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863B1 -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863B1
KR102204863B1 KR1020190069750A KR20190069750A KR102204863B1 KR 102204863 B1 KR102204863 B1 KR 102204863B1 KR 1020190069750 A KR1020190069750 A KR 1020190069750A KR 20190069750 A KR20190069750 A KR 20190069750A KR 102204863 B1 KR102204863 B1 KR 10220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lling
flap module
opening
tank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375A (ko
Inventor
베른트 빙클러
페터 키프케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14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53Details concerning the inlet box or bowl in the vehicle car body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2Light emittin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6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2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9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at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측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및/또는 급유를 위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200)를 수용하거나 안착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1)은 추가로, 조명 수단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장치(100)의 고정을 위해 이용된다. 이 장치(100)에 의해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1)이 조명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장치의 현재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도 표시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1)은 하나 이상의 제1 개구(16)와 이에 인접하는 하나의 제2 개구(17)를 포함하며, 이들 개구(16, 17)는 장치(1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데 이용된다. 개구들(16, 17)은, 장착된 장치(100)의 방출된 또는 방출 가능한 광이 제1 개구(16)로부터는 사용자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고, 제2 개구(17)로부터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및/또는 급유를 위한 인터페이스(200)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CHARGING AND/OR FUEL FILLER FLAP MODULE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6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에 따라서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및 상기 유형의 장치는 DE 10 2011 114 075 A1호로부터 공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보에는 특히 탱크 홈통 내에 배치되고, 탱크 개구의 둘레에 환형으로 배치되는 계기 클러스터(instrument cluster)가 기술된다. 계기 클러스터 내에는 탱크 홈통을 조명하기 위한 환형 광원이 탱크 충전 레벨의 표시를 위한 표시 수단과 조합되어 있다. 표시 수단은 마찬가지로 탱크 개구의 둘레에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다.
상기 해결책의 단점은, 탱크 개구의 둘레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탱크 홈통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에 의해 사용자의 눈부심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계기 클러스터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DE 10 2012 211 048 A1호에는, 전기 구동 자동차의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충전 장치는 충전 플러그를 끼우기 위한 커플링 유닛을 포함한다. 커플링 유닛을 조명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 유닛은 윤곽이 c자 형태인 광 가이드(light guide)로 에워싸이며, 이 광 가이드의 c자형 레그들 내로 광원들의 광이 주입된다. 광 가이드는 사용자의 방향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커플링 유닛은 광 가이드로부터 추출되는 광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된다. 광 가이드는 탐색등(search light)으로서뿐만 아니라 축전지의 충전 상태의 각각의 표시를 위한 표시등(indicator light)으로도 기능한다. 커플링 유닛의 조명을 위한 이런 해결책도 장착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DE 10 2011 108 817 A1호에서 볼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의 경우, 충전 소켓의 둘레에 세그먼트형 조명 수단들이, 상기 충전 소켓의 둘레에 폐쇄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조명 수단들은 한편으로 충전 소켓을 조명하는 데 이용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분명히 표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일종의 눈금 표시를 제공한다.
그러나 여기서도, 충전 소켓을 조명하기 위해 광이 넓은 면적으로 직접 방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조명은 큰 장착 공간 및 많은 조명 수단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배경에서, 특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에 따른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로서, 효율적이면서 비용 효과적으로 조명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동차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조명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및 특허 청구항 제6항의 특징들을 갖는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 또는 개선예들은 각각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먼저, 자동차 측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및/또는 급유를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거나 안착시키도록 형성된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이 개시된다.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은,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조명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자동차 측 에너지 저장 장치의 현재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서도 이용되는, 조명 수단들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자동차가 연료에 의해 종래 방식으로 구동되는 자동차라면, 인터페이스는 주입관(폐쇄형 탱크 개구)으로서 형성된다. 전기 구동 자동차의 경우라면, 인터페이스는 충전 소켓으로서 형성된다.
또는,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이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자동차가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이 종래의 탱크 개구 및 이와 동시에 충전 소켓도 수용하거나 안착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상이하게 형성된 2개의 충전 소켓 또는 탱크 개구의 제공도 가능하다.
