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955B1 - 부단류 공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단류 공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955B1
KR102242955B1 KR1020207023572A KR20207023572A KR102242955B1 KR 102242955 B1 KR102242955 B1 KR 102242955B1 KR 1020207023572 A KR1020207023572 A KR 1020207023572A KR 20207023572 A KR20207023572 A KR 20207023572A KR 102242955 B1 KR102242955 B1 KR 10224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branch pipe
semi
pi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114A (ko
Inventor
야스나리 사토
토시히코 시미즈
마코토 이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Publication of KR2020010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원통톱(H)으로 기설관(1)을 천공하는 천공공정과, 절삭홈(10)으로부터 플러그를 기설관(1) 내에 삽입하는 플러그 삽입공정을 갖춘 부단류 공법으로서, 천공공정에 앞서, 분기관부(42)에 원주방향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을 가지는 T자관(4)을 준비하는 공정과, 천공공정 후에, T자관(4)의 분기관부(42)에 배관재(6)를 접속하는 접속공정과, 접속공정 후에, 반원주홈(20)에 삽입한 제1 게이트(G1)를 빼내는 공정을 갖추고, 플러그 삽입공정에서, 제1 게이트(G1)를 플러그로서 절삭홈(10)으로부터 기설관(1) 내에 삽입한다.

Description

부단류 공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부단류(不斷流) 공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존에 설치된 관로에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2군데에서 부단류 천공 및 플러그 삽입을 행하는 공법은 잘 알려져 있다.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부단수(不斷水) 천공 공법으로서, 본체부 및 분기관부를 가지는 T자관의 상기 본체부를 기설관(旣設管)에 장착하고, 상기 분기관부를 개폐하는 게이트를 개폐하여 원통톱(hole saw)으로 상기 기설관을 천공하는 공법은 잘 알려져 있다.
한편, 플러그 삽입 공법으로서, 상기 기설관에 케이스를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한 엔드밀을 상기 케이스와 함께 회전시켜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한 절삭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홈으로부터 플러그를 상기 기설관 내에 삽입하는 공법은 잘 알려져 있다.
US 7,021,325 B2(표제지)
상기 부단수 천공 공법에는 작업 밸브로서 1개의 게이트가 필요하다. 천공하는 구경이 클 경우, 상기 게이트는 밸브체가 클 뿐만 아니라 밸브 박스는 더욱 크고, 과대한 비용의 요인이 된다. 또한, 분기관부의 위쪽에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 삽입 공법에는, 플러그로서의 게이트나 버터플라이 밸브가 필요하다. 이들 게이트나 밸브 및 이에 부속되는 연결관 등은 메이커의 공법별로 개발된 것으로, 규격품에 비교해 현저하게 고가이다. 이는 과대한 비용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2개의 공법에 있어서의 작업 밸브나 플러그의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데 있으며, 특히, 부단류 공법에 있어서의 작업 밸브로서의 게이트에 관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국면에서, 부단류 공법으로서,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 본체부(41) 및 분기관부(42)를 가지는 T자관(4)의 상기 본체부(41)를 기설관(1)에 장착하고, 상기 분기관부(42)를 개폐하는 제1 게이트(G1)를 개폐하여 원통톱(H)으로 상기 기설관(1)을 천공하는 천공공정과,
상기 기설관(1)에 케이스(5)를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5) 내에 배치한 엔드밀(E)을 상기 케이스(5)와 함께 회전시켜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한 절삭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홈(10)으로부터 플러그를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하는 플러그 삽입공정과,
상기 천공공정에 앞서, 상기 분기관부(42)에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을 가지는 상기 T자관(4)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천공공정 후에, 상기 T자관(4)의 상기 분기관부(42)에 배관재(6)를 접속하는 접속공정과,
상기 접속공정 후에, 상기 반원주홈(20)에 삽입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분기관부(42)로부터 빼내는 공정을 갖추고,
상기 플러그 삽입공정에서, 상기 제1 게이트(G1) 또는 상기 제1 게이트(G1)와 동일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다른 제1 게이트를 상기 플러그로서 상기 절삭홈(10)으로부터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한다.
이 국면에서는, 상기 천공공정에서 사용한 작업용 제1 게이트 또는 상기 천공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제1 게이트를 플러그로서 기설관(1)에 삽입한다. 그 때문에, 천공공정의 작업용 게이트 및 플러그용 게이트를 1개의 제1 게이트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배관을 위한 비용이 저렴해진다.
