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200B1 -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200B1
KR102180200B1 KR1020167001465A KR20167001465A KR102180200B1 KR 102180200 B1 KR102180200 B1 KR 102180200B1 KR 1020167001465 A KR1020167001465 A KR 1020167001465A KR 20167001465 A KR20167001465 A KR 20167001465A KR 102180200 B1 KR102180200 B1 KR 10218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ody
washer
delete delete
reverse rotatio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171A (ko
Inventor
히로시 미치와키
Original Assignee
넥스트 이노베이션 고도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60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60395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9660A external-priority patent/JP63875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472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87507B2/ja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 이노베이션 고도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네지로 filed Critical 넥스트 이노베이션 고도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수나사체(10)와 와셔(50)에 의해서 피체결 부재(80)와 기재(90)를 체결하는 구조의, 풀림 방지를 실시한다. 수나사체(10)에는, 나사체측 좌부(22)가 형성된다. 와셔 측에는, 제1 수부(60)와 제2 수부(70)가 형성된다. 피체결 부재(80)에는, 부재측 좌부(82)가 형성된다. 제1 수부(60)와, 나사체측 좌부(22)는, 톱니 형상의 요철을 갖는다. 수나사체(1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요철이 서로 계합하여 회전을 방지한다. 부재측 좌부(82)의 수용 요부와,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은, 편심한 원형상으로 된다. 와셔(5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편심한 원형상이 서로 계합하여 회전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THREADED BODY}
본 발명은, 체결된 나사체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가지 장면에서, 피체결물을 체결하기 위해서 나사체가 이용되고 있다. 이 나사체는, 주상(柱狀, pillar shape)의 외주에 나선상의 구(溝, groove)가 형성되는 수나사체와, 통부재의 내주에 나선상의 구가 형성되는 암나사체를 나합(螺合)시키는 구조가 되고 있다.
사용시는, 피체결 부재에 형성되는 공에 수나사체를 삽입하고 나서, 암나사체를 나합시킨다. 결과, 수나사체의 두부(頭部)와 암나사체의 통부재에 의해서 피체결물이 끼워진다. 이러한 체결용의 나사체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는, 수나사체의 일단에 육각 기둥상의 두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소위 볼트와, 외주면이 육각형 기둥상으로 형성되는 너트의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그 밖에도, 두부가 육각 형상이 아니고, 단면에 메탈 슬리팅(마이너스혈(穴))이나 십자혈(플러스혈)이 형성된, 이른바 소나사 등도 넓게 이용되고 있다.
또, 나사체의 체결시에, 수나사체의 주위에 와셔(좌금)를 삽입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와셔는, 체결시에 피체결물을 좌굴이나 상처 등으로부터 지키거나, 반대로, 피체결물에 적극적으로 꽉 누르는 것에 의해서, 나사체의 풀림을 억제하거나 한다.
예를 들면, 「일본공업규격 JIS1251 용수철 좌금」의 문헌에 나타나듯이, 와셔에는, 일반적인 링 형상의 「평 와셔」 외, 내주나 외주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를 갖고, 피체결 부재나 나사체와 계합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설부(舌付) 와셔(tounge washer)」, 축 방향으로 절곡된 짧은 조(爪)가 피체결물과 계합하는 「조부(爪付) 와셔(nail washer)」, 탄성변형에 의해서 나사체의 풀림을 방지하는 「용수철 와셔」, 체결면에 먹혀들게 하기 위한 이빨을 주위에 구비하는 「치부(齒付) 와셔(toothed washer)」 등이 존재한다.
방지 구조에 관해서, 마찰이나 먹혀듦을 기대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는 대로 그 효과는 불충분한 것이다. 따라서, 진동 등이 격렬한 환경에서는, 와셔를 사용했다고 해도, 나사체가 서서히 풀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의 예의 연구(銳意硏究, intensive study)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와셔를 유효 활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쉬운 구조에 의해서, 고도로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즉, 풀림 방지를 실시하는 나사체의 풀림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나사산을 갖는 나사체와, 와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나사체 및 와셔에 의해서 피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는, 상기 와셔와 대향하는 나사체측 좌부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와셔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대향하는 제1 수부, 및, 부재측 좌부를 갖는 상기 피체결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수부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사이에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 대해서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 계합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제1 계합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부재측 좌부와 상기 와셔의 사이에는, 상기 와셔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 계합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제2 계합 기구가 구성되어, 체결 상태의 상기 나사체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이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좌부와 상기 제2 수부의 사이에는, 상기 와셔에 대해서 상기 풀림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 계합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제2 계합 기구가 구성되어, 체결상분의 상기 나사체를 특정 방향, 즉, 역회전시키는 것, 예를 들면, 상기 나사체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이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 나사체측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부에 상기 나사체측 요철과 계합하는 제1 수부측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계합 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요철은, 둘레 방향(周方向)으로 설치되는 톱날(鋸刃, saw blade)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요철은,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는 산형(山形) 또는 파형(波型)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요철은, 엠보스(emboss)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요철은, 소용돌이 형상의 구(溝, groove) 또는 산(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측 요철은,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는 톱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측 요철은,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는 산형(山形) 또는 파형(波型)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측 요철은, 엠보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측 요철은, 소용돌이 형상의 구(溝) 또는 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나사체측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와셔측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상기 풀림 방향의 계합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사이에, 상기 나사체측 좌부의 조임 방향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는, 나사체의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좌부는, 상기 제2 수부를 수용 할 수 있는 수용 요부(收容凹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2 계합 기구는, 상기 제2 수부와 상기 수용 요부가 감합됨으로써 상기 계합 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수용 요부의 내벽은, 상기 나사체의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수부의 외벽은, 상기 나사체의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함으로써, 상기 수용 요부의 내벽과 상기 제2 수부의 외벽의 당접에 의해서 상기 계합 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의 체결력이, 상기 수용 요부의 저면과 상기 제2 수부와의 당접면을 개입시키고, 상기 피체결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수용 요부의 내벽 및 상기 제2 수부의 외벽이, 상기 나사체의 축에 대해 편심한 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좌부는, 상기 나사체의 축 방향으로 단설(段設)된 부재측 단부를 갖고, 상기 제2 수부에는 상기 부재측 단부와 계합하는 와셔측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는, 상기 제2 수부의 주위에서, 상기 나사체의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다른 와셔측 당접부를 갖고, 상기 와셔측 당접부가 상기 피체결체의 일부에 당접하여 계합함으로써, 상기 와셔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의 당접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제2 계합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1 계합 기구에 의해, 상기 나사체와 상기 와셔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특정 방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제2 계합 기구에 의해, 상기 와셔와 상기 피체결 부재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특정 방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나사체와 상기 피체결 부재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특정 방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당접부는, 상기 나사체의 상기 둘레 방향의 일부의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당접부는, 상기 나사체의 일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1 와셔측 당접 영역과, 상기 나사체의 타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와셔측 당접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피체결 부재는, 상기 부재측 좌부의 주위에서, 상기 나사체의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에 따라서 다르고, 상기 와셔측 당접부와 당접 가능한 부재측 당접부를 갖고, 상기 와셔측 당접부와 상기 부재측 당접부에 의해, 상기 와셔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의 당접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상기 제2 계합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2 계합 기구에 의해서, 상기 피체결 부재의 상기 나사체의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당접부는, 상기 나사체의 타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상기 와셔측 당접부와 당접 가능한 제1 부재측 당접 영역과, 상기 나사체의 일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상기 와셔측 당접부와 당접 가능한 제2 부재측 당접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당접부는, 상기 나사체의 축 방향을 따라서, 상기 피체결 부재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와셔측에 연재(延在, exten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당접부는, 상기 나사체의 축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와셔의 상기 제2 수부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피체결 부재측에 연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당접부는, 상기 나사체와 축을 달리하는 원주 또는 원통의 외주벽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 나사체측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부에 상기 나사체측 요철과 계합하는 제1 수부측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계합 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측 요철은,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는 톱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나사체측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와셔측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상기 풀림 방향의 계합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사이에, 상기 나사체측 좌부의 조임 방향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2 수부의 외벽이, 상기 나사체의 축에 대해 편심한 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당접부로서, 상기 부재측 좌부의 주위에 상기 나사체의 축 방향으로 단설된 부재측 단부를 갖고, 상기 와셔측 당접부로서, 상기 제2 수부의 주위에 상기 부재측 단부와 계합하는 와셔측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의 상기 제2 수부는, 상기 부재측 좌부에 대향하는 와셔측 경사면을 갖고, 상기 와셔측 경사면은, 상기 나사체의 축에 직각이 되는 단면 형상이, 상기 나사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와셔측 경사면이 상기 피체결 부재의 상기 부재측 좌부에 계합함으로써, 상기 와셔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의 당접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제2 계합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1 계합 기구에 의해, 상기 나사체와 상기 와셔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특정 방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제2 계합 기구에 의해, 상기 와셔와 상기 피체결 부재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특정 방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나사체와 상기 피체결 부재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특정 방향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경사면은, 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경사면은, 상기 나사체의 축에 대해 경사한 축을 갖는 가상 원주의 부분 둘레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경사면은, 상기 나사체의 반경 방향 외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나사체의 축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수부에서 상기 제2 수부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경사면은, 상기 나사체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나사체의 축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수부에서 상기 제2 수부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와셔측 경사면은, 상기 나사체의 일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1 와셔측 경사 영역과, 상기 나사체의 타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제2 와셔측 경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와셔측 경사 영역과 상기 제2 와셔측 경사 영역은 연속하고, 양자의 경계에 특이점 또는 특이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피체결 부재의 상기 부재측 좌부는, 상기 나사체의 축에 직각이 되는 단면 형상이, 상기 나사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와셔측 경사면과 상기 부재측 경사면에 의해, 상기 와셔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의 당접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상기 제2 계합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제2 계합 기구에 의해서, 상기 피체결 부재의 상기 나사체의 상기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경사면은, 상기 나사체의 타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상기 와셔측 경사면과 당접 가능한 제1 부재측 경사 영역과, 상기 나사체의 일방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여 상기 와셔측 경사면과 당접 가능한 제2 부재측 경사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부재측 경사면은, 상기 나사체의 축에 대해 경사한 축을 갖는 원주 또는 원통의 외주면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 나사체측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부에 상기 나사체측 요철과 계합하는 제1 수부측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계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측 요철은,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는 톱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나사체측 테이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수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와셔측 테이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상기 풀림 방향의 계합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관련하여,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사이에, 상기 나사체측 좌부의 조임 방향의 상대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예를 들면, 나사체를 풀림 방향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나사체의 풀림 방지를 확실히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 본 발명의 제A-1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동 역회전 방지 구조로 이용되는 수나사체의 측면 부분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 동 역회전 방지 구조로 이용되는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A)는 동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톱날(鋸刃)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B)~(D)는 톱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 (A)~(C)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톱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A)(B)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수나사체의 응용예를 조이지 않은 측면도이다.
[도 7] (A)(B)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응용예로 이용되는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제A-2 실시 형태에 관한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A)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로 이용되는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며, (B)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개방 작업을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A)은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응용예로 이용되는 와셔의 개방 작업을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며, (B)는 동 응용예로 이용되는 와셔의 개방 작업을 나타내는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제A-3 실시 형태에 관한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A)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 (B) 와셔와 수나사체가 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 (C)는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응용예로 이용되는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제A-4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군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A)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 (B)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 제A-1에서 제A-4 실시 형태의 응용예와 관련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A) 표면도, (B)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 본 발명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암나사체에 적용했을 경우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A)은 본 발명의 제B-1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며, (B)는 평면도이다.
