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440Y1 - 관로용지수밴드 - Google Patents

관로용지수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440Y1
KR200189440Y1 KR2019980004890U KR19980004890U KR200189440Y1 KR 200189440 Y1 KR200189440 Y1 KR 200189440Y1 KR 2019980004890 U KR2019980004890 U KR 2019980004890U KR 19980004890 U KR19980004890 U KR 19980004890U KR 200189440 Y1 KR200189440 Y1 KR 200189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ipe
packing
w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751U (ko
Inventor
민신웅
Original Assignee
민신웅
주식회사아세아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신웅, 주식회사아세아조인트 filed Critical 민신웅
Priority to KR2019980004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44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원수관, 상수관 등의 관로상에서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그리고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응급조치하여 지수시킬 수 있고, 물을 다른 곳으로 끌어쓰기 위한 분기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관로용 지수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기설 관로의 관을 에워쌀 만한 칫수의 내경을 가진 본체의 원주를 등분하여 복수의 밴드부재(2a,b)로 하고, 각 밴드부재(2a,b)의 원주방향에 있는 단부에는 결속용 플랜지(6)를 형성하여 체결구(5)로 체결하며, 적어도 일측 밴드부재(2a)에는 나사공(21)을 삭성하고, 이 나사공(21)에는 나사관(41)과 배수구(42)가 형성된 밸브(4)를 설치하며, 밴드부재(2a,b)내에 패킹(3)을 삽입한 것이다.