특히, 제1 게이트의 개발 비용, 설계 비용 및 재고 비용 등이 저렴해질 뿐만 아니라, 제1 게이트를 수용하는 탱크나 제1 게이트를 삽입 및 회수하기 위한 제2 게이트 등도 공용할 수 있어, 현저한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국면에서, T자관(4)의 분기관부(42)에 제1 게이트(G1)를 가지는 천공용 부단류 장치로서,
상기 T자관(4)의 상기 분기관부(42)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원주홈(20)은 양 끝에서 아래쪽을 향해 볼록한 한 쌍의 반원 형상부(21)와, 상기 원주방향(R)으로 뻗어서 상기 반원 형상부(21)끼리를 이어주는 일정 폭의 홈부(22)를 갖추고,
상기 제1 게이트(G1)는, 상기 반원주홈(20)으로부터 상기 분기관부(42) 내에 삽입되는 원형상부를 가지는 밸브체(11)와, 상기 밸브체(11)의 측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한 쌍의 밸브체 측부(12)와, 상기 밸브체 측부(12)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뻗어 있는 한 쌍의 가이더(13)와, 시일용 고무패킹(14)을 갖추고,
상기 고무패킹(14)은,
상기 원형상부의 상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홈부(22)를 한정하는 한 쌍의 평행한 제1 끝면에 접하는 끈 형상의 한 쌍의 상부(15)와,
상기 원형상부의 하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부(42)의 내주면에 접하는 끈 형상의 하부(16)와,
상기 밸브체(11)의 양 사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중간부(17)를 갖추고,
상기 각 중간부(17)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상부(15)가 위쪽으로부터 이어지고 상기 하부(16)가 아래쪽으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각 중간부(17)는 상기 반원 형상부에 들어맞는 반원기둥 형상부(18)를 가지고,
상기 각 중간부(17)는 상기 밸브체 측부(12)의 하면에 접합되는 상면(F0)과, 상기 밸브체(11)의 측면에 접합되는 제1 측면(F1)과, 상기 가이더(13)에 접합되는 제2 측면(F2)을 가진다.
이 국면에서는, T자관(4)의 분기관부(42)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원주홈(20)은 기설관(1)을 엔드밀로 절삭하여 형성되는 절삭홈(10)과 동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천공 공사를 위한 작업 밸브로서의 제1 게이트(G1)를 플러그 삽입용 게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G1)는 플러그 삽입용 게이트로서 사용하지 않고, 천공 공사를 위한 작업 밸브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시일용 고무패킹(14)의 중간부(17)는, 반원주홈(20)의 반원 형상부(21)에 들어맞는 반원기둥 형상부(18)를 가진다. 반원 형상부(21)는 3차원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가지는 한편, 상기 반원기둥 형상부(18)는 단순한 형상이고,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제1 게이트(G1)의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중간부(17)는, 끈 형상의 상부(15) 및 하부(16)에 비해 볼륨이 크고, 그 때문에, 압축량이 커서 제1 게이트(G1)의 시일 기능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제3 국면에서, 천공용 부단류 장치로서,
본체부(41) 및 분기관부(42)를 가지는 T자관(4)과 제1 게이트(G1)를 가지고,
상기 분기관부(42)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게이트(G1)는 상기 반원주홈(20)으로부터 상기 분기관부(42) 내에 침입하여 상기 분기관부(42)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고,
상기 반원주홈(2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1 액세스 통로(43)를 한정하는 제1 통부(44)가 상기 분기관부(42)에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부(42)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진퇴이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하는 제2 게이트(G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게이트(G2)가 상기 액세스 통로(43)를 개방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 게이트(G2)를 수용하는 칼집형상부재(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부(44)에는 상기 제2 게이트(G2)를 포함하는 상기 칼집형상부재(2)가 장착되는 제1 장착 플랜지(45)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부(44)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장착 플랜지(45)의 내측 부분에 소밸브체(V)의 제1 수용부(46)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46) 내의 상기 소밸브체(V)를 상기 제1 통부(44)의 밖에서 개폐조작함으로써 상기 칼집형상부재(2)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국면에서는, 천공작업용 제1 게이트(G1)를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게이트(G1)를 회수하기 위한 제2 게이트(G2) 및 칼집형상부재(2)도 철거할 수 있고, 잔존하는 것은 작은 소밸브체(V)뿐이다. 따라서, 천공공사의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천공용 부단류 장치는 플러그 삽입을 수반하지 않는 천공공사만의 경우에도 작업 밸브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특히, 제2 게이트(G2)는 분기관부(42)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그 때문에, 제2 게이트(G2)가 띠 형상의 폭이 작은 판 형상으로 되고, 소밸브체(V)는 당해 띠 형상의 제2 게이트(G2)의 작은 폭 및 두께에 상당하는 작은 개구를 개폐한다. 따라서, 관로에 잔존하는 소밸브체(V)는 현저하게 작아서,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공법의 하나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배관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천공공정에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천공공정에 사용하는 장치의 일부를 단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게이트가 밸브 개방한 상태로 나타내는 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게이트가 밸브 폐쇄한 상태로 나타내는 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1 게이트가 밸브 폐쇄한 상태의 T자관을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b)는 고무패킹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제1 게이트의 분해 사시도 및 고무패킹의 사시도이다.
도 8은 T자관에 상부 탱크 및 제2 게이트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T자관에 버터플라이 밸브를 더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T자관으로부터 상부 탱크 및 제1 게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a)는 소밸브체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한 T자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b)는 소밸브체 등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T자관으로부터 제2 게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T자관의 일부 단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T자관으로부터 제2 게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T자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절삭홈을 형성하기 위한 밀링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절삭중의 밀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절삭홈을 형성하는 중의 배관 구조의 일부를 단면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커터 대신에 제1 및 제2 게이트를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동 단면도 및 케이스의 이음매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1 게이트가 기설관 내에 침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1 게이트를 기설관으로부터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완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관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삽입공정에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플러그로서 상기 절삭홈(10)으로부터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한다.
이 경우, 부단류 천공의 작업 밸브로서의 제1 게이트(G1)를, 부단류 플러그 삽입용 플러그로서 사용한다. 그래서, 1개의 게이트로 천공과 플러그 삽입의 2개의 공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사비용이 싸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공공정 후에, 상기 분기관부(42)에 상기 배관재(6)로서의 버터플라이 밸브를 접속하여, 상기 접속공정이 실행되고,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가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분기관부(42)로부터 빼내는 공정이 실행된다.
