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733B1 - 전자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733B1
KR102454733B1 KR1020217037432A KR20217037432A KR102454733B1 KR 102454733 B1 KR102454733 B1 KR 102454733B1 KR 1020217037432 A KR1020217037432 A KR 1020217037432A KR 20217037432 A KR20217037432 A KR 20217037432A KR 102454733 B1 KR102454733 B1 KR 10245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sleeve
valve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205A (ko
Inventor
유에치앙 리우
위천 허
쉬에페이 쉬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35213.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04282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35535.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01249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35275.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04282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42746.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3626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35343.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01245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43399.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3627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41619.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36562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37584.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01251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43402.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3627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35771.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04282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1337603.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012453U/zh
Priority to KR102022700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0403A/ko
Priority to KR1020227003184A priority patent/KR20220020398A/ko
Priority to KR1020227003186A priority patent/KR20220020400A/ko
Priority to KR1020227003187A priority patent/KR20220020401A/ko
Priority to KR1020227003185A priority patent/KR102646329B1/ko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41450A priority patent/KR20210156352A/ko
Priority to KR1020227007594A priority patent/KR102484650B1/ko
Priority to KR1020227003188A priority patent/KR1026686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205A/ko
Publication of KR10245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4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8Guiding yokes for spindles; Means for closing housings; Dust caps, e.g. for tyr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팽창 밸브(100)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에는 밸브 본체(10), 밸브 니들 어셈블리(20),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회전자 어셈블리(50), 고정자 어셈블리 및 슬리브(40)가 포함된다. 상기 밸브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가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16)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는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에 작용하여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의 회전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가 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는 밸브 포트(11)가 개설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의 구동 하에서 상기 밸브 포트(11)를 개폐하며,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밸브 본체(10)에서 상기 밸브 포트(11)로부터 먼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본 출원은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76030의 "전자 팽창 밸브",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53433의 "전자 팽창 밸브",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75841의 "전자 팽창 밸브",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57716의 "전자 팽창 밸브",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52750의 "전자 팽창 밸브",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109433995의 "전자 팽창 밸브", 2018년 8일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109434023의 "전자 팽창 밸브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는 공조 시스템",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55354의 "전자 팽창 밸브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는 공조 시스템",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109416190의 "전자 팽창 밸브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는 공조 시스템",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52892의 "전자 팽창 밸브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는 공조 시스템",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109427462의 "전자 팽창 밸브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는 공조 시스템", 2018년 8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821335213X의 "전자 팽창 밸브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하는 공조 시스템"의 중국 특허/고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참고하기 위해 본원에 전체로 인용되었다.
본 발명은 냉동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전자 팽창 밸브는 가이드 슬리브 및 너트 슬리브 내에서 밸브 스템 어셈블리의 운동을 통해 밸브 본체 상의 밸브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유량 조절과 스로틀 감압의 목적을 달성하며 냉동 장비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종래의 전자 팽창 밸브는 설치가 복잡하며 전자 팽창 밸브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낮다.
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팽창 밸브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이하와 같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전자 팽창 밸브는 밸브 본체, 밸브 니들 어셈블리,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회전자 어셈블리, 고정자 어셈블리 및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가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상에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에 작용하여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의 회전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가 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본체 상에는 밸브 포트가 개설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의 구동 하에서 상기 밸브 포트를 개폐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밸브 본체에서 상기 밸브 포트로부터 먼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세부 사항은 이하의 첨부 도면 및 설명에서 제공한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장점은 명세서, 첨부 도면 및 청구 범위를 통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부분에서 원래의 기술적 효과와 장점에 대응하는 설명을 기재하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장착 단차가 설치된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저장 구조가 설치된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B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제한부가 설치된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C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잔해물 저장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D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및 밸브 본체가 생략된 전자 팽창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니들 어셈블리 및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따른 밸브 니들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모듈이 설치된 전자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 캐비티가 개설된 밸브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저감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구조가 설치된 전자 팽창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E의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4에서 A의 확대도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편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편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00은 전자 팽창 밸브, 101은 매질 유입관, 102는 매질 배출관, 103은 축선, 104는 밸브 본체의 제1단, 105는 밸브 본체의 제2단, 106은 제1 챔퍼, 107은 제2 챔퍼, 108은 용접 링, 109는 용접 이음, 10은 밸브 본체, 10a는 입구, 10b는 출구, 10c는 장착 브래킷, 10d는 제1 장착 단차, 10e는 제2 장착 단차, 10f는 수용 캐비티, 11은 밸브 포트, 12는 밸브 캐비티, 13은 통공, 14는 장착 캐비티, 14a는 제1 위치결정 단차, 141은 위치제한부, 141a는 위치제한부의 내측면, 141b는 위치제한부의 외측면, 142는 개방부, 15는 연결 캐비티, 110은 장착 시트, 111은 장착 홀, 16은 가이드 슬리브, 16a는 가이드 홀, 16b는 밸브 니들 홀, 161은 평면, 162는 제1 원기둥 구간, 162a는 단차, 162b는 제1 원기둥 구간의 제1단, 162c는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 163은 제2 원기둥 구간, 164는 제3 원기둥 구간, 165는 가이드 구조, 166은 보스(boss), 17은 연결편, 18은 제1 돌기, 19는 연결 홈, 120은 잔해물 저장 구조, 121은 제1 잔해물 저장 홈, 122는 제1 잔해물 가이드 구조, 122a는 제1 잔해물 가이드부, 123은 제2 잔해물 저장 홈, 124는 제2 잔해물 가이드 구조, 124a는 제2 잔해물 가이드부, 20은 밸브 니들 어셈블리, 21은 밸브 니들 슬리브, 22는 밸브 니들, 221은 오목홈, 23은 제1 스프링 시트, 24는 제2 스프링 시트, 25는 탄성 부재, 26은 가이드 시트, 27은 볼, 30은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31은 스크류 로드, 311은 제2 돌기, 32는 너트 슬리브, 32a는 너트 슬리브의 제1단, 32b는 너트 슬리브의 제2단, 32c는 클램핑 홈, 321은 매칭 구간, 321a는 매칭 홀, 322는 제2 위치결정 단차, 323은 스톱 칼라(stop collar), 40은 슬리브, 50은 회전자 어셈블리, 51은 회전자, 52는 전환 연결 보드, 53은 위치제한 부재, 531은 스프링, 531a는 스톱부, 532는 스톱 링, 54는 운동 가이드편, 60은 노이즈 저감 모듈, 61은 제3 돌기, 62는 노이즈 저감 홀, 621은 제1홀, 622는 제2홀, 623은 제3홀, 621a는 원기둥 홀, 622a는 원뿔형 홀, 70은 용접 구조, 71은 제4 돌기, 72는 볼록 에지, 73은 제3 챔퍼, 80은 압력 균형 채널, 80a는 압력 균형 홀, 81은 제1 균형 채널, 811은 제1 균형 홀, 812는 제2 균형 홀, 82는 제2 균형 채널, 821은 제3 균형 홀, 822는 제4 균형 홀, 823은 제5 균형 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전자 팽창 밸브(100)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는 공조 냉장 시스템에서 유체 매질의 유량 및 압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를 흐르는 유체 매질은 공조 냉동 시스템에서 냉열 교환에 사용되는 냉매이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는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에 대해 스로틀 감압을 수행하여 저온 저압의 기액 2상 냉매를 형성하고 열교환을 진행하여 냉장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는 밸브 본체(10), 밸브 니들 어셈블리(20),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슬리브(40), 회전자 어셈블리(50) 및 고정자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및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 장착된다.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의 일단은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는 상기 슬리브 내(4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는 상기 슬리브(40) 상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는 통전되어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장의 작용 하에서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가 운동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는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가 운동하도록 구동시켜,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개폐를 구현함으로써 유량 및 압력 조절의 목적을 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본체(10)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된다. 물론, 밸브 본체(10)는 다른 재료를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를 일일이 나열하지 않는다. 상기 밸브 본체(10)는 대체적으로 원기둥형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본체(10)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밸브 본체(10)는 축선(103)을 가지며,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는 상기 축선(103)을 따라 순차적으로 밸브 포트(11), 밸브 캐비티(12), 통공(13), 장착 캐비티(14) 및 연결 캐비티(15)가 개설된다. 상기 밸브 포트(11)는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를 연장 진입시켜 상기 밸브 포트(11)에서 유체 매질의 유량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가 상기 밸브 포트(11)를 닫으면, 즉 상기 밸브 포트(11)와 상기 밸브 캐비티(12)의 연통이 차단되면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가 닫힌다. 반면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가 상기 밸브 포트(11)에 대한 밀폐를 해제하면, 즉 상기 밸브 포트(11)와 상기 밸브 캐비티(12)가 연통되면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가 열린다. 상기 통공(13)은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바닥부에 개설되고, 상기 통공(13)의 직경은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통공(13)의 설치는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바닥부가 링 형상의 제1 위치결정 단차(14a)를 형성하게 만들고, 상기 장착 캐비티(14) 및 연결 캐비티(15)는 축선(103) 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는 유체 매질이 유입되는 입구(10a) 및 출구(10b)가 더 개설된다. 