[도 17]동 역회전 방지 구조로 이용되는 수나사체의 측면 부분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8]동 역회전 방지 구조로 이용되는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A)는 동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톱날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B)~(D)는 톱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A)~(C)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톱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 (A)(B)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수나사체의 응용예를 조이지 않은 측면도이다.
[도 22] (A)(B)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응용예로 이용되는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 (A)(B)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를 플랜지 이음새의 체결에 응용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 제B-2 실시 형태에 관한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A)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 (B) 와셔와 수나사체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 (C)는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5]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A) 와셔의 표면도 및 측면 부분 단면도, (B) 와셔와 수나사체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 (C)는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6] 본 발명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암나사체에 적용했을 경우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7] (A)은 본 발명의 제C-1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며, (B)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며, (C)는 표면도이며, (D)는 피체결 부재만을 나타내는 표면도이다.
[도 28] 동 역회전 방지 구조로 이용되는 수나사체의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 (A)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로 이용되는 와셔의 표면도이며, (B)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며, (C)는 저면도이며, (D)는 저면의 부분 절단도이다.
[도 30] (A)은 동 수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톱날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B)~(D)는 톱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1] (A)~(C)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톱날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2] (A)는 동 역회전 방지 구조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며, (B)는 그 수나사체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33] (A)은 본 발명의 제C-2 실시 형태에 관한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B)는 피체결 부재의 표면도이며, (C)는 와셔의 저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34] 본 발명의 제C-3 실시 형태에 관한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 본 발명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암나사체에 적용했을 경우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A, B, C의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A 그룹은, 도 1에서 도 15에 나타내는 제A-1에서 제A-4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이다. B 그룹은, 도 16에서 도 26에 나타내는, 제B-1 및 제B-2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이다. C 그룹은, 도 27에서 도 35에 나타내는, 제C-1에서 제C-3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이다. 설명의 편의 상, 이러한 그룹의 사이에서, 부재, 부품 등의 설명으로 이용하는 명칭이나 부호는 공통 또는 유사하고 있지만, 이러한 명칭이나 부호는 그룹간에 서로 독립하고, 상관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A 그룹에 속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제A-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도 3과 같이,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서는, 수나사체(10)와, 환상(環狀)의 와셔(50)와, 피체결 부재(80)와, 기대(9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기대(90)에는, 수나사체(10)와 나합하기 위한 암나사혈(92)이 형성되고, 기대(90)와 수나사체(10)에 끼움으로써, 피체결 부재(80)가 고정된다.
수나사체(10)는, 소위 볼트이며, 두부(頭部)(20)와 축부(30)를 갖는다. 두부(20)의 하부 내지 뿌리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나사체측 좌부(22)가 형성된다. 축부(30)에는, 원통부(30a)와 나사부(30b)가 형성된다. 물론, 원통부(30a)는 필수는 아니다.
와셔(50)의 일방측(도 1의 상면측)에는, 제1 수부(受部)(60)가 형성된다. 이 제1 수부(60)는, 나사체측 좌부(22)와 대향하고, 양자간에는, 제1 계합 기구(A)가 구성된다. 이 제1 계합 기구(A)는, 적어도 나사체측 좌부(22)가, 체결 상태의 수나사체(1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1 수부(60)와 나사체측 좌부(22)가 서로 계합하고, 해당 회전 방향에 대한 제1 수부(60)와 나사체측 좌부(22)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와셔(50)의 타방측(도 1의 하면측)에는, 제2 수부(70)가 형성된다. 이 제1 수부(70)는, 피체결 부재(80)와 대향한다.
피체결 부재(80)에는, 와셔(50)의 제2 수부(70)에 대향하는 부재측 좌부(82)가 형성된다.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와,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사이에는, 제2 계합 기구(B)가 구성된다. 이 제2 계합 기구(B)는, 적어도 와셔(50)가, 수나사체(10)와 함께,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1 수부(70)와 부재측 좌부(82)가 서로 계합하고, 해당 회전 방향에 대한 제2 수부(70)와 부재측 좌부(82)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이 제1 계합 기구(A)와 제2 계합 기구(B)의 작용에 의해, 수나사체(1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와셔(50)의 개재에 의해서, 수나사체(10)와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결과, 수나사체(10)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제1 계합 기구(A)로서,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에는,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나사체측 요철(24)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설치되는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사체측 요철(24)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 즉,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이 되고 있다. 결과, 나사체측 요철(24)은, 축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 나사체측 좌부(22)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이 형성된다. 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은, 중심측이 나사 끝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나사 선측(先側, front side)에 철(凸)의 원추형상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에, 기술의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제1 계합 기구(A)로서, 와셔(50)의 제1 수부(60)에는, 나사체측 요철(24)과 계합하는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제1 수부측 요철(64)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설치되는 톱날 형상이 되고 있다. 제1 수부측 요철(64)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 즉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있다. 결과, 제1 수부측 요철(64)은, 와셔(50)의 관통혈(52)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제1 수부(60)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와셔측 테이퍼면(66)이 형성된다. 이 와셔측 테이퍼면(66)은, 중심측이 나사 끝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여 발상(鉢狀, pot shape)을 이루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나사 선측(先側)에 요(凹)의 원추형상이 된다. 이 와셔측 테이퍼면(66)에, 기술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결과,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일 때에, 제1 계합 기구(A)에서는, 와셔(50)의 와셔측 테이퍼면(66)의 요(凹) 내에, 나사체측 좌부(22)의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이 진입하고,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계합한다. 양자의 톱니 형상은, 도 4(A)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20)가, 체결 방향(Y)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서로의 경사면(24Y, 64Y)가 당접하고, 양자의 거리를 축 방향으로 떼어 놓으면서, 상대 슬라이드를 허용한다. 한편, 수나사체(2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서로의 수직면(경사가 강한 쪽의 면)(24X, 64X)가 당접하고, 양자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특히 제1 계합 기구(A)는,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해서,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치합이 강해져서, 풀림 방향(X)측의 계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경사 각도와, 와셔측 테이퍼면(66)의 경사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 특히 와셔측 테이퍼면(66)의 축심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를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축심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테이퍼면에 형성되는 톱니의 피치에 인하지 않고, 덜컥거림 없게 단단히 조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3에 돌아와서,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72)은,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한다. 구체적으로, 이 외벽(72)은, 나사의 축심(관통공(52)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한 원형상이 되고 있다.
한편,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는, 와셔(50)의 제2 수부(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부(84)를 구비하고, 이 수용 요부(84)의 내벽도,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편심한 원형상이 되고 있다. 또, 편심량은, 제2 수부(70)와 수용 요부(84)와 같고, 제2 수부(70)와 수용 요부(84)의 직경 차이(여유 틈새)는, 편심량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제2 수부(70)가, 피체결 부재(80)의 수용 요부(84)에 수용되면, 양자가 감합되는 결과가 되어, 나사의 축심을 맞춘 상태의 상태로는, 양자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즉, 이 제2 수부(70)와 수용 요부(84)가 제2 계합 기구(B)로서 작용한다.
이상, 제A-1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의하면, 와셔(50)를 개재시킴으로써,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의 사이에 제1 계합 기구(A)를 구성하고, 부재측 좌부(82)와 제2 수부(70)의 사이에 제2 계합 기구(B)를 구성하고, 수나사체(10)가 풀리려고 하면, 제1 계합 기구(A) 및 제2 계합 기구(B)의 쌍방의 규제 작용에 의해서, 수나사체(10)가 피체결 부재(80)와 둘레 방향으로 계합한 상태가 되어, 역회전하는 것, 즉 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진동 등이 생겨도, 전혀 풀리지 않는 체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하는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위 래칫(ratchet) 기구 또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 기구로서 작용한다. 결과, 체결 동작시는,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원활한 상대 회전을 실현하는 한편, 풀림 동작시는,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상대 이동을 완전하게 규제한다. 결과, 체결시의 작업성과, 그 후의 풀림 방지를 합리적으로 양립할 수 있다.
또 본 제A-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에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 와셔측 테이퍼면(66)이 형성되므로, 양자의 당접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수나사체(10)의 축선 방향의 체결력이, 테이퍼면에 의해서 반경 방향에도 작용한다. 서로의 테이퍼면을 반경 방향으로 꽉 누름으로써, 자려적(自勵的)으로 센터링 할 수 있다. 결과, 수나사체(10)와 와셔(50)의 동심도가 높고,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계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철측(凸側)의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경사를 미소하게 크게 하여, 요측(凹側)의 와셔측 테이퍼면(66)의 경사각을 미소하게 작게 하고, 각도에 미소 차이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억압 압력의 증대에 수반하여, 중심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고, 서로의 테이퍼면을 조금씩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A-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계합 기구(B)로서,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과, 피체결 부재(80)의 수용 요부(84)의 내벽의 형상이,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동심원이 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환언하면, 수용 요부(84)의 내벽 및 제2 수부(70)의 외벽은,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화한다. 이 형상에 의해서, 수용 요부(84)의 내벽과 제2 수부(70)가 감합되면, 서로의 축심을 맞춘 채로는,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특히 여기에서는, 편심한 정원(正円, perfect circle) 형상이 되고 있으므로, 와셔(50)나 피체결 부재(80)의 형상 가공을 지극히 간단하게 하면서도, 양자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A-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톱날 형상의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듯이, 서로의 요철을 산형(양쪽 모두 경사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수나사체(2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할 때, 서로의 경사면(24X, 64X)이 상대 이동하려고 하지만, 이 경사면을 따라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떨어지려고 한다. 이 이동거리(멀어지는 각도 α)를, 수나사체(10)의 리드각보다 크게 설정하면, 수나사체(10)가 풀리려고 해도, 그 이상으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떨어지려고 하므로, 풀릴 수 없게 된다. 또, 이 도 4(B)에서는, 단면 이등변 삼각형의 요철을 예시했지만, 도 4(C)와 같이, 체결 회전시에 당접하는 경사면(24Y, 64Y)의 경사각보다, 풀림 회전시에 당접하는 경사면(24X, 64X)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체결 회전시에, 서로 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사면(24Y, 64Y)의 둘레 방향 거리(P)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체결 후의 반동(틈새)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4(A)~(C)의 응용으로서, 도 4(D)에 나타내듯이, 봉우리와 골짜기를 만곡시킨 파형(波型)의 요철도 바람직하다. 체결시에 매끄러운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 본 제A-1 실시 형태에서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을 예시했지만, 도 5(A)에 나타내듯이, 소용돌이상(스파이럴상)의 구(溝) 또는 산(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도 5(B)와 같이, 직선상으로 연장된 구(溝) 또는 산(요철)에서도, 나사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둘레 방향 위상이 변화하도록 경사 배치할 수도 있다. 또, 도 5(C)에 나타내듯이, 미세 요철을, 나사의 둘레 방향이고 반경 방향의 쌍방(평면상)으로 복수 형성한, 이른바 엠보스(emboss)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제A-1 실시 형태와 같이,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요철 형상을 반드시 일치(상사(相似))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의 각종 형상으로부터 다른 것을 서로 선택하여 조합할 수도 있다.