이 경우, 제1 게이트(G1) 대신에 버터플라이 밸브를 분기관부(42)에 접속할 수 있어서, 땅속에서의 밸브나 밸브실이 콤팩트하게 된다. 또한, 분기관부(42)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작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에 바이패스 배관을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접속 후에, 상기 제1 게이트(G1)로 상기 기설관(1)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 공정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배관에 유체를 흐르게 한 후에, 기설관(1)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기관부(42)는, 상기 반원주홈(2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1 액세스 통로(43)를 한정하는 제1 통부(44)를 가지고,
상기 분기관부(42)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하는 제2 게이트(G2)를 상기 분기관부(42)에 설치하는 공정을 더 갖추고,
상기 제2 게이트(G2)에 의해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하여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분기관부(42)로부터 빼내는 공정을 실행한다.
이렇게 분기관부(42)로부터 제1 게이트(G1)를 빼내는 것에 의해, 제1 게이트(G1)를 작업 밸브로서, 몇번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5)는 상기 절삭홈(1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2 액세스 통로(53)를 한정하는 제2 통부(54)를 가지고,
상기 제2 게이트(G2)를 상기 제1 통부(44)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상기 케이스(5)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진퇴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통로(53)를 개폐하는 상기 제2 게이트(G2)를 상기 제2 통부(54)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2 게이트(G2)에 의해 상기 제2 액세스 통로(53)를 개폐하여, 상기 기설관(1)에 삽입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기설관(1)으로부터 빼내는 공정을 더 갖춘다.
이 경우, 부단류 천공과 부단류 플러그 삽입을 1개의 제1 게이트(G1)로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게이트(G1)를 다음 번 이후의 공사에 사용할 수 있어, 현저한 비용 절감과 납기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1개의 상기 각 실시형태 또는 하기의 실시례와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도시한 특징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실시형태 또는 다른 실시례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및/또는 다른 실시형태 또는 실시례의 특징과 조합하거나, 그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례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는데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품번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례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례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예는 기설관(1)이 스틸 파이프일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공법은 천공공정과 플러그 삽입공정을 부단류(부단수)하에서 행하여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는 부단류 공법이다. 본 공법은 상기 천공공정에서 사용한 작업용 게이트로서의 제1 게이트(G1)를 플러그로서 절삭홈(10)으로부터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천공공정은,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 본체부(41) 및 분기관부(42)를 가지는 T자관(4)의 상기 본체부(41)를 기설관(1)에 장착하고, 상기 분기관부(42)를 개폐하는 제1 게이트(G1)를 사용하여 부단수하에서 원통톱(H)으로 상기 기설관(1)을 천공하는 공정이다.
한편, 도 14~도 21의 플러그 삽입공정은, 상기 기설관(1)에 케이스(5)를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5) 내에 배치한 엔드밀(E)을 상기 케이스(5)와 함께 기설관(1)의 외주를 따라 회전시켜,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한 절삭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홈(10)으로부터 플러그를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하는 공정이다.
본 공법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공법에 사용하는 상기 T자관(4) 및 제1 게이트(G1)를 포함하는 천공용 부단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단류 장치는 본체부(41) 및 분기관부(42)를 가지는 T자관(4)과 제1 게이트(G1)를 가진다.
분기관부(42)는 기설관(1)과 동일한 내경, 외경을 가지는 스틸 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분기관부(42)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게이트(G1)는 상기 반원주홈(20)으로부터 상기 분기관부(42) 내에 침입하여 상기 분기관부(42)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다.
상기 반원주홈(2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1 액세스 통로(43)를 한정하는 제1 통부(44)가 상기 분기관부(42)에 결합되어 있다.
본 장치에는 제2 게이트(G2), 칼집형상부재(2) 및 제1 장착 플랜지(4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게이트(G2)는 상기 분기관부(42)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한다. 상기 제2 게이트(G2)가 상기 액세스 통로(43)를 개방하고 있을 때에, 상기 칼집형상부재(2)는 상기 제2 게이트(G2)를 수용한다. 상기 제1 통부(44)에는 상기 제2 게이트(G2)를 포함하는 상기 칼집형상부재(2)가 장착되는 장착 플랜지(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통부(44)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 플랜지(45)의 내측 부분에는, 소밸브체(V)의 제1 수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6) 내의 상기 소밸브체(V)를 상기 통부(44)의 밖에서 개폐조작함으로써, 유체의 유출을 막고, 상기 칼집형상부재(2)의 착탈을 부단수하에서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3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T자관(4)의 상기 분기관부(42)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상기 반원주홈(20)은 양 끝에서 아래쪽을 향해 볼록한 한 쌍의 반원 형상부(21)와, 상기 원주방향(R)으로 뻗어서 상기 반원 형상부(21)끼리를 이어주는 일정 폭의 홈부(22)를 갖춘다.
도 6 및 도 7의 상기 제1 게이트(G1)는, 상기 반원주홈(20)으로부터 상기 분기관부(42) 내에 삽입되는 원형상부(11c)를 가지는 밸브체(11)와, 상기 밸브체(11)의 측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한 쌍의 밸브체 측부(12)와, 상기 밸브체 측부(12)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뻗어 있는 한 쌍의 가이더(13)와, 시일용 고무패킹(14)을 갖춘다.
