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685B1 -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685B1
KR102316685B1 KR1020217023973A KR20217023973A KR102316685B1 KR 102316685 B1 KR102316685 B1 KR 102316685B1 KR 1020217023973 A KR1020217023973 A KR 1020217023973A KR 20217023973 A KR20217023973 A KR 20217023973A KR 102316685 B1 KR102316685 B1 KR 102316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tack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322A (ko
Inventor
아키코 요시다
시게키 이시구로
사토미 요시에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1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aromatic hydrocarbons or their halogen derivativ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natural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J193/04Ro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9/00Presence of polycarbonate
    • C09J2469/006Presence of polycarbonat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93/00Presence of natural res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 및 점착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터, 내가수분해제, 점착 부여제,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 부여제의 산가가 8 이하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이 80∼170℃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점착 부여제를 20∼1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DHESIVE TAPE, AND DOUBLE-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폴리에스터계 점착 테이프, 및 폴리에스터계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에스터 수지는, 내열성, 내약품성, 내구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필름, 페트병, 섬유, 토너, 전기 부품, 및 접착제나 점착제 등 폭넓은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통상, 폴리에스터 수지는, 가수분해되기 쉬운 성질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내(耐)가수분해제를 배합하여, 폴리에스터 수지의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켜, 내구성(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의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제 등에 있어서는, 우수한 점착 특성(접착력)이나 내구성 등을 발휘시키기 위해, 개량이 시도되고 있지만, 내구성과 점착 특성의 양립에는 이르고 있지 않은 것이 현황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1-22258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187965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 및 점착 특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을 이용한 점착 테이프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터, 내가수분해제, 점착 부여제,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 부여제의 산가가 8 이하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이 80∼170℃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점착 부여제를 20∼1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내가수분해제가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을 0.05∼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터가, 다이카복실산 성분과 다이올 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점착 부여제가, 적어도 1종의 터펜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은,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판에 대한 접착력이 7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은, 40℃에 있어서의 유지력이 0.8mm/6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은, 적어도 편면에 박리 라이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 테이프는,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의 적어도 편면에 지지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이 적어도 2층 있고,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의 적어도 편면에 지지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는,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 및 점착 특성이 우수하여 유용하다.
도 1은 점착제층의 양표면에 박리 라이너를 첩부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상태도이다.
도 2는 지지체의 양표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 라이너를 첩부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상태도이다.
도 3은 점착제층의 편면에 박리 라이너를 첩부하고, 또 한쪽의 면에 지지체를 갖는 점착 테이프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이하, 간단히,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폴리에스터, 내가수분해제, 점착 부여제,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 부여제의 산가가 8 이하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이 80∼170℃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점착 부여제를 20∼1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에스터와 함께, 내가수분해제와 특정의 산가나 연화점을 갖는 점착 부여제를 특정량 배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층(점착 테이프)의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과 점착 특성(접착력, 응집력)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어 유용하다. 또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성, 기계 강도, 굴곡 피로 강도, 내수·내약품성, 광학적 투명성도 우수하고, 게다가, 신축이 거의 없으며, 특히,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의 경우, 그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두껍게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사용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례로서, 도 1에는, 점착제층의 양표면에 박리 라이너를 첩부한 것(지지체 없음)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지지체의 양표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점착제층의 표면에 박리 라이너를 첩부한 것(지지체 있음)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점착제층의 편면에 지지체를 갖고, 또 한쪽의 면에 박리 라이너를 첩부한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제층으로서는, 원료가 동일 또는 상이한 2층 이상의 점착제층을 첩합하여 1층의 점착제층으로 한 것(적층체)을 사용해도 되고, 지지체를 2층 이상 가짐과 더불어, 점착제층을 3층 이상 갖는 구성의 양면 점착 테이프여도 된다. 또한, 폴리에스터계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간단히,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합하여, 점착 테이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터>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터로서는, 적어도, 다이카복실산 성분과 다이올 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터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에스터의 합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는, 식물 유래의 원료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이다. 그 이유로서는, 식물 유래의 원료는, 이른바 카본 뉴트럴이라고 칭해지고 있어, 지구 환경에 좋아, 환경 대응형의 점착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폴리에스터는, 적어도, 다이카복실산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카복실산 성분이, 분자 중에, 카복실기를 2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이카복실산 성분이, 식물 유래의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태양이다. 한편, 「식물 유래의 원료를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이른바, 바이오매스도(度)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성분」이란, 원료 전체에 있어서의 식물 유래의 원료가 구성 원료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도란, 점착제층의 총중량에 대해, 상기 점착제층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식물 유래의 원료의 중량 비율이며, 이하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한 것이다.
점착제층의 바이오매스도(중량%) = 100×[식물 유래의 원료의 중량(g)]/[점착제층의 총중량(g)]
상기 바이오매스도로서는, 5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이다. 상기 바이오매스도가 50중량% 이상으로 높게 하는 것에 의해, 지구 환경에 좋아, 환경 대응형의 점착제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한 태양이 된다.
