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239B1 - 카트 - Google Patents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239B1
KR102406239B1 KR1020210021325A KR20210021325A KR102406239B1 KR 102406239 B1 KR102406239 B1 KR 102406239B1 KR 1020210021325 A KR1020210021325 A KR 1020210021325A KR 20210021325 A KR20210021325 A KR 20210021325A KR 102406239 B1 KR102406239 B1 KR 10240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rame
cart
handl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081A (ko
Inventor
쇼지 후지이
신이치 엔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쇼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도 쇼지
Publication of KR2022005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64Walk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a handle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5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돌봄 필요자의 사용 자세에 맞추어, 무리 없이, 의식하여 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않고, 그 때의 상황에 맞추어 카트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정지·주륜(파킹)시킬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카트는,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가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30)를 갖추고, 핸들 프레임(14)에,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 및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27)가 설치되고, 또한, 후륜 지지 프레임(15)의 타단에 후륜 장착 부재(16)가 고정되어, 후륜 장착 부재(16)에 상기 후륜(18) 및 브레이크 장치(30)가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30)는 파킹 브레이크(32) 및 제동 브레이크(36)로 이루어지고,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와 파킹 브레이크(32) 및 상기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27)와 상기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27)는 각각 브레이크 케이블(C1, C2)에 의해 접속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트{CART}
본 발명은, 카트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다리가 부자유 또는 고령 등으로 하반신이 약하여 타인의 돌봄이 필요한 사람(이하, '돌봄 필요자' 등이라고 함)용의 카트이고, 앞팔 지지대를 갖추고, 이 지지대에 앞팔을 얹어 핸들을 잡고 쇼핑을 즐기면서 보행 훈련 등을 하는 데에 바람직한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앞서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가 슈퍼마켓 등에서 쇼핑을 즐기면서 보행 훈련을 할수 있는 카트를 개발하여, 이미 특허를 취득(하기 특허문헌 1)하고 있다. 이 특허 발명의 카트는, 한 쌍의 전륜과 후륜을 좌우 및 전후에 소정 거리 이간하여 고정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각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이들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후륜측으로 소정 각도(90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시킨 한 쌍의 지주(支柱) 프레임과, 양 지주 프레임 사이에 걸쳐 놓여지며 앞팔 지지대를 마련한 핸들 프레임과, 전륜측으로 돌출된 바스켓대(台)를 구비하며, 각 지주 프레임은, 각 지주 프레임에 중간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부터 세워 마련하고, 앞팔 지지대가 각 후륜의 바로 위를 포함하는 전방 진행 방향에 마련되고, 또한 전륜은 바스켓대의 대략 중심점을 지나서 수하(垂下)하는 가상 수하선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장착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카트에 의하면, 지주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부터 상부로 90도보다 큰 각도가 되도록 경사지게 세워 마련되고, 이것에 의해, 앞팔 지지대를 후륜의 바로 위를 포함하는 진행 방향의 전방에 마련할 수 있으므로, 앞팔 지지대에 앞팔 혹은 팔꿈치를 얹고, 예를 들면 전(全)체중을 실더라도 전륜이 부상하여 카트 및 사람이 후방으로 전도(轉倒)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각 지주 프레임의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하는 것에 의해 바스켓대의 각도를 최적인 각도로 선정할 수 있으므로, 바스켓대에 물건이 실렸을 때에 카트의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진행방향의 전방으로 전도하는 것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이 카트는, 이미 시판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고 있고, 그것에 따라서 많은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요망이 접수되어, 이 요망으로부터 이하의 개량점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이 카트는 지금까지는 대략 돌봄 필요자에 의한 옥내 사용이 주였으나, 정상인이라도 힘들 때에 팔을 걸쳐서 휴식을 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옥외에서도 사용되게 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 사용 장소 및 사용자의 확대에 따라, 돌봄 필요자 및 정상인을 포함하는 많은 고객 유저로부터, 보다 사용성이 좋고 또한 안전하게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종 다양한 요망이 접수되고 있다.
이들 요망 중, 그 하나는, 브레이크 장치의 부설이다. 옥내 사용시에는, 예를 들면 슈퍼마켓 등에서 돌봄 필요자가 쇼핑을 하고 있을 때에, 선반의 진열 상품에 눈을 맞추고 그것을 잡으려고 손을 뻗어, 무의식적으로 카트로부터 손이나 팔꿈치가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바닥면이 경사져 있으면 카트가 마음대로 움직이고, 또한 다른 쇼핑객에 접촉하였을 때에도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깨닫고, 뒤쫓아 따라가서 정지시키려 해도, 몸이 불편한 돌봄 필요자로서는 움직인 카트를 잡는 것은 어렵고, 돌봄 필요자에게 무리를 주게 되며, 이 때문에 카트가 물건이나 사람과 충돌하거나 또는 전도되어, 최악의 경우에는 다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주행 중에 카트로부터 떨어지는 행위는, 돌봄 필요자가, 카트의 움직임 등을 예기하지 못하고, 즉 무의식 내지 부주의로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옥외로 카트의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 보도뿐만 아니라 때로는 차도를 주행하게 되는데, 이들 도로 등은 오르막 내리막 언덕 내지 커브가 많으므로, 급경사의 언덕길에서는 제멋대로 가속, 자주(自走)하여 콘트롤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물건이나 사람 등과의 접촉 내지 충돌이 옥내 사용에 비하여 한층 증대되고, 최악의 경우에는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고객 이용자로부터의 요망은,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가 부주의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카트를 떠났을 때에, 카트가 자동적으로 정지, 즉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정지하여, 물건 등에 접촉 내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장치(A), 또한 급경사 등에서의 가속, 자주(自走), 나아가 물건이나 사람 등과의 접촉 내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속도 제어 및 긴급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 장치(B)의 부설로 집약된다.
그런데, 보행 보조차, 손수래나 쇼핑 카트 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카트'라고도 함)의 카트에 브레이크 장치를 부설하는 것은, 이미 많은 특허 문헌에서 소개되고,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일본특허 제5916932호 공보) 및 특허문헌3(특허제 6495855 호 공보)에는 브레이크 장치를 갖춘 보행 보조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 보행 보조차는, 팔꿈치를 얹고 상반신을 맡기기 위한 앞팔 지지대와, 보행시에 잡는 핸들과, 후륜을 락(lock)시키는 브레이크 유닛과, 브레이크 유닛을 조작하는 핸들 브레이크를 갖추고, 핸들과 핸드 레이크를 일체로 잡고 핸드 브레이크로 후륜을 락시킨 상태에서, 핸들을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차축과 일체로 전륜이 전방으로 진행하여, 단차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보행 보조차에 의하면, 전륜이 단차를 타고 넘는 것이 강제되고, 이를 위한 구조는 간단한 구조로 충분함에 더하여, 단차를 타고 넘는 것은 사용자가 평탄면을 보행 중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4(일본특허공개 제2014-17721호 공보)에는, 좌부(座部)를 구비한 손수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손수레는, 보행차 본체에 좌부를 회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것에 의해서, 좌부의 튀어오름 자세와, 착좌 자세를 좌부의 회동에 의해서 선택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좌부와 브레이크부를 링크 기구를 매개로 하여 접속하고, 좌부가 착좌 자세에 있을 때, 브레이크부의 브레이크 슈가 후륜에 압접되어 후륜이 락 상태가 되고, 좌부를 튀어오름 자세로 했을 때에는, 브레이크 레버를 조작하지 않는 한, 후륜이 락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손수레에 의하면, 핸들부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 조작에 의해서 차륜을 락 상태로 하는 것을 잊는다거나, 브레이크 레버에 의한 브레이크 락 수단이 없더라도, 좌부로의 착석시에 차륜을 확실하게 락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5(일본특허공개 평9-123915호 공보)에는, 브레이크 장치를 갖춘 쇼핑 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쇼핑 카트는, 다리가 조금 불편하거나, 노인이더라도 손수레에 장바구니를 지지시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힘이 든 경우에는 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6(일본특허공개 제2012-170715호 공보)에는, 보호자 내지 승차인이 각각 개별로 조작할 수 있는 제동 장치를 갖춘 휠체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6667086호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 제5916932호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 제6495855호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특허공개 제2014-177219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특허공개 평9-123915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특허공개 제2012-170715호 공보
이하, 상기 특허 문헌 2~6에 개시되어 있는 카트 등에 대하여 고찰한다. 우선, 상기 특허문헌2, 3에 개시되어 있는 보행 보조차는, 모두 브레이크 장치를 갖추고 있으나, 이들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B)에 상당하는 것, 즉 주행 중에 단차를 타고 넘는 것 내지 속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 브레이크 장치에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A)의 기능은 없다. 또한, 특허 문헌 4, 5에 개시되어 있는 손수레 및 카트도 브레이크 장치를 갖추고 있으나, 이 브레이크 장치도 상기 브레이크 장치(B)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A)의 기능은 없다. 게다가, 특허 문헌 6에 개시되어 있는 휠체어도 제동 장치를 갖추고 있으나, 이 제동 장치는 보조자 내지 승차인이 개별로 조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A)의 기능은 없다.
