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784B1 -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784B1
KR102536784B1 KR1020230016760A KR20230016760A KR102536784B1 KR 102536784 B1 KR102536784 B1 KR 102536784B1 KR 1020230016760 A KR1020230016760 A KR 1020230016760A KR 20230016760 A KR20230016760 A KR 20230016760A KR 102536784 B1 KR102536784 B1 KR 10253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node
pull
channels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685A (ko
Inventor
이승철
김용호
김병훈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6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7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는, 하나의 Q노드를 2채널이 공유하여 하이(high) 스캔 신호를 출력하고, 하나의 QB노드를 4채널이 공유하여 로우(low) 스캔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GIP(gate in panel)의 4채널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박막트랜지스터의 개수를 줄여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는, Q노드를 공유하는 복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에 보상 캐패시터 혹은 방전 트랜지스터를 배치하여 Q 노드를 공유하는 복수의 채널간의 출력특성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GIP(gate in panel)의 4채널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박막트랜지스터의 개수를 줄여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apparatus),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산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 저전력 소비 및 대화면 구현의 장점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화소(pixel) 별로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백라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액티브 영역(20)과, 비 표시 영역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60) 및 데이터 패드가 형성된 패드 영역(3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50) 및 게이트 드라이버(60)를 포함한다. 패드 영역(30)의 상단부(또는 하단부)에는 데이터 패드(40)가 배치되고, 데이터 드라이버(5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COF(chip on film)에 배치될 수 있으며,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통해 데이터 패드(40)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60)는 각 화소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턴온(turn-on) 시키기 위한 스캔 신호(게이트 구동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화소들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게이트 드라이버(60)는 쉬프트 레지스터 및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적합한 스윙 폭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몰퍼스 실리콘(a-Si)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부 기판(어레이 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배치함과 아울러, 게이트 드라이버(60)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집적화시키는 방식, 즉, 디스플레이 패널에 게이트 드라이버(60)를 내장시키는 GIP(Gate In Panel)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때, 게이트 드라이버(60)는 어레이 기판의 패드 영역 좌우측에 GIP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GIP 중에서 4개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60)는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라인 각각에 공급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스테이지 각각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채널이 된다.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60)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게이트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60)의 전체 채널은 2개 채널 단위로 QB노드를 공유하고, 각각의 채널 개별적으로 Q 노드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게이트 드라이버(60)의 각 채널은 17개의 트랜지스터(TR)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의 동작은 입력신호(VST)가 인가되면, Q 노드에 하이(High) 상태의 전압을 인가하는 프리차지(pre-charge) 동작, 게이트 드라이버의 출력이 로우(Low) 상태에서 하이(High) 상태로 되는 충전 동작,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전환되는 방전동작, 로우(Low) 상태를 유지하는 홀딩(holding) 구간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각 채널의 출력은 각각의 해당하는 Q 노드에 의해 프리차지 및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 채널의 T1과 제2 채널의 T1는 리셋 트랜지스터로서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각 채널이 리셋 된다. 제1 채널의 T2와 제2 채널의 T2는 서로 다른 스테이지의 출력을 VST1 신호로 입력 받아 서로 다른 시간에 턴온 된다. T15는 풀업(full up) 트랜지스터로서, T1의 출력에 의해 턴온되어 VSS 전압을 출력하거나, 또는 T2의 출력과 CLK에 의한 부트스트랩으로 턴온되어 출력 전압(Vout) 즉, 스캔 신호를 출력시킨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60)는 Q 노드가 Q1/ Q2로 분리되어 동작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2채널 당 1개의 QB노드를 공유하도록 설계되어 Q 노드의 디스차징(discharging) 및 출력 전압의 홀딩을 제어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GIP 회로는 1개 스테이지의 출력을 얻기 위해 17개의 TR이 필요하고, 4개 스테이지의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68개의 TR이 필요하게 된다.
