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882A - 보행보조차 - Google Patents

보행보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882A
KR20130074882A KR1020110142959A KR20110142959A KR20130074882A KR 20130074882 A KR20130074882 A KR 20130074882A KR 1020110142959 A KR1020110142959 A KR 1020110142959A KR 20110142959 A KR20110142959 A KR 20110142959A KR 20130074882 A KR20130074882 A KR 2013007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ain
box
auxiliary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토스
Priority to KR102011014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4882A/ko
Publication of KR2013007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의 보행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을 수납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는 상부에 배치된 핸들 부분; 상기 핸들 부분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는 메인레그; 상기 메인레그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후륜; 및 상기 메인레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후륜들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후방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각각의 상기 메인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보조레그; 상기 보조레그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전륜; 및 상기 보조레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전륜들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전방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 및 상기 메인레그들의 하부와 상기 보조레그들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로 접철이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조화된 상방향 접철식의 박스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보조차 {WALKING ASSISTANT CA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의 보행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을 수납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이다.
실버카(silver car)라 불리우는 보행보조차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의 보행을 돕는 바퀴 달린 보행보조기를 의미한다.
현재, 이러한 보행보조차는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87639호(2003년 11월 14일 공개, 발명의 명칭 "구름 운동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구동 촉진 장치 및 이러한 장치가 제공된 구름 운동 가능한 보행 보조기",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998854호(2010년 12월 1일 등록, 발명의 명칭 "팔 받침대가 구비된 실버카", 특허문헌 2),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5307호 (2003년 11월 27일 등록, 고안의 명칭 "다기능 보행보조기구", 특허문헌 3)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들 특허문헌 중에서,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장애물이 있는 곳을 통과하기에는 용이하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팔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어 시트에 앉을 때 편안함을 주는데는 유리하나, 이들 특허문헌에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핸들 부분과 시트 부분의 높이 조정과 사용자의 키에 따른 무게중심점의 이동에 따라 전륜과 후륜과의 간격 조정 방식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정지, 감속, 주차 등의 조작 방식에 대해서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접철 부재의 도움으로 후륜을 전륜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들 간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후륜이 장착되는 프레임의 회동축이 전륜이 장착되는 프레임의 회동축 아래에 있어 후륜이 전륜 쪽으로 간격 조정될 경우에 핸들 부분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항시 감속 모드와 주차 모드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들 특허문헌들에는 예를 들어 장을 보거나 간소한 형태의 물건을 옮길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되어 있지 않아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에게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87639호 (2003년 11월 14일 공개, 발명의 명칭 "구름 운동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구동 촉진 장치 및 이러한 장치가 제공된 구름 운동 가능한 보행 보조기") 한국등록특허 제10-0998854호(2010년 12월 1일 등록, 발명의 명칭 "팔 받침대가 구비된 실버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5307호 (2003년 11월 27일 등록, 고안의 명칭 "다기능 보행보조기구")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이식 구조를 채택하면서 물건을 수납한 상태로 함께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키에 따라 핸들 부분과 시트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키에 따라 무게 중심점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할 때에는 안전한 주차를 도모하고 경사면을 내려갈 때에는 감속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게 하는 보행보조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된 핸들 부분; 상기 핸들 부분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는 메인레그; 상기 메인레그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후륜; 및 상기 메인레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후륜들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후방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각각의 상기 메인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보조레그; 상기 보조레그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전륜; 및 상기 보조레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전륜들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전방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 및
상기 메인레그들의 하부와 상기 보조레그들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로 접철이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조화된 상방향 접철식의 박스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지지부, 상기 메인레그, 상기 후방링크부재, 상기 보조레그 및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의해 박스 수납 공간이 규정되고, 상기 박스 수납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레그의 수평한 상부에 시트가 배치되며, 상기 박스 수납 공간에 박스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레그의 일부와 상기 보조레그의 일부는 상기 박스의 측면이 이탈되지 않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박스 지지부는, 일측이 보조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방지지부와, 타측이 메인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후방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지지부재와 상기 후방지지부재는 각각 진행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의 진행방향 지지링크부재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진행방향 지지랭크부재들을 가로질러 적어도 2개의 횡방향 지지링크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지지부재가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지지부재의 후방에 위치한 횡방향 지지링크부재와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후방에 위치한 횡방향지지링크부재가 하나 이상의 고정구에 의해 결속되어 회동 중심점을 형성하며,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후방으로는 소정 크기의 누름판이 형성된다.