상기 다이카복실산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식물 유래의 다이카복실산으로서, 피마자유 유래의 세바크산이나, 올레산, 에루크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다이머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밖으로서는, 아디프산, 아젤라산,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카복실산, 4-메틸-1,2-사이클로헥세인 다이카복실산, 도데센일 무수 석신산, 푸마르산, 석신산, 도데케인다이오산, 헥사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 프탈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지방족이나 지환족 다이카복실산 등이나, 테레프탈산, 아이소프탈산, 오쏘프탈산, 1,5-나프탈렌 다이카복실산, 2,6-나프탈렌 다이카복실산, 4,4'-다이페닐 다이카복실산, 2,2'-다이페닐 다이카복실산, 4,4'-다이페닐에터 다이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다이머산 등은, 식물 유래이며 지구 환경에 좋다는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카복실산에 더하여, 카복실기를 3개 이상 포함하는 트라이 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 트라이 카복실산 등의 다작용의 카복실산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구조(3차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점착제층(점착 테이프)의 접착력(점착력)이 낮게 억제되어 버리기 때문에, 높은 접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을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는, 다이올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올 성분으로서는, 적어도, 하이드록실기(수산기)를 분자 중에 2개 갖는 것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이올 성분이 식물 유래의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태양이다.
상기 다이올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식물 유래의 다이올로서, 피마자유로부터 유도되는 지방산 에스터나, 올레산, 에루크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다이머다이올,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밖으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페인다이올, 2-메틸-1,3-프로페인다이올, 1,2-뷰테인다이올, 1,3-뷰테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1,5-펜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3-메틸-1,5-펜테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2,2,4-트라이메틸-1,5-펜테인다이올, 2-에틸-2-뷰틸프로페인다이올, 1,9-노네인다이올, 2-메틸옥테인다이올, 1,10-데케인다이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1,2-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등의 지방족 글리콜이나, 상기 지방족 글리콜 이외의 것으로서,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수소화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식물 유래의 지방족 다이올은, 지구 환경에 좋다는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복실산 성분과 상기 다이올 성분의 몰비는, 1:1.04∼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6∼1.7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7∼1.30이다. 상기 몰비가 1:1.04보다 작아지면, 얻어지는 폴리에스터의 분자량이 커지고, 작용기가 되는 하이드록실기가 적어져, 가교제(예를 들어,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사용해도, 가교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후술하는 원하는 겔 분율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기 어려워지고, 또한, 점착제(층)의 유지력(응집력)을 충분히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몰비가 1:2.10을 초과하면, 원하는 분자량보다 작은 폴리에스터밖에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어, 가교제를 사용해도, 겔화를 촉진하지 못하여, 원하는 겔 분율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기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터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000∼6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0∼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0∼45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인 경우는, 상기 폴리에스터를 이용한 점착제의 접착력(점착력)이나 유지력(응집력)의 저하의 원인이 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을 초과하면, 작용기가 되는 하이드록실기가 적어져, 가교제(예를 들면,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사용해도, 가교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 곤란해져, 후술하는 원하는 겔 분율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터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이면, 상기 카복실산 성분이나 상기 다이올 성분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중합하거나, 또한, 중합 후에 첨가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성분과 상기 다이올 성분의 중합(축합 중합) 반응은, 용제를 사용하여 행해도 되고, 무용제로 해도 되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축합 중합) 반응에서 생성되는 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톨루엔이나 자일렌을 이용하여 공비 탈수시키는 방법이나, 반응계 내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불활성 가스와 함께, 생성된 물이나, 모노알코올을 반응계 밖으로 배출하는 방법, 감압하에서 유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축합 중합) 반응에 이용되는 중합 촉매로서는, 통상의 폴리에스터의 중합 촉매에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타이타늄계, 주석계, 안티몬계, 아연계, 저마늄계 등의 여러 가지의 금속 화합물이나, p-톨루엔 설폰산이나 황산 등의 강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터와 함께,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가교제를 이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가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다작용성 멜라민 화합물,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 다작용성 옥사졸린 화합물, 다작용성 아지리딘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범용성이라는 관점에서, 다가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나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이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폴리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명성이나, 후술하는 원하는 겔 분율을 얻을 수 있어 유효하다. 상기 다가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듀라네이트 TPA-100」(아사히화성케미컬즈사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HK」, 「콜로네이트 HX」, 「콜로네이트 2096」(닛폰폴리우레탄공업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지환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로서는, 예를 들면, 1,2-에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나, 1,2-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2-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4-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5-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5-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메틸-1,5-펜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3-메틸-1,5-펜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라이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나, 1,2-사이클로헥실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사이클로헥실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실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사이클로헥실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2-사이클로펜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사이클로펜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사이클로펜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 첨가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 첨가 테트라메틸자일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로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6-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2'-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에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나이트로다이페닐-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2'-다이페닐프로페인-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3,3'-다이메틸다이페닐메테인-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프로페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m-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p-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나프틸렌-1,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나프틸렌-1,5-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3,3'-다이메톡시다이페닐-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1,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1,3-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상기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나 