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360B1 -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360B1
KR101613360B1 KR1020140096375A KR20140096375A KR101613360B1 KR 101613360 B1 KR101613360 B1 KR 101613360B1 KR 1020140096375 A KR1020140096375 A KR 1020140096375A KR 20140096375 A KR20140096375 A KR 20140096375A KR 101613360 B1 KR101613360 B1 KR 10161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vertical
main bod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310A (ko
Inventor
이동미
Original Assignee
이동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미 filed Critical 이동미
Priority to KR102014009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 누수를 보수할 수 있는 관에 있어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1관통공과 분기관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2관통공으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몸체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을 관통한 제3관통공이 있는 차수몸체 및, 차수몸체의 제3관통공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수평차단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공법에 있어서, (a)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일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터파기하는 단계와, (b)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이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몸체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몸체의 일단 및 분기관에 결합되는 차수몸체와, 차수몸체의 제3관통공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는 수평차단밸브 및, 분기관의 일단에 설치되는 마개플랜지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분기관에 설치된 차수몸체의 타단에 수직차단밸브를 설치한 후 분기관의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부재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를 움직여 분기관의 내부공간을 막고, 분기관에서 마개플랜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c) 바이패스관의 양단이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분기관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와, (d)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를 막고, 수직차단밸브를 몸체의 일단에 있는 차수몸체의 타단에 설치한 후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를 움직여 수직차단밸브가 몸체의 내부 공간을 막아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분기관과 바이패스관의 통로만으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와, (e)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제수변을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단계와, (f)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여 유체가 보수 또는 교체된 유체관 또는 제수변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수직차단밸브를 분기관의 차수몸체에 설치하여 분기관의 내부공간을 막은 후 바이패스관을 제거하는 단계와, (g) 분기관의 일단에 마개플랜지를 설치한 후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는 단계 및, (h) (g) 단계 후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을 단수하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가 공급될 수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 A fluid supply deformed fittings for bypass of flui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repairing the fluid conduit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바이패스관 및 차단판을 삽입할 수 있는 관임)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을 막지 않고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를 공급할 수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관로 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의 이송에 사용되는 유체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화되었을 경우, 균열이나 파손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막대한 양의 유체가 지중으로 누수되고 있어 시급히 보수하거나 새로운 유체관으로 교체시공을 요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지하에 매설된 유체관의 40∼50%가 장시간의 사용과 유지 관리의 미흡으로 강도가 저하되고, 균열, 파손, 부식 등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환경부 통계(2002년)에 따르면, 노후로 인해 생산된 수돗물의 14.8%가 누수로 사라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유체관이 서로 접속될 때, 이 접속부의 결합을 위해 압륜이나 플랜지를 접합하여 배관하였으며, 유체관 부설시 관을 연결하는 압륜 접합부분이나 플랜지 부분, 용접 결합부위 등이 부식되거나 오랫동안 사용으로 자연 파손될 경우와 유체관 동파로 인해 보수하고자 할 때 새로운 유체관으로 교체하였다.