상기 밸브 포트(11)는 상기 입구(10a) 및 출구(10b)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10a)는 상기 밸브 캐비티(12)와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출구(10b)는 상기 밸브 포트(11)와 연통되어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의 운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구(10a)와 상기 출구(10b) 사이의 도통 또는 폐쇄를 구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10a)에 유체 매질을 수송하기 위한 매질 유입관(101)이 장착되고, 상기 출구(10b)에 유체 매질을 수송하기 위한 매질 배출관(102)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매질은 냉매이며, 상기 냉매는 상기 매질 유입관(101)으로부터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로 유입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에 의해 스로틀 감압을 거쳐 상기 매질 배출관(102)으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본체(10)에서 상기 슬리브(40)로부터 먼 일단에 상기 매질 배출관(102)을 장착하기 위한 제1 돌기(18)가 볼록하게 설치된다. 상기 출구(10b)는 축선(103)을 따라 상기 제1 돌기(18)를 관통하고, 상기 출구(10b)는 상기 밸브 포트(11)와 연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질 배출관(102)과 밸브 본체 사이는 용접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본체(10)는 상기 슬리브(40)로부터 먼 일단에 연결 홈(19)이 개설되고, 상기 제1 돌기(18)는 상기 연결 홈(19)의 홈 바닥에 위치하며, 상기 매질 배출관(102)의 일단은 상기 제1 돌기(18)를 씌우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 홈(19)의 홈 바닥에 맞닿는다. 여기에서, 연결 홈(19) 설치를 통해 상기 매질 배출관(102)과 상기 밸브 본체(10) 사이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땜납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는 가이드 슬리브(16) 및 연결편(17)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상기 장착 캐비티(14) 내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 캐비티(14)와 억지 끼워맞춤된다. 여기에서, 상기 억지 끼워맞춤은 장착 캐비티(14) 내경의 크기에서 매칭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외경의 크기를 뺀 값이 음의 값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가 밸브 본체(10)의 축선(103) 방향을 따라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연결편(17)은 상기 연결 캐비티(15) 내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를 장착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편(17)은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연결 캐비티(15) 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밸브 본체 상에는 제1 장착 단차(10d)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 단차(10d)는 상기 밸브 본체(10)에서 연결 캐비티(15)가 개설된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제1 장착 단차(10d) 상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 장착 시트(11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장착 시트(110) 상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일단은 상기 장착 캐비티(14) 내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 캐비티(14)와 억지 끼워맞춤되며, 타단은 상기 장착 캐비티(14) 내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17)은 장착 시트(110) 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장착 시트(110)는 대체적으로 원기둥형을 나타내고, 상기 장착 시트(110)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 용접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시트(110)는 다른 방식에 의해 상기 밸브 본체(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40)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장착 시트(110) 상에 용접되어 상기 장착 시트(110)와 밀봉 연결된다. 상기 장착 시트(110) 상에 장착 홀(111)이 개설되며,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의 일부가 상기 장착 홀(111) 내로 연장 진입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 시트(110) 설치를 통해 상기 장착 시트(110)로 상기 밸브 본체(10)의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및 슬리브(40)를 장착하는 데 사용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밸브 본체(10)의 중량을 줄이고 상기 밸브 본체 상의 밸브 포트(11)의 가공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10) 및 밸브 포트(11)의 가공 정밀도를 보장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유량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는 제2 장착 단차(10e)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시트(110)는 제2 장착 단차(10e) 상에 용접된다. 밸브 본체(10)와 상기 장착 시트(110)는 일체형 구조 또는 분리형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본체(10)와 상기 장착 시트(110)는 분리형 구조를 채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캐비티(14)는 상기 밸브 포트(11)로부터 먼 일단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제한부(141)를 구비한다. 단차(162a)는 상기 위치제한부(141)와 매칭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가 축선(103) 방향을 따라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가이드 슬리브(16)가 유체 매질의 고압, 유체 매질의 고/저온 등과 같은 요인 하에서 상기 축선(103)을 따라 느슨해져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위치제한부(141)는 링형이고, 상기 위치제한부(141)의 내경은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경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제한부(141)은 축선(X)이 위치한 평면의 단면을 따라 사다리꼴 또는 원호형을 나타낸다. 상기 위치제한부(141)에서 내경이 더 큰 일단은 상기 장착 캐비티(14) 가까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부(141)에서 내경이 더 작은 일단은 상기 장착 캐비티(14)로부터 멀리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한부(141)는 대향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와 맞닿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내측면(141a) 및 외측면(141b)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제한부의 내측면(141a)과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벽 사이에는 협각(a)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제한부의 내측면(141a)과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협각(α)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X축 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축 숄더를 형성하는 것에 해당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각(a)의 범위는 120°≤a≤160°이다. 따라서 상기 각도 범위 하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상기 장착 캐비티(14) 내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X축 방향 운동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협각은 a=160°이다.
상기 위치제한부(141)는 상기 밸브 본체(10)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으며, 상기 밸브 본체(10)와 분리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141)와 상기 밸브 본체(10)가 일체형 구조로 설치되면, 상기 밸브 본체(10)의 가공 및 제조가 용이해지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141)와 상기 밸브 본체(10)가 분리형 구조로 설치되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장착이 용이할 수 있다. 상술한 두 가지의 상기 위치제한부(141)와 상기 밸브 본체(10)의 설치 방식은 각각의 장점이 있으므로, 구체적인 위치제한부(141)의 설치 방식은 실제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제한부(141)는 스토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밸브 본체(10) 사이의 협각은 90°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링형이며, 상기 스토퍼는 볼트 등과 같은 잠금 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 캐비티(15) 내에 장착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황동 물질, 즉 황동 가이드 슬리브를 가공해 제작한다. 황동 물질인 가이드 슬리브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또는 상기 밸브 본체(10) 간의 장착이 용이하고, 유체 매질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충돌로 인한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황동 이외의 다른 물질을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대체적으로 원기둥형을 나타내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와 상기 밸브 포트(11)는 이격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상기 밸브 포트(11)로부터 가까운 일단의 단면이 평면(161)이다. 여기에서, 상기 평면(161)은 평활한 면 또는 매끄러운 면이다. 즉, 상기 평면(161)의 마찰 계수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유체 매질이 상기 평면(161)을 지날 때 상기 평면(161)을 따라 유동하여 유체의 노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축선(Y)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서 축선(Y)을 따라 가이드 홀(16a) 및 밸브 니들 홀(16b)이 개설된다. 상기 밸브 니들 홀(16b)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홀(16a)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밸브 니들 홀(16b)은 상기 가이드 홀(16a)의 바닥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홀(16a)과 연통한다.
상기 밸브 니들 홀(16b)의 직경이 상기 가이드 홀(16a)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홀(16a)의 바닥부는 상기 밸브 니들 홀(16b)에 결합되어 위치제한 단차(161a)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상기 가이드 홀(16a) 내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홀(16a) 및 상기 밸브 니들 홀(16b)의 안내 하에 운동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3단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상기 장착 캐비티(14) 내에 장착된 제1 원기둥 구간(162), 상기 장착 홀(111) 내에 연장 진입하여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와 매칭시키는 데 사용되는 제2 원기둥 구간(163), 및 상기 밸브 캐비티(12) 내에 위치하는 제3 원기둥 구간(164)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2단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과 상기 장착 캐비티(14) 사이는 억지 끼워맞춤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장착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자체의 축선이 밸브 본체(10)의 축선(Y)와 겹치도록 보장함으로써, 가이드 슬리브(16)와 밸브 포트(11) 사이의 동축도를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은 중간 구간, 즉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과 제3 원기둥 구간(16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의 외경은 각각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의 외경, 제3 원기둥 구간(164)의 외경보다 크다.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은 각각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과 단차(162a)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과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 사이의 단차(162a)는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바닥부 제1 위치결정 단차(14a)와 매칭되어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의 위치결정을 구현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은 대향 설치된 제1단(162b) 및 제2단(162c)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은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162c)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에서 제1단(162b)의 단면은 평면(161)이다. 상기 축선(Y)은 상기 평면(161)에 수직이다.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에서 제1단(162b)의 단면이 평면(161)이기 때문에, 유체 매질과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이 접촉되는 사이의 접촉 마찰력이 감소하여 노이즈 발생이 감소하여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에서 제1단(162b)의 단면이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바닥부에 맞닿아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장착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1단(162b)은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구조(165)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구조(165) 설치를 통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에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으로부터 먼 일단도 원주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구조(165a)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구조(165)는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162c)에 설치된 가이드부(165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165a)는 필릿(fillet) 가이드부 또는 원뿔 가이드부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구조(165)는 다른 구조일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에서 제1단(162b)의 단면 상에 보스(166)가 설치되고, 상기 보스(166)에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으로부터 먼 일단의 단면이 상기 평면(161)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보스(166)는 상기 통공(13)으로 연장 진입하며, 상기 평면(161)은 상기 제1 위치결정 단차(14a) 상에 맞닿아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위치결정 및 설치를 구현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1단(162b)에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과 상기 밸브 포트(11)는 이격 설치되며,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에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으로부터 먼 일단이 상기 평면(161)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의 외경은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과의 사이에도 상기 단차(162a)가 형성된다.