구부(66k 및 66l)를 가지고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66k 및 66l)는 헤드 지지부(31)와 대향하는 뒤쪽의 면으로서, 대향하는 위치에 헤드 지지부(31)가 위치하지 않는 장소에 마련된다. 그 때문에, 개구부(66k 및 66l)는 헤드 지지부(31)에 의해 막히지 않으며, 개구부(66k 및 66l)로부터 절단된 체모가 통과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 헤드(61) 내에의 절단된 체모의 잔존을 억제할 수 있어, 면도기(5)를 청결하고 쾌적하게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66x) 아래쪽의 장측판(66h)은 프런트 케이스(65x) 아래쪽의 장측판(65k)과 0.5mm 이상 1mm 이하의 거리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킬 때에, 절결부(65i)에 접촉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또, 리어 케이스(66x) 위쪽의 장측판(66g)은 프런트 케이스(65x) 위쪽의 장측판(65j)과 0.5mm 이상 1mm 이하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킬 때에, 절결부(65h)에 접촉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또한, 리어 케이스(66x)의 장측판(66h 및 66g)과 프런트 케이스(65x)의 장측판(65k 및 65j)와의 거리는 각각 0.5mm 이상 3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절결부(65h 및 65i)는 어느 쪽이든 한쪽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절단된 체모의 통과, 및 헤드 지지부(31)로부터의 면도기 헤드(61)의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절결부(65i)를 가지는 구성 쪽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만, 절단된 체모의 통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절결부(65h 및 65i)의 쌍방 모두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결부(65h 및 65i)의 어느 쪽이든 한쪽만이 형성되는 경우, 리어 케이스(66x)의 장측판(66h 및 66g)과 프런트 케이스(65x)의 장측판(65k 및 65j)과의 거리는, 절결부(65h 또는 65i)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마련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를 이탈시킬 때에 사용자가 절결부(65h)에 힘을 가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면도기 헤드(61)의 위쪽의 단부에 가까운 쪽이 아니라, 아래쪽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접착 영역을 마련할 수 있다. 면도기 헤드(61)가 절결부(65h 및 65i)의 쌍방 모두를 가지는 구성의 경우에는, 위쪽 또는 아래쪽의 어느 하나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접착 영역을 마련할 수도 있다.
< 조립 >
면도기(5)의 조립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면도기(5)의 조립시에는, 유저에 의해, 앞쪽이 볼록하게 되도록 파지부(11a) 및 절곡부(14a)가 반전 접음선(43aa 및 43ab)을 따라 절곡됨과 함께, 파지부(11b) 및 절곡부(14b)가 반전 접음선(43ba 및 43bb)을 따라 절곡된다(제1 절곡 단계). 제1 절곡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공(43ad 및 43bd)이 형성된다.
다음에, 유저에 의해, 앞쪽이 볼록하게 되도록, 파지부(11a 및 11b)가 중심 접음선(41) 및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을 따라 절곡된다(제2 절곡 단계).
제2 절곡 단계에서는, 칼집(34a 및 34b)이 있기 때문에, 파지부(11a)는, 우단 지지부(35a), 삼각형부(33) 및 좌단 지지부(35b)에 의해 형성되는 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멀어지도록 절곡된다. 파지부(11b)도, 파지부(11a)와 마찬가지로, 해당 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멀어지도록 절곡된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서는, 절곡부(14b)가 절곡부(14a)의 뒤쪽에 위치하지만, 절곡부(14a)가 절곡부(14b)의 뒤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 절곡부(14b)에 회피부(16b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공(43ad)이 절곡부(14b)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절곡부(14a)에 회피부(16a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공(43bd)이 절곡부(14a)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유저에 의해, 찔러넣음부(103a)가 접음선(104a)을 따라 뒤쪽으로 절곡됨과 함께, 찔러넣음부(103b)가 접음선(104b)에서 뒤쪽으로 절곡된다(제3 절곡 단계).
다음에, 유저에 의해, 뒷덮개부(102)가 접음선(101)을 따라 뒤쪽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찔러넣음부(103a 및 103b)가 제1 절곡 단계에서 형성된 장공(43ad 및 43bd)에 각각 삽입되어 헤드 고정부(100)와 파지부(11)가 끼워맞춰진다(제4 절곡 단계).
찔러넣음부(103a 및 103b)가 장공(43ad)과 장공(43bd) 사이의 거리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파지부(11a) 및 파지부(11b)가 펼쳐져 평면으로 돌아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 뒷덮개부(102)가 절곡부(14a 및 14b)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절곡부(14a) 및 파지부(11a)가 펼쳐져 평면으로 돌아가는 것과, 절곡부(14b) 및 파지부(11b)가 펼쳐져 평면으로 돌아가는 것이 억제된다.
파지부(11a 및 11b) 및 절곡부(14a 및 14b)는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23)을 형성한다. 통(23)의 단면은, y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대략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도 23 참조).