상기 고무패킹(14)은, 한 쌍의 상부(15), 하부(16) 및 한 쌍의 중간부(17)를 갖춘다.
또한, 일부의 도면에서, 고무패킹(14)의 부위는 회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의 한 쌍의 상부(15)는 상기 밸브체(11)의 원형상부(11c)의 상반부의 가장자리(15e)에 장착되어, 도 4의 상기 반원주홈(20)의 홈부(22)를 한정하는 한 쌍의 평행한 끝면(22f)에 접하는 끈 형상이다. 도 7의 상기 하부(16)는 상기 밸브체(11)의 원형상부(11c)의 하반부의 가장자리(16e)에 장착되어, 도 4의 상기 분기관부(42)의 내주면에 접하는 끈 형상이다. 도 7의 상기 각 중간부(17)는 상기 밸브체(11)의 양 사이드에 각각 장착된다.
도 7(b)의 상기 각 중간부(17)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상부(15)가 위쪽으로부터 이어지고 상기 하부(16)가 아래쪽으로부터 이어져 있다. 도 6의 상기 각 중간부(17)는 반원주홈(20)의 상기 반원 형상부(21)에 들어맞는 반원기둥 형상부(18)를 가진다.
도 7의 상기 각 중간부(17)는 상기 밸브체 측부(12)의 하면에 접합되는 상면(F0)(도 6)과, 상기 밸브체(11)의 측면에 접합되는 제1 측면(F1)과, 상기 가이더(13)에 접합되는 제2 측면(F2)을 가진다.
상기 천공공정에 앞서, 도 2~도 5에 나타내는 T자관(4), 제1 게이트(G1), 제2 게이트(G2) 및 상부 탱크(7) 등을 미리 준비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기설관(1)은 스틸 파이프이다.
상기 분기관부(42)의 기단(基端)은 상기 본체부(41)에 일체로 이어져 있다. 기설관(1)이 스틸 파이프일 경우, 본체부(41)를 포함하는 T자관(4)은 기설관(1)에 현장 용접할 수 있는 스틸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체부(41)는 원통형인 면을 가지는 만곡된 판이라도 되고, 기설관(1)보다도 약간 지름이 큰 원통관을 2개로 분할한 것이라도 된다.
도 3의 T자관(4)의 상기 분기관부(4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부(42)의 선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주지의 천공기를 장착하는 원형 플랜지(42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원형 플랜지(42f) 등의 각 플랜지에는, 볼트를 삽입통과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상기 분기관부(42)에 일체의 상기 제1 통부(44)의 상면에는 사각형 플랜지(44f)를 통하여, 상기 상부 탱크(7)가 장착된다. 도 2의 상부 탱크(7)는 밸브 개방 상태의 제1 게이트(G1)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의 상부 탱크(7) 안은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로 이어져 있다.
또한, 도 10의 천공 후에 장착하는 배관재(6)로서의 버터플라이 밸브 및 제1 덮개판(47) 등을 미리 준비한다. 상기 배관재(6)로서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제1 게이트(G1)(도 8) 대신에 분기관부(42)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도 10의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로는 시판품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랜지가 없는 버터플라이 밸브라도 된다. 또한, 이 버터플라이 밸브는 분기관부(42)의 원형 플랜지(42f)와 도시하지 않은 플랜지 단관(短管)의 사이에 끼워져서 분기관부(42)에 접속된다.
다음에는, 천공공정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설관(1)에 T자관(4)의 본체부(41)를 용접으로 장착한다. 또한, 기설관(1)이 주철관일 경우, 본체부(41)는 기설관(1)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분할 케이스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2의 제1 게이트(G1)를 수용한 상부 탱크(7)가 통부(44)의 사각형 플랜지(44f)에 조립된다. 또한, 제2 게이트(G2)를 수용한 칼집형상부재(2)가 제1 통부(44)의 제1 장착 플랜지(45)에 조립된다.
그 후,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 3의 원통톱(H)을 가지는 천공기가 분기관부(42)의 원형 플랜지(42f)에 장착된다. 제1 게이트(G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원통톱(H)이 기설관(1)을 향해 나아가고, 원통톱(H)이 회전하면서 더 나아가면, 파선으로 나타내는 분기 구멍(H0)이 기설관(1)에 천공된다.
상기 천공 후, 원통톱(H)이 퇴피(退避)한 후, 제1 게이트(G1)가 제1 액세스 통로(43)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도 5 및 도 8과 같이, 제1 게이트(G1)가 반원주홈(20)으로부터 분기관부(42) 내로 들어가고, 제1 게이트(G1)가 밸브 폐쇄 상태가 된다. 이 밸브 폐쇄 상태에서, 제1 게이트(G1)는 분기관부(42)로부터 유체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의 상기 밸브 폐쇄 상태에서, 밸브체(11)의 고무패킹(14)의 상부(15)는 반원주홈(20)의 홈부(22)의 끝면(22f)(도 4)에 접한다. 또한, 밸브체(11)의 중간부(17)는 반원주홈(20)의 반원 형상부(21)의 끝면(21f)(도 4)에 접한다. 또한, 밸브체(11)의 하부(16)는 분기관부(42)의 내주면에 접한다.
상기 천공공정 후에, 도 9의 상기 T자관(4)의 상기 분기관부(42)에 배관재(6)로서의 버터플라이 밸브를 접속하는 접속공정이 실행된다.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는 밸브 폐쇄 상태로 접속된다.