본 제A-1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을 철형상(凸形狀), 와셔측 테이퍼면(66)을 요형상(凹形狀)으로 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A)와 같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을 평면 형상으로 하거나, 도 6(B)과 같이 요형상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와셔측 테이퍼면도 마찬가지이다. 또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와셔(50)의 탄성변형을 유효 활용하면, 쌍방의 테이퍼면의 경사각을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물론, 수나사체(10) 또는 와셔(50)의 일방에만 테이퍼면을 형성해도 좋다. 더욱이, 쌍방의 테이퍼면을 철형상으로 하거나, 요형상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와셔의 탄성변형을 활용하여 양자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와셔(50)의 탄성을 얻기 위해, 와셔(50)의 기본적인 형상을 나선상으로서 이루어지는 소위 스프링 와셔상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제A-1 실시 형태의 응용으로서, 도 7(A)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 및, 부재측 대좌부(82)의 수용 요부(84)의 내벽이,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동심의 부분 원호형상(S)으로 하고, 나머지 부분을 현(G)과 같이 직선상으로 잘라 떨어뜨린 것 같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에서도, 수용 요부(84)의 내벽 및 제2 수부(70)의 외벽은,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한다. 따라서, 현(G)의 형상에 의해서, 수용 요부(84)의 내벽과 제2 수부(70)가 계합하여,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또 도 7(B)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이,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동심의 부분 원호형상(S)로 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T)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용 요부(84)의 내벽에는, 반경 방향으로 패인 홈(窪, dent)(K)을 형성한다. 이 돌기(T)와 홈(K)의 계합에 의해서, 수용 요부(84)의 내벽과 제2 수부(70)가 계합하여,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이 때, 수용 요부(84)에 형성되는 홈(K)은, 작은 정원 형상(부분 원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요부(84)를 절삭 가공이 할 때에, 봉상의 드릴의 1회의 가공만으로, 홈(K)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와셔(50)의 제2 수부(70) 측에 홈(절결)을 형성하여, 수용 요부(84) 측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고, 본 발명의 제A-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역회전 방지 구조에서는, 수나사체(10)는 제A-1 실시 형태와 같지만, 와셔(50) 및 피체결 부재(80)의 구조가 일부 차이가 나므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수나사체(10)에 관한 전술과 공통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와셔(50)는, 도 9(A)에 나타내듯이, 제A-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육박(肉薄, thin)으로 이루어지고, 피체결 부재(80)와 대향하는 제2 수부(70)측에도, 나사 상대 방향에 철(凸)이 되는 제2 와셔측 테이퍼면(76)이 형성된다.
또한, 제A-1 실시 형태와 같이,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72) 및 수용 요부(84)의 내벽은, 편심한 정원 형상이 되고 있으므로, 서로 감합함으로써, 둘레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도 8로 돌아와서, 피체결 부재(80)의 수용 요부(84)의 저면에는, 나사 선측에 요(凹)가 되는 부재측 테이퍼면(86)이 형성된다. 결과, 와셔(50)의 제2 와셔측 테이퍼면(76)과 당접함으로써, 와셔(50)를 개입시켜 수나사체(10)의 체결력을 받아 들인다.
또한, 수용 요부(84)의 내벽의 일부에는 인상 공간(引上空間)(88)이 형성된다. 인상 공간(88)은, 수용 요부(84)의 내벽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하고, 요부(凹部)의 깊이를 크게 함으로써 확보된다. 이 인상 공간(88)에 의해서,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의 일부에 틈새가 형성된다.
수나사체(10) 및 와셔(50)를 이용하고, 피체결 부재(80)을 고정하면, 제1 계합 기구(A)로서,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요철(24)와, 와셔(50)측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계합한다. 더욱, 제2 계합 기구(B)로서,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외벽과 수용 요부(84)의 내벽이 서로 감합됨으로써, 둘레 방향의 회전이 규제된다. 결과, 수나사체(10)의 역회전이 방지되는 것, 즉 풀리지 않게 된다.
도 9(B)에는, 수나사체(10)를 강제적으로 풀리게 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마이너스 드라이버(D)의 선단을, 인상 공간(88)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그 선단을 와셔(50)의 배면측에 삽입한다. 이 상태로, 마이너스 드라이버(D)의 선단을 들어 올림으로써, 와셔(50)의 제2 수부(70)를 상방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결과, 제2 수부(70)와 수용 요부(84)에 의한 제2 계합 기구(B)가 해방된다. 이 상태로, 수나사체(1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셔(50)도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수나사체(10)를 풀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제A-2 실시 형태에서는, 피체결 부재(80)의 수용 요부(84)에 인상 공간(88)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외벽에 경사면(77A)을 형성함으로써, 마이너스 드라이버(D)의 선단을, 와셔(50)의 배면측(피체결 부재(80)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도 10(B)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주연(周緣, rim)에, 피체결 부재(80)에서 멀어지는 삽입용 요부(揷入用凹部)(77B)를 형성한다. 이 삽입용 요부(77B)를 개입시키고, 마이너스 드라이버(D)의 선단을 와셔(50)의 배면측에 삽입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 와셔(50)의 외경과, 수용 요부(84)의 내경과의 직경차를 이용하여, 초승달상의 간격을 작출하여, 이 초승달상의 간격(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마이너스 드라이버(D)의 선단을 와셔(50)의 배면측에 삽입 가능하게 해도 좋다.
도 11에는, 제A-3 실시 형태의 나사의 풀림 방지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도 11(B)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는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또, 수나사체(10)의 축부(30)의 근본에는, 와셔(50)를 보관 유지하기 위한 굴곡(constiction)(32)이 형성된다.
도 11(A)에서, 와셔(50)의 제1 수부(60)도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와셔(50)의 관통혈(52)에는, 내주측에 돌출하는 계합 돌기(52A)가 형성되어, 수나사체(10)의 굴곡(32)과 계합한다. 결과, 미리,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일체화(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와셔(50)의 제2 수부(70)에는, 나사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셔측 단부(7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피체결 부재(80)측에 굴곡하는 조(爪)에 의해서, 와셔측 단부(74)가 구성된다.
한편,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에는, 나사의 축선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재측 단부(82A)를 갖는다. 이 부재측 단부(82A)는, 나사 선측에 침체하는 단차가 된다. 와셔측 단부(74)와 부재측 단부(82A)의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는, 서로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11(C)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이면, 와셔측 단부(74)와 부재측 단부(82A)를 계합하여, 와셔(50)와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본 제A-3 실시 형태에서는, 수나사체(10)의 굴곡(32)과 와셔(50)의 계합 돌기(52A)에 의해서, 미리 양자를 일체화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그 수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어도 일방에 자기(磁氣)를 갖게 함으로써,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자력(磁力)으로 일체화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접착제, (스팟(spot)) 용접, 압입(마찰력)에 의해서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미리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 O링 등의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와셔(50)의 외주에 와셔측 단부(74)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와셔(50)에서의 외연보다 내측에, 와셔측 단부(돌기)(74)를 형성할 수도 있다. 피체결 부재(80)의 수용 요부(84) 내에, 이 와셔측 단부(74)를 수용하는 부재측 단부(홈)(82A)를 형성한다. 결과, 와셔측 단부(돌기)(74)와 부재측 단부(홈)(82A)가 계합하고,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A-4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도 13(A)에서, 와셔(50)의 외형은,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편심한 원형이다. 와셔(50)는, 소위 접시 용수철이 되고, 수나사체(10)로부터의 체결력을 받으면, 축선 방향으로 탄성변형 한다.
도 13(B)에 나타내듯이, 와셔(50)는, 피체결 부재(80)에 형성되는 편심 원형의 수용 요부(82)에 수용된다.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는, 중심측에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되고, 와셔(50)의 제1 수부측 요철(64)과 계합한다. 또, 나사체측 좌부(22)에서의 나사체측 요철(24)의 외측에는, 피체결 부재(80)와 직접 당접하는 압압면(23)이 형성된다.
더욱이 수용 요부(82)의 저면과,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요철(24)의 사이의 틈새(L)는, 와셔(50)의 축 방향 치수와 비교하여 다소 작게 설정된다. 결과,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이면, 와셔(50)는, 수용 요부(82)의 저면과 나사체측 요철(24)에 끼워 탄성변형 한다. 그러나, 이 탄성변형량은,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는 정도로 충분하다. 왜냐하면, 수나사체(10)의 체결력은, 압압면(23)을 개입시켜 직접적으로 피체결 부재(80)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하면, 와셔(50) 자체의 강도, 강성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제1 수부(60)를, 수나사체(10)의 두부(20)를 수용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와셔(50)의 표면에, 수나사체(10)의 두부(20)를 수용하는 수용공(51)을 형성한다. 결과, 두부(20)가 외부 부재와 접촉 하기 어려워지므로, 수나사체(10)가 풀리기 어렵다. 이 때, 편심 원이 되는 제2 수부(70)를, 와셔(50)의 두부(20)측(도 14의 상단측) 근방으로 한정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와셔(50)에, 동심원의 둘레벽(周壁)(71)과, 편심 원의 제2 수부(70)의 쌍방을 형성하고, 각각을 피체결 부재(80)에 계합시킴으로써, 둘레벽(71)에 의해서, 암나사혈(92)과의 동축성(同軸性)을 확보하면서, 제2 계합 기구(B)에 의해서 양자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축 방향의 도중에, 피체결 부재(80)와 기대(90)의 경계면(89)를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피체결 부재(80)와 기대(90)의 사이에, 경계면(89)에 따른 전단력이 작용했을 경우에, 그 전단력을 와셔(50)의 외주면(둘레벽(71) 또는 외벽(72))에서 받아 들일 수 있다. 따라서, 수나사체(10)를 굵게 하지 않아도, 와셔(50)의 강성을 높여 두면, 양자가 일체가 되고, 전단력에 대한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때, 제1 수부(60)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 환상부와, 편심한 플랜지상의 외벽(72)을 갖는 길이가 긴 원통형을 이루는 와셔(50)를 별체로서, 환상을 이루는 제1 수부(60)의 외주를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편심시키고, 한편, 와셔(50)에는 해당 환상부를 내삽하여 얻는 편심 감합부를 설치하고, 해당 환상부와 와셔(50)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제A-1에서 제A-4 실시 형태에서는, 수나사체(10)의 두부와 와셔(50)를 계합시키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수나사체에 적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이 풀림 방지 기구를, 암나사체측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듯이, 암나사체(18), 와셔(50), 피체결 부재(80)의 사이에, 제1 계합 기구(A)와 제2 계합 기구(B)를 설치함으로써, 암나사체(18)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A-1에서 제A-4 실시 형태에서는, 와셔(50)의 외형이, 원형 또는 부분 원호가 되는 경우에 한해서 예시했지만, 그 이외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셔(50)의 외형으로서는, 타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이어도 좋다. 즉, 수용 요부와의 감합에 의해서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경우는, 축심에 대해서 와셔(50)의 외형이 「비완전 원형(동심의 완전 원이 아닌 상태)」이면 좋게 된다. 또, 도 13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와셔(50)가 접시 용수철로서 탄성변형 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스프링 와셔와 같이 탄성변형 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금속과 탄성변형 재료(예를 들면 고무 등)를 일체화한 복합재료에 의해서 와셔를 형성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에 B 그룹에 속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에는, 제B-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도 18에서,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서는, 수나사체(10)와, 환상의 와셔(50)와, 피체결 부재(80)와, 기대(9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기대(90)에는, 수나사체(10)와 나합하기 위한 암나사혈(92)이 형성되고, 기대(90)와 수나사체(10)에 끼움으로써, 피체결 부재(80)가 고정된다.
수나사체(10)는, 소위 볼트이며, 두부(20)와 축부(30)를 갖는다. 두부(20)의 하부 내지 뿌리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나사체측 좌부(22)가 형성된다. 축부(30)에는, 원통부(30a)와 나사부(30b)가 형성된다. 물론, 원통부(30a)는 필수는 아니다.
