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374A -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374A
KR20040069374A KR1020030005708A KR20030005708A KR20040069374A KR 20040069374 A KR20040069374 A KR 20040069374A KR 1020030005708 A KR1020030005708 A KR 1020030005708A KR 20030005708 A KR20030005708 A KR 20030005708A KR 20040069374 A KR20040069374 A KR 2004006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eat
front frame
carrying device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이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102003000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374A/ko
Priority to DE10358745A priority patent/DE10358745B4/de
Priority to CNB2003101241079A priority patent/CN1261065C/zh
Priority to US10/742,486 priority patent/US6988736B2/en
Publication of KR2004006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3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only a singl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캐리어 기능과 유모차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어깨끈(12)을 구비한 채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 부재(10)와; 유아를 안치하기 위한 등받이시트(30)와;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10)의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시트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단(20, 22)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의 상단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의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바퀴(16)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유아운반장치{multi functional baby-carrying device}
본 발명은 유아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모차 및 유아캐리어, 심지어 자동차 카시트로 겸용될 수 있는 유아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캐리어와 유모차 사이의 변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시트(seat) 및 지면을 따라 구르는 바퀴를 구비하여 사람에 의해 끌고 당겨짐으로써 이동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아캐리어는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시트(또는, 유아낭)와 어깨끈을 구비하여 사람이 유아를 업거나 안을 때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모차 및 유아캐리어는 유아를 편안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오래전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모차는 이동로의 여건에 의해 그 사용이 크게 제약받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유모차는 예를 들면, 계단 및 가파른 경사길 등에서 그 사용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아캐리어는 유모차와 달리 이동로의 여건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사용자가 본질적으로 유아를 들어 운반한다는 점에서 유모차에 비해 사용자에게 많은 힘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유아캐리어와 유모차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유아 운반장치가 개발되졌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유아 운반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로의 여건에 상관없이 유아를 손 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유아 운반장치는, 유모차 용도의 손잡이 위치와 캐리어 용도의 어깨끈 위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유모차 모드로부터 캐리어 모드로 또는 캐리어로 모드부터 유모차 모드로 변환될 때, 사용자가 손잡이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유아 운반장치는 유모차 모드에서 항상 밀어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밀어 이동시키는 구조는 사용자가 유모차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턱진 부분을 넘어 운전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덧붙혀, 종래의 유모차는, 백화점, 쇼핑몰, 지하철 역 등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어질 때, 바퀴가 네개로 항상 정해져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이동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유아 운반장치는 항상 유아낭 또는 시트가 고정되어 있어서 조건에 따라 유아에게 최적의 편안한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방으로 경사진 전방 프레임부재에 어깨끈, 손잡이 및 바퀴가 모두 설치되어 유모차 모드로부터 캐리어 모드로 또는 캐리어 모드로부터 유모차 모드로의 변환이 보다 용이하며, 또한 등받이시트의 각도가 선택적으로 또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모드의 변환에 상관없이 유아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를 유모차 모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 유아 운반장치를 유모차 모드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 유아 운반장치를 캐리어 모드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 유아 운반장치의 등받이시트가 카시트 용도로 사용되도록 분리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도 5 유아 운반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 유아 운반장치의 등받이 시트에서 등받이 부분과 엉덩이 받이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그 기능이 바뀌어 상태로 도시된 유아 운반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 유아 운반 장치의 좌측면도로서, 등받이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잠금수단의 구성을 보이기 위해 그 일부가 절개된 채 도시된 도면.