통상,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은 자동차의 일측에, 바람직하게는 후륜들의 영역에 위치된다. 이와 달리,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은 물론 자동차의 다른 위치들에서도, 예컨대 자동차의 전방 영역 또는 후미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은 하나 이상의 제1 개구와 이에 인접하는 하나의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이들 개구는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조명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현재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서도 이용되는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데 이용된다. 개구들은, 장착된 장치의 방출된 또는 방출 가능한 광이 제1 개구로부터 사용자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고, 제2 개구로부터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및/또는 급유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이런 방식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및/또는 급유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매우 효과적인 조명을 위한 전제조건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해결책은, 이중 기능, 요컨대 한편으로는 인터페이스를 위한 탐색 조명의 형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에 대한 정보의 광학적 표시가 보장됨에도, 매우 컴팩트한 구조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제1 개선예의 제안에 따라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상호 간에 직각을 이루는 표면 연장부들을 갖는다. 이는, 전술한 이중 기능이 간단하고 컴팩트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한다.
매우 적합하게는, 본원 사상의 한 바람직한 구성에서 제1 개구가 제1 평면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거나 안착시키기 위한 추가 개구는 제2 평면에 위치한다. 평면들은 소정의 각도로 서로를 향한다. 이는, 본원의 장치를 통한 인터페이스의 효과적인 조명에 기여한다. 두 평면이 서로 형성하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둔각이다.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20°와 170°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30°와 160° 사이이다.
적합한 방식으로,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조명하고 현재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본원 장치는,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의 유지보수가 수월해지고 수리 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과 나사로 고정되거나 래칭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함 발생 시 하우징의 매우 수월한 교체가 가능해진다.
또 다른 개선예에 따라서,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은 2성분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원의 장치를 위한 개구들은 2성분 부품의 경질 성분부(hard component) 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수용하거나 안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개구는 2성분 부품의 연질 성분부(soft component) 내에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한편으로 조명 및 디스플레이의 안정적인 정렬이 본원의 장치를 통해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럼으로써 급유 및/또는 충전 과정 시 인터페이스의 보상 운동이 가능하다.
처음에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해 장치도 보호된다. 본원의 장치는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원의 장치는,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에 의해 충전 및/또는 급유될 수 있는 자동차 에너지 저장 장치의 현재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본원의 장치와 관련하여, 이제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상기 장치는 2개 이상의 조명 수단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조명 수단의 발생한 또는 발생 가능한 광은 제1 광 투과성 광 방출 영역에서 하우징 밖으로 배출된다.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조명 수단의 발생한 또는 발생 가능한 광은 제2 광 투과성 광 방출 영역에서 하우징 밖으로 배출된다. 이 경우, 제1 광 방출 영역은, 제2 광 방출 영역과 다른 방향으로 광이 배출되게 한다.
이런 방식으로, 본원의 장치를 통해, 상기 장치가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내에 장착 시 전술한 이중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본 전제조건이 제공된다.
본원의 장치는, 제1 광 방출 영역이 표면 연장부로써 제2 광 방출 영역의 표면 연장부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점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전술한 이중 기능의 실현이 더욱 수월해지고 하우징의 컴팩트한 구조 유형도 가능해진다.
본원의 장치에 대한 구조적인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제2 광 방출 영역을 통해 하우징 밖으로 배출되는 광은 광 가이드를 통해 조명 수단으로부터 광 방출 영역 쪽으로 전도된다. 그 결과, 특히, 2개 이상의 조명 수단의 수용을 위해 단 하나의 회로기판만이 필요하며, 이때 충전 상태 및/또는 탱크 레벨의 표시를 위해 균일한 광 방사를 목적으로 광 방출 영역까지의 조명 수단의 충분한 간격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 가이드가 자신으로 주입되는 광을 90도만큼 편향시킨다. 그에 따라, 본원의 장치는,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의 광 방출 개구들의 정렬에 최적으로 매칭된다.
소유 차량의 브랜드 고유의 차별성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높다. 상기 요구는, 제1 광 방출 영역이 광 불투과성 층으로 코팅되고, 결과적으로 심벌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층이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통해 고려될 수 있다. 심벌은 예컨대 브랜드 고유 로고일 수 있다. 광이 본원 장치의 조명 수단을 통해 방출된다면, 급유 또는 충전 과정 시 사용자에게 로고가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다.