상기 접속공정 후에,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터플라이 밸브가 밸브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반원주홈(20)에 삽입한 상기 제1 게이트(G1)를 분기관부(42)로부터 상부 탱크(7)로 끌어올려 제1 게이트(G1)를 상부 탱크(7) 내에 수용한다. 이 때, 제2 게이트(G2)에 의해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하여 상기 제1 게이트(G1)를 분기관부(42)의 제1 통부(44)로부터 빼낸다.
상기 끌어올리기 후, 도 2의 조작부(31)를 조작하여, 도 2의 소밸브체(V)를 도 9(b)와 같이 회전시켜서 액세스 개구(33)를 열고, 제2 게이트(G2)를 액세스 개구(33)로부터 분기관부(42)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전진시켜서 제1 게이트(G1)의 액세스 통로(43)를 닫는다.
이렇게 하여 도 9의 액세스 통로(43)가 닫힌 후에, 제1 게이트(G1)를 상부 탱크(7)와 함께 제1 통부(44)로부터 떼어낸다. 이 떼어내기 후, 도 10의 상기 제1 통부(44)의 사각형 플랜지(44f)에 제1 덮개판(47)을 부착하고, 제1 통부(44)의 제1 액세스 통로(43)를 폐색한다. 그 후, 도 10과 같이 제2 게이트(G2)를 칼집형상부재(2) 내로 퇴피시켜서 수용한다.
상기 수용 후, 도 2의 조작부(31)(도 2)를 회전 조작하여, 도 11(b)와 같이, 액세스 개구(33)를 닫는다. 상기 액세스 개구(3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게이트(G2)를 칼집형상부재(2)와 함께 제1 장착 플랜지(45)로부터 떼어낸다.
이 떼어내기 후, 도 13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장착 플랜지(45)에 제2 덮개판(48)이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액세스 개구(33)가 완전히 폐색된다. 또한, 버터플라이 밸브에 필요한 바이패스 배관을 접속한 후에, 주지하는 바와 같이, 후술의 기설관(1)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다.
다음에, 상기 플러그 삽입공정의 설명에 앞서, 이 공정에 사용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로는, 도 14의 밀링장치(M) 외에, 상기 천공공정 후에 떼어낸 도 20의 제1 및 제2 게이트(G1, G2) 등을 사용한다.
도 14의 밀링장치(M)는 밀폐 케이스(5) 및 커터(8)를 갖춘다. 상기 밀폐 케이스(5) 및 커터(8)는, 상기 기설관(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절삭홈(10)을 형성한다. 우선, 밀폐 케이스(5)에 대하여 설명한다.
밀폐 케이스(5)는 상하로 2분할된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51, 52)가 서로 현장에서 용접된다. 이 밀폐 케이스(5)는 기설관(1)의 일부를 둘러싼다. 또한, 제1 및 제2 분할 케이스(51, 52)는 주철제라도 되고, 조립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밀폐 케이스(5)와 기설관(1)의 사이는 고무패킹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상기 양 분할 케이스 중 제1 분할 케이스(51)는, 상기 T자관(4)(도 1)의 통부(44)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의 제2 통부(54)를 갖춘다.
즉, 도 20의 상기 제2 통부(54)는 상기 절삭홈(1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도 20과 같이,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2 액세스 통로(53)를 한정한다.
도 20의 상기 제2 통부(54)에는 상기 제2 게이트(G2)를 포함하는 상기 칼집형상부재(2)가 장착되는 제2 장착 플랜지(5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의 상기 제2 통부(54)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장착 플랜지(55)의 내측 부분에는 제2 소밸브체(V2)의 제2 수용부(5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수용부(56) 내의 상기 제2 소밸브체(V2)를 상기 제2 통부(54)의 밖에서 개폐조작함으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상기 칼집형상부재(2)의 착탈을 부단수하에서 가능하게 하는 제2 조작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조작부의 구조 및 형상은 제1 조작부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6의 상기 커터(8)의 엔드밀(E)에 의해, 기설관(1)에 절삭홈(10)을 형성하는 밀링 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립공정:
우선,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설관(1)의 일부를 상기 케이스(5)에 의해 기밀상태로 둘러싼다. 즉, 제1 분할 케이스(51)와 제2 분할 케이스(52)를 서로 용접하고, 기설관(1)을 상하로 끼우도록 둘러싼다. 사각형 플랜지(54f)를 통하여 상기 커터(8)를 제1 분할 케이스(51)에 부착한다.
또한, 제2 장착 플랜지(55)에는 제4 덮개판(58)을 체결한다.
절삭공정:
그 후, 도 15의 실선 및 2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터(8)의 엔드밀(E)을 기설관(1)의 중심(O)을 향해 이동시켜서 커터(8)의 엔드밀(E)로 기설관(1)의 관벽의 일부를 절삭하고, 커터(8)의 엔드밀(E)을 회전시키면서, 도 15의 밀링장치(M) 전체를 기설관(1)의 원주방향(R)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설관(1)의 일부를 천공하여 반원주에 걸치는 절삭홈(10)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절삭된 절삭홈(10)은 도 2의 상기 반원주홈(20)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이다.
즉, 도 15 및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설관(1)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절삭홈(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의 상기 절삭홈(10)은 양 끝에서 아래쪽을 향해 볼록한 한 쌍의 반원 형상부(21)와, 상기 원주방향(R)으로 뻗어서 상기 반원 형상부(21)끼리를 이어주는 일정 폭의 홈부(22)를 갖춘다.