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모차 및 유아캐리어 기능을 갖는 유아 운반장치를 제공하며, 그 유아 운반장치는 어깨끈(12)을 구비한 채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 부재(10)와, 유아를 안치하기 위한 등받이시트(30)와,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10)의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시트(30)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단(20, 22)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의 상단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의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바퀴(16)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기 등받이 시트(30)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은, 후방 프레임부재(20)와, 상기 후방 프레임부재(20) 각각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채 상기 등받이 시트(30)에 부착 결합된 한 쌍의 시트 유지대(2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가 유모차 모드에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유아 운반장치(1)가 유모차 모드에서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은 캐리어 모드(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 그 전방 프레임부재(10)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 프레임 부재(20), 유아가 앉혀지는 등받이시트(30) 및 선단이 등받이시트(30)에 연결되고 기단이 후방 프레임 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시트(30)를 회동시키는 한 쌍의 시트 유지대(2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는 각각 일자형태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고, 그 정면에는 캐리어 모드에서 사용되는 어깨끈(12), 바람직하게는 길이조절가능한 어깨끈(12)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시트(30)에 앉혀진 유아를 등에 업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덧붙혀, 본 실시예에서, 상기전방 프레임부재(10)에는 등받이끈(11)이 마련되어, 캐리어 모드에서,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상기 유아운반장치(1)를 등에 질 수 있도록 해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또한, 그 전방 프레임부재(10)는 그 상단 및 하단에 유모차 모드에서 사용되는 손잡이(14) 및 바퀴(16)를 각각 구비하는데, 그 바퀴(16)는 방향조절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면 캐스터 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손잡이(14) 바로 아래쪽에는 등받이시트(30) 및 이와 부착 결합된 시트 유지대(2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부재(20),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일자형 후방 프레임부재(20)가 전방 프레임부재(10)로부터 후방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어깨끈(12)이 설치된 전방 프레임부재(10)에 손잡이(14) 및 바퀴(16)가 함께 설치되어 손잡이(14) 및 바퀴(16)의 위치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캐리어 모드와 유모차 모드 사이의 변환을 쉽게 이룰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14)는 그 높이가 사용자의 키에 따라 조절되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14)의 높이조절은, 전방 프레임부재(10)가 손잡이(14)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연장된 이동부(102)와 그 이동부의 상승 및 하강을 허용하는 가이드부(104) 및 이동된 이동부(102)를 고정하는 수단(미도시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현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부(102)를 가이드부(104)에 대해 고정하는 수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그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가 생략되어질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10) 각각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그 상단에 마련된 손잡이(14)가 하단에 마련된 바퀴(16)보다 전방에 위치되게 하며, 이러한 배열은 유모차 모드로 변환된 유아 운반장치를 보다 편안하게 밀고 끄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여기에서, "전방 프레임부재(10)가 경사지게 배열되었다"는 의미는 전방 프레임부재(1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된 채, 유아 운반장치(1)가 유모차 모드에서 운전 및 주정차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프레임부재(20)는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10)로부터 후방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로(10)부터 수직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이하 기술될 시트 유지대(22) 및 그 시트 유지대(22)에 부착 결합된 등받이시트(30)를 회동시키는 회동축(21)이 마련된다.
후방 프레임부재의 회동축(21) 각각에는 상술한 시트 유지대(22), 바람직하게는 일자형의 시트 유지대(2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시트 유지대(22)에는 유아가 앉혀지는 등받이시트(30)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등받이시트(30)는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받이 부분(34)과 유아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 부분(32)을 갖춘 "ㄴ"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시트 유지대(20)의 선단이 등받이 부분(32)과 엉덩이받이 부분(34) 사이의 중간부분에서 등받이시트(30)의 양 측면에 부착되어, 엉덩이받이 부분(34)을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시킨다(도 2 참조).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시트(30)는 자체에 결합된 시트 유지대(22)가 후방 프레임부재(20)의 회동축(21)에 대해 회동됨에 따라 그 경사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는 유모차 모드 및 캐리어 모드에서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유아 운반장치(1)는 등받이시트(30)에 결합된 시트 유지대(22)의 회동에 의해 캐리어 모드에서도 유모차 모드와 같은 조건으로 상기 등받이시트(30) 상에 유아를 편안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유아의 무게가 등받이시트(30)에 작용하는 지점이 시트 유지대(22)의 회동축(21)과 거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므로, 상기 등받이시트(30)에는 유아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유아 운반장치(1)는 별도의 안전수단 없이도 유아를 안전하게 운반시킬 수 있다.