와셔(50)의 일방측(도 16(A)의 상측)에는, 제1 수부(60)가 형성된다. 이 제1 수부(60)는, 나사체측 좌부(22)와 대향하고, 양자간에는, 제1 계합 기구(A)가 구성된다. 이 제1 계합 기구(A)는, 적어도 나사체측 좌부(22)가, 체결 상태의 수나사체(10)를 풀리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1 수부(60)와 나사체측 좌부(22)가 서로 계합하고, 해당 회전 방향에 대한 제1 수부(60)와 나사체측 좌부(22)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와셔(50)의 타방측(도 16(A)의 하측)에는, 제2 수부(70)가 형성된다. 이 제1 수부(70)는, 피체결 부재(80)와 대향한다.
피체결 부재(80)에는, 와셔(50)의 제2 수부(70)에 대향하는 부재측 좌부(82)가 형성된다. 제2 수부(70)와 부재측 좌부(82)는, 모두 환상의 평면 영역이 되고, 서로 당접하고, 수나사체(10)의 체결력(축력)을 피체결 부재(8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수나사체(10)의 축력의 대부분은, 와셔(50)를 개입시켜 피체결 부재(80)에 전달된다.
또한,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와,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주위에는, 와셔(50)에 대해서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의 당접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상대 회전이 제약되는 제2 계합 기구(B)가 구성된다.
도 16(B)에 나타내듯이, 이 제2 계합 기구(B)는, 와셔측 당접부(110) 및 부재측 당접부(120)를 갖는다. 와셔(50)의 외벽은,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동심의 부분 원호형상이 되고, 나머지 부분을 현과 같이 직선상으로 잘라 떨어뜨린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 현을 와셔측 당접부(110)로 하고 있다. 즉, 와셔측 당접부(110)만을 생각하면, 제2 수부(70)의 주위에서, 반경 방향에 대해서 직각이고, 반경 방향 외측에 향한 평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부재측 당접부(120)은, 부재측 좌부(82)의 주위에서, 반경 방향에 대해서 직각이고, 반경 방향 내측에 향한 평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는 대향하고, 서로 당접한다.
보다 상세하게 와셔측 당접부(110)는,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대향하는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과, 수나사체(10)의 타방의 회전 방향(Y)에 대향하는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을 구비한다. 부재측 당접부(120)는, 수나사체(10)의 타방의 회전 방향(Y)에 대향하고,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과 당접 가능한 제1 부재측 당접 영역(120Y)과,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대향하고,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과 당접 가능한 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X)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수나사체(10)가 우나사의 경우에, 수나사체(10)를 조이기 위해 Y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기에 따라 와셔(50)가 부재측 좌부(82)에 대해서 Y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하지만, 그 결과,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과 제1 부재측 당접 영역(120Y)의 당접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그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똑같이, 수나사체(10)가 X 방향으로 풀리려고 하면, 거기에 따라 와셔(50)가 부재측 좌부(82)에 대해서 X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하지만, 그 결과,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과 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X)의 당접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그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와셔측 당접부(110) 및 부재측 당접부(120)는,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의 일부의 각도 범위(Q)에 배치된다. 사방에 형성하려고 하면, 와셔측 당접부(110)나 부재측 당접부(12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코스트가 증대하고, 더욱이, 수나사체(10)의 체결 동작에 간섭하기 쉬워진다. 당접부를 구성하는 각도 범위로서는 180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도 미만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70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와셔측 당접부(110) 및 부재측 당접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결과, 나머지의 290도의 범위는, 수나사체(10)의 주위를 개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셔측 당접부(110) 및 부재측 당접부(120)는, 수나사체(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를 기준으로 해서, 와셔(50)측에 연재하고 있다. 결과, 와셔(50)는, 그 외주면을 와셔측 당접부(110)로서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나사체(10)가 쌍 방향 X, Y으로 회전할 때에, 와셔(50)의 회전도 억제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와셔(50)가, 수나사체(10)와 함께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과 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X)의 당접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해당 회전 방향(X)에 대한 제2 수부(70)와 부재측 좌부(82)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면 좋다.
이상에서, 제1 계합 기구(A)와 제2 계합 기구(B)의 작용에 의해, 수나사체(1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와셔(50)의 개재에 의해서, 수나사체(10)와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결과, 수나사체(10)가 풀림이 방지된다. 또, 수나사체(10)가 조임 방향(Y)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2 계합 기구(B)에 의해서 와셔(50)의 동반 회전이 억제되어, 제1 계합 기구(A)의 계합 동작을 적절히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제1 계합 기구(A)로서,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에는,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나사체측 요철(24)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설치되는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사체측 요철(24)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 즉,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이 되고 있다. 결과, 나사체측 요철(24)은, 축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 나사체측 좌부(22)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이 형성된다. 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은, 중심측이 나사 끝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나사 선측의 철(凸)의 원추형상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에, 기술의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제1 계합 기구(A)로서, 와셔(50)의 제1 수부(60)에는, 나사체측 요철(24)과 계합하는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제1 수부측 요철(64)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해서 설치되는 톱날 형상이 되고 있다. 제1 수부측 요철(64)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 즉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에 따라서 있다. 결과, 제1 수부측 요철(64)은, 와셔(50)의 관통혈(52)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제1 수부(60)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와셔측 테이퍼면(66)이 형성된다. 이 와셔측 테이퍼면(66)은, 중심측이 나사 끝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여 발상(鉢狀, pot shaped)을 이루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나사 선측에 요(凹)의 원추형상이 된다. 이 와셔측 테이퍼면(66)에, 기술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결과,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일 때에, 제1 계합 기구(A)에서는, 와셔(50)의 와셔측 테이퍼면(66)의 요(凹) 내에, 나사체측 좌부(22)의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이 진입하고,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계합한다. 양자의 톱니 형상은, 도 19(A)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20)가, 체결 방향(Y)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서로의 경사면(24Y, 64Y)이 당접하고, 양자의 거리를 축 방향으로 좁히면서, 상대 슬라이드를 허용한다. 한편, 수나사체(2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서로의 수직면(경사가 강한 쪽의 면)(24X, 64X)이 당접하고, 양자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특히 제1 계합 기구(A)는,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해서,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치합이 강해져, 풀림 방향(X)측의 계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경사 각도와, 와셔측 테이퍼면(66)의 경사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 특히 와셔측 테이퍼면(66)의 축심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를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축심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테이퍼면에 형성되는 톱니의 피치에 인하지 않고, 덜컥거림 없게 단단히 조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8로 돌아와서,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주위의 외벽(72)은, 와셔측 당접부(110)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평면 형상이 되고,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한다. 구체적으로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은,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따라서 거리 XA, XB, XC가 커진다.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은,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Y)에 따라서 거리 YA, YB, YC가 커진다. 또, 와셔측 당접부(110)를 제외한 부분은,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이 되는 정원 형상이 되고 있다.
도 16(B)에 나타내듯이,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의 주위에는, 수나사(10)의 두부측으로 돌출하는 단차가 형성된다. 이 단차에서의 와셔(50)측에 대향하는 평면 형상의 측벽이, 부재측 당접부(120)에 상당한다. 이 부재측 당접부(120)도,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한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측 당접 영역(120Y)은,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따라서 거리 X1, X2, X3가 커진다. 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X)은,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Y)에 따라서 거리 Y1, Y2, Y3가 커진다. 또, 이 변동량은, 다소의 여유 틈새를 무시하면,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와 같게 설정된다. 혹은, 이 여유 틈새가, 수나사(10)에 의한 와셔(50)의 체결에 의한 축 방향의 압축에 의해 초래되는 축 직각 방향으로의 변형에 의해서, 메워지도록 와셔(50)의 탄성이나 형상을 설정해도 좋다.
따라서, 와셔(50)의 제2 수부(70)와,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를 접촉시키면,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가 당접하는 결과가 되어, 나사의 축심을 맞춘 상태의 상태로는, 양자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제약된다. 즉, 이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가 제2 계합 기구(B)로서 작용한다.
이상, 제B-1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의하면, 와셔(50)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서,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의 사이에 제1 계합 기구(A)를 구성하고, 부재측 좌부(82)와 제2 수부(70)의 주위에 제2 계합 기구(B)가 배치되어, 수나사체(10)가 풀리려고 하면, 제1 계합 기구(A) 및 제2 계합 기구(B)의 쌍방의 규제 작용에 의해서, 수나사체(10)가 피체결 부재(80)와 둘레 방향으로 계합한 상태가 되어, 역회전하는 것, 즉 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진동 등이 생겨도, 전혀 풀리지 않는 체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하는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위 래칫(ratchet) 기구 또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 기구로서 작용한다. 결과, 체결 동작시는,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원활한 상대 회전을 실현하는 한편, 풀림 동작시는,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상대 이동을 완전하게 규제한다. 결과, 체결시의 작업성과, 그 후의 풀림 방지를 합리적으로 양립 할 수 있다.
또 본 제B-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에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 와셔측 테이퍼면(66)이 형성되므로, 양자의 당접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수나사체(10)의 축선 방향의 체결력이, 테이퍼면에 의해서 반경 방향에도 작용한다. 서로의 테이퍼면을 반경 방향으로 꽉 누르는 것으로, 자려적으로 센터링 할 수 있다. 결과, 수나사체(10)와 와셔(50)의 동심도가 높고,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계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철측(凸側)의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경사를 미소하게 크게 하고, 요측(凹側)의 와셔측 테이퍼면(66)의 경사각을 미소하게 작게 하고, 각도에 미소차이를 설치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억압 압력의 증대에 수반하여,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고, 서로의 테이퍼면을 조금씩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B-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계합 기구(B)로서,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의 형상이,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동심원이 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환언하면,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의 형상은,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화한다. 이 형상에 의해서,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가 일단 당접하면, 서로의 축심을 맞춘 채로는, 그 이상의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특히,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가, 수나사체(10)의 사방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둘레 방향의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와셔(50)나 피체결 부재(80)의 형상 가공을 지극히 간단하게 하면서, 양자의 상대 회전을 방지 가능하고, 더욱이, 와셔(50)나 나사체(10)의 주위를 넓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B-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톱날 형상의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9(B)에 나타내듯이, 서로의 요철을 산형(양쪽 모두 경사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수나사체(2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할 때, 서로의 경사면(24X, 64X)이 상대 이동하려고 하지만, 이 경사면을 따라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떨어지려고 한다. 이 이동거리(멀어지는 각도 α)를, 수나사체(10)의 리드각보다 크게 설정하면, 수나사체(10)가 풀리려고 해도, 그 이상으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떨어지려고 하므로, 풀릴 수 없게 된다. 또한, 이 도 19(B)에서는, 단면 이등변 삼각형의 요철을 예시했지만, 도 19(C)와 같이, 체결 회전시에 당접하는 경사면(24Y, 64Y)의 경사각보다, 풀림 회전시에 당접하는 경사면(24X, 64X)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체결 회전시에, 서로 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사면(24Y, 64Y)의 둘레 방향 거리(P)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체결 후의 반동(틈새)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19(A)~(C)의 응용으로서, 도 19(D)에 나타내듯이, 봉우리와 골짜기를 만곡시킨 파 형의 요철도 바람직하다. 체결시에 매끄러운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제B-1 실시 형태에서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을 예시했지만, 도 20(A)에 나타내듯이, 소용돌이상(스파이럴상)의 구(溝) 또는 산(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도 20(B)과 같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구 또는 산(요철)에서도, 나사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둘레 방향 위상이 변화하도록 경사 배치할 수도 있다. 또, 도 20(C)에 나타내듯이, 미세 요철을, 나사의 둘레 방향이고 반경 방향의 쌍방(평면상)으로 복수 형성한, 이른바 엠보스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제B-1 실시 형태와 같이,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요철 형상을 반드시 일치(상사)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19 및 도 20의 각종 형상으로부터 다른 것을 서로 선택하여 조합할 수도 있다.