종래의 유체관에 대한 수선공사는 유체관의 정기 보수나 교체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유체관의 정기 보수나 교체시에는 기존관을 천공하여 부단수차단막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수리하는 것으로 비용이 고비용이고, 일회성 밖에 되지 못하여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유체관을 절단하므로 불가피하게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제수변을 이용하여 단수를 하여야 한다. 또한, 유체관에 결합되어 있는 제수변의 밸브가 고장나거나 수리할 때도 일정지역을 단수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체관의 단수는 해당 단수지역의 주민들의 불편 및 사회적 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 등으로 인해 많은 민원이 야기되고 있으므로 유체관에 대한 수선공사가 적기에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소한의 현상유지를 위해 그대로 있는 실정이어서 유체관로의 시설물 유지관리에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유체관 또는 제수변에 대한 수선공사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해당 단수지역 주민에게 사전에 단수 안내를 홍보하기 위한 홍보물 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절단되는 유체관 또는 제수변 내의 물이 퇴수로 인해 버려지는 등 유체관 또는 제수변 교체 시공에 따른 많은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며, 유체관을 절단하여 유체관 내부의 유체를 퇴수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평균 2~7시간) 공사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대기하는 인원 및 장비의 손실과 공사 소요시간만큼의 단수가 수반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66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바이패스관 및 차단판을 삽입할 수 있는 관임)에 의해서 유체를 단수하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지역주민의 불편을 없애고 유체관의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관에 있어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1관통공과 분기관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2관통공으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몸체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을 관통한 제3관통공이 있는 차수몸체 및, 차수몸체의 제3관통공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수평차단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공법에 있어서, (a)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일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터파기하는 단계와, (b)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이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몸체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몸체의 일단 및 분기관에 결합되는 차수몸체와, 차수몸체의 제3관통공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는 수평차단밸브 및, 분기관의 일단에 설치되는 마개플랜지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분기관에 설치된 차수몸체의 타단에 수직차단밸브를 설치한 후 분기관의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부재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를 움직여 분기관의 내부공간을 막고, 분기관에서 마개플랜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c) 바이패스관의 양단이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분기관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와, (d)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를 막고, 수직차단밸브를 몸체의 일단에 있는 차수몸체의 타단에 설치한 후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를 움직여 수직차단밸브가 몸체의 내부 공간을 막아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보수할 제수변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분기관과 바이패스관의 통로만으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와, (e) 누수되는 유체관 또는 제수변을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단계와, (f)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여 유체가 보수 또는 교체된 유체관 또는 제수변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수직차단밸브를 분기관의 차수몸체에 설치하여 분기관의 내부공간을 막은 후 바이패스관을 제거하는 단계와, (g) 분기관의 일단에 마개플랜지를 설치한 후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를 움직여 차수몸체의 내부공간을 막는 단계 및, (h) (g) 단계 후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을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을 단수하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가 공급될 수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은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보수공사를 할 수 있어 공사지역의 장시간 통제가 필요치 않아 민원발생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셋째, 본 발명은 시설 초기단계부터 바이패스관 및 차단판을 삽입할 수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이 설치되어 있어 향후 언제라도 누수 및 보수개량되는 곳을 피해 우회시킴과 동시에 누수 및 보수, 개량하는 곳을 부분 차단하여 기존 유체흐름을 단수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저비용 시공공법이다.
도1은 본원발명인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수평차단밸브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원발명인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서 수직차단밸브와 수평차단밸브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6a 내지 도6i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 중에 제수변을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에 관한 시공순서도이다.
도7a 내지 도7i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 중에 유체관을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에 관한 시공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인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수평차단밸브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원발명인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수직차단밸브와 수평차단밸브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관에 있어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1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1관통공(120)과 분기관(110)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2관통공(130)으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몸체(100)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제1관통공(120) 및 제2관통공(13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을 관통한 제3관통공(210)이 있는 차수몸체(200) 및,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수평차단밸브(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차수몸체(200) 및 수평차단밸브(300)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바이패스관 및 차단판을 삽입할 수 있는 관임)에 관한 것으로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상,하수도관, 용수관 등을 말한다)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을 이용하여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의 물을 말한다)의 흐름을 막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의 이송에 사용되는 유체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화되었을 경우, 균열이나 파손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막대한 양의 유체가 지중으로 누수되고 있어 시급히 보수하거나 새로운 유체관으로 교체시공을 요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지하에 매설된 유체관의 40∼50%가 장시간의 사용과 유지 관리의 미흡으로 강도가 저하되고, 균열, 파손, 부식 등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환경부 통계(2002년)에 따르면, 노후로 인해 생산된 수돗물의 14.8%가 누수로 사라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유체관이 서로 접속될 때, 이 접속부의 결합을 위해 압륜이나 플랜지를 접합하여 배관하였으며, 유체관 부설시 관을 연결하는 압륜 접합부분이나 플랜지 부분, 용접 결합부위 등이 부식되거나 오랫동안 사용으로 자연 파손될 경우와 유체관 동파로 인해 보수하고자 할 때 새로운 유체관으로 교체하였다.