이상으로부터, 특허 문헌 2~6에 개시되어 있는 카트는, 모두 브레이크 장치를 갖추고 있으나, 이들 브레이크 장치는, 모두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가 부주의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카트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카트가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작동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상기 고객 사용자의 요망에 부응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 문헌 1의 카트(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카트)를 베이스로, 그것을 어떻게 개량하면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가 부주의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카트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카트가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작동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마련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검토했다.
그 결과,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카트는, 앞팔 지지대에 팔꿈치를 걸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 앞팔 지지대에 착목(着目)하여, 즉 통상의 사용 형태 내지 자세에 착목하여, 팔꿈치를 대었을 때에 브레이크 기능이 해제되어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그 한편으로 또한, 팔꿈치를 떼었을 때 브레이크가 걸려, 정지 내지 주륜(駐輪)(주차)하도록 한 브레이크 장치를 부설하면, 상기 고객 사용자의 요망에 부응할 수 있다는 것에 상도(想到, 생각이 이름)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른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를 갖추고,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가 부주의 내지 무의식적으로 카트를 떠났을 때에 파킹 브레이크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정지·주륜시켜, 물건 등으로의 접촉 내지 충돌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주행 중에는 제동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스피드 제어 내지 일시 정지시켜,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 장치를 콤팩트화하여 좌우 후륜을 고정한 후륜 장착 부재의 두 갈래 분기 프레임 사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특별한 말림 방지 커버를 마련하지 않고, 해당 두 갈래 분기 프레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옷자락 등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건 재치대(載置臺) 또는 접이 가능한 의자를 마련하고, 쇼핑을 즐기거나 그 도중에 힘들 때에 앉아서 휴식할 수 있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카트는, 주행 방향의 전후 좌우에 각각 소정 간격 떨어지게 고정한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상기 전방 좌우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 좌우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마련된 지주(支柱)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핸들 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핸들 프레임은 바로 앞에 앞팔 지지대를 마련하여, 주행 시에, 상기 앞팔 지지대에 앞팔을 얹을 수 있는 카트로서,
상기 핸들 프레임에,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 및 핸들 브레이크 레버로 작동되는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 후륜 장착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후륜 장착 부재에 상기 후륜 및 브레이크 장치가 고정되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는 상기 파킹 브레이크에, 상기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는 상기 제동 브레이크에, 각각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앞팔을 앞팔 지지대에 재치하여 체중을 실었을 때에, 그 무게로 상기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가 작동하여 상기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주행이 가능하게 되고, 해당 체중 실림이 풀어졌을 때에 상기 파킹 브레이크가 걸려 정지·주차시키고, 또한, 주행 중에는, 상기 핸들 브레이크 레버를 잡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동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카트는, 제1 형태의 카트에서, 상기 후륜 장착 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분기된 두 갈래 분기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두 갈래 분기 프레임의 간극에,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의 카트는, 제1 또는 제2 형태의 카트에서,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의 선단부와 상기 지주 프레임의 근원 부분과의 사이에, 소정 넓이의 스페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는 물건을 싣는 재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의 카트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카트에서,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 사이에, 접이 가능한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의 카트는,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카트에서, 상기 핸들 프레임 내지 상기 지주 프레임 중 어느 일방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고정수단에 의해 쇼핑 바구니를 얹는 바구니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의 카트는,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카트에서,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주 프레임은 일체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 프레임은 상기 지주 프레임에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프레임 및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은 모두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카트는,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장치를 갖추고 있으므로, 보행이 곤란 내지 불안한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의 사용 자세에 맞추어, 무리 없이, 의식해서 핸들 조작 등을 하지 않고, 그 때의 상황에 따라 어떤 상황이라도 카트를 떠났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정지·주륜(파킹)시키고, 또한, 주행 중에는 스피드 제어 내지 일시 정지시켜,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카트는, 후륜 장착 부재는 소정의 간극를 두고 두 갈래로 분기된 두 갈래 분기 프레임을 가지며, 두 갈래 분기 프레임의 간극에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의 장착이 간단하게 되고, 또한, 특별한 커버를 마련하지 않고 두 갈래 분기 프레임에 의해, 사용자의 옷자락 등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의 카트에 의하면, 전륜 지지 프레임과 지주 프레임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재치대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재치대에 물건을 실었을 때에 안정된 상태, 구체적으로는 상부의 바구니 거치대에 싣는 물건보다 무거운 중량물이라도, 가장 안정된 상태로 물건 재치대 상에 실은 물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의 카트는, 지주 프레임과 후륜 지지 프레임 사이를 이용하여, 접이 가능한 의자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는 의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가 힘이 들 때에 앉아서 휴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의 카트는, 바구니 거치대에 쇼핑 바구니를 싣고 쇼핑을 즐기면서 보행 훈련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의 카트는, 바퀴 지지 프레임 및 지주 프레임은 일체 부재로 이루어지며, 또한 핸들 프레임은 지주 프레임에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프레임 및 후륜 지지 프레임은 모두 중공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를 나타내고, 도 1의 1A는 정면도, 도 1의 1B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의 핸들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2의 2A는 우측면도, 도 2의 2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의 앞팔 지지대를 나타내고, 도 3의 3A는 평면도, 도 3의 3B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의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를 나타내고, 도 4의 4A는 정면도, 도 4의 4B는 우측면도, 도 4의 4C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5의 5A는 평면도, 도 5의 5B는 배면도, 도 5의 5C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6의 6A는 평면도, 도 6의 6B는 정면도, 도 6의 6C는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의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를 나타내고, 도 7의 7A는 정면도, 도 7의 7B는 오른쪽 경사진 하부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방의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8의 8A는 정면도, 도 8의 8B는 저면도, 도 8의 8C는 우측면도이다.
도 9도는 도 7의 타방의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9의 9A는 평면도, 도 9의 9B는 저면도, 도 9의 9C는 도 9의 9A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브레이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고, 도 11의 11A는 평면도, 도 11의 11B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암을 나타내고, 도 12의 12A는 정면도, 도 12의 12B는 평면도, 도 12의 12C는 도 12의 12A를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베이스판을 나타내고, 도 13의 13A는 정면도, 도 13의 13B는 도 13의 13A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카트를 나타내고, 도 14의 14A는 정면도, 도 14의 14B는 평면도이다.