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은 상기 통공(13)으로부터 상기 밸브 캐비티(12) 내로 연장 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은 계단형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길이의 1/4 내지 1/3배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길이의 1/4 내지 1/3배이다. 따라서 가이드 슬리브(16)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와 매칭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연결 신뢰성도 향상되고 진동 저감 등으로 인해 가이드 슬리브(16)가 느슨해지는 위험도 낮아진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이 길어짐에 따라 가이드 홀(16a)의 전체 길이가 증가한다.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상기 가이드 홀(16a) 내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의 전체 동축도가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길이의 3/10배이다.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의 길이는 대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길이의 1/3배를 차지하므로, 제2 원기둥 구간(163)과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사이의 연결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에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으로부터 먼 일단도 가이드 구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구조는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 상에 설치되는 챔퍼 또는 원뿔면 등의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편(17)은 상기 밸브 본체(10)에 용접 연결되고, 상기 밸브 본체(10) 상에는 장착 브래킷(10c)이 더 설치된다. 상기 장착 브래킷(10c)은 상기 밸브 본체(10) 또는 상기 밸브 본체(10)와 상기 장착 시트(110) 사이의 연결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 브래킷(10c)은 상기 밸브 본체(10)와 용접 연결되거나, 또는 각각 상기 밸브 본체(10), 장착 시트(110)와 용접 연결된다. 상기 장착 브래킷(10c)은 외부 디바이스와 매칭되어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장착을 구현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본체(10)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사이에 잔해물 저장 구조(120)가 설치되고, 상기 잔해물 저장 구조(120)는 상기 밸브 본체(10)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사이의 잔해물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장착 과정에서 상기 밸브 본체(10), 가이드 슬리브(16) 상의 잔해물이 불순물의 형태로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에 유입되어 전자 팽창 밸브(100)의 정상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캐비티(14)는 내벽을 구비하고, 상기 잔해물 저장 구조(120)는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벽 원주 방향으로 개설된 제1 잔해물 저장 홈(12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잔해물 저장 홈(121)은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제1 잔해물 저장 홈(121)은 상기 밸브 본체(10)의 축선(X)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벽 상에 설치된다. 각 상기 제1 잔해물 저장 홈(121)의 노치에는 제1 잔해물 가이드 구조(122)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 본체(10),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의 잔해물이 상기 제1 잔해물 저장 홈(121)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가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잔해물 가이드 구조(122)는 상기 장착 캐비티(14) 내벽 상에 설치되는 제1 잔해물 가이드부(122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잔해물 가이드부(122a)는 상기 제1 잔해물 저장 홈(121)의 노치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잔해물 가이드부(122a)는 경사면 잔해물 가이드부 또는 필릿 잔해물 안내부 등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장착 캐비티(14)는 개방부(142)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부(142)는 상기 밸브 포트(11)로부터 멀리 설치된다. 상기 제1 잔해물 저장 홈(121)은 상기 장착 캐비티(14)에 가까운 개방부(142)단이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벽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조립 요건을 충족한다는 전제 하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와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개방부(142)단의 매칭 구간 각도를 최대한 줄여 잔해물의 압출을 줄인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외벽을 구비하고, 상기 잔해물 저장 구조(12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외벽 원주 방향으로 개설된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은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의 외벽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은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의 제2단(162c)에 가까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의 제2단(162c)은 비교적 짧은 상기 장착 캐비티(14)와의 억지 끼워맞춤 매칭 구간으로 설치되어 잔해물의 압출을 줄인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축선(Y)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의 외벽 상에 설치된다. 각 상기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의 노치에는 제2 잔해물 가이드 구조(124)가 구비되어 상기 밸브 본체(10),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의 잔해물이 상기 제2 잔해물 저장 홈(123) 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기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잔해물 가이드 구조(124)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외벽 상에 설치되는 제2 잔해물 가이드부(124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잔해물 가이드부(124a)는 상기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의 노치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잔해물 가이드부(124a)는 경사면 잔해물 가이드부 또는 필릿 잔해물 가이드부 등에 위치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 캐비티(14)는 내벽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6)는 외벽을 구비한다. 상기 잔해물 저장 구조(120)는 실시예 1의 제1 잔해물 저장 홈(121) 및 실시예 2의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내벽 상에 있는 제1 잔해물 저장 홈(121)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외벽 상에 있는 제2 잔해물 저장 홈(123)은 상기 축선(103)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에 장착된 밸브 니들 슬리브(21), 및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21) 내에 장착된 밸브 니들(22)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니들(22)은 축선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니들(22)의 축선은 상기 밸브 본체(10)의 축선(103)과 겹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밸브 니들(22)의 일단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 포트(11)에 매칭된다.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는 상기 밸브 니들(22)이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밸브 포트(11)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개폐를 구현한다.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제1 스프링 시트(23), 제2 스프링 시트(24), 탄성 부재(25) 및 가이드 시트(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프링 시트(23), 제2 스프링 시트(24) 및 상기 탄성 부재(25)는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21)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스프링 시트(23)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시트(26) 상에 맞닿는다. 상기 탄성 부재(25)의 일단은 상기 제1 스프링 시트(23) 상에 맞닿는다. 타단은 제2 스프링 시트(24) 상에 맞닿고, 상기 가이드 시트(26)는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21)에서 상기 밸브 니들(22)로부터 먼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스프링 시트(24)에 맞닿고, 상기 가이드 시트(26)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에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볼(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27)은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21) 내에 수용된다. 상기 볼(27)은 상기 밸브 니들(22)과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니들(22)과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사이의 마찰 접촉면의 면적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밸브 니들(22),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의 마손이 줄어들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27)은 상기 제2 스프링 시트(24)와 밸브 니들(2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볼(27)은 상기 밸브 니들(22) 또는 상기 제2 스프링 시트(24)와의 사이가 스폿 용접에 의해 용접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22) 상에는 오목 홈(221)이 개설되고, 상기 볼(27)은 상기 오목 홈(221) 내에 장착되며, 상기 볼(27)과 상기 밸브 니들(22)의 사이는 스폿 용접에 의해 용접된다. 여기에서 볼(27) 설치를 통해 상기 제2 스프링 시트(24)와 상기 밸브 니들(22)이 점접촉되어, 상기 제2 스프링 시트(24)와 상기 밸브 니들(22) 사이의 마찰 접촉 표면이 감소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 스프링 시트(24)와 상기 밸브 니들(22) 사이의 접촉 마손이 줄어들어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9,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는 스크류 로드(31) 및 너트 슬리브(32)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로드(31)는 대향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구비한다. 상기 스크류 로드(31)의 일단은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로드(31)의 제2단은 상기 너트 슬리브(32)를 관통하여 제1 스프링 시트(23)에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 로드(31)의 제2단과 상기 너트 슬리브(32)의 사이는 나사산 연결되고, 상기 너트 슬리브(32)의 일단은 상기 연결편(17) 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너트 슬리브(32)는 대향 설치된 제1단(32a) 및 제2단(32b)을 구비하고, 상기 너트 슬리브의 제1단(32a)은 상기 연결편(17) 상에 장착되고, 상기 너트 슬리브의 제2단(32b)은 상기 슬리브(40) 내에 수용된다. 상기 너트 슬리브의 제1단(32a)은 연장되어 매칭 구간(321)이 설치되고, 상기 매칭 구간(321)은 상기 장착 홀(111) 내에 연장 진입하며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에 가깝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 슬리브의 제1단(32b)에 클램핑 홈(32c)이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 홈(32c) 내에 클램핑 돌기가 설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편(17) 상에 연결 홀이 개설되고, 상기 너트 슬리브의 제1단(32b)은 상기 연결 홀 내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 돌기를 통해 상기 연결편(17)과의 클랩핑 연결을 구현한다. 상기 스크류 로드(31)가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의 구동 하에서 회전할 때, 상기 스크류 로드(31)와 상기 너트 슬리브(32) 사이에 형성된 너트 스크류 로드의 매칭 관계로 인해 상기 스크류 로드(31) 및 상기 스크류 로드(31)와 고정 연결된 회전자 어셈블리(50) 등은 스크류 로드(31)의 축방향을 따라 운동하므로, 상기 스크류 로드(31)가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의 운동을 구동하도록 구현한다.
또한 상기 매칭 구간(321) 상에 매칭 홀(321a)이 개설되고,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은 상기 매칭 홀(321a)로부터 상기 너트 슬리브(32) 내로 연장 진입되며 상기 너트 슬리브(32)와의 사이가 고정 연결된다. 매칭 구간(321) 설치를 통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와 상기 너트 슬리브(32) 사이의 매칭 길이를 연장할 수 있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와 상기 너트 슬리브(32)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연결에는 나사산 연결, 억지 끼워맞춤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과 상기 너트 슬리브(32) 사이는 억지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을 통해 상기 너트 슬리브(32)를 바르게 안내하여 상기 너트 슬리브(32)의 축선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축선, 상기 밸브 본체(10)의 축선과 겹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과 상기 장착 캐비티(14) 사이가 억지 끼워맞춤된다.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과 상기 너트 슬리브(32) 사이가 억지 끼워맞춤되므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162)을 통해 상기 밸브 본체(10)를 바르게 안내한다.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이 상기 너트 슬리브(32)를 바르게 안내하여, 상기 밸브 본체(10),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및 상기 너트 슬리브(32)의 삼자간 축선을 겹치게 만듦으로써 상기 스크류 로드(31), 상기 밸브 니들(22) 및 상기 밸브 포트(11)의 삼자간 동축도를 보장한다. 이를 통해 운동 과정에서 상기 밸브 니들(22)과 상기 밸브 본체(11) 사이의 충돌을 줄이고 나아가 밸브 니들(22) 등 부재의 마손을 감소시키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너트 슬리브(32) 내에 제2 위치결정 단차(322)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원기둥 구간(164)은 상기 너트 슬리브(32) 내에 연장 진입하여 상기 제2 위치결정 단차(322) 상에 맞닿는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의 신뢰성을 더욱 개선하고 유체 매질의 압력 하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16)가 축방향으로 멋대로 움직여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의 기본 구조는 상술한 밸브 니들 어셈블리(20)의 구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나,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는 베어링(211), 개스킷(212) 및 탄성 부재(213)를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베어링(211) 및 개스킷(212)은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에서 밸브 니들(22)로부터 가까운 일단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213)의 일단은 개스킷(212)과 접촉하고, 타단은 밸브 니들(22)과 접촉한다. 베어링(211)의 일단은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및 밸브 니들 슬리브(21)에 맞닿고, 타단은 개스킷(212)에 접촉된다. 개스킷(212)은 밸브 니들 슬리브(21) 내에 수용되며 베어링(211)의 외륜과 접촉한다.
상기 스크류 로드(31) 상에 스크류 로드(31)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돌기(311)가 설치되고, 제2 돌기(311)는 밸브 니들 슬리브(21)의 내측면과 평평하게 가지런하다. 베어링(211)의 내륜은 제2 돌기(311)에 맞닿으며, 밸브 니들 슬리브(21)의 내측면은 베어링(211)의 외륜에 맞닿아 스크류 로드(31) 및 밸브 니들 슬리브(21)의 베어링(211)에 대한 위치제한을 구현한다.
