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179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179B1
KR102234179B1 KR1020157030450A KR20157030450A KR102234179B1 KR 102234179 B1 KR102234179 B1 KR 102234179B1 KR 1020157030450 A KR1020157030450 A KR 1020157030450A KR 20157030450 A KR20157030450 A KR 20157030450A KR 102234179 B1 KR102234179 B1 KR 10223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ain
weight
grain tank
deter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819A (ko
Inventor
히로츠구 이노우에
가즈히로 다카하라
히로시 이케다
가즈노리 마츠후지
가츠히데 가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7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60379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7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84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70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950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13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5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the level of grain in 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grain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Abstract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콤바인이 개시된다. 측정 스위치(66)로부터 중량 측정 신호가 출력되면,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작업 상태 판정부(71)에 작업 상태 판정을 지령하고, 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로드셀(39)에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1]
종래의 콤바인의 일례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콤바인에는, 곡립 탱크(특허문헌 1에서는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을 행하는 중량 측정부(특허문헌 1에서는 「로드셀」)가 구비되어 있다.
[배경기술 2]
종래의 콤바인의 일례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콤바인에는, 곡립 탱크(특허문헌 2에서는 「그레인 탱크」)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상태를 검지하는 높이가 상이한 복수 단의 저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는 레벨 센서(특허문헌 2에서는 「벼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콤바인에서는, 예를 들어 최상단의 계측 센서가 곡립을 검지했을 때,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이 일정량에 달했다는 취지, 예를 들어 만량이라는 취지의 통지를 운전자에게 행할 수 있다.
[배경기술 3]
종래의 콤바인의 일례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콤바인은, 곡립 탱크(특허문헌 3에서는 「그레인 탱크」) 내에 설치된 곡립 공급구로부터 유입되는 곡립을 압쇄하여, 압쇄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164967호 공보(JP10-164967A)(단락 번호 [0009], [0010], [도 1]) 일본 특허 제5098277호 공보(JP5098277B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46831호 공보(JP2006-246831A)
상기 [배경기술 1]에 대응하는 [과제 1]은, 이하와 같다.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콤바인이 작업 상태에 있을 때에도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측정할 때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으면, 작업에 의해 곡립 탱크가 진동하여, 중량 측정의 결과에 편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콤바인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배경기술 2]에 대응하는 [과제 2]는, 이하와 같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곡립 탱크 내에서 검출 가능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은, 레벨 센서가 배치되는 높이로 정해지기 때문에, 통지를 행하기 위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의 역치는 고정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용량이 결정되어 있는 컨테이너나 곡립 주머니 등에 알맞게 수납할 수 있는 양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통지한다는 유연한 예취 작업은 행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곡립 탱크 내에 소정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소정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콤바인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배경기술 3]에 대응하는 [과제 3]은, 이하와 같다.
종래의 콤바인에서의 곡립의 품질 계측과는 달리, 곡립 탱크 내에 개폐 제어가 가능한 셔터를 구비하여, 셔터 위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류해서 곡립의 품질 계측을 행하는 방법이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셔터를 사용해서 곡립의 품질 계측을 행하는 방법에서는,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이 증가해 가면, 곡립이 셔터의 개폐 동작을 방해할 수 있을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곡립의 품질 계측을 위해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류 가능한 셔터의 개폐를 곡립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의 제공이 요망되고 있었다.
상기 [과제 1]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주행 기체를 지지하는 주행 장치와,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을 행하는 중량 측정부와,
중량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 지시부와,
상기 주행 장치, 상기 예취부 및 상기 탈곡 장치의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인지 비작업 상태인지의 작업 상태 판정을 행하는 작업 상태 판정부와,
상기 중량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 지시부로부터 상기 중량 측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상기 작업 상태 판정을 지령하여, 상기 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을 행하기 위해서, 측정 지시부로부터 중량 측정 신호가 출력되면, 주행 장치, 예취부 및 탈곡 장치의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인지 비작업 상태인지의 작업 상태 판정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작업 상태라고 판정되면,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에 진동이 발생하고 있는 작업 상태일 때는,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은 행하여지지 않으므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으로서 정확성이 결여되는 값이 측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배제되고, 결과적으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소정의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자세 판정을 행하는 자세 판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판정부에 상기 자세 판정을 지령하고,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소정의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고,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상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으면 적합하다.
주행 기체가 기울어짐으로써 곡립 탱크도 기울어지므로, 주행 기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측정되는 중량은 정확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된 후에, 또한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소정의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고 나서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다고 판정되면,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으로서 정확성이 결여되는 값이 측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배제되고, 결과적으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좌우 자세 변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세 검출부로서,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좌우 경사 각도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세 판정부에 의해 상기 좌우의 기울기가 소정의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고, 상기 좌우 경사 각도가 상기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좌우 자세 변경부를 제어하여, 상기 좌우 경사 각도가 상기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로 된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주행 기체의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좌우 경사 각도 검출부가 구비되어 있어, 좌우의 기울기가 소정의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다고 판정되면, 먼저,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되도록 좌우 자세 변경부가 제어된다. 그리고,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로 되고 나서,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이라면, 주행 기체의 좌우 경사 각도가 클 때는, 자동적으로 좌우 경사 각도의 조정이 행하여지므로, 중량 측정부에 의한 정확한 중량 측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전후 자세 변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세 검출부로서,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전후 경사 각도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세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전후 경사 각도가 소정의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전후 경사 각도가 상기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전후 자세 변경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후 경사 각도가 상기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로 된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주행 기체의 전후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전후 경사 각도 검출부가 구비되어 있고, 전후의 기울기가 소정의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다고 판정되면, 먼저,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되도록 전후 자세 변경부가 제어된다. 그리고,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로 되고 나서,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이라면, 주행 기체의 전후 경사 각도가 클 때는, 자동적으로 전후 경사 각도의 조정이 행하여지므로, 중량 측정부에 의한 정확한 중량 측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는, 적어도 상기 주행 속도가 제로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하면 적합하다.
주행 장치의 주행 속도가 제로 이외일 때, 즉 주행 중에는, 곡립 탱크의 진동이 커지기 때문에 중량 측정의 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차속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주행 장치의 주행 속도가 제로 이외일 때는, 비작업 상태라고는 판정되지 않아,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으로서 정확성이 결여되는 값이 측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배제되고, 결과적으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에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탈곡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는, 적어도 상기 탈곡 클러치가 오프 상태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하면 적합하다.
탈곡 클러치가 온 상태일 때는, 탈곡 장치의 작동에 의해 곡립 탱크에 진동이 전달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중량 측정의 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탈곡 장치에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탈곡 클러치가 오프 상태가 아닐 때, 즉 탈곡 클러치가 온 상태일 때는, 비작업 상태라고는 판정되지 않아,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으로서 정확성이 결여되는 값이 측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배제되어, 결과적으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설치되어 예취 곡간의 존재를 검출하는 곡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는, 적어도 상기 예취부에 예취 곡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상기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하면 적합하다.
예취부에 곡간이 존재하고 있어 곡간 센서에 의해 예취 곡간이 검출된 상태일 때, 즉, 예취부가 작동하고 있을 때는, 작동하는 예취부로부터 곡립 탱크에 진동이 전달되어, 중량 측정의 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예취부에 예취 곡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하는 조건으로 하고 있으므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으로서 정확성이 결여되는 값이 측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배제되어, 결과적으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는 상기 주행 기체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예취부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예취 높이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어도, 상기 상하 위치가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비작업 상태이며, 예취부의 상하 위치가, 소정의 높이 보다도 높은 경우에,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중량 측정이 행하여지기 전에 주행 기체를 수평화하는 제어가 행하여져서 주행 기체가 하강하는 경우에, 예취부의 선단 등이 예상치 못하게 포장에 접촉해버린다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접속된 세로 오거 및, 상기 세로 오거에 접속되어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하면서 또한 수납 위치와 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가로 오거를 갖는 언로더와,
상기 가로 오거를 상기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오거받이와,
상기 가로 오거가 상기 오거받이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수납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수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고, 상기 수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으면 적합하다.
언로더의 가로 오거는 세로 오거에 편측 고정 지지되어 있는 것이며, 가로 오거가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는 상태와, 가로 오거가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는, 곡립 탱크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가 변화하여, 중량 측정의 결과가 상이할 우려가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되고 나서, 가로 오거가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은 행하여진다. 그러나,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되었다고 해도, 가로 오거가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로 오거가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된 안정 상태일 때,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을 행하므로, 정확성이 높은 중량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로 오거를 상하 요동시키는 상하 요동 구동부와,
상기 가로 오거를 선회시키는 선회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검출부에 의해 상기 수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수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하 요동 구동부 및 상기 선회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납 상태가 된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로 오거가 수납 위치의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로 오거가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되고 나서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이라면, 자동적으로 가로 오거가 정확하게 오거받이에 수납되어 중량 측정이 행하여지므로, 중량 측정부에 의한 정확한 중량 측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접속된 세로 오거, 및 상기 세로 오거에 접속되어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하면서 또한 수납 위치와 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가로 오거를 갖는 언로더와,
상기 가로 오거를 상하 요동시키는 상하 요동 구동부와,
상기 가로 오거를 상기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오거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하 요동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가로 오거를 소정 시간 하강시킨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면 적합하다.
언로더의 가로 오거는, 선회 위치가 어긋나는 것보다도, 주행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상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더 많은 경향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로 오거가 수납 위치의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로 오거를 소정 시간 하강시키고 나서 중량 측정부에 의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로 오거를 소정 시간 하강시키면, 가로 오거는 오거받이에 적정하게 수납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이라면, 자동적으로 가로 오거가 정확하게 오거받이에 수납되어서 중량 측정이 행하여지므로, 중량 측정부에 의한 정확한 중량 측정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측정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중량 측정부에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 경우에는, 측정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중량 측정을 행할 수 없는 취지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는, 중량 측정을 할 수 없는 것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2]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계측하는 계측 센서와,
상기 계측 센서에 의해 계측된 상기 저류 체적량이, 미리 설정된 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저류 체적량이 상기 역치를 초과했다고 판정되면, 운전자에게, 상기 곡립의 양이 상기 역치를 초과한 것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와,
상기 역치를 변경 가능한 변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정부와 통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소정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을 운전자가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면, 변경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배출처의 용기 등의 용량에 따른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계측 센서는,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센서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계측 센서가,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센서이므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얻을 때, 높이가 고정된 레벨 센서보다도, 보다 미세한 값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변경부에 의한 역치의 변경도 미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역치의 변경을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적어도 수분 값을 계측하는 품질 센서와,
상기 품질 센서에 의해 검출된 곡립의 수분 값, 및, 상기 중량 센서에 의해 계측된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에 기초해서 상기 저류 체적량을 연산하는 연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역치는, 체적 단위로 설정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품질 센서에 의해 검출된 곡립의 수분 값, 및, 중량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에 기초해서 저류 체적량이 연산되므로, 곡립의 실제 품질이 고려된 정밀도가 좋은 저류 체적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 센서에 의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적어도 수분 값을 계측함으로써, 곡립의 대략적인 비중을 알 수 있으므로, 중량 센서에 의해 계측된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으로부터, 곡립 탱크에 저류된 실제의 곡립의 성상에 합치하는 정확한 저류 체적량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연산된 저류 체적량과 체적 단위로 설정되는 역치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체적 단위로 역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중량 단위로 설정하는 것과 비교해서 저류 정도를 이미징하기 쉬워 역치의 설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레벨을 계측하는 레벨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역치는, 체적 단위로 설정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에게 통지를 행하는 기준이 되는,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의 역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 센서에 의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레벨이 계측되고, 계측된 저류 레벨이 역치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레벨 센서에는, 예를 들어 아래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높이가 상이한 제1 센서, 제2 센서, 제3 센서, 제4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자. 예를 들어, 제4 센서가 곡립을 검지한다는, 역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변경부에 의해, 제4 센서보다도 배치된 높이가 낮은 제3 센서가 곡립을 검지한다는, 새로운 역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통지를 행하는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체적 단위로 역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중량 단위로 설정하는 것과 비교해서 저류 정도를 이미징하기 쉬워 역치의 설정이 행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변경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역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원격의 관리 센터 등에 배치된 외부 서버로부터 역치를 변경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저류 체적량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변경부에 의해 상기 역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 결과를 상기 외부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변경부에 의해 역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 결과가 통신부를 통해서 외부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운전자가 잘못해서 역치를 변경한 경우에도, 외부 서버에 있어서, 역치의 변경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관리 센터 등에 있어서의 곡립의 건조기 등의 수용 가능한 용량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역치의 변경이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외부 서버에 있어서 운전자가 역치를 변경한 변경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역치의 재변경을 촉구하는 등의 적절한 대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에 의해, 역치를 일괄 관리하고 있는 경우 등에, 예전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로 자동적으로 재기입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복수의 상기 역치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판정부는, 복수의 역치가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곡립 탱크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에 대해서, 복수 단계로 운전자에게 통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판정부에 있어서, 원하는 양의 제1 역치와, 제1 역치보다도 작은 제2 역치를 설정해 두었다고 하면, 제2 역치에 저류 체적량이 달하면, 이제 곧 원하는 양의 저류가 이루어진다는 취지의 예비 통지를 운전자에게 행하고, 그 후, 제1 역치에 저류 체적량이 달하면, 원하는 양의 저류가 이루어졌다는 취지의 본 통지를 운전자에게 행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곡립의 저류 상황의 파악이 행하기 쉬워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류 체적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곡립 탱크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오거가 작동되고 나서 다음 예취 작업이 행하여질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배출 오거의 시동 전에 있어서의 상기 저류 체적량이 상기 표시부에 계속해서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전회의 저류량을 잊어버린 경우 등에 다음 예취 작업을 행할 때까지는 간단하게 전회의 저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과제 3]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되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와,
