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705B1 -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705B1
KR102464705B1 KR1020210159011A KR20210159011A KR102464705B1 KR 102464705 B1 KR102464705 B1 KR 102464705B1 KR 1020210159011 A KR1020210159011 A KR 1020210159011A KR 20210159011 A KR20210159011 A KR 20210159011A KR 102464705 B1 KR102464705 B1 KR 102464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transport cart
elastic
brake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백호
Original Assignee
손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백호 filed Critical 손백호
Priority to KR102021015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7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5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braking on the running surface, e.g. the ty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스터들을 갖는 운송카트에 마련되어 운행을 제어하도록 된 제동장치로서, 상기 운송카트의 핸드레일에 마련되는 제동제어부와, 상기 운송카트의 캐스터에 설치되는 탄성제동부와, 상기 제동제어부와 상기 탄성제동부를 연결하는 제동와이어로 이루어져, 운송카트의 핸드레일에 마련된 제동제어부로 캐스터를 제어하도록 하고, 조작이 없을 시 브레이크가 항시 걸려져 있어 홀로 움직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가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캐스터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 Braking device for transport cart with elastic control function }
본 발명은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카트의 핸드레일에 마련된 제동제어부로 캐스터를 제어하도록 하고, 조작이 없을 시 브레이크가 항시 걸려져 있어 홀로 움직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가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캐스터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는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트, 창고 등에서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반용 카트는, 통상 카트 본체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적재판이 설치되고, 적재판의 전후방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전륜 및 후륜)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적재판의 후방에는 포스트 및 손잡이가 설치되어, 카트 사용자는 손잡이를 밀어가며 전후방의 캐스터를 회전시키면서 일정 구간 내에서 물건을 적재한 후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마트나 물류 창고가 대형화되는 환경에서 카트를 일정구간 내에서 사용할 뿐만아니라 카트를 운송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거나, 카트들을 별도의 보관장소나 창고에 보관해야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카트는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손수레를 말하는 것으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 적재함 하부에 장착된 캐스터 및 상기 적재판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트의 적재판에 물건을 적재하여 손잡이를 통해 밀거나 당겨서 물건을 운반하게 된다. 이때 캐스터는 360°회전할 수 있어 조향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트는 물건을 적재할 때나, 카트를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 카트에 제동장치가 부착되지 않아, 캐스터의 스토퍼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고정시키거나, 바퀴에 제동시킬 수 있는 물건을 받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무거운 물건을 적재하여 운반할 때 제동장치의 부재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카트들을 모아 보관장소에 배치하거나 창고에 배치한 후 필요시 카트들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보관된 카트들이 이동되어, 정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반복적으로 카트들을 배열이나 이동을 감시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70709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카트의 핸드레일에 마련된 제동제어부로 캐스터를 제어하도록 하고, 조작이 없을 시 브레이크가 항시 걸려져 있어 홀로 움직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가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캐스터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는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캐스터들을 갖는 운송카트에 마련되어 운행을 제어하도록 된 제동장치로서, 상기 운송카트의 핸드레일에 마련되는 제동제어부와, 상기 운송카트의 캐스터에 설치되는 탄성제동부와, 상기 제동제어부와 상기 탄성제동부를 연결하는 제동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제어부는 상기 핸드레일에 연결되고 안내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동손잡이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안내홀을 관통한 상기 제동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연장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동와이어를 당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를 제어함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스토퍼유닛이 더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회전샤프트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지지샤프트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된 상기 회전샤프트의 제동손잡이를 지지하는 완충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제동부는 상기 캐스터에 연결되고, 연결공이 형성된 제동브라켓과, 상기 제동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공에 관통되도록 연동샤프트가 형성된 가압패널과, 상기 제동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동샤프트에 끼움되어, 상기 가압패널을 캐스터의 이송바퀴로 가압하는 가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동제어부에 마련되는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이송바퀴의 제동을 해제하고, 상기 회전샤프트가 원위치로 복귀시 상기 이송바퀴를 제동하도록 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패널에는 한쌍의 브레이크패드가 더 마련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에는 상기 캐스터의 이송바퀴와 접촉되도록 