Full-HD 해상도인 경우, 1,920개의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 GIP 회로에는 1스테이지의 TR 개수(17)×전체 채널 개수(1,920)인 32,640개의 TR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비 표시 영역인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GIP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해상도가 U-HD로 높아지면 GIP회로의 TR 개수가 2배로 증가하게 되고, 비 표시 영역인 패드 영역에 형성되는 GIP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GIP의 사이즈에 따라서, 비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베 젤(Bezel)의 사이즈가 정해지므로 GIP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 베젤(Bezel) 사이즈도 증가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베젤 사이즈의 증가로 인해서 마더 기판에서 1번에 제조 가능한 패널의 개수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복수의 채널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박막트랜지스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GIP(gate in panel)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해상 도(UHD/UHD) 급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할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복수의 채널의 출력 특성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는, GIP(Gate In Panel)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N(N은 자연수) 내지 제N+3 채널을 포함하고, Q1노드를 제N 및 제N+1 채널이 공유하고, Q2노드를 제N+2 및 제N+3 채널이 공유하여 하이(high) 레벨의 스캔 신호를 출력하고, QB노드를 제N 내지 제N+3 채널이 공유하여 로우(low) 레벨의 스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N 채널은, 제N 클럭 신호에 따른 제N 출력 전압을 제N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N+1 채널은 제N+1 클럭 신호에 따른 제N+1 출력 전압을 제N+1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N+2 채널은, 제N 클럭 신호에 따른 제N+2 출력 전압을 제N+2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N+3 채널은 제N+3 클럭 신호에 따른 제N+3 출력 전압을 제N+3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N+1 채널과 제N+3 채널은 상기 Q1노드에 접속된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QB노드에 접속된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1 보상부와 제 2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보상부는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캐패시터는 상기 제N+1 채널의 상기 제2 풀업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보상부는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캐패시터는 상기 제N+3 채널의 상기 제2 풀업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GIP(gate in panel)의 복수의 채널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개수를 줄여 GIP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GIP(gate in panel)에 형성된 TFT의 개수를 줄여 낼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해상도(UHD/UHD) 급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복수의 채널의 출력 특성 편차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 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GIP 중에서 4개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P 중에서 4개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P 중에서 4 채널의 Q1 노드, Q2 노드 및 QB노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의 면적을 감소시켜 베젤 사이즈를 줄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 중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편차가 보상 캐패시터에 의해 따라 개선되는 모습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또한,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게이트 드라이버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층을 구동시키는 모드에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이 모드에 제한되지 않고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백라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액티브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30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게이트라인들(GL 1 내지 GL n)과 데이터라인들(DL 1 내지 DL m)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되고, 교차 지점에 다수의 화소를 정의한다. 각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액정캐패시터(Clc) 및 스토리지캐패시터(Cst)가 구비되며, 모든 화소들은 하나의 액티브 영역(A/A)을 이루게 된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타이밍 콘트롤러(400)와, 데이터 드라이버(200) 및 게이트 드라이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외부시스템으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인가 받아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200)와 게이트 드라이버(300)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액정패널(100)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RGB)와, 클럭신호(DCLK), 수평동기신호(Hsync), 수직동기신호(V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등의 타이밍 신호를 인가 받아 데이터 드라이버(200)와 게이트 드라이버(300)의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수평동기신호(Hsync)는 화면의 한 수평선을 표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수직동기신호(Vsync)는 한 프레임의 화면을 표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한,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액정패널(100)에 정의된 화소에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한, 한편,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외부의 시스템과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그로부터 출력되는 영상관련 신호와 타이밍신호를 잡음 없이 고속으로 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로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방식 또는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인터페이스 방식 등이 있다.
또한,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00)의 제어신호(DCS) 및 게이트 드라이버(300)의 제어신호(GCS)를 생성한다.