도 15의 15A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카트의 정면 부분 확대도, 도 15의 15B는 우측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카트의 의자 다리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16의 16A는 정면도, 도 16의 16B는 평면도, 도 16의 16C는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카트의 받침대를 나타내고, 도 17의 17A는 정면도, 도 17의 17B는 저면도, 도 17의 17C는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카트에 장착한 접는 의자의 접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8의 18A는 정면도, 도 18의 18B는 우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카트를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것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기타의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부 도면에서는, 내부 구조를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투시하여 나타낸 개소가 있다.
(실시 형태 1)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의 개요를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를 나타내고, 도 1의 1A는 정면도, 도 1의 1B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10)는, 주행 방향의 전후 좌우에 각각 소정 간격 떨어뜨려 고정한 한 쌍의 전륜(17) 및 후륜(18)과, 전방 좌우의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지지 프레임(12) 및 해당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 좌우의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프레임(15)과, 전륜 지지 프레임(12)으로부터 상부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마련된 지주(支柱) 프레임(13)과, 지주 프레임(13)으로부터 연장된 핸들 프레임(14)을 갖추고 있다. 이 핸들 프레임(14)은, 바로 앞에 앞팔 지지대(21) 및 그 전방에 핸들 파지부 (14f)가 마련되어 있으며, 카트(10)의 주행시에, 앞팔 지지대(21)에 앞팔을 얹어 체중을 실어서, 핸들 파지부(14f)에 손을 대고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핸들 프레임(14)에는,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 및 핸들 브레이크 레버(29)에 의해 작동되는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륜 지지 프레임(15)의 타단에 후륜 장착 부재(16)가 고정되고, 이 후륜 장착 부재(16)에 후륜(18) 및 브레이크 장치(30)가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30)는 파킹 브레이크(32) 및 제동 브레이크(36)로 이루어지며, 이들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와 파킹 브레이크(32) 및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27)와 제동 브레이크(36)는 각각 브레이크 케이블(C1, C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 1의 카트(10)는, 앞팔을 앞팔 지지대(21)에 재치하여 체중을 실었을 때에, 그 무게로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가 작동하여 파킹 브레이크(32)가 해제되어 주행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이 체중 실림이 풀렸을 때에는 파킹 브레이크(32)가 걸려 카트(10)를 정지·주차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10)의 주행 중에는, 핸들 파지부(14f)와 함께 핸들 브레이크 레버(29)를 잡는 것에 의해서, 제동 브레이크(36)를 작동시켜 제동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의 카트에 의하면, 파킹 브레이크(32) 및 제동 브레이크(36)에 의하여,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가 부주의 내지 무의식적으로 카트로부터 떠났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파킹 브레이크(32)가 작동하여 카트(10)를 정지·주륜시킬 수 있으므로, 물건 등으로의 접촉 내지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카트(10)의 주행 중에는, 제동 브레이크(36)를 조작하여 스피드 제어 내지 일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보행이 곤란 내지 불안한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 자세에 맞추어, 무리 없이, 의식하여 핸들 조작 등을 하지 않고도, 어떤 상황에서도, 돌봄 필요자 등이 카트(10)를 떠났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파킹 브레이크(32)가 작동하여 정지·주륜(파킹)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10)의 주행 중에는, 스피드 제어 내지 일시 정지시킬 수 있어,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도 13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10)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을 설명함과 아울러 다른 특장도 분명하게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카트(1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11)을 설명한다.
본체 브레임(11)은, 전후(17) 및 후륜(18), 그리고 앞팔 지지대(21) 및 브레이크 장치(30)(도 10 참조) 등의 부품을 장착하는 프레임이며, 하부 전방에서 주행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좌우 한 쌍의 전륜(17)을 고정하는 전륜 지지 프레임(12)과, 이 전륜 지지 프레임에서 소정의 각도(둔각)로 경사지게 세워 마련한 지주 프레임(13)과, 이 지주 프레임(13)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핸들 프레임(14) 및 동일 지주 프레임(13)의 근원 부분으로부터 후방 좌우로 연장되어 후륜(18)을 고정하는 후륜 지지 프레임(15)으로 이루어진다.
후륜 지지 암(15)은,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15A, 15B)(도 1의 1B)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지주 프레임(13)의 근원 부분으로부터 후방 좌우로 연장시킬 때에 전륜 지지 프레임(12)의 폭보다 약간 사이를 넓혀 놓았다. 이 구성에 의해, 각 지지 프레임(12, 13)에 결합한 후륜(18)과 전륜(17) 각각의 간격은, 전륜(17) 사이의 폭이 좁고, 후륜(18) 사이의 폭이 넓게 되며, 평면시에서 전륜(18)측을 꼭대기변, 후륜(18)측을 저변으로 하면 등각 사다리꼴 모양이 된다. 이것에 의해, 중심적으로 가장 안정된 형상이 되며, 앞팔 지지대(21)에 전체 체중이 실려지더라도, 강도가 유지되어, 안정성 및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이들 프레임(12~15)은, 전륜 지지 프레임(12)과 지주 프레임(13)과는 일체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핸들 프레임(14)과 지주 프레임(13)과는 높이 조절 가능한 연결 수단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게다가 후륜 지지 프레임(15)은 지주 프레임(13)에 고정되며, 소정 굵기 및 길이의 중공 파이프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프레임 중, 전륜 지지 프레임(12)에 전륜(17)이, 후륜 지지 프레임(15)에 후륜(18) 및 브레이크 장치(30)가, 핸들 프레임(14)에 앞팔 지지대(21)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이들 프레임(12~15)은 개별 부재로 형성되어도 되며, 중공 파이프 등의 재료는 다른 임의의 부재라고 괜찮으나, 금속재 내지 수지재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 프레임(12~15)을 중공 파이프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작이 용이해짐과 아울러 디자인성도 향상된다.
이하, 순서대로, 이들 프레임 구성 및 각 프레임으로의 부품의 장착을 설명한다. 먼저, 동일한 도 1을 참조하여, 전륜 지지 프레임(12)과 그것에 장착하는 부품을 설명한다.
전륜 지지 프레임(12)은, 좌우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부와, 이들 프레임부의 선단(주행 방향)을 연결한 만곡부로 구성되며, 바로 위로부터 본 평면시에서 대략 수평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 전륜 지지 프레임(12)에는, 전륜(17)이 고정되고, 선단의 만곡부와 지주 프레임(13)이 세워 마련되는 만곡부와의 사이, 즉, 평면시에서 대략 수평 U자형 부분을 이용하여, 이 부분에 소정 크기 스페이스 부분을 형성하고, 이 스페이스 부분이 물건을 두는 물건 재치대로 되어 있다.
이 물건 재치대에는, 소정 형상의 물건, 예를 들면, 쇼핑 바구니나 슈트 케이스 등을 얹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물건 재치대 상에 재치된 물품은, 상기의 등각 사다리꼴 모양 부분에 다점(多点) 지지되며, 또한, 후기의 상부의 바구니 거치대(20)에 싣는 것보다 무거운 중량물이더라도, 가장 안정된 상태로 물건 재치대 상의 재치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들 부분의 치수를 예시하면, 전륜 지지 프레임(12) 사이의 간격은 28cm, 전륜 지지 프레임(12)의 선단 만곡부로부터 지주 프레임(13)의 원호를 그리기 시작하는 부분까지의 길이는 25.63cm, 전륜 지지 프레임(12)의 선단 만곡부로부터 전륜(17)의 장착부까지의 거리는 13cm, 파이프의 굵기(직경)는 3cm이다. 또한, 재치물이 대형이 되면 바구니 거치대(19)에 맞닿게 되므로, 이 바구니 거치대(19)는 핸들 프레임(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구니 거치대(19)는 지주 프레임(1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해도 좋다.