상기 곡립 탱크 내에 설치됨과 함께 도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되어진 곡립의 일부를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해서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일시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에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검출하는 품질 계측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에 형성되어 저류된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에 배출 가능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 변경 가능한 셔터와,
상기 품질 계측부에 의한 계측이 종료되면,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로 하고, 또한 상기 일시 저류부의 곡립 모두가 상기 곡립 탱크에 배출되면,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 하는 개폐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제어를 정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곡립이, 폐쇄 위치가 된 셔터 상에 형성되는 일시 저류부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일시 저류부에 저류된 곡립에 대해서 품질 계측부에 의한 품질 계측이 행하여지고, 품질 계측이 종료되면, 셔터가 개방 위치로 되어서 품질 계측이 종료된 곡립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셔터 개폐 제어가 기본적으로 행하여져서, 곡립의 품질 계측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면, 셔터의 개폐 제어가 정지된다. 셔터의 개폐 동작에 곡립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소정 값으로 설정하면, 저류된 곡립에 의해 셔터의 개폐 동작이 방해받지 않으므로, 곡립의 품질 계측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의 품질 계측을 위해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류 가능한 셔터의 개폐를 곡립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품질 계측부에 의한 계측이 종료되어도,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으면 적합하다.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저류된 곡립에 의해 셔터의 개방 동작을 방해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구성이라면, 이러한 경우에는, 품질 계측부에 의한 계측이 종료되어도, 셔터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셔터가 개방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일시 저류부와 연통하고, 또한 측부가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 공간과 구획됨과 함께 하부가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배출 횟수 확보부가, 상기 셔터의 하방에 인접해서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출 횟수 확보부는, 그 하부에서 내부 공간과 연통하지만, 내부 공간과 구획되어 있으므로, 내부 공간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레벨이 상승되어져도, 배출 횟수 확보부의 하부보다도 상방에서는, 내부 공간에 저류된 곡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배출 횟수 확보부에 있어서의 저류 레벨의 상승은, 일시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의 양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본 구성이면, 배출 횟수 확보부의 크기 등을 잘 설정함으로써, 품질 계측의 횟수와, 내부 공간에의 저류 정도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저류 체적을 검출하는 체적 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적 계측부에 의해 상기 저류 체적이 상기 소정 값보다도 낮은 값인 예비값을 초과한 것이 검출되고, 또한 그 검출 후에 상기 셔터가 개방된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했을 때,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저류 체적이 상기 소정 값을 초과했다고 판정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셔터의 개폐 동작에 곡립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소정 값보다도 낮은 예비값을 체적 계측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면, 배출 횟수 확보부에 있어서 남겨진 체적의 여유가 어느 정도 한정된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이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셔터가 개방된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했을 때,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한 것으로 간주하고, 셔터의 개폐 동작에 곡립이 간섭하기 전에 셔터의 개폐 제어를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류 체적을 검출하는 체적 계측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적 계측부에 의해 상기 저류 체적이 상기 소정 값보다도 낮은 값인 예비값을 초과한 것이 검출되고, 또한 그 검출 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저류 체적이 상기 소정 값을 초과했다고 판정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셔터의 개폐 동작에 곡립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소정 값보다도 낮은 예비값을 체적 계측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면, 배출 횟수 확보부에 있어서 남겨진 체적의 여유가 어느 정도 한정된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이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예를 들어 셔터가 소정 횟수만큼 개방 동작하여 배출 횟수 확보부에 있어서의 체적의 여유가 없어지는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한 것으로 간주하고, 셔터의 개폐 동작에 곡립이 간섭하기 전에 셔터의 개폐 제어를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배출 오거에의 구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배출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 제어가 정지된 후,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제어를 재개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면, 배출 오거가 작동해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이 감소되어 가고, 셔터의 하방에 존재하는 곡립도 감소되어 간다. 이 때문에, 셔터의 개폐 동작을 재개해도, 셔터의 개폐 동작에 곡립이 간섭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된 것으로써, 셔터의 개폐 제어를 재개함으로써, 곡립의 품질 계측을 신속히 재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품질 계측부에 의한 계측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상기 일시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필요량 측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제어에 있어서,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로 한 후에, 상기 품질 계측부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상기 일시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셔터가 개방 위치로 된 후에, 필요량 측정부의 검지에 기초하여 품질 계측부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상기 일시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확인되면, 셔터가 폐쇄 위치로 제어된다. 따라서, 셔터를 개방 위치로 함으로써 일시 저류부로부터 곡립이 확실하게 배출된 것을 확인하고 나서 셔터의 폐쇄 제어가 행하여지므로, 곡립의 품질 계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저류 체적을 검출하는 체적 계측부로서, 상기 곡립 탱크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레벨 계측 장치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저류 체적이 확정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간소한 접촉식 센서 등에 의해 레벨 계측 장치를 사용하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의 검출을 저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레벨 계측 장치에 의한 검출 결과를 셔터의 개폐 제어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류 체적을 검출하는 체적 계측부로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중량 계측 장치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저류 체적이 확정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중량 계측 장치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으로부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고정밀도로 계측할 수 있는 중량 계측 장치를 사용하면,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을 미세하게 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중량 계측 장치에 의한 검출 결과를 셔터의 개폐 제어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은, 상기 배출 오거에 의해 상기 곡립 탱크의 후방부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일시 저류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출 오거에 의해 곡립 탱크의 후방부로부터 저류된 곡립이 배출될 때,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이 비교적 빨리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일시 저류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배출 오거가 작동되면, 일시 저류부의 하방의 곡립 저류 레벨이 신속하게 저하되어, 셔터의 개폐 제어를 신속하게 재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되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와,
상기 곡립 탱크 내에 설치됨과 함께 도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반송되어진 곡립의 일부를 상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해서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일시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에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검출하는 품질 계측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에 형성되어 저류된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에 배출 가능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셔터와,
상기 품질 계측부에 의한 계측이 종료되면,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로 하고, 또한 상기 일시 저류부의 곡립 모두가 상기 곡립 탱크에 배출되면,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 하는 개폐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출 오거에의 구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배출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곡립이 폐쇄 위치가 된 셔터 상에 형성되는 일시 저류부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일시 저류부에 저류된 곡립에 대해서 품질 계측부에 의한 품질 계측이 행하여지고, 품질 계측이 종료되면, 셔터가 개방 위치로 되어서 품질 계측이 종료된 곡립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셔터의 개폐 제어가 기본적으로 행하여져서, 곡립의 품질 계측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되어 배출 오거가 구동되어서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이 모두 외부로 배출될 때는, 셔터가 개방 위치로 제어되고, 일시 저류부의 곡립이 내부 공간에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이면, 일시 저류부에 곡립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의 품질 계측을 위해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류 가능한 셔터의 개폐를 곡립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한 후, 상기 배출 클러치가 오프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출 클러치가 오프 상태가 되어서 배출 오거가 정지된다는 것은,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의 배출이 완료된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곡립에 간섭하지 않고 셔터를 폐쇄 위치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셔터를 상기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를 상기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령, 셔터를 개방 위치로 했을 때, 셔터가 곡립에 매립된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셔터를 개방 위치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곡립의 저류 레벨이 저하되고, 셔터가 곡립에 매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고 나서 셔터를 개방 위치로 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고 나서 셔터를 폐쇄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곡립과의 간섭을 피해서 셔터를 폐쇄 위치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리모콘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디스플레이에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곡립 탱크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곡립 탱크 내의 레벨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셔터가 폐쇄 위치일 때 샘플링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셔터가 개방 위치일 때 샘플링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곡립 탱크에의 품질 계측 장치의 설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품질 계측 장치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배면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품질 계측 장치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평면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서의 제어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 형태 중 제2 실시예에서의 제어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3 실시예에서의 제어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제3 실시 형태 중 제4 실시예에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제3 실시 형태 중 기타 실시예에서의 품질 계측 장치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배면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3 실시 형태 중 기타 실시예에서의 품질 계측 장치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평면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개략 구성]
콤바인(10)은, 크롤러 주행식의 자탈형 콤바인이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0)에는, 주행 기체(11)와, 주행 기체(11)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2)와,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3)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14)와, 탈곡 장치(14)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5)와, 곡립 탱크(15) 내의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언로더(16)와,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 조종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11)에는, 주행 기체(11)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경사 센서(19)(「좌우 경사 각도 검출부」에 상당)와, 전후 경사 센서(20)(「전후 경사 각도 검출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좌우 경사 센서(19)는,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후 경사 센서(20)는,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2)에는, 주행 기체(11)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트랙 프레임(21)이 구비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21)의 전방부측에는, 전방 링크기구(22)의 일단부가 횡축 중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방 링크기구(22)의 타단부에는, 제1 유압 실린더(23)의 일단부가 횡축 중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유압 실린더(23)의 타단부는, 주행 기체(11)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유압 실린더(23)를 신장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우측 전방부측이 하강하고, 제1 유압 실린더(23)를 수축 후퇴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우측 전방부측이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21)의 후방부측에는, 후방 링크기구(25)의 일단부가 횡축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방 링크기구(25)의 타단부에는, 제2 유압 실린더(27)의 일단부가 횡축 중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유압 실린더(27)의 타단부는, 제1 유압 실린더(23)가 연결된 부위와는 상이한 주행 기체(11)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유압 실린더(27)를 신장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우측 후방부측이 상승하고, 제2 유압 실린더(27)를 수축 후퇴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우측 후방부측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도시는 하지 않지만,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2)에 대해서도,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2)와 좌우 대칭의 구조로 되어 있다. 단,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2)에는, 제3 유압 실린더(29)와, 제4 유압 실린더(31)가 구비되어 있다. 제3 유압 실린더(29)를 신장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좌측 전방부측이 하강하고, 제3 유압 실린더(29)를 수축 후퇴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좌측 전방부측이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유압 실린더(31)를 신장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좌측 후방부측이 상승하고, 제4 유압 실린더(31)를 수축 후퇴시키면, 주행 기체(11)의 좌측 후방부측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유압 실린더(23), 제2 유압 실린더(27), 제3 유압 실린더(29), 제4 유압 실린더(31)에 의해,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전후 자세 변경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유압 실린더(23), 제2 유압 실린더(27), 제3 유압 실린더(29), 제4 유압 실린더(31)에 의해,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좌우 자세 변경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10)에는,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33)가 구비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3)는, 주행 기체(11)에 지지되고, 승강 실린더(34)에 의해 주행 기체(11)의 횡축 P 주위로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취부(13)에는, 밑동 센서(35)(「곡간 센서」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밑동 센서(35)는, 예취부(13)에 도입된 예취 곡간의 밑동을 검출하여, 예취부(13)에서의 예취 곡간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취부(13)에는, 예취부(13)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취 높이 센서(36)가 구비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4)는, 예취부(1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탈곡 클러치(37)(도 3 참조)에 의해 동력 전달의 온오프가 행하여진다. 즉, 탈곡 클러치(37)가 온 상태로 되면 탈곡 장치(14)가 작동되고,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로 되면 탈곡 장치(14)는 정지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15)는, 탈곡 장치(14)의 가로측에 구비되어 있고, 탈곡 장치(14)로부터 유입되는 탈곡된 곡립이 저류된다. 곡립 탱크(15)의 저부에는, 곡립 탱크(15) 내에 저류된 곡립을 언로더(16)에 보내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오거(38)가 구비되어 있다. 배출 오거(38)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하면 작동해서 곡립 탱크(15) 내에 저류된 곡립을 언로더(16)에 보내어 외부로 배출하고, 도시하지 않은 배출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 하면 정지된다. 곡립 탱크(15)의 근방에는, 로드셀(39)(「중량 측정부」에 상당)이 구비되어 있다. 로드셀(39)은, 곡립 탱크(1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곡립 탱크(15)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더(16)에는, 세로 오거(40)와, 가로 오거(41)가 구비되어 있다. 세로 오거(40)는, 곡립 탱크(15)에 접속되어 있다. 가로 오거(41)는, 세로 오거(40)에 접속되어 세로 오거(40)에 편측 고정 지지되어 있고, 곡립 탱크(15)에 저류된 곡립을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오거(41)는, 상하 요동 가능하면서 또한 수납 위치와 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로 오거(41)를 수납하는 수납 위치에는, 가로 오거(41)를 수용 지지하는 오거받이(42)가 구비되어 있다. 언로더(16)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포텐시오미터(43)와, 제2 포텐시오미터(44)가 구비되어 있다. 제1 포텐시오미터(43)는, 가로 오거(41)의 상하 요동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포텐시오미터(44)는, 가로 오거(41)의 선회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오거(41)를 선회시키는 모터(46)(「선회 구동부」에 상당)와, 가로 오거(41)를 상하 요동시키는 요동 실린더(47)(「상하 요동 구동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조종부(17)에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48)과, 언로더(16)의 조작 등에 사용되는 리모콘(49)과, 각종 정보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50)와, 음성을 출력 가능한 스피커(51) 등이 구비되어 있다.
[리모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49)에는, 자동 좌선회 스위치(55), 자동 우선회 스위치(56), 자동 후선회 스위치(57), 자동 수납 스위치(58), 배출 스위치(59), 정지 스위치(60), 상승 스위치(62), 하강 스위치(63), 수동 좌선회 스위치(64), 수동 우선회 스위치(65), 측정 스위치(66)(「측정 지시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 좌선회 스위치(55)가 누름 조작되면, 가로 오거(41)가 소정의 좌측 배출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좌선회된다. 자동 우선회 스위치(56)가 누름 조작되면, 가로 오거(41)가 소정의 우측 배출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우선회된다. 자동 후선회 스위치(57)가 누름 조작되면, 가로 오거(41)가 소정의 후방측 배출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선회된다. 자동 수납 스위치(58)가 누름 조작되면, 가로 오거(41)가 자동적으로 선회, 상하 요동되어, 오거받이(42)에 수납된다. 배출 스위치(59)가 누름 조작되면, 배출 클러치가 온 상태로 되어, 배출 오거(38)가 작동되어서 곡립 탱크(15)로부터 언로더(16)를 통해서 곡립이 외부로 배출된다. 정지 스위치(60)가 누름 조작되면, 배출 오거(38)가 정지되어서, 곡립 탱크(15)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이 정지된다.