지환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 이외에, 방향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류에 의한 이량체나 삼량체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이량체나 삼량체,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과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과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에터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과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삼량체 부가물로서, 상품명 「콜로네이트 L」(닛폰폴리우레탄공업사제)이나,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과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삼량체 부가물로서, 상품명 「콜로네이트 HL」(닛폰폴리우레탄공업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작용성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메틸화 메틸올멜라민, 뷰틸화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다이글리시딜아닐린, 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종류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형성한 점착제층의 겔 분율이, 20∼7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60중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5∼55중량%이다. 20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유지력(응집성)이 얻어지지 않게 되고, 70중량%를 초과하면, 가교 밀도가 높아져, 높은 접착력(점착력)이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0.5∼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중량부이다. 배합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제층으로 한 경우에, 유지력(응집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고, 내열성의 저하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교 반응이 지나치게 진행되어 버려, 접착력의 저하를 수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겔 분율을 효율 좋게 조정하기 위해, 가교 촉매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n-뷰틸타이타네이트, 테트라아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뷰틸주석옥사이드, 다이옥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배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5중량부이다. 배합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촉매 첨가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1중량부를 초과하면, 셸프 라이프(보존 안정성)가 현저하게 짧아져, 도포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셸프 라이프를 연장하기 위해,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이나 메탄올, 오쏘아세트산 메틸 등 적절히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점착 부여제>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터와 함께,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점착 특성뿐만 아니라,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의 향상(내구성의 악화를 억제)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로서는, 산가가 8 이하이며, 연화점이 80∼170℃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로서, 예를 들면, 터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로진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공중합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자일렌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케톤계 수지, 엘라스토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점착 부여제가, 적어도 1종의 터펜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터펜계 수지가, 점착 부여제 전체(100중량%)에 있어서, 3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4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0중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60중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터펜계 수지로서, 터펜 수지, 터펜페놀 수지, 및 방향족 변성 터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다이펜텐 중합체나, 이들을 페놀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변성, 탄화수소 변성한 터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으로서는, 야스하라케미컬사제의 「YS 폴리스터 S145」, 「YS 레진 PX1250」, 「YS 폴리스터 T145」), 「YS 레진 TO115」, 「YS 폴리스터 U130」, 「클리어론 P125」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페놀, m-크레졸, 3,5-자일레놀, p-알킬페놀, 레졸신 등의 각종 페놀류와 폼알데하이드의 축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페놀류와 폼알데하이드를 알칼리 촉매하에서 부가 반응시켜 얻어지는 레졸이나, 상기 페놀류와 폼알데하이드를 산 촉매하에서 축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노볼락, 미변성 또는 변성 로진이나 이들의 유도체 등의 로진류에 페놀을 산 촉매하에서 부가시켜, 열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로진 변성 페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로진계 수지로서는, 로진 수지, 중합 로진 수지, 수첨 로진 수지, 로진 에스터 수지, 수첨 로진 에스터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로진)이나, 이들을 수첨화, 불균화, 중합, 그 밖의 화학적으로 수식된 변성 로진,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산가로서는, 8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상기 산가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점착제층의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 부여제를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가 전체의 평균값이 8 이하이면, 특별히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예를 들면, 환구법에 의해 측정)으로서는, 80∼170℃이고, 바람직하게는 90∼1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이다. 상기 연화점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점착 특성(접착력,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배합량은,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20∼100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부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5∼80중량부이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점착 특성(접착력,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내가수분해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터와 함께, 내가수분해제를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내가수분해제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고, 특히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터의 카복실산 말단기와 반응하여 결합하는 화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옥사졸린기, 에폭시기, 카보다이이미드기 등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이, 카복실기 말단기 유래의 프로톤의 촉매 활성을 소실시키는 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다이사이클로헥실 카보다이이미드, 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 다이메틸 카보다이이미드, 다이아이소뷰틸 카보다이이미드, 다이옥틸 카보다이이미드, t-뷰틸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 다이페닐 카보다이이미드, 다이-t-뷰틸 카보다이이미드, 다이-β-나프틸 카보다이이미드, 1작용성 환상 구조 카보다이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1작용성 환상 구조 카보다이이미드란, 분자 구조 내에 카보다이이미드기를 1개 갖고, 지방족기, 지환족기, 방향족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결합기에 의해, 카보다이이미드기의 제1 질소 원자와 제2 질소 원자가 결합된 화합물을 가리킨다. 한편, 상기 결합기는, 헤테로원자,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이사이클로헥실 카보다이이미드나 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 1작용성 환상 구조 카보다이이미드이다. 또한, 그 밖으로서 중합도 3∼15의 카보다이이미드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5-나프탈렌 카보다이이미드, 4,4'-다이페닐메테인 카보다이이미드, 4,4'-다이페닐다이메틸메테인 카보다이이미드, 1,3-페닐렌 카보다이이미드, 1,4-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톨릴렌 카보다이이미드, 2,6-톨릴렌 카보다이이미드, 2,4-톨릴렌 카보다이이미드와 2,6-톨릴렌 카보다이이미드의 혼합물, 헥사메틸렌 카보다이이미드, 사이클로헥세인-1,4-카보다이이미드, 자일릴렌 카보다이이미드, 아이소포론 카보다이이미드, 아이소포론 카보다이이미드, 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4,4'-카보다이이미드, 메틸사이클로헥세인 카보다이이미드, 테트라메틸자일릴렌 카보다이이미드, 2,6-다이아이소프로필페닐 카보다이이미드, 1,3,5-트라이아이소프로필벤젠-2,4-카보다이이미드, 다작용성 환상 구조 카보다이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작용성 환상 구조 카보다이이미드란, 분자 구조 내에 카보다이이미드기를 복수개 갖고, 이들 카보다이이미드기 내, 상이한 카보다이이미드기에 속하는 질소 원자끼리가, 지방족기, 지환족기, 방향족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 화합물을 가리킨다.