그 밖에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게이트 드라이버(300)의 각 스테이지의 구동 타이밍을 결정하는 복수의 클록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 드라이버(300)에 제공한다. 그리고, 타이밍 콘트롤러(400)는 입력 받은 영상데이터(RGB DATA)를 데이터 드라이버(200)가 처리 가능한 형태로 정렬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정렬된 영상데이터는 화질개선을 위한 색좌표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의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개시신호(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Gate Output Enable)등이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COF(chip on film)에 형성될 수 있으며,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통해 상기 액정패널(100)에 배치된 패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타이밍 콘트롤러(400)로부터의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를 소스 쉬프트 클럭(Source Shift Clock; SSC)에 따라 쉬프트시켜 샘플링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소스 쉬프트 클럭(SSC)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샘플링 신호에 따라 래치하여, 데이터 신호로 변경한다. 이후,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Source Output Enable; SOE) 신호에 응답하여 수평 라인 단위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라인(DL)들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드라이버(200)는 데이터 샘플링부, 래치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및 출력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이트 드라이버(300)는 쉬프트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300)는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적합한 스윙 폭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드라이버(300)는 타이밍 콘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액정패널(100)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배선(GL1 ~ GLn)을 통해 스캔 펄스인 게이트하이전압(VGH)을 교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된 게이트하이전압(VGH)은 일정 수평기간 동안 중첩될 수 있다. 이는 게이트 배선(GL 1 ~ GL n)을 프리차징(precharging) 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전압 인가 시 보다 안정적인 화소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게이트하이전압(VGH)의 스캔 펄스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게이트 라인(GL 1 내지 GL n)에 게이트로우전압(VGL)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게이트로우전압(VGL)은 제1 기저전원(VSS1)과 제2 기저전원(VSS2)으로부터 제공 될 수 있다. 제1 기저전원(VSS1)은 화소에 배치된 TFT의 게이트가 안정적인 동작을 하기위한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다. 제2 기저전원(VSS2)은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의 Q노드 혹은 QB노드의 방전 동작을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기저전원(VSS1) 보다 더 낮은 로우(Low) 레벨의 전압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게이트 드라이버(300)는, 패널과 독립되게 형성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는 액정패널(100)의 어레이 기판 제조 시 박막패턴 형태로 비표시영역(N)상에 게이트-인-패널(Gate-In-Panel, GIP)방식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로는 클럭 신호(CLK) 및 쉬프트 레지스터의 첫 번째로 구동하는 스테이지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개시신호(Gate Start Pulse VST)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300)"를 "GIP(300)"이라 칭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사이즈를 감소시켜 베젤(Bezel)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것과, 복수의 스테이지의 출력 특성 편처를 감소시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GIP 회로를 제외한 구동 회로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P 중에서 4개 채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GIP의 전체 채널 중에서 4개의 채널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300)는 스캔 신호를 생성하고, 채널을 통해 게이트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GIP(300)는 각 채널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스테이지 각각의 출력은 게이트의 1채널이 되어,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이면서 게이트 드라이버 설계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4 채널을 기준으로 1채널 당 TR의 개수를 10개로 감소시켜 40개의 트랜지스터로 4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기존에 1채널 당 17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던 것을 1 채널 당 10개의 트랜지스터로 감소시켜 GIP 설계 면적을 줄 일 수 있다.
GIP(300)의 스테이지 마다 형성된 풀업 트랜지스터(TR15, TR18)를 구동시키기 위한 Q 노드와, 풀다운 트랜지스터(TR16, TR17, TR19, TR20)을 구동시키기 위한 QB노드를 포함한다.
도 6에서는 4채널 단위로 1개의 QB노드를 공유, 즉, 하나의 QB노드를 4개의 채널을 공유한다. 그리고, 2채널 단위로 1개의 Q 노드를 공유, 즉, 하나의 Q노드를 2개 채널이 공유하는 GIP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Q 노드와 QB노드를 공유하여 4채널에서 순차적으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GIP의 설계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제1 채널의 T15 및 제2 채널의 T18은 풀업 트랜지스터이다. 이와 동일하게, 제3 채널의 T15 및 제4 채널의 T18은 풀업 트랜지스터이다.
또한,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각 채널의 QB노드를 오드(odd)와 이븐(even)으로 나누어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QB 노드의 숫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채널과 제2 채널은 동일한 Q 노드를 공유함으로, 제1 채널 풀업 트랜지스터(T15)가 턴온되어 제1 채널에서 게이트 구동신호가 하이(high)로 출력될 때에는 제2 채널의 풀업 트랜지스터(T18)은 턴오프되어 제2 채널에서는 게이트 구동신호가 로우(low)로 출력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3 채널과 제4 채널은 동일한 Q 노드를 공유함으로, 제3 채널 풀업 트랜지스터(T15)가 턴온되어 제3 채널에서 게이트 구동신호가 하이(high)로 출력될 때에는 제4 채널의 풀업 트랜지스터(T18)은 턴오프되어 제4 채널에서는 게이트 구동신호가 로우(low)로 출력된다.