본 제B-1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을 철형상(凸形狀), 와셔측 테이퍼면(66)을 요형상(凹形狀)으로 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1(A)과 같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을 평면 형상으로 하거나, 도 21(B)과 같이 요형상(凹形狀)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와셔측 테이퍼면도 마찬가지이다. 또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와셔(50)의 탄성변형을 유효 활용하면, 쌍방의 테이퍼면의 경사각을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물론, 수나사체(10) 또는 와셔(50)의 일방에만 테이퍼면을 형성해도 좋다. 더욱이, 쌍방의 테이퍼면을 철형상(凸形狀)으로 하거나, 요형상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와셔의 탄성변형을 활용하여 양자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와셔(50)의 탄성을 얻기 위해, 와셔(50)의 기본적인 형상을 나선상으로서 이루어지는 소위 스프링 와셔상이나 접시 용수철상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제B-1 실시 형태의 응용으로서, 도 22(A)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주위의 복수 개소(여기에서는 2개소)에, 와셔측 당접부(1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부재측 좌부(82)의 주위에 형성되는 부재측 당접부(120)도 복수 개소에 형성한다. 이 때, 와셔측 당접부(110)의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과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에 대해서, 제1 부재측 당접 영역(110Y)과 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X)이 상사형상이 될 필요는 없다. 본 응용예와 같이, 부재측 당접부(120)는, 와셔측 당접부(110)에 대해서 철(凸)이 되는, 원주의 외주면의 일부에서 구성할 수도 있다. 결과, 제1 부재측 당접 영역(110Y)과 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X)은,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과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을 향해 철상태(凸狀態)로 당접하는 만곡 평면이 된다. 이러한 구조여도, 와셔측 당접부(110)와 부재측 당접부(120)가 당접하고,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또 도 22(B)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외벽이, 나사의 축심에 대해서 동심의 부분 원호형상(S)이 되고, 그 일부의 영역에 한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T)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T)가 와셔측 당접부(110)가 되고, 돌기(T)에서,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대향하는 일방의 측면이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이 되고, 수나사체(10)의 타방의 회전 방향(Y)에 대향하는 타방의 측면이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이 된다. 이 때, 부재측 좌부(82)의 주위에는, 돌기(T)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원주상의 돌출부(K1, K2)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K1, K2)가 부재측 당접부(120)가 된다. 일방의 돌출부(K1)에는,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과 당접하는 제1 부재측 당접 영역(110Y)이 형성되고, 타방의 돌출부(K2)에는,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과 당접하는 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X)이 형성된다. 또한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부재측 당접부(120)가 되는 돌출부(K1, K2) 등은, 피체결 부재(80)에 대해서 나사 구조 등에 의해서 착탈 자재가 되고 있어도 괜찮다.
도 23(A)에는, 소위 플랜지 이음새의 체결에, 제B-1 실시 형태의 구조를 응용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플랜지 이음새의 관부재(150)의 외주면의 일부를, 제2 계합 기구(B)의 부재측 당접부(120)로서 이용한다. 한편, 볼트 또는 너트 등의 나사체(10)에 적용되는 와셔(50)에는, 관부재(150)의 외주면에 당접하는 와셔측 당접부(110)가 형성되고 있다. 이 와셔측 당접부(110)를, 관부재(150)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직각이 되는 평면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관부재(150)의 외주면에 당접시킴으로써, 와셔(50)의 쌍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또한, 와셔(50)에 형성되는 와셔측 당접부(110)의 형상을, 도 23(B)에 나타내듯이 해도 괜찮다. 구체적으로는, 나사체(10)가 조임 방향(Y)으로 회전할 때에, 제1 와셔측 당접 영역(110X)이 관부재(150)의 외주면(제2 부재측 당접 영역(120Y))에 당접하도록 하고, 나사체(1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할 때에, 제2 와셔측 당접 영역(110Y)이 인접하는 와셔(50)의 외주(제1 부재측 당접 영역(120X))에 당접하도록 해도 괜찮다. 즉, 서로 이웃이 되는 와셔(50)가, 제2 계합 기구(B)의 부재측 당접부(120)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하면, 나사체(10) 및 와셔(50)를 이용하여, 도 23(B)의 태양으로 플랜지 이음새를 체결해 나가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가 완성하게 된다. 이 생각은, 플랜지 이음새의 체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병렬 배치할 때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4에는, 제B-2 실시 형태의 나사의 역회전 방지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도 24(B)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는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또, 수나사체(10)의 축부(30)의 근본에는, 와셔(50)를 보관 유지하기 위한 굴곡(32)이 형성된다.
도 24(A)에서, 와셔(50)의 제1 수부(60)도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와셔(50)의 관통혈(52)에는, 내주측에 돌출하는 계합 돌기(52A)가 형성되어, 수나사체(10)의 굴곡(32)에 계합한다. 결과, 미리,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일체화(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주위에는, 나사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셔측 단부(74)가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와셔(50)의 제2 수부(70)를 기준으로 하고, 피체결 부재(80)측에 굴곡하는 조(爪)의 내벽에 의해서 와셔측 단부(74)가 구성된다.
한편,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에는, 나사의 축선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재측 단부(82A)를 갖는다. 이 부재측 단부(82A)는, 나사 선측에 침입하는 단차가 된다. 와셔측 단부(74)와 부재측 단부(82A)의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는, 서로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24(C)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이면, 와셔측 단부(74)와 부재측 단부(82A)를 계합하고, 와셔(50)와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환언하면, 와셔측 단부(74)는, 제2 계합 기구(B)에서의 와셔측 당접부(110)에 상당하고, 부재측 단부(82A)는, 제2 계합 기구(B)에서의 부재측 당접부(120)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제2 계합 기구(B)를, 나사체(10)의 둘레 방향의 일부의 범위이며, 더욱 와셔(50)와 비교하고, 나사 선측에 형성함으로써, 나사체(10)의 주위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제B-2 실시 형태에서는, 수나사체(10)의 굴곡(32)과 와셔(50)의 계합 돌기(52A)에 의해서, 미리 양자를 일체화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그 수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어도 일방에 자기를 갖게 함으로써,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자력으로 일체화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접착제, (스팟) 용접, 압입(마찰력)에 의해서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미리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 O링 등의 보조도구를 이용하고,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5를 참조하여 제B-2 실시 형태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피체결 부재(80)가, 내부에 축부(30)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이 되고,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주위에 사방으로 연장되는 판 모양의 리브(8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리브(89)를, 제2 계합 기구(B)의 부재측 당접부(120)로서 활용한다. 와셔(50)의 제2 수부(70)의 주위에는, 나사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와셔측 단부(74)가 형성되고, 이 와셔측 단부(74)가, 원통 형상의 피체결 부재(80)에 덮인다. 와셔측 단부(74)에는, 리브(89)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切欠, notch)(75)이 형성된다.
이 절결(75)의 내주면이 와셔측 당접부(110)에 상당하고, 리브(89)의 측면이 부재측 당접부(120)가 된다. 양자가 당접하는 것에 의해서 제2 계합 기구(B)로서 기능하고, 결과, 와셔(50)의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도 24 및 도 25에서는, 와셔(50)의 외주에 와셔측 단부(74)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1 또는 제B-2 실시 형태에서는, 수나사체(10)의 두부(頭部)와 와셔(50)를 계합시키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수나사체에 적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이 풀림 방지 기구를, 암나사체측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듯이, 암나사체(18), 와셔(50), 피체결 부재(80)에, 제1 계합 기구(A)와 제2 계합 기구(B)를 설치함으로써, 암나사체(18)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또는 제B-2 실시 형태에서는, 와셔(50)의 외형이, 원형, 부분 원호, 현(弦)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한해서 예시했지만, 그 이외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와셔(50)의 외형으로서는, 타원형(楕円形, ellipse), 장원형(長円形, oval), 다각형 등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 와셔(50)의 외형이, 나사체의 축에 대해 편심한 정원 형상인 것도 바람직하다. 즉, 축심에 대해서 와셔(50)의 외형이 「비완전 원형(동심의 완전 원이 아닌 상태)」이면 좋게 된다.
마지막으로 C 그룹에 속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7에, 제C-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서는, 수나사체(10)와, 관통혈(52)을 갖는 와셔(50)와, 제1 피체결 부재(80)와, 제2 피체결 부재(9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2 피체결 부재(90)에는, 수나사체(10)와 나합하기 위한 암나사혈(92)이 형성되고, 제2 피체결 부재(90)와 수나사체(10)에 끼움으로써, 제1 피체결 부재(80)가 제2 피체결 부재(90)에 고정된다. 제1 피체결 부재(80)는, 예를 들면 원통 구조의 소위 파이프재이며, 수나사체(10)가 관통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수나사체(10)는, 소위 볼트이며, 두부(20)와 축부(30)를 갖는다. 두부(20)의 하부 내지 뿌리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나사체측 좌부(22)가 형성된다. 축부(30)에는, 원통부(30a)와 나사부(30b)가 형성된다. 물론, 원통부(30a)는 필수는 아니다.
와셔(50)의 표리 중 일방측(도 27(A)의 상측)에는, 제1 수부(60)가 형성된다. 이 제1 수부(60)는, 나사체측 좌부(22)와 대향하고, 양자간에는, 제1 계합 기구(A)가 구성된다. 이 제1 계합 기구(A)는, 적어도 나사체측 좌부(22)가, 체결 상태의 수나사체(10)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1 수부(60)와 나사체측 좌부(22)가 서로 계합하고, 해당 회전 방향에 대한 제1 수부(60)와 나사체측 좌부(22)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와셔(50)의 타방측(도 27(A)의 하측)에는, 제2 수부(70)가 형성된다. 이 제1 수부(70)는, 제1 피체결 부재(80)와 대향한다.
제1 피체결 부재(80)에는, 와셔(50)의 제2 수부(70)에 대향하는 부재측 좌부(82)가 형성된다. 제2 수부(70)와 부재측 좌부(82)는, 대략 합동의 면상(面狀) 영역이 되고, 서로 당접하고, 수나사체(10)의 체결력(축력)을 제1 피체결 부재(8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수나사체(10)의 축력의 대부분은, 와셔(50)를 개입시켜 제1 피체결 부재(80)에 전달된다. 물론, 수나사체(10)의 축력의 대부분이, 와셔(50)를 개입시켜 제1 피체결 부재(80)에 전달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반대로 축력의 대부분이 제1 피체결 부재(80)에 전달되지 않게 해도 괜찮다.
또한, 제1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와, 와셔(50)의 제2 수부(70)에는, 와셔(50)에 대해서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의 당접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상대 회전이 제약되는 제2 계합 기구(B)가 구성된다.
도 27(B)에 나타내듯이, 이 제2 계합 기구(B)는, 와셔측 경사면(110) 및 부재측 경사면(120)을 갖는다. 와셔측 경사면(110)은, 와셔(50)의 제2 수부(70)에 형성되고, 부재측 경사면(120)은 제1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에 형성된다.