하지만, 유아의 안전을 위해, 시트 유지대(22)가 후방 프레임부재(20)에 마련된 회동축(21)을 중심으로 비원활하게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2륜바퀴(16)에 의해 유모차 모드로 운행될 때 정차 및 주차를 위한 스톱퍼(1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톱퍼(1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부재(10)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그 첨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4)를 놓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유모차 모드의 유아 운반장치(1)를 정차 또는 주차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운반장치(1)의 무게중심이 등받이시트(30)가 위치한 후방에 존재함으로 인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톱퍼(1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모드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유아운반장치(1)를 정차 또는 주차시킬 때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캐리어모드에서 등받이시트(30)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되므로 주변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도 4는 도 1 유아 운반장치(1)에서 등받이시트(30)가 분리된 채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등받이시트(30)가 시트 유지대(22)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등받이시트(30)를 분리하여 자동차용 카시트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등받이시트(30)는 자체의 양 측면에 각각 2개의 맞물림 돌기부(35) 및 나사구멍(36)을 구비하며, 또한 이와 상응하는 시트 유지대(22)는 상기 맞물림 돌기부(35)의 진입을 허용하여 고정유지시킬 수 있는 "┏ "형의 맞물림홈(222)과 상기 나사구멍에 상응하는 조절나사체(224)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시트(30)는, 조절나사체(224)에 의한 고정 또는 해체 그리고 상기 맞물림홈(222)과 상기 맞물림 돌기부(35) 사이의 상호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에 의해, 상기 시트 유지대(22)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시트 유지대(22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질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완충수단(1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충격 완충수단(15)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부재(10) 하부의 압축스프링 구조에 의해 달성되는데, 그 구조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명세세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어질 것이다.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가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선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설명이 생략되어질 것이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유아 운반장치(1)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등받이시트(30)가 도 6의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약 90°회동된 상태로 도시된 유아 운반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약 90°회동되어 등받이 부분(32)과 엉덩이 부분(34)이 기능 변환된 등받이시트(30)를 고정하는 수단(40)을 포함한다.
등받이시트(30)가 도 5 및 도 6의 위치에 있는 경우, 등받이시트(30)에 앉은 유아는 유아 운반장치(1)를 끌거나 미는 사용자를 눈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유아 운반장치(1)는,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등받이시트(30)의 회동을 별도로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등받이시트(30)가 도 7의 위치에 있는 경우, 등받이시트(30)에 않은 유아,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 부분(32)과 엉덩이받이 부분(34)이 바뀐 등받이시트(30)에 앉은 유아는 사용자가 있는 전방 대신에 후방을 바라보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유모차에서와 같이 유아가 앞쪽을 바라보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때, 도 5의 위치에 있는 등받이시트(30)는 가해지는 모멘트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회동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따라서, 본 실시예예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그 등받이시트(30)를 임의의 위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그 고정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방프레임 부재(20)에 각각 삽설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2개의 가이드부분(42)과, 그 가이드부분(42)들 사이에서 연결되어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등받이시트(30)의 뒷면을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분(44)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시트(30)는 전방프레임 부재(10)에 구비된 걸림턱(17)에 가이드부분(42)이 걸려진 고정수단(40)에 의해 반시계방향회전(즉, 도 7의 위치로부터 도 6의 위치로의 회전)을 제한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40)의 시트 지지부분(44)는 캐리어모드에서 사용자의 등을 누르지 않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시트 유지대(22)는 후방 프레임부재(20)에 마련된 회동축(21)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또는 비원활하게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고, 그 시트 유지대(22)를 각도변화에 따라 단단하게 고정하는 잠금수단은 구비되어 있지 않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운반장치(1)는 시트 유지대(22)를 후방 프레임부재(20)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잠금수단(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시트 유지대(22)가 잠금수단(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등받이 시트(30)는 유아가 가장 