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959B1 - 노약자용 실버카트 - Google Patents

노약자용 실버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959B1
KR101192959B1 KR1020110058516A KR20110058516A KR101192959B1 KR 101192959 B1 KR101192959 B1 KR 101192959B1 KR 1020110058516 A KR1020110058516 A KR 1020110058516A KR 20110058516 A KR20110058516 A KR 20110058516A KR 101192959 B1 KR101192959 B1 KR 10119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handle
brake
ang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958A (ko
Inventor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서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근 filed Critical 서종근
Priority to KR102011005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9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a handle bar al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2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attached or incorporated article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보행 중 쉴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고 무게중심에 의한 전도의 위험을 제거하며 편리한 휴대를 위해 원터치 폴딩기능과 분리가능한 바구니를 제공하며 실버카의 이동속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부와 사용자가 핸들에 몸을 의지하고 보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무게중심을 이동하기 위하여 핸들의 사용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와 보관 및 휴대 시 손쉽게 접철 할 수 있는 원터치접이부, 물건을 담거나 의자의 지지대로 사용하여 본체에서 분리가 가능한 바구니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부 및 하단전부프레임과 하단후부프레임 및 전륜, 후륜, 의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약자용 실버카트{Silver cart for the old and the weak}
본 발명은 노약자 등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약자용 실버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길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지 않아도 안전하게 멈추어 있으며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노약자용 실버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원터치 접이부를 구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도 실버카트를 접어서 휴대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실버카는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 등이 핸들에 몸을 의지하여 보행하는 중에 힘이 들면 의자에 앉아 쉴 수 있는 의자를 구비한 것을 말한다.
정부의 지원금을 받는 거동불편자가 아닌 일반적인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고가이고 기능이 제한적이어서 현재는 지자체에서 공급하는 중고유모차 등을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야만 무게중심이 안정화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부에 물건을 담지 않은 채 빈 유모차에 사용자의 몸을 의지하게 되면 무게중심이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가 아닌 뒷바퀴보다도 뒤에 위치하여 전도되어 낙상의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휴식을 위한 성인이 앉기에 충분한 공간의 의자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일반적인 실버카(보행보조기)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바, 급격하게 경사진 내리막길 또는 무거운 짐을 싣은 상태에서의 이동시 안전사고의 발생이 예상되며 풋브레이크를 걸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을 무의식중에 놓치게 되면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실버카 또는 휴대용 쇼핑카트를 이용하여 대형 매장 등에서 쇼핑을 할 경우에 물건을 계산하고 자동차에 물건을 싣을 경우에는 다른 종이박스 또는 별도의 시장바구니에 옮겨 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 중 쉴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고 무게중심에 의한 전도의 위험을 제거하며 편리한 휴대를 위해 원터치 폴딩기능과 분리 가능한 바구니를 제공하며 실버카의 이동속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부와 사용자가 핸들에 몸을 의지하고 보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핸들의 사용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와 보관 및 휴대 시 손쉽게 접철 할 수 있는 원터치접이부, 물건을 담거나 의자의 지지대로 사용하여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바구니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부 및 하단전부 프레임과 하단 후부 프레임 및 전륜, 후륜, 의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도조절부에는 각각 좌우 메인프레임의 끝단에 각도조절버턴이 구비되어 있으며 원터치 접이부에는 누름버턴, 접이부핸들, 결합부재 및 바구니부를 밀어올리기 위한 접이부돌기, 회전식프레임과 바퀴측연결대와 조작핸들부측연결대에 겹쳐서 위치하는 걸림쇠, 걸림쇠를 개방하기 위한 누름버턴과 누름버턴을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철시에는 회전식프레임이 리벳-d를 기준으로 회전되어지며 추가적으로 각도조절부의 각도조절버턴을 눌러 메인프레임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속도제어부는 급속하게 이동시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드브레이크, 바퀴의 내측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패드, 실버카트의 이동을 완전히 제한하는 브레이크돌기,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레버, 리턴스프링, 밴드, 브레이크와이어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는 각도조절버턴을 누르게 되면 지지스프링에 의해 지지가 되어 있던 걸림돌기가 하단후부프레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메인프레임을 벗어나게 되어 조작핸들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 시에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원터치 접이부는 프레임내부에 위치한 접이부와이어, 접이부 프레임에 위치한 접이버턴, 접이버턴의 누름에 의해 접이부와이어에 연결되어 당김에 의해 결합부재의 구멍에서 이탈되는 걸림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름버턴을 누르게 되면 연결된 접이부 와이어가 압축되어 고정돌기가 리벳-e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접이부핸들을 벗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를 벗어난 접이부핸들은 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따라서 리벳-b를 바탕으로 젖혀지게 된다.