하우징의 용이한 교체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안에 따라서,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과의 분리 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 수단들이 제공된다. 고정 수단들은 예컨대 나사 구멍 또는 래칭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원의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은 상응하는 나사 보스(screw boss) 또는 카운터 래칭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자동차의 전기 장치와 본원의 장치를 용이하면서도 복잡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플러그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플러그인 단자를 구비한다. 플러그인 연결을 통해, 한편으로 조명 수단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센서 또는 에너지 관리 장치로 향하는 신호 흐름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차량 측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상태 또는 탱크 레벨이 검출되거나 모니터링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해,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도 보호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면들에 따라서 하기 기재내용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도 분명해진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이 동일한 부품들에 관련된다. 이 경우, 그에 대한 반복 기재 또는 참조가 수행되지 않더라도, 상응하거나 유사한 특성들 및 장점들은 달성된다. 도면들은 정확한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았고, 또는 적어도 항상 정확한 축척인 것은 아니다. 다수의 도면들에는, 일 실시예의 특징들을 상대적으로 더 분명하게 강조하기 위해, 비례적 관계들 또는 간격들이 과장되어 도시되었을 수 있다.
도 1은 전기 구동 자동차를 위한 충전 플랩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충전 플랩 모듈을 조명하고 현재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충전 플랩 모듈의 확대된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절단선 IV에 따른 원칙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의 하우징 내 조명 수단들의 원칙적인 배치도이다.
도 6은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의 하우징 내 조명 수단들의 원칙적인 배치도이다.
도 7은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명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의 광 방출 영역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시점 IX에 따른 광 방출 영역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플랩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구동 차량의 상면도이다.
도 1에는, 전기 구동 자동차를 위한 충전 플랩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충전 플랩 모듈(1)은 대부분 경질 성분부(11) 및 이 경질 성분부와 연결된 연질 성분부(13)를 포함하는 홈통(trough) 형상 또는 터브(tub) 형상의 2성분 부품(10)으로 구성된다. 경질 성분부(11)는 예컨대 경질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질 성분부(13)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고무형 플라스틱, 예컨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가 사용될 수 있다.
연질 성분부(13) 내에는 중앙 개구(1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14)는, 여기서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후방으로부터 연질 성분부(13) 상에 안착된 차량 측 인터페이스(200)를 릴리스하는 데 이용된다.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200)는 충전 소켓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와 달리, 자동차의 각각의 구성에 따라, 인터페이스(200)를 탱크 주입관으로서 형성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상이하게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들의 조합들도 마찬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충전 플랩 모듈(1)은, 여기서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충전 플랩 모듈(1)을 덮는 커버 플랩을 잠금 고정하기 위한 전기 제어식 잠금 부재(15)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15) 위쪽에, 즉, 2성분 부품(10)의 테두리 영역에서 경질 성분부(11)에 길쭉한 개구(16)가 형성된다. 이 개구(16)에 바로 인접하여 제2 개구(17)가 경질 성분부(11)에 제공된다.
개구들(16 및 17)은 차후에 훨씬 더 상세하게 기술될 장치(100)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데 이용된다.
장치(100)는 한편으로 인터페이스(200)를 조명하는 데 이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에게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데 이용된다.
도면에서는, 경질 성분부(11)가 프레임 방식으로 형성되어 테두리 영역의 연질 성분부(13)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경질 성분부(11)는 큰 개구(12)를 통해 연질 성분부(13)의 대부분 및 그 개구(14)를 이 개구(14) 상에 안착되는 인터페이스(200)와 함께 릴리스한다.
도 2에는, 장치(100)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상부 부재(101a)와 하부 부재(101b)를 구비한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101a)는 하부 부재(101b)와 클립 고정될 수 있거나 접착될 수도 있다.
상부 부재(101a)는 윤곽이 타원형인 길쭉한 광 방출 영역(102)을 포함한다. 광 방출 영역(102)은 장치(100)의 조립 위치에서 경질 성분부(11) 내의 전술한 개구(16)를 채운다(도 1 참조). 그럼으로써, 발생한 광은 사용자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광 방출 영역(102)은 충전 상태 표시기로서 이용된다.