스크류 로드(31)는 베어링(211)의 내륜에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류 로드(31)와 베어링(211)의 내륜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즉, 스크류 로드(31)의 크기는 베어링(211) 내륜의 직경보다 크고, 이때 스크류 로드(31)와 베어링(211) 사이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바람직한 안정성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류 로드(31)와 베어링(211)의 내륜 사이는 리벳팅, 접합 고정 등 다른 연결 방식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스크류 로드(31)는 회전자 어셈블리(50)의 구동 하에서 회전한다. 스크류 로드(31)와 베어링(211) 내륜 사이의 고정 연결로 인해 스크류 로드(31)는 베어링(211)의 내륜이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베어링(211) 내의 구름 요소는 베어링(211)의 외륜과 구름 접촉하여 스크류 로드(31)의 회전을 해제한다. 베어링(211) 내에는 복수의 구름 요소가 구비되므로, 스크류 로드(31) 회전의 해제가 종래 전자 팽창 밸브(100)의 단일점 구름 접촉을 본 실시예의 다중점 구름 접촉으로 바꾼다. 따라서 접촉력은 복수의 구름 요소에서 분담하여 견디므로 각 접촉점 상의 접촉 압력이 낮아지고 구름 마찰은 마찰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베어링(211)과 스크류 로드(31)의 동축 장착으로 인해, 구름 요소 상의 접촉력은 스크류 로드(31)의 중력 방향에 수직이 된다. 이는 종래 전자 팽창 밸브의 접촉점 상에서의 접촉력을 상대적으로 약화시키고 전자 팽창 밸브(100)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베어링(211)은 유극이 있어 밸브 니들(22)이 일정한 자유도를 가지므로, 밸브 니들(22), 밸브 포트(11) 사이의 동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13)는 스프링이며, 이때 탄성 부재(213)는 상대적으로 높은 연결 안정성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213)는 탄성 기둥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탄성 요소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7을 계속 참고하면,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50)는 상기 슬리브(40) 내에 위치한 회전자(51), 상기 스크류 로드(31)를 장착하기 위한 전환 연결 보드(52), 및 상기 회전자(5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제한 부재(53) 및 상기 전환 연결 보드(52) 상에 장착되는 운동 가이드편(5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51)는 상기 전환 연결 보드(52)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전환 연결 보드(52)와 상기 스크류 로드(31) 사이는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상기 위치제한 부재(53)는 상기 너트 슬리브 상을 씌우도록 설치되는 스프링(531), 및 상기 운동 가이드편(54) 상에 장착된 스톱 링(532)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531)의 일단은 상기 연결편(17)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531)의 타단에는 스톱부(531a)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 링(532)은 상기 스프링(531) 상에 감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 슬리브(32) 외벽 상에 스톱 칼라(323)가 설치되고, 상기 스톱 칼라(323)는 상기 스톱 링(532)에 매칭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자(5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51)가 회전하며 상기 축선(103)을 따라 운동하여 상기 스크류 로드(31)가 상기 밸브 니들(22)이 상기 밸브 포트(11)를 닫도록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톱 링(532)은 상기 스프링(531)을 따라 운동하고, 상기 스톱 링(532)은 상기 스톱 칼라(323)에 맞닿아 상기 회전자(51)의 회전 각도를 상기 회전자(51)의 하한으로 제한한다. 상기 회전자(51)가 회전하며 상기 축선(103)을 따라 운동하여 상기 스크류 로드(31)가 상기 밸브 니들(22)이 상기 밸브 포트(11)를 열도록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톱 링(532)은 상기 스프링(531)을 따라 운동하고, 상기 스톱 링(532)은 스톱부(531a)에 맞닿아 상기 회전자(51)의 회전 각도를 상기 회전자(51)의 상한으로 제한한다.
또한 스크류 로드(31)의 외측은 스크류 로드(31)의 반경 방향 바깥을 따라 연장되어 보스(311)를 형성한다. 스크류 로드(31) 상의 보스(311)는 가이드 슬리브(26)에 맞닿기 때문에 전자 팽창 밸브(100)에서 회전자(51) 및 스크류 로드(31)의 운동 하한을 결정한다.
전자 팽창 밸브(100)의 하한은 스크류 로드(31)와 가이드 슬리브(26) 사이의 상호 맞닿음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스크류 로드(31)는 긴 직선 기둥 부재로서, 기계적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력 방향이 스크류 로드(31)의 축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발생하는 진동과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적을 뿐만 아니라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노이즈가 긴 직선의 기둥체 상에서 비교적 빠르게 소멸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팽창 밸브(100)는 하한의 회전자 어셈블리(50) 운동 상태 전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팽창 밸브(100)의 상한은 스톱 링(532)과 스프링(531)의 스톱부(531a) 사이의 상호 맞닿음에 의해 구현된다. 회전자(51)가 회전하며 축선(103)을 따라 운동하여 스크류 로드(31)가 밸브 니들(22)이 밸브 포트(11)를 닫도록 구동하는 과정에서, 스톱 링(532)은 스프링(531)을 따라 운동한다. 스톱 링(532)은 스톱부(531a)에 맞닿아 회전자(51) 회전 각도를 회전자(51) 및 스크류 로드(31)의 상한으로 제한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팽창 밸브(100)에서 회전자 어셈블리(50)가 운동 상태를 전환할 때 발생하는 노이즈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전자 팽창 밸브(100)의 상한은 스크류 로드(31)에서 밸브 니들 어셈블리(20)로부터 먼 일단과 슬리브(40)의 상호 맞닿음에 의해 결정한다. 스프링(531)의 스톱부(531a)와 스톱부(532)의 크기 조절을 통해, 슬리브(40)가 스크류 로드(31)에 맞닿을 때 스톱 링(532)이 스프링(531)의 스톱부(531a)에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스크류 로드(31)와 슬리브(40)가 맞닿는 것을 전자 팽창 밸브(100)의 상한으로 설정한다.
이때 전자 팽창 밸브(100)의 상한은 여전히 스크류 로드(31)에 의해 결정되며, 스크류 로드(31)는 긴 직선 기둥 부재로서, 기계적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력 방향이 스크류 로드(31)의 축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발생하는 진동과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적을 뿐만 아니라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노이즈가 긴 직선의 기둥체 상에서 빠르게 소멸될 수 있으므로, 전자 팽창 밸브(100)는 상한의 회전자 어셈블리(50) 운동 상태 전환 제한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스크류(31)에서 슬리브(40)에 인접한 일단은 슬리브(40) 내측면의 형상에 매칭되도록 곡면으로 설정된다. 이때 스크류 로드(31)와 슬리브(40) 사이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바람직한 연결 성능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팽창 밸브(100)의 상한은 가이드 시트(26)와 너트 슬리브(32)의 상호 맞닿음에 의해 더 구현될 수 있으며, 너트 슬리브(32)는 가이드 시트(26)에 맞닿는다. 가이드 시트(26)는 스크류 로드(31)에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너트 슬리브(32)의 가이드 시트(26)에 대한 맞닿음을 통해 스크류 로드(31)가 밸브 포트(11)로부터 더 멀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 로드(31)의 길이 설정을 통해, 너트 슬리브(32)와 가이드 시트(26)가 맞닿을 때 스크류 로드(31)는 슬리브(4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 팽창 밸브(100)의 상한이 너트 슬리브(32)와 가이드 시트(26) 사이의 맞닿음에 의해 결정되도록 확보한다.
너트 슬리브(32)는 부피가 비교적 큰 리턴 부재로서, 기계적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한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적고, 너트 슬리브(32) 상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진동으로 인한 노이즈도 빠르게 소멸되므로, 전자 팽창 밸브(100)에서 상한의 회전자 어셈블리(50) 운동 상태 전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전자 팽창 밸브(100)의 상한이 스톱 링(532)과 스프링(531)의 스톱부(531a) 사이의 상호 맞닿음에 의해 구현되지 않을 때, 즉 전자 팽창 밸브(100)에서 상기 구현 방식을 채택할 때, 스톱 링(532)과 스프링(531)은 생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톱 링(532), 운동 가이드편(54) 및 스프링(531)이 생략된 전자 팽창 밸브(100)의 구조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회전자 어셈블리(50)와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는 함께 운동하며, 회전자 어셈블리(50)의 운동 상한 및 하한, 즉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의 운동 상한 및 하한은 본 명세서에서 구분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하한은 스크류 로드(31)에서 밸브 포트(11)를 향해 운동하는 최대 작업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작업 위치를 하한이라 명명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상한은 스크류 로드(31)에서 밸브 포트(11)로부터 멀리 운동하는 최대 작업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작업 위치는 상한이라 명명한다. 상한과 하한에서 "상"과 "하"는 방위의 개념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명명한 것일 뿐이다.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미도시)는 통전 후 자기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코일 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력의 작용 하에서 상기 회전자(51)를 회전시켜 상기 스크류 로드(31)의 회전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는 전동식 전자 팽창 밸브이며, 상기 회전자(51)는 스테핑 모터에서 영구 자석으로 제작된 모터 회전자이다.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는 스테핑 모터에서의 모터 고정자이며, 스테핑 모터는 제어 회로에서 제공하는 논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후 모터 고정자의 각 위상 코일로 신호를 전송한다. 영구 자석으로 제작된 모터 회전자는 자기 토크 작용에 의해 회전 운동하여, 고정자 어셈블리가 회전자 어셈블리를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운동 과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전자 팽창 밸브(100)는 일체형 밸브 시트를 채택하였으며, 일체형 밸브 시트를 이용해 종래 전자 팽창 밸브의 밸브 코어 시트와 슬리브 시트를 집적시킴으로써 축방향 상에서 전자 팽창 밸브(100)의 조립 횟수를 줄였다. 즉, 여러 번의 조립으로 인해 전자 팽창 밸브(100) 각 구성 요소의 동축도가 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추었으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각 구성 요소 간의 동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구성 요소의 수량을 줄여 전자 팽창 밸브(100)의 밸브 개방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장착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전체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포트(11)는 밸브 본체(10)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밸브 포트(11)가 개설된 일단은 밸브 본체(10)의 제1단(104)으로 명명되고, 밸브 본체(10) 상에서 제1단(104)에 대향하는 타단은 제2단(105)으로 명명된다. 밸브 포트(11)는 제2단(105)으로부터 제1단(104)을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개설된다. 상단 이송의 가공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밸브 본체(10)의 밸브 포트는 가공 시 한 번만 끼워 장착하므로, 제조 과정에서 밸브 본체(10)의 밸브 포트(11) 장착 횟수가 줄어들어, 가공 과정에서 밸브 본체(10)의 밸브 포트(11)에 위치결정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며 밸브 포트(11)와 밸브 본체(10)의 동축도가 개선된다.