접족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손잡이에는 상기 제동손잡이를 지지하도록 인입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제동손잡이의 일부가 상기 인입홈에 인입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인입홈에는 인입된 상기 제동손잡이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탄성완충패널이 더 부착되어, 상기 제동손잡이가 상기 인입홈에 끼움되는 과정에서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완충시키게 되고, 상기 제동손잡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안착홈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는 운송카트의 핸드레일에 마련된 제동제어부로 캐스터를 제어하도록 하고, 조작이 없을 시 브레이크가 항시 걸려져 있어 홀로 움직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가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캐스터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탄성제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제동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제동제어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탄성제동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탄성제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제동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제동제어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탄성제동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동장치라 명명함)는 캐스터(300)들을 갖는 운송카트(100)에 마련되어 운행을 제어하도록 된 제동장치로서, 이에 이와같은 운송카트용 제동장치(10)는 제동제어부(20)와 탄성제동부(30)와 제동와이어(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동제어부(20)는 상기 운송카트(100)의 핸드레일(200)에 마련되어, 상기 운송카트(100)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동제어부(20)는 상기 핸드레일(20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저면에 중공의 안내홀(21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1)과, 상기 고정브라켓(21)의 상측에 하단부가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회전샤프트(22)와,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상단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동손잡이(23)와, 상기 회전샤프트(22)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21)의 안내홀(211)을 관통한 상기 제동와이어(40)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중공의 체결공(241)이 형성된 연장연결부(24)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동와이어(40)를 도면상 상향으로 당겨지도록 하고, 상기 회전샤프트(22)가 복귀시 당겨진 상기 제동와이어(40)도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제동와이어(40)는 상기 체결공(241)을 관통한 후 스토퍼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241)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제동부(30)는 상기 운송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300)에 설치된다.
상기 캐스터(300)는 상기 운송카트(100)의 저면에 마련된다. 상기 캐스터(300)는 상기 운송카트(100)의 저면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이송브라켓과 상기 이송브라켓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이송바퀴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제동부(30)는 상기 캐스터(300)의 이송브라켓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연결공(311)이 형성된 제동브라켓(31)과, 상기 제동브라켓(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공(311)에 관통되도록 연동샤프트(321)가 형성된 가압패널(32)과, 상기 제동브라켓(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동샤프트(321)에 끼움되어, 상기 가압패널(32)을 캐스터(300)의 이송바퀴로 가압하는 가압코일스프링(33)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동제어부(20)에 마련되는 회전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해 이송바퀴의 제동을 해제하고, 상기 회전샤프트(22)가 원위치로 복귀시 상기 이송바퀴를 제동하도록 된다.
상기 가압패널(32)에는 상기 이송바퀴를 가압하도록 한쌍의 브레이크패드(322)가 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322)에는 상기 캐스터(300)의 이송바퀴와 접촉되도록 접족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평면에 비해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제동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회전샤프트(22)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동와이어(40)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가압코일스프링(33)을 압축하며 상기 가압패널(32)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바퀴를 가압하면서 접촉된 상기 브레이크패드(322)가 상기 이송바퀴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운송카트(100)가 주행할 수 있게 되고, 주행 후 사용자가 파지한 회전샤프트(22)를 놓게 되면 압축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동와이어(40)가 당겨지면서 상기 회전샤프트(22)를 복귀시키게 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패널(32)이 복귀되면서 상기 브레이크패드(322)가 상기 이송바퀴를 가압하여 제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송카트(100)가 주행을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제동부(30)는 한쌍의 상기 캐스터(300) 또는 하나의 캐스터(300)에 설치하여 제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동브라켓(31)에는 안내관을 갖는 연결브라켓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안내관을 통해 상기 제동와이어(40)의 타단이 관통된 후 관통된 상기 제동와이어(40)의 타단을 상기 가압패널(32)에 형성된 상기 연동샤프트(321)에 나사체결 또는 묶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동와이어(40)는 상기 제동제어부(20)와 상기 탄성제동부(3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제동와이어(40)의 일단은 상기 연장연결부(24)의 체결공(241)에 끼움된 후 묶음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패널(32)의 연동샤프트(321)에 묶음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동와이어(40)는 양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며, 나머지 부분은 상기 운송카트(100)의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다.