상승 스위치(62)가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가로 오거(41)는 상승한다. 하강 스위치(63)가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가로 오거(41)는 하강한다. 수동 좌 선회 스위치(64)가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가로 오거(41)는 좌선회한다. 수동 우선회 스위치(65)가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가로 오거(41)는 우선회한다.
측정 스위치(66)는, 누름 조작되면, 로드셀(39)에 의한 곡립 탱크(15) 내의 곡립의 중량의 측정을 지시하는 『중량 측정 신호』를 출력한다. 언로더(16)의 자세 변경이나 배출 오거(38)의 온오프를 지시하는 리모콘(49) 상에, 중량 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스위치(6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곡립 탱크(15)에 관계하는 기기에 대하여 지시를 행하는 스위치를 집약 배치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ECU]
콤바인(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 측정의 제어 등을 행하는 ECU(18)가 구비되어 있다. ECU(18)에는, 작업 상태 판정부(71)와, 자세 판정부(72)와, 수납 검출부(73)와, 예취 높이 검출부(74)와, 중량 측정 결정부(75)(「제어부」에 상당)와, 중량 취득부(76)와, 연산 기억부(77)와, 통지 명령부(78)가 구비되어 있다.
작업 상태 판정부(71)는, 차속 센서(33), 밑동 센서(35), 탈곡 클러치(37),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접속되어 있다. 작업 상태 판정부(71)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작업 상태 판정의 지령을 입력하면, 크롤러 주행 장치(12), 예취부(13) 및 탈곡 장치(14)의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인지 비작업 상태인지의 작업 상태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상태 판정부(71)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작업 상태 판정의 지령을 입력하면, 차속 센서(33)에 의해 검출된 주행 속도가 제로,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 밑동 센서(35)가 비검출 상태의 모든 조건을 만족할 때, 비작업 상태라고 판정하고,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비작업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작업 상태 판정부(71)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작업 상태 판정의 지령을 입력해도, 차속 센서(33)에 의한 검출된 주행 속도가 제로,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 밑동 센서(35)가 비검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을 때는, 작업 상태라고 판정하고,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비작업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자세 판정부(72)는, 전후 경사 센서(20)와, 좌우 경사 센서(19)와,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접속되어 있다. 자세 판정부(72)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자세 판정의 지령을 입력하면, 좌우 경사 센서(19)로부터 입력되는 좌우 경사 각도 및 전후 경사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전후 경사 각도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11)의 기울기가 소정의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자세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세 판정부(72)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자세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좌우 경사 센서(19)로부터 입력되는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전후 경사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주행 기체(11)의 자세가 적정하다고 판정하고,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자세 적정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자세 판정부(72)는,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자세 적정 신호』를 출력할 때, 주행 기체(11)의 자세가 적정하다고 판정했을 때의 좌우 경사 센서(19)로부터 입력된 좌우 경사 각도, 전후 경사 센서(20)로부터 입력된 전후 경사 각도도 함께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출력한다.
한편, 자세 판정부(72)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자세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좌우 경사 센서(19)로부터 입력되는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는, 좌우 경사 각도가 부적절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 경우, 자세 판정부(72)는,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로 조정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자세 판정부(72)는, 좌우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범위 내에 없을 경우,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조정 불가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자세 판정부(72)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자세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좌우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때는, 제1 유압 실린더(23), 제2 유압 실린더(27), 제3 유압 실린더(29), 제4 유압 실린더(31)를 구동하여,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를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수용하는 제어를 하도록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좌우 경사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자세 판정부(72)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자세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전후 경사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는, 전후 경사 각도가 부적절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이 경우, 자세 판정부(72)는,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로 조정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자세 판정부(72)는, 전후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범위 내에 없을 경우,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조정 불가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자세 판정부(72)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자세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전후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을 때는, 제1 유압 실린더(23), 제2 유압 실린더(27), 제3 유압 실린더(29), 제4 유압 실린더(31)를 구동하여,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를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수용하는 제어를 하도록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전후 경사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수납 검출부(73)는, 제1 포텐시오미터(43)와, 제2 포텐시오미터(44)에 접속되어 있다. 수납 검출부(73)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수납 판정의 지령을 입력하면, 제1 포텐시오미터(43)로부터 입력되는 요동 각도와, 제2 포텐시오미터(44)로부터 입력되는 선회 각도에 기초하여, 가로 오거(41)가 오거받이(42)에 적정하게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납 검출부(73)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수납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가로 오거(41)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수납 적정이라고 판정하고,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수납 적정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수납 검출부(73)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수납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가로 오거(41)가 수납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모터(46) 및 요동 실린더(47)를 구동하여, 가로 오거(41)가 오거받이(42)에 적정하게 수납되게 제어를 행하도록 지령하는 『수납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예취 높이 검출부(74)는, 예취 높이 센서(36)와,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접속되어 있다. 예취 높이 검출부(74)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예취 높이 판정의 지령을 입력하면, 예취부(13)의 상하 위치가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지 않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취 높이 검출부(74)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예취 높이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예취 높이 센서(36)로부터 입력되는 예취 높이가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지 않은 경우에는, 예취 높이가 적정하다고 판정하고,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예취 높이 적정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예취 높이 검출부(74)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예취 높이 판정의 지령을 입력했을 때, 예취 높이 센서(36)로부터 입력되는 예취 높이가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예취 높이가 부적합하다고 판정하고, 중량 측정 결정부(75)에 『예취 높이 적정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측정 스위치(66), 작업 상태 판정부(71), 자세 판정부(72), 수납 검출부(73), 예취 높이 검출부(74), 로드셀(39), 연산 기억부(77), 통지 명령부(78), 제1 유압 실린더(23), 제2 유압 실린더(27), 제3 유압 실린더(29), 제4 유압 실린더(31), 모터(46), 요동 실린더(47)에 접속되어 있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로드셀(39)에 의한 중량 측정의 허용 여부 결정, 주행 기체(11)의 자세 조정, 언로더(16)의 위치 조정, 통지의 지령을 행한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측정 스위치(66)로부터 『중량 측정 신호』가 입력되면, 작업 상태 판정부(71)에 작업 상태의 판정을 요구하는 지령을 출력하고, 『비작업 신호』가 응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비작업 신호』가 응답되지 않으면, 통지 명령부(78)에 『작업중 신호』를 출력한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비작업 신호』가 응답된 것을 확인하면, 이어서 예취 높이 검출부(74)에 예취 높이 판정을 요구하는 지령을 출력하고, 『예취 높이 신호』가 응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예취 높이 적정 신호』가 응답되지 않으면, 통지 명령부(78)에 『예취 높이 부정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예취 높이 적정 신호』가 응답된 것을 확인하면, 이어서 자세 판정부(72)에 자세의 판정을 요구하는 지령을 출력하고, 응답을 확인한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자세 판정부(72)로부터 『자세 적정 신호』와, 좌우 경사 각도 및 전후 경사 각도가 응답된 것을 확인하면, 연산 기억부(77)에 좌우 경사 각도 및 전후 경사 각도를 출력하고, 이어서 수납 검출부(73)에, 수납 판정의 지령을 입력하고, 응답을 확인한다.
한편,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자세 판정부(72)로부터 『조정 불가 신호』가 응답된 것을 확인하면, 『비수평 신호』를 통지 명령부(78)에 출력한다.
또한,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자세 판정부(72)로부터 『좌우 경사 조정 신호』 또는 『전후 경사 조정 신호』가 응답된 것을 확인하면, 제1 유압 실린더(23), 제2 유압 실린더(27), 제3 유압 실린더(29), 제4 유압 실린더(31)를 구동하여,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 또는 전후 경사 각도가 수평에 근접하도록 제어한다.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수납 검출부(73)로부터 『수납 적정 신호』가 응답된 것을 확인하면, 로드셀(39)에 중량을 측정해서 소정 시간 동안, 중량 취득부(76)에 출력하도록 지령함과 함께, 통지 명령부(78)에 『정상 측정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수납 검출부(73)로부터 『수납 조정 신호』가 응답된 것을 확인하면, 로드셀(39)에 의한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음과 함께, 모터(46) 및 요동 실린더(47)를 구동하여, 가로 오거(41)가 수납 위치로 정확하게 자세 변경되도록 제어를 행하여, 가로 오거(41)를 수납 위치로 위치 조정한다.
중량 취득부(76)는, 로드셀(39), 연산 기억부(77)에 접속되어 있다. 중량 취득부(76)는, 로드셀(39)로부터 곡립 탱크(15)의 중량을 취득하면, 소정 시간 동안, 그 곡립 탱크(15)의 중량을 취득해서 평균 처리된 측정 데이터를 연산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연산 기억부(77)에 출력한다.
연산 기억부(77)는, 중량 측정 결정부(75), 중량 취득부(76), 통지 명령부(78)에 접속되어 있다. 연산 기억부(77)는, 중량 취득부(76)로부터 입력된 측정 데이터로부터 곡립 탱크(15)의 겉포장의 중량을 감산하여, 곡립 탱크(15) 내의 곡립의 개산 중량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연산 기억부(77)는, 또한, 개산 중량 값을,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입력된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 및 전후 경사 각도에 기초하여, 보정해서 보정 중량 값을 연산하고, 그 보정 중량 값을 기억한다.
통지 명령부(78)는, 중량 측정 결정부(75), 연산 기억부(77), 디스플레이(50), 스피커(51)에 접속되어 있다. 통지 명령부(78)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작업중 신호』를 입력하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0)나 스피커(51) 등에, 「작업 중이기 때문에 중량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등의 표시나 음성의 출력을 시켜서, 운전자에게의 통지를 행한다. 또한, 통지 명령부(78)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예취 높이 부정 신호』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50)나 스피커(51) 등에, 「예취 높이가 너무 낮기 때문에 중량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등의 표시나 음성의 출력을 시켜서, 운전자에게의 통지를 행한다. 또한, 통지 명령부(78)는, 중량 측정 결정부(75)로부터 『비 수평 신호』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50)나 스피커(51) 등에, 「수평한 장소에서 중량을 측정해 주십시오.」 등의 표시나 음성의 출력을 시켜서, 운전자에게의 통지를 행한다.
또한, 통지 명령부(78)는, 중량 측정을 행하는 시간의 경과 후, 연산 기억부(77)에 기억된 보정 중량 값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50)나 스피커(51) 등에, 「보정 중량 값」, 즉, 「곡립 탱크(15) 내의 곡립의 중량」을 표시나 음성의 출력을 행하게 하여, 운전자에게의 통지를 행한다.
[흐름도]
상기와 같은 ECU(18)에 의해 실현되는, 곡립 탱크(15) 내의 곡립의 중량 측정의 수순을, 도 4, 도 5에서 합쳐서 나타내는 흐름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측정 스위치(66)가 조작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 스텝 #1에서, 측정 스위치(66)가 조작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1: "아니오"), 스텝 #1로 복귀된다. 스텝 #1에서, 측정 스위치(66)가 조작 입력된 것이 확인되면(#1: "예"), 이어서 주행 기체(11)의 주행 속도가 제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 스텝 #2에서, 주행 기체(11)의 주행 속도가 제로가 아니라고 판정되면(#2: "아니오"), 측정 불가의 통지가 이루어지고(스텝 #3), 종료된다. 한편, 스텝 #2에서, 주행 기체(11)의 주행 속도가 제로라고 판정되면(스텝 #2: "예"), 이어서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4). 스텝 #4에서,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면(#4: "아니오"), 스텝 #3으로 이행된다. 한편, 스텝 #4에서,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라고 판정되면(#4: "예"), 이어서 밑동 센서(35)가 비검출 상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5). 스텝 #5에서, 밑동 센서(35)가 비검출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면(#5: "아니오"), 스텝 #3으로 이행된다. 한편, 스텝 #5에서, 밑동 센서(35)가 비검출 상태라고 판정되면(#5: "예"), 이어서 예취부(13)가 소정의 높이보다 낮지 않은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6).
스텝 #6에서, 예취부(13)가 소정의 높이보다 높지 않다고 판정되면(#6: "아니오"), 스텝 #3으로 이행된다. 한편, 스텝 #6에서, 예취부(13)가 소정의 높이보다 높다고 판정되면(#6: "예"), 이어서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7).
스텝 #7에서,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가 아니라고 판정되면(#7: "아니오"), 이어서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8). 스텝 #8에서,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가 조정 불가라고 판정되면(#8: "아니오"), 조정 불가의 통지가 이루어진다(스텝 #9). 스텝 #9에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에 「수평한 장소에서 측정해 주십시오.」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스피커(51)에 의해 음성을 출력하거나 하여, 운전자에게 대응을 촉구하는 통지가 이루어진다. 스텝 #8에서,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하다고 판정되면(#8: "예"),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가 조정되고(스텝 #10), 스텝 #7로 복귀된다.
스텝 #7에서, 주행 기체(11)의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라고 판정되면(#7: "예"), 이어서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1). 스텝 #11에서,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가 아니라고 판정되면(#11: "아니오"), 이어서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2). 스텝 #12에서,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가 조정 불가라고 판정되면(#12: "아니오"), 스텝 #9로 이행된다. 스텝 #12에서,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가 조정 가능하다고 판정되면(#12: "예"),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가 조정되고(스텝 #13), 스텝 #11로 복귀된다.
스텝 #11에서, 주행 기체(11)의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라고 판정되면(#11: "예"), 이어서 가로 오거(41)가 적정한 수납 위치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4).