편안해 하는 상태로 그 각도가 미세조절될 수 있으며, 또한, 운반 중, 보다 단단하게 고정되어, 유아의 안전이 더욱 더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50)은, 도 8 및 도 8의 좌측면도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유지대(22)의 회동축(21)에 동심축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되는 원형톱니(52)와, 그 원형톱니(52)에 맞물리는 맞물리는 초승달형 톱니(54)를 포함하며, 그 초승달형 톱니(54)는 손잡이(14) 근처에 마련된 잠금레버(56)의 조작에의해 상기 원형톱니(52)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초승달형 톱니(54)는 선단이 선회축(55)에 대해 지지되고 기단이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지지되되, 그 선회축(55) 및 코일 스프링(57)을 고정하는 부분이 후방프레임 부재(20)와 일체를 이루어, 잠금레버(56)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초승달형 톱니(54)에 연결된 케이블(53)에 의해, 원형톱니(52)와의 맞물림 위치와 맞물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잠금수단(50)을 이루는 부분들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잠금수단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 운반장치(1)는 바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고정킬 수 있는 브레이크(60)를 더 포함한다.
그 브레이크(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 근처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62)의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케이블(64)의 움직임에 의해 바퀴(1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에스컬레이터 등에서 유아 운반장치를 바람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유아 운반장치의 브레이크로서 도면에 도시된 캘리퍼 브레이크(60)가 이용되었지만, 캔티레버브레이크, V-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등 다양한 형태의 브레이크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는 캐리어 모드로부터 유모차 모드로 또는 유모차 모드로부터 캐리어 모드로로의 변환이 용이하고, 등받이시트의 각도가 선택적으로 또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모드의 변환에 상관없이 유아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는 방향조절이 용이하고, 구조가 매우 단순하며, 제조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는, 등받이 시트가 따로 분리되어 카시트로 이용될 수 있고, 유아가 유모차 모드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다양한 기능이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는 좌우 양측 두 바퀴만으로도 유모차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에스컬레이터 등의 계단 위에서의 이동, 즉 2개의 바퀴를 계단에 올려놓은 상태로의 이동이 매우 유리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덧붙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에스컬레이터 등에서 바람직하게 유지된 상태로 운반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유아의 안전에도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유아캐리어 기능과 유모차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1)에 있어서,
    어깨끈(12)을 구비한 채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 부재(10)와;
    유아를 안치하기 위한 등받이시트(30)와;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10)의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등받이 시트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단(20, 22)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의 상단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부재(10)의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바퀴(16)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6)는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의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 이륜바퀴이며,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10)의 하부에는 유모차 모드에서 정차 또는 주차를 위한 스톱퍼(18)가 마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6)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완충수단(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시트(30)가 카시트로 이용되어질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 근처에 마련된 잠금레버(56)의 조작에 의해 상기 등받이시트(3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완전히 고정하는 잠금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 근처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6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바퀴의 회전(16)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브레이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
  7. 유아캐리어 기능과 유모차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1)에 있어서,
    상단에는 손잡이(14)가 마련되고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하는 바퀴(16)가 마련되고 전방면에 어깨끈(12)이 마련된 채,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 부재(10)와;
    상기 전방 프레임부재의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프레임부재(20)와;
    상기 후방 프레임부재(20) 각각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시트 유지대(22)와;
    등받이 부분(32)과 엉덩이받이(34) 부분을 구비하며, 그 두 부분(32, 34) 사이의 중간부분에서 양측면으로 상기 시트 유지대(22) 각각의 선단이 부착 결합된 등받이시트(30)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시트(30)의 상기 두 부분(32, 34)이 서로 기능 변환된 위치에서 상기 시트 유지대(22)의 회동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 운반장치.