이 전륜 지지 프레임(12)에는, 좌우에 한 쌍의 전륜(17)이 고정된다. 이들 전륜(17)은, 각각 소정의 직경 및 폭을 가지며,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부(12A, 12B)(도 1의 1B)에 회전 가능한 고정 지지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들 전륜(17)은, 차축을 가지는 원형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주위에 장착한 고무제의 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륜(7)은 캐스터라고도 칭한다. 이 전륜(17)은, 고정 지지구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커브를 돌거나 방향 전환시킬 때에, 전륜(17)이 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륜 지지 프레임(12)은, 전륜(17)을 장착한 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후술하는 후륜(18)의 차축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 높이의 차이에 의해, 단차 부분에 맞닿았을 때의 전도(前倒)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주 프레임(13)은, 전륜 지지 프레임(12)으로부터 후륜측으로 소정 각도(둔각)로 경사진 상부로 소정 길이 세워 마련한 한 쌍의 대향한 지주 프레임(13A, 13B)(도 1의 1B)과, 이들을 연결살(13)으로 결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지주 프레임(13A, 13B)에 핸들 프레임(14) 및 후륜 지지 프레임(15)이 장착된다.
핸들 프레임(14)은, 양 지주 프레임(13A, 13B)의 선단의 중공 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고, 조절구(調節具)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조절된다. 조절구는, 예를 들면 중공 파이프에 복수개의 조절 홀을 소정 간격으로 마련하고, 이들 홀에 고정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 또는 중공 파이프 직경을 좁혀서 고정한 것이다.
또한, 후륜 지지 암(15)은, 지주 프레임(13)의 근원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전륜 지지 프레임(12)의 폭보다 약간 간격을 넓힌 한 쌍의 후륜 지지 프레임(15A, 15B)(도 1의 1B)을 가지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활형을 이루며, 이들에는 각각 후륜(18)이 고정되고, 또한 브레이크 장치(30)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핸들 프레임(14)을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10)의 핸들 프레임을 나타내고, 도 2A는 우측면도, 도 2B는 정면도이다.
핸들 프레임(14)은,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지주 프레임(13)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결되고,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소정 길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연결·신장부(14a)와, 이들의 연결·신장부로부터 연장되어 후륜(18)측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된 소정 길이의 대향하는 한 쌍의 바구니 장착부(14b)와, 이들 바구니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전륜(17)측으로 되접은 대향하는 한 쌍의 연결부(14c)와, 이들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바구니 장착부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륜(11)측으로 절곡된 대향하는 한 쌍의 앞팔 지지대 장착부(14d)와, 이들의 앞팔 지지대 장착부로부터 전방 주행 방향으로 연장한 연장부(14e)와, 이들 연장부 사이에 걸쳐 놓여진 핸들부 ('핸들 파지부'라고도 함)(14f)를 가지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횡U자형으로 굴곡되어, 일체 부재(중공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14f)는, 앞팔 지지대(19)의 양단부로부터 진행 방향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장착되고 소정 형상으로 만곡된 봉 모양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부(14f)는 손으로 잡아 카트를 조작하는 부분이며, 이 핸들부를 손으로 잡음으로써, 힘을 줄 수 있어 카트를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이 핸들 프레임(14)은, 바구니 장착부(14b)와 앞팔 지지대 장착부(14d)와의 사이에 소정 크기 형상의 손바구니(2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손바구니(20)는, 소물(小物), 예를 들면 지갑, 열쇠 등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상자체이다. 또한, 이 핸들 프레임(14)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횡U자형으로 했지만, 간극을 벌리지 않고 전륜측으로 대략 횡U자형으로 절곡시켜도 된다.
이 핸들 프레임(14)에는, 바구니 거치대(19), 앞팔 지지대(21),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 및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27)가 장착되어 있다. 이 핸들 프레임(14)과 바구니 거치대(19)와의 위치 관계는, 바구니 거치대(19)에 재치한 바구니를 들어올려, 꺼낼 때에, 이 바구니가 핸들 프레임(14)에 충돌하여 꺼내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 방법은, 바구니 거치대의 장착 위치, 각도 등의 조정, 및 프레임의 형상 변경 등으로 행한다.
바구니 거치대(19)는, 핸들 프레임(14)의 연결·신장부(14a)에 착탈 가능하게, 즉, 연결·신장부(14a)에 착탈 가능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은, 바구니 거치대(19)의 돌출 암을 수평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 상부로 경사시키고, 쇼핑 바구니 내의 내용물을 보기 쉽게 하도록 하면 좋다. 이 각도는 중심 이동을 고려하여 10°~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를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올려 놓은 바구니 거치대(19)가 가득 찼을 때, 중심이 후륜(18)측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가 앞팔 지지대에 기대어 의지했을 때나, 특히 단차 부분에 전륜(17)이 맞닿아 접했을 때의 카트(10)의 전도를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도 9를 참조하여, 앞팔 지지대(21),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7) 및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29)를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카트(10)의 앞팔 지지대를 나타내고, 도 3의 3A는 평면도, 도 3의 3B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를 나타내고, 도 4의 4A는 정면도, 도 4의 4B는 우측면도, 도 4의 4C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5의 5A는 평면도, 도 5의 5B는 배면도, 도 5의 5C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6의 6A는 평면도, 도 6의 6B는 정면도, 도 6의 6C는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를 나타내며, 도 7의 7A는 정면도, 도 7의 7B는 오른쪽 경사진 하부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방의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8의 8A는 정면도, 도 8의 8B는 저면도, 도 8의 8C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타방의 힌지 틀을 나타내고, 도 9의 9A는 평면도, 도 9의 9B는 저면도, 도 9의 9C는 도 9의 9A의 정면도이다.
앞팔 지지대(21)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 크기 및 넓이의 표리면(21a, 21b)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표면(21a)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대략 반원형의 돌기부(a, b)가 마련되고, 소정 두께의 대략 직방체로 이루어지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안장 모양을 이루고, 소정 색의 수지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21b)에는,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에 고정하는 나사 홀이 마련되어 있다. 이 앞팔 지지대(21)는, 후륜(18)의 바로 위 내지 전륜(17)측의 위치에 장착된다. 이 위치에 앞팔 지지대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앞팔 지지대에 기대어 의지하더라도, 후륜이 앞팔 지지대의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및 카트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사이드의 돌기부는, 사용자의 팔꿈치 등이 어긋나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단면 역U자형으로 소정 길이의 상부 힌지 틀(23)과, 이 상부 힌지 틀(23)의 역U자 개구(開口)로 끼워지는 U자형 하부 힌지 틀(25)과, 양 상하부 힌지 틀 내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부 힌지 틀(23)의 일단부를 탄성력으로 밀어 올리는 측면에서 볼 때 횡V자형의 암(arm) 스프링(26)을 가지고 있다.