다르게는, 상기 제동와이어(40)를 감싸면서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외피관을 끼우고, 상기 외피관을 상기 운송카드의 외면에 고정시켜, 상기 제동와이어(40)가 상기 외피관을 관통하며 이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동와이어(40)는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합성수재지 또는 합성섬유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핸드레일(200)에는 상기 회전샤프트(22)의 회전를 제어함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스토퍼유닛(50)이 더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유닛(50)은 상기 회전샤프트(22)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지지샤프트(51)와, 상기 지지샤프트(5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된 상기 회전샤프트(22)의 제동손잡이(23)를 지지하는 완충손잡이(52)로 이루어져, 회전된 후 상기 완충손잡이(52)에 걸림된 상기 제동손잡이(23)와 상기 완충손잡이(52)를 모두 파지한 후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주행중 회전샤프트(22) 및 제동손잡이(2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회전샤프트(22) 및 제동손잡이(23)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상기 제동와이어(40)가 끊어지거나 상기 제동와이어(40)와 연결된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손잡이(52)에는 상기 제동손잡이(23)를 지지하도록 인입홈(521)을 더 형성하여, 상기 제동손잡이(23)의 일부가 상기 인입홈(521)에 인입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인입홈(521)에는 인입된 상기 제동손잡이(23)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탄성완충패널(522)이 더 부착되어, 상기 제동손잡이(23)가 상기 인입홈(521)에 끼움되는 과정에서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완충시키게 되고, 상기 제동손잡이(23)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안착홈(231)들이 더 형성하여, 파지감을 높이게 되고 손가락이 상기 제동손잡이(23)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입홈(521)에 상기 제동손잡이(23)의 일부가 인입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사익 제동손잡이(23)와 상기 완충손잡이(52)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어, 파지시 손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일체감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동손잡이(23)와 상기 완충손잡이(52)는 원형의 샤프트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손잡이(23)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관을 더 끼워 충격을 완충시키고, 상기 탄성관의 외면에 탄성돌기들을 일체로 더 형성시켜, 파지한 사용자의 손에 마찰 및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제동장치
20 : 제동제어부
21 : 고정브라켓
211 : 안내홀
22 : 회전샤프트
23 : 제동손잡이
231 : 안착홈
24 : 연장연결부
241 : 체결공
30 : 탄성제동부
31 : 제동브라켓
311 : 연결공
32 : 가압패널
321 : 연동샤프트
322 : 브레이크패드
322a : 접촉경사면
33 : 가압코일스프링
40 : 제동와이어
50 : 스토퍼유닛
51 : 지지샤프트
52 : 완충손잡이
521 : 인입홈
522 : 탄성완충패널
100 : 운송카트
200 : 핸드레일
300 : 캐스터

Claims (6)

  1. 캐스터들을 갖는 운송카트에 마련되어 운행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운송카트의 핸드레일에 마련되는 제동제어부; 상기 운송카트의 캐스터에 설치되는 탄성제동부; 및 상기 제동제어부와 상기 탄성제동부를 연결하는 제동와이어로 이루어진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제어부는, 상기 핸드레일에 연결되고 안내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동손잡이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안내홀을 관통한 상기 제동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연장연결부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동와이어를 당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레일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를 제어함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스토퍼유닛이 더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회전샤프트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지지샤프트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회전된 상기 회전샤프트의 제동손잡이를 지지하는 완충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손잡이에는, 상기 제동손잡이를 지지하도록 인입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제동손잡이의 일부가 상기 인입홈에 인입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인입홈에는 인입된 상기 제동손잡이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탄성완충패널이 더 부착되어, 상기 제동손잡이가 상기 인입홈에 끼움되는 과정에서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완충시키게 되고, 상기 제동손잡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안착홈들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제동부는 상기 캐스터에 연결되고, 연결공이 형성된 제동브라켓과,