스텝 #14에서, 가로 오거(41)가 적정한 수납 위치에 없다고 판정되면(#14: "아니오"), 가로 오거(41)를 적정한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가 행하여지고(스텝 #15), 스텝 #14로 이행된다. 스텝 #14에서, 가로 오거(41)가 적정한 수납 위치에 있다고 판정되면(#14: "예"), 이어서 로드셀(39)에 의한 중량 측정이 실행된다(스텝 #16). 스텝 #16 다음에, 측정된 중량이 보정된 보정값을 연산하는 중량 보정이 실행된다(스텝 #17). 스텝 #17 다음에, 디스플레이 등에 의한 통지가 이루어지고(스텝 #18), 종료된다.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1-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속 센서(33)에 의해 검출된 주행 속도가 제로,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 밑동 센서(35)가 비검출 상태의 모든 조건을 만족할 때, 비작업 상태라는 판정을 행하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속 센서(33)로부터 입력되는 주행 속도가 제로, 탈곡 클러치(37)가 오프 상태, 밑동 센서(35)가 비검출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조건을 만족할 때, 비작업 상태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1-2)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 높이가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지 않은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취 높이에 관한 판정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1-3)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일례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 경사 각도가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1-4)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일례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경사 각도가 좌우 경사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1-5)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 오거(41)가 수납 위치에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 가로 오거(41)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하도록 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로 오거(41)의 선회 위치가 자동적으로 올바른 위치로 제어되는 구성일 때는, 가로 오거(41)의 상하 방향의 위치만이 옳지 않은 위치가 된다. 즉, 중량 측정 결정부(75)는, 작업 상태 판정부(71)에 의해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모터(46)를 제어해서 가로 오거(41)를 소정 시간 하강시킨 후에, 로드셀(39)에 중량 측정을 지령한다. 도 8, 도 9에서 합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름도에 있어서는, 도 4, 도 5에서의 스텝 #14, 스텝 #15 대신에, 가로 오거(41)를 소정 시간 하강시키도록 한다(스텝 ##15).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 오거(41)가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일례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 오거(41)가 적정하게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1-6)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셀(39)에 의한 중량 측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측정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로드셀(39)에 의한 중량 측정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측정에 관한 정보의 통지가 행하여지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1-7)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주행식의 자탈형 콤바인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휠 주행식의 자탈형 콤바인이나, 전간 투입형 콤바인 등의 다른 콤바인이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개략 구성]
콤바인(110)은, 크롤러 주행식의 자탈형 콤바인이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10)에는, 엔진(11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주행 기구로서의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12)와, 크롤러 주행 장치(112)에 의해 자주하도록 구성된 주행 기체와,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13)와, 예취부(113)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114)와, 탈곡부(114)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15)와, 곡립 탱크(115)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언로더(116)와, 운전자가 조종을 행하는 운전 조종부(118)와, 제어 장치인 ECU(119)와,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유닛(120)이 구비되어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112)의 근방에는, 크롤러 주행 장치(112)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123)(도 12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센서(123)는, 주행 속도의 검출에 이용된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부(113)는,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25)의 전방부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취부(113)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은, 탈곡부(114)에 보내진다. 예취부(113)는 엔진(111)의 동력에 의해 작동된다. 예취부(113)에는, 곡간 센서로서, 예취부(113)에 존재하는 예취 곡간의 밑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밑동 센서(126)(도 12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밑동 센서(126)에 의해 곡간의 밑동이 검출되는 것은, 예취부(113)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부(114)는, 기체 프레임(125)의 후방부에 지지되어 있다. 탈곡부(114)는, 예취부(113)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탈곡하고, 탈곡된 곡립을 곡립 탱크(115)에 송입한다. 탈곡부(114)는 엔진(111)의 동력에 의해 작동된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115)는, 기체 프레임(125) 중 탈곡부(114)에 대하여 기체 우측 가로측에 위치하고 있고, 엔진(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115) 내의 전방부측에는, 곡립 탱크(115)에 저류된 곡립의 수분 값, 단백 값 등을 계측 가능한 품질 센서(127)가 배치되어 있다. 품질 센서(127)는, 탈곡부(114)로부터 곡립 탱크(115)에 송입된 곡립의 일부에 대해서, 수분 값, 단백 값 등의 품질(식미)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곡립 탱크(115)의 하부에는, 중량 센서(128)(「계측 센서」의 일례)가 구비되어 있다. 중량 센서(128)는, 곡립이 저류된 곡립 탱크(115)의 중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중량 센서(128)는, 곡립 탱크(115)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중량 센서(128)에 의한 측정에 기초하는 곡립 탱크(115)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은, 곡립 탱크(115)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의 연산에 사용된다.
또한, 곡립 탱크(115) 내에는,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레벨을 계측 가능한 레벨 센서(135)가 구비되어 있다. 레벨 센서(135)는, 1개, 또는, 배치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접촉식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벨 센서(135)로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제1 센서(136), 제2 센서(137), 제3 센서(138), 제4 센서(139)가 순서대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센서(136)는, 곡립 탱크(115) 내의 후방측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센서(137), 제3 센서(138), 제4 센서(139)는, 곡립 탱크(115) 내의 전방측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곡립 탱크(115)의 저부에는, 배출 오거(141)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오거(141)는, 배출 클러치(142)(도 12 참조)를 온 상태로 하면 작동해서 언로더(116)를 통해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고, 또한 배출 클러치(142)를 오프 상태로 하면 정지해서 곡립의 배출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 오거(141)는 엔진(111)의 동력에 의해 작동된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조종부(118)에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43)과, 『저류 체적량』에 관한 『새로운 역치』를 조작 입력 가능한 입력 장치(144)와, 각종 정보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145)(「표시부」에 상당)와, 각종 음성을 출력 가능한 스피커(146) 등이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45)는, 곡립 탱크(115)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표시하는 『저류 체적량 모드』, 엔진(111)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량의 적산값인 『연료 소비량』을 표시 가능한 『연료 소비량 표시 모드』 등의 복수의 표시 모드가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45)는, 도시하지 않은 전환 스위치의 짧은 누름 조작에 의해 특정한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 차례차례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ECU, 통신 유닛]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구성으로서, 선택부(150), 연산부(151), 판정부(152), 통신부(153), 변경부(154), 표시 명령부(155), 통지부(156)가 구비되어 있다. 선택부(150), 연산부(151), 판정부(152), 변경부(154), 표시 명령부(155), 통지부(156)는, ECU(119)에 구비되어 있다. 표시 명령부(155)에는, 기억부(157)가 구비되어 있다. 통신부(153)는, 관리 센터 등에 배치된 외부 서버(160)와의 사이에서, Wi-Fi 규격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통신 유닛(120)에 구비되어 있다.
선택부(150)는, 배출 클러치(142), 밑동 센서(126), 회전 센서(123)의 각 상황에 따라,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실시간 『저류 체적량』, 확정된 『저류 체적량』 중 어느 것을 표시시켜야 하는지를 선택한다. 선택부(150)는, 배출 클러치(142), 밑동 센서(126), 회전 센서(123), 연산부(151)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부(150)는, 통상 『실시간 표시 신호』를 연산부(151)에 계속해서 출력하고 있다. 단, 배출 클러치(142)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하면, 『기억 지령 신호』를 연산부(151)에 출력함과 함께, 『실시간 표시 신호』 대신 『확정 표시 신호』를 연산부(151)에 계속해서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부(150)는, 이 상태로부터, 밑동 센서(126)가 검출 상태로 되고, 또한 회전 센서(123)가 구동축의 회전을 검출하고 있는 검출 상태가 되면, 다시, 『확정 표시 신호』 대신 『실시간 표시 신호』를 연산부(151)에 계속해서 출력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연산부(151)는, 중량 센서(128) 및 품질 센서(127)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연산한다. 연산부(151)는, 중량 센서(128), 품질 센서(127), 판정부(152), 표시 명령부(155)에 접속되어 있다. 연산부(151)는, 중량 센서(128)에 의해 계측된 곡립 탱크(115)의 중량으로부터, 곡립 탱크(115)의 겉포장의 중량을 감산하여,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개산 중량』을 연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산부(151)는, 품질 센서(127)에 의해 측정된 곡립의 수분 값이나 단백 값에 기초하여, 기억부(157)에 미리 기억된 곡립의 수분 값이나 단백 값 등에 대응한 『비중 값』을 판독한다. 그리고, 연산부(151)는, 중량 센서(128)에 의한 계측에 기초하는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개산 중량』과, 품질 센서(127)에 의해 검출된 곡립의 수분 값이나 단백 값 등에 의해 결정되는 『비중 값』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연산한다. 연산부(151)는, 선택부(150)로부터 『실시간 표시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동안에는, 『저류 체적량』을 실시간으로 판정부(152) 및 표시 명령부(155)에 계속해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산부(151)는, 선택부(150)로부터 『확정 표시 신호』를 입력하면, 배출 클러치(142)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되기 직전, 즉, 배출 오거(141)가 작동되기 직전 시에 연산한 저류 체적량을 확정된 『저류 체적량』으로서 기억부(157)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연산부(151)는, 선택부(150)로부터 『확정 표시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동안에는, 표시 명령부(155)에, 『판독 표시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정부(152)는, 『저류 체적량』이 『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152)는, 연산부(151), 변경부(154), 통지부(156)에 접속되어 있다. 판정부(152)에는, 체적 단위로 설정되는 『역치』가 기억되어 있다. 판정부(152)는, 『역치』로서, 복수의 『역치』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역치』로서,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되어야 할 원하는 목표 값인 『제1 역치』나, 원하는 목표 값보다도 값이 작은 『제2 역치』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판정부(152)는, 연산부(151)로부터 입력되는 『저류 체적량』이, 미리 설정된 『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정부(152)는, 연산부(151)로부터 입력되는 『저류 체적량』과 『역치』를 비교하여, 『저류 체적량』이 『역치』를 초과하면, 통지부(156)에 『통지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153)는, 외부 서버(160)로부터 『새로운 역치』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그 『새로운 역치』를 변경부(154)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신부(153)는, 변경부(154)에 의해 『역치』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 결과를 외부 서버(16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통신부(153)는, 입력 장치(144)에 의해 『역치』가 변경된 사실 및 변경 후의 『새로운 역치』 등이 포함된 변경 결과의 정보를 외부 서버(16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경부(154)는, 판정부(152)에 설정된 『역치』를 『새로운 역치』로 변경한다. 변경부(154)는, 입력 장치(144), 판정부(152), 통신부(153)에 접속되어 있다. 변경부(154)는, 입력 장치(144)로부터 『새로운 역치』의 입력이 있으면, 판정부(152)에서 설정되어 있는 『역치』를 『새로운 역치』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경부(154)는, 외부 서버(160)로부터 통신부(153)를 통해서 입력된 『새로운 역치』 등이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역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변경부(154)는, 통신부(153)로부터 『새로운 역치』가 입력되면, 판정부(152)에서 설정되어 있는 『역치』를 『새로운 역치』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경부(154)는, 입력 장치(144)와 통신부(153)로부터 동시에 『새로운 역치』의 입력이 있으면, 판정부(152)에서 설정되어 있는 『역치』를, 통신부(153)로부터 입력된 『새로운 역치』로 변경한다. 또한, 변경부(154)는, 입력 장치(144)로부터 『새로운 역치』가 입력되면, 입력 장치(144)에 의해 『역치』가 변경된 사실 및 변경 후의 『새로운 역치』 등이 포함된 변경 결과의 정보를 통신부(153)에 출력한다.
표시 명령부(155)는, 실시간의 『저류 체적량』, 또는, 확정된 『저류 체적량』을,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표시시킨다. 표시 명령부(155)는, 연산부(151), 디스플레이(145)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 명령부(155)에 구비되어 있는 기억부(157)는, 각종 정보를 기억·소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157)에는, 기억된 곡립의 수분 값이나 단백 값마다의 『비중 값』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57)에는, 연산부(151)로부터 입력되는 확정된 『저류 체적량』이 기억된다. 또한, 상세는 생략하지만, 기억부(157)에는, 엔진(111)에 있어서의 연료 분사량의 적산값인 『연료 소비량』이 실시간으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명령부(155)는, 연산부(151)로부터 실시간의 『저류 체적량』을 입력하고 있는 동안에는,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그 실시간의 『저류 체적량』을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계속해서 표시시킨다. 그리고, 표시 명령부(155)는, 연산부(151)로부터 『판독 표시 신호』를 입력하고 있는 동안에는, 기억부(157)에 기억되어 있는 확정된 『저류 체적량』을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계속해서 표시시킨다.
통지부(156)는, 『저류 체적량』이 『역치』를 초과했을 때, 운전자에게 통지를 행한다. 통지부(156)는, 판정부(152), 디스플레이(145), 스피커(146)에 접속되어 있다. 통지부(156)는, 판정부(152)로부터 『통지 신호』를 입력하면, 디스플레이(145)에 「곡립의 양이 역치를 초과한 것」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킴과 함께, 스피커(146)에 의해, 「곡립의 양이 역치를 초과한 것」을 나타내는 버저 소리 등의 음성을 출력시킨다. 즉, 통지부(156)는, 판정부(152)에 의해 곡립 탱크(115)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이 『역치』를 초과했다고 판정되면, 운전자에게, 곡립 탱크(115)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이 『역치』를 초과한 것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통지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목적으로 하는 저류 체적량의 수확이 완료되었습니다.」 등의 문자, 기호, 그림을 디스플레이(145)에 표시하거나, 스피커(146)로 버저 소리 등을 울리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동작 설명]
상기 ECU(119), 통신 유닛(120)이 구비된 콤바인(110)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어 예취 작업 전이나 예취 작업 중에, 예를 들어 컨테이너나 곡립 주머니의 용량에 상당하는 『역치』 등의 임의의 『새로운 역치』를 운전자가 입력 장치(144)에 의해 조작 입력한다. 그러면, 판정부(152)에 있어서의 『역치』가 『새로운 역치』로 변경됨과 함께, 그 변경 결과가 통신 유닛(120)의 통신부(153)를 통해서 외부 서버(160)에 송신된다. 또한, 외부 서버(160)로부터 『새로운 역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통신 유닛(120)의 통신부(153)에 의해 수신되면, 판정부(152)에 있어서의 『역치』가 『새로운 역치』로 변경된다.
판정부(152)에 『새로운 역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예취 작업을 진행하면,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곡립 탱크(115)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이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계속해서 표시된다. 그리고, 곡립 탱크(115) 내에 『새로운 역치』를 초과하는 『저류 체적량』의 곡립이 저류되면, 디스플레이(145)나 스피커(146)에 의해 표시나 음성에 의해 운전자에게 곡립 탱크(115)에 원하는 『저류 체적량』의 곡립이 저류된 것이 통지된다.