상부 힌지 틀(23)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 폭 및 길이의 장방형 모양의 천장판부(23a)와, 이 천장판부(23a)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수하한 한 쌍의 대향하는 측판부(23b, 23c)를 가지며, 양 측판부 단부 가장자리의 개구는 하부 힌지 틀이 삽입되는 크기로 되고, 단면 역U자형의 U자 홈체로 이루어지고, 금속판재의 절곡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판부(23a) 및 측판부(23b, 23c)에는 장착 홀이 형성되고, 또한 일방의 측판부(23c)의 외측 단부에 아우터 받침(24)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힌지 틀(25)은,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 폭 및 길이의 장방형 모양의 저판부(25a)와, 이 저판부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세워 마련한 한 쌍의 대향하는 측판부(25b, 25c)를 가지며, 양 측판부 단부의 개구는 상부 힌지 틀(23)의 개구 내부에 삽입되는 크기로 되고, 단면 U자형의 U자형 홈체로 이루어지며, 금속판재의 절곡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는, 먼저, 핸들 프레임(14)의 앞팔 지지대 장착부(14d)에 하부 힌지 틀(25)을 장착하고, 이 하부 힌지 틀(25)에 상부 힌지 틀(23)을 씌우고, 내부에 횡V자형 암 스프링(26)을 넣어 지축(支軸) 볼트(26)로 피봇하여 조립한다. 또한, 상부 힌지 틀(23)은 앞팔 지지대(21)의 배면에 고정되고, 또한, 아우터 받침(24)에는 브레이크 케이블(C1)의 와이어(W1)(도 4의 4A)가 고정되어 있다.
이 조립체에 의해, 앞팔 지지대(21)는 지축 볼트(26)를 지점으로 하여, 후단(후륜측)이 상부 힌지 틀(23)을 매개로 하여 횡V자형 암 스프링(26)의 스프링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밀려 올려진다. 이 앞팔 지지대(21)는 소정의 각도로 밀려 올라간 상태가 실시 형태 1인 카트(10)의 불(不)사용 내지 앞팔을 앞팔 지지대에 싣지 않은 상태이며, 파킹 브레이크(32)에서 후륜(18)이 정지되어 있다. 이 각도는 10~20도의 범위가 좋다. 이 각도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앞팔 재치에 지장이 없고, 또한 파킹 브레이크(32)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는, 앞팔 지지대(21)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밀려 올려져 있으므로, 앞팔 지지대(21)에 앞팔을 재치하지 않고, 체중을 싣지 않을 때에는, 암 스프링(26)의 스프링력에 의해 브레이크 케이블(C1)의 브레이크 와이어(W1)가 끌어 올려져, 파킹 브레이크(32)(도 10)가 걸린 상태가 되며, 또한 앞팔을 재치하여 체중을 실었을 때에는 밀려 내려가, 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또한, 파킹 브레이크(32) 는, 정상인 등에게는 사용 불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가 작동하지 않도록 락하여 두는 락 기구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 기구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앞팔 지지대(21)를 하강시켜 그 위치에 유치하는 고정 수단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27)는,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핸들 프레임(14)에 고정되는 힌지 부재(28)와 이것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레버(29)를 가지고 있다. 힌지 부재(28)는, 회전 힌지 틀(28A)과 고정 힌지 틀(28B)로 이루어지며, 회전 힌지 틀(28A)에는 핸들 레버(29) 및 브레이크 케이블(C2)이 장착되고, 또한 고정 힌지 틀(28B)은 핸들 프레임(14)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힌지 틀(28A)은,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 반원 형상을 한 회전판부(28a)와, 이 회전판부의 일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세워 마련한 측판부(28b)를 가지며, 회전판부에는 측판부(28b)측의 중앙에 피봇 홀(28)이 뚫려 있고, 또한 측판부(28b)의 일단측에 장착 홀(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판부(28a)에는 아우터 받침(A1)이 고정되고, 또한 인접한 개소에 브레이크 레버(29)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힌지 틀(28B)은,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 힌지 틀(28A)의 회전판부(28a)의 형상과 동일한 대략 반원 형상을 한 판 모양부(28a')와, 이 판 모양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한 고정부(28b')와, 이 고정부로부터 하부로 절곡한 수하부(28c')를 가지며, 이 수하부의 중앙에 피봇 홀(28)이 형성되고, 해당 피봇 홀은 판 모양부를 관통하고 있다.
이들 조립은, 먼저, 힌지 부재(28)를 조립한다. 그 조립은, 고정 힌지 틀(28B)에 회전 힌지 틀(28A)(도 7의 7B)를 삽입하고, 피봇 홀(28, 28)에 피봇 볼트(28)(도 7의 7B)를 삽입 통과시켜,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 조립체의 고정 힌지 틀(28B)의 고정부(28b')를 핸들 프레임(14)에 납땜 등으로 고정한다. 또한, 회전 힌지 틀(28A)의 회전 범위는 조절 나사(X2)(도 7의 7A)로 조정한다. 또한, 브레이크 케이블(C2)을 고정 힌지 틀(28B)의 아우터 받침(A2)에 장착하고, 브레이크 와이어(W2)를 회전 힌틀(28A)의 아우터 받침(A1)에 장착한다.
이 장착시에, 코일 스프링(35)(도 10)의 스프링 힘으로 회전 힌지 틀(28A)의 고정된 핸들 레버(29)가 위치 「i」에 있도록 조정한다. 또한, 위치「i」는 제동 브레이크(36)(도 10)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이며, 제동은 위치 「ii」, 「iii」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 상태에 따라 제동력이 인가(印加)된다. 이들은 손으로 잡는 정도에 의해 제동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이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27)는, 회전 힌지 틀(28A)에 길게 한 핸들 레버(29)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은 힘으로 제동 브레이크(3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 레버(29)는 위치「i」일 때, 그 앞쪽을 핸들부 (14f)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하고, 핸들부(14f)를 잡은 상태에서 핸들 레버(29)에 손가락이 닿기 쉽도록 하고 있다. 이 위치 관계에서는, 바구니 거치대(19)에 재치한 바구니를 들어올려, 꺼낼 때에, 이 바구니가 핸들 레버(29)에 닿는 경우도 있지만, 바구니가 닿아도 핸들 레버(29)는, 상부로 회전하여, 핸들부(14f)와 대략 동일한 위치 「iii」까지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바구니를 부드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핸들 레버(29)를 위치「i」일 때이더라도 핸들부(14f)보다 후방의 위치가 되도록 형성하고, 바구니 거치대(19)에 재치한 바구니를 들어 올려, 꺼낼 때에, 이 바구니가 핸들 레버(29)에 닿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핸들 프레임(14)의 연장부(14e)를 잡으면서 핸들 레버(29)의 측부를 조작하여 핸들 레버(29)를 위치 「iii」까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륜 지지 프레임(15)을 설명한다. 또한, 도 10은 브레이크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고, 도 11의 11A는 평면도, 도 11의 11B는 저면도이다.
후륜 지지 프레임(15)은,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지주 프레임(13)의 근원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고, 전륜 지지 프레임(12)의 폭보다 약간 간격을 넓혀서 대략 활형으로 만곡시킨 좌우 한 쌍의 프레임(15A, 15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좌우 한 쌍의 프레임(15A, 15B) 사이는 연결살 프레임(15)에 의해 결합되어 양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좌우 한 쌍의 프레임(15A, 15B)은, 각각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한 소정 길이의 상부 프레임부(15a) 및 하부 프레임부(15b)(도 1의 1A)로 형성되고, 도 1의 1A는 일방의 프레임(15A)의 상하 프레임부(15a, 15b)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타방의 프레임(15B)도 프레임(15A)과 동일한 상하 프레임부(15a, 15b)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살 프레임(15)은 프레임(15A 내지 15B)을 구성하는 상하 프레임부(15a, 15b)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이 상하 프레임부(15a, 15b)의 단부에는, 후륜 장착 부재(16)가 결합되며, 이 후륜 장착 부재(16)에 후륜(18) 및 브레이크 장치(30)가 장착되어 있다. 후륜 지지 프레임(15)의 각 프레임(15A, 15B)은, 도 1의 1B에 나타낸 것처럼, 전륜 지지 프레임(12)의 폭보다 약간 간격을 넓히고, 연결살 프레임(15)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륜 지지 프레임(15) 사이의 간격이 전륜 지지 프레임(12) 사이의 간격보다도 넓게 유지되며, 이들 각 프레임(15A, 15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각 카트(10)를 네스팅(nesting)할 때의 스토퍼가 되기도 한다.
