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413B1 -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413B1
KR102316413B1 KR1020187017315A KR20187017315A KR102316413B1 KR 102316413 B1 KR102316413 B1 KR 102316413B1 KR 1020187017315 A KR1020187017315 A KR 1020187017315A KR 20187017315 A KR20187017315 A KR 20187017315A KR 102316413 B1 KR102316413 B1 KR 10231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edge
weather strip
corner
wal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822A (ko
Inventor
케이지 히로에
아키토 우에다
코타로 오카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varying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19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29L2031/003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 B29L2031/005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for making window frames
    • B29L2031/006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having a profiled transverse cross-section for making window frames and provided with a seal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코스트, 중량 및 닫힘 하중을 종래보다도 저감 가능한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을 제공한다.
차체 개구부(3)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6)은, 차체 개구부(3)의 변부(4a, b, c) 및 코너부(5a, c)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장척물임과 함께, 중공 모양의 씰링부를 가지고 있다.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는 씰링부(20B)의 표면과, 바닥측 코너부(5c)에 대응하는 씰링부(20C)의 표면이 연속해 있다.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는 씰링부(20B)의 벽 두께가, 바닥측 코너부(5c)에 대응하는 씰링부(20C)의 벽 두께보다도 얇게 설정되어 있다.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는 씰링부(20B)는,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벽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AUTOMOBILE WEATHER STRIP}
본 발명은,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開口緣)에 설치되며, 중공(中空) 모양의 씰링부를 갖고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체 개구부(예를 들면 백 도어 개구부, 트렁크 개구부, 프론트 도어 개구부, 리어 도어 개구부 등)의 개구연과, 해당 차량 개구부를 폐색(閉塞) 가능하게 하는 도어체(예를 들면 백 도어, 트렁크 리드, 프론트 도어, 리어 도어 등)의 주연부(周緣部) 사이를 씰링하기 위한 웨더 스트립이 설치되어 있다. 비바람, 먼지, 소리 등이 차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웨더 스트립에는 고도의 씰링 성능이 요구된다.
그런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은, 대체로 똑바로 연장되는 변부(邊部)와, 이러한 변부와 변부를 잇는 만곡된 코너부의 조합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많은 경우, 웨더 스트립은,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서 해당 개구연을 따라 장착되기 때문에, 코너부에서는, 웨더 스트립을 만곡시키면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다만, 코너부에 대응시켜 웨더 스트립을 만곡시킨 경우, 웨더 스트립의 중공 모양 씰링부가 부자연스러운 변형(예를 들면 주름이나 씰링부의 전도)을 발생시켜 부분적으로 씰링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씰링부의 부자연스러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두께(벽 두께)를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두께(벽 두께)보다도 두껍게 설정하는 것을 개시한다(이 문헌의 요약 참조). 또한 특허문헌 2는, 웨더 스트립의 씰링부를 코너부의 형상에 대응시켜 몰드(型) 성형하는 것을 개시한다(이 문헌의 특허청구범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5-3178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3-104749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종전의 대책은 있지만, 특히 빗물에 관해서는, 차체 개구부의 상연(上緣)(루프 부근)의 변부 및 그 양측의 코너부에 있어서 누수가 발생하기 쉽고, 실제로 누수가 발생한 경우에 누수가 눈에 잘 띈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그 때문에 만약을 위해서, 차체 개구부의 변부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의 씰링부의 벽 두께를,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차체 개구부의 상연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일률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다만, 차체의 루프 상에 내리쏟아진 빗물의 흐름을 잘 관찰하면, 빗물은, 차체 개구부의 상연(루프 부근)의 변부를 거쳐서 코너부에 모이고, 모여진 빗물은 다시 차체 측면의 필러부를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며, 차체 개구부의 하연(下緣)측(바닥측)의 코너부 부근을 통해 지면으로 낙하하다. 즉, 루프로부터의 빗물은, 차체 개구부의 하연측의 변부(이하 「바닥측 변부」라고 부른다)에는 거의 유입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종래의 웨더 스트립에 있어서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를, 바닥측 변부 이외의 다른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설정하고 있는 것은, 과잉 품질이라고 보는 견해도 성립된다. 오히려, 이러한 과잉 품질 기미의 벽 두께 설정은, 여분의 재료의 사용에 의한 코스트 상승, 웨더 스트립의 중량 증가, 및, 도어체를 닫을 때의 닫힘 하중(닫힘 저항)의 증대라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요인도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코스트, 중량 및 닫힘 하중(닫힘 저항)을 종래보다도 감소 가능한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 발명은, 바닥측 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함과 함께 바닥측 코너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진 자동차의 차체 개구부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으로서,