도 29(D)에 나타내듯이, 와셔측 경사면(110)은, 수나사체(10) 또는 관통공(52)의 축선 상의 적당 위치의 축 직각 단면의 형상(단면선(G))이,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X, Y)을 따라서,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물론, 이 와셔측 경사면(110)에 당접하는 부재측 경사면(120)도, 수나사체(10)의 축을 기준으로 해서, 수나사체(10) 또는 관통혈(52)의 축선 상의 적당 위치의 축 직각 단면의 형상(단면선(G))이,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X, Y)을 따라서,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미 말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피체결 부재(80)가 파이프재이기 때문에, 부재측 경사면(120)은, 파이프재의 외주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결과, 부재측 경사면(120)에 대향하는 와셔측 경사면(110)도, 수나사체(10)의 축에 대해 경사한 축(제1 피체결 부재(80)의 파이프재의 축과 동축 상태의 축)을 갖는 가상 원주의 부분 둘레면(周面)을 포함한 곡면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와셔측 경사면(110)은,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대향하는 제1 와셔측 경사 영역(110X)과, 수나사체(10)의 타방의 회전 방향(Y)에 대향하는 제2 와셔측 경사 영역(110Y)을 구비한다. 부재측 경사면(120)은, 수나사체(10)의 타방의 회전 방향(Y)에 대향하고, 제1 와셔측 경사 영역(110X)과 당접 가능한 제1 부재측 경사 영역(120Y)과,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대향하고, 제2 와셔측 경사 영역(110Y)과 당접 가능한 제2 부재측 경사 영역(120X)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수나사체(10)가 우나사의 경우에, 도 27 및 도 29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를 조이기 위해 Y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기에 따라 와셔(50)가 부재측 좌부(82)에 대해서 Y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하지만, 그 결과, 제1 와셔측 경사 영역(110X)과 제1 부재측 경사 영역(120Y)의 당접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그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똑같이, 수나사체(10)가 X 방향으로 풀리려고 하면, 거기에 따라 와셔(50)가 부재측 좌부(82)에 대해서 X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려고 하지만, 그 결과, 제2 와셔측 경사 영역(110Y)과 제2 부재측 경사 영역(120X)의 당접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그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와셔측 경사면(110)에서의 제1 와셔측 경사 영역(110X)과 제2 와셔측 경사 영역(110Y)은 연속한 곡면이 되고 있지만, 그 경계에는 특이점 또는 특이선(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이선)(U1, U2)이 존재 할 수 있다. 일방의 특이선(U1)은, 반경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있다. 타방의 특이선(U2)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축 방향으로 변위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나사체(10)가 쌍 방향(X, Y)으로 회전할 때에, 와셔(50)의 회전도 억제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와셔(50)가, 수나사체(10)와 함께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제2 와셔측 경사 영역(110Y)과 제2 부재측 경사 영역(120X)의 당접 상태가 보관 유지되고, 해당 회전 방향(X)에 대한 제2 수부(70)와 부재측 좌부(82)와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면 좋다.
이상에서, 제1 계합 기구(A)와 제2 계합 기구(B)의 작용에 의해, 수나사체(1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와셔(50)의 개재에 의해서, 수나사체(10)와 제1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결과, 수나사체(10)가 풀림이 방지된다. 또, 수나사체(10)가 조임 방향(Y)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2 계합 기구(B)에 의해서 와셔(50)의 공회전(供回)이 억제되어, 제1 계합 기구(A)의 계합 동작을 적절히 발휘시킬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내듯이, 제1 계합 기구(A)로서,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에는,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나사체측 요철(24)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사체측 요철(24)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 즉,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이 되고 있다. 결과, 나사체측 요철(24)은, 축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 나사체측 좌부(22)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이 형성된다. 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은, 중심측이 나사 끝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나사 선측에 철(凸)의 원추형상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에, 기술의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도 29(A)(B)에 나타내듯이, 제1 계합 기구(A)로서, 와셔(50)의 제1 수부(60)에는, 나사체측 요철(24)에 계합하는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제1 수부측 요철(64)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톱날 형상이 되고 있다. 제1 수부측 요철(64)의 각각이 연장되는 방향, 즉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에 따라서 있다. 결과, 제1 수부측 요철(64)은, 와셔(50)의 관통혈(52)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제1 수부(60)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와셔측 테이퍼면(66)이 형성된다. 이 와셔측 테이퍼면(66)은, 중심측이 나사 끝에 가까워지도록 경사하여 발상(鉢狀, pot shape)을 이루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나사 선측에 요(凹)의 원추형상이 된다. 이 와셔측 테이퍼면(66)에, 기술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결과,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일 때에, 제1 계합 기구(A)에서는, 와셔(50)의 와셔측 테이퍼면(66)의 요(凹) 내에, 나사체측 좌부(22)의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이 진입하고,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계합한다. 양자의 톱니 형상은, 도 30(A)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20)가, 체결 방향(Y)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서로의 경사면(24Y, 64Y)이 당접하고, 양자의 거리를 축 방향으로 좁히면서, 상대 슬라이드를 허용한다. 한편, 수나사체(2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서로의 수직면(경사가 강한 쪽의 면)(24X, 64X)이 당접하고, 양자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특히 제1 계합 기구(A)는,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치합이 강해져, 풀림 방향(X)측의 계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경사 각도와, 와셔측 테이퍼면(66)의 경사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 특히 와셔측 테이퍼면(66)의 축심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를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축심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테이퍼면에 형성되는 톱니의 피치에 인하지 않고, 덜컥거림 없게 단단히 조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나사체측 요철(24)의 수량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수량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고, 더욱이, 둘레 방향에서의 위상이나 위치도, 기계적 강도의 요청에 따라 적당 설정 가능하다.
도 29(D)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와셔측 경사면(110)을 축 방향으로 직각의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생각하면, 그 절단면은, 나사의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와셔측 경사 영역(110Y)은,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X)에 따라서 거리 XA, XB, XC가 커진다. 제1 와셔측 경사 영역(110X)은, 수나사체(10)의 일방의 회전 방향(Y)을 따라서 거리 YA, YB, YC가 커진다. 이것으로부터도, 와셔측 경사면(110)이, 부재측 경사면(120)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계합할 수 있음을 안다.
도 29(C)를 이용하여 다른 관점으로부터 설명하면, 와셔측 경사면(110)은, 나사체(10)의 축을 기준으로 한 반경 방향(H)의 외측을 따라서, 축 방향(제1 피체결 부재(80)측)으로 변위하고, 그 둘레 방향(E)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변위하는 미소 경사면 영역(V)을 적어도 포함한다. 그 결과, 와셔측 경사면(110)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 외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수나사체(10)의 축 방향에서의 제1 수부(60)에서 제2 수부(70)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다소의 여유 틈새, 혹은, 의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설치되는 탄성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 등을 무시하면,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은 같은 곡면으로 설정된다. 혹은, 수나사(10)에 의한 와셔(50)의 체결에 의한 축 방향의 압축에 의해 초래되는 변형에 의해서 이 여유 틈새가 메워지도록, 와셔(50)의 탄성이나 형상을 설정해도 좋다.
따라서, 와셔(50)의 제2 수부(70)와, 제1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를 접촉시키면,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이 당접하는 결과가 되어, 나사의 축심을 맞춘 상태의 상태로는, 양자 둘레 방향(S)의 상대 회전이 제약된다. 즉, 이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이 제2 계합 기구(B)로서 작용한다.
이상, 제C-1 실시 형태의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에 의하면, 와셔(50)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서,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의 사이에 제1 계합 기구(A)를 구성하고, 부재측 좌부(82)와 제2 수부(70)의 주위에 제2 계합 기구(B)가 설치되어, 수나사체(10)가 풀리려고 하면, 제1 계합 기구(A) 및 제2 계합 기구(B)의 쌍방의 규제 작용에 의해서, 수나사체(10)가 제1 피체결 부재(80)와 둘레 방향(S)에 계합한 상태가 되어, 역회전하는 것, 즉 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진동 등이 생겨도, 전혀 풀리지 않는 체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속하는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위 래칫 기구 또는 원웨이 클러치 기구로서 작용한다. 결과, 체결 동작시는,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고, 원활한 상대 회전을 실현하는 한편, 풀림 동작시는,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상대 이동을 완전하게 규제한다. 결과, 체결시의 작업성과, 그 후의 풀림 방지를 합리적으로 양립 할 수 있다.
또 본 제C-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좌부(22)와 제1 수부(60)에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 와셔측 테이퍼면(66)이 형성되므로, 양자의 당접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수나사체(10)의 축선 방향의 체결력이, 테이퍼면에 의해서 반경 방향에도 작용한다. 서로의 테이퍼면을 반경 방향으로 꽉 누르는 것으로, 자려적으로 센터링 할 수 있다. 결과, 수나사체(10)와 와셔(50)의 동심도가 높고,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계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철측(凸側)의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의 경사를 미소하게 크게 하고, 요측의 와셔측 테이퍼면(66)의 경사각을 미소하게 작게 하고, 각도에 미소차이를 설치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억압 압력의 증대에 수반하고,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고, 서로의 테이퍼면을 조금씩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C-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계합 기구(B)로서, 서로 대향하는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에서의, 축선 상의 적당 위치의 축 직각 단면의 형상(단면선(G))이,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X, Y)을 따라서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 형상에 의해서,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이 일단 당접하면, 그 이상의 둘레 방향의 상대 회전이 규제됨과 동시에, 나사체의 축력이, 서로 대향하는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에 의해서 전달된다. 즉, 나사체의 축력을 이용하고, 상대 회전의 규제력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나사체를 조이는 만큼, 상대 회전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축력 전달을 대부분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억압 강도에서도,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충분히 감합하고 있으면, 특정 방향의 회전, 즉 회전 풀림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와셔측 경사면(110)을 곡면으로 함으로써, 서로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부재측 경사면(120)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 나사체의 체결시에서, 소위 헐거움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피체결 부재(80)가 원통 또는 원주 형상의 부재의 경우는, 이 둘레면의 형상을 유효 활용하고, 와셔측 경사면(110) 및 부재측 경사면(120)을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C-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 기구(A)로서, 나사체측 요철(24)와 제1 수부측 요철(64)이 톱날 형상의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0(B)에 나타내듯이, 서로의 요철을 산형(양쪽 모두 경사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수나사체(20)가 풀림 방향(X)으로 회전할 때, 서로의 경사면(24X, 64X)이 상대 이동하려고 하지만, 이 경사면을 따라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떨어지려고 한다. 이 이동거리(멀어지는 각도 α)를, 수나사체(10)의 리드각보다 크게 설정하면, 수나사체(10)가 풀리려고 해도, 그 이상으로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이 떨어지려고 하므로, 풀릴 수 없게 된다. 또한, 이 도 30(B)에서는, 단면 이등변 삼각형의 요철을 예시했지만, 도 30(C)에 나타내듯이, 체결 회전시에 당접하는 경사면(24Y, 64Y)의 경사각보다, 풀림 회전시에 당접하는 경사면(24X, 64X)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체결 회전시에, 서로 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사면(24Y, 64Y)의 둘레 방향 거리(P)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체결 후의 반동(틈새)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30(A)~(C)의 응용으로서, 도 30(D)에 나타내듯이, 봉우리와 골짜기를 만곡시킨 파 형의 요철도 설정 가능하다. 체결시에 매끄러운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제C-1 실시 형태에서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철을 예시했지만, 도 31(A)에 나타내듯이, 소용돌이상(스파이럴상)의 구 또는 산(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도 31(B)과 같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구 또는 산(요철)에서도, 나사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둘레 방향 위상이 변화하도록 경사 배치할 수도 있다. 또, 도 31(C)에 나타내듯이, 미세 요철을, 나사의 둘레 방향이고 반경 방향의 쌍방(평면상)으로 복수 형성한, 이른바 엠보스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제C-1 실시 형태와 같이, 나사체측 요철(24)과 제1 수부측 요철(64)의 요철 형상을 반드시 일치(대략 상사 또는 대략 합동)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30 및 도 31의 각종 형상으로부터 다른 것을 서로 선택하여 조합할 수도 있다.