종래의 유체관에 대한 수선공사는 유체관의 정기 보수나 교체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유체관의 정기 보수나 교체시에는 기존관을 천공하여 부단수차단막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수리하는 것으로 비용이 고비용이고, 일회성 밖에 되지 못하여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유체관을 절단하므로 불가피하게 유체를 공급하는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거나 제수변을 이용하여 단수를 하여야 한다. 또한, 유체관에 결합되어 있는 제수변의 밸브가 고장나거나 수리할 때도 일정지역을 단수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체관의 단수는 해당 단수지역의 주민들의 불편 및 사회적 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 등으로 인해 많은 민원이 야기되고 있으므로 유체관에 대한 수선공사가 적기에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소한의 현상유지를 위해 그대로 있는 실정이어서 유체관로의 시설물 유지관리에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유체관 또는 제수변에 대한 수선공사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해당 단수지역 주민에게 사전에 단수 안내를 홍보하기 위한 홍보물 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절단되는 유체관 또는 제수변 내의 물이 퇴수로 인해 버려지는 등 유체관 또는 제수변 교체 시공에 따른 많은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며, 유체관을 절단하여 유체관 내부의 유체를 퇴수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평균 2~7시간) 공사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대기하는 인원 및 장비의 손실과 공사 소요시간만큼의 단수가 수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에 의해서 유체를 단수하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지역주민의 불편을 없애고 유체관의 교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을 단수하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 또는 유체관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가 공급될 수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수변 또는 유체관 보수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보수공사를 할 수 있어 공사지역의 장시간 통제가 필요치 않아 민원발생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시설 초기단계부터 바이패스관 및 차단판을 삽입할 수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이 설치되어 있어 향후 누수 및 보수개량되는 곳을 언제라도 피해 우회시킴과 동시에 누수 및 보수, 개량하는 곳을 부분 차단하여 기존 유체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저비용 시공공법이다.
몸체(100)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체(상수도, 하수도, 용수 등)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통상의 유체관(상,하수도관, 용수관 등) 형상에 분기관(110)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이형관이다. 상세하게 몸체(100)는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1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1관통공(120)과 분기관(110)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2관통공(130)으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부재이다. 제1관통공(120)과 제2관통공(130)은 뒤에서 설명하는 차수몸체(2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뚫려있는 구멍이다. 몸체(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차수몸체(200)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제1관통공(120) 및 제2관통공(13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을 관통한 제3관통공(210)이 있는 부재이다. 차수몸체(200)는 뒤에서 설명하는 수평차단밸브(300)와 수직차단밸브(400)가 용이하게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수몸체(200)는 몸체(1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부재로 내부의 공간을 따라 몸체(100)에서 흐르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으나 이는 수평차단밸브(300) 또는 수직차단밸브(400)에 의해서 차단되어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제3관통공(210)은 수평차단밸브(300)가 손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뚫려 있는 구멍이다. 차수몸체(200)는 수평차단밸브(300) 또는 수직차단밸브(400)가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몸체(100)와 같은 재료가 사용된다.