광 방출 영역(102)은 견부(104)를 경유하여 광 방출 영역(103)으로 전이되며, 이 광 방출 영역은 광 방출 영역(102)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는 하기에서 훨씬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하우징(101)의 하부 부재(101b)는 충전 플랩 모듈(1)의 경질 성분부(11) 상에 장치(10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들(105)을 구비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장치(100)는 길쭉한 형태의 윤곽을 가지며, 그의 대향 단부들은 고정 수단들(105)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수단들(105)은 고정 나사들을 관통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개구들(106)을 가지며, 상기 고정 나사들에 의해 장치(100)가 경질 성분부(11)의 고정 돔(fixing dome)(미도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부재(101b)는 최종적으로 플러그인 단자(107)로 전이된다. 플러그인 단자(107)는 자동차 측의 플러그인 커넥터(미도시)의 삽입 및 그에 따른 에너지 공급과 적합한 신호 전송의 보장을 위해 이용된다.
도 3에서는, 2성분 부품(10)이 개구들(16 및 17)의 영역에서 약간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장치(100)가 조립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개구들(16 및 17) 안쪽으로 어떻게 돌출되어 있는지를 아주 잘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매우 효과적으로 그리고 컴팩트한 유형 및 방식으로 개구(16)를 통해 충전 상태 표시가 수행될 수 있으며, 개구(17)에 의해 개구(14)의 방향으로 또는 인터페이스(200)(여기서는 미도시)의 방향으로의 직접 조명이 보장될 수 있다.
개구들(16 및 17)은 개구(14)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다. 이런 방식으로, 개구(14)의 영역에서의 조명이 최적화될 수 있다.
이는, 원칙적으로 바람직한 기하학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도 4에서 특히 잘 확인된다.
또한, 경질 성분부(11) 내의 개구(16)가 제1 평면(E1)에 속하는 표면 연장부(F1)를 갖는 점도 볼 수 있다. 제2 개구(17)는, 평면(E1)에 대해 약 90도의 각도(α)를 갖는, 다시 말해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 표면 연장부(F2)를 갖는다.
연질 성분부(13) 내에 형성된 개구(14)는 평면(E2) 내에 호인 표면 연장부(F3)를 갖는다. 평면들(E1 및 E2)은 상호 소정의 각도(β)로 지향되며, 이 경우 상기 각도(β)는 바람직하게 둔각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β)가 약 120°와 170° 사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30°와 160° 사이이다.
달리 말하면, 평면들(E1 및 E2)은, 개구(17)의 표면 연장부(F2)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표면 법선(18)이 마찬가지로 각도(β)로 평면(E2) 또는 개구(14)의 표면 연장부(F3)에 부딪치도록 정렬된다.
도 5에 따라서는, 장치(100')의 하우징(101) 내에서 조명 수단들의 가능한 배치를 나타내는 장치(100')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여기서는, 하우징(101) 내에 2개의 조명 수단(110 및 111)을 포함하는 제1 회로기판(108)이 수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회로기판(109)은 회로기판(108)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하나의 추가 조명 수단(112)을 지지한다. 조명 수단들(110 내지 112)은 바람직하게 발광다이오드들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RGB 발광다이오드들로서 형성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은 제어에 따라서 임의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장치(100')의 하우징(101)도 표면 연장부(F4)를 갖는 제1 투명 광 방출 영역(102)과, 표면 연장부(F5)를 갖는 제2 투명 광 방출 영역(103)을 포함한다. 표면 연장부들(F4 및 F5)은 바람직하게 상호 직각(α)으로 정렬된다.
조명 수단들(110 및 111)의 광은 광 방출 영역(102)에서 바깥쪽으로 방출되고, 조명 수단(112)의 광은 광 방출 영역(103)에서 바깥쪽으로 방출된다.
