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995B1 -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 Google Patents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995B1
KR101902995B1 KR1020170026782A KR20170026782A KR101902995B1 KR 101902995 B1 KR101902995 B1 KR 101902995B1 KR 1020170026782 A KR1020170026782 A KR 1020170026782A KR 20170026782 A KR20170026782 A KR 20170026782A KR 101902995 B1 KR101902995 B1 KR 10190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ing
lever
pa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382A (ko
Inventor
한남경
이세희
조미림
이창현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9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제동 방식으로 안전한 이동을 유도하는 워커기구에 있어서: 상부대(11), 하부대(12), 연결대(13)를 지닌 본체(10); 상기 하부대(12)의 주행휠(21)에 제동패드(26)를 구비하는 제동수단; 일측 레버(32)의 작동력을 제동패드(26)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제1제동기(30); 및 타측 레버(42) 작동력을 제동패드(26)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제2제동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고령자나 장애인들이 밀고 이동하는 도중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손이나 발 외에 신체의 동작에 의하여 제동이 발생하여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Safe moving walker device with double brake}
본 발명은 보행 보조용 워커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령자나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용은 물론 재활치료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해마다 고령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화 지수가 높아지면서 보행과 관련한 사고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보행을 보조하는 기구는 하지 근력의 노쇠나 장애를 보완하여 편안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유도하는 유력한 수단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물론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동을 비롯한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보행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0123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6241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프레임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손잡이의 핸드브레이크에서 연장된 케이블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행브레이크;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발로 밟아 구동제어 시키는 제동브레이크; 구성된다. 이에, 제동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안전보행이 될 수 있고, 급경사길이나 돌발적인 제동 필요시에 손쉬운 제동을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브레이크레버를 횡방향으로 길게 구성된 보행기 손잡이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길게 형성하고 브레이크레버의 당김동작에 의해 캠이 회전되도록 하여 브레이크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작성의 용이함에 의해 브레이크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이드브레이크를 더 구성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이중의 브레이크를 적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부가적으로 발이나 손을 사용하는 것은 제동의 신속성이 미흡하고 자칫하면 균형을 잃을 우려가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0123호 "실버보행기" (공개일자 : 2003.10.17.)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6241호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공개일자 : 2010.11.1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령자나 장애인들이 밀고 이동하는 도중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손이나 발 외에 신체의 동작에 의하여 제동이 발생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제동 방식으로 안전한 이동을 유도하는 워커기구에 있어서: 상부대, 하부대, 연결대를 지닌 본체; 상기 하부대의 주행휠에 제동패드를 구비하는 제동수단; 일측 레버의 작동력을 제동패드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제1제동기; 및 타측 레버의 작동력을 제동패드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제2제동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동수단은 연결대의 내부에 제동패드와 연동하는 제동로드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제동기의 레버는 유압실린더를 개재하여 제동로드에 연결되고, 제2제동기의 레버는 제동로드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령자나 장애인들이 밀고 이동하는 도중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손이나 발 외에 신체의 동작에 의하여 제동이 