제1 채널의 T16 및 제2 채널의 T19는 오드 풀다운 트랜지스터이다. 이와 동일하게, 제3 채널의 T16 및 제4 채널의 T19는 오드 풀다운 트랜지스터이다. 그리고, 제1 채널의 T17 및 제2 채널의 T20은 이븐 풀다운 트랜지스터이다. 이와 동일하게, 제3 채널의 T17 및 제4 채널의 T20은 이븐 풀다운 트랜지스터이다.
제1 채널 내지 제4 채널은 동일한 QB노드(odd/oven)를 공유한다. 각 채널의 오드 QB노드와 이븐 QB노드가 교번적으로 구동되고, 제1 채널 내지 제4 채널이 오드 QB노드와 이븐 QB노드를 공유한다.
제1 채널 및 제2 채널에 공통으로 형성된 T1은 리셋 TR로서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이 리셋 된다. 이와 동일하게, 제3 채널 및 제4 채널에 공통으로 형성된 T1은 리셋 TR로서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이 리셋 된다.
제1 채널과 제2 채널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T2 및 T3가 구동 전원(VDD)과 제2 기저 전원(VSS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T2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VST1 신호는 n-4번째 채널의 출력 전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T3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VNEXT 신호는 n+4번째 채널의 출력 전압(VOUT(N+4))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NEXT 신호는 n+4번째 채널의 캐리 전압(VC(N+4))이 이용될 수 있다.
T2의 게이트에는 VST1 신호가 공급되고, 소스에는 구동 전원(VDD)가 공급된다. 그리고, T2의 출력단(드레인)은 Q 노드를 통해 풀업 트랜지스터(T15)의 게이트와 접속된다.
한편, T3의 게이트에는 VNEXT1 신호가 공급되고, 소스에는 제2 기저 전원(VSS2)이 공급된다. 그리고, T3의 출력단(드레인)은 Q 노드를 통해 풀업 트랜지스터(T15)의 게이트와 접속된다.
QB노드를 통해 구동 전원(VDD)을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의 게이트에 공급한다.
제1 채널과 제2 채널에는, 제1 클럭 신호(CLK1)에 따른 제1 출력 전압을 제1 채널에 공급하는 제1 풀업 트랜지스터(T15) 및 제2 클럭 신호(CLK2)에 따른 제2 출력 전압을 제2 채널에 공급하는 제2 풀업 트랜지스터(T18)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채널과 제4 채널에는, 제3 클럭 신호(CLK3)에 따른 제3 출력 전압을 제3 채널에 공급하는 제1 풀업 트랜지스터(T15) 및 제4 클럭 신호(CLK4)에 따른 제4 출력 전압을 제4 채널에 공급하는 제2 풀업 트랜지스터(T1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T15)는 1번째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 공급하기 위한 제1 채널의 풀업 트랜지스터 이다. 그리고, 제2 풀업 트랜지스터(T18)는 N+1번째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 공급하기 위한 제2 채널의 풀업 트랜지스터 이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T15) 및 제2 풀업 트랜지스터(T18)는 상기 T2 및 T3의 출력에 의해 턴온 된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T15)의 출력단(드레인)은 N번째 게이트 라인의 채널과 접속되고, 제2 풀업 트랜지스터(T18)의 출력단(드레인)은 N+1번째 게이트 라인의 채널과 접속된다.
풀업 트랜지스터(T15)의 제1 출력 전압을 제1 기저 전원(VSS1)으로 풀다운 시키는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가 형성되어 있다.
T16, T17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QB노드의 오드 또는 이븐에 접속되고, 소스는 풀업 트랜지스터(T15)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드레인은 제1 기저 전원(VSS1)에 접속된다.