해당 웨더 스트립은, 상기 차량 개구부의 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장척물(長尺物)임과 아울러, 중공 모양의 씰링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과, 상기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이, 연속해 있고,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가, 상기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보다도 얇게 설정되며,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는,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벽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의 루프 상에 내리쏟아진 빗물은, 차체 개구부의 하연측 변부(바닥측 변부)에는 거의 유입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에,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벽 두께가 얇은 부분을 설정함으로써, 빗물 등의 누수를 발생시키는 일없이, 웨더 스트립의 경량화, 재료 코스트의 저감, 더 나아가 도어체를 닫을 때의 닫힘 하중(닫힘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웨더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과, 상기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이, 이음매 없이 연속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제1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더 얻어진다. 즉, 만일 본 발명의 웨더 스트립을 압출 성형법으로 제조한 경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와,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를 잇는 이행구간(또는 경계영역)을 단면(斷面) 형상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서변구간(徐變區間)으로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과,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이 「이음매 없이 연속해 있는」 상황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이음매 없이 연속한 상황으로 함으로써,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씰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를 종래 예와 동일한 몰드 성형법으로 성형했다고 한다면,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과,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과의 경계에 이음매(또는 단차(段差))가 생기는 것이 불가피하여, 이 이음매가 씰링부의 씰링성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이 된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웨더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는, 해당 바닥측 변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더 얻어진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 전체가,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벽 두께가 얇은 부분이 되어, 제1 발명의 효과가 더 현저한 것이 된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웨더 스트립에 있어서,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에 있어서, 해당 바닥측 변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가, 해당 바닥측 변부의 중앙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더 얻어진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바닥측 변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내마모성이 상대적으로 향상됨과 아울러 반발력이 증가한다. 특히 내마모성의 향상에 의해, 사람의 승강 시에 있어서의 짓밟음이나 하물(荷物)의 출입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코스트, 중량 및 닫힘 하중(닫힘 저항)을 종래보다도 저감 가능한 웨더 스트립으로 할 수 있다.
[도 1] 승용 차량의 백 도어 개구부의 개요를 나타내며, (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의 장착 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웨더 스트립의 비장착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 도 1의 I-I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도 3] 도 1의 II-II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도 4] 도 1의 III-III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도 5] 승용 차량의 측부(側部) 도어 개구부의 개요를 나타내며, (A)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의 장착 상태에서의 측면도, (B)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의 바닥측 변부 부근의 부분 확대도.
[도 6] 도 5의 IV-IV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도 7] 도 5의 V-V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을 나타낸다.
도 1 (A) 및 (B)는, 일반적인 2 박스 타입의 승용 차량(1)에 있어서, 백 도어(2)를 올린 상태에서의 백 도어 개구부(3)를 나타낸다. 또한, 1a는 차량의 루프, 1b는 차량 후부의 필러부이며, 도 1 (A) 중의 파선 화살표는, 루프(1a)에 내리쏟아진 빗물이 필러부(1b)를 따라 흘러 떨어질 때의 빗물의 경로를 나타낸다.