2개의 회로기판(108 및 109)으로의 도시된 분할은,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의 광 방출의 실현됨에도 광 방출 영역(102)까지의 회로기판(108)의 정해진 간격(a)이 준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간격은, 사용자에게 충전 상태 표시를 위해 이른바 핫스팟(점 형태의 광 형상)을 방지하고 균일한 광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는 조명 수단(112)의 광(L)의 경우에는 불필요한데, 그 이유는 상기 광은 오직 인터페이스(200)용 탐색 조명으로서 이용될 뿐, 장치(100')의 조립 위치에서는 광 방출 영역(103)이 사용자에게 직접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도 6에서는, 바람직한 장치(100)에 대한 필적하는 개략도를 볼 수 있다. 본 해결책의 경우 광 가이드(114)가 사용된다. 이런 방식으로, 총 3개의 조명 수단(110, 111 및 112)은 단일의 회로기판(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장치(100)의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 유형에 기여한다.
이런 바람직한 해결책의 경우에서도, 광 방출 영역들(102 및 103)의 표면 연장부들(F4 및 F5)이 상호 직각(α)으로 정렬된다.
조명 수단들(110 및 111)의 광(L)은 경우에 따라 집광 후에 광학 요소(미도시)를 경유하여 광 방출 영역(102)으로부터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반대로, 조명 수단(112)의 광(L)은 단부측의 광 주입 면(114a)에서 광 가이드(114) 내로 입사되고, 이 광 가이드에서 약 90도만큼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며, 마찬가지로 단부측의 광 추출 위치(114b)에서 다시 광 가이드(114)로부터 그리고 최종적으로 광 방출 영역(103)으로부터 방출된다.
이제 도 7과 관련하여 장치(100)를 조금 더 상세하게 기술한다.
여기서는, 광 가이드(114)가, 견부형 부재(114c)와 전방 부재(114d)로 구성되어 대략 여성 구두의 형태를 갖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부재(114c)는, 광 주입 면(114a)으로부터 광 추출 면(114b)까지 조명 수단(112)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위한 실질적인 광 전도를 실현한다. 본 도면에서는, 광 방출 영역(103)의 윤곽이, 도면에서 수직인 표면 연장부(F5)와 수평의 반원형 표면 연장부(F6)를 포함하여 (위에서 바라볼 때)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이 명백해진다.
그에 반해, 광 가이드(114)의 이미 언급한 전방 부재(114d)는 오직 조명 수단들(110 및 111)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트랩핑(trapping)"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광은 실질적으로 곧바로 광 방출 영역(102)의 방향으로 부재(114d)를 통과하여 전도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장치(100)의 광 방출 영역(102)이 광 불투과성 층(115)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층(115) 내에는, 광 방출 영역(102)의 상면도에서 (앞의 도면들에는 미도시된) 심벌(S)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광 투과성 영역(116)이 제공된다.
심벌(S)은 바람직하게 브랜드 심벌이며, 사용자에게 충전 플랩 모듈(1)의 브랜드 고유의 차별성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플랩 모듈(1)을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K)가 도시되어 있다.
충전 플랩 모듈(1)은 커버 플랩(2)을 통해 덮여 있거나, 덮일 수 있다.
충전 플랩 모듈(1)을 이용하여, 미도시한 충전 플러그의 삽입을 통해 트랙션 배터리 형태의 자동차 측 에너지 저장 장치(3)가 충전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3)의 전기 에너지는 전기 구동 엔진(4)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이용된다.
충전 플랩 모듈(1) 또는 장치(100)는 [인터페이스(200)처럼] 에너지 관리 장치(5)와 전기적으로 또는 신호 기술적으로 연결된다. 에너지 관리 장치(5)는 에너지 저장 장치(3)의 충전 시 예컨대 충전 전류의 레벨에 대해 적절한 에너지 관리를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 관리 장치(5)는 에너지 저장 장치(3)의 현재 충전 상태에 따라서 장치(100)를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장치(100)는 온보드 배터리(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충전 과정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자동차(K)의 잠금장치 해제 및 커버 플랩(2)의 개방 후에, 장치(100)의 조명 수단들(110 내지 112)이 맨 먼저 백색광, 특히 백색 연속광을 방출하도록 제어된다. 이런 방식으로, 개구(17)를 통해 인터페이스(200)를 위한 최적의 탐색 조명이 가능해진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신속하게 인터페이스(2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인터페이스(200) 내로 충전 플러그를 끼울 수 있다.
