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123Y1 - 실버보행기 - Google Patents

실버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123Y1
KR200330123Y1 KR20-2003-0021700U KR20030021700U KR200330123Y1 KR 200330123 Y1 KR200330123 Y1 KR 200330123Y1 KR 20030021700 U KR20030021700 U KR 20030021700U KR 200330123 Y1 KR200330123 Y1 KR 200330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brake
walker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복남
Original Assignee
한복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복남 filed Critical 한복남
Priority to KR20-2003-0021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1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약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실버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륜바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중단부에 힌지가 결합되어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어 접철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의자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의자 등받이 배면에 위치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가방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서 후측으로 힌지결합으로 연장형성되어 후륜바퀴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힌지연결로 접철이 보조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핸드브레이크에서 연장된 케이블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행브레이크와;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발로 밟아 구동제어 시키는 제동브레이크로; 구성된 실버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근력이 부족한 노약자가 보행기에 의존하여 보행할 경우, 제동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안전보행이 될 수 있고, 급경사길이나 돌발적인 제동 필요시에 손쉬운 제동을 제공하며, 노약자가 보행중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이동중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가방이 제공되고, 버스나 계단을 이용할 때는 손쉽게 접철하여 부피를 축소시키며, 수취가 간편하도록 손받침이 구비된 실버보행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실버보행기{Devise for walking aid to old or weak man}
본 고안은 노약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실버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륜바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중단부에 힌지가 결합되어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어 접철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의자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의자 등받이 배면에 위치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가방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서 후측으로 힌지결합으로 연장형성되어 후륜바퀴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힌지연결로 접철이 보조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핸드브레이크에서 연장된 케이블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행브레이크와;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발로 밟아 구동제어 시키는 제동브레이크로; 구성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보행시 의지하여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기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물리치료의 보조기구로 이용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은 용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강한 노약자의보행을 보조하는 기구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보행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지지하면서 들어 옮기거나, 바퀴가 구비되어 밀어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보행기의 손으로 보행기의 손잡이를 잡으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수레형이 현재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보행기 경우에는 제동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근력이 부족한 노약자가 종래의 보행기에 의존하여 보행할 경우에는 급경사길에서 제동이 힘들어 오히려 보행의 위험요소로 대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약자가 보행중 휴식을 취할 때, 아무런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여 근처의 의자를 찾지 못한 노약자가 바닥에 앉아 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보행기는 정상인과 달리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약자가 필요한 것이므로, 보행중 휴식에 대하여 충분히 대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보행기는 그러한 수단이 마련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노약자가 보행기를 잡고 이동하면서 따로이 가방을 가지고 다니면서 소지품을 보관하는 것은 극히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보행기는 이를 해소시켜 주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약자가 상기 보행기로 이동시 버스나 계단등을 이용할 때 부피가 크고 무거워, 원거리이동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행기 경우에 제동장치를 마련하여, 근력이 부족한 노약자가 보행기에 의존하여 보행할 경우, 제동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안전보행이 될 수 있는 실버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급경사길이나 돌발적인 제동 필요시에 손쉬운 제동을 제공하는 실버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정상인과 달리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약자가 보행중 휴식을 필요로 할 경우, 앉아서 쉴 수 있는 실버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노약자가 보행기로 이동하면서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가방이 제공되는 실버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노약자가 버스나 계단을 이용할 때는 손쉽게 접철하여 부피를 축소시키고, 수취가 간편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실버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버보행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버보행기의 제동브레이크부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버보행기의 후륜바퀴 측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후륜바퀴에 대한 제동브레이크의 작용을 보여주는 측면구조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해동페달의 구동상태를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5 : 핸드브레이크
16 : 케이블 17 : 주행브레이크
20 : 프레임 20-a : 상단
20-b : 하단 21 : 힌지
25 : 보조프레임 30 : 의자
35 : 손받침 40 : 전륜바퀴
50 : 후륜바퀴 55 : 돌설 기어
60 : 가방 61 : 제동페달
64 : 해제핀 65 : 해제페달
610 : 제1힌지 615 : 제동핀
620 : 제2힌지 630 : 슬라이딩링크