그리고, 곡립을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 오거(141)가 작동되면, 배출 오거(141)가 작동되고 나서, 다음 예취 작업이 행하여질 때까지의 동안에는, 배출 오거(141)의 시동 전에 있어서의 『저류 체적량』이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계속해서 표시된다. 다음 예취 작업이 행하여진다는 것은, 밑동 센서(126) 및 회전 센서(123) 모두가 검출 상태로 됨으로써 판단된다. 다음 예취 작업이 행하여지면, 『저류 체적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는, 다시, 곡립 탱크(115)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이 실시간으로 갱신되어서 표시되는 상태로 복귀된다.
[연료 소비량의 리셋]
디스플레이(145)가, 『연료 소비량 모드』로 되어 있을 때는, 전환 스위치의 짧은 누름 조작보다도 가압 시간이 긴 누름 조작에 의해, 기억부(157)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 소비량』의 값을 제로로 리셋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셋된 『연료 소비량』은, 제로부터 재 카운트된다. 이렇게 『연료 소비량』을 리셋 가능하게 하고 있음으로써, 『연료 소비량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145)에 의해, 예를 들어 예취 작업을 행하는 포장마다, 운전자마다, 얼마나 연료의 소비량에 차이가 있었는지 등의 판단을 행하기 쉬워진다.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2-1)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역치』가 체적 단위로 설정되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역치』가 중량 단위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판정부(152)에 있어서, 중량 센서(128)에 의한 계측에 기초하는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개산 중량』과 『역치』가 비교된다.
(2-2)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계측 센서」로서의 중량 센서(128) 및 품질 센서(127)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연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벨 센서(135)를 「계측 센서」로서 사용하여, 레벨 센서(135)에 의해 계측되는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레벨에 기초해서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연산해도 된다. 이 경우, ECU(119)에 있어서 연산부(151) 대신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벨 센서(135)에 의해 측정된 저류 레벨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량』을 연산하는 연산부(251)가 구비되어 있다. 연산부(251)에는, 레벨 센서(135)로서의 제1 센서(136), 제2 센서(137), 제3 센서(138), 제4 센서(139)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각각 입력되어 있다. 연산부(251)는, 제1 센서(136)만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곡립 탱크(115)의 저부로부터 제1 센서(136)의 위치까지의 체적을 곡립 탱크(115)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으로서 연산한다. 또한, 연산부(251)는, 제1 센서(136) 및 제2 센서(137)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곡립 탱크(115)의 저부로부터 제2 센서(137)의 위치까지의 체적을 곡립 탱크(115)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으로서 연산한다. 또한, 연산부(251)는, 제1 센서(136), 제2 센서(137), 및 제3 센서(138)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곡립 탱크(115)의 저부로부터 제3 센서(138)의 위치까지의 체적을 곡립 탱크(115)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으로서 연산한다. 또한, 연산부(251)는, 제1 센서(136) 내지 제4 센서(139)의 모두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곡립 탱크(115)의 저부로부터 제4 센서(139)의 위치까지의 체적을 곡립 탱크(115)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체적량』으로서 연산한다. 그리고, 이 경우, 판정부(152)의 『역치』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센서(136) 내지 제4 센서(139)에 대응해서 4단계로 체적 단위로 설정 가능하게 되고, 변경부(154)에 의해 판정부(152)에 있어서의 『역치』를 4단계 중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또한, 레벨 센서(135)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2-3)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품질 센서(127)는, 곡립의 수분 값, 단백질 등의 품질의 측정을 행하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품질 센서(127)는, 적어도 곡립의 수분 값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2-4)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 예취 작업이 행하여진다는 것이, 밑동 센서(126) 및 회전 센서(123) 모두가 검출 상태로 됨으로써 판단되도록 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밑동 센서(126) 또는 회전 센서(123)가 단독으로 검출 상태로 됨으로써, 다음 예취 작업이 행하여진다는 것이 판단되어도 된다.
(2-5)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판정부(152)에 있어서, 『역치』로서, 곡립 탱크(115) 내에 저류되어야 할 원하는 목표 값인 『제1 역치』나, 원하는 목표 값보다도 값이 작은 『제2 역치』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판정부(152)에서 설정 가능한 역치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2-6)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부(153)가 통신 유닛(120)에 구비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ECU(119)에 통신부(153)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2-7)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주행식의 자탈형 콤바인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휠 주행식의 자탈형 콤바인이나, 전간 투입형 콤바인 등의 다른 콤바인이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예]
먼저, 제3 실시 형태 중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콤바인의 개략 구성]
콤바인(310)은, 크롤러 주행식의 자탈형 콤바인이며,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310)에는, 엔진(311)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312)에 의해 자주하도록 구성된 주행 기체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콤바인(310)에는,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313)의 전방부에 지지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314)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315)와, 탈곡 장치(315)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316)와,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언로더(317)와,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318) 등이 구비된 운전 조종부(319)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탱크]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316)는, 기체 프레임(313) 중 탈곡 장치(315)에 대하여 기체 우측 가로측에 배치되고, 엔진(311)의 후방에 위치한다. 곡립 탱크(316)의 좌측 가로측부에는, 양곡 장치(324)가 구비되어 있다. 양곡 장치(324)는, 곡립 탱크(316) 내의 기체 좌측 가로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곡 장치(324)는, 탈곡 장치(315)로부터 반송되어진 곡립을, 양송 스크루(326)에 의해 토출구(327)까지 양송한다. 토출구(327)까지 양송된 곡립은, 양송 스크루(326)와 일체로 설치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블레이드(328)에 의해 토출구(327)로부터 튀어나와, 곡립 탱크(316) 내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공급된다. 토출구(327)로부터 공급된 곡립 중 대부분은 곡립 탱크(316) 내의 내부 공간(M)에 공급된다(도 18, 도 19 참조). 토출구(327)로부터 공급된 곡립의 일부는, 곡립 탱크(316)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되는 곡립의 품질 계측을 행하는 계측 유닛(330)에 공급된다(도 18, 도 19 참조). 이와 같이 하여, 탈곡 장치(315)로부터 반송되어진 곡립이,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다.
도 14, 도 15,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316) 내의 저부에는, 곡립 탱크(316)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체 전후 방향의 배출 오거(33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오거(332)는, 엔진(311)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어, 배출 오거(332)에의 구동력 전달을 온오프하기 위한 배출 클러치(333)(도 23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배출 클러치(333)를 온 상태로 하면 배출 오거(332)가 작동하여, 배출 오거(332)에 의해, 곡립 탱크(316)에 저류된 곡립이, 곡립 탱크(316)의 후방부로부터 배출되고, 도 14, 도 15에 도시되는 언로더(317)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 클러치(333)를 오프 상태로 하면, 배출 오거(332)의 작동은 정지된다.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316)의 전방부의 하방 위치에는,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의 중량을 곡립 탱크(316)의 중량에 기초하여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량 센서인 로드셀(335)이 구비되어 있다.
도 14,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316) 내에는, 곡립 탱크(316) 내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센서(337)가 구비되어 있다. 레벨 센서(337)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제1 센서(340), 제2 센서(341), 제3 센서(342), 제4 센서(34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센서(340), 제2 센서(341), 제3 센서(342), 제4 센서(343)가 순서대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센서(340)는, 곡립 탱크(316) 내의 후방측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센서(341), 제3 센서(342), 제4 센서(343)는, 곡립 탱크(316) 내의 전방부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센서(342)는, 저류 체적을 검출하는 「체적 계측부」의 일례인 「레벨 계측 장치」로서 구비되어 있다.
[계측 유닛]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 유닛(330)은, 곡립 탱크(316)의 전방벽(345)의 설치 구멍(345A)에, 시일용의 방진 고무(347)를 개재하여, 끼워 고정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 유닛(330)에는, 곡립의 품질 계측을 행하는 품질 센서(350)(「품질 계측부」에 상당)가 내장된 상자 형상의 계측실 형성체(352)와, 품질 센서(350)에 의한 품질 계측을 행하는 곡립을 통과시키는 통 형상의 유지부 형성체(35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실 형성체(352)에는, 품질 센서(350)를 수납하는 하우징(355)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55)에는, 품질 센서(350)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356)와, 본체 케이스(356)에 착탈 가능하게 되는 필터 케이스(357)가 구비되어 있다.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356)의 상부에는, 공기의 배기구(360)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356)에서의 필터 케이스(357)측에는 공기의 도입구(361)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360)에는, 배기구(360)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선단 구멍(362)으로부터 하향으로 배출하도록 굴곡된 안내관(36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안내관(363)은, 선단 구멍(362)이 배기구(360)보다도 본체 케이스(356)의 중앙부쪽으로 위치하도록 본체 케이스(356)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356)의 배기구(360)에는, 망상으로 형성되어, 물이나 먼지 등의 통과를 방지하는 배출측 망체(36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입구(361)에는, 망상으로 형성되어, 물이나 먼지 등의 통과를 방지하는 흡입측 망체(365)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357)는, 버클식의 연결구(366)에 의해 본체 케이스(35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구(366)는, 본체 케이스(356)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필터 케이스(35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연결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케이스(357)에는, 하우징(355)의 배면측에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368)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357)의 내부에는, 본체 케이스(356)측에 대향하는 면을 커버하는 필터(370)가 배치되어 있다. 흡기구(368)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필터(370)에 의해 먼지 등이 제거되어, 도입구(361)를 통과하고, 흡입측 망체(365)를 통과하여, 품질 센서(350)를 냉각하고, 배출측 망체(364)를 통과하고, 배기구(360)를 통과하여, 안내관(363)을 통과하고, 선단 구멍(362)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필터(370)의 일부에 눈막힘이 발생해도, 공기가 막힌 부분을 우회하여, 필터(370)의 막히지 않은 부분을 통과한다. 이 때문에, 필터(370)의 전체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356)에는, 도입구(361)에 흡입측 망체(365)가 설치되고, 배기구(360)에 배출측 망체(36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내관(363)이나 필터 케이스(357)를 제거하고, 예를 들어 콤바인(310)의 세차 등을 행할 때, 본체 케이스(356) 내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 형성체(353)에는, 곡립 탱크(316) 내에서 주로 곡립이 저류되는 내부 공간(M)과는 일부분이 구획되어, 곡립을 도입해서 곡립의 품질 계측이 행하여지는 샘플링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샘플링 공간(S)에는, 품질 계측을 위해서 일시적으로 곡립이 저류되는 일시 저류부(T)와, 일시 저류부(T)의 하방에 형성되어, 품질 계측이 종료된 곡립을 내부 공간(M)에 배출하는 배출 횟수 확보부(E)가 포함되어 있다.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시 저류부(T)는, 곡립 탱크(316) 내의 전방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고, 탈곡 장치(315)로부터 반송되어 와서 회전 블레이드(328)에 의해 뿌려진 곡립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시 저류부(T)에는, 곡립을 도입하는 상부의 도입구(372)와, 곡립을 배출하는 하부의 배출구(373)가 형성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T)는, 일시 저류부(T)의 상부에 형성된 도입구(372)로부터 탈곡 장치(315)로부터 반송되어진 곡립의 일부를 도입해서 일시적으로 저류하고, 일시 저류부(T)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373)로부터 일시 저류부(T)에 저류된 곡립을 곡립 탱크(316) 내의 내부 공간(M)에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T)의 상부에는, 유지부 형성체(353)의 내벽(374)에 곡립을 검지하는 근접 센서(375)(「필요량 측정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T)의 하부에는, 배출구(373)를 폐색 또는 개방하는 셔터(37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일시 저류부(T) 내에는, 일시 저류부(T)에 저류된 곡립의 품질을 검출하는 상기 품질 센서(350)와, 품질 센서(350)에 의한 계측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일시 저류부(T)에 저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근접 센서(375)가 구비되어 있다. 품질 센서(350)는, 일시 저류부(T)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품질 센서(350)는, 폐쇄 위치의 셔터(376)의 상방이면서 또한 근접 센서(375)의 검지 위치의 하방에 위치하는 곡립을 검출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횟수 확보부(E)는, 일시 저류부(T)의 하방이면서 또한 셔터(376)의 하방에 인접해서 구비되어 있다. 즉, 배출 횟수 확보부(E)는, 배출구(373)를 통해서 상방의 일시 저류부(T)와 연통하고 있다. 배출 횟수 확보부(E)는, 그 측부가, 유지부 형성체(353)의 구획 부재(377)에 의해 내부 공간(M)과 구획됨과 함께, 구획 부재(377)의 하단부 부근에서, 그 하부가 내부 공간(M)과 연통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출 횟수 확보부(E)는, 곡립 탱크(316)의 내부 공간(M)과는, 곡립의 저류 상태가 상이하다. 구획 부재(377)의 하단부와 동일 정도의 높이를, 제3 센서(342)는 곡립의 검지 높이로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출 횟수 확보부(E)는, 셔터(376)가 개방 위치로 되었을 때의 하단부로부터 구획 부재(377)의 하단부에 이르는 높이 범위를, 곡립을 저류 가능한 저류 가능 체적으로서 갖고 있다. 배출 횟수 확보부(E)의 저류 가능 체적은, 일시 저류부(T)에 저류 가능한 일시 저류 체적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횟수 확보부(E)의 저류 가능 체적은,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했을 때 일시 저류부(T)로부터 낙하되는 곡립의 체적의 2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립 탱크(316) 내에 계측 유닛(330)이 끼워져 고정되면, 품질 센서(350)는, 곡립 탱크(316) 내에 위치하게 된다. 즉, 품질 센서(350)는, 곡립 탱크(316) 내에 구비되어 있다. 품질 센서(350)에 의해,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되는 곡립의 품질이 계측된다. 품질 센서(350)는, 샘플링 공간(S)의 일시 저류부(T)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곡립에 대해서 품질 계측을 행하고, 근접 센서(375)의 하방 위치이면서 또한 셔터(376)의 상방 위치를 곡립의 검출 범위로 하고 있다. 품질 센서(350)는, 광학식의 검지 방식으로 되어, 정지한 곡립의 수분 값이나 단백 값 등의 내부의 품질을 비접촉으로 계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375)는, 일시 저류부(T)에 있어서, 근접 센서(375)의 검지 높이에 달한 곡립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근접 센서(375)는, 품질 센서(350)에 의한 계측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일시 저류부(T)에 저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셔터]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376)는, 판상의 요동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376)는, 모터(378)를 구동해서 캠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전환 기구(380)에 의해, 배출구(373)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와, 배출구(373)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가 전환된다. 즉, 셔터(376)는, 모터(378)의 구동에 의해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 및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진다. 셔터(376)는, 일시 저류부(T)의 하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373)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배출구(373)를 폐색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셔터(376)는, 셔터(376)의 개폐 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의 지지축(381) 주위로 요동해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381)은, 유지부 형성체(353)의 내벽(374)에 지지되어 있다. 셔터(376)는, 유지부 형성체(353)의 내벽(374)에 지지된 가로 방향의 지지축(381) 주위로 요동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셔터(376)는, 폐쇄 위치로 되었을 때, 가로 방향 자세가 되어 배출구(373)를 폐색하고, 가로 방향 자세의 셔터(376)의 상면에 곡립을 모음으로써, 일시 저류부(T)에 곡립을 저류한다. 셔터(376)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지지축(381)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향 볼록한 굴곡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376)는, 개방 위치로 되었을 때 세로 방향 자세가 되어 배출구(373)를 개방하고, 일시 저류부(T)에 저류된 곡립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셔터(376)는, 전환 기구(380)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또한, 셔터(376)는, 전환 기구(380)의 밀어올림이 없어짐으로써,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위치 변경된다.