상기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은, 열분해에 의해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높은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의 분자량(중합도)을 높게 하는 것,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의 말단을 내열성이 높은 구조로 하는 것, 환상 구조를 갖는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로 하는 것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단, 고분자량의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전술한 대로, 용융 혼련 공정에서 받는 열이나 전단에 의해,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의 분자쇄가 분단(절단)되어, 폴리에스터 필름의 성형성이나 내열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은 한번 열분해를 일으키면 새로운 열분해를 일으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폴리에스터의 압출 온도를 가능한 한 저온으로 하면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의 열분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선상 구조의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은, 카복실산 말단기와 반응하는 것에 의해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스가 발생하고, 또한, 분자 구조 내에 복수개의 카보다이이미드기를 갖는 환상 구조의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에 있어서도, 카복실산 말단기와 반응하는 것에 의해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스가 발생한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분자 구조 내에 1개의 카보다이이미드기를 갖는 1작용성 환상 구조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글리시딜 에스터 화합물이나 글리시딜 에터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글리시딜 에스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벤조산 글리시딜 에스터, t-Bu-벤조산 글리시딜 에스터, p-톨루일산 글리시딜 에스터, 사이클로헥세인 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터, 펠라곤산 글리시딜 에스터, 스테아르산 글리시딜 에스터, 라우르산 글리시딜 에스터, 팔미트산 글리시딜 에스터, 베헨산 글리시딜 에스터, 버사트산 글리시딜 에스터, 올레산 글리시딜 에스터, 리놀산 글리시딜 에스터, 리놀레산 글리시딜 에스터, 베헤놀산 글리시딜 에스터, 스테아롤산 글리시딜 에스터, 테레프탈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아이소프탈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프탈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나프탈렌 다이카복실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메틸테레프탈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사이클로헥세인 다이카복실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아디프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석신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세바크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도데케인다이오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옥타데케인 다이카복실산 다이글리시딜 에스터,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글리시딜 에스터, 피로멜리트산 테트라글리시딜 에스터 등을 들고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글리시딜 에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페닐 글리시딜 에터, o-페닐 글리시딜 에터, 1,4-비스(β,γ-에폭시프로폭시)뷰테인, 1,6-비스(β,γ-에폭시프로폭시)헥세인, 1,4-비스(β,γ-에폭시프로폭시)벤젠, 1-(β,γ-에폭시프로폭시)-2-에톡시에테인, 1-(β,γ-에폭시프로폭시)-2-벤질옥시에테인, 2,2-비스-[p-(β,γ-에폭시프로폭시)페닐]프로페인 및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이나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등의 비스페놀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비스글리시딜 폴리에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옥사졸린 화합물로서는, 비스옥사졸린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2,2'-비스(2-옥사졸린), 2,2'-비스(4-메틸-2-옥사졸린), 2,2'-비스(4,4-다이메틸-2-옥사졸린), 2,2'-비스(4-에틸-2-옥사졸린), 2,2'-비스(4,4'-다이에틸-2-옥사졸린), 2,2'-비스(4-프로필-2-옥사졸린), 2,2'-비스(4-뷰틸-2-옥사졸린), 2,2'-비스(4-헥실-2-옥사졸린), 2,2'-비스(4-페닐-2-옥사졸린), 2,2'-비스(4-사이클로헥실-2-옥사졸린), 2,2'-비스(4-벤질-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m-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o-페닐렌비스(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p-페닐렌비스(4,4-다이메틸-2-옥사졸린), 2,2'-m-페닐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m-페닐렌비스(4,4-다이메틸-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2-옥사졸린), 2,2'-테트라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헥사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옥타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데카메틸렌비스(2-옥사졸린), 2,2'-에틸렌비스(4-메틸-2-옥사졸린), 2,2'-테트라메틸렌비스(4,4-다이메틸-2-옥사졸린), 2,2'-9,9'-다이페녹시에테인비스(2-옥사졸린), 2,2'-사이클로헥실렌비스(2-옥사졸린), 2,2'-다이페닐렌비스(2-옥사졸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는, 2,2'-비스(2-옥사졸린)이 폴리에스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에서 든 비스옥사졸린 화합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나타내는 한,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어느 쪽이든 된다.