수평차단밸브(300)는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구성이다. 수평차단밸브(300)는 차수몸체(200)와 몸체(100)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통로를 통해 유체가 밖으로 배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수몸체(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수평차단밸브(300)는 차수몸체(200)의 밖으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면 다양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제1회전몸체(320) 및 수평차단몸체(3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회전몸체(320)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차단몸체(330)가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내부에서 차수몸체(200)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막거나 오픈시킬 수 있다.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은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에 제1결합공(3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면이 오픈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1회전몸체(320)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제1결합공(31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1회전몸체(320)는 사용자가 일단부위를 렌치 등의 공구로 회전시키면 타단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차단몸체(330)가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와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부재이다. 수평차단몸체(330)는 제1회전몸체(3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3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 제1회전몸체(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평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부재이다. 수평차단몸체(330)는 주 목적이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여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즉, 수평차단몸체(330)는 차수몸체(20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차수몸체(200)의 단면 형상에 맞게 사각형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평차단몸체(330)는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보다 정밀하게 밀착되고 결합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패킹부재(600)가 둘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패킹부재(600)는 수평차단몸체(330)와 차수몸체(200)가 밀착되게 결합되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또 다른 실시예로 ,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것으로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설치되는 수직차단밸브(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차단밸브(400)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즉, 수직차단밸브(400)는 수평차단밸브(300)와 시스템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에 설치된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부재(200)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막아 유체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수직차단밸브(400)는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유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차수몸체(2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유체가 밖으로 배출될 염려가 없는 구성이다. 수직차단밸브(400)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제2회전몸체(420) 및 수직차단몸체(430)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2회전몸체(420)의 회전에 의하여 수직차단몸체(430)가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내부에서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구성이다.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은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에 제2결합공(4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면이 오픈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2회전몸체(420)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제2결합공(41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2회전몸체(420)는 사용자가 일단부위를 렌치 등의 공구로 회전시키면 타단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차단몸체(430)가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과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부재이다. 수직차단몸체(430)는 제2회전몸체(4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4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 제2회전몸체(4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부재이다. 수직차단몸체(430)는 주 목적이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즉, 수직차단몸체(430)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타단이 맞닿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단면 형상에 맞게 곡면으로 라운드 되어 있는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직차단몸체(430)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보다 정밀하게 밀착되고 결합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패킹부재(600)가 둘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패킹부재(600)는 수직차단몸체(430)와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가 밀착되게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5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6a 내지 도6i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 중에 제수변을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에 관한 시공순서도이다. 도7a 내지 도7i는 본원발명의 유체 관로 보수 공법 중에 유체관을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에 관한 시공순서도이다.
본원발명은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 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공법에 있어서, (a)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일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터파기하는 단계와, (b)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110)이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몸체(100)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몸체(100)의 일단 및 분기관(110)에 결합되는 차수몸체(200)와,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수평차단밸브(300) 및, 분기관(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마개플랜지(500)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분기관(110)에 설치된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수직차단밸브(400)를 설치한 후 분기관(110)의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부재(200)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고, 분기관(110)에서 마개플랜지(500)를 제거하는 단계와, (c) 바이패스관(30)의 양단이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분기관(110)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와, (d)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막고, 수직차단밸브(400)를 몸체(100)의 일단에 있는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설치한 후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수직차단밸브(400)가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막아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분기관(110)과 바이패스관(30)의 통로만으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와, (e)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을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단계와, (f)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여 유체가 보수 또는 교체된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수직차단밸브(400)를 분기관(110)의 차수몸체(200)에 설치하여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은 후 바이패스관(30)을 제거하는 단계와, (g) 분기관(110)의 일단에 마개플랜지(500)를 설치한 후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단계 및, (h) (g) 단계 후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단계 내지 (h)단계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유체 관로에 설치된 제수변(40) 또는 유체관(20) 보수시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바이패스관 및 차단판을 삽입할 수 있는 관임)을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막지 않고 보수되는 제수변(40) 또는 유체관(20)을 우회하여 일정지역에 계속하여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 지역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설 초기단계부터 바이패스관 및 차단판을 삽입할 수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이 설치되어 있어 향후 누수 및 보수개량되는 곳을 언제라도 피해 우회시킴과 동시에 누수 및 보수, 개량하는 곳을 부분 차단하여 기존 유체흐름을 단수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저비용 시공공법이다. 여기서 설명되어 지지 않는 구성은 상기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에 관한 설명에서 설명되어 진 것으로 한다.
(a)단계는, 도6a 및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일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터파기하는 단계이다. (a)단계는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위치를 파악하여 후속되는 공정들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된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 주변을 충분한 공간으로 터파기하는 단계이다.