640 : 제3힌지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륜바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중단부에 힌지가 결합되어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어 접철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의자와; 상기 의자 등받이 부분에 가로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접철시 들 수 있도록 안내하는 손받침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며, 의자 등받이 배면에 위치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가방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 일측에서 후측으로 힌지결합으로 연장형성되어 후륜바퀴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힌지연결로 접철이 보조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핸드브레이크에서 연장된 케이블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행브레이크와; 상기 후륜바퀴에 형성되며, 발로 밟아 구동제어 시키는 제동브레이크로; 구성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보행시 의지하여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 보행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전륜바퀴가 형성된 바퀴축 부분이으로 만곡되어 전륜바퀴가 프레임축보다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바퀴축은 프레임의 양단에 각 2륜씩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4개의 전륜바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보행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제동브레이크는 상기 후륜바퀴축 주변부에 형성된 돌설 기어와; 상기 프레임의 후륜바퀴측 양단에 제1힌지로 연결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밟으면 제1힌지에 의한 지레작용으로 제1힌지 반대측 단부인 제동핀이 상기 돌설 기어로 삽입되는형의 제동페달과; 상기 제동페달의 제1힌지 상측에서 프레임에 고정된 제2힌지로 결합되고 제2힌지 일측으로 페달이 형성된 해제페달과; 상기 해제페달의 제2힌지 타측과 일측이 슬라이딩링크로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3힌지로 결합되고, 제3힌지의 타측은 상기 제동페달의 단부와 접촉연결되어, 상기 해제페달을 밟으면, 상기 링크결합에 의해 힘이 전달되어 상기 돌설기어로 삽입된 제동페달의 제동핀을 밀어내는 해제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보행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버보행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버보행기의 제동브레이크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버보행기의 후륜바퀴 측면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후륜바퀴에 대한 제동브레이크의 작용을 보여주는 측면구조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해동페달의 구동상태를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프레임(20)과 손잡이(10)와 의자(30)와 가방(60)과 보조프레임(25)과 주행브레이크(17)와 제동브레이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동브레이크는 돌설 기어(55)와 제동페달(61) 및 해제페달(65)로 구성된다.
이하 도1과 함께 본 고안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프레임(20)은 전륜바퀴(40)가 형성된 몸체부로서, 상기 전륜바퀴(40)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중단부에 힌지(21)가 결합되어 상단(20-a)과 하단(20-b)으로 구분되어 접철된다.
본 고안의 프레임(20) 크기는 보행자가 의지하여 주행하기 적당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힌지(21)에 의한 접철로 크기를 반으로 접을 수 있어 버스를 타거나 계단을 이동할 때, 소지가 간편해진다.
본 고안의 상기 손받침(35)은 이러한 접철 이동시에 손잡이가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의자(30) 등받이 부분에 가로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0)의 접철시 들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러나 상기 손받침(35)은 프레임(20) 양단을 가로 잇는 바(Bar)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1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단(20-a)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의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상기 손잡이(10)에는 자전거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핸드브레이크(15)가 케이블(16)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드브레이크(15)는 보행자가 본 고안의 실버보행기에 의존하여 보행시, 정지 필요성이 있으면 손으로 브레이크를 구동하여 주행정지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핸드브레이크(15)는 자전거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 하나, 본 고안의 요지가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일시적인 제동이 발생되는 브레이크 전부가 변형실시 가능하다.
본 고안의 상기 의자(30)는 상기 프레임(20)의 하단에 결합되는데, 힌지에 의해 접철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철을 위하여 의자의 저면은 지지프레임(36)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 의자(30)에 의하여 보행자가 보행중 휴식의 필요성이 있을 때, 보행기를 정지시키고, 의자(30)에 안착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보행시에는 주행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의자(30)를 접철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가방(60)은 상기 프레임(20)의 하단(20-b)에 형성되며, 의자(30) 등받이 배면에 위치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된다.
상기 가방은 보행자가 보행기에 의존하여 주행할 경우에 양손이 손잡이를 쥐게 되므로, 소지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된다.
상기 가방(60)은 힌지로 접철되어 열림과 닫힘이 발생되도록 하여, 보관물품이 안전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보조프레임(25)은 상기 프레임(20)의 하단 일측에서 후측으로 힌지결합으로 연장형성되어 후륜바퀴(50)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힌지로 연결된 보조 지지프레임(26)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프레임(25)은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26)을 상방으로 밀어, 펴지도록 안내하고,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26)을 하방으로 당겨 접어지도록 안내한다.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26)에는 상기 프레임의 힌지와 연결되는 바를 형성시켜, 상기 보조프레임(25)을 접을 때 손을 지지 할 수 있게하고, 상기 프레임의 힌지를 잠그는 기능이 겸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주행브레이크(17)는 상기 후륜바퀴(50)에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의 핸드브레이크(15)에서 연장된 케이블(16)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본 고안에는 상기 주행브레이크(17) 외에도 제동브레이크가 별도로 형성된다.
상기 제동브레이크는 상기 후륜바퀴(50)에 형성되며, 발로 밟아 구동제어 시키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행자가 보행중 휴식의 필요성이 있어서 의자를 펼치고 앉아서 쉴 때, 완전한 제동을 제공하여 안전한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하 도 2에서 도6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제동브레이크는 후륜바퀴에 형성된 돌설 기어(55)와 제동페달(61)과 해제페달(65)과 해제핀(64)으로 구성되는데, 자세하게는 상기 돌설 기어(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륜바퀴(50) 축 주변부에 돌설되어 형성된 기어산으로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산에 상기 제동핀(615)이 제동페달(61)의 작용으로 삽입되어 제동을 실시하거나, 상기 해제페달(65)의 작용으로 탈출되어 제동이 해제된다.