도 1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은, 대체로 4개의 변부(4a, 4b, 4c)와, 대체로 4개의 코너부(5a, 5c)의 조합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상기 4개의 변부는, 백 도어 개구부(3)의 상연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루프측 변부(4a), 필러부(1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필러측 변부(4b), 및, 백 도어 개구부(3)의 하연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측 변부(4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4개의 코너부는, 루프측 변부(4a)와 필러측 변부(4b)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루프측 코너부(5a), 및, 바닥측 변부(4c)와 필러측 변부(4b)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바닥측 코너부(5c)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코너부(5a, 5c)는, 이웃하는 두 변부를 매끄럽게 연결하도록 만곡된 부분이기 때문에, 「만곡부」라고 말을 바꿀 수도 있다.
도 1 (A)는,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에 웨더 스트립(6)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웨더 스트립(6)은,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환형상(環形狀)(또는 무단 끈 형상)을 이룸과 함께, 상기 변부 및 코너부로 이루어지는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의 전체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긴(長尺) 고무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웨더 스트립(6)의 길이방향에 따른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횡단면 형상은 거의 동일(상사형(相似形)을 포함한다)하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횡단면 형상의 일부의 치수 설정이 다르다.
도 2는, 도 1 (A)의 I-I선 위치에서의 단면, 즉, 백 도어 개구부(3)의 필러측 변부(4b)에 대해서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6)의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측 변부 대응부(6A)는, 설치부(10)와, 그 설치부(10) 상에 인접 배치된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0A)를 갖고 있다.
설치부(10)는, 피설치체로서의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부위이며, 횡단면 「역U자」 모양으로 굴곡된 금속제의 심재(11)(이하 「심금(11)」이라고 한다)와, 그 심금(11)을 피복하도록 부착된 고무 피복부(1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무 피복부(12)의 내측 부분에는, 그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4개의 보유지지 립(1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보유지지 립(13)은,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을 구성하고 있는 차 양측 부재(플랜지)를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해당 웨더 스트립을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에 고정적으로 장착시킨다. 또한, 고무 피복부(12)의 외측 부분 및 설치부(10)의 한쪽 단부 부근(도 2에서는 왼쪽 하단부 부근)에는, 그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3개의 보조 립(차 내측 립(14a), 차 외측 립(14b), 선단측 립(14c))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보조 립 중의 차 내측 립(14a)은, 카펫이나 직물재 등의 내장재의 단부를 덮기 위한 커버 립이다. 또한, 차 외측 립(14b) 및 선단측 립(14c)은, 해당 웨더 스트립(6)을 백 도어 개구부(3)에 장착한 때에 차체와 설치부(1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씰링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에 있어서는, 설치부(10)의 상측에 인접하여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씰링부(20A)는, 차 내측의 벽부(21)(벽 두께:Tin2)와, 차 외측의 벽부(22)(벽 두께:Tout2)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벽부(21, 22)로 둘러싸임으로써 씰링부(20A) 내에는, 횡단면이 대략 마름모꼴인 터널 모양의 중공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20A)는, 빗물에 직접 접하여 충분한 씰링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해당 씰링부(20A)의 벽 두께(Tin2, Tout2)는, 백 도어(2)를,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적절한 하중으로 압압(押壓)할 수 있도록 한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설치부(10)의 고무 피복부(12) 및 4개의 보유지지 립(13)을 형성하는 고무 재료는, 예를 들면,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에 카본블랙 및 가황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조 과정에서 가황제에 의한 가황(즉 폴리머 가교 반응)을 실시한 것이다. 한편, 설치부(10)에 있어서의 3개의 보조 립(14a∼c) 및 씰링부(20A)를 형성하는 고무 재료는, 예를 들면, EPDM에 카본블랙, 가황제 및 발포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조 과정에서 가황제에 의한 가황(즉 폴리머 가교 반응) 및 발포제에 의한 발포(스펀지화)를 실시한 것이다. 덧붙여서, 발포제로 발포시킨 스펀지 모양의 EPDM계 고무 재료는, 고무 피복부(12) 등에 사용되는 가황된 EPDM계 고무 재료보다도 연질이며 더 높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 중, 백 도어 개구부(3)의 루프측 변부(4a)에 대해 설치되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6A')는, 단면 형상 및 치수 모두 상기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와 동일하다. 즉, 루프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의 벽부(21, 22)(도시 생략)의 벽 두께는, 각각 Tin2, Tout2이다.