이들 내가수분해제로서는, 휘발성이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분자량은 높은 편이 바람직하다. 고분자량형의 내가수분해제를, 상기 폴리에스터와 반응시킨 폴리에스터로 하는 것에 의해, 폴리에스터의 결정성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어,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내구성(내가온 가습 보존성)이나 성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제(특히,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의 배합량은,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0.05∼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중량부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2∼1중량부이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점착제층)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이면, 실레인 커플링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중합 금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박리 조정제, 가소제, 연화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안료나 염료 등의 착색제, 노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금속 분말, 입자상, 박상물(箔狀物)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한 점착제 조성물 용액이나, 열용융액)을 후술하는 지지체에 도포·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지지체에 도포·건조하여 점착제 조성물층으로 하고, 추가로 가교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 후술하는 박리 라이너 상에 도포·형성한 점착제층을 지지체 상에 이착(전사)하는 방법, 점착제층 형성재를 지지체 상에 압출 형성 도포하는 방법,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2층 또는 다층으로 압출하는 방법,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단층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의 공지의 점착 테이프(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와 함께, 점착제층을 인플레이션법이나 T 다이법에 의한 2층 또는 다층에 의한 공압출 성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롤 코팅, 그라비어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롤 브러시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스프레이 코팅,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건조 후)로서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150μm 정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0μm 정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60μm 정도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1μm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력(점착력)을 얻기 어려워, 박리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고, 두께가 150μm를 초과하면, 도공 시에 두께의 정밀도가 나빠져, 불균일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점착제층으로서는, 단층, 적층체 중 어느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은,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판에 대한 접착력이, 7N/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N/20mm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8N/20mm 이상이다. 상기 접착력이 7N/20mm 미만이면, 접착력이 지나치게 낮아져, 곡면의 고정 등이 곤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은, 40℃에 있어서의 유지력이, 0.8mm/6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60분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4mm/60분 이하이다. 상기 유지력이 0.8mm/60분을 초과하면, 어긋남이 커져, 장시간, 일정하게 고정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은, 적어도 편면에 박리 라이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박리 라이너를 갖는 것에 의해, 점착제층(점착 테이프·양면 점착 테이프)의 사용 시까지, 점착제층의 표면을 보호하여 보존할 수 있어, 작업성 등에 있어서도, 유용하다.
상기 박리 라이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박리 라이너용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박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예를 들면,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마이드계의 이형제(박리제) 등에 의한 코팅 처리가 실시된 박리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박리 라이너용 기재는, 단층, 복수층 중 어느 형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라이너용 기재로서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발포체, 금속박 등의 각종 박엽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이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의 원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 바이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물 유래의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폴리락트산,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필름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라이너용 기재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 테이프는,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의 적어도 편면에 지지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양면 점착 테이프는,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이 적어도 2층 있고,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의 적어도 편면에 지지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테이프나 양면 점착 테이프가, 점착제층의 적어도 편면에 지지체를 갖는 것에 의해,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나, 가공성의 향상 등이 도모되어, 바람직한 태양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 테이프나 양면 점착 테이프란, 점착 필름이나 점착 시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지지체가 없는 양면 점착 테이프(점착제층 단독, 기재리스(less))나, 지지체가 존재하는 점착 테이프나 양면 점착 테이프도 포함하는 것이다.
<지지체>
상기 지지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등, 각종의 지지체(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이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뷰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스타이렌 필름, 또한, 나일론 6, 나일론 6,6, 부분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등의 폴리아마이드 필름, 폴리염화 바이닐 필름, 폴리염화 바이닐리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물 유래의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폴리락트산이나 셀룰로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에는,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충전제, 안료나 염료 등의 통상의 점착 테이프용 기재(지지체)에 이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표면은, 필요에 따라서,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관용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크로뮴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 전격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산화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하도제(下塗劑)에 의한 코팅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한 방오 처리나, 도포형, 연입(練入)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이용되는 상기 지지체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중간층이나 하도층 등을 갖고 있어도 문제없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로서는, 그 재질이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00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1∼1000μm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0μm 정도가 특히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300μm 정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250μm 정도이다.
<용도>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계 점착 테이프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부재나 부품의 고정, 라벨의 첩합, 포장재, 벽지 등의 건재, 화장 시트 등, 범용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부」란, 「중량부」를 나타낸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의 배합 내용, 및 점착 테이프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냈다.
<폴리에스터의 조제>
삼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교반기, 온도계, 진공 펌프를 부착하고, 이에 다이머산(상품명 「프리폴 1009」, 분자량 567, 구로다사제) 97.8g, 다이머다이올(상품명 「프리폴 2033」, 분자량 537, 구로다사제) 102.2g, 촉매로서 산화 다이뷰틸주석(간토화학사제) 0.2g을 투입하고, 감압 분위기(2.0kPa 이하)에서 교반하면서 200℃까지 승온하고, 이 온도를 유지했다. 약 5시간 반응을 계속하여 폴리에스터를 얻었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2.8만이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터 100부에, 가교제로서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상품명 「TPA-100」, 아사히화성케미컬즈사제) 3.75부, 점착 부여제인 터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터 S14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40부, 내가수분해제로서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상품명 「카보딜라이트 V-03」, 닛신보케미컬사제) 0.5부를 배합하고, 고형분이 60%가 되도록 톨루엔을 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점착제 용액)을 조정했다. 이를 건조 후의 두께가 30μm가 되도록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상품명 「다이아 호일 MRF#38」, 미쓰비시수지사제)의 박리 처리면에 도공하고, 120℃에서 3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얻었다. 그 후,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상품명 「다이아 호일 MRE#38」, 미쓰비시수지사제)의 박리 처리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첩합하고, 다시 40℃ 3일간 방치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2>
가교제를 3.5부로 하고, 점착 부여제를 20부로 하고, 내가수분해제를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상품명 「카보딜라이트 V-07」)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3>
가교제를 4부로 하고, 내가수분해제를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상품명 「카보딜라이트 V-07」, 닛신보케미컬사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정했다. 이를 건조 후의 두께가 19μm가 되도록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상품명 「다이아 호일 MRF#38」, 미쓰비시수지사제)의 박리 처리면에 도공하고, 120℃에서 3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얻었다. 마찬가지로 또 한쪽의 박리 처리한 PET 필름(상품명 「다이아 호일 MRE#38」, 미쓰비시수지사제)에도 도공하여, 2매의 점착제층을 얻었다. 이 2매의 점착제층으로, 두께 12μm의 PET 필름(상품명 「루미러 12S10」파낙사제)을 협지하여, PET 기재 있는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PET 기재 양면 테이프의 구성).