T19, T20 풀다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QB노드의 오드 또는 이븐에 접속되고, 소스는 풀업 트랜지스터(T18)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드레인은 제1 기저 전원(VSS1)에 접속된다.
여기서,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는 VDD 오드 전압 또는 VDD 이븐 전압에 의해 턴온된다.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는 N번째부터 N+3번째 게이트 라인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를 다운 시킨다.
VDD 오드 전압 또는 VDD 이븐 전압을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의 게이트에 공급하는 T6~T8, T11가 형성되어 있다. T6의 게이트 및 소스에는 VDD 오드 전압 또는 VDD 이븐 전압이 교번적으로 공급되고, T8과 T11을 경유하여 VDD 오드 전압 또는 VDD 이븐 전압이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에 공급된다.
상기 QB노드에는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의 구동신호가 공급되어 게이트 라인에 공급되던 스캔 신호의 전압 레벨을 제1 기저 전원(VSS1)으로 다운시킨다.
상기 Q 노드는 상기 T2의 출력단과 제1 풀업 트랜지스터(T15)의 게이트 및 제2 풀업 트랜지스터(T18)의 게이트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QB노드는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T16, T17, T19, T20)의 게이트와 제1 기저 전원(VSS1) 사이 및 T8, T9, T10의 출력단과 제2 기저 전원(VSS2) 사이에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P 중에서 4 채널의 Q1 노드, Q2 노드 및 QB노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300)는 하나의 QB노드를 4개의 채널을 공유하고, 하나의 Q노드를 2개 채널이 공유하여 4 채널에서 순차적으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Q 노드는 1채널에 배치된 Q1노드와 3채널에 배치된 Q3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1 노드는 1채널 및 2채널이 공유하고, 상기 Q2 노드는 3채널 및 4채널이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럭 신호(CLK1) 내지 제4 클럭 신호(CLK4)를 이용하여 4 채널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구동 신호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P(300)는 Q1 노드 및 Q2 노드를 공유함으로써 2개의 CLK 신호에 의해 부트스트랩(Bootstrap)이 두 번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N번째 출력단 VOUT(N)과 N+1번째 출력단 VOUT(N+1)은 서로 라이징(rising), 폴링(falling) 타임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정상적으로 화소 전압을 차징 및 홀딩 시킬 수 있다.
도 8은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의 면적을 감소시켜 베젤 사이즈를 줄인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GIP 회로는 1개 스테이지의 출력을 얻기 위해 17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고, 4개 채널의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총 68개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였다. 이로 인해,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의 면적이 증가하고, 베젤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게이트 드라이버는 1개의 채널 당 10개의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4개 채널의 출력을 얻는데 40개의 트랜지스터만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 대비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의 면적을 40% 정도 저감시켜,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에서, 제1 채널의 출력전압(VOUT1)과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2)은 하나의 Q1 노드를 공유하기 때문에 서로 라이징(rising), 폴링(falling) 타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출력 특성 편차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출력 특성 편차가 존재하여도 정상적으로 화소 전압을 차징 및 홀딩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출력 특성 편차는 특정 패턴이나 디스플레이 구동 환경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A/A)의 가장자리에서의 화소 전압의 차징 불량으로 인한 RGB Data의 색섞임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출력 특성 편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Q1노드에 하이(High)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Q1노드를 홀딩하는 트랜지스터에 누설전류(Ioff)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Q1 노드는 두 번의 부트스트랩이 발생하고 Q1 노드를 고속으로 방전시키기 위해 제1 기저전압(VSS1)이 아닌 그 보다 낮은 레벨인 제2 기저전압(VSS2)을 인가한다. 이로 인하여, Q1 노드를 홀딩하는 트랜지스터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제가 4개의 채널 중 Q 노드를 공유하는 채널간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Q1노드를 공유하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문제는 Q2노드를 공유하는 제3 채널과 제4 채널간에도 발생할 수 있다.