본 제C-1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을 철형상(凸形狀), 와셔측 테이퍼면(66)을 요형상(凹形狀)으로 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2(A)에 나타내듯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 및 와셔측 테이퍼면(66)을 평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수나사체(10)의 축부(30)의 근본에, 와셔(50)를 보관 유지하기 위한 굴곡(3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와셔(50)의 관통혈(52)에는, 내주 측으로 돌출하는 계합 돌기(52A)가 형성되어, 수나사체(10)의 굴곡(32)에 계합한다. 결과, 미리,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일체화(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2(B)의 수나사체(10)와 같이, 나사체측 테이퍼면(26)을, 나사체측에 요형상(凹形狀)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와셔(50)의 탄성변형을 유효 활용하면, 쌍방의 테이퍼면의 경사각을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물론, 수나사체(10) 또는 와셔(50)의 일방에만 테이퍼면을 형성해도 좋다. 더욱이, 쌍방의 테이퍼면을 철형상(凸形狀)으로 하거나, 요형상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와셔의 탄성변형을 활용하여 양자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와셔(50)의 탄성을 얻기 위해, 와셔(50)의 기본적인 형상을 나선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스프링 와셔상이나 접시 용수철상으로 해도 좋다.
도 33에, 제C-2 실시 형태의 나사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3(A)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는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와셔(50)의 제1 수부(60)도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또한, 도 33(C)의 저면도에 나타내듯이, 와셔(50)의 제2 수부(70)는, 수나사체(10)의 축 방향을 따라서 중앙이 철(凸)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에 대해 직각 방향의 단면 형상과 타원에 근사하는, 타원 반구체가 되고, 그 중심에 관통혈(52)이 형성된다. 이 형상을 이용하여, 제2 수부(70)의 전역에 와셔측 경사면(110)이 형성된다. 이 와셔측 경사면(110)에서, 수나사체(10) 또는 관통혈(52)의 축선 상의 적당 위치의 축 직각 단면의 형상(단면선(G))이,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X, Y)을 따라서, 축심을 기준으로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셔측 경사면(110)은, 수나사체(10)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수나사체(10)의 축 방향에서의 제1 수부(60)에서 제2 수부(70)측으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게 된다. 즉 본 와셔측 경사면(110)은, 반경 방향(H)의 내측으로 향하고, 와셔측 경사면(110)이 제1 피체결 부재(80)측으로 철(凸)이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또, 타원의 단축 및 장축에 따라, 특이선 또는 특이선(U)가 신장하고 있다.
한편, 도 33(B)의 표면도에 나타나도록, 제1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도, 타원의 반구체와 같은 요형상이 되고, 그 저면의 중심에 암나사혈(92)이 형성된다. 이 부재측 좌부(82)의 형상을 이용하여 부재측 경사면(120)이 형성된다. 부재측 경사면(120)은, 수나사체(10)의 축선 상의 적당 위치의 축 직각 단면의 형상(단면선(G))이,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X, Y)을 따라서 축심을 기준으로 변위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이면,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이 당접하여, 수나사체(10)의 축력을 전달을 얻고, 동시에, 와셔(50)와 제1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재의 일부를 움푹 패인 것 같은(recess) 부재측 좌부(82)의 경우에서, 와셔(50)의 제2 수부(70)를, 제1 피체결 부재(80)측에 철(凸)이 되는 비정원(非正円) 형상의 완형(椀形, bowl shape)으로 함으로써, 양자를 밀착시킬 수 있다. 특히, 발형상(鉢形狀, pot shape) 형상의 면접촉 영역에 의해서, 수나사체(10)의 축력을 제1 피체결 부재(8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4에, 제C-3 실시 형태의 나사의 역회전 방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4(A)에 나타내듯이, 수나사체(10)의 나사체측 좌부(22)는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나사체측 요철(24)이 형성된다. 와셔(50)의 제1 수부(60)도 평면 형상이 되고, 거기에 톱날 형상의 제1 수부측 요철(64)이 형성된다.
또한, 와셔(50)의 제2 수부(70)는, 수나사체(10)의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한 단일 평면이 되고 있다. 이 형상을 이용하여, 제2 수부(70)에는, 와셔측 경사면(110)이 형성된다. 이 와셔측 경사면(110)은, 수나사체(10)의 축에 직각이 되는 단면 형상(단면선(G))이,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위한다.
한편, 제1 피체결 부재(80)의 부재측 좌부(82)도, 수나사체(10)의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한 단일 평면이 되고 있다. 이 부재측 좌부(82)의 형상을 이용하여, 수나사체(10)의 축에 직각이 되는 단면 형상이, 수나사체(1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축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위하는 부재측 경사면(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나사체(10)를 단단히 조이면,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이 당접하고, 수나사체(10)의 축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와셔(50)와 제1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부재측 좌부(82)가,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한 평면이 되는 경우에, 와셔(50)의 제2 수부(70)에서, 이 부재측 좌부(82)와 평행이 되는 와셔측 경사면(110)을 형성함으로써,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의 양자를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와셔측 경사면(110)과 부재측 경사면(120)에 의해서, 제2 계합 기구(B)가 구성되어, 수나사체(10)의 축력이 전달됨과 동시에, 와셔(50)와 제1 피체결 부재(80)의 상대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본 제C-3 실시 형태에서는, 와셔측 경사면(110) 및 부재측 경사면(120)이 단일 평면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경사 각도가 다른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측면 V자 형상이 되는 쐐기형의 두 개의 경사면을 조합해도 좋고, 혹은, 셋 이상의 경사면으로 되는 다각완형(多角椀形, Polygonal bowl-shaped)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와셔측 경사면(110) 및 부재측 경사면(120)이, 평면과 곡면을 조합하여 구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32에 나타내 보인 예에서는, 수나사체(10)의 굴곡(32)와 와셔(50)의 계합 돌기(52A)에 의해서, 미리 양자를 일체화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그 수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어도 일방에 자기를 갖게 함으로써,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자력으로 일체화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접착제, (스팟(spot)) 용접, 압입(마찰력)에 의해서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미리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 O링 등의 보조도구를 이용하고, 수나사체(10)와 와셔(50)를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1부터 제C-3 실시 형태에서는, 수나사체(10)의 두부와 와셔(50)를 계합시키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수나사체에 적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이 풀림 방지 기구를, 암나사체측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5에 나타내듯이, 제C-1 실시 형태의 응용예로서, 암나사체(18), 와셔(50), 제1 피체결 부재(80)에, 제1 계합 기구(A)와 제2 계합 기구(B)를 설치함으로써, 암나사체(18)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구조에 의해서, 나사의 풀림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수나사체
20 두부(頭部)
22 나사체측 좌부(座部)
24 나사체측 요철
23 압압면
26 나사체측 테이퍼면
30 축부
30a 원통부
30b 나사부
50 와셔
52 관통공
52A 계합 돌기
60 제1 수부(受部)
64 제1 수부측 요철
66 와셔측 테이퍼면
70 제2 수부
72 외벽
74 와셔측 단부
80 피체결 부재
82 부재측 좌부
84 수용 요부(收容凹部)
89 리브
90 기대 또는 제2 체결 부재
92 암나사혈
110 와셔측 당접부
110X 제1 와셔측 당접 영역 또는 제1 와셔측 경사 영역
110Y 제2 와셔측 당접 영역 또는 제2 와셔측 경사 영역
120 부재측 당접부 또는 부재측 경사면
120X 제2 부재측 당접 영역 또는 제2 부재측 경사 영역
120Y 제1 부재측 당접 영역 또는 제1 부재측 경사 영역

Claims (43)

  1. 나사산을 갖는 나사체와, 와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나사체 및 와셔에 의해서 피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는, 상기 와셔와 대향하는 나사체측 좌부(座部)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와셔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대향하는 제1 수부(受部), 및, 부재측 좌부를 갖는 상기 피체결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수부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사이에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 대해서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 계합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제1 계합 기구가 구성되고,
    상기 부재측 좌부와 상기 제2 수부의 사이에는, 상기 와셔에 대해서 상기 특정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서로 계합하는 상태가 보관 유지되는 제2 계합 기구가 구성되어, 체결 상태의 상기 나사체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이며,
    상기 부재측 좌부는, 상기 제2 수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요부(收容凹部)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요부의 내벽은, 상기 나사체의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周方向)을 따라서 변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수부의 외벽은, 상기 나사체의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변동함으로써, 상기 수용 요부의 내벽과 상기 제2 수부의 외벽의 당접(當接, abutting)에 의해서 상기 계합 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 나사체측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부에 상기 나사체측 요철과 계합하는 제1 수부측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계합 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요철은,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는 톱날(鋸刃, saw blade) 형상·산형(山形) 형상·파형(波型) 형상·엠보스(emboss) 형상·소용돌이 형상의 구(溝, groove) 또는 산(山)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고,
    상기 제1 수부측 요철은, 둘레 방향으로 설치되는 톱날 형상·산형 형상·파형 형상·엠보스 형상·소용돌이 형상의 구 또는 산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측 좌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나사체측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경사하는 와셔측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풀림 방향의 계합 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 기구는, 상기 나사체측 좌부와 상기 제1 수부의 사이에, 상기 나사체측 좌부의 조임 방향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나사체의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합 기구는, 상기 제2 수부와 상기 수용 요부가 감합(嵌合, interlocking)됨으로써 상기 계합 상태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의 체결력이, 상기 수용 요부의 저면과 상기 제2 수부와의 당접면을 통해, 상기 피체결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요부의 내벽 및 상기 제2 수부의 외벽이, 상기 나사체의 축에 대해 편심한 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측 좌부는, 상기 나사체의 축 방향으로 단설(段設)된 부재측 단부를 갖고,
    상기 제2 수부에는 상기 부재측 단부와 계합하는 와셔측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167001465A 2013-08-01 2014-07-31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KR102180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0201 2013-08-01
JP2013160201A JP6039515B2 (ja) 2013-08-01 2013-08-01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JP2013179660A JP6387506B2 (ja) 2013-08-30 2013-08-30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JPJP-P-2013-179660 2013-08-30
JPJP-P-2013-214728 2013-10-15
JP2013214728A JP6387507B2 (ja) 2013-10-15 2013-10-15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PCT/JP2014/070232 WO2015016317A1 (ja) 2013-08-01 2014-07-31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71A KR20160040171A (ko) 2016-04-12
KR102180200B1 true KR102180200B1 (ko) 2020-11-18

Family

ID=5243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465A KR102180200B1 (ko) 2013-08-01 2014-07-31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09608B2 (ko)
EP (1) EP3029341A4 (ko)
KR (1) KR102180200B1 (ko)
CN (1) CN105518319B (ko)
AU (1) AU2014297237B2 (ko)
CA (1) CA2927953C (ko)
TW (1) TWI631287B (ko)
WO (1) WO2015016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00B1 (ko) 2013-08-01 2020-11-18 넥스트 이노베이션 고도가이샤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SE540899C2 (en) * 2015-02-04 2018-12-18 Nord Lock Ab Wedge locking washer with increased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FR3056653B1 (fr) * 2016-09-29 2020-01-10 Safran Aircraft Engines Coupelle pour proteger un orifice de fixation d'une piece de turbomachine, systeme de protection associe
KR101963233B1 (ko) * 2016-11-28 2019-03-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 풍력발전용 말뚝기초
CN109139668A (zh) * 2017-06-28 2019-01-04 中国航发贵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利用锁圈偏心产生自锁的连接结构
DE102017131005A1 (de) * 2017-12-21 2019-06-27 Hartmut Flaig Gewindeelement sowie damit herstellbare Verbindung
CN108799311A (zh) * 2018-06-29 2018-11-13 荆门创佳机械科技有限公司 可互锁的汽车轮胎防松螺母
US10765798B2 (en) * 2019-01-24 2020-09-08 Medline Industries, Inc. Feeding syringe holder
KR102278685B1 (ko) * 2019-07-15 2021-07-16 김인식 무관통 접지볼트
KR20210020521A (ko) * 2019-08-16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류 풀림 방지 구조체 및 전자 장치
US11242884B2 (en) 2019-09-18 2022-02-08 Laitram, L.L.C. Sealing wedge-lock washer and fastening system
KR20210047116A (ko) 2019-10-21 2021-04-29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나사형 체결 장치의 풀림 방지용 와셔 및 이를 구비하는 나사형 체결 장치
CN110805607B (zh) * 2019-11-19 2021-01-26 鲁东大学 一种防松止退可靠的螺钉组件
CN111365353B (zh) * 2020-03-13 2022-03-18 韩魁 一种自锁防松垫圈、螺栓组件及安装方法
CN111455849A (zh) * 2020-03-17 2020-07-28 绍兴市城投建筑工业化制造有限公司 绑扎定位架
US20210364031A1 (en) * 2020-05-19 2021-11-25 Aktiebolaget Skf Vibration resistant fastener assembly
DE102020126247A1 (de) * 2020-10-07 2022-04-07 Adolf Schnorr Gmbh & Co. Kg Sicherungsscheibe für eine Schraubverbindung sowie Schraubverbindung
KR102554471B1 (ko) * 2021-01-18 2023-07-12 주식회사 이엘코퍼레이션 전선 케이블 보호안내용 체인
DE102021108948A1 (de) 2021-04-10 2022-10-13 KUF Verbindungselemente UG (haftungsbeschränkt) Sicher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Fertigung
CN113944682A (zh) * 2021-11-10 2022-01-18 赵小兵 双螺母相互制约的防松动螺栓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244A (en) 1910-12-15 1911-11-21 Ralph B Hartsough Adjustable bearing.