<실시예 4>
가교제를 2.75부로 하고, 점착 부여제를 터펜 수지(상품명 「YS 레진 PX1250」, 야스하라케미컬사제) 40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5>
점착 부여제를 터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터 T14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20부와 터펜 수지(상품명 「YS 레진 PX1250」, 야스하라케미컬사제) 20부로 하고, 내가수분해제를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상품명 「카보딜라이트 V-03」, 닛신보케미컬사제) 1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6>
가교제를 3.5부로 하고, 점착 부여제를 터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터 S14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30부와 수첨 터펜 수지(상품명 「클리어론 P12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10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7>
가교제를 3부로 하고, 점착 부여제를 방향족 변성 터펜(상품명 「YS 레진 TO11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40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8>
가교제를 4부로 하고, 점착 부여제를 터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터 S14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30부와 로진 에스터(상품명 「펜셀 D135」, 아라카와화학사제) 10부로 하고, 내가수분해제를 0.1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9>
점착 부여제를 터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터 S14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20부와 로진 에스터(상품명 「펜셀 D135」, 아라카와화학사제) 20부로 하고, 내가수분해제를 0.5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0>
점착 부여제를 터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터 S145」, 야스하라케미컬사제) 10부와 로진 에스터(상품명 「펜셀 D135」, 아라카와화학사제) 30부로 하고, 내가수분해제를 2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1>
가교제를 3.5부, 점착 부여제를 로진 에스터(상품명 「펜셀 D135」, 아라카와화학사제)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2>
내가수분해제를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상품명 「카보딜라이트 V-07」, 닛신보케미컬사제) 0.1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3>
내가수분해제를 1부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4>
점착 부여제를 로진 에스터(상품명 「펜셀 D135」, 아라카와화학사제)로 하고, 내가수분해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5>
내가수분해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폴리에스터의 중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폴리머(폴리에스터)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으로 용해한 용액을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법을 이용하고, 표준 폴리스타이렌에 의해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분자량을 측정했다.
(측정 조건)
장치명: 도소사제, HLC-8220GPC
시험편 농도: 0.1중량%(THF 용액)
시험편 주입량: 20μl
용리액: THF
유속: 0.300ml/min
측정(컬럼) 온도: 40℃
컬럼: 시험편 컬럼; TSKguardcolumn SuperHZ-L(1본)+TSKgel SuperHZM-M(2본), 레퍼런스 컬럼; TSKgel
SuperH-RC(1본), 도소제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의 측정>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은, JIS K5601에 기재된 환구법에 준하여 측정했다.
<점착 부여제의 산가의 측정>
점착 부여제의 산가는, JIS K0070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했다.
<대 폴리카보네이트(PC)판 접착력>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한쪽의 박리 처리된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점착면을 두께가 25μm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상품명 「루미러 25S10」, 파낙사제)에 첩합하여 시험체를 얻었다. 상기 시험체를 폭 20mm로 커팅하고, 또 한쪽의 박리 처리된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점착면을 폴리카보네이트판(상품명 「PC1600」, 타키론사제)에 첩합하여, 시험편으로 해서, 대 PC판 접착력(N/20mm)을 측정했다.
한편, 첩합 시의 압착은 2kg의 롤러를 1왕복하여 행하고, 첩합 30분 후에 인장 압축 시험기(장치명 「TG-1kN」, 미네베아사제)에서, 180° 필 접착력(점착력)의 측정을 이하의 조건하에서 행했다.
인장(박리) 속도: 300mm/분
측정 조건: 온도: 23±2℃, 습도: 65±5%RH
상기 대 PC판 접착력(점착력)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7N/20m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N/20mm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N/20mm 이상이다. 상기 접착력이 7N/20mm 미만이면, 접착력이 지나치게 낮아져, 곡면의 고정 등이 곤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유지력>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한쪽의 박리 처리된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점착면을 두께가 25μm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상품명 「루미러 25S10」, 파낙사제)에 첩합하여 시험체를 얻었다. 상기 시험체를 폭 10mm×길이 100mm로 커팅하고, 또 한쪽의 박리 처리된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점착면을 폭 25mm×길이 125mm×두께 2mm의 베이크라이트판에,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각각 대응시켜, 베이크라이트판의 폭 방향의 중심부 부근에, 폭 10mm×길이 20mm 래핑하도록 2kg의 롤러로 1왕복하여 압착해서 첩합하여, 측정편으로 했다. 이 측정편을 이용하여, 40℃의 분위기하에서 30분 방치한 후, 0.5kg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40℃의 분위기하에 1시간(60분) 방치 후의 시험편의 어긋남 길이(mm/60분)를 측정했다.
