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742B1 - 롤벤딩장치 - Google Patents

롤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742B1
KR102174742B1 KR1020200075553A KR20200075553A KR102174742B1 KR 102174742 B1 KR102174742 B1 KR 102174742B1 KR 1020200075553 A KR1020200075553 A KR 1020200075553A KR 20200075553 A KR20200075553 A KR 20200075553A KR 102174742 B1 KR102174742 B1 KR 102174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metal plate
coupl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102020007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5/00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machine or the operator, specially adapted for apparatus or machin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벤딩된 금속판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롤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는 금속판(1)이 동그랗게 벤딩되면, 제1 내지 제3 지지로울러(33,42,54)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금속판(1)을 전방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금속판(1)에 호이스트를 연결하여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금속판(1)을 배출하여야 하는 종래의 롤벤딩장치에 비해, 벤딩된 금속판(1)을 배출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고,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에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롤벤딩장치{roll b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벤딩된 금속판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롤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의 원통을 제작할 때는, 롤벤딩장치를 이용하여 금속판을 원형으로 벤딩한 후, 원통형으로 벤딩된 금속판을 관형상으로 용접하여 관체를 제작하고, 용접된 관체의 양단에 막음판을 용접결합하여 원통을 제작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이와 같이, 금속판(1)을 원형으로 벤딩하는데 사용되는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하부패널(11)과 상기 하부패널(11)의 전후방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된 전후방지지대(12,13)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부로울러(21)와,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로울러(23)와, 상기 전방지지대(12)에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측으로 세워지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대(24)와, 상기 회동지지대(24)에 연결되어 회동지지대(24)를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25)와, 상기 하부로울러(21)와 상부로울러(2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지지대(12)는 후방지지대(13)에 비해 높이가 낮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로울러(21)는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전후단에는 승강실린더(22)가 연결되어, 상기 승강실린더(22)를 신축시키면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로울러(23)는 양측으로 이격된 하부로울러(21)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지지대(24)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로울러(21)를 하강시키고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부로 금속판(1)을 공급한 후, 하부로울러(21)를 상승시켜 금속판(1)의 상면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6)를 구동시켜 하부로울러(21)와 상부로울러(23)를 회전시켜 금속판(1)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로울러(21)를 점차 상승시키면, 금속판(1)이 점차 라운드지게 벤딩되며, 최종적으로 금속판(1)이 원형으로 벤딩된다.
그리고, 금속판(1)이 원형으로 베딩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로울러(21)를 하강시키고, 상기 회동지지대(24)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상부로울러(23)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한 후,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금속판(1)을 전방으로 이송하여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롤벤딩장치는 원형으로 벤딩된 금속판(1)을 배출할 때,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의 둘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금속판(1)에 호이스트를 연결하고,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금속판(1)을 조금 들어 올린 상태에서 금속판(1)을 천천히 전방으로 이송하여야 함으로, 금속판(1)을 배출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우며,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에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롤벤딩장치는 금속판(1)을 하부로울러(21)의 상부에 공급할 때, 금속판(1)이 하부로울러(21)와 직각을 이루도록 하부로울러(21)의 상면에 올려지고, 하부로울러(21)가 상승될 때도 금속판(1)이 하부로울러(21)와 직각을 이루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롤벤딩장치는 하부로울러(21)가 상승될 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1)이 측방향으로 회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금속판(1)이 정확한 형태로 벤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77775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벤딩된 금속판(1)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롤벤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패널(11)과 상기 하부패널(11)의 전후방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된 전후방지지대(12,13)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부로울러(21)와,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로울러(23)와, 상기 전방지지대(12)에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측으로 세워지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대(24)와, 상기 회동지지대(24)에 연결되어 회동지지대(24)를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25)와, 상기 하부로울러(21)와 상부로울러(2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로울러(21)는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전후단에는 하부로울러(21)의 상하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승강실린더(22)가 연결된 롤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 하부지지대(31)와, 상기 하부지지대(3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지지대(31)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32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32)와, 상기 승강대(32)에 구비되어 승강대(32)가 상승되면 원형으로 벤딩되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둘레부에 구비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로울러(33)와,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에 연결되어 제1 지지로울러(33)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지지된 금속판(1)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 구동모터(34)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동구동수단(43)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로울러(42)가 