도 3은, 도 1 (A)의 II-II선 위치에서의 단면, 즉, 백 도어 개구부(3)의 바닥측 변부(4c)에 대해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6)의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 바닥측 변부 대응부(6B)도, 설치부(10)와,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0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설치부(10)는, 형상 및 치수 모두 상기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설치부(10)와 거의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부(10)의 상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0B)는, 차 내측의 벽부(21)(벽 두께:Tin1)와, 차 외측의 벽부(22)(벽 두께:Tout1)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벽부(21, 22)로 둘러싸임으로써 씰링부(20B) 내에는, 횡단면이 대략 마름모꼴인 터널 모양의 중공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씰링부(20B)의 벽부(21, 22)의 벽 두께 Tin1 및 Tout1은, 도 2에 나타내는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20A)의 벽부(21, 22)의 벽 두께 Tin2 및 Tout2보다도 상대적으로 얇게 설정되어 있다(즉, Tin1<Tin2, Tout1<Tout2).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씰링부(20B)는, 루프(1a)로부터 흘러 떨어져 내리는 빗물에 그다지 접하는 일이 없어, 다른 부위의 씰링부 정도의 씰링 성능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벽 두께 Tin1 및 Tout1은 얇아도 충분하다.
도 4는, 도 1의 III-III선 위치에서의 단면, 즉, 백 도어 개구부(3)의 바닥측 코너부(5c)에 대해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6)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도, 설치부(10)와,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0C)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설치부(10)는, 형상 및 치수 모두, 상기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설치부(10)와 거의 같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부(10)의 상측에 인접하여 설치된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0C)는, 차 내측의 벽부(21)(벽 두께:Tin3)와, 차 외측의 벽부(22)(벽 두께:Tout3)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벽부(21, 22)로 둘러싸임으로써 씰링부(20C) 내에는, 횡단면이 대략 마름모꼴인 터널 모양의 중공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씰링부(20C)의 벽부(21, 22)의 벽 두께 Tin3 및 Tout3은, 도 2에 나타내는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20A)의 벽부(21, 22)의 벽 두께 Tin2 및 Tout2보다도 상대적으로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즉, Tin2<Tin3, Tout2<Tout3). 바람직하게는 Tin3(또는 Tout3)은, Tin2(또는 Tout2)의 약 1.4∼2.0배의 두께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웨더 스트립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20C)의 벽 두께(Tin3, Tout3)를,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20A)의 벽 두께(Tin2, Tout2)보다도 의미 있게 두껍게 설정함으로써,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20C)의 강성(剛性)을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20A)의 강성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웨더 스트립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를 백 도어 개구부(3)의 바닥측 코너부(5c)에 만곡시키면서 설치한 경우에도, 해당 씰링부(20C)가 부자연스럽게 찌부러진다거나, 해당 씰링부(20C)에 주름이 들어간다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은 압출 성형법으로 제조되어 있으며, 해당 웨더 스트립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와 바닥측 변부 대응부(6B)를 잇는 이행구간(경계영역)에 있어서는, 씰링부의 벽 두께는,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로부터 바닥측 변부 대응부(6B)를 향해 서서히 얇아지고 있다. 또한, 압출 성형법에 따르기 때문에,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씰링부(20B)의 표면과,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20C)의 표면은, 이음매 없이 연속해 있어, 누수 방지 등의 씰링성이 양호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 중, 백 도어 개구부(3)의 루프측 코너부(5a)에 대해 설치되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C')는, 단면 형상 및 치수 모두 상기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와 동일하다. 즉,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의 벽부(21, 22)(도시 생략)의 벽 두께는, 각각 Tin3, Tout3이다.