충전 플러그의 삽입 및 충전 과정이 시작됨에 따라, 조명 수단들(110 내지 112)에 의해 방출되는 광(L)(예컨대 도 7 참조)의 색상이 녹색으로 전환된다. 또한, 광(L)은, 충전이 시작되고 있거나 여전히 지속중인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명확히 표시하기 위해, 점멸 방식으로 방출된다.
에너지 관리 장치(5)를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3)가 완전 충전된 것으로 확인되면, 조명 수단들(110 내지 112)에 의해 녹색 연속광이 표시되도록 장치(100)가 제어된다.
충전 과정 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장치(100)는, 조명 수단들(110 내지 112)이 적색의 연속광 또는 점멸광을 방출하도록 제어된다.
1: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2: 커버 플랩
3: 자동차 측 에너지 저장 장치; 트랙션 배터리
4: 전기 구동 엔진
5: 에너지 관리 장치
6: 온보드 배터리
10: 홈통형 또는 터브형 2성분 부품
11: 경질 성분부
12: 개구
13: 연질 성분부
14: 개구
15: 잠금 부재
16: 개구
17: 개구
18: 표면 법선
100, 100': 장치
101: 하우징
101a: 상부 부재
101b: 하부 부재
102: 광 방출 영역
103: 광 방출 영역
104: 견부
105: 고정 수단
106: 개구
107: 플러그인 단자
108: 회로기판
109: 회로기판
110: 조명 수단
111: 조명 수단
112: 조명 수단
113: 회로기판
114: 광 가이드
114a: 광 결합 위치
114b: 광 추출 위치
114c: 견부형 부재
114d: 전방 부재
115: 광 불투과성 층
116: 광 투과성 영역
200: 충전 및/또는 급유를 위한 인터페이스
a: 간격
E1, E2: 평면
F1 ~ F6: 표면 연장부
K: 자동차
L: 광
S: 심벌
α: 각도
β: 각도

Claims (13)

  1. 자동차 측의 에너지 저장 장치(3)의 충전 또는 급유를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200)를 수용하거나 안착시키고;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을 조명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장치(3)의 현재 충전 상태 또는 탱크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서도 이용되는, 조명 수단(110, 111, 112)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장치(100, 100')를 고정하기 위한; 자동차(K)용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에 있어서,
    상기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은 하나 이상의 제1 개구(16)와 이에 인접하는 하나의 제2 개구(17)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들(16, 17)은 상기 장치(100, 1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데 이용되며, 상기 장착된 장치(100, 100')의 방출된 또는 방출 가능한 광(L)이 제1 개구(16)로부터는 사용자의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고, 제2 개구(17)로부터는 에너지 저장 장치(3)의 충전 또는 급유를 위한 인터페이스(200)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정렬되며, 상기 장치(100, 100')는,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하우징(10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개구(16)와 제2 개구(17)는, 상호 간에 직각(α)을 이루는 표면 연장부들(F1, F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
  3. 제2항에 있어서, 제1 개구(16)는 제1 평면(E1)에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200)를 수용하거나 안착시키기 위한 추가 개구(14)는 제2 평면(E2)에 위치하며, 상기 평면들(E1, E2)은 소정의 각도(β)로 서로를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은 2성분 부품(10)으로 형성되며, 장치(100, 100')를 위한 개구들(16, 17)은 상기 2성분 부품(10)의 경질 성분부(11) 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200)를 수용하거나 안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개구(14)는 2성분 부품(10)의 연질 성분부(13)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을 조명하고;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또는 급유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3)의 현재 충전 상태 또는 탱크 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100, 100')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100')는, 2개 이상의 조명 수단(110, 111, 112)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하우징(101)으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조명 수단(110, 111)의 발생한 또는 발생 가능한 광(L)은 제1 광 투과성 광 방출 영역(102)에서 하우징(101) 밖으로 배출되고,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조명 수단(112)의 발생한 또는 발생 가능한 광(L)은 제2 광 투과성 광 방출 영역(103)에서 하우징(101) 밖으로 배출되며, 상기 제1 광 방출 영역(102)은, 상기 제2 광 방출 영역(103)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광(L)이 배출되게 하며, 상기 하우징(101)은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과의 분리 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 수단들(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광 방출 영역(102)은 표면 연장부(F4)로써 제2 광 방출 영역(103)의 표면 연장부(F5)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2 광 방출 영역(103)을 통해 하우징(101) 밖으로 배출되는 광(L)은 광 가이드(114)를 통해 조명 수단(112)으로부터 광 방출 영역(103) 쪽으로 전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광 가이드(114)는 입력 결합된 광(L)을 90°만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제1 광 방출 영역(102)은 광 불투과성 층(115)으로 코팅되며, 상기 층(115)은 심벌(S)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101)은 플러그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플러그인 단자(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충전 또는 탱크 플랩 모듈(1)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K).