또한, 면도기(5)가 제1 절곡 단계 내지 제4 절곡 단계로 완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 제2 절곡 단계만을 행해는 것으로 면도기(5)를 면도기(1 내지 4)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 통(23)의 단면은 삼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또는 5각형 등의 사각 이상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또, 장공부(18)가 중심선(CL)에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장공부(18)의 형상은 중심선(CL)에 비대칭인 구성일 수도 있다. 장공부(18)는, 위쪽으로부터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에, 중심선(CL)과 교차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찔러넣음부(103a 및 103b)가 파지부(11a 및 11b) 및 절곡부(14a 및 14b)와 끼워맞춰지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찔러넣음부(103a 및 103b)는 헤드 지지부(31)와 끼워맞춰지는 구성일 수도 있다.
< (5) 변형예 5 >
도 25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조립 후 상태의 면도기를 뒤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5의 면도기(6)는,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의 파지부(11)의 고정 방법이, 변형예 4의 면도기(5)의 파지부(11)의 고정 방법과 상이하다.
파지부(11a)의 우측의 가장자리부(12a)에는, 위쪽의 반전 접음선(43aa)과 아래쪽의 반전 접음선(43ab)과의 사이에 있어서 칼집(12ab)이 형성된다. 칼집(12ab)의 위쪽의 단부 및 아래쪽의 단부에는, 칼집이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파지부(11b)의 좌측의 가장자리부(12b)에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칼집(12ab)과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칼집(12bb)이 형성된다.
절곡부(14a)는, 중심선(C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우측으로, 가장자리(16a)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16ab)를 포함한다. 볼록부(16ab)는, 파지부(11a) 및 파지부(11b)를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시킨 후, 파지부(11a) 및 절곡부(14a)를 반전 접음선(43aa 및 43ab)을 따라 더욱 절곡시킨 상태에 있어서, 칼집(12bb)과 대향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볼록부(16ab)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칼집(12bb)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절곡부(14b)는, 중심선(CL)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좌측으로, 가장자리(16b)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16bb)를 포함한다. 볼록부(16bb)는, 파지부(11a) 및 파지부(11b)를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시킨 후, 파지부(11b) 및 절곡부(14b)를 반전 접음선(43ba 및 43bb)을 따라 더욱 절곡시킨 상태에 있어서, 칼집(12ab)과 대향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볼록부(16bb)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칼집(12ab)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볼록부(16bb)의 폭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볼록부(16ab)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헤드 지지부(31)는, 삼각형부(33), 우단 지지부(35a) 및 좌단 지지부(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7 참조). 면도기 헤드(61)는 우단 지지부(35a) 및 좌단 지지부(35b)에 접착됨으로써 헤드 지지부(31)에 고정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면도기 헤드(61)는 파지부(11) 측의 일부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파지부(11) 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헤드 지지부(31)에 고정된다.
파지부(11a)와 우단 지지부(35a)와의 경계는 대략 직선 형상의 칼집(34a)으로 되어 있다(도 25 참조). 칼집(34a)은 연결 접음선(42a)의 상측 단부의 위치(34aa)(도 27 참조)로부터 위치(34ab)까지 우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파지부(11b)와 좌단 지지부(35b)와의 경계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칼집(34a)과 대칭인 형상의 칼집(34b)으로 되어 있다(도 25 참조). 칼집(34b)은 연결 접음선(42b)의 상측단부의 위치(34ba)로부터 위치(34bb)까지 좌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 조립 >
면도기(6)의 조립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면도기(6)의 조립에 대해서는, 변형예 4의 면도기(5)의 조립과의 차이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면도기(5)의 조립과의 일치점에 대해서는 간결하게 설명한다.
우선, 유저에 의해, 제1 절곡 단계를 행한다. 다음에, 유저에 의해, 앞쪽이 볼록하게 되도록, 파지부(11a 및 11b)가 중심 접음선(41) 및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을 따라 절곡된다. 이 때, 절곡부(14a)가 절곡부(14b)의 뒤쪽에 위치하고, 또한 절곡부(14b)의 볼록부(16bb)가 칼집(12ab)에 삽입되도록 파지부(11a 및 11b)를 절곡시킨다(제2 절곡 단계).
다음에, 유저에 의해, 볼록부(16ab)가 접음선(16ac)을 따라 절곡된다. 이 때, 볼록부(16ab)가 접히는 방향은 칼집(12bb)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제3 절곡 단계).
다음에, 유저에 의해, 볼록부(16ab)가 칼집(12bb)에 삽입되어 볼록부(16ab)와 파지부(11b)가 끼워맞춰진다(제4 절곡 단계).