발생하여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커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커기구의 주요부를 종단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커기구의 주요부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워커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중제동 방식으로 안전한 이동을 유도하는 워커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고령이나 장애를 지닌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워커기구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편적인 워커기구와 마찬가지로 이중제동은 손을 이용한 제동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가 상부대(11), 하부대(12), 연결대(13)를 지닌 구조이다. 상부대(11)는 사용자의 손이나 팔을 지지하는 부분이고, 하부대(12)는 다수의 주행휠(21)을 장착한 부분이고, 연결대(13)는 상부대(11)와 하부대(12)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도 1에서 본체(10)는 사용자의 근력으로 밀어서 주행휠(21)로 이동하는 수동식으로 도시되지만 모터를 직간접적으로 사용하여 이동하는 전동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상부대(11) 및 하부대(12)는 공히 전방암과 후방암을 "ㄷ"자로 연결한 구조로 예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동수단이 상기 하부대(12)의 주행휠(21)에 제동패드(26)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도 2에서 제동수단이 주행휠(21)과 림(22)이 중심축(22)을 개재하여 하부대(12)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제동패드(26)는 주행휠(21)의 림(2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동패드(26)의 상하운동에 따라 림(22)과 접촉되며 제동력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동수단은 연결대(13)의 내부에 제동패드(26)와 연동하는 제동로드(25)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제동로드(25)가 가이드부싱(15)을 개재하여 연결대(13)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제동로드(25)의 상단은 연결대(13)에서 노출되어 상부대(11)에 이르고 하단은 절곡되어 제동패드(26)에 연결된다. 제동로드(25)의 하단에 장착되는 스프링(28)은 평상시 제동로드(25)를 상승시켜 제동로드(25)와 림(22)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제동기(30)가 일측 레버(32)의 작동력을 제동패드(26)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제1제동기(30)의 레버(32)는 상부대(11)의 전방암에 링크(34)를 개재하여 전후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가 전방암의 어느 곳을 파지하더라도 제동이 용이하도록 레버(32)의 폭(길이)을 넓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레버(32)를 파지하는 힘이 링크(34)를 통하여 제동로드(25)와 제동패드(26)에 전달되면 주행휠(21)의 제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제동기(40)가 타측 레버(42)의 작동력을 제동패드(26)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제2제동기(40)의 레버(42)는 상부대(11)의 후방암에 힌지축(44)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제동기(40)의 레버(42)는 제1제동기(30)의 레버(32)와 달리 사용자의 손이 아닌 팔(상박)로 누름이 가능하다. 이에 레버(42)는 반원통형 구조를 기반으로 하지만 팔의 누름이 용이하도록 연장되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레버(42)에서 힌지축(44)의 반대측에는 임의적 회동을 구속하도록 스프링(46)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1제동기(30)의 레버(32)는 유압실린더(36)(37)를 개재하여 제동로드(25)에 연결되고, 제2제동기(40)의 레버(42)는 제동로드(25)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제동기(30)의 세부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명확하게 드러나고, 제2제동기(40)의 세부 구성은 도 2를 통하여 명확하게 드러난다.
제1제동기(30)는 레버(32), 링크(34), 일측 유압실린더(36), 유압관(38), 타측 유압실린더(37)를 통하여 제동로드(25)에 연결된다. 링크(34), 유압실린더(36)(37), 유압관(38)은 상부대(11)의 후방암 내부에 수용된다. 일측 유압실린더(36)의 피스톤 단면적은 작고 타측 유압실린더(37)의 피스톤 단면적은 크다. 이에, 작은 힘으로 레버(32)를 파지하여도 증폭된 힘으로 제동로드(25)와 제동패드(26)의 작동을 유발하여 제동이 이루어진다.
제2제동기(40)는 레버(42)의 하측에서 상부대(11) 상으로 노출된 제동로드(25)의 단부와 연결된다. 별도의 부재를 이용한 직접적 연결 외에 접촉을 단속하는 간접적 연결도 무방하다. 이에, 레버(42)가 눌러지면 제동로드(25)가 하강하면서 제동패드(26)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제동기(30)의 타측 유압실린더(37)는 제동로드(25)와 동심상으로 배치하여 연동하도록 연결할 수도 있고, 제동로드(25)와 평행하게 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로드를 이용하여 단속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동수단의 제동패드(26)가 도 2와 반대로 설치된 변형예를 알 수 있다. 이는 제1제동기(30) 또는 제2제동기(40) 중 하나를 작동하면 제동로드(25)가 하강하면서 제동을 해제하는 구조이다. 물론 도 2 및 도 4의 제동패드(26)를 동시에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동로드(25)는 제1제동기(30)에 연결되는 것과 제2제동기(40)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분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워커기구에 의하면 평상시 보행하는 중에 전방의 레버(32)를 사용한 제동이 가능하면서 긴급한 상황에서 레버(32)를 놓거나 약하게 잡더라도 팔로 후방의 레버(42)를 누르면 제동이 가능하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 발명의 본체(10) 상에 가방이나 소지품을 수용하는 선반을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안전한 보행을 위한 야간등, GPS 등을 장착하면 편리함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상부대