따라서, 도 18의 상기 절삭홈(10)에는 상기 제1 게이트(G1)가 들어가고, 상기 제1 게이트(G1)는 기설관(1)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상기 절삭홈(10)의 절삭범위(β)는 약 180°이지만, 상기 케이스(5)의 회전각(α)은 180°보다도 약간 작다.
교환공정:
그 후, 도 15의 엔드밀(E)을 퇴피시켜서, 도 17과 같이, 제2 게이트(G2)를 내장한 칼집형상부재(2)를 제2 통부(54)의 제2 장착 플랜지(55)에 장착하고, 또한, 도 18의 상기 제2 게이트(G2)로 상기 제2 액세스 통로(53)를 폐색한 후, 도 14의 커터(8) 및 엔드밀(E)을 사각형 플랜지(54f)로부터 떼어낸다.
이 떼어내기 후, 도 17의 상기 제1 게이트(G1)를 내장한 상부 탱크(7)를 상기 사각형 플랜지(54f)에 부착한다.
이 교환공정 후에, 도 18의 제2 게이트(G2)를 제2 액세스 통로(53)로부터 퇴피시켜서, 제2 액세스 통로(53)를 개방한다. 그 후, 도 19와 같이, 제1 게이트(G1)가 제2 액세스 통로(53)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서, 제1 게이트(G1)가 절삭홈(10)으로부터 기설관(1) 내에 들어가고, 제1 게이트(G1)가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상기 밸브 폐쇄 상태에서, 도 18의 밸브체(11)의 상부(15)는 반원주홈(20)의 홈부(22)의 끝면(22f)에 접한다. 또한, 밸브체(11)의 중간부(17)는 절삭홈(10)의 반원 형상부(21)의 끝면(21f)에 접한다. 또한, 밸브체(11)의 하부(16)는 기설관(1)의 내주면에 접한다.
이렇게 하여, 동일한 1개의 제1 게이트(G1)로 도 19의 기설관(1)의 지수(止水)와, 도 8의 T자관(4)의 지수를 행할 수 있다. 즉, 도 8의 부단류 분기를 위한 천공공정과 도 19의 플러그 삽입공정의 쌍방을 1개의 제1 게이트(G1)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G1)를 기설관(1) 내에 남길 경우, 예를 들면, 상품으로서 제1 게이트(G1)를 제공하는 경우 등은, 상기 제1 게이트(G1)와는 다른 제1 게이트를 미리 제조하고, 이 다른 게이트를 플러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삽입공정 후에, 상기 제1 게이트(G1)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기설관(1)의 잘라내기 등의 필요한 관공사를 행한 후,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게이트(G2)에 의해 제2 액세스 통로(53)를 개폐하여, 제1 게이트(G1)를 기설관(1)의 절삭홈(10)으로부터 위쪽의 상부 탱크(7)로 끌어올려 제1 게이트(G1)를 철거한다. 끌어올리기 후의 철거 방법은 상기 천공공정 후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하여,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천공공사와 플러그의 삽입 공사가 완료된다.
또한, 사각형 플랜지(54f)에는 제3 덮개판(57)이 부착되고, 제2 장착 플랜지(55)에는 제4 덮개판(58)이 부착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게이트는 외부 나사식 게이트라도 된다. 유체는 오일이나 가스라도 된다. 또한, 플러그 삽입으로 삽입된 제1 게이트를 밸브로 남길 수도 있다. 또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설치하지 않고, 플러그 삽입 전에 바이패스 배관을 완성시켜도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청구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부단류 공법 및 장치는, 수도나 가스 등의 기설관의 라인에 게이트 밸브체를 삽입하고, 이 삽입한 게이트 밸브체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막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단류 공법은, 부단수 천공 후에 분기 배관을 설치할 경우에 채용할 수 있다.