또한, 백 도어 개구부(3)의 바닥측 코너부(5c)에 있어서는 누수가 비교적 일어나기 어렵다는 사정이 있다. 이 때문에,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20C)의 벽 두께(Tin3, Tout3)를,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20A)의 벽 두께(Tin2, Tout2)와 동등하게 하는 설계(즉 Tin2=Tin3, Tout2=Tout3)를 채용해도, 누수 방지에 관하여 아무런 지장도 생기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에 있어서의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씰링부(20B), 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20A), 및,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20C)의 3자의 벽 두께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 식과 같은 관계가 된다.
Tin1<Tin2<Tin3, 또는, Tin1<Tin2=Tin3
Tout1<Tout2<Tout3, 또는, Tout1<Tout2=Tout3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에 의하면,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씰링부(20B)의 벽 두께(Tin1, Tout1)가,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20C)의 벽 두께(Tin3, Tout3)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또한,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씰링부(20B)의 벽 두께(Tin1, Tout1)가,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얇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의 루프(1a) 상에 내리쏟아진 빗물은, 백 도어 개구부(3)의 바닥측 변부(4c)에는 거의 유입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는 씰링부(20B)에,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벽 두께가 얇은 부분을 설정함으로써, 빗물 등의 누수를 발생시키는 일없이, 웨더 스트립(6)의 경량화, 재료 코스트의 저감, 더 나아가 백 도어(2)를 닫을 때의 닫힘 하중(닫힘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5∼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을 나타낸다. 이 제2 실시형태도 본 발명을 구현화한 것이며,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즉 설치 위치에 따라 중공 모양 씰링부의 벽 두께를 최적 설정하는 것)을 갖지만, 차체 개구부의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구성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이하, 그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A)는, 4 도어 왜건 타입의 승용 차량(30)에 있어서,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프론트 도어 개구부(31) 및 리어 도어 개구부(32)를 나타낸다. 각각의 개구부(31, 32)의 개구연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웨더 스트립(6)이 장착된다.
도 5 (B)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에 있어서의 바닥측 변부(4c), 그 전후(도 5에서는 지면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바닥측 코너부(5c) 및 한 쌍의 필러측 변부(4b), 및, 그들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다(또한, 4b, 4c, 5c는 웨더 스트립(6)의 뒤쪽에 숨어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용의 웨더 스트립(6)은, 필러측 변부(4b)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러측 변부 대응부(6A),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측 변부 대응부(6B), 및, 바닥측 코너부(5c)에 대응하는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를 적어도 가지고 있다.
도 6은, 도 5의 IV-IV선 위치에서의 단면, 즉, 바닥측 변부 대응부(6B) 중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 근처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 도 7은, 도 5의 V-V선 위치에서의 단면, 즉,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길이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더 스트립(6)의 바닥측 변부 대응부(6B)는, 설치부(10)와, 그 설치부(10) 상에 인접 배치된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3, 24)를 가지고 있다.
도 6 및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설치부(10)는, 그 길이방향 전체를 통해 동일한 단면 형상 및 치수를 가지고 있다. 그 설치부(10)는, 횡단면 U자 모양의 심금(11)과, 그 심금(11)을 피복하는 고무 피복부(12)와, 상기 고무 피복부(1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3개의 보유지지 볼록부(15) 및 보유지지 립(16)과, 상기 고무 피복부(12)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커버 립(17)을 가지고 있다. 보유지지 볼록부(15) 및 보유지지 립(16)은,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을 구성하고 있는 차 양측 부재(플랜지)를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해당 웨더 스트립(6)을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에 고정적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부위이다. 