KR1020190069750A 2018-06-19 2019-06-13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KR102204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9848.4 2018-06-19
DE102018209848.4A DE102018209848A1 (de) 2018-06-19 2018-06-19 Lade- und/oder Tankklappenmodul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375A KR20190143375A (ko) 2019-12-30
KR102204863B1 true KR102204863B1 (ko) 2021-01-19

Family

ID=6654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750A KR102204863B1 (ko) 2018-06-19 2019-06-13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72252B2 (ko)
EP (1) EP3584105B1 (ko)
JP (1) JP6926149B2 (ko)
KR (1) KR102204863B1 (ko)
CN (2) CN110614946B (ko)
DE (1) DE102018209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0944S1 (en) * 2016-10-17 2019-09-24 Jaguar Land Rover Limited Charging hatch
IT201800006615A1 (it) * 2018-06-25 2019-12-25 Gruppo di connettore elettrico di ingresso per la ricarica di un veicolo elettrico o di un veicolo ibrido
JP6734337B2 (ja) * 2018-09-27 2020-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D950493S1 (en) * 2019-06-05 2022-05-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utomotive charging connector cap
JP7103321B2 (ja) * 2019-08-27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1668792S (ko) * 2020-01-08 2020-09-23
JP7347246B2 (ja) 2020-01-31 2023-09-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充電ボックス構造及び電気部品組付方法
US11336101B2 (en) * 2020-02-03 2022-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ive fast-charging of multi-pack battery system in a mobile platform having dual charge ports
US11424581B2 (en) * 2020-03-16 2022-08-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 vehicle charge port illumination module
US11352825B2 (en) * 2020-09-24 2022-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rt-door release assembly and a door assembly that utilizes the port-door release assembly
DE102021132947A1 (de) 2020-12-15 2022-06-15 Illinois Tool Works Inc. Beleuchtungsmodul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sowie fahrzeugkomponente mit einem beleuchtungsmodul
IT202100002699A1 (it) * 2021-02-08 2022-08-08 Te Connectivity Italia Distribution Srl Sistema modulare di illuminazione per prese di alimentazione
DE102021105132B4 (de) 2021-03-03 2022-11-24 Lisa Dräxlmaier GmbH Verriegelungsaktuator zum Ausleuchten der Steckerkontur einer Ladedose eines elektrischen Fahrzeugs
KR20230044703A (ko) * 2021-09-27 2023-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포트의 조명 시스템 및 조명 방법
DE102021125168B4 (de) 2021-09-28 2023-04-20 Webasto SE Wandlades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5886A (ja) * 2011-11-28 2013-06-10 Toyoda Gosei Co Ltd 充電装置
WO2014001471A2 (de) * 2012-06-27 2014-01-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vorrichtung zum laden eines ladungsspeicher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022A (ja) * 1996-04-10 1997-10-31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表示装置
DE19955077B4 (de) * 1999-11-17 2009-03-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ordnung einer Füllstandsanzeige in einem Kraftfahrzeug
JP2004122804A (ja) * 2002-09-30 2004-04-22 Fuji Enterprise Kk 車両用サイン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4830953B2 (ja) * 2007-04-09 2011-1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4738445B2 (ja) * 2008-06-24 2011-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燃料供給部構造
US8845601B2 (en) * 2009-01-07 2014-09-30 Folim G. Halaka Ski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8317376B2 (en) * 2009-03-27 2012-11-2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lluminated bezel of charge port for electric vehicle