1:기설관 10:절삭홈
11:밸브체 11c:원형상부 12:밸브체 측부 13:가이더 14:고무패킹
15:상부 15e:가장자리 16:하부 16e:가장자리 17:중간부 18:반원기둥 형상부
2:칼집형상부재(sheath)
20:반원주홈 21:반원 형상부 21f:끝면 22:홈부 22f:끝면
31:조작부 32: 제2 조작부 33:액세스 개구
4:T자관 41:본체부 42:분기관부 42f:원형 플랜지
43:제1 액세스 통로 44:제1 통부 44f:사각형 플랜지
45:제1 장착 플랜지 46:제1 수용부 47:제1 덮개판 48:제2 덮개판
5:케이스 51:제1 분할 케이스 52:제2 분할 케이스 53:제2 액세스 통로
54:제2 통부 54f:사각형 플랜지 55:제2 장착 플랜지 56:제2 수용부
57:제3덮개판 58:제4덮개판
6:배관재 7:상부 탱크 8:커터 E:엔드밀
F0:상면 F1:제1 측면 F3:제2 측면
G1:제1 게이트 G2:제2 게이트 V:소밸브체 V2: 제2 소밸브체
H:원통톱 H0:분기 구멍
M:밀링장치 O:중심 R:원주방향

Claims (8)

  1. 부단류 공법으로서,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 본체부(41) 및 분기관부(42)를 가지는 T자관(4)의 상기 본체부(41)를 기설관(1)에 장착하고, 상기 분기관부(42)를 개폐하는 제1 게이트(G1)를 개폐하여 원통톱(H)으로 상기 기설관(1)을 천공하는 천공공정과,
    상기 기설관(1)에 케이스(5)를 장착하고, 상기 케이스(5) 내에 배치한 엔드밀(E)을 상기 케이스(5)와 함께 회전시켜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한 절삭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홈(10)으로부터 플러그를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하는 플러그 삽입공정과,
    상기 천공공정에 앞서, 상기 분기관부(42)에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을 가지는 상기 T자관(4)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천공공정 후에, 상기 T자관(4)의 상기 분기관부(42)에 배관재(6)를 접속하는 접속공정과,
    상기 접속공정 후에, 상기 반원주홈(20)에 삽입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분기관부(42)로부터 빼내는 공정을 갖추고,
    상기 플러그 삽입공정에서, 상기 제1 게이트(G1) 또는 상기 제1 게이트(G1)와 동일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다른 제1 게이트를 상기 플러그로서 상기 절삭홈(10)으로부터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하고,
    상기 분기관부(42)는, 상기 반원주홈(2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1 액세스 통로(43)를 정의하는 제1 통부(44)를 가지고,
    상기 분기관부(42)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하는 제2 게이트(G2)를 상기 분기관부(42)에 설치하는 공정을 더 갖추고,
    상기 제2 게이트(G2)에 의해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하여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분기관부(42)로부터 빼내는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삽입공정에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플러그로서 상기 절삭홈(10)으로부터 상기 기설관(1)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공정 후에, 상기 분기관부(42)에 상기 배관재(6)로서의 버터플라이 밸브를 접속하여, 상기 접속공정이 실행되고,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가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분기관부(42)로부터 빼내는 공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에 바이패스 배관을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접속 후에, 상기 제1 게이트(G1)에서 상기 기설관(1)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는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는 상기 절삭홈(1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2 액세스 통로(53)를 한정하는 제2 통부(54)를 가지고,
    상기 제2 게이트(G2)를 상기 제1 통부(44)로부터 떼어내는 공정과,
    상기 케이스(5)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또한, 수평방향으로 진퇴하여, 상기 제2 액세스 통로(53)를 개폐하는 상기 제2 게이트(G2)를 상기 제2 통부(54)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제2 게이트(G2)에 의해 상기 제2 액세스 통로(53)를 개폐하여, 상기 기설관(1)에 삽입한 상기 제1 게이트(G1)를 상기 기설관(1)으로부터 빼내는 공정을 더 갖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류 공법.
  6. T자관(4)의 분기관부(42)에 제1 게이트(G1)를 가지는 천공용 부단류 장치로서,
    상기 T자관(4)의 상기 분기관부(42)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원주홈(20)은 양 끝에서 아래쪽을 향해 볼록한 한 쌍의 반원 형상부(21)와, 상기 원주방향(R)으로 뻗어서 상기 반원 형상부(21)끼리를 이어주는 일정 폭의 홈부(22)를 갖추고,
    상기 제1 게이트(G1)는, 상기 반원주홈(20)으로부터 상기 분기관부(42) 내에 삽입되는 원형상부를 가지는 밸브체(11)와, 상기 밸브체(11)의 측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한 쌍의 밸브체 측부(12)와, 상기 밸브체 측부(12)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뻗어 있는 한 쌍의 가이더(13)와, 시일용 고무패킹(14)을 갖추고,
    상기 고무패킹(14)은,
    상기 원형상부의 상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홈부(22)를 한정하는 한 쌍의 평행한 제1 끝면에 접하는 끈 형상의 한 쌍의 상부(15)와,
    상기 원형상부의 하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부(42)의 내주면에 접하는 끈 형상의 하부(16)와,
    상기 밸브체(11)의 양 사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중간부(17)를 갖추고,
    상기 각 중간부(17)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상부(15)가 위쪽으로부터 이어지고 상기 하부(16)가 아래쪽으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각 중간부(17)는 상기 반원 형상부에 들어맞는 반원기둥 형상부(18)를 가지고,
    상기 각 중간부(17)는 상기 밸브체 측부(12)의 하면에 접합되는 상면(F0)과, 상기 밸브체(11)의 측면에 접합되는 제1 측면(F1)과, 상기 가이더(13)에 접합되는 제2 측면(F2)을 가지는, 부단류 장치.
  7. 천공용 부단류 장치로서,
    본체부(41) 및 분기관부(42)를 가지는 T자관(4)과 제1 게이트(G1)를 가지고,
    상기 분기관부(42)에는 원주방향(R)의 반원주에 걸쳐서 절개된 반원주홈(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게이트(G1)는 상기 반원주홈(20)으로부터 상기 분기관부(42) 내에 침입하여 상기 분기관부(42) 내의 유체의 흐름을 막고,
    상기 반원주홈(20)의 바로 위를 향해 뻗어서 상기 제1 게이트(G1)의 제1 액세스 통로(43)를 한정하는 제1 통부(44)가 상기 분기관부(42)에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부(42)의 지름방향과 평행하게 진퇴이동하여, 상기 제1 액세스 통로(43)를 개폐하는 제2 게이트(G2)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게이트(G2)가 상기 액세스 통로(43)를 개방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 게이트(G2)를 수용하는 칼집형상부재(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부(44)에는 상기 제2 게이트(G2)를 포함하는 상기 칼집형상부재(2)가 장착되는 제1 장착 플랜지(45)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부(44)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장착 플랜지(45)의 내측 부분에 소밸브체(V)의 제1 수용부(46)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46) 내의 상기 소밸브체(V)를 상기 제1 통부(44)의 밖에서 개폐조작함으로써 상기 칼집형상부재(2)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31)가 설치되어 있는, 부단류 장치.