    상기 제동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공에 관통되도록 연동샤프트가 형성된 가압패널과,
    상기 제동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동샤프트에 끼움되어, 상기 가압패널을 캐스터의 이송바퀴로 가압하는 가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동제어부에 마련되는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이송바퀴의 제동을 해제하고, 상기 회전샤프트가 원위치로 복귀시 상기 이송바퀴를 제동하도록 된 특징으로 하는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패널에는 한쌍의 브레이크패드가 더 마련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에는 상기 캐스터의 이송바퀴와 접촉되도록 접족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6. 삭제
KR1020210159011A 2021-11-18 2021-11-18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Active KR102464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11A KR102464705B1 (ko) 2021-11-18 2021-11-18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11A KR102464705B1 (ko) 2021-11-18 2021-11-18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705B1 true KR102464705B1 (ko) 2022-11-07

Family

ID=8404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011A Active KR102464705B1 (ko) 2021-11-18 2021-11-18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7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743U (ja) * 1992-04-14 1993-11-09 曙産業車輌株式会社 荷物運搬用ハンドカート
JP2008273418A (ja) * 2007-05-01 2008-11-13 Nagano:Kk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KR20090052820A (ko) * 2007-11-21 2009-05-26 배수원 손 건강과 단련에 좋은 다기능 손수레
KR20110085958A (ko) * 2011-06-16 2011-07-27 서종근 노약자용 실버카트
KR20160142441A (ko) * 2015-06-02 2016-12-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4륜 브레이크 장치를 장착한 쇼핑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743U (ja) * 1992-04-14 1993-11-09 曙産業車輌株式会社 荷物運搬用ハンドカート
JP2008273418A (ja) * 2007-05-01 2008-11-13 Nagano:Kk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KR20090052820A (ko) * 2007-11-21 2009-05-26 배수원 손 건강과 단련에 좋은 다기능 손수레
KR20110085958A (ko) * 2011-06-16 2011-07-27 서종근 노약자용 실버카트
KR20160142441A (ko) * 2015-06-02 2016-12-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4륜 브레이크 장치를 장착한 쇼핑카트
KR101707094B1 (ko) 2015-06-02 2017-02-1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4륜 브레이크 장치를 장착한 쇼핑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488A (en) Baggage caster
KR102464705B1 (ko) 탄성제어기능 갖는 운송카트용 제동장치
CN207029229U (zh) 新型物流平板车
US3458015A (en) Shopping cart brake system
CN109318954A (zh) 一种纺织厂用物料搬运手推车
CN201073978Y (zh) 车轮悬空刹车的手推车
CN107336564A (zh) 一种带轻巧刹车装置活动脚轮
CA2289844A1 (en) Brake assembly for cart
CN201089336Y (zh) 改良的行李箱轮座
CN108715182B (zh) 一种底座锁刹机构
JP2001151118A (ja) ハンドカート
CN213501646U (zh) 一种万向轮装置及具有其的推车
CN2897690Y (zh) 拉杆行李箱及背包的伸缩脚轮
CN209332269U (zh) 一种带制动结构的内镜运输车
WO2002074592A1 (en) Brake for a vehicle
US20030173753A1 (en) Pivot uplifting device for dolly
CN108357546A (zh) 一种自锁推车
CN209600554U (zh) 一种超市用的可升降购物车
CN217835617U (zh) 双制动模式常态化自制动轨道小平车
US20020093155A1 (en) Shopping cart self actuation brake with cart nesting brake release
KR101849471B1 (ko) 공항용 카트
KR100363387B1 (ko) 손수레용 제동장치
CN219651243U (zh) 一种箱盒周转车
CN201088231Y (zh) 行李箱之刹车轮制动机构
KR102149634B1 (ko) 제동 장치를 갖는 여행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