상기 40℃에 있어서의 유지력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8mm/60분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60분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4mm/60분 이하이다. 상기 유지력이 0.8mm/60분을 초과하면, 어긋남이 커져, 장시간, 일정하게 고정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
얻어진 점착 테이프로부터 한쪽의 박리 처리된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점착면을 두께가 25μm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상품명 「루미러 25S10」, 파낙사제)에 첩합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상기 시험편을 폭 20mm로 커팅하고, 또 한쪽의 박리 처리된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시킨 점착면을 SUS304판에 첩합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이 시험편을 85℃에서 85%RH의 조건하에 500시간 방치하고, 벗겨짐이나 들뜸, 풀 밀려나옴이나 어긋남 등이 없는지 관찰했다.
벗겨짐이나 들뜸, 풀 밀려나옴이나 어긋남이 없는 경우: ○
벗겨짐이나 들뜸, 풀 밀려나옴이나 어긋남이 있는 경우: ×
Figure 112021087065665-pat00001
표 1의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10에 있어서는, 특정의 산가를 갖는 점착 부여제와 내가습분해제를 사용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점착 특성(접착력, 응집력), 및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을 갖는 점착제층(점착 테이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3에 있어서는, 특정의 산가를 갖는 점착 부여제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예 5에 있어서는, 내가습분해제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예 4에 있어서는, 특정의 산가를 갖는 점착 부여제 및 내가습분해제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구성(가온 가습 보존성)이 뒤떨어져, 점착 특성과의 양립이 도모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 박리 라이너
2 점착제층
3 지지체
10 양면 점착 테이프(지지체 없음)
10' 양면 점착 테이프(지지체 있음)
10" 점착 테이프(지지체 있음)

Claims (8)

  1. 폴리에스터, 내가수분해제, 점착 부여제, 및 가교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으로서,
    상기 점착 부여제의 산가가 8 이하이며,
    상기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이 80∼170℃이며,
    상기 폴리에스터 100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점착 부여제를 20∼40중량부, 및 상기 내가수분해제를 0.05~2중량부 함유하고,
    상기 폴리에스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60000이며,
    40℃에 있어서의 유지력이 0.8mm/60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가수분해제가 카보다이이미드기 함유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가, 적어도, 다이카복실산 성분과 다이올 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가, 적어도 1종의 터펜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판에 대한 접착력이 7N/2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에 박리 라이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의 적어도 편면에 지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점착 테이프.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이 적어도 2층 있고,
    상기 폴리에스터계 점착제층의 적어도 편면에 지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계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217023973A 2013-12-20 2014-12-17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316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63918 2013-12-20
JP2013263918 2013-12-20
JP2014247970A JP6687997B2 (ja) 2013-12-20 2014-12-08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テープ、及び、両面粘着テープ
JPJP-P-2014-247970 2014-12-08
PCT/JP2014/083402 WO2015093526A1 (ja) 2013-12-20 2014-12-17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テープ、及び、両面粘着テープ
KR1020167019184A KR20160102226A (ko) 2013-12-20 2014-12-17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184A Division KR20160102226A (ko) 2013-12-20 2014-12-17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22A KR20210096322A (ko) 2021-08-04
KR102316685B1 true KR102316685B1 (ko) 2021-10-22

Family

ID=534028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184A KR20160102226A (ko) 2013-12-20 2014-12-17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KR1020217023973A KR102316685B1 (ko) 2013-12-20 2014-12-17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184A KR20160102226A (ko) 2013-12-20 2014-12-17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87345B2 (ko)
JP (1) JP6687997B2 (ko)
KR (2) KR20160102226A (ko)
CN (1) CN105829482B (ko)
WO (1) WO2015093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800A (ko) 2015-08-18 2018-03-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내화학성 폴리에스테르 감압 접착제
JP6800215B2 (ja) 2015-08-18 2020-12-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耐衝撃性ポリエステル感圧接着剤
WO2017030877A1 (en) 2015-08-18 2017-0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ester compositions
JP6724770B2 (ja) * 2015-12-22 2020-07-1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シート、光学部材用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光学積層体
WO2017189389A1 (en) 2016-04-29 2017-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nd damping film
CN106189947A (zh) * 2016-08-10 2016-12-07 东至县洋湖镇希望皮具厂 一种pu皮革折边用胶粘剂
JP6729709B2 (ja) * 2016-10-21 2020-07-22 東亞合成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JP7067038B2 (ja) * 2016-12-28 2022-05-1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WO2018124200A1 (ja) * 2016-12-28 2018-07-05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7130947B2 (ja) * 2017-05-23 2022-09-0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KR102460457B1 (ko) 2016-12-28 2022-10-2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조성물,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점착 시트 및 점착제층 부착 광학 부재