(b)단계는, 도6b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분기관(110)에 수직차단밸브(400)를 설치한 후 수직차단밸브(400)를 작동시켜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고 분기관(110)의 일단에 있는 마개플랜지(50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110)이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몸체(100)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몸체(100)의 일단 및 분기관(110)에 결합되는 차수몸체(200)와,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수평차단밸브(300) 및, 분기관(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마개플랜지(500)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분기관(110)에 설치된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수직차단밸브(400)를 설치한 후 분기관(110)의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부재(200)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고, 분기관(110)에서 마개플랜지(50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몸체(100)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돗물 같은 유체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통상의 유체관 형상에 분기관(110)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이형관이다. 상세하게 몸체(100)는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1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1관통공(120)과 분기관(110)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한 제2관통공(130)으로 이루어진 'T'자 형상의 부재이다. 제1관통공(120)과 제2관통공(130)은 뒤에서 설명하는 차수몸체(2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뚫려있는 구멍이다. 몸체(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차수몸체(200)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제1관통공(120) 및 제2관통공(13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을 관통한 제3관통공(210)이 있는 부재이다. 차수몸체(200)는 뒤에서 설명하는 수평차단밸브(300)와 수직차단밸브(400)가 용이하게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수몸체(200)는 몸체(1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부재로 내부의 공간을 따라 몸체(100)에서 흐르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으나 이는 수평차단밸브(300) 또는 수직차단밸브(400)에 의해서 차단되어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제3관통공(210)은 수평차단밸브(300)가 손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뚫려 있는 구멍이다. 차수몸체(200)는 수평차단밸브(300) 또는 수직차단밸브(400)가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몸체(100)와 같은 재료가 사용된다.
수평차단밸브(300)는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구성이다. 즉, 수평차단밸브(300)는 차수몸체(200)와 몸체(100)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통로를 통해 유체가 밖으로 배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수몸체(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수평차단밸브(300)는 차수몸체(200)의 밖으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면 다양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제1회전몸체(320) 및 수평차단몸체(3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회전몸체(320)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차단몸체(330)가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내부에서 차수몸체(200)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막거나 오픈시킬 수 있다.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은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에 제1결합공(3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면이 오픈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1회전몸체(320)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제1결합공(31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1회전몸체(320)는 사용자가 일단부위를 렌치 등의 공구로 회전시키면 타단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차단몸체(330)가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와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수평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부재이다. 수평차단몸체(330)는 제1회전몸체(3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3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 제1회전몸체(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평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부재이다. 수평차단몸체(330)는 주 목적이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여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즉, 수평차단몸체(330)는 차수몸체(20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차수몸체(200)의 단면 형상에 맞게 사각형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평차단몸체(330)는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보다 정밀하게 밀착되고 결합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패킹부재(600)가 둘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패킹부재(600)는 수평차단몸체(330)와 차수몸체(200)가 밀착되게 결합되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수평차단밸브(300)는 분기관(110)에 설치된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이 오픈되도록 작동시키고, 몸체(110)의 일단에 설치된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도록 수평차단몸체(330)가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에 있도록 작동시킨다. 즉, 본원발명의 수평차단밸브(300)가 상기와 같이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외주면에 있는 차수몸체(200)에서 움직여 수돗물 같은 유체가 공급될 장소에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직차단밸브(400)는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분기관(110) 또는 몸체(11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것으로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수직차단밸브(400)는 수평차단밸브(300)와 시스템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분기관(110) 또는 몸체(110)에 설치된 수평차단밸브(300)가 움직여 차수부재(200)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는 경우 수직차단밸브(400)가 움직여 분기관(110) 또는 몸체(110)의 내부공간을 막는 구성이다. 또한, 수직차단밸브(400)는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물 같은 유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차수몸체(200)로부터 새어 나올 수 있는 유체가 밖으로 배출될 염려가 없는 구성이다. 수직차단밸브(400)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10)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제2회전몸체(420) 및 수직차단몸체(430)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2회전몸체(420)의 회전에 의하여 수직차단몸체(430)가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내부에서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분기관(110) 또는 몸체(11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오픈시키는 구성이다.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은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면에 제2결합공(4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면이 오픈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2회전몸체(420)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제2결합공(41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2회전몸체(420)는 사용자가 일단부위를 렌치 등의 공구로 회전시키면 타단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차단몸체(430)가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과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부재이다. 수직차단몸체(430)는 제2회전몸체(4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4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 제2회전몸체(4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부재이다. 수직차단몸체(430)는 주 목적이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즉, 수직차단몸체(430)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 타단이 맞닿는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의 단면 형상에 맞게 곡면으로 라운드 되어 있는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직차단몸체(430)는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보다 정밀하게 밀착되고 결합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패킹부재(600)가 둘레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패킹부재(600)는 수직차단몸체(430)와 분기관(110) 또는 몸체(100)가 밀착되게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c)단계는, 도6b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30)의 양단이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분기관(110)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이다. 바이패스관(30)은 내부 단면이 분기관(110)과 같은 크기로 되어 있는 'u'자형 관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을 우회하여 계속 흐를 수 있도록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유체 이형관(10)의 분기관(110)에 각각 결합되도록 시공되는 부재이다.