KR1020030005708A 2003-01-29 2003-01-29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KR20040069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708A KR20040069374A (ko) 2003-01-29 2003-01-29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DE10358745A DE10358745B4 (de) 2003-01-29 2003-12-12 Multifunktionale Kinderbeförderungsvorrichtung
CNB2003101241079A CN1261065C (zh) 2003-01-29 2003-12-16 多功能婴儿携带装置
US10/742,486 US6988736B2 (en) 2003-01-29 2003-12-18 Multi-functional infant-carry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708A KR20040069374A (ko) 2003-01-29 2003-01-29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820U Division KR200316285Y1 (ko) 2003-01-29 2003-01-29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374A true KR20040069374A (ko) 2004-08-06

Family

ID=3273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708A KR20040069374A (ko) 2003-01-29 2003-01-29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88736B2 (ko)
KR (1) KR20040069374A (ko)
CN (1) CN1261065C (ko)
DE (1) DE10358745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328A1 (ko) * 2017-12-12 2019-06-20 이청림 핸즈프리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8768A1 (en) * 2006-06-01 2007-12-06 Lynam Timothy B System combining a foldable wheeled cart and removable cloth bag
US8020879B1 (en) * 2008-03-26 2011-09-20 Engdahl Kenneth C Backpack convertible to a baby stroller
US20100052373A1 (en) * 2008-08-27 2010-03-04 Sean Kono Wave infant car seat
CN103273954A (zh) * 2013-05-28 2013-09-04 山西唐人居古典家居文化有限公司 童车
GB2561891B (en) * 2017-04-27 2022-10-12 Rsg Innovations Ltd Child carrier
USD932383S1 (en) 2019-09-13 2021-10-05 RSG Innovations Limited Pushchair
US20220388561A1 (en) * 2021-06-07 2022-12-08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wheels to an infant child sea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0731A (en) * 1959-10-14 1961-11-28 Charles V Kenney Baby stroller
US5470039A (en) * 1994-05-17 1995-11-28 Koala Corporation Foldable infant seat cradle and support stand
DE29602814U1 (de) * 1996-02-16 1996-06-05 Hauck Gmbh & Co Kg Kinderwagen, insbesondere Puppenwagen
US6155579A (en) * 1998-12-10 2000-12-05 Instep Llc Folding child stroller and frame carrier
US6880850B2 (en) * 2003-06-04 2005-04-19 Ben M. Hsia Stroller suitable for seating and reclining of a ba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328A1 (ko) * 2017-12-12 2019-06-20 이청림 핸즈프리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5308A (zh) 2005-01-19
DE10358745A1 (de) 2004-08-19
US20040145133A1 (en) 2004-07-29
DE10358745B4 (de) 2007-07-12
CN1261065C (zh) 2006-06-28
US6988736B2 (en)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6172A (en) Sliding seat assembly for a propelled wheel chair
US8282120B2 (en) Foldable stroller
KR101978667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US20020060444A1 (en) Convertible car seat for infants
US6464238B2 (en) Passenger carrier that nests with a cart basket
US5511802A (en) Single wheel baby stroller
US2847058A (en) Folding wheel chair
EP2716494B1 (en) Child safety seat
US20080150247A1 (en)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a child carrier
CA2540169C (en) Inter-convertible single person type transporting aid
KR101192959B1 (ko) 노약자용 실버카트
JP2005087415A (ja) 杖兼用の車椅子
KR20040069374A (ko)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EP3494943B1 (en) Manual wheel-attached movable body
JP5164242B2 (ja) 子供用座席及び伸縮自在に調節可能な足支持具
GB2116837A (en) Infants seat for motor vehicles
JPH05305112A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いす
RU2744777C1 (ru)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KR200316285Y1 (ko)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US5401076A (en) Detachable child's seat for a wheelchair
US20230211820A1 (en) Motorized Riding Stroller
CA2074393A1 (en) Wheelchairs
KR101994187B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수단을 구비한 탑승장치
JP2004089340A (ja) 車椅子の転倒防止機構
KR200311341Y1 (ko)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