도 7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IP(300)에서 Q1 노드는, 두 번째 부트스트랩의 시작 전의 전압과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2)에 게이트 로우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두 번째 방전 시작 전의 전압과 비교하여 Q1 노드의 하향전압(ΔV1)이 발생한다. 상기 Q1 노드의 하향전압(ΔV1)은 Q1 노드를 홀딩하는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는 Q1 노드의 높은 전압으로 고속구동을 하는 제1 채널과 비교하여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2)의 폴링 타임이 Q1 노드의 하향전압(ΔV1)으로 감소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의 출력특성 편차를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Q 노드를 공유하는 제N 채널 및 제N+1 채널 중 제N+1 채널에 보상부(5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Q 노드를 공유하는 제N+2 채널 및 제N+3 채널 중 제N+3 채널에 보상부(550)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부(550)는 보상 캐패시터(C1, C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IP(500)는 4 채널이고,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 중 제2 채널에는 제1 보상부(551)를 포함하고, Q2 노드를 공유하는 제3 채널 및 제4 채널 중 제4 채널에는 제2 보상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보상부(551)는 제1 보상 캐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 캐패시터(C1)는 제2 채널에 배치된 T18 트랜지스터와 T19 트랜지스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보상 캐패시터(C1)는 제2 채널에서 T1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T19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상부(552)는 제2 보상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상 캐패시터(C2)는 제4 채널에 배치된 T18 트랜지스터와 T19 트랜지스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보상 캐패시터(C2)는 제4 채널에서 T1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T19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채널의 Q1 노드와 제4 채널의 Q2 노드는 제1 및 제2 보상부(551, 552)에 의해 전압이 상향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및 제4 채널의 출력전압(VOUT2, VOUT4)의 폴링 타임이 제1 및 제3 채널의 출력전압(VOUT1, VOUT3)의 폴링 타임과 유사하게 되어 출력 편차가 감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 중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는 하향전압(ΔV1)이 도 9와 비교하여 감소되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Q1 노드의 전압은 일 실시예에 따른 Q1' 노드의 전압보다 ΔV2만큼 증가 하였다. 상기 Q1 노드의 전압 증가는 제1 보상부(551)의 제1 보상 캐패시터(C1)로 인하여 전압을 보상하였기 때문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채널의 출력 전압 특성 및 Q 노드의 전압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GIP(300)의 경우, 제1 채널의 출력전압(VOUT1')과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2')의 폴링 타임 편차는 0.60μs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GIP(500)의 경우, 제1 채널의 출력전압(VOUT1)과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2)의 폴링 타임 편차는 0.41μs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GIP(300)의 경우, 제3 채널의 출력전압(VOUT3')과 제4 채널의 출력전압(VOUT4')의 폴링 타임 편차는 0.50μs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GIP(500)의 경우, 제3 채널의 출력전압(VOUT3)과 제4 채널의 출력전압(VOUT4)의 폴링 타임 편차는 0.39μs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IP(500)의 채널간 출력편차는 일 실시예에 다른 GIP(300)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제1 및 제2 보상부(551, 552)에 의한 Q1 노드 및 Q2노드의 전압 증가로 인하여 고속 구동이 가능해져 제2 및 제4 채널의 출력전압(VOUT2, VOUT4)의 폴링 타임이 감소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1, VOUT2)의 폴링 타임이 유사하게 되어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1, VOUT2)의 출력 편차가 감소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편차가 보상 캐패시터에 의해 개선되는 모습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500)는 보상부(550)의 보상 캐패시터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제N+1 채널 출력의 폴링 타임이 감소하여 제N 채널과 제N+1 채널의 폴링 타임이 유사하게 된다. 예를 들어,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채널과 제2 채널은 제1 보상부(551)의 제1 보상 캐패시터(C1)의 용량이 증가할 수록 출력전압의 폴링타임이 유사하게 되어 양 채널의 출력 편차가 감소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GIP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및 제2 채널의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60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의 출력특성 편차를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60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600)는 하나의 Q 노드를 공유하는 제N 채널 및 제N+1 채널 중 제N+1 채널에 방전부(6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600)는 하나의 Q 노드를 공유하는 제N+2 채널 및 제N+3 채널 중 제N+3 채널에 방전부(65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GIP(600)는 4개의 채널이고, Q1 노드를 공유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 중 제2 채널에는 제1 방전부(651)를 포함하고, Q2 노드를 공유하는 제3 채널 및 제4 채널 중 제4 채널에는 제2 방전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방전부(551)는 방전 트랜지스터(T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전부(551)의 방전 트랜지스터(T21)의 게이트는 VNEXT1 신호가 공급되고, 소스는 제2 채널의 풀업 트랜지스터(T18)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제2 기저 전원(VSS2)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방전부(552)는 방전 트랜지스터(T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전부(652)의 방전 트랜지스터(T21)의 게이트는 VNEXT2 신호가 공급되고, 소스는 제4 채널의 풀업 트랜지스터(T18)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제2 기저 전원(VSS2)에 접속된다.