[ECU]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310)에는, 셔터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ECU(320)가 구비되어 있다. ECU(320)에는, 판정부(390)와, 판단부(391)와, 제어부(392)가 구비되어 있다.
판정부(390)는,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에 도달했는지 여부, 또는 『소정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부(390)는, 제3 센서(342), 제어부(392)에 접속되어 있다. 판정부(390)는, 제3 센서(342)에 의해 곡립의 저류 레벨이 검출되면,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에 도달했다고 판정하고, 제어부(392)에 『예비값 도달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판정부(390)는,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에 도달했다고 판정한 후에, 제어부(392)로부터 소정 횟수만큼 셔터의 개방이 이루어진 것을 입력하면,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에 도달했다고 판정하고, 제어부(392)에 『소정 값 도달 신호』를 출력한다. 즉, 판정부(390)는, 체적 계측부로서의 레벨 센서(337)에 의해 저류 체적이 『소정 값』보다도 낮은 값인 『예비값』을 초과한 것이 검출되고, 또한 그 검출 후에 셔터(376)가 개방된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했을 때,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했다고 판정한다.
판단부(391)는, 일시 저류부(T)에 곡립이 저류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 및, 일시 저류부(T)로부터 곡립이 배출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판단부(391)는, 근접 센서(375), 제어부(392)에 접속되어 있다. 판단부(391)는, 근접 센서(375)가 곡립을 검출하지 않는 비검출 상태(오프 상태)로부터 곡립을 검출하는 검출 상태(ON 상태)가 되어, 검출 상태(ON 상태)가 소정 시간만큼 계속되면, 제어부(392)에 『저류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판단부(391)는, 근접 센서(375)가 곡립을 검출하는 검출 상태(ON 상태)로부터 곡립을 검출하지 않는 비검출 상태(오프 상태)가 되어, 비검출 상태(오프 상태)가 소정 시간만큼 계속되면, 제어부(392)에 『배출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92)는, 셔터(376)를 동작시키는 모터(378)의 제어 및 품질 센서(350)에의 계측 타이밍의 지시를 행한다. 제어부(392)는, 판정부(390), 판단부(391), 배출 클러치(333), 모터(378), 품질 센서(35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92)는, 판단부(391)로부터 『저류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품질 센서(350)에 곡립의 품질 계측을 행하는 지시를 행하고, 품질 센서(350)에 의한 품질 계측에 필요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모터(378)를 구동해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한다. 그리고, 판단부(391)로부터 『배출 완료 신호』를 입력하면, 일시 저류부(T)의 곡립 모두가 곡립 탱크(316) 내의 배출 횟수 확보부(E)에 배출된 것으로 간주하고, 모터(378)를 구동해서 셔터(376)을를폐쇄 위치로 한다. 즉, 제어부(392)는, 개폐 제어에 있어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한 후에, 품질 센서(350)에 의한 계측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일시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기본적으로, 제어부(392)는, 이러한 셔터(376)의 개폐 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제어부(392)는, 판정부(390)로부터 『예비값 도달 신호』를 입력하면, 『예비값 도달 신호』를 입력하고 나서 모터(378)를 구동해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한 횟수를 계속적으로 판정부(390)에 출력한다. 제어부(392)는, 판정부(390)에 의해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정되어 판정부(390)로부터 『소정 값 도달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378)의 구동을 정지하고 셔터(376)의 개폐 제어를 정지한다. 즉, 제어부(392)는, 판정부(390)에 의해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정되면, 품질 센서(350)에 의한 계측이 종료되어도,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392)는, 셔터(376)의 개폐 제어가 정지된 후,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가 되면, 셔터(376)의 개폐 제어를 재개한다.
[흐름도]
상기와 같은 ECU(320)에 의한 셔터(376)의 개폐 제어의 수순을, 도 24의 흐름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셔터(376)가 폐쇄 위치로 된 상태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검출 상태(ON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01). 스텝 #101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검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101: "아니오"), 스텝 #101로 복귀된다. 스텝 #101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검출 상태로 되어 있으면(#101: "예"), 일시 저류부(T)에 품질 센서(350)에 의한 계측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저류되어 있는 것으로 알아서, 이어서 품질 센서(350)에 의해 소정 시간을 들여서 일시 저류부(T)에 저류된 곡립에 대해 품질 계측이 행하여진다(스텝 #102). 스텝 #102의 다음으로는,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03). 스텝 #103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3 센서(342)에 의해 곡립이 검출되었으면,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한 것으로 간주된다. 스텝 #103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지 않았으면(#103: "예"),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해도 셔터(376)가 곡립에 간섭하지 않는 것으로 알아서, 이어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진다(스텝 #104). 스텝 #104의 다음으로는,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오프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05). 스텝 #105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105: "아니오"), 스텝 #105로 복귀된다. 스텝 #105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로 되어 있으면(#105: "예"), 일시 저류부(T)로부터 품질 계측이 종료된 곡립이 배출 횟수 확보부(E)에 배출된 것으로 알아서,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진다(스텝 #106). 스텝 #106이 종료되면, 다음의 품질 계측을 행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 #103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였으면(#103: "아니오"), 이어서 셔터(376)가 개방된 횟수(N)가 소정 횟수(A) 이하인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07). 스텝 #107에서, 셔터(376)가 개방된 횟수(N)가 소정 횟수(A) 이하이면(#107: "예"), 배출 횟수 확보부(E)에 아직 체적의 여유가 있어,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해도, 셔터(376)가 곡립에 간섭하지 않는 것으로 알아서, 이어서 셔터(376)가 개방 위치로 제어된다(스텝 #108). 스텝 #108에서는, 셔터(376)를 1회 개방한 분의 곡립이 배출 횟수 확보부(E)에 낙하되므로, 스텝 #108의 다음으로는, 셔터(376)가 개방된 횟수(N)에 『1』이 가산된다(스텝 #109). 스텝 #109가 종료되면, 다음의 품질 계측을 행하기 위해서, 스텝 #105로 이행된다.
또한, 스텝 #107에서, 셔터(376)가 개방된 횟수(N)가 소정 횟수(A)를 초과하였으면(#107: "아니오"),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셔터(376)가 소정 횟수만큼 개방되어, 배출 횟수 확보부(E)에 체적의 여유가 없어진 것으로 안다. 이 때문에,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하면, 셔터(376)가 배출 횟수 확보부(E)에 저류된 곡립에 간섭할 우려가 있으므로, 셔터(376)의 개폐 제어가 일시 중단되어, 셔터(376)가 폐쇄 위치인 상태 그대로 되고,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스텝 #107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면,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가 될 때까지 셔터(376)의 개폐 제어가 일시 중단된다. 그 때문에, 스텝 #107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가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10). 스텝 #110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110: "아니오"), 스텝 #110으로 복귀된다. 스텝 #110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가 되면(#110: "예"), 곡립 탱크(316)로부터 배출 오거(332)에 의해 곡립이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 횟수 확보부(E)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텝 #110에서 "예"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스텝 #111),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111: "아니오"), 스텝 #111로 복귀된다. 스텝 #111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111: "예"), 배출 횟수 확보부(E)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이 충분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터(376)의 개폐 제어를 재개해도 문제없는 것을 알게 되므로, 스텝 #111에서 "예"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셔터(376)가 개방 위치로 제어된다(스텝 #112). 스텝 #112의 다음으로는, 셔터(376)가 개방된 횟수(N)가 『0』으로 리셋된다(스텝 #113). 스텝 #113이 종료되면, 다음의 품질 계측을 행하기 위해서, 스텝 #105로 이행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수순에 있어서, 스텝 #107 내지 스텝 #109 대신에,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103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였으면(#103: "아니오"), 이어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다음의 품질 계측을 행하기 위해서, 스텝 #105로 이행된다. 또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예를 들어 셔터(376)가 소정 횟수만큼 개방되어, 배출 횟수 확보부(E)에 체적의 여유가 없어져,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하면, 셔터(376)가 저류된 곡립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됨으로써,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에 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셔터(376)의 개폐 제어가 일시 중단되어, 셔터(376)가 폐쇄 위치인 상태 그대로 되고,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로 될 때까지 셔터(376)의 개폐 제어가 일시 중단된다. 그리고,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예비값』을 초과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110). 이 경우, 판정부(390)는, 체적 계측부인 제3 센서(342)에 의해 저류 체적이 『소정 값』보다도 낮은 값인 『예비값』을 초과한 것이 검출되고, 또한 그 검출 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했다고 판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수순에 있어서, 스텝 #111을 생략해도 된다. 즉,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가 되면, 바로 셔터(376)의 개폐 제어를 재개하기 위해,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스텝 #112)를 행해도 된다.
[제2 실시예]
이어서, 제3 실시 형태 중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셔터(376)의 개폐 제어 중, 특히,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정지하는 판단을 행하고 있었다. 이하의 제2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376)의 개폐 제어 중, 특히,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를 정지하는 판단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예에서의 제어의 수순을 도 25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예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 이외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먼저, 셔터(376)가 폐쇄 위치로 된 상태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검출 상태(ON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01). 스텝 #201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검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201: "아니오"), 스텝 #201로 복귀된다. 스텝 #201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검출 상태로 되어 있으면(#201: "예"), 일시 저류부(T)에 품질 센서(350)에 의한 계측에 필요한 양의 곡립이 저류되어 있는 것으로 알아서, 이어서 품질 센서(350)에 의해 소정 시간을 들여서 일시 저류부(T)에 저류된 곡립에 대해 품질 계측이 행하여진다(스텝 #202). 스텝 #202의 다음으로는,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03).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해도 셔터(376)가 곡립에 간섭하지 않는다. 스텝 #203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았으면(#203: "예"),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진다(스텝 #204). 스텝 #204의 다음으로는,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오프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05). 스텝 #205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205: "아니오"), 스텝 #205로 복귀된다. 스텝 #205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로 되어 있으면(#205: "예"), 일시 저류부(T)로부터 품질 계측이 종료된 곡립이 배출된 것으로 안다. 따라서, 스텝 #205의 다음에는, 한번 더,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06). 개방 위치로 된 셔터(376)가, 일시 저류부(T)로부터 낙하된 곡립에 매립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스텝 #206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았으면(#206: "예"),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해도, 셔터(376)가 저류된 곡립에 간섭하지 않는 것으로 알아서,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진다(스텝 #207). 스텝 #207이 종료되면, 다음의 품질 계측을 행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
스텝 #206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였으면(#206: "아니오"),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제어하면, 셔터(376)가 배출 횟수 확보부(E)에 저류된 곡립을 끌어 올려버리는 것으로 알아서, 셔터(376)의 폐쇄 제어가 일시 중단되어, 셔터(376)가 개방 위치인 상태 그대로 되고,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스텝 #206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면,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로 될 때까지 셔터(376)의 폐쇄 제어가 일시 중단된다. 그 때문에, 스텝 #206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08). 스텝 #208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208: "아니오"), 스텝 #208로 복귀된다. 스텝 #208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가 되면(#208: "예"), 곡립 탱크(316)로부터 배출 오거(332)에 의해 곡립이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 횟수 확보부(E)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텝 #208에서 "예"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스텝 #209),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209: "아니오"), 스텝 #209로 복귀된다. 스텝 #209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209: "예"), 배출 횟수 확보부(E)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이 충분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제어해도 문제없는 것으로 알아서, 스텝 #209에서 "예"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셔터(376)가 폐쇄 위치로 제어된다(스텝 #207). 스텝 #207이 종료되면, 다음의 품질 계측을 행하기 위해서 되돌아간다.
스텝 #203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였으면(#203: "아니오"),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하면, 셔터(376)가 배출 횟수 확보부(E)에 저류된 곡립에 간섭할 우려가 있으므로, 셔터(376)의 개방 제어가 일시 중단되어, 셔터(376)가 폐쇄 위치인 상태 그대로 되고,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스텝 #20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되면,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로 될 때까지 셔터(376)의 개방 제어가 일시 중단된다. 그 때문에, 스텝 #20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10). 스텝 #210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210: "아니오"), 스텝 #210으로 복귀된다. 스텝 #210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가 되면(#210: "예"), 곡립 탱크(316)로부터 배출 오거(332)에 의해 곡립이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 횟수 확보부(E)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텝 #210에서 "예"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스텝 #211),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211: "아니오"), 스텝 #211로 복귀된다. 스텝 #211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211: "예"), 배출 횟수 확보부(E)에서의 곡립의 저류 레벨이 충분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제어해도 문제없는 것으로 알아서, 스텝 #211에서 "예"라고 판단된 다음에는, 셔터(376)가 개방 위치로 제어된다(스텝 #212). 스텝 #212의 다음에는,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오프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213). 스텝 #213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213: "아니오"), 스텝 #213으로 복귀된다. 스텝 #213에서, 근접 센서(375)가 소정 시간만큼 비검출 상태로 되어 있으면(#213: "예"), 다음의 품질 계측을 행하기 위해서, 스텝 #207로 이행된다.