상기 박스가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보조레그의 후방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후방이탈방지보조링크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핸들 부분과, 상기 메인레그와 상기 보조레그들의 교차점 사이에서 상기 핸들 부분이 전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구가 상기 메인레그에 장착된다. 이러한 각도 조절구는 일측이 하부로 상기 메인레그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로 상기 메인레그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회동축에는 톱니 형상의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에는 스프링과 상기 삽입홈의 형상에 부합하는 톱니 형상의 각도조절부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에 대향되는 각도 조절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의 회동축 주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누름구가 배치되며, 상기 누름구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진 각도 조절부가 해제되게 구성된다.
상기 핸들 부분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레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조작 바아(break operation bar); 상기 브레이크 조작 바아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브레이크 와이어(break wire); 및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후륜과 마찰 접촉 또는 해제되게 하는 브레이크 작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작동부는 상기 후륜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후방링크부재 사이에서 상기 메인레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각각의 작동체와; 각각의 상기 작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후방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작동체의 일단에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작동체의 타단에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후륜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접촉면이 형성된다.
상기 후륜의 내측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방사상 돌기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버; 일단은 상기 수동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가 연결된 작동체와 다른 작동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동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주차 와이어; 및 상기 작동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후륜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정지부;로 이루어진 주차/감속 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차/감속 유닛은, 상기 수동레버의 후퇴 조작 시, 상기 정지부가 상기 인장스프링에 의한 원위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후륜측 방사상 돌기들 사이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수동레버의 중립 조작 시, 상기 정지부가 상기 후륜측 방사상 돌기들 사이에서 해제되게 하고,상기 수동레버의 전진 조작 시, 상기 브레이크 유닛측 작동체의 타단에 형성된 마찰접촉면이 상기 후륜과 마찰접촉 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식 구조를 채택하면서 물건을 수납한 상태로 함께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키에 따라 핸들 부분과 시트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키에 따라 무게 중심점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할 때에는 안전한 주차를 도모하고 경사면을 내려갈 때에는 감속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보조차에서 물품을 담기 위한 박스를 생략한 보행보조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브레이크 작동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보행보조차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행보조차에서 박스 수납 공간으로부터 물품 보관용 박스를 후방으로 꺼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물품 보관용 박스에 물품을 담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를 접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박스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각도 조절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각도 조절구의 작동 과정을 측단면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각도 조절구의 조작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b)에 도시된 각도 조절구가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수동레버의 조작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수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주차/감속 유닛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브레이크 조작 바아의 조작 전 모습과 조작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브레이크 조작 바아가 조작 전과 후일 때의 브레이크 작동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보조차에서 물품을 담기 위한 박스를 생략한 보행보조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브레이크 작동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보행보조차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행보조차에서 박스 수납 공간으로부터 물품 보관용 박스를 후방으로 꺼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물품 보관용 박스에 물품을 담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를 접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박스 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각도 조절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각도 조절구의 작동 과정을 측단면도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각도 조절구의 조작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b)에 도시된 각도 조절구가 각도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수동레버의 조작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수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주차/감속 유닛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브레이크 조작 바아의 조작 전 모습과 조작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브레이크 조작 바아가 조작 전과 후일 때의 브레이크 작동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차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프레임(30) 및 물품 운반용 박스를 수납하기 위한 박스 지지부(9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10)에는 상부에 핸들 부분(12)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 부분(12)의 양단에는 하향으로 각각의 메인레그(10a, 10b)가 나란하게 연결된다. 핸들 부분(12)과 메인레그(10a, 10b)는 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핸들 부분(12)은 사용자의 안락한 파지를 돕기 위해 연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13은 부저를 나타낸다.
각각의 메인레그(10a, 10b)의 하단에는 후륜(14)이 장착된다. 각각의 메인레그(10a, 10b)의 하부에는 후륜들(14)이 상호 이격 및 고정되게 하는 후방링크부재(17)가 장착된다.