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600)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IP(300)와 비교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2)은 일 실시예에서 제2 채널의 출력전압(VOUT2')보다 폴링 타임이 감소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600)는 제1 및 제2 방전부(651, 652)에 의하여 제2 및 제4 채널의 출력전압(VOUT2, VOUT4)의 폴링타임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IP(600)는 제2 및 제4 채널의 출력전압(VOUT2, VOUT4)의 폴링 타임이 제1 및 제3 채널의 출력전압(VOUT1, VOUT3)의 폴링 타임과 유사하게 되어 출력 편차가 감소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의 면적을 줄이면서도, GIP의 전체 채널에서 정상적으로 게이트 구동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어 고해상도(UHD/UHD) 급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시 베젤 사이즈의 감소 및 디자인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베젤 사이즈의 증가로 인해서 마더 기판에서 1번에 제조 가 능한 패널의 개수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의 게이트 드라이버를 적용하면 마더 기판에서 1번에 제조 가능한 패널의 개수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IP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에서 복수의 채널의 출력 특성 편차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디스플레이 패널
200 : 데이터 드라이버
300, 500, 600 : 게이트 드라이버(GIP)
400 : 타이밍 콘트롤러
550 : 보상부
650 : 방전부

Claims (6)

  1. GIP(Gate In Panel)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N(N은 자연수) 내지 제N+3 채널을 포함하고,
    Q1노드를 제N 및 제N+1 채널이 공유하고, Q2노드를 제N+2 및 제N+3 채널이 공유하여 하이(high) 레벨의 스캔 신호를 출력하고, QB노드를 제N 내지 제N+3 채널이 공유하여 로우(low) 레벨의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채널은, 제N 클럭 신호에 따른 제N 출력 전압을 제N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N+1 채널은 제N+1 클럭 신호에 따른 제N+1 출력 전압을 제N+1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N+2 채널은, 제N 클럭 신호에 따른 제N+2 출력 전압을 제N+2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1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N+3 채널은 제N+3 클럭 신호에 따른 제N+3 출력 전압을 제N+3 게이트 라인에 하이 레벨의 스캔 신호로 출력하는 제2 풀업 트랜지스터와, QB노드의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1 기저 전압을 출력하는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N+1 채널과 제N+3 채널은 상기 Q1노드에 접속된 풀업 트랜지스터와 상기 QB노드에 접속된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연결하는 제1 보상부와 제 2보상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부는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캐패시터는 상기 제N+1 채널의 상기 제2 풀업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상부는 보상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캐패시터는 상기 제N+3 채널의 상기 제2 풀업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2 풀 다운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KR1020230016760A 2015-12-31 2023-02-08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760A KR102536784B1 (ko) 2015-12-31 2023-02-08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131A KR102499314B1 (ko) 2015-12-31 2015-12-3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0016760A KR102536784B1 (ko) 2015-12-31 2023-02-08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131A Division KR102499314B1 (ko) 2015-12-31 2015-12-3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685A KR20230025685A (ko) 2023-02-22
KR102536784B1 true KR102536784B1 (ko) 2023-05-30

Family

ID=590690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131A KR102499314B1 (ko) 2015-12-31 2015-12-3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0016760A KR102536784B1 (ko) 2015-12-31 2023-02-08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131A KR102499314B1 (ko) 2015-12-31 2015-12-31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6121B2 (ko)
JP (2) JP6503333B2 (ko)
KR (2) KR102499314B1 (ko)
CN (1) CN106935215B (ko)
DE (1) DE10201612573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3876B (zh) * 2016-07-29 2023-06-16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双向扫描单元、驱动方法及栅极驱动电路
CN106023874B (zh) * 2016-07-29 2023-08-18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双向扫描单元、驱动方法及栅极驱动电路
KR102505897B1 (ko) * 2017-11-27 2023-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패널
KR102413606B1 (ko) * 2017-12-29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회로 내장형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CN107945764B (zh) * 2018-01-08 2020-06-09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电路、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驱动方法
CN111179797B (zh) * 2018-11-13 2021-11-02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及相关装置