구비된 제1 보조지지대(41)와,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연결되어 제2 지지로울러(42)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44)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52)에 의해 하부패널(11)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슬라이드되는 연장대(51)와, 상기 연장대(5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로울러(54)가 구비된 제2 보조지지대(53)와, 상기 제3 지지로울러(54)에 연결되어 제3 지지로울러(54)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55)와, 상기 회전감지센서(55)의 신호를 수신하며 경보수단(81)이 연결된 제어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벤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패널(11)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금속판(1)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전후방지지부재(61,62)와, 상기 전후방지지부재(61,62)에 연결되어 전후방부재(61,6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지지부재(61,62)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7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판(63)과, 상기 지지판(63)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실린더(65)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64)과, 상기 승강판(64)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66)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블록(6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금속판(1)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벤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는 금속판(1)이 동그랗게 벤딩되면, 제1 내지 제3 지지로울러(33,42,54)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금속판(1)을 전방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금속판(1)에 호이스트를 연결하여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금속판(1)을 배출하여야 하는 종래의 롤벤딩장치에 비해, 벤딩된 금속판(1)을 배출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고,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에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의 롤벤딩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벤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하부패널(11)과 상기 하부패널(11)의 전후방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된 전후방지지대(12,13)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부로울러(21)와,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로울러(23)와, 상기 전방지지대(12)에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측으로 세워지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대(24)와, 상기 회동지지대(24)에 연결되어 회동지지대(24)를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25)와, 상기 하부로울러(21)와 상부로울러(2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로울러(21)는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전후단에는 하부로울러(21)의 상하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승강실린더(22)가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 하부지지대(31)와, 상기 하부지지대(3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지지대(31)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32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32)와, 상기 승강대(32)에 구비되어 승강대(32)가 상승되면 원형으로 벤딩되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둘레부에 구비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로울러(33)와,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에 연결되어 제1 지지로울러(33)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지지된 금속판(1)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 구동모터(34)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동구동수단(43)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로울러(42)가 구비된 제1 보조지지대(41)와,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연결되어 제2 지지로울러(42)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44)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52)에 의해 하부패널(11)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슬라이드되는 연장대(51)와, 상기 연장대(5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로울러(54)가 구비된 제2 보조지지대(53)와, 상기 제3 지지로울러(54)에 연결되어 제3 지지로울러(54)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55)와, 상기 하부패널(11)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금속판(1)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전후방지지부재(61,62)와, 상기 전후방지지부재(61,62)에 연결되어 전후방부재(61,6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70)과, 상기 회전감지센서(55)의 신호를 수신하며 경보수단(81)이 연결된 제어수단(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대(3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패널(11)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다.
상기 승강대(3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브라켓(32b)이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32a)은 상기 하부지지대(3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승강대(32)의 하측면에 연결된 4개의 유압식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는 상기 승강대(32)의 지지브라켓(32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대(32)가 상승되면 제1 지지로울러(33)가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사이를 통해 상승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34)는 상기 지지브라켓(32b)에 구비되며 체인과 풀리를 통해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에 연결된다.
제1 보조지지대(4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41a)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바(41a)의 중간부 하측에 용접결합된 수평바(41b)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바(41a)의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0) 하부패널(11)의 전단부에 구비된 회동브라켓(11a)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는 양단이 상기 수직바(41a)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41a)의 측방향 간격은 상기 회동지지대(24)의 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지지대(24)가 전방으로 회동될 때, 회동지지대(24)가 수직바(41a)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은 상기 수직바(41a)의 하단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제1 보조지지대(41)를 수직방향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회동시키는 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제2 구동모터(44)는 상기 수직바(41a)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연결된다.