상기한 메인프레임(10)에는 보조프레임(30)이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프레임(30)에는 각각이 수평하게 구조화된 평탄한 상부와 상기 평탄한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절곡 연장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보조레그(30a, 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보조레그(30a, 30b)에는 수납되는 박스(B)의 측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경사진 부분(37)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이들 보조레그(30a, 30b)는 각각의 상기 메인레그(10a, 10b)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된다. 이러한 교차 결합 부위는 도면부호 31로 표기되어 있다. 이들 보조레그(30a, 30b)의 하단에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전륜(34)이 장착된다. 이러한 보조레그(30a, 30b) 사이에는 또한 상기 전륜(34)들이 상호 이격 및 고정되게 하는 전방링크부재(36)가 장착된다.
한편,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한 보조프레임(30)의 수평하게 구조화된 평탄한 상부에는 시트(20)가 배치된다. 보조레그(30a, 30b)의 후방으로는 박스의 후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탈방지보조링크부재(38)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후방이탈방지보조링크부재(38)는 도 4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차에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레그(10a, 10b)의 하부와 상기 보조레그(30a, 30b)의 하부 사이에 상부로 접철이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조화된 상방향 접철식의 박스 지지부(9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박스 지지부(90)는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레그(30a, 30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지지부재(90a)와 메인레그(10a, 10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지지부재(90b)로 구성된다.
전방지지부재(90a)와 후방지지부재(90b)는 각각 진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진행방향 지지링크부재(92a, 92b)와 상기 진행방향 지지링크부재(92a, 92b)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횡방향 높이조절링크부재(94a, 94a')(94b, 94b')를 갖는다.
상기 전방지지부재(90a)는 상기 후방지재부재(90b)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지지부재(90a)의 후방에 위치한 횡방향 높이조절링크부재(94a')와 상기 후방지지부재(90b)의 후방에 위치한 횡방향 높이조절링크부재(94b')는 회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정구에 의해 결속되어 회동 중심점을 형성한다. 상기 후방지지부재(90b)의 후방으로는 소정 크기의 누름판(9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박스 지지부재(9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형성된 누름판(91)을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누르게 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회동 중심점을 중심으로 전방지지부재(90a)의 후방과 후방지지부재(90b)의 전방이 위로 향하여 접히게 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박스 지지부(90), 상기 메인레그(10a, 10b), 상기 후방링크부재(17), 상기 보조레그(30a, 30b) 및 상기 전방링크부재(36)에 의해 박스 수납 공간이 규정되고, 상기 박스 수납 공간에 박스가 수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보조레그(30a, 30b)에는 경사진 부분(37)이 형성되어 있어 박스(B)가 옆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규정된 박스 수납 공간의 상부에는 시트(2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시트(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전방과 보조레그(30a, 30b)의 후방 사이에 줄(2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조보행차는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수납 공간에 박스(B)가 수납되고, 그 위에 시트(20)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예를 들어 물품을 수납할 때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를 후방으로 젖힘으로써 개방하게 된다. 이때, 시트(20)의 후방은 누름판(91)에 놓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부분(12)과, 상기 메인레그(10a, 10b)와 상기 보조레그(30a, 30b)의 교차점 사이에서 상기 핸들 부분이 전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구(100)가 상기 메인레그(10a, 10b)에 장착된다.
각각의 상기 각도 조절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하부로 상기 메인레그(10a, 10b)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10) 및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1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로 상기 메인레그(10a, 10b)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110)와 상기 제2결합부(120)의 내측에는 도 8의 (a)와 도 8의 (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삽입홈(112, 122)이 각각 형성된다. 제1결합부(110)에 형성된 삽입홈(112)에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13)과 상기 삽입홈(112)의 형상에 부합하는 톱니 형상의 각도조절부(114)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부(114)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113)에 의해 일부는 제1결합부(110)에 형성된 삽입홈(112)에 걸치고 나머지 일부는 제2결합부(120)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걸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는 도면부호 111로 표기되어 있는 결속도구(111)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한편, 제2결합부(120)에는 복수의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고, 제2결합부(120)의 외측으로부터는 그 관통홀(121)을 관통 삽입된 후, 이의 원위치 동작에 의해 결속되는 스냅 돌기부(116)를 갖는 누름구(115)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누름구(115)에 형성되어 있는 스냅 돌기부(11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한 바와 같은 톱니 형상의 각도조절부(114)에 축방향으로 힘이 전달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도 조절구(100)는 평상시에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각도조절부(114)가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에 형성된 각각의 톱니 형상의 삽입홈(112, 122) 모두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져 이의 회동이 자유롭지 않게 되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구(115)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제2결합부(120)의 삽입홈(122)으로부터 상기 각도조절부(114)가 해제되어 이의 회동이 자유로워지게 되어 원하는 각도로 조절된다.