또한 밸브 본체(10) 상에 밸브 포트(11)를 직접 개설하므로, 종래의 전자 팽창 밸브에 비해 밸브 포트를 개설하는 밸브 시트 코어와 밸브 본체 사이의 용접 고정이 줄어든다. 용접 수의 감소는 밸브 본체(10)의 완전성을 향상시키므로 전자 팽창 밸브(100)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된다.
밸브 포트(11)는 밸브 본체(10) 제2단(105)으로부터 가까운 일단에 제1 챔퍼(106)가 설치된다. 제1 챔퍼(106)의 개설로 인해 밸브 포트(11)는 밸브 본체(10) 제2단(105)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이 개방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밸브 포트(11) 내에서 밸브 니들(22)의 밀폐 성능이 향상되고, 전자 팽창 밸브(100)의 내부 누설을 감소시키며, 전자 팽창 밸브(100)의 유체 유량에 대한 제어 정밀도가 개선될 수 있다.
밸브 포트(11)에서 밸브 본체(10) 제2단(105)으로부터 먼 일단에는 제2 챔퍼(107)가 설치된다. 제1 챔퍼(106) 및 제2 챔퍼(107)의 개설로 인해 밸브 포트(11) 가공 과정에서 일어나는 버(burr)가 제거되어, 유체 매질이 밸브 포트(11)를 통과할 때 보다 원활한 유통 특성을 갖도록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제1 챔퍼(106)와 제2 챔퍼(107)는 모두 0.1mm 미만이다.
또한 노이즈를 더 차단하기 위해, 밸브 본체(10)와 가이드 슬리브(16)가 서로 접촉하는 벽 두께는 밸브 본체(10) 반경의 30% 내지 80%이다. 밸브 본체(10)와 가이드 슬리브(16)가 서로 접촉하는 벽 두께를 밸브 본체(10) 반경의 30% 내지 80%로 설정함으로써, 노이즈를 더욱 잘 차단하고 유체 매질의 유통 노이즈를 밸브 본체(10) 내부로 밀폐시킬 수 있다. 밸브 본체(10)의 벽 두께가 너무 얇으면 노이즈에 대한 밀폐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반면 밸브 본체(10)의 벽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밸브 니들 어셈블리(20) 등 부재를 밸브 본체(10) 내에 고정 장착하는 데에 불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본체(10)와 가이드 슬리브(16)가 서로 접촉하는 벽 두께는 밸브 본체(10) 반경의 80%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에서 사용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이고, 유체 매질이 상기 밸브 포트(11)를 통과할 때 유통 불안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매질 배출관(102)과 상기 밸브 본체(10) 사이에 노이즈 저감 모듈(60)이 설치된다. 상기 노이즈 저감 모듈(60)은 유체 매질이 밸브 포트(11)를 경유할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전자 팽창 밸브(100) 사용 중 발생하는 난류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10) 상에 밸브 포트(11)와 연통하는 수용 캐비티(10f)가 개설되며 수용 캐비티(10f)는 노이즈 저감 모듈(6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노이즈 저감 모듈(60)의 일단은 밸브 본체(10) 중심축선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연장되어 제3 돌기(61)를 형성한다. 매질 배출관(102)은 노이즈 저감 모듈(60)의 일부를 씌우며 제3 돌기(61)에 맞닿도록 설치된다. 노이즈 저감 모듈(60)의 일단은 밸브 본체(10)와 접촉하고, 타단은 매질 배출관(102)에 맞닿는다. 매질 배출관(102)과 밸브 본체(10) 사이의 용접 고정은 노이즈 저감 모듈(60)이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만든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 모듈(60)은 다른 구조를 채택하여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에 고정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질 배출관(102)은 노이즈 저감 모듈(60)에서 밸브 포트(11)로부터 먼 타단에 직접 맞닿을 수도 있으며, 이때 노이즈 저감 모듈(60) 상에 형성된 제3 돌기(61)도 생략될 수 있다.
노이즈 저감 모듈(60) 상에 노이즈 저감 홀(62)이 설치되고, 노이즈 저감 홀(62)은 밸브 포트(11)에 도킹된다. 노이즈 저감 홀(62)은 밸브 포트(11)와 연통하는 홀의 직경이 밸브 포트(11)의 직경과 매칭되어, 유체 매질이 밸브 포트(11)를 통해 노이즈 저감 홀(62)로 유입될 때 매끄럽게 유입된다. 유체 매질이 밸브 포트(11)를 통해 노이즈 저감 홀(62)로 유입될 때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 홀(62)은 밸브 포트(11)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도 24를 함께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 홀(62)은 단차 홀이고, 노이즈 저감 홀(62)은 밸브 포트(11)로부터 먼 방향을 따라 점차 확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 홀(62)은 3단식 단차 홀이고, 노이즈 저감 홀(62)은 제1홀(621), 제2홀(622) 및 제3홀(623)을 포함한다. 제1홀(621)은 밸브 포트(11)에 도킹되고, 제1홀(621), 제2홀(622) 및 제3홀(623)은 축방향을 따라 서로 관통된다. 제2홀(622)은 제1홀(621)과 제3홀(623) 사이에 위치하고, 제3홀(623)의 직경은 제2홀(622)의 직경보다 크고, 제2홀(622)의 직경은 제1홀(621)의 직경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 유통 시 발생하는 난류를 더욱 감소시키고 전자 팽창 밸브(100) 사용 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제1홀(621), 제2홀(622) 및 제3홀(623)은 대칭을 이루는 원형 홀의 동축으로 설치된다.
물론, 유체가 단차 홀을 통과할 때 구조적 비대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난류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제1홀(621), 제2홀(622) 및 제3홀(623)의 각 중심축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홀(621), 제2홀(622) 및 제3홀(623)은 이형 홀의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 홀(62)은 노이즈 저감 홀(62)이 밸브 포트(11)로부터 먼 방향을 따라 점차 확장되는 단차 홀을 형성할 수만 있다면 2구간, 4구간 및 4구간 이상의 구조 형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노이즈 저감 모듈(60)이 유체 매질 유통 노이즈를 저감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노이즈 저감 홀(62)은 단차 홀이며, 유체 매질이 밸브 포트(11)를 통해 노이즈 저감 홀(62)로 유입될 때의 유통 유효 단면은 단차형으로 점차 확대된다. 유체 매질이 노이즈 저감 홀(62)로 유입된 후 유속이 느려지며, 유체 매질이 점차 확장되는 노이즈 저감 홀을 통해 자유 전단면의 발생을 억제한다. 즉, 유체 매질의 안정성이 개선되며 유체 매질이 와류 노이즈를 비교적 적게 발생시켜 전자 팽창 밸브(100) 사용 시의 노이즈가 저감된다.
또한 도 25를 함께 참고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저감 홀(62)은 혼(horn) 홀이고, 노이즈 저감 홀(62)은 밸브 포트(11)와 연통하는 원기둥 홀(621a) 및 원기둥 홀(621a)과 연통하는 원뿔형 홀(622a)을 포함한다. 원뿔형 홀(622a)은 원기둥 홀(621a)에 연결된 일단이 밸브 포트(11)로부터 먼 방향을 향해 점차 확장된다. 원기둥 홀(621a)의 직경은 밸브 포트(11)의 직경과 매칭된다.
원뿔형 홀(622a)은 밸브 포트(11)에 직접 도킹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원뿔형 홀(622a)에서 밸브 포트(11)를 향하는 일단의 직경은 밸브 포트(11)의 직경에 매칭되며, 이때 원기둥 홀(621)은 생략할 수도 있다.
원기둥 홀(621a)의 개설은 밸브 포트(11)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에 해당하므로 유체 매질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노이즈 저감 모듈(60)이 유체 매질 유통 노이즈를 저감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노이즈 저감 홀(62)은 혼(horn) 홀이며, 유체 매질이 밸브 포트(11)를 통해 노이즈 저감 홀(62)로 유입될 때의 유통 유효 단면이 점차 확대된다. 유체 매질이 노이즈 저감 홀(62)로 유입된 후 유속이 느려지며, 유체 매질이 점차 확장되는 노이즈 저감 홀을 통해 자유 전단면의 발생을 억제한다. 즉, 유체 매질의 안정성이 개선되며 유체 매질이 와류 노이즈를 비교적 적게 발생시켜 전자 팽창 밸브(100) 사용 시의 노이즈가 저감된다.