상기 제동페달(61)은 상기 프레임(20)의 후륜바퀴(50)측 양단에 제1힌지(610)로 연결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밟으면 제1힌지(610)에 의한 지레작용으로 제1힌지(610) 반대측 단부인 제동핀(615)이 상기 돌설 기어(55)로 삽입되는형의 페달이다.
상기 제동페달(61)은 프레임(20) 간을 연결시키며 제1힌지(610)로 결합됨으로써, 제1힌지(610)를 중심으로 지레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제동페달(61)의 단부 즉, 제동핀(615)이 상기 돌설 기어(55)의 기어산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돌설 기어(55)는 후륜바퀴(50)와 일체로 형성된 돌설부이므로 이에의해 바퀴에는 제동이 성립된다.
본 고안의 상기 해제페달(65)은 상기 제동페달(61)의 제1힌지(610) 상측에서 프레임(20)에 고정된 제2힌지(620)로 결합되고 제2힌지(620) 일측으로 힘을 가하는기준점인 페달이 형성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해제핀(64)은 상기 해제페달(65)의 제2힌지(620) 타측과 일측이 슬라이딩링크(630)로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 제3힌지(640)로 결합되고, 제3힌지(640)의 타측은 상기 제동페달(61)의 제동핀(615)과 접촉연결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페달(65)을 밟으면, 도 6과 같이 상기 링크결합에 의해 힘이 전달되어 상기 돌설 기어(55)로 삽입된 제동페달의 제동핀(615)을 밀어낸다.
한편 상기 프레임(20)은, 전륜바퀴(40)가 형성된 바퀴축 부분이으로 만곡되어 전륜바퀴(40)가 프레임(20) 축보다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바퀴(40) 축은 프레임(20)의 양단에 각 2륜씩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4개의 전륜바퀴(4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적인 균형을 위한 것으로서, 상방에서 손잡이로 힘이 가해질 때, 보행기가 안전하게 균형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상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여, 근력이 부족한 노약자가 보행기에 의존하여보행할 경우, 제동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안전보행이 될 수 있는 실버보행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급경사길이나 돌발적인 제동 필요시에 손쉬운 제동을 제공하는 실버보행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정상인과 달리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약자가 보행중 휴식을 필요로 할 경우, 앉아서 쉴 수 있는 실버보행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노약자가 보행기로 이동하면서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가방이 제공되는 실버보행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노약자가 버스나 계단을 이용할 때는 손쉽게 접철하여 부피를 축소시키고, 수취가 간편하도록 손받침이 구비된 실버보행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전륜바퀴(40)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중단부에 힌지(21)가 결합되어 상단(20-a)과 하단(20-b)으로 구분되어 접철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10)와;
    상기 프레임(20)의 하단에 결합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의자(30)와;
    상기 의자(30) 등받이 부분에 가로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0)의 접철시 들 수 있도록 안내하는 손받침(35)과;
    상기 프레임(20)의 하단(20-b)에 형성되며, 의자(30) 등받이 배면에 위치되고, 힌지에 의해 접철되는 가방(60)과;
    상기 프레임(20)의 하단 일측에서 후측으로 힌지결합으로 연장형성되어 후륜바퀴(50)가 결합되며, 중간부분에 힌지 연결로 접철이 보조되는 보조프레임(25)과;
    상기 후륜바퀴(50)에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0)의 핸드브레이크(15)에서 연장된 케이블(16)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행브레이크(17)와;
    상기 후륜바퀴(50)에 형성되며, 발로 밟아 구동제어 시키는 제동브레이크로;
    구성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보행시 의지하여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 보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전륜바퀴(40)가 형성된 바퀴축 부분이으로 만곡되어 전륜바퀴(40)가 프레임축보다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전륜바퀴는 프레임(20)의 양단에 각 2륜씩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4개의 전륜바퀴(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보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브레이크는
    상기 후륜바퀴(50) 축 주변부에 형성된 돌설 기어(55)와;
    상기 프레임(20)의 후륜바퀴(50)측 양단에 제1힌지(610)로 연결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밟으면 제1힌지(610)에 의한 지레작용으로 제1힌지(610) 반대측 단부인 제동핀(615)이 상기 돌설 기어(55)로 삽입되는형의 제동페달(61)과;
    상기 제동페달(61)의 제1힌지(610) 상측에서 프레임(20)에 고정된 제2힌지(620)로 결합되고 제2힌지(620) 일측으로 페달이 형성된 해제페달(65)과;
    상기 해제페달(65)의 제2힌지(620) 타측과 일측이 슬라이딩링크(630)로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 제3힌지(640)로 결합되고, 제3힌지(640)의 타측은 상기 제동페달(61)의 단부와 접촉연결되어, 상기 해제페달(65)을 밟으면, 상기 힌지결합에 의해 힘이 전달되어 상기 돌설 기어(55)로 삽입된 제동페달(61)의 제동핀(615)을 밀어내는 해제핀(6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보행기.