  8. 삭제
KR1020207023572A 2018-03-27 2019-03-22 부단류 공법 및 장치 KR102242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9757 2018-03-27
JPJP-P-2018-059757 2018-03-27
PCT/JP2019/012071 WO2019188778A1 (ja) 2018-03-27 2019-03-22 不断流工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114A KR20200103114A (ko) 2020-09-01
KR102242955B1 true KR102242955B1 (ko) 2021-04-21

Family

ID=6805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572A KR102242955B1 (ko) 2018-03-27 2019-03-22 부단류 공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829792B2 (ko)
KR (1) KR102242955B1 (ko)
CN (1) CN111819385B (ko)
SG (1) SG11202008125WA (ko)
TW (1) TWI744616B (ko)
WO (1) WO2019188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6292B (en) * 2020-06-22 2022-12-07 Aker Solutions As Multi-bore-connector for subsea applications
JP7369853B2 (ja) 2020-12-10 2023-10-26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制流弁の開弁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制流弁
JP7296434B2 (ja) * 2021-09-17 2023-06-22 株式会社水研 撤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9059A (ja) * 1998-10-09 2004-03-04 Suiken:Kk 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装置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
KR101436528B1 (ko) * 2013-07-23 2014-09-01 김태윤 유체 차단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분기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299A (ja) * 1998-01-19 1999-07-27 Suiken Technology:Kk 仕切弁
JP3474483B2 (ja) * 1998-07-16 2003-12-08 株式会社水研 配管構造、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仕切弁体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装置
JP3393091B2 (ja) * 1999-06-30 2003-04-07 株式会社水研 不断水分岐配管の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4065678B2 (ja) * 2001-11-05 2008-03-26 株式会社水研 仕切弁
JP4436102B2 (ja) * 2003-10-01 2010-03-24 株式会社水研 不断水分岐穿孔用の割t字管の製造方法
US7021325B2 (en) 2004-01-08 2006-04-04 Occlude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hot tapping a line
JP2012237387A (ja) * 2011-05-12 2012-12-06 Suiken:Kk ゲートを備えた弁装置および不断流下におけるゲートなどの機物の交換方法。
GB2498983B (en) * 2012-02-01 2016-06-15 Stats (Uk) Ltd Pipe isolation for small bore pipe
KR101843096B1 (ko) * 2013-10-17 2018-03-28 가부시키가이샤 스이켄 부단류 장치 및 부단류 공법
US9605633B2 (en) * 2014-04-30 2017-03-28 Electro-Motive Diesel, Inc. Manifold assembly for dual-walled pipe
CN104405991B (zh) * 2014-10-20 2016-11-23 邢梓杉 塑料输送管道用鞍形开孔装置及其开孔方法
CN107208835B (zh) * 2015-01-26 2018-11-13 株式会社水研 不断流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9059A (ja) * 1998-10-09 2004-03-04 Suiken:Kk 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装置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
KR101436528B1 (ko) * 2013-07-23 2014-09-01 김태윤 유체 차단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분기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9385B (zh) 2021-12-31
JPWO2019188778A1 (ja) 2020-12-03
TW201942498A (zh) 2019-11-01
KR20200103114A (ko) 2020-09-01
CN111819385A (zh) 2020-10-23
JP6829792B2 (ja) 2021-02-10
WO2019188778A1 (ja) 2019-10-03
TWI744616B (zh) 2021-11-01
SG11202008125WA (en)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955B1 (ko) 부단류 공법 및 장치
KR100525719B1 (ko) 기설관 절삭공법, 배관구조 및 밸브 삽입공법
WO2011099398A1 (ja) 不断流装置および不断流工法
CN105531523A (zh) 不断流装置及不断流工艺
JP6147940B2 (ja) 不断流工法
JP464251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仕切弁設置方法及び仕切弁設置装置
KR20060067930A (ko) 일체형 부단수 활정자관
JP2016098920A (ja) 管接続部材設置装置
JP3474484B2 (ja) 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および不断流バルブ挿入装置
JP2000088173A (ja) 配管構造、既設管切削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仕切弁体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装置
JP4262543B2 (ja) 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装置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
JP2013199991A (ja) 不断流バルブ挿入方法
JP3824145B2 (ja) 配管遮断方法、および、配管遮断ケース体
JP464252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4313621B2 (ja) 配管構造、既設管切削工法、不断流バルブ挿入工法、仕切弁体および不断流挿入用バルブ装置
JP4642522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JP4516666B2 (ja) 不断流装置および工法
JPH07190274A (ja) 管類接続構造
JP3218084B2 (ja) 管接続装置
JP5832929B2 (ja) 流体管分岐装置及び流体分岐方法
JP2012237387A (ja) ゲートを備えた弁装置および不断流下におけるゲートなどの機物の交換方法。
JP7096583B2 (ja) 流体機器設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流体機器
JP2825951B2 (ja) 配管の工事方法
JP3177016B2 (ja) 管接続装置
KR200189440Y1 (ko) 관로용지수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