[제3 실시예]
이어서, 제3 실시 형태 중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제어하는 타이밍을 변경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의 제어의 수순을 도 26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예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 이외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의 스텝 #107에서, 셔터(376)가 개방된 횟수(N)가 소정 횟수(A)를 초과하고 있으면(#107: "아니오"),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스텝 #203에서, 스텝 #203에서,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소정 값』을 초과하고 있으면(#203: "아니오"),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ON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301). 스텝 #301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301: "아니오"), 스텝 #301로 복귀된다. 스텝 #301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가 되면(#301: "예"), 이어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진다(스텝 #302). 그리고, 스텝 #302의 다음에는, 배출 클러치(333)가 오프 상태(OFF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303). 배출 클러치(333)가 오프 상태로 되어 있지 않으면(#303: "아니오"), 스텝 #303으로 복귀된다. 여기에서는, 배출 클러치(333)가 오프 상태(OFF 상태)로 될 때까지 셔터(376)는 개방 위치인 상태 그대로 되므로, 일시 저류부(T)의 곡립을 잔존시키지 않고 모두 배출할 수 있다. 스텝 #303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오프 상태가 되면(#303: "예"), 이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304). 스텝 #304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304: "아니오"), 스텝 #304로 복귀된다. 스텝 #304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304: "예"), 셔터(376)가 폐쇄 위치로 제어된다(스텝 #305). 스텝 #305가 종료되면, 되돌아간다.
이 경우, 제어부(392)는, 배출 클러치(333)가 온 상태가 되면, 모터(378)를 구동해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여, 배출 오거(332)에 의한 곡립의 배출시에 일시 저류부(T)에 곡립이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스텝 #304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텝 #303에서, 배출 클러치(333)가 오프 상태가 되면(#303: "예"), 스텝 #305로 이행하여, 바로 셔터(376)를 폐쇄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스텝 #305에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를 행하고, 계속해서,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지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셔터(376)를 개방 위치로 하는 제어가 행하여지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정되면, #305로 이행하여, 셔터(376)가 폐쇄 제어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예비값』이나 『소정 값』에 기초하는 판정을 행하고 있지만, 제3 실시예에서, 『예비값』이나 『소정 값』에 기초하는 판정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예]
이어서, 제3 실시 형태 중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의 제3 센서(342) 대신에, 로드셀(335)이 「체적 계측부」의 일례인 「중량 계측 장치」로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예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 이외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을 검출하는 체적 계측부로서, 곡립 탱크(316)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계측하는 로드셀(335)이 구비되고, 로드셀(335)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316) 내에 저류된 곡립의 저류 체적이 확정된다. 이 경우, 도 27에 도시하는 블록도와 같이, ECU(320)에 있어서 판정부(390) 대신에 연산부(493)와, 다른 판정부(490)가 구비된다. 연산부(493)는, 품질 센서(350), 로드셀(335)에 접속되어 있다. 연산부(493)는, 품질 센서(350)로부터 입력되는 수분 값과, 로드셀(335)로부터 입력되는 중량 값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316) 내의 곡립의 저류 체적을 연산해서 판정부(49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정부(490)는, 연산부(493)로부터 입력된 저류 체적이 『예비값』, 『소정 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490)는, 연산부(493)와, 제어부(392)에 접속되어 있다. 판정부(490)는, 연산부(493)로부터 입력된 저류 체적이 『예비값』, 『소정 값』을 초과하면, 각각, 제어부(392)에 『예비값 도달 신호』, 『소정 값 도달 신호』를 출력한다.
[제3 실시 형태 중 기타 실시예]
(3-1)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필요량 측정부로서 근접 센서(375)를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촉식의 센서 등의 곡립의 검출이 가능한 다른 필요량 측정부이어도 된다.
(3-2)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배출측 망체(364)를 배기구(360)에 설치하고, 흡입측 망체(365)를 도입구(361)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관(363)의 선단 구멍(362)에 배출측 망체(464)를 설치하고, 필터 케이스(357)의 흡기구(368)에 흡입측 망체(465)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콤바인(310)의 세차 등을 행할 때, 본체 케이스(356) 내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이 배출측 망체(464) 및 흡입측 망체(465)에 의해 방지된다.
(3-3)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모터(378)의 구동에 의해 전환 기구(380)로 밀어올려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위치 변경하는 셔터(376)를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환 기구(380)가 없이, 모터(378)의 구동에 의해 직접 개폐 제어되는 셔터(376)이어도 된다.
(3-4)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배출 횟수 확보부(E)가, 셔터(376)의 하방에 인접해서 구비되어 있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출 횟수 확보부(E)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셔터(376)의 하방이, 곡립 탱크(316)의 내부 공간(M)에 직접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비값』을 설치하지 않고, 『소정 값』을 제3 센서(342) 등의 레벨 계측 장치나 로드셀(335) 등의 중량 계측 장치 등으로 직접 계측하도록 하면 된다.
(3-5)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곡립 탱크(316)에 저류된 곡립은, 배출 오거(332)에 의해 곡립 탱크(316)의 후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곡립 탱크(316)에 저류된 곡립이 곡립 탱크(316)의 측부나 전방부 등으로부터 배출되어도 된다. 또한, 일시 저류부(T)는, 곡립 탱크(316)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일시 저류부(T)가, 곡립 탱크(316)의 중앙부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3-6)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자탈형의 콤바인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간 투입형 콤바인 등의 다른 콤바인이어도 된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 주행식의 콤바인을 일례로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휠 주행식의 콤바인 등의 다른 콤바인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10 : 콤바인 11 : 주행 기체
12 : 크롤러 주행 장치 13 : 예취부
14 : 탈곡 장치 15 : 곡립 탱크
16 : 언로더
19 : 좌우 경사 센서(좌우 경사 각도 검출부)
20 : 전후 경사 센서(전후 경사 각도 검출부)
23 : 제1 유압 실린더(좌우 자세 변경부, 전후 자세 변경부)
27 : 제2 유압 실린더(좌우 자세 변경부, 전후 자세 변경부)
29 : 제3 유압 실린더(좌우 자세 변경부, 전후 자세 변경부)
31 : 제4 유압 실린더(좌우 자세 변경부, 전후 자세 변경부)
33 : 차속 센서 35 : 밑동 센서(곡간 센서)
36 : 예취 높이 센서 37 : 탈곡 클러치
38 : 배출 오거 39 :로드셀(중량 측정부)
40 : 세로 오거 41 : 가로 오거
42 : 오거받이 46 : 모터(선회 구동부)
47 : 요동 실린더(상하 요동 구동부)
66 : 측정 스위치(측정 지시부) 71 : 작업 상태 판정부
72 : 자세 판정부 73 : 수납 검출부
75 : 중량 측정 결정부(제어부)
[제2 실시 형태]
110 : 콤바인 113 : 예취부
114 : 탈곡부 115 : 곡립 탱크
127 : 품질 센서 128 : 중량 센서(계측 센서)
135 : 레벨 센서 145 : 디스플레이(표시부)
151 : 연산부 152 : 판정부
153 : 통신부 154 : 변경부
156 : 통지부 160 : 외부 서버
[제3 실시 형태]
310 : 콤바인 315 : 탈곡 장치
316 : 곡립 탱크 332 : 배출 오거
333 : 배출 클러치 335 : 로드셀(중량 계측 장치)
342 : 제3 센서(레벨 계측 장치) 350 : 품질 센서(품질 계측부)
372 : 도입구 373 : 배출구
375 : 근접 센서(필요량 측정부) 376 : 셔터
390 : 판정부 392 : 제어부
490 : 판정부 E : 배출 횟수 확보부
M : 내부 공간 T : 일시 저류부

Claims (33)

  1. 주행 기체를 지지하는 주행 장치와,
    상기 주행 기체에 상하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 측정을 행하는 중량 측정부와,
    상기 예취부의 상하 위치를 검출하는 예취 높이 센서와,
    중량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 지시부와,
    상기 주행 장치, 상기 예취부 및 상기 탈곡 장치의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인지 비작업 상태인지의 작업 상태 판정을 행하는 작업 상태 판정부와,
    상기 중량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지시부로부터 상기 중량 측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상기 작업 상태 판정을 지령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상하 위치의 높이에 관계 없이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상하 위치가 소정의 높이 이상인 경우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고, 상기 상하 위치가 상기 소정의 높이보다도 낮은 경우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소정의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의 자세 판정을 행하는 자세 판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자세 판정부에 상기 자세 판정을 지령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소정의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고, 상기 자세 판정부에 의해 상기 주행 기체의 기울기가 상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좌우 자세 변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세 검출부로서,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좌우 경사 각도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판정부에 의해 상기 좌우 경사 각도가 소정의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고, 상기 좌우 경사 각도가 상기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좌우 자세 변경부를 제어하고, 상기 좌우 경사 각도가 상기 좌우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된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는, 콤바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경사 자세를 변경하는 전후 자세 변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자세 검출부로서, 상기 주행 기체의 전후 경사 각도를 검출하는 전후 경사 각도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판정부에 의해 상기 전후 경사 각도가 소정의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에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전후 경사 각도가 상기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전후 자세 변경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후 경사 각도가 상기 전후 경사 허용 범위 내가 된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는, 콤바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장치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가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을 판정하는 조건에, 상기 주행 속도가 제로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콤바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에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탈곡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가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을 판정하는 조건에, 상기 탈곡 클러치가 오프 상태인 것이 포함되어 있는, 콤바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설치되어 예취 곡간의 존재를 검출하는 곡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가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을 판정하는 조건에, 상기 예취부에 예취 곡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이 포함되어 있는, 콤바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접속된 세로 오거 및 상기 세로 오거에 접속되어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하면서 또한 수납 위치와 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가로 오거를 갖는 언로더와,
    상기 가로 오거를 상기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오거받이와,
    상기 가로 오거가 상기 오거받이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수납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수납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 검출부에 의해 상기 수납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고, 상기 수납 검출부에 의해 상기 수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 콤바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오거를 상하 요동시키는 상하 요동 구동부와,
    상기 가로 오거를 선회시키는 선회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 검출부에 의해 상기 수납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수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상하 요동 구동부 및 상기 선회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납 상태가 된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는, 콤바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에 접속된 세로 오거 및 상기 세로 오거에 접속되어 상기 곡립 탱크에 저류된 곡립을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 가능함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하면서 또한 수납 위치와 작업 위치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가로 오거를 갖는 언로더와,
    상기 가로 오거를 상하 요동시키는 상하 요동 구동부와,
    상기 가로 오거를 상기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오거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비작업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상하 요동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가로 오거를 소정 시간 하강시킨 후에,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는, 콤바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측정부에 상기 중량 측정을 지령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측정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콤바인.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157030450A 2013-03-27 2014-02-20 콤바인 KR102234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67034A JP6037912B2 (ja) 2013-03-27 2013-03-27 コンバイン
JPJP-P-2013-067034 2013-03-27
JP2013067033A JP5908425B2 (ja) 2013-03-27 2013-03-27 コンバイン
JP2013067032A JP6029509B2 (ja) 2013-03-27 2013-03-27 コンバイン
JPJP-P-2013-067032 2013-03-27
JPJP-P-2013-067033 2013-03-27
PCT/JP2014/054025 WO2014156387A1 (ja) 2013-03-27 2014-02-2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19A KR20150133819A (ko) 2015-11-30
KR102234179B1 true KR102234179B1 (ko) 2021-03-31

Family

ID=5162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50A KR102234179B1 (ko) 2013-03-27 2014-02-20 콤바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20436B2 (ko)
EP (1) EP2979537B1 (ko)
KR (1) KR102234179B1 (ko)
CN (1) CN105163575B (ko)
WO (1) WO2014156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4538B2 (en) 2014-09-24 2018-04-03 Deere & Company Recalling crop-specific performance targets for controlling a mobile machine
US9901031B2 (en) * 2014-09-24 2018-02-27 Deere & Company Automatic tuning of an intelligent combine
WO2016074058A1 (en) * 2014-11-14 2016-05-19 Bistrata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grain cart weight
CN107111843B (zh) 2015-03-16 2021-03-09 株式会社久保田 谷粒管理系统以及联合收割机
EP3272205B1 (en) 2015-03-18 2022-11-09 Kubota Corporation Combine, and grain-evaluation control device for combine
WO2016147452A1 (ja) 2015-03-18 2016-09-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US20160345746A1 (en) * 2015-05-29 2016-12-01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racking Operation of A Comfort Product
JP6451530B2 (ja) * 2015-07-08 2019-01-1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60971B2 (ja) * 2015-12-18 2019-01-3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06973620B (zh) * 2015-12-25 2022-08-23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CN105660038A (zh) * 2016-01-22 2016-06-15 济南大学 基于dsp的智能化玉米联合收获机故障监测系统
JP6697964B2 (ja) * 2016-06-27 2020-05-2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US10288472B2 (en) * 2016-11-15 2019-05-14 Digi-Sta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on of wind effects on measured weights
KR102579435B1 (ko) * 2016-12-19 2023-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DE102017109849A1 (de) * 2017-05-08 2018-11-08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Verfahren zur Abarbeitung eines landwirtschaftlichen Ernteprozesses
EP3459339B1 (en) * 2017-09-21 2021-06-23 CNH Industrial Belgium NV Operator adjustable continuous bin level measurement
US10645875B2 (en) * 2017-10-19 2020-05-12 Cnh Industrial America Llc Method and system for unloading harvested crop from an agricultural harvester
CN111405844B (zh) * 2017-11-24 2023-05-12 株式会社久保田 收割机、极限行驶距离计算程序、记录有极限行驶距离计算程序的记录介质、极限行驶距离计算方法
US10701861B2 (en) 2018-07-19 2020-07-07 Cnh Industrial America Llc Modular sensor array for bulk material detection
DE202018105801U1 (de) * 2018-10-10 2020-01-15 Trioliet B. V. Landwirtschaftliches Transportfahrzeug mit Wiegesystem
CA3116429A1 (en) 2018-10-24 2020-04-30 Bitstrata Systems Inc. Machine operational state and material movement tracking
US11672203B2 (en) 2018-10-26 2023-06-13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and control