상기 연장대(5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11b)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패널(11)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1b)에 연결되는 장공(11c)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대(51)의 후단부에는 상기 장공(11c)을 통과하여 하부패널(11)의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부(51a)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2)은 상기 하부패널(11)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중간부는 상기 연장대(51)의 돌출부(51a)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52a)와, 상기 리드스크류(52a)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5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b)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보조지지대(53)는 상기 연장대(51)의 전방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지지로울러(54)는 상면의 높이가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2 보조지지대(53)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5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된 금속판(1)이 상기 제3 지지로울러(54)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려나갈 때, 금속판(1)의 하측면에 밀착된 제3 지지로울러(54)가 회전되는 각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지지부재(61,62)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7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판(63)과, 상기 지지판(63)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실린더(65)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64)과, 상기 승강판(64)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66)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블록(6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금속판(1)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67)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65)는 신장시 상기 지지로울러(67)가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면에 올려진 금속판(1)의 높이로 상승되고, 축소시 상기 승강판(64)의 상단이 상기 하부로울러(21)에 올려진 금속판(1)의 높이에 비해 낮게 하강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블록(66)은 상기 승강판(64)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64a)에 적절한 마찰력을 갖도록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서는 승강되지 않지만, 외력이 가해지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로울러(67)는 중간부에 지름이 작은 소경부(67a)가 형성되어, 상기 소경부(67a)가 상기 금속판(1)의 전후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패널(1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단이 상기 지지판(63)에 관통되도록 결합된 리드스크류(71)와, 상기 리드스크류(71)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71)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7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드스크류(71)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리드스크류(71)의 전방에 형성된 나사산은 우나사산으로 형성되고, 리드스크류(71)의 후방에 형성된 나사산은 좌나사산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2)로 리드스크류(71)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지지판(63)이 동일한 거리만큼 전후진되어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지지부재(61,62)와 간격조절수단(70)은 상기 하부패널(11)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어수단(80)은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82)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구동모터(26)를 구동시켜 하부로울러(21)와 상부로울러(23)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승강실린더(22)를 제어하여 하부로울러(21)의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회동실린더(25)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지지대(24)를 회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승강구동수단(32a)과 제1 및 제2 구동모터(34,44), 회동구동수단(43), 슬라이드구동수단(52) 및 간격조절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경보수단(81)은 작동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롤벤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하부로울러(21)가 하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부로 금속판(1)을 투입하고, 상기 입력수단(82)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80)이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을 제어하여 전후방지지부재(61,62)를 인접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로울러(67)가 금속판(1)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지로울러(67)가 금속판(1)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금속판(1)이 지지로울러(67)에 의해 금속판(1)이 지지되어, 금속판(1)을 벤딩하는 과정에서 금속판(1)이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22)를 제어하여 하부로울러(21)가 상승되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모터(26)를 구동시켜 하부로울러(21)와 상부로울러(23)를 회전시킴으로써, 금속판(1)이 점차 둥글게 벤딩되도록 한다.