Description

관로용 지수밴드
본 고안은 상수관로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그리고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응급조치하여 지수시킬 수 있고, 물을 다른 곳으로 유도하기 위한 분기작업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한 관로용 지수밴드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원수관이나 상수관에는 고압수가 흐르고 있다. 지하 수관이 노휴, 동해(凍害), 토압, 진동, 지진 등의 변수때문에 국소적으로 구열 혹은 구멍이 뚫리면 고압의 상수가 누설된다. 지하 수관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면 서둘러 합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원수 또는 상수의 누수로 인한 유·무형의 피해가 예측곤란하기 때문이다.
지하 수관이 구열, 파공으로 인하여 물이 새는 것을 발견하였다면 우선은 그 지점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한 단수용 밸브를 잠그고, 땅을 파헤친 다음에 문제가 발생한 부위를 땜질하거나 새로운 관으로 교체한 후 복토하는 것을 이제까지의 복구관행으로 여겨 왔다. 그러나 이같은 구태의연한 지하 수관의 응급복구방식은 앞서 잠근 단수밸브 사이의 관로 내에 들어있던 잔수의 수압 때문에 복구작업이 지장을 받으므로 그 잔수의 수압이 작업하기 알맞은 수준에 다달을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 복구가 더디다. 특히 차량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서 이같은 비상사태가 벌어지면 차량통행에 큰 불편이 따르고, 그로인해 입을 연료비의 추가부담과 잔수의 판매비용감소등 금전적 손실은 물론 차량의 매연공해도 증가할 것이다.
또, 금이 가거나 터진 관로의 당해 부위를 용접만으로도 우선 복구가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도 용접기와 비상발전기와 같은 복구장비와 이들 장비를 운영할 작업자의 동원 등에 드는 비용도 무시 못한다.
한편, 지상의 상수관처럼 수압이 상존하는 기설 관로에서 그 물의 일부를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분기할 경우, 지금까지는 분기점의 관 일부를 잘라내고 그 자리에 T, 크로스 등의 접속구를 설치하고, 이 접속구에 분기관을 접속해야 했는데, 실제로 이같은 분기관의 설치작업은 기설 관로의 부분절개와 접속구설치 등의 관련작업이 시간적으로 더디고 번거로우며, 비용부담도 컸다.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된 상수관, 지상 상수관 등의 관로상에서 국소적인 구열, 파손으로 인해 발생한 누수사태의 응급복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도 지수시킬 수 있는 관로용 지수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관을 에워쌀 수 있는 내경을 가진 본체는 원주를 등분한 2개 이상의 밴드부재로 하고, 각 밴드부재의 원주방향에 있는 단부에는 각기 거기에 이어지는 다른 밴드부재와 함께 보울트-너트로 체결할 수 있는 플랜지를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밴드부재에는 살을 관통하는 나사공을 삭성하고 여기에 배수구를 가진 밸브를 장착하며, 조립된 밴드의 안쪽에는 배수공이 천공된 패킹을 내장한 관로용 지수밴드를 제공한다.
이 지수밴드는 우선은 구멍 혹은 구열이 발생한 관로의 당해 부위에 배수공이 위치하도록 패킹을 두르고, 패킹의 겉에 밸브가 열린 밴드부재를 비롯한 모든 밴드부재로 에워싸고 각 밴드부재의 플랜지끼리 보을트-너트로 체결한다. 이 과정에서 관로의 내부 수압 때문에 부득이 새어나오는 물은 패킹의 배수공과 밸브의 배수구를 통하여 관로 밖으로 배출되므로 그 유체의 압력을 견디고 지수밴드를 둘러 설치할 수가 있다. 지수밴드를 설치한 직후에 밸브를 잠근다. 이로써 지수가 이뤄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지수밴드를 관에 설치한 상태의 부분절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패킹의 각종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수밴드 2a,b : 밴드부재
3 : 패킹 4 : 밸브
5 : 체결구 6 : 플랜지
21 : 나사공 31 : 통공
41 : 나사관 42 : 배수구
제1,2도에서, 관로용 지수밴드(1)는 복수의 밴드부재(2a,b)와, 관과 밴드부재(2a,b) 사이에 끼이는 패킹(3), 일측 밴드부재(2a)에 장착되는 배수/지수용 밸브(4), 그리고 밴드부재끼리 체결하는 체결구(5)로 구성되어 있다.
밴드부재(2a,b)는 둥근 관의 외경보다도 큰 내주면을 가진 원형 밴드를 원주분할한 것으로, 분할점은 2등분인 경우에는 반경, 3등분 이상일 경우에는 반경미만이 된다. 이렇게 분할하면 기설 관로에 씌워서 체결하기가 수월하다. 모든 밴드부재(2a,b)의 원주방향에 있는 단부에는 상대편 밴드부재에 맞대어 체결하기 위한 플랜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밴드부재(2a,b)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2a) 또는 (2b)의 적당한 곳에는 나사공(21)이 천공되어 있다. 이 나사공(21)은 패킹(3)과 밴드부재(2a,b)를 관로에 씌웠을 때 구열로 생긴 틈이나 구멍으로 새나오는 물이 지수밴드(1) 밖으로 무난히 빠져나게 함으로써 일종의 감압작용이 일어나게 해 지수밴드(1)를 둘러 씌우는 작업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지수 밸브(4)를 틀어박을 자리이기도 하다. 도시예에서는 일측 밴드부재(2a)에 이 나사공(21)을 삭성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패킹(3)은 적어도 한쪽이 완전히 터지고,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중간지점의 한복판에 통공(31)이 천공된 패킹으로 한다. 통공(31)은 관에서 새는 물이 패킹밖으로 나가게 하는 배수공이다. 링패킹은 기설 관로의 중간 부위에서 둘러 씌울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목적의 패킹(3)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쪽의 단부를 겹쳤을 때 서로 엇걸리는 턱-홈(32)을 형성한 것, 제4도에서 보듯이 열린 쪽의 단부를 맞대어 끼워 물릴 수 있는 암,수접속부(33,34)을 형성한 것, 제5도와 같이 열린 쪽의 단부가 빗면(35)으로 된 것 등이 있다.
밸브(4)는, 본체상에 상기 나사공(21)에 틀어박히는 나사관(41)과, 나사관(41)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밸브(관로) 밖으로 나갈 수 있게 한 배수구(42)를 형성한 것이다. 본체에 조립된 스템(43)을 틀어서 나사관(41)을 열어주면 물이 거쳐 나갈 통로가 열리고, 스템(43)을 상기와는 반대쪽으로 틀어서 나사관(41)을 막으면 지수(止水)된다. 체결구(5)는 보울트-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관로용 지수밴드(1)의 쓰임새는 제1,2도에 잘 나타나 있다. 이들 그림에서, 예컨대 지하 수관(A)의 임의 위치에 구열로 인한 틈 또는 관살의 일부가 깨져서 구멍(B)이 생긴 탓에 그리로 물이 새는 것으로 판명되었을 때에는 우선 그 지점의 흙을 걷어내고 구멍(B)을 포함한 지하 수관(A)의 주위에 패킹(3)을 두른다. 이때, 패킹(3)은 되도록 열린 쪽의 단부가 구멍(B)으로 부터 멀리 위치하도록 둘러 감는 것이 이후의 지수에 유리하다.
밸브(4)는 열어 둔다. 그리고는 패킹(3)의 겉에 정연하게 밴드부재(2a,b)를 씌우고, 각 밴드부재(2a,b)에서 서로 맞닿인 플랜지(6)끼리 체결구(5)로 체결한다. 이런 요령으로 지수밴드(1)로 지수시키는 과정에서 구멍(B)으로 분출되는 물은 나사관(41)을 통하여 밸브(4)의 본체 속으로 유입된 뒤에 곧장 배수구(42)로 빠져나간다. 이같은 분출수의 감압작용 때문에 지수밴드(1)를 설치하기가 한결 수월해진다. 지수밴드(1)를 완전히 설치한 후에는 밸브(4)를 잠근다. 이로써 구멍(B)이 지수밴드(1)에 의해 막히는 것에 다름없는 완벽한 지수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지수밴드(1)는 분기목적으로도 훌륭하게 전용할 수가 있다. 즉, 지하 또는 지상 상수관로상의 임의지점에 패킹(3)을 둘러 감고 그 겉에 밸브(4)를 뺀 밴드부재(2a)와 무나사공 밴드부재(2b)를 씌운 다음에 체결구(5)로 체결한다.
나사공(21)으로 드릴을 넣어 패킹(3)과 상수관(A)에 구멍을 내고 드릴을 뺀 후 나사공(21)에 밸브(4)의 나사관(41)을 틀어 박는다. 이때도 나사관(41)은 열어뒀다가 밸브(4)를 설치한 뒤에 막는 것이 원칙이다. 상기와는 달리 지수밴드(1)가 설치될 곳에 드릴로 미리 구멍을 내고 그 주위에 통공(31)이 일치하도록 패킹(3)을 두른 다음 밴드부재(2a,b)를 씌워 덮어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원수관로, 상수관로가 구열, 파공으로 인하여 누수되는 경우 아주 신속간편하게 지수조치할 수 있. 또, 용접기와 비상발전기같은 복구장비가 불필요하므로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도 멀마든지 응급조치할 수가 있다. 또한, 기설 관로의 물을 다른 곳으로 이끌기 위한 분기작업도 간단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Claims (2)