볼록부(16ab)가 칼집(12bb)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파지부(11a) 및 파지부(11b)가 펼쳐져 평면으로 돌아가는 것과, 절곡부(14a) 및 파지부(11a)가 펼쳐져 평면으로 돌아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절곡부(14a)가 절곡부(14b)를 누름으로써, 절곡부(14b) 및 파지부(11b)가 펼쳐져 평면으로 돌아가는 것이 억제된다.
파지부(11a 및 11b) 및 절곡부(14a 및 14b)는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23)을 형성한다. 통(23)의 단면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y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 대략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면도기(6)가 제1 절곡 단계 내지 제4 절곡 단계로 완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2 절곡 단계만을 행하는 것으로 면도기(6)를 면도기(1 내지 4)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6) 변형예 6 >
도 2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6의 면도기를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5)는 밑종이(200)에 끼워 넣어져 있다. 면도기(5)의 외주는, 예를 들어, 절취선으로 천공되어 있어, 밑종이(200)로부터 면도기(5)를 떼어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도기(5)를 밑종이(200)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밑종이(200)를 봉투 모양으로 접는 간단한 조작으로 면도기(6)를 포장할 수 있으므로, 면도기(6)의 운반 및 발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밑종이(200)의 형상은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면도기(5)를 상품 선반에 용이하게 진열하게 하거나 면도기(5)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면도기(5)가 밑종이(200)에는 끼워 넣어지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면도기(1 내지 4 또는 6)가 밑종이(200)에 끼워 넣어지는 구성일 수도 있다.
< 2. 본 발명의 특징 >
이상, 실시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상기 구성의, 파지부(11)에 협소부(11c)를 가지며, 협소부(11c)로부터 헤드 지지부(31)와 반대쪽의 하단부(40d)를 향해 폭방향으로 퍼지도록 형성되는 면도기(1)에 의하면, 평면 형상의 면도기(1)의 외형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하지 않고 모서리를 둥글게 할 수 있으므로, 종이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면도기(1)의 외형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하지 않음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져, 본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유저가 면도기(1)를 사용할 때에는 협소부(11c) 근방에 유저의 인지 및 엄지가 위치하게 되지만, 협소부(11c)가 있음으로써 유저의 손가락이 아래쪽으로 빠져 버리는 것을 억제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중심선(CL)을 따라 정점(17)으로부터 하단부(40d)에 걸쳐 중심 접음선(41)이 형성되고, 연결부(46a 및 46b)를 따라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이 형성되고, 조립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연결 접음선(42a 및 42b) 및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되는 구성에 의해,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파지부(11)를 절곡시키면, 중심 접음선(41)에 이어지는 연결 접음선(42a 및 42b)도 무리 없이 절곡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립시에 있어서,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을 따라 파지부(11)를 절곡시키면, 연결 접음선(42a 및 42b)에 이어지는 중심 접음선(41)도 무리 없이 절곡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유저가 원터치로 면도기(1)를 조립 가능하게 되는 등, 면도기(1)의 조립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를 저감시켜, 면도기(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면도기(1)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할 때까지의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이 절곡될 때에, 헤드 지지부(31)를 배 부분(22a 및 22b) 측을 향해 순조롭게 굴곡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헤드 지지부(31)와 반대쪽의 하단부(40d)가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는 면도기(1)에 의하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하단부(40d) 근방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둥글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하단부(40d) 근방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거나, 면도기(1)의 파지 방법에 따라 유저가 하단부(40d) 근방을 잡아 버리거나 해도,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유저가 불쾌감을 경험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면도기 헤드(61)가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 직사각형이고 또한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인 직사각형 평면부(66a 및 66b)를 각각 가지며, 이들 2개의 직사각형 평면부(66a 및 66b)가 직사각형부(32)의 점착면(32a)에 접착되는 구성에 의해, 떼어내기 쉬움을 고려한 적절한 강도로 면도기 헤드(61)와 직사각형부(32)를 접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 헤드(61)를 파손하는 일 없이 본체(40)와 면도기 헤드(61)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분리시에 면도기(1)의 날 몸체(62)가 드러나는 것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배려한 면도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등 부분(21)으로부터 연속하는 헤드 지지부(31)가 배 부분(22a 및 22b)을 향해 굴곡되고, 면도기 헤드(61)가 직사각형부(32)의 등 부분(21) 측의 점착면(32a)에 배치되는 구성에 의해, 면도기 헤드(61)와 점착면(32a)을 대략 평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파지부(11)를 조작할 경우에, 피부에 면접촉하는 각도로 면도기 헤드(61)의 칼날을 피부에 누를 수 있다. 또, 칼날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직사각형부(32)의 등 부분(21) 측의 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그 외력을 받는 종래 구성과 달리, 점착면(32a)을 따라 그 외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면도기 헤드(61)가 탈락하거나 외력에 의해 본체(40)의 일부가 파손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절곡부(14a 및 14b)가 각각 파지부(11)의 가장자리부(12a 및 12b)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중심선(CL) 측으로 절곡 가능하고, 또한 파지부(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구성에 의해, 파지부(11)의 배 부분(22a 및 22b)이 둥근 형상이 되어, 파지부(11)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유저의 손가락이 맞닿을 가능성이 높은 배 부분(22a 및 22b)에 예리한 부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에 배려한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면도기(5)에서는, 헤드 고정부(100)가 헤드 지지부(31)의 파지부(11) 측과는 반대쪽에 마련되고, 절곡되어 헤드 고정부(100) 또는 헤드 지지부(31)와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헤드 고정부(100)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파지부(11) 또는 헤드 지지부(3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면도기 