이때, 금속판(1)이 둥글게 벤딩되어 금속판(1)의 양단이 상승되면, 상측으로 상향된 금속판(1)의 양단에 의해 상기 지지로울러(67)와 승강블록(66)이 점차 상승되면서, 금속판(1)의 전후면을 지속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금속판(1)에 의해 상기 지지로울러(67)와 승강블록(66)이 적정 높이 이상 상승되어,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82)을 조작하여 이격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을 제어하여 전후방지지부재(61,62)의 지지판(63)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지지로울러(67)가 금속판(1)의 전후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따라서, 금속판(1)이 더욱 동그랗게 벤딩될 때, 금속판(1)이 상기 지지로울러(67)에 걸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65)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판(64)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로울러(21)가 정해진 높이까지 상승되어 금속판(1)이 동그랗게 벤딩되면, 상기 제어수단(8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2)을 제어하여 연장대(51)를 전방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승강실린더(22)를 제어하여 하부로울러(21)를 하강시키고,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을 제어하여 제1 보조지지대(41)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회동실린더(25)를 제어하여 회동지지대(24)를 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부로울러(23)의 전방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승강구동수단(32a)을 제어하여 승강대(32)를 상승시켜, 제1 지지로울러(33)가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대(32)는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의 상면 높이가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와 제3 지지로울러(54)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제1 구동모터(34)와 제2 구동모터(44)를 구동시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지지된 금속판(1)이 전방으로 밀려나가서 최종적으로 금속판(1)이 제2 지지로울러(42)와 제3 지지로울러(54)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회전감지센서(5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34,44)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회전되었는데, 상기 제3 지지로울러(54)가 회전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또는 제2 구동모터(34,44)에 이상이 발생되어, 상기 금속판(1)이 제3 지지로울러(54) 쪽으로 밀려나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81)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이를 알린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롤벤딩장치는 금속판(1)이 동그랗게 벤딩되면, 제1 내지 제3 지지로울러(33,42,54)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금속판(1)을 전방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금속판(1)에 호이스트를 연결하여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금속판(1)을 배출하여야 하는 종래의 롤벤딩장치에 비해, 벤딩된 금속판(1)을 배출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고, 금속판(1)이 상부로울러(23)에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프레임 21. 하부로울러
22. 상부로울러 24. 회동지지대
25. 회동실린더 26. 구동모터

Claims (2)

  1. 하부패널(11)과 상기 하부패널(11)의 전후방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된 전후방지지대(12,13)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하부로울러(21)와,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로울러(23)와,
    상기 전방지지대(12)에 상측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상측으로 세워지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로울러(23)의 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대(24)와,
    상기 회동지지대(24)에 연결되어 회동지지대(24)를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실린더(25)와,
    상기 하부로울러(21)와 상부로울러(2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로울러(21)는 전후단이 상기 전후방지지대(12,1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전후단에는 하부로울러(21)의 상하방향위치를 조절하는 승강실린더(22)가 연결된 롤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 하부지지대(31)와,
    상기 하부지지대(3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지지대(31)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32a)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32)와,
    상기 승강대(32)에 구비되어 승강대(32)가 상승되면 원형으로 벤딩되어 상기 상부로울러(23)의 둘레부에 구비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로울러(33)와,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에 연결되어 제1 지지로울러(33)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지지된 금속판(1)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1 구동모터(34)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동구동수단(43)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1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로울러(42)가 구비된 제1 보조지지대(41)와,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연결되어 제2 지지로울러(42)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44)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52)에 의해 하부패널(11)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슬라이드되는 연장대(51)와,
    상기 연장대(5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2 지지로울러(4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금속판(1)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로울러(54)가 구비된 제2 보조지지대(53)와,
    상기 제3 지지로울러(54)에 연결되어 제3 지지로울러(54)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55)와,
    상기 회전감지센서(55)의 신호를 수신하며 경보수단(81)이 연결된 제어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벤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11)의 양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금속판(1)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전후방지지부재(61,62)와,
    상기 전후방지지부재(61,62)에 연결되어 전후방부재(61,62)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지지부재(61,62)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패널(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70)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는 지지판(63)과,
    상기 지지판(63)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실린더(65)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64)과,
    상기 승강판(64)의 인접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66)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블록(6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로울러(21)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금속판(1)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벤딩장치.