또한, 누름버턴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접이부핸들을 올리게 되면 결합부재에 위치한 접이부핸들은 원터치접이용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접이부돌기는 바구니부의 하측부살대를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바구니부는 원터치접이부의 하측에 연결 된 회전식프레임의 접이부돌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측부살대-b와 우측부 살대b는 상향으로 젖혀지게 되며 따라서 전면살대는 후면살대방향으로 좁혀지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바구니부의 각 모서리에 토션스프링을 장착하여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실버카트는 뒷바퀴에는 브레이크용 디스크패드와 브레이크돌기가 있으며 조작핸들부에는 속도제어부가 있기
때문에 내리막길에서 안전하다.
또한, 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바구니에서 물건을 내리지 않아도 바구니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속도조절부는 다음과 같은 선택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첫째, 속도조절레버를 1단계에 위치하게 되면, 주행 전에는 브레이크 돌기가 제동판의 다수의 홈부 중 하나에 안착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주행을 하고자 할 경우, 핸드브레이크를 당기면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를 당기게 되고 따라서 브레이크돌기는 제동판의 홈부에서 벗어나게 되어 주행이 가능하다. 상기의 주행모드는 주로 노약자가 급경사부를 지나갈 때 사용하거나 또는 핸드카트로 사용시에 바구니부에 무거우 짐을 싣고 경사길을 내려갈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속도조절레버가 2단계에 위치하게 되면, 주행전에 브레이크 와이어가 소정의 힘으로 당기는 상태가 되어 평상시에 브레이크돌기는 제동판의 홈부에서 벗어나 있으며 핸드브레이크를 당기게 되면 브레이크패드가 후륜내부의 드럼(미도시)부에 부딪히게 뙤어 마찰력에 의해 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속도조절레버를 3단계에 위치하게 되면, 주행전에 브레이크와이어가 더욱더 강하게 당겨지게 되어 브레이크패드가 후륜의 내면과 마찰하게 되어 항상 일정한 제동이 걸려 있게 된다. 따라서 경사길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속도조절레버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서 노약자 및 무거운 짐을 운반 할 시에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경증환자의 경우 몸의 전부를 실버카트의 조작핸들에 의지하여 주행하게 되는데, 조작핸들부가 전륜과 후륜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후륜보다도 뒤쪽에 위치하게 되면 실버카트가 뒤로 젖혀지게 되어 전도의 위험이 있다.
반대로, 핸드카트로 사용 시에는 바구니에 물건을 싣고 다니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전륜과 후륜사이에 위치할 필요 없이 후륜의 뒤쪽에 위치하여야 쉽게 밀고 다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도조절부를 조작함으로서 조작핸들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카트로의 사용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1차 접철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2차 접철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속도 조절부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접이부의 부분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바구니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바구니부의 중간 접철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바구니부의 최종 접철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실버카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카트로의 사용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실버카트는 도 1 및 도2,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부(10)와 사용자가 핸들에 몸을 의지하고 보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무게중심을 이동하기 위하여 핸들의 사용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20)와 보관 및 휴대시 편리하게 접철 할 수 있는 원터치접이부(30), 물건을 다량 담을 수 있는 바구니부(40),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부(50) 및 하단전부프레임(70)과 하단후부프레임(60) 및 전륜(90), 후륜(80), 의자(100)로 구성되어 진다.