JP7131018B2 (ja) * 2017-03-30 2022-09-0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シート及び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
JP7003538B2 (ja) * 2017-09-28 2022-01-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接着剤層、粘接着シートおよび樹脂組成物
WO2019073944A1 (ja) 2017-10-12 2019-04-18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7103137B2 (ja) * 2017-10-12 2022-07-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2019085518A (ja) * 2017-11-09 2019-06-06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2020020171A (ja) * 2018-08-01 2020-02-06 株式会社エーアンドエーマテリアル 内装仕上化粧板の施工方法
JP7388044B2 (ja) * 2018-09-05 2023-11-2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2020063431A (ja) * 2018-10-10 2020-04-2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7388814B2 (ja) * 2018-10-29 2023-11-2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飛散防止粘着シート
JP2020079372A (ja) * 2018-11-14 2020-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12512802A (zh) * 2018-11-30 2021-03-16 琳得科株式会社 离型纸,使用该离型纸的胶粘片、标签用原纸以及标签
WO2020218174A1 (ja) * 2019-04-23 2020-10-2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CN114555749B (zh) * 2019-10-23 2024-04-26 三菱化学株式会社 柔性印刷电路板用粘接剂组合物、柔性印刷电路板用粘接剂和柔性印刷电路板
JP7211403B2 (ja) * 2019-10-23 2023-01-2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剤
JP2021084918A (ja) * 2019-11-25 2021-06-0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2021084916A (ja) * 2019-11-25 2021-06-0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7354788B2 (ja) * 2019-11-25 2023-10-0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CN115087713A (zh) * 2019-12-13 2022-09-20 Dic株式会社 粘合带
WO2021153390A1 (ja) * 2020-01-30 2021-08-0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7127674B2 (ja) * 2020-02-21 2022-08-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及び接着剤
JP7371530B2 (ja) * 2020-02-27 2023-10-3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WO2022181141A1 (ja) * 2021-02-26 2022-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CN114231235B (zh) * 2021-12-29 2023-12-19 苏州赛伍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粘合剂、用于柔性扁平电缆的补强板及其制备方法
KR102621143B1 (ko) 2023-03-07 2024-01-03 김효열 생분해성 점착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223A (ja) 1999-08-09 2001-02-20 Sekisui Chem Co Ltd 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及び硬化型粘接着シート
WO2011055827A1 (ja) 2009-11-09 2011-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762B2 (ja) * 1987-05-19 1994-07-06 三菱油化バ−デイツシエ株式会社 粘接着剤用共重合体水性分散体の製造法
JP4099220B2 (ja) * 1995-03-15 2008-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類
KR19980702971A (ko) * 1995-03-15 1998-09-05 야마모토히데키 접착제 조성물, 이의 접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밀봉재, 보강용시트 및 인쇄용 접착 시트
US5780151A (en) * 1995-12-08 1998-07-14 Eastman Chemical Company Radiation crosslinkable branched polyester compositions which are water-dispersible and processes
US6254954B1 (en) * 1997-02-28 2001-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2001207131A (ja) * 2000-01-27 2001-07-31 Harima Chem Inc 低酸価のロジン系粘着付与剤樹脂
KR20020030007A (ko) 2000-09-29 2002-04-22 힐커트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제조된 내가수분해성 투명이축배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053566B2 (ja) * 2006-04-28 2012-10-17 ハリマ化成株式会社 エマルション粘着剤
JP2008138067A (ja) * 2006-12-01 2008-06-19 Lintec Corp 再剥離粘着シート
JP5185691B2 (ja) * 2008-05-21 2013-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マスキングシート
JP2011150214A (ja) * 2010-01-25 2011-08-04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剥離シート付きラベル
JP2011222580A (ja) 2010-04-05 2011-11-04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太陽電池用積層フィルム
JP6088291B2 (ja) 2012-03-16 2017-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223A (ja) 1999-08-09 2001-02-20 Sekisui Chem Co Ltd 硬化型粘接着剤組成物及び硬化型粘接着シート
WO2011055827A1 (ja) 2009-11-09 2011-05-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7345B2 (en) 2018-10-02
US20160312073A1 (en) 2016-10-27
JP2015134906A (ja) 2015-07-27
CN105829482B (zh) 2021-06-08
KR20210096322A (ko) 2021-08-04
KR20160102226A (ko) 2016-08-29
CN105829482A (zh) 2016-08-03
JP6687997B2 (ja) 2020-04-28
WO2015093526A1 (ja)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68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테이프, 및 양면 점착 테이프
JP6343463B2 (ja) 両面粘着テープ
WO2014136765A1 (ja) 粘着剤層、粘着テープ、及び、両面粘着テープ
JP6081233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EP2500392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6088291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7173252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剤層
WO2020218174A1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22873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14169419A (ja) 粘着剤層、粘着テープ、及び、両面粘着テープ
JP2014169420A (ja) 両面粘着テープ
JP7115649B2 (ja) 粘着テープ
WO2021117826A1 (ja) 粘着テープ
WO2013146079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