후륜 장착 부재(16)는, 도 1의 1A에 나타낸 것처럼, 프레임(15A)의 각 상하 프레임부(15a, 15b)의 단부에 결합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이 부재는, 도 11의 11A에 나타낸 것처럼, 또한 결합부(16a) 및 이 결합부로부터 연장하여 두 갈래로 분기한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도 11의 11A)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일체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5B)도 프레임(15A)과 마찬가지로 결합부(16a), 두 갈래로 분기한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을 가지고 있다.
이하, 각 프레임 관련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후륜 지지 프레임(15) 및 후륜 장착 부재(16)의 관련을 보충 설명한다. 후륜 지지 프레임(15)은,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15A, 15B)(도 1의 1B)로 구성되며, 또한 각 후륜 지지 프레임(15A, 15B)은 각각 상하로 소정의 간극을 둔 상하 프레임부(15a, 15b)(도 1의 1A, 도 10)로 형성되며, 이들 상하 프레임부(15a, 15b)에는 후륜 장착 부재(16)가 결합되어 있다. 이 후륜 장착 부재(16)는, 상하 프레임부(15a, 15b)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6a)와, 이 결합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를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후륜(18) 폭보다 약간 넓음)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도 11의 11A)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c)은, 또한, 결합부(16a)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분기 연장한 상하 분기 프레임부(16, 16)와 이들 상하 분기 프레임부의 양 단부를 연결한 만곡 프레임부(16)를 가지고 있다. 상하 분기 프레임부(161, 162) 및 만곡 프레임부(16)는, 일체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볼 때 횡U자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하 분기 프레임부(161, 162)는, 각각 한 쌍의 프레임(15A, 15B)에 각각 마련된 상부 프레임부(15a) 및 하부 프레임부(15b)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후륜 장착 부재(16), 즉, 상하 분기 프레임부(16, 162) 사이에, 브레이크 장치(30)가 장착되고, 또한 만곡 프레임부(163)에 후륜(18)이 축지(軸支)되어 있다(도 10).
후륜(18)은, 좌우 한 쌍의 차륜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원형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외주위에 장착한 고무제의 타이어로 이루어지고, 각각 소정의 직경 및 폭을 가지며, 대향하는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 사이(도 11의 11A)에서, 만곡 프레임부(16) 사이(도 10)에 차축(18)에 의해 축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도 13을 참조하여, 브레이크 장치(30)를 설명한다. 또한, 도 12는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암을 나타내고, 도 12의 12A는 정면도, 도 12의 12B는 평면도, 도 12의 12C는 도 12의 12A의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베이스판을 나타내며, 도 13의 13A는 정면도, 도 13의 13B는 도 13의 13A의 우측면도이다.
브레이크 장치(30)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파킹 브레이크(32)와 제동 브레이크(36)로 이루어지며, 대향하는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 사이에 있고, 각각의 상부 분기 프레임부(16)와 하부 분기 프레임부(162) 사이의 간극에 장착된다.
파킹 브레이크(32)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파킹 브레이크 작동 암(33)과, 이 작동 암의 일단에 고정된 브레이크 슈(34) 및 코일 스프링(35)을 가지고 있다. 파킹 작동 암(33)은,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 'く'자형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모양의 암부(33a)를 가지며, 이 암부(33a)에는 상측 단부에 브레이크 슈(34)가 고정되고, 이 근방에 지축(支軸) 삽입 통과 홀(33a1) 및 하단에 브레이크 케이블(C1)의 와이어(W1)(도 4)를 장착하는 고정 홀(33a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케이블(C1)은, 내부에 중공 홀을 가진 외피관(外皮管)과 중공 홀 내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한 와이어(W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슈(34)는 교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동 브레이크(36)는,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동 브레이크 작동 암(37)과, 이 작동 암의 하단에 고정된 브레이크 슈(38) 및 코일 스프링(39)을 가지고 있다. 제동 브레이크 작동 암(37)도, 파킹 작동 암(33)과 마찬가지로, 대략 'く'자형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모양의 암으로 이루어지며, 이 암에는 하측 단부에 브레이크 슈(38)가 고정되고, 이 근방에 지축 삽입 통과 홀, 및 하단에 브레이크 케이블(C2)의 와이어(W2)(도 4)를 장착하는 고정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브레이크 부품의 후륜 장착 부재(16)로의 장착은, 먼저,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 사이에서, 각각의 상부 분기 프레임부(16)와 하부 분기 프레임부(162) 사이의 간극에, 후륜(18)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개소에 베이스판(31)을 고정한다. 또한, 베이스판(31)은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장방형 모양의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상체(31a)로 이루어지고, 이 판상체의 상하단에 제동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케이블(C2)을 삽입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파킹 브레이크 작동 암(33)을 대향하는 상부 분기 프레임부(16) 사이에 지축(33)에 의해 피봇 지지하고, 또 제동 브레이크 작동 암(37)을 대향하는 하부 분기 프레임부(162) 사이에 지축(37)에 의해 피봇 지지한다(도 10).
이어서, 파킹 브레이크용의 브레이크 케이블(C1)(도 10)을 베이스판(31)에 고정하고, 내부의 와이어(W1)를, 코일 스프링(35) 내를 삽입 통과시켜, 단부를 작동 암(33)의 고정 홀 (33a)에 고정한다. 또한, 베이스판(31)으로의 브레이크 와이어 케이블(C1)의 고정은 케이블 어저스터(Caj)를 개재(介在 )시켜 장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동 브레이크 케이블(C2)(도 10)도,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C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이스판(31)을 매개로 하여 제동 브레이크(36)에 장착한다. 또한, 각 브레이크 케이블(C1, C2)의 와이어(W1, W2)의 타단은 각각의 작동 암(33, 37)에 고정된다.
그 후, 핸들 프레임(14)에 마련한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와 파킹 브레이크(32) 사이를 브레이크 케이블(C1)에 의해 결합하고, 와이어(W1)의 일단을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 타단을 파킹 브레이크(32)에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27)와 제동 브레이크(36) 사이를 브레이크 케이블(C2)에 의해 결합하고, 와이어(W2)의 일단을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 타단을 파킹 브레이크(32)에 고정한다. 이어서, 양 브레이크 케이블(C1, C2)의 각 와이어(W1, W2)의 길이를 조정하여 각 브레이크를 조절한다. 또한, 도 1, 도 4에서는 양 브레이크 케이블(C1, C2)은 노출되어 있지만, 프레임을 중공 파이프로 구성하였을 때에, 파이프 내를 통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걸리지 않고, 또한, 미관도 좋아진다.