특히, 조작핸들부(10)에는 핸드브레이크(12)가 고정바(52)에 의해 핸들대(11) 바로 밑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20)에는 각각 좌우 메인프레임(13)의 끝단에 각도조절버턴(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원터치 접이부(30)에는 누름버턴(31), 접이부핸들, 결합부재(37) 및 바구니부(40)를 밀어올리기 위한 접이부돌기(35), 회전식프레임(33)과 바퀴측 연결대와 조작핸들부측 연결대에 겹쳐서 위치하는 걸림쇠(22), 걸림쇠(22)를 개방하기 위한 누름버턴(31)과 누름버턴(31)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접철을 하게 되는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1차 접철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2차 접철상태의 측면도이다.
도4에서 보는 것과 같이 1차 접철시에는 회전식프레임(33)이 리벳-d(61)를 기준으로 회전되어지며 추가적으로 각도조절부(20)의 각도조절버턴(21)을 눌러 메인프레임(13)을 회동시키면 도5와 같이 높이가 낮은 상태로도 접철이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속도 조절부의 부분사시도이다.
상기 속도조절부(50)는 급속하게 이동시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드브레이크(12), 바퀴의 일측에 접촉하는 브레이크패드(56), 실버카트의 이동을 완전히 제한하는 브레이크돌기(57),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레버(51), 리턴스프링, 밴드(54), 브레이크와이어(14)로 구성되어 있다.
후륜(80)의 내면에는 도6과 같이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 제동판(53)이 바퀴에 고정되어 있으며 속도조절부(50)의 선택모드에 의해 브레이크 와이어(14)를 당김으로서 이동에 의해 제동판(53)에 락기능을 부여하거나 약하게 제동을 건 상태에서 주행하게 된다.
양호하게는 선택모드는 3가지의 선택기능이 있다.
첫째, 속도조절레버(51)를 1단계에 위치하게 되면, 주행전에는 브레이크 돌기(57)가 제동판(53)의 다수의 홈부중 하나에 안착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주행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드브레이크(12)를 당기어서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14)를 당기고 따라서 브레이크돌기(57)는 제동판(53)의 홈부(미도시)에서 벗어나게 되어 주행이 가능하다. 상기의 주행모드는 주로 노약자가 급경사부를 지나갈 때 사용하거나 또는 핸드카트로 사용시에 바구니부(40)에 무거우 짐을 싣고 경사길을 내려갈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속도조절레버(51)가 2단계에 위치하게 되면, 주행전에 브레이크 와이어(14)가 소정의 힘으로 당기는 상태가 되어 평상시에는 브레이크돌기(57)는 제동판(53)의 홈부에서 벗어나 있으며 핸드브레이크(12)를 당기게 되면 브레이크패드(56)가 후륜(80)내부의 일측에 부딪히게 뙤어 마찰력에 의해 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속도조절레버(51)가 3단계에 위치하게 되면, 주행전에 브레이크와이어(14)가 더욱더 강하게 당겨지게 되어 브레이크패드(56)가 후륜(80)의 내면과 마찰하게 되어 항상 일정한 제동이 걸려 있게 된다. 따라서 경사길에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속도조절레버(51)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서 노약자 및 무거운 짐의 운반시에도 안전하게 주행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들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20)를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부(20)의 단면도이다.
상기 각도조절부(20)는 도 7과 같이 각도조절버턴(21)을 누르게 되면 지지스프링(23)에의해 지지되어 있던 걸림쇠가하단후부프레임(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메인프레임(13)을 벗어나게 되어 조작핸들부(1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중경증환자의 경우 몸의 전부를 실버카트의 조작핸들에 의지하여 주행하게 되는데, 조작핸들부(10)가 전륜과 후륜(80)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후륜(80)보다도 뒤쪽에 위치하게 되면 실버카트가 뒤로 젖혀지게 되어 전도의 위험이 있다.