US1876836A (en) 1931-08-12 1932-09-13 Nat Lock Washer Co Helical lock washer for straight counterbores
JP2004023227A (ja) 2002-06-13 2004-01-22 Nippon Antenna Co Ltd アンテナ取付ナット
JP2006336809A (ja) 2005-06-03 2006-12-14 Majima Seisakusho:Kk 皿ボルトによる締結構造及びこの締結構造に用いる緩止めテーパリング、並びにテーパナットによる締結構造及びこの締結構造に用いる緩止めテーパ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131A (en) * 1914-07-17 1915-11-02 James M Thompson Lock-nut.
GB129553A (en) * 1918-12-11 1919-07-17 Ayer Pool Lock Nut Washer.
US2537575A (en) * 1944-09-25 1951-01-09 Illinois Tool Works Screw and washer assembly
US2746506A (en) * 1952-08-12 1956-05-22 Illinois Tool Works Screw and washer assembly
AT229641B (de) * 1961-06-26 1963-10-10 Margarete Hermanus Schraubensicherung
US3275055A (en) * 1964-02-04 1966-09-27 Illinois Tool Works Bolt and washer assembly with cooperating pawl and ratchet means
US3241589A (en) * 1964-09-14 1966-03-22 Max L Enders Positive self-locking fastening means
US3385341A (en) * 1966-02-21 1968-05-28 Illinois Tool Works Fastener device
US3417802A (en) * 1967-11-16 1968-12-24 Carl O. Oldenkott Captive lock washer assembly
US3540509A (en) * 1968-12-13 1970-11-17 Illinois Tool Works Fastener device
JPS4830770Y1 (ko) 1969-05-21 1973-09-19
JPS4717055U (ko) 1971-03-31 1972-10-27
US3926237A (en) * 1972-03-30 1975-12-16 Max L Enders Self-locking vibration-proof lock washer and cooperating threaded fastener
JPS5076259U (ko) 1973-11-14 1975-07-03
JPS5412126Y2 (ko) 1974-08-01 1979-05-29
GB1548295A (en) * 1976-04-09 1979-07-11 Schnorr Kg Spezialfabrik Fur T Lock washer
JPS5929134Y2 (ja) 1979-07-16 1984-08-22 有限会社田中製作所 ゆるみ止め機構を有する螺子
US4377361A (en) 1980-08-22 1983-03-22 Frieberg Bengt O Reversible lock washer
JPS58118308U (ja) 1982-02-06 1983-08-12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回り止め座金
DE3309884A1 (de) 1983-03-17 1984-09-27 Thanh-Son Dipl.-Ing. 1000 Berlin Le Wiederverwendbare formschluessige sicherung fuer schraube/mutter einer loesbaren schraubenverbindung
JPS60133215U (ja) 1984-02-16 1985-09-05 株式会社東芝 ねじ止め構造
JPH0313605Y2 (ko) 1985-02-20 1991-03-28
JPH045524Y2 (ko) 1986-11-25 1992-02-17
JPS647112A (en) 1987-06-29 1989-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mperature controller
CN1019408B (zh) * 1988-10-29 1992-12-09 彼尔玛·泰特Ab公司 旋拧头式锁紧垫圈
JPH0382673A (ja) 1989-08-25 1991-04-08 Mazda Motor Corp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0349411U (ko) 1989-09-20 1991-05-14
US5168684A (en) 1991-05-28 1992-12-08 Ronald Bruhm Means for securing elastomeric sheathing to a roof surface
JPH0713278A (ja) 1992-12-25 1995-01-17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蛍光体シート組体およびその収納容器
TW414271U (en) 1998-09-11 2000-12-01 Lin Ching Yu Lock structure for avoiding loose of screw member
JP2001124045A (ja) 1999-10-20 2001-05-08 Noriatsu Kojima 廻り止め座金及び廻り止め座金を使用する管継手の立て管接続構造
DE29919029U1 (de) * 1999-10-29 2000-04-13 Duocam Inc., Toronto, Ontario Befestigungsmittel
AUPQ611800A0 (en) * 2000-03-09 2000-03-30 Smolarek, Hanna Maria Washer and threaded fasten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AU5878601A (en) * 2000-05-19 2001-11-26 Eisuke Ishida Structure for preventing loosening of threaded fasteners
US6860688B2 (en) 2001-06-15 2005-03-01 Danley Construction Products Pty Ltd Lockable nut system
TW489961U (en) 2001-06-20 2002-06-01 Chi-Jr Yang Anti-loosing structure for bolt
US6776565B2 (en) * 2002-09-10 2004-08-17 Flamante Industry Ltd. Structure of an anti-burglar screw bolt
AU2003903340A0 (en) * 2003-07-01 2003-07-17 Eznut Pty Ltd Elastic joint element and threaded fastener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20050089385A1 (en) * 2003-08-21 2005-04-28 Yen-Tseng Lin Anti-rotation locking nut and bolt
JP2005090530A (ja) 2003-09-12 2005-04-07 Fusao Yamada 複数重積材の緩み止め締結構造
JP2006068179A (ja) 2004-09-01 2006-03-16 Car Mate Mfg Co Ltd スノーボード用ビンディング
CN2733064Y (zh) * 2004-11-02 2005-10-12 孙建军 防松螺纹连接组件
CN1796806A (zh) * 2004-12-29 2006-07-05 赖起兵 全自动防松螺栓组件
US20060216129A1 (en) * 2005-03-24 2006-09-28 Chen-Mao Lin Loose-proof screw bolt
JP2007146881A (ja) 2005-11-24 2007-06-14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締付装置および車両用防護柵
US7497652B2 (en) * 2006-02-23 2009-03-03 Tech Stell Co., Ltd. Plastic fastening device
US20090003960A1 (en) * 2007-06-26 2009-01-01 Chen-Mao Lin Bolt and Washer Assembly Having Self-Locking and Burglarproof Functions
SE531801C2 (sv) * 2007-10-04 2009-08-11 Nord Lock Ab Låselement och bultförband
KR101027753B1 (ko) * 2008-12-09 2011-04-08 이상철 풀림방지 볼트너트 결합체
US20110170983A1 (en) * 2010-01-14 2011-07-14 Backyard Leisure Holdings, Inc. Playset fastener
US8961569B2 (en) * 2010-10-04 2015-02-24 Genesys Spine Locking pedicle screw devices, methods, and systems
KR102180200B1 (ko) 2013-08-01 2020-11-18 넥스트 이노베이션 고도가이샤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244A (en) 1910-12-15 1911-11-21 Ralph B Hartsough Adjustable bearing.
US1876836A (en) 1931-08-12 1932-09-13 Nat Lock Washer Co Helical lock washer for straight counterbores
JP2004023227A (ja) 2002-06-13 2004-01-22 Nippon Antenna Co Ltd アンテナ取付ナット
JP2006336809A (ja) 2005-06-03 2006-12-14 Majima Seisakusho:Kk 皿ボルトによる締結構造及びこの締結構造に用いる緩止めテーパリング、並びにテーパナットによる締結構造及びこの締結構造に用いる緩止めテーパ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1287B (zh) 2018-08-01
CA2927953A1 (en) 2015-02-05
US20160290384A1 (en) 2016-10-06
EP3029341A4 (en) 2017-04-05
KR20160040171A (ko) 2016-04-12
EP3029341A1 (en) 2016-06-08
US9909608B2 (en) 2018-03-06
AU2014297237A1 (en) 2016-03-17
AU2014297237B2 (en) 2018-06-21
CN105518319B (zh) 2018-06-01
CN105518319A (zh) 2016-04-20
CA2927953C (en) 2021-08-31
WO2015016317A1 (ja) 2015-02-05
TW201525310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200B1 (ko) 나사체의 역회전 방지 구조
JP5336644B1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JP6715455B2 (ja) ねじ体締結構造
WO2015050043A1 (ja) 締結部の逆回転防止構造
WO2015060425A1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JP2017524116A (ja) 緩み止めワッシャー
WO2016098749A1 (ja) ヒンジ構造、メガネフレーム
WO2013157338A1 (ja) 二重ナット
JP6039515B2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JP6387506B2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KR20170093165A (ko) 암나사체, 나사체의 체결 구조
JP6421307B2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WO2016039307A1 (ja) 直動ロッド、連携部材、ピストン、ピストンの締結構造
JP6387507B2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WO2016039304A1 (ja) ピストン部材、ピストン締結構造
JP5177780B1 (ja) 二重ナット締結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二重ナット締結方法
JP2012052668A (ja) ねじ部品の頭部駆動穴
JP6528302B2 (ja) 直動システムのシール構造、ピストン部材
JP5677012B2 (ja) 締結用部材
JP3126809U (ja) スパナ用の駆動ヘッド
JP2014084927A (ja) ゆるみ止めねじ
TW201620677A (zh) 手工具結構
JP5022294B2 (ja) ねじ部品の頭部駆動穴
TW201341130A (zh) 扭力跳脫機構及具有此扭力跳脫機構的螺絲起子
AU2005100450A4 (en) Loose-proof screw bo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