먼저, 파킹 브레이크(32)의 조절은,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22)의 앞팔 지지대(21)가 횡V자형 스프링(26)에 의해 일단이 상부로 밀려 올라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작동 암(33)의 브레이크 슈(34)가 후륜(18)에 강하게 밀려 닿고, 해당 후륜(18)의 회동을 정지시키도록, 브레이크 와이어(W1)의 길이 및 코일 스프링(35)으로 조절한다. 이 조절에 의해, 카트는 소정의 장소에 정지, 즉 파킹 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동 브레이크(36)의 조절은,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27)의 핸들 레버(29)가 「i」의 위치 (도 7)에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 즉, 작동 암(37)의 브레이크 슈(38)가 후륜(18)으로부터 이간(離間)되도록 조절한다. 이 조절에 의해, 카트는 주행시에 제동 내지 일시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실시 형태 1의 카트(10)는, 브레이크 장치로서, 파킹 브레이크(32) 및 제동 브레이크(36)를 갖추고 있으므로,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가 부주의 내지 무의식적으로 카트로부터 떨어졌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파킹 브레이크(32)가 작동하여 카트(10)를 정지·주륜시켜, 물건 등으로의 접촉 내지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에는, 핸들 브레이크 레버(29)에 의해서 제동 브레이크(36)를 조작하여 스피드 제어 내지 일시 정지시킬 수 있고, 안전하고 또한 안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사용은, 돌봄 필요자 등의 사용자의 통상의 사용 형태 내지 자세에서 각각의 브레이크(29, 36)가 작동함으로써, 상술한 고객 사용자의 2가지 요망에 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카트(10)에서는, 파킹 브레이크(32) 및 제동 브레이크(36)를 세트로 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30)의 구성이 콤팩트하게 되고, 또한 후륜 장착 부재(16)로의 장착이 간단하게 되며, 또한, 이 후륜 장착 부재(16)는 후륜 지지 프레임(15)으로의 장착도 쉬워진다. 게다가, 후륜(18) 및 브레이크 장치(30)는, 후륜 장착 부재(16)의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말려 들어감' 방지 커버를 마련하지 않고 두 갈래 분기 프레임(16b, 16c)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옷자락 등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킹 브레이크(32)를 부동(不動)으로 하는 경우에는, 별도 락 기구(도시 생략)를 마련하여 락한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카트(10)는 파킹 브레이크(32) 및 제동 브레이크(36)를 갖춘 것으로 했지만 제동 브레이크(36)를 생략한 것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2)
도 14,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한 카트를 설명한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한 카트를 나타내고, 도 14의 14A는 정면도, 도 14의 14B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15의 15A는 실시 형태 2에 관련한 카트의 정면 부분 확대도, 도 15의 15B는 우측면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브레이크 장치는 생략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 2에 관한 카트는 반드시 브레이크 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카트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원용하기로 하고, 다른 구성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카트(10A)는, 후륜 지지 프레임(15)의 프레임(15A, 15B) 사이에 있고, 상하 프레임부(15a, 15a)(도 1)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연결살(15)(도 15의 15B)을 마련하고, 이 연결살(15)에 접는 의자(40)를 고정한 구성을 가진다. 이 접는 의자(40)는, 대좌(台座)(45)와, 대좌(45)를 받치는 의자 다리 프레임(41)과, 의자 다리 프레임(41)과 대좌(45)를 결합하는 힌지 암(44)(도 14의 14A, 도 15의 15A)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 16~도 18을 참조하여, 접는 의자(40)의 세부의 구성 및 특장을 설명한다.
먼저, 도 16, 도 17을 참조하여, 의자 다리 프레임 및 대좌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관련한 카트의 의자 다리 프레임을 나타내며, 도 16의 16A는 정면도, 도 16의 16B는 평면도, 도 16의 16C는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마찬가지로 카트의 대좌를 나타내고, 도 17의 17A는 정면도, 도 17의 17B는 저면도, 도 17의 17C는 우측면도이다.
의자 다리 프레임(41)은,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소정 길이의 저부(41a)와, 저부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소정 길이 세워 마련한 좌우의 입설부(41b, 41c)를 가지고 있다. 이 좌우의 입설부(41b, 41c)는, 또한 절곡부(b, c)에서, 좌우의 입설부(41b, 41c)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연장부(41b2, 41c2)를 가지고 있으며, 중공 파이프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부(41a)의 길이는 후륜 지지 프레임(15A, 15B)(도 1의 1B)의 간격보다 짧고, 바닥면 내지 지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의자 다리 프레임(41)은, 또한, 절곡부(b, c)에 대좌(44)를 올려 지지하는 대좌 지지 틀(42A, 42B)이 고정되고, 또한 좌우의 연장부(41b, 41c)의 도중에 힌지 암 장착부(Y1) 및 좌우의 연장부(41b, 41c)의 선단에 프레임 장착부(Y2)가 마련되어 있다.
대좌(45)는,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상하면(45a, 45b)이 대략 정방형을 이루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하면(45b)에 한 쌍의 장착구(46a, 46b)가 고정되어 있다. 각 장착구(46a, 46b)에는 힌지 암(44)이 장착된다.
다음으로, 도 14, 도 18을 참조하여, 카트로의 접는 의자의 장착 및 의자의 접힘을 설명한다. 또한,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관련한 카트에 장착한 접는 의자의 접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8의 18A는 정면도, 도 18의 18B는 우측면도이며, 그 중, 도 18의 18A의 부호 I~V는 의자를 접을 때의 이동 위치를 나타내고, 부호 I는 의자를 꺼낸 의자의 사용 상태, 부호 V는 의자 보관 상태로 각각 실선으로 나타내고, 사이의 부호 II~IV의 점선도는 이동 경위를 나타내고 있다.
의자 다리 프레임(41)은, 절곡부(bc)에 대좌 지지 틀(42)을 고정하고, 또한, 좌우의 연장부(41b, 41c)에 마련한 장착부(Y1)와 대좌(45)의 장착구(具)(46a, 46b)와의 사이에 힌지 암(44)을 각각 고정하여, 접는 의자를 조립하고, 이 조립한 접는 의자 부재를 카트(10A)에 장착한다. 이 장착은, 의자 다리 프레임(41)의 좌우 연장부(41b, 41c)를 연결살(15)에 피봇 지지하여 행한다. 조립한 접는 의자 부재는, 유닛화되어 있으므로, 카트(10A)로의 장착 및 분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좌(45)와 앞팔 지지대(21)와의 사이에서, 앞팔 지지대(21)가 등받이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좌(45)를 의자 다리 프레임(41)에 장착할 때에, 앞팔 지지대(21)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가상선(도시 생략)을 수하시켜, 이 수하선이 대좌(45)의 중심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등을 돌려 대좌에 앉았을 때, 등부 내지 머리부 부근이 앞팔 지지대에 맞닿아, 앞팔 지지대가 등받이가 되어 기능한다. 
카트(10A)에 장착된 접는 의자(40)의 보관(접음) 및 인출은, 이하와 같이 행한다. 도 18의 18A는, 실시 형태2의 카트(10A)에서, 접는 의자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의자 다리 프레임(41)을 카트(10A)의 지주 프레임(13)측으로 들어 올리고, 대좌(45)를 'I' 위치로부터 'V'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깊이 보관한다
위치 'V'는, 완전히 보관된 위치이며, 이 위치에서는 대좌(45)는 지주 프레임(13)에 가장 근접하고, 또한, 의자 다리 프레임(41)도 지주 프레임(13) 및 핸들 프레임(14)에 가장 근접한 위치로 이동한 상태로, 접는 의자(40)가 보관되어 있다. 이 보관은, 의자 다리 프레임(41)의 들어 올림 이동에 의하여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출은 의자 다리 프레임(41)을 후륜(18)측으로 인출하여 행한다. 보관 및 인출은 대략 한 손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의자를 보관한 상태에서 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락 기구(도시 생략)를 마련하고 있다. 락 기구는 공지의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연결살(131)에 플라스틱 스프링 클립을 2개소에 고정하고, 연장부(41b2, 41c2)를 탈착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실시 형태 2의 카트(10A)에 의하면, 지주 프레임(13)과 후륜 지지 프레임(15) 사이를 이용하여 접이 가능한 의자가 설치되므로, 접는 의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가 힘이 들 때에 앉아서 휴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카트(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브레이크 장치(30)를 부설하면, 접는 의자 부재의 카트로의 장착 및 분리 그리고 보관(접음) 및 인출시에 카트는 주륜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의자 사용시의 착좌도 안전하고, 안심하여 착좌할 수 있게 된다.