반대로, 핸드카트로 사용시에는 바구니에 물건을 싣고 다니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전륜(90)과 후륜(80)사이에 위치할 필요없이 후륜(80)의 뒤쪽에 위치하여야 쉽게 밀고 다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도조절부(20)를 조작함으로서 조작핸들부(1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접이부의 부분개략도이다.
상기 원터치접이부(30)는 접이부핸들(32)내부에 위치한 접이부와이어(39), 접이부핸들(32)에 위치한 누름버턴(31), 누름버턴(31)의 누름에 의해 접이부와이어(39)에 연결되어 당김에 의해 결합부재(37)의 구멍에서 이탈되는 걸림돌기(38)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8과 같이 누름버턴(31)을 누르게 되면 연결된 접이부 와이어(39)가 압축되어 고정돌기(110)가 리벳-e(12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접이부핸들(32)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재(37)를 벗어난 접이부핸들(32)은 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1에 표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누름버턴(31)을 누른 상태에서 접이부핸들(32)을 올리게 되면 결합부재(37)에 위치한 접이부핸들(32)은 원터치접이용스프링(36)에 의해 자동으로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접이부돌기(35)는 바구니부(40)의 하측부살대-a(46),하측부살대-b(47)를 밀어 올리게 된다.
또한 바구니부(40)는 도9, 도10,도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바구니부(4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바구니부(40)의 중간 접철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바구니부(40)의 최종 접철상태의 평면도이다.
원터치접이부(30)의 하측에 연결 된 회전식프레임(33)의 접이부돌기(35)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면 하측부살대-b(49)와 우측부 살대-b(47)는 상향으로 젖혀지게 되며 따라서 전면살대(42)는 후면살대방향(43)으로 좁혀지게 된다.
양호하게는 바구니를 실버카본체에서 분리하여 휴대하도록 바귀손잡이(41)가 설치되어 있다.
10: 조작핸들부 11: 핸들대
12: 핸드브레이크 13: 메인프레임
14: 브레이크와이어 20: 각도조절부
21: 각도조절버턴 22: 걸림쇠
23: 지지스프링 24: 리벳-a
30: 원터치 접이부 31: 누름버턴
32: 접이부 핸들 33: 회전식 프레임
34: 리벳-b 35: 접이부돌기
36: 원터치접이용스프링 37:결합부재
38:걸림돌기 39. 접이부 와이어
40: 바구니부 41: 바구니 손잡이
42: 전면부 살대 43: 후면부 살대
44: 좌측부살대-a 45: 좌측부 살대-b
46: 우측부살대-a 47: 우측부살대-b
48: 하측부살대-a 49: 하측부살대-b
50: 속도조절부 51: 속도조절레버
52: 고정바 53: 제동판
54: 밴드 55: 리턴스프링
56: 브레이크 패드 57: 브레이크 돌기
58: 리벳-c 60: 하단후부프레임
61: 리벳-d 70: 하단전부프레임
80:후륜 90: 전륜
100: 의자 110: 고정돌기
120: 리벳-e

Claims (4)

  1. 핸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부(10)와 사용자가 핸들에 몸을 의지하고 보행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무게중심을 이동하기 위하여 핸들의 사용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20)와 보관 및 휴대 시 손쉽게 접철 할 수 있는 원터치접이부(30), 물건을 담거나 의자(100)의 지지대로 사용하여 본체에서 분리가 가능한 바구니부(40),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부(50) 및 하단전부프레임(70)과 하단후부프레임(60) 및 전륜, 후륜(80), 의자(100)로 구성되며 각도조절부(20)의 각도조절버턴(21)을 눌러 메인프레임(13)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실버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20)는 각각 좌우 메인프레임(13)의 끝단에 각도조절버턴(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원터치 접이부(30)에는 누름버턴(31), 접이부핸들, 결합부재(37) 및 바구니부(40)를 밀어올리기 위한 접이부돌기(35), 회전식프레임(33)과 걸림쇠, 걸림돌기(38)를 개방하기 위한 누름버턴(31)과 누름버턴(31)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실버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원터치 접이부(30)는 접이부핸들(32)내부에 위치한 접이부와이어(39), 접이부핸들(32)에 위치한 누름버턴(31), 누름버턴(31)의 누름에 의해 접이부와이어(39)에 연결되어 당김에 의해 결합부재(37)의 구멍에서 이탈되는 걸림돌기(3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실버카트