즉, 도 9의 (a)와 같이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 10의 (a)와 같이 각도 조절구(100)의 각도 변형이 없게 되며, 도 9의 (b)와 같이 누름구(115)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도 10의 (b)와 같이 각도 조절구(100)의 각도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 부분(12)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팔을 보조 핸들(11)에 거치할 수 있어 힘의 분산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차에 적용되어 있는 브레이크 유닛(50)은 특히 도 3에 도시된 같이 브레이크 조작 바아(52), 상기 브레이크 조작 바아(52)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브레이크 와이어(54)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54)의 이동에 따라 상기 후륜(34)과 마찰 접촉 또는 해제되는 브레이크 작동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 조작 바아(52)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부분(12)의 전방에서 메인레그(10a, 10b)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브레이크 와이어(54)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 바아(52)의 하부로 연결된다.
각각의 상기한 브레이크 작동부(60)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륜(34)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35)과 후방링크부재(32) 사이에서 상기 보조레그(30a, 30b)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체(62)와 각각의 상기 작동체(6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66)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조작 바아(52)로부터의 브레이크 와이어(54)는 상기한 브레이크 작동체(62)의 후방 하단에 연결되고, 이의 전방 하단에는 정지부(78)가 형성된다. 정지부(78)에 대해서는 주차/감속 유닛(70)과 함께 후술된다. 한편, 도 3에는 정지부(78)가 후륜(34)의 내측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다수의 방사상 돌기(76) 사이로부터 해제되어 있는 주행 상태의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주차/감속 유닛(70)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작동체(62)의 전방 상단에는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54)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후륜(34)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접촉면(64)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후방링크부재(32)와 상기한 연결부재(66)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조작 바아(52)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한 마찰접촉면(64)이 후륜(34)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해 인장스프링(56)이 설치된다. 이로써, 브레이크 조작 바아(52)의 조작이 해제되는 경우 인장스프링(56)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한 브레이크 작동체(62)가 원위치 복원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차 시에는 완벽한 주차를 돕고, 경사진 내리막길에서는 감속 모드가 설정되게 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의 보다 안전한 주행을 돕기 위하여 주차/감속 유닛(70)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후륜(34)의 내측 중앙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방사상 돌기(76)가 형성되고, 상기한 브레이크 작동체(62)의 후방 하단 중 후륜(34)의 회전축(35)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정지부(78)가 마련된다.
상기 정지부(78)의 조작은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의 메인레그(10b)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버(72)와 일단이 상기 수동레버(72)의 하부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한 브레이크 작동체(62)의 후방 하단에 연결된 주차 와이어(74)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수동레버(72)와 주차 와이어(74)는 상기한 브레이크 와이어(54)가 구비된 반대쪽에 마련된다.
즉, 수동레버(72)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와 연결된 주차 와이어(74)가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인장스프링(56)의 인장력에 의한 복원 또는 상기한 인장스프링(56)의 인장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체(62)의 강제 조작이 이루어져 상기한 정지부(78)가 상기한 방사상 돌기(76) 사이에 삽입되거나 해제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수동레버(72)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 (즉, 상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놓인 경우에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와이어(74)가 느슨해지게 되어 작동체(62)에 미치는 힘이 해제되고, 이때 인장스프링(56)에 의한 원위치 복원력에 의해 작동체(62)의 후방 하단에 마련된 정지부(78)가 후륜의 내측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사상 돌기(76)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주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레버(72)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상태에 놓인 경우에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와이어(74)가 위로 이동하면서 후륜(34)의 방사상 돌기(76)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정지부(78)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방사상 돌기(76) 사이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주행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유닛(50)에 의해 감속 또는 주행 모드가 되는 것이다.