10, 10A : 카트 11 : 본체 프레임
12 : 전륜 지지 프레임 13 : 지주 프레임
14 : 핸들 프레임 15 : 후륜 지지 프레임
15A, 15B : 한 쌍 프레임 15a : 상부 프레임부
15b : 하부 프레임부 16 : 후륜 장착 부재
16a : 결합부 16b, 16c : 두 갈래 분기 프레임
16 : 상부 분기 프레임부 162 : 하부 분기 프레임부
163 : 만곡 프레임부 17 : 전륜
18 : 후륜 20 : 브레이크 장치
21 : 앞팔 지지대 22 :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
23 : 상부 힌지 23 : 아우터 받침
25 : 하부 힌지 26 : 암 스프링
27 : 제동 브레이크 작동 부재 28 : 힌지 부재
29 : 핸들 브레이크 레버 30 : 브레이크 장치
31 : 베이스 판 32 : 파킹 브레이크
33 : 파킹 브레이크 작동 암 34, 38 : 브레이크 슈
35, 39 : 코일 스프링 36 : 제동 브레이크
37 : 제동 브레이크 작동 암 40 : 접는 의자
41 : 의자 다리 프레임 44 : 대좌
C1, C2 : 브레이크 케이블 Caj : 케이블 어저스터
W1, W2 : 브레이크 와이어

Claims (6)

  1. 주행 방향의 전후 좌우에 각각 소정 간격 떨어지게 고정한 한 쌍의 전륜 및 후륜과, 전방 좌우의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전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방 좌우의 상기 후륜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마련된 지주(支柱)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핸들 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핸들 프레임은 바로 앞에 앞팔 지지대를 마련하여, 주행 시에, 상기 앞팔 지지대에 앞팔을 얹을 수 있는 카트에서,
    상기 핸들 프레임에,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 및 핸들 브레이크 레버로 작동되는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 후륜 장착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후륜 장착 부재에 상기 후륜 및 브레이크 장치가 고정되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는 상기 파킹 브레이크에, 상기 핸들 브레이크 작동 부재는 상기 제동 브레이크에, 각각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앞팔을 앞팔 지지대에 재치하여 체중을 실었을 때에, 그 무게로 상기 파킹 브레이크 작동 부재가 작동하여 상기 파킹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주행이 가능하게 되고, 해당 체중 실림이 풀어졌을 때에 상기 파킹 브레이크가 걸려 정지·주차시키고, 또한, 주행 중에는, 상기 핸들 브레이크 레버를 잡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동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륜 장착 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 갈래로 분기된 두 갈래 분기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두 갈래 분기 프레임의 간극에, 브레이크 장치를 구성하는 파킹 브레이크 및 제동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의 선단부와 상기 지주 프레임의 근원 부분과의 사이에, 소정 넓이의 스페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스는 물건을 싣는 재치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프레임과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 사이에, 접이 가능한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 내지 상기 지주 프레임 중 어느 일방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고정 수단에 의해 쇼핑 바구니를 얹는 바구니 거치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주 프레임은 일체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 프레임은 상기 지주 프레임에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프레임 및 상기 후륜 지지 프레임은 모두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KR1020210021325A 2020-10-27 2021-02-17 카트 KR102406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9331A JP6853407B1 (ja) 2020-10-27 2020-10-27 カート
JPJP-P-2020-179331 2020-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81A KR20220056081A (ko) 2022-05-04
KR102406239B1 true KR102406239B1 (ko) 2022-06-10

Family

ID=7515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25A KR102406239B1 (ko) 2020-10-27 2021-02-17 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53407B1 (ko)
KR (1) KR102406239B1 (ko)
CN (1) CN1144757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0121B (zh) * 2023-07-14 2024-03-12 广东大洋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异形支架生产加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647A (ja) 2005-07-11 2007-01-25 Kawamura Cycle:Kk ブレーキ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歩行器
JP2008132854A (ja) 2006-11-28 2008-06-12 Nagano:Kk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JP2010089784A (ja) 2009-12-18 2010-04-22 Tetsuo Murayama 手押し走行体用の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32B2 (ja) 1978-03-27 1984-04-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記録方法
JPH09123915A (ja) 1995-11-02 1997-05-13 Junzaburo Kawasaki ショッピングカート
DE19917999B4 (de) * 1999-04-21 2007-01-11 Brand Gülletechnik GmbH Selbsttätig lösende Bremsvorrichtung für ein fahrbares Transportgerät
JP2001163224A (ja) * 1999-12-06 2001-06-19 Osamu Ito 手押しカート
CN201626469U (zh) * 2010-02-05 2010-11-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
JP5759747B2 (ja) 2011-02-23 2015-08-05 株式会社カワムラサイクル 車いす
CN102874294A (zh) * 2011-07-13 2013-01-16 安徽省舒城三乐童车有限责任公司 一种婴儿推车自动刹车系统
JP5832466B2 (ja) 2013-03-15 2015-12-16 株式会社島製作所 手押し車
CN204020957U (zh) * 2014-01-14 2014-12-17 罗依帆 不会溜走的婴儿车
CN203819280U (zh) * 2014-03-27 2014-09-10 黄河科技学院 行李手拉车用折叠椅
JP6667086B2 (ja) 2016-01-13 2020-03-18 株式会社エンドウ商事 カート
JP6495855B2 (ja) 2016-03-18 2019-04-03 株式会社ウェルパートナーズ 歩行補助車
KR101902995B1 (ko) * 2017-02-28 2018-10-02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4647A (ja) 2005-07-11 2007-01-25 Kawamura Cycle:Kk ブレーキ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歩行器
JP2008132854A (ja) 2006-11-28 2008-06-12 Nagano:Kk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JP2010089784A (ja) 2009-12-18 2010-04-22 Tetsuo Murayama 手押し走行体用の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53407B1 (ja) 2021-03-31
JP2022070322A (ja) 2022-05-13
CN114475745A (zh) 2022-05-13
KR20220056081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9709B1 (en) Assembly of nestable wheelchairs and wheelchair for use in such an assembly
JP7238016B2 (ja) 用途に応じて調整可能なハンドル位置を有する歩行器・手押し車
US4765355A (en) Wheeled walking device
US6338493B1 (en) Walker chair
US4510956A (en) Walking aid, particularly for handicapped persons
JP2015514539A (ja) 着座アセンブリを有する歩行器装置
US8584689B2 (en) Physical assistance device configurable into a walker/rollator, seat or transport chair
JPH09507785A (ja) 身体障害者の運搬用あるいは移動補助用の車椅子
US20090152826A1 (en) Cargo cart with hitch for wheeled mobility device
JP6254062B2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KR102406239B1 (ko) 카트
JP2019030629A (ja) 歩行車
GB2464201A (en) Trolley with rear standing platform for child
JP2015058012A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KR20100013891A (ko) 경사면 및 계단의 주행이 용이한 유모차
TWI478837B (zh) 嬰兒車
KR20140096775A (ko) 조립형 보조의자
JPS5849893Y2 (ja) 買物用手押車
JP2003010269A (ja) 歩行車
JPH11253506A (ja) 歩行補助器
TWI583371B (zh) 多功能載具裝置
JP3045056U (ja) 折り畳みベッド
JP2015226668A (ja) 歩行車の制動機構
JP2023138887A (ja) 段差乗り越え用車いす
JP2001087328A (ja) 2輪手押し車式歩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