  4. 제 1항에 있어서,
    도조절부(50)는 급속하게 이동시에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드브레이크(12), 바퀴의 일측에 접촉하는 브레이크패드(56), 실버카트의 이동을 완전히 제한하는 브레이크돌기(57),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레버(51), 리턴스프링, 밴드(54), 브레이크와이어(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실버카트
KR1020110058516A 2011-06-16 2011-06-16 노약자용 실버카트 KR10119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16A KR101192959B1 (ko) 2011-06-16 2011-06-16 노약자용 실버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16A KR101192959B1 (ko) 2011-06-16 2011-06-16 노약자용 실버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958A KR20110085958A (ko) 2011-07-27
KR101192959B1 true KR101192959B1 (ko) 2012-10-26

Family

ID=4492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516A KR101192959B1 (ko) 2011-06-16 2011-06-16 노약자용 실버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23B1 (ko)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101400428B1 (ko) 2013-07-01 2014-06-27 오원주 안전 지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253B1 (ko) * 2011-11-09 2013-12-02 주식회사 삼주유니콘 접이식 실버카
US9381132B2 (en) 2013-12-23 2016-07-05 Bdark Holdings Ltd. Walkers and methods of use
KR101861229B1 (ko) * 2017-08-31 2018-05-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용 자동 감속 장치 및 이를 갖는 유모차
CN109498358B (zh) * 2018-12-06 2024-04-09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方便移动的按摩椅
CN109700645A (zh) * 2018-12-24 2019-05-03 台州黄岩羽山综合门诊部 一种基于老年人使用的代步助行车
AU2021204840B1 (en) * 2021-07-11 2022-09-29 Azari, Nicole Nadia MISS Combined four-wheel frame and shopping trolle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KR102464705B1 (ko) * 2021-11-18 2022-11-07 손백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23B1 (ko)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101400428B1 (ko) 2013-07-01 2014-06-27 오원주 안전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958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959B1 (ko) 노약자용 실버카트
JP2018500065A (ja) 可動式の歩行・運搬補助器具
CN107530219B (zh) 具有根据使用可调节手柄位置的助行车-手推车
US8998223B2 (en) Braking system, rollator and transport chair with the same
US20110204600A1 (en) Stroller
KR20010050958A (ko) 보행 보조차
KR102285917B1 (ko) 유모차 부속물, 및 유모차와 그러한 부속물을 포함하는 운송 어셈블리
TWI551502B (zh) Multi-function scooter
JP2005087415A (ja) 杖兼用の車椅子
KR101629385B1 (ko) 카트 및 이에 적용되는 바퀴 제어 시스템
KR200330123Y1 (ko) 실버보행기
JPH09277938A (ja) 手押し車の制動及び停止ロック機構
WO2013052382A1 (en) Improvements in a foldable walking stabilizer device
CN106536321A (zh) 可折叠童车
JP2004230967A (ja) 手押し車
JP5832466B2 (ja) 手押し車
JP2015058012A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KR20040069374A (ko)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JP2965501B2 (ja) 老人用手押車
KR20130074882A (ko) 보행보조차
JP3844450B2 (ja) 運搬台車
JP3123886B2 (ja) 歩行補助車
JP3111185B1 (ja) 操作レバー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軽車両
JP6282453B2 (ja) 車椅子
JP4319509B2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