다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레버(72)가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상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놓인 경우에는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와이어(74)가 위로 더 이동하면서 작동체(62)에 전방 상단에 마련된 마찰접촉면(64)이 후륜(34)의 원주면과 접촉을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주행 모드에서 감속 모드로 전환된다. 이는 브레이크 조작 바아(52)를 일정한 힘으로 당기고 있는 것과 같다. 주차/감속 유닛(70)에 의해 감속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가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 핸들 부분(12)의 전방에 마련된 브레이크 조작 바아(52)를 당기지 않은 상태로, 즉, 별도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은 상태로 쉽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게 된다.
다시 주차/감속 유닛(70)의 작동을 염두에 둔 상태에서, 도 3과 함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주차/감속 유닛(70)에 의해 중립 상태, 즉, 주행 모드에 있을 때,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조작 바아(52)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62)에 마련된 정지부(78)가 후륜(34)의 회전축에 마련된 방사상 돌기(76)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주행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조작 바아(52)가 조작되면, 즉, 브레이크 조작 바아(52)가 핸들 부분(12)으로 당겨지게 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와이어(54)가 위로 더 이동하면서 작동체(62)에 전방 상단에 마련된 마찰접촉면(64)이 후륜(34)의 원주면과 접촉을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주행 모드에서 브레이크 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브레이크 와이어(54)는 적어도 상기한 정지부(78)가 방사상 돌기(76) 사이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확보되어야 하며, 브레이크 조작 바아(52)의 조작 반경은 상기한 상태에서 마찰접촉면(64)이 후륜(34)의 원주면에 접촉하여 압박할 수 있을 정도여야 할 것이다. 또한, 주차 와이어(74)와 수동레버(72)에 의한 조작 반경의 범위도 후륜(34)의 방사상 돌기(76)에 정지부(78)가 삽입되는 정도와 마찰접촉면(64)이 적어도 후륜(34)의 원주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10a, 10b : 메인레그
12 : 핸들 부분 14 : 후륜
17 : 후방링크부재 20 : 시트
22 : 고정링 24 : 줄
30 : 보조프레임 31 : 회동축
30a, 30b : 보조레그 32 : 전방링크부재
34 : 전륜
50 : 브레이크 유닛 52 : 브레이크 조작 바아
54 : 브레이크 와이어 56 : 인장스프링
60 : 브레이크 작동부 62 : 작동체
64 : 마찰접촉면 66 : 연결부재
70 : 주차/감속 유닛 72 : 수동레버
74 : 주차 와이어 76 : 방사상 돌기
78 : 정지부 90 : 박스 지지부
90a : 전방지지부재 90b : 후방지지부재
92a, 92b : 진행방향 박스지지링크부재
94a, 94b, 94a', 94b' : 횡방향 박스지지링크부재
100 : 각도 조절구 110 : 제1결합부
113 : 스프링 114 : 각도조절부
115 : 누름구 120 : 제2결합부

Claims (7)

  1. 상부에 배치된 핸들 부분; 상기 핸들 부분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절곡되어 연결되어 있는 메인레그; 상기 메인레그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후륜; 및 상기 메인레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후륜들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후방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각각의 상기 메인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교차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보조레그; 상기 보조레그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전륜; 및 상기 보조레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전륜들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전방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보조프레임; 및
    상기 메인레그들의 하부와 상기 보조레그들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로 접철이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조화된 상방향 접철식의 박스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지지부, 상기 메인레그, 상기 후방링크부재, 상기 보조레그 및 상기 전방링크부재에 의해 박스 수납 공간이 규정되고, 상기 박스 수납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레그의 수평한 상부에 시트가 배치되며, 상기 박스 수납 공간에 박스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 지지부는,
    일측이 보조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방지지부와, 타측이 메인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후방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지지부재와 상기 후방지지부재는 각각 진행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쌍의 진행방향 지지링크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진행방향 지지랭크부재들을 가로질러 적어도 2개의 횡방향 지지링크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전방지지부재가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지지부재의 후방에 위치한 횡방향 지지링크부재와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후방에 위치한 횡방향지지링크부재가 회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정구에 의해 결속되어 회동 중심점을 형성하며, 상기 후방지지부재의 후방으로는 소정 크기의 누름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그의 일부와 상기 보조레그의 일부는 상기 박스의 측면이 이탈되지 않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박스가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보조레그의 후방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후방이탈방지보조링크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과, 상기 메인레그와 상기 보조레그들의 교차점 사이에서 상기 핸들 부분이 전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구가 상기 메인레그에 장착되며,