DE112011101960B4 (de) * 2010-06-08 2015-05-21 Suzuki Motor Corp. Befestigungsstruktur für eine Kraftfahrzeugblende
CA2805662C (en) 2010-10-12 2014-04-22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DE102011108817A1 (de) 2011-02-28 2012-08-30 Kiekert Ag Ladeeinrichtung für ein Elektrofahrzeug
DE102011006481A1 (de) * 2011-03-31 2012-10-04 Kiekert Ag Ladezustandsanzeige für Elektrofahrzeug
JP2012226873A (ja) * 2011-04-15 2012-11-1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エネルギ充填装置
JP5784990B2 (ja) 2011-05-31 2015-09-24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表示装置
DE102011114075A1 (de) 2011-09-22 2012-06-21 Daimler Ag Tankmulde für ein Fahrzeug
DE102012004874B4 (de) 2012-03-10 2023-03-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zeige von Informationen betreffend den Ladevorgang und/oder den Ladezustand eines Elektro- oder Hybridfahrzeugs
DE102013223244A1 (de) 2013-11-14 2015-05-21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zur Anzeige zumindest eines Symbol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richtung zur Anzeige zumindest eines Symbols
DE102014100640A1 (de) * 2014-01-21 2015-07-23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Vorrichtigung zum Laden eines elektrisch betreibbaren Fahrzeugs
CN105605506A (zh) * 2014-11-13 2016-05-25 福特全球技术公司 光致发光燃料加注口盖
DE102016000311A1 (de) 2016-01-13 2016-09-29 Daimler Ag Ladedosen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CN205621974U (zh) * 2016-03-24 2016-10-05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装置及汽车
DE102017003868A1 (de) 2017-04-21 2017-11-02 Daimler Ag Ladesteckverbind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006157A1 (de) * 2017-06-29 2017-11-30 Daimler Ag Auffindbeleuchtung Ladedose durch teil-transparenten Lademuldenverschluss / Ladeklap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5886A (ja) * 2011-11-28 2013-06-10 Toyoda Gosei Co Ltd 充電装置
WO2014001471A2 (de) * 2012-06-27 2014-01-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vorrichtung zum laden eines ladungsspeich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72252B2 (en) 2021-07-27
KR20190143375A (ko) 2019-12-30
CN110614946B (zh) 2023-04-11
DE102018209848A1 (de) 2020-01-02
EP3584105B1 (de) 2021-02-17
US20190381905A1 (en) 2019-12-19
JP6926149B2 (ja) 2021-08-25
CN110614946A (zh) 2019-12-27
CN116279097A (zh) 2023-06-23
EP3584105A1 (de) 2019-12-25
JP2019218047A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863B1 (ko) 자동차용 충전 및/또는 탱크 플랩 모듈
US7850353B2 (en) Tail lamp structure
US8905612B2 (en) Lighting structure of charging connector
KR102390652B1 (ko) 차량용 충전장치
CN104245401B (zh) 用于为蓄电器充电的充电装置
CN102235628B (zh) 汽车用光导装置
CN103359210B (zh) 车灯
JP5218114B2 (ja) 充電用コネクタ
EP3055164B1 (en) Led headlight structure for motorcycle
JP4262502B2 (ja) サイドウインカー付きのドアミラー
JP2012218540A (ja) 車両用照明装置
CN109945134A (zh) 具有处于不同亮度水平的部段的车灯
CN105508958A (zh) 汽车灯
KR101127366B1 (ko)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
US11913615B2 (en) LED lighting device
US7497591B1 (en) Eyestrain reducing device
CN108422961A (zh) 一种发光插锁
CN102616179B (zh) 机动车用电气设备、特别是照明装置或信号装置
CN219172359U (zh) 安全带带扣和具有其的座椅及车辆
CN105216689B (zh) 用于机动车辆的装配零件和制造这种装配零件的方法
JP2013233054A (ja) 受電装置
US11511664B2 (en) Illumination module for illuminating a region of a vehicle component
CN219115334U (zh) 氛围灯装置及具有该氛围灯装置的汽车
CN218678474U (zh) 一种机身发光的车载充电器
TWI296594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