커버 립(17)은, 카펫이나 직물재 등의 내장재의 단부를 덮기 위한 립(lip)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중공 모양 씰링부(23)(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중앙 이외의 위치)와 도 7에 나타내는 중공 모양 씰링부(24)(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중앙 위치)는, 대체로 상사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만, 벽부의 치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씰링부(24)의 벽 두께 T4는, 도 6의 씰링부(23)의 벽 두께 T3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있으며(T3<T4), 그 결과, 씰링부(24)는, 외형상 및 단면적 모두 씰링부(23)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에 있어서는, 바닥측 변부 대응부(6B) 중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 근처에 위치하는 중공 모양 씰링부(23)의 벽 두께 T3이, 해당 웨더 스트립(6)의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얇은 벽 두께로 되어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에 의하면,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에 있어서, 바닥측 변부(4c)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씰링부(24)(도 7)의 벽 두께 T4가, 바닥측 변부(4c)의 중앙부 이외 부분에 대응하는 씰링부(예를 들면 도 6의 씰링부(23))의 벽 두께(T3)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닥측 변부(4c)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씰링부(24)의 내마모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반발력이 증대한다. 특히 씰링부(24)의 내마모성의 향상에 의해, 사람의 승강 시에 있어서의 짓밞음이나 하물의 출입에 대한 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내구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즉,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는 씰링부에 있어서, 해당 바닥측 변부(4c)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씰링부(24)의 벽 두께를, 해당 바닥측 변부(4c)의 중앙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는 것)을, 백 도어 개구부(3)(도 1) 또는 트렁크 개구부(도시 생략)용의 웨더 스트립에 채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점에 관해서 설명하면, 백 도어 개구부(3)나 트렁크 개구부에 있어서는 그 바닥측 변부(4c)의 중앙부 부근에, 도어체의 록 기구와 함께, 도어체의 반(半) 도어 상태를 검지하는 장치를 병설하는 일이 많다. 그리고, 이 반 도어 상태 검지 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웨더 스트립의 씰링부의 반발력이 약하면, 해당 검지 장치는, 도어체가 완전히 닫혀져 있음에도 관계없이 「반 도어 상태에 있다」고 잘못 검출하여 반 도어 경고등을 잘못 점등시키는 일이 있다. 이러한 반 도어 경고등의 잘못된 점등을 극력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 도어 상태 검지 장치의 주변에 배치되는 웨더 스트립의 씰링부의 반발 탄성이 어느 정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바닥측 변부(4c)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씰링부(24)의 벽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해당 씰링부(24)의 반발력을 증대시키는 것은, 반 도어 경고등의 잘못된 점등의 방지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1 승용 차량
3 백 도어 개구부(차체 개구부)
4a 루프측 변부
4b 필러측 변부
4c 바닥측 변부
5a 루프측 코너부
5c 바닥측 코너부
6 웨더 스트립
6A 필러측 변부 대응부
6B 바닥측 변부 대응부
6C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
10 설치부
20A 씰링부(필러측 변부 대응부(6A)의 씰링부)
20B 씰링부(바닥측 변부 대응부(6B)의 씰링부)
20C 씰링부(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C)의 씰링부)
23 씰링부
24 씰링부
30 승용 차량
31 프론트 도어 개구부(차체 개구부)
32 리어 도어 개구부(차체 개구부)

Claims (4)

  1. 바닥측 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함과 함께 바닥측 코너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진 자동차의 차체 개구부에 설치되는 웨더 스트립으로서,
    해당 웨더 스트립은, 상기 차체 개구부의 변부 및 코너부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 장척물(長尺物)임과 아울러, 중공 모양의 씰링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과, 상기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이, 연속해 있고,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가, 상기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보다도 얇게 설정되며,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는, 씰링부 전체 중에서 가장 벽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에 있어서, 해당 바닥측 변부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가, 해당 바닥측 변부의 중앙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벽 두께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측 변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과, 상기 바닥측 코너부에 대응하는 씰링부의 표면이, 이음매 없이 연속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더 스트립.