12: 하부대 13: 연결대
21: 주행휠 22: 림
23: 중심축 25: 제동로드
26: 제동패드 28: 스프링
30: 제1제동기 32: 레버
34: 링크 36, 37: 유압실린더
38: 유압관 40: 제2제동기
42: 레버 44: 힌지축
46: 스프링

Claims (3)

  1. 이중제동 방식으로 안전한 이동을 유도하는 워커기구에 있어서:
    상부대(11), 하부대(12), 연결대(13)를 지닌 본체(10);
    상기 하부대(12)의 주행휠(21)에 제동패드(26)를 구비하는 제동수단;
    일측 레버(32)의 작동력을 제동패드(26)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제1제동기(30); 및
    타측 레버(42)의 작동력을 제동패드(26)에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제2제동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제동기(30)의 레버(32)는 유압실린더(36)(37)를 개재하여 제동로드(25)에 연결되고, 제2제동기(40)의 레버(42)는 제동로드(25)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연결대(13)의 내부에 제동패드(26)와 연동하는 제동로드(25)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3. 삭제
KR1020170026782A 2017-02-28 2017-02-28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KR10190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82A KR101902995B1 (ko) 2017-02-28 2017-02-28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82A KR101902995B1 (ko) 2017-02-28 2017-02-28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82A KR20180099382A (ko) 2018-09-05
KR101902995B1 true KR101902995B1 (ko) 2018-10-02

Family

ID=6359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782A KR101902995B1 (ko) 2017-02-28 2017-02-28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29A (ko) 2020-11-23 2022-05-3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보조보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6116B1 (en) * 2018-09-24 2023-11-15 Topro Industri AS Wire activated rim brake system for a rollator
KR102155312B1 (ko)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JP6853407B1 (ja) * 2020-10-27 2021-03-31 株式会社エンドウ商事 カ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387A (ja) 2003-08-05 2005-03-03 Nobuaki Ikuta 歩行器つき騎乗車椅子
KR101038104B1 (ko) 2009-07-15 2011-06-01 김성진 수평유지 바와 연동하는 제동기를 구비한 보행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8649A (en) 1996-02-16 1998-02-17 Dayco Products, Inc. Tensioner for a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30123B1 (ko) 1999-03-17 2002-03-28 김영우 양란 심비디움 신품종 아구리 식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387A (ja) 2003-08-05 2005-03-03 Nobuaki Ikuta 歩行器つき騎乗車椅子
KR101038104B1 (ko) 2009-07-15 2011-06-01 김성진 수평유지 바와 연동하는 제동기를 구비한 보행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29A (ko) 2020-11-23 2022-05-3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보조보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82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995B1 (ko)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KR200456241Y1 (ko)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JP5829892B2 (ja) 歩行補助具の制動装置
CN202724206U (zh) 一种助行器
KR101424109B1 (ko) 보행 보조장치
CN202620135U (zh) 多功能康复行走车
KR200330123Y1 (ko) 실버보행기
CN103735391B (zh) 一种偏瘫病人肢体训练学步车
KR101089997B1 (ko) 보행보조기의 제동장치
KR101450590B1 (ko) 보행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훈련 장치
KR101428420B1 (ko) 보행 보조기의 제동장치
US20170042753A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CN201005942Y (zh) 多功能助行车
CN105943261A (zh) 一种旅游用残疾人轮椅
CN212756174U (zh) 一种可协助老人行走的改进型轮椅
CN107640237B (zh) 一种履带式行走机构
CN201135559Y (zh) 可上落楼梯的残疾人电动车
CN212261720U (zh) 一种上下楼梯无障碍轮椅
CN109512591B (zh) 一种以电动平衡车为驱动力的轮椅行车
CN203222078U (zh) 下肢残疾人休闲车
CN210205298U (zh) 一种老年人步行辅助行走设备
KR102663739B1 (ko) 안전휠 및 이를 이용하는 보행보조기
CN112999032B (zh) 一种康复医疗用助行器
CN211434007U (zh) 下肢康复训练用助步车
CN211095379U (zh) 一种安全稳固的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