헤드(61)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면도기(5)가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파지부(11) 또는 헤드 지지부(31)에 상응하는 것이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다른 고강성의 면도기와 동일한 조작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면도기(5) 및 면도기(6)에서는, 파지부(11)는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있어서의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고정되도록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파지부(11)를 파지했을 때의 파지부(11)의 형상의 변화를 억제하여 파지부(11)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파지부(11)를 잡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면도기(5 및 6)가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파지부(11) 또는 헤드 지지부(31)에 상응하는 것이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다른 고강성의 면도기와 동일한 조작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면도기(5)에서,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파지부(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부(18)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공부에 사용자의 손가락 안쪽을 댔을 때에, 장공부의 가장자리와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리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끄러짐을 억제하면서 면도기를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면도기(1)에서는, 면도기 헤드(61)의 파지부(11) 측의 돌출부(61a 및 61b)가 헤드 지지부(31)의 직사각형부(32)로부터 파지부(11)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사용 후에는 면도기 헤드(61)가 헤드 지지부(31)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시에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이 절곡될 때, 연결 접음선(42a 및 42b)을 따라 분기된 파지부(11)의 테이퍼 형상 부분이 돌출부(61a 및 61b)로부터 떨어져, 돌출부(61a 및 61b)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손가락을 걸치는 부분을 면도기 헤드(61)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돌출부(61a 및 61b)에 손가락을 걸어, 면도기 헤드(61)를 면도기(1)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후의 면도기 헤드(61)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되고, 파지부(11) 및 헤드 지지부(31)가 종이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의해, 면도기 헤드(61)를 면도기(1)로부터 분리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사용 후의 면도기(1)를 금속 소재와 종이 소재로 분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재마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리사이클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 후의 면도기를 유효하게 리사이클시키고, 리사이클을 위해서 본체(40)와 면도기 헤드(61)를 분리하려고 하는 유저의 안전성을 배려한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면도기 헤드(61)의 파지부(11) 측의 돌출부(61a 및 61b)가 헤드 지지부(31)의 직사각형부(32)로부터 파지부(11) 측으로 돌출하도록 직사각형부(32)에 접착된 구성에 의해, 면도기 헤드(61)를 삼각형부(33)의 정점(17)의 근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삼각형부(33)의 정점(17) 근방은, 굴곡방향으로의 외력이 헤드 지지부(31)에 가해졌을 때에, 변형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배 부분(22a 및 22b) 측을 향해 굴곡된 헤드 지지부(31)의 굴곡방향으로의 휘어짐을 적절히 억제하여, 면도기 헤드(61)의 굴곡방향에 대한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면도기(1)에서는, 헤드 지지부(31) 및 파지부(11)가, 유저가 면도기 헤드(61)를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면도기 헤드(61)가 유저의 피부에 밀리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종이로 형성된 파지부(11) 및 헤드 지지부(31)가 적절한 탄성을 가지며, 피부에 과도한 압력이 주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면도기(1)에서는, 삽입부(51)가 중심선(CL)에 대해서 일측에 형성되어, 가압됨으로써 변형되고, 삽입 구멍부(52)가 중심선(CL)에 대해서 타측의,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5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압됨으로써 변형된다. 그리고, 조립 후 상태에서는, 삽입부(51)가 삽입 구멍부(52)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삽입부(51)와 삽입 구멍부(52)가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중심 접음선(41) 부분의 종이의 탄성에 의해 파지부(11)의 배 부분(22a 및 22b) 측이 벌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11)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 지지부(31)의 굴곡이 등 부분(21) 쪽으로 돌아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31)를 파지부(11)에 대해서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변형예 2의 면도기(3)에서는,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절단부(71)가 등 부분(21)으로부터 배 부분(22a 및 22b)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절단부(71)를 절곡시킴으로써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중심 접음선(41) 부분의 종이의 탄성에 의해 파지부(11)의 배 쪽이 벌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11)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 지지부(31)의 굴곡이 등 부분(21) 쪽으로 돌아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31)를 파지부(11)에 대해서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변형예 3의 면도기(4)에서는, 조립 전 상태에 있어서, 우측 돌출부(81)가 가장자리부(12a 및 12b) 중에서, 일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타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절결부(82)가 타측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 후 상태에서는, 우측 돌출부(81)가 절결부(82)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짐으로써 파지부(11)가 중심 접음선(41)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조립 후 상태에 있어서, 중심 접음선(41) 부분의 종이의 탄성에 의해 파지부(11)의 배 쪽이 벌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11)를 유저에게 있어 잡기 쉬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 지지부(31)의 굴곡이 등 부분(21) 쪽으로 돌아가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헤드 지지부(31)를 파지부(11)에 대해서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 3. 보충 사항 >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행하였다. 상기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 구성예 및 일 작동예로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머물지 않고, 동일한 기술 사상에 근거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파악 가능한 범위에까지 넓게 해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면도기는, 환경보호에 공헌하는 면도기 등으로서 적절하게 적용된다.