  3. 삭제
  4. 삭제
KR1020187017315A 2015-12-22 2016-09-01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KR102316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9187 2015-12-22
JP2015249187A JP6434398B2 (ja) 2015-12-22 2015-12-22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PCT/JP2016/075646 WO2017110149A1 (ja) 2015-12-22 2016-09-01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822A KR20180095822A (ko) 2018-08-28
KR102316413B1 true KR102316413B1 (ko) 2021-10-21

Family

ID=5909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315A KR102316413B1 (ko) 2015-12-22 2016-09-01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1225B2 (ko)
JP (1) JP6434398B2 (ko)
KR (1) KR102316413B1 (ko)
CN (1) CN108473037B (ko)
WO (1) WO2017110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5616B2 (en) 2010-11-08 2018-04-24 Chatsworth Products, Inc. Header panel assembly for preventing air circulation above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US20140196394A1 (en) * 2013-01-11 2014-07-17 Chatsworth Products, Inc. Modular thermal isolation barrier for data processing equipment structure
JP6437426B2 (ja) * 2015-12-22 2018-12-12 東海興業株式会社 シール材及びその取付構造
JP6653607B2 (ja) * 2016-03-28 2020-02-26 東海興業株式会社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2018204774A (ja) 2017-06-09 2018-12-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JP2022046133A (ja) * 2020-09-10 2022-03-23 豊田合成株式会社 オープニングトリムウェザストリッ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86A (ja) * 2006-04-26 2007-11-08 Nishikawa Rubber Co Ltd オープニングシールおよび同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6542U (ko) * 1979-11-20 1981-06-22
JPS5676542A (en) * 1979-11-28 1981-06-24 Hitachi Ltd Resin-sealed semiconductor device
JP2769724B2 (ja) 1989-09-14 1998-06-2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オープニングシールのコーナー成形方法
JP2756480B2 (ja) * 1989-11-22 1998-05-25 東海興業株式会社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31784A (ja) * 1991-07-30 1993-02-09 Toyo Tire & Rubber Co Ltd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ツプ及びその成形方法
EP0586073B1 (en) * 1992-07-31 1997-03-26 Tokai Kogyo Kabushiki Kaisha A hollow extrudate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JPH09309136A (ja) * 1996-05-23 1997-12-02 Toyo Tire & Rubber Co Ltd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3407179B2 (ja) * 1996-06-18 2003-05-1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ドア構造
DE102004064021B4 (de) * 2003-02-07 2009-01-22 Toyoda Gosei Co., Ltd. Dichtungsstreifen
FR2860055B1 (fr) * 2003-09-23 2006-01-06 Rehau Sa Joint perimetrique tubulaire a monter sur le rebord d'encadrement d'une ouverture, notamment de carrosserie automobile
JP2008007031A (ja) * 2006-06-30 2008-01-17 Tokai Kogyo Co Ltd ウエザーストリップ
CN101612879A (zh) * 2009-07-31 2009-12-3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背门密封条
US20120240473A1 (en) * 2011-03-23 2012-09-27 Toyoda Gosei Co., Ltd. Weather strip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14196054A (ja) * 2013-03-29 2014-10-16 豊田合成株式会社 オープニングトリムウエザストリップ
JP6168828B2 (ja) * 2013-04-17 2017-07-26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6212425B2 (ja) * 2014-03-28 2017-10-11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ウエザストリップ
JP6228166B2 (ja) * 2015-07-03 2017-11-08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86A (ja) * 2006-04-26 2007-11-08 Nishikawa Rubber Co Ltd オープニングシールおよび同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14183A (ja) 2017-06-29
KR20180095822A (ko) 2018-08-28
WO2017110149A1 (ja) 2017-06-29
US20180370343A1 (en) 2018-12-27
US10611225B2 (en) 2020-04-07
JP6434398B2 (ja) 2018-12-05
CN108473037B (zh) 2021-06-18
CN108473037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413B1 (ko)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EP2008851B1 (en) Weather strip for automobiles
US7172239B2 (en) Sealing structure for vehicle door
JP473541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6496279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
CN104442322B (zh) 机动车玻璃滑槽
KR102316417B1 (ko)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
JP2009056941A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US20130067821A1 (en) Weatherstrip
JP6749800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2010221870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4735327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1073497A (ja) オープニングトリムウエザストリップ
JP5152118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
US20240066966A1 (en) Vehicle roof assembly
JP7349380B2 (ja) グラスランのコーナー部構造
JP4929872B2 (ja) 自動車のドアのシール構造
JP5326430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
JP5521958B2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0234997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5204039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2011042277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0126098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JP2008179281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1131721A (ja) オープニングトリム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