    상기 각도 조절구는,
    일측이 하부로 상기 메인레그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결합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부로 상기 메인레그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회동축에는 톱니 형상의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에는 스프링과 상기 삽입홈의 형상에 부합하는 톱니 형상의 각도조절부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에 대향되는 각도 조절부에는 상기 제2결합부의 회동축 주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누름구가 배치되며,
    상기 누름구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진 각도 조절부가 해제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부분의 전방에서 상기 메인레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조작 바아(break operation bar); 상기 브레이크 조작 바아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브레이크 와이어(break wire); 및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후륜과 마찰 접촉 또는 해제되게 하는 브레이크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작동부는,
    상기 후륜의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후방링크부재 사이에서 상기 메인레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각각의 작동체와; 각각의 상기 작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후방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재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작동체의 일단에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가 연결되고, 상기 작동체의 타단에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후륜과 마찰 접촉하는 마찰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후륜의 내측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방사상 돌기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버; 일단은 상기 수동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 와이어가 연결된 작동체와 다른 작동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동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주차 와이어; 및 상기 작동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후륜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정지부;로 이루어진 주차/감속 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동레버의 후퇴 조작 시, 상기 정지부가 상기 인장스프링에 의한 원위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후륜측 방사상 돌기들 사이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수동레버의 중립 조작 시, 상기 정지부가 상기 후륜측 방사상 돌기들 사이에서 해제되게 하고,
    상기 수동레버의 전진 조작 시, 상기 브레이크 유닛측 작동체의 타단에 형성된 마찰접촉면이 상기 후륜과 마찰접촉 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차.
KR1020110142959A 2011-12-27 2011-12-27 보행보조차 KR20130074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959A KR20130074882A (ko) 2011-12-27 2011-12-27 보행보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959A KR20130074882A (ko) 2011-12-27 2011-12-27 보행보조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882A true KR20130074882A (ko) 2013-07-05

Family

ID=4898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959A KR20130074882A (ko) 2011-12-27 2011-12-27 보행보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48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6877A (zh) * 2017-08-04 2018-01-23 西安好思达康复器具有限公司 一种自锁刹车轮椅
KR102078237B1 (ko) * 2018-09-17 2020-02-17 주식회사 해피콜 접철 가능한 가열 조리기
KR102302230B1 (ko) * 2020-12-30 2021-09-14 주식회사 월드케어 보행보조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6877A (zh) * 2017-08-04 2018-01-23 西安好思达康复器具有限公司 一种自锁刹车轮椅
CN107616877B (zh) * 2017-08-04 2023-12-19 西安好思达康复器具有限公司 一种自锁刹车轮椅
KR102078237B1 (ko) * 2018-09-17 2020-02-17 주식회사 해피콜 접철 가능한 가열 조리기
KR102302230B1 (ko) * 2020-12-30 2021-09-14 주식회사 월드케어 보행보조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7638B2 (ja) 身体障害者の運搬用あるいは移動補助用の車椅子
US8757644B2 (en) Wheelchair
JP2015514539A (ja) 着座アセンブリを有する歩行器装置
KR101149604B1 (ko) 전동식 보행 보조장치
JP4163731B2 (ja) 歩行器
KR101192959B1 (ko) 노약자용 실버카트
JP6254062B2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KR20130074882A (ko) 보행보조차
JP3956175B2 (ja) 揺動機構を備えた車輪のついた杖
KR102043282B1 (ko) 보행보조기
JP5048311B2 (ja) 車椅子
US10512584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20120002374A (ko) 보행 보조차
US9327788B2 (en) Rehabilitation device
JP6448998B2 (ja) 歩行補助器
KR20130074881A (ko) 보행보조차
EP2777669A1 (en) A mobile support assembly
JP2015058012A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KR101601490B1 (ko) 크러치 겸용 전동식 휠체어
JP3123886B2 (ja) 歩行補助車
JP4357350B2 (ja) 手押し車の制動機構
JP6282453B2 (ja) 車椅子
KR102663739B1 (ko) 안전휠 및 이를 이용하는 보행보조기
JP7479600B2 (ja) 段差乗越補助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輪付き移送器具
JP3869407B2 (ja) 歩行補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