1, 2, 3, 4, 5, 6: 면도기
11a, 11b: 파지부
11c: 협소부
11d: 확대부
12a, 12b: 가장자리부
14a, 14b: 절곡부
15a, 15b: 절결부
16a, 16b: 가장자리
17: 정점
18: 장공부
21: 등 부분
22a, 22b: 배 부분
31: 헤드 지지부
32: 직사각형부
32a: 점착면
33: 삼각형부
35a: 우단 지지부
35b: 좌단 지지부
40: 본체
40d: 하단부
41: 중심 접음선
42a, 42b: 연결 접음선
43a, 43b: 반전 접음선
46a, 46b: 연결부
51: 삽입부
52: 삽입 구멍부
61: 면도기 헤드
61a, 61b: 돌출부
62: 날 몸체
64: 접착제
65, 65x: 프런트 케이스
65h, 65i: 절결부
66, 66x: 리어 케이스
71: 절단부
81: 우측 돌출부
82: 절결부
100: 헤드 고정부
101: 접음선
102: 뒷덮개부
102a: 축소부
103a, 103b: 찔러넣음부
104a, 104b: 접음선
200: 밑종이
11a, 11b: 파지부
11c: 협소부
11d: 확대부
12a, 12b: 가장자리부
14a, 14b: 절곡부
15a, 15b: 절결부
16a, 16b: 가장자리
17: 정점
18: 장공부
21: 등 부분
22a, 22b: 배 부분
31: 헤드 지지부
32: 직사각형부
32a: 점착면
33: 삼각형부
35a: 우단 지지부
35b: 좌단 지지부
40: 본체
40d: 하단부
41: 중심 접음선
42a, 42b: 연결 접음선
43a, 43b: 반전 접음선
46a, 46b: 연결부
51: 삽입부
52: 삽입 구멍부
61: 면도기 헤드
61a, 61b: 돌출부
62: 날 몸체
64: 접착제
65, 65x: 프런트 케이스
65h, 65i: 절결부
66, 66x: 리어 케이스
71: 절단부
81: 우측 돌출부
82: 절결부
100: 헤드 고정부
101: 접음선
102: 뒷덮개부
102a: 축소부
103a, 103b: 찔러넣음부
104a, 104b: 접음선
200: 밑종이
Claims (9)
-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지지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에 탑재된 면도기 헤드를 포함하고, 절곡시킴으로써 조립되는 면도기로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헤드 지지부의 전체가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날 몸체와, 상기 날 몸체를 수용하는 틀 몸체를 가지며,
상기 틀 몸체는,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헤드 지지부와 대향하는 쪽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날 몸체에 의해 절단된 체모가 통과 가능함과 함께 상기 헤드 지지부로부터 상기 면도기 헤드를 이탈시킬 때의 역점(力點)부를 구비하는 절결부를 가지는, 면도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헤드 지지부가 위치하지 않는, 면도기. -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지지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에 탑재된 면도기 헤드를 포함하고, 절곡시킴으로써 조립되는 면도기로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헤드 지지부의 전체가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날 몸체와, 상기 날 몸체를 수용하는 틀 몸체를 가지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날 몸체에 의해 절단된 체모가 통과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대향하는 면으로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헤드 지지부가 위치하지 않는 장소에 마련되는, 면도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가장자리부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부에 가까운 쪽에서 상기 헤드 지지부와 접착되는, 면도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틀 몸체는, 상기 날 몸체가 노출되는 개구부 및 상기 절결부를 가지는 프런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 케이스는 상기 리어 케이스와 대향되는 쪽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상기 리어 케이스는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대향되는 쪽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상기 프런트 케이스는 상기 리어 케이스를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리어 케이스의 가장자리부는, 0.5mm 이상 3mm 이하의 거리를 가지는, 면도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틀 몸체의 상기 주변부로부터 소정의 범위에 마련된 접착금지 영역을 제외한 접착 영역에서 상기 헤드 지지부에 직접 접착되는, 면도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틀 몸체는 상기 접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 형상인, 면도기. -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 지지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에 탑재된 면도기 헤드를 포함하고, 절곡시킴으로써 조립되는 면도기로서,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헤드 지지부의 전체가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됨과 함께, 날 몸체와, 상기 날 몸체를 수용하는 틀 몸체를 가지며,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면도기 헤드의 폭방향의 적어도 양단부를 지지하는 양단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양단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삼각형부를 더 가지며,