  1. 기설 관로의 관을 에워쌀 만한 칫수의 내경을 가진 본체의 원주를 등분하여 복수의 밴드부재(2a,b)로 하고, 각 밴드부재(2a,b)의 원주방향에 있는 단부에는 결속용 플랜지(6)를 형성하여 체결구(5)로 체결하며, 적어도 일측 밴드부재(2a)에는 나사공(21)을 삭성하고, 이 나사공(21)에는 나사관(41)과 배수구(42)가 형성된 밸브(4)를 설치하며, 밴드부재(2a,b)내에 패킹(3)을 삽입한 관로용 지수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은 배수용 통공(31)을 천공한 관로용 지수밴드.
KR2019980004890U 1998-03-31 1998-03-31 관로용지수밴드 KR200189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890U KR200189440Y1 (ko) 1998-03-31 1998-03-31 관로용지수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890U KR200189440Y1 (ko) 1998-03-31 1998-03-31 관로용지수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751U KR19990038751U (ko) 1999-10-25
KR200189440Y1 true KR200189440Y1 (ko) 2000-08-01

Family

ID=1953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890U KR200189440Y1 (ko) 1998-03-31 1998-03-31 관로용지수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4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450B1 (ko) * 2001-12-27 2004-10-20 한전기공주식회사 배관에서 누설되는 계통수 밀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751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843B1 (en) Split sleeve clamp assembly
US4756338A (en) Pipe repair assemblies to repair pipe when fluids therein are under high pressure
EP0068657B1 (en) Method of mains insertion
US3827448A (en) Sub-sea pipeline tapping device
JP4938479B2 (ja) ガス配管のガス遮断方法
WO2017044001A1 (ru)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аварийных протечек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защиты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US4342338A (en) Boot for sealing ruptured gas or water mains and tool for application
WO2018000538A1 (zh) 无人船载管线维修夹具
USRE30311E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rnally testing conduit connections
JP6147940B2 (ja) 不断流工法
KR200189440Y1 (ko) 관로용지수밴드
US4268070A (en) Orifice flange clamp
KR101488830B1 (ko)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 장치
KR101219189B1 (ko) 배관차단용 핏팅 플러그의 설치구조
KR200316886Y1 (ko)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US99331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a leak from a tubular member
JPH06113438A (ja) ケーブル等の管路の止水方法と構造
CN220152176U (zh) 管道法兰漏点修复装置
RU2198340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магистраль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70101353A (ko) 부단수 차단 활정자관 어셈블리
RU2178856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газопровода
RU2657405C1 (ru) Защитный кожух для стыков трубопровода и его соединений с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ой
JP2015081671A (ja) 更生管の分岐方法及び分岐部構造
US20080012289A1 (en) Mechanical repair fitting for polyethylene pipes
JPH046974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