도 26을 함께 참고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 홀(62)은 직선 홀이다. 노이즈 저감 홀(62)은 노이즈 저감 모듈(60)의 두 단면을 관통하며 밸브 포트(11)에 도킹되고, 노이즈 저감 홀(62)의 직경은 밸브 포트(11)의 직경에 매칭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노이즈 저감 모듈(60)이 유체 매질 유통 노이즈를 저감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노이즈 저감 홀(62)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긴 직선 홀이며, 노이즈 저감 홀(62)은 밸브 포트(11)의 길이를 연장한 것에 해당한다. 이는 밸브 포트(11)의 유입단과 노이즈 저감 홀(62)의 유출단에서 유통되는 유체 매질의 속도와 압력이 기울기 하강하도록 만든다. 즉, 유체 매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중 전자 팽창 밸브(100)에서 생성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또한 노이즈 저감 모듈(60)은 모듈화되어 밸브 본체(10) 내에 고정되며, 노이즈 저감 모듈과 밸브 본체(10)는 분리형으로 설치된다. 이는 전자 팽창 밸브(100) 상에서 형상이 이미 상대적으로 복잡한 밸브 본체(10)에 가공이 더욱 어려운 복잡한 형상의 밸브 포트(11)를 개설할 필요가 없게 만든다. 따라서 전자 팽창 밸브(100)에 표준화된 밸브 본체(10)와 맞춤형 노이즈 저감 모듈의 조합을 채택하여 전자 팽창 밸브(100) 부품을 더욱 표준화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질 배출관(102)과 밸브 본체(10)가 접촉하는 일단에 용접 링(108)이 더 설치된다. 용접 링(108)의 인접한 두 측면은 각각 밸브 본체(10) 및 매질 배출관(102)에 접촉된다. 용접 링(108)은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의 용접 이음(109)을 채우는 데 사용된다. 용접 링(108)은 외부 용접 장비의 고온 가열 하에서 용융되어, 용융 상태의 충전재로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에 형성된 용접 이음(109)으로 유입되어, 밸브 본체(10) 및 매질 배출관(102)에 대한 용접 고정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상에 용접 구조(7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용접 구조(70)는 밸브 본체(10)에서 매질 배출관(102)으로부터 가까운 일단 상에 밸브 본체(10) 축선(103)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제4 돌기(71)를 포함한다. 매질 배출관(102)과 제4 돌기(71)는 서로 접촉되며, 매질 배출관(102)과 제4 돌기(71)의 접촉면은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에 용접 물질을 채워야 하는 용접 이음(109)이다.
밸브 본체(10) 상에 제4 돌기(71)를 설치함으로써, 용접 이음(109)의 형성 위치가 용접 링(108) 및 밸브 본체(10) 접촉 단면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용접 링(108)의 중심과 용접 이음(109)은 공면(coplane)일 수 있다. 용접 링(108)의 중심과 용접 이음(109) 사이의 공면은 평평하게 가지런하여 용접 링(108)이 용접 시 원활하게 용접 이음(109) 내로 유입되어 용접 변형, 용접 탈락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용접 구조(70)는 매질 배출관(102) 상에 설치된 볼록 에지(72)를 더 포함한다. 매질 배출관(102)은 밸브 본체(10)의 축선(103) 방향을 따라 제4 돌기(71)를 연장시켜 볼록 에지(72)를 형성한다. 즉, 매질 배출관(102)의 두께가 제4 돌기(71)의 반경 방향 연장 길이보다 더 크며, 용접 링(108)은 용접 시 용융 상태로 볼록 에지(72)를 따라 용접 이음(109) 내에 진입할 수 있어,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의 용접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용접 구조(70)는 매질 배출관(102)과 밸브 본체(10)가 접촉하는 단면 상에 설치된 제3 챔퍼(73)를 더 포함한다. 제3 챔퍼(73)는 볼록 에지(72) 및 매질 배출관(102)의 외측면을 연결하고, 용접 링(108)은 제3 챔퍼(73)를 통해 밸브 본체(10)와 접촉된다. 제3 챔퍼(73)의 개설로 인해,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에 용접 링(108)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7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은 개방 구조이므로 용접 링(108)을 밸브 본체(10) 및 매질 배출관(102) 상에 고정하기가 더욱 용이하며, 용접 링(108)은 용접 시 용접 이음(109) 내로 진입하기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는 밸브 본체(10) 및 매질 배출관(102) 상에 용접 구조(70)를 설치하여, 용접 링(108)의 중심이 용접 이음(109)과 평평하게 가지런하도록 만들고, 용접 링(108)은 용접 시 용융 상태로 원활하게 용접 이음(109) 내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10)와 매질 배출관(102) 사이의 용접 성형 품질이 개선되고 전자 팽창 밸브(100)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는 압력 균형 채널(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은 상기 입구(10a)의 매질 압력과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내부 압력의 균형을 맞추는 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유체 매질의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고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10a)의 매질 압력에 변화가 생길 경우,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을 통해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내부의 압력을 신속하게 상기 입구의 압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내부에 추가적 부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와 상기 밸브 본체(1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와 상기 밸브 본체(10) 사이를 연통시키는 데 사용되어, 상기 입구(10a)의 유체 매질 압력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 사이의 유체 매질 압력 균형을 맞춘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균형 채널(80)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 개설된다.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은 상기 밸브 캐비티(12)와 상기 가이드 홀(16a) 사이를 연통시켜, 상기 밸브 캐비티(12)와 상기 가이드 홀(16a) 사이의 압력 균형을 맞춘다. 따라서 상기 밸브 포트(11)가 열리면, 유체 매질이 상기 밸브 캐비티(12)로 진입한다. 동시에 일부 유체 매질이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을 거쳐 상기 가이드 홀(16a) 내로 유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16a)과 상기 밸브 캐비티(11) 사이의 압력 균형을 맞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에 대한 유체 매질의 충격을 방지하고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압력이 변할 때,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내부 압력이 빠르게 균형을 이루도록 만들 수 있어 압력차로 인한 추가 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운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균형 채널(80)을 통해 상기 밸브 캐비티(12)와 상기 가이드 홀(16a) 사이의 압력 균형을 맞춘다. 즉, 상기 밸브 캐비티(12)와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내부에서 밸브 캐비티(12)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압력이 균형을 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의 내부 전체가 압력 균형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내에 추가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 균형 홀(80a)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은 상기 밸브 캐비티(12)와 상기 가이드 홀(16a)을 서로 연통시킨다. 따라서 일부 유체 매질은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을 거쳐 상기 가이드 홀(16a) 내로 진입하여 압력 균형의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은 축선을 가지며,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의 축선은 상기 축선(X)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 수직으로 개설되어,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이 유체 매질 유동 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유체 매질 유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의 수는 2개이고, 2개의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은 상기 축선(X)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의 수는 3, 4 등일 수도 있으며,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의 구체적인 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은 원형의 압력 균형 홀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은 다른 형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균형 홀(80a)은 직사각형, 다각형의 압력 균형 홀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30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은 상기 장착 시트(110), 가이드 슬리브(16) 및 상기 너트 슬리브(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10a)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 상기 너트 슬리브(32) 내부 및 상기 슬리브(40) 내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입구(10a)의 유체 매질 압력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 상기 너트 슬리브(32) 내부 및 상기 슬리브(40) 내부 사이의 유체 매질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압력 균형 채널(80)은 제1 균형 채널(81) 및 제2 균형 채널(8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균형 채널(81)은 상기 입구(10a)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내부 및 상기 슬리브(40) 내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2 균형 채널(82)은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와 상기 제1 균형 채널(81)이 연통하도록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균형 채널(81) 및 제2 균형 채널(82)을 통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 상기 너트 슬리브(32) 내부 및 상기 슬리브(40) 내부와 상기 입구 사이를 서로 연통시킨다. 유체 매질이 상기 입구(10a)로부터 유입되면, 유체 매질의 일부가 상기 제1 균형 채널(81)을 거쳐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30) 내부 및 상기 슬리브(4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2 균형 채널(82)을 거쳐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로 유입돼 상기 전자 팽창 밸브(100) 내부 각 지점의 매질 압력이 동일해진다.
상기 제1 균형 채널(81)은 제1 균형 홀(811) 및 제2 균형 홀(8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균형 홀(811)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 개설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와 상기 밸브 캐비티(12) 사이를 연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2 균형 홀(812)은 상기 너트 슬리브(32) 상에 개설되어 상기 슬리브(40) 내부를 상기 너트 슬리브(32) 내부와 연통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밸브 캐비티(12)와 가이드 슬리브(16) 내부, 너트 슬리브(32) 내부 및 슬리브(40) 내부 사이를 서로 연통시켜 압력 균형의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상기 제1 균형 홀(811)은 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축선은 상기 축선(103)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균형 홀(811)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 수직으로 개설되어, 상기 제1 균형 홀(811)이 유체 매질 유동 방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유체 매질 유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노이즈를 제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수는 2개이고, 2개의 상기 제1 균형 홀(811)은 상기 축선(1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상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수는 3, 4 등일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구체적인 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균형 홀(811)은 원형의 압력 균형 홀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균형 홀(811)은 다른 형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예를 들어 직사각형, 다각형 압력 균형 홀일 수 있다.
상기 제2 균형 홀(812)은 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2 균형 홀(812)의 축은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축선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균형 홀(812)의 축선은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축선에 수직이 아닐 수도 있다.
상기 제2 균형 채널(82)은 상기 제3 균형 홀(821)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균형 홀(821)은 상기 연결편(17) 상에 개설된다. 상기 제3 균형 홀(821)은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와 상기 슬리브(4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데 사용되며, 동시에 상기 제3 균형 홀(821)은 상기 스프링(531)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스프링(531)의 일단은 상기 제3 균형 홀(821) 내로 연장 진입된다. 상기 제3 균형 홀(821)을 통해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와 상기 제1 균형 채널(81)을 연통시키고, 상기 입구(10a)의 유체 매질은 상기 제1 균형 채널(81), 제3 균형 채널(821)을 거쳐 상기 장착 시트(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균형 홀(821)은 슬롯 홀이고, 상기 제3 균형 홀(821)은 상기 밸브 본체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개구로 설치된다. 상기 제3 균형 홀(821)의 수는 복수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균형 홀(821)의 수는 2개이고, 2개의 상기 제3 균형 홀(821)은 상기 밸브 본체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균형 채널(82)은 제4 균형 홀(822) 및 제5 균형 홀(8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균형 홀(822)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16)에 개설되고, 제5 균형 홀(823)은 너트 슬리브(32) 상에 개설된다. 상기 제4균형 홀(822)은 상기 제5 균형 홀(823)과 연통되어 상기 제4 균형 홀(822), 상기 제5 균형 홀(823)을 통해 상기 가이드 슬리브(16) 내부와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를 연통시킨다. 여기에서 제4 균형 홀(822) 및 제5 균형 홀(823)을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와 상기 입구(10a) 사이의 매질 압력 균형을 이루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균형 홀(822)은 상기 제2 원기둥 구간(163) 상에 개설되고, 상기 제5 균형 홀(823)은 상기 매칭 구간(321) 상에 개설된다. 상기 제4 균형 홀(822) 및 상기 제5 균형 홀(822)을 통해 상기 장착 홀(111)과 상기 가이드 홀(16a) 사이의 연통을 구현하여, 상기 장착 시트(110) 내부와 상기 제1 균형 채널(81) 사이의 연통을 구현한다.