조립 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폭방향과 교차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이고, 상기 헤드 지지부의 상기 삼각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삼각형부와의 연결부를 따라 분기한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삼각형부가 상기 중심선과 교차하는 정점의 근방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협소부를 갖고, 상기 협소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와는 반대쪽의 단부를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퍼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는 만곡 형상이고, 상기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정점으로부터 상기 단부에 걸쳐 중심 접음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따라 연결 접음선이 형성되며,
상기 면도기 헤드는 상기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 직사각형이고 또한 평면 형상인 직사각형 평면부를 각각 갖고, 상기 직사각형 평면부가 상기 양단 지지부의 앞면에 접착되며,
상기 파지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중심선 쪽으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파지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조립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연결 접음선 및 상기 중심 접음선을 따라 절곡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헤드 지지부가 상기 중심선에 대해서 이면 측으로 경사지며,
조립 후 상태에서는,
상기 파지부의 상기 중심선의 부분이 등 부분이 되고, 상기 파지부의 가장자리부가 배 부분이 되며,
상기 등 부분으로부터 연속하는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배 부분 측을 향해 굴곡된 상태가 되는,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183138 | 2020-10-30 | ||
JPJP-P-2020-183138 | 2020-10-30 | ||
PCT/JP2020/041257 WO2022091425A1 (ja) | 2020-10-30 | 2020-11-04 | 剃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2418A KR20220062418A (ko) | 2022-05-16 |
KR102540000B1 true KR102540000B1 (ko) | 2023-06-05 |
Family
ID=7537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3810A KR102540000B1 (ko) | 2020-10-30 | 2020-11-04 | 면도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897155B2 (ko) |
EP (1) | EP4015170B1 (ko) |
JP (4) | JP6894054B1 (ko) |
KR (1) | KR102540000B1 (ko) |
CN (2) | CN116749245A (ko) |
BR (1) | BR112022009089B1 (ko) |
MX (1) | MX2022005479A (ko) |
WO (1) | WO2022091425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7763A (ja) * | 1998-11-26 | 2000-06-13 | Kazuo Tomiyasu | 簡易カミソリとそれに使用する連結板 |
JP2015100621A (ja) | 2013-11-27 | 2015-06-04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剃刀 |
KR200478256Y1 (ko) * | 2015-04-09 | 2015-09-15 | 지다현 | 면도기 |
Family Cites Families (6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5592A (en) * | 1887-12-27 | Safety-razor | ||
US1480031A (en) * | 1922-05-11 | 1924-01-08 | Statham Noel | Pocket safety razor |
US1875990A (en) | 1931-09-15 | 1932-09-06 | Christmas Burton | Safety razor |
US2075007A (en) * | 1933-02-23 | 1937-03-30 | Christmas Burton | Razor and device embodying razor |
FR756790A (ko) * | 1933-04-15 | 1933-12-14 | ||
US1991290A (en) * | 1933-10-16 | 1935-02-12 | Theodore G Mcgirr | Safety razor |
US1975365A (en) * | 1933-12-11 | 1934-10-02 | Levitt Ulmer Corp | Razor |
US2407516A (en) * | 1944-08-07 | 1946-09-10 | Richard F Roberts | Safety razor |
US2445528A (en) * | 1946-03-16 | 1948-07-20 | Jr Edward S Keogh | Razor |
US2589327A (en) * | 1948-12-07 | 1952-03-18 | Evelyn M Biggs | Safety razor and protective casing |
US2694857A (en) * | 1953-07-24 | 1954-11-23 | Daron Borian | Collapsible razor |
US2871560A (en) * | 1954-05-03 | 1959-02-03 | Robert M Eberbaugh | Disposable razor with reinforced head |
US2699602A (en) * | 1954-06-17 | 1955-01-18 | Basic Improvements Inc | Safety razor |
US2716810A (en) * | 1954-07-06 | 1955-09-06 | Walter C Koval | Paperbook razor |
US3340609A (en) * | 1965-10-20 | 1967-09-12 | Maurice H Sacharow | Collapsible safety razor |