US11467605B2 (en) 2019-04-10 2022-10-11 Deere & Company Zonal machine control
US11589509B2 (en) 2018-10-26 2023-02-28 Deere & Company Predictive machine characteristic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653588B2 (en) 2018-10-26 2023-05-23 Deere & Company Yield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178818B2 (en) 2018-10-26 2021-11-23 Deere & Company Harvesting machine control system with fill level processing based on yield data
US11079725B2 (en) 2019-04-10 2021-08-03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real-time model
US11957072B2 (en) 2020-02-06 2024-04-16 Deere & Company Pre-emergence weed detection and mitigation system
US11240961B2 (en) * 2018-10-26 2022-02-08 Deere & Company Controlling a harvesting machine based on a geo-spatial representation indicating where the harvesting machine is likely to reach capacity
US11641800B2 (en) 2020-02-06 2023-05-09 Deere & Company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with pre-emergence weed detection and mitigation system
US11483970B2 (en) * 2018-11-28 2022-11-01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an agricultural harvesting implement based on implement height
US10677637B1 (en) 2019-04-04 2020-06-09 Scale Tec, Ltd. Scale controller with dynamic weight measurement
US11778945B2 (en) 2019-04-10 2023-10-10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real-time model
US11234366B2 (en) 2019-04-10 2022-02-01 Deere & Company Image selection for machine control
CN110648429B (zh) * 2019-08-30 2021-07-20 安徽中科智能感知产业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多重判断条件的农业机械作业行驶状态远程检测方法
US11477940B2 (en) 2020-03-26 2022-10-25 Deere & Company Mobile work machine control based on zone parameter modification
US11737394B2 (en) * 2020-05-29 2023-08-29 Deere & Company Crop flow nozzle
US11946747B2 (en) 2020-10-09 2024-04-02 Deere & Company Crop constituent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675354B2 (en) 2020-10-09 2023-06-13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711995B2 (en) 2020-10-09 2023-08-01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474523B2 (en) 2020-10-09 2022-10-18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speed map
US11845449B2 (en) 2020-10-09 2023-12-19 Deere & Company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64483B2 (en) 2020-10-09 2024-01-09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927459B2 (en) 2020-10-09 2024-03-12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49671B2 (en) 2020-10-09 2023-12-26 Deere & Company Crop stat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635765B2 (en) 2020-10-09 2023-04-25 Deere & Company Crop stat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25768B2 (en) 2020-10-09 2023-11-28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71697B2 (en) 2020-10-09 2024-01-16 Deere & Company Crop moisture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89788B2 (en) 2020-10-09 2024-02-06 Deere & Company Predictive biomass map generation and control
US11844311B2 (en) 2020-10-09 2023-12-19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95948B2 (en) 2020-10-09 2024-02-13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and control based on soil properties
US11592822B2 (en) 2020-10-09 2023-02-28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874669B2 (en) 2020-10-09 2024-01-16 Deere & Company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727680B2 (en) 2020-10-09 2023-08-15 Deere & Company Predictive map generation based on seeding characteristics and control
US11849672B2 (en) 2020-10-09 2023-12-26 Deere & Company Machine control using a predictive map
US11650587B2 (en) 2020-10-09 2023-05-16 Deere & Company Predictive power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889787B2 (en) 2020-10-09 2024-02-06 Deere & Company Predictive speed map generation and control system
US11650093B2 (en) 2021-01-19 2023-05-16 Scale-Tec Ltd. Material weight measurement system with automatic tare associated with object presence detection
US11756396B2 (en) * 2021-07-13 2023-09-12 Philip KUHN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grain theft in harvesting oper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102B2 (ja) * 1991-07-17 2001-07-11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2005087155A (ja) * 2003-09-19 2005-04-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6246849A (ja) * 2005-03-14 2006-09-2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036193A (ja) * 2009-08-12 2011-02-2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4084A (en) 1968-11-25 1972-02-22 Gillette Co Treatment of keratin fibers
US3714818A (en) * 1971-03-10 1973-02-06 W Relph Method and means of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grain
JPS56114748A (en) * 1980-02-14 1981-09-09 Satake Eng Co Ltd Grain moisture measuring device
JPS56128449A (en) * 1980-03-13 1981-10-07 Kaneko Agricult Ma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on of moisture
JPS58216943A (ja) * 1982-06-11 1983-12-16 Iseki & Co Ltd 穀粒乾燥機の水分測定装置
US4487278A (en) * 1983-08-24 1984-12-11 Trebor Industries, Inc. Instrument for providing automatic measurement of test weight
JPS6440056U (ko) * 1987-09-04 1989-03-09
US5092819A (en) * 1990-05-17 1992-03-03 Schroeder Michael J Method and apparatus for qualitatively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grain to be harvested
JPH04267814A (ja) * 1991-02-21 1992-09-24 Kubota Corp コンバイン
US5327708A (en) * 1991-02-28 1994-07-12 Gerrish Steven R Crop testing and evaluation system
US5173079A (en) * 1991-02-28 1992-12-22 Gerrish Steven R Crop testing and evaluation system
JP3787396B2 (ja) * 1996-08-20 2006-06-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736884B2 (ja) * 1996-08-27 1998-04-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収穫機の車速制御装置
US5751421A (en) 1997-02-27 1998-05-12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Near infrared spectrometer used in combination with a combine for real time grain analysis
US6483583B1 (en) 1997-02-27 2002-11-19 Textron Systems Corporation Near infrared spectrometry for real time analysis of substances
US5991025A (en) 1997-02-27 1999-11-23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Near infrared spectrometer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gricultural implement for real time grain and forage analysis
US5957773A (en) * 1997-04-02 1999-09-28 Dekalb Genet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grain characteristics
DE19744485A1 (de) * 1997-10-09 1999-04-15 Claas Selbstfahr Erntemasch Vorrichtung zur Feuchtemessung in Erntemaschinen
TR200001149T2 (tr) 1997-10-28 2000-08-21 Unilever N.V. Oda sıcaklığında niteliği bozulmayan niteliği bozulmayan ve esası çay olan bir içecek
JP3068045B2 (ja) 1997-12-02 2000-07-2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重量測定装置
US6845326B1 (en) * 1999-11-08 2005-01-18 Ndsu Research Foundation Optical sensor for analyzing a stream of an agricultural product to determine its constituents
US6460008B1 (en) * 2000-07-19 2002-10-01 Ivan E. Hardt Yield monitoring system for grain harvesting combine
JP2002186348A (ja) * 2000-12-20 2002-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穀物貯蔵施設への穀物運搬システム
JP2002223629A (ja) 2001-02-05 2002-08-13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構造
JP2003189733A (ja) 2001-12-27 2003-07-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水分測定装置
JP2003289712A (ja) 2002-04-05 2003-10-1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管理システム
US6820459B2 (en) * 2002-09-18 2004-11-23 Deere & Company Automatic mass-flow sensor calibration for a yield monitor
JP2004129522A (ja) * 2002-10-08 2004-04-30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5024381A (ja) * 2003-07-02 2005-01-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穀物検出装置
JP2005080549A (ja) 2003-09-08 2005-03-3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制御装置
US7507917B2 (en) * 2004-08-25 2009-03-24 Kaltenheuser Steven R Apparatus and method for weighing crop on board a harvester
JP4578907B2 (ja) 2004-09-16 2010-11-1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6081490A (ja) * 2004-09-17 2006-03-3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4493014B2 (ja) * 2004-09-17 2010-06-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6081485A (ja) * 2004-09-17 2006-03-3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6081480A (ja) 2004-09-17 2006-03-30 Yanmar Co Ltd 農業情報管理システム
JP4502326B2 (ja) 2005-03-14 2010-07-1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6246845A (ja) 2005-03-14 2006-09-2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074963A (ja) 2005-09-13 2007-03-2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DE102005047335A1 (de) * 2005-09-30 2007-04-12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Selbstfahrende Erntemaschin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JP5098277B2 (ja) 2006-09-29 2012-12-1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9044995A (ja) 2007-08-20 2009-03-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DE102008001783A1 (de) * 2008-05-15 2009-11-19 Deere & Company, Moline Messanordnung zur Bestimmung der Inhaltsstoffe einer aus einem Erntegutstrom entnommenen Probe
US8175775B2 (en) * 2008-06-11 2012-05-08 Cnh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employing short range communications for establishing performance parameters of an exemplar agricultural machine among a plurality of like-purpose agricultural machines
US8032255B2 (en) * 2008-06-30 2011-10-04 Deere & Company Monitoring of bin level for an agricultural product
JP2010227078A (ja) * 2009-03-30 2010-10-1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US7877181B2 (en) * 2009-05-11 2011-01-25 Deere & Company Scalable grain tank fill level display
JP2011077980A (ja) 2009-10-01 2011-04-14 Yanmar Co Ltd 農作業機械における処理条件の自動設定
US8082809B2 (en) * 2009-10-08 2011-12-2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Combine harvester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vely gathering grain test data
AU2011348137B2 (en) * 2010-12-22 2016-11-10 Precision Planting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yield and vehicle
WO2012134723A2 (en) 2011-03-31 2012-10-04 Ag Leader Technology Combine bin level monitoring system
WO2013012080A1 (ja) 2011-07-20 2013-01-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EP2768298B1 (en) * 2011-10-21 2017-11-22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Combine harvester and associated method for gathering grain
JP5829504B2 (ja) 2011-12-08 2015-12-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5869330B2 (ja) * 2011-12-08 2016-02-2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DE102013106131A1 (de) * 2012-07-16 2014-06-12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Fahrerassistenzsystem für landwirtschaftliche Arbeitsmaschine
JP5732445B2 (ja) 2012-09-27 2015-06-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5732444B2 (ja) 2012-09-27 2015-06-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US20140095032A1 (en) * 2012-10-01 2014-04-03 Ryan Mulder Real time scale communication between material handling devices
JP6073714B2 (ja) * 2013-03-13 2017-02-0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の表示装置
US9372109B2 (en) * 2013-03-15 2016-06-21 Raven Industires, Inc. Harvester elevator in-flow weight sensor and methods for the same
US9272853B2 (en) * 2013-03-15 2016-03-01 Unverferth Manufacturing Company, Inc. Weight-based chute control for a farm implement
US9187259B2 (en) * 2013-03-15 2015-11-17 Unverferth Manufacturing Company,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unload operation on a mobile farm implement
AT513625B1 (de) * 2013-03-18 2014-06-15 Wintersteiger Ag Wiegevorrichtung für einen Parzellenmähdrescher
JP5980162B2 (ja) * 2013-04-26 2016-08-3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US9810567B2 (en) * 2013-05-03 2017-11-07 Dickey-John Corporation Calibration-free continuous bin level sensor
US11315052B2 (en) * 2013-06-14 2022-04-26 Brandt Industr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gricultural commodities, e.g. crop inventories
US9671273B2 (en) * 2014-02-05 2017-06-06 Juniper Systems, Inc. Grain measurement apparatus
US9702753B2 (en) * 2014-06-27 2017-07-11 Deere & Company Grain mass flow estimation
US9645006B2 (en) * 2014-06-27 2017-05-09 Deere & Company Calibration of grain mass measurement
US9916505B2 (en) * 2014-09-22 2018-03-13 Deere &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image data
JP5973521B2 (ja) * 2014-10-15 2016-08-23 株式会社クボタ 光学式穀粒評価装置
CN107111843B (zh) * 2015-03-16 2021-03-09 株式会社久保田 谷粒管理系统以及联合收割机
US9872433B2 (en) * 2015-05-14 2018-01-23 Raven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harvest characteristics
US10371558B2 (en) * 2016-08-31 2019-08-06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bin level via an electromagnetic sig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102B2 (ja) * 1991-07-17 2001-07-11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2005087155A (ja) * 2003-09-19 2005-04-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6246849A (ja) * 2005-03-14 2006-09-2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036193A (ja) * 2009-08-12 2011-02-2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9559A1 (en) 2016-02-04
EP2979537A4 (en) 2017-03-15
US9820436B2 (en) 2017-11-21
EP2979537B1 (en) 2019-08-28
US20180042175A1 (en) 2018-02-15
WO2014156387A1 (ja) 2014-10-02
EP2979537A1 (en) 2016-02-03
US10945367B2 (en) 2021-03-16
CN105163575A (zh) 2015-12-16
US20190069482A1 (en) 2019-03-07
KR20150133819A (ko) 2015-11-30
CN105163575B (zh) 2021-08-03
US10143132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179B1 (ko) 콤바인
KR102112694B1 (ko) 콤바인
JP6037912B2 (ja) コンバイン
JP5891686B2 (ja) 作業車両
JP6029509B2 (ja) コンバイン
KR102446617B1 (ko) 수확기
JP5908425B2 (ja) コンバイン
JP6521926B2 (ja) コンバイン
JP6300592B2 (ja) 収穫機
CN106332599B (zh) 联合收割机
KR102521831B1 (ko) 콤바인
KR102302684B1 (ko) 수확기
CN112533475A (zh) 联合收割机、收获量计算方法、计算系统、计算程序、及记录有计算程序的 记录介质;谷粒排出收获量计算方法、计算系统、计算程序、及记录有计算 程序的记录介质、不正常流入检测系统、检测程序、记录有检测程序的记录 介质、及检测方法;储存水平检测系统
JP5756070B2 (ja) コンバイン
JP6022519B2 (ja) コンバイン
JP6023139B2 (ja) コンバイン
KR20160052325A (ko) 시비 장치
CN106973620B (zh) 联合收割机
JP6257676B2 (ja) コンバイン
JP2018086019A (ja) 収穫機
JP201808601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