상기 제4 균형 홀(822)은 축선을 가지며 상기 제5 균형 홀(822)도 축선을 갖는다. 상기 제4 균형 홀(822)의 축선은 상기 제5 균형 홀(822)의 축선과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4 균형 홀(822)의 축선과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축선은 수직으로 설치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균형 홀(822)과 상기 제5 균형 홀(822) 사이가 연통되기만 한다면, 상기 제4 균형 홀(822)의 축선과 상기 제5 균형 홀(822)의 축선도 겹치지 않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4 균형 홀(822)의 축선과 상기 제1 균형 홀(811)의 축선도 수직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표현한 것으로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나, 본 발명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개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35)

  1. 전자 팽창 밸브에 있어서,
    밸브 본체, 밸브 니들 어셈블리,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회전자 어셈블리, 고정자 어셈블리 및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가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자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에 작용하여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의 회전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가 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밸브 본체 상에는 밸브 포트가 개설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의 구동 하에서 상기 밸브 포트를 개폐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밸브 본체에서 상기 밸브 포트로부터 먼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밸브 본체의 장착 캐비티와 억지 끼워맞춤되어 상기 밸브 본체를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의 너트 슬리브와 억지 끼워맞춤되어 상기 스크류 로드의 상기 너트 슬리브를 안내하고, 상기 밸브 본체, 상기 가이드 슬리브, 상기 너트 슬리브의 삼자간 축선이 겹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 상에는 매질 배출관이 연결되고, 유체 매질은 상기 밸브 포트를 통과한 후 상기 매질 배출관으로 유입되어 상기 매질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매질 배출관과 상기 밸브 본체 사이에 노이즈 저감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노이즈 저감 모듈 상에는 노이즈 저감 홀이 개설되고, 상기 노이즈 저감 홀은 상기 밸브 포트에 도킹되고, 상기 노이즈 저감 홀에서 상기 밸브 포트와 도킹되는 일단의 홀 지름이 상기 밸브 포트의 홀 지름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저감 홀은 다단 단차 홀이고, 상기 단차 홀이 상기 밸브 포트로부터 먼 방향을 따라 점차 확장되거나; 상기 노이즈 저감 홀이 상기 밸브 포트로부터 먼 방향을 향해 점차 확장되는 원뿔형 홀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노이즈 저감 홀이 상기 노이즈 저감 모듈의 두 단면을 관통하는 직선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 상에 용접 링 및 제1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용접 링은 상기 매질 배출관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밸브 본체에서 매질 배출관에 가까운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매질 배출관 사이에 용접 이음이 형성되고, 상기 용접 링의 중심은 상기 용접 이음과 평평하게 가지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밸브 니들, 탄성 부재, 베어링 및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니들의 일단은 상기 탄성 부재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밸브 포트에 매칭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은 외륜과 내륜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스크류 로드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개스킷의 일단은 상기 베어링의 외륜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탄성 부재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 상에서 상기 밸브 포트가 설치된 일단은 제1단으로 명명하고, 상기 밸브 본체 상에서 상기 제1단에 대향하는 일단은 제2단으로 명명하고, 상기 밸브 포트는 상기 제2단으로부터 상기 제1단을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개설되는 전자 팽창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포트 상에서 상기 제2단으로부터 가까운 단면에 제1 챔퍼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 포트 상에서 상기 제2단으로부터 먼 단면에는 제2 챔퍼가 설치되는 전자 팽창 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와 접촉하는 벽의 두께가 상기 밸브 본체 반경의 30% 내지 80% 인 전자 팽창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 밸브는 압력 균형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본체 상에 유체 매질이 유입되는 입구가 개설되고, 상기 압력 균형 채널은 상기 입구와 상기 전자 팽창 밸브의 내부를 연통시켜, 상기 입구의 유체 매질 압력이 상기 전자 팽창 밸브 내부의 유체 매질 압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만드는 전자 팽창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 상에 장착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시트는 상기 밸브 본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장착 시트 상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 균형 채널은 상기 입구를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 상기 장착 시트 내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내부 및 상기 슬리브 내부와 연통시켜, 상기 입구의 유체 매질 압력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 상기 장착 시트 내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내부 및 상기 슬리브 내부의 유체 매질 압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만드는 전자 팽창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균형 채널은 제1 균형 채널 및 제2 균형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균형 채널은 상기 입구를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내부 및 상기 슬리브 내부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균형 채널은 상기 장착 시트 내부를 상기 제1 균형 채널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캐비티는 상기 밸브 본체 상에 개설되어 상기 밸브 포트와 연통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 캐비티와 억지 끼워맞춤되고, 상기 밸브 본체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사이에는 잔해물 저장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잔해물 저장 구조는 상기 밸브 본체와 상기 가이드 슬리브 사이의 잔해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팽창 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 상에는 밸브 캐비티, 상기 장착 캐비티 및 통공이 개설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밸브 캐비티와 상기 장착 캐비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에 장착되며 순차적으로 상기 통공, 상기 밸브 캐비티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 포트와 매칭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와 상기 밸브 포트 사이는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밸브 포트에 근접한 일단의 단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제1 원기둥 구간 및 제2 원기둥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은 대향 설치된 제1단 및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기둥 구간과 상기 장착 캐비티 사이는 억지 끼워맞춤되고, 상기 제2 원기둥 구간은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1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과 상기 밸브 포트 사이는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 단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에는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보스는 상기 통공과 매칭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보스와 상기 밸브 포트 사이는 이격 설치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에서 먼 일단 단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에는 제3 원기둥 구간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원기둥 구간은 상기 통공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밸브 캐비티 내로 연장 진입되고, 상기 제3 원기둥 구간과 상기 밸브 포트 사이는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3 원기둥 구간은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에서 먼 일단 단면이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기둥 구간은 계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기둥 구간의 제2단은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 상에는 가이드 홀, 밸브 니들 홀 및 압력 균형 홀이 개설되고, 상기 밸브 니들 홀 및 압력 균형 홀은 상기 가이드 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홀의 축선은 상기 밸브 니들 홀의 축선과 겹치고, 상기 압력 균형 홀의 축선은 상기 밸브 니들 홀의 축선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밸브 니들 슬리브 및 밸브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는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니들의 일단은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 내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 니들 홀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밸브 포트와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는 제1 스프링 시트, 제2 스프링 시트, 탄성 부재, 가이드 시트 및 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시트는 상기 제1 스프링 시트에 맞닿아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프링 시트, 제2 스프링 시트는 상기 밸브 니들 슬리브 내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 시트, 상기 제2 스프링 시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볼은 상기 제2 스프링 시트와 상기 밸브 니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밸브 포트에서 먼 일단이 밸브 본체 축선 방향을 향해 수축되며 제1 장착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 장착 단차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밸브 본체와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밸브 본체는 용접 연결 방식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장착 단차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밸브 본체 사이의 용접 고정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캐비티는 상기 밸브 본체 내에 개설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를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와 상기 장착 캐비티 사이는 억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 내에는 밸브 캐비티가 더 개설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밸브 캐비티와 상기 밸브 포트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전자 팽창 밸브가 폐쇄되면, 상기 밸브 캐비티와 상기 밸브 포트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 상기 회전자 어셈블리 및 상기 슬리브가 동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밸브 포트에서 먼 일단에 연결편이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스크류 로드 어셈블리를 고정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밸브 본체와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저감 홀은 제1홀, 제2홀 및 제3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홀은 상기 밸브 포트와 도킹되고, 상기 제1홀, 제2홀 및 제3홀은 축방향을 따라 서로 관통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제1홀과 상기 제3홀 사이에 개설되고, 상기 제3홀의 직경은 상기 제2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홀의 직경은 상기 제1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 제2홀 및 제3홀은 모두 원형 홀이고 동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저감 홀은 상기 원뿔형 홀과 연통되는 기둥형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형 홀과 상기 원뿔형 홀은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형 홀은 상기 밸브 포트와 도킹되고, 상기 기둥형 홀의 직경은 상기 밸브 포트의 직경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배출관과 상기 밸브 본체 사이는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배출관과 상기 밸브 본체 사이는 용접 방식에 의해 서로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팽창 밸브.