KR1020200075553A 2020-06-22 2020-06-22 롤벤딩장치 KR10217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53A KR102174742B1 (ko) 2020-06-22 2020-06-22 롤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53A KR102174742B1 (ko) 2020-06-22 2020-06-22 롤벤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742B1 true KR102174742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553A KR102174742B1 (ko) 2020-06-22 2020-06-22 롤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873A (ko) 2022-03-30 2023-10-10 신성오 박판 벤딩 장치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980A (ja) * 1992-04-24 1993-12-03 Hitachi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
JPH08141657A (ja) * 1994-11-17 1996-06-04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の製品搬出装置
JP2000280029A (ja) * 1999-03-31 2000-10-10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
KR20080057967A (ko) * 2006-12-21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량용 에어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082722A (ko) * 2007-03-09 2008-09-12 한국주철관공업(주) 스파이럴 강관용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KR100860795B1 (ko) * 2007-06-07 2008-09-29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KR100892059B1 (ko) * 2008-09-03 2009-04-06 김미자 벤딩기
KR20090052233A (ko) * 2007-11-20 2009-05-25 국방과학연구소 후판 용접형 예비성형체를 이용한 유동성형 압력 용기제작 방법
JP2012236207A (ja) * 2011-05-11 2012-12-06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装置
KR20130082254A (ko) * 2012-01-11 2013-07-19 주식회사 동남테크놀로지 이산화탄소가스용 자동 용접장치
KR101555968B1 (ko) * 2015-05-21 2015-09-25 (주)재원산업기계 파이프 밴딩장치
JP2015213944A (ja) * 2014-05-09 2015-1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ール曲げ加工装置及びロール曲げ加工方法
KR101622960B1 (ko) * 2014-12-29 2016-05-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안내장치
KR20170012722A (ko) * 2015-07-23 2017-02-03 주식회사 포스코 쉘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70090738A (ko) * 2016-01-29 2017-08-08 이영규 원통체를 형성하는 벤딩장치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980A (ja) * 1992-04-24 1993-12-03 Hitachi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
JPH08141657A (ja) * 1994-11-17 1996-06-04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の製品搬出装置
JP2000280029A (ja) * 1999-03-31 2000-10-10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
KR20080057967A (ko) * 2006-12-21 2008-06-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량용 에어 탱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082722A (ko) * 2007-03-09 2008-09-12 한국주철관공업(주) 스파이럴 강관용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KR100860795B1 (ko) * 2007-06-07 2008-09-29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KR20090052233A (ko) * 2007-11-20 2009-05-25 국방과학연구소 후판 용접형 예비성형체를 이용한 유동성형 압력 용기제작 방법
KR100892059B1 (ko) * 2008-09-03 2009-04-06 김미자 벤딩기
JP2012236207A (ja) * 2011-05-11 2012-12-06 Kurimoto Ltd ベンディングロール装置
KR20130082254A (ko) * 2012-01-11 2013-07-19 주식회사 동남테크놀로지 이산화탄소가스용 자동 용접장치
JP2015213944A (ja) * 2014-05-09 2015-1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ール曲げ加工装置及びロール曲げ加工方法
KR101622960B1 (ko) * 2014-12-29 2016-05-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안내장치
KR101555968B1 (ko) * 2015-05-21 2015-09-25 (주)재원산업기계 파이프 밴딩장치
KR20170012722A (ko) * 2015-07-23 2017-02-03 주식회사 포스코 쉘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70090738A (ko) * 2016-01-29 2017-08-08 이영규 원통체를 형성하는 벤딩장치
KR101777754B1 (ko) 2016-01-29 2017-09-12 이영규 원통체를 형성하는 벤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873A (ko) 2022-03-30 2023-10-10 신성오 박판 벤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742B1 (ko) 롤벤딩장치
JP4459636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2241947B1 (ko) 타이어 적재장치
JP2012046315A (ja) ワーク反転装置
KR102185523B1 (ko) 저장탱크 제조방법
KR20200034122A (ko) Cnc 런닝소 자동투입 공급장치
KR200186051Y1 (ko) 스트립 판쏠림 교정장치
KR101862300B1 (ko) 샤링기
KR101797753B1 (ko) 용접용 틸팅테이블
JP6595864B2 (ja) エンドレスチェーン駆動機構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US55054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web roll
KR10206533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판재 절단장치
KR200186044Y1 (ko) 조질압연기의 자동 압하력 제어장치
JP3727727B2 (ja) 枚葉印刷機の給紙紙積装置
KR101204174B1 (ko) 장축중량체의 각도전환장치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JP4257590B2 (ja) 昇降式の物品搬送装置
JP3468569B2 (ja) 給紙機
KR102454853B1 (ko) 파이프가공장치
JPH06298483A (ja) 搬送装置
JP420973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825563B1 (ko) 빌레트 장입용 피드롤러장치
KR102289508B1 (ko) 사고차량의 프레임 교정장치
KR20060028079A (ko) 버켓의 선회및 상하조정동작이 개선된 리크레이머 장치
KR20190090176A (ko) 다단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