US3492723A (en) * | 1968-05-13 | 1970-02-03 | Michael J Mollica | Disposable razor |
US3660893A (en) * | 1969-03-26 | 1972-05-09 | Norman C Welsh | Replaceable blade unit for a safety razor |
US3795979A (en) * | 1972-04-27 | 1974-03-12 | Gillette Co | Handle |
US3750280A (en) * | 1972-05-01 | 1973-08-07 | C Lepaliscot | Multiple purpose foldable plastic handle for razors or the like |
JPS52564A (en) | 1975-06-20 | 1977-01-05 | Katsuro Takahashi | Portable handy razor |
JPS54148658A (en) * | 1978-05-12 | 1979-11-21 | Kai Cutlery Center Co | Safety razor |
JPS56133761A (en) | 1980-03-25 | 1981-10-20 | Ricoh Co Ltd | Magnetic brush developing device |
US4425705A (en) * | 1981-06-19 | 1984-01-17 | Warner-Lambert Company | Razor with lever operated blade cover |
US4439920A (en) * | 1982-04-22 | 1984-04-03 | Nauheimer Vincent J | Disposable razor |
JPS5919071U (ja) * | 1982-07-30 | 1984-02-04 | 丸王電材株式会社 | 安全かみそり |
USD281025S (en) * | 1983-02-15 | 1985-10-15 | Gabriel La Hood | Folding razor |
US4712301A (en) * | 1983-07-18 | 1987-12-15 | Kai Cutlery Center Co., Ltd. | Safety razor |
US4554735A (en) * | 1984-05-04 | 1985-11-26 | Warner-Lambert Company | One-piece disposable razor |
US4641429A (en) * | 1984-12-24 | 1987-02-10 | Abatemarco Michael R | Razor blade cartridge unit with dual blades |
JPS62109069U (ko) * | 1985-12-27 | 1987-07-11 | ||
CN87208007U (zh) * | 1987-05-16 | 1988-03-30 | 刘炳铸 | 整体可折叠式剃须刀架 |
JPS6415086A (en) | 1987-07-09 | 1989-01-19 | Yoshio Kihara | Card shaver |
USD306495S (en) * | 1987-08-11 | 1990-03-06 | Yoshio Kihara | Foldable razor |
US4985994A (en) * | 1988-05-31 | 1991-01-22 | George Tavolieri | Folding handle for twin blade cartridge |
US5033191A (en) | 1989-04-04 | 1991-07-23 | Irad, Inc. | Disposable razor |
JPH03128065A (ja) | 1989-10-14 | 1991-05-31 | Toray Ind Inc | 血液浄化装置及び血圧監視方法 |
US4993153A (en) * | 1989-10-27 | 1991-02-19 | Henry James G | Multiple blade stand up razor |
US5027510A (en) | 1989-11-27 | 1991-07-02 | Irad, Inc. | Disposable razor |
JPH0747091Y2 (ja) * | 1990-04-02 | 1995-11-01 | 石根 石田 | シート状軽便かみそり |
CN2093074U (zh) * | 1990-04-06 | 1992-01-15 | 赵天平 | 便携式刮胡保险刀 |
GB2260927A (en) | 1991-10-28 | 1993-05-05 | Jong Yi Dai | Disposable razor |
US5384961A (en) * | 1992-04-27 | 1995-01-31 | Gregory; Harbert S. | Apparatus for shaving |
US5274922A (en) | 1992-09-10 | 1994-01-04 | Elliott Michael F | Shaving razor |
JP3018821U (ja) | 1994-12-28 | 1995-11-28 | 浩 加藤 | カード型折畳式ひげ剃り器 |
FR2743322B1 (fr) * | 1996-01-04 | 1998-03-20 | Idiri Louise Iberraken | Dispositif depliable et rasoir muni d'un tel dispositif |
JPH115086A (ja) | 1997-06-17 | 1999-01-12 | Toto Ltd | 浴槽水の循環浄化システム |
US6082006A (en) * | 1997-06-18 | 2000-07-04 | Concept Devices Llc | Collapsible shaving implement |
US6263576B1 (en) * | 1998-10-09 | 2001-07-24 | Joseph Drapak | Angled hand-held razor |
JP2000334184A (ja) | 1999-05-27 | 2000-12-05 | Jujo Central Kk | 紙製折り畳みカミソリ |
US6571476B1 (en) * | 2000-02-08 | 2003-06-03 | Snappy Shave Llc. | Folding disposable razor |
JP2006263048A (ja) | 2005-03-23 | 2006-10-05 | Kozo Design Studio:Kk | 簡易型カミソリ |
JP4950507B2 (ja) * | 2006-02-14 | 2012-06-13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剃刀 |
GB0716941D0 (en) * | 2007-08-31 | 2007-10-10 | Knowledge & Merchandising Inc | Razor handle |
US8671577B2 (en) * | 2008-12-03 | 2014-03-18 | Thomas A. Brown | Razor with independent suspension |
JP5465869B2 (ja) | 2008-12-05 | 2014-04-09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替刃式剃刀 |
WO2010100634A1 (en) * | 2009-03-05 | 2010-09-10 | Navon, Yoval | A razing apparatus |