KR1020217037432A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45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3188A KR102668677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7594A KR102484650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17041450A KR20210156352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9A KR20220020403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5A KR102646329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7A KR20220020401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6A KR20220020400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4A KR20220020398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335771.6 2018-08-17
CN201810941619.0 2018-08-17
CN201810943402.3 2018-08-17
CN201821335213.XU CN209042825U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CN201821335275.0 2018-08-17
CN201821337603.0U CN209012453U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
CN201821337584.1 2018-08-17
CN201810942746.2 2018-08-17
CN201821335771.6U CN209042827U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
CN201810943402.3A CN110836271A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CN201810943399.5 2018-08-17
CN201821335289.2 2018-08-17
CN201821337603.0 2018-08-17
CN201821335535.4 2018-08-17
CN201821337584.1U CN209012510U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
CN201810941619.0A CN110836562A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CN201810943399.5A CN110836270B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
CN201821335343.3 2018-08-17
CN201821335343.3U CN209012452U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
CN201810942746.2A CN110836269B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CN201821335275.0U CN209042826U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
CN201821335289 2018-08-17
CN201821335213.X 2018-08-17
CN201821335535.4U CN209012499U (zh) 2018-08-17 2018-08-17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KR2020207000073U KR20210000190U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PCT/CN2018/112852 WO2020034423A1 (zh) 2018-08-17 2018-10-31 无标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73U Division KR20210000190U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188A Division KR102668677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4A Division KR20220020398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9A Division KR20220020403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17041450A Division KR20210156352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7594A Division KR102484650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7A Division KR20220020401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5A Division KR102646329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6A Division KR20220020400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205A KR20210154205A (ko) 2021-12-20
KR102454733B1 true KR102454733B1 (ko) 2022-10-14

Family

ID=69525011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189A KR20220020403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17041450A KR20210156352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6A KR20220020400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7594A KR102484650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4A KR20220020398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5A KR102646329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7A KR20220020401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2020207000073U KR20210000190U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17037432A KR102454733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189A KR20220020403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17041450A KR20210156352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6A KR20220020400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7594A KR102484650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4A KR20220020398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5A KR102646329B1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1020227003187A KR20220020401A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KR2020207000073U KR20210000190U (ko) 2018-08-17 2018-10-31 전자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9) JP7224366B2 (ko)
KR (9) KR20220020403A (ko)
WO (1) WO2020034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403A (ko) * 2018-08-17 2022-02-18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팽창 밸브
WO2021057019A1 (zh) * 2019-09-27 2021-04-0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17029319B (zh) * 2023-10-08 2024-01-09 理文科技(山东)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JP7465405B1 (ja) 2023-10-21 2024-04-10 沖マイクロ技研株式会社 弁体駆動機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817A (ja) * 1999-04-01 2000-10-20 Sankyo Seiki Mfg Co Ltd 流量制御装置
JP2008232276A (ja) * 2007-03-20 2008-10-02 Fuji Koki Corp 電動弁
JP2013164124A (ja) * 2012-02-10 2013-08-22 Saginomiya Seisakusho Inc 膨張弁
JP2016151310A (ja) * 2015-02-17 2016-08-2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17203509A (ja) *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41670C (da) * 1973-08-13 1980-10-20 Danfoss As Termostatisk ekspansionsventil til koeleanlaeg
DE3601817A1 (de) * 1986-01-22 1987-07-23 Egelhof Fa Otto Regelvorrichtung fuer den kaeltemittelzustrom zum verdampfer von kaelteanlagen oder waermepumpen sowie im kaeltemittelstrom angeordnete expansionsventile
JP2551443Y2 (ja) * 1991-01-22 1997-10-22 新電元工業株式会社 ウエット形ソレノイド
JP3150885B2 (ja) * 1995-09-18 2001-03-26 太平洋工業株式会社 制御弁
JP4098397B2 (ja) * 1998-04-30 2008-06-11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流量制御弁
JP4822623B2 (ja) 2000-11-29 2011-11-24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流量制御弁
JP2004122208A (ja) 2002-10-04 2004-04-22 Yokohama Rubber Co Ltd:The 部材のロウ付け方法及びこのロウ付け方法を用いた容器の接続構造
JP4119294B2 (ja) * 2003-04-03 2008-07-16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テップモータとそのステップモータを備えた流量制御弁
JP2005069389A (ja) * 2003-08-26 2005-03-17 Saginomiya Seisakusho Inc 弁装置
JP2005098471A (ja) 2003-08-26 2005-04-14 Saginomiya Seisakusho Inc 弁装置および弁装置の製造方法
CN100510580C (zh) * 2004-12-15 2009-07-08 株式会社鹭宫制作所 电动式控制阀
JP4842692B2 (ja) * 2006-04-21 2011-12-2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アンモニア冷媒冷凍サイクル装置用弁装置およびアンモニア冷媒冷凍サイクル装置
JP4881137B2 (ja) 2006-11-24 2012-02-22 株式会社不二工機 流量制御弁及び冷凍サイクル
JP2008232290A (ja) * 2007-03-20 2008-10-02 Saginomiya Seisakusho Inc ニードル弁及びこのニードル弁を有する冷凍サイクル装置
JP5277721B2 (ja) 2008-03-03 2013-08-28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3145048U (ja) * 2008-07-11 2008-09-2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膨張弁及び冷凍サイクル
CN101737545B (zh) 2008-11-06 2012-08-08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阀及其加工方法
CN102042416B (zh) 2009-10-09 2012-11-2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5130339B2 (ja) * 2010-10-05 2013-01-30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KR101455952B1 (ko) * 2010-10-15 2014-10-28 쯔지앙 산화 컴퍼니 리미티드 전동밸브
CN102454819B (zh) 2010-10-15 2013-03-06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动阀及其止动装置
CN102620024A (zh) * 2011-01-31 2012-08-0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阀座组件制造方法
JP5943549B2 (ja) 2011-02-24 2016-07-05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5643261B2 (ja) 2011-12-07 2014-12-1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雌ネジ部材をインサート成形によって一体化するインサート成形方法
CN102865399B (zh) * 2012-09-11 2015-07-22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JP2014052078A (ja) * 2013-10-24 2014-03-20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
CN203743460U (zh) 2014-01-17 2014-07-30 株式会社鹭宫制作所 阀装置
JP6347444B2 (ja) * 2014-09-12 2018-06-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弁
CN105650337A (zh) * 2014-11-13 2016-06-08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05757313B (zh) * 2014-12-16 2019-02-26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及止动结构
JP6563213B2 (ja) 2015-02-24 2019-08-21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及びその組立方法
CN106151554A (zh) * 2015-04-24 2016-11-23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子膨胀阀、电子膨胀阀的制造方法及制冷剂系统
JP6557921B2 (ja) * 2015-04-27 2019-08-14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電動弁装置および電動弁制御装置
JP6228621B2 (ja) * 2015-04-30 2017-11-0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6585380B2 (ja) * 2015-05-18 2019-10-0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6593102B2 (ja) * 2015-10-28 2019-10-23 浜名湖電装株式会社 電磁弁
JP6355617B2 (ja) * 2015-12-16 2018-07-11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607793B2 (ja) * 2016-01-20 2019-11-20 株式会社不二工機 電気的駆動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289138B (zh) * 2016-04-11 2020-04-07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07304843A (zh) * 2016-04-18 2017-10-3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6527837B2 (ja) * 2016-05-11 2019-06-05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JP2018080803A (ja) * 2016-11-18 2018-05-24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6753789B2 (ja) * 2017-01-25 2020-09-0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WO2018137636A1 (zh) 2017-01-26 2018-08-0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207093877U (zh) * 2017-07-07 2018-03-13 重庆超力高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阀体组件及电子膨胀阀
KR20220020403A (ko) * 2018-08-17 2022-02-18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자 팽창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817A (ja) * 1999-04-01 2000-10-20 Sankyo Seiki Mfg Co Ltd 流量制御装置
JP2008232276A (ja) * 2007-03-20 2008-10-02 Fuji Koki Corp 電動弁
JP2013164124A (ja) * 2012-02-10 2013-08-22 Saginomiya Seisakusho Inc 膨張弁
JP2016151310A (ja) * 2015-02-17 2016-08-2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17203509A (ja) * 2016-05-11 2017-11-1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9813B2 (ja) 2023-10-26
KR20210154205A (ko) 2021-12-20
KR102646329B1 (ko) 2024-03-13
JP7369816B2 (ja) 2023-10-26
JP2021526196A (ja) 2021-09-30
JP2022087187A (ja) 2022-06-09
JP2022075966A (ja) 2022-05-18
JP7448583B2 (ja) 2024-03-12
JP7448580B2 (ja) 2024-03-12
JP2022069562A (ja) 2022-05-11
JP2022075845A (ja) 2022-05-18
KR20220020403A (ko) 2022-02-18
WO2020034423A1 (zh) 2020-02-20
KR20220020402A (ko) 2022-02-18
JP7224366B2 (ja) 2023-02-17
JP7386283B2 (ja) 2023-11-24
JP2022093414A (ja) 2022-06-23
KR20210156352A (ko) 2021-12-24
JP2022079627A (ja) 2022-05-26
KR20210000190U (ko) 2021-01-25
JP2022079592A (ja) 2022-05-26
KR20220020398A (ko) 2022-02-18
KR20220020400A (ko) 2022-02-18
KR20220020399A (ko) 2022-02-18
KR102484650B1 (ko) 2023-01-04
JP7369225B2 (ja) 2023-10-25
JP2022087189A (ja) 2022-06-09
KR20220035273A (ko) 2022-03-21
KR20220020401A (ko) 2022-02-18
JP7439161B2 (ja)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733B1 (ko) 전자 팽창 밸브
JP5395775B2 (ja) 電動弁
KR200496160Y1 (ko) 전자 팽창 밸브
KR20140025598A (ko) 유량조절밸브
US9631850B2 (en) Thermal expansion valve with one-way control function
CN111102366A (zh) 电子膨胀阀
CN107356024A (zh) 电子膨胀阀
KR102668677B1 (ko) 전자 팽창 밸브
KR102498207B1 (ko) 전자 팽창 밸브 및 상기 전자 팽창 밸브를 사용한 공조 시스템
CN111550565B (zh) 电动阀以及具备该电动阀的冷冻循环系统
CN110836562A (zh)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CN110836269B (zh) 电子膨胀阀及使用该电子膨胀阀的空调系统
WO2024021828A1 (zh) 电子膨胀阀及制冷设备
CN113446403A (zh) 一种电子膨胀阀
CN111503290A (zh) 电子膨胀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