(d)단계는, 도6c,d,e 및 7c,d,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분기관의 수직차단밸브를 제거하면서 몸체(100)의 일단에 수직차단밸브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막고, 수직차단밸브(400)를 몸체(100)의 일단에 있는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설치한 후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수직차단밸브(400)가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막아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분기관(110)과 바이패스관(30)의 통로만으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이다.
(e)단계는, 도6f 및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을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단계이다. 즉, (e)단계는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으로 유체가 흐르지 않음으로 신속하게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수 있다.
(f)단계는, 도6g 및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여 유체가 보수 또는 교체된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수직차단밸브(400)를 분기관(110)의 차수몸체(200)에 설치하여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은 후 바이패스관(30)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f)단계는 유체가 다시 보수 또는 교체된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의 통로만 흐르도록 하여 바이패스관(30)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g)단계는, 도6h 및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110)의 일단에 마개플랜지(500)를 설치한 후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단계이다. 즉, (g)단계는 되메우기 하기 전에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거된 수직차단밸브(400)는 다음 구간에서 시공되는 유체관로 보수 공사에서 재사용될 수 있어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즉, 본원발명은 수직차단밸브(400)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발명으로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h)단계는, 도6i 및 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단계 후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이다. (h)단계는 누수되는 유체관로를 보수한 후 주민사람들의 편의를 위하여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로 시방서에 나와 있는 방법으로 되메우기 및 다짐을 하는 단계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20 : 유체관
30 : 바이패스관
100 : 몸체 110 : 분기관
120 : 제1관통공 130 : 제2관통공
200 : 차수몸체 210 : 제3관통공
300 : 수평차단밸브 310 : 수평차단밸브하우징
320 : 제1회전몸체 330 : 수평차단몸체
400 : 수직차단밸브 410 : 수직차단밸브하우징
420 : 제2회전몸체 430 : 수직차단몸체
500 : 마개플랜지
600 : 패킹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체를 단수시키지 않고 유체관로를 보수할 수 있는 공법에 있어서,
    (a)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일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터파기하는 단계;
    (b)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원형 관의 측면에 분기관(110)이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몸체(100)와,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일단 및 상기 분기관(110)에 결합되는 차수몸체(200)와, 상기 차수몸체(200)의 제3관통공(21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수평차단밸브(300) 및, 상기 분기관(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마개플랜지(500)로 구성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상기 분기관(110)에 설치된 상기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수직차단밸브(400)를 설치한 후 상기 분기관(110)의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상기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고, 상기 분기관(110)에서 상기 마개플랜지(500)를 제거하는 단계;
    (c) 바이패스관(30)의 양단이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의 양단 방향으로 각각 설계에 의해서 시설 초기단계부터 시공되어 있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10)의 상기 분기관(110)에 각각 결합되는 단계;
    (d)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막고,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 있는 상기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설치한 후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오픈시키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움직여 상기 수직차단밸브(400)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을 막아 유체가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보수할 제수변(40)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상기 분기관(110)과 상기 바이패스관(30)으로 만 흐르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누수되는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을 보수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단계;
    (f)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여 유체가 보수 또는 교체된 상기 유체관(20) 또는 제수변(40)으로 흐르도록 하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상기 분기관(110)의 상기 차수몸체(200)에 설치하여 상기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은 후 상기 바이패스관(30)을 제거하는 단계;
    (g) 상기 분기관(110)의 일단에 상기 마개플랜지(500)를 설치한 후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를 제거하면서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를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공간을 막는 단계; 및,
    (h) 상기 (g) 단계 후 (a)단계에서 터파기했던 곳을 되메우기 및 다짐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차단밸브(300)는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에 제1결합공(3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차수몸체(200)의 상기 제3관통공(210)에 결합되는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상기 제1결합공(311)에 결합되는 제1회전몸체(320); 및,
    상기 제1회전몸체(3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3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차단몸체(330)로 구성되되,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1회전몸체(3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평차단몸체(330)가 상기 수평차단밸브하우징(310) 내부에서 상기 차수몸체(200) 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여 상기 차수몸체(200)의 내부를 오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차단밸브(400)는
    일단이 오픈되고 타단에 제2결합공(411)이 있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차수몸체(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길이방향으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막대부재로 일단이 상기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상기 제2결합공(411)에 결합되는 제2회전몸체(420);
    상기 제2회전몸체(420)의 타단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일단의 홈(431)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차단몸체(430)로 구성되되,
    상기 제2회전몸체(4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직차단몸체(430)가 상기 수직차단밸브하우징(410) 내부에서 상기 차수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분기관(110)의 내부공간을 막거나 또는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공간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을 이용한 유체 보수 공법.