KR20-2003-0021700U 2003-07-07 2003-07-07 실버보행기 KR200330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00U KR200330123Y1 (ko) 2003-07-07 2003-07-07 실버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700U KR200330123Y1 (ko) 2003-07-07 2003-07-07 실버보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123Y1 true KR200330123Y1 (ko) 2003-10-17

Family

ID=4933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700U KR200330123Y1 (ko) 2003-07-07 2003-07-07 실버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123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23B1 (ko) * 2006-11-01 2008-03-27 이두원 보행보조기
KR100932840B1 (ko) 2008-01-14 2009-12-21 추이치 시노기 보행보조장치
KR101019660B1 (ko) * 2009-12-29 2011-03-07 주식회사 티에스인더스트리 보행 보조기
KR101065523B1 (ko) 2009-09-28 2011-09-19 박지환 실버보행기
KR101066389B1 (ko) 2009-06-10 2011-09-21 이동권 실버카의 제동장치
KR101209830B1 (ko) * 2010-12-02 2012-12-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101216109B1 (ko) 2012-04-05 2012-12-27 (주)올케어코리아 실버 보행차
KR200464354Y1 (ko) * 2012-04-05 2013-01-02 (주)올케어코리아 바아 조절 유닛을 구비하는 실버 보행차
KR200464355Y1 (ko) * 2012-04-05 2013-01-02 (주)올케어코리아 래치 기어 유닛을 구비하는 실버 보행차
KR101224414B1 (ko) * 2011-06-29 2013-01-22 주식회사 삼주유니콘 좌석 브레이크가 구비된 실버카
KR20190087852A (ko)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4륜 실버캐리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23B1 (ko) * 2006-11-01 2008-03-27 이두원 보행보조기
KR100932840B1 (ko) 2008-01-14 2009-12-21 추이치 시노기 보행보조장치
KR101066389B1 (ko) 2009-06-10 2011-09-21 이동권 실버카의 제동장치
KR101065523B1 (ko) 2009-09-28 2011-09-19 박지환 실버보행기
KR101019660B1 (ko) * 2009-12-29 2011-03-07 주식회사 티에스인더스트리 보행 보조기
KR101209830B1 (ko) * 2010-12-02 2012-12-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101224414B1 (ko) * 2011-06-29 2013-01-22 주식회사 삼주유니콘 좌석 브레이크가 구비된 실버카
KR101216109B1 (ko) 2012-04-05 2012-12-27 (주)올케어코리아 실버 보행차
KR200464354Y1 (ko) * 2012-04-05 2013-01-02 (주)올케어코리아 바아 조절 유닛을 구비하는 실버 보행차
KR200464355Y1 (ko) * 2012-04-05 2013-01-02 (주)올케어코리아 래치 기어 유닛을 구비하는 실버 보행차
KR20190087852A (ko)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4륜 실버캐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0123Y1 (ko) 실버보행기
US7540527B2 (en) Mobile support assembly
US9173802B2 (en) Mobile support assembly
KR200456241Y1 (ko)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JP2018500065A (ja) 可動式の歩行・運搬補助器具
US5188138A (en) Walking stick with wheels
JP2015514539A (ja) 着座アセンブリを有する歩行器装置
US8439376B2 (en) Mobile support assembly
KR101192959B1 (ko) 노약자용 실버카트
US20100313924A1 (en) Walker
JP2005087415A (ja) 杖兼用の車椅子
KR200486351Y1 (ko) 보행안정성이 향상된 의자겸용 보행보조장치
JP2004510498A (ja) 車椅子とリクライニングサイクルとのアセンブリ
KR101346836B1 (ko) 접이식 역삼륜 전동 자전거
CA2845521A1 (en) A mobile support assembly
KR101902995B1 (ko) 이중제동 방식의 안전이동 워커기구
CN208823209U (zh) 一种便携轮椅
KR20110107052A (ko) 보행보조차
WO2008103143A1 (en) Mobile support assembly
JP3118971U (ja) 歩行補助用三輪車
CN201005942Y (zh) 多功能助行车
EP2777669A1 (en) A mobile support assembly
CN203902752U (zh) 一种脚踏式折叠三轮车
KR20120002374A (ko) 보행 보조차
KR20220060571A (ko) 전동식 보행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