CN105939824B (zh) * | 2014-02-27 | 2020-08-04 | 比克-维尔莱克 | 剃须刀架、包括这种剃须刀架的剃须刀以及制造这种剃须刀架的方法 |
US20150352737A1 (en) | 2014-06-05 | 2015-12-10 | Stanley Lee Hickam | Double edge safety razor with razor blade alignment |
EP2962817A1 (en) | 2014-06-30 | 2016-01-06 | The Gillette Company | Disposable fluid dispensing hair removal device |
CN107107359B (zh) * | 2015-02-01 | 2020-07-10 | 麦凯瑞公司 | 双面剃须刀 |
KR101730415B1 (ko) * | 2016-06-24 | 2017-04-26 | 주식회사 도루코 | 관통홀이 형성된 핸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
KR20190075939A (ko) | 2016-10-25 | 2019-07-01 | 원블레이드 인코포레이티드 | 단일-블레이드 면도기 장치 |
JP6621563B1 (ja) * | 2019-10-11 | 2019-12-18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剃刀 |
-
2020
- 2020-11-04 WO PCT/JP2020/041257 patent/WO2022091425A1/ja unknown
- 2020-11-04 CN CN202310989861.6A patent/CN116749245A/zh active Pending
- 2020-11-04 BR BR112022009089-7A patent/BR112022009089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04 CN CN202080067490.0A patent/CN114710953B/zh active Active
- 2020-11-04 US US17/773,300 patent/US11897155B2/en active Active
- 2020-11-04 MX MX2022005479A patent/MX2022005479A/es unknown
- 2020-11-04 KR KR1020227013810A patent/KR1025400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04 EP EP20952657.3A patent/EP4015170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01-29 JP JP2021013056A patent/JP6894054B1/ja active Active
- 2021-03-01 JP JP2021032145A patent/JP2022073878A/ja active Pending
- 2021-03-05 JP JP2021035624A patent/JP6858478B1/ja active Active
- 2021-04-15 JP JP2021069330A patent/JP2022073896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7763A (ja) * | 1998-11-26 | 2000-06-13 | Kazuo Tomiyasu | 簡易カミソリとそれに使用する連結板 |
JP2015100621A (ja) | 2013-11-27 | 2015-06-04 |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 剃刀 |
KR200478256Y1 (ko) * | 2015-04-09 | 2015-09-15 | 지다현 | 면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15170B1 (en) | 2024-03-06 |
WO2022091425A1 (ja) | 2022-05-05 |
EP4015170A1 (en) | 2022-06-22 |
US11897155B2 (en) | 2024-02-13 |
JP2022073896A (ja) | 2022-05-17 |
EP4015170A4 (en) | 2022-10-26 |
BR112022009089A2 (pt) | 2022-07-26 |
JP2022073878A (ja) | 2022-05-17 |
JP2022073880A (ja) | 2022-05-17 |
CN114710953A (zh) | 2022-07-05 |
CN116749245A (zh) | 2023-09-15 |
JP2022073874A (ja) | 2022-05-17 |
MX2022005479A (es) | 2022-06-02 |
JP6894054B1 (ja) | 2021-06-23 |
CN114710953B (zh) | 2023-10-03 |
JP6858478B1 (ja) | 2021-04-14 |
US20220297324A1 (en) | 2022-09-22 |
BR112022009089B1 (pt) | 2023-02-28 |
KR20220062418A (ko) | 2022-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18352B2 (ja) | 立体フェイスマスク | |
KR102540000B1 (ko) | 면도기 | |
JP6825162B1 (ja) | 剃刀 | |
JPH0611605U (ja) | 人工爪 | |
JP2008302259A (ja) | 二重まぶた用テープ | |
JP7320413B2 (ja) | 包装箱 | |
JP5155039B2 (ja) | 包装箱 | |
CN115431308A (zh) | 刮胡刀 | |
EP3162333B1 (en) | Method for producing disposable wearable article | |
JP7060881B2 (ja) | 医療廃棄物回収具 | |
JP6655428B2 (ja) | Ptpシートの包装体 | |
KR200457691Y1 (ko) | 미용장갑 | |
JP6846233B2 (ja) | 包装箱 | |
EP4299263A1 (en) | Intimate area thinning razor | |
JP3245653U (ja) | 箱体 | |
JP2002019857A (ja) | ティ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 |
KR102229820B1 (ko) | 마스크팩시트 접고 펴는 방법 | |
JP7192517B2 (ja) | 包装箱 | |
JP2023113288A (ja) | 紙製包装体 | |
JP2024066663A (ja) | 包装箱 | |
JP2022147659A (ja) | ジッパー構造 | |
JP2024014614A (ja) | 収納具 | |
KR20110009219U (ko) | 손톱소제용구 수납용 파우치 | |
JP2019026321A (ja) | 開缶用タブ及び缶蓋 | |
JPH11318559A (ja) | 化粧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