KR1020140096375A 2014-07-29 2014-07-29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KR10161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375A KR101613360B1 (ko) 2014-07-29 2014-07-29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375A KR101613360B1 (ko) 2014-07-29 2014-07-29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10A KR20160014310A (ko) 2016-02-11
KR101613360B1 true KR101613360B1 (ko) 2016-04-29

Family

ID=5535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375A KR101613360B1 (ko) 2014-07-29 2014-07-29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68B1 (ko) 2006-08-28 2007-05-25 (주) 엘앤티 활관 보수를 위한 바이패스방식 충전 장치
KR100799480B1 (ko) * 2002-12-02 2008-01-31 조희남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KR101026625B1 (ko) 2010-08-30 2011-04-04 한국수자원공사 부단수차단식 바이패스수단에 의한 관개량공사 시공공법
KR101403700B1 (ko) 2014-01-24 2014-06-05 이기완 원통 디스크 밸브가 설치된 부단수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80B1 (ko) * 2002-12-02 2008-01-31 조희남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KR100721968B1 (ko) 2006-08-28 2007-05-25 (주) 엘앤티 활관 보수를 위한 바이패스방식 충전 장치
KR101026625B1 (ko) 2010-08-30 2011-04-04 한국수자원공사 부단수차단식 바이패스수단에 의한 관개량공사 시공공법
KR101403700B1 (ko) 2014-01-24 2014-06-05 이기완 원통 디스크 밸브가 설치된 부단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10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079B1 (ko) 밸브 접합관
US20130156506A1 (en) Method for Renewal or Rehabilitation of Water Supply Pipelines and Plug Arrangement for use in Said Method
CN104278732A (zh) 一种用于城市排水管道修复时的临时排水装置
JP4505836B2 (ja)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KR101026568B1 (ko) 노후 수도관의 무단수 비굴착 관개량 공사 공법
KR101488830B1 (ko)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 장치
KR100749550B1 (ko)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 및 그 구조
KR101764772B1 (ko) 상하수도 관로 바이패스용 삼방밸브
KR101613360B1 (ko)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KR20160145977A (ko) 형상기억합금이 삽입된 관거 보수보강용 튜브
US7121293B2 (en) Tri valve backflow preventer
KR101524598B1 (ko)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매니폴드 장치
JP2004524460A (ja) 管継手
KR100995348B1 (ko) 맨홀구조체
JP6588796B2 (ja) 排水配管構造、該排水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新規取付部材、及び排水配管方法
JP4454650B2 (ja) 流体配管系の分岐管更新工法
KR101580044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KR101399523B1 (ko) 유체 차단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분기 공법용 장치 설치구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JP5584344B1 (ja) 更生管の分岐方法及び分岐部構造
CN112538893A (zh) 一种现状水池侧壁开洞穿管的结构及其施工方法
JP4803519B2 (ja) 筒状可変形導管
KR101419773B1 (ko) 관로진단 및 보수를 위한 물막이 공법
JP2016017608A (ja) 管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