KR102652819B1 (ko) * 2018-12-27 2024-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20196424A1 (ja) 2019-03-28 2020-10-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水溶性添加剤組成物
CN110800039B (zh) * 2019-09-17 2021-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Goa单元电路、驱动方法、goa电路和显示装置
CN110619838B (zh) * 2019-11-04 2021-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电路及驱动方法、栅极驱动器和显示装置
CN110853591A (zh) * 2019-11-11 2020-02-28 福建华佳彩有限公司 一种gip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
KR20210062457A (ko) * 2019-11-21 2021-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KR20210085914A (ko)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JP2021170092A (ja) * 2020-04-17 2021-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走査信号線駆動回路、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および、走査信号線の駆動方法
KR20220006157A (ko) * 2020-07-07 2022-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16350A (ko) 2020-07-30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 드라이버 및 표시 장치
KR20220096949A (ko)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CN112992094B (zh) * 2021-02-23 2022-09-09 福建华佳彩有限公司 一种gip电路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20230096542A (ko) 2021-12-23 2023-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333B2 (en) 2005-10-27 2009-05-05 Lg Display Co., Ltd. Shift register
US8982107B2 (en) * 2010-05-24 2015-03-17 Sharp Kabushiki Kaisha Scanning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KR101859471B1 (ko) 2011-07-19 2018-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KR101904277B1 (ko) * 2011-12-02 2018-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202443728U (zh) 2012-03-05 2012-09-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栅极驱动器及显示装置
CN104380368B (zh) 2012-07-31 2016-08-24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992158B1 (ko) * 2013-04-30 2019-09-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102902B1 (ko) 2013-05-30 2020-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CN103474040B (zh) 2013-09-06 2015-06-24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栅极驱动单元、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CN104700789B (zh) 2013-12-09 2017-10-31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移位寄存器、栅极驱动电路单元、栅极驱动电路及显示器
KR102104979B1 (ko) * 2013-12-17 2020-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9256088B2 (en) * 2013-12-31 2016-02-0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hree-level-driven array substrate row driving circuit
KR102208397B1 (ko) * 2014-08-05 2021-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게이트 드라이버
CN104575379B (zh) 2014-12-26 2018-01-16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66883A (ja) 2019-04-25
KR20170079997A (ko) 2017-07-10
CN106935215B (zh) 2019-09-24
US20170193950A1 (en) 2017-07-06
DE102016125731A1 (de) 2017-07-06
JP2017120417A (ja) 2017-07-06
KR102499314B1 (ko) 2023-02-10
KR20230025685A (ko) 2023-02-22
US10276121B2 (en) 2019-04-30
DE102016125731B4 (de) 2021-09-30
JP6503333B2 (ja) 2019-04-17
CN106935215A (zh)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784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643563B2 (en) Display device
KR1022083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게이트 드라이버
US10262580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gate-in-panel circuit
KR101872987B1 (ko) 분할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70004760A1 (en) Built-in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46828B1 (ko) 표시장치
KR102023641B1 (ko) 쉬프트 레지스터와 이의 구동방법
US10217426B2 (en) Display device
KR20130062127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9070315B2 (en) Display device
KR102172387B1 (ko)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패널과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US9007291B2 (en) Active level shift driver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0877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38440A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8993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154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485431B1 (ko) 어레이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136194A (ko) 쉬프트 레지스터,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34740B1 (ko) 게이트 구동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71465B1 (ko) 표시장치
KR102168822B1 (ko) 표시장치
KR102156068B1 (ko) 표시장치
KR20150071516A (ko) 표시장치
US93118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